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075A -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075A
KR20210033075A KR1020190113829A KR20190113829A KR20210033075A KR 20210033075 A KR20210033075 A KR 20210033075A KR 1020190113829 A KR1020190113829 A KR 1020190113829A KR 20190113829 A KR20190113829 A KR 20190113829A KR 20210033075 A KR20210033075 A KR 2021003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ating composition
aqueous coat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423B1 (ko
Inventor
박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190113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4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며,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한 직물 원단 코팅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혼합물 45 내지 55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되,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30 내지 40 중량%,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5 내지 20 중량%,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5 내지 15 중량%,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면서도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queous coating composition for textile fabric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며,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한 직물 원단 코팅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광고는 신문, 잡지, TV, 라디오, 전단지 등과 같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다양한 방식과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광고 방식들 중에서 지금까지 상품과 서비스의 상업적 광고를 위한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광고 수단이 바로 현수막이다. 현수막은 주로 길거리나 상가 앞에 걸어두어 대중의 시선을 끌어들임으로써 그 현수막에 표현된 광고내용을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다른 광고매체에 비해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지속성이 있어서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되는 좋은 위치에 설치한다면 상대적으로 좋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붓에 염료를 묻혀 원단 위에 칠하거나 망사틀을 이용하여 원단 상에 염료를 칠하는 나염 방법, 판박이처럼 그림을 옮겨 붙이는 전사 방법, 문자, 기호, 그림 등이 표기된 인쇄판의 판면에 염료를 도포하고, 판면을 원단 상에 누르거나 문질러 찍어내는 전통적인 인쇄 방법 등과 같은 수단이 이용되어 왔으나, 위와 같은 수단에 의한 인쇄 작업은 그 작업의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그로 인해 제작비용이 상승 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인쇄기술의 발달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프린트할 수 있는 날염장치 등을 이용하는 실사출력 인쇄 방식을 이용해, 직물 원단 상에 염료인 코팅제 조성물을 프린팅하여 각종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의해 옥내·외 광고 또는 홍보용 이미지를 인쇄한 실사 현수막 등을 제조하고 있다.
실사 현수막은 디지털 프린팅 장치를 이용해 유성 코팅제를 도포하여 컴퓨터 상에서 도안된 이미지(디자인)를 원단 상에 출력하는 것으로, 매우 사실적이고 정교한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빠르고 간편하게 현수막을 제작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유성 코팅제는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알콜(alcohol), 아세톤(acetone) 및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MEK)등과 같은 유기용제를 다량 함유하여, 원단의 코팅 작업시 유기용제 성분들이 공기 중으로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작업자가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어 건강을 해칠 위험이 있으며,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유성 코팅제는 코팅제가 원단에 형성된 골을 깨끗하게 메우지 못해 코팅과정 중 크레이터링(cratering)이 쉽게 발생하거나, 건조한 다음 기포로 인해 핀홀(pinhole) 등이 쉽게 발생하고 표면이 거칠어져 이미지의 선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직물 원단 상에 코팅된 코팅제의 접착력과 인장 강도가 약해 원단을 접을 경우 코팅층 표면이 갈라지거나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19195호 (공개일 : 2004.02.19) 한국등록특허 제10-0740537호 (공개일 : 2007.06.07) 한국등록특허 제10-0939795호 (공개일 : 2009.07.28) 한국등록특허 제10-0609935호 (공개일 : 2006.03.0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면서도,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분자 수지 혼합물 45 내지 55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되,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30 내지 40 중량%,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5 내지 20 중량%,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1 내지 15 중량%,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직물 원단을 코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흡수충진제, 난연제, 유동화제, 피막형성제, 항산화제, 안료 블리딩 방지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및 안료를 배합하고, 교반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물에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첨가제 및 물을 배합하고, 교반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5 내지 20 중량%, 모노에탄올아민 수지 1 내지 10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1 내지 15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트산 수지 30 내지 4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면서도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고형분인 안료의 함량이 높아 직물 원단 상에서 직물 섬유의 사이에 형성된 홀(hole)을 깨끗하게 메우도록 하고, 직물 원단과 접착력이 우수해 인쇄품질이 우수한 인쇄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혼합물 45 내지 55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며, 전체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로 고형분의 함량이 높다.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혼합되는 고분자 수지 혼합물은 접착성을 부여하여 원단에 도포된 다음 경화되어 직물 원단 상에 도막을 형성시키며,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를 포함한다.
EVA 수지는 접착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스트레스 크레킹성(ESCR) 및 코팅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기본 바인더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EVA 수지는 단독 사용시 연질 도막을 형성시키고, 건조 후 도막에 끈적임이 남게 되어 경도 및 강도를 보완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 혼합물에서 EVA 수지는 30 내지 4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EVA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도막의 유연성, 내충격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이 연질화되고, 건조 후 도막에 끈적임이 남게되며,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VA 수지는 물에 쉽게 용해되는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무독성일 뿐만 아니라, EVA 수지와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다. PVA 수지는 직물 원단이 양이온을 띄게 하여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조성물이 번지는 현상을 인쇄 적성을 양호하게 하고, 인쇄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번짐을 방지하며, 조성물의 배면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접착 성능, 필름형성 능력, 화학안정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고분자 수지 혼합물에 혼합될 수 있다. 특히, PVA 수지는 EVA 수지와 혼합하여 원하는 경도의 도막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PVA 수지의 함량을 충분히 높여야만 하나, 이와 같이 PVA 수지의 함량이 높을 경우 고형분을 고함량 배합하기 힘든 문제가 있고,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코팅 후 도막의 강도가 저하되고, 인쇄적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PVA 수지는 고분자 수지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안료 분시시 분산이 어렵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고형분을 고함량 배합하기 힘든 문제가 있고,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코팅 후 도막의 강도가 저하되고, 인쇄적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갖는 바인더로서, 접착성이 우수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강한 접착력을 부여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이 직물 원단에 강하게 부착되도록 하며, 전술한 PVA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PVA 수지의 함량을 적정 수준으로 줄여주고, 도막의 경도와 강도를 높이고, 점도 저감 효과가 우수하여 안료 고형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구성 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고분자 수지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점착성이 저하되어 안료 고형분이 부서지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도가 높아져 직물 원단이 딱딱해지며,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특히,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고형분으로 30 내지 50중량%의 범위로 포함하는 수분산 상태의 에멀젼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점도가 500 내지 2,500 cps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는 평균 입자크기가 100 내지 500 nm인 에멀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분자량에 관하여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본질적으로 소수성인 폴리머 입자 표면에 이온기, 친수성 폴리머, 저분자의 유화제 등을 흡착시켜 수중에서 안정화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스티렌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스티렌 아크릴 수지는 친수성과 친유성의 균형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MEA 수지는 고성능 분산 수지로서, 분자량과 산가가 높고, 안료 고형분의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 고형분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소재이다.
특히, MEA는 스티렌 아크릴 수지의 안료 고형분 입자 표면의 흡착 속도 및 흡착도를 향상시켜주며, 뛰어난 레올로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안료 고형분의 함유량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MEA 수지는 고분자 수지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혼합될 수 있으며, MEA 수지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안료 분산이 어렵고 안료 고형분의 함량이 증가하지 않아 직물 원단의 홀을 깨끗하게 매우기 힘든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저하되고, 도막의 표면거칠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도막의 경도는 높아지며 강도는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안료(pigment)를 포함하며, 안료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로 형성시키는 도막에 색채와 은폐력(불투명성)을 부여하고, 도막의 내구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을 보강하며,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막의 색상, 물성 등을 조절하기 위해 배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안료는 도막에 은폐력과 착색력을 부여하는 유기안료와 무기안료를 포함하는 (1) 착색 안료, 은폐력, 착색력은 없으나 도막을 충진하고,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충진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2) 체질 안료, 도막에 방청성을 부여하는 (3) 방청 안료, 발광안료나 금속분말 안료를 포함하는 (4) 특수 안료 또는 형광성 염료를 포함하는 (5) 형광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질 안료는 탄산칼슘, 고령토, 규산알루미늄, 이산화티타늄, 새틴화이트, 돌로마이트(dolomite), 운모(mica), 금속 플레이크, 벤토나이트(bentonite), 금홍석(rutile), 수산화마그네슘, 석고, 탈크, 규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안료는 착색 및 포장재의 내구성 증진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적색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구리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크롬 오렌지, 크롬 그린, 크롬 옐로우 등과 같은 크롬산염, 크로뮴옥사이드그린 등의 유산염, 탄산염, 수산화물, 크롬산염, 아연황, 티탄백, 황연, 카본블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무기 안료를 사용하거나, 선영성과 내후성 등이 우수한 시아닌 그린, 시아닌 블루 포함 프탈로시아닌계, 퀴나크리돈계 등의 유기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첨가제를 포함하며,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흡수충진제, 난연제, 유동화제, 피막형성제, 항산화제, 안료 블리딩 방지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분산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코팅 조성물 내의 계면에 흡착하여 그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안료 등과 같은 고형분 입자의 계면접착을 떨어뜨려 분산이 잘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고형분의 포함함량을 높일 수 있고,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용해되는 각종 첨가제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스테르유도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유도체, 스테아르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아민 유도체, 스테아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노닐 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디옥틸 소듐 설포석시네이트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0.5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 분산성이 충분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성이 저하되고,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흡수충진제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이용한 인쇄시 발색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료의 흡착면적을 증가시켜 조성물이 직물 원단에서 번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탈크, 경탄,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충진제는 0.1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흡수충진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수성 코팅제 조성물 코팅시 번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산성이 저하되고, 도막의 평탄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난연제는 도막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옥내 및 공공 장소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쇄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난연제는 할로겐화 난연제, 인계난연제 등과 같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도입할 수 있다.
난연제는 1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난연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난연성 부여가 힘들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산성, 혼화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는 도막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실리콘 오일, 미네랄 오일, 지방산 오일 등을 도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막형성제는 1 내지 1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으며, 피막형성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광택을 부여가 힘들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항산화제는 자외선으로 인한 도막의 변색이나 산화방지하며, 자외선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도입할 수 있다.
안료 브리딩 방지제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인쇄한 후, 타 인쇄면 또는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물의 잉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고, 번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색상 및 무늬가 원단에 선명하게 인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양이온 중합물로 이루어진 수지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소포제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형성되는 기포의 량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여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점도조절제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고, 분산안정제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에 함유된 고형분과 각종 성분이 안정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안료 블리딩 방지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분산안정제 등은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혼합물 45 내지 55 중량%(고형분 함량 20 내지 30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전체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로 고형분의 함량이 높다.
이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모노에탄올아민의 최적 배합에 의한 고형분의 분산성 향상에 의해 유도되는 효과로서, 이와 같이 전체 고형분 함량이 높은 본 발명의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분말 형태의 고형분인 안료의 함량이 높아 직물 원단 상에 형성된 골을 깨끗하게 메우도록 하고, 직물 원단과 접착력이 우수해 인쇄품질이 우수한 인쇄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전체 고형분 함량이 70 내지 7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코팅의 대상이 되는 원단이라 함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는 물론 혼방 원사로 제직한 사이징(sizing) 직물을 호발, 정련, 표백 및 염색 처리와 같은 전처리, 염색을 하지 않은 생지, 전처리, 염색을 한 가공지에 대해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고, 섬유원사로 만든 제품, 예를 들어 직물(woven), 편물(knitted), 펠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직물 원단과 비슷한 물성이나 조직을 갖는 이종재질의 지류나 종이류 등에도 코팅이 가능하므로 폭넓은 직물 소재에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섬도가 10 내지 1,000 데니어(denier)인 직물 원사를 이용해 제조한 직물 원단에 코팅시 원단의 골을 매끄럽게 메울 수 있어 고품질 인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인쇄적성이 우수하여 솔벤트 인쇄, 라텍스인쇄, UV 인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쇄 방식의 디지털 프린트에 도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및 안료를 배합하고, 교반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물에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첨가제 및 물을 배합하고, 교반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안료 고형분의 함유량이 높아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배합과 분산이 중요하며, 섬도가 높은 직물 원사를 이용해 제조한 직물 원단에 코팅시, 원단에 형성된 깊은 골을 쉽게 메우도록 하기 위해서, 고형분인 안료의 함량을 최대치로 높여야 한다.
에멀젼 타입의 아크릴 에멀젼 수지는 분산시 발생하는 높은 온도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 충격에 의해 에멀젼 입자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어, 분산 후에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에멀젼 수지의 입자가 파괴되면 조성물의 엉김 현상이 발생하고, 점도가 상승하며, 이로 인해 코팅 불량이 쉽게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수성 코팅제 조성물 제조시, 안료 분산시에는 PVA 수지 및 MEA 수지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초기 배합이 가능한 수지의 절대량이 부족하게 되며, 수지의 부족으로 인해 배합이 불가능할 수 있어, 안료 고형분이 고함량 배합될 수 있도록 아크릴 에멀젼 수지를 1차로 혼합하고, 1차 혼합물에 각종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처리를 수행한 다음, EVA 수지 및 각종 첨가제를 2차로 혼합하는 방법을 통해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1차 혼합시 단시간에 균일하게 분산된 1차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3roll milling 등과 같은 혼합방법을 이용해 1차 혼합물을 제조하도록 하여 아크릴 에멀젼 수지 입자의 파손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PVA 수지, MEA 수지, 아크릴 에멀젼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하여 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5 내지 20 중량%, 모노에탄올아민 수지 1 내지 10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1 내지 15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트산 수지 30 내지 4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며,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여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크레이터링(cratering) 등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고, 원단과의 접착성과 코팅성이 우수하면서도 코팅면이 쉽게 부서지지 않으며,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MEA 첨가가 코팅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PVA 수지, MEA 수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계면활성제, 안료 분말을 각각 배합한 다음, 3roll milling 방법으로 배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였으며, 1차 혼합물을 교반하여 균질화처리하고, 1차 혼합물에 아크릴 에멀젼 수지, EVA 수지 및 첨가물을 혼합하여 고분자 수지 혼합물(고형분 함량 25 중량%)을 제조하였다(단, 하기의 표 1에는 첨가되는 소재의 함량(중량%)을 기재한 것임). 이때, EVA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30 내지 40 중량%인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제조한 고분자 수지 혼합물 50.5 중량%, 안료 45 중량%, 첨가물(계면활성제) 1.5 중량% 및 물 3 중량%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직물 원단 코팅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2)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물성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코팅제를 폴리에스테르 원단(폭 1,800 mm, 원단 섬유 300 denier)에 코팅하여 원단의 표면에 인쇄층을 형성시켰다. 코팅은 나이프 코팅 방식으로 연속 2회 코팅하여 수행하였으며, 코팅제는 코팅나이프를 이용해 50 내지 200 ㎛의 두께로 코팅한 다음 100 ℃의 열풍을 가해 1차 코팅하고, 추가 코팅을 수행한 다음 110 ℃의 열풍을 가해 200 내지 500 ㎛의 두께로 2차 코팅하여 인쇄층을 형성시켰다.
코팅제 조성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인쇄층 도막의 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인쇄층 도막의 접착강도 측정은 당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ASTM D 638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접착강도(단위 : kgf/cm2)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코팅제 조성물의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단위 : kgf/cm2), 인쇄적합성, 번짐성, 광택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굴곡탄성율은 ASTM D790에 규정된 조건 및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인쇄적합성 및 번짐성 분석은 날염기를 이용해 조성물의 출력 테스트를 수행하여 분석하였고, 발색도는 출력한 인쇄층을 이미지 분석기로 확대 인쇄하고 육안 관찰하는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마찰력은 출력된 원단의 인쇄층 표면을 맞물려 수회 마찰을 가해 표면의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광택도 측정기(Gloss meter)를 이용해 60ㅀ 및 80ㅀ 각도로 코팅층의 광택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경우, 접착강도, 굴곡탄성율 및 인쇄적합성이 우수하고, 수성 코팅제 조성물이 원단에서 번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경우, 물성이 떨어지며, 특히, MEA 무첨가인 비교예 1-1의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물성이 가장 낮으며, 직물 원단상에서 조성물이 번지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접착강도는 아크릴 에멀젼과 EVA 수지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MEA 무첨가군의 경우 고형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코팅층의 접착강도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PVA의 함량에 의해 번짐성과 인쇄적합성이 제어되며, PVA 함량이 높을수록 쉽게 번지지 않고, 인쇄적합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1-1의 경우 MEA가 첨가되지 않아 분산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코팅제로 형성시킨 인쇄층 도막의 표면 평활성(surface flatness)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면 평활성 평가는 인쇄층 도막이 형성된 원단(폭 1,800 mm × 1,800 mm, 원단 섬유 300 denier) 표면을 플라즈마 표면처리한 다음, 핀홀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1 m2 당 크기 0.5 mm의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이 각각 5개 이하이고 표면에 굴곡 및 피시 아이(fish eye)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 : 1 m2 당 크기 0.5mm의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이 각각 5개 초과 10개 이하이고 표면에 굴곡 및 피시 아이(fish eye)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 : 1 m2 당 크기 0.5mm의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이 각각 5개 초과 10개 이하이고 표면에 굴곡 또는 피시 아이(fish eye) 현상이 발생한 경우
× : 1 m2 당 크기 0.5mm의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이 각각 10개 초과이고 표면에 현저한 굴곡 또는 피시 아이 현상이 발생한 경우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경우, 핀홀, 크레이터링(분화구 형성) 등이 발생되지 않아 인쇄층 도막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에, 비교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경우,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분화구 형성) 등이 발생되어 인쇄 품질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경우 점성과 유동성이 우수하고 안료의 함량이 높아 300 데니어 이상의 직물 섬유로 제조한 두꺼운 원단 코팅시에도 핀홀 또는 크레이터링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인쇄층 도막이 원단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며, 인쇄층 도막이 쉽게 부서지지 않아 디지털 프린트 방식에 인쇄 적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

  1. 고분자 수지 혼합물 45 내지 55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되,
    고형분 함량이 60 내지 80%이고,
    상기 고분자 수지 혼합물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30 내지 40 중량%,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5 내지 20 중량%,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1 내지 15 중량%,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직물 원단을 코팅하기 위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계면활성제, 흡수충진제, 난연제, 유동화제, 피막형성제, 항산화제, 안료 블리딩 방지제, 소포제, 점도조절제 및 분산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수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수지 및 안료를 배합하고, 교반하여 배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물에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트산(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 첨가제 및 물을 배합하고, 교반하여 수성 코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성 코팅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5 내지 20 중량%, 모노에탄올아민 수지 1 내지 10 중량%, 안료 40 내지 50 중량%, 아크릴 에멀젼 수지 1 내지 15 중량%, 에틸렌비닐아세트산 수지 30 내지 40 중량%, 첨가제 0.5 내지 10 중량% 및 물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13829A 2019-09-17 2019-09-17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29A KR102247423B1 (ko) 2019-09-17 2019-09-17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29A KR102247423B1 (ko) 2019-09-17 2019-09-17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075A true KR20210033075A (ko) 2021-03-26
KR102247423B1 KR102247423B1 (ko) 2021-05-04

Family

ID=7525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29A KR102247423B1 (ko) 2019-09-17 2019-09-17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830B1 (ko) * 2023-03-16 2023-06-30 (주)태기산자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로 제직되는 스크린사를 이용한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365A (ja) * 1997-03-24 1998-10-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染色用布帛、該布帛を用いた染色方法及び染色物
KR100419195B1 (ko) 2000-12-14 2004-02-19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실사출력용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직물지
KR100609935B1 (ko) 2004-08-24 2006-08-08 이강욱 직물류에 염,안료 겸용 잉크로 잉크젯 프린팅 할수있는 수성코팅배합과 잉크젯 출력용 히트실 직물 제조방법
KR100740537B1 (ko) 2005-12-01 2007-07-19 주식회사 진광화학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KR100939795B1 (ko) 2008-01-23 2010-01-29 이상진 솔벤트 실사와 일반 실사에 모두 적합한 수성코팅제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1176A (ko) * 2008-09-12 2010-03-22 김광일 대형플로터 출력용 원단에 대한 고효율 원 코팅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4365A (ja) * 1997-03-24 1998-10-0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染色用布帛、該布帛を用いた染色方法及び染色物
KR100419195B1 (ko) 2000-12-14 2004-02-19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실사출력용 디지털 프린팅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직물지
KR100609935B1 (ko) 2004-08-24 2006-08-08 이강욱 직물류에 염,안료 겸용 잉크로 잉크젯 프린팅 할수있는 수성코팅배합과 잉크젯 출력용 히트실 직물 제조방법
KR100740537B1 (ko) 2005-12-01 2007-07-19 주식회사 진광화학 솔벤트 잉크젯 프린팅 배너원단용 수용성 코팅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배너원단
KR100939795B1 (ko) 2008-01-23 2010-01-29 이상진 솔벤트 실사와 일반 실사에 모두 적합한 수성코팅제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1176A (ko) * 2008-09-12 2010-03-22 김광일 대형플로터 출력용 원단에 대한 고효율 원 코팅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9830B1 (ko) * 2023-03-16 2023-06-30 (주)태기산자 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로 제직되는 스크린사를 이용한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용 인쇄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423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7351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物
TWI477516B (zh) Vinyl chloride resin latex, water-based ink and recording paper
CN105383198B (zh) 一种用来提供图像的方法
DE60100215T2 (de) Tintenstrahlaufzeichnungsmaterial
JP5010935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白色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JP2009149774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CN103201428A (zh) 数字打印中的打印介质用的表面施胶组合物
CN104093795A (zh) 喷墨油墨用颜料分散液、活性能量射线固化型喷墨油墨及印刷物
JP4867085B2 (ja) 記録液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KR102247423B1 (ko) 직물 원단용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2442985B1 (en) Process for gravure printing with a water-based ink
EP3481641A1 (en) Printable medium
JP5664766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性インキ及び記録用紙
JP2012206491A (ja) 水筆用紙
US20060100312A1 (en) Plastisol ink for textiles
US10286712B2 (en) Coated print media
US10286711B2 (en) Coated print media
JP2007284830A (ja) ポリエステル布帛用難燃性付与剤及びそれを用いて加工された難燃性ポリエステル布帛
KR101545820B1 (ko) 날염기 출력용 원단 수성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836004B (zh) 氯乙烯系樹脂乳液、水性墨水及記錄用紙
JP2004262021A (ja) 記録材料用組成物及び記録シート
CN101525462A (zh) 颜料定影液、墨液组、印花物的制造方法及印花物
JP5018314B2 (ja) 油性インキ組成物
JP5075586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水性プレコート剤
KR20210132086A (ko) 염화비닐계 수지 에멀전, 수성 잉크 및 기록 용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