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031A -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 Google Patents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031A
KR20210037031A KR1020190118478A KR20190118478A KR20210037031A KR 20210037031 A KR20210037031 A KR 20210037031A KR 1020190118478 A KR1020190118478 A KR 1020190118478A KR 20190118478 A KR20190118478 A KR 20190118478A KR 20210037031 A KR20210037031 A KR 2021003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bumper
foreign matter
hous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김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민 filed Critical 김용민
Priority to KR1020190118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7031A/ko
Publication of KR2021003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범퍼 분쇄물로부터 분리된 페인트와 이물질을 범퍼분쇄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hammer type separator for foreign substance}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범퍼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범퍼 분쇄물로부터 분리된 페인트와 이물질을 범퍼분쇄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범퍼는 자동차의 앞뒤에 장착되어 보디를 보호하기 위해서 마련된 장치로, 충돌했을 때 순간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범퍼는 합성수지재 골조의 표면에 차량의 색상에 맞추어 페인트 등의 도료를 도색하여 만들어지며, 폐기되는 범퍼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범퍼표면의 피막층을 제거해야 한다.
범퍼로부터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는 특허문헌 1 내지 5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폴리올레핀계 폐 플라스틱 범퍼를 도막 박리용액에 투입한 뒤 도막 박리용액에 압축공기를 불어 넣고 강제 교반시켜 페 플라스틱 범퍼에서 도막을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기층수지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뒤 압출 및 성형가공하여 자동차용 플라스틱 범퍼 또는 각종 부품을 생산하는 자동차용 폐 플라스틱 범퍼의 재활용 방법이고,
특허문헌 2는 폐범퍼를 수거한 다음 20mm 정도로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고, 분쇄물 200kg과 염화메틸렌 20kg을 축봉상에 교반날개가 구성된 회전통체에 투입하여 60분 정도 처리하므로서 분쇄물로부터 페인트를 박리시킨 다음 회전통체로부터 분쇄물을 수거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분쇄물을 압출기에 투입, 재생칩화하여 재활용 수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폐범퍼의 재활용처리 방법이고,
특허문헌 3은 페인트가 도장된 폴리프로필렌 범퍼를 롤밀을 사용하여 1.5∼10배로 연신하는 연신공정, 연신된 범퍼의 파쇄공정, -40℃이하로의 파쇄된 범퍼의 냉각공정 및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페인트 도막의 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페인트가 도장된 폴리프로필렌 범퍼로부터의 페인트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이며,
특허문헌 4는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물 20-70중량% 및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1-5중량%를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범퍼로부터 피막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일부 기술은 화학약품을 사용함에 따라 처리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함은 물론 화학약품을 후처리하는데 많은 물과 인력이 소요되고, 이들의 누출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계적인 처리 기술은 장치에 의해 범퍼분쇄물로부터 페인트를 분리할 경우 분리된 페인트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범퍼분쇄물과 혼합된 상태이므로 이를 다시 분리하기 위한 장치릉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5 내지 6이 있다.
특허문헌 5는 일측 상부로는 폐기물을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측은 덮개로 막혀있고, 하측은 망체로 된 스크린으로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서 투입구쪽에 횡방향으로 회전축이 축설되며, 회전축의 외주로는 서로 대칭방향으로 한 쌍의 날개부가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털어냄과 아울러 폐기물을 펼쳐서 일정량을 공급시키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내측에서 블레이드의 후방에 설치되고,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복수의 햄머가 설치되어 블레이드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을 고속회전에 의해 타격하여 파쇄 및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타격부; 망체로 된 회전드럼이 하우징의 유출구에 근접하도록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드럼의 내측벽면에는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나선부가 형성되어 타격부로부터 파쇄되어 유입되는 폐기물을 투입받아 나선부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타격부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로 구성된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이고,
특허문헌 6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호퍼에서 떨어지는 골재를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이송수단의 전방에 설치된 안내패널로 안내하고 안내패널에서는 골재가 트롬멜의 내측으로 투입되게 안내하는 골재투입부와, 측방에 설치된 모터의 축 스프로켓에 연결된 주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골재투입부의 후방에 설치된 트롬멜과, 트롬멜의 내부 좌,우측에서 설치되며 회전력으로 골재를 타격하여 페이스트를 분리시키는 한쌍의 페이스트분리장치, 트롬멜의 첫단은 높은 수준으로 올리고 후방은 낮은 수준으로 낮추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된 페이스트분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에 있어서, 트롬멜의 내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트롬멜의 회전방향으로 곡선지게 절곡되어 돌출된 다수의 곡선형날개가 형성되어 트롬멜의 내부에 투입된 골재를 곡선형날개가 회전 이송시키면서 11~1시방향에서 하부로 낙하시킬 수 있게 하며, 한쌍의 페이스트분리장치는 트롬멜의 내부 상측에서 좌,우로 설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타격햄머가 설치되어 곡선형날개에서 11~1시 방향으로 낙하하는 골재들을 좌,우의 타격햄머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타격시켜 타격된 골재들이 충돌하는 파쇄대 구간이 형성되고, 파쇄대 구간에서 충돌된 골재들은 페이스트 성분이 분리되고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곡선형날개의 끝단부는 골재를 회전 이송시키고 11~1시 방향에서 골재의 낙하를 유도하기 위해 단부가 회전방향을 향해 300~330ㅀ의 각도로 곡선지게 절곡되고, 타격햄머는 샤프트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이며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부에 회전방향을 향해 30ㅀ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골재의 타격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회전 트롬멜과 타격햄머를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재생 유기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가 있으나 이들은 이물질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364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48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91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75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99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29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차량의 범퍼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범퍼 분쇄물로부터 분리된 페인트와 이물질을 범퍼분쇄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는 페인트가 도색된 범퍼분쇄물로부터 페인트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제거기에 있어서, 통체 형상을 이루고 일측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범퍼분쇄물이 투입되는 공급관체가 설치된 여과망; 상기 여과망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범퍼분쇄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여과망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해머형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해머형회전체는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결합된 두 개의 회전디스크와, 상기 회전디스크들 사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 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디스크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여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해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부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상부커버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기의 하우징 중 하부본체의 일측에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블로워연결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머는 상기 지지링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의 회동 단부에 타격날개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격날개는 투입된 범퍼분쇄물이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게 배출구 측으로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는 차량의 범퍼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범퍼 분쇄물로부터 분리된 페인트와 이물질을 범퍼분쇄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해머형회전체의 회전시 해머가 범퍼분쇄물을 타격함에 의해 범퍼분쇄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물질이 여과망을 통해 배출되게 함에 따라 이물질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하고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를 구성하는 해머형회전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에 설치된 해머형회전체를 구성하는 해머의 일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범퍼 분쇄물로부터 분리된 페인트와 이물질을 범퍼분쇄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능 페인트가 도색된 범퍼분쇄물로부터 페인트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제거기에 있어서, 통체 형상을 이루고 일측 단부에 배출구(12o)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범퍼분쇄물이 투입되는 공급관체(21)가 설치된 여과망(20); 상기 여과망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범퍼분쇄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여과망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해머형회전체(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본체(12)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상부커버(11)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부커버(11)의 양측에는 각각 손잡이(11h)를 설치하여 상부커버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1)의 일측에는 관통홀(11i)이 형성되어 여과망에 설치된 공급관체(21)가 관통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하부본체(12)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이 분리된 범퍼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o)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배출구는 여과망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여과망(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하우징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상단에는 공급관체(21)가 연결되어 범퍼분쇄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였으며, 타측 하단에는 상기 배출구(12o)와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해머형회전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머형회전체(30)는 공급되는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범퍼분쇄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망의 내부에 설치되되, 여과망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머형회전체(30)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범퍼분쇄물에 보다 강한 충격을 줄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3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결합된 두 개의 회전디스크(31)와, 상기 회전디스크들 사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링(32)과, 상기 지지링 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디스크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여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해머(33)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디스크(31)는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 중 일측 단부는 축받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타측 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3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31)에는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에 방사상 등간격으로 고정축(34)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디스크(31) 들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링(32)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34)이 지지링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지지링(3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재로 이루어진 원형 링으로 이웃하는 것들과의 사이에 상기 해머(33)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머(33)는 투입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할 뿐만 아니라 여과망의 망눈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내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링(32)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축(3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33b)의 회동 단부에 타격날개(33w)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해머형회전체가 회전하여 상기 회동체(33b)가 원심력에 의해 회동할 경우 타격날개(33w)의 바깥쪽 단부는 여과망의 안쪽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상기 타격날개(33w)는 범퍼분쇄물과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판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회동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는 별도의 이동수단이 없이 범퍼분쇄물이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타격날개(33w)는 투입된 범퍼분쇄물이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게 배출구 측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였다.
즉, 기울어진 타격날개(33w)가 범퍼분쇄물을 타격하면 범퍼분쇄물이 배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타격되어 이물질의 분리와 동시에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거기의 하우징 중 하부본체(12)의 일측에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물징을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워가 연결되는 블로워연결관(40)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기는 해머형회전체가 작동하여 범퍼분쇄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면 분리된 이물질은 여과망을 통과하여 여과망과 하우징 사이에 집진되고, 이렇게 집진된 이물질을 블로워에서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35)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일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의 회전축과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설치된 스프라켓(35d, 35s)과, 상기 스프라켓들 사이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35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체인을 대신하여 벨트, 스프라킷을 대신하여 풀 리가 설치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1: 상부커버 11i: 관통홀 11h: 개폐손잡이
12: 하부본체 12o: 배출구
20: 여과망 21: 공급관체
30: 해머형회전체
31: 회전디스크 32: 지지링
33: 해머 33b: 회동체 33w: 타격날개
34: 고정축
35: 구동수단 35m: 구동모터 35d, 35s: 스프라켓
35c: 체인
40: 블로워연결관

Claims (5)

  1. 페인트가 도색된 범퍼분쇄물로부터 페인트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이물질 제거기에 있어서,
    통체 형상을 이루고 일측 단부에 배출구(12o)가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범퍼분쇄물이 투입되는 공급관체(21)가 설치된 여과망(20);
    상기 여과망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범퍼분쇄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여과망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해머형회전체(30)를 포함하고,
    상기 해머형회전체(30)는 구동수단(3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결합된 두 개의 회전디스크(31)와, 상기 회전디스크들 사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링(32)과, 상기 지지링 들 사이에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디스크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여 공급된 범퍼분쇄물을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해머(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하부 본체(12)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상부커버(11)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의 하우징 중 하부본체(12)의 일측에는 하우징 내부에 공기를 입하기 위한 블로워연결관(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33)는 상기 지지링(32)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축(3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체(33b)의 회동 단부에 타격날개(33w)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날개(33w)는 투입된 범퍼분쇄물이 배출구 측으로 이동되게 배출구 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KR1020190118478A 2019-09-26 2019-09-26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KR20210037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78A KR20210037031A (ko) 2019-09-26 2019-09-26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478A KR20210037031A (ko) 2019-09-26 2019-09-26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031A true KR20210037031A (ko) 2021-04-06

Family

ID=7547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478A KR20210037031A (ko) 2019-09-26 2019-09-26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703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477B1 (ko) 1997-12-12 2000-01-15 김소유 자동차용 폐 플라스틱 범퍼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264830B1 (ko) 1998-02-02 2000-10-02 허남용 자동차용 폐범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49108B1 (ko) 1999-02-05 2006-02-06 삼성토탈 주식회사 페인트가 도장된 폴리프로필렌 범퍼로부터 페인트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
KR101207501B1 (ko) 2012-05-23 2012-12-03 (주)삼일폴리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KR101339932B1 (ko) 2012-01-20 2013-12-10 평택환경(주)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822922B1 (ko) 2017-06-13 2018-01-29 우광개발주식회사 회전 트롬멜과 타격햄머를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477B1 (ko) 1997-12-12 2000-01-15 김소유 자동차용 폐 플라스틱 범퍼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264830B1 (ko) 1998-02-02 2000-10-02 허남용 자동차용 폐범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49108B1 (ko) 1999-02-05 2006-02-06 삼성토탈 주식회사 페인트가 도장된 폴리프로필렌 범퍼로부터 페인트 도막을 제거하는 방법
KR101339932B1 (ko) 2012-01-20 2013-12-10 평택환경(주)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207501B1 (ko) 2012-05-23 2012-12-03 (주)삼일폴리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KR101822922B1 (ko) 2017-06-13 2018-01-29 우광개발주식회사 회전 트롬멜과 타격햄머를 이용한 순환골재 시멘트 페이스트 이물질을 분리 저감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1219B1 (ko) 플라스틱 폐재 건식 세정 장치
KR101516568B1 (ko) 가연성 이물질 건식타격 선별장치
KR102073421B1 (ko)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JP6638959B2 (ja) 粒状物質の複合生産装置及びその生産方法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952903B1 (ko) 원심력을 이용한 폐비닐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비닐 재생 시스템
US4771579A (en)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JPWO2014041586A1 (ja) 粒状物質の磨砕装置および粒状物質の生産プラント
KR102054995B1 (ko) 골재의 건식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KR20100122399A (ko) 건식 폐유리 분리 스크린 장치
KR101883666B1 (ko) 회전 분쇄 장치
KR20210037031A (ko)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JP2008030364A (ja) 合成樹脂製シートの洗浄処理装置
KR100596615B1 (ko) 수세식 로타리팬을 이용한 재생골재 입형개선 및 선별장치
KR101339932B1 (ko) 재활용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CN113102023A (zh) 一种具有粉碎和磁力分选功能的建筑垃圾加工装置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208071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세척이 가능한 폐기물 풍력선별장치
JPH10231004A (ja) 車載式固形物粒状化装置
KR101119068B1 (ko) 폐비닐을 활용한 고체연료화 설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화 방법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US6325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elastomeric particulates and fibers from a pulverized mixture
JP2006088087A (ja) 製砂装置
CN211807243U (zh) 一种用于废旧塑料软包装无水无尘处理的系统
KR102228307B1 (ko) 범퍼 분쇄물 페인트 박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