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626A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626A
KR20210037626A KR1020210033950A KR20210033950A KR20210037626A KR 20210037626 A KR20210037626 A KR 20210037626A KR 1020210033950 A KR1020210033950 A KR 1020210033950A KR 20210033950 A KR20210033950 A KR 20210033950A KR 20210037626 A KR20210037626 A KR 2021003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uit extract
ginseng fruit
lif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신현정
김선미
김수환
김완기
이상준
장정화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21003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전반적인 심리적 및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여성 성기능 개선 및 성생활 만족도를 개선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ginseng fruit extract for improving women's health and quality of life}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성의 건강과 더불어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의 전반적인 심리적 및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여성 성기능 개선 및 성생활 만족도를 개선시키며, 전반적인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작용, 면역기능 조절 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작용,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근(뿌리), 인삼엽,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그 중에서도 특히 인삼 열매는 인삼근(뿌리)과 다른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과 성분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항당뇨 효능에 있어서 인삼근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Dey L. et al., Phytomedicine, 10; 600-605, 2003.).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지하부인 인삼근 외에도 지상부인 인삼 열매 추출물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일반적인 인삼 및 홍삼과는 다른 성분과 조성에 의하여 전반적인 신체 기능 및 갱년기 증상 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성기능 및 성생활 만족도를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성 건강 지수를 높이고, 특히 성기능을 개선시킴으로써 여성의 행복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신체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은 전반적인 신체 기능 및 갱년기 증상 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성기능 및 성생활 만족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과 인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전반적인 신체 건강 개선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만성피로 개선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GWBI와 FSFI 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심리적 건강 지수(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PGWBI) 및 여성 성기능 지수(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성의 신체적 및 심리적 건강상태 및 성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말초 혈액 순환, 만성 피로 등의 개선 효과를 제공하여 여성의 전반적인 신체 건강 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신적인 불안감, 우울감 등을 감소시키고 자기 제어력을 향상시키면서 삶에 생동감을 주어 심리적 건강 상태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성 성기능을 개선시킴으로서 성생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0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 열매의 과피, 과육 등을 포함한 모든 부분에서 추출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은 종자를 제외한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로부터 얻은 추출물일 수도 있고, 인삼 열매의 과육만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일 수도 있으며, 인삼 열매의 과피만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일 수도 있다.
또한, 추출 방법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 또는 저급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등으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단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연고제, 드링크제 또는 주사제의 형태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사쉐,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복강, 근육, 국소도포, 첩포 및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중에서 국소 적용 및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사람의 경우, 활성 화합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mg/kg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조한 인삼 열매의 추출물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kg에 물 또는 주정 3L를 가하여 상온 또는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실시예 2] 생(生)인삼 열매 추출물의 제조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 과즙 및 과피를 모아서 인삼 열매 원료로 사용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상기 인삼 열매 원료(즉, 과육, 과즙 및 과피 혼합물) 1kg에 물 또는 주정 3L를 가하여 상온 또는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g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근(뿌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 비교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이드(인삼사포닌) 성분 분석>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에서 각각 인삼 열매와 인삼근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조사포닌함량(건조중량) 33.42% 31.08 16.70%
PD/PT 비율 0.73 0.69 3.23
도 1 및 상기 표 1을 통해,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의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실시예 1 및 2는 각각 0.73과 0.69로서 PD/PT 비율이 1보다 작은인 반면, 비교예 1은 3.23으로 PD/PT 비율이 1보다 커서, 진세노사이드 성분 중 PD와 PT의 그 조성에 있어서 인삼 열매와 인삼근은 뚜렷한 차이 및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1 실시예2
칼륨(mg/100g) 5865.57 4977.50 마그네슘(mg/100g) 354.38 297.54
칼슘(mg/100g) 819.26 914.22 아연(mg/100g) 178.49 201.25
철(mg/100g) 59.31 52.11 Vit.A(ug/100g, RE ) 213.11 145.85
인(mg/100g) 187.17 156.95 Vit.B1(mg/100g) 12.29 10.09
Vit.B2(mg/100g) 8.45 5.05 Vit.B6(mg/100g) 10.50 15.44
Vit.C(mg/100g) 4.91 7.13 Vit.E(mg/100g, α-TE) 23.61 31.25
Vit.K(㎍/100g) 232.12 129.82 나이아신(mg/100g, NE) 5.76 2.01
판토텐산(mg/100g) 5.87 6.15 엽산(㎍/100g) 349.97 423.3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삼 열매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근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근 추출물과 성분 및 그 함량이 현저하게 상이하여 다른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건조처리한 인삼 열매의 추출물(실시예 1)과 건조하지 않은 생(生)인삼 열매의 추출물(실시예 2)에 있어서는, 포함되어 있는 성분 및 이의 함량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유사한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의 삶의 질 지표의 변화를 관찰 및 평가하였으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실시예 1의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 삶의 질 개선 및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에 있어서 건강상의 변화를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고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Re 함량이 10% 이상인 인삼 열매 추출물을 50% 함유하는 700mg 정제(인삼열매50% 350mg; 부형제, 결정셀룰로오스 등 50%)를 제조하고, 이를 시험제품으로서 사용하였다. 이를 20~30대 여성 18명 및 40~50대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하여(이 중 기혼자는 28명임) 1회 2정씩, 1일 2회 물과 함께 정제 형태로 4주간 섭취하게 하였으며, 하기 사항을 기초로 평소 건강과 관련하여 느끼는 증상 및 불편한 점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하여 섭취 전 및 후에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평가 방법은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에 있어서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 자가평가(응답)로서 진행하였다. 영역 1에서는 전반적인 신체 건강과 관련한 불편한 증상들에 대하여 겪고 있는 항목의 수를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를 비교하도록 하고, 비교, 영역 2에서는 만성 피로 증상에 대한 평가로서 21개 증상에 대하여 각 증상별로 본인이 0점 내지 3점의 점수로 중증도를 기록하게 하였다. 영역 3에서는 PGWBI(삶의 질; 본인이 체감하고 있는 육체적 건강 및 정신적 건강, 스트레스 등에 대한 평가) 문항에 대하여 기록하게 하고, 영역 4에서는 FSFI(여성 성기능/성생활 만족도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 기록하게 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이 여성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전반적인 신체 건강 개선도 평가(영역 1)
영역 1에서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하는 4주 동안 느낀 증상에 대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중복 체크 가능).
<평가 항목>
- 말초순환장애
- 피부건조
- 피로감
- 입마름
- 가슴답답함
- 장건강
- 수면장애
- 소화불량
- 안면홍조
- 생리불순
상기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보면, 말초순환장애(손발저림), 피부건조, 가슴답답함, 변비 및 소화불량 등 대표적인 증상들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만성 피로 자가 진단(영역 2)
상기 1.의 평가 항목 중 “피로감”으로 표현한 증상에 대하여 변화를 세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1.의 설문 조사를 실시할 때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의 변화에 대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21개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하는 4주 동안 자신의 상태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 때, 항목마다 증상이 전혀 없으면 0점, 자주 증상을 겪고 있다면 3점으로 하여, 총 합계 점수가 0점 내지 63점의 분포를 나타내게 하였다.
만성 피로 자가 설문
번호 질문 전혀 없다 2주에 한 번 정도 주 1회 정도 자주 증상이 있음
1 아무리 쉬어도 피로가 사라지지 않는다
2 몸에 미열이나 오한기가 있다
3 전신의 근육이 그냥 아프면서 무겁다
4 깊은 잠을 자지 못한다
5 머리 회전이 예전 같지 못하다
6 마음이 자주 우울하다
7 두통이 심하다
8 목이 붓고 아프면서 이물감이 있다
9 매사에 자주 신경질적이다
10 온 몸에 힘이 쭉 빠진다
11 뒷목이 뻣뻣하다
12 눈이 자꾸 자꾸 침침해진다
13 소변을 자주 보러 나간다
14 배속이 울렁거리면서 어지럽다
15 맥박이 빨라진다
16 눈이 뻑뻑하다
17 입안이 마른다
18 변이 묽거나 굳는 등 불규칙하다
19 손마디가 붓는다
20 잠을 잘 때 땀이 잘 난다
21 얼굴이 화끈거리면서 붉게 달아 오른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후 만성피로 자가진단 점수의 변화 Paired T-test(N=43, P-value=0.001)
평균 표준편차
섭취 전 18.19 13.03 만성피로지수
평균 6.10 개선
섭취 후 12.09 10.70
표 4 및 도 3을 보면, 개인별 만성피로 자가진단 점수가 섭취 전 18.19에서 섭취 후 12.09점으로 34%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PGWBI 지수 평가(영역 3)
PGWBI(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전반적인 심리적 건강 지수)는 Harold Dupuy(1984, USA)가 개인이 느끼는 웰빙(well-being), 고통(distress) 정도를 표현하고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건강과 관련된 QOL(Quality of Life, 삶의 질) 22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1990년대 유럽에 소개되면서 다양한 언어와 국가에서 적용되었으며, 개인이 느끼는 HRQoL을 6가지 영역, 즉 “불안(Anxiety), 생동감(Vatality), 우울(Depressed mood), 자기조절(Self-control), 안녕감(Positive well-being), 일반적 건강(General health)”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PGWBI 지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한 6가지 영역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각 영역에 대하여 0~5점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이들 점수를 합한 값을 PGWBI 점수(0~30점)로 하였다. 항목에 대한 점수가 0점이면 삶의 질이 ‘낮은’ 또는 ‘나쁜’ 상태이고, 5점으로 갈수록 삶의 질이 ‘높은’ 또는 ‘좋은’ 상태임을 의미한다. 각 영역별로 항목별 점수의 평균을 구하고, 이들의 총점을 구하여 전체적인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이 중에서 불안과 관련된 문항은 5, 8, 17, 19 및 22번이고, 우울과 관련된 문항은 3, 7 및 11번이며, 안녕감과 관련된 문항은 1, 9, 15 및 20번이고, 자기조절과 관련된 문항은 4, 14 및 18번이며, 일반적 건강과 관련된 문항은 2, 10 및 13번이고, 생동감과 관련된 문항은 6, 12, 16 및 21번이다.
1. 지난 일 주일 동안 귀하의 기분은 전체적으로 어떠한 상태였습니까?
0) 최상의 상태였습니다.
1) 매우 좋은 상태였습니다.
2) 대부분 좋은 상태였습니다.
3) 좋았다가 나빴다가 하는 등 상당히 변화가 심했습니다.
4) 대부분 저조한 상태였습니다.
5) 매우 저조한 상태였습니다.
2. 지난 일 주일 동안 어떠한 질병(또는 질환),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고통 또는 두려움으로 불편하신 적이 있습니까?
0) 매일 불편하였습니다.
1) 거의 매일 불편하였습니다.
2) 전체 시간의 절반 가량 불편하였습니다.
3) 가끔씩 불편하였으나 전체 시간의 절반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4) 불편한 적이 드물었습니다.
5) 불편한 적이 없었습니다.
3. 지난 일 주일 동안 우울하다고 느끼신 적이 있습니까?
0) 예, 죽고 싶을 정도로 우울했습니다.
1) 예, 아무 것에도 관심을 가질 수 없을 정도로 우울했습니다.
2) 예, 거의 날마다 우울했습니다.
3) 예, 수 차례 꽤 우울했습니다.
4) 예, 가끔씩 약간 우울했습니다.
5) 아니오, 전혀 우울하지 않았습니다.
4. 지난 일 주일 동안 귀하는 귀하의 행동이나 생각, 감정을 잘 통제하였다고 생가하십니까?
5) 예, 완전히 통제하였습니다.
4) 예, 대부분 잘 통제하였습니다.
3) 일반적으로는 통제하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그렇게 잘 통제하지는 못하였습니다.
1) 아니오, 가끔씩 화를 내고 감정을 잘 통제하지 못하였습니다.
0) 아니오, 거의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였습니다.
5. 지난 일 주일 동안 신경이 날카로와 괴로우셨습니까?
0) 일이나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 괴로웠습니다.
1) 매우 많이 괴로웠습니다.
2) 상당히 괴로웠습니다.
3) 가끔 괴로운 정도였습니다.
4) 별로 괴롭지 않았습니다.
5) 전혀 괴롭지 않았습니다.
6. 지난 일 주일 동안 얼마나 힘차고 활기있는 생활을 하셨습니까?
5) 매우 힘차고 활기있는 생활을 하였습니다.
4) 대부분 상당히 활기있는 생활을 하였습니다.
3) 활기가 있었다가 없었다가 하는 식으로 변화가 심했습니다.
2) 일반적으로 활기있는 생활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 대부분 활기가 없는 상태였습니다.
0) 전혀 활기가 없이 힘이 빠진 상태였습니다.
7. 지난 일 주일 동안 낙담하거나 슬펐던 적이 있었습니까?
5) 전혀 없었습니다.
4) 아주 가끔 있었습니다.
3) 가끔 있었습니다.
2) 꽤 있었습니다.
1) 상당히 자주 있었습니다.
0) 항상 그랬습니다.
8. 지난 일 주일 동안 긴장감을 어느 정도, 얼마나 자주 느끼셨습니까?
0) 늘 심한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1) 대부분의 시간에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2) 일반적으로는 아니지만, 수차례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3) 가끔씩 약간의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4) 대부분은 긴장감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5) 전혀 긴장감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9. 지난 일 주일 동안 귀하의 삶에 대해 어느 정도 행복함, 기쁨, 만족감을 느끼셨습니까?
5) 더할 나위 없이 매우 행복했습니다.
4) 대부분의 시간에 매우 행복했습니다.
3) 전체적으로 보아 행복했습니다.
2) 가끔 행복하기도 하고, 가끔 불행하기도 하였습니다.
1) 전체적으로 불행하였습니다.
0) 매우 불행하였습니다.
10. 지난 일 주일 동안 귀하는 하고 싶은 일, 해야 할 일들을 잘 수행할 만큼 좋은 건강 상태였습니까?
5) 예, 매우 좋았습니다.
4) 대부분 좋았습니다.
3) 건강상의 문제 때문에 하고 싶은 일, 해야 할 일들을 잘 수행하지 못할 때도 있었습니다.
2) 스스로 내 자신을 돌볼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1) 내 자신을 돌보는 데 어느 정도 타인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0) 내가 해야 할 거의 모든 일들을 수행하는 데 타인의 도움이 필요했습니다.
11. 지난 일 주일 동안 삶에 대한 회의를 느낄 정도로 슬프고 의욕이 저하되거나, 절망한 적이 있습니까?
0) 삶을 포기하고 싶을 만큼 심하게 절망하였습니다.
1) 매우 절망하였습니다.
2) 상당히 절망하였습니다.
3) 가끔씩 괴로울 정도로 절망하였습니다.
4) 약간 절망하였습니다.
5) 전혀 절망하지 않았습니다.
12. 지난 일 주일 동안 잠에서 깼을 때 정신이 맑아지고 휴식을 취한 느낌이 드셨습니까?
0)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
1) 아주 가끔 들었습니다.
2) 가끔 들었습니다.
3) 자주 들었습니다.
4) 대부분 들었습니다.
5) 항상 들었습니다.
13. 지난 일 주일 동안 귀하의 건강상태에 대해 근심하거나 걱정하신 적이 있습니까?
0) 매우 근심하며 걱정했습니다.
1) 상당히 걱정했습니다.
2) 조금 걱정했습니다.
3) 가끔씩 걱정했으나 심한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4) 별로 근심하거나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5) 전혀 근심하거나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14. 지난 일 주일 동안 생각이나 행동의 조절 능력을 상실할지도 모른다고 걱정한 적이 있습니까?
5) 전혀 없었습니다.
4) 별로 없었습니다.
3) 가끔씩 걱정했으나 심한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2) 가끔씩 약간 걱정하였습니다.
1) 가끔씩 꽤 걱정하였습니다.
0) 자주 매우 많이 걱정하였습니다.
15. 지난 일 주일 동안 매일 매일이 귀하에게 흥미를 주는 일들로 가득 찼습니까?
0)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1) 아주 가끔씩만 그러하였습니다.
2) 가끔씩 그러하였습니다.
3) 자주 그러하였습니다.
4) 대부분 그러하였습니다.
5) 항상 그러하였습니다.
16. 지난 일 주일 동안 얼마나 능동적이고 열심히 생활하였습니까?
5) 늘 매우 능동적으로 열심히 생활을 하였습니다.
4) 대부분 능동적으로 생활을 하였습니다.
3) 비교적 능동적으로 열심히 생활을 하였습니다.
2) 비교적 지루하고 나태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1) 대부분 지루하고 나태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0) 늘 매우 지루하고 나태한 생활을 하였습니다.
17. 지난 일 주일 동안 불안하거나, 걱정스럽거나, 또는 혼란스러웠습니까?
0) 병이 날 정도로 그러하였습니다.
1) 매우 그러하였습니다.
2) 상당히 그러하였습니다.
3) 가끔 방해받을 만큼 그러하였습니다.
4) 별로 그렇지 않았습니다.
5)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18. 지난 일 주일 동안 안정감과 자심감을 느꼈습니까?
0) 전혀 느끼지 못했습니다.
1) 아주 가끔 느꼈습니다.
2) 가끔 느꼈습니다.
3) 자주 느꼈습니다.
4) 대부분 느꼈습니다.
5) 늘 느꼈습니다
19. 지난 일 주일 동안 마음이 편안했습니까?
5) 늘 편안했습니다.
4) 대부분의 시간에 마음이 편안했습니다.
3) 일반적으로 마음이 편안했으나 가끔씩 상당히 심한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2) 일반적으로 심한 긴장감을 느꼈으나 가끔씩 상당한 편안함을 느꼈습니다.
1) 대부분 심한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0) 일 주일 내내 항상 심한 긴장감을 느꼈습니다.
20. 지난 일 주일 동안 명랑하게 보내셨습니까?
0) 전혀 명랑하게 보내지 않았습니다.
1) 아주 가끔씩 명랑하게 보냈습니다.
2) 가끔씩 명랑하게 보냈습니다.
3) 자주 명랑하게 보냈습니다.
4) 대부분 명랑하게 보냈습니다.
5) 늘 명랑하게 보냈습니다.
21. 지난 일 주일 동안 피로하거나 몹시 지친 적이 있습니까?
5) 전혀 없었습니다.
4) 아주 가끔씩 있었습니다.
3) 가끔씩 있었습니다.
2) 자주 있었습니다.
1) 대부분 피로하거나 지쳐있었습니다.
0) 늘 피로하거나 지쳐있었습니다.
22. 지난 일 주일 동안 스트레스나 압박감을 받으셨습니까?
0) 예,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1) 예,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2) 예, 평소보다는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3) 예, 평소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4) 예, 조금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5) 전혀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습니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후 PGWBI 지수의 변화 Paired T-test(N=43)
항목 범위 섭취 전
평균±S.D
섭취 후
평균±S.D
차이 P-값
불안 0~5 3.86 ± 1.28 4.35 ± 0.84 0.49 0.013
생동감 0~5 2.63 ± 0.98 3.21 ± 0.86 0.58 0.001
우울 0~5 3.14 ± 0.94 3.79 ± 0.89 0.65 0.001
자기조절 0~5 2.02 ± 1.28 2.37 ± 1.25 0.35 0.092
안녕감 0~5 2.09 ± 1.29 2.84 ± 1.34 0.74 0.001
일반적 건강 0~5 2.84 ± 1.15 3.72 ± 0.77 0.88 0.000
PGWBI 점수 0~30 16.58 ± 4.59 20.28 ± 4.15 3.70 0.000
상기 표 5를 보면,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후 PGWBI가 16.58에서 20.28로 22% 이상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안녕감 영역과 일반적 건강 영역에서 가장 큰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PGWBI 지수를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4. FSFI 지수 평가(영역 4)
FSFI(Female Sexual Function Index, 여성 성기능 지수)는 여성 성기능 및 성생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aymond Rosen 박사에 의해 임상연구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Bayer AG, Zonagen Inc. funding), 6가지 영역, 즉 “여성의 성욕(Sexual Desire), 성적 자극에 의한 흥분(Arousal), 여성 윤활(Lubrication), 오르가즘(Orgasm), 성관계 만족도(Satisfaction), 성교 때 느끼는 통증(Pain)”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본 시험에서는 FSFI 지수를 간단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한 6가지 영역 중 4가지 영역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각 영역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목마다 0~5점 또는 1~5점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각 영역마다 가중치(Factor)를 부여하여 총 합이 1~8.5점이 되게 하며, 이를 FSFI 점수로 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이 중에서 성욕과 관련된 문항은 1번이고, 흥분과 관련된 문항은 2번이며, 오르가즘과 관련된 문항은 3번이고, 만족도와 관련된 문항은 4번이다.
1. 지난 4주 동안, 성욕이나 흥미를 얼마나 자주 느꼈습니까?
1) 항상 느낀다
2) 대부분 느낀다
3) 중간정도 느낀다
4) 가끔 느낀다
5) 거의 안 느낀다
2. 지난 4주 동안 성행위(성교 포함)를 하는 동안, 성적 흥분은 어느 정도였습니까?
0) 성행위가 없었다
1) 매우 높은 편이다
2) 높은 편이다
3) 중간 정도이다
4) 낮은 편이다
5) 매우 낮은 편이다
3. 지난 4주 동안 성적자극이 있거나 성교를 했을 때 오르가즘(절정감)을 얼마나 자주 느꼈습니까?
0) 성행위가 없었다
1) 항상 느꼈다
2) 대부분 느꼈다
3) 중간정도이다
4) 가끔 느꼈다
5) 거의 느끼지 못했다
4. 지난 4주 동안 전반적인 성생활에 대해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1) 항상 만족한다
2) 대부분 만족한다
3) 중간 정도이다
4) 대체로 불만족한다
5) 거의 만족하지 못한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후 FSFI 지수의 변화 Paired T-test(N=28)
영역 범위 가중치 섭취 전
평균±S.D
섭취 후
평균±S.D
차이 P-값
성욕 1~5 0.6 2.32 ± 1.19 2.46 ± 0.88 0.14 0.381
흥분 0~5 0.3 2.25 ± 1.55 2.79 ± 1.37 0.54 0.033
오르가즘 0~5 0.4 2.46 ± 1.95 3.04 ± 1.64 0.57 0.033
만족도 1~5 0.4 2.89 ± 1.62 3.39 ± 1.45 0.50 0.06
FSFI 점수 1~8.5 4.21 ± 2.34 4.89 ± 1.90 0.68 0.031
상기 표 6을 보면,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후 FSFI 지수가 4.21에서 4.89로 16.2%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혼 여성의 성생활에 있어서, 흥분, 오르가즘, 만족도 영역에서 향상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인삼 열매 추출물은 FSFI 지수를 개선시켜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3] PGWBI와 FSFI 지수 간의 상관관계
상기 시험예 2의 3. 및 4.의 결과에서 PGWBI와 FSFI 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인식하고 정신적 스트레스 상태를 표현하는 PGWBI 평가와 여성의 성기능 및 성생활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하는 FSFI 평가 결과는 서로 비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여성의 행복지수는 PGWBI, FSFI와 같은 삶의 질 개선 정도를 통하여 표현될 수 있는데 PGWBI, FSFI와 두 가지 주요지수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산 열매 추출물의 섭취에 의한 개선 전 후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필수적인 평가요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4] 일반적인 건강 상태 개선 평가
상기한 시험예 2의 결과에 더하여, 피험자들은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후 피로감이 개선되고, 정신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피부 상태가 개선되고, 손발 저림이 없어졌으며, 갱년기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기록하였다.

Claims (3)

  1. 프로토파낙시디올(PD)계의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와, 프로토파낙시트리올(PT)계의 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와의 비율(PD/PT)이 1 미만인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SFI 지수로 평가되는 여성의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프로토파낙시디올(PD)계의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와, 프로토파낙시트리올(PT)계의 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와의 비율(PD/PT)이 1 미만인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해서 FSFI 지수로 평가되는 여성의 성기능을 개선하는 방법(단, 인간에 대한 의료행위를 제외함).
KR1020210033950A 2013-04-02 2021-03-16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7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810 2013-04-02
KR20130035810 2013-04-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72A Division KR20140120280A (ko) 2013-04-02 2014-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626A true KR20210037626A (ko) 2021-04-06

Family

ID=519922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72A KR20140120280A (ko) 2013-04-02 2014-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033950A KR20210037626A (ko) 2013-04-02 2021-03-16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72A KR20140120280A (ko) 2013-04-02 2014-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83904B2 (ko)
EP (1) EP2982377B1 (ko)
JP (1) JP6655005B2 (ko)
KR (2) KR20140120280A (ko)
CN (2) CN114053320A (ko)
HK (1) HK1213491A1 (ko)
WO (1) WO2014163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306B1 (ko) 2013-07-04 2021-06-09 (주)아모레퍼시픽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336131B1 (ko) * 2015-04-02 2021-12-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824A (en) * 1998-07-09 1999-12-28 Duckett; Melvin J. Natur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CN1191071C (zh) * 2002-12-28 2005-03-02 杨淑玲 人参皂苷单体配伍提高性功能的产品
KR20050076057A (ko) * 2004-01-19 2005-07-26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성기능 개선제
KR100780056B1 (ko) 2007-04-06 2007-11-29 고붕경 인삼 사포닌 Rg2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조성물과 그 용도
KR101438367B1 (ko) 2007-04-20 2014-09-05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104600A (ko) * 2007-05-28 2008-12-0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5470A (ko) * 2007-05-31 2008-12-0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593618B1 (ko) * 2009-05-26 2016-02-15 (주)아모레퍼시픽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KR20110079564A (ko) * 2009-12-31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KR102200012B1 (ko) * 2013-04-02 2021-01-08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활성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53320A (zh) 2022-02-18
CN104870003A (zh) 2015-08-26
US20160058811A1 (en) 2016-03-03
EP2982377A1 (en) 2016-02-10
HK1213491A1 (zh) 2016-07-08
JP6655005B2 (ja) 2020-02-26
EP2982377B1 (en) 2023-06-07
WO2014163402A1 (ko) 2014-10-09
KR20140120280A (ko) 2014-10-13
JP2016515613A (ja) 2016-05-30
US10383904B2 (en) 2019-08-20
EP2982377A4 (en)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34544A1 (en) Formulation containing (lyso-)phosphatidylser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ss states in warm blooded animals
TWI583390B (zh) 富含鞣花單寧之萃取物組成物
RU2429001C1 (ru) Средство &#34;таблетки для ума&#34;
KR20210037626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Dehghanmehr et al. Effect of oral saffron capsules on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at Zabol-Iran
EP2586452A1 (en) Use of a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in preparing medicaments for treating secondary preven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US2018002858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burnout syndrome
KR101256210B1 (ko) 불안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oss Mild to moderate depression: a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therapies approach
CN110269897B (zh) 一种抗疲劳和改善睡眠的组合物及其用途
Chen et al. Anti-fatigue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Anisomeles indica (L) Kuntze in mice
US20240050510A1 (en)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uncaria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CN107496516B (zh) 一种治疗失眠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20072A (zh) 一种辅助降血压的复合特膳营养食品
CN102949424A (zh) 一种用于缓解体力疲劳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92232A (ko) 성기능 개선용 홍삼복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08128316A1 (en) A ginkgo biloba and ginseng com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memory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mental health
CN207125908U (zh) 用于冠心病心绞痛贴片
JP2024069378A (ja) 老化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女性の障害を緩和するためのサプリメント
CN103251921A (zh) 一种治疗阴阳两虚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及制剂与应用
KR20220103326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6672404A (zh) 一种用于治疗冠心病心绞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587623A (zh) 安神助眠的中药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908268A (zh) 振源胶囊在制备治疗抑郁症药物中的应用
CN111450203A (zh) 一种涉及皮肤美容祛黄褐斑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