KR20210042949A -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949A
KR20210042949A KR1020217007024A KR20217007024A KR20210042949A KR 20210042949 A KR20210042949 A KR 20210042949A KR 1020217007024 A KR1020217007024 A KR 1020217007024A KR 20217007024 A KR20217007024 A KR 20217007024A KR 20210042949 A KR20210042949 A KR 2021004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ugar
increase
sugar level
suppress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후키자와
유지 노나카
마이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Endocrinolog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airy Product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에 안정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섭취 타이밍이 식전 또는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본 발명은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및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isoxanthohumol)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이란, 인슐린 작용의 부족에 따른 만성 고혈당 상태를 주된 증상으로 하는 대사질환군을 가리키며, 최근 그 환자수 및 예비군의 증가가, 의료비 증가 등의 관점에서 선진국이나 신흥국을 중심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당뇨병의 발증 예방 및 개선으로 이어지는 어프로치로서, 식사량(총 섭취 에너지량) 제한이나 중등도의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 개입이 유효하다는 것이, 과거의 대규모 임상시험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강력한 생활습관 개입을 장기간 강제하는 것은 대상자에게 있어서 신체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보다 신체적 부담이 적은 당뇨병 발증 예방 방법 또는 개선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당뇨병에 의한 만성적인 고혈당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 특징적인 합병증 발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혈당 컨트롤이 장기 예후의 개선에 중요하다는 것이, 당뇨병 진료 가이드라인(일본당뇨병학회)에도 기재되어 있다. 혈당 컨트롤의 지표로는, 공복시 혈당치, 식후 혈당치, HbA1c 등을 들 수 있지만, 당부하 후 2시간 후의 혈당치가 사망률과 플러스의 상관을 보인다고 하는 보고도 있고(비특허문헌 1), 식후 고혈당 상태의 시정, 즉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을 섭취한 후의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식후 고혈당을 예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의료비 억제의 관점에서 기능성 식품의 활용은 유익하다고 생각되며, 예컨대 식후의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소구(訴求)하는 특정 보건용 식품이나 기능성 표시 식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소장에서의 물리적인 당흡수를 억제하는 것이나, 다당류나 2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소화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며, 섭취 타이밍이 식전이나 식중에 한정된다는 과제가 있다.
삼과의 식물로서, 맥주의 원료로 사용되는 홉(학명: Humulus lupulus)에 포함된 성분으로서 잔토휴몰이 알려져 있다. 잔토휴몰은 분자식이 C21H22O5로 표시되는 폴리페놀의 일종이며, 폴리페놀 중에서는 「프레닐칼콘」으로 분류된다.
비특허문헌 2에는, 고지방식 섭취 모델 마우스에게 잔토휴몰을 60 mg/kg/day로 계속 투여한 경우에, 공복시 혈당치가 저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잔토휴몰을 30 또는 60 mg/kg/day으로 계속 투여한 경우에, 공복시에 있어서의 혈중 인슐린값이 저하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3에는, 고지방식 섭취 모델 마우스에 있어서, 음료수 중에 잔토휴몰을 10 mg/L로 혼합한 조건으로 장기 사육한 경우, 혈당치가 저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게 잔토휴몰 고함유 소재를 1%의 비율로 혼합한 사료로 사육한 경우에, 당부하 시험에 있어서의 혈당치 상승이 억제되었다고 하는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3 및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이들의 결과는, 잔토휴몰을 계속 섭취시킨 결과이며, 잔토휴몰 단회 섭취에 따른 효과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잔토휴몰이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지만, 잔토휴몰은, 가열에 따라 불가역적으로 이소잔토휴몰로 구조 변환된다. 특히, 맥주의 제조 과정에서는 그 대부분이 이소잔토휴몰로 변화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장기 보관시의 기능성 관여 성분량의 보증이 요구되는 특정 보건용 식품이나 기능성 표시 식품 등에 있어서는, 특히 안정성이 높은 물질 및 조성물의 제공이 요구된다.
잔토휴몰과 이소잔토휴몰은 모두 프레닐기를 갖지만, 전자는 칼콘 골격을, 후자는 플라바논 골격을 부분 구조로서 포함하며, 서로 상이한 물리 화학적 성질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4에는, 항암 작용이, 잔토휴몰에서는 매우 유효하지만, 이소잔토휴몰에서는 매우 약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잔토휴몰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소잔토휴몰의 생리활성을 유추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소잔토휴몰에 관해서는,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보이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에는, 잔토휴몰이나 홉 찌꺼기는 무수에탄올 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인슐린의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상태)의 개선에 이바지하는 3T3-L1 지방세포로부터의 생리활성물질 아디포넥틴 분비를 촉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소잔토휴몰이 아디포넥틴 분비에 부여하는 작용의 유무나, 혈당치에 부여하는 영향을 평가한 데이터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실시예에 기재된 추출 조건(40℃)에서는, 잔토휴몰이 이소잔토휴몰로 변환하는 온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홉 찌꺼기는 무수에탄올 추출물의 이소잔토휴몰 함량은 매우 작다고 생각되며, 이소잔토휴몰의 작용 유무는 확실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680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제2009-518429호 공보
[비특허문헌 1] Lancet 1999 354; 617-621 [비특허문헌 2] Arch Biochem Biophys. 2016 1; 599: 22-30. [비특허문헌 3] J Nutr Biochem. 2017 45; 39-47. [비특허문헌 4] Free Radical BioM ed. 2015 89; 486-497.
상기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식후 고혈당의 억제를 실현하는, 음식품에도 사용 가능한 물질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기 보관시의 기능성 관여 성분량의 보증이 요구되는 특정 보건용 식품이나 기능성 표시 식품 등에도 활용 가능한 열에 안정하고, 또한 혈당치 상승 억제에 이바지하는 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섭취 타이밍이 식전이나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식후 혈당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열에 안정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섭취 타이밍이 식전 또는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소잔토휴몰이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갖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이소잔토휴몰은, 잔토휴몰보다 열안정성이 높은 화합물이다. 이소잔토휴몰은, 잔토휴몰보다 강한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보였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은, 단회 섭취에서는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보이지 않고, 계속 섭취에 의해 처음으로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이 확인되기 때문에, 탄수화물에서 유래되는 당흡수를 물리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의 작용 기서로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후 혈당치의 상승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한 이소잔토휴몰 섭취의 타이밍은, 식전이나 식중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소잔토휴몰은,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보이고 또한 음료 적정성도 우수하다. 이 때문에 이소잔토휴몰을 배합함으로써, 건강의 유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기능성 음료 등의 개발이 가능해진다.
즉,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1]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2]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1]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3] 계속해서 섭취되는 것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4]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5] 음식품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6] 음료인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7] 상기 음료가 차계 음료, 커피 음료, 알코올 음료,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 탄산 음료, 기능성 음료, 과실·야채계 음료, 유성(乳性) 음료, 두유 음료 또는 플레이버 워터인 상기 [6]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8]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한다」,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완만하게 한다」, 「혈당치를 낮춘다」,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식후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및 「혈당치가 오르기 쉬운 체질을 개선한다」 중 1 또는 2 이상의 표시를 붙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9] 이소잔토휴몰을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10]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상기 [9]에 기재된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11]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의 용도.
[12]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인 상기 [11]에 기재된 용도.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에 안정한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의 타이밍이 식전 또는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소잔토휴몰 또는 잔토휴몰을 단회 투여한 각 군의, 글루코오스 투여 후의 혈당치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이소잔토휴몰 또는 잔토휴몰을 계속 투여한 각 군의, 글루코오스 투여 후의 혈당치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vs. 고지방식군).
도 3은 이소잔토휴몰 또는 잔토휴몰을 계속 투여한 각 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시간 곡선하 면적(AUC)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1 vs. 보통식군).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후기하는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소잔토휴몰을 섭취(투여)시킨 마우스에서는, 섭취시키지 않은 마우스와 비교하여, 글루코오스 섭취 후의 혈당치 상승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이소잔토휴몰은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소잔토휴몰을 섭취하면, 식후의 혈당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에 의한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는, 이소잔토휴몰을 계속 섭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때문에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 예컨대 식후 혈당치의 상승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 이소잔토휴몰을 섭취하는 경우, 이소잔토휴몰의 섭취 타이밍은 식전 또는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타이밍에 섭취할 수 있다.
이소잔토휴몰은, 예컨대, 홉(Humulus lupulus) 추출물로부터 가열 등의 프로세스를 거쳐 조제할 수 있다. 홉 추출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추출물 중에 이소잔토휴몰을 생성시킬 수 있다. 홉 추출물은, 통상, 홉의 구화(毬花)를 용매로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정제에 관한 프로세스를 통해 조제되며, 공지된 홉 추출물의 조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서, 예컨대, 맥주 양조에 이용되는 홉 추출물의 조제법으로서 이용되는 에탄올 용매에 의한 추출법을 들 수 있다. 홉 추출물은 시판되고 있고, 시판되고 있는 홉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소잔토휴몰을 생성시키기 위한 홉 추출물의 가열은, 80∼140℃(보다 바람직하게는 85∼100℃)에서 15분∼5시간(보다 바람직하게는 20분∼3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잔토휴몰을 조제하기 위한 홉 추출물의 정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정제 방법으로서, 예컨대, HPLC나 흡착 칼럼 등의 사용이나, 용해도의 변화를 이용한 석출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은, 잔토휴몰을 가열함으로써 이성화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140℃(보다 바람직하게는 85∼100℃)에서 15분∼5시간(보다 바람직하게는 20분∼3시간)을 채용할 수 있다. 이성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이소잔토휴몰은, 필요에 따라, 공지된 방법(예컨대, 여과, 감압 농축, 동결 건조 등)에 의해 농축하거나, 정제하거나 할 수 있다.
이소잔토휴몰은, 천연물이나 음식품에 포함되고, 식경험이 있는 화합물이다. 이 때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 이소잔토휴몰은, 예컨대 매일 섭취하는 것에도 문제가 적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성이 높은 성분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은, 예컨대 100℃의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식품위생법에 있어서는 청량 음료수 등의 규격 기준으로 살균 조건이 정해져 있지만, 예컨대 pH4.0 이상의 것(pH4.6 이상이며, 또한, 수분 활성이 0.94를 초과하는 것을 제외함)에 있어서는 85℃에 있어서 30분간의 가열이 필요하다. 이러한 살균 공정에서의 성분 변환을 고려한 경우, 이소잔토휴몰은 음료 적정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보이고, 열에 안정하며, 건강의 유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식품, 기능성 음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 타이밍이, 식전 또는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 예컨대 식후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여러 가지 기능성 식품, 기능성 음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소잔토휴몰은, 혈당치 상승 억제를 위해, 예컨대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으로써,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예컨대,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면, 식후 고혈당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식후 고혈당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식후 고혈당이란, 탄수화물 섭취 후의 혈당치가 높아지는 증상을 의미한다.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으로서, 예컨대, 당뇨병, 동맥경화증, 신경장애, 신증, 망막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이러한 상태 또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태 또는 질환의 예방은, 상태 또는 질환의 발증을 방지하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발증을 지연시키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발증률을 저하시키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발증의 리스크를 경감하는 것 등을 가리킨다. 상태 또는 질환의 개선은, 대상을 상태 또는 질환으로부터 회복시키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증상을 경감하는 것, 상태 또는 질환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 또는 방지하는 것 등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이소잔토휴몰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치료 용도(의료 용도) 또는 비치료 용도(비의료 용도)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그 자체가, 혈당치 상승 억제를 위한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이어도 좋고, 이들에 배합하여 사용되는 소재 또는 제제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일례로서, 제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지만, 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를 그대로 조성물로서, 또는, 상기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혈당치 상승 억제제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조성물이다. 경구용 조성물로서, 음식품, 경구용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식물 또는 경구용 의약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음식품이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이소잔토휴몰 이외에, 임의의 첨가제,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및 성분은, 조성물의 형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사료 첨가제 등에 사용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등으로 하는 경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을 포함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예컨대, 그 제조에 있어서, 홉 추출물을 배합하고, 상기 홉 추출물을 가열하는 공정을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음식품으로 하는 경우, 이소잔토휴몰에, 음식품에 사용 가능한 성분(예컨대, 식품 소재,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 등)을 배합하여, 여러 가지 음식품으로 할 수 있다. 음식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일반적인 음식품, 건강식품, 건강음료, 기능성 표시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환자용 음식품을 들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등은, 예컨대, 세립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츄어블제, 시럽제, 액제, 유동식 등의 각종 제제 형태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소잔토휴몰은 열에 안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여러 가지 음료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로서, 음료를 들 수 있다.
음료는, 논알코올 음료, 알코올 음료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논알코올 음료로서, 예컨대, 차계 음료, 커피 음료,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 탄산 음료, 기능성 음료, 과실·야채계 음료, 유성 음료, 두유 음료, 플레이버 워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음료인 경우, 차계 음료, 커피 음료, 알코올 음료,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 탄산 음료, 기능성 음료, 과실·야채계 음료, 유성 음료, 두유 음료 또는 플레이버 워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차계 음료인 경우, 홍차 음료 또는 무당차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당차 음료로서, 녹차 음료, 우롱차 음료, 보리차 음료, 현미차 음료, 율무차 음료, 무당의 홍차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커피 음료인 경우, 포장된 커피 또는 리퀴드 커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 음료로는, 맥주, 맥주계 음료, 맥주 및 맥주계 음료 이외의 알코올 음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맥주계 음료인 경우, 발포주 또는 제3 맥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맥주 및 맥주계 음료 이외의 알코올 음료인 경우, 소주, 츄하이, 리큐르, 칵테일, 스피릿츠, 위스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란, 맥주와 같은 풍미를 갖는 탄산 음료를 의미하고, 통상 비발효의 논알코올 타입의 것으로, 이것은 알코올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여기서,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는, 검출할 수 없을 정도의 극히 미량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음료를 제외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탄산 음료인 경우, 콜라 플레이버 음료, 투명 탄산 음료, 진저에일, 과즙계 탄산 음료, 유류(乳類) 함유 탄산 음료 또는 무당 탄산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기능성 음료인 경우, 스포츠 드링크, 에너지 드링크, 건강 보조 음료 또는 파우치 젤리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과실·야채계 음료인 경우, 100% 과실 음료, 과실입 음료, 저과즙입 청량 음료, 과립 함유 과실 음료 또는 과육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유성 음료인 경우, 우유, 드링크 요구르트, 유산균 음료 또는 유류 함유 청량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이 두유 음료인 경우, 두유 또는 대두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포장된 음료로 할 수 있다. 포장된 음료의 용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떤 형태 및 재질의 용기를 이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알루미늄 캔, 스틸 캔 등의 금속제 용기; 페트병 등의 수지제 용기; 종이팩 등의 종이 용기; 유리병 등의 유리제 용기; 통 등의 목제 용기 등의 통상 이용되는 용기 중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에 음료를 충전 및 밀폐함으로써, 포장된 음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의약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하는 경우, 예컨대, 이소잔토휴몰에,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배합하여, 각종 제형의 의약 또는 의약 부외품으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담체, 첨가제 등은, 의약 또는 의약 부외품에 사용 가능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좋고, 예컨대,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항산화제, 착색제 등 중 1 또는 2 이상을 들 수 있다. 의약 또는 의약 부외품의 투여(섭취) 형태로는, 경구, 경장, 경점막, 주사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충분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경구 투여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의약으로 하는 경우, 경구용 의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의 제형으로는, 액제, 정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당의정, 캡슐제, 현탁액, 유제, 츄어블제 등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의 제형으로는, 주사제, 흡입제, 수액제, 좌약, 경피 흡수제, 점비제, 점안제, 크림, 겔, 로션 등을 들 수 있다. 의약은, 비인간 동물용 의약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사료로 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이소잔토휴몰을 사료에 배합하면 좋다. 사료에는 사료 첨가제도 포함된다. 사료로서는, 예컨대, 소, 돼지, 닭, 양, 말 등에 이용하는 가축용 사료; 토끼, 래트, 마우스 등에 이용하는 소동물용 사료; 개, 고양이, 새 등에 이용하는 애완동물 사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중의 이소잔토휴몰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형태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소잔토휴몰의 함량은, 예컨대,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중에 0.0001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1 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9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이소잔토휴몰의 함량은,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중에 0.0001∼90 중량%가 바람직하고, 0.001∼9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등으로 하는 경우, 이소잔토휴몰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소잔토휴몰은, 예컨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나 LC-MS/MS에 의해 정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그 형태에 따른 적당한 방법으로 섭취 또는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얻는다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섭취(경구 투여)된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의 섭취량(투여량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유효량)이면 좋으며,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대상의 체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일 양태에 있어서, 인간(성인)을 대상으로 경구로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경우,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의 섭취량은, 이소잔토휴몰로서, 1일당 체중 60 kg에서, 바람직하게는 1∼200 m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60 mg이다. 상기 양을, 1일 1회 이상, 예컨대, 1일 1회∼수회(예컨대 2∼3회)에 나누어 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섭취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일 1회 이상, 임의의 타이밍에 섭취하면 좋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성인에게, 체중 60 kg당, 1일당 상기 양의 이소잔토휴몰을 섭취시키기 위한 경구용 조성물이어도 좋다.
이소잔토휴몰은, 계속적으로 섭취(투여)됨으로써,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계속해서 섭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2주일 이상 계속해서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주일 이상 계속해서 섭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섭취시키는 대상(투여 대상이라고 할 수도 있음)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섭취시키는 대상으로서, 혈당치 상승 억제를 필요로 하거나 희망하는 대상이 바람직하고, 식후 혈당치 상승 억제를 필요로 하거나 희망하는 대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섭취시키는 대상은, 당뇨병 환자 또는 당뇨병 예비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예컨대, 혈당치가 공복시 126 mg/dL 이상, 또는, 경구적 포도당 부하 시험(OGTT) 2시간치가 200 mg/dL 이상인 고혈당증의 인간에게, 치료 목적으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OGTT 2시간치로 140∼199 mg/dL인 인간(경계형)에게, 당뇨병의 악화 예방을 위해,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고혈당 상태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건상자(健常者)에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천연물이나 음식품에 포함되는 안전성이 높은 성분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계속적으로 섭취됨으로써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섭취하는 타이밍이 식전이나 식중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타이밍에 섭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예컨대, 상기한 당뇨병 환자, 당뇨병 예비군, 경계형 당뇨병 환자, 식후의 고혈당 상태가 신경쓰이는 인간, 건상자 등이 일상적으로 섭취함으로써,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고,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건강 식품, 기능성 표시 식품 등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에는,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에 기초한 기능의 표시가 붙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에는, 예컨대,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한다」,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완만하게 한다」, 「혈당치를 낮춘다」,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식후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및 「혈당치가 오르기 쉬운 체질을 개선한다」 중 1 또는 2 이상의 표시가 붙여져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은, 상기한 기능의 표시가 붙여진 음식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는, 상기한 기능을 얻기 위해 이용한다는 취지의 표시여도 좋다.
이소잔토휴몰을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식후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소잔토휴몰을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이소잔토휴몰은, 식후 혈당치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치료적인 방법이어도 좋고, 비치료적인 방법이어도 좋다. 「비치료적」이란, 의료 행위, 즉 인간의 수술, 치료 또는 진단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상기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및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의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용도도 포함한다.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의 용도.
상기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이다.
본 발명은,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의 용도도 포함한다.
상기한 용도는,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에게 있어서의 용도이다. 용도는, 치료적인 용도여도 좋고, 비치료적인 용도여도 좋다.
상기 용도에 있어서는,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 및 용도에 있어서,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경우, 2주일 이상 계속해서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주일 이상 계속해서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잔토휴몰을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일 1회 이상, 예컨대, 1일 1회∼수회(예컨대 2∼3회), 이소잔토휴몰을 대상에게 투여 또는 섭취시키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잔토휴몰을 경구 투여 또는 섭취시킨다.
상기 방법 및 용도에 있어서는, 혈당치 상승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유효량이라고 할 수도 있음)의 이소잔토휴몰을 대상에게 투여 또는 섭취시키면 좋다. 이소잔토휴몰의 바람직한 섭취량이나 투여 대상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소잔토휴몰은, 그대로 투여 또는 섭취시켜도 좋고, 이소잔토휴몰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투여 또는 섭취시켜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본 발명의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투여 또는 섭취시켜도 좋다.
또한, 이소잔토휴몰은, 혈당치 상승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음식품, 의약, 의약 부외품, 사료 등의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양태에 있어서,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의 용도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련의 동물실험은, 동물애호관리법 타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사내 동물실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기관의 장이 승인한 계획에 기초하여 실시하였다.
<조제예 1>
잔토휴몰 및 이소잔토휴몰의 조제
홉 추출물(아사마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 제조)로부터, 이하의 방법에 의해 이소잔토휴몰 및 잔토휴몰을 단리 정제하였다. 즉, 순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분취 HPLC 정제에 의해 홉 추출물을 원료로, 이소잔토휴몰 및 잔토휴몰을 각각 정제하고, HPLC 분석에 의해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 분석에 있어서는, 칼럼으로서 Develosil C30-UG-5(노무라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를 사용하고, 검출기의 자외선 흡수 측정 파장은 280 nm(이소잔토휴몰) 및 350 nm(잔토휴몰)로 하였다.
얻어진 이소잔토휴몰 및 잔토휴몰을, 각각 표품(모두 순도 95% 이상)으로서 이하의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이소잔토휴몰의 단회 섭취에 따른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의 평가
이소잔토휴몰 단회 섭취에 따른 글루코오스 섭취 후의 혈당치 상승에 대한 영향을, 이하의 절차에 의해 검토하였다.
(군 구성)
본 시험에 있어서의 군 구성(군명, 피험물질, 피험물질의 투여량)을 표 1에 나타낸다. 잔토휴몰 및 이소잔토휴몰은, 조제예 1에서 얻어진 표품(순도 95% 이상)을 사용하였다. 표 중의 「투여량」은, 체중 1 kg당의 피험물질의 투여량(mg)이다. 피험물질의 투여에는, 피험물질과 용매를 혼합한 투여액을 사용하였다. 용매에는, 0.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투여액량은 10 mL/kg으로 하였다. 글루코오스의 섭취에는, 50 중량% 글루코오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1
(순화 및 군 나눔)
마우스(C57BL/6 J, 웅성, 7주령, 니혼쿠레아가부시키가이샤)를 입하하여 1주일 검역 및 순화한 후, 일반 상태 관찰에 있어서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동물로부터, 6시간의 절식시 혈당치를 기준으로 동물을 선택하였다. 선택한 동물은, 순화 기간 종료시의 체중에 의한 층별 연속 무작위화법에 의해, 표 1에 나타낸 군 구성 중의 각 군(1군에 대해 n=9)에 할당하였다.
(당부하 시험)
군 나눔 후, 각 군에 표 1에서 표기한 바와 같이 피험물질을 경구 투여하고, 그 30분 후에 글루코오스를 체중 1 kg당 1 g이 되도록 경구 섭취시켜, 경시적으로 미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혈 후 신속하게 글루테스트 Neo 센서(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겐큐쇼 제조)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통계 해석)
통계 처리는 Microsoft Office Excel 2003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유의차 검정은, Control군과 각 군 사이에서 Dunnett 다중 비교 검정을 행하고, 유의 수준은 5%로 하였다.
(결과)
도 1에, 각 군의, 글루코오스 섭취 후의 혈당치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의 그래프는, 글루코오스 섭취 후(글루코오스 섭취시: 0분)의 각 시각에서의 각 군의 혈당치의 평균치±표준오차(n=9)로 나타내었다. 도 1 중의 XN은 잔토휴몰, IXN은 이소잔토휴몰이다. 도 1 중, ○는 Control군, □는 잔토휴몰 30 mg/kg군, ■는 잔토휴몰 60 mg/kg군, △는 이소잔토휴몰 30 mg/kg군, ▲는 이소잔토휴몰 60 mg/kg군이다.
Control군과 비교하여, 어느 시각에서도 잔토휴몰 단회 섭취 또는 이소잔토휴몰 단회 섭취에 따른 유의한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
이소잔토휴몰의 계속 섭취에 따른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의 평가
이소잔토휴몰 계속 섭취에 따른 글루코오스 섭취 후의 혈당치 상승에 대한 영향을, 고지방식 섭취 모델 마우스를 이용하여 이하의 절차에 의해 검토하였다.
(군 구성)
본 시험에 있어서의 군 구성(군명, 기초 사료, 피험물질, 피험물질의 투여량)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 보통식은 「컨트롤 사료」(D12450J)를, 60 kcal% 고지방식은 「초고지방 사료」(D12492)(이상, Research Diets사 제조)를 사용하였다. 잔토휴몰 및 이소잔토휴몰은, 조제예 1에서 얻어진 표품(순도 95% 이상)을 사용하였다. 표 중의 「투여량」은, 체중 1 kg당 1일당의 피험물질의 투여량(mg)이다. 피험물질의 투여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로, 피험물질과 용매(0.5 중량% CMC 수용액)를 혼합한 투여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투여액량은 10 mL/kg으로 하고, 피험물질 투여일에 있어서의 최신 체중을 기준으로 투여량 및 액량을 산출하였다. 글루코오스의 섭취에는, 50 중량% 글루코오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2
(순화 및 군 나눔)
마우스(C57BL/6J, 웅성, 7주령, 니혼쿠레아가부시키가이샤)를 입하하여 1주일 검역 및 순화한 후, 일반 상태 관찰에 있어서 이상이 확인되지 않은 동물로부터, 체중 추이를 기준으로 동물을 선택하였다. 선택한 동물은, 순화 기간 종료시의 체중에 의한 층별 연속 무작위화법에 의해, 표 2에 나타낸 군 구성 중의 각 군(1군에 대해 n=8)에 할당하여, 소정의 기초 사료 및 물은 자유 섭취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육을 행하였다. 피험물질은 3주일, 1일 1회 경구 투여를 행하였다.
(당부하 시험)
피험물질 투여 최종일에 6시간 절식한 후, 글루코오스를 체중 1 kg당 1 g이 되도록 경구 섭취시켜, 경시적으로 미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혈 후 신속하게 글루테스트 Neo 센서(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겐큐쇼 제조)를 이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통계 해석)
통계 처리는 Microsoft Office Excel 2003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유의차 검정은, 보통식군과 고지방식군 사이를 Student의 t검정으로 행하고(유의 수준 1%(p<0.01)), 고지방식군과, 보통식을 제외한 각 군과의 사이에서 Dunnett 다중 비교 검정을 행하였다(유의 수준 5%(p<0.05)).
(결과)
도 2에, 각 군의, 글루코오스 섭취 후의 혈당치의 변동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다(#: p<0.05 vs. 고지방식군). 도 2의 그래프는 글루코오스 섭취 후(글루코오스 섭취시: 0분)의 각 시각에서의 각 군의 혈당치의 평균치±표준오차(n=8)로 나타내었다. 도 2 중, ○는 보통식군, ●는 고지방식군, □는 잔토휴몰 30 mg/kg군, ■는 잔토휴몰 60 mg/kg군, △는 이소잔토휴몰 30 mg/kg군, ▲는 이소잔토휴몰 60 mg/kg군이다.
도 2에 도시하지 않지만, 고지방식군과 보통식군의 혈당치 비교에서는, 어느 시각에 있어서나 유의차가 확인되었다(p<0.01). 또한 도 3에, 각 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시간 곡선하 면적(AUC)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한다(++: p<0.01 vs. 보통식군). 도 3에 도시된 결과는, 글루코오스 섭취(0분)에서부터 120분 후까지의 혈중 글루코오스 농도의 시간 곡선하 면적(AUC)의 평균치±표준오차(n=8)이다. 도 2 및 도 3 중의 XN은 잔토휴몰, IXN은 이소잔토휴몰이다.
잔토휴몰 30 mg/kg군 및 60 mg/kg군에 있어서는, 고지방식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한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p<0.05)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이소잔토휴몰 30 mg/kg군에 있어서는, 고지방식군과 비교하여 혈당치 상승 억제 경향(p<0.10)이 확인되고, 이소잔토휴몰 60 mg/kg군에 있어서는 유의한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이소잔토휴몰은 혈당치 상승 억제 작용을 가지며, 그 작용은 잔토휴몰과 비교하여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음식품 분야, 의약 분야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12)

  1. 이소잔토휴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속해서 섭취되는 것인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후 고혈당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인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인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차계 음료, 커피 음료, 알코올 음료, 논알코올 맥주맛 음료, 탄산 음료, 기능성 음료, 과실·야채계 음료, 유성(乳性) 음료, 두유 음료 또는 플레이버 워터인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한다」, 「식후 혈당치의 상승을 완만하게 한다」, 「혈당치를 낮춘다」,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식후 혈당치가 신경쓰이는 분께」 및 「혈당치가 오르기 쉬운 체질을 개선한다」 중 1 또는 2 이상의 표시를 붙인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9. 이소잔토휴몰을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11. 혈당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이소잔토휴몰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이소잔토휴몰을 계속해서 대상에게 섭취시키거나 투여하는 것인 용도.
KR1020217007024A 2018-08-10 2019-08-05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KR20210042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1540 2018-08-10
JP2018151540 2018-08-10
PCT/JP2019/030711 WO2020031952A1 (ja) 2018-08-10 2019-08-05 血糖値上昇抑制用組成物及び血糖値上昇抑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949A true KR20210042949A (ko) 2021-04-20

Family

ID=6941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024A KR20210042949A (ko) 2018-08-10 2019-08-05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61857A1 (ko)
EP (1) EP3834629A4 (ko)
JP (1) JPWO2020031952A1 (ko)
KR (1) KR20210042949A (ko)
CN (1) CN112566516A (ko)
AU (1) AU2019317043A1 (ko)
SG (1) SG11202100264YA (ko)
TW (1) TW202017486A (ko)
WO (1) WO202003195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800A (ja) 2005-04-28 2006-11-09 Kirin Brewery Co Ltd ファルネソイドx受容体活性化剤
JP2009518429A (ja) 2005-12-09 2009-05-07 メタプロテオミクス,エルエルシー 代謝症候群および糖尿病の治療のための抗炎症植物産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064A (ja) * 2000-03-13 2001-09-18 Matsutani Chem Ind Ltd 食物繊維を含有するビール又は発泡酒
JP2002345433A (ja) * 2001-05-28 2002-12-03 Takara Bio Inc 食品、飲料又は調味料の製造方法
DE10139479A1 (de) * 2001-08-10 2003-02-27 Schwabe Willmar Gmbh & Co Hopfenextrak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WO2004089359A1 (ja) * 2003-04-08 2006-07-06 麒麟麦酒株式会社 骨密度減少の抑制または予防用組成物および飲食品
JP2006028143A (ja) * 2004-07-21 2006-02-02 Shiseido Co Ltd Mitf遺伝子発現促進物質
US20070218155A1 (en) * 2004-08-20 2007-09-20 Kuhrts Eric 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dyslipidaemia
AU2012204133B2 (en) * 2005-08-09 2013-09-19 Metaproteomics, Llc Protein kinase modulation by hops and acacia products
DE102006062264A1 (de) * 2006-12-22 2008-06-26 Joh. Barth & Sohn Gmbh & Co. Kg Verwendung von Xanthohumol zur Vorbeugung und/oder Bekämpfung von Lebererkrankungen
RS61153B1 (sr) * 2011-01-07 2020-12-31 Anji Pharma Us Llc Ligand hemosenzornog receptora-osnovne terapije
CN104173451B (zh) * 2014-09-12 2016-08-17 长春工业大学 一种天然药物组合物在降血糖药品及保健食品中的应用
WO2016189631A1 (ja) * 2015-05-25 2016-12-01 花王株式会社 ビアテイスト飲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6800A (ja) 2005-04-28 2006-11-09 Kirin Brewery Co Ltd ファルネソイドx受容体活性化剤
JP2009518429A (ja) 2005-12-09 2009-05-07 メタプロテオミクス,エルエルシー 代謝症候群および糖尿病の治療のための抗炎症植物産物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Lancet 1999 354; 617-621
[비특허문헌 2] Arch Biochem Biophys. 2016 1; 599: 22-30.
[비특허문헌 3] J Nutr Biochem. 2017 45; 39-47.
[비특허문헌 4] Free Radical BioM ed. 2015 89; 486-4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7486A (zh) 2020-05-16
CN112566516A (zh) 2021-03-26
JPWO2020031952A1 (ja) 2021-08-26
SG11202100264YA (en) 2021-02-25
US20210161857A1 (en) 2021-06-03
AU2019317043A1 (en) 2021-02-04
EP3834629A1 (en) 2021-06-16
WO2020031952A1 (ja) 2020-02-13
EP3834629A4 (en)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1903A1 (en) Carbohydrate Aborption Inhib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21308B2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組成物
US1048583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ed for increasing endurance performance, and use of the same
KR20120097516A (ko) 고지혈증 개선제 및 빈혈 개선 조성물, 요산치 저하 조성물 및 음식품
WO2007010976A1 (ja) D-プシコースを含有する体重増加抑制性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5564330B2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8117041A1 (ja) イソキサントフモールを含む脂質代謝促進用組成物
JP7307073B2 (ja) 尿酸排出促進用組成物、urat1阻害用組成物及び血中尿酸値低下用組成物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7348187B2 (ja) 腸内環境改善用組成物及び腸内細菌叢改善方法
KR20150015305A (ko)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10042949A (ko) 혈당치 상승 억제용 조성물 및 혈당치 상승 억제 방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7352570B2 (ja) 血流改善用組成物及び血管内皮機能改善用組成物
WO2021131568A1 (ja) 身体活動量低下の抑制又は改善用組成物
JP2015083548A (ja) 血中glp−1濃度上昇促進剤
KR101468467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KR20190136333A (ko)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1372A (ko)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30036631A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80079023A (ko) 치아씨드 및 선인장열매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090653A (ko) 관목통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6328A (ko)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206567A (ja) カテコールアミン調節剤、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食品添加物及び医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