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947A -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947A
KR20080093947A KR1020080091331A KR20080091331A KR20080093947A KR 20080093947 A KR20080093947 A KR 20080093947A KR 1020080091331 A KR1020080091331 A KR 1020080091331A KR 20080091331 A KR20080091331 A KR 20080091331A KR 20080093947 A KR20080093947 A KR 2008009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wl
poultry
breeding
micrometers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레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레축산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레축산
Priority to KR102008009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3947A/ko
Publication of KR2008009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은 (a)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건지황, 백작약, 황기, 육계, 감초의 비율을 5 : 5 : 5 : 5 : 5 : 5 : 5 : 4 : 4 : 3의 질량비로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마이크로미터 내지 5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의 혼합된 한약재 분말 : 정제수 : 흑설탕을 100 : 30 : 4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3일내지 7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수분율 5%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e)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는 단계; (f) 가금류용 일반사료 : 상기 재료를 1000 : 1 내지 100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혼합된 사료를 가금류에 10일 내지 40일간 급여하여 가금류의 육류 및 난류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사육방법에 따라 생산된 닭고기는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 및 잡냄새가 없으며, 육질이 연하고 고소하며, 육즙이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이 저하되고 각종 미네랄이 향상되었으며, 계란은 난각이 두꺼우며 일반계란에 비하여 보존기간이 연장이 된다. 또한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고소하며, 난황색이 진하며, 난황 및 난백의 탄력이 강하다. 특히 미네랄 및 아미노산이 향상되었으며 일반계란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이14% 정도 감소되었다. 본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되어지는 계란은 맛과 영양이 향상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다.
가금류, 사육방법, 십전대보탕, 한약재, 닭, 계란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The method for breeding a fowl using Medical herbs }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人蔘, ginseng)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Panax ginseng C.A.Meyer이며, 분류는 두릅나무과이다. 자생지는 깊은 산의 숲속이며 크기는 높이 60cm정도이다. 깊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60cm이고 줄기는 해마다 1개가 곧게 자라며 그 끝에 3~4개의 잎이 돌려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5개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 겹잎을 이룬다. 작은 잎은 바깥쪽의 것이 작고 가운데 3개는 길이 4.5~15cm, 나비 3~5.5cm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가는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의 맥 위에는 털이 있다. 여름에 1개의 가는 꽃자루가 나와서 그 끝에 4~40개의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의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로 씨방하위이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고 지름 5~9mm이며, 성숙하면 선홍색으로 되고 가운데에 반원형의 핵이 2 개 있다. 뿌리는 약용하며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불로, 장생, 익기(益氣), 경신(輕身)의 명약으로 일컬어진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인삼의 뿌리는 비대근(肥大根)으로 원뿌리와 2~5개의 지근(支根)으로 되어 있고 미황백색이다. 지근의 수는 토질, 이식방법, 비료, 수분 등에 의해서 차이가 있으나 분지성이 강한 식물이며 그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 때에 한다. 홍삼의 원료로 쓰이는 것은 모두 6년근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구)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6년근만을 홍삼의 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6년근의 동체는 길이 7~10cm, 지름 2.5cm 내외이고 뿌리 길이는 34cm, 무게 80g 정도이며, 6년근 이외 4, 5년근으로도 홍삼을 제조하고 있다. 인삼은 매년 땅속줄기에서 싹이 나오고 가을에는 줄기와 잎이 고사(枯死)하는데 고사한 줄기의 흔적이 남아 인삼의 년수를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08년 탁지부 사세국 삼정과에서 홍삼전매제를 실시한 이후 약 100년간 전매품으로 취급되다가 1996년 7월 1일 폐지되었다. 인삼의 효능은 지금부터 약 2천년전 중국의 고대 한방의서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인삼의 효능은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라고 기술되어있다. 이처럼 인삼은 불로장생에 도움을 주고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고 무독한 이른 바 "상약(上藥)"의 대표적인 약으로 단독 또는 한방 구성생약으로 처방약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군약(君藥)으로 이용. 한의학적으로 인삼은 주로 기허(氣虛)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보기약(補氣藥)으로 알려지고 있 으며, "氣"란 일반적으로 인체 각 계통기관의 생리적 기능 또는 생명에너지(VITAL ENERGY)를 뜻하며, 기허(氣虛)란 이러한 생리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백출(白朮)은 국화과의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한국)이며, 중국에서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 白朮)만을 쓰고, 일본에서는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와 중국백출 (Atractylodes ovata : 中國白朮)을 사용한다. 백출(白朮)이란 뿌리와 가지잎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라고하며 맛이 개자와 비슷해 산개(山芥)라고도 하고 잎이 엉겅퀴류와 비슷하여 천계(天芥)라고도 하였다. 옛날 아름다운 흰 두루미 한마리가 어잠이라는 곳의 학산에다 약초를 심고 이를 돌보다가 그곳에서 백출이라는 약초가 되어버렸다. 그후 음력 9월 9일에 다시금 미녀로 변하여 국화무늬와 붉게 수놓은 흰 치마를 입고 구름을 타고 내려와 한 의원의 부인에게 백출을 건네주고는 용도와 복용법을 일러주고 사라졌다. 다음해 9월 9일에 미녀가 다시 나타났는데, 호기심이 발동한 의원의 부인은 미녀의 치마에 실을 꿰어 놓고 뒤를 따라가게 되었다. 실이 끝난 자리에는 누가 보더라도 영험해 보이는 백출이 자라고 있었다. 욕심에 눈이 먼 의원의 부인이 천년은 묵어 보이는 백출을 캐자 갑자기 굉장한 빛이 나면서 부인의 눈은 멀었고 백출은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지금도 중국의 어잠에는 학산 이라는 마을이 있으며 그곳에서 나는 백출은 특별히 어출이라고 부른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씹으면 점성을 띠고 성질은 따듯하다.[苦甘溫] 백출은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 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 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비(脾)에 수(水)와 습(濕)이 쌓여 담음(痰飮)을 인한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 등에도 쓰며 비기(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 때, 임신구토에도 사용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 에도 쓴다.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덩어리 또는 일정하지 않게 구부러진 원주모양이다. 바깥면은 엷은 회황색이나 엷은 황백색으로 군데군데 회갈색을 띠고 질은 단단하여 잘 꺾이지 않으며 꺾은 면은 섬유성질이 있고 황갈색의 유실이 흩어져 있다. 곳곳에 컵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연속적이지 않은 세로 주름과 홈이 있고 뿌리가 붙었던 자국이 있으며 윗쪽 끝에는 줄기가 남아있거나 싹의 자국이 있다. 다른 이름으로 동백출(冬白朮), 마계(馬), 부계(孚), 산강(山姜), 산정(山精), 양부(楊), 오출(吳朮), 출(朮), 흘력가(吃力伽), 산계(山), 산개(山芥), 천계(天) 등이 있다.
백복령(白茯)은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흰솔풍령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소나무를 베어 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 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라 하고 분홍빛인 것 은 적복령이라고 하는데 백복령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 뿌리에 기생한다. 그리고 솔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폐경(肺經), 비경(脾經), 심경(心經), 신경(腎經),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하여 비장을 보하고 가래를 삭이며 정신을 안정시킨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면역 부활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비장이 허(虛)하여 몸이 붓는 경우와 담음병에 사용한다. 그밖에 게우는 데나 복수, 설사, 건망증, 수면장애 등에도 처방한다. 위, 간, 이자, 신장 등의 질병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을 앓고 난 후 허약한 사람이나 만성 위장병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이용된다. 또 남녀의 임독성 질병은 물론 모든 성병과 부인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當歸)는 한국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를 사용한다. 마땅히 돌아오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당귀(當歸)'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한다. 이는 중국의 옛 풍습에 부인들이 싸움터에 나가는 남편의 품속에 당귀를 넣어 준 것에서 유래하는데 전쟁터에서 기력이 다했을 때 당귀를 먹으면 다시 기운이 회복되어 돌아올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일설에는 이 약을 먹으면 기혈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대한약전에 나오는 당귀의 약성은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면서 달다'고 되어 있으나, 이는 중국당귀와 왜당귀에서만 느낄 수 있다. 참당귀는 단맛은 나지 않고 약간 쓴맛만 난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이다. 중국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이 강하다. 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대한약전에는 껍질이 황갈색 내지 흑갈색을 띠고 안쪽 껍질은 황백색이며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내용물이 들어 있는 분비도 및 대용섬유군이 군데군데 섞여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왜당귀나 중국당귀에 대한 특징이고, 참당귀는 껍질이 황백색을 띄며 현미경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는다. 참당귀는 토당귀(土當歸), 숭검초, 조선당귀라고도 하고, 중국당귀는 당귀(當歸), 문귀(文歸), 건귀(乾歸), 대근(大芹), 상마(象馬), 지선원(地仙圓)이라고도 하며, 왜당귀는 일당귀(日當歸)라고도 한다.
천궁(川芎)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Cnidium officinale이며 분류는 미나리과, 원산지는 중국, 크기는 높이 30~60cm정도이다. 잎은 2회 3출 우상복엽이며 갈래조각은 난상 피침형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중국 원산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 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 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둔다. 천궁이란 중국 쓰촨성의 궁궁(芎샛)이라는 뜻이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말이 있다.
지황(地黃)은 현삼과의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의 뿌리를 말려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지황 말린 것을 생지황(生地黃)이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한국과 같다. 지황의 날 것을 물에 담가서 물에 뜨는 것은 천황(天黃), 반쯤 뜨고 반쯤 가라앉는 것은 인황(人黃), 완전히 가라앉는 것은 지황(地黃)이라고 하였다. 이 중에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고, 반쯤 가라앉는 것이 다음이고, 물에 뜨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였다. 지황을 하()라고 부르는 것은 가라앉는 것이 귀한 것이므로 하(下)라고 하다가 변한 것이라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단 것 같으나 뒤에는 조금 쓰다.[甘寒] 지황은 번조, 갈증, 골증, 소갈증, 토혈, 코피에 쓰이며 열로 인한 피부발진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혈당강하, 강심, 이뇨, 간기능보호,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원주형 또는 방추형이고, 때로는 꺾이었거나 변형되어 있다. 바깥 면은 황갈색이나 흑갈색을 띠고 깊은 세로주름과 가로로 곁뿌리 자국과 피목이 있다. 질이 연하여 쉽게 꺾 어지며 횡절면은 엷은 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평탄하다. 다른 이름으로 건지황(乾地黃), 하, 기, 지수(地髓) 등이 있다.
백작약(白芍藥)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학명은 Paeonia japonica, 분류는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섬이며 서식장소는 깊은 산이고 크기는 높이 40~50cm정도이다. 강작약이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40~50cm이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밑부분이 비늘 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은 3~4개가 어긋나고 3개씩 2번 갈라진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없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고 지름 4~5cm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며 3개,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고 5~7개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며 3~4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고 덜 자란 붉은 종자와 성숙한 검은 종자가 나타난다. 잎의 뒷면에 털이 난 것을 털백작약(var.pilosa), 잎의 뒷면에 털이 나고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리며 꽃이 붉은색인 것을 산작약(P.obovata), 산작약 중에서 잎의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산작약(p.o.var.glabra)이라고 한다. 뿌리를 진통, 진경, 부인병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한다.
황기(黃蓍)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학명은 Astragalus membranaceus, 분류는 콩과이며,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이고, 서식장소는 산지의 바위틈이며, 크기는 높이 40~70cm정도이다.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바소꼴로써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잎겨드랑이에서 총상(總狀)으로 대가 긴 꽃이삭이 나오며 5~10개의 꽃이 달린다. 7~8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길이 약 2cm이고 작은 꽃자루는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은 길이 약 5mm이고 흑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열매는 11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뾰족하고 길이 2~3cm이며 5~7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한국, 일본, 만주,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 피로권태, 기혈허탈(氣血虛脫), 탈항(脫肛), 자궁탈, 내장하수, 식은땀, 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육계(肉桂)는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녹나무과의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 Blume;肉桂)의 나무껍질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육계나무의 잎맥은 가운데 주맥과 양쪽의 측맥이 도드라져 보여 규(圭)자를 식물명에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규(圭)란 笏記(홀기) 즉, 제례의 차례를 적은 부채모양의 도구로 여러 갈래의 잎맥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육계나무가 규(圭)를 들고 있는 관리처럼 모든 약을 총괄하기 때문에 규라는 글자를 쓰게 되었다는 유래도 있다. 육계나무를 침()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다른 나무를 침범해서 해를 끼친다고 뜻으로 육계나무가 다른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므로 붙여진 이름이며 이 나무로 다른 나무 뿌리에 못질을 하면 나무가 바로 죽는다고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辛甘熱] 육계는 하초가 찬 것을 치료하고 허리와 무릎 연약증, 양기부족, 소변을 자주보고 묽게 보는 것, 묽은 변, 설사, 구토,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어혈복통, 종기, 피부궤양, 사지마비동통 등에 쓴다. 약리작용은 중추억제, 진정, 진통, 해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피부진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판상 또는 양갓이 안쪽으로 말린 판상으로 바깥면은 회갈색으로 거칠고 세로 잔주름과 옆으로 피공(皮孔)이 돌출되어 있다. 회백색의 반점이 군데군데 있고 안쪽면은 적색 또는 갈색이다. 다른 이름으로 통계(筒桂), 옥계(玉桂), 랄게(辣桂), 대계(大桂), 균게(菌桂), 계(桂), 모계(牡桂), 류계(柳桂), 육계피(肉桂皮), 관계(官桂), 목계(木桂),자계(紫桂) 등이 있다.
감초(甘草)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분류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이며, 분포지역은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몽골 등지이며 약용식물이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cm, 나비 l~3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 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시베리아산(G. glabra var. glandulifera), 에스파냐산(G. glabra) 등이 있다. 비슷한 종으로 개감초(G. pallidiflora)가 있다. 이는 단맛이 적고 감초와 달리 약용으로 쓰이지 않으며, 털이 적고 열매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가금류 및 가금류의 난(卵)은 고단백 식품으로 알려져 있을 만큼 높은 영양성분이 함유된 전 세계적으로 다량 소비되는 식품이다. 그러나 높은 영양이 함유된 양질의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콜레스테롤이 높아 성인병의 원인되어 양질의 영양성분이 함유된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기피하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가금류의 육류 및 가금류의 난(卵)은 콜레스테롤이 높으며, 특유의 비린내 및 잡내가 많아 각종 향신료를 첨가하여 조리해야 한다. 또한 사육시 집단밀식 사육으로 인하여 면역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에 취약하다. 이로 인하여 가금류의 폐사율이 높아져서 미세한 생산원가의 변동에도 민감한 양계업의 경제성, 사업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은 (a)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건지황, 백작약, 황기, 육계, 감초의 비율을 5 : 5 : 5 : 5 : 5 : 5 : 5 : 4 : 4 : 3의 질량비로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마이크로미터 내지 5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의 혼합된 한약재 분말 : 정제수 : 흑설탕을 100 : 30 : 4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3일내지 7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수분율 5%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e)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는 단계; (f) 가금류용 일반사료 : 상기 재료를 1000 : 1 내지 100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혼합된 사료를 가금류에 10일 내지 40일간 급여하여 가금류의 육류 및 난류를 생산한다.
종래의 기술은 한약재를 장시간동안 달여서 원액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가금류에 급여한다. 이로 사육된 가금류의 육(肉) 및 난(卵)은 일반 가금류의 육(肉) 및 난(卵)과 별차이가 없다. 본 발명은 십전대보탕의 재료인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건지황, 백작약, 황기, 육계, 감초를 분쇄하여 발효시킴으로 약초의 유효성분을 가금류에 급여하여 사육함으로 생산원가의 상승이 미미하여 사업성이 높다. 특히 본 발명의 사육방법에 따라 생산된 닭고기는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 및 잡냄새가 없으며, 육질이 연하고 고소하며, 육즙이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이 저하되고 각종 미네랄이 향상되었으며, 계란은 난각이 두꺼우며 일반계란에 비하여 보존기간이 연장이 된다. 또한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고소하며, 난황색이 진하며, 난황 및 난백의 탄력이 향상된 고품질의 계란을 생산할 수 있는 황금(黃芩)을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은 (a)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건지황, 백작약, 황기, 육계, 감초의 비율을 5 : 5 : 5 : 5 : 5 : 5 : 5 : 4 : 4 : 3의 질량비로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마이크로미터 내지 5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의 혼합된 한약재 분말 : 정제수 : 흑설탕을 100 : 30 : 4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3일내지 7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수분율 5%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e)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는 단계; (f) 가금류용 일반사료 : 상기 재료를 1000 : 1 내지 1000 : 20의 중량비 로 혼합하는 단계; (g) 혼합된 사료를 가금류에 10일 내지 40일간 급여하여 가금류의 육류 및 난류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사육방법에 따라 생산된 닭고기는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 및 잡냄새가 없으며, 육질이 연하고 고소하며, 육즙이 풍부하고 콜레스테롤이 저하되고 각종 미네랄이 향상되었으며, 계란은 난각이 두꺼우며 일반계란에 비하여 보존기간이 연장이 된다. 또한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고소하며, 난황색이 진하며, 난황 및 난백의 탄력이 강하다. 특히 미네랄 및 아미노산이 향상되었으며 일반계란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이14% 정도 감소되었다. 본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되어지는 계란은 맛과 영양이 향상되어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
상기의 사육방법으로 부화 후 1주령의 병아리에게 40일간 급여하여 계육을 얻었다.
비교예1
부화 후 1주령의 병아리를 일반사료를 급여하는 사육방법으로 40일간 사육하여 계육을 얻었다.
실시예2
상기의 사육방법으로 30주령의 닭에게 20일간 급여하여 계란을 얻었다.
비교예2
30주령의 닭을 일반사료를 급여하는 사육방법으로 20일간 사육하여 계란을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생산되어진 계육을 양념이나 향신료 등,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정제수만 첨가하여 삶아서 섭취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생산되어진 계란은 날것으로 섭취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20 - 30대의 남녀 3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계육을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육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각각 계육 특유의 비린내가 전혀 없고, 육즙이 많고 매우 고소하며 육질이 매우 연하며 섭취감이 매우 좋음 : 4점, 계육 특유의 비린내가 거의 없고, 육즙이 비교적 많고 고소하며 육질이 비교적 연하며 섭취감이 비교적 좋음 : 3점, 계육 특유의 비린내가 약간 있고, 육즙이 약간 있고 약간 고소하며 육질이 약간 질겨 섭취감이 약간 좋지 않음 : 2점, 계육 특유의 비린내가 많고, 육즙이 없고 고소함이 없으며, 육질이 질기며 섭취감이 좋지 않음 : 1점으로 표기토록 하였고 그 평균점수를 표1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계란을 날것으로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육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은 4점법에 따라 각각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전혀 없고, 난황색이 매우 진하며 매우 고소하며 섭취감이 매우 좋음 : 4점,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거의 없고, 난황색이 비교적 진하며 약간 고소하며 섭취감이 보통임 : 3점,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약간 있고, 난황색이 보통이며 고소함이 거의 없으며 섭취감이 약간 좋지 않음 : 2점, 계란 특유의 비린내가 많고, 난황색이 흐리며, 고소함이 없으며, 섭취감이 좋지 않음 : 1점으로 표기토록 하였고 그 평균점수를 표6에 나타냈다.
<정제수에 계육을 삶아서 시식>
구분 비린내 및 잡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 4 4 3.8 3.9 3.8
비교예 2.3 2.5 2.3 2.2 2.5
<계육의 성분분석 비교표>
구분 일반성분(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Mg (mg) Zn (mg)
실시예 70.5 21.0 6.8 1.0 0.7 22 172 71 87 41 2.0
비교예 70.6 17.3 10.8 0.7 0.6 10 158 64 57 22 0.6
<계육 날개살의 성분분석 비교표>
구분 콜레스테롤(mg/가식부 100g당)
실시예 112.9
비교예 125.4
<계란을 날것으로 시식>
구분 비린내 및 잡냄새 난황색 섭취감
실시예 4 3.8 3.9 3.7
비교예 2.6 2.4 2.6 2.7
<계란의 성분분석 비교표>
구분 일반성분(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Mg (mg) Zn (mg)
실시예 76.8 13.2 7.9 1.1 1.0 46 218 115 134 24 19
비교예 74.7 11.7 12.2 0.7 0.7 32 201 134 107 14 13
<계란의 성분분석 비교표>
구분 콜레스테롤(mg/가식부 100g당)
실시예 386.3
비교예 449.2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육방법에 따라 생산되어진 계육은 비교예의 계육보다 계육 특유의 비린내가 없고, 육즙이 고소하며 육질이 연하며 섭취감이 좋음을 알 수 있다.
표2에서 표3까지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계육이 비교예의 계육보다 단백질이 증가하고 지질이 저하되었으며 각종 미네랄이 증가되었으며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4을 보면 실시예의 계란과 비교예의 계란을 비교하여 본 바 실시예의 계란이 현저하게 계란의 비린내가 없으며, 난황색이 진하며, 맛이 고소하고 섭취감이 좋음을 알수있다.
또한 표5과 표6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계란이 비교예의 계란보다 단백질이 증가하고 지질이 저하되었으며 각종 미네랄이 증가되었으며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a)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천궁, 건지황, 백작약, 황기, 육계, 감초의 비율을 5 : 5 : 5 : 5 : 5 : 5 : 5 : 4 : 4 : 3의 질량비로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마이크로미터 내지 5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의 혼합된 한약재 분말 : 정제수 : 흑설탕을 100 : 30 : 4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된 재료를 20 내지 45의 온도에서 3일내지 7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의 발효된 재료를 수분율 5%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e) 상기의 건조된 재료를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로 분쇄하는 단계;
    (f) 가금류용 일반사료 : 상기 재료를 1000 : 1 내지 1000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혼합된 사료를 가금류에 10일 내지 40일간 급여하여 사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2. 제1항의 사육방법에 의하여 생산되어지는 가금류 및 가금류의 난(卵)
KR1020080091331A 2008-09-18 2008-09-18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KR20080093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31A KR20080093947A (ko) 2008-09-18 2008-09-18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31A KR20080093947A (ko) 2008-09-18 2008-09-18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947A true KR20080093947A (ko) 2008-10-22

Family

ID=4015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331A KR20080093947A (ko) 2008-09-18 2008-09-18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3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326A (zh) * 2012-07-04 2012-10-10 吴萍 一种增强免疫力的药物
CN102987168A (zh) * 2012-12-31 2013-03-27 云南仁利坤元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猕猴婴猴期的饲料添加剂及应用
CN104547502A (zh) * 2015-01-31 2015-04-29 河南中医学院 一种治疗干燥综合征的中药组合物
CN111713599A (zh) * 2020-06-23 2020-09-29 山西力诺天润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6326A (zh) * 2012-07-04 2012-10-10 吴萍 一种增强免疫力的药物
CN102987168A (zh) * 2012-12-31 2013-03-27 云南仁利坤元养殖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猕猴婴猴期的饲料添加剂及应用
CN104547502A (zh) * 2015-01-31 2015-04-29 河南中医学院 一种治疗干燥综合征的中药组合物
CN111713599A (zh) * 2020-06-23 2020-09-29 山西力诺天润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519850A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40054620A (ko) 야생초 식품첨가제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9675A (ko)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어류의 양식 방법
KR2008009394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20100095336A (ko) 한방국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밥
CN106805235A (zh) 一种适用于呼吸系统疾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03341139A (zh) 一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Haghighi et al. The introduction of extinct endemic vegetables of Iran
KR20100016684A (ko) 기능성 다류 액상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추출물로 액상다류를 만드는 방법
KR20100074440A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Rao Diversity of some important wild edible plants of Kumaun Uttarakhand: a review
KR20140052586A (ko) 잡초(야생초)밥
CN106942507A (zh) 一种防病鹅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249666B1 (ko) 메추리로 부터 추출된 엑기스 제조방법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4936A (ko) 보양밥의 제조방법
KR200416065Y1 (ko) 한약재 염색 수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