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739A -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 Google Patents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739A
KR20210035739A KR1020200116124A KR20200116124A KR20210035739A KR 20210035739 A KR20210035739 A KR 20210035739A KR 1020200116124 A KR1020200116124 A KR 1020200116124A KR 20200116124 A KR20200116124 A KR 20200116124A KR 20210035739 A KR20210035739 A KR 20210035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ener
oil
present
produc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603B1 (ko
Inventor
봉효진
배정은
심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2080066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423403A/zh
Priority to PCT/KR2020/012951 priority patent/WO2021060869A1/ko
Priority to JP2022519023A priority patent/JP2022550731A/ja
Priority to TW109133177A priority patent/TW202122435A/zh
Priority to US17/754,112 priority patent/US20220287950A1/en
Publication of KR2021003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8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bond to sulfur or by a hertocyclic ring containing sulfur;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는 수분상에서 팽윤(swelling)되어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입자가 분산되어 외관이 투명하고 안정성도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Thickener with fine grain structure with improved usability}
본 발명은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분산 점증제는 부드럽고 두께감 있는 발림성을 가지고 마무리감이 떨어지며 많이 사용할수록 끈적임이 높은 단점을 가진다.
이에 실키한 사용감을 가지는 AMPS(Acrylamidopropylmethyl Sulfonic acid)계 점증제가 보고되고 있다. 상기 AMPS계 점증제는 일반적으로 침전 중합법에 의해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상기 침전 중합법을 통해 합성하면, 점증제 입자가 무정형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형태로 수상에 분산되고 팽윤(swelling)되어 제형의 점도를 높이고 안정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상기 침전중합법에 의해 수득된 점증제는 수상에 분산 시 불투명하여 투명 제형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제형 개발 시 한계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1. 유럽특허 1746114
본 발명은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상; 및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60℃ 이상으로 가온하여 유중수형 역상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켜 가교결합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증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중합법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는 균일한 역상 에멀전 상에서 중합 반응이 진행되도록 하여 균질한 미세 입자 형태의 점증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구상 입자 형태의 점증제는 수분상에서 팽윤(swelling)되어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입자가 분산되어 외관이 투명하고 안정성도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침전중합법에 의해 합성되는 대부분의 점증제는 무정형의 형태로 사슬이 엉킨 구조를 가지며 수상에 분산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해 제조(중합)된 점증제는 미세 입자의 형태로 수분산되어 제형 내에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 시 입자간의 물리적 결합 구조가 쉽게 무너져 발림성, 수분감, 영양감 등의 사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투명성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다.
도 2 및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구형 미세 입자의 형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입자를 비교한 사진을 나타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유변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크림의 광학 이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상; 및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60℃ 이상으로 가온하여 유중수형 역상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반응 개시제의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켜 가교결합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증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중합법을 이용하여 점증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 물,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 HLB 값이 3 내지 8인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8 내지 16인 계면활성제 2 종, 또는 HLB 값이 5 내지 7인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9 내지 11인 계면활성제 2 종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상온에서는 수중유(o/w) 에멀전 상(phase)이나, 일정 온도 이상에서 유중수(w/o) 에멀전 상(phase)로 전환되는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중합법을 이용하여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는 균일한 역상 에멀전 상에서 중합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균질한 미세 입자 형태의 점증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중합된 구상 미세 입자 형태의 점증제는 수분상에서 팽윤(swelling)되어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입자가 분산되어 외관이 투명하고 안정성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증제"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가교결합 중합체를 의미하며, 상기 가교결합 중합체가 분산된 용액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 (1)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상; 및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Acrylamidopropylmethyl Sulfonic acid, AMPS)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의 총 중량(100 중량부)에 대하여 95 내지 99.5 중량부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가교성 단량체는 2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2개 이상의 아크릴아마이드기, 또는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가교성 단량체로,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TMPETA),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디비닐설폰, 디비닐벤젠, 디비닐에테르, 디비닐아세틸렌, 폴리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콜트리아크릴레이트 및 4-arm-폴리글리콜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TMPET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MPETA는 가교점이 3개인 화합물로서 가교물의 분자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의 총 중량(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상의 용매는 물(증류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상의 pH는 5 내지 9일 수 있다. 상기 pH는 암모니아수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상은 유기용매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유기용매는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 오일일 수 있으며, 탄소수 7 내지 17의 직쇄의 포화 탄화수소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 계수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물질의 상용성 및 용해도를 결정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관례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극성 유기 용매로 헵탄(Hepta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헵탄은 끓는점이 98℃로 다른 유기용매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합 공정에서 제약을 받지 않는다. 유기용매 중 하나인 헥산(Hexane)의 경우 끓는점이 68℃이므로, 합성 온도를 60℃ 이상으로 올릴 수 없어 공정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다. 공정 시 개시제 투입과정에서 폭발적인 반응으로 인해 발열이 발생하여 반응기 내부 온도가 약 5-10℃ 올라갈 위험이 존재한다. 반응 온도의 항상성을 유지하고자 개시제를 천천히 투입하는 방법은 대량 생산 공정에 적용 시 공정 시간의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생산 단가를 높인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끓는점 이상으로 가온되면 반응물이 범핑되어 반응기가 폭발할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대량 생산 시에는 반응열 관리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기용매로 헵탄을 사용함으로써 공정 상의 제약 없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점증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6 내지 14, 7 내지 10 또는 8 내지 9일 수 있다. 이때, 총 HLB 값은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나의 계면활성제의 HLB 값을 의미하고, 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둘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HLB 값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총 HLB 값이 6 이하일 경우, 계면활성제의 강한 소수성 때문에 상온에서부터 유중수형의 역상 에멀젼으로 존재하여 전상과정 없이 중합되므로 에멀젼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총 HLB 값이 14 이상일 경우, 계면활성제의 강한 친수성 때문에 외상이 수상인 수중유형 에멀젼이 유지되어 구형 입자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조된 점증제의 무정형 상태가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계면활성제로 2 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HLB 값이 3 내지 8인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8 내지 16인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HLB 값이 5 내지 7인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9 내지 11인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3) oleyl ether, HLB = 6.6) 및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6) oleyl ether, HLB = 9.6)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3) oleyl ether, HLB = 6.6) 및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6) oleyl ether, HLB = 9.6)를 1:1 의 중량비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HLB 값은 8.1 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유기용매 전체 중량(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에멀젼의 전상이 가능하며, PIT 중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상 및 유상의 중량비는 30:70 내지 70: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 (2)는 60℃ 이상으로 가온하여 유중수형 역상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단계 (1)에서 제조된 에멀젼은 상온에서 수중유형을 가지나, 가온에 의해 유중수형의 에멀젼으로 전상될 수 있다. 상기 전상에 의해 생성되는 에멀젼은 에멀젼의 크기가 작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한 단계에서 제조되는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작다는 효과를 가진다.
일 구체예에서, 반응 온도는 구체적으로 62℃ 이상, 65℃ 이상, 70℃ 이상 또는 75℃일 수 있으며, 그 상한은 100℃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점증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 (3)은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켜 가교결합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일 구체예에서, 반응 개시제의 종류는 라디칼 중합을 시작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과산화물 및 아조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 개시제로 benzoyl peroxide, acetyl peroxide, dilauryl peroxide, di-tert-butyl peroxide, cumyl hydroperoxide, hydrogen peroxide, potassium persulf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조화합물 개시제로 Azo nitrile, Azo ester, Azo amide, Azo imidazolin, Azo amidine, Macro Azo initia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시제로 4,4′-Azobis(4-cyanovaler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역상 에멀젼을 제조한 뒤, 개시제를 첨가 및 반응시켜 본 발명이 목적하는 점도를 가지는 가교결합 중합체, 즉, 점증제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점증제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가교결합 중합체가 형성된 용액을 점증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액을 침강제로 침강시켜 파우더 형태의 점증제를 최종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침강제로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는 65℃ 이상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점증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증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는 구형의 미세 입자 형태를 지니며, 물, 에탄올 또는 물-에탄올 혼합용액 중에서 팽윤하여, 외관상 육안적으로 균일한 고점도 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점증제는 10 내지 300 um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된 점증제는 1%(w/v) 수분산액에서 25℃에서의 점도가 500 내지 70,000 cPs, 또는 5,000 내지 50,000 cP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점증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점증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화장료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용성 관점에서, 상기 점증제는 0.01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화장료는 제형에 따라 유성기제, 계면활성제, 분체,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알콜류, 킬레이트제, pH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증점제, 약제, 염료, 안료, 향료, 물 등을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팩 화장료, 모발 화장료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는 의약품, 식품안정제 또는 윤활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점증제의 함량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공지의 추가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비교예 1.
용매인 tert-뷰탄올(tert-butanol) 100g에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Acrylamidopropylmethyl Sulfonic acid) 17g과 탄화수소암모늄(Ammonium bicarbonate) 6.5g을 넣고 70℃에서 충분히 녹여준 후, 가교제인 트리메티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yrlate) 1.6g을 tert-뷰탄올 6.4g에 녹여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이라우로일 퍼옥사이드(diauroyl peroxide) 0.2g을 첨가하여 2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톤으로 점증제를 침강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수상: 증류수 63g에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 17g과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0.5g을 녹인 후, 암모니아(Ammonia)수로 pH 7-9로 중화시켰다.
유상: 헵탄(Hepane) 80g에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3) oleyl ether)와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6) oleyl ether)를 각각 10g씩 넣고 잘 섞어 주었다.
수상과 유상을 반응기에 넣고 70℃로 가온한 후, 개시제 4,4′-Azobis(4-cyanovaleric acid)을 0.1g을 넣고 3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톤으로 점증제를 침강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수상: 증류수 63g에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 17g과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g을 녹인 후, 암모니아수로 pH 7-9로 중화시켰다.
유상: 헵탄 80g에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를 각각 10g씩 넣고 잘 섞어 주었다.
수상과 유상을 반응기에 넣고 70℃로 가온한 후, 개시제 4,4′-Azobis(4-cyanovaleric acid)을 0.1g을 넣고 3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톤으로 점증제를 침강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수상: 증류수 63g에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 17g과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5g을 녹인 후 암모니아수로 pH 7-9로 중화시켰다.
유상: 헵탄 80g에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를 각각 10g씩 넣고 잘 섞어 주었다.
수상과 유상을 반응기에 넣고 70℃로 가온한 후, 개시제 4,4′-Azobis(4-cyanovaleric acid)을 0.1g을 넣고 3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톤으로 점증제를 침강하여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수상: 증류수 63g에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 17g과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0g을 녹인 후 암모니아수로 pH 7-9로 중화시킨다.
유상: 헥산(Hexane) 80g에 폴리옥시에틸렌 (3) 올레일 에테르 10g 과, 폴리옥시에틸렌 (6) 올레일 에테르를 각각 5g씩 넣고 잘 섞어 주었다.
수상과 유상을 한 반응기에 넣고 70℃로 가온 후 개시제 4,4′-Azobis(4-cyanovaleric acid)을 0.1g을 넣어 3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톤으로 점증제를 침강하여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투명성 비교
비교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점증제)의 투명성을 비교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왼쪽 용기는 비교예 1에서 중합된 점증제의 1%(w/v) 수용액을 포함하는 용기이고, 오른쪽 용기는 실시예 2에서 중합된 점증제의 1% 수용액을 포함하는 용기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점증제는 불투명하나, 실시예에서 제조된 점증제는 수용액 상에서 투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구형입자 형태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구형입자의 형태를 측정하였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입자로, 구체적으로, 도 2에서 (a)는 실시예 2에서 중합 반응 시 형성되는 수중유 에멀전의 액적 상태(70℃)를 나타내고, (b)는 중합된 미세 입자 점증제의 hydrodynamic volume size를 나타내며, (c)는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광학 이미지를 나타낸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점증제는 구형의 입자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 1(a) 및 실시예 2(b)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입자를 비교한 결과(광학 이미지)를 나타내다.
상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 중합된 점증제에서는 미세 입자를 확인할 수 없다. 실시예 2에 따른 방법으로 중합될 경우 수용액 중에 미세 입자 상의 점증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중합된 미세 입자 점증제의 hydrodynamic volume size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헵탄을 유기용매로 사용한 실시예 2의 점증제가 헥산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높은 볼륨 사이즈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점도 비교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점도를 Brookefield LVT(Brookefield, MA)를 사용하여 64 spindle, 10 내지 30 rpm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점도는 점증제를 1%(w/v) 포함하는 수용액에 대해 측정하였다.
결과, 비교예 2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점도는 2,000 cPs, 실시예 2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점도는 14,000 cPs로 측정되었다.
상기 측정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증점제의 점도가 비교예 대비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유변물성 비교
제조된 점증제의 유변물성을 측정하였다. 유변물성은 Discovery hr-3 hybrid rheometer(TA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a) 및 (b)는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점증제의 유변물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유변학적으로 고분자 용액 내에서 고분자 체인은 엉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높은 전단응력(shear stress)에서 엉킴 구조가 풀려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 구조가 완전히 풀리기 직전에 이를 저항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오버슈팅(overshooting) 현상이라고 하는데, 무정형 상태의 비교예 1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2는 점증제가 미세 입자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높은 전단응력에서 오버슈팅 현상이 거의 없이 구조가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유변학적인 특징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점증제는 화장품 제형에서 사용감, 특히 발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1. 에멀젼 크림 제형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크림1 크림2 크림3 크림4 크림 5
유상 Silicone oil 10.0 10.0 10.0 10.0 10.0
Glycerin 8.0 8.0 8.0 8.0 8.0
Heptandiol 8.0 8.0 8.0 8.0 8.0
Hexadiol 1.0 1.0 1.0 1.0 1.0
Hydrogenated caster oil 0.5 0.5 0.5 0.5 0.5
수상 비교예 1 0.4 - - -
실시예 1 - 0.4 - -
실시예 2 - - 0.4 -
실시예 3 - - - 0.4
비교예 2 - - - - 0.4
dexpanthenol 1.0 1.0 1.0 1.0 1.0
TRISODIUM EDTA 0.02 0.02 0.02 0.02 0.02
Distill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4. 사용감 패널 평가
(1) 방법
트레이닝된 패널 20인을 선정하여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사용감 평가는 부드러움, 두께감, 수분감 및 끈적임을 대상으로 각각 5점 만점으로 진행하였다.
(2) 결과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부드러움 두께감 수분감 끈적임
크림 1 3.2 3.5 3.7 1.3
크림 2 3.2 2.8 3.8 1.2
크림 3 4.1 3.7 3.7 1.0
크림 4 3.0 3.4 3.6 1.2
크림 5 3.0 1.5 4.2 1.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크림 3이 부드러움 및 두께감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의 점증제의 수용액 0.4%(w/v)에서의 점도는 5,500 cPs이지만 <크림 1> 제형에 적용했을 때, 4,000 cPs로 감소하는 반면, 실시예 2의 점증제는 수용액 0.4%(w/v)에서의 점도는 1,500 cPs이지만, <크림 3> 제형에 적용했을 때, 6,500 cPs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크림 1(a) 및 크림 3(b)의 광학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을 광학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제형 내 점증제의 구상 입자가 공존하여 제형의 유동성에 영향을 주어 더욱 안정적인 제형을 형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점증제는 제형 내에서 엉킨 구조가 유화제에 의해 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점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실시예 2의 점증제는 입자 형태로써 hydrodynamic volum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화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면서 제형 내에서도 일정 부피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제형 내에서의 유동성을 방해하는 유화 입자와 미세 입자의 공존으로 인하여 점증 효과가 배가되었다고 판단된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상; 및 용해도 계수(solubility parameter)가 15 (MPa)1/2 이상인 비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상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60℃ 이상으로 가온하여 유중수형 역상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켜 가교결합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증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4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Acrylamidopropylmethyl Sulfonic acid, AMPS)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95 내지 99.5 중량부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단량체는 2개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기, 2개 이상의 아크릴아마이드기, 또는 2개 이상의 비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단량체의 함량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가교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비극성 유기용매는 탄소수 7 내지 17의 탄화수소 오일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상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계면활성제의 총 HLB 값은 6 내지 14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HLB 값이 3 내지 8인 계면활성제와 HLB 값이 8 내지 16인 계면활성제의 2 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개시제는 과산화물 및 아조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 반응은 60℃ 이상에서 2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점증제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화장료, 의약품, 식품안정제 또는 윤활제 제조를 위한 것인 조성물.

KR1020200116124A 2019-09-24 2020-09-10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KR10253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66518.9A CN114423403A (zh) 2019-09-24 2020-09-24 使用感得到改善的微细颗粒结构的增稠剂
PCT/KR2020/012951 WO2021060869A1 (ko) 2019-09-24 2020-09-24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JP2022519023A JP2022550731A (ja) 2019-09-24 2020-09-24 使用感が改善された微細粒子構造の増粘剤
TW109133177A TW202122435A (zh) 2019-09-24 2020-09-24 使用感得到改善的微細顆粒結構的增稠劑
US17/754,112 US20220287950A1 (en) 2019-09-24 2020-09-24 Microparticle-structured thickener having improved sensation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74 2019-09-24
KR20190117774 2019-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39A true KR20210035739A (ko) 2021-04-01
KR102531603B1 KR102531603B1 (ko) 2023-05-12

Family

ID=7544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24A KR102531603B1 (ko) 2019-09-24 2020-09-10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87950A1 (ko)
JP (1) JP2022550731A (ko)
KR (1) KR102531603B1 (ko)
CN (1) CN114423403A (ko)
TW (1) TW20212243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846A (ko) * 1997-05-22 2001-02-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향상된 습윤성을 갖는 세정 제품
JP2004043785A (ja) * 2002-05-14 2004-02-12 Shiseido Co Ltd 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100133111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안정한 역상 에멀젼
KR101746114B1 (ko) 2016-07-18 2017-06-14 주식회사 도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영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5802B1 (fr) * 1997-07-08 2000-01-07 Oreal Composition a base de vesicules lipidiques et d'un poly (acide 2-acrylamido 2-methylpropane sulfonique) reticule et neutralise a au moins 90%
KR20050053725A (ko) * 2002-10-04 2005-06-08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수용성 증점제 및 액상 산성 세정제
JP4623489B2 (ja) * 2004-05-10 2011-02-02 株式会社資生堂 水溶性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080103835A (ko) * 2007-05-25 2008-11-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역상에멀젼 중합을 이용한 전도성폴리(3,4-에틸렌다이옥시싸이오펜) 나노튜브의 제조와 이를이용한 화학 센서 응용.
KR20180035623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증점제 및 안정화제의 기능을 하는 분말 형태의 새로운 반 상호 침투성 격자형 중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2846A (ko) * 1997-05-22 2001-02-26 데이비드 엠 모이어 향상된 습윤성을 갖는 세정 제품
JP2004043785A (ja) * 2002-05-14 2004-02-12 Shiseido Co Ltd 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100133111A (ko) * 2009-06-11 2010-12-21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안정한 역상 에멀젼
KR101746114B1 (ko) 2016-07-18 2017-06-14 주식회사 도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영상통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87950A1 (en) 2022-09-15
JP2022550731A (ja) 2022-12-05
TW202122435A (zh) 2021-06-16
CN114423403A (zh) 2022-04-29
KR102531603B1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2819T2 (de) Verwendung von copolymerzusammensetzungen auf acrylbasis in der kosmetik und für die körperpflege
JP3708531B2 (ja) 増粘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1067685A (ja) 中性化された架橋ポリ(2−アクリルアミド−2−メチルプロパンスルホン酸)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を含有しない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の形態での局所への使用のための組成物
JPH054913A (ja) 局部適用のための製品のための増粘剤
DE10258960A1 (de) Nanoskalige Hydrogele gegen Falten, raue und trockene Haut
CN108883051B (zh) 凝胶组合物、化妆料、及凝胶组合物的制造方法
WO2014208316A1 (ja) 親水性増粘剤及び化粧料組成物
EP1505139B1 (en) Thickener,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31603B1 (ko)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KR20100133111A (ko) 안정한 역상 에멀젼
DE60318489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inylamidpolymerzusammensetzung für haut- und haarzusammensetzungen
JP4424677B2 (ja) 増粘剤
JP3455476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ITTO960824A1 (it) Copolimeri idrosolubili associativi a tre blocchi.
JP4219858B2 (ja) メーキャップ用皮膚化粧料
KR102343732B1 (ko) 젤 조성물, 화장료, 및 젤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802682B2 (ja) ネットワーク共重合体架橋組成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62142B1 (ko) 향상된 입자 분산성 및 점도 안정성을 가지는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 조성물
KR101931495B1 (ko) 수용성 증점제
JP2007039360A (ja) 皮膚化粧料
WO2021060869A1 (ko) 사용감이 개선된 미세 입자 구조의 점증제
KR101249687B1 (ko)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단량체 기반의 가교 결합 공중합체, 역상 에멀젼 및 화장료 조성물
EP2055315B1 (de) Verdickungsmittel und dessen Anwendung
KR20180097169A (ko) 친수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2021088682A (ja) 親水性シリコーン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