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333A -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333A
KR20190136333A KR1020180061914A KR20180061914A KR20190136333A KR 20190136333 A KR20190136333 A KR 20190136333A KR 1020180061914 A KR1020180061914 A KR 1020180061914A KR 20180061914 A KR20180061914 A KR 20180061914A KR 20190136333 A KR20190136333 A KR 2019013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pation
extract
composition
perill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동인
Original Assignee
육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동인 filed Critical 육동인
Priority to KR102018006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6333A/ko
Publication of KR2019013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Abstract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 포함하는 장기능 및/또는 변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업 부산물인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장 기능 및 변비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및/또는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Defatted Perilla Extract for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 포함하는 장기능 및/또는 변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변비는 대장의 연동운동 저하로 원활한 배변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1주일에 2회 이상을 배출하지 못하면서 배변 시 굳은 변을 보며 통증이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하는데, 그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하복부의 불쾌감, 팽만감, 구역질,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된다. 이러한 변비증상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3~4배 정도 높을 뿐만 아니라 변비를 동반한 대사성 질환 등의 질병을 호소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변비 유병률은 16.5%로 여성 및 노인층에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인스턴트 식품 및 고칼로리 식품의 섭취 증가와 야채류 및 섬유질의 섭취 감소와 같은 영양 과잉 또는 영양 불균형에 따른 식습관 문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비개선 기능성 소재로는 식이섬유와 저항전분이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이 입증되어지고 있다.
들깨는 전통적인 약용작물(medicinal herb) 중의 하나로 수세기 동안 우울증, 종양, 기침, 항균, 항곰팡이, 알러지 등 다양한 질병을 다스리는데 사용되어 왔음. 들깨의 정유성분(essential oil)은 항곰팡이 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들깨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은 tormentic acid (TA), oleanolic acid (OA) 그리고 ursolic acid (UA)로 알려져 있음. 이 중 TA는 항염증 효과와 DNA polymerase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OA와 UA 또한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OA는 간 보호 효과와 항종양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균주에서 aflatoxin B1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성이 억제되어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지며, 생체 내에서 종양세포를 사멸할 수 있는 대식세포나 NK세포의 활성을 크게 항진시켜 면역활성 증강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암 예방 지표효소인 quinone reductase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발암물질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혈소판에 의한 thromoboxane A2 생산이 감소하고 간과 혈청 인지질의 EPA 비율이 증가하며, arachidonic acid의 함량을 감소시켜 체내 지질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효능을 나타내고 혈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장기능 및 변비 개선과 관련된 들깨박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13016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장 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량의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장 기능 또는 변비개선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들깨박 알코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랫트(rat) 기준으로 1일 kg 체중 당 100mg 내지 200mg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변비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장기능 및 변비 예방 및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기능 및/또는 변비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들깨박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0.001ug 내지 5g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들깨박 추출물은 변비개선 및 장기능 개선의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들깨박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8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mg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0.3mg 내지 5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들깨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mg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mg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류, 광물(전해질), 식이성분,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쿠르트 등의 유산균 제제 음료 또는 페이스트 등의 혼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보조첨가제로 비타민류, 올리고당, 식이성분을 조성물의 0.01 내지 30 중량비 %을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 부산물인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장 기능 및 변비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및/또는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도 1은 들깨박 및 복합추출물의 소화관 이동률을 나타낸 그림,
도 2는 들깨박 및 복합추출물의 변비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림.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들깨박 추출물의 제조
들깨박은 충북 음성 코메가에서 제공받아 100 g을 1 L의 에탄올로 72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소화관 이동능 실험에 평균 체중 20 g의 Balb/c 마우스 (Central Lab. Animal Inc., Seoul, Korea)를 사용하였고, 변비개선 효과 실험에는 평균 체중 150 g의 Sprague Dawley 랫트(Central Lab. Animal Inc.)를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대조군, 제품군, 실험군으로 5 마리씩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200 g/1일/1케이지(n=5)의 사료를 공급한 후 잔여 사료량 및 체중을 실험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200 g/1일/1케이지(n=4)의 사료를 공급한 후 잔여 사료량 및 체중을 실험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였고, 사료 섭취량의 경우 1케이지당 잔여 사료량을 해당 마리수로 나누어 나타냈다. 실험기간 동안의 사료 섭취량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체중의 경우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표 1).
Day Con Loperamide 들깨박
100 mg/kg
들깨박
200 mg/kg
Food intake (g) 0 26.27 28.95 28.15±1.64 27.10±0.55
14 10.61 21.98 23.11±0.31 23.65±1.64
Body weight (g) 0 323.58±9.52 328.35±12.15 311.36±22.52 310.89±9.54
14 343.00±14.06 348.95±8.03 328.44±25.24 301.42±14.33
표 1은 사료섭취량 및 체중 변화를 나타낸 표.
실시예 3: 소화관 이동률
소화관 이동률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 20 g의 Balb/c 마우스(Central Lab. Animal Inc.)로 대조군, Loperamide 처리군, 들깨박 추출물 100 mg/kg/day, 들깨박 추출물 200 mg/kg/day 군으로 나누어 5일 동안 투여한 후 6일째 절식을 실시하였고 절식 중에도 들깨박 추출물은 실험종료 전까지 지속적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실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고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7일째 마지막으로 경구투여하고 60분 후 활성탄과 아라비아검을 각 5%, 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활성탄 식이 0.2 mL를 경구투여한 후 30분 뒤 위장관을 적출하였다. 소화관 이동률은 활성탄 식이의 전체 장관거리 중 이동거리로 산출하였다.
T(%)=B/A×100
T: 투여한 활성탄의 소화관 이동률
A: 소화관 전체 길이
B: 활성탄의 최선단부까지 이동거리
소화관 이동률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대조군의 소화관 이동률이 52%에 비해 loperamide를 처리하였을 경우, 38%로 감소되었다. 여기에 들깨박 추출물 100 mg/kg/day, 들깨박 추출물 200 mg/kg/day을 경구투여하였을 경우, 59%, 67%로 복합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소화관 이동률이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
실시예 4: 변비개선 효과
변비개선 효과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평균 체중 250 g의 Sprague Dawley 랫트(Central Lab. Animal Inc.)로 대조군, Loperamide 처리군, 들깨박 추출물 100 mg/kg/day, 들깨박 추출물 200 mg/kg/day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변비 유발은 9일 동안 들깨박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실험종료 5일전 loperamid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5 mg/kg을 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1일 2회 (오전 9시, 오후 6시) 피하로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하였고, 정상대조군은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하였다. 변비를 유발하는 대조군에는 식수만을 공급하였으며 실험군은 100 mg/kg, 200 mg/kg 농도로 실험종료 시까지 공급하였다. 변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채취하여 변의 중량 및 개수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변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operamide 투여 5일 후 실험동물의 대장을 적출하여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도 2). 변비를 유발시킨 loperamide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장 내의 변이 잔류하면서 배변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 내 변의 개수가 증가하였으나 들깨박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을 경우, 대장내 변의 개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Claims (5)

  1. 유효량의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장 기능 또는 변비개선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랫트(rat) 기준으로 1일 kg 체중 당 100mg 내지 200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변비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80061914A 2018-05-30 2018-05-30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6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14A KR20190136333A (ko) 2018-05-30 2018-05-30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14A KR20190136333A (ko) 2018-05-30 2018-05-30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33A true KR20190136333A (ko) 2019-12-10

Family

ID=6900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914A KR20190136333A (ko) 2018-05-30 2018-05-30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6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43524A1 (en) A novel strain of lactobacillus reuteri lm1071 separated from breast milk,and composition for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comprising the strain or its culture fluid
EP1618875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lowering and refreshment therefor
KR100749229B1 (ko) 당 및 당알콜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조성물
KR100707707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예방 및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949272B2 (ja) エリンギ、五加皮及び三七根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20110051543A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20539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phragmitis rhizom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a disorder caused by side effect of anticancer agent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6333A (ko) 들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기능 및 변비 개선용 조성물
KR20200130030A (ko) 당뇨병 환자와 잠재환자의 혈당조절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15981B1 (ko) 혈당치 상승 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110204A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140147967A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7457B1 (ko) 살리드로사이드 및 베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541649B1 (ko) 엉겅퀴, 우슬, 칡, 아로니아, 석류, 하수오 및 생강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