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472A -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 Google Patents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72A
KR20210030472A KR1020217005850A KR20217005850A KR20210030472A KR 20210030472 A KR20210030472 A KR 20210030472A KR 1020217005850 A KR1020217005850 A KR 1020217005850A KR 20217005850 A KR20217005850 A KR 20217005850A KR 20210030472 A KR20210030472 A KR 2021003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gpa
astm
dianhydride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얀 줌벨트
스티븐 엠 에드가
알레한드라 알바레스 알바란
Original Assignee
지머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머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머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3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7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75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 C08G73/1082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wholly aromatic in the tetracarboxylic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75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 C08G73/1078Partially aromatic polyimides wholly aromatic in the diamino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39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sub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2Copolyimides derived from at least two different tetracarboxylic compounds or two different diamino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46Polyimide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bond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67Wholly aromatic polyimides, i.e. having both tetracarboxylic and diamino moietie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3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61/00 - C08J2477/00
    • C08J24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J24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가지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i) 100 ㎛ 이하의 두께;
(ii) 5 GPa 이상의, ASTM D882 에 따른 인장 모듈러스;
(iii) 50 % 미만의, 380 nm 에서의 ASTM D1746-15 에 따른 제 1 광학 투명성;
(iv) 2.5 이하의, ASTM E313-15e1 에 따른 황변 지수;
(v) 1.5 % 이하의, ASTM D1003-13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헤이즈;
(vi) 1 H 초과의 연필 경도;
(vii) 50 ppm 이하의, ASTM D5229/D5229M-14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수분 팽창 계수 ('CME');
(viii) 10 % 이상의, ASTM D5034-09 (2017)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파단시 신율; 또는
(ix) 10,000 배 이상의, 1 mm 의 반경에서 ASTM D2176-16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내절 강도.

Description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 년 8 월 7 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715,632 호의 이점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삭제
삭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명확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또는 아릴알킬아미드, 아릴알킬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통상적인 폴리이미드는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감소된 광학 선명도를 갖는 고도로 착색된 재료이다. 그 결과, 이러한 폴리이미드는 광 통신 및 광학 컴퓨팅에서의 광 도파관을 포함하는 응용 분야 용의 광학 재료로서,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및 활성 매트릭스 액정 (AM-LCD) 디스플레이 용의 유연한 기판으로서 또는 부품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들 폴리이미드의 또다른 제한은, 이들의 UV 흡광도가 UV-경화된 코팅 및 접착제에 사용되는 광개시제의 효율을 방해하기 때문에, 이들이 UV-경화된 코팅 및 접착제 용의 투명한 기판으로서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이미드의 또다른 제한은, 이들이 고도로 단단한 중합체이며, 따라서 비교적 불용성이라는 것이다. 이 제한은 폴리아믹산으로서 폴리이미드 전구체를 중합체 재료, 예컨대 필름으로 용액-처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어서, 중합체 재료는 200 ℃ 초과의 온도에서 불용성 폴리이미드로 열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고온 전환은, 모두 저온 처리를 사용하는 유연한 전자 소자, 유연한 하이드라이드 전자 소자, 유연한 회로 및 웨어러블 전자 소자와 같은 최첨단의 응용 분야에서 이들 폴리이미드를 통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다양한 양태 및 구현예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 1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부분 내에서, 화학식 (I) 의 기 X 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화학식 (I) 및 적용 가능한 경우 기 X 에서의 기 Y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5
화학식 (I) 및 적용 가능한 경우 기 X 에서의 기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아미드, 이미드, 카르바메이트 또는 우레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 1 공중합체를 제 2 공중합체와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기 X 및 Y 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의 기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또는 히드록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 3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 필름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가지 이상의 특성을 포함한다:
(i) 100 ㎛ 이하, 90 ㎛ 이하, 80 ㎛ 이하, 70 ㎛ 이하, 60 ㎛ 이하, 50 ㎛ 이하, 40 ㎛ 이하, 35 ㎛ 이하, 30 ㎛ 이하 또는 25 ㎛ 이하의 두께;
(ii) 5 GPa 이상, 5.2 GPa 이상, 5.4 GPa 이상, 5.6 GPa 이상, 5.8 GPa 이상, 6 GPa 이상, 6.2 GPa 이상, 6.4 GPa 이상, 6.6 GPa 이상, 6.8 GPa 이상, 7 GPa 이상, 7.2 GPa 이상, 7.4 GPa 이상, 7.6 GPa 이상, 7.8 GPa 이상, 8 GPa 이상, 8.2 GPa 이상, 8.5 GPa 이상, 9 GPa 이상 또는 10 GPa 이상의, ASTM D882 에 따른 인장 모듈러스;
(iii) 50 % 미만, 40 % 미만, 35 % 미만, 30 % 미만, 25 % 미만, 20 % 미만, 15 % 미만, 10 % 미만, 8 % 미만, 6 % 미만, 4 % 미만, 2 % 미만 또는 1 % 미만의, 380 nm 에서의 ASTM D1746-15 에 따른 제 1 광학 투명성, 및 50 % 초과, 60 % 초과, 70 % 초과, 80 % 초과, 82 % 초과, 84 % 초과, 86 % 초과, 88 % 초과, 90 % 초과, 92 % 초과, 94 % 초과, 96 % 초과 또는 96 % 초과의, 400 nm 에서의 ASTM D1746-15 에 따른 제 2 광학 투명성;
(iv)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또는 1.3 이하의, ASTM E313-15e1 에 따른 황변 지수;
(v) 1.5 % 이하, 1.3 % 이하, 1.1 % 이하, 1.0 % 이하, 0.8 % 이하, 0.6 % 이하, 0.5 % 이하, 0.4 % 이하 또는 0.3 % 이하의, ASTM D1003-13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헤이즈;
(vi) 1 H 초과, 2 H 초과, 3 H 초과, 4 H 초과, 5 H 초과 또는 6 H 초과의 연필 경도;
(vii) 50 ppm 이하, 45 ppm 이하, 40 ppm 이하, 35 ppm 이하, 30 ppm 이하, 25 ppm 이하, 20 ppm 이하 또는 15 ppm 이하의, ASTM D5229/D5229M-14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수분 팽창 계수 ('CME');
(viii)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22 % 이상, 24 % 이상, 26 % 이상, 28 % 이상, 30 % 이상, 35 % 이상 또는 40 % 이상의, ASTM D5034-09 (2017)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파단시 신율;
(ix) 10,000 배 이상, 20,000 배 이상, 50,000 배 이상, 80,000 배 이상, 100,000 배 이상, 150,000 배 이상, 180,000 배 이상, 200,000 배 이상, 250,000 배 이상, 300,000 배 이상, 500,000 배 이상 또는 1,000,000 배 이상의, 1 mm 의 반경에서 ASTM D2176-16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내절 강도.
본 발명은 아릴알킬 아미도 또는 아릴알킬 이미도 함량을 가지며,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우수한 투명도 및 UV 스펙트럼에서 낮은 투명도를 갖는 신규의 폴리이미드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미드는 유리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에 대한 대안이 되는 기능을 부여한다.
제 1 양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6
상기 부분 내에서, 화학식 (I) 의 기 X 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화학식 (I) 및 적용 가능한 경우 기 X 에서의 기 Y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화학식 (I) 및 적용 가능한 경우 기 X 에서의 기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아미드, 이미드, 카르바메이트 또는 우레아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폴리이미드는 화학식 (I) 에 따른 부분을 포함하는 디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디아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식 중, m 및 n 은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 에서 선택된다).
파라-아미노메틸 페녹시기, 파라-아미노에틸 페녹시기, 또는 심지어 파라-아미노프로필 페녹시기를 포함하는 디아민은 하기의 반응식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4-히드록시벤질아민, 티라민 또는 호모티라민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 또는 중합체 필름은 2 개의 디아민으로부터 제조된다. 2 개의 디아민은 상이한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아닐린이 제 1 디아민이고, O-아미노에틸-티라민이 제 2 디아민인 경우, 제 1 및 제 2 디아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5 내지 5:1, 1:3 내지 3:1, 또는 1:2 내지 2:1 의 몰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디아민은 상기에서 기술한 디아민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디아민의 유형 및 비율을 변경하는 원리는, 감소된 pi 전자 상호 작용을 갖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를 생성한다. 광학 필름의 경우, pi 전자 상호 작용은 필름의 투명도 및 색상에 영향을 미친다. 폴리이미드 사슬 내에서의 pi 전자 상호 작용은 지방족 기를 실장하여, 하나의 커서로부터의 pi 전자를 또다른 커서의 pi 전자로부터 멀리함으로써 감소된다. 폴리이미드의 2 개의 사슬 사이의 pi 전자 상호 작용은 통상적으로 방향족 부분의 pi-pi 스태킹이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다양한 길이의 아미노알킬기를 갖는 디아민을 도입하여 방향족 기의 규칙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또다른 양태는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또는 1.3 이하의, ASTM E313-15e1 에 따른 황변 지수를 갖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제 1 및 제 2 디아민으로부터 폴리이미드를 중합하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디아민은 구조가 상이하고,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I)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14
상기 부분 내에서, 화학식 (I) 의 기 X 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화학식 (I) 및 적용 가능한 경우 기 X 에서의 기 Y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8
상기 방법에서의 기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또는 히드록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디아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2:3 내지 3:2, 3:4 내지 4:3, 또는 4:5 내지 5:4 의 몰비일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3 디아민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디아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2:3 내지 3:2, 3:4 내지 4:3, 또는 4:5 내지 5:4 의 몰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디아민은 약 1:1:1 의 몰비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1.5 % 이하, 1.3 % 이하, 1.1 % 이하, 1.0 % 이하, 0.8 % 이하, 0.6 % 이하, 0.5 % 이하, 0.4 % 이하 또는 0.3 % 이하의, ASTM D1003-13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헤이즈를 갖는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폴리이미드는 디아민을 이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무수물은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3-디메틸-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5-트리카르복시시클로펜틸아세트산 이무수물, 3,5,6-트리카르복시노르보르난-2-아세트산 이무수물, 2,3,4,5-테트라히드로푸란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랄)-3-메틸-3-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OP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PMDA), 3,3',4,4'-디페닐술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DSD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TDA), 4-(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DTDA), 4,4'-비스페놀 A 이무수물 (aBPAD),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 (6FDA), 비시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ODA),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PDA), 3,3'4,4'-비시클로헥실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H-BPDA),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릴)-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DOMDA),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 (EDTE), 및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H-PMDA)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임의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이무수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원하지 않는 광학적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디아민을 사용하는 원리와 유사하게, 2 개의 이무수물이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이무수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2:3 내지 3:2, 3:4 내지 4:3, 또는 4:5 내지 5:4 의 몰비일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 3 이무수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이무수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2:3 내지 3:2, 3:4 내지 4:3, 또는 4:5 내지 5:4 의 몰비일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이무수물은 약 1:1:1 의 몰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폴리아미드이미드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경우, 트리카르복시 단량체가 폴리아미드이미드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트리카르복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식 중, X 는 OH, OMe, OEt, OTf 또는 Cl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의 경우, 하나의 이무수물 및 하나의 트리카르복시 화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이무수물 및 트리카르복시 화합물은 1:10 내지 10:1, 예컨대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2:3 내지 3:2, 3:4 내지 4:3, 또는 4:5 내지 5:4 의 몰비일 수 있다.
실험
실시예 1: 폴리이미드의 합성
중합을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0.9 당량의 이무수물을 디아민의 용액에 고체로서 첨가하고, 이어서 반응 혼합물이 점성의 투명한 용액으로 변하고 안정화될 때까지 (1.0 eq 의 무수물에 근접), 무수물을 적하하였다. 반응을 15 wt% 의 고체 함량을 제공하는 양의, 무수의 새로 증류한 DMAc 중에서 실행하였다. 필름을 유리 플레이트 상에 캐스팅하고, 물,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및 물로 다시 헹군 후, 공기 분사를 사용하여 건조시켜 과량의 물을 제거하고, 50 ℃ 의 오븐에서 1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필름의 두께를 10 mil 닥터 블레이드로 조정하였다. 필름을 질소-퍼지 진공하에서, 65 ℃ 에서 2 시간, 200 ℃ 에서 1 시간, 300 내지 330 ℃ 에서 2 내지 18 시간 동안 경화시키고; 100 ℃ 미만으로 냉각시킨 후, 오븐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플레이트를 45 분 이상 동안 탈이온수에 침지시킨 후, 필름을 유리 플레이트로부터 들어올리고, 페이퍼 타월로 건조시켰다.
다음의 반응을 실행하였다:
p-아미노에틸아닐린 및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I-1)
p-아미노에틸아닐린 및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I-2)
p-아미노에틸아닐린 및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PI-3)
PI-1 은 캐스트 동안에 낮은 점도, 및 400 nm 에서 0 %, 500 nm 에서 > 60 %, 및 600 nm 에서 > 85 % 의 UV-Vis 투명도를 나타냈다. PI-2 는 대략 310 ℃ 의 Tg, 및 400 nm 에서 < 5 %, 500 nm 에서 > 75 %, 및 600 nm 에서 > 80 % 의 투명도를 나타냈다. PI-3 은 300 nm 에서 < 10 %, 400 nm 에서 > 50 %, 500 nm 에서 > 75 %, 및 600 nm 에서 > 80 % 의 투명도를 가졌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광학, 전자, 컴퓨터 또는 랩톱 또는 폰 산업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의 광범위한 상업적 산업 및 태양광 응용 분야 등에 대한 필름에 적용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또는 실시예에서 기술한 작용은 모두 필요한 것이 아니고, 특정한 작용의 일부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에서 기술한 것 이외의 하나 이상의 추가의 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작용이 나열되는 순서는 반드시 이들이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상기 명세서에 있어서, 개념은 특정한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며, 이러한 모든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비롯하다", "비롯한", "가진다", "갖는", 또는 이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특징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이러한 특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해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고유하지 않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은 포괄적 논리화를 지칭하며, 배타적 논리화를 지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 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 는 참 (또는 존재) 이고, B 는 거짓 (또는 부재) 이며, A 는 거짓 (또는 부재) 이고, B 는 참 (또는 존재) 이며, A 및 B 는 모두 참 (또는 존재) 이다.
또한, "부정관사" 의 사용은 본원에 기재된 요소 및 성분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이러한 설명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읽혀져야 하며, 단수형은 또한 다른 의미가 분명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
이득, 다른 이점, 및 과제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득, 이점, 과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득, 이점 또는 해결책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범위의 중요한, 필요한 또는 필수적인 특징으로서 해석해서는 안된다.
명세서를 읽은 후, 당업자는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구현예의 맥락에서 본원에 기재된 특정한 특징이 또한 단일 구현예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 구현예의 맥락에서 기재된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범위에 명시된 값에 대한 언급은 해당 범위 내의 각각의 및 모든 값을 포함한다.

Claims (10)

  1.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체:
    Figure pct00023

    (식 중,
    X 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Y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ct00026
    ;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아미드, 이미드, 카르바메이트 또는 우레아로부터 선택된다).
  2.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가지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i) 100 ㎛ 이하, 90 ㎛ 이하, 80 ㎛ 이하, 70 ㎛ 이하, 60 ㎛ 이하, 50 ㎛ 이하, 40 ㎛ 이하, 35 ㎛ 이하, 30 ㎛ 이하 또는 25 ㎛ 이하의 두께;
    (ii) 5 GPa 이상, 5.2 GPa 이상, 5.4 GPa 이상, 5.6 GPa 이상, 5.8 GPa 이상, 6 GPa 이상, 6.2 GPa 이상, 6.4 GPa 이상, 6.6 GPa 이상, 6.8 GPa 이상, 7 GPa 이상, 7.2 GPa 이상, 7.4 GPa 이상, 7.6 GPa 이상, 7.8 GPa 이상, 8 GPa 이상, 8.2 GPa 이상, 8.5 GPa 이상, 9 GPa 이상 또는 10 GPa 이상의, ASTM D882 에 따른 인장 모듈러스;
    (iii) 50 % 미만, 40 % 미만, 35 % 미만, 30 % 미만, 25 % 미만, 20 % 미만, 15 % 미만, 10 % 미만, 8 % 미만, 6 % 미만, 4 % 미만, 2 % 미만 또는 1 % 미만의, 380 nm 에서의 ASTM D1746-15 에 따른 제 1 광학 투명성, 및 50 % 초과, 60 % 초과, 70 % 초과, 80 % 초과, 82 % 초과, 84 % 초과, 86 % 초과, 88 % 초과, 90 % 초과, 92 % 초과, 94 % 초과, 96 % 초과 또는 96 % 초과의, 400 nm 에서의 ASTM D1746-15 에 따른 제 2 광학 투명성;
    (iv) 2.5 이하, 2.4 이하, 2.3 이하,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1.8 이하, 1.7 이하, 1.6 이하, 1.5 이하, 1.4 이하 또는 1.3 이하의, ASTM E313-15e1 에 따른 황변 지수;
    (v) 1.5 % 이하, 1.3 % 이하, 1.1 % 이하, 1.0 % 이하, 0.8 % 이하, 0.6 % 이하, 0.5 % 이하, 0.4 % 이하 또는 0.3 % 이하의, ASTM D1003-13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헤이즈;
    (vi) 1 H 초과, 2 H 초과, 3 H 초과, 4 H 초과, 5 H 초과 또는 6 H 초과의 연필 경도;
    (vii) 50 ppm 이하, 45 ppm 이하, 40 ppm 이하, 35 ppm 이하, 30 ppm 이하, 25 ppm 이하, 20 ppm 이하 또는 15 ppm 이하의, ASTM D5229/D5229M-14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수분 팽창 계수 ('CME');
    (viii)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22 % 이상, 24 % 이상, 26 % 이상, 28 % 이상, 30 % 이상, 35 % 이상 또는 40 % 이상의, ASTM D5034-09 (2017)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파단시 신율; 또는
    (ix) 10,000 배 이상, 20,000 배 이상, 50,000 배 이상, 80,000 배 이상, 100,000 배 이상, 150,000 배 이상, 180,000 배 이상, 200,000 배 이상, 250,000 배 이상, 300,000 배 이상, 500,000 배 이상 또는 1,000,000 배 이상의, 1 mm 의 반경에서 ASTM D2176-16 에 따라서 결정한 바와 같은 내절 강도.
  3. 제 2 항에 있어서,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3 가지 이상의 특성,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4 가지 이상의 특성,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5 가지 이상의 특성,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6 가지 이상의 특성,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7 가지 이상의 특성, 또는 (i) 내지 (ix) 에서 선택되는 모든 특성을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4. 제 1 공중합체를 제 2 공중합체와 중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제 1 공중합체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7

    (식 중,
    X 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Y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ct00030
    ;
    Z 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아민 또는 히드록실로부터 선택된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공중합체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식 중, m 및 n 은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 에서 선택된다).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중합체가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3-디메틸-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5-트리카르복시시클로펜틸아세트산 이무수물, 3,5,6-트리카르복시노르보르난-2-아세트산 이무수물, 2,3,4,5-테트라히드로푸란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랄)-3-메틸-3-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옥시디프탈산 무수물 (OPDA),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PMDA), 3,3',4,4'-디페닐술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DSDA),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TDA), 4-(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란-3-일)-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DTDA), 4,4'-비스페놀 A 이무수물 (aBPAD),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무수물 (6FDA), 비시클로[2.2.2]옥트-7-엔-2,3,5,6-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ODA),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BPDA), 3,3'4,4'-비시클로헥실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H-BPDA),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릴)-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DOMDA),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무수물 (EDTE), 및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H-PMDA) 에서 선택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중합체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공중합체와 독립적이고 상이한 제 3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3 공중합체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식 중, m 및 n 은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 에서 선택된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공중합체가 1:10 내지 10:1, 예컨대 1:5 내지 5:1, 1:3 내지 3:1, 또는 1:2 내지 2:1 의 몰비인 광학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17005850A 2018-08-07 2019-08-06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KR20210030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5632P 2018-08-07 2018-08-07
US62/715,632 2018-08-07
PCT/US2019/045341 WO2020068276A2 (en) 2018-08-07 2019-08-06 Optically transparent polyimi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72A true KR20210030472A (ko) 2021-03-17

Family

ID=6995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850A KR20210030472A (ko) 2018-08-07 2019-08-06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17269A1 (ko)
EP (1) EP3833708A4 (ko)
JP (1) JP2021533237A (ko)
KR (1) KR20210030472A (ko)
CN (1) CN112703220A (ko)
CA (1) CA3108784A1 (ko)
WO (1) WO20200682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137B1 (ko) * 2020-04-24 2021-05-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윈도우 커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CN111909377B (zh) * 2020-08-17 2021-07-30 吉林大学 一种含有2,5-呋喃二甲醇残基的二酐单体及其制备方法、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US20240059839A1 (en) * 2020-12-08 2024-02-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ptically Transparent Polyimide
JP2024511303A (ja) * 2021-03-05 2024-03-13 ザイマージ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的に透明なポリアミドイミド
WO2022261654A1 (en) * 2021-06-10 2022-12-15 Zymergen Inc. Optically transparent polyimide
EP4363486A1 (en) * 2021-06-30 2024-05-08 Zymergen Inc. Filament comprising a thermoplastic polyimide and three-dimensional body made from the filament
JP2023177577A (ja) * 2022-06-02 2023-12-14 住友化学株式会社 非対称ジアミンを含む剤及び樹脂並びにその使用
JP2024017216A (ja) * 2022-07-27 2024-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イミド系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5622A (ja) * 1987-12-22 1989-06-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新規ポリイミドおよびその前駆体
JP2535574B2 (ja) * 1987-12-22 1996-09-18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アミドイミド系樹脂組成物
WO2005105892A1 (ja) * 2004-04-28 2005-11-10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液晶配向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配向膜及び液晶表示素子
CN100537638C (zh) * 2004-04-28 2009-09-09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定向剂、使用了该定向剂的液晶定向膜及液晶显示元件
CN102209928B (zh) * 2008-10-22 2014-02-26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取向处理剂及使用该处理剂的液晶显示元件
JP2011080052A (ja) * 2009-09-11 2011-04-21 Ube Industries Ltd ポリイミド前駆体およびポリイミド
TWI580712B (zh) * 2012-06-08 2017-05-01 東麗 杜邦股份有限公司 聚亞醯胺膜
CN103044916B (zh) * 2012-12-24 2015-05-27 南京依麦德光电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透明聚酰亚胺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074953B1 (ko) * 2013-06-13 2020-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폴리이미드의 제조 방법,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 폴리이미드, 및 상기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필름
TWI682969B (zh) * 2014-10-23 2020-01-21 日商宇部興產股份有限公司 聚醯亞胺膜、聚醯亞胺前驅體及聚醯亞胺
EP3187528B1 (en) * 2015-12-31 2020-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reparing transparent polymer film, transparent polymer fil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6687442B2 (ja) * 2016-03-28 2020-04-22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アミド酸、ポリイミド、ポリアミド酸溶液、およびポリイミドの利用
KR101952823B1 (ko) * 2017-01-20 2019-02-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수지 조성물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3237A (ja) 2021-12-02
EP3833708A2 (en) 2021-06-16
EP3833708A4 (en) 2022-05-04
CA3108784A1 (en) 2020-04-02
WO2020068276A2 (en) 2020-04-02
CN112703220A (zh) 2021-04-23
US20210317269A1 (en) 2021-10-14
WO2020068276A3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472A (ko)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KR102482608B1 (ko)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폴리이미드
CN108473677B (zh) 粘接力提高了的聚酰胺酸组合物及包含其的聚酰亚胺膜
KR102066385B1 (ko) 수지 전구체 및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수지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7869B1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폴리이미드의 제조 방법,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필름, 및 기판
KR102519088B1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이미드 및 폴리이미드 필름
CN112708134B (zh) 一种无色透明共聚酰胺-酰亚胺膜及其制备方法
CN110621721B (zh) 聚酰胺酸、聚酰亚胺、聚酰亚胺膜、层叠体及挠性器件、以及聚酰亚胺膜的制造方法
CN111971327A (zh) 聚酰胺酸及其制造方法、聚酰胺酸溶液、聚酰亚胺、聚酰亚胺膜、层叠体及其制造方法、以及柔性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00093685A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 필름, 바니시 및 기판
JP6974956B2 (ja) ポリイミド前駆体及びポリイミド
US20230123199A1 (en) Diamine, Polymer and Film Produced Using the Same
KR102623480B1 (ko) 폴리아미드이미드 공중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필름
KR20220031281A (ko) 폴리이미드 전구체, 폴리이미드 전구체 조성물, 폴리이미드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23100806A1 (ja) 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N114854196B (zh) 聚酰亚胺膜
WO2023085325A1 (ja) 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フィルム
KR20230100854A (ko) 폴리아미드이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및 윈도우 커버 필름
KR20230087011A (ko) 폴리아미드이미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및 윈도우 커버 필름
KR20230055111A (ko) 신규한 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US2023012262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lyamideimide Precursor or Polyamideimide, and Polyamideimide Film Produced Using the Same
KR20230047546A (ko) 신규한 디아민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23182123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KR20220157169A (ko) 커버윈도우용 폴리이미드 필름 형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22189766A (ja) カバーウィンドウ用ポリイミドフィルム形成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