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462A -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462A
KR20210029462A KR1020190110720A KR20190110720A KR20210029462A KR 20210029462 A KR20210029462 A KR 20210029462A KR 1020190110720 A KR1020190110720 A KR 1020190110720A KR 20190110720 A KR20190110720 A KR 20190110720A KR 20210029462 A KR20210029462 A KR 20210029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ice
red ginseng
composition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234B1 (ko
Inventor
김충환
김천석
Original Assignee
경방신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방신약(주) filed Critical 경방신약(주)
Priority to KR1020190110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5Degradation products of starch, e.g. hydrolysates, dextrins; Enzymatically modified star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홍삼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홍화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혈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홍삼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홍화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혈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 운동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등의 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동맥경화증, 뇌경색 등의 혈액이나 순환기계에 관련한 질환 및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혈액 순환에 악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증가되고 있다. 이들 질환은 미소혈관이나 모세혈관의 혈류 저하를 일으키므로 생체에 다양한 악영향을 줄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혈류가 피부의 가려움, 피로, 고혈압 등과도 관계가 있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순환(the circulation of blood), 즉 혈류는 혈액이 심장을 중심으로 혈관을 따라 우리의 신체를 순환하는 것으로 산소를 신체 각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를 방출하고, 영양소를 보급하고 대사산물을 방출하며, 여러 내분비선에서 호르몬을 운반하여 특정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며 그 밖에 병원균 조절작용과 체온조절, 삼투압조절, 수분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혈액순환 장애란 우리 온몸의 구석구석에 뻗어 있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어 혈관 내강이 좁아져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혈액순환 장애는 수족냉증, 손발 저림, 뒷목 당김, 어깨 결림,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 약화, 현기증 및 만성 피로 증상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이 많게 된다.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심혈관계 질환인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 등은 오늘날 성인병의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사망률이 높은 질병으로 70세까지는 암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높으나 70세 이후에는 심혈관계 질환이 제 1의 사망원인이다. 이는 서구화된 식생활에 따라 동물성 식품의 섭취빈도가 높아져 성인의 경우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질의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질성분의 증가는 혈액의 점성을 증가시키거나 혈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뇌졸중을 포함한 심혈관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류 관련 기관을 보면, 혈장은 혈액응고와 관련된 응고 인자(coagulation factor)로 구성되어 있고, 혈소판, 적혈구, 면역세포 등의 혈액세포들과 다양한 상호 작용을 주고받으며 각 세포 작용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혈소판은 혈관이 손상되면 활성화되어 손상 부위에 응집됨으로써 지혈 작용을 담당하는 세포이다. 지혈 작용은 손상된 부위로부터의 혈액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혈액의 정상적인 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기전이라 할 수 있다. 정상 혈관에서는 지혈 기전의 활성화 반응과 함께 억제 반응이나 혈괴 분해 반응들이 균형을 이룸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지혈 작용 및 혈괴의 생성은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며 혈행 이상을 초래하여 혈전(thrombus)과 같은 병변을 유발한다. 혈전이 생성되면 정맥에서는 혈액순환장애가 야기되어 부종이나 염증 등이 발생하고 동맥에서는 허혈이나 경색을 유발하여 심근경색증, 뇌졸중, 폐동맥 경색증 등의 질환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혈소판 활성화시 여러 가지 혈관조절 인자들(serotonin, TXA2, PAF 등)이 유리되어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다. 혈관이 수축되면 혈류의 흐름을 막아 혈류 속도가 변화되어 혈소판 활성화가 증폭되며 혈관 내피손상이 진행되어 심혈관의 정상적인 기능이 저해된다. 이러한 혈행 이상이 동맥경화, 심근경색, 심허혈질환 및 뇌혈관질환과 같은 혈관계질환 발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cus et al., 1993; Packham et al., 1994; Harker et al., 1994).
혈류개선 관련 의약품, 식품 및 식품 성분이 다수 개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기능성 식품들은 약물중독 및 부작용에 의한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장기 복용시에도 부작용이 없어 신체에 안전하면서 효과적으로 혈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424335호(2014년 7월 28일 공고) 2. 한국등록특허 제10-1145426호(2012년 5월 15일 공고)
본 발명자들은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배합하게 되면 이들 물질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인체의 혈류 개선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면서 당뇨 증상을 완화시키고 혈압을 저하시키는 데 뛰어난 효능이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력은 높이면서도 유효성분 이외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을 1 : 0.5~4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한 배합물을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1 : 0.5~4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이를 감압농축시켜 농축액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 혼합물을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분말을 주정을 사용하여 반죽하는 단계;
(4) 상기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숙성된 반죽을 과립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6) 상기 성형된 과립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장기간 복용시에도 신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혈류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정을 사용하여 반죽을 수행하므로, 살균제, 방부제 등의 다른 첨가물을 함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첨가물의 함유에 따른 부작용을 피할 수 있으면서, 별도의 고온살균 등의 처리가 불필요하며, 섭취 후 붕해가 빨라서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을 1 : 0.5~4 : 0.5~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의 중량비로 혼합한 배합물을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덱스트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과 덱스트린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0.5~4 : 0.5~2 : 0.5~4이며, 바람직하게는 1:2:1:2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말리지 않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이다. 홍삼과 백삼 간에는 조사포닌 함량이나 진세노사이드의 종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분말화하거나 물이나 주정으로 추출하여 농축 또는 발효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야 하는데, 진세노사이드 Rg1과 Rb1의 합이 0.8~34㎎/g이 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홍삼이나 그 분말 및 추출물은 오랫동안 안전하게 섭취하여 온 식품이며, 심각한 독성은 보고된 바 없다. 홍삼은 면역력 증진, 피로 개선,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식약처에서 그 기능성이 인정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화씨는 국화과 식물인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씨앗으로서, 기름을 짜거나 향신료, 약용으로 사용된다. 홍화씨는 리놀레산(linolic acid)을 함유해 동맥경화, 고지혈증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리놀레산은 불포화지방산의 하나로 지방 축적에 관여하는 리포단백리파제(LPL, lipoproteinlipase)의 활성을 저해한다. 리포단백리파제 활성이 증가하면 중성지방의 지방 세포 흡수가 왕성해지는데, 리놀레산은 이를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체지방의 에너지 생성을 촉진해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므로 체지방 감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쌀눈은 쌀을 도정할 때 부산물로 수득되는 쌀겨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쌀눈에는 이노시톨(수용성비타민B 복합제이용)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뇌세포에 영양 공급을 하며,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되고, 우울증 및 공황장애의 치료 효능이 있으며, 갑작스런 공포감을 줄이고, 치매 예방 효과 및 지방간 해소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체내 이용을 도우며 동맥경화 예방, 뱃살 감소 효능 등도 보고되었다. 또한, 쌀눈에는 감마 오리자놀 또한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항암, 항노화 등의 효능이 있으며, 운동 후 회복을 돕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쌀눈의 수득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586707호(2006년 6월 8일 공고)에 개시된 “쌀눈의 열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현미를 도정하여 얻은 미강을 30~40 mesh의 진동체를 통해 쌀눈과 쌀겨를 분리하는 제1단계,
(2) 상기 제1단계에서 분리된 쌀겨를 110~130℃에서 5~20분 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안정화된 쌀겨를 제조하는 제2단계,
(3) 상기 제1단계에서 분리된 나머지 쌀눈을 140~160℃에서 5~20분 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킴으로써 지방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안정화된 쌀눈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4) 상기 제2단계에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안정화된 쌀겨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지방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안정화된 쌀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수득하는 제4단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을 1 : 0.5~4 : 0.5~2,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의 중량비로 혼합한 배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덱스트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은 1 : 0.5~4 : 0.5~2 : 0.5~4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혈류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헛개나무 열매, 콩나물, 부추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분말은 조성물 중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10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추출물은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혼합물로부터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홍삼, 홍화씨 및 쌀눈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홍삼, 홍화씨 및 쌀눈 추출물의 제조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 공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홍삼, 홍화씨 및 쌀눈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로서 50~90%(v/v) 주정 또는 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80%(v/v) 주정 또는 열수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홍삼, 홍화씨 및 쌀눈으로부터 80%(v/v) 주정과 열수를 각각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물의 혼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환제, 정제, 캡슐제, 과립, 시럽, 음료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화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립의 형태로 제형화될 경우,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추출물 혼합물을 분말화한 다음, 이를 성형 및 건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1)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추출물의 혼합물을 특정 비율로 혼합한 다음, 이를 감압농축시켜 농축액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농축액 혼합물을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분말을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v/v) 주정, 보다 바람직하게는 70%(v/v) 주정을 사용하여 반죽하는 단계;
(4) 상기 반죽의 살균 및 주정의 반죽 내 균질화 및 고압착을 위하여 실온에서 8~15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5) 상기 숙성된 반죽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6) 상기 성형된 과립을 수분 함량이 약 4~8%, 바람직하게는 약 7%가 되도록 30%의 상대습도, 65~7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방법은 (6) 단계 후, (7) 상기 건도된 과립을 용량에 따른 1회 복용분씩 나누어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1) 단계에서 농축액 혼합물에 덱스트린을 추가로 혼합할 수도 있다. 이 때,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은 1 : 0.5~4 : 0.5~2 : 0.5~4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의 (1) 단계에서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부추 추출물 및 메밀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시켜 농축액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홍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S의 함량이 식약청 효능 기준에 부합되도록 일일 복용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g1+Rg1+Rg3S의 일일 복용량이 10mg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주정을 사용하여 반죽 및 숙성하기 때문에 살균, 살충, 보존기간 연장, 제형 형성과 제조의 편리성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첨가물도 포함할 필요가 없어서 효율적이다. 또한, 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성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얻어지며, 복용시에 용이하게 붕해되어 복용이 편리하고 체내 흡수가 빠르며,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과 지표성분의 함량 분해 또는 역가 감소가 방지될 수 있으며, 다른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체내 흡수율이 높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6년근 홍삼, 홍화씨 및 쌀눈 각각의 원료에 용매를 원료 중량 대비 10배의 양으로 가하였으며, 이 때 80%(v/v) 주정을 가하여 80℃에서 10시간 동안 추출하고, 1차 추출 후 원료 중량 대비 10배의 80%(v/v) 주정을 가하여 80℃에서 10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1차 추출). 그 다음, 원료 중량 대비 10배 량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3회 반복 추출하였다(2차 추출).
이렇게 얻은 80%(v/v) 주정 추출물을 여과하고, 90℃ 물의 열수 추출물을 20℃까지 냉각시킨 후, 추출물을 7,000rpm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80%(v/v) 주정 추출물(1차 추출)과 열수 추출물(2차 추출)을 혼합하여 65℃에서 감압농축시켜 수분함량이 35%인 농축액을 얻었다.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주정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을 합한 수율은 10~11%이었다.
상기에서 수득한 홍삼, 홍화씨 및 쌀눈 각각의 추출물과 덱스트린을 아래 표 1의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하였다.
홍삼 추출 농축액, 홍화씨 추출 농축액, 쌀눈 추출 농축액 및 덱스트린의 배합 비율(인간 복용 기준)
  홍삼 추출 농축액 홍화씨 추출 농축액 쌀눈 추출 농축액 덱스트린
일일복용원료중량(g) 1 2 1 2
비고 홍삼 추출 농축액 1g 당 Rb1, Rg1, Rg3S의 함량 = 10 mg
상기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건조시켜 분말을 수득한 다음, 제조공정 중 유효성분의 안정화 및 균 사멸을 위하여 물 대비 주정의 함량이 70%(v/v)인 주정을 상기 분말에 소량씩 첨가하면서 반죽하였다. 제조된 반죽의 균질화와 살균 및 70%(v/v) 주정의 균등한 분포를 위하여, 제조된 반죽에 약 3kg/cm2의 압력을 가하면서 70mmHg 이하 진공을 30분간 건 후 10시간 실온에서 숙성시키고 난 후, 이를 과립의 입자 크기가 일정하도록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수분 함량이 약 7%가 되도록 건조시키고, 포장하여 혈류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홍삼 추출물 : 홍화씨 추출물 : 쌀눈 추출물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 덱스트린은 1 : 2 : 1 : 2 : 2(중량 기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실시예 3]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홍삼 추출물 : 홍화씨 추출물 : 쌀눈 추출물 : 콩나물 추출물 : 덱스트린은 1 : 2 : 1 : 2 : 2(중량 기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실시예 4]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부추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홍삼 추출물 : 홍화씨 추출물 : 쌀눈 추출물 : 부추 추출물 : 덱스트린은 1 : 2 : 1 : 2 : 2(중량 기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실시예 5]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메밀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홍삼 추출물 : 홍화씨 추출물 : 쌀눈 추출물 : 메밀 추출물 : 덱스트린은 1 : 2 : 1 : 2 : 2(중량 기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실시예 6]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콩나물 추출물, 부추 추출물, 메밀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되, 단 홍삼 추출물 : 홍화씨 추출물 : 쌀눈 추출물 :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 콩나물 추출물 : 부추 추출물 : 메밀 추출물 : 덱스트린은 1 : 2 : 1 : 0.5 : 0.5 : 0.5 : 0.5 : 2(중량 기준)의 비율로 배합하였다.
[비교예 1] 홍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홍화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홍화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쌀눈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쌀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효성분의 감소여부 확인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과립에 있어서, 제조과정 중 유효성분의 감소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홍삼에 함유된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Rg3S의 합의 함량을 식약처 공인분석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Rb1 + Rg1 + Rg3S의 합(mg)
원료에 포함된 함량 10
실시예 1 조성물에 포함된 함량 9.7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조성물은 제조과정 중 유효성분의 감소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세균의 사멸 확인 시험
본 발명에서 주정을 첨가한 반죽 공정에 의하여 세균이 사멸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죽전 배합공정에서 사용되는 원료를 대장균으로 오염시켰다. 배합 후 실시예 1의 주정 반죽을 사별한 시료에 대하여 대장균의 사멸 유무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원료 오염시킨 후 반죽전 시료의 대장균 검출 원료에 오염시킨 후 주정으로 반죽 후 사별한 시료의 대장균 검출
실시예 1 양성 음성
비교예 1 양성 음성
비교예 2 양성 음성
비교예 3 양성 음성
상기 표 3으로부터, 별도의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주정을 사용하는 반죽 공정에 의해 대장균이 모두 사멸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콜레스테롤 수치 평가
6주령 래트(수컷백서)를 1주일 간 사육 후, 7주령부터 6주간 일반식이군에는 표 4의 조성의 식이 조성물을 투여하고(Group 1),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HFD 45%)에는 표 4의 조성의 식이 조성물을 투여하였으며(Group 2), 다른 고지방식이군(HFD 45%)에는 표 4의 조성의 식이 조성물과 함께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26 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Group 3 내지 6), 각 그룹의 혈행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혈행 개선 효능 평가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질(TG),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는 생체내(in vivo)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6주간 일반식이군에 투여된 식이 조성표
조성 gm% kcal%
단백질 20 20
탄수화물 66 68
지방 5 12
6주간 고지방식이군에 투여된 HFD 45% 함유 식이 조성표
조성 gm% kcal%
단백질 24 20
탄수화물 41 35
지방 24 45
6주간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HFD 45%), 및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투여 및 HFD(high-fat diet) 45% 식이군의 투여물질 및 일일 투여량(일일 투여량은 래트 체중을 기준으로 한 것임)
시험군 분류 식이 투여물질 일일 투여량(mg/kg)
Group 1 일반식이군 일반식이 - 홍삼, 홍화씨, 쌀눈 혼합제품 0
Group 2 고지방식이군 HFD 45% - 홍삼, 홍화씨, 쌀눈 혼합제품 0
Group 3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1 홍삼, 홍화씨, 쌀눈 혼합제품 26
Group 4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2 홍삼, 홍화씨, 쌀눈, 헛개나무 열매 혼합제품 26
Group 5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3 홍삼, 홍화씨, 쌀눈, 콩나물 혼합제품 26
Group 6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4 홍삼, 홍화씨, 쌀눈, 부추 혼합제품 26
Group 7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5 홍삼, 홍화씨, 쌀눈, 메밀 혼합제품 26
Group 8 고지방식이군 HFD 45% 실시예 6 홍삼, 홍화씨, 쌀눈, 헛개나무 열매, 콩나물, 부추 및 메밀 혼합제품 26
Group 9 고지방식이군 HFD 45% 비교예 1 홍삼 분말 과립 26
Group 10 고지방식이군 HFD 45% 비교예 2 홍화씨 분말 과립 26
Group 11 고지방식이군 HFD 45% 비교예 3 쌀눈 분말 과립 26
경구투여에 따른 혈중 총 콜레스테롤(TC), 중성지질(TG),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단위: mg/dl).
구분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Group 6 Group 7 Group 8 Group 9 Group 10 Group 116
TC 55.0 91.5 68.6 63.9 65.4 66.3 64.8 62.2 90.7 89.6 92.2
TG 119.8 350.3 172.3 165.2 165.3 168.2 165.9 160.4 348.8 345.0 351.1
HDL 20.7 21.4 39.8 45.0 43.4 42.6 44.1 46.8 23.2 23.6 22.7
LDL 30.6 39.14 19.2 18.2 18.5 18.6 18.1 17.1 40.1 33.2 38.6
상기 표 7을 보면, 홍삼, 홍화씨 또는 쌀눈의 단독 투여군인 Group 9 내지 11에서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 및 LDL 수치 전부에 있어서 개선 효과를 거의 보이지 않은 반면,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의 복합 제제인 실시예 1을 투여한 Group 3의 경우에는 전 항목에 있어서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개선 정도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여 3가지 물질의 병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홍삼, 홍화씨 및 쌀눈의 복합 제제 이외에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6을 투여한 Group 4 내지 8의 경우에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HDL 및 LDL 수치 개선 정도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인체에서의 혈액 순환 개선 효과 평가
인체 적용 효능 시험을 위하여 40세 이상의 혈액순환장애를 갖고 있는 남, 녀 총 40명을 무작위로 10명씩 4개 군으로 나눈 다음, 이들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제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품 중 어느 하나를 각각 1일 복용량 분량으로 1일 2회씩 6주일간 섭취하게 하고, 혈액 순환 개선으로 인한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분명한 효과 있음 효과 있음 그저 그렇다 효과 없음 합계(명) 부작용(명)
실시예 1 8 1 1 0 10 0
비교예 1 0 1 1 8 10 0
비교예 2 0 1 0 9 10 0
비교예 3 0 0 2 8 10 0
상기 표 8을 보면,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또는 쌀눈 추출물을 단독 투여한 경우에는 거의 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실시예 1을 투여한 경우에는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분명한 혈액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유효성분 함량에 따른 혈액 순환 개선 효과 평가
하기 표 9와 같은 일일 복용량의 유효성분 함량 구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으로 혈류 개선용 조성물 제품을 제조하여 40세 이상의 혈액순환장애를 갖고 있는 남, 녀 총 120명을 무작위로 10명씩 12개 군으로 나눈 다음, 이들을 대상으로 1일 복용량 분량으로 1일 2회씩 6주일간 섭취하게 하고, 혈액 순환 개선으로 인한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제품 번호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덱스트린
1 1 0.1 1 2
2 1 0.5 1 2
3 1 4 1 2
4 1 6 1 2
5 1 2 0.1 2
6 1 2 0.5 2
7 1 2 2 2
8 1 2 4 2
9 1 2 1 0.1
10 1 2 1 0.5
11 1 2 1 4
12 1 2 1 6
제품 번호 분명한 효과 있음 효과 있음 그저 그렇다 효과 없음 합계(명) 부작용(명)
1 4 1 3 2 10 0
2 7 2 0 1 10 0
3 8 1 1 0 10 0
4 5 1 2 2 10 0
5 4 2 3 1 10 0
6 8 1 1 0 10 0
7 8 2 0 0 10 0
8 4 3 1 2 10 0
9 3 3 2 2 10 0
10 7 1 2 0 10 0
11 8 0 2 0 10 0
12 5 2 2 1 10 0
상기 표 1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혈류 개선용 조성물은 성분의 함량 조합 범위 내에서 모두 우수한 혈류 개선 효과를 보이지만, 성분의 함량 조합 범위가 적절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효능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환제
실시예 1의 조성물 90mg, 찹쌀전분 5mg 및 정제수 5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00mg의 환제를 만들었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1의 조성물 3g, 옥수수전분 0.1g, 유 당 0.11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캡슐제
실시예 1의 조성물 2.5g, 옥수수전분 0.1g, 유 당 0.1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과립
실시예 1의 조성물 4g, 대두 추출물 50㎎, 포도당 200㎎, 옥수수전분 600㎎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을 첨가하여 섭씨 65℃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5] 드링크제
실시예 1의 조성물 1g, 구연산 0.1g, 프락토올리고당 100g, 정제수 900g을 섞어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교반, 가열, 여과, 살균, 냉장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6] 환제
실시예 6의 조성물 90mg, 찹쌀전분 5mg 및 정제수 5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00mg의 환제를 만들었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6의 조성물 3g, 옥수수전분 0.1g, 유 당 0.11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캡슐제
실시예 6의 조성물 2.5g, 옥수수전분 0.1g, 유 당 0.1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과립
실시예 6의 조성물 4g, 대두 추출물 50㎎, 포도당 200㎎, 옥수수전분 600㎎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을 첨가하여 섭씨 65℃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5] 드링크제
실시예 6의 조성물 1g, 구연산 0.1g, 프락토올리고당 100g, 정제수 900g을 섞어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교반, 가열, 여과, 살균, 냉장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을 1 : 0.5~4 : 0.5~2의 중량비로 혼합한 배합물을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은 1:2: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스트린을 추가로 함유하며, 상기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은 1 : 0.5~4 : 0.5~2 : 0.5~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쌀눈 추출물 및 덱스트린은 1:2:1: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인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헛개나무 열매, 콩나물, 부추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콩나물, 부추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물은 홍삼 추출물, 홍화씨 추출물 및 쌀눈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100중량%의 양으로 더 포함되는 것인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110720A 2019-09-06 2019-09-06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1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20A KR102310234B1 (ko) 2019-09-06 2019-09-06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20A KR102310234B1 (ko) 2019-09-06 2019-09-06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462A true KR20210029462A (ko) 2021-03-16
KR102310234B1 KR102310234B1 (ko) 2021-10-08

Family

ID=7522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20A KR102310234B1 (ko) 2019-09-06 2019-09-06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734A (ko) 2022-01-09 2023-07-19 주식회사 에브릿 홍삼의 혈행개선 효능을 촉진하는 건강식품용 홍삼 함유 발효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구강붕해형 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793A (ko) * 2004-12-09 2006-06-14 함양군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KR20060094228A (ko) * 2005-02-24 2006-08-29 (주)바이오뉴트리젠 비만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KR101145426B1 (ko) 2010-03-04 2012-05-15 한국식품연구원 혈류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217395B1 (ko) * 2012-07-27 2012-12-31 정미우 리놀레산이 함유된 홍삼 제조방법
KR101424335B1 (ko) 2012-08-07 2014-07-28 예건주식회사 혈류량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20150117392A (ko) * 2014-04-10 2015-10-20 김광순 홍삼. 솔. 산마. 미강. 무 분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793A (ko) * 2004-12-09 2006-06-14 함양군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KR20060094228A (ko) * 2005-02-24 2006-08-29 (주)바이오뉴트리젠 비만증 및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KR101145426B1 (ko) 2010-03-04 2012-05-15 한국식품연구원 혈류 개선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217395B1 (ko) * 2012-07-27 2012-12-31 정미우 리놀레산이 함유된 홍삼 제조방법
KR101424335B1 (ko) 2012-08-07 2014-07-28 예건주식회사 혈류량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KR20150117392A (ko) * 2014-04-10 2015-10-20 김광순 홍삼. 솔. 산마. 미강. 무 분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234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90597A (zh) 一种辅助降三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CN105326053A (zh) 含有左旋肉碱与壳寡糖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310234B1 (ko)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59166B1 (ko) 인삼이 함유된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CN100367878C (zh) 苦瓜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JP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744061B1 (ko) 당뇨 및 혈류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10233B1 (ko)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9733A (ko) 초음파 처리된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9844B1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227922B1 (ko) 파파야 퓌레 조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7389A (ko)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CN103961404A (zh) 一种保健组合物及保健品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38278B1 (ko) Af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245B1 (ko) 홍삼을 함유한 전통약과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51809B1 (ko)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