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118A -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118A
KR20210029118A KR1020200112921A KR20200112921A KR20210029118A KR 20210029118 A KR20210029118 A KR 20210029118A KR 1020200112921 A KR1020200112921 A KR 1020200112921A KR 20200112921 A KR20200112921 A KR 20200112921A KR 20210029118 A KR20210029118 A KR 2021002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ju
bl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진
이호우
Original Assignee
장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진 filed Critical 장영진
Publication of KR2021002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chovy processed product and/or soybean processed produ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멸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속한 자동화에 따른 편리한 생활환경, 가공약학 및 외식의 증가에 따른 과다 영양 섭취 및 신체 활동량의 감소로 인해 대사성 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혈행은 혈액이 혈관을 통하여 신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혈액은 신체의 각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세포에서 만들어낸 노폐물을 제거하여 준다.
또한, 우리 몸에 필요한 호르몬을 운반하고,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세포를 방어하며, 적당한 체온을 유지시켜 주고, 지혈작용을 하는 등 신체 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원활한 혈액의 흐름은 신체기능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혈액 흐름에 장애가 생길 경우 동맥경화, 뇌졸중 등 뇌심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흐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로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 식습관, 생활방식,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습관이 서구화될수록 혈행 장애와 관련된 뇌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여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한편,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액 내에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인지질, 중성지방 등의 지방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은 대개 그 자체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많으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동맥경화(asteriosclerosis)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 심장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폐쇄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비특허문헌 1).
또한, 상기와 같은 과도한 지방성분은 간 조직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지방간(fatty liver)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방간은 간의 무게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초과한 상태를 말하며, 과다한 지방 성분의 섭취뿐만 아니라 알코올 섭취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한편, 혈중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콜레스테롤이나 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약학의 섭취를 억제하고 열량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 등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은 엄격한 관리 및 실시가 곤란하며, 그 효과에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개발된 지질 농도 감소제로는 담즙산 결합수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HMG-CoA reductase inhibitors), 네오마이신(neomycin), 프로부콜(probucol)과 같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약제 및 피브린산 유도체 및 니코틴산과 같은 중성지방 함량을 낮추는 약제들이 개발되어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의 부작용이 있어 인체에 안전하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혈중의 과도한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배양한 산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고(비특허문헌 2), 인삼의 석유 에테르 추출물 및 이 추출물 중 함유성분인 파낙시돌(panaxydol)이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며(특허문헌 1), 표고, 영지, 느타리버섯 분말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특허문헌 2).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이 상기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160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7659호
Circulation 92, 657-671, (1995) Kor. J. Pharmacogn. 34(2): 179-184 (20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류 가공물 및 콩 가공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류 가공물 및 콩 가공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효과 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과 지방간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매우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학 조성물은 널리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는 천연 어류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과 같은 부작용 없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각종 캡슐, 정제, 액제, 현탁제 또는 주사제 등으로 제조되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국민건강 증대 및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 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약학 조성물의 혈행개선과 관련된 혈액응고 저해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어류, 특히 청어목의 어류 가공물 및 콩 가공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어류 가공물은 바람직하게는 청어목 어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어리과 어류, 가장 바람직하게는 멸치의 가공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류 가공물은 예컨대 건조 어류, 일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된 반건조 어류, 분쇄된 생어류, 어류 함유 어분메주 및 어류 액젓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어류 가공물은 더 바람직하게는 건조 어류, 일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된 반건조 어류, 분쇄된 생어류, 어분메주 및 어류 액젓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어류나 어류 액젓에 적용되는 것은 어류, 패류, 갑각류를 포함하는 어패류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청어목 어류, 더 바람직하게는 정어리과 어류, 가장 좋기로는 멸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은 발효 처리된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건조 어류는 통상적으로 자연 건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건조어류를 의미하며, 상기 반건조 어류는 수분함량 55% 이하로 반건조될 수 있고, 상기 어분 메주는 메주의 성형시 메주의 전체중량 대비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20 중량% 이하의 어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메주에 함유되는 어분으로는 청어목 어류, 바람직하게는 정어리과 어류, 가장 좋기로는 멸치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멸치, 앤초비, 청어류, 까나리, 꽁치, 굴비, 갈치 및 전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어종 유래의 분말, 바람직하게는 멸치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상기 어려 액젓은 단순 어류 이외에도 패류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어류 가공물로서의 어류액젓은 실질적으로는 어패류 액젓이 적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어류 액젓은 더 정확하게는 어패류 액젓으로 칭할 수 있는데, 어패류 액젓에서, 상기 어패류는 청어목, 더 구체적으로는 정어리과, 가장 좋기는 멸치 액젓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젓으로는 예컨대 멸치, 문어, 오징어, 정어리, 갈치, 청어, 전어, 고등어, 빙어, 까나리, 방어, 홍어, 참치, 전갱이, 꽁치, 곤쟁이, 배도라치, 굴비, 명태, 양미리, 홍합, 바지락, 새우 및 꽃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액젓일 수 있다. 가잘 좋기로는 멸치액젓, 굴비액젓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류 가공물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준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건조 어류 가공물의 제조방법은 원료 어류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료 어류로서는 건조어류, 일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된 반건조 어류, 분쇄된 생어류, 어분메주 및 어류 액젓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이용하며, 준비된 상기 원료 어류로 사용되는 어류는 염수로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세척된 원료 어류에서 염수를 제거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염수를 제거하는 단계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원심분리기, 터널형 바이브레이터, 정치형과 같은 망을 이용하여 세척된 원료 어류에 포함된 염수를 제거한다.
이때, 염수가 제거된 상기 원료 어류의 함수율은 60-80%, 바람직하게는 70~75%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어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절단하거나 갈거나 으깨는 방식으로 분쇄하여 생어류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염수가 제거된 상기 원료 어류를 건조하는 단계는 열풍, 냉풍, 전열건조 및 자연건조를 포함하는 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 어류의 함수율이 55% 이내가 되도록 반건조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원료 어류를 반건조하는 이유는 상기 원료 어류를 반건조시킴으로써 상기 원료 어류에 함유된 단백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반건조된 원료 어류를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반건조된 상기 원료 어류를 가공하는 단계라 함은 반건조된 원료 어류를 파쇄하여 일정 입도로 분말화, 액상화 또는 특정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원료 어류에 포함된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관련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콩 가공물은 발효콩, 메주, 된장 및 간장 중에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콩 가공물은 발효 처리된 발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콩 가공물에 적용되는 콩(beans)으로는 예컨대 강낭콩, 녹두, 대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두(soybea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두(soybean)는 '밭의 고기'라고 불릴 정도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우리가 매일 접하는 간장, 된장의 원료로 이용되며, 두부, 콩나물과 같은 필수 식품의 원천으로서, 육류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양질의 단백질이 많고, 이소플라본 성분이 칼슘 흡수를 도와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주며 사포닌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비교적 원료 확보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발효콩은 예컨대, 상기 콩을 1∼10시간, 바람직하게는 2~5시간 동안 물에 담근 뒤 삶아주고, 35∼50℃, 바람직하게는 40∼45℃에서 1~5일간, 바람직하게는 1~3일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메주(meju)는 대두를 삶아서 찧은 다음, 덩이를 지어서 띄워 말린 것으로서 간장, 된장, 고추장 따위를 담그는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는데, 재래식 메주뿐만 아니라 덩어리 메주, 콩알 메주, 국수형 메주 등과 같은 개량식 메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어분메주는 어유 가공물로서도 적용 가능하지만, 콩 가공물로서도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어분메주는 메주의 성형 시 메주의 전체중량 대비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20 중량% 이하의 어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어분으로는 멸치, 앤초비, 청어류, 까나리, 꽁치, 갈치 및 전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어종 유래의 분말, 바람직하게는 멸치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분은 원료선별, 삶기, 압착, 유수분리, 건조, 분쇄 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콩의 삶는 공정은 중요한 과정으로 제품을 소독하고 수용성 단백질과 지용성 단백질을 분리하는 유수분리 과정의 전처리가 된다. 상기 삶기 공정이 끝나면, 압착 공정으로 또 한 번 분리되고, 남은 고형물들은 고형압착 과정을 거치고, 수용성 부분은 원심분리를 통한 정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정제 과정이 끝나면 건조 과정을 거쳐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된장(soybean paste)은 메주로 장을 담가서 장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로 만든 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청국장(전국장), 막장, 담뿍장, 빰장, 빠개장, 가루장, 보리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 간장(soy sauce)은 콩, 바람직하게는 대두로 메주를 쑤어 소금물에 담근 뒤에 그 즙액을 달여서 만든 장으로서, 재래식 간장과 양조 간장, 산분해 간장, 효소분해 간장, 혼합 간장 등과 같은 개량식 간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간장은 미리 준비된 메주, 천일염을 사용하고 임의로 어류액젓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메주는 콩을 증숙하고, 증숙된 콩을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한 후, 증숙된 콩에 배양된 특정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균주는 다양한 균주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실러스균,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를 접종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바실러스균이 접종된 콩을 성형기를 이용하여 일반 메주형상으로 성형한 후 이를 발효시켜 준비한다.
한편, 상기 간장은 메주, 천일염 및 어류액젓을 교반한 후, 이를 일정 조건에서 발효하고 여과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여과된 혼합물에 특정 유산균을 첨가한 후, 다시 발효 및 살균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간장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그 구체적인 종류는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99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소정의 목적에 따라, 특별한 제한 없이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주사 투여(정맥 내 주사, 근육 내 주사, 피하 주사 등을 포함)에 의해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 (즉, 단백질 발효산물)의 목적하는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물, 염수, 덱스트로스,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그의 유사체, 오일(예: 올리브유, 피마자유,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전분, 폴리에틸렌글리콜,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시트르산나트륨, 젤라틴, 한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알긴 및 그 염,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칼슘 및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경구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정제(예를 들어, 당-코팅 정제), 환제, 캡슐, 과립, 가루약, 유동 엑스제, 액제, 시럽, 현탁액, 팅크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피 투여를 위한 형태로서, 상기 활성 성분의 목적하는 효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물, 광유 및 히알루론산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경피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컨대 패치(예: 미세바늘 패치)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주사 투여에 적합한 주사 또는 정맥내 투여기의 형태로서, 등장성 용액, 염-완충 염수(예: 인산염 완충 염수 또는 시트르산염 완충 염수), 하이드로트로픽제, 유화제, 5% 당 용액 및 정맥내 주입, 유화 정맥내 주입, 주사용 분말, 주사용 현탁액 또는 주사용 분말 현탁액으로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담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대상의 요구, 연령, 체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다양한 투여 빈도, 예를 들어 1일 1회, 1일 수회 또는 수일에 한번 씩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 중 단백질 발효산물의 농도는 실제 적용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그 효과를 추가로 증진시키거나, 또는 제공된 제제의 적용 유연성 및 적용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예컨대 항고혈압제, 지질강하제, 혈당저하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담체의 예로는 부형제, 희석제, 보조제, 안정제, 흡수 지연제, 붕해제, 활택제, 하이드로트로픽제, 유화제, 항산화제, 접착제, 결합제, 점착부여제, 분산제, 현탁제, 윤활제, 흡습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인 상기 어류 가공물이나 콩 가공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예컨대 어류 가공물이나 콩 가공물 추출물의 투여량은 체중 60kg 성인 기준으로 1일 1mg/kg ~ 100mg/kg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mg/kg일 수 있다.
또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억제,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 및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혈행개선의 효과를 지니며, 상기 혈행개선의 효과는 본 발명의 멸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의 유효성분이 혈액내의 혈전 생성을 억제 또는 생성된 혈전을 분해하거나 혈관벽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혈행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의 유효성분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혈중 중성지방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의 유효성분은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의 혈행개선 효과 확인을 위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 평가, 혈액 응고억제 평가, 적혈구에서의 응혈 촉진성(procoagulant) 활성 측정, 전단응력(shear stress)에 의해 유도되는 혈소판 및 적혈구 활성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의 혈관 수축 억제를 통한 혈행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관 수축-이완 기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동맥혈전(arterial thrombosis) 평가를 병행하였으며, 피브린평탄법(fibrin plate method)을 변형한 혈전 분해능 평가, 혈장으로 시판 control plasma(MD Pacific Technology Co. Ltd, Huayuan Industrial Area, China)를 사용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평가 및 측정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어류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모두 우수한 혈행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의 혈중 중성지방 개선 또는 항비만 효과 확인을 위하여, 중성지방세포 분화 억제 확인을 위한 다양한 In-vivo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지방구에 존재하는 중성지방은 3T3-L1 지방전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단계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지방구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성된 지방구의 양을 측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수행 결과 모두 우수한 중성지방 개선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리부티린(Tributyrin)을 이용한 중성지방 억제능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높은 중성지방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섭취한 동물과 정상적인 실험대상 동물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동물을 대조군으로 한 In-vivo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 비교 및 혈청 내 HDL/LDL /VLDL 콜레스테롤 함량 비교 결과, 모두 우수한 콜레스테롤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병행된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의 함량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콜레스테롤 개선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해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 항비만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작용기전을 토대로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어류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과 같은 부작용 없으면서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각종 캡슐, 정제, 액제, 현탁제 또는 주사제 등으로 제조되어 상술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국민건강증대 및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혈행개선 효과
(1) ACE 저해활성 평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inase peptidyldipeptide hydrolase, EC 34151)은 불활성 데카펩타이드(decapeptide)인 안지오텐신(Angiotensin)의 C 말단 디펩타이드(His-Leu)를 절단하여 혈관벽 평활근 수축 등의 작용에 의하여 강한 혈압 상승 작용을 나타내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을 생성하는 한편, 강한 혈관 확장 작용을 가지는 노나펩타이드인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고혈압 발생 기작에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renin-angiotensin system)은 혈압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ACE는 레닌(renin)에 의하여 생성된 데카펩타이드 안지오텐신으로부터 C 말단의 디펩타이드를 가수분해시켜 혈관 수축 작용을 하는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을 합성하는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생성된 안지오텐신은 부신 피질에서 알도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여 물과 나트륨의 배설을 억제하며, 혈관 이완작용을 갖는 노나펩타이드인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억제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ACE 저해 작용은 혈관 수축을 막고 체내 수분 잔류를 막아 혈압을 낮추며 혈행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ACE 저해 활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약학 조성물 첨가구의 흡광도이고, B는 약학 조성물 무 첨가구의 흡광도이며, 상기 A, B는 대조구의 흡광도를 제외한 수치이다.
시료 IC50 (㎍/mL)
개발제품 1 392.15±2.20
개발제품 2 556.21±3.38
개발제품 3 713.58±2.26
대조구 1003.35±3.04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시료에 의한 ACE 저해값
* 상기 값은 평균±표준편차(n=3)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표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발제품 1(멸치액젓+간장), 개발제품 2(멸치액젓) 및 개발제품 3(일반 메주를 이용한 간장)의 IC50은 상기 개발제품을 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상술한 혈관수축 방지 및 이에 따른 혈행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혈관수축 이완기능 평가
이와 관련하여 Rat의 하행 흉부 대동맥(descending thoracic aorta)을 적출하여 organ bath system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발제품에 의한 혈관의 수축/이완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때, 혈관의 수축은 페닐레프린(phenylephrine)을 사용하여, 누적적인 용량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정도를 파악하며, 혈관의 이완은 페닐레프린으로 각 처리 그룹의 혈관에 동일한 정도의 수축을 유발한 후,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추가적으로 가함으로서 유발하였고, 이완의 결과는 페닐레프린의 수축에 대한 이완율로 계산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때, 상기 대조구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발제품(멸치액젓+간장)을 가했을 때, 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 수축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혈중 중성지방 개선 효과
혈중 중성지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사료를 자율급식으로 제공한 정상 대조군, 음성 대조군(고지혈증 유도군), 실험 실시예 1(고지혈증 유도+간장), 실험 실시예 2(고지혈증 유도+액젓) 및 실험 실시예 3(고지혈증 유도+(액젓+간장))에 의한 ICR 마우스의 혈액을 1,500 X g에서 원심분리(SorvallTM Legend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하여 혈장을 분리해 내었다.
상기 혈구와 분리된 혈장을 멸균된 튜브에 옮기고, 혈중 중성지방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중 중성지방의 측정은 Triglyceride colorImetric assay kit(Cayman, Ann Arbor, MI, USA)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흡광도는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고지혈증 유도는 5주령의 ICR 마우스 (25±2g) / 45% 지방 함량을 가지는 식이 일정량과 식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수행하였고, 상기 각 실험군은 항온(25±2℃), 항습(50±5%) 및 음/양 12시간 조건을 유지시켰다.
구분 트리글리세라이드(mg/dL)
정상대조군 90.18±4.22
음성대조군 137.80±5.86
실험실시예 1 110.88±6.02
실험실시예 2 102.50±5.24
실험실시예 3 88.69±4.6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중성 지방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본사료를 자율급식으로 제공한 정상 대조군, 음성 대조군(고지혈증 유도군), 실험 실시예 1(고지혈증 유도+간장), 실험 실시예 2(고지혈증 유도+액젓) 및 실험 실시예 3(고지혈증 유도+개발제품(액젓+간장))에 의한 ICR 마우스의 혈액을 1,500 X g에서 원심분리(SorvallTM LegendTM Micro 17 Micro centrifuge, Thermo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하여 혈장을 분리해 내었다.
상기 혈구와 분리된 혈장을 멸균된 튜브에 옮기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중 콜레스테롤의 측정은 EnzyChrom HDL and LDL/VLDL assay kit(Bioassay system, Hayward, CA, USA)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흡광도는 SpectraMax 340PC384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고지혈증 유도는 5주령의 ICR 마우스 (25±2g) / 45% 지방 함량을 가지는 식이 일정량과 식수를 충분히 공급하여 수행하였고, 상기 각 실험군은 항온(25±2℃), 항습(50±5%) 및 음/양 12시간 조건을 유지시켰다.
구분 총콜레스테롤
(mg/dL)
HDL-콜레스테롤
(mg/dL)
LDL/VLDL 콜레스테롤
(mg/dL)
정상대조군 113.85±1.45 82.78±1.04 23.86±0.49
음성대조군 149.08±0.69 114.35±1.46 40.39±1.49
실험실시예 1 129.65±1.13 88.96±1.25 29.88±0.73
실험실시예 2 124.39±2.35 86.59±1.30 28.22±0.72
실험실시예 3 114.77±1.94 81.77±1.37 25.24±0.39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험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가 적용된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 저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이용한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기술적 구성들을 통하여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및/또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능을 갖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독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상적인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 어류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과 같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상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어류 가공물 및 콩 가공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관상동맥성 심장병, 뇌졸중, 지방간, 혈전증 및 비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가공물은 건조어류, 일정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된 반건조 어류, 분쇄된 생어류, 어분메주 및 어류 액젓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 가공물은 발효 처리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분메주는 메주의 성형시 메주의 전체중량 대비 20중량% 이하의 어분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멸치, 문어, 오징어, 정어리, 갈치,청어, 전어, 고등어, 빙어, 까나리, 방어, 홍어, 참치, 전갱이, 꽁치, 곤쟁이, 배도라치, 굴비, 명태, 양미리, 홍합, 바지락, 새우 및 꽃게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가공물은 발효콩, 메주, 어분메주, 된장 및 간장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가공물은 발효 처리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 경피 투여 또는 주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방 억제, 혈중 콜레스테롤 억제 및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00112921A 2019-09-05 2020-09-04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10029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322 2019-09-05
KR20190110322 2019-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118A true KR20210029118A (ko) 2021-03-15

Family

ID=7485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21A KR20210029118A (ko) 2019-09-05 2020-09-04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29118A (ko)
WO (1) WO20210455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805A (ko) 2021-04-27 2022-11-08 장영진 기능성 장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220150551A (ko) * 2021-05-04 2022-11-11 오천영어조합법인 곤쟁이 오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KR20230072366A (ko) 2021-11-17 2023-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감소 및 고지혈증 개선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59A (ko) 2012-03-22 2013-10-02 박창하 식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101691605B1 (ko) 2013-03-15 2017-01-2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126A (ja) * 2003-06-13 2005-01-06 Marukome Kk 味噌の製造方法
KR20050032927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KR100964587B1 (ko) * 2008-05-29 2010-06-21 박건영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6600A (ko) * 2008-07-10 2010-01-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등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046B1 (ko) * 2010-06-29 2012-09-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9232A (ko) * 2018-10-05 2020-04-16 장영진 멸치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659A (ko) 2012-03-22 2013-10-02 박창하 식용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101691605B1 (ko) 2013-03-15 2017-01-2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rculation 92, 657-671, (1995)
Kor. J. Pharmacogn. 34(2): 179-184 (200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805A (ko) 2021-04-27 2022-11-08 장영진 기능성 장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220150551A (ko) * 2021-05-04 2022-11-11 오천영어조합법인 곤쟁이 오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조성물
KR20230072366A (ko) 2021-11-17 2023-05-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감소 및 고지혈증 개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5554A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9118A (ko)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4087364A (ja) 食用アピオス花、食品素材、血糖値上昇抑制効果具有物、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アピオス花の使用方法
CN109090597A (zh) 一种辅助降三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70005632A (ko)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066919B2 (ja) 発酵茶抽出物を含む脂質水準減少用組成物
Olaniyan et al. Raw Cucumber (Cucumis sativus) Fruit Juice as Possible First-Aid Antidote in Drug-Induced Toxicity
Kumar Nutraceutical potential and utilization aspects of food industry by-products and wastes
CN109602023A (zh) 一种以大豆为主要原料辅助降血脂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9939143A (zh) 一种用于降血糖控制并发症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2526801A (ja) 発酵茶抽出物を含有する血液循環改善用組成物、発酵茶抽出物を含む薬剤学的組成物及び健康食品組成物
KR101913940B1 (ko) 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13003A (ko) 콩 가공물을 함유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JP2006160710A (ja) 糖尿病の予防・治療用組成物およびその有効成分を含む健康食品
CN104857034A (zh) 一种防治心脑血管疾病的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13368223A (zh) 一种用于心脑血管病防治的中药复方分散片及制备方法
CN106173853B (zh) 一种降血脂的营养组合物及其应用
KR20060120096A (ko) 식물 종자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182706A (ja) 血中アディポネクチン量増加剤
JP6077943B2 (ja) アンニンコウ抽出液の低分子画分による動脈硬化症の治療剤
JPH11246427A (ja) 糖・脂質代謝活性化剤
KR20200039232A (ko) 멸치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CN1660207A (zh) 降低血脂和胆固醇的保健制剂及其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