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256A -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256A
KR20210037256A KR1020190119642A KR20190119642A KR20210037256A KR 20210037256 A KR20210037256 A KR 20210037256A KR 1020190119642 A KR1020190119642 A KR 1020190119642A KR 20190119642 A KR20190119642 A KR 20190119642A KR 20210037256 A KR20210037256 A KR 20210037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insenoside
present
acid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덕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1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256A/ko
Priority to JP2020150716A priority patent/JP2021054806A/ja
Priority to US17/031,057 priority patent/US11633413B2/en
Priority to CN202011025221.6A priority patent/CN112569245A/zh
Publication of KR2021003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61P5/30Oestroge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Confectione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신규 진세노사이드인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방암 발병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본 명세서는 신규 진세노사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인삼은(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 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이다.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으로 사포닌, 다당류, 펩타이드, 시토스테롤, 폴리아세텔린 및 지방산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인삼의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한다. 인삼의 효능 및 효과로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과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및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및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뿌리, 잎, 열매, 꽃, 씨 등 부위에 따라 그 함량과 조성에 큰 차이가 있으나, 상기와 같이 알려진 효능은 대부분 인삼근, 즉 인삼의 뿌리부분에 대한 것으로서, 인삼근을 제외한 인삼 다른 부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여 다양한 생리현상을 매개하는데, 여성의 경우 생식기관인 난소 기능이 저하되면서 갱년기가 되면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고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활성이 감소하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대표적인 갱년기 증상으로는 현기증, 수면장애, 안면홍조, 야간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우울증, 피로감 등의 심리적 증상이 있다. 따라서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 관리가 갱년기 증상의 개선 및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갱년기 전후 시기에 에스트로겐을 보충하는 것이 권장되며, 증세에 따라 약물 치료가 병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에스트로겐 보충법(estrogenic therapy)의 경우 유방암 세포의 생육 및 세포분열이 증가하여 유방암 유병률이 높아지며, 이외 자궁내막염, 혈전색전증, 고혈압 등의 부작용이 제기되고 있어,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물질 유래의 건강기능성 식품과 의약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6149호
Deroo BJ et al., J Clin Invest 116:561 (2006) Harris HA et al., Evaluation of an estrogen receptor-beta agonist in animal models of human disease, Endocrinology 144:4241 (2003)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가지는 신규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진세노사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Cpd. 10)의 분리과정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16종의 화학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기존에 알려진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 내지 6의 분광학적 증거 및 구조들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5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COSY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HSQC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HMBC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MS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획된 화합물 중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의 핵심 HMBC 상관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과 본 발명의 비교예인 진세노사이드 GS#01-GS#06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의 활성 조절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도 12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과 본 발명의 비교예인 진세노사이드 GS#01-GS#06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β의 활성 조절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도 13은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과 본 발명의 비교예인 진세노사이드 GS#01-GS#06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에 대한 ERβ의 활성 비율을 비교한 도이다.(** P < 0.01 vs. (-))
도 14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과 본 발명의 비교예인 인삼씨 추출물(GSE)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 조절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도 15는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한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과 본 발명의 비교예인 진세노사이드 GS#01-GS#06이 부작용으로 유방암 유병률이 증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MCF-7 유방암세포주 세포 생육 정도를 비교한 도이다.(** P < 0.01 vs. (-))
도 16은 홍삼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g3 및 Rb1과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의 활성 조절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도 17은 홍삼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g3 및 Rb1과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GS#10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β의 활성 조절 효과를 비교한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도 18은 본 발명의 신규 진세노사이드에 해당하는 화합물 10(GS#10)의 세포 생존율(%Viable cells)을 나타낸 도이다. (*** P < 0.001 vs. (-), ** P < 0.01 vs (-), * P < 0.05 vs.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신규 진세노사이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triterpene saponin)으로,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이다.
일 실시예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의 비치료적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관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에 기재된 것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분자식은 C42H70O15이며, 아래와 같은 화학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신규한 진세노사이드를 "슈도진세노사이드 RT8(pseudoginsenosideRT8)"또는 "PG-RT8"로 명명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씨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삼씨의 인삼은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C.A. Meyer)이다.
본 명세서에서 "분리"라 함은, 인삼씨 추출물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된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물, 유기용매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분획은 상기 추출 이후에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물질이라면, 추출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낸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분획물"은 어떤 용매를 이용하여 특정 물질이나 추출물을 분획한 것 또는 분획하고 남은 것, 그리고 이들을 특정 용매로 다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분획 방법 및 추출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어떤 방법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씨 메탄올 및 부탄올 용해성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HPLC-ESI-Q-TOF-MS를 이용하여 인삼씨의 메탄올 및 부탄올 용해성 추출물을 분석하여 검출, 분리될 수 있다. 인삼씨 추출물의 주성분이 지질이기 때문에 모든 트리테르펜과 스테로이드성 사포닌이 인삼씨 원(crude) 추출물로부터 HPLC-UV 또는 HPLC-ELSD에 의해 관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갱년기 증상”은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거나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활성이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 변화 내지 증상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폐경기 증후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갱년기 증상은 현기증, 수면장애, 안면홍조, 골다공증, 야간 발한, 우울증, 두통 및 피로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 보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중 ERα(estrogen receptor α)와 Erβ(estrogen receptor β)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이 증가될 경우 갱년기 증상이 완화될 수 있으나, 안전한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분자적 타겟은 ERα 보다 ERβ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되는 Deroo BJ et al.,JClinInvest116:561(2006)는 대부분의 유방암세포는 ERα이 과발현되어 있으며, 이는 주로 ERα 증가로 인해 나타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암에서 증가하는 ESR1가 ERα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되는 Harris HA et al., Evaluation of an estrogen receptor-beta agonist in animal models of human disease, Endocrinology 144:4241 (2003)은 ERβ의 감소는 대장암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특히 ERα에 대한 Erβ 활성비가 높아, 종래 갱년기 증상 개선 제품이 유방암 발병 가능성이 높았던 부작용을 개선하여 효과적으로 갱년기 증상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시 에스트로겐 수용체 중 ERα에 대한 Erβ의 활성비는 1.1배 이상, 구체적으로는 1.1배 이상 3배 이하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ERα에 대한 Erβ의 활성비가 1.1배 이상, 1.2배 이상, 1.3 배 이상, 1.4 배 이상, 1.5 배 이상, 1.6 배 이상, 1.7 배 이상, 1.8 배 이상, 1.9 배 이상, 2배 이상, 2.1 배 이상, 2.2 배 이상, 2.3 배 이상, 2.4 배 이상 또는 2.5 배 이상이고, 3배 이하, 2.9 배 이하, 2.8 배 이하, 2.7 배 이하, 2.6 배 이하, 2.5 배 이하, 2.4 배 이하, 2.3 배 이하, 2.2 배 이하, 2.1 배 이하 또는 2배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이상, 0.0005 중량% 이상,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또는 99.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는, 상기 조성물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이하, 99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0.01 중량% 이하, 0.001 중량% 이하 또는 0.0005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식품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조성물은 건강 식품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강 식품용 조성물은 환제, 캅셀제, 정제, 과립제, 캬라멜제 또는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액제, 분말, 과립, 정제 또는 티백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의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중량% 내지 99.9 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의 투여량은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대상이 갖고 있는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등에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량은 0.05 mg/kg/일 이상 또는 1 mg/kg/일 이상일 수 있으며, 10 g/kg/일 이하, 100 mg/kg/일 이하 또는 10 mg/kg/일 이하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으며,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직장, 국소, 피하,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여량은 0.05 mg/kg/일 이상 또는 1 mg/kg/일 이상일 수 있으며, 10 g/kg/일 이하, 100 mg/kg/일 이하 또는 10 mg/kg/일 이하 범위일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하 모든 실험값들은 세번 이상 반복실험한 값들의 평균을 나타난 것이며, 표준 편차 (SD)는 오차 막대로 표시하였다. p 값은 one-way ANOVA와 Dunnett test로 계산하였고, 0.05 미만의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의 분리
분획
인삼씨(Seeds of Panax ginseng) 5.5 kg을 믹서로 곱게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들어 메탄올로 추출 후 n-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을 사용해 단계적으로 분획하였다. 지질(Lipid)은 대부분 n-헥산에 의하여 제거되었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남아있던 지질은 메탄올:물 = 1:1 (v/v)으로 현탁 후 냉동실에 하룻밤 동안 보관한 다음 상층액만 취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한번 더 제거하였다. 이렇게 전처리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2.61g과 n-부탄올 분획물 114.64g을 컬럼 및 HPCCC(High Performance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분획하였다.
n-부탄올 분획물의 컬럼 및 HPCCC를 이용한 분획
n-부탄올 분획물 114.64g을 MPLC로 분획을 나누고자 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용매는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 10:1->5:1->1:1 -> CHCl3/MeOH=10:1->5:1(v/v)이었으며, 유속은 50 mL/min 이었다. 상기 조건을 이용하여 총 12개의 하위 분획으로 나누고, 각 분획을 다시 HPCCC,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세파덱스(Sephadex) LH-20 컬럼 등을 사용하여 각 분획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하였으며,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UV(Ultraviolet rays), MS(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여 16종의 화합물을 규명하였다.
상기 분리된 16종 화합물에는 프로토파낙사트리올 사포닌(protopanaxatriol saponin)인 진세노사이드 Rg1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g2 (화합물 2) 및 진세노사이드 Re (화합물 3); 프로토파낙사디올 사포닌(protopanaxadiol saponin)인 진세노사이드 Rd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Rb1 (화합물 5) 및 진세노사이드 Rb2 (화합물 6); 스테롤 글리코사이드(sterol glycosides)인 스티그마-5-엔-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Stigma-5-en-3-O-β-D-glucopyranoside) (화합물 7), 스티그마-5,24(28)-디엔-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Stigma-5,24(28)-dien-3-O-β-D-glucopyranoside) (화합물 8) 및 스티그마-5,22-디엔-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Stigma-5,22-dien-3-O-β-D-glucopyranoside) (화합물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진세노사이드로서 천연에서 처음 분리되는 신규 화합물인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화합물 10); 페놀릭 글리코사이드(phenolic glycosides)인 페네틸 알코올 β-D-크실로피라노실(1->6)-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phenethyl alcohol β-D-xylopyranosyl(1->6)-β-D-glucopyranoside) (화합물 12) 및 유지닐 β-겐티오비오사이드(Eugenyl β-gentiobioside) (화합물 13); 플라보노이드인 이소람네틴 3-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isorhamnetin 3-O-β-D-glucopyranoside) (화합물 15); 1차 대사체인 아데노신(Adenosine) (화합물 11), 우라실(uracil) (화합물 14) 및 트립토판(Tryptophan) (화합물 16)이었다.
상기 화합물 1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진세노사이드의 분리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16종의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도 2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화합물들 중 기존에 알려진 진세노사이드인 화합물 1-6의 분광학적 증거 및 화학구조들을 도 3에 별도로 도시하였다.
화합물 10은 양이온 ESI-Q-TOF-MS(Electrospray Ionization-Quadrupole-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스펙트럼에서 m/z 837.4617 [(M+Na)+calcd.837.4612]에서의 소디에이티드 가분자 이온 피크(sodiated pseudomolecular ion peak)에 기초하여 C42H70O15의 분자식을 보이는 백색 무정형 분말로서 분리하였다. 상기 화합물 10의 1H NMR 스펙트럼은 [δH1.86(3H,s,H-28),1.69(3H,s,H-29),1.47(3H,s,H-27),1.25(6H,s,H-21,26),1.10(3H,s,H-18),0.81(3H,s,H-30),0.75(3H,s,H-19)]에서 8개의 메틸 공명을 포함했다. 또한, 두 개의 당 잔기들에서 아노머 양성자(anomeric proton)와 탄소 원자들에 상응하는 두 쌍의 신호가 δH6.02(1H,d,J = 7.8, H-2") / δC104.08(C-1')및 H4.91 (1H, d, J = 7.7, H-1') / δC104.32(C-1")에서 검출되었다. 13CNMR및 헤테로 핵 단일 양자 상관 관계 (HSQC) 스펙트럼은 42개의 탄소 신호를 밝혀냈다. 상기 두개의 당 잔기들과 별개로, 화합물 10의 어글리콘(aglycone)은 8개의 메틸렌, 4개의 메틴, 3개의 산소함유 메틴 [δC79.79(C-6),71.40(C-12)및 86.09 (C-24)], 5개의 4차 탄소 원자, 2개의 산소화된 4차 탄소 원자 [δC87.15(C-20)및 70.78(C-25)], 8개의 메틸기 및 카르보닐 탄소 [δC218.85(C-3)]를 가지고 있었다. 1Hand13CNMR데이터의 철저한 해석 결과 화합물 10의 어글리콘이 슈도진생게닌(pseudoginsengenin) R1 [(20S,24R)-다마르-3-원-20,24-에폭시-6α,12β,25-트리올([(20S,24R)-dammar-3-one-20,24-epoxy-6α,12β,25-triol])]에 중첩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합물 10에서 C-20의 절대 배열은 C-21의 화학적 이동(δC27.67)으로부터 S로 추론되고, 24R 배열은 이전에 공개 된 바에 따라 C-24(δC86.09)의 화학적 이동에 의해 결정되었다. 두 당 단위(unit)는 산 가수분해 데이터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분석 결과와 함께 1H NMR 스펙트럼 및 12개 탄소공명에서 아노머 양성자의 커플링 상수로부터 β-D-글루코피라노실(β-D-glucopyranosyl) 잔기로 밝혀졌다. 글리코시드 결합은 δH6.02(H-1")/δC79.49(C-2')및 δH4.91(H-1')/δC79.79(C-6)에서 교차 피크를 보인 이종핵다중결합 상관관계(HMBC)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2-O-(β-D-글루코피라노실)-β-D-글루코피라노실(2-O-(β-D-glucopyranosyl)-β-D-glucopyranosyl) 잔기가 슈도진생게닌(pseudoginsengenin) R1에서 어글리콘의 C-6에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했다. 상기 화합물 10의 각 분석 스펙트럼들과 핵심 HBMC 상관관계를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 화합물 10의 화학구조는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로 결정되었으며, 슈도진세노사이드 RT8(pseudoginsenoside RT8, PG-RT8)로 명명하였다.
상기 인삼씨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중 PPT(ProtoPanaxTriol)계열 진세노사이드인 진세노사이드 Rg1 (화합물 1), 진세노사이드 Rg2 (화합물 2), 진세노사이드 Re (화합물 3)은 진세노사이드 백본(backbone)에 3개의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를 포함한다. PPD(ProtoPanaxDiol)계열 진세노사이드인 진세노사이드 Rd (화합물 4), 진세노사이드 Rb1 (화합물 5), 진세노사이드 Rb2 (화합물 6)는 진세노사이드 백본 에 2개의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한다. 반면, 본 발명에서 신규하게 분리동정된 진세노사이드인 화합물 10은 PPT계열의 백본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백본의 말단 하이드록실기가 케톤(ketone)으로, 진세노시이드의 선형 체인(linear chain)이 퓨란 고리(furan ring)로 고리화(cyclization)된 구조라는데 구조적 차이가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 신규하게 분리동정한 화합물 10의 분자식은 C42H70O15,ESI-Q-TOF-MS는 m/z는 837.4617 [M+Na]+이었으며, 1H,13C-NMR스펙트럼은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시험예 1]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효능 비교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씨 유래 진세노사이드 GS#10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간 ERα/β 리포터 어세이 패널(#IB00421-48P; Indigo Bioscience)을 구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와 기존의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된 다른 진세노사이드 GS#01-GS#06, 인삼씨 추출물을 각각 10 μg/ml 농도로 24시간 처리하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 증가 수준을 분석하였다. 상기 #IB00421-48P 키트에 포함된 세포에는 ERα 및 ERβ가 각각 과발현되어 있고, ERE-발광정보제공유전자(ERE-luc reporter gene)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각각 처리하여 ER의 활성이 증가하면 ERα 및 ERβ가 ERE에 결합하고 루시퍼라제(luciferase) 발현을 유도하므로, 이때 세포에서 나타나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ERα 및 ERβ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인삼씨 추출물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실시예 1에서 진세노사이드의 분리에 사용된 인삼씨(Seeds of Panax ginseng) 메탄올 추출물로, 상기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을 약 0.2% w/w로 소량 함유하고 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상기 #IB00421-48P 키트에 포함된 17β-에스트라디올(17β-estradiol)을 사용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이 증가될 경우 갱년기 증상이 완화될 수 있으나, 70% 이상의 유방암세포는 ER이 과발현되어 있으며 이는 주로 ERα(ESR1)sml 증가로 인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Deroo BJ et al., J Clin Invest 116:561 (2006) 참조).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씨 유래 진세노사이드 중 GS#03(진세노사이드 Re), GS#05(진세노사이드 Rb1)와 GS#10은 ERα의 활성을 약간 증가시켰다. 반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씨 유래 진세노사이드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GS#10만이 ERβ를 활성화시켰다. 도 13은 상기 도 11 및 도 12의 결과를 기초로 ERα에 대한 ERβ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는 인삼씨 유래 진세노사이드 중 유일하게 ERα 및 ERβ 활성을 모두 증가시키면서도 ERα에 대한 ERβ 활성비가 약 1.7배로 나타나 1을 초과하였다. 이는 양성대조군보다도 현저히 개선된 효과이다.
또한, 도 14와 같이 인삼씨 추출물(GSE) 자체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상기 인삼씨 추출물(GSE)로 분리 정제된 분획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ERα 및 ERβ의 활성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 증가를 통한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이 인삼씨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만의 고유한 효능임을 의미한다.
[시험예 2] 유방암세포 생육 활성 비교 2
상기 시험예 1 에서 양성 대조군인 17β-에스트라디올의 경우 ERα 및 ERβ의 활성을 모두 증가시키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은 ERα에 비해 ERβ의 활성을 더욱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ERα가 활성화되는 경우 유방암세포의 생육 및 세포분열이 증가하여 유방암 유병률이 높아지나 ERβ는 ERα의 활성을 억제하여 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므로, ERα에 비해 ERβ의 활성 증가율이 높을 경우 에스트로겐 보충법(estrogenic therapy)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알려진 유방암 발병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이 암세포의 생육을 촉진하는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지 MCF-7 유방암세포주(ATCC)를 이용하여 세포 생육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 유방암세포주(ATCC)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 및 기존의 인삼씨 추출물에서 분리된 다른 진세노사이드 GS#01-GS#06을 각각 10 μg/ml 농도로 48시간 처리한 후 세포 계산 장치(cell counting device; Countess,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7β-에스트라디올은 ERβ 활성화 효과가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ERα 역시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유방암세포의 생장이 촉진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은 이러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은 기존 에스트로겐 보충법(estrogenic therapy)의 부작용 없이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시험예 3]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효능 비교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의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을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홍삼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1, Rg3 및 Rb1(Sigma에서 구매)와 비교하였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비교예인 진세노사이드 Rg3의 화학구조는 다음과 같다. 실험은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수행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그 결과, 도 16 및 도 17과 같이 홍삼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 모두 일정 수준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화를 보였으나, 특이하게도 ERα 활성 증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이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에 비해 뛰어나지 않은 반면, ERβ 활성효능은 Rg1 및 Rb1 대비 최소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g1 32%, Rb1 15%, GS#10 136%).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이 홍삼 지표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 보다도 ERα 에 대한 ERβ 활성비가 높아 유방암 발병 위험이 낮으면서도 우수한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화 효과를 보이므로,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제로서 제품에 상업적인 적용이 가능한 정도로 높은 약제학적 가능성이 있는 소재임을 시사한다.
[시험예 4] 세포 독성
진세노사이드가 세포 독성 활성을 통해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CCK(Cell Counting Kit)-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의 존재시 세포 성장을 평가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CCK-8 시약을 배양 중인 SH-SY5Y 세포(Dojindo, MD, USA)에 96-웰 플레이트(well plate) 기준으로 10 μl 넣고 37℃에서 2시간 방치한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세포 생존력을 미처리 샘플에 대한 각 샘플의 절대 광학 밀도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이때, 상기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의 농도는 각각 0.1, 1, 5, 10, 20, 50μM였다.
그 결과 도 1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 GS#10는 50 μM까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신규 진세노사이드가 세포 생존력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정제
진세노사이드 PG-RT8100mg,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캡슐제
진세노사이드 PG-RT8100mg,락토오스 400mg, 옥수수 전분 4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과립제
진세노사이드 PG-RT850mg,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4] 드링크제
진세노사이드 PG-RT850mg,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캬라멜 제형
진세노사이드 PG-RT850mg,옥수수 시럽(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하여 캬라멜 성형하였다.
[제형예 6] 건강 식품
성분 함량
PG-RT8 1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 비타민 및 무기질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성분 함량
PG-RT8 1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잔량
총 부피 900 ㎖
상기 표와 같이 총 부피 900㎖가 되도록 잔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8] 주사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PG-RT8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다음의 실시형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는,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제3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인삼씨로부터 추출한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3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현기증, 수면장애, 안면홍조, 골다공증, 야간 발한, 우울증, 두통 및 피로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용도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4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시 ERα(estrogen receptor α)에 대한 Erβ(estrogen receptor β)의 활성비는 1.1배 이상 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5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6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0.05 mg/kg/일 내지 10 g/kg/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8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7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대상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감소된 대상인, 조성물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9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8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0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9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개시되었으며,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대체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서 발생될 수 있다.

Claims (10)

  1. (20S,24R)-6-O-β-D-글루코피라노실(1->2)-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다마르-3-원-20,24-에폭시-6a,12b,25-트리올 ((20S,24R)-6-O-β-D-glucopyranosyl(1->2)-β-D-glucopyranoside-dammar-3-one-20,24-epoxy-6a,12b,25-triol),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인삼씨로부터 추출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현기증, 수면장애, 안면홍조, 골다공증, 야간 발한, 우울증, 두통 및 피로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용도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대상에 투여시 에스트로겐 수용체 중 ERα(estrogen receptor α)에 대한 Erβ(estrogen receptor β)의 활성비는 1.1배 이상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0.05 mg/kg/일 내지 10 g/kg/일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투여대상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감소된 대상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90119642A 2019-09-27 2019-09-27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7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42A KR20210037256A (ko) 2019-09-27 2019-09-27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20150716A JP2021054806A (ja) 2019-09-27 2020-09-08 新規なジンセノサイドを含む更年期症状の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US17/031,057 US11633413B2 (en) 2019-09-27 2020-09-24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CN202011025221.6A CN112569245A (zh) 2019-09-27 2020-09-25 包含新型人参皂苷的用于预防或改善更年期症状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42A KR20210037256A (ko) 2019-09-27 2019-09-27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256A true KR20210037256A (ko) 2021-04-06

Family

ID=7511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42A KR20210037256A (ko) 2019-09-27 2019-09-27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33413B2 (ko)
JP (1) JP2021054806A (ko)
KR (1) KR20210037256A (ko)
CN (1) CN112569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14A (ko) 2022-10-26 2024-05-07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BJ-20(KCTC11377B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J-21을 이용하여 다단계 발효하여 제조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940B1 (ko) * 2018-08-13 2024-04-11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49A (ko) 2015-01-09 2016-07-19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867B1 (ko) 1996-03-29 1999-03-20 손동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tnf 알파 활성유동성 조성물
EP1806131A3 (en) * 1996-07-22 2007-08-01 Renovo Limited Use of sex steroid function modulators to treat wounds and fibrotic disorders
KR100717872B1 (ko) 2002-05-02 2007-05-14 학교법인 대양학원 에스트로겐 결핍 증후군 치료제
PL2548880T3 (pl) 2003-06-23 2019-07-31 Telomerase Activation Sciences, Inc. Kompozycje powodujące wzrost aktywności telomerazy
WO2005000248A2 (en) 2003-06-25 2005-01-06 Geron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conditioning
WO2005040189A1 (en) 2003-10-27 2005-05-06 Panagin Pharmaceuticals Inc. Novel dammarane sapogenins and their use as anti-cancer agents
US20070105827A1 (en) 2003-11-24 2007-05-10 Blizzard Timothy A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CN1795868A (zh) 2004-12-23 2006-07-0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具有抗衰老活性的药物
CA2652308A1 (en) * 2006-05-17 2007-11-22 Bayer Consumer Care Ag Use of ginsenosides and extracts containing them
CN1875975A (zh) 2006-07-06 2006-12-13 复旦大学 人参奥克梯隆醇型皂苷元及其配糖体的应用
CN102875628B (zh) 2012-10-30 2015-12-02 中国药科大学 具有抗菌活性的(20S,24S)-ocotillol型人参皂苷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02924556B (zh) 2012-11-05 2017-08-22 烟台大学 具有抗菌活性的(20S,24R)‑ocotillol型人参皂苷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用途
KR101568658B1 (ko) 2013-11-11 2015-11-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R102336131B1 (ko) 2015-04-02 2021-12-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난소 노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49A (ko) 2015-01-09 2016-07-19 (주)아모레퍼시픽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roo BJ et al., J Clin Invest 116:561 (2006)
Harris HA et al., Evaluation of an estrogen receptor-beta agonist in animal models of human disease, Endocrinology 144:4241 (20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014A (ko) 2022-10-26 2024-05-07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BJ-20(KCTC11377B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BJ-21을 이용하여 다단계 발효하여 제조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33413B2 (en) 2023-04-25
CN112569245A (zh) 2021-03-30
JP2021054806A (ja) 2021-04-08
US20210093653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413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US11576923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KR102655941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US10722442B2 (en) Skin br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US1100053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novel ginsenoside
JP7309568B2 (ja) 新規なジンセノサイドを含む運動能力増進用又は抗疲労用組成物
KR102655940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20200049516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운동능력 증진용 또는 항 피로용 조성물
KR102655942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72902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645437B1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37258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00049322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200049315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200050171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혈행개선용 조성물
KR20210069154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또는 호흡기 보호용 조성물
KR20200043274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지질대사 조절용 조성물
KR20200049313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21969A (ko) Rh1을 포함하는 아토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