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967A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967A
KR20140147967A KR1020130070930A KR20130070930A KR20140147967A KR 20140147967 A KR20140147967 A KR 20140147967A KR 1020130070930 A KR1020130070930 A KR 1020130070930A KR 20130070930 A KR20130070930 A KR 20130070930A KR 20140147967 A KR20140147967 A KR 2014014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rganic acid
acid
fermented produ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507B1 (ko
Inventor
조민경
금상일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5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을 억제하고, 간 해독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등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염증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Oenanthe Javanica organic acid extract for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으로,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HETE(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을 유발한다.
대식세포는 일산화질소(NO),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염증에 반응하고, 염증 및 면역반응 모두에서 중요한 조절세포로 작용하는데, 이렇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며 내독소로 잘 알려진 LPS (lipopolysaccharide)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가장 잘 알려진 외부인자로서, 특히 RAW 264.7 세포와 같은 대식세포나 단핵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IL-6(interleukin-6), IL-1β(interleukin-1 beta)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부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가 대식세포를 자극하게 되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라는 효소에 의해 L-알기닌이 L-시트룰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산화질소(NO)가 생성됨으로써 대식세포로부터 NO가 생성된다. 포유동물에서 NO는 세 가지 종류의 NO 합성효소(NOS, nitric oxide synthase), 즉 nNOS(neuronal NOS), eNOS(endothelial NOS) 및 iNOS(inducible NOS)에 의해 합성된다. 이 중에서 nNOS와 e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정상적인 생체기능을 위해 생성되며, 조직 내에서의 농도는 일정수준으로 낮게 유지된다. 그러나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과도하게 생성되어 병리적인 혈관확장, 세포독성, 조직 손상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염증제로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위장관계의 소화성 궤양출혈로 인한 이차적 빈혈 초래, 혈소판 기능 억제, 분만 유도 억제, 신장에 대한 부작용, 간장 손상, 과민 반응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 약물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미나리(Oenanthe Javanica)는 들이나 습지, 물가 근처의 습한 곳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달면서도 맵고 서늘한 성미를 가지고 있으며, 한약명으로는 '수근' 또는 '수영'이라 부른다. 미나리는 예로부터 혈압을 낮추어 주는 혈압강하작용이 있고, 장의 활동을 좋게 하여 변비, 치질, 대장 및 소장 질환을 완화시켜 주며, 간의 활동에 도움을 주어 피로회복에 효능이 있고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체내 열을 내려주고 독을 제거해주는 해열 및 해독작용이 있고, 지사작용이 있으며, 중금속을 해독해주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나리의 주요 기능 때문에 미나리를 삶아서 먹거나 또는 날로 먹으면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미나리는 주로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환되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및 B2 등의 엽산, 및 비타민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혈액의 산성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단백질, 철분, 칼슘, 칼륨, 인, 당질 등 무기질과 섬유질이 풍부하여 혈액을 정화시키는 한편, 갈증을 없애고 열을 잘 내려준다. 특히, 다량의 칼륨을 포함하고 있어서 인체의 나트륨의 배설에 도움을 줄 수 있어서 고혈압 환자에게는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엽산은 임산부의 조산 및 기형아 출산 예방에 필수적인 것이므로 미나리는 임산부에도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나리의 다양한 약리 효과에 대하여 보고되어 있지만,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의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고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이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을 억제하고, 간 해독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등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을 억제하고, 간 해독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등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이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 내에서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이 간 해독화 효소인 GSTA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내의 활성 성분을 HPLC를 통해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미나리를 준비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뿌리 부분을 제거하고 세절한다. 그 다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8 중량부의 유기산을 정제수에 혼합하여 유기산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유기산은 젖산, 구연산, 초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절된 미나리를 유기산 용액에 침지시키고 20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약 2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교반과 추출이 완료된 미나리의 유기산 용액을 여과한 다음, 여과액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36 내지 56 중량부의 당분을 첨가하여 미나리 유기산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당분은 설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LB 배지에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20 mg/ml의 농도로 첨가한 뒤, 미생물을 접종한 후 발효시킨다.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효모(Yeast), 젖산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Bifidobaccterium)를 포함하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효를 위한 배양 기간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이용할 경우 약 37℃에서 약 10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을 억제하고, 간 해독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등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항염증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과 함께 항염증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개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1~10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 본 발명의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의 제조
먼저, 미나리를 준비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뿌리 부분을 제거하고 세절기를 이용하여 0.5 내지 1㎝ 크기로 세절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8 중량부의 유기산(구연산)을 정제수에 혼합하여 유기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세절된 미나리를 유기산 용액에 침지시키고 2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때, 소량의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회전 진탕기 (swing shaker)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용량의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추출 탱크에 별도의 스쿠루 장치를 달아 추출용액의 흐름을 만들어 준다. 교반과 추출이 완료된 미나리 유기산 용액을 0.06 ㎜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액에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36 내지 56 중량부의 당분(설탕)을 첨가하여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얻었다. 그 후 LB 배지에 상기 과정을 통해 수득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20 mg/ml의 농도로 첨가한 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를 1%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에서 10일간 배양하여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FOJ)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 (OJ)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의 일산화질소(NO) 억제 효과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90~100%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24시간 후에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OJ) 또는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FOJ)을 1 ㎎/㎖의 농도로 전처리하였다. 그 다음, 염증 유발물질인 LPS를 2 ㎍/㎖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걷어 세포에서 방출된 일산화질소(NO)를 Griess reaction 법을 이용하여 ELISA 리더로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만 처리한 군에서는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 비해 LPS에 의해 유도되는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의 간해독화 효소 발현 증가 효과
간세포인 H4IIE 세포를 100 mm 디쉬에 접종하고 90~100%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혈청이 없는 배지로 교체하였다. 24시간 후에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 (OJ) 또는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FOJ)을 0.1 ㎎/㎖의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간해독화효소인 GST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 및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GSTA2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GSTA2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HPLC 분석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확인된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이 가지는 항염증 효능의 원인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HPLC를 수행하였다.
표준 용액으로 미나리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알려진 람네틴과 이소람네틴을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0.2 mm 필터로 여과하고 그 중 5 ㅅ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동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1:1 (부피비)로 섞은 용액에 1% 아세트산을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1ml/min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에서는 람네틴과 이소람네틴의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에서는 람네틴 주위에 신규 피크가 생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발효를 통해 항염증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생변환이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의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200㎎
유당 10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2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200㎎
만니톨 100㎎
Na2HPO4·12H2O 2㎎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 조성물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고형분 2.5%, 97.16%), 대추 엑기스(65 brix, 2.67%), 과체복합 추출물(고형분 70%, 0.12%), 비타민 C(0.02%), 판톤텐산칼슘 (0.02%), 감초 추출물(고형분 65%, 0.01%)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 야채쥬스의 제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은 미나리를 젖산, 구연산, 초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 당분을 첨가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효모(Yeast), 젖산균(Lactobacillus) 및 비피더스균(Bifidobaccter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4.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은 미나리를 젖산, 구연산, 초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및 알파케토글루타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산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 당분을 첨가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은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효모(Yeast), 젖산균(Lactobacillus) 및 비피더스균(Bifidobaccter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KR1020130070930A 2013-06-20 2013-06-20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30A KR101695507B1 (ko) 2013-06-20 2013-06-20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30A KR101695507B1 (ko) 2013-06-20 2013-06-20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967A true KR20140147967A (ko) 2014-12-31
KR101695507B1 KR101695507B1 (ko) 2017-01-11

Family

ID=5267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930A KR101695507B1 (ko) 2013-06-20 2013-06-20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533B1 (ko) * 2022-09-23 2023-02-15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항염증성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리바이탈라이징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250B1 (ko) 2019-12-30 2022-03-10 원태연 미나리 막걸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842A (ko) * 2009-06-24 2010-12-31 농업회사법인 새얼바이오푸드주식회사 미나리액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10019566A (ko) * 2009-08-20 2011-02-28 농업회사법인 새얼바이오푸드주식회사 유산균과 효모의 복발효법을 이용한 미나리음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842A (ko) * 2009-06-24 2010-12-31 농업회사법인 새얼바이오푸드주식회사 미나리액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10019566A (ko) * 2009-08-20 2011-02-28 농업회사법인 새얼바이오푸드주식회사 유산균과 효모의 복발효법을 이용한 미나리음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J.M. 외 7명.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 15, No. 2, 2006년 4월, pp. 303-3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533B1 (ko) * 2022-09-23 2023-02-15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항염증성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리바이탈라이징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507B1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5469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또는 통증 완화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678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20200117174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5507B1 (ko) 미나리의 유기산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70050523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10051545A (ko) 오디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25825B1 (ko) 미나리 유기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51003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51011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20160091045A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134774A (ko) 황기, 오미자 및 길경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54852A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28563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증숙 비트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20049488A (ko) 야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178967B1 (ko) 갈화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