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501B1 -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 Google Patents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501B1
KR101207501B1 KR1020120054850A KR20120054850A KR101207501B1 KR 101207501 B1 KR101207501 B1 KR 101207501B1 KR 1020120054850 A KR1020120054850 A KR 1020120054850A KR 20120054850 A KR20120054850 A KR 20120054850A KR 101207501 B1 KR101207501 B1 KR 10120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eight
release agent
nonanol
oct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길
송영봉
권오욱
Original Assignee
(주)삼일폴리머
변재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폴리머, 변재길 filed Critical (주)삼일폴리머
Priority to KR102012005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 C09D9/04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with surface-active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및 물 20-70중량%를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를 이용하여 파손이나 불량 등이 발생한 폐범퍼 또는 휴대폰케이스 등의 기재 상에 도장된 페인트를 박리하여 기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COMPOSITION OF PAINT STRIPPER AND PAINT STRIPPER}
본 발명은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및 물 20-70중량%를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를 이용하여 파손이나 불량 등이 발생한 폐범퍼 또는 휴대폰케이스 등의 기재 상에 도장된 페인트를 박리하여 기재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파손이나 불량 등이 발생한 폐범퍼 또는 휴대폰케이스 등의 기재 상에 도장된 페인트를 박리하여 기재의 재활용 및 여과를 통한 박리제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퍼 등의 자동차 부품 소재, 핸드폰 및 반도체 소재 등 각종 소재 표면에 페인트 또는 고분자 코팅을 실시하는 도장 공정을 거친다. 그러나 이러한 도장 공정을 거칠 때 도장 불량이 발생하며, 예를 들면, 휴대폰 소재에 각종 수지류를 도장할 경우 공정상 약 20-30% 정도 도장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불량으로 처리된 소재부품은 금속소재, 비철금속소재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불량이 높을수록 소재 구입비용 추가 발생 등 경쟁력이 저하되므로 각 업체에서는 불량품을 재생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하였으나 아직까지 적절한 방법을 개발하지 못하여 연간 수십억씩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도장 박리제(paint stripper, 페인트 박리제)개발은 도장 불량 소재의 재처리율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도장 불량 소재의 재생방법은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회전축에 인펠라를 장착한 탱크에 적당량의 파쇄품을 넣고 휘발성 박리유기용제를 붓고 회전축을 고속으로 회전하여 파쇄품 표면에 페인트를 박리하고 페인트와 박리된 파쇄품을 분리하여 재생하는 방법; 불량소재를 분쇄하지 않고 표면의 페인트 성분을 고압수, 드라이아이스 펠렛 또는 모래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페인트를 박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휘발성 박리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장면이 두껍거나, 상도 도장전 범퍼표면을 특수하게 전처리하여 도장강도를 향상시킨 경우에는 완전한 박리가 되지 않아 미박리 제품이 생겨서 펠렛팅하는 압출 공정 중에 필터교체주기가 빨라지고 후공정에서 여러 단계의 분리공정이 필요하고 페인트 조각들이 재생품에 잔존하여 재생제품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환경 및 작업자의 건강에도 유해하여 공장의 환경안전장치에 대한 설비투자비가 많이 부담되고 있다.
상기의 고압수, 드라이아이스 펠렛 또는 모래를 도장 면에 고속 분사하여 페인트를 박리하는 방법은 파쇄된 형태의 불량소재를 재생하는데 적합하지 않고, 소재의 굴곡면의 안쪽이나 형태가 복잡한 경우에 페인트를 박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압 설비 등 설비비용이 많이 들어서 표면 굴곡이 심하지 않고 소형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상용화되지 않았으며, 특히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에 모래와 박리된 페인트를 회수하는 문제와 강한 마찰열등으로 인한 소재 표면의 열화로 물성이 저하되거나 연화된 표면에 모래가 박혀서 압출 성형 등의 후공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방법은 페인트 외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아서 친환경적인 측면이 있지만 작업효율성과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많아서 상용화 기술로 정착하는데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장 박리제로는 현재 주로 염화 메틸렌을 포함하는 페인트 제거제 등의 염소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최근 환경 문제 이슈로 인해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철, 비철금속 소재 재생용으로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비수용성 제품이 일부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수용성 제품 역시 휘발성이 커 도장 박리제로 사용할 때 박리 공정 조건을 잡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8-005689호(특허문헌 1)에서는 테르펜을 함유하는 유중수 에멀젼을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에 관한 것으로, 박리제의 증발을 지연시켜 박리제 사용한계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2-0009938호(특허문헌2)에서는 페인트의 박리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도장된 페인트의 박리와 유기산화물 기름기 및 오염된 탄화물 등이 부착된 피도장물의 세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박리 세정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인트 박리제는 수용성인 경우 환경친화적이나 박리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비수용성인 경우 휘발성이 커서 화재위험성이 높아지고, 경제성 및 환경안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친환경적이면서 페인트, 코팅 수지 재료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으며 우수한 박리효과를 갖는 신규한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에 대한 강한 요구가 존재하는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8-00568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2-0009938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리력이 뛰어나고, 화재위험성이 적고, 페인트가 도장된 기재 및 박리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세정수가 적게 소요되며, 비휘발성으로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및 물 20-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칼리 침투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며, 상기 팽윤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 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평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4 내지 20인 비이온계면활성제이며, 상기 알코올은 1-옥탄올, 2-옥탄올, 3-옥탄올, 4-옥탄올, 3,7-디메틸-1-옥탄올, 2-부틸-1-옥탄올, 8-페닐-1-옥탄올, 1-노난올, 2-노난올, 3-노난올, 5-노난올, 2-메틸-노난올, 2,4-디메틸-노난올, 2-페닐-노난올, 1-데칸올, 2-데칸올, 4-데칸올, 6-에틸-데칸올, 1,2-에타네디올, 1,2-프로파네디올, 2-메톡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1-프로폭시-2-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은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는 도장된 페인트의 99.5중량%이상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따르면,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및 물 20-70중량%를 포함함으로써, 기재에 도장된 페인트에 대한 박리력이 뛰어나고, 수용액으로 화재에 대한 위험성이 적으며, 조성물 내에 휘발성 할로겐 물질이 없으므로 오존층 파괴 및 인체에 대한 환경 안정성이 우수하고, 비휘발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한 박리제는 여과과정을 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박리조에서 페인트와 박리액이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세정수의 필요량이 적고, 발생 폐수의 양이 적어서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은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및 물 20-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최적의 함량으로 포함됨으로써 박리력이 우수하고 화재에 대한 위험성이 적으며, 환경 안정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경제적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침투제는 도장된 페인트의 가교결합을 절단하여 크랙을 형성하여 팽균제,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가 도장된 페인트의 하부까지 용이하게 침투하여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박리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알칼리 침투제는 전체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의 10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1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알칼리 침투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제 조성물이 견고하게 경화된 도막으로 침투가 용이하지 않아 도막 상에 충분한 크랙이 생기지 않으므로 박리제 조성물의 박리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3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수분에 대한 해리도가 떨어져서 침투제로 역할이 저하되어 크랙 발생이 더디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팽윤제는 기재에 도장된 페인트 내부로 침투하여 페인트를 팽윤시킴으로써 기재로부터 페인트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박리제의 pH를 일정 수준으로 안정하게 유지하여 페인트의 잔류물이 침전되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당업자들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면 유기용매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알칸올 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 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팽윤제는 전체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의 10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팽윤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페인트가 기재 표면에서 완전히 박리되지 않고 일부 잔존하게 되고, 이렇게 미박리된 작은 입자 또는 박막들이 재생기재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박리액의 용액 점도가 증가하여 크랙 사이로 침투해 들어가는 양이 적고 침투속도가 느려져 박리시간이 더 소요되어 박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팽윤제의 유화 및 박리성을 높이고, 물에 의한 세정성 및 박리제의 상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평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4 내지 20인 비이온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지방산 알카놀아민(fatty acid alkanolamine),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폴리에틸렌 알킬 에테르(polyethylene alkyl ethe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액이 상분리되어 박리 특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박리액의 점도가 상응하여 박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거품이 많이 발생하여 취급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팽윤제, 계면활성제 및 물의 3 성분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에멀젼의 상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탄소수가 8 내지 30인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1-옥탄올, 2-옥탄올, 3-옥탄올, 4-옥탄올, 3,7-디메틸-1-옥탄올, 2-부틸-1-옥탄올, 8-페닐-1-옥탄올, 1-노난올, 2-노난올, 3-노난올, 5-노난올, 2-메틸-노난올, 2,4-디메틸-노난올, 2-페닐-노난올, 1-데칸올, 2-데칸올, 4-데칸올, 6-에틸-데칸올, 1,2-에타네디올, 1,2-프로파네디올, 2-메톡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1-프로폭시-2-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알코올은 전체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의 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3중량%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알코올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박리액이 상분리되어 용액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박리된 페인트들이 기재에 재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박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은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이 알칼리 침투제 및 팽윤제와 함께 박리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전체 페인트 박리제 1 내지 5중량% 포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의 첨가하여 박리력 향상의 효과를 미미하게 할 수 있으며, 5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박리제 조성물의 에멀젼 상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제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물성측정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페인트 박리제 조성 및 물성측정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1) 박리력 측정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을 115℃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여 제거된 페인트 무게를 측정하여 박리력을 하기 표 1에 따라 평가하였다.
상 태 페인트 제거율(%)
◎ : 매우 양호 99.5
○: 양호 95.5 ~ 99.4
△ : 다소 나쁨 90.5 ~ 95.4
X : 나쁨 90.4 미만
(2) 용액 안정성
용액 안정성은 페인트 박리제를 130℃에서 30분간 페인트 박리에 사용한 후 1시간 방치 후 페인트 박리제의 상분리 여부를 확인하여 테스트하였으며, 상분리가 일어난 것을 ‘불량’,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인 것을 ‘양호’로 기재하였다.
(3) pH 측정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제를 25℃에서 pH meter(ORION-162 PH-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인화성
본 발명의 페인트 박리제를 종이시편(5㎝ x 10㎝)에 흠뻑 적신 후 액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방치한 다음 종이시편의 한쪽 끝을 착화하는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착화 즉시 발화될 경우 ‘고’, 액이 증발되고 마른 상태에서 발화될 경우를 ‘저’로 기재하였다.
(5) 페인트 재부착성
페인트 재부착성은 페인트를 5중량% 되도록 페인트 박리제에 혼합하고 25℃에서 20분 분산시킨다. 이 용액에 완전히 박리된 범퍼시편(지름 2㎝)을 10개를 집어넣고 130℃으로 승온시켜 20분 동안 유지시킨 다음 범퍼 시편을 물로 스프레이 세척하여 건조한다. 그리고 범퍼시편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페인트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를 ‘미부착’, 페인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부착’으로 기재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L 비이커에 알칼리 침투제(가성가리(수산화칼륨)95%, 유니드, KOH) 15g, 팽윤제(모노에탄올아민, 산전시약, Monoethanolamine) 29g, 알코올(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한농화성, Die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10g, 계면활성제(Koremul-LE-9, 한농화성, Polyethylene lauryl ether) 1g, DI water 45g을 첨가하고, 25℃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상온에서 냉각시켜 페인트 박리제를 준비하고,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2-6]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침투제, 팽윤제, 알코올, 계면활성제,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7]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침투제, 팽윤제, 알코올, 계면활성제,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키고, 첨가제로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2-methoxyethylacetate, Aldrich) 2g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8]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침투제, 팽윤제, 알코올, 계면활성제,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키고, 첨가제로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2-ethoxyethylacetate, Aldrich) 2g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제조사) 100g을 사용하여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제조사) 95g 및 메탄올(Methanol, 제조사) 5g을 사용하여,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제조사) 90g 및 메탄올(Methanol, 제조사) 10g을 사용하여,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4]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침투제를 사용하지 않고,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5]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팽윤제를 사용하지 않고,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6]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7]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비교예 8]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침투제, 팽윤제, 알코올, 계면활성제, DI water의 함량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상기 페인트 박리제에 우레탄 아크릴계 페인트가 5중량%로 도장된 직경이 2cm인 시편의 박리력을 시험하였다.
[표 2]
Figure 112012041341099-pat00001
[표 3]
Figure 112012041341099-pat0000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8은 실시예 1 내지 8에 비하여 박리력 및 용액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의 페인트 박리제는 박리력, 용액안정성이 우수하고, 인화성도 낮으며, 박리된 페인트가 시편에 재부착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한 박리제를 간단한 방법으로 여과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면서도 박리력이 우수한 신규한 박리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8)

  1. 알칼리 침투제 10-30중량%, 팽윤제 10-50중량%, 계면활성제 0.1-10중량%, 알코올 1-20중량%, 물 20-70중량% 및 2-메톡시에틸아세테이트 또는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1-5중량%를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침투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또는 모노이소프로판올 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평균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값이 4 내지 20인 비이온계면활성제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1-옥탄올, 2-옥탄올, 3-옥탄올, 4-옥탄올, 3,7-디메틸-1-옥탄올, 2-부틸-1-옥탄올, 8-페닐-1-옥탄올, 1-노난올, 2-노난올, 3-노난올, 5-노난올, 2-메틸-노난올, 2,4-디메틸-노난올, 2-페닐-노난올, 1-데칸올, 2-데칸올, 4-데칸올, 6-에틸-데칸올, 1,2-에타네디올, 1,2-프로파네디올, 2-메톡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또는 1-프로폭시-2-프로판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페인트 박리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박리제는 기재에 도장된 페인트의 99.5중량%이상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박리제.
KR1020120054850A 2012-05-23 2012-05-23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KR10120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50A KR101207501B1 (ko) 2012-05-23 2012-05-23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50A KR101207501B1 (ko) 2012-05-23 2012-05-23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501B1 true KR101207501B1 (ko) 2012-12-03

Family

ID=4790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850A KR101207501B1 (ko) 2012-05-23 2012-05-23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5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786B1 (ko) * 2015-05-21 2015-12-24 주식회사 에스제이켐 페인트 박리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KR2016013161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케이엔에이치 디지털 프린팅 섬유의 코팅제 제거방법
KR20190043948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박리성 도료 세정제 조성물
KR20200107004A (ko) 2019-03-05 2020-09-16 주식회사 조은기업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페인트 박리제, 녹제거제, 탈지제 제조방법
KR102228307B1 (ko) 2019-09-17 2021-03-15 유효진 범퍼 분쇄물 페인트 박피기
KR20210037031A (ko) 2019-09-26 2021-04-06 김용민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7737A (en) 1973-11-05 1977-10-05 Nat Res Dev Paint removers
US20060258555A1 (en) 2005-05-12 2006-11-16 The Lubrizol Corporation Oil-in-water emulsified remo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7737A (en) 1973-11-05 1977-10-05 Nat Res Dev Paint removers
US20060258555A1 (en) 2005-05-12 2006-11-16 The Lubrizol Corporation Oil-in-water emulsified remov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614A (ko) *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케이엔에이치 디지털 프린팅 섬유의 코팅제 제거방법
KR101682987B1 (ko) 2015-05-08 2016-12-07 주식회사 케이엔에이치 디지털 프린팅 섬유의 코팅제 제거방법
KR101579786B1 (ko) * 2015-05-21 2015-12-24 주식회사 에스제이켐 페인트 박리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리 방법
KR20190043948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박리성 도료 세정제 조성물
KR102136303B1 (ko) * 2017-10-19 2020-07-2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박리성 도료 세정제 조성물
KR20200107004A (ko) 2019-03-05 2020-09-16 주식회사 조은기업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페인트 박리제, 녹제거제, 탈지제 제조방법
KR102228307B1 (ko) 2019-09-17 2021-03-15 유효진 범퍼 분쇄물 페인트 박피기
KR20210037031A (ko) 2019-09-26 2021-04-06 김용민 해머형 이물질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01B1 (ko) 페인트 박리제 조성물 및 페인트 박리제
CN107760459B (zh) 一种用于玻璃uv拉丝后清洗的清洗剂
CN110791389B (zh) 一种除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118811A (zh) 高渗透、高油水分离性环保型工序防锈油
CN104450280A (zh) 一种二极管半导体专用清洗液
CN104726238A (zh) 不干胶清除剂
JP2007284648A (ja) 自動車合わせガラスの中間膜のポリビニルプチラール樹脂の処理法。
CN107652749A (zh) 一种uv油墨环保清洗剂及其制备方法
CN103525590A (zh) 一种环保型脱胶剂及其制作工艺
CN110819158A (zh) 一种高效环保无毒水性脱漆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7474625B (zh) 一种无腐蚀无划伤金属脱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98243B1 (ko) 고점도 금속 가공유용 세정 조성물
CN109652166B (zh) 一种挥发性免清洗拉伸油及其制备方法
KR102280544B1 (ko) 은 나노입자를 이용한 페인트 박리제, 녹제거제, 탈지제 제조방법
JP2013509482A (ja) 平板表示装置のガラス基板用洗浄剤組成物
CN103525166A (zh) 一种新型乳液油墨清洗剂及其制备方法
CN107502033B (zh) 一种摩擦性水基环保漆层清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865315A (zh) 用于清洗印刷油墨的清洗剂及其制备方法
KR102521431B1 (ko) 박리제 조성물
JP2014105253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剥離剤
CN114456881B (zh) 一种环保型高效清洗剂及其制备方法
US20060236594A1 (e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reating pollution
CN105420745A (zh) 一种改进的洗涤剂组合物
CN108774590A (zh) 一种smt治具洗净液及其制备方法
JP2011068858A (ja) 洗浄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