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437A -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437A
KR20210038437A KR1020207037641A KR20207037641A KR20210038437A KR 20210038437 A KR20210038437 A KR 20210038437A KR 1020207037641 A KR1020207037641 A KR 1020207037641A KR 20207037641 A KR20207037641 A KR 20207037641A KR 20210038437 A KR20210038437 A KR 20210038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gent
protection agent
real numb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와시카
미호 무라코시
카즈키 니시모토
료스케 사가타
미쯔노리 쿠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모레스코
Publication of KR20210038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는 신규 모발 보호제 및 이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본 발명은 모발 보호제, 이 모발 보호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및 이 모발 처리제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이미용 처리의 일종인 헤어 컬러 처리('염모처리'라고도 한다) 및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단순히 '펌 처리'라고도 한다)는 모발에 대한 화학반응을 수반하기 때문에 모발에 손상을 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두 종류의 처리는 작용 공정이 다르다. 즉, 헤어 컬러 처리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모발중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는데 비해,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모발 케라틴의 디술피드 결합을 분열 및 재결합시킨다(비특허 문헌 1을 참조). 그 결과, 헤어 컬러 처리는 모발의 표면을 열화시키는 반면,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는 모발의 내부를 중심으로 열화시키는 등의 모발에 미치는 손상의 성질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처리 및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을 보수·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여러 가지 모발 보호 성분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A) N-아실아미노산 축합물, (B) 아미노기를 함유하지 않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C)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몰수가 60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D) 물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용 수중유형 에멀션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는 인간 모발로부터 분리·정제된, 겔 여과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평균 분자량 측정치가 11000인 단백질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보호 성분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5-11053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286738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일본 퍼머넌트 웨이브액 공업조합 편저 '사이언스 오브 웨이브' 신미용(SHINBIYO) 출판 주식회사, 2002년 4월 10일 발행, 13~31 페이지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발 보호 성분으로는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즉, 모발의 감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로 실리콘계 모발 보호제가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그러나, 실리콘계 모발 보호제는 모발 표면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모발의 강도를 회복시킬 수는 없다. 한편,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주로 케라틴계 모발 보호제가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를 참조). 케라틴계 모발 보호제에는 모발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단백질 특유의 끈적임이 모발 표면에 남아 모발의 감촉은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규 모발 보호제 및 이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perfluoropolyether)를 모발 보호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는 이하의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1>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모발 보호제.
<2>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F3 … (1)
[식 (1)에서,
m+s는 0~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3>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2)
[식 (2)에서,
R1은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내고,
x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는 1~6의 실수를 나타내고,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m+s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4>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
R2-OCH2-(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3)
[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내고,
x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는 1~6의 실수를 나타내고,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m+s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5>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10000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
<6>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7>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함유율이 0.005~20 질량%인, <6>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
<8> <6> 또는 <7>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를 이용한, 모발 처리 방법.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는 신규 모발 보호제 및 이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가 제공된다.
도 1의 (a)는 헤어 컬러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건강한 모발의 표면을 나타낸 SEM상이고, (b)는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첨가한 헤어 컬러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모발 샘플의 표면을 나타낸 SEM상이고, (c)는 D2N을 첨가하지 않은 헤어 컬러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모발 샘플의 표면을 나타낸 SEM상이다.
도 2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모발 샘플의 황 함유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A~B'는 'A 이상 B 이하'를 의미한다.
〔1.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구조 및 물성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란, -(CF2O)-, -(C2F4O)-, -(C3F6O)-, -(C4F8O)-, -(C5F10O)- 및 -(C6F12O)-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반복 단위를 1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상기 반복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1~50개 포함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개 포함되어 있다.
상기 반복 단위는 직쇄라도 되고, 분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직쇄이다. 예를 들면, -(C3F6O)-는 -(CF2CF2CF2O)-, -(CF(CF3)CF2O)-, -(CF2CF(CF3)O)- 등의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CF2CF2CF2O)-이다. 다른 반복 단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말단은 관능기로 수식되어 있어도 되고, 수식되지 않아도 된다. 여기에서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는다'란, 말단이 퍼플루오로 알킬기인 것을 의미한다. 말단을 수식하고 있는 관능기의 예로는, 수산기, 포스파젠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페녹시기, 티올기, 아미드기,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식 (2) 및 식 (3) 중의 R1 및 R2의 선택지도 말단을 수식하고 있는 관능기의 예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고, 탄소 원자, 불소 원자 및 산소 원자 이외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치환기의 예로는, 수산기, 포스파젠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페녹시기, 티올기, 아미드기,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 원자, 불소 원자 및 산소 원자 이외의 원자의 예로는, 수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인 원자, 불소 원자 이외의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하기 식 (1)의 구조를 갖고 있다.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F3 … (1)
식 (1)에서, m+s는 0~5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4의 실수이다. n+o+p+q+r은 1~50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의 실수이다.
식 (1)은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예를 들면 Demnum(다이킨공업 제품), Krytox(DuPont Specialty Chemicals 제품) 및 Fomblin(Solvay 제품)을 출발 원료로 하여 준비할 수 있다(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원하는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분리하는 것에 의한다). 예를 들면, Demnum을 출발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Demnum이 주쇄이고,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D2N'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Krytox 또는 Fomblin을 주쇄로 하고,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준비할 수 있다. 이 중 후자를, 본 명세서에서는 'Fomblin X'라고 칭한다. 또한, Fomblin을 주쇄로 하고,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다른 예로는, Fomblin HC/R(닛코 케미칼즈 주식회사 제품)도 들 수 있다.
D2N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CF2CF2(CF2CF2CF2O)mCF2CF2CF3(m은 1~50의 실수이고, 1~1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Krytox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CF2CF2O-(CF(CF3)CF2O)z-CF2CF3(z는 1~50의 실수이고, 1~1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Fomblin X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CF2O(CF2CF2O)x(CF2O)yCF2CF3(x+y는 1~50의 실수이고, 1~1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Fomblin HC/R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O(CF2O)x(CF2CF(CF3)O)yCF3(x+y는 1~50의 실수이고, 1~1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하기 식 (2)의 구조를 갖고 있다.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2)
식 (2)에서, R1은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x는 1~5의 실수이다. y는 1~6의 실수이다.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아미노기이다.
여기에서, R3 중의 C6H5 및 C6H4는 벤젠환이다. R3가 C6H4O-B일 때,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기와 O-B와의 위치 관계는 오르토 자리, 메타 자리, 파라 자리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R1은 H, CH2CH(OH)CH2OH, CH2CH(OH)CH2OCH2CH(OH)CH2OH, 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H 또는 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H로부터 선택된다.
식 (2)에서, m+s는 1~5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2~4의 실수이다. n+o+p+q+r은 1~50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의 실수이다.
식 (2)는, 한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예를 들면 Demnum(다이킨공업 제품) 및 Fomblin(Solvay 제품)을 출발 원료로 하여 준비할 수 있다(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원하는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분리하는 것에 의한다). 예를 들면, Demnum을 출발 원료로 하는 경우, Demnum이 주쇄이고, 한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D2M'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Fomblin을 주쇄로 하고, 한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Fomblin Y'라고 칭한다.
D2M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CF2CF2(CF2CF2CF2O)mCF2CF2CH2OH(m은 1~50의 실수이고, 1~2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Fomblin Y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CF3CF2O(CF2CF2O)x(CF2O)yCF2CH2O-CH2CH(OH)CH2OH(x+y는 1~50의 실수이고, 10~30의 실수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하기 식 (3)의 구조를 갖고 있다.
R2-OCH2-(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3).
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x는 1~5의 실수이다. y는 1~6의 실수이다.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아미노기이다. R3 중의 C6H5 및 C6H4에 대해서는, 식 (2)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2CH(OH)CH2OH, CH2CH(OH)CH2OCH2CH(OH)CH2OH, 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H 또는 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CH2CH(OH)CH2OH로부터 선택된다.
식 (3)에서, m+s는 1~5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2~5의 실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의 실수이다. n+o+p+q+r은 1~50의 실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20의 실수이다.
식 (3)은,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고 있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예를 들면 Demnum(다이킨공업 제품)을 출발 원료로 하여 준비할 수 있다(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원하는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분리하는 것에 의한다). 이 경우, Demnum이 주쇄이고,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고 있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준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D-4OH'라고 칭한다.
D-4OH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HOCH2CH(OH)CH2OCH2CF2CF2O(CF2CF2CF2O)mCF2CF2CH2OCH2CH(OH)CH2OH(m은 1~50이고, 1~20이 바람직하다).
식 (1)~(3)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중에서는 Demnum 주쇄을 갖는 것이, 분자쇄가 평탄하기 때문에 모발에 부착되기 쉬워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즉, 전술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중에서는 D2N, D2M 및 D-4OH가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100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5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3000이다. 여기에서 수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19F-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100~10000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윤활제용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부생성물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종래는 용도가 없었던 부생성물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모발 보호제용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제조 방법]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제조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다(예를 들면, WO01/021630, WO2009/066784, WO2016/092900 등을 참조).
〔2. 모발 보호제 및 모발 처리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모발 보호제는 〔1〕절에서 설명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1 종류만 함유해도 되고, 2 종류 이상 함유해도 된다. 상기 모발 보호제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만을 함유하는 것이라도 되고, 다른 물질과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혼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다른 물질의 예로는, 무극성 물질(실리콘류, 올레핀류, 할로겐화 알칸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물질과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상 또는 90 % 이상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를 함유하고 있다. 여기에서 '모발 처리제'란, 모발에 대해 여러 가지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를 의미한다. 모발 처리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예를 들면 헤어 컬러 처리를 행하기 위한 헤어 컬러제;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를 행하기 위한 퍼머넌트제; 스타일링을 위한 스타일링제(헤어왁스, 젤, 폼 등); 모발 세정을 샴푸; 양질의 모발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린스,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등; 모발의 컨디션을 더욱 높이기 위한 헤어 오일,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에서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05~20 질량%가 바람직하고, 0.01~15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1~1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외에, 모발 처리제에 함유되는 통상의 성분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은 성분 및/또는 첨가제로는, 보습제류, 유지류, 라놀린류, 고급 알코올류, 불소 화합물류, 실리콘류, 카티온화 폴리머류, 계면활성제류(양이온 계면활성제류·음이온 계면활성제류·비이온 계면활성제류·양성 계면활성제류), 증점·겔화제류, 방부제류, 킬레이트제류, pH 조정제·산·알칼리류, 용제류, 항염증제류, 향료, 색소류,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류로는, 다가 알코올류(1,3-부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단백질·펩티드류(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콜라겐 분해 펩티드, 엘라스틴 분해 펩티드, 케라틴 분해 펩티드, 실크 단백 분해 펩티드, 대두 단백 분해 펩티드, 소맥 단백 분해 펩티드, 카제인 분해 펩티드 등) 및 그 유도체, 아미노산류(아르기닌, 세린, 글리신, 글루타민산, 트리메틸 글리신 등), 식물 추출 성분류(알로에 추출물, 하마메리스수(Witch Hazel Distillate), 수세미수, 캐모마일 엑기스, 감초 엑기스 등), 구연산염, 콘드로이틴 황산, 락트산 나트륨, 2-피롤리돈-5-카복실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유지류로는, 식물 유지류(피마자유, 야자유, 팜유, 팜핵유, 홍화유, 올리브, 아보카도유, 참깨 오일, 달맞이꽃유, 밀배아유, 마카데미아넛 오일, 헤이즐넛 오일, 로즈힙 오일, 메도우폼유, 티트리유, 박하유, 옥수수 오일, 유채씨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대두유, 낙화생유, 쌀겨유, 액상 시어버터, 호호바유 등), 탄화수소류(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셀린 등), 에스테르류(숙신산 디2-에틸헥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등), 납(왁스)류(밀랍,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쌀겨 왁스(rice bran wax), 경랍(鯨蠟), 셸락(shellac), 면랍(綿蠟), 목랍(木蠟), 수소 첨가 호호바유 등)를 들 수 있다.
라놀린류로는,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흡착 정제 라놀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류로는, 직쇄 알코올류(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 분지쇄 알코올(모노스테아릴 글리세린 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 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실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화합물류로는, 불소계 화합물류 및 그 유도체(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히드록시에틸,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틸 디스테아릴아미드, 폴리퍼플루오로에톡시메톡시 디플루오로에틸 폴리에틸렌글리콜인산 등)를 들 수 있다.
실리콘류로는, 저점도 디메틸 폴리실록산, 고점도 디메틸 폴리실록산, 환상 디메틸실록산(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디페닐 폴리실록산,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카티온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화 폴리머류로는,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카티온화 전분, 카티온화 구아검, 디알릴 4급 암모늄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4급화 폴리비닐 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류로는,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 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 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 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에틸 황산 라놀린 지방산 아미노프로필 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류로는, 지방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지방 아민황산염, 아실N-메틸타우린염, 알킬에테르인산 에스테르염, N-아실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류로는, 다가알코올 지방산 부분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폴리글리코시드, 알킬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류로는, 알킬디메틸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아미드디메틸 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2-알킬-N-카복시-N-히드록시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증점·겔화제류로는, 세토스테아릴글루코시드, 구아검, 잔탄검, 카라기난, 알긴산, 트래거캔스검(tragacanth gum), 전분 유도체,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비닐폴리머, 메도우폼(meadowfoam)유 지방산 디메티콘코폴리올,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산 디에틸황산염,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디메타크릴산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폴리비닐 알코올, 아크릴 수지 알카놀아민액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류로는, p-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류, 벤조산염류, 페녹시에탄올, 4급 암모늄염류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에데트산염, 포스폰산류, 폴리아미노산류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산·알칼리류로는, 인산, 말산, 타르타르산, 탄산, 푸말산, 구연산, 락트산, 글리콜산, 숙신산, 염산, 황산, 질산,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및 이들의 염류,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암모니아수, 아미노메틸프로판올 및 이들의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류로는, 물, 에탄올,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저급 알코올류(2-프로판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제류로는, 감초 유도체(글리시리진산, 카르베녹솔론이나트륨 등), 알란토인, 구아이아줄렌, 알로에, α-비사보롤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는,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 또는 곱슬 교정 처리에 이용하는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는, 환원제, 산화제, 알칼리제, 반응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환원제로는, 티오글리콜산 암모늄, 티오글리콜산 모노에탄올아민, L-시스테인, DL-시스테인, L-시스테인 염산염, DL-시스테인 염산염, 아세틸시스테인, 시스테아민, 시스테아민 염산염, 티오락트산, 티오말산, 글리세릴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글리세린, 부티로락톤 티올 등을 들 수 있다. 환원제는, 허용 가능한 범위내에서(일례로, 전체 환원제를 티오글리콜산으로 환산한 합계 함유율로 2 질량% 미만 상당) 모발 처리제에 함유시킬 수 있다.
산화제로는, 브롬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제로는, 암모니아수,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탄산암모늄,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다.
반응 조정제로는, 디티오디글리콜산이나 디티오디글리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성분을 이용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모발 처리제를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의 제형으로는, 크림, 젤, 에멀션, 용액, 미스트, 폼 등을 들 수 있다.
〔3. 모발 처리제의 사용〕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를 사용해 피험체의 모발을 처리하는 방법(모발 처리 방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험체'는 인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는, 비인간 포유동물의 피모를 처리할 수도 있다. 비인간 포유동물의 예로는, 우제류(소, 멧돼지, 돼지, 양, 염소 등), 기제류(말 등), 설치류(마우스, 래트, 햄스터, 다람쥐 등), 토끼목(토끼 등), 식육류(개, 고양이, 페럿 등)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비인간 포유동물에는, 가축 또는 반려 동물(애완동물) 외에도, 야생 동물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모발'이란, '피검체에 나는 털'을 의도한다. 피검체가 인간인 경우, 모발의 예로는 두발, 수염, 눈썹, 속눈썹, 콧털, 귓털, 겨드랑이털, 음모, 체모를 들 수 있다. 피검체를 인간으로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를 두발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을 처리한다'란, 헤어 컬러 처리,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 스타일링, 헤어케어 처리(샴푸, 트리트먼트 등) 등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처리제에 의하면, 모발 손상 억제(모발 표면의 손상 억제, 모발 내부의 손상 억제 등), 감촉 향상(푸석거림의 억제, 정돈감의 향상 등), 정전기 발생 억제 등의 효과를 동시에 또는 동일 시술로 얻을 수 있다.
〔4.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이점〕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가 가질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 형태가 이하에 설명하는 이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만족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손상 억제와 감촉 개선의 양립]
과제란 및 효과란에서도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는 신규 모발 보호제이다.
[모발의 외부 손상 및 내부 손상의 억제]
모발이 손상되는 주요 원인으로 헤어 컬러 처리 및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가 있다. 헤어 컬러 처리는, 과산화수소수에 의해 모발중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는 동시에 산화 염료가 과산화수소와 작용하는 것에 의해 발색한다. 따라서, 헤어 컬러 처리는 모발의 표면을 열화시킨다. 한편,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는, 환원제를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에 의해 모발의 디술피드 결합을 분열시키고, 산화제에 의해 새로운 디술피드 결합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는 주로 모발의 내부를 열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헤어 컬러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에 대해서도,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에 대해서도,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고 감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모발의 외부 손상 및 내부 손상을 경감시킨다.
[부생성물의 효과적인 이용]
특정 구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윤활유로서 산업상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윤활유용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제조 공정에서는 원하는 구조와는 다른 부생성물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부생성물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비용을 들여 처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부생성물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본 발명의 모발 보호제 및 모발 처리제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업 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어 부산물 이용의 관점에서도 본 발명은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등의 불소 함유 화합물의 제조 비용은 통상 고가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같이 부생성물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사용하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모발 보호제나 모발 처리제의 제공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윤활유용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부생성물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로는, 예를 들면 상기 식 (1)~(3)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및 수평균 분자량이 100~10000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들 수 있다. 특히, 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등)에 대해서는, 특필할만한 공업상의 용도가 없었기 때문에, 부생성물로서 이용하는 것에 수반하는 효과가 크다.
〔실시예 1〕
헤어 컬러제가 모발에 가하는 손상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모발 샘플을 제작하고, 모발 샘플의 파단 강도 및 마찰계수를 측정했다.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화학 처리를 전혀 받지 않은 헤어피스를 준비했다.
2. 제1제와 제2제를 중량비 1:2로 혼합해 헤어 컬러제를 조제했다. 제1제 및 제2제의 조성은 후술한다.
3. 2에서 조제한 헤어 컬러제를 헤어피스에 도포했다. 도포량은 헤어피스:헤어 컬러제=1:1(중량비)이 되는 양으로 했다.
4. 30℃에서 30분간 헤어피스를 가만히 두었다.
5. 헤어피스를 10 질량% SDS 수용액(도데실 황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건조시켰다.
(제1제 및 제2제의 조성)
제1제 및 제2제의 기본적인 조성은 다음과 같다.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물의 양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절했다(실시예 1-9~1-13, 비교예 1-1을 참조). 한편, 본 실시예는 헤어 컬러 처리에 수반하는 모발의 손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통상 헤어 컬러제에 함유되어 있는 모발 염색용 색소를,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제1제에는 함유시키지 않았다.
● 제1제
·세틸알코올(고급 알코올): 10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계면활성제): 4 질량%
·세토스테아릴 황산나트륨(계면활성제): 1 질량%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산화 방지제): 0.5 질량%
·아황산 나트륨(산화 방지제): 0.5 질량%
·25% 암모늄수: 10 질량%
·탄산수소나트륨: 2 질량%
·모발 보호제: 0.5 질량%
·물: 71.5 질량%
● 제2제
·세틸알코올(고급 알코올): 3 질량%
·팔미트산 이소프로필(유제): 0.3 %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계면활성제): 1 질량%
·인산(pH 조정제): 0.1 질량%
·히드록시에탄디술폰산(pH 조정제): 0.3 질량%
·인산수소이나트륨(pH 조정제): 0.1 질량%
·35% 과산화수소: 17 질량%
·물: 78.2 질량%
[파단 강도의 측정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헤어피스로부터 12개의 모발을 임의로 선발했다. 이 모발의 장경 및 단경을 모발 직경 계측 시스템(카토 테크 주식회사 제품)에 의해 측정했다. 얻어진 값으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단면적을 구했다.
단면적(mm2)=(π/4)×장경(mm)×단경(mm).
다음으로, 탁상형 재료 시험기 텐시론 STA-1150(주식회사 오리엔테크 제품)을 이용해, 모발의 인장 파단치(cN)를 측정했다. 수소결합에 의한 영향을 막기 위해, 측정은 수중에서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이하의 식에 근거해 횡단면적당 파단 강도를 산출했다.
파단 강도(cN/mm2)=인장 파단치(cN)/횡단면적(mm2).
[마찰계수의 측정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헤어피스를, 20℃, 습도 60%의 조건에서 24시간 이상 조습(調濕)했다. 모발 샘플로부터 단면적의 타원율이 극단적인 값인 것을 제외하고, 동등한 타원율의 모발 샘플을 슬라이드글라스에 첩부했다(슬라이드글라스 1매에 대해 12가닥 이상). 마찰계수의 측정에는 마찰감 테스터 KES-SE(카토 테크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했다. 측정 감도는 H, 마찰 정하중은 50 gf, 사용한 센서는 실리콘 타입이었다. 센서의 주사 방향은 모발의 뿌리쪽으로부터 모발끝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했다. 1시료당 10회, 슬라이드글라스 5매분의 평균치를 평균마찰계수(MIU)로 하고, 평균마찰계수에 0.1을 곱한 값을 마찰계수(μ)로 했다.
[실시예 1-1]
모발 보호제로서 D2N(양쪽 말단 모두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PFPE)을 이용했다. D2N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CF2CF2(CF2CF2CF2O)mCF2CF2CF3(m=4.28).
[실시예 1-2]
모발 보호제로서 D2M(한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PFPE)을 이용했다. D2M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CF2CF2(CF2CF2CF2O)mCF2CF2CH2OH(m=12).
[실시예 1-3]
모발 보호제로서 D2N 및 D2M의 혼합물을 이용했다(실시예 1-1, 1-2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혼합비는 D2N:D2M=1:1(질량비)로 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1-4]
모발 보호제로서 Krytox(양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PFPE)를 이용했다. Krytox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CF2CF2O-(CF(CF3)CF2O)z-CF2CF3(z=6.5).
[실시예 1-5]
모발 보호제로서 D-4OH(양쪽 말단 모두 관능기로 수식되어 있는 극성 PFPE)를 이용했다. D-4OH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HOCH2CH(OH)CH2OCH2CF2CF2O(CF2CF2CF2O)mCF2CF2CH2OCH2CH(OH)CH2OH(m=11).
[실시예 1-6]
모발 보호제로서 Fomblin X(양쪽 말단 모두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PFPE)를 이용했다. Fomblin X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CF2O(CF2CF2O)x(CF2O)yCF2CF3(x=4.10, y=4.18).
[실시예 1-7]
모발 보호제로서 Fomblin Y(한쪽 말단이 관능기로 수식되지 않은 PFPE)를 이용했다. Fomblin Y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CF2O(CF2CF2O)x(CF2O)yCF2CH2O-CH2CH(OH)CH2OH(x=10, y=10).
[실시예 1-8]
모발 보호제로서 Fomblin HC/R을 이용했다. Fomblin HC/R의 구조는 아래와 같고, 평균 분자량이 6,250이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CF3O(CF2O)x(CF2CF(CF3)O)yCF3(y/x=20~40).
[비교예 1-1]
모발 보호제를 첨가하지 않고, 물의 함유율을 71.5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예 1-2]
모발 보호제로서 실리콘계 원료의 KF-8015(아미노 프로필기가 부가된 디메틸 폴리실록산;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예 1-3]
모발 보호제로서 실리콘계 원료의 KF-9021(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 및 시크로펜타실록산 50%의 혼합물;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품)을 이용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예 1-4]
모발 보호제로서 단백질계 원료의 프로모이스(Promois) WK(양모 유래의 가수분해 펩티드; 주식회사 세이와카세이 제품)를 이용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예 1-5]
모발 보호제로서 단백질계 원료의 프로티큐트(Proticute)H 감마(양모 유래 가수분해 펩티드; 이치마루 파르코스(Ichimaru Pharcos)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1-9]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0.01 질량%, 물의 함유율을 71.99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10]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0.1 질량%, 물의 함유율을 71.9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11]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1.0 질량%, 물의 함유율을 71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12]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5.0 질량%, 물의 함유율을 67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13]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10.0 질량%, 물의 함유율을 62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결과)
표 1에 의하면,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모발 보호제로서 이용한 헤어 컬러제에 있어서는, 모발 파단 강도의 향상 및 마찰계수의 감소가 보여진다(실시예와 비교예 1-1을 비교해 참조). 한편, 실리콘계 모발 보호제를 이용한 경우, 마찰계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모발 파단 강도는 향상되지 않았다(비교예 1-2, 1-3을 참조). 또한, 단백질계 모발 보호제를 이용한 경우, 모발 파단 강도는 향상되고 있지만, 마찰계수는 오히려 증가했다(비교예 1-4, 1-5를 참조).
또한, 표 2에 의하면, D2N의 함유율이 0.01~10.00 질량%인 범위에서 모발 파단 강도의 향상 및 마찰계수의 감소가 보여졌다. 이 중, 모발 파단 강도가 최대가 된 것은 D2N의 함유율이 1.00 질량%인 경우이고, 마찰계수가 최소가 된 것은 D2N의 함유율이 0.5 질량%인 경우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헤어 컬러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모발 표면의 손상을 억제하고, 또한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실시예 2〕
퍼머넌트제가 모발에 가하는 손상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퍼머넌트제로 처리한 모발 샘플을 제작하고, 모발 샘플의 파단 강도 및 마찰계수를 측정했다.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화학 처리를 전혀 받지 않은 헤어피스를 준비했다.
2. 제1제를 헤어피스에 도포했다. 헤어피스:퍼머넌트제=1:1(중량비)이 되는 양으로 했다. 제1제의 조성은 후술한다.
3. 30℃에서 30분간 헤어피스를 가만히 둔 후 물로 ??어냈다.
4. 제2제를 헤어피스에 도포했다. 도포량은 헤어피스:헤어 컬러제=1:1(중량비)이 되는 양으로 했다. 제2제의 조성은 후술한다.
5. 30℃에서 30분간 헤어피스를 가만히 두었다.
6. 헤어피스를 10 질량% SDS 수용액(도데실 황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건조시켰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퍼머넌트제가 모발에 미치는 영향만을 측정하기 위해 헤어피스를 헤어롯드에 감는 처리는 행하지 않았다.
(제1제 및 제2제의 조성)
제1제 및 제2제의 기본적인 조성은 다음과 같다.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물의 양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절했다(실시예 2-3~2-6, 비교예 2-5를 참조).
● 제1제
·50% 티오글리콜산암모늄(환원제): 12 질량%
·모노에탄올아민(알칼리제): 2 질량%
·트리에탄올아민(알칼리제): 3 질량%
·아스코르브산나트륨(산화 방지제): 0.5 질량%
·모발 보호제: 0.5 질량%
·물: 82 질량%
● 제2제
·브롬산나트륨(산화제): 8 질량%
·물: 92 질량%.
파단 강도의 측정 방법 및 마찰계수의 측정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1]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했다(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실시예 2-2]
모발 보호제로서 D2M을 이용했다(실시예 1-2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예 2-1]
모발 보호제로서 실리콘계 원료의 KF-8015를 이용했다(비교예 1-2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예 2-2]
모발 보호제로서 실리콘계 원료의 KF-9021을 이용했다(비교예 1-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예 2-3]
모발 보호제로서 단백질계 원료의 프로모이스 WK를 이용했다(비교예 1-4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예 2-4]
모발 보호제로서 단백질계 원료의 프로티큐트H 감마를 이용했다(비교예 1-5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예 2-5]
모발 보호제를 첨가하지 않고, 물의 함유율을 82.5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실시예 2-3]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0.01 질량%, 물의 함유율 82.49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실시예 2-4]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0.1 질량%, 물의 함유율을 82.4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실시예 2-5]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5.0 질량%, 물의 함유율을 77.5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실시예 2-6]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하고(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모발 보호제의 함유율을 10.0 질량%, 물의 함유율을 72.5 질량%로 변경해 실험을 실시했다. 모발 샘플의 측정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결과)
표 3에 의하면,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모발 보호제로서 이용한 퍼머넌트 웨이브제에 있어서는, 모발 파단 강도의 향상 및 마찰계수의 감소가 보여진다(실시예와 비교예 2-5를 비교해 참조). 한편, 실리콘계 모발 보호제를 이용한 경우, 마찰계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모발 파단 강도는 향상되지 않았다(비교예 2-1, 2-2를 참조). 또한, 단백질계 모발 보호제를 이용한 경우, 모발 파단 강도는 향상되고 있지만, 마찰계수는 감소하지 않았다(비교예 2-3, 2-4를 참조).
또한, 표 4에 의하면, D2N의 함유율이 0.01~10.00 질량%인 범위에서 모발 파단 강도의 향상 및 마찰계수의 감소가 보여졌다. 이 중, 모발 파단 강도가 최대가 된 것은 D2N의 함유율이 5.00%인 경우이고, 마찰계수가 최소가 된 것은 D2N의 함유율이 10.00%인 경우였다.
이 결과로부터,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 억제와 감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모발 내부의 손상을 억제하고, 또한 감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실시예 3〕
헤어 컬러제가 모발 표면에 가하는 손상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효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모발 샘플을 제작하고, 모발 샘플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해 관찰했다.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 및 헤어 컬러제의 조성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고,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이용했다(실시예 1-1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 결과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결과)
도 1의 (a)는 헤어 컬러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건강한 모발의 표면이고, (b)는 모발 보호제로서 D2N을 첨가한 헤어 컬러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모발의 표면이고, (c)는 D2N을 첨가하지 않은 헤어 컬러제에 의한 처리를 실시한 모발의 표면이다. D2N을 헤어 컬러제에 첨가하지 않은 경우, 모발 표면의 큐티클에 박리가 관찰되었다(도 1의 (c)). 한편, D2N을 헤어 컬러제에 첨가한 경우, 큐티클의 박리가 억제되고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헤어 컬러 처리에서 모발 표면에 대한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발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모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실시예 4〕
헤어 컬러 처리에 수반하는 모발중의 단백질의 유출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1회 또는 3회 헤어 컬러 처리한 모발 샘플을 제작하고, 당해 모발 샘플의 황 함유량을 SEM-EDX에 의해 측정했다. 비교로서, D2N을 첨가하지 않은 헤어 컬러제로 처리한 모발의 황 함유량도 측정했다. 모발 샘플의 제작 방법, 헤어 컬러제의 조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헤어 컬러 처리를 3회 행한 모발 샘플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공정 3~5를 총 3회 반복했다). 황 함유량의 측정 방법은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황 함유량의 측정]
제작한 모발 샘플 12가닥의 모발끝을 잘랐다. 모발끝을 자른 것은 모발끝이 헤어 컬러 처리에 의한 모발 손상이 보다 큰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자른 모발 샘플의 황 함유량을 SEM-EDX에 의해 측정했다. 12가닥의 샘플에 대해 검출된 황 원자의 K선(SK) 강도의 평균치로부터, 모발중에 황 원자가 차지하는 비율(원자%)을 산출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결과)
도 2에 의하면, 헤어 컬러제에 D2N을 첨가한 경우에는, D2N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모발의 헤어 컬러 처리에 수반하는 황 함유량의 감소가 억제되고 있었다. 특히, 헤어 컬러 처리를 1회 행한 모발 샘플에서는 모발의 황 함유량의 감소가 강하게 억제되고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에 의해, 모발로부터의 단백질의 유출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에는, 헤어 컬러 처리에 의한 모발의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의, 모발의 푸석거림에 대한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30cm의 헤어피스에 시판의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에 D2N을 첨가한 시료를 도포했다. 그리고, 이 헤어피스의 정전기량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1. 시판의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로는, 글래머러스 컬 크림 엣센스(나카노 제약 주식회사 제품)를 사용했다. D2N의 첨가량은 1.0 질량%로 했다.
2. 헤어피스에 스타일링제를 도포했다. 도포량은 헤어피스: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1:1(중량비)이 되는 양으로 했다.
3. 비닐 장갑을 낀 손으로 헤어피스를 30회 비벼 정전기를 발생시켰다.
4. 정전기 측정기(Digital Electro Static Meter Model[KDS-0303]: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해 정전기의 발생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한편, 비교로서, D2N을 첨가하지 않은,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 샘플의 정전기량도 측정했다.
Figure pct00005
(결과)
D2N을 첨가한,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를 도포함으로써, 정전기량의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에는 모발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에는, 모발의 푸석거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가 모발의 감촉에 미치는 효과를 관능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D2N을 첨가한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로 가발을 처리하고, 9명의 패널리스트에게 감촉(수분감·정돈감)을 평가시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로 행하였다.
1. D2N을 첨가한, 시판의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실시예 5와 동일한 것)를, 가발(주식회사 뷰락스 제품)에 2.1g 도포했다. 도포 후, 빗으로 잘 흡수시켰다.
2. 가발에, 수세(물로 씻어냄), 타올 드라이 및 건조를 순차적으로 실시했다. 각각의 단계가 완료된 후의 가발의 감촉을 D2N을 첨가하지 않은,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가발과 비교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결과)
D2N을 첨가한, 씻어내지 않는 타입의 트리트먼트 시료를 도포한 경우, 세정 후, 타올 드라이 후 및 건조 후의 전부에서 감촉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건조 후에 있어서는 모든 패널리스트가 감촉의 향상을 보고하고, 9명 중 4명은 감촉이 더욱 향상되었다고 평가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모발 보호제는 모발의 감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헤어 컬러 처리, 퍼머넌트 웨이브 처리 등, 여러 가지 모발 처리제를 취급하는 산업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모발 보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제.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F3 … (1)
    [식 (1)에서,
    m+s는 0~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제.
    CF3-(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2)
    [식 (2)에서,
    R1은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내고,
    x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는 1~6의 실수를 나타내고,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m+s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가,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제.
    R2-OCH2-(CF2)m-O-(CF2CF2O)n-(CF2O)o-(CF(CF3)CF2O)p-(CF(CF3)O)q-(CF2CF2CF2O)r-(CF2)s-CH2O-R1 … (3)
    [식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2-CH(OH)CH2O]x-R3 또는 -(CH2)yOH를 나타내고,
    x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는 1~6의 실수를 나타내고,
    R3은 H, OH, CH3, C6H5 또는 C6H4O-B이고,
    B는 C1~C4의 알콕시기, 아미드기 또는 아미노기이고,
    m+s는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n+o+p+q+r은 1~50의 실수를 나타낸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10000인, 모발 보호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발 보호제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7. 제6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의 함유율이 0.005~20 질량%인, 모발 처리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를 이용한, 모발 처리 방법.
KR1020207037641A 2018-07-27 2019-04-24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KR20210038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1238 2018-07-27
JP2018141238 2018-07-27
PCT/JP2019/017352 WO2020021798A1 (ja) 2018-07-27 2019-04-24 毛髪保護剤、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437A true KR20210038437A (ko) 2021-04-07

Family

ID=6918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641A KR20210038437A (ko) 2018-07-27 2019-04-24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0021798A1 (ko)
KR (1) KR20210038437A (ko)
CN (1) CN112512493A (ko)
WO (1) WO20200217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6738A (ja) 2003-03-04 2004-10-14 Nakano Seiyaku Kk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形成能診断方法および毛髪処理剤並びに毛髪処理方法
JP2015110538A (ja) 2013-12-06 2015-06-18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530B2 (ja) * 1986-10-27 1995-05-24 株式会社資生堂 頭髪化粧料
IT1227206B (it) * 1988-09-23 1991-03-27 Ausimont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emulsioni detergenti per cosmesie prodotti cosmetici ottenuti.
CA2050212C (en) * 1990-09-03 1997-09-30 Andrew M. Murray Hair treatment composition
GB9109693D0 (en) * 1991-05-03 1991-06-26 Unilever Plc Hair treatment composition
JPH08175937A (ja) * 1994-12-22 1996-07-09 Mandamu:Kk 毛髪用化粧料
US8679655B2 (en) * 2007-11-19 2014-03-25 Moresco Corporation Lubricant and magnetic disk
JP2014528417A (ja) * 2011-09-30 2014-10-27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薄毛の出現を低減させるための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6738A (ja) 2003-03-04 2004-10-14 Nakano Seiyaku Kk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形成能診断方法および毛髪処理剤並びに毛髪処理方法
JP2015110538A (ja) 2013-12-06 2015-06-18 旭化成ワッカーシリコー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 일본 퍼머넌트 웨이브액 공업조합 편저 '사이언스 오브 웨이브' 신미용(SHINBIYO) 출판 주식회사, 2002년 4월 10일 발행, 13~31 페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1798A1 (ja) 2020-01-30
CN112512493A (zh) 2021-03-16
JPWO2020021798A1 (ja)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1849B1 (fr) Utilisation d&#39;une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é organique du silicium en association avec une composition de soin et/ou de lavage des fibres kératiniques
KR20180081590A (ko) 특정 알콕시실란 및 계면활성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CA2323945C (fr)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copolymere vinyl dimethicone/dimethicone et un agent conditionneur et leurs utilisations
EP3197937B1 (en) Silicone compounds and composition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amino acid based substrates
EP2111848A2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é organique de silicium, au moins un tensioactif cationique et au moins un acide organique, et un procédé de traitement cosmétique mettant en oeuvre ladite composition
KR102360719B1 (ko) 모발의 건조 시간 단축 및 부드러움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968134B1 (ko) 모발처리용 조성물
BR112016008587B1 (pt) Composição peptídica e respectivos usos
CA2323138C (fr)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e emulsion d&#39;un copolymere vinyldimethicone/dimethicone et un tensioactif cationique et leurs utilisations
JPH08310920A (ja) 毛髪化粧料
JP2007131581A (ja) 毛髪化粧料
JP2007001951A (ja) 毛髪処理剤
FR2852828A1 (fr)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cide hydroxycarboxylique et un agent protecteur ou conditionneur
BR112019025729A2 (pt) Composições aquosas para o tratamento capilar
JP2003500337A (ja) 少なくとも1種のロウと少なくとも1種のセラミ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方法
KR20210038437A (ko) 모발 보호제, 모발 처리제 및 모발 처리 방법
JP4824507B2 (ja) ストレートパーマ剤
JP5295519B2 (ja) ストレート形成化粧料
JP5296500B2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FR2852823A1 (fr)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cide polycarboxylique et un agent protecteur ou conditionneur
JP2010215540A (ja) ストレート形成化粧料
FR2852825A1 (fr)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acide polycarboxylique et un agent protecteur ou conditionneur
JP2000212044A (ja) 毛髪処理用組成物
JP2567316B2 (ja) 毛髪化粧料
JP2010248115A (ja) 毛髪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