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421B1 -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421B1
KR102073421B1 KR1020190038833A KR20190038833A KR102073421B1 KR 102073421 B1 KR102073421 B1 KR 102073421B1 KR 1020190038833 A KR1020190038833 A KR 1020190038833A KR 20190038833 A KR20190038833 A KR 20190038833A KR 102073421 B1 KR102073421 B1 KR 10207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falling
foreign matter
rak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영
윤현영
Original Assignee
(유)현영
유한회사 숲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영, 유한회사 숲으로 filed Critical (유)현영
Priority to KR102019003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원은 낙하되는 골재가 걸름회전부재의 원통형상의 회전통에 부딪쳐 가루나 미세 먼지분 등을 비산시키어 분리하면서 골재 중에 포함된 헝겊이나 비닐 등은 걸름회전부재의 걸름봉을 이용하여 이물질저류조로 보내지도록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얻고자 하는 관련기술이다.
본원은 파쇄된 후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시키기 위한 이물질 분리장치에서, 낙하 가이드부재와 이물질저류조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걸름회전부재가 원통형의 회전통과 회전통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걸름봉이 장착되고 송풍수단에 의해 파쇄골재 중에 포함되었던 이물질이 담겨지도록 제공되는 이물질저류조의 단부에 통과공이 형성된 레이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물질 분리장치를 이루어서, 송풍수단의 송풍덕트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면서 골재 배출구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걸름회전부재의 회전통에 부딪치면서 골재에 포함된 미세분을 털어낸 후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재 내측면을 따라 선별골재로 분류되어 이송되고, 헝겊, 비닐 등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은 걸름회전부재의 걸름봉에 걸려 회전되면서 이물질저류조 단부에 부착된 레이크에 걸려 이물질을 털어내는 구성의 이물질 분리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WASTE USING FALL AND WIND POWER}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토목 공사물은 노후화 및 기능의 현저한 저하와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인해 구조물이 해체되고, 이에 따라 해체된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건설폐기물은 건축, 토목 공사물 등 구조물의 해체작업에서 쓰레기, 폐자재 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등으로서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하고 곤란하다.
그러나,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실질적인 산업자재로의 재활용이 가능케 함으로써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 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하는 요구가 있다.
건설폐기물 처리업계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차원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고안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방법인 파쇄와 선별, 세척 과정을 통해 폐기물의 혼합물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유용자재만을 분리하여 재생한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제활용 적용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전체적으로 여러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에서 구성수단의 적절치 못한 배치에 의해 자동화된 골재의 정밀 선별이 곤란하였고, 스크린과 컨베이어의 내구성을 현저히 약화시킴은 물론 잦은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을 유발하였으며,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는 다시 폐수처리를 실시하여 방류시켜야 하는 문제점으로 현장적응성이 떨어지는 폐단을 수반하였다.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기 위해 도 1a에서는 종래기술에 적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건설폐기물은 폐토사, 폐종이, 폐목재, 폐비닐, 폐섬유, 폐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혼합폐기물로서 건설폐기물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폐비닐, 폐섬유, 폐플라스틱 등을 인력선별(111)과정에서 선별하고, 1차 죠크러셔(112)와 진동체선별(113)을 통해 건설잔토를 선별한다.
또한 2차 죠크러셔(114) 혹은 각종 크러셔와 풍력선별(115)을 통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폐비닐, 폐플라스틱이나 폐스치로폼 등을 선별하고, 콘크러셔(116)와 진동체선별(117)에 의해 최종적으로 재활용되는 재생굵은 골재와 이물질로 선별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건설폐기물들 중 비닐, 플라스틱, 목재, 스치로폼을 제각각 선별할 수 있다면 재생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혼합폐기물은 각기 혼합되어 서로 혼합된 상태로 선별되므로 소각처리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소각의 경우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공기를 오염시키고 소각재와 같은 2차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간혹 최종 처리장에 매립할 경우 토양을 오염시키고 최종처리장의 용량을 저감시키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어 왔으므로 현재로서는 민원의 대상이 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설잔토는 1차 죠크러셔에 의한 파쇄 후 진동체 등을 이용한 선별과정에서 선별되는 것으로서 폐토사와 각종 혼합폐기물이 혼재되어 있어 매립용으로 사용될 뿐 건설용이나 조경공사 등의 객토용으로 사용되지 못하여 혼합폐기물의 처리가 건설폐기용 업계의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선별된 재생골재에는 나무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는 데, 이러한 재생골재와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시스템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생골재와 이물질(121)을 롤크러셔(122)와 샌드밀(123)에 의해 분쇄시키고, 수조(124)를 통해 물에 뜨는 부유물을 선별하며, 잔골재(125)를 필터프레스(126)를 통해 재생잔골재와 이물질(127) 및 이물질케이크(128)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러나 재생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나무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은 풍력선별이나 수중 부유선별에서 선별되도록 하더라도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이 습윤상태일 경우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생골재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콘크리트용이나 아스콘용으로 사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콘크러셔에 의해 파쇄된 재생골재는 입도분포가 불량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10-0730688호 기술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로서 파쇄수단을 통해 파쇄된 순환골재를 분산 공급하는 슈트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구동/종동 풀리,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며 표면이 실리콘 코팅된 다수의 이물질 선별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산슈트에서 분산 공급되는 순환골재와 이물질 중 상기 순환골재는 상기 이물질 선별봉 사이로 낙하하고 상기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선별봉에 부착되어 상기 분산슈트의 반대측으로 이송하는 이물질 선별 컨베이어와 상기 이물질 선별 컨베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물질 선별봉의 표면을 긁어 상기 이물질 선별봉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와 상기 이물질 선별 컨베이어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 선별 컨베이어에 물을 분무하여 상기 이물질 선별봉의 부착력을 증대하는 물분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도 물세척공정이 실시되므로 폐수를 발생하는 2차적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건설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분류할 때 폐비닐 등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 등록특허 10-1915279호에서는 건식 처리기술을 통한 폐비닐의 재활용 공법에서 생활 폐기물로부터 폐비닐을 선별하고 선별된 폐비닐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고 사이클론 집진기를 통해 상기 분쇄된 폐비닐을 집진하며 집진된 폐비닐의 표면을 털이개를 통해 털어내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철물이 제거된 폐비닐을 압축기를 통해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비닐의 재활용 공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복잡한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건설폐기물로부터 이물질을 선별하는 공정에서는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의 폐섬유는 별도의 인력이 투입되어 사람이 눈에 보이는 큰 사이즈의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일일히 집어내어 분리하는 공법이 적용되어 왔으나 현재의 높아진 인건비 상황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서 시급한 별도의 대체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수세시킨 상태의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낙차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으로 낙하되는 골재가 걸름회전부재의 원통형상의 회전통에 부딪쳐 가루나 미세 먼지분 등을 비산시키어 분리하면서 골재 중에 포함된 헝겊이나 비닐 등은 걸름회전부재의 걸름봉을 이용하여 이물질저류조로 보내지도록 적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고품질의 골재를 얻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낙차에너지와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는 파쇄된 후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시키기 위한 이물질 분리장치 관련 기술에서는 이물질이 포함된 파쇄골재 혼합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1)의 골재 배출구(12)가 설치되고, 상기 골재 배출구(12)의 저부 위치에서 낙하되는 골재를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낙하 가이드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낙하 가이드부재(20)의 상단부(21)와 골재 배출구(12) 사이에 위치되어 골재 배출구(12)에서 낙하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켜 선별골재와 이물질을 분리시키도록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덕트(31)를 포함하는 송풍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부재(20)와 레이크(50)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걸름회전부재(40)가 원통형의 회전통(41)과 회전통(41)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걸름봉(42)이 장착되도록 설치되며, 송풍수단(30)에 의해 파쇄골재 중에 포함되었던 이물질이 담겨지도록 제공되는 이물질저류조(90)의 단부에 통과공(51)이 형성된 레이크(5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물질 분리장치를 이루는 구성을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상기 송풍수단(30)의 송풍덕트(31)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면서 골재 배출구(12)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에 부딪치면서 골재에 포함된 미세분을 털어낸 후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재(20) 내측면을 따라 선별골재로 분류되어 이송된다.
또한 송풍수단(30)에 의해 비산된 헝겊, 비닐 등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은 걸름회전부재(40)의 걸름봉(42)에 걸려 회전되면서 이물질저류조(90) 단부에 부착된 레이크(50)에 걸려 이물질을 털어낸 후 회전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에서 상기 걸름회전부재(40)의 걸름봉(42)은 회전통(41)에 스프링(43)의 연결부로 이루어져서 탄력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이크(50)는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 외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걸름봉(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51)을 형성하여 회전통(41)이 회전하면서 걸름봉(42)에 걸려있던 헝겊이나 비닐 등을 분리시킨 후 회전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은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여 분리시키기 위한 이물질 분리방법에서, 이물질이 포함된 파쇄골재 혼합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1)의 골재 배출구(12)가 설치되고, 상기 골재 배출구(12)의 저부 위치에서 낙하되는 골재를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낙하 가이드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낙하 가이드부재(20)의 상단부(21)와 골재 배출구(12) 사이에 위치되어 골재 배출구(12)에서 낙하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켜 선별골재와 이물질을 분리시키도록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덕트(31)를 포함하는 송풍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낙하 가이드부재(20)와 레이크(50)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걸름회전부재(40)가 원통형의 회전통(41)과 회전통(41)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걸름봉(42)이 장착되도록 설치되며, 송풍수단(30)에 의해 파쇄골재 중에 포함되었던 이물질이 담겨지도록 제공되는 이물질저류조(90)의 단부에 레이크(5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물질 분리장치를 이루고, 상기 송풍수단(30)의 송풍덕트(31)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면서 골재 배출구(12)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에 부딪치면서 골재에 포함된 미세분을 털어낸 후 자중에 의해 가이드부재(20) 내측면을 따라 선별골재로 분류되어 이송되는 단계 및 송풍수단(30)에 의해 비산된 헝겊, 비닐 등의 부피를 갖는 이물질은 걸름회전부재(40)의 걸름봉(42)에 걸려 회전되면서 이물질저류조(90) 선단부에 부착된 레이크(50)의 통과공(51)에 걸려 이물질을 털어낸 후 회전되도록 적용되는 단계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골재분산이송수단(10), 낙하가이드부재(20), 걸름회전부재(40)와, 레이크(50) 및 이물질저류조(90)의 상단은 가능한 한 밀봉된 구조로 차단공간실(60)을 형성하고 차단공간실(60)의 상부쪽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의 타단이 집진흡입장치(70)와 연결되어 분진을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통하여 미세먼지배출에 대한 민원문제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본원 기술구성에 의한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이송되어 낙하되는 골재가 낙하에너지 및 풍압에 의해 부딪쳐 1차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미세분 및 스치로폼 등을 털어내면서 비산되고 낙하되는 골재는 다시 걸름회전부재에 부딪치며 충격에 의해 골재에 잔존하는 미세분이 털어져 비산되면서 동시에 헝겊이나 부직포, 물기 젖은 비닐 등은 골재의 낙하과정에서 걸러낼 수 있는 수단에 의해 고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의 기술이 적용되는 이물질 분리장치는 현장여건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파쇄골재 혼합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나 이물질 제거 공간에 형성하는 차단공간실에 집진흡입장치에 연결되어 차단공간실에서 발생하는 분진,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배출공정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걸름회전부재 및 레이크의 결합수단을 보인 예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괄적 공정도를 나나탠 것으로 종래기술란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걸름회전부재 및 레이크의 결합수단을 나타낸 적용예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골재분산이송수단(10)과, 낙하가이드부재(20)와, 송풍수단(30)과, 걸름회전부재(40)와, 레이크(50)와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본원에서 골재분산이송수단(10)은 이물질이 포함된 파쇄골재 혼합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1)의 골재 배출구(12) 하단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나 이 부분은 종래기술에서도 모두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고 고압으로 불어주는 송풍덕드(31)의 공기분사압을 골고루 분배하여 이물질 분리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골재 배출구(12) 저부가 확산되면서 산과 골의 미세 요철형으로 형성되어 골재를 분산 이송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낙하가이드부재(20)는 판체 형상을 이루어 상기 골재 분산이송수단(10)에서 낙하되는 골재를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여 낙하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낙하되는 골재가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골재 배출구(12)와 낙하 가이드판(20) 사이의 간극부 내측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낙하 가이드부재(20)의 상단부(21)에 내측으로 설치되는 송풍덕드(31)를 통해 송풍하여 낙하되는 골재에 포함된 가루나 먼지 등을 비산시키어 제거하도록 기능하는데 송풍덕드(31)의 공기압 분사구가 골재 배출구(12)의 낙하폭을 수용하도록 넓게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원 기술에서 가장 특징부를 이루는 걸름회전부재(40)는 낙하 가이드부재(20)와 레이크(50) 사이에 위치되어 원통형의 회전통(41)과 회전통(41)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걸름봉(42)이 장착된 구성으로 걸름회전부재(40)가 설치될 때 낙하 가이드부재(20)에 걸름봉(42)이 근접되도록 위치되게 하여 낙하되는 골재가 원통형의 회전통(41)와 부딪치며 자중에 의해 골재 중에 붙어있는 미분을 털어내고 회전통(41)을 넘지 않고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도록 적용된다.
또한, 종래의 건설폐기물 골재 재활용과정에서 종래에는 일일이 사람의 손길로 찢겨진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을 분리하였으나 본원에서는 습기를 함유한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의 벌크물이 회전통(41)에 장착된 다수개의 걸름봉(42)에 걸려 회전하다가 이물질저류조(90) 단부에 부착된 레이크(50)를 지날 때 레이크의 통과공(51) 사이를 걸름봉(42)이 지나면서 걸름봉(42)에 걸려 있던 폐비닐이나 부직포 등의 이물질을 털어낸 후 회전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걸름봉(42)은 회전통(41)에 스프링(43)의 연결로 탄력성을 갖도록 설치하여 회전 시 낙하되는 골재와 부딪칠 때 걸름봉(42)에 충격을 완충시키어 파손 등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물질저류조(90) 단부에 설치된 레이크(50)의 통과공(51)을 탄성을 갖고 회전되므로 장치의 고장원인을 사전 제거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크(50)는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 외측면에 가까이 근접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위치하는 걸름봉(42)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51)을 형성하여 회전통(41)이 회전하면서 걸름봉(42)에 의해 걸려지는 헝겊이나 부직포 등이 레이크(50)에 걸려 분리된다.
한편,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작업과정에는 폐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분리공정이 수행될 때 상기 골재분산이송수단(10)과, 낙하가이드부재(20)와, 걸름회전부재(40)와, 레이크(50), 이물질저류조(90) 내부 공간에는 비산되는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외부로 확산 배출되지 않도록 골재분산이송수단(10)과, 낙하가이드부재(20)와, 걸름회전부재(40)와,레이크(50), 이물질저류조(90)를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차단공간실(60)을 형성하고 차단공간실(60)의 배출구쪽이 집진흡입장치(70)에 연결하여 분진을 제거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집진흡입장치(70)는 굵은 입자분을 저부로 하강시켜 걸러내는 싸이클론(71)과, 상기 싸이클론(71)에서도 가라않지 않는 미립분은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집진기(72)와, 상기 집진기(72)에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진공펌프 또는 흡입송풍기(73)를 갖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대하여 상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골재파쇄기 및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파쇄골재 혼합물이 골재 분산이송수단(10)에 의해 산과 골의 미세 요철형으로 형성되어 골재를 분산 이송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낙하되는 골재가 낙하 가이드부재(20)를 따라 낙하되는 과정에서 낙하 가이드부재(20)의 상측 위치에서 송풍수단(30)의 작동으로 송풍덕트(31)를 통해 송풍으로 골재에 포함된 가루나 먼지 등을 외측으로 비산시키며 분리될 때 미세한 비닐, 미세한 부스러기, 스티로품 등은 고압으로 불어주는 풍압에 의해 걸름회전부재(40)를 오버(over)하여 건너편 바닥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저류조(90)로 모아지게 되고, 그리고 일정 입도크기와 비중을 갖고 낙하되는 골재가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는 걸름회전부재(40)에 부딪치면서 낙하되는 과정에서 골재자체에 포함되어 있던 가루 및 미세분이 걸름회전부재(40)의 원통형 회전통(41)에 부딪치며 분리됨과 동시 송풍수단(30)에 의해 비산되고 동시에 골재에 포함되는 일정부피를 갖고 송풍수단(30)의 풍압에 의해 회전통(41)을 통과하지 못한 폐비닐, 헝겊 조각, 부직포 등은 회전통(4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름봉(42)에 걸려져서 이물질저류조(90)로 이송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즉, 걸름봉(42)에 걸려진 헝겊 조각, 부직포 등은 이물질저류조(90)의 선단부에 마련된 레이크(50)에 형성한 통과공(51)을 걸름봉(42)이 통과할 때 걸름봉(42)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걸름봉(42)에 걸린 헝겊조각 등이 레이크(50)에 걸려지는 상태에서도 그대로 끌고 갈 때 걸림봉(42)에 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걸름봉(42)이 탄성스프링(43)에 의해 탄력적으로 꺾이면서 빠져나가고 헝겊조각 등은 레이크(50)에 걸려 분리되면서 외측의 이물질저류조(90)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적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송되어 낙하되는 골재가 낙하에너지 및 풍압에 의해 부딪쳐 1차적으로 비중이 가벼운 미세분 및 스치로폼 등은 처음부터 이물질저류조(90)로 보내지도록 적용되고, 낙하되는 골재는 다시 걸름회전부재(40)의 원통형 회전통(41)에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골재에 잔존하는 미세분이 털어져 비산되어 분리시키고, 그동안 사람의 수작업으로 제거하던 헝겊이나 부직포, 물기 젖은 비닐 등은 골재의 낙하과정에서 걸름봉(42)으로 끌고가서 레이크(50)의 통과공(51)을 지나면서 헝겊조각 등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골재분산이송수단 11 : 컨베이어벨트
12 : 골재배출구 20 : 낙하가이드부재
21 : 가이드부재 상단부 30 : 송풍수단
31 : 송풍덕트 40 : 걸름회전부재
41 : 회전통 42 : 걸름봉
43 : 스프링 50 : 레이크
51 : 통과공 60 : 차단공간실
70: 집진흡입장치 71 : 싸이클론
72 : 집진기 73 : 흡입송풍기
80 :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 90 : 이물질저류조

Claims (5)

  1. 파쇄된 골재를 골재분산이송수단(10)과 낙하가이드부재(20)와 송풍수단(30)과 걸름회전부재(40)와 레이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는 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재분산이송수단(10)은 파쇄된 골재혼합물이 컨베이어벨트(11)에 의해 이송되는 골재배출구(12) 하단부로 배출될 때 골재배출구(12) 저부가 확산되며 산과 골의 미세 요철형을 이루며 골재 분산효과를 얻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낙하가이드부재(20)는 판체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골재분산이송수단(10)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송풍수단(30)은 골재배출구(12)와 낙하가이드부재(20) 사이 내측부에 위치하여 낙하가이드부재(20)의 상단부(2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덕드(31)를 통해 송풍되는 풍력이 낙하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켜 제거하도록 송풍덕드(31)의 공기압분사구가 골재배출구(12)의 낙하폭을 넓게 수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걸름회전부재(40)는 원형의 회전통(41)과 걸름봉(42)으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걸름봉(42)이 회전통(41)에 설치될 때 스프링(43) 연결구조로 탄력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회전통(41) 회전 시 낙하되는 골재와 부딪칠 때 걸름봉(42)에 충격을 완충시켜 파손우려를 방지하도록 낙하가이드부재(20)와 레이크(50) 사이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낙하되는 골재가 원통형의 회전통(41)와 부딪치며 자중에 의해 골재 중에 붙어있는 미분을 털어내고 회전통(41)을 넘지 않고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도록 하고, 낙하되는 골재 중 일정부피를 갖는 폐비닐, 헝겊, 부직포는 회전통(41)에 형성된 걸름봉(42)에 의해 이물질저류조(90)로 유도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레이크(50)는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 외측면에 근접 설치될 때 회전통(4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름봉(42)이 회전하면서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51)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회전통(41)이 회전하면서 걸름봉(42)에 걸린 폐비닐, 헝겊, 부직포가 레이크(50)의 통과공(51)에 걸려 분리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파쇄된 골재를 골재분산이송수단(10)과 낙하가이드부재(20)와 송풍수단(30)과 걸름회전부재(40)와 레이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하는 골재의 이물질 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골재분산이송수단(10)은 파쇄된 골재혼합물이 컨베이어벨트(11)에 의해 이송되는 골재배출구(12) 하단부로 배출될 때 골재배출구(12) 저부가 확산되며 산과 골의 미세 요철형을 이루며 골재 분산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단계;
    상기 낙하가이드부재(20)는 판체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골재분산이송수단(10)에서 낙하되는 골재가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는 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단계;
    상기 송풍수단(30)은 골재배출구(12)와 낙하가이드부재(20) 사이 내측부에 위치하여 낙하가이드부재(20)의 상단부(2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덕드(31)를 통해 송풍되는 풍력이 낙하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켜 제거하도록 송풍덕드(31)의 공기압분사구가 골재배출구(12)의 낙하 폭을 넓게 수용하는 구조를 이루어 분리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단계;
    상기 걸름회전부재(40)는 원형의 회전통(41)과 걸름봉(42)으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걸름봉(42)이 회전통(41)에 설치될 때 스프링(43) 연결구조로 탄력성을 갖도록 설치되어 회전통(41) 회전 시 낙하되는 골재와 부딪칠 때 걸름봉(42)에 충격을 완충시켜 파손우려를 방지하도록 낙하가이드부재(20)와 레이크(50) 사이 위치에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낙하되는 골재가 원통형의 회전통(41)와 부딪치며 자중에 의해 골재 중에 붙어있는 미분을 털어내고 회전통(41)을 넘지 않고 선별골재이송컨베이어(80)로 유도되도록 하고, 낙하되는 골재 중 일정부피를 갖는 폐비닐, 헝겊, 부직포는 회전통(41)에 형성된 걸름봉(42)에 의해 이물질저류조(90)로 유도되도록 적용되며 분리효과를 높이도록 적용되는 단계; ,
    상기 레이크(50)는 걸름회전부재(40)의 회전통(41) 외측면에 근접설치될 때 회전통(41)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름봉(42)이 회전하면서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51)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어서 회전통(41)이 회전하면서 걸름봉(42)에 걸린 폐비닐, 헝겊, 부직포가 레이크(50)의 통과공(51)에 걸리도록 하여 분리효과를 얻도록 적용되는 단계;
    상기 걸름회전부재(40) 및 이물질저류조(90)의 상단이 밀봉구조로 차단공간실(60)을 형성하고 차단공간실(60)의 배출구 쪽에서 집진흡입장치(70)와 연결되어 분진을 제거하도록 적용되는 단계;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방법.
  5. 삭제
KR1020190038833A 2019-04-03 2019-04-03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7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33A KR102073421B1 (ko) 2019-04-03 2019-04-03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833A KR102073421B1 (ko) 2019-04-03 2019-04-03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421B1 true KR102073421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833A KR102073421B1 (ko) 2019-04-03 2019-04-03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42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757B1 (ko)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KR102218678B1 (ko) * 2020-08-31 2021-02-22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 분진제거장치
CN112718442A (zh) * 2021-01-11 2021-04-30 江苏永蓝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粮食装仓清理筛机
KR102350715B1 (ko) 2021-04-27 2022-01-21 (유)금강환경 풍력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 선별 장치
CN115228336A (zh) * 2022-07-08 2022-10-25 扬州日兴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壳寡糖的快速溶解装置
KR20230042819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KR102601495B1 (ko) 2023-04-28 2023-11-14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풍력 및 회전드럼을 이용한 건설폐토석 3종 분류 시스템
CN117840039A (zh) * 2024-03-06 2024-04-09 杭州民泰(亳州)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碎裂风选装置及中药饮片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9A (ja) * 1995-06-22 1997-01-07 Nippon Spindle Mfg Co Ltd 破袋された袋と缶瓶類との選別装置
KR100582028B1 (ko) *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KR100870621B1 (ko) *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20110016524A (ko) * 2009-08-12 2011-02-18 에코랜드 주식회사 갈퀴식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79A (ja) * 1995-06-22 1997-01-07 Nippon Spindle Mfg Co Ltd 破袋された袋と缶瓶類との選別装置
KR100582028B1 (ko) *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KR100870621B1 (ko) * 2007-06-22 2008-11-27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브러시 컨베이어와 비중분리에 의하여 토사 및 골재에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20110016524A (ko) * 2009-08-12 2011-02-18 에코랜드 주식회사 갈퀴식 선별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757B1 (ko)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KR102218678B1 (ko) * 2020-08-31 2021-02-22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 분진제거장치
CN112718442A (zh) * 2021-01-11 2021-04-30 江苏永蓝粮食机械有限公司 一种粮食装仓清理筛机
KR102350715B1 (ko) 2021-04-27 2022-01-21 (유)금강환경 풍력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 선별 장치
KR20230042819A (ko)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용 진동 스크린
CN115228336A (zh) * 2022-07-08 2022-10-25 扬州日兴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壳寡糖的快速溶解装置
CN115228336B (zh) * 2022-07-08 2023-09-08 扬州日兴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壳寡糖的快速溶解装置
KR102601495B1 (ko) 2023-04-28 2023-11-14 주식회사 대진에코텍 풍력 및 회전드럼을 이용한 건설폐토석 3종 분류 시스템
CN117840039A (zh) * 2024-03-06 2024-04-09 杭州民泰(亳州)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碎裂风选装置及中药饮片加工工艺
CN117840039B (zh) * 2024-03-06 2024-06-11 杭州民泰(亳州)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碎裂风选装置及中药饮片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421B1 (ko) 풍력을 이용한 골재의 이물질 분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20150145726A (ko) 자연 건조과정을 적용한 매립된 가연성 쓰레기의 대량 연료화 선별시스템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20100110051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06454B1 (ko) 건식모래선별장치
CN113102023A (zh) 一种具有粉碎和磁力分选功能的建筑垃圾加工装置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208071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세척이 가능한 폐기물 풍력선별장치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100639826B1 (ko) 참빗살을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JP4046866B2 (ja) 掘削残土・汚泥の土質別分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CN214132654U (zh) 一种沙土分离机构
KR20030078844A (ko)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JP3191023U (ja) ふるい下残渣の乾式精選選別システム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CN112657840A (zh) 一种生活垃圾分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