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076A -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9076A KR20210029076A KR1020200076970A KR20200076970A KR20210029076A KR 20210029076 A KR20210029076 A KR 20210029076A KR 1020200076970 A KR1020200076970 A KR 1020200076970A KR 20200076970 A KR20200076970 A KR 20200076970A KR 20210029076 A KR20210029076 A KR 20210029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extension installation
- installation portion
- extension
- nozz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을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계 방사 헤드는, 헤드 본체 및 노즐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의 내부에는, 수납 공동이 형성되고, 노즐은, 헤드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노즐에서는, 수납 공동과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돌출단에 유로의 분출구가 형성된다. 노즐에서는, 제1 연장 설치부가, 헤드 본체에 대한 접속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연장 설치부가, 제1 연장 설치부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돌출단을 형성한다. 제1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1 체적에 비하여, 제2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2 체적은 작고,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을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계 방사 헤드는, 헤드 본체 및 노즐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의 내부에는, 수납 공동이 형성되고, 노즐은, 헤드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노즐에서는, 수납 공동과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돌출단에 유로의 분출구가 형성된다. 노즐에서는, 제1 연장 설치부가, 헤드 본체에 대한 접속 부분을 형성하고, 제2 연장 설치부가, 제1 연장 설치부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돌출단을 형성한다. 제1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1 체적에 비하여, 제2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2 체적은 작고,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로스피닝법(전계 방사법 및 전하 유도 방사법 등이라고도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에 의해, 미세한 파이버를 수집체 또는 기재의 표면에 퇴적시켜, 파이버의 막을 형성하는 전계 방사 장치가 있다. 전계 방사 장치에는, 전계 방사 헤드가 마련되고, 전계 방사 헤드는, 헤드 본체와, 헤드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노즐을 구비한다. 전계 방사 헤드에서는, 헤드 본체의 내부에 원료액을 수납 가능한 수납 공동이 형성된다. 또한, 노즐의 내부에는, 수납 공동과 연통되는 유로(노즐 유로)가 형성되고, 노즐에 있어서 헤드 본체로부터의 돌출단에는, 유로의 분출구가 형성된다. 노즐(전계 방사 헤드)과 수집체 또는 기재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로의 분출구로부터 원료액을 수집체 또는 기재의 표면을 향하여 분출시켜, 파이버를 수집체 또는 기재의 표면에 퇴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계 방사 장치에서는, 노즐의 유로에 있어서, 분출구로부터 분출되기 직전의 원료액의 전하 밀도가 높게 확보되고,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이 적절하게 분출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노즐의 돌출단의 근방의 공간에 있어서 전계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고, 노즐의 돌출단 및 그의 근방으로의 파이버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을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헤드 본체 및 노즐을 구비하는 전계 방사 헤드가 제공된다. 헤드 본체에서는, 원료액을 수납 가능한 수납 공동이 내부에 형성된다. 노즐은, 도전 재료로 형성되고, 헤드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노즐에서는, 수납 공동과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헤드 본체로부터의 돌출단에 유로의 분출구가 형성된다. 노즐은, 제1 연장 설치부 및 제2 연장 설치부를 구비한다. 제1 연장 설치부는, 헤드 본체의 외주면에 대한 노즐의 접속 부분을 형성하고, 제1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은, 제1 체적이 된다. 제2 연장 설치부는, 제1 연장 설치부로부터 노즐의 돌출 방향으로 더욱 돌출되고, 노즐의 돌출단을 형성한다. 제2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은, 제1 체적보다 작은 제2 체적이 되고,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전계 방사 헤드와, 전원을 구비하는 전계 방사 장치가 제공된다. 전원은, 전계 방사 헤드의 노즐에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에 의하면,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을 적절하게 분출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제3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2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긴 변 축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제3 변형예에 관한 전계 방사 헤드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계 방사 장치(1)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계 방사 장치(1)는, 전계 방사 헤드(2), 원료액의 공급원(공급부)(3), 전원(4), 수집체(5) 및 제어부(6)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은, 전계 방사 헤드(2)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계 방사 헤드(2)는, 헤드 본체(11)와, 복수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노즐(12)을 구비한다. 헤드 본체(11)(전계 방사 헤드(2))는, 중심축으로서 긴 변 축 C를 갖고, 긴 변 축 C를 따라 연장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본체(11) 및 노즐(12)의 각각은, 도전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노즐(12)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즐(12)은,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헤드 본체(11) 및 노즐(12)의 각각은, 후술하는 원료액에 대해 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2는, 긴 변 축 C에 대해 교차하는(수직 또는 대략 수직인) 어느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긴 변 축 C에 대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이고, 또한, 노즐(12)의 하나를 지나는 단면을 나타낸다.
노즐(12)의 각각은,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를 따라 연장 설치되고, 헤드 본체(11)의 외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은, 긴 변 축 C에 대해 교차하는(수직 또는 대략 수직인) 방향에 대해 긴 변 축 C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노즐(12)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서로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각도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노즐(12)은, 긴 변 축 C를 따라 배열되어, 노즐 열(13)을 형성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은,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즉 긴 변 축 C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돌출된다.
헤드 본체(11)의 내부에는, 긴 변 축 C를 따라 수납 공동(15)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납 공동(15)은, 헤드 본체(11)와 동일 축 또는 대략 동일 축으로 형성되고, 수납 공동(15)의 중심축은, 긴 변 축 C와 동일 축 또는 대략 동일 축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납 공동(15)은,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헤드 본체(11)의 전체 또는 대부분에 걸쳐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본체(11)는, 수납 공동(15)을 내부 공동으로 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계 방사 헤드(2)에는, 노즐(12)과 동일한 수만큼 유로(노즐 유로)(17)가 형성되고, 노즐(12)의 각각의 내부에는, 유로(17)의 대응하는 하나가 형성된다. 유로(17)의 각각의 일단은, 수납 공동(15)과 연통되고, 수납 공동(15)으로부터 헤드 본체(11)의 외주측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유로(17)의 각각에는, 수납 공동(15)과는 반대측의 단에 분출구(18)가 형성되고, 유로(17)의 각각은, 분출구(18)에서 외부에 대해 개구된다. 노즐(12)의 각각에서는,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단 E2에, 유로(17) 중 대응하는 하나의 분출구(18)가 형성된다.
원료액의 공급원(3)은, 수납부(31), 공급 구동부(32), 공급 조정부(33) 및 공급 배관(35)을 구비한다. 수납부(31), 공급 구동부(32), 공급 조정부(33) 및 공급 배관(35)의 각각은, 원료액에 내성을 갖고, 어떤 일례에서는, 수납부(31) 및 공급 배관(35)의 각각은, 불소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된다.
수납부(31)는, 원료액을 수납하는 탱크 등이다. 원료액은, 고분자 재료를 용매에 용해시킨 것이다. 원료액에 포함되는 고분자 및 고분자를 용해시키는 용매는, 수집체(5)의 표면에 퇴적시킬 파이버(100)의 종류 등에 대응시켜, 적절하게 결정된다. 공급 배관(35)은, 수납부(31)와 전계 방사 헤드(2)의 헤드 본체(11) 사이를 접속한다. 공급 배관(35)의 내부에는, 원료액의 유로가 형성된다.
헤드 본체(11)의 수납 공동(15)의 일단에는, 개구(16)가 형성된다. 공급 배관(35)은, 개구(16)에서, 헤드 본체(11)에 접속되고, 수납 공동(15)은, 개구(16)에서 공급 배관(35)의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헤드 본체(11)의 일방측의 단부면에, 개구(16)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 공동(15)의 타단, 즉 수납 공동(15)에 있어서 개구(16)와는 반대측의 단은, 헤드 본체(11)의 외부에 대해 폐구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헤드 본체(11) 자체에 의해 수납 공동(15)의 타단이 폐구되고,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헤드 본체(11)에 장착되는 덮개 부재 등에 의해 수납 공동(15)의 타단이 폐구된다.
공급 구동부(32)는, 구동되거나 함으로써, 수납부(31)로부터 공급 배관(35)을 통과하여 원료액을 헤드 본체(11)의 수납 공동(15)에 공급한다. 어떤 일례에서는, 공급 구동부(32)는, 펌프이다. 또한,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공급 구동부(32)는, 수납부(31)에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수납부(31)로부터 수납 공동(15)에 원료액을 압송한다. 수납 공동(15)은, 공급 배관(35)을 통과하여 공급된 원료액을 수납 가능하다.
공급 조정부(33)는, 수납 공동(15)에 공급되는 원료액의 유량 및 압력 등을 조정한다. 어떤 일례에서는, 공급 조정부(33)는, 원료액의 유량 및 압력 등을 제어 가능한 제어 밸브이다. 공급 조정부(33)는, 원료액의 유량 및 압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전계 방사 헤드(2)와 수집체(5)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노즐(12)의 각각의 분출구(18)로부터의 원료액의 분출을 억제한다. 그리고, 공급 조정부(33)는, 원료액의 점도 및 분출구(18)의 각각의 치수 등에 기초하여, 원료액을 적당한 유량 및 압력 등으로 조정한다. 또한, 어떤 일례에서는, 공급 조정부(33)는, 수납부(31)로부터 수납 공동(15)에 대한 원료액의 공급 및 공급 정지를 전환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급 조정부(33)는, 예를 들어 전환 밸브이다.
또한, 공급 구동부(32) 및 공급 조정부(33)는, 반드시 마련할 필요는 없다. 어떤 일례에서는, 헤드 본체(11)에 대해 연직 상측에 수납부(31)가 마련되고, 중력을 이용하여 수납부(31)로부터 수납 공동(15)에 원료액을 공급한다. 이 경우, 헤드 본체(11)에 대한 수납부(31)의 높이의 차를 조정함으로써, 전계 방사 헤드(2)와 수집체(5)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노즐(12)의 각각의 분출구(18)로부터의 원료액의 분출을 억제한다.
전원(4)은, 전계 방사 헤드(2)와 수집체(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전계 방사 헤드(2)에서는, 헤드 본체(11)를 통하여, 소정의 극성의 전압이, 노즐(12)의 각각에 인가된다. 또한, 어떤 일례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도시 생략)가 마련되고, 단자를 통하여 노즐(12)의 각각에 전압이 인가된다. 단자가 마련되는 구성에서는, 헤드 본체(11)를 도전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4)은, 노즐(12)의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노즐(12)은,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노즐(12)은, 서로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전위로 된다. 노즐(12)의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은, 플러스여도 되고, 마이너스여도 된다. 도 1의 일례에서는, 전원(4)은, 직류 전원이며, 노즐(12)의 각각에 플러스의 전압을 인가한다.
수집체(5)는, 도전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수집체(5)는, 원료액에 대해 내성을 가지며, 어떤 일례에서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된다. 수집체(5)는, 전계 방사 헤드(2)에 대해, 분출구(18)의 각각이 개구되는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집체(5)는, 전계 방사 헤드(2)에 대해, 분출구(18)로부터 원료액이 분출되는 측에 배치된다.
도 1의 일례에서는, 수집체(5)는, 접지된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 플러스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 있어서, 수집체(5)의 대지 전압은, 0V 또는 대략 0V가 된다.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수집체(5)가 접지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전원(4)은, 노즐(12)의 각각과는 반대의 극성의 전압을 수집체(5)에 인가한다.
공급원(3)에 의해 전계 방사 헤드(2)에 원료액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전원(4)에 의해 노즐(12)의 각각과 수집체(5)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노즐(12)의 각각의 분출구(18)로부터 수집체(5)를 향하여 원료액이 분출된다. 즉, 노즐(12)의 각각과 수집체(5)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원료액이 수집체(5)를 향하여 분출된다. 노즐(12)의 각각의 분출구(18)로부터 원료액이 수집체(5)를 향하여 분출됨으로써, 파이버(100)가 수집체(5)의 표면에 퇴적되고, 퇴적된 파이버(100)에 의해 파이버(100)의 막이 형성된다. 즉, 일렉트로스피닝법(전계 방사법 및 전하 유도 방사법 등이라고도 칭해지는 경우도 있음)에 의해, 파이버(100)의 막이 형성된다.
또한, 전계 방사 헤드(2)와 수집체(5)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즉 노즐(12)의 각각과 수집체(5) 사이의 전위차는, 원료액에 포함되는 고분자의 종류 및 노즐(12)의 각각의 수집체(5)에 대한 거리 등에 대응시켜, 적당한 크기로 조정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노즐(12)의 각각과 수집체(5) 사이에, 10kV 이상 100kV 이하의 어느 크기의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수집체(5)는, 예를 들어 판형 또는 시트형으로 형성된다. 수집체(5)가 시트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롤 등의 외주면에 감긴 수집체(5)에 파이버(100)를 퇴적시켜도 된다. 또한, 수집체(5)는, 이동 가능해도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1쌍의 회전 드럼, 및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이 마련된다. 구동원에 의해 회전 드럼이 구동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와 마찬가지로, 1쌍의 회전 드럼 사이를 수집체(5)가 이동한다. 수집체(5)가 이동함(반송됨)으로써, 수집체(5)의 표면에 있어서 파이버(100)가 퇴적되는 영역을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경시적으로 연속해서 수집체(5)에 파이버(100)를 퇴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파이버(100)의 퇴적체인 파이버(100)의 막이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수집체(5)의 표면에 형성된 파이버(100)의 막은, 수집체(5)로부터 분리된다. 파이버(100)의 막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부직포 및 필터 등에 이용된다.
또한, 어떤 일례에서는, 수집체(5)가 마련되지 않는다. 이 경우, 도전 재료로 형성되는 기재가 이용되며, 노즐(12)의 각각과 기재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노즐(12)의 각각의 분출구(18)로부터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이 분출된다. 그리고, 기재의 표면에 파이버(100)를 퇴적시킴으로써, 기재의 표면에 파이버(100)의 막이 형성된다. 이 경우, 기재는, 접지되어 있어도 되고, 전원(4)에 의해 노즐(12)의 각각과는 반대의 극성의 전압이 기재에 인가되어도 된다.
또한, 다른 어떤 일례에서는, 수집체(5) 상에 기재가 설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12)의 각각과 수집체(5)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수집체(5) 상에 설치되는 기재의 표면에 파이버(100)를 퇴적시켜, 기재의 표면에 파이버(100)의 막을 형성한다. 이 경우, 기재가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경우에도, 기재의 표면에 파이버(100)의 막을 형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집체(5) 상에 기재가 설치되는 경우, 기재는, 수집체(5) 상을 이동 가능해도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시트형의 기재가 감긴 회전 드럼과, 표면에 파이버(100)의 막이 형성된 기재를 권취하는 회전 드럼이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 드럼의 각각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집체(5) 상을 기재가 이동한다. 기재가 이동함(반송됨)으로써, 기재의 표면에 있어서 파이버(100)가 퇴적되는 영역을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경시적으로 연속해서 기재에 파이버(100)를 퇴적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파이버(100)의 퇴적체인 파이버(100)의 막이 효율적으로 제조된다.
기재의 표면 상에 파이버(100)의 막을 형성하는 예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전지의 세퍼레이터 일체형 전극의 제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전극군의 부극 및 정극 중 한쪽이 기재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기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파이버(100)의 막이, 부극 또는 정극과 일체의 세퍼레이터로 된다.
제어부(컨트롤러)(6)는, 예를 들어 컴퓨터 등이다. 제어부(6)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또는 집적 회로(제어 회로) 및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구비한다. 제어부(6)는, 집적 회로 등을 하나만 구비해도 되고, 집적 회로 등을 복수 구비해도 된다. 제어부(6)는, 기억 매체 등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등을 실행함으로써,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6)는, 공급 구동부(32)의 구동, 공급 조정부(33)의 작동 및 전원(4)으로부터의 출력 등을 제어한다.
노즐(12)의 각각은, 예를 들어 니들형 노즐이며, 중심축으로서 연장 설치축 P를 갖는다.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화살표 X1 및 화살표 X2로 나타내는 방향)의 일방측이,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방향과, 일치 또는 대략 일치한다. 유로(노즐 유로)(17)의 각각은, 노즐(12) 중 대응하는 하나와 동일 축 또는 대략 동일 축으로 형성되고, 유로(17)의 각각의 중심축은, 노즐(12)의 대응하는 하나의 연장 설치축 P와 동일 축 또는 대략 동일 축으로 형성된다. 유로(17)의 각각은, 노즐(12)의 대응하는 하나의 연장 설치축 P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17)의 각각은, 노즐(12)의 대응하는 하나에 있어서,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의 전체 치수에 걸쳐 형성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12)의 각각은, 유로(17) 중 대응하는 하나를 내부 공동으로 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노즐(12)의 각각은, 연장 설치부(21, 22)를 구비한다.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의해,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에 대한 접속 부분 E1이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에 의해, 헤드 본체(11)로부터의 돌출 부분의 근원이 형성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는, 연장 설치부(21)로부터 돌출 방향(화살표 X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더욱 돌출되고, 연장 설치부(22)에 의해, 헤드 본체(11)로부터의 돌출 부분의 돌출단 E2가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돌출단(선단)에, 분출구(18)의 하나가 형성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는,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이 형성된다.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는, 접속 부분 E3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대해 돌출단 E2가 위치하는 측에, 접속된다. 또한, 노즐의(12)의 각각에서는, 유로(17) 중 대응하는 하나가, 연장 설치부(21)의 내부 및 연장 설치부(22)의 내부를 차례로 지나, 수납 공동(15)으로부터 분출구(18)(돌출단 E2)까지 연장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2)가 돌출단 E2가 형성되는 노즐 선단부가 되어, 연장 설치부(21)가 헤드 본체(11)와 연장 설치부(22) 사이를 중계하는 노즐 중계부가 된다.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유로(17) 중 대응하는 하나의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적이,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해진다. 즉, 유로(17)의 각각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은, 노즐(12)의 대응하는 하나에 있어서,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해진다. 따라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유로(17) 중 대응하는 하나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이, 접속 부분 E1과 돌출단 E2 사이에 있어서, 변화되지 않는, 또는 변화되고 있지 않다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미소하게 변동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노즐(12)의 돌출단 E2에서의 외경이 0.5㎜로, 유로(17)의 직경(내경)이 0.3㎜로, 설계된다. 이 경우, 접속 부분 E1과 돌출단 E2 사이에 있어서 유로(17)의 직경이 0.3㎜±수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내이면, 접속 부분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유로(17)의 단면적이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다고 간주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외경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이 작다. 즉, 연장 설치축 P로부터 연장 설치부(22)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연장 설치축 P로부터 연장 설치부(21)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에 비하여, 작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의 외경은,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1)의 돌출단)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은,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2)의 근원)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외경, 즉 노즐(12)의 돌출단 E2에서의 외경이 0.5㎜로 설계된다. 이 경우,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이 0.5㎜±수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내이면,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이 균일하다고 간주하고,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에 있어서 연장 설치축 P로부터 연장 설치부(22)의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균일하다고 간주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외경, 즉 돌출단 E2에서의 외경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노즐(12)의 각각의 돌출단 E2(분출구(18))의 근방에 있어서 전계 집중이 생기기 쉬워진다. 어떤 일례에서는,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은, 예를 들어 0.3㎜ 이상 1.3㎜ 이하의 어느 크기가 된다.
또한, 유로(17)의 각각의 직경(내경), 즉 분출구(18)의 각각의 개구 직경은, 노즐(12)의 대응하는 하나의 연장 설치부(22)의 외경보다 작은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로(17)의 각각의 직경은, 수집체(5)의 표면에 퇴적시킬 파이버(100)의 종류 등에 대응시켜, 적절하게 설정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유로(17)의 각각의 직경은, 예를 들어 0.1㎜ 이상 1㎜ 이하의 어느 크기가 된다.
연장 설치부(21, 22)의 외경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에서는, 연장 설치부(21)로부터 연장 설치부(22)를 향하여, 노즐(12)의 외경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에, 직경 방향에 관한 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연장 설치부(21, 22)의 외경 및 유로(17)의 직경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2)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보다, 작다. 즉, 유로(17)로부터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유로(17)로부터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외주면까지의 두께보다, 작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1)에서는,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1)의 돌출단)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접속 위치) E1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 T1을 규정하면,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1)에서는, 접속 부분 E1과 접속 부분 E3 사이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두께 T1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에서는,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2)의 근원)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단 E2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 T2를 규정하면,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에서는,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두께 T2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어떤 일례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두께 T2, 즉 노즐(12)의 돌출단 E2에서의 유로(17)와 외주면 사이의 두께가, 0.2㎜로 설계된다. 이 경우,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2)의 두께가 0.2㎜±수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내이면,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연장 설치부(22)의 두께가 균일하다고 간주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설치부(22)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의 두께보다, 작다. 따라서,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은,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다. 즉,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돌출 방향)의 단위 길이당 차지하는 체적은,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유로를 제외한 부위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유로를 제외한 부위에서, 작아진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1)의 치수 L1에 비하여,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2)의 치수 L2는, 작다. 즉,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1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22)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2는, 작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의 유로(17)의 연장 설치 길이는, 치수 L1 및 치수 L2의 합계값(L1+L2)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된다.
여기서,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1 체적) V1 및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2 체적) V2를, 규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단면적 및 치수 L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되고, 연장 설치부(22)에 있어서 단면적 및 치수 L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된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체적 V2는, 체적 V1에 비하여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1 체적) V1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2 체적) V2가 작다. 그리고,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1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22)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2는, 작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돌출단 E2(분출구(18))가 마련되는 연장 설치부(22)의 돌출 길이가 작아진다.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2)의 연장 설치부(21)로부터 돌출 길이가 작아지는 것에 의해, 노즐(12)과 수집체(5) 등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도, 노즐(12)의 각각의 돌출단 E2의 근방 공간에 있어서, 전계 강도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분출구(18)의 각각으로부터 원료액이 분출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노즐(12)의 각각의 돌출단 E2 및 그 근방으로의 파이버(원료액)(100)의 부착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의 두께보다, 작다. 이 때문에, 연장 설치부(22)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2를, 연장 설치부(21)의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 L1보다 작게 하거나 하여,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 V2가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 V1보다 작아지는 구성이 용이하게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17)는, 연장 설치부(21, 22)를 통하여 연장 설치되고,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돌출 부분의 근원)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연장 설치된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유로(17)의 연장 설치 길이는, 치수 L1 및 치수 L2의 합계값(L1+L2)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어, 커진다.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의 유로(17)의 연장 설치 길이가 커짐으로써, 노즐(12) 각각의 내주면(유로(17)의 주위면)대한, 유로(17)를 흐르는 원료액의 접촉 빈도가 높아진다.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내주면에 대한 원료액의 접촉 빈도가 높아짐으로써, 노즐(12)과 수집체(5) 등과의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 있어서, 노즐(12)의 각각으로부터 원료액에 전하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유로(17)의 각각에 있어서, 분출구(18)로부터 분출되기 직전의 원료액의 전하 밀도가 높게 확보된다. 유로(17)의 각각에 있어서 분출구(18)로부터 분출되기 직전의 원료액의 전하 밀도가 높아짐으로써, 분출구(18)의 각각으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 등을 향하여 원료액이 적절하게 분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접속 위치)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유로(17)의 단면적(직경)이 균일해진다. 이 때문에, 노즐(12)의 각각의 유로(17)에서는, 돌출단 E2 및 그 근방에 더하여,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 및 그 근방에서도,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 및 그 근방에 있어서도, 노즐(12)의 각각의 내주면에 대한 원료액의 접촉 빈도가 높아진다. 노즐(12)의 각각으로부터 원료액에 전하가 더욱 이동하기 쉬워져, 유로(17)의 각각에 있어서, 분출구(18)로부터 분출되기 직전의 원료액의 전하 밀도가 더욱 높아진다.
(변형예)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제1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1)의 외경은,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과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 사이에 있어서,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외경은,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을 향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1)는, 돌출단 E2에 접근할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단,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은,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접속 부분(접속 위치) E3 이외의 부분에서의 외경보다,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이 작다.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에서의 외경이, 돌출단 E2에서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는 달리,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에, 직경 방향에 관한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17)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은,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에 있어서,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2)의 근원)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즉, 돌출단 E2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 T2를 규정하면,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에서는,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두께 T2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단,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을 향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1)는, 돌출단 E2에 접근할수록, 두께가 감소된다. 또한,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접속 부분 E3 이외의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두께가 작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에서의 두께가, 돌출단 E2에서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은, 연장 설치축 P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1)의 치수 L1에 비하여,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2)의 치수 L2는, 작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1 체적) V1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2 체적) V2가 작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제2 변형예에서도, 도 4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21)의 외경은, 연장 설치부(22)에 대한 접속 부분 E3을 향할수록 감소한다. 그리고,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은,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노즐(12)의 각각에서는,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에 있어서 접속 부분 E3 이외의 부분에서의 외경보다,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외경이 작다.
단,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유로(17)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은,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과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 사이에 있어서, 균일하게 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의 각각의 유로(17)는, 헤드 본체(11)에 대한 접속 부분 E1로부터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까지에 걸쳐 형성되는 단면적 변화부(25)와, 연장 설치부(21, 22)의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분출구(18))까지에 걸쳐 형성되는 단면적 균일부(26)를 구비한다. 단면적 변화부(25)에서는, 접속 부분 E3에 접근할수록, 즉 돌출단 E2에 접근할수록, 유로(17)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이 감소된다. 또한, 단면적 균일부(26)에서는, 접속 부분 E3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유로(17)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이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에 있어서,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연장 설치부(21)에 대한 접속 부분 E3(연장 설치부(22)의 근원)으로부터 돌출단 E2까지, 균일(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즉, 돌출단 E2에서의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 T2를 규정하면, 노즐(12)의 각각의 연장 설치부(22)에서는, 접속 부분 E3과 돌출단 E2 사이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유로(17)로부터 외주면까지의 두께는, 두께 T2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하게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1)의 치수 L1에 비하여, 연장 설치축 P를 따르는 방향에 관한 연장 설치부(22)의 치수 L2는, 작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의 각각에 있어서, 연장 설치부(제1 연장 설치부)(21)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1 체적) V1에 비하여, 연장 설치부(제2 연장 설치부)(22)의 유로(17)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제2 체적) V2가 작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 방사 헤드(2)에 마련되는 노즐(12)의 수는, 하나 이상이면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등에서는, 복수의 노즐(12)에 의해 하나의 노즐 열(13)이 형성되지만, 전계 방사 헤드(2)에 있어서, 노즐 열(13)과 마찬가지의 노즐 열이 복수 형성되어도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제3 변형예에서는, 노즐(12)로서, 노즐(12A, 12B)이,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A, 12B)의 각각은, 복수씩 마련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노즐(제1 노즐)(12A)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서로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각도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노즐(제2 노즐)(12B)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서로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각도 위치에 배치되어. 이를 위해,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노즐(12A)은, 긴 변 축 C를 따라 배열되어, 노즐 열(제1 노즐 열)(13A)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노즐(12B)은, 긴 변 축 C를 따라 배열되어, 노즐 열(제2 노즐 열)(13B)을 형성한다.
노즐(12B)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노즐(12A)에 대해 어긋나게 마련된다. 이 때문에, 노즐 열(13B)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노즐 열(13A)에 대해 어긋나게 형성된다. 단, 본 변형예에서는, 노즐(12A, 12B)의 모두가, 긴 변 축 C에 대해, 수집체(5)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노즐(12A)은, 긴 변 축 C의 축 둘레에 대해, 노즐(12B)에 대해 60°정도 어긋나게 배치된다.
헤드 본체(11)의 외주면에서는, 노즐(12A, 12B)은,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노즐(12A) 및 노즐(12B)은,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교대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인접하는 노즐(제1 노즐)(12A) 사이에는, 노즐(제2 노즐)(12B)의 대응하는 하나가 배치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인접하는 노즐(12A) 사이에, 노즐(12B)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수집체(5) 또는 기재에서는, 긴 변 축 C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 인접하는 노즐(12A)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도, 노즐(12B)에 의해 파이버(100)가 퇴적된다. 이에 의해, 수집체(5) 또는 기재에 있어서 파이버(100)가 국소적으로 퇴적되는 것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노즐(12A, 12B)의 각각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등의 노즐(12)의 어느 것과 마찬가지로, 연장 설치부(21, 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12A, 12B)의 각각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 등의 노즐(12)의 어느 것과 마찬가지로, 유로(17) 및 분출구(18)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전술한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에 의하면, 전계 방사 헤드의 노즐에 있어서, 제1 연장 설치부로부터 제2 연장 설치부가 노즐의 돌출 방향으로 더욱 돌출되고, 제2 연장 설치부가, 노즐의 돌출단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1 체적에 비하여, 제2 연장 설치부의 유로를 제외한 부분의 제2 체적은 작고,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다. 이에 의해, 분출구로부터 수집체 및 기재를 향하여 원료액을 적절하게 분출시킬 수 있는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 원료액을 수납 가능한 수납 공동이 내부에 형성되는 헤드 본체와,
도전 재료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헤드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노즐이며, 상기 수납 공동과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헤드 본체로부터의 돌출단에 상기 유로의 분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헤드 본체의 상기 외주면에 대한 접속 부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유로를 제외한 부분이 제1 체적이 되는 제1 연장 설치부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로부터 상기 노즐의 돌출 방향으로 더욱 돌출됨과 함께, 상기 노즐의 상기 돌출단을 형성하는 제2 연장 설치부이며, 상기 유로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1 체적보다 작은 제2 체적이 됨과 함께, 상기 돌출 방향을 따르는 치수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제2 연장 설치부
를 구비하는, 전계 방사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연장 설치 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은, 상기 헤드 본체의 상기 외주면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기 접속 부분으로부터 상기 노즐의 상기 돌출단까지 균일하게 되는, 전계 방사 헤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노즐의 외주면까지의 두께가, 상기 제1 연장 설치부보다 작은, 전계 방사 헤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 설치부에서는,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노즐의 외주면까지의 두께가, 상기 노즐의 상기 돌출단까지 균일하게 되는, 전계 방사 헤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서는,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노즐의 외주면까지의 두께가, 상기 제2 연장 설치부에 대한 접속 부분까지 균일하게 되는, 전계 방사 헤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설치부에서는,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노즐의 외주면까지의 두께가, 상기 제2 연장 설치부에 대한 접속 부분에 접근할수록 감소되는, 전계 방사 헤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계 방사 헤드와,
상기 전계 방사 헤드의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을 구비하는, 전계 방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62011A JP7374672B2 (ja) | 2019-09-05 | 2019-09-05 | 電界紡糸ヘッド及び電界紡糸装置 |
JPJP-P-2019-162011 | 2019-09-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076A true KR20210029076A (ko) | 2021-03-15 |
KR102482376B1 KR102482376B1 (ko) | 2022-12-29 |
Family
ID=7473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970A KR102482376B1 (ko) | 2019-09-05 | 2020-06-24 |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71319A1 (ko) |
JP (1) | JP7374672B2 (ko) |
KR (1) | KR102482376B1 (ko) |
CN (1) | CN11244274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25434A1 (de) | 2021-03-04 | 2022-09-08 | Hyundai Mobis Co., Ltd.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ringern des Temperatureinflusses beim Messen von Schaltstro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81340B (zh) * | 2022-03-11 | 2023-05-09 | 襄阳市景华纺织有限公司 | 一种自动化静电纺纱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872A (ko) * | 2006-07-05 | 2009-04-27 | 파나소닉 주식회사 | 나노 파이버 및 고분자 웹 제조방법과 그 장치 |
US20140353882A1 (en) * | 2013-03-14 | 2014-12-04 | Cornell University | Electrospinning apparatuses & processes |
KR20180067505A (ko) * | 2016-11-14 | 2018-06-20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전계 방사 장치 |
JP2018145551A (ja) * | 2017-03-03 | 2018-09-20 | 株式会社東芝 | 清掃装置および電界紡糸装置 |
JP6430428B2 (ja) * | 2016-03-18 | 2018-11-28 | 株式会社東芝 | 電界紡糸装置、および堆積体の製造方法 |
KR101965395B1 (ko) * | 2017-12-01 | 2019-04-04 | 박종수 | 미세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
JP6577889B2 (ja) * | 2016-03-16 | 2019-09-18 | 株式会社東芝 | 電界紡糸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21221A (ja) | 2008-11-17 | 2010-06-03 | Fyuuensu:Kk | ナノファイバー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079249A (ko) * | 2009-12-31 | 2011-07-07 | 주식회사 효성 | 용융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 멀티 노즐블럭 |
JP5719421B2 (ja) * | 2012-10-11 | 2015-05-20 | 花王株式会社 | 電界紡糸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
JP6378229B2 (ja) * | 2016-03-14 | 2018-08-22 | 株式会社東芝 | ノズルヘッド、および電界紡糸装置 |
JP6427518B2 (ja) | 2016-03-17 | 2018-11-21 | 株式会社東芝 | ノズルヘッドモジュール、および電界紡糸装置 |
WO2018105438A1 (ja) | 2016-12-08 | 2018-06-14 | 株式会社幹細胞&デバイス研究所 | 紡糸ノズル |
-
2019
- 2019-09-05 JP JP2019162011A patent/JP7374672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6-23 US US16/908,904 patent/US2021007131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0-06-24 KR KR1020200076970A patent/KR1024823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6-29 CN CN202010606404.0A patent/CN11244274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40872A (ko) * | 2006-07-05 | 2009-04-27 | 파나소닉 주식회사 | 나노 파이버 및 고분자 웹 제조방법과 그 장치 |
US20140353882A1 (en) * | 2013-03-14 | 2014-12-04 | Cornell University | Electrospinning apparatuses & processes |
JP6577889B2 (ja) * | 2016-03-16 | 2019-09-18 | 株式会社東芝 | 電界紡糸装置 |
JP6430428B2 (ja) * | 2016-03-18 | 2018-11-28 | 株式会社東芝 | 電界紡糸装置、および堆積体の製造方法 |
KR20180067505A (ko) * | 2016-11-14 | 2018-06-20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전계 방사 장치 |
JP2018145551A (ja) * | 2017-03-03 | 2018-09-20 | 株式会社東芝 | 清掃装置および電界紡糸装置 |
KR101965395B1 (ko) * | 2017-12-01 | 2019-04-04 | 박종수 | 미세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25434A1 (de) | 2021-03-04 | 2022-09-08 | Hyundai Mobis Co., Ltd.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ringern des Temperatureinflusses beim Messen von Schaltstro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71319A1 (en) | 2021-03-11 |
CN112442741A (zh) | 2021-03-05 |
JP2021038493A (ja) | 2021-03-11 |
JP7374672B2 (ja) | 2023-11-07 |
KR102482376B1 (ko) | 2022-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29429B (zh) | 喷嘴头及电场纺丝装置 | |
CN107429428B (zh) | 喷嘴头模块及电场纺丝装置 | |
KR20210029076A (ko) |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 |
KR102287674B1 (ko) | 헤드 유닛, 전계 방사 헤드, 및 전계 방사 장치 | |
CN108323174B (zh) | 电场纺纱装置 | |
US20170260652A1 (en) | Nozzle head and electrospinning apparatus | |
KR101263602B1 (ko) | 콘젯 모드 정전기 스프레이 장치 | |
US20170268131A1 (en) | Nozzle head module and electrospinning apparatus | |
CN107429430B (zh) | 喷嘴头及电场纺丝装置 | |
CN109996909B (zh) | 电场纺丝装置及方法 | |
US10370777B2 (en) | Nanofiber manufacturing device and nanofiber manufacturing method | |
CN104947319A (zh) | 成膜装置 | |
US11618974B2 (en) | Electrospinning apparatus | |
JP2022034340A (ja) | 電界紡糸ヘッド、電界紡糸装置及び電界紡糸方法 | |
WO2017141472A1 (ja) | ノズルヘッド、および電界紡糸装置 | |
WO2017134852A1 (ja) | 電界紡糸装置 | |
JP6393793B2 (ja) |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用ノズル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 |
US20210292932A1 (en) | Electrospinning apparatus and electrospinning method | |
JP6129900B2 (ja) | ナノファイバ製造用スピナレ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静電紡糸装置 | |
JP2012007258A (ja) |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 |
JP2017193816A (ja) |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 |
JP2019194387A (ja) | 電界紡糸装置 | |
JP2023074631A (ja) | 紡糸装置 | |
JP2023074630A (ja) | ノズルヘッド、紡糸方法、及び紡糸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