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22A -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22A
KR20210027122A KR1020200106565A KR20200106565A KR20210027122A KR 20210027122 A KR20210027122 A KR 20210027122A KR 1020200106565 A KR1020200106565 A KR 1020200106565A KR 20200106565 A KR20200106565 A KR 20200106565A KR 20210027122 A KR20210027122 A KR 2021002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nterpart
substrate
housing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085B1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카와
사토시 스나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 과제 > 케이스 등의 기재에 대한 유지력을 충분히 얻으면서,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한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해결 수단 >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재에 접속되고, 제1 방향으로 상대방 커넥터가 감합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이다. 하우징은, 기재에 대해서, 제1 면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면에 수직인 제3 방향에서, 본체와 보조부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기재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기의 케이스 등에 마련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케이스에 직접 장착되는 커넥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는 패널에 장착되고, 패널에 마련된 관통공과의 걸림을 위해서, 관통공으로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모양의 걸림부를 측면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가, 패널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관통공에 삽입되면, 먼저, 걸림부는 패널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관통공의 개구의 크기에 맞도록 탄성적으로 수축한다. 그 후, 커넥터가 관통공에 더 삽입되면, 걸림부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고, 패널의 이면에 있어서 관통공의 개구단(開口端)에서 패널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가 패널에 유지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08-293677호 공보
근래, 기기의 소형화가 진행되어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커넥터에는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걸림부는, 관통공을 통과할 때에 탄성 변형하고, 그 후, 원래로 돌아갔을 때의 형상의 차이의 정도에 의해, 패널과 걸려져 있다. 그 때문에, 유지력을 크게 하려고 하면, 탄성 변형하기 위한 스트로크를 벌기 위해서, 삽입 방향에서의 걸림부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걸림부의 길이를 길게 하면,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될 때에,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걸림부가 크게 돌출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패널에 대한 유지력을 충분히 얻으면서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케이스 등의 기재(基材)에 대한 유지력을 충분히 얻으면서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한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재(基材)에 접속되고, 제1 방향으로 상대방 커넥터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재(基材)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하는 감합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기재로의 접속시에 상기 기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揷通, 삽입 통과)되고, 상기 기재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재의 상기 제2 면측에 배치되는 보조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재에 대해서,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면에 수직인 제3 방향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와의 사이에 협지(挾持,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상기 기재에 접속된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2 면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압압(押壓)하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제2 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2 면을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arm) 모양의 판스프링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 가장자리와 상기 경사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 중 일 방향인 접속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 상기 기재와 상기 제2 방향에서 걸려져, 상기 접속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분리 방향으로의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기재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구조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고,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기재와, 상기 커넥터의 감합부에 감합하는 상대방 감합부를 가지는 상대방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에 의하면, 기재에 대한 유지력을 충분히 얻으면서, 저배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전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上方)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후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기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방(下方)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기재와의 접속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전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후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외형 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의 거동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는,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구조(ST)는, 커넥터(1)와, 커넥터(1)가 장착되어 접속되는 기재(S)와, 커넥터(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대방 커넥터(C1)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하는 것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C1)는, 상대방 기판(CS)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1)를 향하여 감합시키는 방향을 감합 방향(D11)이라고 하고, 감합 방향(D11)의 반대 방향이며,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1)로부터 빼내는 방향을 이탈 방향(D12)이라고 한다. 감합 방향(D11) 및 이탈 방향(D12) 양 방향을 합쳐서 제1 방향(D1)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은, 기재(S)의 제1 면(Sa)에 평행한 방향 중 일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S)의 제1 면(Sa)에 평행한 방향 중 일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D1)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방향(D2)은, 커넥터(1)를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이며, 제2 방향(D2) 중,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의 하우징(2)을 기재(S)에 걸리게 하는 방향을 접속 방향(D21)이라고 하고, 접속 방향(D21)의 반대 방향이며, 하우징(2)과 기재(S)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향을 분리 방향(D22)이라고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방향(D3)은, 기재(S)의 제1 면(Sa)에 수직인 방향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양쪽 모두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3 방향(D3)을 따라서, 기재(S)의 제2 면(Sb)(도 3 참조)으로부터 제1 면(Sa)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방(上方)'이라고도 하며, 제3 방향(D3)을 따라서, 기재(S)의 제1 면(Sa)으로부터 제2 면(Sb)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下方)'이라고도 한다. 또한, '상면', '하면' 등, '상', '하'라고 하는 용어를 이용하는 경우, 기재(S)의 제1 면(Sa)으로부터 제3 방향(D3)에서 먼 측을 '상'이라고 하고, 제3 방향(D3)에서 가까운 측을 '하'라고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에 평행한 방향' 또는 이것에 비슷한 표현은 완전히 'A에 평행한 방향'뿐만 아니라 'A에 대략 평행한 방향'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B에 수직인 방향' 또는 이것에 비슷한 표현은 완전히 'B에 수직인 방향'뿐만 아니라 'B에 대략 수직인 방향'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1)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와 쌍을 이루는 커넥터이고, 제1 방향(D1)에서,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 또는 이탈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는, 수형(웅형(雄型)) 커넥터이며, 상대방 커넥터(C1)는, 암형(자형(雌型)) 커넥터이지만, 커넥터(1) 및 상대방 커넥터(C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1)가 암형 커넥터이고, 상대방 커넥터(C1)가 수형 커넥터이어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커넥터(1) 및 상대방 커넥터(C1)는, 기판 대(對) 전선 접속용 커넥터이지만, 기판 대 기판 접속용 커넥터이어도 된다.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감합부(C31)와 감합하는 감합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구조(ST)는, 상대방 커넥터(C1)가 커넥터(1)에 대해서 기재(S)의 제1 면(Sa)에 평행한 방향(제1 방향(D1))으로 감합하는 수평 감합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커넥터 구조(ST)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대방 커넥터(C1)가 커넥터(1)에 대해서 기재(S)의 제1 면(Sa)에 수직인 방향으로 감합하는 수직 감합 구조 등, 그 외의 감합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커넥터(1)는, 바람직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 또는,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 기기 등,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전자 기기에 이용되지만, 커넥터(1)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S)는, 커넥터(1)가 탑재되는 부재이다. 기재(S)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케이스, 회로 기판, 금속판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S)는, 액정 표시 장치 등,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샤시이다. 기재(S)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면(Sa)과, 그 반대면인 제2 면(Sb)과, 제1 면(Sa)과 제2 면(Sb)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소정의 형상의 관통공(Sh)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Sh)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공(Sh)은, 후술하는 보조부(4)를 기재(S)의 제2 면(Sb)측으로 삽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는, 커넥터(1)를 제2 방향(D2)(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시킨 후에, 후술하는 가압부(41)(도 4a~도 6b 등 참조)가 제2 면(Sb)에서 접촉하는 가압부 접촉부(Sp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부 접촉부(Sp1)는, 관통공(Sh)의 제2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개구 가장자리(Sp)로부터 제1 방향(D1)에서 관통공(Sh)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의 제2 방향(D2)을 따라서 연장되는 평행한 2개의 변(Sh1, Sh2)의 중앙부로부터, 제1 방향(D1)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한 한 쌍의 가압부 접촉부(Sp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직사각형 형상'은 완전한 '직사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직사각형 형상'은 완전한 '직사각형 형상'은 아니지만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보이는 형상을 가리킨다. 이것에 의해, 관통공(Sh)은, 제1 방향(D1)에서 폭이 넓은 폭광부(幅廣部)(Sha)와 제1 방향(D1)에서 폭이 좁은 폭협부(幅狹部)(Shb)를 가지고 있다.
기재(S)의 재료는, 커넥터(1)를 탑재할 수 있는 제(諸)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재(S)는, 예를 들면, Al(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료,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 수지) 등의 유기 재료, Al2O3(알루미나) 등의 무기 재료, 글래스 에폭시 등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할 수 있다. 기재(S)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를 제2 방향(D2)(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시켜 기재(S)에 장착할 때에, 커넥터(1)와 걸려지는 피걸림부(S1)를 제1 면(Sa)측에 가지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피걸림부(S1)는, 제1 면(Sa)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이다. 피걸림부(S1)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된다.
도 1로 돌아와, 상대방 기판(CS)은, 상대방 커넥터(C1)를 탑재하는 회로 기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 기판(CS)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의 기판 수용부(312)에 수용되는, 제1 방향(D1)으로 가늘고 길쭉한 판 모양 기판이며, 일단에 상대방 커넥터(C1)가 탑재되어 있다. 상대방 기판(CS)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 기판(CS)은, 백라이트 샤시인 기재(S)에 장착되는 LED 기판이다. 상대방 기판(CS)의 재료는, 상대방 커넥터(C1)를 탑재할 수 있는 제특성을 가지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Al,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료, ABS 등의 유기 재료, Al2O3 등의 무기 재료, 글래스 에폭시 등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등이다. 예를 들면, 상대방 기판(CS)은,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표면에 컨택트 패드를 가지고 있다. 상대방 커넥터(C1)는, 이 컨택트 패드의 위치에서, 납땜 접속 등에 의해서 상대방 기판(CS)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고정되어 있다.
상대방 커넥터(C1)는, 커넥터(1)에 감합 접속된다. 상대방 커넥터(C1)는, 커넥터(1)의 감합부에 감합되는 상대방 감합부(C31)를 가지고 있다. 상대방 커넥터(C1)는, 상대방 기판(CS)과 함께, 커넥터(1)에 대해서 제1 방향(D1)(감합 방향(D11))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넥터(1)에 접속된다.
상대방 커넥터(C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기판(CS)의 폭(제2 방향(D2)의 길이)보다도 좁은 폭이지만, 상대방 기판(CS)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C1)는,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가, 상대방 기판(CS)의 단부에 대해서 이탈 방향(D12)측이 되도록 상대방 기판(CS)에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가, 상대방 기판(CS)의 단부와 일치하도록, 상대방 커넥터(C1)가 상대방 기판(CS)에 탑재되어 있어도 괜찮고,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가, 상대방 기판(CS)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상대방 커넥터(C1)가 상대방 기판(CS)에 탑재되고 있어도 괜찮다.
도 4a, 도 5a~도 6b는,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기재(S)(도 1 참조)에 장착되는 하우징(2)과,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의 상대방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6)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1)는, 상대방 기판(CS)을 전선(7)(도 1 참조)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기재(S)(도 3 참조)에 장착되어 접속되었을 때에, 기재(S)의 제1 면(Sa)(도 3 참조)측에 배치되는 본체(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은, 기재(S)의 제2 면(Sb)(도 3 참조)측에 배치되는 보조부(4)와, 기재(S)의 관통공(Sh)(도 3 참조) 내에 배치되는 삽통부(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조부(4) 및 삽통부(5)는, 협지(挾持, 사이에 끼워 지지함)에 의해서 하우징(2)을 기재(S)에 접속하는 경우에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2)은,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재(S)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하우징(2)의 재료는, 절연성을 가지고, 기재(S)(도 3 참조)로의 접속 및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와의 감합이 가능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부(4)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을 기재(S)에 접속할 때에, 기재(S)의 관통공(Sh)에 삽입된다. 그 후,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을 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체(3)와 보조부(4)와의 사이에 기재(S)를 협지시킨다. 그 때문에, 제3 방향(D3)으로부터 볼 경우, 보조부(4)는, 하우징(2)의 슬라이드 전의 위치(도 9a 참조)에서 관통공(Sh) 내로 들어가고, 슬라이드 후의 위치(도 9b 참조)에서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와 겹쳐져 있다. 도 7a~도 7c의 예에서는, 보조부(4)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방으로부터 보아, 제2 방향(D2)의 양 단부로부터 제1 방향(D1)의 양 방향으로 돌출한 H자 모양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H자 모양'은 완전한 'H자 모양'뿐만 아니라 '대략 H자 모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에서 'H자 모양'은 완전한 'H자 모양'은 아니지만 대체로 'H자 모양'으로 보이는 모양을 가리킨다. 보조부(4)는, 제1 방향(D1)으로 폭이 넓게 되는 보조부측 폭광부(4a)와, 제1 방향(D1)으로 폭이 좁은 보조부측 폭협부(4b)를 가지고 있다. 보조부(4)의 보조부측 폭광부(4a)는, 도 9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방향(D1)에서의 관통공(Sh)의 폭협부(Shb)의 폭보다도 넓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우징(2)을 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도 9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보조부(4)의 보조부측 폭광부(4a)가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에 걸려져, 제3 방향(D3)에서의 하우징(2)의 기재(S)로부터의 빠짐이 규제된다. 또한 삽통부(5)의 제1 방향(D1)에서의 폭은, 관통공(Sh)의 폭협부(Shb)의 폭보다도 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삽통부(5)는 관통공(Sh) 내에서 제2 방향(D2)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의 기재(S)와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보조부(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3 방향(D3)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 가압부(41)를 가지고 있다. 가압부(41)는,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재(S)의 제2 면(Sb)과 대향하는 측에 마련되고, 기재(S)의 제2 면(Sb)을 제3 방향(D3)으로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조부(4)가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41)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도 11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접속하는 기재(S)의 두께가 변화해도, 보조부(4)가 기재(S)의 두께에 따라 변형된다. 따라서, 여러가지 두께의 기재(S)를 본체(3)와 보조부(4)와의 사이에 협지할 수 있어, 커넥터(1)는, 다른 두께를 가지는 여러가지 종류의 기재(S)에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협지에 의해서 하우징(2)이 기재(S)에 접속된 상태라도, 보조부(4)가 제3 방향(D3)으로 가하는 힘에 따라 변형되므로, 하우징(2)은, 제3 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가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할 때에, 하우징(2)이 제3 방향(D3)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감합시의 충격이 약해지므로, 커넥터(1)가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가압부(41)는,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 스프링성을 가지는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구조의 간이성의 관점으로부터,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가압부(41)는, 기재(S)의 제2 면(Sb)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부(411)를 가지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암(arm) 모양의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가압부(4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경사부(411)는, 도 8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이 슬라이드할 때에, 가압부 접촉부(Sp1)의 개구 가장자리(Se)와 맞닿아 탄성 변형되고, 가압부 접촉부(Sp1)의 제2 면(Sb)에 접촉하여 제2 면(Sb)을 압압(押壓)한다.
경사부(41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분리 방향(D22)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데, 도 4b에 나타나는 변형예와 같이, 접속 방향(D2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괜찮다. 가압부(41)는, 판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재(S)의 제2 면(Sb)(도 7c 등 참조)를 제3 방향(D3)으로 압압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가압부(4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보조부측 폭광부(4a)에 마련되고,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을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인 제2 방향(D2)에 수직인 양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가압부(41)는, 보조부측 폭광부(4a)에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나는 변형예와 같이, 보조부(4)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가압부(41)를 접속 방향(D21)으로 돌출하도록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보조부(4)의 전체가, 고무에 의해서 구성되거나, 또는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성을 가지는 부재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에 의해서, 보조부(4)의 전체가 가압부(41)로서 기능해도 괜찮다.
보조부(4)는, 도 4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3 방향(D3)에 있어서의 본체(3)와 보조부(4)와의 간격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부(42)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제3 방향(D3)에 있어서의 본체(3)와 규제부(42)와의 간격은, 본체(3) 및 보조부(4)에 의해서 협지되는 기재(S)(도 7c참조)의 최대 두께를 규정한다. 보조부(4)가 가압부(41)를 구비하는 경우, 규제부(42)는, 도 4a의 예와 같이, 제3 방향(D3)에 있어서, 본체(3)와 규제부(42)와의 간격(G42)이 본체(3)와 가압부(41)과의 사이의 간격(G41)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우징(2)이 기재(S)에 접속되었을 때에, 가압부(41)는, 본체(3)와 규제부(42)와의 간격(G42)의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한다.
규제부(42)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보조부측 폭광부(4a)로서 마련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규제부(42)는, 하우징(2)을 슬라이드시키는 방향인 제2 방향(D2)에 수직인 양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9a 및 도 9b도 참조). 그렇지만, 규제부(42)는, 제2 방향(D2)에 수직인 어느 일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 방향(D11) 또는 이탈 방향(D12))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괜찮고, 제2 방향(D2)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괜찮다.
삽통부(5)는, 도 4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3 방향(D3)에 있어서, 보조부(4)를 본체(3)와 접속시키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통부(5)는, 도 9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이 기재(S)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의 기재(S)의 관통공(Sh)의 개구 가장자리(Se)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1)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리어런스(G1)에 의해서, 하우징(2)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재(S)와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양 방향으로 클리어런스(G1)가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2)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양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재(S)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2)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재(S)와 걸리는 제1 걸림부(321)와, 제1 걸림부(321)의 기재(S)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걸림부(321) 및 조작부(32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감합부(31)를 구비하는 본체(3)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32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322)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서, 하우징(2)을 분리 방향(D22)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걸림부(321)의 기재(S)와의 걸림을 해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부(321) 및 조작부(322)는,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7c의 예에서는, 제1 걸림부(321) 및 조작부(322), 하우징(2)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암 모양으로 연장되는 암부(32)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걸림부(321) 및 조작부(322)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c의 예에서는, 암부(32)는, 기재(S)의 제1 면(Sa)과 대향하는 본체(3)의 하면(3b)측에서, 분리 방향(D2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분리 방향(D22)측의 단부에, 제1 걸림부(321)가 조작부(322)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제1 걸림부(321) 및 조작부(322)는, 본체(3) 및 보조부(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면 된다.
제1 걸림부(321)는, 예를 들면, 하우징(2)의 접속 방향(D21)으로의 슬라이드 후에, 앞서 설명한 기재(S)의 피걸림부(S1)와 제2 방향(D2)에서 걸려, 하우징(2)의 분리 방향(D22)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걸림부(321)는, 도 4a,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암부(32)의 분리 방향(D22)의 단부에 마련된 벽부이고,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앞서 설명한 기재(S)의 볼록 형상의 피걸림부(S1)에 마련된 벽부와 제2 방향(D2)에서 대향하여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걸림부(321) 및 피걸림부(S1)의 형태는, 분리 방향(D22)으로의 하우징(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b에 나타나는 변형예와 같이, 피걸림부(S1)를 기재(S)에 형성된 오목부로 하고, 제1 걸림부(321)를 오목부로서 형성된 피걸림부(S1)에 감합되는 볼록부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은, 하우징(2)의 기재(S)와의 접속시에, 삽통부(5)와 관통공(Sh)의 개구 가장자리(Se)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G1)(도 9b 참조)의 방향에 대응하여,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제1 걸림부(321)와 피걸림부(S1)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2)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앞서 설명한 하우징(2)의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조작부(32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본체(3)의 하면(기재(S)의 제1 면(Sa)과의 대향면)(3b)에서, 분리 방향(D22)으로 연장되는 암부(32)의 분리 방향(D22)측의 단부에, 제1 걸림부(321)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피걸림부(S1)가 볼록 형상인 경우에는, 암부(32)는, 보조부(4)가 관통공(Sh)에 삽입된 후이고, 하우징(2)이 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하기 전인 위치에서, 기재(S)의 피걸림부(S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걸림부(S1)를 수용하는 오목부(323)를 하면(3b)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a 및 도 6b도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3)와 보조부(4)와의 사이에 기재(S)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서, 커넥터(1)를 기재(S)에 접속하고 있다. 이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 7a~도 7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7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의 보조부(4)를 기재(S)의 상방으로부터 기재(S)의 관통공(Sh)에 삽입한다(도 8a도 참조). 또한 도면 중의 CL은, 하우징(2)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선이며, 도 7a~도 7c에서는, 감합부(31)의 중심선이다. 여기서, 도 9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의 슬라이드 전의 위치에서, 보조부(4)는, 제3 방향(D3)으로부터 보아, 슬라이드 방향인 접속 방향(D21)측의 단부 이외의 외형은, 관통공(Sh)의 형상에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재(S)의 피걸림부(S1)는, 암부(32)의 오목부(323)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보조부(4)가 관통공(Sh)에 삽입될 때, 기재(S)에 대해서 하우징(2)이 위치 맞춤되므로, 하우징(2)을 슬라이드시키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을 제2 방향(접속 방향(D21))으로 슬라이드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기재(S)의 제2 면(Sb)측에서는, 가압부(41)의 암 모양의 판 스프링의 경사부(411)가 관통공(Sh)의 개구 가장자리(Se)와 맞닿는다. 하우징(2)을 더 슬라이드시키면, 기재(S)의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가압부 접촉부(Sp1))의 적어도 일부에서, 경사부(411)가, 기재(S)의 제2 면(Sb)에 접촉하여 제3 방향(D3)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제2 면(Sb)을 압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경사부(411)는 분리 방향(D22)으로 연장되는 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경사부(411)의 개구 가장자리(Se)와의 맞닿음 시에, 경사부(411)를 무리없이 변형시킬 수 있다. 본체(3)가 암부(32)를 가지고, 암부(32)에 오목부(323)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재(S)의 제1 면(Sa)측에서는, 암부(32)가 제3 방향(D3)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오목부(323)가 기재(S)의 피걸림부(S1)를 타고 넘어 간다.
하우징(2)을 더 슬라이드시키면, 암부(32)의 제1 걸림부(321)가 피걸림부(S1)와 걸림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의 적어도 일부(가압부 접촉부(Sp1))가, 기재(S)의 제1 면(Sa)에 수직인 제3 방향(D3)에서, 본체(3)와 보조부(4)와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이 기재(S)에 접속되어, 하우징(2)의 분리 방향(D22)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하우징(2)과 기재(S)와의 접속을 해제하려면, 도 7c에서, 조작부(322)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서, 하우징(2)을 분리 방향(D22)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의 기재(S)로의 접속 후에, 도 9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보조부(4)의 가압부(41)(보조부측 폭광부(4a))는, 제3 방향(D3)으로부터 보아, 제1 방향(D1)에서,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폭협부(Shb))와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 있다. 그렇지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는 변형예와 같이, 보조부(4)의 가압부(41)는, 제3 방향(D3)으로부터 보아, 접속 방향(D21)에서,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와 적어도 일부가 겹쳐져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S)를 본체(3)와 보조부(4)에 의해서 협지하는 것에 의해서, 커넥터(1)의 기재(S)로의 유지력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과 같이, 커넥터(1)의 기재(S)로의 삽입 방향(제3 방향(D3))에서의 걸림부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는 없고, 기재(S)의 제1 면(Sa)과 평행한 제2 방향(접속 방향(D21))으로 하우징(2)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본체(3)와 보조부(4)에 의해서 기재(S)를 협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협지에 필요한 최저한의 두께를 가지는 보조부(4)를 마련하면, 커넥터(1)를 기재(S)에 접속한 후에, 커넥터(1)가 기재(S)의 제2 면(Sb)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의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보조부(4)가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41)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기재(S)의 두께의 불균일이 큰 경우나, 다른 두께를 가지는 다른 기재(S)가 이용되는 경우 등, 기재(S)의 두께에 따라 보조부(4)가 제3 방향(D3)으로 변형된다. 그 때문에, 동일한 하우징(2)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두께의 기재(S)를 본체(3)와 보조부(4)와의 사이에 협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2)을 기재(S)에 접속했을 때에,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2 방향(D2)에 있어서 관통공(Sh)의 중앙 영역에서, 가압부(41)가 관통공(Sh)의 둘레 가장자리부(Sp)(가압부 접촉부(Sp1))를 압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본체(3) 및 보조부(4)에 의한 기재(S)의 협지가 보다 안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감합 방향(D11) 및 이탈 방향(D12))은, 제2 방향(D2)(접속 방향(D21) 및 분리 방향(D22))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2)이 기재(S)와 접속되어 있을 때, 커넥터(1)와 상대방 커넥터(C1)와의 감합시 또는 이탈시에 감합 방향(D11) 또는 이탈 방향(D12)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하우징(2)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감합시 또는 이탈시에 가해지는 힘이, 감합 방향(D11) 또는 이탈 방향(D12) 이외의 방향으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지므로, 커넥터(1)와 상대방 커넥터(C1)와의 감합 또는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 그렇지만, 제1 방향(D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 방향(D2) 또는 제3 방향(D3)과 동일하여도 되고,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이외의 방향이라도 된다. 제1 방향(D1)이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이면, 상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합 방향(D11)과 분리 방향(D22)이 이루는 각은, 60~120도, 바람직하게는 70~11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0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방향(D1)은, 기재(S)의 제1 면(Sa)에 평행한 방향이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방 커넥터(C1)를 기재(S)의 제1 면(Sa)을 따르게 하면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C1)에 감합시키기 쉬워진다.
커넥터(1)의 본체(3)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감합부(C31)와 감합하는 감합부(31)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방향(D1)에서, 상대방 커넥터(C1)를 감합 및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방향(D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방향(D2)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또한, 기재(S)의 제1 면(Sa)에 평행한 방향이다. 감합부(31)는,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감합부(C31)를 수용하는 커넥터 수용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부(31)는, 상대방 기판(CS)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부(31)는, 상대방 감합부(C31)를 커넥터 수용부(311)로 안내하는 커넥터 안내부(313)와,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수용부(312)로 안내하는 기판 안내부(3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 도 5a~도 6b 및 도 7c는, 본 실시 형태의 본체(3)의 감합부(31)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수용부(311)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311s)를 가지는 오목부이다. 커넥터 수용부(311)는, 본체(3)의 이탈 방향(D12)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제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커넥터 수용부(311)의 내부 공간(311s)은,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 수용부(312)의 내부 공간(312s)(도 5b 참조)과 제3 방향(D3)에서 연속되게 마련되어 있다(도 4a도 참조). 커넥터 수용부(311)에는, 앞서 설명한 접속 단자(6)(도 5b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 단자(6)(도 5b 참조)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와 감합했을 때에,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의 본체(3)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의 피걸림부(C11)와 걸려지는 제2 걸림부(33)를 구비하며, 상대방 커넥터(C1)가 커넥터(1)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1)로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제2 걸림부(33)를 조작하여, 제2 걸림부(33)와 피걸림부(C11)와의 사이의 걸림을 해제하면 된다.
커넥터 안내부(313)는, 도 5a 및 도 5b가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넥터 수용부(311)에 대해서, 이탈 방향(D12)측에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안내부(313)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가 감합 방향(D11)을 향할 때에,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커넥터 수용부(311)로 안내한다. 커넥터 안내부(313)의 형상 및 구조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가 감합 방향(D11)을 향할 때에,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커넥터 수용부(311)로 안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의 예에서는, 제2 방향(D2)에서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안내하도록, 커넥터 안내부(313)의 내부 공간(313s)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제2 방향(D2)에서 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안내부(313)는, 감합 방향(D11)을 향함에 따라 제2 방향(D2)의 간격이 짧게 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안내면(313p)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넥터 안내부(313)는, 제3 방향(D3)에서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안내하도록, 내부 공간(313s)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제3 방향(D3)에서 좁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의 양 방향에서 상대방 감합부(C31)(도 1 참조)를 안내하도록, 커넥터 안내부(313)의 내부 공간(313s)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의 양 방향에서 좁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부 공간(313s)은, 커넥터 안내부(313)의 안내면(313p)을 평면 모양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좁게 되어도 되고, 안내면(313p)을 곡면 모양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좁게 되어도 된다. 안내면(313p)이 곡면 모양인 경우, 곡면을 감합 방향(D11)을 향하는 볼록 형상으로 하면(도 5a의 점선 부분 참조), 상대방 감합부(C31)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예에서는, 커넥터 안내부(313)는, 커넥터 수용부(311)와 접속되어 있고, 커넥터 안내부(313)의 내부 공간(313s)은, 커넥터 수용부(311)의 내부 공간(311s)과 제1 방향(D1)에서 연속되어 있다.
기판 수용부(312)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기판(CS)(도 1 참조)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312s)을 가지는 오목부로서 본체(3)의 이탈 방향(D12)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판 수용부(312)는, 커넥터 수용부(311)와 마찬가지로, 제1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기판 수용부(312)의 내부 공간(312s)은, 상대방 기판(CS)(도 1 참조)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넥터 수용부(311)의 내부 공간(311s)과 제3 방향(D3)에서 연속되게 마련되어 있다(도 4a도 참조).
기판 안내부(314)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판 수용부(312)에 대해서, 이탈 방향(D12)측에 마련되어 있다. 기판 안내부(314)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가 감합 방향(D11)을 향할 때에,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수용부(312)로 안내한다. 기판 안내부(314)의 형상 및 구조는, 상대방 커넥터(C1)(도 1 참조)가 감합 방향(D11)을 향할 때에,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수용부(312)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에서 상대방 기판(CS)의 일단부를 안내하도록, 기판 안내부(314)의 내부 공간(314s)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에서 좁게 되어 있다(도 4b도 참조). 구체적으로는, 기판 안내부(314)는, 감합 방향(D11)을 향함에 따라 제2 방향(D2)의 간격이 짧게 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안내면(314p)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판 안내부(314)는,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상대방 기판(CS)의 일단부를 안내하도록, 내부 공간(314s)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좁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내부 공간(314s)은, 기판 안내부(314)의 안내면(314p)을 평면 모양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좁게 되어도 되고, 안내면(314p)을 곡면 모양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좁게 되어도 된다. 안내면(314p)이 곡면 모양인 경우, 곡면을 감합 방향(D11)을 향하는 볼록 형상으로 하면(도 6a의 점선 부분 참조), 상대방 기판(CS)의 일단부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기판 안내부(314)는, 기판 수용부(312)와 접속되고 있고, 기판 안내부(314)의 내부 공간(314s)은, 기판 수용부(312)의 내부 공간(312s)과 제1 방향(D1)에서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판 수용부(312)는, 기재(S)의 제1 면(Sa)(도 1 참조)과 대향하는 본체(3)의 하면(3b)에, 상대방 기판(CS)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 공간(312s)을 가지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 안내부(314)는, 기재(S)의 제1 면(Sa)(도 1 참조)과 대향하는 본체(3)의 하면(3b)에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수용부(312) 및 기판 안내부(314)는, 본체(3)의 하면(3b)에서, 기재(S)의 제1 면(Sa)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넥터(1)가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했을 때에, 상대방 기판(CS)이 기재(S)의 제1 면(Sa)과 접하므로, 상대방 기판(CS)의 제3 방향(D3)에서의 휨이 교정된다. 그렇지만, 도 4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기판 수용부(312) 및 기판 안내부(314)는, 본체(3)의 하면(3b)에서, 기재(S)의 제1 면(Sa)을 향하여 개구되지 않고, 하부가 본체(3)에 의해서 막혀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넥터(1)는, 기판 수용부(312) 및 커넥터 수용부(311)를 가지고, 커넥터 수용부(311)에 대해서 이탈 방향(D12)측에 커넥터 안내부(313)가 마련되며, 기판 수용부(312)에 대해서 이탈 방향(D12)측에 기판 안내부(31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안내부(314)에 의해서 안내시키면서 커넥터(1)에 수용하고, 또한,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 안내부(313)에 의해서 안내시키면서 커넥터(1)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방 커넥터(C1)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2개의 안내부(313, 314)의 안내에 의해서, 상대방 커넥터(C1)는, 삽입 방향의 어긋남을 보정하도록 위치 결정되므로,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감합부(C31)가 커넥터(1)의 감합부(31)에 무리하게 삽입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C1)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에 의한 커넥터(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 동시에, 상대방 커넥터(C1)의 손상도 방지된다.
이하, 도 1, 도 2, 도 12a~도 15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의 상대방 커넥터(C1)와의 감합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에 상대방 커넥터(C1)를 감합시킬 때에는, 먼저, 도 12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 및 상대방 기판(CS)을 커넥터 안내부(313) 및 기판 안내부(314)에 각각 삽입하고, 감합 방향(D11)으로 안내시킨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회로 기판 등의 구성부품보다, 무리하게 가해진 힘에 의해서 손상하기 쉽다. 그 때문에, 기판 안내부(314)는, 커넥터 안내부(313)가 상대방 커넥터(C1)를 안내하기 전에, 상대방 기판(CS)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먼저, 상대방 기판(CS)이 기판 안내부(314)와 맞닿아 안내되는 것에 의해서, 상대방 기판(CS)에 탑재된 상대방 커넥터(C1)가, 제2 방향(D2) 및/또는 제3 방향(D3)에서 위치 결정된다. 그 후에, 상대방 커넥터(C1)가 커넥터 안내부(313)로 안내될 때에는, 상대방 커넥터(C1)가 커넥터 안내부(313)와맞닿지 않거나, 맞닿아도 커넥터 안내부(313)와의 맞닿을 때의 충격을 약해진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1)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고, 커넥터(1)를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1)의 손상이 한층 더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대방 커넥터(C1)의 손상도 한층 더 방지된다.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안내부(314)로 맨 먼저 안내시키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가, 상대방 기판(CS)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로부터 이탈 방향(D12)측으로 간격을 두도록, 상대방 커넥터(C1)를 상대방 기판(CS)에 탑재해도 괜찮다. 또한,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의 제1 방향(D1)에서의 위치가, 상대방 기판(CS)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에 일치하도록 상대방 커넥터(C1)를 상대방 기판(CS)에 탑재해도 괜찮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 12b 및 도 12c의 예와 같이, 커넥터 안내부(313)가, 기판 안내부(314)보다 감합 방향(D11)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C1)의 감합 방향(D11)측의 단부가, 상대방 기판(CS)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상대방 커넥터(C1)가 상대방 기판(CS)에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대방 커넥터(C1)의 상대방 기판(CS)로부터의 돌출량에 따라서, 커넥터 안내부(313)가, 기판 안내부(314)보다 감합 방향(D11)으로 더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커넥터 안내부(313)의 내부 공간(313s) 및 기판 안내부(314)의 내부 공간(314s)은, 도 12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감합 방향(D11)을 향하여, 서로 동일한 정도(예를 들면 각도)로 좁아져도 되고, 도 12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정도로 좁아져도 된다. 상대방 커넥터(C1)의 하우징(2)으로의 맞닿음 시의 충격을 약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도 12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커넥터 안내부(313)의 내부 공간(313s)의 좁아지는 정도는, 기판 안내부(314)의 내부 공간(314s)의 좁아지는 정도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부(4)는, 바람직하게는, 제3 방향(D3)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41)를 가지고(도 7c 등 참조), 삽통부(5)는, 예를 들면,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에서, 기재(S)의 관통공(Sh)의 개구 가장자리(Se)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1)를 가지고 있다(도 9b 등 참조). 이 경우, 하우징(2)은, 클리어런스(G1)에 대응하여, 제1 걸림부(321)과 피걸림부(S1)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2)를 가지고 있다(도 7c 등 참조). 그 때문에, 하우징(2)은, 바람직하게는, 도 14a~도 15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클리어런스(G1) 또는 클리어런스(G2)에 따른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기재(S)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도 14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를 커넥터(1)에 삽입했을 때에, 감합 방향(D11)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하우징(2)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C1)가 하우징(2)과 맞닿았을 때에, 감합 방향(D11)으로 가해진 힘이 약해지므로, 커넥터(1)의 손상이 한층 더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대방 커넥터(C1) 및 상대방 기판(CS)의 손상도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2)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도 14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기판(CS)이 기판 안내부(314)와 맞닿았을 때에, 감합 방향(D11)에 대한 상대방 기판(CS)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에 대응하여, 하우징(2)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한다. 또한, 하우징(2)이 제3 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도 15a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기판(CS)이 기판 안내부(314)과 맞닿았을 때에, 감합 방향(D11)에 대한 상대방 기판(CS)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M)에 대응하여, 하우징(2)이 제3 방향(D3)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하우징(2)의 이동에 의해, 상대방 기판(CS)이 하우징(2)과 맞닿았을 때에, 감합 방향(D11)으로 가해진 힘이 약해지므로, 커넥터(1)의 손상이 한층 더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상대방 커넥터(C1) 및 상대방 기판(CS)의 손상도 한층 더 방지된다.
또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 양 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도 14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평행 이동뿐만이 아니라,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R3) 가능하게 된다.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양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도 15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하우징(2)은,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의 평행 이동뿐만이 아니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R1) 가능하게 된다. 제3 방향(D3) 및 제1 방향(D1) 양 방향에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특별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우징(2)은, 제3 방향(D3) 및 제1 방향(D1)으로의 평행 이동뿐만이 아니라,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 중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의 평행 이동뿐만이 아니라,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감합 방향(D11)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는 상대방 기판(CS)의 삽입 방향의 어긋남에 대응하여, 하우징(2)이 보다 유연하게 이동하므로, 상대방 커넥터(C1) 및 상대방 기판(CS)과 함께, 커넥터(1)의 손상이 한층 더 방지된다.
또한 도 14a~도 14c에서는, 상대방 기판(CS)이, 상대방 커넥터(C1)보다 먼저 하우징(2)(기판 안내부(314))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2)이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수용부(311) 및 커넥터 안내부(31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대방 커넥터(C1)가, 상대방 기판(CS)보다 먼저 하우징(2)(커넥터 안내부(313))과 맞닿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2)이 이동해도 된다. 그렇지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넥터(1)가 손상되기 쉽다는 관점으로부터, 상대방 기판(CS)이 하우징(2)(기판 안내부(314))와 맞닿았을 때에, 하우징(2)이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방 기판(CS)을 기판 안내부(314)로 맨 먼저 안내시키는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와 커넥터 수용부(311)와의 클리어런스(Gc)는, 상대방 기판(CS)과 기판 수용부(312)와의 클리어런스(Gs)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대방 기판(CS)의 기판 안내부(314)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러프하게 위치 결정이 된 후에, 상대방 커넥터(C1)의 커넥터 안내부(313)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미세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C1)의 커넥터 안내부(313)와의 맞닿음 시의 충격을 보다 더 약하게 하면서, 상대방 커넥터(C1)의 위치 결정을 보다 더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위치 결정된 후,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대방 커넥터(C1)를 감합 방향(D11)으로 더 이동시키면, 제2 걸림부(33)가 상대방 커넥터(C1)의 피걸림부(C11)와 걸림과 아울러,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한다(도 13도 참조). 도 1 및 도 2의 예에서는, 커넥터(1)의 상대방 커넥터(C1)와의 감합을 해제하려면, 제2 걸림부(33)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하우징(2)을 감합 방향(D11)과 반대 방향인 이탈 방향(D12)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에 기판 수용부(312)가 마련되어 있지만, 기판 수용부(312)는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즉, 하우징(2)은, 상대방 기판(CS)과 감합하지 않아도 되고, 감합부(31)가 상대방 커넥터(C1)와 감합하면 된다. 또한, 커넥터 안내부(313) 및 기판 안내부(314)는, 하우징(2)에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즉, 상대방 커넥터(C1)는, 커넥터 안내부(313)에 의해서 안내되지 않고, 직접, 기판 수용부(312)에 수용되어도 되며, 상대방 기판(CS)은, 기판 안내부(314)에 의해서 안내되지 않고, 직접, 기판 수용부(312)에 수용되어도 된다. 또한, 하우징(2)은, 이동 가능하게 기재(S)에 접속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도 괜찮다. 즉, 삽통부(5)는, 기재(S)의 관통공(Sh)의 개구 가장자리(Se)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1)를 갖지 않아도 되고, 하우징(2)은, 제1 걸림부(321)와 피걸림부(S1)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G2)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보조부(4)는, 가압부(41)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즉, 보조부(4)는, 본체(3)와 함께 기재(S)를 협지하면, 그 형태는 상관없다. 또한 하우징(2) 및 기재(S)는, 제1 걸림부(321) 및 피걸림부(S1)를 각각 가지지 않아도 된다. 즉, 하우징(2)은, 기재(S)에 걸리지 않아도 되고, 기재(S)를 현지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커넥터(1) 및 상대방 커넥터(C1)는, 제2 걸림부(33) 및 피걸림부(C11)를 각각 가지지 않아도 된다. 즉, 커넥터(1)는 상대방 커넥터(C1)와 걸리지 않아도 되고, 상대방 커넥터(C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된다.
1 : 커넥터 2 : 하우징
3 : 본체 3b : 하면
31 : 감합부 311 : 커넥터 수용부
311s : 내부 공간 312 : 기판 수용부
312s : 내부 공간 313 : 커넥터 안내부
313p : 안내면 313s : 내부 공간
314 : 기판 안내부 314p : 안내면
314s : 내부 공간 32 : 암부
321 : 제1 걸림부 322 : 조작부
323 : 오목부 33 : 제2 걸림부
4 : 보조부 41 : 가압부
411 : 경사부 42 : 규제부 
4a : 보조부측 폭광부 4b : 보조부측 폭협부
5 : 삽통부 6 : 접속 단자
7 : 전선 S : 기재
S1 : 피걸림부 Sa : 제1 면
Sb : 제2 면 Sh : 관통공
Sh1, Sh2 : 변(2개의 변) Sha : 폭광부
Shb : 폭협부 Se : 개구 가장자리
Sp : 둘레 가장자리부 Sp1 : 가압부 접촉부
C1 : 상대방 커넥터 C11 : 피걸림부
C31 : 상대방 감합부 CS : 상대방 기판
D1 : 제1 방향 D11 : 감합 방향
D12 : 이탈 방향 D2 : 제2 방향
D21 : 접속 방향 D22 : 분리 방향
D3 : 제3 방향 CL : 기준선(중심선)
G41, G42 : 간격 G1, G2, Gc, Gs : 클리어런스
R1 :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 회전
R3 :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 회전
ST : 커넥터 구조

Claims (9)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판 모양의 기재(基材)에 접속되고, 제1 방향으로 상대방 커넥터가 감합(嵌合) 및 이탈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재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하는 감합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기재로의 접속시에 상기 기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통(揷通)되고, 상기 기재에 접속되었을 때에 상기 기재의 상기 제2 면측에 배치되는 보조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재에 대해서,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면에 수직인 제3 방향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보조부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기재에 접속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하고 있는 커넥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 면에 평행한 방향인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2 면을 상기 제3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구성된 가압부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관통공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제2 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2 면을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모양의 판스프링이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따라서, 상기 관통공의 개구 가장자리와 상기 경사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제3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커넥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방향 중 일 방향인 접속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 상기 기재와 상기 제2 방향에서 걸려져, 상기 접속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분리 방향으로의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기재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조작부를 더 가지고 있는 커넥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고,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지는 기재와,
    상기 커넥터의 감합부에 감합하는 상대방 감합부를 가지는 상대방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구조.
KR1020200106565A 2019-08-29 2020-08-24 커넥터 및 커넥터 세트 KR102498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6745 2019-08-29
JP2019156745A JP7194433B2 (ja) 2019-08-29 2019-08-29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22A true KR20210027122A (ko) 2021-03-10
KR102498085B1 KR102498085B1 (ko) 2023-02-09

Family

ID=7467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565A KR102498085B1 (ko) 2019-08-29 2020-08-24 커넥터 및 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94433B2 (ko)
KR (1) KR102498085B1 (ko)
CN (1) CN112448243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185B1 (ko) * 1999-04-12 2002-11-08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용 패널 장착 시스템
JP2008293677A (ja) 2007-05-22 2008-12-0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9266748A (ja) * 2008-04-28 2009-11-12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2009283225A (ja) * 2008-05-21 2009-12-03 Yazaki Corp 表面実装コネクタのプリント基板への固定構造
KR101455866B1 (ko) * 2008-06-30 2014-11-03 타이코에이엠피(유) 도어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30B2 (ja) * 1994-03-02 2001-01-15 ホシデン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
EP0967693B1 (en) * 1998-06-22 2003-12-03 The Whitaker Corporation Floating connector assembly
JP2001196112A (ja) 2000-01-07 2001-07-19 Alps Electric Co Ltd Icカード用コネクタ
US6991494B1 (en) * 2004-07-28 2006-01-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Panel mount cable connector assembly
US7137847B2 (en) * 2005-01-07 2006-11-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lide-to-latch panel mount connector
FR2888677B1 (fr) * 2005-07-12 2010-12-10 Radiall Sa Ensemble de connexion electrique
US20080311800A1 (en) * 2007-06-18 2008-12-18 Dinkle Enterprise Co., Ltd. Quick-detachable terminal block assembly
JP2009093907A (ja) * 2007-10-09 2009-04-30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4480185B2 (ja) * 2007-1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32053B2 (ja) * 2009-03-26 2013-07-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3045608A (ja) 2011-08-24 2013-03-04 Yazaki Corp コネクタ取付構造
JP6093574B2 (ja) * 2012-01-13 2017-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7100530U1 (de) * 2017-02-01 2018-05-0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ordnung aus einer Steckverbindung mit einer Schirmauflage und einer Wanddurchführ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185B1 (ko) * 1999-04-12 2002-11-08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커넥터용 패널 장착 시스템
JP2008293677A (ja) 2007-05-22 2008-12-04 Jst Mfg Co Ltd コネクタ
JP2009266748A (ja) * 2008-04-28 2009-11-12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2009283225A (ja) * 2008-05-21 2009-12-03 Yazaki Corp 表面実装コネクタのプリント基板への固定構造
KR101455866B1 (ko) * 2008-06-30 2014-11-03 타이코에이엠피(유) 도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8243A (zh) 2021-03-05
KR102498085B1 (ko) 2023-02-09
JP7194433B2 (ja) 2022-12-22
JP2021034342A (ja) 2021-03-01
CN112448243B (zh)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7403B2 (en)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regulating portion to control deformation of an elastic portion of a terminal in an electrical connector
TWI540801B (zh) Connector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42515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72980B1 (ko) 커넥터
US9985371B1 (en) Connector
CN108376849B (zh) 浮动连接器和电子设备模块
US11177589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US11223148B2 (en) Floating connector
US20190212509A1 (en) Optical transceiver
US20120048693A1 (en) Mode Switch For Vehicle
US8226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joining board terminals
US20150017823A1 (en) Connector
KR20180043742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KR20210027122A (ko)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KR20210027121A (ko) 커넥터 및 커넥터 구조
US20160036149A1 (en) Connector
JP2012084404A (ja) コネクタ
US9466901B2 (en) Low insertion force plug connector with sliding member
JP633954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80076543A1 (en) Connector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US11894639B2 (en) Coaxial connector
JP2022134367A (ja) コネクタ
US20160308294A1 (en) Board-to-board connector geome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