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936A - 보양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양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936A
KR20190004936A KR1020170085334A KR20170085334A KR20190004936A KR 20190004936 A KR20190004936 A KR 20190004936A KR 1020170085334 A KR1020170085334 A KR 1020170085334A KR 20170085334 A KR20170085334 A KR 20170085334A KR 20190004936 A KR20190004936 A KR 2019000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ce
glutinous rice
ginseng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갑연
Original Assignee
조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갑연 filed Critical 조갑연
Priority to KR102017008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936A/ko
Publication of KR2019000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양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멥쌀 64g과 찹쌀 16g을 물에 넣고 30~40분 불린 후 채반에 받쳐 물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좁쌀,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 및 소금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삼백초 1.0~2.0g, 토복령 2.5~3.5g, 오갈피 1.0~2.0g, 감초 3.0~7.0g, 당귀 3.0~7.0g, 어성초 1.0~2.0g, 천궁 1.5~2.5g, 백작약 1.5~2.5g, 숙지황 0.5~1.5g을 생수 0.2~0.4ℓ에 넣고 15~20분 끓여 약초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약초물에서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을 제거하는 약초물준비단계와,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 끓이는 완성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양밥의 제조방법{Cooking method of nutritious rice}
본 발명은 보양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멥쌀, 찹쌀, 좁쌀과 잡곡 및 다양한 부재료를 천연약초가 포함된 밥물을 이용하여 돌솥에 조리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천연약초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 식자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대할 수 있는 보양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은 쌀에 물을 부은 뒤 열을 가하여 짓는데, 경우에 따라 쌀에 나물을 혼합하여 나물밥을 짓기도 한다.
이와 같이 나물밥을 지으면 밥을 먹으면서 나물의 영양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일석이조이나 나물의 종류에 따라 나물이 질겨서 먹기에 불편함이 초래하며, 특히 이가 좋지 않은 노인들에게는 더욱 그러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나물밥은 밥에 나물이 섞여 있으므로 보이게 따라 밥이 지저분해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한편,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영양섭취 수준도 향상되었으나, 대부분 육류섭취의 증가로 인해 지방질의 섭취 증가로 영양의 불균형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의 발병률이 증가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양밥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9897호(2013. 06. 2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풍미도 좋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으며, 먹는 이의 부족한 영양을 채울 수 있어서 건강에 유익한 보양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멥쌀 64g과 찹쌀 16g을 물에 넣고 30~40분 불린 후 채반에 받쳐 물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좁쌀,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 및 소금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삼백초 1.0~2.0g, 토복령 2.5~3.5g, 오갈피 1.0~2.0g, 감초 3.0~7.0g, 당귀 3.0~7.0g, 어성초 1.0~2.0g, 천궁 1.5~2.5g, 백작약 1.5~2.5g, 숙지황 0.5~1.5g을 생수 0.2~0.4ℓ에 넣고 15~20분 끓여 약초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약초물에서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을 제거하는 약초물준비단계와,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 끓이는 완성단계(S30)로 이루어지는 보양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영양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풍미도 좋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으며, 먹는 이의 부족한 영양을 채울 수 있어서 건강에 유익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양밥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보양밥의 제조방법은 멥쌀 64g과 찹쌀 16g을 물에 넣고 30~40분 불린 후 채반에 받쳐 물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좁쌀,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 및 소금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와, 상기 삼백초 1.0~2.0g, 토복령 2.5~3.5g, 오갈피 1.0~2.0g, 감초 3.0~7.0g, 당귀 3.0~7.0g, 어성초 1.0~2.0g, 천궁 1.5~2.5g, 백작약 1.5~2.5g, 숙지황 0.5~1.5g을 생수 0.2~0.4ℓ에 넣고 15~20분 끓여 약초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약초물에서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을 제거하는 약초물준비단계(S20)와,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 끓이는 완성단계(S30)로 이루어진다.
먼저, 멥쌀 64g과 찹쌀 16g을 물에 넣고 30~40분 불린 후 채반에 받쳐 물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좁쌀,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 및 소금을 준비한다.(S10단계)
이때, 상기 멥쌀 및 찹쌀은 1인분을 기준으로 멥쌀 64g과 찹쌀 16g이 준비되는 것이나 1인분 이상의 재료를 준비하여도 무방한 것이며, 멥쌀 및 찹쌀을 1인분 이상으로 준비할 경우에는 자명히 다른 재료들도 그에 맞추어 같은 비율로 증량하여 준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은 후술되는 약초물을 제조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삼백초 1.0~2.0g, 토복령 2.5~3.5g, 오갈피 1.0~2.0g, 감초 3.0~7.0g, 당귀 3.0~7.0g, 어성초 1.0~2.0g, 천궁 1.5~2.5g, 백작약 1.5~2.5g, 숙지황 0.5~1.5g을 생수 0.2~0.4ℓ에 넣고 15~20분 끓여 약초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약초물에서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을 제거한다.(S20단계)
이때, 상기 약초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밥물을 대신하여 투입되도록 제조되는 것이며, 보양밥 1인분을 기준으로 약초물은 0.2~0.4ℓ가 투입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약초물은 보양밥 1인분을 기준으로 약초물이 0.2~0.4ℓ가 투입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약초물이 0.1ℓ 이하로 투입될 시에는 약초물에 의한 효과가 미미할뿐만 아니라 보양밥이 설익거나 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약초물이 0.4ℓ 이상으로 투입될 시에는 약초물의 향이 너무 보양밥에 강하게 나기 때문에 오히려 보양밥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밥이 너무 질게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약초물을 보양밥을 제조하는데 투입하게 되면, 보양밥에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의 영양과 향, 색이 더해짐은 물론이며, 약초물에 의해 밥의 찰기가 좋아지는 등 보양밥의 전체적 풍미가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 끓인다.(S30단계)
이때,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간 끓임으로써 보양밥이 완성되며, 돌솥에 열을 공급하는 불의 세기에 따라 끓이는 시간은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두는 껍질이 붙어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며, 은행은 껍질을 제거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고, 수삼은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원판형의 모양을 갖도록 준비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며, 마는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단함과 아울러 재차 반으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준비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고, 대추는 씨를 제거하지 않은 것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콩은 검은콩, 강낭콩, 녹두, 대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를 나열하면서 효능을 살펴본다.
- 삼백초 : 삼백초(Saururus chinensis)는 후추목 삼백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0.5~1m. 땅속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잎은 어긋나며 달걀모양이고, 기부는 심장모양이다. 꽃차례 밑의 2~3장의 잎은 흰색이다. 6월 말~7월에 수상꽃차례가 잎과 마주나며 아래로 늘어진다. 기부에서 끝을 향해 서서히 흰색의 작은 꽃이 피면서 꽃차례는 이윽고 곧게 선다. 꽃턱잎은 꽃차례축에는 없고, 길이 2~3㎜의 작은 꽃자루 끝에 붙는다. 꽃은 양성화이며 꽃덮이는 없다. 수술은 6개로 심피와 마주나며, 기부는 심피와 붙어 있다. 암술은 4장의 심피로 되어 있으며, 기부는 서로 붙어 난다. 밑씨는 1장의 심피당 2개이나, 종자는 1장의 심피에 1개 생긴다. 잎,꽃,뿌리가 흰색이고, 또한 윗부분에 달린 2~3개의 잎이 희어지기 때문에 삼백초라고 한다. 저습지에 군생하며,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삼백초속은 2종이 있으며, 그 중 S. cernuus는 북아메리카 동부에 분포한다.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소승마(赤小麻) 또는 적승마(赤升麻)라고도 부른다.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어혈(瘀血)을 풀어주며,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며, 경련을 멈추게 하고,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어서 과로로 오는 병, 근육과 뼈마디가 시리고 아픈 증상, 타박상, 관절통, 수술후 통증, 뱀에게 물린 독을 푸는 데 사용한다.
- 토복령 : 토복령(Radix Smilax china)은 백합목 백합과의 낙엽지는 덩굴성 관목인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inne)의 뿌리로서, 청미래덩굴의 줄기는 대략 3m 정도이고, 원줄기는 마디에서 굽어 자라며, 구부러진 가시가 있고, 굵고 딱딱한 뿌리줄기가 꾸불꾸불 옆으로 뻗어져 있다. 중국 또는 일본에서는 토복령이 광엽발계(Smilax glabraRoxburg)의 뿌리로 지칭되기도 한다. 원산지는 주로 한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이며, 봄가을에 뿌리줄기를 채취해서 햇볕에 말려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토복령이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뼈마디 아픔, 매독, 임질, 소화제, 수은중독, 악창, 연주창, 헌 데 등에 사용되며, 항암작용이 밝혀져 식도암, 위암, 직장암의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당뇨병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음이 알려져있다.
- 오갈피 : 오갈피(Acanthopanax sessiliflorus)는 꽃이 8∼9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작은꽃줄기가 짧고 꽃이 산형꽃차례에 밀생한다. 꽃잎은 5개, 암술대는 끝까지 합쳐진다. 열매는 핵과로 다소 편평한 타원형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뿌리껍질을 오갈피라고 하며 한방에서 강장제 및 진통제로 사용하고, 수피는 오갈피술을 만드는 데 쓰는 방향성 식물이다. 한국, 중국, 우수리, 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 감초 : 감초(Glycyrrhiza uralensis)의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시베리아산(G. glabra var. glandulifera), 에스파냐산(G. glabra) 등이 있으며 비슷한 종으로는 개감초(G. pallidiflora)가 있다. 이는 단맛이 적고 감초와 달리 약용으로 쓰이지 않으며, 털이 적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당귀 :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당귀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또한 황기(Astragali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고, 껍질을 벗기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것이 약효가 더 좋다고 알려져 있다.
- 어성초 :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주요 성분으로는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지질(lipid) 및 방향족 계통의 휘발성 성분과 쿼세틴(quercetin), 쿼세틴-3-오-글리코사이드(quercetin-3-oglycoside)계통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뇨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혈관확장작용 및 소염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으로 예로부터 생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삼백초와 더불어 유망 건강식품소재 가운데 하나이다.
- 천궁 : 천궁(Cnidii Rhizoma)은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 Hort.) 또는 일천궁(Cnidium officinale [0021] Makino)의 뿌리줄기를 이용하는 약용자원식물로서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니딜라이드(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z-ligustilide), 부틸이데네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 센큐노라이드(senkyunolide) 등의 정유성분(Chem. Pharm. Bull., 1984, 32, 3770-3773; Korean J. Phamacogn., 1990, 21, 69-73), 페루릭산(ferulic acid), 클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등의 페놀성 물질(Yakugaku zasshi, 1989, 109, 402-406) 등이 알려져 있다. 천궁은 진경작용,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혈관확장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Korean Society Tabacco Sci., 1994, 16, 20-25) 등의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두통, 불임, 월경불순, 강장, 냉증, 빈혈 등의 질환에 사용하고 있다.
- 백작약 : 백작약(Paeonia lact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모란속에 속하는 식물로, 북반구에 약 30종이 자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산작약(개삼, 산백작약), 적작약, 호작약(적작약), 작약(메함박꽃), 참작약(함박꽃, 가백작약, 집함박꽃, 백작약, 작약), 모란(목단)이 자라고 있다. 백작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깊은 산속의 수림 밑에서 자란다. 백작약은 함박꽃, 메함박꽃, 산작약(개삼, 산백작약), 적작약, 호작약(적작약), 작약(메함박꽃), 참작약(함박꽃, 가백작약, 집함박꽃, 백작약, 작약)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백작약 약재는 원주상을 이루나 더러는 구부러지고 길이 5-20cm, 지름 10-25mm이며 큰 뿌리는 세로로 쪼갠 것으로, 바깥면은 흰색 또는 갈색을 띠며 깨끗하나 세로 주름이 뚜렷하며 간혹 주름 또는 잔뿌리의 잘린 흔적이 오목하게 패어 있고, 질은 단단하며 잘 꺾어지지 않고 가로로 자른 면은 입상이고 매우 치밀하며 확대경으로 보면 형성층이 뚜렷하고 유백색 또는 갈색이며 방사상으로 된 수선과 형성층이 보인다. 백작약은 중추 신경 억제 작용이 있어서 진정, 진통 작용을 나타내고, 위장과 평활근의 억제 작용과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가진다. 또한, 혈소판의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고, 간 기능 보호 효과 및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서 가벼운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
- 숙지황 :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현삼과에 딸린 약용식물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날것을 생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이라 하며,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 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다. 숙지황은 사물탕(四物湯)의 주요 약재이며 각종 만성병 중 몸이 허약하여 나타나는 내열(內熱), 인후건조(咽喉乾燥), 갈증 등의 증상에 쓰인다. 민간요법에서는 돼지고기를 삶은 국물과 함께 복용하면 습관성 변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 호두 : 호두는 가래나무과의 낙엽교목인 호두나무(Juglans sinensis) 의 열매로써, 거의 원형이고 핵과(核果)이다. 유럽이 원산지이나 중국 및 아시아에 분포하고 세계 각지에서 재배한다. 한국은 주로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호두의 화학 성분으로는 특히 단백질의 함량이 육류보다 많으며 지질은 돼지고기의 두 배나 되며, 지질은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혈청 콜레스테롤의 저하작용이 있는 필수지방산이 많아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불필요하게 부착하는 것을 예방해 준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무기질과 비타민B1이 풍부해서 매일 먹게 되면 피부가 윤이 나고 고와지며, 노화 방지와 강장 효과도 있고, 본초강목에 의하면 호두는 간을 보하고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해주고 변비를 낫게 하며 가래를 없애주며 신장기능을 강화하고 기억력을 증강하며 신경쇠약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질성분 등을 이용하여 각질층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있다.
- 은행 : 은행나무의 열매이며 지름 약 2cm이다. 은행나무는 암수딴그루로서 10월에 암그루에 달린 열매가 황색으로 익는다. 열매 바깥쪽의 외과피(外果皮)는 다육성으로 악취가 난다. 외과피의 안쪽에 2개의 모서리가 있는 흰색의 단단한 중과피를 가진 달걀 모양 원형의 종자가 있다. 이것을 은행 또는 백자(白子)라 한다. 중과피 안쪽에 갈색피막의 내종피가 있고 이 속에 청록색의 배젖이 있는데 인(仁)이라고 한다. 이 배젖의 성분은 탄수화물 34.5%, 단백질 4.7%, 지방 1.7% 외에 카로틴,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 밖에 청산배당체(靑酸配糖體)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은행을 많이 먹으면 중독을 일으키는 수가 있다. 은행을 볶아서 그냥 먹거나 술안주로 하고 신선로 등 여러 음식에 고명으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백과(白果)라 하여 진해·거담 등의 효능이 있어 해수·천식·유정(遺精)·소변의 백탁(白濁)·잦은 소변 등에 처방하며 자양제로도 복용한다.
- 수삼 : 인삼(학명:Panax ginseng) 두릅나뭇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현재 널리 재배되고 있는 인삼은 수삼, 홍삼 및 백삼이 있다. 수삼은 땅에서 캐내어 마르지 않은 상태의 인삼이고, 홍삼은 6년생 뿌리를 껍질째 수증기로 쪄서 말린 것이다. 홍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열을 받은 당분이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홍삼 색깔은 갈색이 도는 붉은색을 띤다. 백삼은 4년생 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인데, 곧은 형태로 말린 직삼(直蔘)과 구부려서 말린 곡삼(曲蔘)이 있다. 인삼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생약의 형태로 정신 의학적 질병, 신경계의 질병 및 당뇨병 등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강장, 강정, 진정조형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마 : 마는 세계적으로 약 600여종이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그 중 10여종이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용 마는 덩이 뿌리모양에 따라 뿌리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긴 장마, 뿌리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짧은마, 뿌리의 길이가 짧으면서 형태가 둥근 둥근마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마의 점질 성분은 글리코프로테인(Glycoprotein)의 일종인 뮤신(Mucin)으로서, 그 구성성분은 주로 가수분해시 마노스(Mannose:C6H12O6)를 만드는 일종의 다당류인 만난(Mannan)으로 이루어진 식이섬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마에는 사포닌(Crude saponin)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산약(山藥)이라 불리며 보양제로 알려져 자양, 강정, 강장, 폐결핵 등에 유효하고, 소염, 해독, 진해, 거담, 이뇨, 신경통, 류마티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카리성으로 여러 소화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익혀 먹지 않아도 소화가 잘되는 식품일 뿐만 아니라 다른 가공식품의 제조시 물성 개량제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최근에는 마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고있는 추세이다.
- 대추 : 대추는 대추나무(Zizyphus jujuba)의 열매를 말하며,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대추의 생열매에는 건물질이 20~49%가 있고, 그 가운데 14~42%가 과당, 자당, 포도당, 람노오스 등의 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과산, 포도산, 호박산, 글리콜산과 같은 유기산이 0.54~3.4%가 함유되어 있으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생활 속에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한다. 한방에서는 이뇨강장(强壯) 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또한, 한방에서는 근육이 졸아드는 질병, 살이 당기면서 아플 때, 기침, 온몸이 아플 때 주로 사용되며 항알러지 효과와 함께 피부각질제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 검은콩 : 검은콩은 또는 흑대두라고도 한다.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흑태, 서리태, 서목태 등이 검은콩에 속한다. 콩은 흔히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영양가가 뛰어나다. 검은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 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검은콩은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과 동맥경화의 원인인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막아주고, 심장병 위험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는 포타슘, 칼슘, 마그네슘, 엽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심장병 예방에도 좋으며,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아세틸콜린의 원료인 레시틴이 함유되어 있어 두뇌발달에도 좋다. 또한, 검은콩에는 비타민E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기미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검은콩의 안토시아닌 성분은 시력향상 효능과 콜라겐 기능을 향상시켜 피부에 탄력과 생기를 주며,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이소플라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폐경기 여성들의 노화방지와 갱년기 장애 개선에 효능이 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이 보함되는 보양밥은 영양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풍미도 좋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없이 먹을 수 있으며, 먹는 이의 부족한 영양을 채울 수 있어서 건강에 유익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S10 : 재료준비단계 S20 : 약초물준비단계
S30 : 완성단계

Claims (3)

  1. 멥쌀 64g과 찹쌀 16g을 물에 넣고 30~40분 불린 후 채반에 받쳐 물기를 제거함과 아울러 좁쌀, 콩, 호두, 은행, 수삼, 마, 대추,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 및 소금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
    상기 삼백초 1.0~2.0g, 토복령 2.5~3.5g, 오갈피 1.0~2.0g, 감초 3.0~7.0g, 당귀 3.0~7.0g, 어성초 1.0~2.0g, 천궁 1.5~2.5g, 백작약 1.5~2.5g, 숙지황 0.5~1.5g을 생수 0.2~0.4ℓ에 넣고 15~20분 끓여 약초물을 형성함과 아울러 약초물에서 삼백초, 토복령, 오갈피, 감초, 당귀, 어성초, 천궁, 백작약, 숙지황을 제거하는 약초물준비단계(S20);
    상기 멥쌀 64g, 찹쌀 16g, 좁쌀 2g, 콩 5g, 호두 4g, 은행 4g, 수삼 3.6g, 마 2g, 대추 4g, 약초물 0.2~0.4ℓ 및 소금 0.6g을 돌솥에 넣고 15~30분 끓이는 완성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양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되는 호두는 껍질이 붙어 있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며, 은행은 껍질을 제거한 것이 사용되는 것이고, 수삼은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원판형의 모양을 갖도록 준비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며, 마는 길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절단함과 아울러 재차 반으로 절단하여 반원형의 모양을 갖도록 준비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고, 대추는 씨를 제거하지 않은 것이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양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검은콩, 강낭콩, 녹두, 대두, 동부, 땅콩, 렌즈콩, 리마콩, 완두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양밥의 제조방법.
KR1020170085334A 2017-07-05 2017-07-05 보양밥의 제조방법 KR2019000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34A KR20190004936A (ko) 2017-07-05 2017-07-05 보양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334A KR20190004936A (ko) 2017-07-05 2017-07-05 보양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936A true KR20190004936A (ko) 2019-01-15

Family

ID=6503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34A KR20190004936A (ko) 2017-07-05 2017-07-05 보양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9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040A (zh) * 2021-01-20 2021-04-13 李红光 一种美容养颜黄米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040A (zh) * 2021-01-20 2021-04-13 李红光 一种美容养颜黄米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CN106616823A (zh) 一种火锅底料
KR101573324B1 (ko) 저지방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저지방 삼계탕
CN105010669A (zh) 一种清润保健茉莉花茶及其生产方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130066474A (ko)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5482965B (zh) 一种养生保健酒及其制备方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CN106701410A (zh) 健胃益气保健酒及其生产方法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349B1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00016684A (ko) 기능성 다류 액상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추출물로 액상다류를 만드는 방법
KR2008009394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KR20190004936A (ko) 보양밥의 제조방법
CN104172054A (zh) 一种米粉的卤水
KR101145106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96659A (zh) 一种杯中含茶的保健凉茶及其生产方法
CN104256466A (zh) 一种米粉的卤水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