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31B1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31B1
KR102336131B1 KR1020150046643A KR20150046643A KR102336131B1 KR 102336131 B1 KR102336131 B1 KR 102336131B1 KR 1020150046643 A KR1020150046643 A KR 1020150046643A KR 20150046643 A KR20150046643 A KR 20150046643A KR 102336131 B1 KR102336131 B1 KR 10233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uit
fruit extract
follicles
menopause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8481A (ko
Inventor
김선미
이지해
배일홍
박찬웅
서대방
신송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4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31B1/ko
Priority to PCT/KR2016/002229 priority patent/WO2016159524A2/ko
Priority to TW105107863A priority patent/TWI694831B/zh
Publication of KR2016011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소 노화를 개선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열매 성분이 난포 수를 증가시켜 난소 노화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노화에 의한 난포의 고갈을 억제함으로써, 조기 폐경의 예방 및 폐경기 지연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s for Improved Ovarian Aging}
본 발명은 난소 노화를 개선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열매 성분이 난소 내 난포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난소 노화 개선으로 인한 폐경기 지연(遲延) 및 조기 폐경 예방의 효과가 있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두릅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반음지성 약용식물로서, 1843년 러시아의 식물학자인 메이어(C.A.Meyer)에 의해 '만병을 치료한다'는 의미로 그리스 어원인 'Pan(모든 것)'과 'Axos(의학, 치료하다)'를 합성하여 "Panax ginseng C.A. Meyer"라 명명되었다. 이러한 인삼은 주로 뿌리가 약용 또는 자연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약리 효능의 과학적 입증과 임상을 근거로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삼의 효능은 주로 인삼 사포닌(Saponin)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에 의한 것으로, 인삼에는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올레안(Oleanane)계 등이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성분 이외에도 전분 등의 탄수화물, 폴리아세틸렌의 항산화성 방향족 화합물, 간장을 보호하는 고미신(Gomisin N-A), 유사 인슐린 작용을 하는 산성 펩티드 등이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주요 약리작용은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조절기능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이외에도 진세노사이드는 지방분해력이 크고, 영양분 흡수와 소화를 도우며, 세포 내의 효소 활성화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 개선,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인삼 열매는 인삼 뿌리와 동일한 성분뿐만 아니라, 인삼 뿌리에는 없고 인삼 열매에만 존재하는 루펜(lupane) 구조의 트리테르펜(Triterpene, 참조: Arch Pharm Res., 35, 647-651), 이소코니페로사이드(Isoconiferoside, 참조: Molecules, 16, 6577-6581), 파낙사디온[Panaxadione, 참조: Chem Pharm Bull (Tokyo), 57, 283-287], 진세나인(Ginsenine, 참조: J Asian Nat Prod Res., 8, 605-608), 이소진세노사이드-Rh3(Isoginsenoside-Rh3, 참조: J Asian Nat Prod Res., 6, 289-293), 하이드록시프로토파낙사디올(25-hydroxyprotopanaxadiol, 참조: Eur J Drug Metab Pharmacokinet., 35, 109-113) 등의 성분들이 보고된 바 있으며, 인삼 뿌리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Re(Ginsenoside Re, 참조: Nat Prod Commun., 4, 903-906; Diabetes, 51, 1851-1858)가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삼 열매는 인삼 뿌리와는 약리작용 기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큰데, 현재까지 인삼 열매 추출물이 남성 성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한국등록특허 1,481,778)는 것과 인삼 열매 추출물이 여성의 전반적인 신체 기능 및 갱년기 증상 등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한국등록특허 2014-0120280)는 것이 보고된 바 있지만, 아직까지 난소 내 난포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난소 노화 개선으로 인한 폐경기 지연 및 조기 폐경 예방의 효과에 관하여는 직접적으로 적용된 어떠한 개시나 교시가 없었다.
한편, 난소 내 난포 수가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따라 반드시 난임이 개선된다고 할 수는 없다. 난임의 원인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특히 난소에서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배란장애는 여성측 불임원인의 약 40%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배란장애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요인인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은 여성의 난소 또는 부신에서 정상치 이상의 남성호르몬을 생산함으로 인해 난자의 성숙과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는 상태로서, 난포 형태의 낭종을 다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란을 하더라도 생식 가능한 난자를 배란하지 못하거나, 혹은 정상적인 난자가 배란되었다고 하더라도 수정란이 착상되기 위한 자궁의 조건이 형성되지 못해 난임의 요인이 된다[Acta Radiol. 2014 Mar;55(2):248-56].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 끝에 인삼 열매 추출물이 난소 내 난포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반드시 난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더라도, 적어도 난소의 노화를 억제하여 조기 폐경을 예방하거나, 폐경기를 늦출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20280호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여성의 경우 100 ~ 200만 개의 난포를 가지고 출생하며, 초경 시 30 ~ 40만 개에서, 매 월경주기 마다 하나의 난포가 난자로 성숙되어 배란되면서 다수의 난포가 소멸되어, 폐경 시 1,000여 개로 그 수가 감소한다. 난포는 여성호르몬이 생성 및 분비되는 장소이기 때문에 난포의 수가 급감하는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역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폐경기에는 여성호르몬의 감소와 관련하여 심혈관계 질환, 신경학적 질환, 정신 과학적인 질환 및 골다공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퇴행성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 특히 40세 이전에 난소 기능을 상실하여 발생하는 폐경이 '조기 폐경'이며,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진 바 없으나, 난소의 노화 또는 퇴화로 인해 난포의 수가 감소하여 발생되는 증상이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난포 수를 증가시켜 난소의 노화를 억제함으로써 여성의 폐경기를 지연시키고 조기 폐경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성의 폐경기 지연 및 조기 폐경 예방을 위해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미네랄 및 비타민이 포함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 노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 노화 억제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세립제(細粒劑), 산제(散劑), 분제(粉劑), 연질 캡슐제, 경질 캡슐제, 유탁제(乳濁劑), 시럽제 및 드링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난소 내 난포 수(Ovarian reserve)를 유의한 수치로 증가시켜 여성의 난소 노화를 억제함으로써 여성의 폐경기를 지연시키고 조기 폐경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군 및 대조군 실험 마우스의 혈중 항뮬러리안 호르몬(AMH)의 수치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군 및 대조군 실험 마우스의 난소 내 난포 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군 및 대조군 실험 마우스의 난소 조직을 비교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난소 노화를 개선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열매 성분이 난포 수를 증가시켜 난소 노화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난포 수를 유의한 수치로 증가시켜 난포의 노화에 의한 고갈을 억제함으로써 여성의 폐경기 지연(遲延) 및 조기 폐경 예방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는 인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삼 뿌리와는 함유 성분의 종류 및 함량 구성이 다르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는 인삼 뿌리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를 비롯한 미네랄 및 비타민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할 수 있으며,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조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삼 열매와 통상의 인삼 뿌리는 효과 및 약리기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삼 열매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삼 열매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라면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생(生) 인삼 열매는 인삼 열매를 수확한 뒤 건조 등의 가공을 하지 않은 인삼 열매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인삼 열매의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으로 수득된 물질은 물론, 인삼 열매 성분의 추출물을 추가적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수득된 물질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의적 개념이다. 상기 가공 또는 처리의 구체적인 예로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추가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생(生) 인삼 열매, 건조된 인삼 열매 또는 인삼 열매의 다른 가공물(예컨대 발효물, 건조 분쇄물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그 조성이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이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생(生) 인삼 열매, 건조된 인삼 열매 또는 인삼 열매의 다른 가공물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인삼 열매 추출물의 효과 및 용도를 동일하게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 방법은 환류 추출, 열수 추출, 고압 추출 및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삼 열매를 건조한 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환류 추출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에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하여 추출 및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 ~ 20개인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펜탄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인 사포닌(Saponin)은 보통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하는데, 이는 타 식물사포닌과 구별하기 위해서 인삼에서 분리된 글리코사이드(Glycoside)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인삼이 다른 사포닌 함유 식물과 구별되고 차별화 되는 약리활성을 가지는 것은 이 진세노사이드 성분 때문이다. 진세노사이드는 유효 사포닌의 일종인 하기 화학식 1의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와 하기 화학식 2의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토파낙사디올(PD)계 진세노사이드에 속하는 것으로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등이 있으며, 프로토파낙사트리올(PT)계 진세노사이드로 분류되는 것으로는 진세노사이드 Re, Rg1, Rg2 등이 있다. 프로토파낙사디올(PD)계 진세노사이드 및 프로토파낙사트리올(PT)계 진세노사이드는 그 양도 중요하지만 그 구성비가 어느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지 않고 균형적인 것이 체내에서 우수한 약리 효능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인삼 열매 추출물 총 중량 기준으로 20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프로토파낙사트리올(PT)계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프로토파낙사디올(PD)계 진세노사이드의 중량비(PD/PT)가 0.5 내지 1.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b3, Rc, Rd, Re, Rg1 및 Rg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e의 함량이 인삼 열매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8 ~ 20중량%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Re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5032265806-pat00001
Figure 112015032265806-pat00002
Figure 112015032265806-pat00003
본 명세서에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경구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그 형태는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세립제(細粒劑), 산제(散劑), 분제(粉劑), 연질 캡슐제, 경질 캡슐제, 유탁제(乳濁劑), 시럽제 및 드링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이며, 제형의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소 노화 억제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인삼 열매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난소 노화 억제를 위한 유효 치료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제형 형태, 사용 방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부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키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1. 인삼 열매 성분 추출
1)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 인삼(Panax ginseng C.A. Meyer)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고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kg에 70% 주정 3ℓ를 가하여 70℃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 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 뿌리 추출물 제조
2. 인삼 뿌리 성분 추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 뿌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 뿌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비교
1. 인삼 열매 및 인삼 뿌리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
상기에서 각각 인삼 열매와 인삼 뿌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다음,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및 농축하여, 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제시하였다.
인삼 열매 추출물 인삼 뿌리 추출물
조사포닌 함량(건조중량) 33.42% 16.70%
PD/PT 0.73 3.23
표 1의 결과와 같이,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진세노사이드)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 뿌리 추출물보다 약 2배 함량을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를 "프로토파낙사디올계(PD)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및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PT) 진세노사이드 Re, Rg1, Rg2"의 비율인 PD/PT로 구분하였을 때 인삼 열매 추출물과 인삼 뿌리 추출물은 PD/PT 값이 각각 0.73과 3.23으로 그 조성과 함량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1은 인삼 열매 추출물과 인삼 뿌리 추출물을 진세노사이드 성분별로 각각 분석한 결과로서, 양 추출물은 성분별 함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 뿌리 추출물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Re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 뿌리 추출물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이 2배 가량으로, 특히 진세노사이드 Re가 고함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프로토파낙사디올계(PD)와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PT)의 함량이 어느 한 쪽에 치우침이 없이 균형적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인삼 열매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이외의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및 비타민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칼륨(K) 5865.57 mg/100g
칼슘(Ca) 819.26 mg/100g
철(Fe) 59.31 mg/100g
인(P) 187.17 mg/100g
비타민 A 213.11ug/100g,RE
비타민 B1 12.29 mg/100g
비타민 B2 8.45 mg/100g
비타민 B6 10.50 mg/100g
비타민 C 4.91 mg/100g
비타민 E 23.61 mg/100g,a-TE
비타민 K 232.12 mg/100g
판토텐산 5.87 mg/100g
마그네슘 354.38 mg/100g
아연 178.49 mg/100g
나이아신 5.76 mg/100g,NE
엽산 349.97 ㎍/100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적 특성은 인삼 뿌리보다 진세노사이드를 많이 함유함과 동시에, 인삼 뿌리와 달리 과실(果實)로서 미네랄과 비타민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 뿌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성분 및 그 함량이 상이하므로 효능 및 약리기전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실험예 2. 난소 노화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군 구성 (군당 8마리)
C57/BL6 40주령 암컷 마우스에 하기와 같은 실험군 및 대조군으로 그룹별 8마리로 구성하여 2주간 주 5회 경구투여를 진행하였으며, 52주령이 되었을 때 마우스를 희생하여 하기와 같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Group1: 40주령/ 대조군(생리식염수)
Group2: 40주령/ 인삼 열매 추출물 100mg/kg
Group3: 40주령/ 인삼 열매 추출물 300mg/kg
Group4: 40주령/ 인삼 뿌리 추출물 300mg/kg
Group5: 10주령/ 무처리군
2. 혈중 항뮬러리안호르몬(AMH: Anti-Mullerian Hormone) 분석
마우스를 희생시킨 후 안와 정맥층에서 채혈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ELISA(USCN Life Science Inc.)를 이용하여 항뮬러리안호르몬(AMH) 농도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난소 내 난포 수(Ovarian reserve)의 지표라 할 수 있는 항뮬러리안호르몬(AMH) 농도가 인삼 열매 추출물 300mg/kg 섭취군인 Group3이 대조군인 Group1에 비하여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또한 인삼 열매 추출물 100mg/kg 섭취군인 Group2의 증가수치와 인삼 열매 추출물 300mg/kg 섭취군인 Group3의 증가수치를 비교해보면 항뮬러리안호르몬(AMH) 농도는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량으로 난소 내 난포 수의 증가량을 결정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반면 인삼 뿌리 추출물 300mg/kg 섭취군인 Group4는 대조군에 비하여 항뮬러리안호르몬(AMH) 농도 수치가 오히려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인삼 열매와 인삼 뿌리의 성분 차이에 기인한 효과 및 약리기전의 차이임을 예상할 수 있다.
3. 난소 내 난포 수 측정
상기 항뮬러리안호르몬(AMH) 농도로 예측한 난소 내 난포 수를 직접 확인하기 위하여, 희생시킨 마우스에서 난소를 적출한 후, 10% 중성의 버퍼된 포르말린 용액(Neutral buffered formalin solution)으로 16시간 고정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개체 당 한 쪽 난소를 자동조직처리기(Thermo Shandon, Citadel 1000, USA)를 이용하여 조직처리를 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여 조직 절편을 만들었다. 조직 절편을 헤마톡실린-에오신(H&E: Hematoxylin and Eosin)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난포의 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와 같이 인삼 열매 300mg/kg 섭취군인 Group3이 대조군인 Group1에 비하여 난포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인간에게 경구 투여시 복용량
마우스에서 인체로의 체표면적대비 환산계수 3/37을 사용하면 300mg/kg은 24.3mg/kg으로 환산되고, 성인 체중 60kg 적용 시 1.46g/day로 환산된다. 인체시험을 통해 일일 1.4g의 인삼열매 섭취 시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Int J Impot Res. 2013 Mar-Apr;25(2):45-50.), 본 실험에서 마우스에서 효능을 확인한 농도 300mg/kg은 인체에 적용 가능한 섭취량이라 판단된다.
본 발명의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난포 수를 유의한 수치로 증가시켜 노화에 의한 난포의 고갈을 억제함으로써 여성의 폐경기 지연 및 조기 폐경 예방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난포 수의 증가가 반드시 난임을 개선하는 것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바[Acta Radiol. 2014 Mar;55(2):248-56], 본 발명이 난임증 개선용으로 간접적으로 활용될 수는 있으나, 직접적으로 난임증 치료 효과를 포함하는 것은 아님을 명시한다.

Claims (14)

  1.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의 중량비(PD/PT)가 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인삼열매에서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농축한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총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이 인삼 열매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b3, Rc, Rd, Re, Rg1 및 Rg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Re의 함량이 인삼 열매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8 ~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미네랄과 비타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11. 제1항, 제5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투여를 위한 제형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세립제(細粒劑), 산제(散劑), 분제(粉劑), 연질 캡슐제, 경질 캡슐제, 유탁제(乳濁劑), 시럽제 및 드링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지연 또는 조기 폐경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13. 삭제
  14.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 억제를 위한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T)계 진세노사이드에 대한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 PD)계 진세노사이드의 중량비(PD/PT)가 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소 내 난포수 감소 억제를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0150046643A 2015-04-02 2015-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33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43A KR102336131B1 (ko) 2015-04-02 2015-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PCT/KR2016/002229 WO2016159524A2 (ko) 2015-04-02 2016-03-07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TW105107863A TWI694831B (zh) 2015-04-02 2016-03-15 用於改善卵巢老化的包含人參果萃取物的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643A KR102336131B1 (ko) 2015-04-02 2015-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481A KR20160118481A (ko) 2016-10-12
KR102336131B1 true KR102336131B1 (ko) 2021-12-07

Family

ID=5700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643A KR102336131B1 (ko) 2015-04-02 2015-04-02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36131B1 (ko)
TW (1) TWI694831B (ko)
WO (1) WO20161595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7256A (ko) 2019-09-27 2021-04-06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1072672A (zh) * 2019-12-30 2020-04-28 福建省医学科学研究院 金线莲中生物碱金生宁碱的提取工艺
US20230062911A1 (en) * 2021-09-02 2023-03-0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venting, and/or ameliorating chemotherapy-induced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CN117643592B (zh) * 2023-11-27 2024-05-28 四川花度蜜美医学研究院 人参皂苷20(R)-25-OH-Rg2促进卵巢修复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62B1 (ko) * 2011-09-27 2013-10-04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인삼열매 또는 씨앗을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036A (ko) * 2010-01-29 2011-08-04 (주)그린바이오싸이언스 불임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조성물
JP6655005B2 (ja) * 2013-04-02 2020-02-26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薬用人参の実エキスを含有する女性の健康及び生活の質改善用組成物
KR102262306B1 (ko) * 2013-07-04 2021-06-09 (주)아모레퍼시픽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62B1 (ko) * 2011-09-27 2013-10-04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인삼열매 또는 씨앗을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rug Development Research, 2014, Vol.75, pp.521-5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9524A2 (ko) 2016-10-06
TW201636037A (zh) 2016-10-16
KR20160118481A (ko) 2016-10-12
TWI694831B (zh) 2020-06-01
WO2016159524A3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0438C (en) Novel use of the extract of processed ginseng and saponin isolated therefrom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336131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262306B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EP2436388A2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3246040B1 (en) Pomegranate extract for alleviating women's menopausal symptoms, containing high content of ellagic acid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931226B1 (ko) 결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7849B1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9412B1 (ko) Pr-119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585607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193887A (zh) 一种刺五加提取物及其抗氧化用途
KR102070793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1574B1 (ko)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3356B1 (ko) 청미래덩굴 잎 분획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129474A (ko)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00062094A (ko) 인삼열매, 인삼화 및 인삼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54292B1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10082B1 (ko) AMPK을 활성화시키는 HM-chrom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8744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196750A (ja) ストレス緩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