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467B1 -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467B1
KR101468467B1 KR1020120032467A KR20120032467A KR101468467B1 KR 101468467 B1 KR101468467 B1 KR 101468467B1 KR 1020120032467 A KR1020120032467 A KR 1020120032467A KR 20120032467 A KR20120032467 A KR 20120032467A KR 101468467 B1 KR101468467 B1 KR 10146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ress
present
hovenia dulcis
corti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465A (ko
Inventor
나천수
윤순영
김진범
노현정
엄나나
Original Assignee
(주)생명의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명의나무 filed Critical (주)생명의나무
Priority to KR102012003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46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 또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코티졸 과다분비를 억제하며, 스트레스를 저하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ovenia dulcis for decreasing stress}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또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체적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건강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스트레스라는 용어를 의학에 처음으로 적용한 캐나다의 내분비학자 세리에는 스트레스를 "신체에 가해진 어떤 외부자극에 대하여 신체가 수행하는 일반적이고 특징적인 반응" 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세리에는 어떠한 종류의 스트레스 요인이라도 그에 따른 신체 반응은 매우 유사하다는 점과,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보고하였다.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크게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적 요인으로는 소음, 강력한 빛, 열, 한정된 공간과 같은 물리적 환경, 무례함, 명령, 타인과의 충돌과 같은 사회적 관계, 조직사회, 지인의 죽음, 실직 등과 같은 개인적 사건 등을 들 수 있다. 내적 요인으로는 카페인 섭취, 흡연, 수면부족, 과도한 스케쥴 등의 생활습관, 비관적인 생각, 비현실적인 기대, 완벽주의 등과 같은 개인특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이 너무 과도하거나 오래 지속되는 경우 또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할 힘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 각종 정신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스트레스로 인해 흔히 생길 수 있는 정신질환은 적응장애, 불안장애, 기분장애, 식이장애, 성기능장애, 수면장애, 신체형장애, 알코올 및 물질사용장애 등이 속한다.
또한, 스트레스는 신체질환의 발생 원인이나 악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스트레스에 취약한 우리 몸의 기관인 근골격계, 위장관계, 심혈관계 등이 특히 스트레스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은 자극 호르몬인 아드레날린이나 다른 호르몬이 혈중 내로 분비되어 우리 몸을 보호하려고 하는 반응으로, 위험에 대처해 싸우거나 그 상황을 피할 수 있는 힘과 에너지를 제공한다.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신체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근육, 뇌, 심장에 더 많은 혈액을 보낼 수 있도록 맥박과 혈압의 증가가 나타난다.
- 더 많은 산소를 얻기 위해 호흡이 빨라진다.
- 행동을 할 준비 때문에 근육이 긴장한다.
- 상황 판단과 빠른 행동을 위해 정신이 더 명료해지고 감각기관이 더 예민해진다.
- 위험에 대비한 중요한 장기인 뇌,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증가한다.
- 위험한 시기에 혈액이 가장 적게 요구되는 곳인 피부, 소화기관, 신장, 간으로 가는 혈류는 감소한다.
- 추가 에너지를 위해서 혈액 중에 있는 당, 지방,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한다.
- 외상을 입었을 때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혈소판이나 혈액응고인자가 증가한다.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 반응의 핵심은 스트레스가 각종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와 촉진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호르몬 중 코티졸(cortisol)은 스트레스를 인지한 뇌에서 분비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에 의하여 자극받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상기 코티졸은 신체가 각종 스트레스를 받을 때 정상적인 생리적인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약, 코티졸이 없다면 인체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할 것이다.
다만, 만성 스트레스에 의하여 코티졸이 과다 분비되는 경우 면역 기능을 억제하고 조직 재건을 위해 필요한 단백질의 생성을 늦추며, 신경세포의 손실을 가져오고, 뇌 손상, 뼈 손실(골다공증), 근육 위축, 복부지방의 축적, 정신병, 조기 노화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만성 스테레스에 의한 장기간 코티졸의 과다분비는 고혈압과 저혈당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의 건강을 위하여 스트레스를 해소 또는 저하시키고 코티졸의 과다분비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한편, 천연물로부터 인간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신물질을 찾고자 하는 시도는 과거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그간 이들 자원을 이용한 의약품의 개발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의 50% 이상이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미국의 경우 사용하는 의약품 중 30%가 식물로부터 얻어진 것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예로부터 한의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한방요법이나 민간요법 등에 의한 생약 추출물을 약제로서 사용해 왔다.
이중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 낙엽활엽교목으로 경기, 강원 이남의 표고 50-800m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 중국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그동안 간기능 보호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스트레스를 저하시키는 작용효과 또는 코티졸 과다분비를 억제하는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헛개나무 추출물의 스트레스 저하 또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 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발명하게 되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2529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1317호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9965호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78146호 [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47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코티졸 과다분비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 신경세포 손실, 뇌 손상, 근육 위축, 비만, 정신병, 노화, 고혈압, 저혈당, 당뇨 또는 (만성)피로를 예방한다.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헛개나무의 모든 부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헛개나무 과병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열수 가압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은 코티졸 분비량을 억제하며, 스트레스를 저하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헛개나무 추출물에 의한 혈중 코티졸 수준 강하효과를 확인한 도표이다.
도 2는 헛개나무 추출물에 의한 혈중 ACTH 수준 강하효과를 확인한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헛개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헛개나무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2) 세척한 헛개나무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4) 헛개나무 농축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5) 여과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헛개나무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는 한국산, 일본산 또는 중국산 헛개나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헛개나무는 헛개나무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잎, 뿌리, 목질부, 과병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헛개나무 과병(果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계 (1)의 세척은 1 ~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의 추출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수 가압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준비된 헛개나무의 3 내지 10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 가압 추출은 압력은 1.1 ~ 2 기압이 바람직하고, 1.2 ~ 1.5 기압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열수 가압 추출시 온도는 6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80 ~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에서 헛개나무 추출액을 고형분 40%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5)의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를 통하여 면역기능 저하, 신경세포 손실, 뇌 손상, 근육 위축, 비만, 정신병, 조기 노화, 위장질환, 고혈압, 저혈당, 당뇨 또는 (만성)피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드,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스트레스 저하 또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코티졸 과다분비 억제를 통하여 면역기능 저하, 신경세포 손실, 뇌 손상, 근육 위축, 비만, 정신병, 조기 노화, 위장질환, 고혈압, 저혈당, 당뇨 또는 (만성)피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식품의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음료, 껌,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등의 건강기능성 식품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로는 복용하기 편한 건강기능성 음료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릴톨 등의 당알콜이다. 또한,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
헛개나무 과병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탱크에 넣고 2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헛개나무 과병 약 450 kg을 추출기에 넣고 정수를 약 1500 kg 정도 첨가하여 1.2기압에서 95 ℃ 이상 4시간 이상 가열, 가압 추출하였다. 1차 추출한 헛개나무 과병 추출액를 추출기에 넣고 정수를 약 1500Kg 정도 첨가하여 1.2기압에서 95 ℃ 이상 4시간 이상 가열, 가압하여 2차 추출하였다. 상기 2차 추출한 헛개나무 과병 추출액을 감압 700 mmHg, 온도 60 ℃에서 고형분 40 %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였다. 수득한 헛개나무 과병 추출 농축액을 50 마이크로 필터로 통과시켜 여과하였다. 여과된 액을 배합탱크에 옮겨 헛개나무 과병 추출 농축액(고형분 40%)과 덱스트린 10:6비율로 계량하여 투입한 후 50 ℃로 30분 이상 교반, 혼합하였다. 배합탱크에서 90 ℃에서 30분간 가열 살균 후 40 ℃ ~ 50 ℃로 냉각시켰다. 상기 냉각된 혼합액을 Spray dryer로 분무 건조하였다(Inlet temp : 180℃, Outlet temp : 90℃).
< 실험예 > 헛개나무 추출물의 스트레스 저하 효과 확인
시험물질의 조제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헛개나무 추출물을 전자저울 (CP323S, LA230S, Sartorius, Germany)로 칭량하여 조제병에 넣었다. 주사용수를 각각의 조제병에 일부 가하여 현탁 시킨 후, 다시 주사용수를 첨가하여 규정농도 (10mg/mL)로 조제하였다.
사용동물
수컷 ICR 마우스 30마리(5주령)를 Central Lab. Animal Inc., Korea 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마우스들을 검역실로 반입하여 3일간 순화시키고, 동물실로 옮겨 4일간 순화를 실시하였다. 반입시 동물의 외관 검사를 실시한 후, 전자저울 (CP622, Sartorius, Germany)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상기 7일간의 순화기간 중에 매일 1회 일반증상을 관찰하였다.
순화기간 종료일에는 체중을 측정한 후,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를 확인하여 동물의 건강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동물에서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군의 분리
검역 순화기간 종료 시, 건강상태에 이상이 없는 동물 중 순화기간 종료 일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20 마리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동물은 체중을 기초로 하여 각 군의 평균체중이 균등하도록 군당 10 마리씩 투여군 및 대조군의 총 2군으로 군을 분리하였다.
투여방법 및 투여횟수, 용량
투여는 경구투여용 존데를 부착한 일회용 주사기 (1mL, Doowon meditec Co., Korea)를 이용하여 매일 1회, 100 mg/kg으로 3주간 연속적으로 투여군의 위내에 강제 투여하였다.
스트레스 환경 설정(유영운동)
유영운동을 위해 50W×40D×50H (cm)의 플라스틱 수조를 준비하고, 약 35 cm 높이까지 멸균수를 채운 후 수중히터 (Aquarium Heater 3615200, EIEIM GmbH & Co. KG., Germany)를 이용하여 25 ± 2 ℃의 수온을 유지시켰다.
시험물질 투여 1 시간째에 마우스 체중의 4 %에 해당하는 무게 추를 마우스 꼬리에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수영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3 주째에 유영운동을 모든 동물에게 1 시간 동안 강제 수영을 시켰다.
혈액 내 호르몬 분석
유영운동이 끝난 후 동물은 Isoflurane (Lot No.: ASJ9AE, Choongwae Pharma Corp., Korea)으로 마취한 후 개복하여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Kit 를 이용하여 혈액 내 코티졸 (Lot No.: 011911, Endocrine Technologies, Inc., U.S.A.)및 ACTH (Lot No.: 1415, MD Biosciences, GmbH., Germany)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2025343903-pat00001
또한, 상기 표 1의 데이터 중 대조군과 투여군의 코티졸의 혈중 농도를 도 1에, 대조군과 투여군의 ACTH의 혈중 농도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은 본 발명의 헛개나무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투여군에서 혈중 농도가 약 25% 감소하였다.
또한, 표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인 ACTH는 투여군에서의 혈중 농도가 대조군보다 약 13% 감소하였다.
이로써, 헛개나무 추출물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의 수준을 유의미하게 저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스트레스로 인한 코티졸의 과다분비시 헛개나무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코티졸의 수준을 유효하게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약학적 제제의 제조예>
1.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실시예의 헛개나무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실시예의 헛개나무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의 헛개나무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젤라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4.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의 헛개나무 추출물 100 mg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한다.
<건강음료의 제조예>
1. 제조예 1
멸균하여 준비한 1000ml 정제수에 실시예에서 제조한 헛개나무 추출물 3.6 g을 첨가한다. 여기에 구연산 1000mg과 매실농축액 2g, 올리고당 100g, 타우린 1g을 첨가하여 약 60분간 85℃에서 교반하여 가열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2. 제조예 2
헛개나무 추출물 0.4g을 사이다와 같은 소프트 음료 시럽 100ml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3. 제조예 3
헛개나무 추출물 0.25g을 각종 스포트 드링크 100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4. 제조예 4
헛개나무 추출물 0.15g을 각종 과일, 야채류, 해조류, 콩, 천연약제 등의 즙 또는 그 추출 농축액(사과즙, 토마토즙, 다시마즙, 또는 인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 100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5. 제조예 5
헛개나무 추출물 0.5g을 피로해소제 음료 100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6. 제조예 6
헛개나무 추출물 0.5g을 알코올성 음료 100ml에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Claims (10)

  1. 헛개나무 과병(果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 신경세포 손실, 뇌 손상, 근육 위축, 비만, 정신병, 노화, 고혈압, 저혈당, 당뇨 또는 만성피로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과병(果柄)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과병(果柄) 추출물은 열수 가압 추출물인 약학적 조성물.
  7. 헛개나무 과병(果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티졸 과다분비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 신경세포 손실, 뇌 손상, 근육 위축, 비만, 정신병, 노화, 고혈압, 저혈당, 당뇨 또는 만성피로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성 식품인 식품 조성물.
KR1020120032467A 2012-03-29 2012-03-29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KR10146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67A KR101468467B1 (ko) 2012-03-29 2012-03-29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467A KR101468467B1 (ko) 2012-03-29 2012-03-29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65A KR20130110465A (ko) 2013-10-10
KR101468467B1 true KR101468467B1 (ko) 2014-12-03

Family

ID=4963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467A KR101468467B1 (ko) 2012-03-29 2012-03-29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910A (ko) * 2004-05-03 2005-11-08 박근형 쿼서틴 3-O-α-L-람노시드, 캠페롤3-O-α-L-람노피라노시드, 캠페롤 3,7-O-α-L-디람노시드,카페인, 캠페롤3-O-α-L-람노실(1→6)-O-β-D-글루코실(1→2)-O-β-D-글루코시드, 그리고 캠페롤3-O-α-L-람노시드-7-O-[β-D-글루코실-(1→3)-α-L-람노시드] 등의 천연항산화물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기능을 갖는헛개나무 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910A (ko) * 2004-05-03 2005-11-08 박근형 쿼서틴 3-O-α-L-람노시드, 캠페롤3-O-α-L-람노피라노시드, 캠페롤 3,7-O-α-L-디람노시드,카페인, 캠페롤3-O-α-L-람노실(1→6)-O-β-D-글루코실(1→2)-O-β-D-글루코시드, 그리고 캠페롤3-O-α-L-람노시드-7-O-[β-D-글루코실-(1→3)-α-L-람노시드] 등의 천연항산화물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기능을 갖는헛개나무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l Cell Toxicol, Vol.6, pp.151-159 (2010) *
Mol Cell Toxicol, Vol.6, pp.151-159 (2010)*
Natural Product Sciences, Vol.9, No.3, pp.143-153 (2003) *
Natural Product Sciences, Vol.9, No.3, pp.143-153 (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465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93273A (zh) 可调节血压、血糖、血脂并预防血栓、中风的养生茶
WO2018145664A1 (zh) 提高耐力表现的抗疲劳组合物
CN105901452A (zh) 一种苦荞麦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830496A (zh) 一种辅助降糖的组合物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CN105412277A (zh) 一种降脂茶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CN104186657B (zh) 一种白术奶醋绿茶保健饮料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887760A (zh) 一种灵芝孢子粉酒及其制备方法
CN104997018A (zh) 一种红豆杉酵素保健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101468467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저하용 조성물
CN102657351A (zh) 一种抗衰老药膳饮料和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467125B1 (ko) 카우레노산 및 콘티넨탈산의 함량이 증대된 독활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203094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