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721A -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721A
KR20210027721A KR1020190108491A KR20190108491A KR20210027721A KR 20210027721 A KR20210027721 A KR 20210027721A KR 1020190108491 A KR1020190108491 A KR 1020190108491A KR 20190108491 A KR20190108491 A KR 20190108491A KR 20210027721 A KR20210027721 A KR 2021002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edicinal
extract
natura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159B1 (ko
Inventor
손호용
박무순
Original Assignee
박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순 filed Critical 박무순
Priority to KR102019010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1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을 고온, 고압 처리하여 수득되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물은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이 없으며,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전분 분해 효소 저해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액상, 크림,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될 수 있어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EDICINAL OR EDIBLE NATURAL PRODUCTS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ABETE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을 고온, 고압 처리하여 수득되는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인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킨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유전적 영향에 의해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제2형 당뇨병은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가 필수적이며, 제2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생활 습관 교정 및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인슐린 분비 촉진제(예, 레파글리나이드, 미티글이나이드) 및 소장에서의 탄수화물 흡수 지연제[글루코바이: 성분명-아카보즈(acarbose), 베이슨: 성분명-보글리보스(voglibose)]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마늘(Allium sativum L.)은 파, 양파 등과 함께 백합과(Lilliaceae) 파속(Alli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고 많이 사용되는 향신료이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이며,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우리나라의 4대 채소 중 하나로 각종 양념에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식재료이다. 마늘은 알싸한 맛과 향으로 인해, 조미나 향신료 등 요리의 재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항암 효과,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유용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가공식품으로도 많이 소비되고 있다. 마늘의 주성분은 탄수화물 20%, 단백질 3.3%, 지방 0.4%, 섬유질 0.92%, 회분 13.4%을 위시하여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글루탐산(glutamic acid), 칼슘, 철, 인, 아연, 셀레늄, 알리신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어 양양학적으로도 우수하며, 최근 혈전 생성억제,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며, 혈압 안정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스코르디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정력과 원기를 보강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아열대, 열대산 다년생 초본식물의 하나로서 지하부 근경은 특이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마늘, 고추와 함께 3대 향신료로 이용되고 있다. 생강은 그대로 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김치, 젓갈, 과자류 등의 다양한 식품 산업에 양념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건조한 생강(건강 또는 건조 분말), 올레오레진(생강 함유지), 생강 정유 등의 제품 형태로 가공되어 식의약 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김선희 2013.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실제로 생강은 본초강목에 백사(백가지 질병)를 방지한다고 기술될 만큼 다양한 생리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건위약 및 소화 불량, 구토, 진통에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의 생약명은 [건강]이며, 일반인은 [새앙]으로도 많이 부른다. 고려 시대에는 왕의 하사품으로 사용될 만큼 진기하였으며, 인도의 고대의학서적 [아유르데바]에는 '신이 내린 치료제'로 소개되어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다년생 식물로 주근이 10~15cm 내외이고, 지름은 1~3cm이며, 윗부분에는 불규칙한 줄기 자리가 있고, 회갈~유백색이며 세로 주름이 깊고, 가로로는 피목(皮目)과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나 비섬유성이어서 파절이 쉽고 약간의 냄새가 나며, 맛은 아리다(육창수 등. 현대 생약학, 서울, 학창사, 460-461, 1993). 도라지의 뿌리는 "길경"이라 불리며, 식품뿐 아니라 유용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대한약전, 대한민국 보건사회부. 2007), 일반적으로 수분 85%, 단백질 1.8%, 지질 0.2%, 탄수화물 10.4%, 섬유소 2.4%가 함유되어 있으며, 섬유질이 많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알카리성 건강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도라지는 특유의 향과 쓴맛으로 인해, 거피 이후 물에 담구어 쓴맛을 제거한 후, 도라지 나물, 섭산적 및 생채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박종호, 2011, 중부대학교 석사논문). 도라지의 쓴맛 성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알칼로이드류와 배당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라지의 알려진 주요 약리 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platyconsin A, C, D, D2, D3)으로써 뿌리의 약 3%를 차지하며, 이러한 사포닌은 진해, 거담 작용, 진정, 진통, 해열 효과, 급만성 염증에 대한 함염증 작용, 항 궤양 및 위액 분비 억제 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 콜린작용, 혈당 강하 작용,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Chem. Phram. Bull, 20,1952, 1972; Chem. Pharm. Bull, 23, 2965, 1975; J. Chem Soc, Perkin transⅠ, 661, 1984; J. Pharm. Soc. Kor, 19, 164, 1975). 또한, 알파-스피나스테롤(α-spinasterol), 스티크마스트-7-엔올, 알파-스피나 스테롤 글루코시드 등과 같은 스테로이드계 화합물과 이눌린(inulin), 베툴린(betulin)과 같은 다당류도 도라지에서 알려져 있으며, 항당뇨 활성(김옥경, 2016, 한국유화학회지, 33, 686-692), 폐암 세포 성장 억제 활성(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 183-189, 2003), 폐암세포 성장억제 및 전이억제 활성(배종훈, 2012. 동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면역 증강 활성(약학회지 42: 382-387,1998), 간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약학회지 46: 466-471, 2002)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한국식품과학회지 33: 651-655, 2001) 등이 보고되어 있다.
삼채(Hooker chives)는 백합과 파속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미얀마, 부탄 등 히말라야산맥 기슭이 원산지이다. 산채는 잎과 뿌리, 꽃까지 식재료와 약초로 사용되는 고급채소로 3가지 맛(매운맛, 단맛, 쓴맛)이 난다고 해서 삼채(三菜)라고 하기도 하고, 인삼의 어린 뿌리 같다고 해서 삼채(蔘菜)라고도 불린다. 또한, 인삼, 마늘, 부추, 파 등을 합친 것 같은 달콤하고 쌉싸름하며, 매운맛이 강하여 뿌리부추라고 불린다. 삼채는 혈당 조절을 통한 당뇨 개선(김남석 외, 2016, 생약학회지 47, 158-164), 체지방 감소를 통한 비만 예방, 뼈 건강 증진 및 갱년기 개선, 숙취 예방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천식 개선 및 면역 조절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삼채 뿌리에 함유된 사포닌 성분이 인슐린 작용을 도와 혈당을 낮춰 당 조절에 뛰어나며 삼채에 풍부한 칼슘, 인산, 식이 유황이 골밀도를 강화시켜 관절염과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되고, 삼채에 풍부한 식이 유황은 세포를 손상시키는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 면역을 강화시키고, 유해 물질을 해독하는 탁원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돌나물과(―科 Crass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풀로서 지붕의 기와 위에서 자라며,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소나무 꽃을 닮았다고 해서 와송 또는 바위솔이라 불린다. 와송은 국내에서는 5월말부터 10월말까지 채취하며, 생초에 요구르트를 넣어 갈아서 마시거나 바짝 말린 와송을 차로 마신다. 또한, 과실주로도 담가먹고, 환, 가루 등의 가공 식품으로 제조 유통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간염, 출혈 및 암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Kim 1984), sterol, triterpenoid류, flavonoid류 및 페놀성 화합물 등(Park 등, 1991; 1994)이 소화기계통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Park 등, 2000; Kim 등, 2012; Won 등, 2014). 또한, 약리적으로 혈관 수축 작용과 호흡 흥분 작용, 내장 기관의 긴장 증강 작용, 항산화 및 항암 효과(Kwon과 Han 2004) 등이 보고되고 있다.
상황버섯은 뽕나무 줄기 등에 자생하는 민무늬버섯목 진흙버섯속 백색 부후균으로서 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을 나타내어 상황이라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는 약 220여종이 존재한다. 이 중, 국내에서는 Phellinus linteus, P. baumii, P. gilvus, P. igniarius 등의 7종이 존재하며, P. baumiiP. linteus가 가장 일반적으로 재배, 유통되고 있다. 상황버섯 자실체는 독성이 없어 식품 원재료로 사용 가능하며, 면역력 강화, 급성 알러지 억제, 항산화, 항혈전, 항고혈압,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 심장병, 당뇨병 (조재한, 2015, 13, 326-329) 등의 성인병 예방과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팽이갓은 3~6㎝로서 어두운 다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육질이 질긴 특성이 있다. 표고버섯은 넓은잎나무, 곧밤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마른 나무에 자라며, 인공 재배에 의한 생산량도 매우 많다. 표고버섯은 향미와 영양성이 우수하여,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버섯 중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많으며, 각종 아미노산과 ergosterol이 다량 함유하고 있다. 건강 기능성 측면에서 항암, 폐질환 및 위장 질환 예방,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증강, 항체 생성 촉진, 혈압 강하, 동맥경화 예방, 혈중 지질 농도 조절 기능, 당뇨 억제 효과(김해섭 외,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175-181)등이 알려져 있다. 표고버섯과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9507호 [표고버섯과 표고버섯 발효물이 함유된 양념 창난 젓갈 제조방법], 제10-1830763호 [표고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쌀된장], 제10-1823460호 [표고버섯분말을 이용한 반건조 우럭의 제조방법], 제10-1759312호 [표고버섯 가루의 제조방법,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영양바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양바], 제10-1673573호 [표고버섯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표고버섯차]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8957호 [표고버섯분말을 함유한 김(laver) 제조를 주제로 한 식품]이 공개되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표고버섯 관련 특허는 표고버섯 재배법 및 표고버섯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 제조에 대한 것으로, 표고버섯의 유용 생리 활성에 대한 특허는 매우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표고버섯의 유용 생리 활성 관련 특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742호 [표고버섯과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 제10-1806808호 [표고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적하수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10-1611947호 [혈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0-1266528호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추출된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7-0036912호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및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공개특허 제10-2003-0056753호 [표고버섯 균사체, 아가리쿠스 균사체,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하는 비만조절용 건강식품조성물], 제10-2008-0110212호 [표고버섯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골길이 성장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1947호는 희렴, 하수오, 석창포, 원지, 표고버섯, 꽃송이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담자균 느타리속에 속하는 백색부후균의 일종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버섯이다. 가을철에 우리나라 전역의 참나무, 오리나무, 미루나무, 버드나무 등의 넓은잎 나무의 마른 원줄기, 넘어진 나무줄기, 잘라낸 밑둥치 등에 많이 몰려서 자라는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유럽, 북미, 시베리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자실체(子實體)는 10~12월, 3~4월경에 발생하며, 갓은 회백색 또는 연한 회갈색으로 반원 또는 부채꼴을 이룬다. 갓의 지름은 2~3㎝ 정도의 것이 좋으며, 인공재배는 원목재배나 톱밥의 병재배가 이루어진다. 원목에는 봄철에 종균을 접종하면 가을에는 자실체가 생긴다. 느타리버섯은 대장 내에서 콜레스테롤 등 지방의 흡수 방해하여 비만을 예방하며, 감칠맛을 내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함량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 성분도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항고혈압, 항혈전, 항당뇨, 항염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도 기대된다(엄수나 외,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42, 90-96).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의 버섯으로서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서 주로 자란다. 갓과 자루의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갓은 지름 5~15㎝, 두께 1~1.5㎝로 반원 모양, 콩팥 모양, 부채 모양이며 편평하고 동심형의 고리 모양 홈이 있다. 갓 표면은 처음에 빛나는 듯한 노란빛을 띠다가 누런 갈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변하고 늙으면 밤갈색으로 변한다. 민간에서는 불로초, 만년버섯 등으로도 불리며 한약재료로 귀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기혈을 보충해주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 불면증, 어지러움증, 오래된 기침 등에 사용한다. 최근에는, 항암, 고혈압, 당뇨, 건위, 이뇨, 해열, 간염, 뇌졸중 및 심장병 등 각종 성인병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치매 예방, 파킨슨 질환 예방, 심장세포의 노화 억제 비만 예방, 콜레스테롤 억제, 동맥경화 예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Liang et al., 2014).
산뽕나무(Bombycis mulberry, Korean mulberry: Morus bombycis Koidz./Morus kagayamae Koidz.)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소교목으로서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나무는 기구재, 조각재, 조림수 등으로 사용되며, 잎은 식용, 사료, 나무껍질은 약용이나 제지용으로 사용된다. 산뽕나무 잎은 길이 2~22㎝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이 꼬리처럼 길고 뾰족한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깊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뒷면은 가운데 잎맥에 잔털이 조금 있다. 잎자루는 길이 5~25㎜ 정도 되며 잔털이 있다. 가을에 노랗게 물든다. 민간에서는 잎을 당뇨, 중풍, 심한 기침 감기에 사용한다(김완기 외, 2007, 식품저널 115, 86-89).
오가피는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m Seeman)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을 말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고 알려져 있다. 오가피는 잎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는데, 하나의 가지에 다섯 개의 잎이 나는 것이 좋다고하여 오가(五佳)라고 칭하였다가 지금은 오가(五加)로 기재하고 있다. 오가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구련,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무력감, 골절상, 타박상, 부종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은 면역 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 작용, 내분비 기능 조절, 혈압 조절, 항방사능, 해독 작용이 보고되었다.
느릅나무는 Japanese elm, Ulmus davidian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 Ulmus japonica / Ulmus campestris var. japonica Rehder 등으로 다양하며, 잎, 열매는 식품으로 사용 가능하며, 나무껍질은 제한적 사용 가능하다. 느릅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서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 열도, 중국 북부, 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춘유(春楡) 또는 가유(家楡)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20m, 지름은 60cm이며,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작은 가지에 적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봄에 어린 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 껍질을 유피(楡皮)라는 약재로 쓰는데, 예로부터 항염증, 항궤양증, 항암, 구충제, 항균, 진통, 불면증, 부종, 이뇨, 해열, 옴 등 의 증상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국내 자생하고 있는 Ulmus속 식물로는 당느릅나무(U. davidiana Planchon), 느릅나무(U. davidiana Planchon var.japonica Nakai), 난티느릅나무(U. laciniata Trautv. Mayr), 왕느릅나무(U. macrocarpa Hance), 큰잎느릅나무(U. macrophylla Nakai), 참느릅나무(U. coreana Nakai) 등이 알려져 있다. 느릅나무 가지는 다양한 질병 및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밝혀진 생리활성으로는 항염증, 항궤양, 항산화, 항균, 항암, 면역 및 항상성 유지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몽골 등지에 분포하며,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靈通), 첨초(甛草), 로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와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겨서 사용하며, 뿌리는 단맛이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72종의 광물성 약재와 1천 2백 종의 식물성 약재를 조화시켜 효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해독 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 거담, 근육 이완, 이뇨 작용, 항염 작용이 있으며 소화성 궤양을 억제한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중국과 일본, 우리나라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호깨나무, 허리깨나무, 지구자 나무, 백석목, 목밀, 현포리 등으로 불리며(김종오 외, 2008, 약학회지 52: 56-61), 국내에서는 주로 강원도 및 울릉도에 자생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헛개나무의 열매와 줄기는 약용으로 이용되며, 주로 물로 달여 음용한다. 약리기능으로 간장의 기능 개선 및 해독 작용(김종오 외, 2008, 약학회지 52: 56-61), 발암 억제 및 간암세포 생육 억제(박선희 외,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6: 1371-1376; 황현익 외, 2003, 한국생물공학회 279-283), 숙취 해소 기능(박선희 외,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8: 569-573), 항당뇨 효과(한혜경 외, 2003, 한국영양학회 추계학술대회 115; 안병수 외, 201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7: 366-373) 및 위장염, 대장염 치료 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헛개나무 추출물이 안면 염증 통증의 경감 효과가 보고(이준선 외,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 5088-5094)되었으며, 항염증 효과(김현준 외,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6: 169-177)와 화장품 원료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미백, 주름 개선 효과도 알려져 있다(김세현 외, 2010. 한국임학회지, 99: 836-842). 한편, 헛개나무 열매 및 줄기의 간독소 해독 물질로는 ampelopsin(Hase 등, 1997, Biol. Pharm. Bulletin. 41: 381-385), 항 감미제로 hoduloside, jujuboside 등이 보고(Yoshikawa 등, 1992, Bulletin. 40: 2287-2291)된 바 있으며, ferulic acid(4-hydroxy-3-methoxycinnamic acid), vanillic acid(4-hydroxy-3 -methoxybenzoic acid) 등이 항산화 및 항균 활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조정용 외, 2000, 한국식품과학회지 32: 1403-1408). 또한, 헛개나무를 이용한 가공식품도 오래전 부터 개발된 바, 헛개나무 열매를 이용한 가공식품으로는 식혜 제조(김향희 외, 2007, 한국식품조리학회지, 23: 848-857), 국수 제조(최수 외,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 1586-1592), 스펀지 케익 제조(오명석, 2012.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3p) 및 숙취제거용 건강음료(박은미 외, 2006,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 71-75)가 개발되어 있다. 헛개나무 잎을 이용한 가공제품으로는 잎 추출액의 젖산발효 음료(김소망, 2013, 순천대학교 석사논문) 및 잎차 개발이 진행되어 있다(정창호 외, 2000,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7: 117-123). 헛개나무와 관련된 국내외 특허로는 약 330여건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알콜성 독성 제거 및 간 기능 개선 활성 조성물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3717호(2014-11-14)에 "헛개나무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추출물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 음료의 맛 개선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8101호(2014-06-10)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등록번호 제10-1337525호(2013-11-29)에 "진주초, 헛개, 황금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록번호 제10-1344054호(2013-12-16)에 "헛개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등록번호 제10-0536855호(2005-12-08)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장 기능개선용 조성물", 등록번호 제10-0672902호(2007-01-16)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헛개나무를 이용한 식품, 주류 및 화장품 개발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2906호(2008-02-01)에 "엄나무 또는 헛개나무를 이용한 소취기능의 주류 제조방법", 등록번호 제10-1321470호(2013-10-17)에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된 발효식초", 등록번호 제10-1418948호(2014-07-07)에 "헛개나무 추출물의 농축액과 나무수액을 혼합한 살균처리 천연음료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제10-1314749호(2013-09-27)에 "헛개나무 및 지구자가 함유된 티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제10-1097427호(2011-12-15)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커피 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커피 및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등록번호 제10-0536744호(2005-12-08)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헛개나무와 관련된 공개특허로는 제10-2014-0100336호(2014-08-14)에 "헛개나무 목질부로부터 분리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10-2014-0075081호(2014-06-19)에 "헛개나무 열매를 포함하는 헛개나무 발효차의 제조방법", 제10-2014-0055207호(2014-05-09)에 "기능성 한방 헛개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제10-2014-0046150호(2014-04-18)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포체 스트레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최근 공개되어 있으며, 제10-2011-0003923호(2011-01-13)에 "알코올성 간질환 및 위궤양의 예방과 개선에 효능이 있는 헛개나무와 알로에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제10-2005-0079913호(2005-08-11)에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제10-2006-0099225호(2006-09-19)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제10-2004-0099894호(2004-12-02)에 "간기능 개선효과와 숙취개선효과가 우수한 헛개나무 열매추출물 분말과 혼합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등이 공개되어 있다.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서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토심이 깊고, 돌이 섞인 석력토로서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며, 국내에서는 강원도 원주지역에 재배지가 가장 많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나오는 수액을 옻이라고 하며 공업용과 약용으로 사용하며, 도료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옻나무에는 알레르기성 물질인 우루시올(Urushiol)이 있어 옻나무 수액이 묻거나 증기를 쐴 경우, 가려움증과 함께 심각한 발진이 일어날 수 있다. 우루시올은 락크효소(Laccase)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검은 수지 모양이 된다. 옻나무의 껍질은 약용으로 사용하며, 건칠이라 부르며,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한방에서는 사지마비, 월경통에 쓰인다.
상기의 식용 및/또는 약용 천연물 중, 도라지(김옥경, 2016, 한국유화학회지, 33, 686-692), 삼채(김만석 외, 2016, 생약학회지 47, 158-164), 상황버섯(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13, 326-329), 표고버섯(김해섭 외,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175-181), 느타리버섯(엄수나 외,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42, 90-96), 영지버섯(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 13, 326-329), 뽕나무(김완기 외, 2007, 식품저널 115, 86-89) 및 헛개 열매(안병수 외, 201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7: 366-373)의 항당뇨 효과는 각각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의 15종 천연물의 복합 추출액의 강력한 항당뇨 활성에 대한 보고는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KR 10-1427784 B KR 10-2016-0059137 A
김옥경, 2016, 한국유화학회지, 33, 686-692 김만석 외, 2016, 생약학회지 47, 158-164 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13, 326-329 김해섭 외,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175-181 엄수나 외,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42, 90-96 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 13, 326-329 김완기 외, 2007, 식품저널 115, 86-89 안병수 외, 201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7: 366-37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고온, 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황버섯,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물은 상황버섯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버섯,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물은 상황버섯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물은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이 없으며,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전분 분해 효소 저해 활성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액상, 크림,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가공될 수 있어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으로 이루어지는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로부터 조제된 열수 추출액을 대상으로 항당뇨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일정 방법으로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의 고온 및 고압 열수 추출액을 조제하고, 이의 여과액을 항당뇨 활성 성분으로 회수하였으며, 상기 추출액은 인간 적혈구에 대해 용혈 활성은 전혀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서 상기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을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민간 및 한방에서 혈관 및 순환계, 소화계, 신진대사계, 노화, 당뇨 등 다양한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을 이용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 많은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조합 추출액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당뇨 활성을 평가한 결과, 최종적으로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에서 β-amylase 및 α-glucosidase 효소에 대한 강력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은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황버섯,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물은 상황버섯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버섯,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물은 상황버섯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로부터 추출액을 조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에 여과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의 항당뇨 활성 평가 단계 및 안정성 조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은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며, 각각의 천연물의 혼합비는 상황버섯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정 혼합비로 혼합된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을 고온, 고압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추출액으로 제조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은 마늘 7kg, 도라지 7kg, 삼채 7kg, 와송 7kg, 생강 7kg, 상황버섯 5kg, 표고버섯 5kg, 느타리버섯 5kg, 옻나무 5kg, 산뽕나무 잎 2kg, 오갈피나무 뿌리 5kg, 느릅나무 껍질 5kg, 감초 3kg, 헛개나무 줄기 3kg 및 영지버섯 5kg의 15종 혼합물(총 82kg)에 5배의 물(410L)을 가하고, 이를 121℃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기를 통해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액은 이후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 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의 유기용매로 순차 또는 각각 분획하여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추가적으로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복합 추출액은 감압건조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혈장 내의 다양한 분해 효소에 분해되지 않으며,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복합 추출액은 β-amylase 및 α-glucosidase에 대한 전분 분해효소를 강력하게 저해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등과 같은 당뇨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개선과 관련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당뇨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항당뇨 활성을 갖는 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항당뇨 조성물은 건강 기능 식품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상기 활성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 제조 및 이의 유용성분 분석
2017~2018년 경북 북부지역에서 수확한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을 구입하여 121℃에서 10시간 이상 고온, 고압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5종의 천연물은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상황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이며, 각각 마늘 7kg, 도라지 7kg, 삼채 7kg, 와송 7kg, 생강 7kg, 상황버섯 5kg, 표고버섯 5kg, 느타리버섯 5kg, 옻나무 5kg, 산뽕나무 잎 2kg, 오갈피나무 뿌리 5kg, 느릅나무 껍질 5kg, 감초 3kg, 헛개나무 줄기 3kg 및 영지버섯 5kg의 15종 혼합물(총 82kg)에 5배의 물(410L)을 가하고, 이를 121℃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기를 통해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은 표 1에 나타내었다. 15종 추출액의 pH는 5.6, brix는 4.0이었으며, 산도는 0.12, 염도는 0.29를 나타내어 전형적인 십전대보탕의 향과 맛을 나타내었다. 색차분석 결과, 명도는 18.19, 적색도는 -0.44, 황색도는 4.96을 나타내었다. 15종 추출액은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색차 분석
Figure pat00001
15종의 천연물 추출액의 성분 분석으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 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표 2]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유용성분 분석
Figure pat00002
표 2 나타낸 바와 같이,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의 성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0.559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167mg/g으로, 일반적인 한방 추출물에 비해 매우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총 당 함량의 경우, 15종 추출액은 17.2mg/g, 환원당 함량의 경우에도 3.8mg/g의 매우 낮은 함량을 보였다.
실시예 2: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항당뇨 활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in-vitro β-amylase 저해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β-amylase(4-alpha-D-glucan maltohydrolase) 저해활성은 시료 2.5μL와 50mM phosphate buffer(pH 6.8)로 희석한 α-amylase(0.25U/mL) 25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1차 반응한 후, 0.5% soluble starch(Samchun Chemicals Co., Korea) 25μL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2차 반응한 후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정지시켰으며, 반응액에 150μL의 DNS(3,5-dinitrosalicylic acid, Sigma Co., st. Louis, USA) 용액을 가하여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발색한 후 상온에서 방냉하였다. 발색액은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저해율 (%) = [1-(시료 첨가구 효소활성/대조구 첨가구 효소활성)] x 100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pNPG(p-nitrophenol glucoside; Sigma Co., US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추출물 시료 2.5μl와 50mM Sodium acetate buffer(pH 5.6)로 희석한 α-glucosidase(0.25U/ml) 25μl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1차 반응하고, 1mM pNPG 용액 25μl를 가하여 60℃에서 10분간 2차 반응하였다. 이후, 1M NaOH 25μ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저해율 (%) = [1-(시료 첨가구 효소활성/대조구 첨가구 효소활성)] x 100
[표 3]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복합 추출액의 항당뇨 활성
Figure pat00003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상에서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는 acarbose는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한 β-amylase 저해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에서도 우수한 β-amylase 저해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확인되었다. 전분분해가 β-amylase 와 α-glucosidase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화됨을 고려할 때, β-amylase 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모두 우수한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은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본 발명의 15종 천연물은 모두 식품 원재료 및 제한적 식품 재료로 등록되어 안전성이 확보된 식품이다. 15종 추출액의 급성 독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용혈 활성은 기존의 보고(손호용, 2014년 ㆍ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285-292)에 준해 평가하였으며, 간단하게는 PBS로 3회 수세한 인간 적혈구 100μl를 96-well microplate에 가하고 다양한 농도의 시료용액 100μl를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으며, 이후, 반응액을 10분간 원심분리(1,500rpm)하여 상등액 100μl를 새로운 microtiter plate로 옮긴 후 용혈에 따른 헤모글로빈 유출 정도를 414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용매 대조구로는 DMSO(2%)를 사용하였으며, 적혈구 용혈을 위한 실험 대조구로는 Triton X-100(1mg/ml)를 사용하였다. 용혈 활성은 다음의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4]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Figure pat00005
먼저, 대조구로 사용된 DMSO와 물은 용혈 활성이 없었으며, triton X-100은 1mg/ml 농도에서 적혈구를 100% 용혈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암제, 항진균제로 사용되고 있는 amphotericin B의 경우 0.025mg/ml 농도에서 59.5%의 적혈구를 용혈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15종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은 1mg/ml 농도까지 전혀 적혈구 용혈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급성독성 및 적혈구 용혈 활성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 추출액의 혈장, 산 및 열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복합 추출액을 대상으로 β-amylase 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에 대한 혈장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액은 100℃에서 1시간 열 처리, pH 2(0.01M HCl)에서의 1시간 처리, 혈장에서 1시간 처리시에도 β-amylase 와 α-glucosidase 저해활성의 감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5종의 약용 및/또는 식용 천연물의 추출액은 내산성, 내열성을 가진 항당뇨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상황버섯, 마늘, 도라지, 삼채, 와송, 생강,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옻나무, 산뽕나무 잎, 오갈피나무 뿌리, 느릅나무 껍질, 감초, 헛개나무 줄기 및 영지버섯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은 상황버섯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30~150중량부, 도라지 130~150중량부, 삼채 130~150중량부, 와송 130~150중량부, 생강 130~150중량부, 표고버섯 90~110중량부, 느타리버섯 90~110중량부, 옻나무 90~110중량부, 산뽕나무 잎 30~50중량부, 오갈피나무 뿌리 90~110중량부, 느릅나무 껍질 90~110중량부, 감초 50~70중량부, 헛개나무 줄기 50~70중량부 및 영지버섯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190108491A 2019-09-02 2019-09-02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3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1A KR102239159B1 (ko) 2019-09-02 2019-09-02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491A KR102239159B1 (ko) 2019-09-02 2019-09-02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21A true KR20210027721A (ko) 2021-03-11
KR102239159B1 KR102239159B1 (ko) 2021-04-13

Family

ID=751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491A KR102239159B1 (ko) 2019-09-02 2019-09-02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1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87B1 (ko) * 2002-09-25 2004-02-05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의 저급 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또는 그로부터분리된 다당체 물질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용 조성물
KR20050080810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한국토종약초연구소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04959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백옥생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dpp-iv 억제용 조성물
KR20120033395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케이엠포유 당뇨 억제용 유근피 추출물 또는 그의 제조방법
KR101427784B1 (ko)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059137A (ko) 2014-11-18 2016-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숙취해소용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160143081A (ko) * 2015-06-04 2016-12-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87B1 (ko) * 2002-09-25 2004-02-05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의 저급 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또는 그로부터분리된 다당체 물질을 함유하는 당뇨 치료용 조성물
KR20050080810A (ko) * 2004-02-11 2005-08-18 주식회사 한국토종약초연구소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10049592A (ko) * 2009-11-05 2011-05-12 주식회사 백옥생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dpp-iv 억제용 조성물
KR20120033395A (ko) * 2010-09-30 2012-04-09 주식회사 케이엠포유 당뇨 억제용 유근피 추출물 또는 그의 제조방법
KR101427784B1 (ko)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059137A (ko) 2014-11-18 2016-05-2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유산균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숙취해소용 혼합음료 제조방법
KR20160143081A (ko) * 2015-06-04 2016-12-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삼채 잎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만석 외, 2016, 생약학회지 47, 158-164
김옥경, 2016, 한국유화학회지, 33, 686-692
김완기 외, 2007, 식품저널 115, 86-89
김해섭 외,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175-181
안병수 외, 201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27: 366-373
엄수나 외,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42, 90-96
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 13, 326-329
조재한, 2015, 한국버섯학회지13, 326-3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159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080092521A (ko)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Gupta et al. Berberis Lycium multipotential medicinal application: An overview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254420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49254B1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14326A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159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396380B1 (ko) 한방 숙성 양념의 제조방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1621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의 건조분말과 발효액을 혼합하여 숙성한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52272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KR20190004936A (ko) 보양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