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4561A -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4561A
KR20210024561A KR1020217001701A KR20217001701A KR20210024561A KR 20210024561 A KR20210024561 A KR 20210024561A KR 1020217001701 A KR1020217001701 A KR 1020217001701A KR 20217001701 A KR20217001701 A KR 20217001701A KR 20210024561 A KR20210024561 A KR 2021002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lkyl
amino
cancer
heteroar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징 천
롤란드 조세프 빌도
짐 리
Original Assignee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C07H19/167Purine radicals with 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61K31/707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having two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uridine, uridylic acid, thymidine, zidovu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48Pyridi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52Imidazo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67Pyrimidine radicals with 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23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cyclic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H19/14 - C07H19/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복소환식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신규한 복소환식 화합물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8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특허 제62/688,225호, 및 2019년 4원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특허 제62/827,505호의 유익을 주장하며, 이들 기초출원 각각은 본 명세서에 전문이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CD73은, 5'-뉴클레오티다제(5'-NT) 또는 엑토-5'-뉴클레오티다제(엑토 5'NT아제)로도 불리며, 막-결합 세포 표면 효소로서 주요 기능은 세포외 뉴클레오타이드(예를 들어, AMP)가 이들의 대응하는 뉴클레오사이드(예를 들어, 아데노신)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것이다. CD73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발견되며 림프구, 내피 세포, 및 상피 세포 상에서 발현된다. 이는 또한 많은 종양 세포주에서 널리 발현되며 또한, 특히, 암 조직에서 발현이 촉진된다(Antonioli et al., Nat. Rev. Cancer, 13: 842-857, 2013).
CD39(엑토-ATPase)와 함께, CD73은 ATP/AMP로부터 아데노신을 생성하는데, 이는 종종 손상되거나 또는 염증이 생긴 세포로부터 세포외 환경으로 방출된다. CD73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 아데노신은 표적 세포 상에서 G-단백질 결합 수용체와 상호 작용한다. 이런 신호전달의 중요한 하류 효과는 다수의 경로를 통해 증가되는 면역억제이다. 예를 들어, CD73은 T 림프구 상의 공동 신호전달 분자이다. 정상적인 환경 하에서, 세포외 아데노신 수준은 자기-제한 면역 반응을 촉진시켜 과도한 염증과 조직 손상을 막는다. 종양의 경우,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CD73의 이점은 얻어진 CD73-촉매 아데노신 수준의 증가가 항 종양 면역 반응의 저해를 수득한다는 것이다.
CD73이 암 면역억제에서 어떤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CD73의 보다 높은 발현은 종양 혈관형성, 침습성 및 전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양 진행 단계에 연관되며, 유방암 환자의 보다 짧은 생존 기간과 연관이 있다. 이들 관찰 중 일부는 내피에 대한 림프구 결합에 필요한 접착 분자로서의 CD73 효소-독립적 기능으로부터 기인한다.
전반적으로, CD73은 단일 제제로서 또는 다른 암 요법과 병용하여, 새로운 암 요법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표적이 되었다. 실제로, CD73 단클론성 항체를 다른 화학요법 표적에 대한 항체와 병용하는 것은 동물 암 모델에서의 반응 및 생존을 향상시킨다(Allard et al., Clin. Cancer Res., 19 : 5626-35, 2013).
현재의 암 요법 및 화학치료제 중 다수는 모든 환자 또는 치료되는 환자에서의 모든 증상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지 못하며, 이들 요법 중 다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과 연관된다. 특정 암은 다양한 화학치료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대안의 암 요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암 및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적인 화합물 및 방법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프로드러그가 개시된다:
Figure pct00001
식 중
Y는
Figure pct00002
이고;
Het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R1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O-C(O)-O-C1-6알킬, C1-6아실옥시,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1b는 H, 할로,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2a는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아실옥시, -O-C(O)-O-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2b 할로, 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알킬, CN, 아릴, 헤테로아릴, -C(O)OR9, -C(O)NR11R12, -S(O)2R10, -P(O)(OR11)(OR12) 및 -P(O)(OR11)(NR13R14)로부터 선택되며;
R5는 H, 사이아노,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및 -C(O)OR9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O)OR9, -C(O)NR16R17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며;
R9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11 및 R12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13은 H 또는 알킬이며;
R14는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각각의 R15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및 NR13R1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R16 및 R17은 H, 하이드록시,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6 및 R17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한다.
화학식 I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포함된 화합물은 a) 및 b); 또는 a) 및 c)의 조건을 충족시킨다;
여기서:
a) 화합물은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이 아니고;
b) R4 및 R6이 각각 -C(O)OH이고, R5가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라면, 페닐 고리 치환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롤리딘일, 피페라지논일,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c) R4가 -C(O)OH 또는 테트라졸릴이고, R6이 -C(O)OH이며, R5가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를 갖는다면, 벤질 페닐 고리 또는 두 번째 페닐 고리 중 하나는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Y는
Figure pct00005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Y는
Figure pct00006
이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a) 화합물은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이 아니고; 그리고
b) R2b는 할로, C2-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c) R5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거나, 또는
d) R5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가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화합물(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대상체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병태 또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을 질환 및 병태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D73의 저해로부터 유익을 얻는 질환 및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인간 대상체는 이러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들 질환은 폐암, 신장암, 피부암, 유방암 및 난소암과 같은 암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질환 및 병태는 신경학적, 신경퇴행성 및 CNS 장애 및 질환, 예컨대 우울증 및 파킨슨병, 뇌 및 심장 허혈성 질환, 수면 장애, 섬유증, 면역 및 염증 장애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과 단클론성 항체 및 보조 요법(adjuvant therapy) 단독의 능력 이상으로 치료적 이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화학치료제의 병용 요법이 제공된다.
도 1a는 화합물 9로 치료한 마우스로부터의 EG7 종양에서 CD45+ 세포의 CD8+ 세포%의 증가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CD8+ 세포가 항-CD8 항체에 의해 고갈될 때, 화합물 9를 이용하는 효능의 반전을 도시한 도면.
도 2A는 CD8+ T 세포 증식에 대한 EC50=11.6nM을 포함하는, CD73 저해제 화합물 9를 이용하는 CD8+ T 세포의 AMP-매개 저해의 반전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CD8+ T 세포 활성화에 대한 EC50=9.6nM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IFN-감마 생산에 대한 EC50=4.5nM을 도시한 도면.
도 2D는 그랜자임 B 생산에 대한 EC50=5.6nM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EG7 세포, 마우스 T 세포 림프종 세포주의 비슷한 세포 생존%를 포함하는, 특정 세포주의 증식에 대한 화합물 9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인간 흑색종 세포주인 A375 세포의 비슷한 세포 생존%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인간 CD8+ T 세포의 비슷한 분열 세포%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CD73 및 CD73-발현 SK-MEL-28 세포에 대해 평가한 바와 같은 화합물 9의 효능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인간 재조합 CD73에 대해 IC50=0.17nM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인간 혈장 CD73에 대해 IC50=0.38nM을 도시한 도면.
도 4d는 인간 CD73 세포 표면 분석에 대한 IC50=0.21nM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마우스 혈장에서 화합물 9의 수준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마우스 혈장에서 CD73의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EG7 종양에 대한 화합물 9의 효능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CT26 종양에 대한 화합물 9의 효능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단일 제제 화합물 9 및 항-PD-L1 항체와의 병용 요법을 이용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 도면.
7b 내지 도 7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복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비히클이다. 도 7c는 항-PD-L1 항체이다. 도 7d는 화합물 9이다. 도 7e는 화합물 9 + 항-PD-L1이다.
도 8a는 단일 제제 화합물 9 및 옥살리플라틴과의 병용 요법을 이용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 도면.
도 8b 내지 도 8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측정의 개개 복제를 도시한 도면. 8b는 비히클이다. 도 8c는 옥살리플라틴이다. 도 8d는 화합물 9이다. 도 8e는 화합물 9 + 옥살리플라틴이다.
도 9a는 단일 제제 화합물 9 및 독소루비신과의 병용 요법을 이용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 도면.
도 9b 내지 도 9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복제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비히클이다. 도 9c는 독소루비신이다. 도 9d는 화합물 9이다. 도 9e는 화합물 9 + 독소루비신이다.
도 10A는 화합물 9에 의한 두경부 편평세포암종(HNSCC) 혈청에서 CD73 활성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화합물 9에 의한 난소암 혈청의 CD73 활성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10C는 화합물 9에 의한 삼중-음성 유방암(TNBC) 혈청에서 CD73 활성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10D는 화합물 9에 의한 식도암 혈청의 CD73 활성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종양 및 정상 조직에서 CD73의 정규화된 mRNA 발현 수준을 도시한 도면.
도 12a는 EG7 종양 모델에서 단일 제제 화합물 9 및 도세탁셀과의 병용 요법을 이용하는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 도면.
도 12b 내지 도 12e는 종양 용적 감소의 개개 복제를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비히클을 나타낸다. 도 12C는 화합물 9이다. 도 12D는 도세탁셀이다. 도 12e는 화합물 9 + 도세탁셀이다.
도 13a는 화합물 9가 확립된 EG7 종양의 성장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3b 내지 도 13d는 종양 성장 감소의 개개 복제를 도시한 도면.
도 13b는 비히클이다. 도 13c는 제1일에 시작한 화합물 9의 투약을 도시한 도면. 도 13d는 제6일에 시작한 화합물 9이다.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하기 참고 문헌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 다수의 일반적인 정의를 당업자에게 제공한다: 문헌[Singleton et al., Dictionary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2nd ed. 1994); The Cambridge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lker ed., 1988); The Glossary of Genetics, 5th Ed., R. Rieger et al. (eds.), Springer Verlag (1991); 및 Hale & Marham,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Biology (199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다음의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하에서 이들에게 부여한 의미를 가진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학 구조는 대응하는 화학명과 함께 개시된다. 상충되는 경우에, 화학명보다는 화학구조에 의하여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포함한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함유하는," 및 "갖는" 등은 미국 특허법에서 이들에게 부여한 의미를 가질 수 있고 또한 "포함한다(include)", "포함하는(including)"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또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다"는 미국 특허법에서 부여한 의미를 갖고 또한 이 용어는 개방형으로서, 나열된 것 외의 부가된 요소로 인하여 상기 나열된 것의 기본적이거나 또는 신규한 특성이 변하지 않는 한 상기 나열된 것 외의 부가된 요소를 허용하지만, 종래 기술의 실시예는 배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분명하지 않다면, 용어 "또는"는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문맥으로부터 분명하지 않다면, 단수의 용어는 단수 또는 복수인 것으로 이해된다.
"아실"이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어 있으며 일반식 하이드로카빌C(O)-, 바람직하게는 알킬C(O)-로 표시되는 기를 의미한다.
"아실아미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어 있으며, 아실기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지칭하고, 예를 들어, 화학식 하이드로카빌C(O)NH-로 표시될 수 있다.
"아실옥시"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어 있으며, 일반식 하이드로카빌C(O)O-, 바람직하게는 알킬C(O)O-로 표시되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라는 용어는 산소가 부착되어 있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기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알콕시기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tert-부톡시 등을 포함한다.
"알콕시알킬"이라는 용어는 알콕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하고, 일반식 알킬-O-알킬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켄일"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기를 지칭하고 "비치환된 알켄일"과 "치환된 알켄일"을 둘 다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후자는 알켄일기의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서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체를 갖는 알켄일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체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치환체는 안정성이 문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알킬기에 관하여 고려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알킬, 카보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로의 알켄일기의 치환을 고려할 수 있다.
"알킬"기 또는 "알칸"은 완전히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 비방향족 탄화수소이다. 전형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1 내지 약 2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직쇄 및 분지쇄 알킬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뷰틸, sec-뷰틸, tert-뷰틸, 펜틸, 헥실, 펜틸 및 옥틸을 포함한다. C1-C6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는 "저급 알킬"기로도 지칭된다.
게다가, 본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범위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알킬"(또는 "저급 알킬")이라는 용어는 "비치환된 알킬" 및 "치환된 알킬"을 둘 다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으며, 이중 후자는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서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체를 갖는 알킬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환체는, 예를 들어, 할로겐, 하이드록실, 카보닐(예를 들어 카복실, 알콕시카보닐, 폼일, 또는 아실), 티오카보닐(예를 들어, 티오에스터, 티오아세테이트, 또는 티오포메이트), 알콕시, 포스포릴,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아미노, 아미도, 아미딘, 이민, 시아노, 나이트로, 아지도,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릴, 아르알킬,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기를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 쇄 상에서 치환되는 모이어티 그 자체가 적절한 경우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환된 알킬의 치환체는 아미노, 아지도, 이미노, 아미도, 포스포릴(포스포네이트 및 포스피네이트를 포함함), 설폰일(설페이트, 설폰아미도, 설파모일 및 설포네이트를 포함함), 및 실릴기뿐만 아니라 에터, 알킬티오, 카보닐(케톤, 알데히드, 카복실레이트, 및 에스터를 포함함), -CF3, -CN 등의 치환 및 비치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치환된 알킬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사이클로알킬은 알킬, 알켄일, 알콕시, 알킬티오, 아미노알킬, 카보닐-치환된 알킬, -CF3, -CN 등으로 추가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Cx-y"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켄일, 알킨일, 또는 알콕시 같은 잔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쇄 내에 × 내지 y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기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예를 들어, "Cx-y알킬"이라는 용어는 쇄 내에 × 내지 y개의 탄소를 포함하는 직쇄 알킬 및 분지쇄 알킬기를 포함하고, 할로알킬기, 예컨대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및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 등을 포함하는, 치환 또는 비치환되는 포화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C0 알킬은 해당 기가 말단 위치에 있는 경우 수소를 의미하고, 내부에 있다면 결합을 의미한다. "C2-y알켄일" 및 "C2-y알킨일"이라는 용어는 상기 기재된 알킬에 대한 길이 및 가능한 치환과 유사한 치환 또는 비치환되는 불포화 지방족기이지만, 각각 적어도 하나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아미노"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티오"라는 용어는 알킬기로 치환된 티올기를 의미하고 또한 일반화학식으로는 알킬S-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킨일"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기를 의미하고 또한 "비치환된 알킨일" 및 "치환된 알킨일"을 둘 다 포함하도록 의도되었으며, 이중 후자는 알킨일 기로서 상기 알킨일 기의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서 수소를 대신하는 치환체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치환체는 1개 이상의 삼중 결합에 포함되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치환체는 안정성이 문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알킬기에 관하여 고려되었던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알킨일기를 하나 이상의 알킬, 카보사이클릴,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기로 치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마이드"라는 용어는 다음의 기를 의미하고
Figure pct00009
이때 각각의 R30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개의 R30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서 고리 구조 상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것을 형성한다.
"아민" 및 "아미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어 있으며,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아민 및 이의 염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다음의 구조로 표시될 수 있는 모이어티이되,
Figure pct00010
이때 각각의 R31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잔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2개의 R31은 이들이 결합된 N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서 고리 구조 상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것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미노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릴"이라는 용어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단일-고리 방향족 기로서 고리의 각각의 원자가 탄소인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는 5- 내지 7-원 고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원 고리이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또한 다환식 고리계로서 2개 이상의 환식 고리를 갖고 2개의 서로 접한 고리가 2개 이상의 탄소를 공유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리가 방향족인 것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상기 다른 환식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사이클로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아릴 기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페놀, 아닐린 등을 포함한다.
"카바메이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또한 다음의 잔기를 의미하며
Figure pct00011
이때 R32 및 R3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예를 들어, 알킬기를 나타내고, 또는 R32 및 R33은 개재 원자(들)와 함께 고리 구조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카보사이클" 및 "탄소환식"이라는 용어는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고리로서 고리의 각각의 원자가 탄소인 것을 의미한다. 카보사이클이라는 용어는 방향족 카보사이클 및 비방향족 카보사이클을 둘 다 포함한다. 비방향족 카보사이클은 모든 탄소 원자가 포화된, 사이클로알칸 고리, 및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사이클로알켄 고리를 포함한다.
"카보사이클"이라는 용어는 5 내지 7원 단환식 및 8 내지 12원 이환식 고리를 포함한다. 이환식 카보사이클의 각각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카보사이클은 이환식 분자로서 2 또는 3 또는 그 이상의 원자가 2개의 고리 사이에서 공유된 것을 포함한다. "축합된 카보사이클"이라는 용어는 이환식 카보사이클로서 각각의 고리가 다른 고리와 함께 인접한 2개의 원자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축합된 카보사이클의 각각의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방향족 고리(예를 들어, 페닐)가,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고리(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또는 사이클로헥센)와 축합될 수 있다.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이환식 고리의 모든 조합은, 원자가에 의하여 허용되는 한, 탄소환식의 정의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카보사이클"은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바이사이클로[2.2.1]헵탄, 1,5-사이클로옥타디엔,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바이사이클로[4.2.0]옥트-3-엔, 나프탈렌 및 아다만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축합된 카보사이클은 데칼린, 나프탈렌,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 바이사이클로[4.2.0]옥탄, 4,5,6,7-테트라하이드로-1H-인덴 및 바이사이클로[4.1.0]헵트-3-엔을 포함한다. "카보사이클"은 수소 원자를 가질 수 있는 모든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 기는 완전히 포화된 환식 탄화수소이다. "사이클로알킬"은 단환식 및 이환식 고리를 포함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단환식 사이클로알킬기는 3 내지 약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더욱 일반적으로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이환식 사이클로알킬의 두 번째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은 이환식 분자로서 1, 2 또는 3 또는 그 이상의 원자가 2개의 고리 사이에서 공유된 것을 포함한다. "축합된 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이환식 사이클로알킬로서 각각의 고리가 다른 고리와 함께 인접한 2개의 원자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축합된 이환식 사이클로알킬의 두 번째 고리는 포화, 불포화 및 방향족 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사이클로알켄일" 기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환식 탄화수소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카보사이클릴알킬"이라는 용어는 카보사이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카보네이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또한 -OCO2-R34의 구조를 갖는 잔기이고, 이때 R34는 하이드로카빌기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카복시"라는 용어는 화학식으로 -CO2H로 대표되는 잔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에스터"라는 용어는 -C(O)OR35의 구조를 갖는 잔기이고, 이때 R35는 하이드로카빌기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에터"라는 용어는 하이드로카빌 기로서 산소를 통하여 다른 하이드로카빌 기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하이드로카빌기의 에터 치환체는 하이드로카빌-O-일 수 있다. 에터는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일 수 있다. 에터의 예는 헤테로사이클-O-헤테로사이클 및 아릴-O-헤테로사이클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터는 일반식 알킬-O-알킬로 표시될 수 있는 "알콕시알킬"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할로" 및 "할로겐"이라는 용어는 할로겐을 의미하고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트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트아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알킬"이라는 용어는 탄소 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쇄이되, 2개의 헤테로원자가 인접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 및 "헤트아릴"이라는 용어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단일 고리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원 고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원 고리이며, 이의 고리 구조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및 "헤트아릴"이라는 용어는 또한 다환식 고리계로서 2개 이상의 환식 고리를 갖고 2개의 서로 접한 고리가 2개 이상의 탄소를 공유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리가 헤테로방향족인 것을 포함하고, 예시적으로, 다른 환식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사이클로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 기는, 예를 들면, 피롤, 퓨란, 티오펜,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및 피리미딘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원자"라는 용어는 탄소 또는 수소 이외의 임의의 원소의 원자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헤테로원자는 질소, 산소, 및 황이다.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 및 "복소환식"이라는 용어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비방향족 고리 구조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원 고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원 고리이며, 이의 고리 구조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 및 "복소환식"이라는 용어는 또한 다환식 고리계로서 2개 이상의 환식 고리를 갖고 2개의 서로 접한 고리가 2개 이상의 탄소를 공유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리가 복소환식인 것을 포함하고, 예시적으로, 다른 환식 고리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사이클로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몰폴린, 락톤, 락탐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라는 용어는 헤테로사이클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이드로카빌"이라는 용어는 탄소 원자를 통하여 결합된 잔기로서 =O 또는 =S 치환체를 갖지 않고,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탄소-수소 결합 및 주로 탄소 골격을 가지며, 그러나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틸, 에톡시에틸, 2-피리딜, 및 트라이플루오로메틸과 같은 잔기는 본 출원의 목적에 의하면 하이드로카빌로 이해되며, 반면 아세틸(연결하는 탄소 상에 =O 치환체를 갖는 것) 및 에톡시(탄소가 아닌, 산소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와 같은 치환체는 그러지 아니하다. 하이드로카빌 기는 아릴, 헤테로아릴, 카보사이클, 헤테로사이클릴, 알킬, 알켄일, 알킨일, 및 이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하이드록시알킬"이라는 용어는 하이드록시 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저급"이라는 표현은 예를 들어,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켄일, 알킨일, 또는 알콕시와 같은 화학적 잔기와 함께 사용되면 치환체 내에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의 수소가 아닌 원자가 존재하는 잔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다. "저급 알킬"은, 예를 들어, 알킬기로서 10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켄일, 알킨일, 또는 알콕시 치환체는, 이들이 단독으로 나타나거나 또는 다른 치환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알킬 및 아르알킬(이 경우, 예를 들어, 아릴 기에 있는 원자들은 알킬 치환체의 탄소 원자의 수를 계산할 때 계산되지 않는다)과 같은 경우, 각각 저급 아실, 저급 아실옥시, 저급 알킬, 저급 알켄일, 저급 알킨일, 또는 저급 알콕시이다.
"폴리사이클릴", "폴리사이클", 및 "다환식"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고리로서 (예를 들어,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사이클로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사이클릴) 2개의 서로 접한 고리가 2개 이상의 원자를 공유하는 것(예를 들어, 고리들이 "축합된 고리"인 경우)을 의미한다. 폴리사이클의 각각의 고리는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폴리사이클의 각각의 고리는 고리에 3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개의 원자를 포함한다.
"실릴"이라는 용어는 3개의 하이드로카빌 잔기가 부착된 규소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 상에서 수소를 대신하는 치환체를 갖는 잔기를 의미한다. "치환" 또는 "~로 치환된"은 그러한 치환이 치환된 원자와 치환체가 허용하는 원자가에 부합하고, 치환의 결과 안정적인 화합물이 (예를 들어, 화합물이 자발적으로 재배열, 고리화, 제거 등의 변형을 거치지 않는 것) 도출된다는 암시적인 단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한,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유기 화합물의 허용되는 치환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광의적 측면에서, 허용 가능한 치환체는 유기 화합물의 비환식(acyclic) 및 환식, 분지 및 비분지, 탄소환식 및 복소환식, 방향족 및 비방향족 치환체를 포함한다. 허용 가능한 치환체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적절한 유기 화합물에 따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질소와 같은 헤테로원자는 수소 치환체 및/또는 헤테로원자의 원자가를 충족시키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유기 화합물의 허용 가능한 모든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치환체는, 예를 들어, 할로겐, 하이드록실, 카보닐(예를 들어 카복실, 알콕시카보닐, 폼일, 또는 아실), 티오카보닐(예를 들어 티오에스터, 티오아세테이트, 또는 티오포메이트), 알콕시, 포스포릴,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아미노, 아미도, 아미딘, 이민, 시아노, 나이트로, 아지도,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설폰일, 헤테로사이클릴, 아르알킬,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잔기와 같은 본 출원에서 설명된 모든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치환체가 그 자체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비치환된" 것으로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본 출원에 있어 화학적 잔기에 대한 언급은 치환된 변이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아릴" 기 또는 잔기에 대한 언급은 암시적으로 치환된 및 비치환된 변이체를 모두 포함한다.
"설페이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OSO3H의 구조를 갖는 잔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의미한다.
"설폰아마이드"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다음 일반식으로 대표되는 잔기를 의미한다:
Figure pct00012
이때 R36 및 R37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과 같은,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내거나 또는 R36 및 R37은 개재 원자(들)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서 고리 구조 상에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설폭사이드"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S(O)-R38의 구조를 갖는 잔기를 의미하며, 이때 R38은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낸다.
"설포네이트"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SO3H의 구조를 갖는 잔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의미한다.
"설폰"이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S(O)2-R39의 구조를 갖는 잔기를 의미하며, 이때 R39는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티오알킬"이라는 용어는 티올 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티오에스터"라는 용어는 -C(O)SR40 또는 -SC(O)R40의 구조를 갖는 잔기를 의미하고 이때 R10은 하이드로카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티오에터"라는 용어는 에터와 동등하되, 산소가 황으로 대체된 것이다.
"유레아"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는 것이고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13
이때 R41 및 R4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빌, 예컨대 알킬을 나타내거나, 또는 R41의 경우는 R42 및 개재 원자(들)와 함께 취해져서 고리 구조에서 4 내지 8개의 원자를 갖는 헤테로사이클을 완성한다.
"보호기"라는 용어는 원자들이 이루는 잔기로서, 분자 내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작용기의 반응성을 저해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보호기는 요망된다면 합성 과정 동안에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보호기의 예는 문헌[Greene and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3rd Ed., 1999, John Wiley & Sons, NY 및 Harrison et al., Compendium of Synthetic Organic Methods, Vols. 1-8, 1971-1996, John Wiley & Sons, NY]에서 찾을 수 있다. 대표적인 질소 보호기는 폼일, 아세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 벤질, 벤질옥시카보닐("CBZ"), tert-부톡시카보닐("Boc"), 트라이메틸실릴("TMS"), 2-트라이메틸실릴-에탄설폰일("TES"), 트라이틸 및 치환된 트라이틸 기, 알릴옥시카보닐,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나이트로-베라트릴옥시카보닐("NVOC")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하이드록실 보호기는 하이드록실 기가 아실화되거나(에스터화) 또는 알킬화된 것으로, 예를 들어 벤질 및 트라이틸 에터, 및 알킬 에터,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에터, 트라이알킬실릴 에터(예를 들어, TMS 또는 TIPS 기), 글리콜 에터(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및 알릴 에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라세미체 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한 종류의 거울상이성질체(enantiomer)가 풍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30% ee, 약 40% ee, 약 50% ee, 약 60% ee, 약 70% ee, 약 80% ee, 약 90% ee, 또는 심지어 약 95% 또는 더 큰 수 이상의 ee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개 초과의 입체중심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diastereomer)가 풍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 30% de, 약 40% de, 약 50% de, 약 60% de, 약 70% de, 약 80% de, 약 90% de, 또는 심지어 약 95% 또는 더 큰 수 이상의 de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치료적 제제는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주성분으로 제공하도록 농축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풍부한 혼합물은, 예를 들어,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적어도 약 60몰%,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약 90, 약 95, 또는 나아가 약 99몰%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가 풍부한 화합물은 다른 거울상이성질체가 현저하게 없으며, 이때 현저하게 없다는 것은 대상이 되는 물질이 다른 거울상이성질체의 양(예를 들어, 조성 또는 화합물 혼합물에서의 양)에 비해 약 10% 미만, 또는 약 5% 미만, 또는 약 4% 미만, 또는 약 3% 미만, 또는 약 2% 미만, 또는 약 1% 미만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 또는 화합물 혼합물이 약 98 그램의 제1 거울상이성질체 및 약 2 그램의 제2 거울상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경우, 그 조성물 또는 화합물 혼합물은 약 98㏖%의 제1 거울상이성질체 및 단지 약 2%의 제2 거울상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언급될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치료적 제제는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하나의 부분입체이성질체를 주성분으로 제공하도록 농축될 수 있다. 부분입체이성질체적으로 농축된 혼합물은, 예를 들어, 하나의 부분입체이성체를 적어도 약 60㏖%,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5, 약 90, 약 95, 또는 나아가 약 99㏖%로 포함할 수 있다.
투여가 고려되는 "대상체"라는 용어는 인간(즉, 소아 대상체(예를 들어, 유아, 소아,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체(예를 들어, 청년, 중년 또는 노년)) 및/또는 다른 영장류(예를 들어, 시노몰구스 원숭이, 붉은털 원숭이); 소, 돼지, 말, 양, 염소, 고양이, 및/또는 개와 같은 상업 관련 포유류를 포함하는, 포유류; 및/또는 닭, 오리, 거위, 메추라기, 및/또는 칠면조와 같은 상업 관련 조류를 포함한 조류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는" 치료제는, 통계학적 샘플에서,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 샘플에 비해 치료를 받은 샘플에서 장애 또는 상태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치료되지 않은 대조군 샘플에 비해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장애 또는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치료하는"라는 용어는 예방적 및/또는 치료적 처치를 포함한다. "예방적 또는 치료적"이라는 용어는 당업계에서 인지되어 있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개시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원하지 않는 상태 (예를 들어, 질환 또는 기타 대상체의 원하지 않는 상태)의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투여되는 경우 그 치료는 예방적이고 (즉, 대상이 원하지 않는 상태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함), 반면 원하지 않는 상태가 나타난 후에 투여되면, 그 치료는 치료적인 것이다(즉, 존재하는 원하지 않는 상태 또는 이의 부작용을 줄이거나, 개선하거나,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프로드러그"이라는 용어는,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치료적 활성 물질(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전환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프로드러그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은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목적하는 분자를 드러내도록 가수분해되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잔기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로드러그는 대상체의 효소 활성에 의해 전환된다. 예를 들어, 에스터 또는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알콜 또는 카복실산의 에스터 또는 카보네이트)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프로드러그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시된 제형 중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대응하는 적합한 프로드러그로 대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화합물의 하이드록실은 에스터 또는 카보네이트 또는 카복실산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유효량"은 목적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인 유효량"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한 목적하는 치료적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은 암의 적어도 하나의 징후 또는 증상을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치료 방법에 대한 "반응"은 특히 부정적 증상의 감소 또는 개선, 질환 또는 이의 증상의 진행의 감소, 이로운 증상 또는 임상 결과의 증가, 부작용의 완화, 질환의 안정화, 질환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치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프로드러그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14
식 중,
Y는
Figure pct00015
또는
Figure pct00016
이고;
Het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R1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O-C(O)-O-C1-6알킬, C1-6아실옥시,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1b는 H, 할로,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2a는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아실옥시, -O-C(O)-O-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2b는 할로, 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알킬, CN, 아릴, 헤테로아릴, -C(O)OR9, -C(O)NR11R12, -S(O)2R10, -P(O)(OR11)(OR12) 및 -P(O)(OR11)(NR13R14)로부터 선택되며;
R5는 H, 사이아노,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및 -C(O)OR9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O)OR9, -C(O)NR16R17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며;
R9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11 및 R12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13은 H 또는 알킬이며;
R14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각각의 R15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및 NR13R1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R16 및 R17은 H, 하이드록시,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6 및 R17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한다.
화학식 I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포함된 화합물은 a) 및 b); 또는 a) 및 c)의 조건을 충족한다;
식 중:
a) 화합물은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이 아니고;
b) R4 및 R6이 각각 -C(O)OH이고, R5가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라면, 페닐 고리 치환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롤리딘일, 피페라지논일,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c) R4가 -C(O)OH 또는 테트라졸릴이고, R6이 -C(O)OH이며, R5가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를 갖는다면, 벤질 페닐 고리 또는 두 번째 페닐 고리 중 하나는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프로드러그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19
식 중,
Het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O-C(O)-O-C1-6알킬, C1-6아실옥시,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1b는 H, 할로,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2a는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아실옥시, -O-C(O)-O-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2b는 H, 할로, 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O)OR9, -C(O)NR11R12, -S(O)2R10, -P(O)(OR11)(OR12) 및 -P(O)(OR11)(NR13R14)로부터 선택되며;
R5는 H, 사이아노,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및 -C(O)OR9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O)OR9, -C(O)NR11R12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며;
R9는 H, 알킬, 알켄일, 알킨일,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11 및 R12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13은 H 또는 알킬이며; 그리고
R14는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단, a), b) 및 c); 또는 a), b) 및 d)의 경우에;
a) 화합물은
Figure pct00020
이 아니고; 그리고
b) R2b는 할로, C2-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c) R4 및 R6이 각각 -C(O)OH이고, R5가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라면, 페닐 고리 치환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 R4가 -C(O)OH 또는 테트라졸릴이고, R6이 -C(O)OH이며, R5가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를 갖는다면, 벤질 페닐 고리 또는 두 번째 페닐 고리 중 하나는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a) 화합물은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이 아니고; 그리고
b) R2b는 할로, C2-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c) R5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된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거나, 또는
d) R5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가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다음의 단락은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기재하는데, 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과 일치되는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1a는 H 또는 하이드록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1b는 H 또는 하이드록실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1a는 하이드록시이고, R1b는 H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a는 하이드록시 또는 C1-6알킬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2b는 C2-6알킬, C2-6알켄일 또는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예컨대 에틴일이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2a는 Me이고, R2b는 에틴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a는 하이드록시이고, R2b는 에틸 또는 비닐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2a는 하이드록시이고, R2b는 에틴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b는 프로핀일, 뷰틴일,
Figure pct00023
,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Figure pct00024
이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3은 H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25
.
특정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26
.
소정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R1a는 α-입체배치이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A)를 가진다:
Figure pct00027
.
추가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Aa)를 가진다:
Figure pct00028
.
대안의 실시형태에서, R1a는 β-입체배치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B)을 가진다:
Figure pct00029
.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Ba)을 가진다:
Figure pct00030
.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추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R2a는 α-입체배치이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C)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31
.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Ca)을 가진다:
Figure pct00032
.
대안의 실시형태에서, R2a는 β-입체배치이다. 일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D)를 가진다:
Figure pct00033
.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Da)를 가진다:
Figure pct00034
.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E)을 가진다:
Figure pct00035
.
추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Ea)를 가진다:
Figure pct00036
.
특히 바람직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R1a는 하이드록시이고, R2a는 하이드록시이며, R2b는 메틸, 에틸, 비닐 및 에틴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틴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E)의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1a는 하이드록시이고, R2a는 하이드록시이며, R2b는 에틴일이다. 화학식 (IIEa)의 화합물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1a는 하이드록시이고, R2a는 하이드록시이며, R2b는 에틴일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Y는
Figure pct00037
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4는 -C(O)OR9, -C(O)NR11R12, -S(O)2R10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4는 -C(O)OR9이고, R9는 H 또는 알킬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4는 -C(O)NR11R12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R11 및 R12는 H 및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4는 -S(O)2R10이고 R10은 알킬 또는 아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6은 -C(O)OR9이고, R9는 H 또는 알킬, 예를 들어, H 또는 C1-6알킬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6은 -C(O)NR11R12이다. 소정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R11 및 R12는 H 및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한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4 및 R6은 각각 -C(O)OH이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R5는, 예를 들어,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하는 바와 같이 벤질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5는 H,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R5에서 각각의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미노, 아미도,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5에서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 상의 치환체는 할로, 할로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5는, 예를 들어,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을 갖는 아릴 고리 상에서 치환되는, 아르알킬이다. 소정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R5는 H, 메틸, 에틸, -CH2-에틴일 및 -CH2-비닐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5는 벤질, -CH2-피리딜, -CH2-피리다진일, -CH2-옥사졸릴, -CH2-티오페닐, -CH2-퓨란일, -CH2-티아졸릴 및 -CH2-벤조티아졸릴, 바람직하게는 벤질 및 -CH2-티오페닐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5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파라 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이되,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 치환체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페닐 고리 치환체는 피페라지논일이다. 소정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또는 피리딜은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5는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및 아릴로부터 선택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 상에서 파라 치환체를 갖는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이며; 그리고
R2b는 메틸, 에틸 또는 C2-6알킨일이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5
Figure pct00038
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4-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5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4-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Y는
Figure pct00050
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R15는 하이드록시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Het는 6- 내지 10-원 아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단환식 또는 5-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미노, 아미도, 알킬티오, 알콕시카보닐,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et 치환체는 할로, 할로알킬, 아미노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Het는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질소 원자를 통해 중심 고리에 부착되는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et는
Figure pct00051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Het는
Figure pct00052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Het는
Figure pct00053
이되,
식 중,
Z는 CH 또는 N이고;
R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페닐, -NR7R8, 아르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H, Cl, -NR7R8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며;
Rb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티오, 아미도, 카보닐, 아미도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하이드록시,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R8은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et는
Figure pct00054
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Z는 CH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Z는 N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a는 H, 할로, 알킬, 티엔일, -NR7R8,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H, Cl, -NR7R8 및 페닐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a는 -NR7R8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b는 할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할로알킬, 아미도, 카보닐, 아미도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b는 Cl, -CF3, 카보닐 및 -CONH2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et는
Figure pct00055
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7은 H,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R7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며, 예를 들어, 여기서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릴, 아미노 및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7은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이며, 예를 들어,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또는 알킬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8은 H,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R7 및 R8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예를 들어, 아제티딘일, 몰폴리노, 피롤리딘일 및 아제판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를 형성한다.
사용 방법
본 출원은 세포 내의 CD73을 저해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세포에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세포에 접촉시킴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 내부에서 일어나고, 그렇게 함으로써 아데노신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데노산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아데노신은 다양한 면역 세포에 작용하여 면역저해를 유도하고, 또한 아데노신 수치를 증가시키는 엑토뉴클레오티다제의 면역저해 효과는 기생충, 곰팡이,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에 의한 포유류 세포의 감염의 심화에도 연관되어 있다. 면역저해 효과 외에도, 아데노신은 또한 심혈관 계통(혈관확장제 및 심장감압제로 기능), 중추신경계(CNS)(진정, 불안완화 및 항간질 효과를 유도함), 호흡기 계통(기관지수축 유도), 신장(이중 작용이 있음; 저농도에서 혈관수축을 유도하고 과량에서 혈관확장을 유도함), 지방 세포(지방분해를 저해함), 및 혈소판(항응집제로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아데노신은 또한 다양한 조직에서 섬유증(과량의 기질 생성)을 촉진한다. 따라서, CD73을 대상으로 하는 개선된 치료법은 암에 더하여, 뇌 및 심장 허혈성 질환, 섬유증, 면역 및 염증성 장애(예를 들어, 염증성 위장 운동 장애), 신경학적, 신경퇴행성 및 중추신경계 장애(예를 들어, 우울증, 파킨슨병) 및 수면 장애를 포함하는 다양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법을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데노신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는 뇌 허혈성 질환, 암, 심장 허혈성 질환, 우울증, 섬유증, 면역 장애, 염증성 장애(예를 들어, 염증성 위장 운동 장애), 신경 장애 또는 질환, 신경병성 장애 또는 질환(예를 들어, 파킨슨병), 중추신경계 장애 및 질환, 및 수면 장애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방광암, 골암, 뇌암(교아세포종을 포함함), 유방암, 심장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섬유육종, 위암, 위장암, 두경부암, 카포시 육종, 신장암(신세포 선암종을 포함함), 백혈병, 간암, 폐암(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및 폐점액표피양 암종(mucoepidermoid pulmonary carcinoma)을 포함함), 림프종, 흑색종, 골수종, 난소암(난소 선암종을 포함함), 췌장암, 음경암, 전립선암종, 고환 생식세포 암, 흉선종 및 흉선암종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유방암, 뇌암, 결장암, 섬유육종, 신장암, 폐암, 흑색종, 난소암, 및 전립선암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을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유방암, 결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난소암, 및 전립선암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을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뇌암, 유방암, 신장암, 폐암, 흑색종, 및 난소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암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난소암, 유방암 또는 식도암을 가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췌장암, 식도암, 위암, 두경부암, 결장암, 폐암 또는 신장암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유방암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방암은 유방 선암종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유방암은 삼중음성유방암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은 증가된 세포 자멸사, 종양 성장의 저해, 종양 전이의 감소, 종양 전이의 저해, 미세혈관 밀도의 감소, 신혈관형성의 감소, 종양 이동의 저해, 종양 퇴행, 및 대상체의 증가된 생존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반응에 의하여 입증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아데노신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는 CD73 활동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CD73의 저해제로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CD73의 저해제를 사용하여 심혈관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한다. CD73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하지 동맥과 소관절낭의 광범위한 석회화를 발생시키며, 이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Hilaire et al., N. Engl. J. Med., 364(5): 432-442, 2011).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CD73의 저해제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한다. CD73의 작은 간섭 RNA 및 항-CD73 단클론성 항체는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Antonioli et al., Nat. Rev. Cancer, 13: 842-857, 2013). CD73 발현과 암 세포의 세포외기질(ECM)로의 이동, 침입, 및 부착 능력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관계가 존재한다(Antonioli 2013; Antonioli et al., Trends Cancer, 2(2): 95-109, 2016).
일부 실시형태에서, CD73의 저해제에 의한 암의 치료 또는 예방은 활성화, 클론 확장 및 종양-특이적 T 세포의 유도능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Antonioli 2016).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효과기 T 림프구(예를 들어, 세포용해 효과기 T 림프구)의 수를 증가시킨다.
병용 요법
일부 실시형태에서, 암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은 CD39 저해제를 1종 이상의 다른 화학치료제와 공동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CD73 저해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다른 화학치료제는 CD73-특이적 단클론성 항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전체적인 면역계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보다 낮은 T-조절 기능 및 보다 높은 T-효과기 기능 등) 다른 항체 및 치료법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Antonioli 2016).
특정 실시형태에서, 암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1정 이상의 다른 화학치료제와 공동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아미노-4-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애시드 블루 25), 1-아미노-4-[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아미노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1-나프틸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플루오로-2-카복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2-안트라센일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ABT-263, 아파티닙 디말레에이트, 악시티닙,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 암사크린, 아나스트로졸, APCP, 아스파라기나제, AZD5363, 바실러스 칼메트-구에린 백신(
Figure pct00056
: bcg), 비칼루타마이드, 블레오마이신, 보르테조밉, β-메틸렌-ADP(AOPCP), 부세렐린, 부설판,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캄포테신, 카페시타빈, 카보플라틴, 카필조밉, 카무스틴, 세리티닙, 클로람부실, 클로로퀸, 시스플라틴, 클라드리빈, 클로드로네이트, 코비메티닙, 콜히친, 크리조티닙,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사이프로테론, 사이타라빈, 다카바진,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메톡시비리딘, 덱사메타손, 디클로로아세테이트, 디엔스트롤,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리불린, 엘로티닙,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라무스틴, 에토포사이드, 에베롤리무스, 엑스메스탄, 필그라스팀, 플루다라빈,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오로우라실,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미드, 게피티닙, 겜시타빈, 제니스테인, 고세렐린, GSK1120212, 하이드록시유레아, 이다루비신, 이포스파마이드, 이마티닙, 인터페론, 이리노테칸, 익사베필론, 레날리도마이드, 레트로졸, 류코보린, 류프롤라이드, 레바미솔, 로무스틴, 로니다민, 메클로레타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메스나, 메트포민, 메토트렉세이트, 밀테포신, 미토마이신, 미토탄, 미톡산트론, MK-2206, 뮤타마이신, N-(4-설파모일 페닐카바모티오일) 피발아마이드, NF279, NF449, 닐루타미드, 노코다졸, 옥트레오타이드, 올라파립,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미드로네이트, 파조파닙, 페멕세트레드, 펜토스타틴, 페리포신, PF-04691502, 플리카마이신, 포말리도마이드, 포르피머, PPADS, 프로카바진, 쿼세틴, 랄티트렉세드, 라무시루맙, 리액티브 블루 2, 리툭시맙, 롤로필린, 로미뎁신, 루카파립, 셀루메티닙, 시롤리무스, 소듐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포네이트, 소라페닙, 스트렙토조신, 수니티닙, 슈라민, 탈라조파립, 타목시펜,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테니포사이드, 테스토스테론, 탈리도마이드,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티타노센 디클로라이드, 토나포필린, 토포테칸,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레티노인, 벨리파립,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및 보리노스타트(SAHA)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ABT-263, 덱사메타손, 5-플루오로우라실, PF-04691502, 로미뎁신 및 보리노스타트(SAHA).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1-아미노-4-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애시드 블루 25), 1-아미노-4-[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아미노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1-나프틸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플루오로-2-카복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2-안트라센일 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APCP, β-메틸렌-ADP(AOPCP), 카페시타빈, 클라드리빈, 사이타라빈, 플루다라빈, 독소루비신, 겜시타빈, N-(4-설파모일페닐카바모티오일) 피발아마이드, NF279, NF449, PPADS, 쿼세틴, 리액티브 블루 2, 롤로필린 나트륨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포네이트, 수마린, 및 토나포필린.
암 치료를 위해 다수의 병용 요법이 개발되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병용 요법과 함께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병용 요법의 예는 표 1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CD39의 저해제를 포함한다. CD39 또는 엑토-뉴클레오시드 트라이포스페이트 다이포스포하이드롤라제1(E-NTPDase1 또는 ENTPD 1)은 세포외 아데노신 트라이포스페이트(ATP) 및/또는 ADP(아데노신 다이포스페이트)의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AMP)로의 전환을 촉매하는 막-결합 효소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CD39 저해제는 폴리옥소메탈레이트-1(POM-1)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기존에 알려진 CD73의 저해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CD73 저해제는 안트라퀴논 유도체이다(Baqi et al., J. Med. Chem., 53(5): 2076-2086, 2010, 본 출원에서는 참고 문헌으로 수록됨). 다른 실시형태에서, CD73의 저해제는 설폰산 유도체이다(Raza et al., Med. Chem., 8: 1133-1139, 2012, 본 출원에서는 참고 문헌으로 수록됨).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CD73의 저해제는 1-아미노-4-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애시드 블루 25), 1-아미노-4-[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아미노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1-나프틸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플루오로-2-카복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2-안트라센일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폰산나트륨, N-(4-설파모일페닐카바모티오일) 피발아마이드, APCP, β-메틸렌-ADP(AOPCP), PPADS, NF279, NF449, 쿼세틴, 리액티브 블루 2, 및 수마린으로부터 선택된다(Baqi 2010; Raza 2012).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제2의 CD73의 저해제 또는 CD39의 저해제의 병용은 암 및 아데노신에 의해 매개되는 다른 질병 또는 장애의 치료에 대한 상승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임의의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이러한 상승 효과는 CD39와 CD73이 다른 세포 유형에 존재하기 때문에 관찰될 수도 있다. 저산소 종양 미세환경 역시 CD39 및 CD73의 수치 상승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아데노신 수용체 저해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아데노신 수용체 저해제는 롤로필린, 토나포필린, ATL-444, 이스트라데필린, MSX-3, 프렐라데난트, SCH-58,261, SCH-412,348, SCH-442,416, ST-1535, VER-6623, VER-6947, VER-7835, 비파데난트, 및 ZM-241,385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데노신 수용체 저해제는 A2A 수용체를 작용 대상으로 하며 이는 이 형태가 대부분의 면역 세포에서 우세하게 발현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는 화학치료제는 뉴클레오사이드계 약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뉴클레오사이드계 약물은 겜시타빈, 카페시타빈, 사이타라빈, 플루다라빈 및 클라드리빈으로부터 선택된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안트라시클린과 공동으로 투여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독소루비신과 공동으로 투여되는 것을 포함한다. 항-CD73 항체와 독소루비신의 병용 치료는 현저한 화학치료 효과가 입증되었다(Young et al., Cancer Discov., 4(8): 1-10, 2014, 본 출원에서 참고 문헌으로 수록됨).
특정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A2A 수용체 저해제 및 안트라시클린과 공동으로 투여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트라시클린은 독소루비신이다. 항-CD73 항체, A2A 수용체 저해제, 및 독소루비신의 병용 치료는 향상된 화학치료 효과가 입증되었다(Antonioli 2013).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공동 요법은 다른 유형의 화학치료제, 예를 들어 면역항암제(immuno-oncology agent)와의 공동 투여를 포함한다. 암 세포는 흔히 면역계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특정한 세포 표면 항원을 갖는다. 따라서, 면역항암제, 예를 들어 단클론성 항체는, 선택적으로 암 세포 항원에 결합할 수 있고 세포 사멸을 일으킬 수 있다. 다른 면역항암제는 면역 반응의 종양-유도 억제를 억제할 수 있거나 또는 그밖에 면역 반응을 활성화함으로써 면역계에 의한 종양 인식을 활성화시킨다. 예시적인 항체 면역항암제는 아바고보맙(abagovomab), 아데카투무맙(adecatumumab), 아푸투주맙(afutuzumab), 알렘투주맙(alemtuzumab), 아나투모맙 마페나톡스 (anatumomab mafenatox), 아폴리주맙(apolizumab), 블리나투모맙(blinatumomab), BMS-936559, 카투막소맙(catumaxomab), 두발루맙(durvalumab), 에파카도스타트(epacadostat), 에프라투주맙(epratuzumab), 인독시모드(indoximod),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inotuzumab ozogamicin), 인텔루무맙(intelumumab), 이필리무맙(ipilimumab), 이사툭시맙(isatuximab), 람브롤리주맙(lambrolizumab), MED14736, MPDL3280A, 니볼루맙(nivolumab), 오비누투주맙(obinutuzumab), 오카라투주맙(ocaratuzu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올라타투맙(olatatumab),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피딜리주맙(pidilizumab), 리툭시맙(rituximab), 티실리무맙(ticilimumab), 사말리주맙(samalizumab), 및 트레멜리무맙(tremelimumab)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 면역항암제는 항-CD73 단클론성 항체(mAb), 항-CD39 mAb, 항-PD-1 mAb 및 항-CTLA4 mAb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위에서 언급된 제제들을 예시로 하는, 하나 이상의 면역항암제를 공동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항-PD-1 치료 및 항-CTLA4 치료와 공동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항-CD73 단클론성 항체(mAb), 항-PD-1 mAb, 및 항-CTLA4 mAb의 병용 치료는 현저한 화학치료 효과를 보였다(Young 2014; Antonioli 2013).
일부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항-PD-1 요법과의 공동 투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옥살리플라틴과의 공동 투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병용 요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독소루비신과의 공동 투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화학적 암 치료 방법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방사선 요법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술, 열소작(thermoablation), 집중 초음파 요법, 냉동요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공통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출원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본 출원의 다른 화합물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조합은 다른 치료적 제제, 예를 들어 암, 면역 또는 신경 질환의 치료에 적합한 다른 제제,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제제들과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를 공동 투여함은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를 공동 투여함은 상가적 효과를 제공한다.
약제학적 조성물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나타낸 임의의 화합물(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인간 환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병태 또는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임의의 개시된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대상체는 인간 등의 포유류이거나, 또는 인간이 아닌 포유류이다. 대상체,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될 때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며,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수용성 용액 또는 생리학적으로 완충된 식염수 또는 글리콜, 글리세롤, 올리브유 등의 오일, 또는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터와 같은 기타 용매 또는 운반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이 인간을 투여 대상으로 할 때, 특히 침습적 경로로 투여될 때 (즉, 주사 또는 이식처럼, 상피 장벽통한 수송 또는 확산을 피해가는 경로) 수용액은 발열성 물질이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발열성 물질이 없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제제의 지속적인 방출에 기여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을 선택적으로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캡슐(스프링클 캡슐(sprinkle capsule),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과립제, 재성형될 수 있는 동결건조물, 가루, 용액, 시럽, 좌약, 주사 또는 그 외의 투여 단위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경피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피부 패치로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또한 국소적 투여에 적합한 용액, 예를 들어 안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제로서 예를 들어, 안정화하거나, 용해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같은 화합물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제는 예를 들어,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 또는 글루타티온과 같은 항산화제, 킬레이트 작용제, 저분자량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제제의 선택은 예를 들어, 조성물의 투여 경로에 의존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는 자기-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또는 자기-마이크로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일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제제)는 리포좀 또는 다른 중합체 기질로서, 이들의 내부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리포좀은, 예를 들어, 인지질 또는 다른 지질로 구성된 것으로서, 무독성이고,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며 또한 대사가능 (metabolizable)한 담체로서 상대적으로 제조하고 투여하는 것이 용이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합리적인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 또는 부작용을 보이지 않아 대상체의 조직과 접촉시키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유해유익비를 갖는 화합물, 물질, 조성물, 및/또는 투여 제형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라는 용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운반체로서,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고체 충전제, 희석액, 첨가제, 용매 또는 캡슐화 물질을 의미한다. 각각의 담체는 "허용 가능"해야 하며 이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 호환될 수 있고 또한 대상체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로 기능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1) 락토스, 글루코스 및 수크로스와 같은 당류; (2)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3) 카복시메틸 셀룰로스나트륨,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4) 트래거캔스 분말; (5) 맥아; (6) 젤라틴; (7) 활석; (8) 코코아 버터 및 좌약용 왁스와 같은 첨가제; (9) 땅콩유, 면실유, 잇꽃유, 참깨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및 콩 오일과 같은 오일; (10)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11) 글리세린, 솔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폴; (12) 올레산에틸 및 에틸 라우르산에틸과 같은 에스터; (13) 한천; (14)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완충제; (15) 알긴산; (16) 발열원 무함유수; (17) 등장성 증류수; (18) 링거액; (19) 에틸 알코올; (20) 포스페이트 완충용액; 및 (21) 약제학적 제형에 포함된 그 밖의 무독성 호환가능 물질.
약제학적 조성물(제제)는 대상체에게 다양한 투여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경구(예를 들어,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드렌치, 정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덩어리, 가루, 과립제, 혀에 도포하기 위한 페이스트); 구강 점막을 통한 흡수(예: 설하); 항문, 직장 또는 질(예를 들어 페서리, 크림 또는 폼); 비경구(근육 내, 정맥 내, 피하 또는 척수강 내로, 예를 들어 멸균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비강; 복강내; 피하; 경피(예를 들어 피부에 붙이는 패치); 및 국소적 (예를 들어 크림, 연고 또는 피부에 도포되는 스프레이, 또는 안약) 투여를 포함한다. 화합물은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조제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화합물은 단순하게 멸균수에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 경로 및 이에 적합한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110,973호, 제5,763,493호, 제5,731,000호, 제5,541,231호, 제5,427,798호, 제5,358,970호 및 제4,172,896호, 및 이들이 인용하는 특허들에서 찾을 수 있다.
제형은 편리하게 단위 투여 단위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약제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일 투여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유효 물질의 양은 치료 대상, 특정한 투여 방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단일 투여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담체 물질과 혼합될 수 있는 유효 물질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학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화합물의 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100%를 기준으로, 상기 양은 유효 물질 1% 내지 약 99%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7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이러한 제형 또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유효 화합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담체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액체 담체, 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담체, 또는 둘 다에 균일하고 친밀하게 결합시키고, 그후, 필요한 경우, 제품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구강 투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형은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카쉐, 알약, 정제, 로젠지(가향된 베이스를 사용하며, 주로 스크로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를 이용함), 동결건조물, 가루, 과립제, 또는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액체의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유중수 또는 수중유 액체 에멀션, 또는 엘릭서 또는 시럽, 또는 캔디(비활성 베이스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를 이용함) 및/또는 함수제 및 이와 같은 것으로서, 각각 유효 물질로서 미리 정해진 양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또한 덩어리, 연약 또는 페이스트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고체 투여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서(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정제, 알약, 드라제, 가루, 과립제 및 기타), 유효 성분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인산2칼슘, 및/또는 다음 중 임의의 것들과 혼합된다: (1)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또는 규산과 같은 충전제 또는 증량제; (2)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긴산,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수크로스 및/또는 아카시아와 같은 결합제; (3) 글리세롤과 같은 보습제; (4) 우뭇가사리, 칼슘 카보네이트,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및 탄산나트륨과 같은 붕해제; (5) 파라핀과 같은 용액 지연제; (6) 4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흡수 촉진제; (7)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8)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점토와 같은 흡수제; (9) 활석, 칼륨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윤활제; (10) 변형 및 비변형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착화제; 및 (11) 착색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정제 및 알약의 경우,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한 종류의 고체 조성물은 마찬가지로 락토스 또는 유당, 및 고분자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를 사용하여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의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정제는 선택적으로 1종 이상의 부가 성분과 함께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결합제(예를 들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윤활제, 비활성 희석제, 보존제, 붕해제(예를 들어, 전분 글리콜산나트륨 또는 가교된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계면활성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몰딩 정제는 적절한 기계에서 분말 형태의 화합물을 비활성 액체 희석제로 적신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정제, 및 약제학적 조성물의 다른 고체 투여 제형, 예를 들어, 당제, 캡슐(스프링클 캡슐 및 젤라틴 캡슐을 포함함), 알약 및 과립제는 장용성 코팅 및 약제학적 제형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타 코팅과 같은 코팅 및 껍질로 선택적으로 감싸지거나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이들 내부의 활성 성분의 느린 EH는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예를 들어, 목적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의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기타 중합체 기질, 리포좀 및/또는 마이크로스피어를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박테리아 거름 필터를 통해 거르거나, 또는 멸균수에 용해될 수 있는 멸균된 고체 조성물 형태의 멸균제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사용하기 바로 전에 멸균용 주사 물질을 적당량 넣어줌으로써 멸균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불투명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유효 성분을 반드시, 또는 우선적으로, 위장관에서 특정량으로 방출하고, 선택적으로, 지연적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합입 조성물(embedding composition)의 예시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유효 물질은 또한, 이것이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첨가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유용한 액체 투여 제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멀션, 재성형할 수 있는 동결건조물, 마이크로에멀션,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서를 포함한다. 유효 성분에 더하여, 액체 투여 제형은 기술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물 또는 그 밖의 용매,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이의 유도체,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어 에틸 알코올,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뷰틸렌 글리콜, 오일(구체적으로,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캐스터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솔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 희석제 외에도, 경구용 조성물은 또한 습윤제, 유화 또는 현탁제, 감미, 조미, 착색, 착향 및 보존성 물질과 같은 어쥬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활성 물질에 더하여, 예를 들어 에톡시화 아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및 솔비탄 에스터, 미정질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우뭇가사리 및 트래거캔스,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현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직장, 질, 또는 요도 투여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좌약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적절한 무자극성 첨가제 또는 담체로서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좌약용 왁스 또는 살리실 산 염, 및 상온에서 고체이지만, 체온에서 액체이며, 이로 인하여, 직장 또는 질강 내에서 융해되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강으로 투여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함수제, 또는 구강 스프레이, 또는 구강 연고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성물은 카테터, 스텐트, 와이어, 또는 기타 관내(intraluminal) 장치를 통한 전달을 위하여 조제될 수 있다. 이러한 기구를 통한 전달은 특히 방광, 요도, 요관, 직장, 또는 장으로의 전달에 유용할 수 있다.
질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또한 페서리, 탐폰, 크림, 젤,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서 적절한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투여 제형은 가루, 스프레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션, 젤, 용액, 패치 및 흡입제를 포함한다. 유효 화합물은 멸균 환경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필요로 하는 경우 임의의 보존제, 완충제, 또는 추진제와 혼합될 수 있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젤은,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동물 및 식물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및 산화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첨가제을 포함할 수 있다.
가루 및 스프레이는,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락토스, 활석, 규산, 수산화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마이드 가루, 또는 상기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및, 부탄 및 프로판과 같은 휘발성 비치환 하이드로카본과 같은 일반적인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피용 패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신체에 조절하여 전달되도록 하는 부가적인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투여 제형은 적절한 매개체에 활성 화합물을 용해시키거나 또는 분산시켜서 만들어질 수 있다. 피부를 통과하는 화합물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흡수 증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의 속도는 속도 조절을 위한 막을 제공하거나 또는 화합물을 중합체 기질 또는 젤에 분산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안과 제형, 안연고, 가루, 용액 및 이와 같은 것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안과 제형은 참고 자료로서 그 내용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080056호, 제2005/0059744호, 제2005/0031697호 및 제2005/004074호 및 미국 특허 제6,583,124호에 설명되어 있다. 원하는 경우, 액체 안과 제형은 눈물, 수양액 또는 유리액과 유사한 물성을 갖거나 또는 이러한 유체와 호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국소적 투여이다(예를 들어, 안약 또는 이식물을 통한 투여와 같은 국소 투여).
본 출원에서 사용된 "비경구 투여" 및 "비경구로 투여됨"이라는 용어는 장관 및 국소 투여를 제외한 투여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주사에 의한 것이고,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척추강내, 피막내, 안와내, 심장내, 피내, 복강내, 기관경유, 피하, 표피하, 관절내, 피막하, 지주막하, 척수내 및 흉골내 주사 및 주입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멸균된 등장성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용액, 분산물, 현탁액 또는 에멀션, 또는 멸균된 가루로서 사용하기 바로 전에 멸균된 용액 또는 분산물로 재성형될 수 있는 것과 혼합되어 포함되고,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발육저지제, 제형을 의도된 투여대상자의 혈액에 투여하는 경우 등장성을 띄도록 조정하는 용질 또는 현탁 또는 농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담체의 예시는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의 적절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성 에스터,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 물질의 사용, 분산물인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의 유지, 및 계면활성제의 사용을 통하여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및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작용의 방지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솔브산, 및 기타와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포함함으로써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당류, 염화나트륨, 및 기타와 같은 등장제를 조성물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과 같이 흡수를 지연시키는 제제를 포함함으로써 주사 가능한 약제학적 제형의 연장된 흡수를 불러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약물의 효과를 연장하기 위해, 피하 및 근육내 주사로부터 약물의 흡수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낮은 수용성을 갖는 결정성 또는 무정형 물질의 액체 현탁액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의 흡수 속도는 물질의 용해 속도에 의존하고, 즉, 결정의 크기 및 결정의 형태에 의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경구 투여된 약물 제형의 지연된 흡수는 약물을 오일 운반체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현탁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데포 형태는 대상 화합물이 폴리락타이드-폴리글리콜라이드와 같은 생분해성 중합체 내부에 있는 마이크로캡슐화된 기질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약물 대 중합체의 비율, 및 사용된 특정 중합체의 특성에 따라, 약물의 방출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기타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시는 폴리(오쏘에스터) 및 폴리(무수물)를 포함한다. 데포 주사가능 제형은 약물을 인체 조직과 호환가능한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션에 가둠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하여, 활성 화합물은 그 자체로 또는 예를 들어, 0.1 내지 99.5%(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의 활성 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입 방법은 또한 재충전가능 또는 생분해성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단백성 바이오약학물을 포함한, 최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서방출 중합체 장치(slow release polymeric device)가 개발되고 생체 내에서 실험되어왔다. 생분해성 및 비분해성 중합체를 모두 포함한, 다양한 생체적합 중합체(하이드로겔을 포함)가 특정 목표 장소에서 화합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이식물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내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약 수준은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법에 대하여 환자에게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목적하는 치료적 반응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양의 활성 성분을 얻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선택된 투약 수준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조합물, 또는 이의 에스터, 염 또는 아마이드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배출 속도,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화합물과 함께 사용된 기타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나이, 성별, 체중, 병태, 일반적 건강상태 및 치료 중인 대상체의 이전의 의학적 병력, 및 의학 분야에서 잘 공지된 유사한 인자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존할 것이다.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필요로 하는 치료학적 유효량을 쉽게 결정하고 또한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합물의 용량을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도보다 낮은 수치에서 시작하고 목적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천천히 투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목적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도출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화합물의 유효량은 대상체의 체중, 성별, 및 병력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되고 있다. 유효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는 대상체 병태의 중증도, 치료 중인 장애, 화합물의 안정성, 및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되는 다른 유형의 치료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많은 총 용량은 제제의 다회 투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효능 및 투여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Isselbacher et al. (1996)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 ed., 1814-1882,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포함됨).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되는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일일 투여량은 치료 효과를 만들기에 효과적인 최저 투여량의 화합물일 것이다. 이러한 효과적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위에서 기술된 요인들에 의존할 것이다.
요망되는 경우, 활성 화합물의 효과적 일일 투여량은 하루 내내 적절한 간격을 두고 각각 1, 2, 3, 4, 5, 6회 이상의 부분 투여량으로, 선택적으로, 단위 투여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하루에 2 또는 3회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1일 1회로 투여될 것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투여량은 3+3 설계를 따른다. 전통적인 3+3 설계는 투여량에 따라 독성이 증가하는 세포독성 약물에 대한 고전적인 추정 이상의 용량-독성 곡선의 모델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런 규칙-기반 설계는 3개의 환자 코호트에서 수행된다; 제1 코호트는 동물 독성학적 데이터로부터 외삽법에 의해 도출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개시 용량으로 치료되고, 후속의 코호트는 미리 고정된 증가하는 용량 수준으로 치료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3회의 투여량은 경구로 약 100㎎ 내지 약 1000㎎, 예를 들어 약 200㎎ 내지 약 800㎎, 예를 들어 약 400㎎ 내지 약 700㎎, 예를 들어 약 100㎎ 내지 약 400㎎, 예를 들어 약 500㎎ 내지 약 1000㎎, 또한 나아가 예를 들어 500㎎ 내지 600㎎ 범위이다. 투약은 음식 없이 섭취할 때 1일 3회일 수 있고, 또는 음식과 함께 섭취할 때 하루에 2회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3개의 투여량은 약 400㎎ 내지 약 800㎎, 예를 들어 약 400㎎ 내지 약 700㎎, 예를 들어 약 500㎎ 내지 약 800㎎, 또한 나아가 예를 들어 약 500㎎ 내지 약 600㎎을 1일 2회에 걸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600㎎ 보다 높은 용량은 1일 2회로 투여된다.
코호트 내 3명의 환자 중 용량-제한 독성을 경험한 사람이 없다면, 다른 3명의 환자가 한 단계 더 높은 투여량으로 치료받게 된다. 그러나 처음 3명의 환자 중 한 명에게 용량-제한 독성이 나타나면, 동일한 복용량 수준으로 3명의 환자가 더 치료될 것이다. 3 내지 6명의 환자의 집단에서 중 적어도 2명의 환자가 용량-제한 독성(즉, 해당 용량 수준에서 용량-제한 독성을 갖는 환자의 약 33% 이상)을 경험할 때까지 용량 증가는 계속한다. II상 임상 시험을 위한 권장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독성 투여량 수준 바로 아래의 용량 수준으로 정해진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투약 계획은 약 50㎎/㎡ 내지 약 80㎎/㎡, 및 약 70㎎/㎡ 내지 약 90㎎/㎡과 같은 약 40㎎/㎡ 내지 약 100㎎/㎡, IV에 의한 4주 주기의 3주 동안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형의 치료제와 공동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공동 투여"라는 용어는 그 전에 투여된 치료 화합물이 아직 신체에서 효과가 있는 동안 제2 화합물이 투여되도록 2종 이상의 상이한 치료 화합물을 투여하는 임의의 방식이다(예를 들어, 2종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동시에 효과적이고, 2 개의 화합물의 동반상승 효과를 포함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동일한 제형 또는 별도의 제형으로, 부수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치료 화합물은 서로 1시간,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72시간 또는 1주일 이내에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치료를 받는 대상체는 상이한 치료 화합물의 병용 효과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과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의 공동 투여는 본 발명의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를 각각 개별 투여하는 것에 비해 개선된 효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공동 투여는 부가적 효과를 제공하며, 여기서 부가적 효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치료제의 개별 투여의 효과의 각각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의도된 염은, 알킬, 다이알킬, 트라이알킬 또는 테트라-알킬 암모늄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의도된 염은, L-알기닌, 베넨타민, 벤자틴, 베타인, 수산화 칼슘, 콜린, 데아놀, 다이에탄올아민, 다이에틸아민, 2-(다이에틸아미노)에탄올, 에탄올아민, 에틸렌다이아민, N-메틸글루카민, 히드라바민, 1H-이미다졸, 리튬, L-라이신, 마그네슘, 4-(2-하이드록시에틸)몰폴린, 피페라진, 포타슘, 1-(2-하이드록시에틸)피롤리딘, 나트륨, 트라이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및 아연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의도된 염은 Na, Ca, K, Mg, Zn 또는 다른 금속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은 또한 물, 메탄올, 에탄올,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및 기타 다양한 용매화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화물의 혼합물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화물의 공급원은 결정화되는 용매로부터일 수 있고, 이는 제조 또는 결정화되는 용매의 내재적 특징으로 인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용매에 따라 우연적 원인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유화제 및 윤활제, 및 착색제, 방출제, 코팅제, 감미, 향미 및 착향제, 보존제 및 항산화제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을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산화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염산염, 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등과 같은 수용성 항산화제; (2)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뷰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뷰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및 알파-토코페롤 등과 같은, 유용성 항산화제; 및 (3) 시트르산,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솔비톨, 타르타르산, 인산 등과 금속-킬레이트 작용제.
본 발명은 지금 일반적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특정 양상 및 실시형태의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포함되는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 합성 절차
하기 일반적 합성 절에서 사용된 화합물 번호 1 내지 129는 본 부문에서의 계통적 구조만을 의미하며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하의 반응식에 도시되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알드리치 케미칼 코포레이션(Aldrich Chemical Co.), 바켐(Bachem) 등과 같은 상업적 공급업자로부터 입수 가능하거나,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반응식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이 합성될 수 있는 일부 방법을 단지 예시하며, 이들 반응식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을 참고하여 당업자(POSITA)에게 제안될 것이다. 반응의 출발 물질 및 중간체 및 최종 생성물은 원하는 경우 여과, 증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통상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단리되고 정제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상수 및 스펙트럼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특성규명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반응은 대기압에서 약 -78℃ 내지 약 150℃의 온도 범위에서 일어난다.
일반 반응식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반응식 1에 예시되고 기재되는 바와 같이 합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65
식 중, Z, Ru, Rv, Rw, Rx, R5 및 R9가 변수 Z, Ra, Rb, Rw, R5, R9 및 Rx와 유사하며, 발명의 내용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CH2P(O)(OR15)2 또는 -OP(O)(OH)CH2P(O)(OR15)2이다:
Figure pct00066
케톤 A-3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다이올 A-1로부터 적합한 기, 예컨대 TBDPS, TBDMS, Ac 및 Bz를 이용하는 1차 알코올의 선택적 보호를 통해, 이어서, A-2에서 2차 알코올의 산화에 의해 제조되며, 여기서 R"는 H, 알킬, TMS 또는 헤테로사이클이다. 케톤 A-3에 대한 대응하는 에틴일 친핵체 A-4, 예컨대 그리냐르 시약 또는 Li 시약의 입체선택적 첨가는 프로파길 알코올 A-5를 제공한다. 아세토나이드 보호기의 제거는 희석된 수성 산, 예컨대 TFA, HCl, H2SO4, HClO4, PPTS, CSA 또는 다른 루이스 산에 의해 달성된다. 피리딘과 같은 염기와 촉매적 4-DMAP의 존재 하의 시약, 예컨대 Ac2O, 염화아세틸 및 BzCl을 이용하는 트라이올 A-6의 아실화로 트라이-에스터, 예컨대 트라이-아세테이트 A-7을 제공한다. 공여자 A-7과 수용자 A-8, 예컨대 2-클로로아데닌,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 2,6-다이클로로아데닌,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 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 유라실, 티민, 사이토신 또는 구아닌 사이에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톨루엔) 중의 조건 하 글리코실화(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로 뉴클레오사이드 생성물 A-9를 제공한다. Ru가 NH2인 경우에, 이는 TEA 및 촉매적 4-DMAP의 존재 하에 Boc2O에 의해 N(Boc)2로서 보호된다. P가 TBDMS 또는 TBDPS기인 경우에, TBAF에 의한 처리로 A-9에서 보호기를 제거하여 1차 알코올 A-10을 제공하고, 이어서, Rh2(OAc)4 또는 Cu(OAc)2와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 다이아조 시약 A-11과의 삽입 반응으로, A-12를 제공한다. Cs2CO3, K2CO3, LiHMDS, DBU 또는 NaH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친전자체 A-13, 예컨대 할로겐화알킬, 트라이플레이트, 토실레이트 또는 메실레이트를 이용한 알킬화로 A-14를 제공한다. A-14의 에스터기는 최종적으로 수 중 염기, 예컨대 LiOH, NaOH 및 KOH에 의해 제거되어 화학식 (Ia)의 A-15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중간체 A-5의 3'-위치에서 알킨일기는 반응식 1의 단계 3에서 대응하는 알킬 또는 비닐 리튬 및 그리냐르 시약을 이용함으로써 알킬 또는 비닐로 치환될 수 있다.
Figure pct00067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2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전구체 B-1에서 적합한 보호기, 예컨대 P는 실릴기(TBDPS 또는 TBDMS)이며, THF 중의 TBAF 또는 HF와 같은 시약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한편, P1 보호기, 예컨대 Ac, Bz 및 MOM 기는 남아있다. 얻어진 1차 알코올 B-2는 금속 촉매, 예컨대 Rh2(OAc)4의 존재 하에 벤젠, 톨루엔, DCM 및 다이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다이아조 시약 A-11과 반응하여 중간체 B-3을 제공한다. 친전자체 A-13, 예컨대 할로겐화물, 트라이플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에 의한 B-3의 알킬화는 K2CO3, Cs2CO3, LiHMDS, NaH 및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달성되어 중간체 B-4를 제공한다. B-4의 아세토나이드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은 DCM, 아세톤, THF 또는 다이옥산과 같은 용매에서 TFA, HCl, H2SO4 또는 HClO4와 같은 산 처리에 의해 행해져서 다이올 B-5를 제공한다. 피리딘, TEA 또는 DIPEA 및 촉매적 4-DMAP의 존재 하에 Ac2O 또는 염화아세틸과 같은 시약을 이용하는 B-5의 아실화로 글리코실화 공여자로서 트라이-아세테이트 B-6을 제공한다(P1 = OAc에 대해). 이 중간체 B-6은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DME) 중의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과 같은 조건의 영향 하에 글리코실화 수용자 헤테로사이클 B-7, 예컨대 2-클로로아데닌,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 2,6-다이클로로아데닌,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 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 유라실, 티민, 사이토신 및 구아닌과 반응되어 뉴클레오사이드 중간체 B-8을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THF, 다이옥산,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LiOH, NaOH 및 KOH의 처리에 의한 B-8의 에스터 보호기의 제거로 목적하는 화학식 (Ia)의 최종 생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68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3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에 따라 제조된 2,6-다이클로로아데닌 C-1은 몇몇 합성 전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DMF, THF, 다이옥산, 알코올 또는 NMP와 같은 용매 중의 친핵체 Ru-H(C-2), 예컨대 아민, 알콕사이드 또는 티올레이트를 이용하는 전구체 1의 6-클로로기의 선택적인 친핵성 치환으로 중간체 C-3을 제공한다. 전구체 C-1은 또한 대응하는 시약, 예컨대 보론산(C-4), 보론산 에스터, 주석 시약(C-5) 또는 아연 시약(C-6)과의 결합 반응, 예컨대 스즈키, 스틸(Stille) 또는 네기시(Negishi) 반응을 받아서 각각 중간체 C-7을 제공할 수 있다. THF, 다이옥산,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LiOH, NaOH, KOH, NaOMe, NaOEt 또는 KOEt에 의한 중간체 C-3C-7 둘 다의 처리로 화학식 (Ia)의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69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4에 따라 C-1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보르부루겐(
Figure pct00070
) 반응을 통해 2,6-다이클로로퓨린, TMSOTf 및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에 의한 A-7의 처리로 보호된 뉴클레오사이드 D-2를 제공한다. 5'-하이드록실기로부터의 tert-뷰틸다이페닐실릴 모이어티의 선택적 제거로 알코올 D-3을 제공한다. 목적하는 치환된 아실다이아조-시약 D-4와의 결합으로 치환된 뉴클레오사이드 D-5를 제공한다. 이 반응에서 매우 다양한 다이아조 시약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는 Rw가 CO2R9, SOR9, SO2R9, P(O)(OR9)2, 및 CN이고, R9는 발명의 내용에서와 같이 정의되는 것을 포함한다. 알킬 치환체 R5가 요망된다면, 친핵체, 예컨대 R5-X(X = 할로겐화물, OTf, OMs 또는 OTs)가 THF 또는 DMF와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탄산세슘과 같은 염기와 함께 사용되는 알킬화 반응을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도입되어 중요한 중간체 C-1을 제공할 수 있다. 아민과 같은 치환체는 6-위치에서 염소로 치환됨으로써 퓨린 염기에 첨가되어 EtOH, THF 또는 다이옥산과 같은 용매에서 다양한 아민 D-6을 갖는 중간체 D-7을 제공할 수 있다. 수산화리튬과 같은 염기에 의한 수성 가수분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한 D-7의 최종 탈보호는 화학식 (1)의 구조에서 목표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71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5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에서 K2CO3, Cs2CO3, NaH 또는 LiHMDS와 같은 염기와 함께 4-아이오도벤질 할로겐화물(Br, Cl 또는 I) 또는 대응하는 OTf, OMs 또는 OTs와 같은 친전자체 E-1을 이용하는 상기 반응식 2로부터의 전구체 B-3의 알킬화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다양한 보론산, 예컨대 (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보론산(E-3)과 결합할 수 있는 중간체 E-2를 야기한다. 얻어진 피리돈 생성물 E-4는 DMF 및 THF와 같은 용매에서 K2CO3, Cs2CO3, NaH 또는 LiHMDS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다양한 알킬 할로겐화물(A-13)로 알킬화되어 E-5를 제공한다. E-5 중의 아세토나이드 보호기는 DCM, 아세톤, 다이옥산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TFA, HCl, H2SO4 또는 AcOH의 처리에 의해 제거되어 다이올 E-6을 제공하고, 이는 DCM과 같은 용매 중의 촉매적 양의 4-DMAP 및 염기, 예컨대 피리딘, TEA 또는 DIPEA와 함께 Ac2O 또는 염화아세틸에 의해 아세틸화되어 아노머 혼합물 E-7을 글리코실화 공여자로서 제공한다. 중간체 E-7은 복소환식 수용자 2,6-다이클로로아데닌(D-1), 또는 D-1의 6-클로로 기를 적합한 아민으로 치환하는 것으로부터 형성되는 N-치환된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E-9)과 반응될 수 있다(D-7). 글리코실화 둘 다 공여자 E-7과 수용자 D-1 또는 E-9 간에,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톨루엔)에서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와 같은 활성화 조건 하에 행해져서, 각각 대응하는 뉴클레오사이드 생성물, E-8 또는 E-10을 제공한다. 뉴클레오사이드 E-8은 다양한 아민(D-7)에 의한 친핵성 치환을 통해 E-10로 전환된다. 최종적으로, 화학식 (Ia)에서 목적하는 화합물은 THF, 다이옥산,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LiOH, NaOH 및 KOH의 처리로 모든 에스터 기의 탈보호를 통해 E-10으로부터 생성된다.
Figure pct00072
화학식 (Ia)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6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DMF 또는 THF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의 K2CO3, Cs2CO3, LiHMDS 또는 NaH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다양한 알킬 측쇄(R5)를 갖는 벤질 할로겐화물 F-4 및 전구체 B-3을 이용하는 알킬화는 중간체 F-5를 야기한다. 트라이아세테이트 F-7은 기재된 앞서 언급한 반응식으로서 탈보호(DCM 중의 수성 TFA) 및 아실화(피리딘 중의 Ac2O 또는 염화아세틸)를 통해 F-5로부터의 2단계 전환을 통해 형성된다.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톨루엔) 중의 활성화 조건[(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 하에 F-7과 다양한 수용자, 예컨대 2,6-다이클로로아데닌(D-1) 간의 글리코실화로 뉴클레오사이드 F-8을 제공하고, 이는 다이옥산, DMF, 또는 THF와 같은 적절한 용매 중의 피리딘, TEA 또는 DIPEA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다양한 아민(F-9)에 의해 아미노 유사체 F-10으로 전환된다. 최종적으로, 화학식 (1)의 목적하는 분자는 THF, 다이옥산,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LiOH, NaOH 및 KOH의 처리에 의해 F-10으로부터 얻는다. 대안적으로, 중간체 F-10은 또한 공여자 F-7과 다른 수용자, 예컨대 N-치환된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F-11) 간의 글리코실화로부터 직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필요한 벤질 할로겐화물 F-4는 5단계 전환을 통해 4-(((tert-뷰틸다이메틸실릴)옥시)-메틸)아닐린(F-1)으로부터 제조된다. 환식 유레아 고리는 처음에 아닐린 F-1로부터 형성되어 3-클로로프로필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반응한 다음,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의 NaH, NaOH 또는 LiHMDS와 같은 염기의 영향 하의 고리화에 의해 F-2를 생성한다. 이어서, 중간체 F-2는 TBAF에 의한 TBDMS 기의 제거에 의해 F-3을 야기하며, DCM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의 CBr4 및 PPh3에 의해 1차 알코올을 브로민화물로 전환시킴으로써 최종 생성물로 진행된다.
대안적으로, 중요한 중간체 F-5는 또한 반응식 7에 따라 전구체 B-3으로부터 제조된다. K2CO3 또는 Cs2CO3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할로겐화물, 예컨대 4-나이트로벤질 브로마이드를 이용한 전구체 B-3의 알킬화로 나이트로 중간체를 제공하고, 이어서, 수성 NH4Cl 중의 Fe에 의해 아닐린으로 환원된다. 환식 유레아 형성은 THF 중의 TEA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3-클로로프로필 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함께 아닐린으로부터, 이어서, NaH 또는 LiHMDS와 같은 염기의 처리에 의해 분자내 고리 폐쇄에 의해 수행된다. N-알킬 측쇄의 도입은 친전자체, 예컨대 A-13에 의해 수행되어 중요한 중간체 F-5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73
화학식 (Ib)는 반응식 8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Rw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인 필요한 다이아조 시약 G-2는 Et3N 및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MeCN 또는 다이옥산에서, 적합한 설폰일 아자이드 시약, 예컨대 4-아세트아미도벤젠설폰일 아자이드에 의해 에스터 G-1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톨루엔, DCM 또는 다이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Rh 또는 Cu 촉매, 예컨대 Rh2(OAc)4에 의해 촉매된 삽입된 반응을 통해 반응식 1로부터 다이아조 시약 G-2와 알코올 A-9의 결합으로 생성물 G-3을 제공한다. Cs2CO3, K2CO3, LiHMDS, DBU 또는 NaH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친전자체 A-13, 예컨대 알킬 할로겐화물, 트라이플레이트, 토실레이트 또는 메실레이트에 의한 G-3의 알킬화로 G-4를 제공한다. G-4의 에스터기는 최종적으로 수성 염기, 예컨대 LiOH, NaOH 및 KOH에 의해 제거되어 화학식 (Ib)의 목적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74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9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차 알코올 B-2는 벤젠, 톨루엔, DCM 또는 다이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금속 촉매, 예컨대 Rh2(OAc)4의 존재 하에 반응식 8로부터의 다이아조 시약 G-2와 반응되어, 중간체 H-1을 제공한다. 할로겐화물, 트라이플레이트, 메실레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와 같은 친전자체 A-13에 의한 H-1의 알킬화는 K2CO3, Cs2CO3, LiHMDS, NaH 및 DBU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달성되어 중간체 H-2를 제공한다. H-2에서 아세토나이드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은 DCM, 아세톤, THF 또는 다이옥산과 같은 용매 중의 수성 TFA, HCl, H2SO4, HClO4 또는 CSA와 같은 산 처리에 의해 행해져서, 다이올 H-3을 제공한다. 피리딘, TEA 또는 DIPEA 및 촉매적 4-DMAP의 존재 하에 Ac2O 또는 염화아세틸과 같은 시약에 의한 H-3의 아실화로 글리코실화 공여자로서 트라이-아세테이트 H-4를 제공한다. 이 중간체 H-4는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DME) 중의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와 같은 조건 하에 글리코실화 수용자 헤테로사이클 B-7, 예컨대 2-클로로아데닌,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 2,6-다이클로로아데닌,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 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 유라실, 티민, 사이토신 및 구아닌과 반응되어 뉴클레오사이드 중간체 H-5를 제공한다. 최종적으로, THF, 다이옥산,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의 수성 LiOH, NaOH 및 KOH의 처리에 의한 H-5의 에스터 보호기 제거로 화학식 (Ib)의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75
화학식 (Ic)의 화합물은 또한 반응식 10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R1이 메틸(문헌[Franchetti, P. et al. J. Med. Chem. 2005, 48, 4983-4989]에 의해 보고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또는 다른 알킬기; 에틴일 (문헌[Hulpia, F.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16, 26, 1970-1972]에 의한 절차에 따라 제조됨) 또는 다른 알킨일기; 및 비닐기인, 3차 알코올 I-2는 AcOH 중에서 Ac2O 및 촉매적 양의 H2SO4와 같은 아세틸화 시약의 처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처음에 DCM 중의 수성 TFA 또는 다른 산의 처리에 의한 아세토나이드기의 탈보호 다음에 Ac2O 또는 염화아세틸과 같은 시약에 의한 얻어진 다이올 I-3의 아세틸화를 수반하는 2단계 과정을 통해 I-4로 전환되었다. 용매(MeCN, 다이클로로에탄 또는 DME) 중의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및 TMSOTf] 또는 (TfOH 및 DBU)와 같은 조건 하에 Ru가 H, Cl, NH2, N-알킬기, 예컨대 2-클로로아데닌,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 2,6-다이클로로아데닌,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 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 유라실, 티민, 사이토신 및 구아닌인, 반응식 2에 기재된 헤테로사이클 B-7과 같은 헤테로방향족 글리코실 수용자에 의한 I-4의 글리코실화로 뉴클레오사이드 중간체 I-5를 제공한다. THF 중에서 TBAF와 같은 플루오린화물 공급원에 의한 I-5의 실릴 보호기의 제거로 1차 알코올 I-6을 제공하고, THF, MeOH 또는 EtOH와 같은 용매 중에서 수성 LiOH 또는 NaOH에 의해 트라이올 I-7로 추가로 전환되었다. 최종적으로, 메틸렌비스(포스폰 다이클로라이드) 및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에 의한 I-7의 처리 후에 트라이에틸암모늄 카보네이트에 의한 처리로 화학식 (Ic)의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76
화학식 (Ic)의 화합물은 반응식 11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1차 알코올 I-6 (여기서 Ru = Cl)은 THF, DMF, 다이옥산 또는 NMP과 같은 용매 중의 TEA, DIPEA, NaH 및 Cs2CO3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친전자체 J-1, 예컨대 (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또는 다이에틸(아이오도메틸)포스포네이트에 의해 알킬화되어 중간체 J-2를 제공한다. 다이옥산, THF 또는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TEA 또는 DIPEA와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J-2에서의 클로로기의 R7R8NH (J-3)(여기서, R7 및 R8은 H 또는 알킬기임)로의 친핵성 치환을 통해 J-4의 아미노기를 설치한다. J-4를 화학식 (Ic)의 목적하는 생성물로 전환하는 데 2단계 탈보호 순서(TMSBr 및 수성 LiOH 또는 NaOH)가 필요하다.
Figure pct00077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당업자는 출발물질 및 반응 조건이 달라지고, 반응 순서가 변경되며,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는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단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특정 반응성 작용기의 보호는 상기 전환 중 일부를 달성하는 데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보호기에 대한 필요뿐만 아니라 이러한 기를 부착하고 제거하는 데 필요한 조건은 경험있는 유기 화학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특허를 포함하는 본 출원에 언급된 모든 논문 및 참고문헌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는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며, 이들에 기재된 구체적 절차 및 화합물에 대한 범주 또는 정신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합성예
실시예 1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78
단계 1:
THF(100㎖) 중의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3aH)-온(10g, 23.44m㏖, 1 eq)의 혼합물에 N2 분위기 하에 15℃에서 에틴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0.5M, 328.19㎖, 7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추가 에틴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0.5M, 125㎖,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H4Cl(250㎖)로 희석시키고, EtOAc(3×2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4:1)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9.47g, 92%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10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9.47g, 20.92m㏖, 1 eq) 용액에 0℃에서 H2O(10㎖) 및 TFA(10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에 포화 수성 NaHCO3을 이용하여 pH 7로 반응을 중단시키고, 이어서, DCM(2×30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0:1)에 의해 정제하여 (3R,4S,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올(5.17g, 60% 수율)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15℃에서 피리딘(50㎖) 중의 (3R,4S,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올(5.17g, 12.53m㏖, 1 eq)의 용액에 4-DMAP(4.59g, 37.60m㏖, 3 eq)와 Ac2O(11.74㎖, 125.32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500㎖)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3R,4R,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7.19g, 79%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0℃에서 MeCN(5㎖) 중의 (3R,4R,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6.89g, 12.79m㏖, 1 eq)의 용액에 2-클로로아데닌(2.39g, 14.07m㏖, 1.1 eq), DBU(5.78㎖, 38.37m㏖, 3 eq)와 TMSOTf(11.56㎖, 63.96m㏖, 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 용액(500㎖)으로 희석시켰다. 수성상을 EtOAc(2×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0:1)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4.52g, 44%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20℃에서 DMF(50㎖) 중의 (2R,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4.5g, 6.94m㏖, 1 eq) 용액에 TEA(4.83㎖, 34.71m㏖, 5 eq), 4-DMAP(254㎎, 2.08m㏖, 0.3 eq)와 Boc2O(7.58g, 34.71m㏖, 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250㎖)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2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26g, 46%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0℃에서 THF(35㎖)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24g, 3.82m㏖, 1 eq)의 용액에 TBAF(1M, 5.73㎖, 1.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150㎖)로 희석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1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1:2)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51g, 54%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톨루엔(10㎖) 중의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48g, 2.43m㏖, 1 eq) 용액에 톨루엔(3㎖) 중의 Rh2(OAc)4(214㎎, 485.24μ㏖, 0.2 eq)와 다이에틸 다이아조말로네이트(903㎎, 4.85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녹색 현탁액을 제공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17㎎, 20%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25℃에서 DMF(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97.00㎎, 647.00μ㏖, 1 eq) 용액에 K2CO3(178.84㎎, 1.29m㏖, 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브로민화벤질(221.32㎎, 1.29m㏖, 153.69㎕, 2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5.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추가적인 K2CO3(100㎎)와 BnBr(100㎕)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50㎖)을 반응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2×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3: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66㎎, 37%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0℃에서 DCM(3㎖)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66㎎, 309.92μ㏖, 1 eq) 용액에 TFA(0.45㎖)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 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2×5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95㎎)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10:
MeOH(3㎖) 중의 포화 NH3에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95㎎, 296.33μ㏖, 1 eq)의 혼합물을 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직접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TLC(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91.7㎎, 49%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11:
EtOH(2㎖) 중의 다이에틸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81㎎, 141.12μ㏖, 1 eq) 용액에 10℃에서 H2O (0.2㎖) 중의 LiOH.H2O(30㎎, 705.60μ㏖, 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사를 H2O(50㎖) 중에 용해시키고, EtOAc(2×5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리고 나서,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수성상을 pH 대략 2.5로 산성화하였다. 수성상을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55.4㎎, 7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39 (s, 1H), 7.79 (br s, 2H), 7.20 (br d, J=7.03 Hz, 2H), 7.01 - 7.12 (m, 3H), 5.82 (d, J=7.53 Hz, 1H), 4.87 (d, J=7.78 Hz, 1H), 4.16 (dd, J=5.27, 2.51 Hz, 1H), 3.99 - 4.07 (m, 2H), 3.83 (br d, J=8.03 Hz, 1H), 3.56 (s, 1H), 3.25 (dd, J=6.78 Hz, 2H); LC/MS [M + H] = 518.0.
실시예 2
2-(((2S,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79
단계 1: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5g, 5.89m㏖, 1 eq)의 용액에 0℃에서 MeOH(50㎖) 중의 2M NH3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9-((2R,3R,4S,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3.78g, 90%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0℃에서 N2 분위기 하에 DCM(40㎖) 중의 tert-뷰틸 (9-((2R,3R,4S,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3.78g, 5.29m㏖, 1 eq) 용액에 4-DMAP(258.63㎎, 2.12m㏖, 0.4 eq)와 TCDI(4.72g, 26.46m㏖, 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9-((3aR,4R,6R,6aR)-6-(((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a-에틴일-2-티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로[3,4-d][1,3]다이옥솔-4-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1.4g, 37%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톨루엔(5㎖) 중의 tert-뷰틸 (9-((3aR,4R,6R,6aR)-6-(((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a-에틴일-2-티옥소테트라하이드로퓨로[3,4-d][1,3]다이옥솔-4-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500㎎, 707.93μ㏖, 1 eq)의 용액에 20 내지 25℃에서 AIBN(11.62㎎, 70.79μ㏖, 0.1 eq)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한 다음, (n-Bu)3SnH(561.96㎕, 2.12m㏖, 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9-((2R,3R,4R,5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220㎎, 47% 수율)를 백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0℃에서 DCM(1.4㎖) 중의 tert-뷰틸 (9-((2R,3R,4R,5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2-클로로-9H-퓨린-6-일)카바메이트(220㎎, 339.39μ㏖, 1 eq) 용액에 TFA(0.7㎖, 9.45m㏖, 28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 용액(15㎖)으로 희석시키고, DCM(3×5㎖)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S)-2-(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올(260㎎)을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DMF(2.5㎖) 중의 (2R,3R,4R,5S)-2-(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올(260㎎, 474.36μ㏖, 1 eq, 조질) 용액에 0℃에서 Boc2O(931.75㎎, 4.27m㏖, 9 eq), TEA(660.25㎕, 4.74m㏖, 10 eq)와 4-DMAP(5.80㎎, 47.44μ㏖, 0.1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20㎖)로 희석시키고,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S,5S)-2-(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 tert-뷰틸 카보네이트(560㎎)를 오렌지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0℃에서 THF(6㎖) 중의 조질의 (2R,3R,4S,5S)-2-(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 tert-뷰틸 카보네이트(560㎎, 660.02μ㏖, 1 eq, 조질) 용액에 THF(1M, 1㎖, 1.52 eq) 중의 TBAF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O(10㎖)로 희석시키고,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2:1)에 의해 정제하여 (2R,3R,4S,5S)-2-(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 tert-뷰틸 카보네이트(93㎎, 3단계에 걸쳐 45%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톨루엔(1㎖) 중의 (2R,3R,4S,5S)-2-(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 tert-뷰틸 카보네이트(93㎎, 152.45μ㏖, 1 eq) 용액에 Rh2(OAc)4(6.74㎎, 15.24μ㏖, 0.1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로 가열한 다음, 톨루엔(1㎖) 중의 다이에틸 2-다이아조말로네이트(85.14㎎, 457.34μ㏖, 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S,3S,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80㎎)를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DMF(3㎖)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S,3S,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17.11㎎, 152.45μ㏖, 1 eq) 용액에 20 내지 25℃에서 K2CO3(421.39㎎, 3.05m㏖, 20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브로민화벤질(271.61㎕, 2.29m㏖, 15 eq)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추가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20㎖)로 희석시키고,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5㎖)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2:1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S,3S,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90㎎)를 회백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0℃에서 DCM(0.6㎖) 중의 다이에틸 2-(((2S,3S,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90㎎, 104.86μ㏖, 1 eq) 용액에 TFA(0.3㎖, 4.05m㏖, 39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 용액(5㎖)으로 희석시키고, DCM(3×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S,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19㎎, 3개 단계에 대해서 13%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10:
THF(0.2㎖) 중의 다이에틸 2-(((2S,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19㎎, 34.05μ㏖, 1 eq) 용액에 25℃에서 H2O(70㎕) 중 LiOH . H2O(7.14㎎, 170.26μ㏖, 5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5㎖)로 희석시키고, 이어서,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한다. 혼합물을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여과 후, 농축시킨다. 조질의 잔사를 H2O(3㎖)와 MeCN(2㎖)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0 (s, 1H) 7.27 (br d, J=5.27 Hz, 2H) 7.17 - 7.24 (m, 1H) 7.15 (br d, J=6.78 Hz, 2H) 5.87 - 5.96 (m, 1H) 4.94 (br s, 1H) 4.68 (br s, 1H) 3.96 - 4.11 (m, 2H) 3.34 - 3.40 (m, 2H) 2.57 (d, J=2.51 Hz, 1H) 2.32 (s, 1H); LC/MS [M + H] = 502.0.
실시예 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0
단계 1: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THF(100㎖) 중의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3aH)-온(10g, 23.44m㏖, 1 eq)의 용액에 (프로프-1-인일)마그네슘 브로마이드(0.5M, 93.77㎖,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H4Cl 용액(250㎖)으로 희석시켰다. 수성상을 EtOAc(3×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1.81g)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20℃에서 피리딘(120㎖) 중의 조질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2.2g, 26.14m㏖, 1 eq) 용액에 4-DMAP(3.51g, 28.76m㏖, 1.1 eq)와 Ac2O(4.90㎖, 52.29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200㎖)로 희석시키고,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조질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5g)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0℃에서 N2 분위기 하에 THF(300㎖) 중의 조질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5g, 29.49m㏖, 1 eq) 용액에 TBAF(1M, 44.23㎖, 1.5 eq)와 AcOH(1.26㎖, 22.12m㏖, 0.75 eq)의 혼합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H4Cl 용액(300㎖)으로 희석시키고, EtOAc(3×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1: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5.78g, 72.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15℃에서 N2 분위기 하에 다이클로로에탄(60㎖) 중의 (3aR,5R,6R,6aR)-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5.78g, 21.39m㏖, 1 eq) 용액에 Rh2(OAc)4(945.21㎎, 2.14m㏖, 0.1 eq)와 다이에틸 다이아조말로네이트(7.96g, 42.77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2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20℃에서 DMF(7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7.28g, 16.99m㏖, 1 eq)의 용액에 Cs2CO3(11.07g, 33.98m㏖, 2 eq)와 BnBr(3.03㎖, 25.49m㏖,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300㎖)로 희석시키고,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3: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7.67g, 87%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20℃에서 TFA(8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7.67g, 14.79m㏖, 1 eq)의 용액에 H2O(6.97㎖, 387.05m㏖, 26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 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3×100㎖)로 분할한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건조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3,4,5-트라이하이드록시-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95g)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20℃에서 피리딘(60㎖)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3,4,5-트라이하이드록시-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95g, 13.63m㏖, 1 eq) 용액에 4-DMAP(5.00g, 40.90m㏖, 3 eq)와 Ac2O(6.38㎖, 68.16m㏖, 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300㎖)로 희석시키고, EtOAc(3×1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3: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76g, 66%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20℃에서 MeCN(10㎖)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g, 1.78m㏖, 1 eq) 용액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1.32㎖, 5.33m㏖, 3 eq)와 2-클로로-아데닌(301.43㎎, 1.78m㏖, 1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642㎕, 3.56m㏖, 2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100㎖)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2×6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18㎎, 18%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THF(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18㎎, 324.37μ㏖, 1 eq) 용액에 20℃에서 H2O(2㎖) 중의 LiOH.H2O(136.12㎎, 3.24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H2O(10㎖)로 희석시키고, EtOAc(1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리고 나서, 수성상을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수성상을 EtOAc(3×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9.8㎎, 2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DMSO-d 6, 400 MHz) δ ppm 12.70-14.12 (m, 2H), 8.37 (s, 1H), 7.80 (br s, 2H), 7.19 (br d, J=7.03 Hz, 2H), 7.00-7.11 (m, 3H), 5.88-6.03 (m, 2H), 5.81 (d, J=7.53 Hz, 1H), 4.78 (br s, 1H), 4.12 (dd, J=4.52, 3.01 Hz, 1H), 3.95 (br dd, J=9.91, 4.89 Hz, 1H), 3.82 (br d, J=8.53 Hz, 1H), 3.25 (s, 2H), 1.81 (s, 3H); LC/MS [M + H] = 532.0.
실시예 4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1
단계 1:
-78℃에서 N2 분위기 하에 THF(80㎖) 중의 에틴일사이클로프로판(4.96g, 75.02m㏖, 6.22㎖, 2 eq) 용액에 n-BuLi(2.5M, 30.01㎖, 2 eq)를 적가하였다. 용액을 -78℃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THF(60㎖) 중의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3aH)-온(16.0g, 37.51m㏖, 1 eq)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20℃로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어서, 이를 0℃로 냉각시키고 물(120㎖)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2×1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Combi-flash)(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5.8g, 86% 수율)을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20℃에서 피리딘(16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5.8g, 32.07m㏖, 1 eq)의 용액에 4-DMAP(4.70g, 38.48m㏖, 1.2 eq)와 Ac2O(9.01㎖, 96.21m㏖, 3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20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400㎖)로 세척하였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1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4.7g, 86% 수율)를 맑은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0℃에서 THF(15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4.7g, 27.49m㏖, 1 eq) 용액에 TBAF(1M, 41.24㎖, 1.5 eq)와 AcOH(1.18㎖, 20.62m㏖, 0.75 eq) 용액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30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400㎖), 염수(4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6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8.15g, 10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다이클로로에탄(80㎖) 중의 (3aR,5R,6R,6aR)-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8.15g, 27.50m㏖, 1 eq) 용액에 Rh2(OAc)4(1.00g, 2.26m㏖, 0.08 eq)와 다이클로로에탄(20㎖) 중의 다이에틸 다이아조말로네이트(10.24g, 55.01m㏖, 2 eq) 용액을 첨가하였다. 녹색 용액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15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9.52g, 76%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20℃에서 DMF(5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4.50g, 9.90m㏖, 1 eq) 용액에 Cs2CO3(9.68g, 29.71m㏖, 3 eq)와 브로민화벤질(1.76㎖, 14.85m㏖, 1.5 eq)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8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8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00㎖),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15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4.10g, 76% 수율)를 무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0℃에서 DCM(5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4.10g, 7.53m㏖, 1 eq) 용액에 H2O(10㎖)와 TFA(50㎖)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80㎖)를 이용하여 pH 대략 7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DCM(10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3.80g)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20℃에서 피리딘(40㎖)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3.80g, 7.53m㏖, 1 eq) 용액에 4-DMAP(2.76g, 22.60m㏖, 3 eq)와 Ac2O(5.64㎖, 60.25m㏖, 8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8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8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150㎖), 염수(1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91g, 66%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25℃에서 MeCN(24㎖)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980㎎, 1.66m㏖, 1 eq) 용액에 2-클로로아데닌(338.80㎎, 2.00m㏖, 1.2 eq)과 BSA(987.71㎕, 4.00m㏖, 2.4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0℃로 냉각시킨 다음, TMSOTf(444.06㎎, 2.00m㏖, 361.03㎕, 1.2 eq)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2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70㎎, 23%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THF(8㎖)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사이클로프로필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70㎎, 386.75μ㏖, 1 eq)의 용액에 수성 LiOH 용액(1M, 5.80㎖,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N HCl로 처리하여 pH 5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 1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4 (s, 1H) 7.14 - 7.27 (m, 2H) 7.01 - 7.08 (m, 3H) 5.92 (d, J=6.63 Hz, 1H) 4.70 - 4.83 (m, 1H) 4.24 (t, J=3.50 Hz, 1H) 4.02 (t, J=3.31 Hz, 2H) 3.31 - 3.45 (m, 2H) 1.25 - 1.33 (m, 1H) 0.72 - 0.79 (m, 2H) 0.63 - 0.71 (m, 2H); LC/MS [M + H] = 559.0.
실시예 5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클로로피리딘-4-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2
BnBr을 2-클로로-4-(클로로메틸)피리딘으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것과 같은 과정으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400 MHz) δ ppm 8.40 (s, 1H), 8.00 (d, J=5.13 Hz, 1H), 7.36 (s, 1H), 7.23 (d, J=5.13 Hz, 1H), 6.01 (d, J=7.63 Hz, 1H), 5.08 (d, J=7.63 Hz, 1H), 4.39 (dd, J=4.88, 2.75 Hz, 1H), 4.16 (dd, J=10.07, 5.19 Hz, 1H), 4.05 (dd, J=10.01, 2.63 Hz, 1H), 3.47 (s, 2H), 3.05 (s, 1H); LC/MS [M + H] = 553.1.
실시예 6
2-벤질-2-(((2R,3S,4R,5R)-5-(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3
단계 1:
0℃에서 THF(25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27.4g, 55.39m㏖, 1 eq)의 혼합물에 TBAF(1M, 83.09㎖, 1.5 eq) 중의 AcOH(2.38㎖, 41.54m㏖, 0.7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800㎖)과 EtOAc(30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EtOAc(3×200㎖)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사를 제공하였다. 잔사를 SiO2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1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6-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5.2g, 91% 수율)를 밝은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0℃에서 다이클로로에탄(150㎖) 중의 (3aR,5R,6R,6aR)-6-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15.2g, 59.32m㏖, 1 eq)의 혼합물에 다이클로로에탄(30㎖) 중에서 Rh2(OAc)4(1.31g, 2.97m㏖, 0.05 eq)와 다이에틸 다이아조말로네이트(13.25g, 71.18m㏖, 1.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N2 분위기 하에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다이클로로에탄(15㎖) 중의 추가적인 양의 다이에틸 다이아조말로네이트(6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1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5g, 61%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25℃에서 DMF(14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4g, 33.78m㏖, 1 eq)의 혼합물에 Cs2CO3(22.01g, 67.57m㏖, 2 eq)와 BnBr(6.02㎖, 50.68m㏖,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필터 케이크를 EtOAc(50㎖)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물(400㎖)로 희석시키고, EtOAc(3×1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13.3g, 78%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CM(100㎖)과 H2O(20㎖, 1.11㏖, 42 eq)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13.20g, 26.16m㏖, 1 eq)의 혼합물에 TFA(100㎖, 1.35㏖, 5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200㎖)을 첨가하였다. 수성상을 DCM(2×10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HCO3(2×100㎖), 염수(1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석유 에터:에틸 아세테이트 = 10:1 내지 1:3)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7.8g, 71% 수율)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15℃에서 피리딘(70㎖)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7.8g, 18.46m㏖, 1 eq)의 혼합물에 4-DMAP(6.77g, 55.39m㏖, 3 eq)와 Ac2O(17.29㎖, 184.65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40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EtOAc(3×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1N 수성 HCl(2×200㎖), 포화 수성 NaHCO3(300㎖), 염수(3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에틸 아세테이트 = 1:0 내지 2: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하는 생성물(7g)을 제공하였다. 이 생성물을 EtOH(10㎖)와 함께 분쇄하고 나서, 여과시켜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79g, 3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약간 불순물이 있는 추가적인 생성물(3g)을 제공하였다.
단계 6:
25℃에서 MeCN(3㎖)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16㎎, 0.21m㏖, 1.0 eq)의 용액에 유라실(28㎎, 0.25m㏖, 1.2 eq), 다음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124㎕, 0.51m㏖, 2.4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65℃에서 30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에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에 TMSOTf(46㎕, 0.25m㏖, 1.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가온시키고, 65℃에서 3시간 동안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되는 동안 가열하였다. 차가운 포화 수성 NaHCO3 용액(3㎖)을 이용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EtOAc(1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10㎖), 염수로 세척하고 나서,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7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생성물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4㎎, 82% 수율)를 제공하였다.
단계 7:
THF(1㎖)와 MeOH(2㎖)의 혼합물에서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0.166μ㏖, 1 eq)의 용액에 수성 LiOH 용액(1M, 3㎖)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물(2㎖)로 희석시키고 1N HCl로 처리하여 pH를 4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67㎎)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09 (bs, 1H), 7.86 (d, J=8 Hz, 1H), 7.33-7.16 (m, 5H), 6.01 (d, J=7 Hz, 1H), 5.07 (d, J=8 Hz, 1H), 4.45 (d, J=7 Hz, 1H), 4.22 (bs, 1H), 4.11-3.94 (m, 2H), 3.55-3.31 (m, 2H), 2.95 (s, 1H), ; LC/MS [M + H] = 461.0.
실시예 7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4
단계 1:
20℃에서 DMF(2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2g, 2.90m㏖, 1 eq)의 혼합물에 Cs2CO3(6.60g, 20.27m㏖, 7 eq)와 4-(클로로메틸) 피리딘 염산염(1.90g, 11.58m㏖, 4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필터 케이크를 EtOAc(20㎖)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물(60㎖)로 희석시키고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2×50㎖), 포화 수성 NH4Cl(50㎖), 염수(5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SiO2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4 내지 33%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900㎎, 61%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5㎖)와 H2O(1㎖, 55.51m㏖, 31.18 eq)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900㎎, 1.78m㏖, 1 eq)의 혼합물에 TFA(5㎖, 67.53m㏖, 37.9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감압 하에 DCM(3×10㎖)과 공비혼합하여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1.1g)를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20℃에서 피리딘(8㎖)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1.1g, 2.60m㏖, 1 eq)의 혼합물에 4-DMAP(952.17㎎, 7.79m㏖, 3 eq)와 Ac2O(2.43㎖, 25.98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30㎖)과 EtOAc(2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추가로 EtOAc(2×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20㎖), 0.5N 수성 HCl(2×10㎖) 및 염수(2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SiO2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25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피리딘-4-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640㎎, 45% 수율)를 갈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MeCN(1.5㎖) 중의 다이에틸 2-(피리딘-4-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0㎎, 72.79μ㏖, 1 eq)와 2-클로로-아데닌(13.58㎎, 80.07μ㏖, 1.1 eq)의 혼합물에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BSA(44.98㎕, 181.98μ㏖,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26.31㎕, 145.58μ㏖, 2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6㎖)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3×8㎖)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TLC(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13㎎, 26%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얻었다.
단계 5:
TH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피리딘-4-일메틸)-말로네이트(50㎎, 75.87μ㏖, 1 eq)의 혼합물에 1N 수성 LiOH(1㎖)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2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6 내지 7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4㎎)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50 (bs, 1H), 8.32 (d, J=4 Hz, 2H), 7.50 (d, J=5 Hz, 2H), 6.01 (d, J=7 Hz, 1H), 4.80 (d, J=6 Hz, 1H), 4.38 (q, J=3 Hz, 1H), 4.10-3.95 (m, 2H), 3.45 (bs, 2H), 3.06 (s, 1H); LC/MS [M + H] = 519.0.
실시예 8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5
단계 1:
0℃에서 N2 분위기 하에 DCM(20㎖) 중의 PPh3(4.28g, 16.31m㏖, 1.6 eq)과 CBr4(4.06g, 12.23m㏖, 1.2 eq)의 혼합물에 DCM(5㎖) 중의 퓨란-3-일메탄올 (1g, 10.19m㏖, 1 eq)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30㎖)로 반응 중단시키고, 이어서, EtOAc(2×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3-(브로모메틸)퓨란(2.9g)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20℃에서 DMF(5㎖)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g, 2.41m㏖, 1 eq)의 용액에 DMF(6㎖) 중의 Cs2CO3(2.36g, 7.24m㏖, 3 eq)와 조질의 3-(브로모메틸)퓨란(2.9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30㎖)과 EtOAc(3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20㎖), 포화 수성 NH4Cl(2×20㎖), 염수(2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SiO2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2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375㎎, 31% 수율)를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2㎖)과 H2O(0.4㎖, 22.20m㏖, 29 eq)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375㎎, 758.36μ㏖, 1 eq)의 혼합물에 TFA(2㎖, 27.01m㏖, 36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420㎎)를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20℃에서 피리딘(4㎖)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420㎎, 1.02m㏖, 1 eq)의 혼합물에 Ac2O(954㎕, 10.18m㏖, 10 eq)와 4-DMAP(373㎎, 3.06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5㎖)과 EtOAc(1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EtOAc(2×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10㎖), 0.5N 수성 HCl(2×5㎖), 염수(1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3: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퓨란-3-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95㎎, 17% 수율)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MeCN(1.2㎖) 중의 다이에틸 2-(퓨란-3-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 92.85μ㏖, 1 eq)와 2-클로로-아데닌(17.32㎎, 102.14μ㏖, 1.1 eq)의 혼합물에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BSA(57.38㎕, 232.13μ㏖,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33.56㎕, 185.70μ㏖, 2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2㎖)으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3×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17㎎, 29%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TH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퓨란-3-일메틸)-말로네이트(33㎎, 50.92μ㏖, 1 eq)의 혼합물에 1N 수성 LiOH(1㎖)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에 EtOAc(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렸다. 수성상을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를 2 내지 3으로 조절한 후에 이를 EtOAc(4×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MeCN(1㎖)과 H2O(1㎖)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0.0㎎, 3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48 (s, 1H) 7.81 (br s, 2H) 7.35 (s, 2H) 6.29 (s, 1H) 6.22 (br s, 1H) 6.02 (br d, J=6.50 Hz, 1H) 5.83 (d, J=7.50 Hz, 1H) 4.75 - 4.90 (m, 1H) 4.16 (dd, J=4.75, 2.75 Hz, 1H) 3.92 (br dd, J=10.07, 5.07 Hz, 1H) 3.77 (br d, J=8.00 Hz, 1H) 3.48 (s, 1H) 3.08 (s, 2H); LC/MS [M + H] = 507.9.
실시예 9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6
단계 1:
25℃에서 DMF(80㎖)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7.26g, 4.92m㏖, 1 eq) 용액에 K2CO3(13.60g, 98.40m㏖, 20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브로모메틸)-4-나이트로-벤젠(15.94g, 73.80m㏖, 15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300㎖)로 희석시키고, EtOAc(3×6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1-2: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나이트로벤질)말로네이트(2.36g)를 갈색 검으로서 얻었다.
단계 2:
0℃에서 EtOH (23㎖)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나이트로벤질)-말로네이트(2.26g, 2.81m㏖, 1 eq) 용액에 H2O(8.5㎖) 중의 Fe(786㎎, 14.07m㏖, 5 eq)와 NH4Cl(151㎎, 2.81m㏖, 1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아미노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80㎎)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0℃에서 DCM(3㎖) 중의 다이에틸 2-(4-아미노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80㎎, 362.14μ㏖, 1 eq) 용액에 1-클로로-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판(86.59㎎, 724.28μ㏖, 2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0-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0㎎, 33% 수율)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0℃에서 THF(1.2㎖) 중의 다이에틸 2-(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0㎎, 134.42μ㏖, 1 eq) 용액에 NaH(11㎎, 268.84μ㏖, 광유 중의 60%, 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0℃에서 H2O(0.2㎖)를 이용하여 반응 중단시켰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3 내지 4로 산성화시키고, 이어서,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77㎎, 7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0.5㎖) 중의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76㎎, 106.13μ㏖, 1 eq) 용액에 TFA(0.25㎖, 3.38m㏖, 3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포화 수성 NaHCO3 용액(5㎖)으로 재용해시키고,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6㎎, 1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8 (s, 1H), 7.11 (d, J=8.52 Hz, 2H), 7.02 (d, J=8.52 Hz, 2H), 5.99 (d, J=7.44 Hz, 1H), 4.79 (d, J=7.41 Hz, 1H), 4.29 (t, J=2.76 Hz, 1H), 4.01-3.91 (m, 2H), 3.54-3.41 (m, 4H), 3.36-3.32 (m, 2H), 3.05 (s, 1H), 2.03-1.94 (m, 2H); LC/MS [M + H] = 616.2.
실시예 10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피페리딘-1-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7
단계 1:
25℃에서 DCM(2㎖)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4-아미노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40㎎, 160μ㏖, 1 eq) 용액에 TEA(107㎎, 1.06m㏖, 147㎕, 6.59 eq) 다음에 5-클로로펜타노일 클로라이드(24.9㎕, 192μ㏖, 1.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DCM(20㎖)과 H2O(20㎖)로 분할하였다. 유기상을 H2O(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5-클로로펜탄아미도)-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30㎎, 69%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25℃에서 THF(2㎖) 중의 다이에틸 2-(4-(5-클로로펜탄아미도)-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4㎎, 105μ㏖, 1 eq)의 용액에 NaH(25.2㎎, 630μ㏖, 광유 중의 60%, 6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1㎖)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10㎖)와 물(2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2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5 내지 6으로 산성화한 후에 이를 EtOAc(20㎖)와 염수(10㎖)로 분할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피페리딘-1-일)벤질)말론산(58㎎)을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500㎕) 중의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피페리딘-1-일)벤질)말론산(58㎎, 81umol, 1 eq)의 혼합물에 TFA(400㎕, 5.40m㏖, 67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N 수성 LiOH(500㎕)를 이용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10㎖)와 물(1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2M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5 내지 6으로 조절하였다. 수성상을 EtOAc(2×20㎖)와 염수(5㎖)로 분할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6.9㎎, 1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32 (s, 1H) 7.33 (d, J=8.53 Hz, 2H) 6.98 (d, J=8.28 Hz, 2H) 5.98 (d, J=7.53 Hz, 1H) 4.79 (m, 1H) 4.28 (t, J=2.76 Hz, 1H) 4.04 (br s, 2H) 3.39 - 3.54 (m, 4H) 3.05 (s, 1H) 2.43 (m, 2H) 1.88 (br t, J=2.89 Hz, 4H); LC/MS [M + H] = 615.3.
실시예 11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톡시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8
단계 1:
25℃에서 아세톤(40㎖) 중의 3-브로모피리딘-2(1H)-온(2.25g, 12.93m㏖, 1 eq)의 용액에 K2CO3(4.47g, 32.33m㏖, 2.5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MOM-Cl(2.79㎖, 36.76m㏖, 2.84 eq)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40㎖)로 희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6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1.22g, 43% 수율)을 맑은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다이옥산(12㎖) 중의 3-브로모-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1.38g, 6.33m㏖, 1 eq)과 (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페닐)메탄올(1.06g, 6.96m㏖, 1.1 eq) 용액에 K2CO3(2.62g, 18.99m㏖, 3 eq), Pd(dppf)Cl2(463㎎, 632.89μ㏖, 0.1 eq) 및 H2O(4㎖)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로 10분 동안 탈기시킨 후에, 이어서, 80℃에서 16시간 동안 N2 분위기 하에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물(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5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4-(하이드록시메틸)페닐)-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1.30g, 84% 수율)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25℃에서 DCM(50㎖) 중의 PPh3(8.34g, 31.80m㏖, 6 eq) 용액에 CBr4(10.55g, 31.80m㏖, 6 eq)를 첨가하였다. 황색 현탁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DCM(10㎖) 중의 3-(4-(하이드록시메틸)페닐)-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1.30g, 5.30m㏖, 1 eq) 용액을 적가하였다. 황색 현탁액을 -2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MTBE(180㎖)로 희석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조질물(2.8g)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4-(브로모메틸)페닐)-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760㎎, 4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20℃에서 DMF(1.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130.18μ㏖, 1 eq) 용액에 K2CO3(53.97㎎, 390.54μ㏖, 3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4-(브로모메틸)페닐)-1-(메톡시메틸)피리딘-2(1H)-온(44.13㎎, 143.20μ㏖, 1.1 eq)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에틸 아세테이트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톡시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71㎎, 55% 수율)를 맑은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1.7㎖)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톡시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68㎎, 68.31μ㏖, 1 eq) 용액에 TFA(0.3㎖, 4.05m㏖, 59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반응 중단시켜 pH를 9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8㎖)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질물(98㎎)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톡시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1㎎, 38% 수율)를 무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TH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톡시-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0㎎, 25.15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503㎕, 2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8℃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2.1㎎, 1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45 (br s, 1H), 7.81 (br s, 2H), 7.67 (dd, J=6.75, 1.75 Hz, 1H), 7.51 (br d, J=6.75 Hz, 1H), 7.36 (br d, J=6.88 Hz, 2H), 7.20 (br d, J=7.50 Hz, 2H), 6.33 (t, J=6.75 Hz, 1H), 6.20 (br s, 1H), 6.01 (br d, J=6.88 Hz, 1H), 5.82 (d, J=7.50 Hz, 1H), 5.28 (s, 2H), 4.65-4.89 (m, 1H), 4.06-4.23 (m, 1H) 3.88-4.06 (m, 1H), 3.67-3.86 (m, 1H), 3.40-3.52 (m, 3H), 3.18-3.30 (m, 2H); LC/MS [M + H] = 655.1.
실시예 1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89
단계 1:
20℃에서 DMF(120㎖)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59g, 16.39m㏖, 1 eq)와 1-(브로모메틸)-4-아이오도-벤젠(48.67g, 163.90m㏖, 10 eq)의 용액에 K2CO3(33.98g, 245.85m㏖, 15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0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2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400㎖), 염수(4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15 내지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2.94g, 18%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다이옥산(1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1.10g, 1.12m㏖, 1 eq)와 (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보론산(310.53㎎, 2.24m㏖, 2 eq) 용액에 K2CO3(463.41㎎, 3.35m㏖, 3 eq), Pd(dppf)Cl2(81.78㎎, 111.77μ㏖, 0.1 eq) 및 H2O(4㎖)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로 10분 동안 탈기시키고, 이어서, 80℃에서 1시간 동안 N2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어두운 색의 혼합물을 물(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4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20㎎, 21%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2.4㎖)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80㎎, 189.20μ㏖, 1 eq) 용액에 TFA(0.6㎖, 8.10m㏖, 43 eq)를 첨가하였다. 황색 용액을 2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5㎖)로 반응 중단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4㎖)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질물(108㎎)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3㎎, 16%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THF(2.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3㎎, 30.62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0.6㎖, 20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로 산성화하고, 조질물(32㎎)을 황색 검으로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였다(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CAN]; B%: 15% 내지 35%, 10분). 생성물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2.1㎎, 1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4 (s, 1H), 7.46 (dd, J=6.88, 1.63 Hz, 1H), 7.28-7.34 (m, 5H), 6.39 (t, J=6.75 Hz, 1H), 5.96 (d, J=7.38 Hz, 1H), 4.77-4.84 (m, 1H), 4.29 (t, J=2.88 Hz, 1H), 4.03 (d, J=2.75 Hz, 2H), 3.38-3.51 (m, 2H), 3.04 (s, 1H); LC/MS [M + H] = 611.0.
실시예 1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카복시-[1,1'-바이페닐]-4-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0
단계 1:
DMF(0.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99.87㎎, 130.01μ㏖, 1 eq)의 혼합물에 K2CO3(53.90㎎, 390.03μ㏖,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D. Stoermer 등(J. of Med. Chem. 2012, 55, 5922-5932)에 의해 보고된 절차에 따라 제조한 메틸 4-(브로모메틸)-[1,1'-바이페닐]-2-카복실레이트(79.35㎎, 260.02μ㏖,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15.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4㎖)로 희석시키고,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5㎖)과 염수(5㎖)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메톡시-카보닐)-[1,1'-바이페닐]-4-일)메틸)말로네이트(70㎎, 53% 수율)를 무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메톡시카보닐)-[1,1'-바이페닐]-4-일)메틸)말로네이트(70㎎, 70.53μ㏖, 1 eq) 용액에 TFA(0.5㎖, 6.75m㏖, 96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를 이용하여 pH 7 내지 8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8㎖)과 염수(8㎖)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메톡시카보닐)-[1,1'-바이페닐]-4-일)메틸)말로네이트(40㎎, 71% 수율)를 무색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메톡시-카보닐)-[1,1'-바이페닐]-4-일)메틸)말로네이트(30㎎, 37.87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568㎕, 1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로 희석시키고, EtOAc(3×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렸다.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수상의 pH를 2로 조절하여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여 목적하는 생성물(28㎎)을 제1 수확물로서 제공하였다. 수성상을 추가로 EtOAc(4×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제2 수확물(10㎎)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이들 두 수확물을 합하고,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나서,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8.0㎎, 3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1 (s, 1H), 7.66 (s, 1H), 7.46 (br d, J=7.6 Hz, 1H), 7.24-7.32 (m, 3H), 7.12 (dd, J=7.1, 2.3 Hz, 2H), 7.07 (d, J=7.9 Hz, 1H), 5.99 (d, J=7.4 Hz, 1H), 4.84 (br s, 1H), 4.33 (br s, 1H), 4.02-4.16 (m, 2H), 3.43-3.60 (m, 2H), 3.03 (s, 1H); LC/MS [M + H] = 638.2.
실시예 1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페닐-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1
단계 1:
H2O(10㎖)와 MeCN(5㎖) 중의 2,6-다이클로로아데닌(0.8g, 4.23m㏖, 1 eq)의 용액에 페닐보론산(464.49㎎, 3.81m㏖, 0.9 eq), Cs2CO3(3.45g, 10.58m㏖, 2.5 eq), Pd(OAc)2(47.51㎎, 211.64μ㏖, 0.05 eq) 및 삼나트륨;3-비스(3-설포네이토페닐)포스판일벤젠설포네이트(601.50㎎, 1.06m㏖, 0.25 eq)를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H2O(50㎖)로 희석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5×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석유 에터(9㎖)와 EtOAc(3㎖)의 혼합물과 함께 분쇄하여 2-클로로-6-페닐-9H-퓨린(140㎎, 14%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MeCN(0.5㎖) 중의 2-클로로-6-페닐-9H-퓨린(321.05㎎, 585.30μ㏖, 1 eq) 용액에 15℃에서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35㎎, 585.30μ㏖, 1 eq)와 BSA(347㎕, 1.40m㏖, 2.4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 30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126.91㎕, 702.35μ㏖, 1.2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40㎖)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2×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4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처음에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유:EtOAc = 1:0 내지 1:1)에 의해 정제하고, 이어서 분취 TLC(유:EtOAc = 1: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페닐-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35㎎)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페닐-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35㎎, 187.73μ㏖, 1 eq) 용액에 20℃에서 H2O(0.2㎖) 중의 LiOH . H2O(78.77㎎, 1.88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10㎖) 다음에 EtOAc(2㎖)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버리고 나서, 수성상을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수성상 EtOAc(3×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7.6㎎, 2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9.23 (s, 1H), 8.75 - 8.81 (m, 2H), 7.61 - 7.68 (m, 3H), 7.07 - 7.22 (m, 5H), 6.03 (d, J=6.53 Hz, 1H), 4.62 (d, J=6.53 Hz, 1H), 4.20 (dd, J=6.90, 2.64 Hz, 1H), 3.72 (br dd, J=9.91, 7.15 Hz, 2H), 3.55 (s, 1H), 3.03 (br d, J=1.51 Hz, 2H); LC/MS [M + H] = 579.1.
실시예 15
2-알릴-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2
단계 1:
DMF(1㎖)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600㎎, 1.45m㏖, 1 eq) 용액에 브로민화알릴(263㎎, 2.17m㏖, 1.5 eq)과 Cs2CO3(943㎎, 2.90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5㎖)로 희석시키고, EtOAc(4×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물(10㎖), 염수(1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알릴말로네이트(685㎎)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5㎖)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알릴말로네이트(685㎎, 1.51m㏖, 1 eq) 용액에 TFA(5㎖, 67.53m㏖, 45 eq)와 H2O(1㎖, 55.51m㏖, 37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5㎖)로 희석시키고, 고체 NaHCO3을 이용하여 pH 7 내지 8로 조절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DCM과 MeOH(4×12㎖; 10:1/v:v)의 혼합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포화 수성 NaHCO3(8㎖), 염수(8㎖)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알릴말로네이트(580㎎)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피리딘(5㎖)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알릴말로네이트(580㎎, 1.40m㏖, 1 eq) 용액에 Ac2O(1.31㎖, 14.00m㏖, 10 eq)와 4-DMAP(513㎎, 4.20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5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5㎖)로 희석시키고,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0.5N 수성 HCl(2×8㎖), NaHCO3(2×8㎖), 염수(8㎖)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5:1 내지 2:1)에 의해 정제하여 (420㎎, 60%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MeCN(5㎖) 중의 다이에틸 2-알릴-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60㎎, 722.20μ㏖, 1 eq)와 2-클로로-9H-퓨린-6-아민(135㎎, 794.42μ㏖, 1.1 eq)의 혼합물에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BSA(446.28㎕, 1.81m㏖,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MeCN(1㎖) 중의 TMSOTf(261.00㎕, 1.44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15㎖)으로 반응 중단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EtOAc(4×10㎖)로 추출하고, 포화 염수(8㎖)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알릴-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90㎎)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THF(0.5㎖) 중의 다이에틸 2-알릴-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164.47μ㏖, 1 eq) 용액에 LiOH . H2O(6.90㎎, 164.47μ㏖, 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6㎖)로 희석시키고, EtOAc(3×4㎖)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렸다. 2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수성상의 pH를 2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수성상을 EtOAc(4×6㎖)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6㎖)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고체를 제공하였다. 고체를 MeCN(1㎖)과 물(1㎖)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직접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65.2㎎, 8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83 (s, 1H) 6.05 (d, J=7.5 Hz, 1H) 5.84 (br dd, J=17.2, 10.2 Hz, 1H) 5.15 (dd, J=17.2, 1.6 Hz, 1H) 4.99 - 5.05 (m, 2H) 4.27 (t, J=2.5 Hz, 1H) 4.00 (dd, J=10.2, 2.6 Hz, 1H) 3.79 (dd, J=10.3, 2.8 Hz, 1H) 3.06 (s, 1H) 2.88 (d, J=7.3 Hz, 2H); LC/MS [M + H] = 467.9.
실시예 16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에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3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EtBr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53 - 8.83 (m, 1H) 7.81 (br s, 2H) 5.91 - 6.40 (m, 2H) 5.83 (d, J=7.88 Hz, 1H) 4.91 (d, J=7.75 Hz, 1H) 4.14 (t, J=2.88 Hz, 1H) 3.75 (dd, J=10.26, 3.25 Hz, 1H) 3.56 (s, 1H) 3.47 - 3.51 (m, 1H) 1.93 - 2.04 (m, 2H) 0.76 (t, J=7.38 Hz, 3H); LC/MS [M + H] = 455.9.
실시예 17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4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브로민화메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3.38 (br s, 2H) 8.69 (s, 1H) 7.82 (br s, 2H) 6.17 (br s, 1H) 5.98 (br d, J=7.25 Hz, 1H) 5.82 (d, J=7.63 Hz, 1H) 4.85 (br t, J=6.94 Hz, 1H) 4.15 (t, J=2.75 Hz, 1H) 3.83 (dd, J=10.13, 3.25 Hz, 1H) 3.53 - 3.65 (m, 2H) 1.52 (s, 3H); LC/MS [M + H] = 441.8.
실시예 1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티오펜-2-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5
단계 1: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MeCN(5㎖)과 H2O (10㎖) 중의 2-클로로아데닌(800㎎, 4.23m㏖, 1 eq)의 혼합물에 4,4,5,5-테트라메틸-2-(티오펜-2-일)-1,3,2-다이옥사보롤란(800.37㎎, 3.81m㏖, 0.9 eq), Pd(OAc)2(47.51㎎, 211.64μ㏖, 0.05 eq), Cs2CO3(3.45g, 10.58m㏖, 2.5 eq) 및 트라이페닐포스핀-3,3'-3"-트라이설폰산 삼나트륨 염(601.50㎎, 1.06m㏖, 0.2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EtOAc(3×20㎖)와 H2O(10㎖)로 분할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H2O(2×1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석유 에터:EtOAc = 3:1)와 함께 분쇄하고, 1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침전물을 흡인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건조시켜 2-클로로-6-(티오펜-2-일)-9H-퓨린(190㎎, 19%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0℃에서 MeCN(3㎖) 중의 2-클로로-6-(티오펜-2-일)-9H-퓨린(140㎎, 591.51μ㏖, 1 eq)과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24.47㎎, 591.51μ㏖, 1 eq)의 혼합물에 DBU(267㎕, 1.77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TMSOTf(481㎕, 2.66m㏖, 4.5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N2 분위기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EtOAc(3×20㎖)와 포화 수성 NaHCO3(2×10㎖)로 분할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염수(2×2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2: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티오펜-2-일)-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50㎎, 31%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티오펜-2-일)-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50㎎, 206.85μ㏖, 1 eq)의 혼합물에 LiOH . H2O(2M, 2㎖, 19.34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EtOAc(10㎖)와 물(10㎖)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2M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대략 2로 조절하였다. 수성상을 EtOAc(40㎖)와 염수(20㎖)로 분할하였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N];B%: 43% 내지 63%,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 화합물(31.6㎎, 2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87 (s, 1H) 8.60 (dd, J=3.76, 1.25 Hz, 1H) 8.02 (dd, J=5.02, 1.00 Hz, 1H) 7.36 (dd, J=4.89, 3.89 Hz, 1H) 7.16 - 7.28 (m, 2H) 6.93 - 7.10 (m, 3H) 6.31 (br s, 1H) 6.11 (br d, J=6.02 Hz, 1H) 5.99 (d, J=7.53 Hz, 1H) 4.88 - 4.97 (m, 1H) 4.23 (dd, J=4.27, 2.76 Hz, 1H) 3.99 (br dd, J=10.42, 4.39 Hz, 1H) 3.84 (br d, J=8.53 Hz, 1H) 3.56 (s, 1H) 3.26 (s, 2H); LC/MS [M + H] = 585.0.
실시예 19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6
단계 1:
아세톤(100㎖) 중의 3-브로모피리딘-2(1H)-온(3g, 17.24m㏖, 1 eq) 용액에 K2CO3(11.91g, 86.21m㏖, 5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브로모프로판(4.71㎖, 51.73m㏖, 3 eq)과 KI(859㎎, 5.17m㏖, 0.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적인 양의 1-브로모프로판(1.0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50㎖)로 희석시키고, EtOAc(3×4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1-프로필피리딘-2(1H)-온(1.23g, 33% 수율)을 맑은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다이옥산(18㎖) 중의 3-브로모-1-프로필피리딘-2(1H)-온(1.79g, 8.28m㏖, 1 eq)과 (4-(하이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1.38g, 9.11m㏖, 1.1 eq) 용액에 K2CO3(3.43g, 24.84m㏖, 3 eq), Pd(dppf)Cl2(606㎎, 828.00μ㏖, 0.1 eq) 및 H2O(6㎖)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N2로 10분 동안 탈기시키고, 이어서, 80℃에서 16시간 동안 N2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시켰다.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 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5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3-(4-(하이드록시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1.84g, 91% 수율)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15㎖) 중의 PPh3(1.94g, 7.40m㏖, 6 eq) 용액에 -25℃에서 CBr4(2.45g, 7.40m㏖, 6 eq)를 첨가하였다. 황색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DCM(3㎖) 중의 3-(4-(하이드록시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300㎎, 1.23m㏖, 1 eq)을 적가하였다. 황색 현탁액을 -2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여 황색 현탁액을 생성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MTBE(50㎖)로 희석시켜 더 많은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 플래시(실리카겔 칼럼, 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10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3-(4-(브로모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243㎎, 64% 수율)을 맑은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MF(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54㎎, 721.20μ㏖, 1 eq) 용액에 K2CO3(299.03㎎, 2.16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3-(4-(브로모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242.91㎎, 793.32μ㏖, 1.1 eq)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30㎖)로 희석시키고,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1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 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3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09㎎)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209㎎, 210.38μ㏖, 1 eq) 용액에 TFA(0.7㎖, 9.45m㏖, 44.94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5㎖)에 의해 반응 중단시키고, EtOAc(4×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 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7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91㎎, 5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TH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91㎎, 114.72μ㏖, 1 eq) 용액에 1N 수성 LiOH(1㎖)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5㎖)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EtOAc(2×10㎖)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버렸다. 수성층을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이어서, EtOAc(4×8㎖)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MeOH(5㎖)와 물(20㎖)의 혼합물에 용해시키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51㎎, 6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8 (s, 1H), 7.53 (dd, J=6.80, 2.0 Hz, 1H), 7.28-7.39 (m, 5H), 6.34 (t, J=6.9 Hz, 1H), 5.96 (d, J=7.6 Hz, 1H), 4.77 (d, J=7.6 Hz, 1H), 4.28 (s, 1H), 4.07-4.15 (m, 1H), 4.01 (dd, J=10.3, 2.8 Hz, 1H), 3.92 (t, J=7.4 Hz, 2H), 3.39-3.58 (m, 2H), 3.06 (s, 1H), 1.65-1.80 (m, 2H), 0.94 (t, J=7.4 Hz, 3H); LC/MS [M + H] = 653.1.
실시예 20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7
상기 실시예 19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프로필을 브로민화에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5 (s, 1H), 7.53 (dd, J=6.6, 1.3 Hz, 1H), 7.25-7.38 (m, 5H), 6.32 (t, J=6.9 Hz, 1H), 5.96 (d, J=7.6 Hz, 1H), 4.78 (d, J=7.5 Hz, 1H), 4.30 (s, 1H), 4.09-4.15 (m, 1H), 3.95-4.04 (m, 3H), 3.39-3.58 (m, 2H), 3.06 (s, 1H), 1.28-1.32 (m, 3H); LC/MS [M + H] = 639.1.
실시예 21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하이드록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8
단계 1:
20℃에서 아세톤(100㎖) 중의 3-브로모피리딘-2(1H)-온(3g, 17.24m㏖, 1 eq)의 혼합물에 KI(859㎎, 5.17m㏖, 0.3 eq), K2CO3(5.96g, 43.10m㏖, 2.5 eq) 및 2-브로모에탄올(4.90㎖, 68.97m㏖, 4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필터 케이크를 EtOAc(100㎖)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사를 제공하였다.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5:1 내지 0:1)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1-(2-하이드록시에틸)피리딘-2(1H)-온(2.2g, 59% 수율)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20℃에서 DMF(15㎖) 중의 3-브로모-1-(2-하이드록시에틸)피리딘-2(1H)-온(2.2g, 10.09m㏖, 1 eq)의 혼합물에 이미다졸(1.72g, 25.22m㏖, 2.5 eq)과 TBDPSCl(5.18㎖, 20.18m㏖, 2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60㎖)로 희석시키고, EtOAc(3×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포화 수성 NH4Cl(2×30㎖), 염수(3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EtOAc = 1:0 내지 6:1)에 의해 정제하여 3-브로모-1-(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에틸)-피리딘-2(1H)-온(3.75g, 79% 수율)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내지 8:
상기 실시예 19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4-(브로모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을 3-브로모-1-(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에틸)-피리딘-2(1H)-온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3 (s, 1H), 7.50-7.57 (m, 1H), 7.41-7.47 (m, 1H), 7.39 (d, J=8.13 Hz, 2H), 7.29 (br d, J=8.13 Hz, 2H), 6.35 (t, J=6.88 Hz, 1H), 5.98 (d, J=7.13 Hz, 1H), 4.71 (d, J=7.00 Hz, 1H), 4.30 (br s, 1H), 3.93-4.16 (m, 4H), 3.83 (m, 2H), 3.36-3.50 (m, 2H), 3.05 (s, 1H); LC/MS [M + H] = 655.1.
실시예 2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메톡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099
단계 1:
25℃에서 다이옥산(9㎖)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900㎎, 914.47μ㏖, 1 eq)와 (2-메톡시-3-피리딜)보론산(168㎎, 1.10m㏖, 1.2 eq) 용액에 K2CO3(379㎎, 2.74m㏖, 3 eq), Pd(dppf)Cl2(67㎎, 91.45μ㏖, 0.1 eq) 및 H2O(3㎖)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잠시 동안 N2로 탈기시키고, 이어서, 80℃로 1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물(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콤비-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5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메톡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17㎎, 13%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3㎖)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메톡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90㎎, 93.23μ㏖, 1 eq) 용액에 TFA(0.4㎖, 5.40m㏖, 58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4㎖)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3×4㎖)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메톡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42㎎)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2.5㎖)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메톡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42㎎, 54.89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0.8㎖, 1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6㎎, 1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0 (s, 1H), 8.01 (dd, J=4.94, 1.69 Hz, 1H), 7.48 (dd, J=7.25, 1.63 Hz, 1H), 7.24 - 7.35 (m, 4H), 6.93 (dd, J=7.32, 5.07 Hz, 1H), 5.97 (d, J=7.50 Hz, 1H), 4.89 - 4.96 (m, 1H), 4.29 (br s, 1H), 4.05 (br d, J=5.00 Hz, 2H), 3.76 (s, 3H), 3.51 (br d, J=14.76 Hz, 1H), 3.42 (br d, J=14.51 Hz, 1H), 3.01 (s, 1H); LC/MS [M + H] = 625.1.
실시예 2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0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벤질을 1-(브로모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젠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3 (s, 1H), 7.09-7.25 (m, 3H), 6.95-6.98 (d, J = 8.1 Hz, 1H), 6.01-6.04 (d, J = 7.32 Hz, 1H), 5.00-5.03 (d, J = 7.41 Hz, 1H), 4.35-4.37 (t, J = 3.33 Hz, 1H), 4.05-4.15 (m, 2H), 3.38-3.53 (q, J = 15 Hz, 2H), 2.99 (s, 1H); LC/MS [M + H] = 602.0.
실시예 24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1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벤질을 3-(브로모메틸)티오펜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39 (s, 1H), 7.09-7.17 (m, 2H), 6.98-7.00 (d, J = 5.04.0 Hz, 1H), 6.01-6.04 (d, J = 7.47 Hz, 1H), 5.00-5.02 (d, J = 7.29 Hz, 1H), 4.32-4.34 (t, J = 2.76 Hz, 1H), 4.01-4.11 (m, 2H), 3.41-3.54 (q, J = 15 Hz, J = 9.03 Hz, 2H), 2.98 (s, 1H); LC/MS [M + H] = 524.0.
실시예 25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프로프-2-인-1-일)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2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벤질을 브로민화프로파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6 (s, 1H), 6.07-6.09 (d, J = 7.53 Hz, 1H), 5.01-5.04 (d, J = 7.53 Hz, 1H), 4.29-4.30 (m, 1H), 3.92-4.05 (m, 2H), 3.01-3.15 (m, 2H), 2.99 (s, 1H), 2.28-2.30 (t, J = 2.58 Hz, 1H); LC/MS [M + H] = 467.
실시예 26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3
단계 1:
0℃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CH2Cl2(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00㎎, 0.26m㏖) 용액에 TFA(0.5㎖)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나서, 가온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따. 추가적인 양의 TFA(0.4㎖)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추가 1.5시간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5×5㎖)과 공비혼합하여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제공하였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2:
MeOH(8.5㎖)와 물(1.5㎖)의 혼합물에서 앞 단계로부터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0.26m㏖) 용액에 분말 수산화리튬 일수화물(86㎎, 2.08m㏖)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추가적인 물(11㎖)로 희석시키고, EtOAc(1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버렸다. 수성상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대략 2.5로 산성화시키고, EtOAc(3×1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45.5㎎)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4 (s, 1H), 6.08 (d, J = 7.52 Hz, 1H), 5.05 (d, J = 7.52 Hz, 1H), 4.65 (s, 1H), 4.29 (t, J = 2.40 Hz, 1H), 4.06 (dd, J = 10.7, 2.5 Hz, 1H), 3.93 (dd, J = 10.64, 2.50 Hz, 1H), 3.12 (s, 1H); LC/MS [M + H] = 428.
실시예 27
2-(((2R,3S,4R,5R)-3-((1H-피라졸-3-일)에틴일)-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4
단계 1:
아르곤 분위기 하에 THF(10㎖) 중의 3-아이오도-1H-피라졸(407㎎, 2.1m㏖), PdCl2(PPh3)2 (82㎎, 0.12m㏖), CuI (22㎎, 0.12m㏖)와 Et3N(10㎖)의 혼합물에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g, 1.2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60 내지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3㎖)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0.12m㏖) 용액에 TFA(1㎖)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THF(5㎖)와 H2O(2㎖)의 혼합물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 용액에 LiOH . H2O (50㎎, 1.2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5로 산성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6 (s, 1H), 7.56-7.76 (m, 1H), 6.50-6.57 (m, 1H), 6.12-6.14 (d, J = 7.14 Hz, 1H), 5.13-5.15 (d, J = 6.78 Hz, 1H), 4.63-4.70 (m, 1H), 4.38 (s, 1H), 3.99-4.13 (m, 2H); LC/MS [M + H] = 495.
실시예 28 및 29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1-벤질-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1-벤질-1H-피라졸-5-일)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5
단계 1:
0℃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무수 DMF(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0.12m㏖) 용액에 오븐 건조된 Cs2CO3(78㎎, 0.24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에 브로민화벤질(29 ul, 0.24m㏖)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15㎖)와 H2O(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1-벤질-1H-피라졸-3-일)에틴일)-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 및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1-벤질-1H-피라졸-5-일)에틴일)-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제공하였다.
단계 2 내지 3:
상기 실시예 27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재하였지만,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1-벤질-1H-피라졸-3-일)에틴일)-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실시예 28) 산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5 (s, 1H), 7.685 (s, 1H), 7.22-7.38 (m, 5H), 6.50 (s, 1H), 6.10-6.13 (d, J = 7.05 Hz, 1H), 5.35 (s, 2H), 5.16-5.18 (d, J = 7.35 Hz, 1H), 4.68-4.76 (m, 1H), 4.38 (s, 1H), 3.96-4.16 (dd, J = 9.84 Hz, J = 17 Hz, 2H); LC/MS [M + H] = 585.
단계 4 내지 5:
상기 실시예 27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재하였지만, 다이에틸 2-(((2R,3R,4R,5R)-3-((1H-피라졸-3-일)에틴일)-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1-벤질-1H-피라졸-5-일)에틴일)-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실시예 29)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88 (s, 1H), 7.53 (s, 1H), 7.23-7.35 (m, 5H), 6.59 (s, 1H), 6.10-6.13 (d, J = 6.09 Hz, 1H), 5.46 (s, 2H), 5.15-5.17 (d, J = 6.9 Hz, 1H), 4.35-4.41 (m, 2H), 3.71-4.01 (dd, J = 10.71, J = 33, 2H); LC/MS [M + H] = 585.
실시예 30 및 31
2-벤질-2-(((2R,3S,4R,5R)-5-(5-클로로-7-(아이소프로필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
2-벤질-2-(((2R,3S,4R,5R)-5-(2-클로로-6-(다이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6
단계 1:
25℃에서 MeCN(6㎖)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0㎎, 0.91m㏖) 용액에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223㎎, 1.18m㏖) 다음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535㎕, 2.19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5℃에서 15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TMSOTf(262㎎, 1.18m㏖)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되는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차가운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1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7-다이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무수 DMF(1㎖)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7-다이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80㎎, 0.12m㏖)를 함유하는 밀봉관에 아이소프로필 아민(0.5㎖, 5.9m㏖)과 Et3N(1㎖, 7.1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72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EtOAc(15㎖)와 H2O(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S,4R,5R)-5-(5-클로로-7-(아이소프로필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 및 다이에틸 2-벤질-2-(((2R,3S,4R,5R)-5-(5-클로로-7-(다이메틸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3㎖)와 H2O(1㎖)의 혼합물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5R)-5-(5-클로로-7-(아이소프로필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 0.016m㏖) 용액에 LiOH . H2O(10㎎, 0.24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5로 산성화하였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벤질-2-(((2R,3S,4R,5R)-5-(5-클로로-7-(아이소프로필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5 (s, 1H), 7.25-7.28 (m, 2H), 7.05 (m, 3H), 6.43 (s, 1H), 6.06-6.08 (d, J = 7.17 Hz, 1H), 4.95-4.98 (d, J = 7.05 Hz, 1H), 4.32 (s, 1H), 4.05-4.11 (m, 2H), 3.89-3.93 (m, 1H), 3.31-3.39 (m, 2H), 2.99 (s, 1H), 1.30-1.33 (m, 6H); LC/MS [M + H] = 560.
단계 4:
THF(3㎖)와 H2O(1㎖)의 혼합물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5R)-5-(5-클로로-7-(다이메틸-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1㎎, 0.035m㏖) 용액에 LiOH . H2O(30㎎, 0.71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5로 산성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68 (s, 1H), 7.21-7.24 (m, 2H), 6.99-7.03 (m, 3H), 6.49 (s, 1H), 6.15-6.17 (d, J = 7.08 Hz, 1H), 4.99-5.02 (d, J = 7.17 Hz, 1H), 4.35-4.37 (t, J = 3.12 Hz, 1H), 4.07-4.08 (m,2H), 3.36-3.50 (m, 8H), 2.99 (s, 1H); LC/MS [M + H] = 546.
실시예 32
2-(((2R,3S,4R,5R)-5-(2-클로로-6-((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7
단계 1 내지 3: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3-(브로모메틸)티오펜으로 대체하여 다이에틸 2-(티오펜-3-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25℃에서 MeCN(6㎖) 중의 5,7-다이클로로-1H-이미다조[4,5-b]피리딘(238㎎, 1.26m㏖) 용액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571㎕, 2.34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5℃에서 15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다이에틸 2-(티오펜-3-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40㎎, 0.97m㏖)와 TMSOTf(228 ul, 1.26m㏖)를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모든 출발 물질이 소모되는 동안 85℃에서 2.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차가운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1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로네이트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1,4-다이옥산(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로네이트(100㎎, 0.146m㏖) 용액에 TEA(20㎕, 0.146m㏖) 다음에 에탄올아민(13 ul, 0.219m㏖)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15㎖)와 H2O(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로네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6:
THF(4㎖)와 H2O(1㎖)의 혼합물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로네이트 용액에 LiOH . H2O(80㎎, 1.91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5로 산성화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32 (s, 1H), 7.09-7.16 (m, 2H), 6.97-6.99 (m, 1H), 6.00-6.03 (d, J = 7.41 Hz, 1H), 4.99-5.02 (d, J = 7.38 Hz, 1H), 4.32-4.34 (t, J = 3.03 Hz, 1H), 4.00-4.11 (m,2H), 3.65-3.79 (m, 4H), 3.40-3.53 (q, J = 15.42 Hz, J = 5.79 Hz, 2H), 2.98 (s, 1H); LC/MS [M + H] = 568.0.
실시예 33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8
상기 실시예 3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에탄올아민을 i-PrNH2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8 (s, 1H), 7.08-7.16 (m, 2H), 6.97-6.99 (m, 1H), 5.99-6.02 (d, J = 7.38 Hz, 1H), 5.00-5.02 (d, J = 7.35 Hz, 1H), 4.31-4.43 (m, 2H), 4.00-4.12 (m,2H), 3.40-3.53 (q, J = 15.63 Hz, J = 5.4 Hz, 2H), 2.98 (s, 1H), 1.27-1.32 (m, 6H); LC/MS [M + H] = 566.0.
실시예 3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09
단계 1:
건조 CH3CN(15㎖) 중의 2,6-다이클로로-9H-퓨린 (690㎎, 3.65m㏖) 용액에 주사기를 통해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0.28㎖, 1.12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5℃로 아르곤 분위기 하에 5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주위로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에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g, 3.65m㏖) 다음에 TMSOTf(0.09㎖, 0.494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95℃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물(60㎖)과 EtOAc(60㎖)로 희석시킨다. 유기상을 동일 용적의 포화 NaHCO3 용액과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2×30㎖)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 내지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61g)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건조 다이옥산(1㎖)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2㎎, 0.15m㏖)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0.02㎖, 0.15m㏖)과 3-아미노프로판올(16㎎, 0.212m㏖)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5㎖)과 DCM(15㎖)으로 희석시키고, 유기상을 수집하였다. 유기층을 염수(15㎖)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2×10㎖)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맑은 점성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H2O(0.2㎖), MeOH(1㎖)와 THF(0.28㎖)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3-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0.15m㏖) 용액에 분말 LiOH 일수화물(43㎎, 1.05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추가적인 LiOH 일수화물(7㎎)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를 1시간 동안 계속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나서, 잔사를 물(10㎖)과 EtOAc(10㎖)로 희석시켰다.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대략 3으로 산성화하였다. 유기상을 수집하고 나서, 수성상을 EtOAc(2×10㎖)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EtOAc 상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9 (bs, 1H), 7.21-7.3 (m, 2H), 7.00-7.10 (m, 3H), 6.00 (d, J = 7.36 Hz, 1H), 4.98 (d, J = 7.36 Hz, 1H), 4.33 (t, J = 3.18 Hz, 1H), 4.02-4.15 (m, 2H), 3.68 (t, J = 6.18 Hz, 2H), 3.59-3.72 (m, 2H), 3.47 (d, J = 14.95 Hz, 1H), 3.38 (d, J = 14.95 Hz, 1H), 2.99 (s, 1H), 1.84-1.95 (m, 2H); LC/MS [M + H] = 576.0.
실시예 3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2-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0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R)-1-아미노프로판-2-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9 (bs, 1H), 7.22-7.30 (m, 2H), 7.02-7.10 (m, 3H), 6.01 (d, J = 7.38 Hz, 1H), 4.98 (d, J = 7.38 Hz, 1H), 4.33 (t, J = 3.17 Hz, 1H), 3.99-4.13 (m, 3H), 3.58-3.69 (m, 1H), 3.43 (qt, J = 14.64 Hz, 2H), 3.41-3.55 (m, 1H), 2.99 (s, 1H), 1.24 (d, J = 6.30 Hz, 3H); LC/MS [M + H] = 576.0.
실시예 3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2-하이드록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1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S)-1-아미노프로판-2-올로 대체한 다음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9 (bs, 1H), 7.23-7.29 (m, 2H), 7.03-7.10 (m, 3H), 6.00 (d, J = 7.35 Hz, 1H), 4.96 (d, J = 7.35 Hz, 1H), 4.32 (t, J = 3.30 Hz, 1H), 3.98-4.13 (m, 3H), 3.59-3.68 (m, 1H), 3.35-3.55(m, 3H), 2.99 (s, 1H), 1.25 (d, J = 6.30 Hz, 3H); LC/MS [M + H] = 576.0.
실시예 37
2-벤질-2-(((2R,3S,4R,5R)-5-(6-(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2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다이에탄올아민으로 대체한 다음,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6 (s, 1H), 7.22-7.29 (m, 2H), 6.99-7.09 (m, 3H), 6.02 (d, J = 7.33 Hz, 1H), 4.97 (d, J = 7.33 Hz, 1H), 4.00-4.37 (m, 2H), 4.29-4.34 (m, 2H), 4.03-4.13 (m, 3H), 3.84-3.91 (m, 4H), 3.46 (d, J = 14.92 Hz, 1H), 3.37 (d, J = 14.92 Hz, 1H), 2.98 (s, 1H); LC/MS [M + H] = 606.0.
실시예 3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메톡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3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2-메톡시에틸아민으로 대체한 다음,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7 (bs, 1H), 7.22-7.30 (m, 2H), 7.01-7.09 (m, 3H), 6.01 (d, J = 7.33 Hz, 1H), 4.98 (d, J = 7.33 Hz, 1H), 4.33 (t, J = 3.20 Hz, 1H), 4.03-4.13 (m, 2H), 3.69-3.79 (m, 2H), 3.62 (t, J = 5.13 Hz, 2H), 3.47 (d, J = 14.89 Hz, 1H), 3.40 (s, 3H), 3.38 (d, J = 14.89 Hz, 1H), 2.99 (s, 1H); LC/MS [M + H] = 576.0.
실시예 3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메톡시에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4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2-메톡시에틸)메틸아민으로 대체하고, 이어서,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8 (bs, 1H), 7.22-7.29 (m, 2H), 6.99-7.09 (m, 3H), 6.02 (d, J = 7.21 Hz, 1H), 4.98 (d, J = 7.21 Hz, 1H), 4.32 (t, J = 3.41 Hz, 1H), 4.03-4.14 (m, 2H), 3.68 (t, J = 5.42 Hz, 2H), 3.34-3.49 (m, 7H), 3.36 (s, 3H), 2.99 (s, 1H); LC/MS [M + H] = 590.0.
실시예 40
2-벤질-2-(((2R,3S,4R,5R)-5-(2-클로로-6-(((1-하이드록시사이클로뷰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5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1-(아미노메틸)사이클로부탄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8 (bs, 1H), 7.23-7.29 (m, 2H), 7.01-7.09 (m, 3H), 6.01 (d, J = 7.36 Hz, 1H), 4.98 (d, J = 7.36 Hz, 1H), 4.32 (t, J = 3.21 Hz, 1H), 4.03-4.11 (m, 2H), 3.73-3.79 (m, 2H), 3.36-3.50 (m, 2H), 2.99 (s, 1H), 2.03-2.21 (m, 4H), 1.59-1.85 (m, 2H); LC/MS [M + H] = 602.0.
실시예 4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하이드록시아제티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6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아제티딘-3-올로 대체하고, 이어서,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9 (bs, 1H), 7.21-7.29 (m, 2H), 6.99-7.11 (m, 3H), 6.01 (d, J = 7.33 Hz, 1H), 5.01 (d, J = 7.33 Hz, 1H), 4.57-4.82 (m, 3H), 4.33 (t, J = 3.39 Hz, 1H), 4.14-4.27 (m, 2H), 4.07 (qd, J = 4.04, 2.92 Hz, 2H), 3.30-3.50 (m, 2H), 2.98 (s, 1H); LC/MS [M + H] = 574.0.
실시예 4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하이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7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아제티딘-2-일메탄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7-8.29 (m, 1H), 7.22-7.28 (m, 2H), 7.01-7.12 (m, 3H), 5.98-6.03 (m, 1H), 4.98 (d, J=7.30 Hz, 1H), 4.27-4.45 (m, 3H), 4.00-4.13 (m, 3H), 3.83-3.92 (m, 1H), 3.33-3.50 (m, 3H), 2.99 (s, 0.5H), 2.97 (s, 0.5H), 2.49-2.63 (m, 1H), 2.31-2.64 (m, 1H); LC/MS [M + H] = 588.0.
실시예 4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1-(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8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1-아미노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8 (s, 1H), 7.22-7.32 (m, 2H), 7.02-7.11 (m, 3H), 6.01 (d, J=7.36 Hz, 1H), 4.96 (d, J=7.36 Hz, 1H), 4.32 (t, J=3.24 Hz, 1H), 4.02-4.14 (m, 2H), 3.76 (bs, 2H), 3.46 (d, J=15.04 Hz, 1H), 3.38 (d, J=15.04 Hz, 1H), 2.99 (s, 1H), 0.88-1.03 (m, 4H); LC/MS [M + H] = 588.0.
실시예 4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1-하이드록시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19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1-(아미노메틸)사이클로프로판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8 (s, 1H), 7.08-7.25 (m, 5H), 5.98-6.02 (d, J=7 Hz, 1H), 4.93-4.97 (m, 2H), 4.30 (bs, 1H), 3.98-4.10 (m, 2H), 3.71 (bs, 2H), 3.39-3.51 (m, 2H), 3.00-3.13 (s 1H), 0.71-0.80 (m, 4H); LC/MS [M + H] = 588.2.
실시예 4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뷰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0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사이클로뷰틸메탄아민으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19 (s, 1H), 7.24-7.27 (m, 2H), 7.05-7.07 (m, 3H), 5.98-6.01 (d, J= 8 Hz, 1H), 4.93-4.95 (d, J= 7 Hz, 1Hz), 4.31-4.33 (bs, 1H), 4.01-4.10 (m, 2H), 3.58 (s, 2H), 3.39-3.48 (m, 2H), 3.00 (s, 1H), 2.66-2.71 (m, 1H), 2.12-2.15 (m, 2H) 1.84-1.97 (m, 4H); LC/MS [M + H] = 586.2.
실시예 4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하이드록시메틸)아제티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1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아제티딘-3-일메탄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09 (s, 1H), 7.05-7.25 (m, 5H), 6.00-6.02 (d, J= 7Hz, 1H), 4.93-4.97 (m, 1H), 4.33 (bs, 1H), 3.96-4.11 (m, 2H), 3.78 (bs, 2H), 3.36-3.40 (m, 6H), 2.99 (bs, 2H); LC/MS [M + H] = 588.2.
실시예 47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하이드록시-3-메틸아제티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2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3-메틸아제티딘-3-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30 (s, 1H), 7.08-7.25 (m, 5H), 6.00-6.03 (d, J= 7Hz, 1H), 4.98-5.01 (m, 1H), 4.33 (bs, 4H), 4.01-4.09 (m, 2H), 3.73 (bs, 1H), 3.35-3.47 (m, 2H), 2.98 (s, 1H), 1.57 (s, 3H); LC/MS [M + H] = 588.2.
실시예 4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하이드록시사이클로뷰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3
상기 실시예 3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진행하였지만, 프로판올아민을 3-(메틸아미노)사이클로부탄올로 대체한 후에 LiOH를 이용하는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6 (s, 1H), 6.96-7.28 (m, 5H), 6.02-6.04 (d, J= 7Hz, 1H), 5.27 (bs, 1H), 4.98-5.02 (m, 1H), 4.33 (bs, 2H), 3.95-4.15 (m, 3H), 3.36-3.51 (m, 4H), 2.99 (s, 1H), 2.67-2.69 (m, 2H), 2.22-2.25 (m, 2H); LC/MS [M + H] = 602.2.
실시예 49 및 50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프로판산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4
상기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퓨란을 (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젠으로 대체하여, 분취 역상 HPLC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둘 다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33 (bs, 1H), 7.51-7.54 (d, J=8 Hz, 2H), 7.38-7.40 (d, J=6 Hz, 1H), 7.21-7.26 (t, J=7 Hz, 1H), 6.00-6.04 (m, 1H), 4.98-5.02 (dt, J=4.7, 52 Hz, 1H), 4.36 (bs, 1H), 4.02-4.22 (m, 4H), 3.45-3.58 (m, 2H), 3.02-3.12 (d, J=29 Hz, 1H), 1.18-1.24 (m, 3H); LC/MS [M + H] = 614.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3-(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말론산: 1H NMR (CD3OD, 300 MHz) δ 8.30 (s, 1H), 7.52-7.54 (d, J=9 Hz, 2H), 7.37-7.39 (d, J = 7 Hz, 1H), 7.23-7.25 (t, J=7 Hz, 1H), 6.01-6.03 (d, J=7 Hz, 1H), 4.97-5.00 (d, J=7 Hz, 1H), 4.37 (bs, 1H), 4.12-4.14 (m, 2H), 3.44-3.57 (m, 2H), 3.01 (s, 1H); LC/MS [M + H] = 586.2.
실시예 51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3-클로로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5
상기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퓨란을 3-클로로-벤젠으로 대체하여, 분취 역상 HPLC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2 (s, 1H), 7.27 (bs, 1H), 7.14-7.15 (d, J = 6 Hz, 1H), 7.02-7.06 (m, 2H), 6.02-6.05 (d, J = 8 Hz, 1H), 5.03-5.06 (d, J = 7 Hz, 1H), 4.35-4.39 (m, 2H), 3.39-3.49 (m, 2H), 3.01 (s, 1H), 2.48-2.54 (t, J = 8 Hz, 1H) 2.22-2.32 (m, 1H); LC/MS [M + H] = 552.1.
실시예 5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3-메톡시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6
상기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퓨란을 3-메톡시-벤젠으로 대체하여, 분취 역상 HPLC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0 (s, 1H), 6.96-7.02 (t, J = 8 Hz, 1H), 6.82 (bs, 2H), 6.59-6.62 (m, 1H), 6.02-6.04 (d, J = 7 Hz, 1H), 5.01-5.04 (d, J = 8 Hz, 1H), 4.35-4.39 (m, 2H), 3.54 (s, 3H), 3.45-3.50 (m, 1H), 2.97 (s, 1H), 2.48-2.54 (t, J = 8 Hz, 1H) 2.22-2.32 (m, 1H); LC/MS [M + H] = 548.1.
실시예 53
2-([1,1'-바이페닐]-4-일메틸)-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7
상기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퓨란을 3-바이페닐로 대체하여 분취 역상 HPLC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3 (s, 1H), 7.28-7.43 (m, 9H), 5.99-6.02 (d, J = 7 Hz, 1H), 4.96-4.98 (d, J = 7 Hz, 1H), 4.35 (s, 1H), 4.08-4.15 (m, 2H), 3.41-3.57 (m, 2H), 3.04 (s, 1H): LC/MS [M + H] = 594.2.
실시예 54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카복시-[1,1'-바이페닐]-4-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8
상기 실시예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퓨란을 3- 메틸 [1,1'-바이페닐]-2-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여 분취 역상 HPLC 정제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7 (s, 1H), 7.71-7.73 (d, J= 7 Hz, 1H), 7.29-7.48 (m, 4H), 7.14-7.16 (d, J = 8 Hz, 1H), 7.08-7.10 (d, J = 8 Hz, 2H), 5.99-6.01 (d, J = 8 Hz, 1H), 4.88-4.91 (m, 1H), 4.30 (bs, 1H), 4.03-4.12 (m, 2H), 3.39-3.57 (m, 2H), 2.99 (s, 1H); LC/MS [M + H] = 638.2.
실시예 55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틸-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29
다이에틸 2-(((2R,3R,4S,5R)-5-(N6,N6-비스-Boc-2-클로로-9H-퓨린-9-일)-3-((tert-뷰톡시카보닐)옥시)-4-플루오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 0.13m㏖)를 EtOAc(2㎖)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아르곤 기체로 3회 퍼지한 후에, 탄소 상 팔라듐(20㎎, 10중량%)을 조심해서 첨가하였다. 얻어진 슬러리를 아르곤 기체로 3회 퍼지하고, 이어서, H2 하에(벌륜(balloon) 내 1atm) 두었다. 반응물을 70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 두었다. 현탁액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Ac(3×2㎖)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오일로 농축시키고, 이를 DCM(1㎖)에 용해시킨 후에 TFA(100㎕)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밤새 둔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연한 황색 오일 잔사를 THF(1㎖)에 용해시키고 나서, 0℃에서 냉각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4M NaOH(100㎕)를 첨가하고, 반응물을 14시간에 걸쳐 주위 온도로 가온시킨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0 (s, 1H), 6.09-6.11 (d, J = 7 Hz, 1H), 4.69-4.72 (d, J = 8 Hz, 1H), 4.64 (bs, 1H), 4.19 (s, 1H), 3.83 (bs, 3H), 1.88-1.95 (m, 3H), 1.06-1.11 (t, J = 7 Hz, 3H); LC/MS [M + H] = 432.2.
실시예 56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틸-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0
단계 1:
H2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동안 EtOH(5㎖)와 EtOAc(5㎖)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m㏖, 549㎎)와 탄소 상 팔라듐(100㎎, 10중량%)의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이를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Ac(3×5㎖)로 린스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나서,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제공하였다.
단계 2 내지 3:
상기 실시예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다이에틸 2-(피리딘-4-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한 후에, 분취 역상 HPLC 정제를 통한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6 (s, 1H), 7.18-7.20 (m, 2H), 7.04-7.09 (m, 3H), 6.01-6.04 (d, J = 8 Hz, 1H), 4.63-4.66 (d, J = 8 Hz, 1H), 4.21 (bs, 1H), 3.76-3.96 (m, 2H), 3.39-3.52 (m, 2H), 1.76-1.83 (m, 2H), 0.98-1.03 (t, J= 7 Hz, 3H); LC/MS [M + H] = 522.2
실시예 57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비닐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1
단계 1:
H2 분위기 하에 24시간 동안 EtOH(5㎖)와 EtOAc(5㎖)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25㎎, 0.96m㏖)와 린들러 촉매(Lindlar catalyst)(105㎎, 5중량%)의 혼합물을 교반한 후에 이를 규조토를 통해 여과시키고, EtOAc(3×5㎖)로 린스하였다.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비닐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제공하였다.
단계 2 내지 3:
상기 실시예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다이에틸 2-(피리딘-4-일메틸)-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비닐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한 후에 분취 역상 HPLC 정제를 통한 에스터 가수분해에 의해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4 (s, 1H), 7.21-7.22 (m, 2H), 7.06-7.11 (m, 3H), 6.14-6.23 (m, 1H), 6.08-6.10 (d, J = 8 Hz, 1H), 5.55-5.61 (m, 1H), 5.25-5.29 (m, 1H), 4.81 (s, 1H), 4.14 (bs, 1H), 3.91-3.94 (m, 1H), 3.62-3.65 (d, J= 9 Hz, 1H), 3.50-3.55 (d, J= 15 Hz, 1H), 3.39 (s, 1H); LC/MS [M + H] = 520.1.
실시예 58
2-벤질-2-(((2R,3S,4R,5R)-5-(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2
단계 1:
건조 다이클로로에탄(3.5㎖)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75㎎, 0.319m㏖)의 아노머 혼합물 용액에 주사기를 통해 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65㎎, 0.422m㏖) 다음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0.28㎖, 1.12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5℃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다음, 주사기를 통해 TMSOTf(0.09㎖, 0.494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95℃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물(30㎖)로 희석시키고, EtOAc(30㎖)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동일 용적의 포화 NaHCO3 용액과 염수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EtOAc(2×30㎖)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헥산 중의 5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점성 오일로서 덜 극성인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4㎎)와 점성 오일로서 목적하는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2㎎)를 제공하였다.
단계 2:
THF(0.6㎖)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2㎎, 0.034m㏖) 용액에 1N 수성 LiOH(0.24㎖) 용액을 첨가하였다. 추가적인 1N 수성 LiOH(0.58㎖)를 주기적으로 초음파 처리 및 교반과 함께 2일의 기간에 걸쳐 적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물(10㎖)과 EtOAc(10㎖)로 희석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대략 3으로 산성화하였다.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층을 추가로 EtOAc(2×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63 (bs, 1H), 8.01 (d, J = 8.14 Hz, 1H), 7.34 (d, J = 8.14 Hz, 1H), 7.29-7.23 (m, 2H), 7.07-6.99 (m, 3H), 6.21 (d, J = 7.33 Hz, 1H), 5.04 (d, J = 7.33 Hz, 1H), 4.34 (t, J = 3.02 Hz, 1H), 4.14-4.03 (m, 2H), 3.48 (d, J = 12.53 Hz, 1H), 3.37 (d, J = 12.53 Hz, 1H), 2.99 (s, 1H); LC/MS [M + H] = 502.0.
실시예 59
2-벤질-2-(((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3
단계 1:
무수 THF(150㎖) 중의 수소화나트륨(60%, 무기염 분산물; 1.91g, 47.7m㏖)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15분에 걸쳐 THF(5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메틸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0g, 30.4m㏖)의 제2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0℃로 다시 냉각시키고 나서, MOMCl(6.81㎖, 80.7m㏖, 2.6 eq)로 적가 처리하였다.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빙욕을 제거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50㎖)을 서서히 첨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해 정제하여 tert-뷰틸-(((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다이메틸실란(9.95g, 88%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단계 2:
무수 THF(100㎖) 중의 상기 알코올(9.8g, 26.3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15분에 걸쳐 THF(37㎖, 36.8m㏖, 1.4 eq)에서 테트라뷰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1N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었을 때(3시간), 휘발물을 농축시켜 점성의 잔사를 얻고, 이를 다이클로로메탄(5㎖)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칼럼(대략 300cc) 상에 직접 장입하고 나서, 헥산 내지 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탄올(6.18g, 91%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단계 3:
무수 벤젠(8㎖) 중의 상기 알코올(175㎎, 0.678m㏖)과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말로네이트(188㎎, 0.949m㏖)의 용액을 아세트산로듐(II)(5.8㎎, 0.013m㏖, 0.02 eq)으로 처리하고, 60 내지 65℃로 2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일단 완료되면, 용액을 농축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1.5㎖) 중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칼럼(대략 100cc) 상에 직접 장입하고 나서, (헥산 중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1-에틸 3-프로프-1-엔-1-일 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252㎎, 87%)(이성질체의 혼합물)를 연한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단계 4:
질소 하에서, 무수 DMF(8㎖) 중의 앞 단계로부터의 말로네이트(250㎎, 0.583m㏖)와 브로민화벤질(0.42㎖, 3.5m㏖, 6 eq) 용액을 탄산세슘(760㎎, 2.33m㏖)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일단 완료되면, 반응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나서, 물로 세척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다이클로로메탄(2㎖) 중에 용해시키고,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칼럼(대략 100cc) 상에 장입하여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261㎎, 86%)(이성질체의 혼합물)를 연한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단계 5:
질소 하에서, 아세트산(3.9㎖) 중의 마지막 단계(500㎎, 0.964m㏖)로부터의 아세토나이트의 물로 냉각시킨 (14 내지 17℃) 용액을 아세트산 무수물(0.965㎖, 10.3m㏖, 10.7 eq) 및 진한 황산(410㎕, 0.326m㏖, 0.34 eq)으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액을 중탄산나트륨(수성, 포화; 100㎖)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다이클로로메탄(2㎖)에 용해시키고, 바이오티지(Biotage)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상에서 정제하고, 헥산 내지 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켰다.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20㎎, 8%)(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 가능한 아노머, 40G 실리카겔 칼럼)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맑은 오일로서 단리시켰다.
단계 6:
무수 아세토나이트릴(5㎖) 중의 2,6-다이클로로아데닌(143㎎, 0.76m㏖, 1.01 eq)과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0.24㎖, 0.97m㏖, 1.29 eq) 현탁액을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5㎖) 중의 1-에틸 3-((E)-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43㎎, 0.75m㏖)의 제2 용액으로 처리한 후에,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0.18㎖, 1.0m㏖, 1.33 eq)를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50℃로 18시간 동안 가온시키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반응물은 연한 황색이 되고, 4시간 후에, 투명한 호박색이 되었다). 일단 완료되면,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조질의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30㎖)로 추출하고 나서,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헥산 내지 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바이오티지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상에서 정제하여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백색 고체(400㎎, 77%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무수 다이옥산(2㎖) 중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80㎎, 0.116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DIPEA(30㎕, 0.174m㏖, 1.5 eq)와 벤질아민(13㎕, 0.116m㏖, 1 eq)으로 처리하였다.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용액을 밤새(18H) 계속 교반시키면서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로 희석시키고, 물(20㎖)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헥산 중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바이오티지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대략 1:1)를 백색 고체(75㎎, 85% 수율)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THF(1㎖) 중의 마지막 단계로부터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70㎎, 0.092m㏖)의 용액을 LiOH 용액(31㎎, 1.35m㏖, 15 eq; 1㎖의 물에서)으로 처리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2N HCl을 이용하여 pH 3으로 산성화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여과 후, 차가운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50㎎, 89% 수율) 단리시켰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7.98 (s. 1H), 7.25-6.84 (m, 10H), 5.85 (d, J = 6.4 Hz, 1H), 4.63 (s, 2H), 4.54 (d, J = 6.4 Hz, 1H), 4.17 (t, J = 3.2 Hz, 1H), 3.88 (qd, J = 10.3, 3.3 Hz, 2H), 3.36-3.16 (m, 2H), 2.49 (s, 1H). HPLC: 9.97분, 97.0%. ESI-MS (m/z): C29H26ClN5O8에 대한 [M]+ 계산치, 608.15; 관측치 608.1.
실시예 60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09 (s, 1H), 7.18-7.12 (m, 2H), 7.01 (dd, J = 12.1, 7.2 Hz, 3H), 5.90 (d, J = 6.3 Hz, 1H), 4.57 (d, J = 6.3 Hz, 1H), 4.25 (t, J = 3.1 Hz, 2H), 4.00-3.89 (m, 4H), 3.51 (td, J = 11.6, 2.2 Hz, 2H), 3.42-3.330 (m, 2H), 2.52 (s, 1H), 1.94 (d, J = 13.0 Hz, 2H), 1.57 (td, J = 11.2, 3.5 Hz, 2H). ESI-MS (m/z): C27H28ClN5O9, 602.16에 대한 [M]+ 계산치; 관측치 602.5.
실시예 6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다이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에 N1,N1-다이에틸에탄-1,2-다이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δ6): 9.01 (s, 1H), 8.75 (s, 1H), 8.49 (s, 1H), 7.23-7.03 (m, 5H), 6.16 (s, 1H), 5.96 (d, J = 7.0 Hz, 1H), 5.84 (d, J = 6.9 Hz, 1H), 4.59 (t, J = 7.1 Hz, 1H), 4.13 (dd, J = 6.7, 2.7 Hz, 1H), 3.83-3.55 (m, 4H), 3.53 (s, 1H), 3.30-3.15 (m, 6H), 3.06-2.97 (m, 2H), 1.26-1.12 (m, 6H). ESI-MS (m/z): C28H33ClN6O8에 대한 [M]+ 계산치, 617.20; 관측치 617.5.
실시예 6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1-페닐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1-페닐에탄-1-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25 (s, 1H), 7.44-7.27 (m, 4H), 7.23-6.94 (m, 6H), 5.91 (dd, J = 6.2, 1.7 Hz, 1H), 5.46 (d, J = 8.0 Hz, 1H), 4.58 (d, J = 6.2 Hz, 1H), 4.25 (t, J = 2.4 Hz, 1H), 3.98-3.83 (m, 2H), 3.32 (dd, J = 6.3, 1.7 Hz, 2H), 2.48 (d, J = 1.7 Hz, 1H), 1.59 (dd, J = 6.9, 1.7 Hz, 3H). ESI-MS (m/z): C30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622.16; 관측치 622.1.
실시예 6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1-페닐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1-페닐에탄-1-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11 (s, 1H), 7.40-7.28 (m, 4H), 7.23-6.93 (m, 6H), 5.90 (d, J = 5.8 Hz, 1H), 5.45 (s, 1H), 4.52 (d, J = 5.8 Hz, 1H), 4.35-4.22 (m, 1H), 3.99 (t, J = 2.4 Hz, 2H), 3.42-3.25 (m, 2H), 2.50 (s, 1H), 1.58 (d, J = 6.9 Hz, 3H). ESI-MS (m/z): C30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622.16; 관측치 622.2.
실시예 6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퓨란-3-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10 (s, 1H), 7.19-6.92 (m, 5H), 5.90 (d, J = 6.3 Hz, 1H), 4.72 (s, 1H), 4.58 (d, J = 6.3 Hz, 1H) 4.25 (t, J = 3.1 Hz, 1H), 3.94 (tp, J = 7.0, 4.0, 3.3 Hz, 3H), 3.70 (dt, J = 9.4, 3.6 Hz, 2H), 3.43-3.24 (m, 2H), 2.52 (s, 1H), 2.29 (dq, J = 13.2, 7.6 Hz, 1H), 1.93 (s, 1H). ESI-MS (m/z): C26H26ClN5O9에 대한 [M]+ 계산치, 588.14; 관측치 588.3.
실시예 6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3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피롤리딘-3-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10 (s, 1H), 7.22-6.92 (m, 5H), 5.92 (d, J = 5.4 Hz, 1H), 4.55-4.48 (m, 2H), 4.29 (t, J = 3.7 Hz, 1H), 4.25-3.85 (m, 4H), 3.80-3.65 (m, 2H), 3.35-3.24 (m, 2H), 2.51 (s, 1H), 2.08-1.98 (m, 2H). ESI-MS (m/z): C26H26ClN5O9에 대한 [M]+ 계산치, 588.14; 관측치 588.2.
실시예 6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에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N-메틸에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05 (s, 1H), 7.24-7.02 (m, 5H), 5.92 (d, J = 4.8 Hz, 1H), 4.46 (dd, J = 4.8, 1.3 Hz, 1H), 4.32 (dd, J = 4.9, 3.2 Hz, 1H), 4.05 (dd, J = 8.5, 4.0 Hz, 2H), 3.44-3.30 (m, 2H), 3.10-2.85 (m, 7H), 2.53 (s, 1H), 1.22 (t, J = 7.1 Hz, 3H). ESI-MS (m/z): C25H26ClN5O8에 대한 [M]+ 계산치, 560.15; 관측치 560.5.
실시예 67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2-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29 (s, 1H), 7.47-7.36 (m, 1H), 7.26-6.94 (m, 8H), 5.94 (d, J = 6.2 Hz, 1H), 4.82-4.76 (m, 2H), 4.60 (d, J = 6.2 Hz, 1H),4.35-4.23 (m, 1H), 3.98-3.84 (m, 2H), 3.44-3.30 (m, 2H), 2.46 (s, 1H). ESI-MS (m/z): C29H25ClFN5O8에 대한 [M]+ 계산치, 626.14; 관측치 626.7.
실시예 6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49 (s, 1H), 7.37 (dd, J = 8.4, 5.3 Hz, 2H), 7.24-6.89 (m, 7H), 5.97 (d, J = 6.3 Hz, 1H), 4.72 (s, 2H), 4.63 (d, J = 6.3 Hz, 1H), 4.7-4.28 (m, 1H), 4.06-3.87 (m, 2H), 3.46-3.26 (m, 2H), 2.54 (s, 1H). ESI-MS (m/z): C29H25ClFN5O8에 대한 [M]+ 계산치, 626.14; 관측치 626.4.
실시예 6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30 (s, 1H), 7.29-6.97 (m, 9H), 5.95 (d, J = 6.2 Hz, 1H), 5.81 (t, J = 7.1 Hz, 1H), 4.59 (d, J = 6.3 Hz, 1H), 4.25 (d, J = 3.1 Hz, 1H), 3.94-3.73 (m, 2H), 3.40-3.31 (m, 2H), 3.07 (ddd, J = 14.0, 8.7, 4.8 Hz, 1H), 2.89 (dt, J = 15.8, 7.7 Hz, 1H), 2.69-2.58 (m, 1H), 2.45 (s, 1H), 2.00 (dd, J = 13.6, 7.1 Hz, 1H). ESI-MS (m/z): C31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634.16; 관측치 634.8.
실시예 70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2-페닐에탄-1-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14 (s, 1H), 7.26-6.91 (m, 10H), 5.91 (d, J = 6.2 Hz, 1H), 4.57 (d, J = 6.2 Hz, 1H), 4.27 (t, J = 3.2 Hz, 1H), 3.96 (t, J = 4.0 Hz, 2H), 3.78 (m, 2H), 3.45-3.29 (m, 2H), 2.93 (t, J = 7.3 Hz,2H), 2.52 (s, 1H). ESI-MS (m/z): C30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622.16; 관측치 622.5.
실시예 7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메틸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8 (s, 1H), 7.29-7.20 (m, 2H), 7.04 (dd, J = 5.1, 1.9 Hz, 3H), 5.99 (d, J = 7.4 Hz, 1H), 4.99 (d, J=7 Hz, 1H), 4.30 (t, J = 3.3 Hz, 1H), 4.11-4.01 (m, 2H), 3.49-3.34 (m, 2H), 3.06 (s, 3H), 2.98 (s, 1H). ESI-MS (m/z): C23H22ClN5O8에 대한 [M]+ 계산치, 532.12; 관측치 532.1.
실시예 7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에 (S)-2,3-다이하이드로-1H-인덴-1-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4 (s, 1H), 7.41-7.13 (m, 6H), 7.04 (t, J = 3.5 Hz, 3H), 6.01 (d, J = 7.4 Hz, 1H), 5.88-5.76 (m, 1H), 4.99 (d, J = 7.4 Hz, 1H), 4.32 (t, J = 3.3 Hz, 1H), 4.06 (dd, J = 5.5, 3.3 Hz, 2H), 3.53-3.34 (m, 2H), 3.13-3.05 (m, 1H), 3.00 (s, 1H), 2.99-2.87 (m, 1H), 2.67 (dd, J = 12.5, 4.2 Hz, 1H), 2.02 (dd, J = 12.8, 7.7 Hz, 1H). ESI-MS (m/z): C31H28ClN5O8, 634.16에 대한 [M]+ 계산치; 관측치 634.5.
실시예 7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에 에틸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6 (s, 1H), 7.40-7.19 (m, 2H), 7.04 (dd, J = 5.1, 1.9 Hz, 3H), 5.98 (d, J = 7.4 Hz, 1H), 4.97 (d, J = 7.4 Hz, 1H), 4.30 (T, J = 3.3 Hz, 1H), 4.14-3.98 (m, 2H), 3.57 (d, J = 7.8 Hz, 2H), 3.49-3.33 (m, 2H), 2.98 (s, 1H), 1.28 (t, J = 7.2 Hz, 3H). ESI-MS (m/z): C24H24ClN5O8에 대한 [M]+ 계산치, 546.13; 관측치 546.1.
실시예 74
2-벤질-2-(((2R,3S,4R,5R)-5-(6-((S)-sec-뷰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부탄-2-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3 (s, 1H), 7.32-7.15 (m, 2H), 7.14-6.98 (m, 3H), 5.98 (d, J = 7.4 Hz, 1H), 4.97 (d, J = 7.4 Hz, 1H), 4.31 (t, J = 3.2 Hz, 1H), 4.24 (s, 1H), 4.14-3.97 (m, 2H), 3.53-3.33 (m, 2H), 2.99 (s, 1H), 1.63 (q, J = 7.2 Hz, 2H), 1.27 (d, J = 6.5 Hz, 3H), 0.97(t, J = 7.4 Hz, 3H). ESI-MS (m/z): C26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574.16; 관측치 574.1.
실시예 7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4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1-사이클로프로필-N-메틸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5 (s, 1H), 7.36-7.18 (m, 2H), 7.03 (dd, J = 5.2, 2.0 Hz, 3H), 6.00 (d, J = 7.3 Hz, 1H), 4.97 (d, J = 7.3 Hz, 1H), 4.30 (dd, J = 4.1, 2.8 Hz, 1H), 4.07 (qd, J = 10.2, 3.5 Hz, 2H), 3.52-3.31 (m, 7H), 2.98 (s, 1H), 1.20-1.12 (m, 1H), 0.54 (dd, J = 8.2, 1.8 Hz, 2H), 0.45-0.30 (m, 2H). ESI-MS (m/z): C27H28ClN5O8에 대한 [M]+ 계산치, 586.16; 관측치 586.9
실시예 76
2-벤질-2-(((2R,3S,4R,5R)-5-(6-((카복시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2-아미노-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1 (s, 1H), 7.38-7.14 (m, 2H), 7.12-6.98 (m, 3H), 6.11 (d, J = 7.4 Hz, 1H), 4.96 (d, J = 7.3 Hz, 1H), 4.30 (q, J = 4.7, 4.0 Hz, 2H), 4.09-4.02 (m, 2H), 3.54-3.33 (m, 2H), 2.97 (s, 1H). ESI-MS (m/z): C24H22ClN5O10, 574.11에 대한 [M]- 계산치; 관측치 574.1.
실시예 77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2-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7 (s, 1H), 7.43 (m, 2H), 7.28 (m, 3H), 7.22 (m, 1H), 7.00 (m, 3H), 5.99 (d, J = 7.4Hz, 1H), 4.98 (d, J = 7.4Hz, 1H), 4.82 (m, 2H), 4.30 (s, 1H), 4.05 (s, 2H), 3.42 (m, 2H), 2.98 (s, 1H). LC-MS: m/z = 597 (M-CO2H); m/z = 292 (M-리보스 단편).
실시예 7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피리딘-4-일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피리딘-4-일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9.08 (bs, 1H), 8.73 (d, J = 5.7Hz, 2H), 8.51 (s, 1H), 7.68 (d, J = 5.6Hz, 2H), 7.22 (m, 2H), 7.06 (m, 3H), 5.82 (d, J = 7.7Hz, 1H), 4.93 (d, J = 6.9Hz, 1H), 4.87 (d, J = 7.6Hz, 1H), 4.20 (m, 1H), 4.03 (m, 2H), 3.86 (m, 2H), 3.62 (s, 1H), 3.27 (m, 2H). HPLC: 실온 = 5.74분, 97.7%. LC-MS: m/z = 610 (M+); m/z = 261 (M-리보스 단편).
실시예 7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몰폴리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몰폴린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0 (s, 1H), 7.22 (m, 2H), 7.01 (m, 3H), 6.00 (d, J = 7.6Hz, 1H), 4.99 (d, J = 7.6Hz, 1H), 4.30 (m, 1H), 4.22 (m, 4H), 4.04 (m, 2H), 3.78 (m, 4H), 3.47 (m, 2H), 2.99 (s, 1H). HPLC: 8.16분, 98.2%. LC-MS: m/z = 588 (M+), 544 (M-CO2H), m/z = 240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0
2-(((2R,3S,4R,5R)-5-(6-(아제판-1-일)-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아제판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6 (s, 1H), 7.22 (m, 2H), 7.00 (m, 3H), 5.99 (d, J = 7.6Hz, 1H), 4.98 (d, J = 7.6Hz, 1H), 4.29 (m, 3H), 4.07 (m, 2H), 3.85 (m, 2H), 3.40 (m, 2H), 2.97 (s, 1H), 1.85 (m, 4H), 1.59 (m, 4H). HPLC: 9.67분, 98.1%. LC-MS: m/z = 600 (M+), m/z = 556 (M-CO2H), m/z = 252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뷰틸(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N-메틸사이클로부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1 (s, 1H), 7.21 (dd, J = 7.0, 2.6 Hz, 2H), 6.99 (m, 3H), 5.99 (d, J = 7.3 Hz, 1H), 5.74 (br s, 1H), 4.96 (d, J = 7.2 Hz, 1H), 4.28 (dd, J = 4.1, 2.8 Hz, 1H), 4.06 (dd, J = 10.2, 4.2 Hz, 1H), 4.01 (dd, J = 10.2, 2.9 Hz, 1H), 3.45 - 3.31 (m, 5H), 2.96 (s, 1H), 2.35 (q, J = 10.0 Hz, 2H), 2.23 (m, 2H), 1.87 - 1.63 (m, 2H); HPLC: 9.45분, 98.9%. LC-MS: m/z = 587 (M+H), 543 (M-CO2H), m/z = 23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N-메틸프로판-2-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7 (s, 1H), 7.21 (dd, J = 7.3, 2.2 Hz, 2H), 7.03 - 6.94 (m, 3H), 5.98 (d, J = 7.3 Hz, 1H), 4.97 (d, J = 7.3 Hz, 1H), 4.28 (dd, J = 4.0, 2.8 Hz, 1H), 4.04 (qd, J = 10.2, 3.5 Hz, 2H), 3.45 - 3.31 (m, 6H), 2.96 (s, 1H), 1.25 (d, J = 6.8 Hz, 6H); HPLC: 9.08분, 99.9%. LC-MS: m/z = 575 (M+H), 531 (M-CO2H), m/z = 226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프로판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4 (s, 1H), 7.23 (dd, J = 6.7, 2.8 Hz, 2H), 7.01 (m, 3H), 5.97 (d, J = 7.4 Hz, 1H), 4.95 (d, J = 7.4 Hz, 1H), 4.28 (t, J = 3.3 Hz, 1H), 4.10 - 3.97 (m, 2H), 3.49 - 3.30 (m, 2H), 2.99 (m, 1H), 2.96 (s, 1H), 0.92 - 0.78 (m, 2H), 0.66 - 0.54 (m, 2H); HPLC: 7.83분, 99.1%. LC-MS: m/z = 559 (M+H).
실시예 8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피리딘-3-일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피리딘-3-일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87 (s, 1H), 8.70 (d, J = 5.6 Hz, 1H), 8.56 (d, J = 8.1 Hz, 1H), 8.22 (s, 1H), 7.97 (dd, J = 8.1, 5.7 Hz, 1H), 7.21 (dd, J = 6.5, 3.0 Hz, 2H), 7.07 - 6.90 (m, 3H), 5.97 (d, J = 7.4 Hz, 1H), 4.96 (d, J = 7.4 Hz, 1H), 4.92 (m, 2H), 4.29 (t, J = 3.4 Hz, 1H), 4.04 (qd, J = 10.2, 3.4 Hz, 2H), 3.38 (m, 2H), 2.97 (s, 1H); HPLC: 5.82분, 99.9%. LC-MS: m/z = 261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5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3-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9 (s, 1H), 7.32 (td, J = 8.0, 5.9 Hz, 1H), 7.24 - 7.16 (m, 3H), 7.12 (dd, J = 9.8, 2.3 Hz, 1H), 7.06 - 6.78 (m, 4H), 5.98 (d, J = 7.3 Hz, 1H), 4.94 (d, J = 7.3 Hz, 1H), 4.74 (m, 2H), 4.29 (t, J = 3.3 Hz, 1H), 4.03 (qd, J = 10.3, 3.5 Hz, 2H), 3.47 - 3.26 (m, 2H), 2.97 (s, 1H); HPLC: 9.04분, 99.5%. LC-MS: m/z = 627 (M+H), 583 (M-CO2H), m/z = 27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3-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3-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8 (s, 1H), 7.40 (s, 1H), 7.34 - 7.05 (m, 5H), 6.98 (m, 3H), 5.97 (d, J = 7.4 Hz, 1H), 4.95 (d, J = 7.4 Hz, 1H), 4.72 (m, 2H), 4.29 (t, J = 3.3 Hz, 1H), 4.09 - 3.87 (m, 2H), 3.46 - 3.31 (m, 2H), 2.97 (s, 1H); HPLC: 9.45분, 98.3%. LC-MS: m/z = 643 (M+H), 598 (M-CO2H), m/z = 29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7
2-벤질-2-(((2R,3S,4R,5R)-5-(2-클로로-6-((4-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4-클로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7 (s, 1H), 7.36 (d, J = 8.6 Hz, 2H), 7.31 (d, J = 8.5 Hz, 1H), 7.21 (dd, J = 6.8, 2.8 Hz, 2H), 7.02 - 6.96 (m, 3H), 5.97 (d, J = 7.3 Hz, 1H), 4.94 (d, J = 7.3 Hz, 1H), 4.71 (m, 2H), 4.29 (t, J = 3.3 Hz, 1H), 4.03 (qd, J = 10.2, 3.4 Hz, 2H), 3.46 - 3.30 (m, 2H), 2.96 (s, 1H); HPLC: 9.50분, 98.7%. LC-MS: m/z = 643 (M+H), 598 (M-CO2H), m/z = 29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8
2-(((2R,3S,4R,5R)-5-(6-(아제티딘-1-일)-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아제티딘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5 (s, 1H), 7.24 - 7.08 (m, 2H), 7.10 - 6.85 (m, 3H), 5.97 (d, J = 7.4 Hz, 1H), 4.98 (d, J = 7.3 Hz, 1H), 4.43 (m, 4H), 4.29 (dd, J = 4.1, 2.8 Hz, 1H), 4.07 (dd, J = 10.2, 4.2 Hz, 1H), 4.00 (dd, J = 10.2, 2.9 Hz, 1H), 3.42 (d, J = 15.0 Hz, 1H), 3.34 (d, J = 12.3 Hz, 2H), 2.95 (s, 1H), 2.51 (q, J = 7.7 Hz, 2H); HPLC: 7.58분, 99.5%. LC-MS: m/z = 558 (M+H), 554 (M-CO2H), m/z = 210 (M-리보스 단편).
실시예 8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다이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다이메틸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7 (s, 1H), 7.22 (dd, J = 7.5, 2.0 Hz, 2H), 7.05 - 6.89 (m, 3H), 5.98 (d, J = 7.2 Hz, 1H), 4.96 (d, J = 7.3 Hz, 1H), 4.28 (dd, J = 4.0, 2.9 Hz, 1H), 4.04 (qd, J = 10.2, 3.5 Hz, 2H), 3.55 - 3.31 (m, 8H), 2.95 (s, 1H); HPLC: 8.16분, 99.9%. LC-MS: m/z = 546 (M+H), 502 (M-CO2H), m/z = 19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90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피롤리딘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1 (s, 1H), 7.21 (dd, J = 7.3, 2.3 Hz, 2H), 7.03 - 6.76 (m, 3H), 5.98 (d, J = 7.3 Hz, 1H), 4.98 (d, J = 7.3 Hz, 1H), 4.29 (dd, J = 4.2, 2.8 Hz, 1H), 4.15 - 3.86 (m, 4H), 3.66 (m, 2H), 3.41 (d, J = 15.0 Hz, 1H), 3.34 (d, J = 15.0 Hz, 1H), 2.95 (s, 1H), 2.02 (m, 4H); HPLC: 8.42분, 95.6%. LC-MS: m/z = 573 (M+H), 529 (M-CO2H), m/z = 22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9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펜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09 (s, 1H), 7.23 (dd, J = 6.7, 2.9 Hz, 2H), 7.01 (m, 3H), 5.96 (d, J = 7.4 Hz, 1H), 4.94 (d, J = 7.4 Hz, 1H), 4.47 (m, 1H), 4.28 (t, J = 3.3 Hz, 1H), 4.04 (m, 2H), 3.43 (d, J = 14.9 Hz, 1H), 3.34 (d, J = 14.9 Hz, 1H), 2.96 (s, 1H), 2.19 - 1.98 (m, 2H), 1.78 (m, 2H), 1.72 - 1.64 (m, 2H), 1.62 - 1.52 (m, 2H); HPLC: 9.06분, 98.9%. LC-MS: m/z = 587 (M+H), 543 (M-CO2H), m/z = 23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9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프로필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4 (s, 1H), 7.18 (d, J = 6.9 Hz, 2H), 7.12 - 6.68 (m, 3H), 5.92 (d, J = 6.1 Hz, 1H), 4.58 (d, J = 6.1 Hz, 1H), 4.28 (t, J = 3.2 Hz, 1H), 3.98 (qd, J = 10.3, 3.2 Hz, 2H), 3.50 - 3.04 (m, 4H), 2.55 (s, 1H), 1.08 (m, 1H), 0.52 (m, 2H), 0.26 (m, 2H); HPLC: 8.52분, 97.7%. LC-MS: m/z = 572 (M+H), 528 (M-CO2H), m/z = 22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9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프로판-2-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05 (s, 1H), 7.23 - 7.12 (m, 2H), 7.09 - 6.78 (m, 3H), 5.91 (d, J = 6.2 Hz, 1H), 4.59 (d, J = 6.2 Hz, 1H), 4.37 (m, 1H), 4.28 (m, 1H), 3.42 (d, J = 14.8 Hz, 1H), 3.35 - 3.22 (m, 3H), 2.56 (s, 1H), 1.24 (d, J = 6.5 Hz, 6H); HPLC: 8.39분, 98.9%. LC-MS: m/z = 560 (M+H), 516 (M-CO2H), m/z = 212 (M-리보스 단편).
실시예 9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1-아미노-2-메틸프로판-2-올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16 (s, 1H) 7.24-7.22 (m, 2H) 7.03-7.01 (m, 3H) 5.97 (d, J=7.4Hz, 1H) 4.95 (d, J=7.4Hz, 1H) 4.28 (t, J=3.2Hz, 1H) 4.05-4.03 (m, 2H) 3.72-3.69 (m, 2H) 3.48-3.31 (m, 2H) 2.97 (s, 1H) 1.24 (s, 6H). ESI-MS (m/z): C26H28ClN5O9에 대한 [M]- 계산치 589.98; 관측치 588.4.
실시예 9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1-하이드록시프로판-2-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6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2-아미노프로판-1-올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18 (s, 1H) 7.24-7.22 (m, 2H) 7.03-7.01 (m, 3H) 5.97 (d, J=7.4Hz, 1H) 4.93 (d, J=7.4Hz, 1H) 4.42-4.35 (m, 1H) 4.32-4.26 (m, 1H) 4.04 (d, J=3.2Hz, 2H) 3.62-3.60 (m, 2H) 3.48-3.32 (m, 2H) 2.96 (s, 1H) 1.29 (d, J=6.7Hz, 3H). ESI-MS (m/z): C25H26ClN5O9에 대한 [M]- 계산치 575.96; 관측치 574.2.
실시예 9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다이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다이에틸아민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15 (s, 1H) 7.23-7.20 (m, 2H) 7.00-6.98 (m, 3H) 5.98 (d, J=7.3Hz, 1H) 4.97 (d, J=7.3Hz, 1H) 4.29 (m, 1H) 4.15-3.83 (m, 6H) 3.43-3.33 (m, 2H) 2.96 (s, 1H) 1.24 (t, J=7.0Hz, 6H). ESI-MS (m/z): C26H28ClN589에 대한 [M]- 계산치 573.98; 관측치 572.3.
실시예 97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2-아미노에탄-1-올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20 (s, 1H) 7.24-7.22 (m, 2H) 7.04-7.02 (m, 3H) 5.97 (d, J=7.4Hz, 1H) 4.91 (d, J=7.3Hz, 1H) 4.29 (t, J=3.4Hz, 1H)) 4.06-3.98 (m, 2H) 3.76-3.73 (m, 2H) 3.66-3.63 (m, 2H) 3.43-3.33 (m, 2H) 2.96 (s, 1H). ESI-MS (m/z): C24H24ClN5O9 561.93에 대한 [M]- 계산치; 관측치 560.2.
실시예 9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2-아미노프로판-1-올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12 (s, 1H) 7.24-7.22 (m, 2H) 7.03-7.01 (m, 3H) 5.96 (d, J=7.4Hz, 1H) 4.95 (d, J=7.4Hz, 1H) 4.42-4.32 (m, 1H) 4.28 (t, J=3.3Hz, 1H) 4.08-4.00 (m, 2H) 3.66-3.58 (m, 2H) 3.45-3.33 (m, 2H) 2.97 (s, 1H) 1.27 (d, J=6.7Hz, 3H) . ESI-MS (m/z): C25H26ClN5O9에 대한 [M]- 계산치 575.96; 관측치 574.2
실시예 9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에탄-1-올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23 (s, 1H) 7.24-7.22 (m, 2H) 7.04-7.01 (m, 3H) 6.02 (d, J=7.4Hz, 1H) 4.96 (d, J=7.3Hz, 1H) 4.30-4.28 (m, 1H) 4.10-4.04 (m, 4H) 3.78 (t, J=5.9Hz, 2H) 3.44-3.32 (m, 2H) 3.23-3.19 (m, 1H) 2.96 (s, 1H) 1.01-0.97 (m, 2H) 0.78-0.74 (m, 2H).
실시예 100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3-하이드록시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피롤리딘-3-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4 (s, 1H), 7.23 (d, J = 7.2 Hz, 2H), 7.06-6.96 (m, 3H), 6.01 (d, J = 7.3 Hz, 1H), 5.01 (s, 1H), 4.56 (d, J = 26.1 Hz, 1H), 4.33-4.31 (m, 1H), 4.20 (d, J = 12.5 Hz, 1H), 4.10-4.00 (m, 3H), 3.78 (m, 2H), 3.50-3.35 (m, 2H), 2.97 (s, 1H), 2.14-2.05 (m, 2H).
실시예 101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3-(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피롤리딘-3-일메탄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1H), 8.34 (s, 1H), 7.15 (m, 2H), 7.01 (m, 3H), 6.16 (br s, 1H), 5.96 (br s, 1H), 5.81 (d, J = 7.5 Hz, 1H), 4.82 (d, J = 7.4 Hz, 1H), 4.18 - 4.08 (m, 1H), 3.94 (m, 2H), 3.71 (m, 2H), 3.50 (m, 2H), 3.20 (s, 4H), 3.13 (s, 1H), 2.33 (m, 1H), 2.04 (m, 1H), 1.98 - 1.89 (m, 1H), 1.77 (m, 1H), 1.65 (m, 1H); HPLC: 7.22분, 97.7%.
실시예 102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3-(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피롤리딘-3-일메탄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1H), 8.34 (s, 1H), 7.21 - 7.11 (m, 2H), 7.01 (m, 3H), 6.16 (br s, 1H), 5.96 (br s, 1H), 5.81 (d, J = 7.5 Hz, 1H), 4.82 (d, J = 7.5 Hz, 1H), 4.44 (m, 1H), 4.25 - 4.07 (m, 3H), 3.95 (m, 2H), 3.87 - 3.64 (m, 3H), 3.51 (m, 2H), 3.20 (s, 1H), 2.37 - 2.27 (m, 1H), 2.04 (m, 1H), 1.98 - 1.86 (m, 1H), 1.76 (m, 1H), 1.66 (m, 1H); HPLC: Rt = 7.20분, 97.0%.
실시예 103
2-벤질-2-(((2R,3S,4R,5R)-5-(2-클로로-6-((R)-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R)-피롤리딘-2-일메탄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1 (s, 1H), 7.28 - 7.16 (m, 2H), 7.08 - 6.87 (m, 3H), 5.99 (d, J = 7.3 Hz, 1H), 4.97 (d, J = 7.3 Hz, 1H), 4.41 (m, 1H), 4.28 (m, 1H), 4.12 - 3.93 (m, 4H), 3.72 (m, 2H), 3.42 (d, J = 15.0 Hz, 1H), 3.33 (d, J = 15.0 Hz, 2H), 2.96 (s, 1H), 2.05 (m, 4H); HPLC: 7.73분, 98.2%; ESI-MS: m/z = 25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04
2-벤질-2-(((2R,3S,4R,5R)-5-(2-클로로-6-((S)-2-(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딘-1-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S)-피롤리딘-2-일메탄올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22 (s, 1H), 7.22 (m, 2H), 7.07 - 6.88 (m, 3H), 5.99 (d, J = 7.3 Hz, 1H), 4.98 (d, J = 7.3 Hz, 1H), 4.44 (m, 1H), 4.29 (dd, J = 4.0, 2.9 Hz, 1H), 4.07 (m, 2H), 4.05 (qd, J = 10.2, 3.5 Hz, 2H), 3.77 (dd, J = 11.0, 4.2 Hz, 1H), 3.66 (dd, J = 11.1, 6.5 Hz, 1H), 3.42 (d, J = 15.1 Hz, 1H), 3.33 (d, J = 15.1 Hz, 1H), 2.95 (s, 1H), 2.07 (m, 4H); HPLC: 7.77분, 99.3%; ESI-MS: m/z = 642 (M+ACN).
실시예 105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79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N-메틸사이클로프로판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36 (s, 1H), 7.26 - 7.12 (m, 2H), 7.02 (m, 3H), 6.03 (d, J = 7.3 Hz, 1H), 4.97 (d, J = 7.3 Hz, 1H), 4.30 (dd, J = 3.9, 2.8 Hz, 1H), 4.19 - 3.97 (m, 2H), 3.57 - 3.29 (m, 5H), 3.21 (m, 1H), 2.96 (s, 1H), 1.05 - 0.85 (m, 2H), 0.83 - 0.62 (m, 2H); HPLC: Rt = 8.41분, 98.6%; ESI-MS: m/z = 22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06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0
단계 1:
질소 하에 무수 벤젠(20㎖) 중의 [(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탄올(480㎎, 1.87m㏖)과 메틸 2-다이아조-2-(메틸카바모일)아세테이트(440㎎, 2.8m㏖, 문헌[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14 (24), 5302-5311]에 따라 제조됨) 교반 용액을 로듐 테트라아세테이트(16㎎, 0.04m㏖)로 처리하고, 6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얻어진 오일을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헥산 중의 1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는 실리카겔 칼럼 상에 장입하여 메틸 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메틸카바모일)아세테이트(455㎎, 63% 수율)를 부분입체이성질체 쌍으로서 얻었다.
단계 2:
무수 DMF(4㎖) 중의 메틸 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메틸카바모일)아세테이트(450㎎, 116m㏖)와 브로민화벤질(0.97㎖, 8.13m㏖) 용액을 탄산세슘(757㎎, 2.32m㏖)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로 반응을 중단시키고, 다이에틸 에터(70㎖)로 희석시키고 나서,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50㎖)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에 의해 정제하고 헥산 중의 10 내지 7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메틸 2-벤질-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500㎎, 90% 수율)를 맑은 오일로서 얻었다.
단계 3:
질소 하에서, 아세트산(4㎖) 중의 메틸 2-벤질-2-(((3aR,5R,6R,6aR)-6-에틴일-6-(메톡시메톡시)-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파노에이트(500㎎, 1.05m㏖)의 빙랭 교반 용액을 아세트산 무수물(1㎖, 11.15m㏖)과 진한 황산(0.02, 0.35m㏖)으로 처리하였다. 반응 용액을 서서히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4시간 후에, 반응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각각 80㎖)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100㎖)으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R,4R,5R)-5-(((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아노머/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무수 아세토나이트릴(7㎖) 중의 2-6-다이클로로아데닌(48㎎, 0.25m㏖)과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0.08㎖, 0.32m㏖) 현탁액을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0㎖) 중의 (3R,4R,5R)-5-(((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130㎎, 0.25m㏖)의 제2 용액으로 처리하고,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0.06㎖, 0.33m㏖)를 적가하였다. 일단 첨가가 완료되면, 반응물을 50℃로 18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80㎖)으로 반응 중단시켰다.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3×80㎖)로 추출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2-(((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35㎎, 83% 수율)를 거품 같은 고체(부분입체이성질체 쌍)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질소 하에서, 다이옥산(2㎖) 중의 (2R,3R,4R,5R)-2-(((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70㎎, 0.11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03㎖, 0.16m㏖)과 사이클로프로필아민(0.01㎖, 0.13m㏖)으로 처리하고, 밤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80㎖)로 희석시키고, 물(50㎖)과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50㎖)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이어서,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2R,3R,4R,5R)-2-(((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70㎎, 95% 수율)를 회백색 고체(부분입체이성질체 쌍)로서 얻었다.
단계 6:
THF(1㎖) 중의 (2R,3R,4R,5R)-2-(((2-벤질-1-메톡시-3-(메틸아미노)-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70㎎, 0.10m㏖) 용액을 물(1㎖) 중의 LiOH(24㎎, 1.02m㏖)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차가운 2N HCl을 이용하여 반응 pH를 4 내지 5로 조절하였다. 침전 시, 현탁액을 다른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수집하고 나서, 찬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2-벤질-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판산(45㎎, 75% 수율)을 회백색 고체(부분입체이성질체 쌍)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01 (s, 0.45H), 7.48 (s, 0.55H), 7.22-7.03 (m, 5H), 5.86 (dd, J = 4.7, 3.0 Hz, 1H), 4.43 (dd, J = 8.5, 4.6 Hz, 1H), 4.31-4.06 (m, 2H), 3.84-3.72 (m, 1H), 3.45-3.21 (m, 4H), 2.62 (d, J = 40.9 Hz, 1H), 2.46 (d, J = 8.1 Hz, 3H), 1.05 (dq, J = 8.0, 3.7 Hz, 1H), 0.51 (ddd, J = 8.1, 4.0, 1.6 Hz, 2H), 0.31-0.18 (m, 2H). ESI-MS (m/z): C27H29ClN6O7에 대한 [M]+ 계산치, 585.18; 관측치 585.9.
실시예 107
2-벤질-2-(((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06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5의 사이클로프로필아민 대신 벤질아민을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CD3OD = 5:1) δ 8.03 (s, 0.46H), 7.52 (d, J = 2.7Hz, 0.54H), 7.42-7.04 (m, 10H), 5.89 (t, J = 4.3 Hz, 1H), 4.73 (m, 2H), 4.44 (dd, J = 6.0, 4.5 Hz, 1H), 4.33-4.15 (m, 2H), 3.79 (dd, J = 10.6, 4.5 Hz, 1H), 3.45-3.27 (m, 2H), 2.62 (d, J = 36.6 Hz, 1H), 2.48 (d, J = 13.2 Hz, 3H). ESI-MS (m/z): C30H29ClN6O7에 대한 [M]+ 계산치, 621.18; 관측치 621.4.
실시예 10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2-클로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8에서 5 당량의 수산화리튬만을 사용한다.
1H NMR (400 MHz, CD3OD) δ 8.16 (s, 1H), 7.42 (m, 2H), 7.26 (m, 2H), 7.21 (m, 2H), 6.99 (m, 3H), 5.97 (d, J = 7.6Hz, 1H), 4.96 (d, J = 7.6Hz, 1H), 4.82 (m, 2H), 4.28 (m, 1H), 4.03 (m, 2H), 3.75 (m, 2H), 3.38 (m, 2H), 3.22 (m, 2H), 2.97 (s, 1H) 1.29 (t, J = 7.6Hz, 3H). HPLC: 9.43분, 96.2%. LC-MS: m/z = 642, 597 (M-CO2H); m/z = 292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0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피리딘-4-일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8에서 5 당량의 수산화리튬만을 사용한다. 화합물을 대략 2:1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로서 단리하였다.
주요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73 (d, J = 5.9Hz, 2H), 8.15 (s, 0.61H), 7.98 (d, J = 5.9Hz, 2H), 7.23 (m, 2H), 7.06 (m, 3H), 6.00 (m, 1H), 5.00 (m, 2H), 4.10 (m, 4H), 3.39 (m, 2H), 3.12 (s, 0.80H), 1.17 (m, 3H). 부수적 이성질체의 1H NMR (DMSO-d6): δ 8.73 (d, J = 5.9Hz, 2H), 8.31 (s, 0.32H), 7.98 (d, J = 5.9Hz, 2H), 7.23 (m, 2H), 7.06 (m, 3H), 6.00 (m, 1H), 5.00 (m, 2H), 4.10 (m, 4H), 3.39 (m, 2H), 3.01 (s, 0.41H), 1.17 (m, 3H). HPLC: 6.25분, 94.8%. LC-MS: m/z = 638 (M+), 594 (M-CO2H), m/z = 259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10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5-메틸아이소옥사졸-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8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4에서 브로민화벤질 대신 3-(브로모메틸)-5-메틸아이소옥사졸을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프로판-2-아민을 사용한다.
1H-NMR (400 MHz, CD3OD) δ 8.46 (s, 1H) 5.99 (d, J=7.6Hz, 1H) 5.95 (s, 1H) 5.07 (d, J=7.6Hz, 1H) 4.41-4.38 (m, 1H) 4.31-4.29 (m, 1H) 4.07-4.05 (m, 1H) 3.99-3.88 (m, 1H) 3.50-3.38 (m, 2H) 2.95 (s, 1H) 2.05 (s, 3H) 1.27 (d, J=6.5Hz, 6H). ESI-MS (m/z): C23H25ClN6O9에 대한 [M]+ 계산치 564.93; 관측치 566.1
실시예 111
2-(((2R,3S,4R,5R)-5-(2-클로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5-메틸아이소옥사졸-3-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85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4에서 브로민화벤질 대신 3-(브로모메틸)-5-메틸아이소옥사졸을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한다.
1H-NMR (400 MHz, CD3OD) δ 8.62-8.58 (br s, 1H) 7.41-7.38 (m, 2H) 7.07-7.01 (m, 2H) 6.01 (d, J=7.4Hz, 1H) 5.96 (s, 1H) 5.09 (d, J=7.3Hz, 1H) 4.82-4.71 (m, 2H) 4.31-4.29 (m, 1H) 4.06 (dd, J=10.0,3.8Hz, 1H) 3.97 (dd, J=10.1, 3.1Hz, 1H) 3.44-3.32 (m, 2H) 3.18 (s, 3H) 2.96 (s, 1H).
실시예 112
2-(벤조[d]티아졸-2-일메틸)-2-(((2R,3S,4R,5R)-5-(2-클로로-6-((4-플루오로벤질)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86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4에서 브로민화벤질 대신 2-(브로모메틸)벤조[d]티아졸을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4-플루오로페닐)메탄아민을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D3OD) δ 8.57-8.54 (br s, 1H) 7.74-7.70 (m, 2H) 7.45-7.41 (m, 2H) 7.23-7.20 (m, 1H) 7.12-7.16 (m, 1H) 7.09-7.04 (m, 2H) 5.94 (d, J=7.3Hz, 1H) 5.15 (d, J=7.1Hz, 1H) 4.77-4.72 (m, 2H) 4.35-4.32 (m, 1H) 4.20 (dd, J=10.1, 2.7Hz, 1H) 4.11 (dd, J=10.1, 3.1Hz, 1H) 3.99-3.86 (m, 2H) 2.77 (s, 1H).
실시예 11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옥소-3-(피롤리딘-1-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7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3-옥소-3-(피롤리딘-1-일)프로파노에이트를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암모니아를 사용한다. 생성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55/45 혼합물로서 단리시킨다.
다량의 부분입체이성질체 1H-NMR (400 MHz, CD3OD) d 8.80 (s, 1H) 5.99 (d, J=7.4Hz, 1H) 5.05 (d, J=7.4Hz, 1H) 4.88 (s, 1H) 4.28-4.26 (m, 1H) 4.13 (dd, J=10.7,2.5Hz, 1H) 4.00 (dd, J=10.7, 3.9Hz, 1H) 3.66-3.39 (m, 4H) 3.17 (s, 1H) 1.89-1.79 (m, 4H). 소량의 부분입체이성질체 1H-NMR (400 MHz, CD3OD) δ 8.89 (s, 1H) 6.03 (d, J=7.4Hz, 1H) 5.05 (d, J=7.4Hz, 1H) 4.86 (s, 1H) 4.28-4.26 (m, 1H) 3.90-3.86 (m, 2H) 3.66-3.39 (m, 4H) 3.16 (s, 1H) 1.89-1.79 (m, 4H). ESI-MS (m/z): C19H21ClN6O7에 대한 [M]- 계산치 480.86; 관측치 479.1
실시예 114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옥소-3-(피롤리딘-1-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8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3-옥소-3-(피롤리딘-1-일)프로파노에이트를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펜탄아민을 사용한다. 생성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55/45 혼합물로서 단리시킨다.
다량의 부분입체이성질체. 1H NMR (400 MHz, CD3OD) d 8.72 (s, 1H) 5.96 (d, J=7.4Hz, 1H) 5.04 (d, J=7.4Hz, 1H) 4.87 (s, 1H) 4.52-4.48 (m, 1H) 4.28-4.25 (m, 1H) 4.14 (d, J=10.5Hz, 1H) 4.01 (dd, J=10.6,5.2Hz, 1H) 3.60-3.36 (m, 4H) 3.17 (s, 1H) 2.10-2.04 (m, 2H) 1.84-1.77 (m, 6H) 1.69-1.58 (m, 4H) 소량의 부분입체이성질체 1H NMR (400 MHz, CD3OD) δ 8.64 (s, 1H) 6.00 (d, J=7.4Hz, 1H) 5.01 (d, J=7.4Hz, 1H) 4.85 (s, 1H) 4.52-4.48 (m, 1H) 4.28-4.25 (m, 1H) 3.92-3.86 (m, 2H) 3.60-3.36 (m, 4H) 3.16 (s, 1H) 2.10-2.04 (m, 2H) 1.84-1.77 (m, 6H) 1.69-1.58 (m, 4H) ( . ESI-MS (m/z): C24H29ClN6O7에 대한 [M]- 계산치 548.98; 관측치 547.3.
실시예 115
3-아미노-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옥소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189
단계 1:
질소 하에서, 무수 아세토나이트릴 (90㎖) 중의 2,6-다이클로로아데닌(2.91g, 15.4m㏖, 1.01 eq)과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4.87㎖, 19.6m㏖, 1.29 eq)의 현탁액. 다음에,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0㎖) 중의 (2R,3R,4R,5R)-2,4-비스(아세틸옥시)-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옥솔란-3-일 아세테이트(8.2g, 15.22m㏖) 용액을 첨가한 후에,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3.67㎖, 20.3m㏖, 1.3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50℃로 18시간 동안 가온시키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은 연한-황색이 되며, 4시간 후에 투명한 호박색으로 바뀐다).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10㎖)을 첨가하고 나서,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100㎖)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다이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대략 3㎖, 1:1)에 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칼럼(대략 300 cc) 상에 장입하고 나서, 헥산 중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하여 (2R,3R,4R,5R)-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8.2g, 81%)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무수 THF(25㎖) 중의 (2R,3R,4R,5R)-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6g, 2.4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0.192㎖, 3.36m㏖, 1.4 eq), 다음에 THF(3.36㎖, 3.36m㏖, 1.4 eq) 중의 플루오린화테트라뷰틸암모늄의 1 N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나서,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해 정제하여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0.88g, 86%)를 백색 거품으로서 얻었다.
단계 3:
질소 하에서, 무수 톨루엔(3㎖) 중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72㎎, 0.40m㏖)와 에틸 3-(아미노옥시)-2-다이아조-3-옥소프로파노에이트(160㎎, 1.02m㏖, 2.5 eq) 용액에 아세트산로듐(II) 이량체(5㎎, 0.011m㏖, 2.8 mol%)로 처리하고 80℃로 5시간 동안 가온시켰다.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다이클로로메탄 중의 25 내지 75%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해 정제하여 (2R,3R,4R,5R)-2-(((1-아미노-3-에톡시-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1㎎,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대략 85:15 혼합물에서 45%)를 무색 유리로서 얻었다.
단계 4:
질소 하에서, 다이옥산(2.5㎖) 중의 (2R,3R,4R,5R)-2-(((1-아미노-3-에톡시-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57㎎, 0.28m㏖) 용액을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100㎖, 0.61m㏖, 2.2 eq)과 사이클로펜틸아민(0.065㎖, 0.066m㏖, 2.33 eq)으로 처리하였다.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로 희석시키고, 물(10㎖)로 세척하고 나서,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2-(((1-아미노-3-에톡시-1,3-다이옥소프로판-2-일)옥시)메틸)-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를 제공하였다.
단계 5:
앞 단계로부터 얻어진 잔사를 실온에서 밤새 수소화암모늄과 에탄올(1:1/v:v, 1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THF(2.5㎖)에서 용해시키고, 물(2.5㎖)에 용해시킨 수산화리튬(23㎎, 0.96m㏖, 3.4 eq)으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대략 3시간 동안 가끔의 부드러운 가열과 함께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1N HCl을 이용하여 pH 대략 6까지 중화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나서,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52㎎, 3개 단계에 대해서 37%)을 다량의 백색 고체로서 제공한다.
주요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2O): δ 8.30 (s, 1H), 5.81 (m, 1H), 4.88 (d, J = 6.6Hz, 1H), 4.80 (d, J = 6.8Hz, 1H), 4.24 (m, 2H), 4.20 (bs, 1H), 3.83 (m, 2H), 3.01 (s, 1H), 1.85 (m, 2H), 1.49 (m, 6H). 부수적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2O): δ 8.39 (s, 1H), 5.81 (m, 1H), 4.88 (d, J = 6.6Hz, 1H), 4.80 (d, J = 6.8Hz, 1H), 4.24 (m, 2H), 4.20 (bs, 1H), 3.83 (m, 2H), 2.99 (s, 1H), 1.85 (m, 2H), 1.49 (m, 6H). HPLC: Rt = 7.08분, 93.0%. C20H23ClN6O7에 대한 ESI-MS 계산치. 494.13, 관측치 493.2 (M-); C10H11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236.07, 관측치 236.0(M-리보스 단편).
실시예 116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아마이드의 합성
Figure pct00190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15 합성의 단계 5로부터의 제2 생성물로서 제조하였다. 이를 다량의 백색 고체(8.5㎎, 6%)로서 단리시켰다.
1H NMR (400 MHz, DMSO-d6): 8.57 (s, 0.5H), 8.31 (s, 1H), 7.73 (s, 1H), 7.38 (m, 1.5H), 7.21 (m, 1.5H), 7.05 (m, 0.5H), 6.87 (m, 0.5H), 6.20 (m, 1H), 6.02 (d, J = 7.0Hz, 1H), 5.79 (d, J = 7.8Hz, 1H), 5.02 (s, 1H), 4.73 (s, 1H), 4.39 (m, 1H), 4.18 (m, 1H), 3.79 (m, 1H), 3.68 (s, 1H), 1.85 (m, 2H), 1.49 (m, 6H). HPLC: Rt = 6.64분, 97.1%. C20H24ClN7O6에 대한 ESI-MS 계산치 493.15, 관측치 492.3 (M-); C10H11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236.1, 관측치 236.1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17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91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메틸아민을 사용하고, 단계 4를 제거한다.
1H NMR (400 MHz, CD3OD) δ 8.88 (s, 1H), 6.05 (d, J = 7.6Hz, 1H), 5.03 (d, J = 7.6Hz, 1H), 4.62 (s, 1H), 4.26 (m, 1H), 4.04 (m, 1H), 3.90 (m, 1H), 3.11 (s, 1H), 3.07 (s, 3H). HPLC: Rt = 5.92분, 97.9%. C16H16ClN5O8에 대한 ESI-MS 계산치 441.07, 관측치 442.5 (M+); C6H5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182.02, 관측치 184.2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18
2-(((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9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4는 제거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8.87 (s, 1H), 7.39 (m, 2H), 7.33 (m, 2H), 7.26 (m, 1H), 6.06 (d, J = 7.6Hz, 1H), 5.02 (d, J = 7.6Hz, 1H), 4.76 (m, 2H), 4.62 (s, 1H), 4.26 (s, 1H), 4.03 (m, 1H), 3.90 (m, 1H), 3.10 (s, 1H). HPLC: Rt = 7.83분, 98.2%. C22H20ClN5O8에 대한 ESI-MS 계산치 517.10 관측치 516.7 (M-); C12H9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258.05, 관측치 25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19
2-(((2R,3S,4R,5R)-5-(2-클로로-6-몰폴리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페닐설폰일)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193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2-(페닐설폰일)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몰폴린을 사용하고, 단계 4는 제거한다.
주요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40 (s, 1H), 7.83 (m, 2H), 7.66 (m, 2H), 7.53 (m, 1H), 5.83 (m, 1H), 5.50 (d, J = 7.8Hz, 1H), 4.80 (d, J = 7.8Hz, 1H), 4.16 (m, 4H), 3.98 (m, 1H), 3.76 (m, 4H), 3.63 (s, 1H). 부수적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41 (s, 1H), 7.83 (m, 2H), 7.66 (m, 2H), 7.53 (m, 1H), 5.83 (m, 1H), 5.50 (d, J = 7.8Hz, 1H), 4.66 (d, J = 7.8Hz, 1H), 4.16 (m, 4H), 3.98 (m, 1H), 3.76 (m, 4H), 3.61 (s, 1H). HPLC: Rt = 7.83 (부수적), 8.18분(주요), 99.6% (40:60). C26H26ClN5O9에 대한 ESI-MS 계산치 587.14, 관측치 588 (M+); C24H24ClN5O9S에 대한 ESI-MS 계산치 593.10, 관측치 592 (M-); C23H23ClN5O7S에 대한 ESI-MS 계산치 548.10, 관측치 548 (M-CO2H); C9H9ClN5O에 대한 ESI-MS 계산치 238.05, 관측치 240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20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메틸설폰일)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194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에서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2-(메틸설폰일)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단계 7에서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펜탄아민을 사용하고, 단계 4는 제거한다.
주요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47 (s, 1H), 5.85 (m, 1H), 5.36 (m, 1H), 5.01 (m, 1H), 4.86 (d, J = 8.0Hz, 1H), 4.42 (m, 2H), 4.33 (m, 1H), 4.25 (m, 2H), 4.14 (m, 1H), 4.00 (m, 1H), 3.37 (s, 1H), 3.05 (s, 3H), 1.97 (m, 2H), 1.72 (m, 2H), 1.57 (m, 4H). 부수적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39 (s, 1H), 5.83 (m, 1H), 5.36 (m, 1H), 4.68 (d, J = 8.0Hz, 1H), 4.42 (m, 2H), 4.33 (m, 1H), 4.25 (m, 2H), 4.14 (m, 1H), 4.00 (m, 1H), 3.37 (s, 1H), 3.05 (s, 3H), 1.97 (m, 2H), 1.72 (m, 2H), 1.57 (m, 4H). HPLC: Rt = 8.02분, 98.4%. C20H24ClN5O8S에 대한 ESI-MS 계산치. 529.10, 관측치 530 (M+); C10H11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236.07, 관측치 238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21 및 122
2-(((2R,3S,4R,5R)-5-(6-아미노-2-카바모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3-에톡시-3-옥소프로판산
2-(((2R,3S,4R,5R)-5-(6-아미노-2-카바모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95
단계 1:
DMSO(10㎖)와 H2O (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g, 1.17m㏖, 1 eq) 용액에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탄(128㎕, 1.17m㏖, 1 eq)과 NaCN(114.20㎎, 2.33m㏖, 2 eq)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5㎖)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50㎖),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콤비-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사이아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12㎎, 40%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0℃에서 DCM(1.7㎖)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사이아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 75.23μ㏖, 1 eq)의 용액에 TFA(0.3㎖)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로 희석시켜 pH 9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3㎖)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5R)-5-(6-아미노-2-사이아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45㎎)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MeCN(2㎖)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5R)-5-(6-아미노-2-사이아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로네이트(65㎎, 115.14μ㏖, 1 eq) 용액에 3,4,6,7,8,9-헥사하이드로-2H-피리미도[1,2-a]-피리미딘(TBD)(1 M aq., 461㎕, 4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6-아미노-2-카바모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3-에톡시-3-옥소프로판산(실시예 121)(4.1㎎, 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2-(((2R,3S,4R,5R)-5-(6-아미노-2-카바모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실시예 122)(2.2㎎, 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실시예 121: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9 - 8.39 (m, 1H) 7.26 (br d, J=5.88 Hz, 2H) 7.03 - 7.12 (m, 3H) 6.20 (dd, J=9.69, 7.19 Hz, 1H) 4.91 - 4.97 (m, 1H) 4.29 (br s, 1H) 3.98 - 4.24 (m, 4H) 3.41 - 3.53 (m, 1H) 3.31 - 3.40 (m, 1H) 2.97-3.08 (m, 1H) 1.18 (q, J=7.25 Hz, 3H); LC/MS [M + H] = 555.1.
실시예 122: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04 (s, 1H) 7.16 - 7.28 (m, 2H) 7.07 (br s, 3H) 6.20 (d, J=5.88 Hz, 1H) 4.92 - 4.99 (m, 1H) 4.37 (br s, 1H) 3.97 (br d, J=3.63 Hz, 2H) 3.32 - 3.48 (m, 2H) 3.01 (s, 1H); LC/MS [M + H] = 527.0.
실시예 123
(1-(((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메톡시-2-옥소에틸)포스폰산
Figure pct00196
단계 1: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565㎎, 0.926m㏖, 1.0 eq)와 메틸 2-다이아조-2-(다이메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247㎎, 1.20m㏖, 1.3 eq)의 혼합물을 톨루엔과 2회 공비혼합하고, 얻어진 오일을 톨루엔(5.7㎖)에 재용해시켰다. 반응물을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교반하고, 자켓 환류 컨덴서에 맞추었다. 아세트산로듐(II)(0.185m㏖, 82㎎, 0.2 eq)을 첨가하고 나서, 반응물을 75℃에서 9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얻어진 오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세트아미도)-2-클로로-9H-퓨린-9-일)-2-((1-(다이메톡시포스포릴)-2-메톡시-2-옥소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를 제공하였다.
단계 2 내지 3:
앞 단계로부터의 생성물을 탈보호는 실시예 121의 단계 4에 기재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KOEt 대신에 수성 NaOH 용액을 사용하여 카복실산을 야기하였다. 분취 역상 HPLC로부터 백색 고체로서 표제 화합물을 단리시켰다.
1H NMR (CD3OD, 300 MHz) δ 8.08 (s, 1H), 6.06 (bs, 1H), 5.06-5.08 (d, J = 5 Hz, 1H), 4,28 (s, 1H), 3.90-4.10 (m, 2H), 3.79 (s, 3H), 3.98 (bs, 2H), 3.13 (s, 1H); LC/MS [M + H] = 478.2.
실시예 124
(1-(((2R,3S,4R,5R)-5-(2-클로로-6-몰폴리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에톡시-2-옥소에틸)포스폰산의 합성
Figure pct00197
(1-(((2R,3S,4R,5R)-5-(2-클로로-6-몰폴리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에톡시-2-옥소에틸)포스폰산을 실시예 59에 제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에서 2-다이아조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2-(다이에톡시포스포릴)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몰폴린을 사용하고, 단계 4는 제거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의 1:1 혼합물로서 화합물을 단리시켰다.
주요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59 (s, 1H), 5.90 (m, 1H) 5.00 (d, J = 7.0Hz, 1H), 4.25 (m, 2H), 4.05 (m, 4H), 3.99 (m, 1H), 3.83 (m, 1H), 3.75 (m, 4H), 3.01 (s, 1H) 1.05 (t, J = 7.1Hz, 3H). 부수적 이성질체의 1H NMR (400 MHz, DMSO-d6): δ 8.48 (s, 1H), 5.88 (m, 1H), 4.94 (d, J = 6.9Hz, 1H), 4.25 (m, 2H), 4.05 (m, 4H), 3.99 (m, 1H), 3.83 (m, 1H), 3.75 (m, 4H), 3.01 (s, 1H), 0.99 (t, J = 7.1Hz, 3H). HPLC: 부수적 이성질체 = 6.63분; 주요 이성질체 = 6.65분, 98.6%. LC-MS: m/z = 562 (M+); m/z = 240 (M-리보스 단편).
실시예 125
2-벤질-2-(((2R,3S,4R,5R)-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5-(5-(트라이플루오로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98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을 5-(트라이플루오로메틸)-3H-이미다조[4,5-b]피리딘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82 (bs, 1H), 8.23 (d, J=8 Hz, 1H), 7.78 (d, J=8 Hz, 1H), 7.29-7.26 (m, 2H), 7.03-7.00 (m, 3H), 6.32 (d, J=7 Hz, 1H), 5.10 (d, J=7 Hz, 1H), 4.37-4.36 (m, 1H), 4.08 (d, J=3 Hz, 2H), 3.42 (dd, J=15, 28 Hz, 2H), 2.98 (s, 1H); LC/MS [M + H] = 535.2.
실시예 126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199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4-(클로로메틸)티아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76 (bs, 1H), 8.57 (bs, 1H), 7.36 (bs, 1H), 6.00 (d, J=7 Hz, 1H), 5.00-4.95 (m, 1H), 4.35 (bs, 1H), 4.08-4.04 (m, 2H), 3.66-3.64 (m, 2H), 2.98 (s, 1H); LC/MS [M + H] = 524.9.
실시예 127
2-(((2R,3S,4R,5R)-5-(2-아세틸-6-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0
단계 1:
DCM(60㎖) 중의 6-아미노-2-클로로아데닌(3.0g, 17.69m㏖, 1 eq) 현탁액에 4-DMAP(2.16g, 17.69m㏖, 1 eq), TEA(21.48g, 212.30m㏖, 29.55㎖, 12 eq)와 (Boc)2O(30.89g, 141.53m㏖, 8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H4Cl(10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콤비-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카복실레이트(904㎎, 11%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MF(12㎖) 중의 tert-뷰틸 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카복실레이트(900㎎, 1.92m㏖, 1 eq) 용액에 Pd(PPh3)2Cl2(134.43㎎, 191.52μ㏖, 0.1 eq)와 트라이뷰틸(1-에톡시비닐)스탄난(832㎕, 2.46m㏖, 1.29 eq)을 N2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9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KF 용액(8㎖)으로 희석시키고,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8㎖)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0㎖), 염수(1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콤비-플래시(실리카겔, 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N-(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 -(2-(1-에톡시비닐)-9H-퓨린-6-일)카바메이트(256㎎, 3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MeCN (1㎖) 중의 마지막 단계로부터의 생성물(60㎎, 109.38μ㏖, 1 eq)과 다이에틸 2-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3.22㎎, 131.26μ㏖, 1.2 eq) 용액에 BSA(65㎕, 262.52μ㏖, 2.4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5℃로 냉각시킨 다음, TMSOTf(24㎕, 131.26μ㏖, 1.2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6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5㎖)로 희석시키고 나서, EtOAc(2×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1-에톡시비닐)-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2㎎, 55% 수율)를 무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THF(1.5㎖)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1-에톡시비닐)-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0㎎, 57.66μ㏖, 1 eq) 용액에 1M 수성 HCl(0.5㎖, 8.67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1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5㎖)로 희석시키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아세틸-6-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0㎎)를 밝은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THF(4㎖)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아세틸-6-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0㎎, 45.07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901㎕, 2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6 동안 교반한 후에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하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분획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4㎎, 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3 (bs, 1H), 7.14-6.98 (m, 5H), 6.06 (d, J=6.4 Hz, 1H), 4.89 (d, J=6.8 Hz, 1H), 4.26 (m, 1H), 3.94-3.91 (m, 2H), 3.30-3.21 (m, 2H), 2.91 (s, 1H), 2.61 (s, 3H); LC/MS [M + H] = 526.0.
실시예 128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오펜-2-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1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2-(브로모메틸)티오펜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37 (bs, 1H), 7.10 (d, J=5 Hz, 1H), 6.93-6.72 (m, 2H), 6.00 (d, J=7.2 Hz, 1H), 4.98 (d, J=7.6 Hz, 1H), 4.23 (bs, 1H), 4.06 (bs, 2H), 3.62-3.58 (m, 2H), 2.94 (s, 1H); LC/MS [M + H] = 523.9.
실시예 129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펜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페닐설폰일)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202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59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지만, 단계 3의 1-에틸 3-(프로프-1-엔-1-일) 2-다이아조 말로네이트 대신 에틸 2-다이아조-2-(페닐설폰일)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고, 단계 7의 벤질아민 대신 사이클로펜탄아민을 사용하고, 단계 4는 제거한다.
LC/MS [M + H] = 592.0.
실시예 130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3
상기 실시예 2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4 (s, 1H), 7.58 (dd, J=6.7, 1.9 Hz, 1H), 7.27-7.38 (m, 5H), 6.35 (t, J=6.9 Hz, 1H), 5.95 (d, J=7.8 Hz, 1H), 4.77 (d, J=7.8 Hz, 1H), 4.28 (t, J=2.6 Hz, 1H), 3.96-4.13 (m, 4H), 3.38-3.57 (m, 2H), 3.05 (s, 1H,) 2.99 (m, 3H), 1.32 (t, J=7.3 Hz, 3H); LC/MS [M + H] = 653.1.
실시예 131
2-(((2R,3S,4R,5R)-5-(6-클로로-3-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4
단계 1:
25℃에서 유지한 무수 DCM(100㎖)와 무수 THF(50㎖)의 혼합물 중의 (4-아미노페닐)메탄올 (27.65g, 224.44m㏖, 1 eq) 용액에 1-클로로-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판(26.83g, 224.44m㏖, 1 eq)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약간 발열성이었고, 15분 이내에 침전물이 형성됨에 따라 황색으로 바뀌었다.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헥산(50㎖)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추가 15분 동안 교반한 후에 고체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DCM과 헥산의 혼합물(5:1 = v:v)로 린스하였다. 건조 시, 1-(3-클로로프로필)-3-(4-(하이드록시메틸)페닐)유레아(38.45g)를 밝은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자기 교반기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25℃에서 THF(300㎖) 중의 1-(3-클로로프로필)-3-(4-(하이드록시메틸)페닐)유레아(30.00g, 123.6m㏖, 1.0 eq) 용액에 THF(247.2㎖, 247.2m㏖, 2.0 eq) 중의 1M t-BuOK 용액을 적가하였다. 얻어진 이질적 혼합물을 2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5 내지 6으로 산성화하였다. 이어서,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조질의 고체를 MeOH(75㎖)에서 취하고, 농축시켰다. 얻어진 고체 혼합물을 부드러운 교반 하에 DCM(220㎖) 중의 7% MeOH 용액으로 린스하고, 고체를 여과시켰다. 고체를 DCM(150㎖) 중의 7% MeOH로 다시 린스하고, 여과하였다. 합하고 나서, 린스하고, 농축시켜 목적하는 조질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을 노르스름한 고체(27.68g)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250㎖) 중의 조질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5.00g, 72.74m㏖, 1 eq) 현탁액에 N2 분위기 하에 25℃에서 염화티오닐(10.61㎖, 145.48m㏖, 2 eq)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250㎖)로 희석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EtOAc로 린스하고 나서, 건조시켜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5.00g)을 제공하였다.
단계 4:
DMF(7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7.04g, 16.99m㏖, 1 eq) 용액에 20℃에서 Cs2CO3(11.07g, 33.98m㏖, 2 eq)와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5.09g, 25.49m㏖,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300㎖)로 희석시키고,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10 내지 40% 아세톤)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9.62g, 94% 수율)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9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17.31g, 28.72m㏖, 1 eq) 용액에 H2O(18㎖)와 TFA(90㎖, 1.22㏖, 4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2×50㎖)과 공비혼합하여 조질의 생성물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6:
0℃에서 DCM(170㎖)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17.23g, 조질) 용액에 4-DMAP(374㎎, 3.06m㏖, 0.1 eq), Ac2O(17.21㎖, 183.77m㏖, 6 eq)와 피리딘(19.78㎖, 245.02m㏖, 8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200㎖) 중에 재용해시키고, 1N 수성 HCl(150㎖), 10% 수성 Cu2SO4(150㎖), 포화 수성 NaHCO3(150㎖) 및 염수(1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9.24g)를 거품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로 옮겼다.
단계 7:
0℃에서 MeCN(4㎖)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50㎎, 0.70m㏖, 1 eq)와 6-클로로-3-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128㎎, 0.77m㏖, 1.1 eq) 현탁액에 DBU(315㎕, 2.09m㏖, 3.0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MeCN(2㎖) 중의 TMSOTf(566㎕, 3.13m㏖, 4.5 eq) 용액을 적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5℃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을 이용하여 pH 9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4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콤비-플래시(DCM 중의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클로로-3-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1-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55㎎, 49%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THF(6㎖)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클로로-3-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1-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96㎎, 392μ㏖, 1 eq) 용액에 수성 LiOH 용액(2M, 1.96㎖, 10 eq)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층에 1N HCl을 첨가하여 pH를 5 내지 6으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질의 생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25% 내지 45%, 10분)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동결건조에 의해 단리시켜 2-(((2R,3S,4R,5R)-5-(6-클로로-3-메틸-1H-피라졸로[3,4-b]피리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32㎎)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27 (d, J=8.28 Hz, 1H), 7.31 (d, J=8.28 Hz, 1H), 6.97 (d, J=8.53 Hz, 2H), 6.81 (d, J=8.53 Hz, 2H), 6.49 (s, 1H), 6.20 (s, 1H), 6.13 (d, J=7.53 Hz, 1H), 5.97 (s, 1H), 4.98 (d, J=7.53 Hz, 1H), 4.13 (dd, J=8.41, 2.64 Hz, 1H), 3.93-3.99 (m, 1H), 3.84-3.91(m, 1H), 3.64 (s, 1H), 3.42-3.52 (t, J=5.60 Hz, 2H), 3.17-3.23 (m, 2H), 3.05-3.16 (m, 2H), 2.45 (s, 3H), 1.90 (m, 2H); LC/MS [M + H] = 614.3.
실시예 132
2-(((2R,3S,4R,5R)-5-(2-클로로-6-옥소-1H-퓨린-9(6H)-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5
단계 1:
25℃에서 MeCN(5㎖) 중의 2,6-다이클로로-9H-퓨린(379.97㎎, 2.01m㏖) 용액에 BSA(956㎕, 3.87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5℃로 다시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에 25℃에서 MeCN(5㎖)와 TMSOTf(419㎕, 2.32m㏖) 중의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g)를 첨가하고, 추가로 6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킨 후에, 포화 수성 NaHCO3(10㎖)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365㎎)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180㎎) 용액에 25℃에서 H2O(1㎖) 중의 LiOH . H2O(97.39㎎, 2.32m㏖, 10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수성상을 pH 5 내지 6으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 FA)-ACN]; B%: 13% 내지 33%,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2-클로로-6-옥소-1H-퓨린-9(6H)-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15㎎)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62 (s, 1H), 7.24 (d, J=8.31 Hz, 2H), 7.03 (d, J=8.31 Hz, 2H), 6.32 (d, J=6.48 Hz, 1H), 4.61 (d, J=6.48 Hz, 1H), 4.28-4.34 (m, 1H), 3.92-4.04 (m, 2H), 3.55-3.66 (m, 2H), 3.33-3.40 (m, 4H), 3.02 (s, 1H), 1.99-2.06 (m, 2H); LC/MS [M + H] = 617.2.
실시예 133
2-(((2R,3S,4R,5R)-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5-(5-메틸-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6
단계 1:
MeCN(2㎖) 중의 5-메틸피리미딘-2,4(1H,3H)-다이온(100㎎, 792.94μ㏖, 1 eq)의 혼합물에 BSA(490㎕, 1.98m㏖,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MeCN(2㎖)과 TMSOTf(430㎕, 2.38m㏖, 3.0 eq) 중의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85㎎)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N2 분위기 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5℃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10㎖)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3×5㎖)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화합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0 내지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에틴일-5-(5-메틸-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08㎎, 37% 수율)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3-에틴일-5-(5-메틸-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00㎎, 280.62μ㏖, 1 eq) 용액에 20 내지 25℃에서 H2O(1㎖) 중의 LiOH . H2O(58.88㎎, 1.40m㏖, 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상을 1N 수성 HCl을 이용히여 pH 5 내지 6으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13% 내지 33%,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이어서, 동결건조시켜 2-(((2R,3S,4R,5R)-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5-(5-메틸-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49㎎)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7.83 (d, J=0.75 Hz, 1H), 7.33 (d, J=8.28 Hz, 2H), 7.11 (d, J=8.28 Hz, 2H), 6.06 (d, J=7.78 Hz, 1H), 4.44 (d, J=7.78 Hz, 1H), 4.16 (t, J=2.26 Hz, 1H), 3.92-4.05 (m, 2H), 3.47-3.65 (m, 3H), 3.33-3.41 (m, 3H), 2.98 (s, 1H), 2.04 (m, 2H), 1.62 (s, 3H); LC/MS [M + H] = 573.1.
실시예 134
2-(((2R,3S,4R,5R)-5-(2,4-다이옥소-3,4-다이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7
상기 실시예 13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티민을 유라실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7.91 (d, J=8.0 Hz, 1H), 7.31 (d, J=8.4 Hz, 2H), 7.15 (d, J=8.4 Hz, 2H), 6.01 (d, J=7.5 Hz, 1H), 5.20 (d, J=8.0 Hz, 1H), 4.36 (d, J=7.5 Hz, 1H), 4.17 (t, J=2.4 Hz, 1H), 3.99 (dd, J=18.8, 2.5 Hz, 2H), 3.55-3.66 (m, 2H), 3.44-3.52 (m, 1H), 3.33-3.38 (m, 3H), 3.01 (s, 1H), 1.99 - 2.10 (m, 2H); LC/MS [M + H] = 559.1.
실시예 135
2-(((2R,3S,4R,5R)-5-(4-아미노-2-옥소피리미딘-1(2H)-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8
상기 실시예 13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티민을 사이토신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7.92-8.05 (m, 1H), 7.76-7.92 (br s, 1H), 7.45-7.62 (s, 1H), 7.03-7.19 (m, 4H), 6.55 (s, 1H), 5.91-5.99 (m, 1H), 5.87 (d, J=6.80 Hz, 1H ), 5.80 (d, J=6.00 Hz,1H), 5.57 (d, J=7.20 Hz, 1H), 4.13 (t, J=6.80 Hz, 1H), 4.02-4.08 (m, 1H), 3.68-3.82 (m, 2H), 3.50-3.57 (m, 2H), 3.22 (s, 1H), 3.19-3.22 (m, 3H), 1.82-1.99 (m, 2H); LC/MS [M + H] = 558.3.
실시예 136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09
상기 실시예 13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티민을 2-클로로-N-(사이클로프로필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2 (s, 1H), 7.28 (br d, J=8.03 Hz, 2H), 7.03 (d, J=8.28 Hz, 2H), 5.97 (d, J=7.28 Hz, 1H), 4.72-4.77 (m, 1H), 4.28 (s, 1H), 3.95-4.05 (m, 2H), 3.34-3.52 (m, 8H), 3.05 (s, 1H), 1.92-2.02 (m, 2H), 1.11-1.20 (m, 1H), 0.51-0.59 (m, 2H), 0.34 (q, J=4.85 Hz, 2H); LC/MS [M + H] = 670.1.
실시예 137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2-하이드록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0
단계 1:
0℃에서 THF(100㎖) 중의 화합물 1-(3-클로로프로필)-3-(4-(하이드록시메틸)페닐)유레아(5g, 20.60m㏖, 1 eq)의 용액에 NaH(9.89g, 247.22m㏖, 광유 중의 60%, 1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후에 TBDPSCl(6.80g, 24.72m㏖, 1.2 eq)을 첨가하고, 추가 1.5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에 브로민화알릴(9.97g, 82.41m㏖, 4 eq)을 첨가하고, 추가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H2O(50㎖)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석유 에터(0 내지 30%) 중 EtOAc로 용리하여 1-알릴-3-(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6g, 60% 수율)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78℃에서 MeOH(60㎖)와 DCM(30㎖)의 혼합물 중의 화합물 1-알릴-3-(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6g, 12.38m㏖, 1 eq) 용액에, 용액의 청색이 20분 동안 지속될 때까지 오존(15 psi)을 도입하였다. 10분 동안 질소 기체 버블링에 의해 과량의 오존을 제거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NaBH4(937㎎, 24.76m㏖, 2 eq)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 도달시키고 나서, 15시간 동안 25℃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N 수성 HCl(50㎖)에 붓고, EtOAc(2×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100㎖)과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1-(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3-(2-하이드록시에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6.6g)을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25℃에서 DCM(40㎖)과 피리딘(3.00㎖, 37.14m㏖, 3 eq) 중의 조질의 1-(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3-(2-하이드록시에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2.38m㏖, 1 eq) 용액에 Ac2O(2.32㎖, 24.76m㏖, 2 eq)와 4-DMAP(151㎎, 1.24m㏖, 0.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60㎖)를 이용하여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30㎖), 염수(3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3-(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THF(40㎖) 중의 조질의 2-(3-(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6.57g, 12.38m㏖, 1 eq) 용액에 0℃에서 THF(18.57㎖, 1.5 eq) 중의 1 M TBAF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100㎖)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4×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수상을 추가로 CH2Cl2(4×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더 많은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의 배취(batch)를 둘 다 합하고,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40 내지 100% EtOAc) 상에서 추가로 정제하여 2-(3-(4-(하이드록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3.14g)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25㎖) 중의 2-(3-(4-(하이드록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1.28g, 4.38m㏖, 1 eq)와 DMF(3.37㎕, 43.79μ㏖, 0.01 eq)의 혼합물에 SOCl2(5㎖, 68.92m㏖, 15.74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켜 조질의 2-(3-(4-(클로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1.51g)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6:
DMF(8㎖) 중의 조질의 2-(3-(4-(클로로메틸)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에틸 아세테이트(1.51g, 4.38m㏖, 1 eq)와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2,2-다이메틸-6-(프로프-1-인-1-일)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91g, 4.60m㏖, 1.05 eq)의 용액에 Cs2CO3(4.28g, 13.14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40㎖)로 희석시키고, EtOAc(3×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NH4Cl(2×15㎖), 물(2×15㎖), 염수(15㎖)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25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20g, 68%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DCM(7.5㎖)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20g, 3.19m㏖, 1 eq) 용액에 TFA(7.5㎖, 101.30m㏖, 32 eq)와 H2O(1.5㎖)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0㎖)로 희석시키고, 이어서, NaHCO3 고체를 이용하여 혼합물의 pH를 7 내지 8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CH2Cl2(4×20㎖)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유기상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1g)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DCM(15㎖) 중의 상기 조질의 생성물(2.1g, 3.19m㏖, 1 eq) 용액에 Ac2O (1.79㎖, 19.14m㏖, 6 eq), 피리딘(2.06㎖, 25.52m㏖, 8 eq) 및 4-DMAP(38.97㎎, 319.00μ㏖, 0.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100㎖)로 희석시키고, 1N 수성 HCl(2×30㎖)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물(20㎖), 포화 수성 NaHCO3 용액(2×20㎖), 물(20㎖) 및 염수(10㎖)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나서,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3g)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MeCN(3㎖) 중의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151.59㎎, 825.68μ㏖, 1.1 eq) 용액에 BSA(408.19㎕, 1.65m㏖, 2.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MeCN(3㎖)과 TMSOTf(406.91㎕, 2.25m㏖, 3 eq) 중의 다이에틸 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50㎎, 조질)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5℃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20㎖)를 이용하여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10㎖),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처음에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고, 추가로 분취 TLC(DCM 중의 7%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80㎎, 22% 수율)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THF(1㎖) 중의 다이에틸 2-(4-(3-(2-아세톡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80㎎, 210.21μ㏖, 1 eq) 용액에 포화 수성 LiOH 용액(1.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6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혼합물의 pH를 2 내지 3으로 조절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ODS-AQ 150*30 5u; 이동상: [물(0.225%FA)-ACN]; B%: 15% 내지 35%, 15분)에 의해 정제하고,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2-하이드록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71.8㎎, 50%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4 (s, 1H), 7.27 (d, J=8.0 Hz, 2H), 6.98 (d, J=8.0 Hz, 2H), 5.96 (d, J=7.5 Hz, 1H), 4.76 (d, J=7.4 Hz, 1H), 4.26 (br s, 1H), 4.04 (s, 2H), 3.66 (t, J=5.6 Hz, 2H), 3.36-3.55 (m, 8H), 3.05 (m, 4H), 1.96-2.04 (m, 2H); LC/MS [M + H] = 674.1.
실시예 138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2-하이드록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1
상기 실시예 13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사이클로프로필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9 (s, 1H), 7.28 (d, J=8.3 Hz, 2H), 7.01 (d, J=8.3 Hz, 2H), 5.96 (d, J=7.5 Hz, 1H), 4.74 (d, J=7.3 Hz, 1H), 4.26 (t, J=2.8 Hz, 1H), 4.04 (d, J=2.3 Hz, 2H), 3.62-3.69 (m, 2H), 3.45-3.54 (m, 4H), 3.34-3.42 (m, 6H), 3.06 (s, 1H) 1.97-2.05 (m, 2H), 1.09-1.21 (m, 1H), 0.52-0.61 (m, 2H), 0.34 (q, J=4.8 Hz, 2H); LC/MS [M + H] = 714.1
실시예 139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2-하이드록시에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2
상기 실시예 137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8 (s, 1H), 7.29 (d, J=8.3 Hz, 2H), 7.02 (d, J=8.3 Hz, 2H), 5.95 (d, J=7.5 Hz, 1H), 4.73 (d, J=7.5 Hz, 1H), 4.39 (br s, 1H), 4.26 (t, J=2.5 Hz, 1H), 4.04 (d, J=2.0 Hz, 2H), 3.66 (t, J=5.8 Hz, 2H), 3.37-3.52 (m, 9H), 1.97-2.04 (m, 2H), 1.30 (d, J=6.3 Hz, 6H); LC/MS [M + H] = 702.1.
실시예 140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3
상기 실시예 13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티민을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6 (s, 1H) 7.32 (d, J=8.44 Hz, 2H) 7.08 (br d, J=8.31 Hz, 2H) 5.99 (d, J=7.46 Hz, 1H) 4.81 (d, J=7.46 Hz, 1H) 4.41 (br s, 1H) 4.26 - 4.31 (m, 1H) 3.97 - 4.12 (m, 2H) 3.40 - 3.57 (m, 4H), 3.33 - 3.37 (m, 2H), 3.03 (s, 1H), 1.99 (m, 2H), 1.31 (m, 6H); LC/MS [M + H] = 658.3.
실시예 141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4
상기 실시예 13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티민을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0 (s, 1H), 7.27 (d, J=8.13 Hz, 2H), 7.00 (d, J=8.00 Hz, 2H), 5.97 (d, J=7.38 Hz, 1H), 4.80 (d, J=7.38 Hz, 1H), 4.27 (s, 1H), 4.04 (m, 2H), 3.37 - 3.50 (m, 4H), 3.31 (d, J=1.13 Hz, 3H), 3.06 (s, 2H) 3.04 (s, 1H), 1.90 - 2.00 (m, 2H); LC/MS [M + H] = 630.2.
실시예 14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2-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5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2-(브로모메틸)티아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6 (s, 1H), 7.56 (d, J=3.4 Hz, 1H), 7.33 (d, J=3.4 Hz, 1H), 6.00 (d, J=5.6 Hz, 1H), 4.68 - 4.73 (m, 1H), 4.38 (dd, J=6.3, 3.4 Hz, 1H), 3.98 - 4.07 (m, 2H), 3.85 (s, 2H), 3.00 (s, 1H); LC/MS [M + H] = 524.9.
실시예 14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5-일메틸)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6
상기 실시예 1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알릴을 5-(클로로메틸)티아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75 (s, 1H), 8.47 (s, 1H), 7.72 (s, 1H), 6.03 (d, J=7.3 Hz, 1H), 4.97 (d, J=7.3 Hz, 1H), 4.36 (dd, J=4.3, 3.0 Hz, 1H), 4.12 - 4.18 (m, 1H), 4.04 - 4.10 (m, 1H), 3.63 - 3.79 (m, 2H), 3.00 (s, 1H); LC/MS [M + H] = 524.9.
실시예 144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피롤리딘-1-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7
단계 1:
DMF(10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g, 24.13m㏖, 1 eq) 용액에 Cs2CO3(23.59g, 72.39m㏖, 3 eq)와 1-(브로모메틸)-4-아이오도-벤젠(10.75g, 36.20m㏖, 1.5 eq)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00㎖)로 희석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EtOAc(4×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200㎖), 염수(2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5 내지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11.83g, 74%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MA(22㎖)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2.00g, 3.17m㏖, 1 eq) 용액에 K2CO3(1.32g, 9.52m㏖, 3 eq), CuI(120.84㎎, 634.50μ㏖, 0.2 eq) 및 프롤린(438.30㎎, 3.81m㏖, 1.2 eq)을 첨가하였다. 녹색 현탁액을 80℃에서 N2 분위기 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물(40㎖)과 2N 수성 LiOH(1㎖)에 부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30㎖)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수성층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5로 산성화하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2×4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80㎖), 염수(8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S)-1-(4-(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에톡시-2-(에톡시카보닐)-3-옥소프로필)페닐)피롤리딘-2-카복실산(390㎎)을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MF(5㎖) 중의 조질의 (S)-1-(4-(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에톡시-2-(에톡시카보닐)-3-옥소프로필)페닐)피롤리딘-2-카복실산(420㎎, 680.01μ㏖, 1 eq) 용액에 K2CO3(282㎎, 2.04m㏖, 3 eq)와 EtI(81.58㎕, 1.02m㏖, 1.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0㎖), 염수(2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330㎎)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CM(4㎖)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330㎎, 조질) 용액에 0℃에서 H2O(0.8㎖)와 TFA(4㎖)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으로 반응 중단시켜 pH를 9로 조절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8㎖)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285㎎)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피리딘(4㎖)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285㎎) 용액에 4-DMAP(172㎎, 1.41m㏖, 3 eq)와 Ac2O(352.60㎕, 3.76m㏖, 8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50%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20㎎, 4개 단계에 대해서 51%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MeCN(1㎖) 중의 다이에틸 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 72.50μ㏖, 1 eq)와 6-클로로퓨린(15㎎, 86.99μ㏖, 1.2 eq) 현탁액에 BSA(44.80㎕, 181.24μ㏖, 2.5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32.75㎕, 181.24μ㏖,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3㎖)에 부었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2:1)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33㎎, 57% 수율)를 황색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THF(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S)-2-(에톡시카보닐)피롤리딘-1-일)벤질)말로네이트(28㎎, 35.03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701㎕, 2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수성층을 pH 6으로 산성화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에 의해 정제하고, 40㎜*7㎛; 이동상: [물(0.225%FA)-ACN]; B%: 15% 내지 35%, 10분)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피롤리딘-1-일)벤질)말론산(2.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1 (s, 1H), 7.05 (d, J=8.53 Hz, 2H), 6.26 (d, J=8.53 Hz, 2H), 5.98 (d, J=7.53 Hz, 1H), 4.92 - 5.02 (m, 1H), 4.29 - 4.33 (m, 1H), 4.09 (dd, J=10.16, 2.38 Hz, 1H), 3.97 (dd, J=10.04, 3.01 Hz, 1H), 3.38 (d, J=14.56 Hz, 1H), 3.23 (d, J=14.56 Hz, 1H), 3.02 - 3.09 (m, 4H), 3.00(s, 1H), 1.89 - 1.97 (m, 4H); LC/MS [M + H] = 587.1.
실시예 145
2-(((2R,3S,4R,5R)-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8
단계 1:
DMF(3㎖)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00㎎, 349.53μ㏖, 1 eq)의 혼합물에 NaSEt(88.20㎎, 1.05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5㎖)과 EtOAc(15㎖)로 분할하였다. 수성상을 EtOAc(2×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10㎎)를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대해서 사용하였다.
단계 2:
DCM(3㎖)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310㎎)의 혼합물에 TFA(1.5㎖, 20.26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을 이용하여 pH 7 내지 8로 중화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염수(15㎖)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3㎖)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80㎎, 조질)의 혼합물에 포화 수성 LiOH(3㎖)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8㎖)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2M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조절한 후에 이를 EtOAc(4×10㎖)로 추출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N]; B%: 23% 내지 43%, 11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6-아미노-2-(에틸티오)-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4.4㎎)을 백색 분말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59 - 14.32 (m, 2H), 8.30 (s, 1H), 7.33 (s, 2H), 7.00-7.21 (m, 5H), 6.15 (s, 1H), 6.00 (d, J=6.78 Hz, 1H), 5.82 (d, J=7.53 Hz, 1H), 5.01 (s, 1H), 4.14 (dd, J=6.40, 2.64 Hz, 1H), 3.99 (d, J=13.05 Hz, 1H), 3.83 (s, 1H), 3.58 (s, 1H), 3.17 - 3.18 (m, 2H), 2.99 - 3.13 (m, 2H), 1.31 (t, J=7.28 Hz, 3H); LC/MS [M + H] = 544.0.
실시예 146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메톡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19
상기 실시예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클로로(메톡시)-메탄을 1-클로로-2-메톡시에탄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41 (s, 1H), 7.80 (s, 2H), 7.60 (dd, J=6.78, 2.01 Hz, 1H), 7.46 (dd, J=7.03, 2.01 Hz, 1H), 7.35 (d, J=8.28 Hz, 2H), 7.21 (d, J=8.28 Hz, 2H), 7.19 - 7.24 (m, 1H), 6.26 - 6.31 (m, 1H), 5.82 (d, J=7.78 Hz, 1 H,) 4.86 (d, J=7.78 Hz, 1H), 4.17 (d, J=1.76 Hz, 1H), 4.10 (t, J=5.14 Hz, 2H), 4.02 (dd, J=10.29, 4.77 Hz, 1H), 3.78 - 3.85 (m, 1H), 3.54 - 3.64 (m, 3H), 3.29 (d, J=2.01 Hz, 2H), 3.24 (s, 3H); LC/MS [M + H] = 669.0.
실시예 147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0
단계 1:
DCM(15㎖)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2.0g, 3.17m㏖, 1 eq) 용액에 0℃에서 H2O(3㎖)와 TFA(15㎖)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150㎖)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1.74g)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피리딘(20㎖) 중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1.74g, 3.17m㏖, 1 eq) 용액에 4-DMAP(1.16g, 9.52m㏖, 3 eq)와 Ac2O(2.38㎖, 25.39m㏖, 8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6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6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100㎖),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50%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아이오도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85g, 2개 단계에 대해서 86% 수율)를 황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MeCN(12㎖) 중의 다이에틸 2-(4-아이오도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00g, 1.48m㏖, 1 eq) 용액에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327㎎, 1.78m㏖, 1.2 eq)과 BSA(916㎕, 3.71m㏖, 2.5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TMSOTf(804㎕, 4.45m㏖, 3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1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 10 내지 50%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595㎎, 50% 수율)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CM(8㎖)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592㎎, 741.88μ㏖, 1 eq) 용액에 4-DMAP(18㎎, 148.38μ㏖, 0.2 eq), TEA(413㎕, 2.97m㏖, 4 eq)와 (Boc)2O(324㎎, 1.48m㏖, 2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H4Cl(2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4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5 내지 50%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560㎎, 84% 수율)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다이옥산(6㎖)과 H2O(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아이오도벤질)말로네이트(660㎎, 734.89μ㏖, 1 eq)와 (2-하이드록시피리딘-3-일)보론산(204.18㎎, 1.47m㏖, 2 eq)의 혼합물에 Pd(dppf)Cl2(53.77㎎, 73.49μ㏖, 0.1 eq)와 K2CO3(304.70㎎, 2.20m㏖, 3 eq)를 첨가하였다. 황색 혼합물을 10분 동안 N2 기체로 탈기시킨 후에 혼합물을 7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5㎖)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50 내지 100%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46㎎)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DCM(6㎖)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45㎎, 167.58μ㏖, 1 eq) 용액에 TFA(1.5㎖, 20.26m㏖, 121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 용액으로 중화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1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분취 TLC(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10㎎)를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THF(4.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105㎎, 137.23μ㏖, 1 eq) 용액에 수성 LiOH 용액(1M, 1.5㎖, 11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하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N]; B%: 20% 내지 40%,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6.6㎎)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44 (s, 1H), 8.23 (d, J=3.75 Hz, 1H), 7.48 (d, J=6.63 Hz, 1H), 7.39 (d, J=7.00 Hz, 2H), 7.34 (d, J=5.63 Hz, 1H), 7.13 - 7.22 (m, 2H), 6.15 - 6.29 (m, 2H), 6.00 (d, J=6.75 Hz, 1H), 5.82 (d, J=7.38 Hz, 1H), 4.71 - 4.89 (m, 1H), 4.16 (dd, J=4.94, 2.56 Hz, 1H), 3.86 - 4.05 (m, 1H), 3.53 - 3.83 (m, 1H), 3.51 (s, 1H), 3.48 - 3.30 (m, 5H 물 피크 하에 중복됨), 2.90 (d, J=4.38 Hz, 3H); LC/MS [M + H] = 624.9.
실시예 148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1
단계 1:
0℃에서 DMF 중의 1-(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7.33g, 16.48m㏖, 1 eq) 용액에 NaH(725㎎, 광유 중의 60%, 18.13m㏖, 1.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CH3I(4.10㎖, 65.92m㏖, 4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25℃에서 16시간에 걸쳐 교반한 후에 이를 H2O(100㎖)로 희석시키고,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1-(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3.68g, 48% 수율)을 무색의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35㎖) 중의 1-(4-(((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3.68g, 8.02m㏖, 1 eq) 용액에 0℃에서 THF(1.5M, 10.70㎖, 2 eq) 중의 TBAF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20㎖)로 희석시키고,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0 내지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06g, 60%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10㎖)과 DMF(0.1㎖) 중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06g, 4.81m㏖, 1 eq) 용액에 20 내지 25℃에서 SOCl2(698㎕, 9.62m㏖, 2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가적인 양의 SOCl2(419uL, 5.77m㏖, 1.2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3×10㎖)과 공비혼합하여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을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DMF(2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78g, 4.30m㏖, 1 eq) 용액에 25℃에서 Cs2CO3(4.21g, 12.91m㏖, 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3-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13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50㎖)로 희석시키고, EtOAc(3×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0 내지 10%의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63g, 78% 수율)를 갈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CM(25㎖)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62g, 4.25m㏖, 1 eq) 용액에 TFA(25㎖, 337.65m㏖, 79 eq)와 H2O(2.5㎖, 138.77m㏖, 33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내지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3×20㎖)과 공비혼합하여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57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6:
20 내지 25℃에서 DCM(25㎖)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57g) 용액에 Ac2O(2.39㎖, 25.50m㏖, 6 eq), 4-DMAP(51.92㎎, 425.00μ㏖, 0.1 eq)와 피리딘(2.74㎖, 34.00m㏖, 8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50㎖) 중에 재용해시키고, 1N 수성 HCl(40㎖), 10% 수성 Cu2SO4(40㎖), 포화 수성 NaHCO3(40㎖)와 염수(4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62g, 2개 단계에 대해서 53% 수율)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7:
20 내지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MeCN(2.5㎖) 중의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181㎎, 983.86μ㏖, 1.3 eq) 용액에 BSA(468㎕, 1.89m㏖, 2.5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5℃로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에 MeCN(2.5㎖)과 TMSOTf(205㎕, 1.14m㏖, 1.5 eq)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0㎎, 756.81μ㏖, 1 eq)를 첨가하고, 6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10㎖)로 반응 중단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칼럼(DCM 중의 0 내지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530㎎, 60% 수율)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THF(6㎖)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540㎎, 688.59μ㏖, 1 eq) 용액에 25℃에서 H2O(3㎖) 중의 LiOH.H2O(288.96㎎, 6.89m㏖, 10 eq)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상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23% 내지 43%,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77.6㎎, 1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3.00-13.93 (s, 2H), 8.37 (s, 1H), 8.23 (d, J=5.01 Hz, 1H), 7.11 (d, J=8.31 Hz, 2H), 6.90 (d, J=8.19 Hz, 2H), 6.15 (s, 1H), 5.98 (s, 1H), 5.81 (d, J=7.58 Hz, 1H), 4.82 (s, 1H), 4.15 (dd, J=4.34, 3.00 Hz, 1H), 3.96 (m, 1H), 3.78 (m, 1H), 3.53 (s, 1H), 3.43-3.52 (m, 2H), 3.23 (m, 2H), 3.20-3.10 (m, 4H 용매 물 피크와 중첩됨), 2.91 (m, 2H), 2.81 (s, 3H), 1.95 (m, 2H); LC/MS [M + H] = 644.1.
실시예 149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2
상기 실시예 14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2-클로로-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1 (s, 1H), 7.26 (m, J=8.28 Hz, 2H), 6.96 (m, J=8.28 Hz, 2H), 5.97 (d, J=7.53 Hz, 1H), 4.70-4.83 (m, 1H), 4.27 (t, J=2.76 Hz, 1H), 3.99-4.07 (m, 2H), 3.32-3.52 (m, 6H), 3.05 (s, 1H), 2.87 (s, 3H), 2.00 (5중선, J=5.83 Hz, 2H); LC/MS [M + H] = 630.2.
실시예 150
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3
상기 실시예 14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사이클로프로필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2 (s, 1H), 7.27 (d, J=8.28 Hz, 2H), 7.00 (d, J=7.68 Hz, 2H), 5.96 (d, J=7.53 Hz, 1H), 4.70 (d, J=7.53 Hz, 1H), 4.26 (t, J=2.89 Hz, 1H), 4.03 (br s, 2H), 3.33-3.54 (m, 8H), 3.05 (s, 1H), 2.88 (s, 3H), 1.97-2.04 (m, 2H), 1.11-1.20 (m, 1H), 0.53-0.59 (m, 2H), 0.34 (m, 2H); LC/MS [M + H] = 684.3.
실시예 151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3-메틸-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4
상기 실시예 14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8 (s, 1H), 7.28 (d, J=8.28 Hz, 2H), 7.00 (d, J=8.53 Hz, 2H), 5.95 (d, J=7.53 Hz, 1H), 4.66-4.80 (m, 1H), 4.32-4.48 (m, 1H), 4.25 (t, J=2.89 Hz, 1H), 4.00-4.08 (m, 2H), 3.34-3.53 (m, 6H), 3.05 (s, 1H), 2.88 (s, 3H), 1.94-2.06 (m, 2H), 1.24-1.35 (m, 6H); LC/MS [M + H] = 672.1.
실시예 15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3-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5
상기 실시예 14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MeI와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을 1-브로모프로판과 2-클로로-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5 (s, 1H), 7.28 (d, J=8.4 Hz, 2H), 6.99 (d, J=8.4 Hz, 2H), 5.97 (d, J=7.5 Hz, 1H), 4.75 (d, J=7.6 Hz, 1H), 4.27 (s, 1H), 3.99 - 4.11 (m, 2H), 3.46 - 3.54 (m, 2H), 3.35 - 3.44 (m, 4H), 3.16 - 3.27 (m, 2H), 3.05 (s, 1H), 1.97 - 2.03 (m, 2H), 1.50 - 1.58 (m, 2H), 0.88 (t, J=7.4 Hz, 3H); LC/MS [M + H] = 658.1.
실시예 153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하이드록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6
단계 1:
20℃에서 DCM(40㎖)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4.13g, 9.97m㏖, 1 eq) 용액에 TFA(40㎖, 540.24m㏖, 54 eq)와 H2O(4㎖, 222.03m㏖, 2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200㎖)를 이용하여 반응 중단시키고, EtOAc(5×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14g)를 밝은 황색 시럽으로서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피리딘(40㎖) 중의 상기 조질의 생성물(4.14g, 12.46m㏖, 1 eq) 용액에 Ac2O (9.33㎖, 99.67m㏖, 8 eq)와 4-DMAP(3.81g, 31.15m㏖,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150㎖)로 반응 중단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EtOAc(4×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0.5N 수성 HCl(120㎖)과, 물(2×100㎖), 염수(10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60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MeCN(15㎖) 중의 다이에틸 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g, 2.62m㏖, 1 eq)와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665㎎, 3.14m㏖, 1.2 eq) 용액에 BSA(1.62㎖, 6.54m㏖, 2.5 eq)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이 용액에 TMSOTf(1.45g, 6.54m㏖, 1.18㎖, 2.5 eq)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65℃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50㎖)에 의해 반응 중단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EtOAc(4×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5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814㎎, 51% 수율)를 제공하였다.
단계 3:
DMF(1㎖)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0㎎, 197μ㏖, 1 eq) 용액에 K2CO3(81.56㎎, 590.15μ㏖, 3 eq)와 3-(4-(브로모-메틸)페닐)-1-(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에틸)피리딘-2(1H)-온(161㎎, 295μ㏖,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0㎖)로 희석시키고, EtOAc(4×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2×3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30 내지 6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4-(1-(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54㎎)를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THF(1㎖) 중의 다이에틸 2-(4-(1-(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50㎎, 139μ㏖, 1 eq) 용액에 0℃에서 TBAF(1M, 209㎕, 1.5 eq)와 AcOH(5.98㎕, 104.59μ㏖, 0.7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5㎖)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EtOAc(3×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TLC(석유 에터:EtOAc = 1:4)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하이드록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51㎎, 32%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THF(0.5㎖)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하이드록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로네이트(50㎎, 60μ㏖, 1 eq)의 용액에 포화 LiOH.aq(2.51㎎, 60μ㏖, 0.5㎖, 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성 용액을 2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2로 산성화하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N]; B%: 28% 내지 48%, 10분)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2-하이드록시에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10.8㎎, 2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08 (s, 1H), 7.55 (dd, J=6.7, 1.9 Hz, 1H), 7.21 - 7.42 (m, 5H), 6.34 (t, J=6.8 Hz, 1H), 5.95 (d, J=7.3 Hz, 1H), 4.74 (d, J=7.3 Hz, 1H), 4.24 - 4.39 (m, 2H), 4.00 - 4.14 (m, 4H), 3.76 - 3.87 (m, 2H), 3.40 - 3.54 (m, 2H), 3.06 (s, 1H), 1.24 (dd, J=6.4, 2.9 Hz, 6H); LC/MS [M + H] = 697.0.
실시예 154 및 155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론산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카복시메틸)(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7
단계 1:
DMF(10㎖)와 다이옥산(90㎖) 중의 tert-뷰틸 3-옥소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8.7g, 43.45m㏖, 1.2 eq)와 (4-아이오도페닐) 메탄올(8.5g, 36.32m㏖, 1 eq)의 혼합물에 CuI(1.03g, 5.43m㏖, 0.15 eq), 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프로판-1,3-다이올(653㎎, 5.43m㏖, 0.15 eq) 및 Cs2CO3(35.39g, 108.62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10℃에서 N2 분위기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켰다. 무기 고체를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물(50㎖)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1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뷰틸 4-(4-(하이드록시메틸)페닐)-3-옥소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6.1g, 55%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10㎖) 중의 tert-뷰틸 4-(4-(하이드록시메틸)페닐)-3-옥소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2g, 6.53m㏖, 1 eq) 용액에 0℃에서 TFA(5.00㎖, 67.53m㏖, 10.34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물(20㎖)로 희석시키고, DCM와 MeOH (50:1=v:v, 2×20㎖)의 혼합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질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피페라진-2-온(2.45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MeOH(15㎖) 중의 조질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피페라진-2-온(2.45g, 11.88m㏖, 1 eq) 용액에 HCHO(720㎕, 26.12m㏖, 2.2 eq), AcOH(5㎖, 87.42m㏖, 7.4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NaBH3CN(2.05g, 32.65m㏖, 2.75 eq)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 중의 10 내지 40%의 MeOH)에 의해 정제하여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1.23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CM(2㎖) 중의 1-(4-(하이드록시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1.23g, 5.58m㏖, 1 eq) 용액에 DMF(0.2㎖)와 SOCl2(810㎕, 11.17m㏖,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백색 현탁액을 제공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1.27g, 9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5:
DMF(15㎖)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말로네이트(1.4g, 3.38m㏖, 1 eq) 용액에 Cs2CO3(3.30g, 10.14m㏖, 3 eq)와 조질의 1-(4-(클로로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1.21g, 5.07m㏖, 1.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 중의 0 내지 5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로네이트(1.02g)를 제공하였다.
단계 6:
DCM(5㎖)과 물(1㎖, 55.51m㏖, 34 eq) 중의 다이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로네이트(1.02g, 1.65m㏖, 1 eq) 용액에 TFA(4.99㎖, 67.36m㏖, 4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로네이트(1.13g)를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DCM(10㎖) 중의 다이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페닐]메틸]프로판다이오에이트(1.13g, 2.11m㏖, 1 eq) 용액에 4-DMAP(25.78㎎, 211.00μ㏖, 0.1 eq), 피리딘(1.07㎖, 13.2m㏖, 6.3 eq) 및 Ac2O(927㎕, 9.9m㏖, 4.7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EtOAc(20㎖)와 1N 수성 HCl(10㎖)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수층을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50㎖), 염수(50㎖)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674㎎)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다이클로로에탄(3㎖) 중의 2-클로로-9H-퓨린-6-아민(76㎎, 450.46μ㏖, 1.2 eq) 용액에 BSA(204㎕, 825.84μ㏖, 2.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다이클로로에탄(1㎖)와 TMSOTf(102㎕, 563.07μ㏖, 1.5 eq)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48㎎, 375.38μ㏖, 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2시간 동안 N2 분위기 하에 교반한 후에, 포화 수성 NaHCO3(15㎖)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 중의 0 내지 30%의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로네이트(62㎎)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THF(2㎖)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로네이트(171㎎, 222.02μ㏖, 1 eq) 용액에 수성 LiOH(5.32㎎, 222.02μ㏖, 2㎖, 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론산(3.3㎎)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카복시메틸)(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벤질)말론산(3.7㎎)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질)말론산: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5 (s, 1H), 7.35 (d, J=8.3 Hz, 2H), 6.97 (d, J=8.5 Hz, 2H), 5.95 (d, J=5.5 Hz, 1H), 4.70 - 4.79 (m, 1H), 4.33 (dd, J=9.0, 3.3 Hz, 1H), 3.96 - 4.14 (m, 2H), 3.54 - 3.66 (m, 2H), 3.49 (s, 2H), 3.35 (s, 1H), 3.21 (s, 2H), 2.83 (t, J=5.4 Hz, 2H), 2.32 - 2.48 (m, 3H), 1.89 (s, 3H); LC/MS [M + H] = 630.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카복시메틸)(메틸)아미노)에틸)아미노)벤질)말론산: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6 (s, 1H), 7.03 (d, J=8.5 Hz, 2H), 6.49 (d, J=8.3 Hz, 2H), 6.01 (d, J=6.0 Hz, 1H), 4.70 (d, J=6.0 Hz, 1H), 4.34 (br d, J=4.3 Hz, 1H), 3.94 (dd, J=9.7, 6.9 Hz, 1H), 3.83 (dd, J=9.9, 2.4 Hz, 1H), 3.59 (s, 2H), 3.34 - 3.42 (m, 2H), 3.22 - 3.27 (m, 2H), 3.20 (s, 2H), 3.04 (s, 1H), 2.83 (s, 3H); LC/MS [M + H] = 649.3.
실시예 156
2-(((2R,3S,4R,5R)-5-(5-클로로-7-((2,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8
단계 1:
MeCN(6㎖) 중의 5,7-다이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17㎎, 1.69m㏖, 1 eq)의 혼합물에 BSA(1.04㎖, 4.22m㏖,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N2 분위기 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켰다. 혼합물에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20g, 1.85m㏖, 1.1 eq)와 TMSOTf(913.99㎕, 5.06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5℃에서 N2 분위기 하에 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NaHCO3(15㎖)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2×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10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7-다이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752㎎)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5,7-다이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752㎎, 970.82μ㏖, 1 eq)와 2,4-다이메톡시벤질아민(292㎕, 1.94m㏖, 2 eq)과 DIEA(507㎕, 2.91m㏖, 3 eq)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관 내로 NMP(4㎖)에 취하였다. 밀봉관을 130℃에서 2시간 동안 마이크로파 반응기에서 방사선조사한 후에, 이를 H2O(10㎖)로 희석시키고,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중의 0 내지 10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S,4R,5R)-5-(5-클로로-7-((2,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49㎎, 26% 수율)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4㎖)와 H2O(3㎖) 중의 다이에틸 2-(((2R,3S,4R,5R)-5-(5-클로로-7-((2,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239㎎, 291.01μ㏖, 1 eq)의 혼합물에 LiOH(69.69㎎, 2.91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6 내지 7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Phenomenex Gemini-NX 150*30㎜*5㎛; 이동상: [물(0.1%TFA)-ACN]; B%: 25% 내지 65%,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5-클로로-7-((2,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9.5㎎)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23 (s, 1H), 7.27 (d, J=8.44 Hz, 2H), 7.21 (d, J=8.31 Hz, 1H), 7.00 (d, J=8.44 Hz, 2H), 6.58 (d, J=2.32 Hz, 1H), 6.46 - 6.51 (m, 2H), 6.04 (d, J=7.34 Hz, 1H), 4.73 (d, J=7.34 Hz, 1H), 4.43 (s, 2H), 4.27 (t, J=3.06 Hz, 1H), 4.01 (d, J=2.93 Hz, 2H), 3.87 (s, 3H), 3.78 (s, 3H), 3.37 - 3.47 (m, 2H), 3.31 - 3.37 (m, 2H), 3.22 (t, J=5.87 Hz, 2H), 3.03 (s, 1H), 1.78-1.85 (m, 2H); LC/MS [M + H] = 765.1.
실시예 157
2-(((2R,3S,4R,5R)-5-(7-아미노-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29
DCM(3㎖) 중의 2-(((2R,3S,4R,5R)-5-(5-클로로-7-((2,4-다이메톡시벤질)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160㎎, 209.11μ㏖, 1 eq)의 혼합물에 TFA(1㎖, 13.51m㏖, 64.59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20% 내지 40%,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7-아미노-5-클로로-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론산(5.4㎎)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34 (s, 1H), 7.28 (d, J=8.31 Hz, 2H), 7.02 (d, J=8.44 Hz, 2H), 6.49 (s, 1H), 6.07 (d, J=7.21 Hz, 1H), 4.78 (d, J=7.21 Hz, 1H), 4.30 (t, J=3.18 Hz, 1H), 3.93-4.08 (m, 2H), 3.45 - 3.54 (m, 2H), 3.35-3.49 (m, 4H), 3.04 (s, 1H), 1.94-2.00 (m, 2H); LC/MS [M + H] = 615.1.
실시예 158
2-((1H-피라졸-5-일)메틸)-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0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브로민화벤질을 tert-뷰틸 5-(브로모메틸)-1H-피라졸-1-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46 (s, 1H), 7.32 (s, 1H), 6.17 (s, 1H), 6.02 (d, J=7.13 Hz, 1H), 4.83 (s, 1H), 4.34 (s, 1H), 3.98 - 4.11 (m, 2H), 3.43 - 3.54 (m, 2H), 2.95 (s, 1H); LC/MS [M + H] = 508.1.
실시예 159
2-벤질-2-(((2R,3S,4R,5R)-5-(2-클로로-6-(1-토실-1H-피라졸-4-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1
단계 1:
N2 분위기 하에 다이옥산(10㎖)과 H2O(3㎖)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3g, 1.92m㏖, 1 eq)와 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1-토실-1H-피라졸(669㎎, 1.92m㏖, 1 eq)의 혼합물에 Pd(PPh3)4(222㎎, 192μ㏖, 0.1 eq)와 Cs2CO3(1.88g, 5.76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1-토실-1H-피라졸-4-일)-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70㎎)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1㎖)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1-토실-1H-피라졸-4-일)-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50㎎, 58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1㎖, 18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EtOAc(10㎖)와 물(10㎖)로 희석시켰다. 수성상을 2M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조절하고, EtOAc(2×40㎖)로 추출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 B%: 40% 내지 60%,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2-벤질-2-(((2R,3S,4R,5R)-5-(2-클로로-6-(1-토실-1H-피라졸-4-일)-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2.0㎎)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98 (s, 1H), 8.69 (s, 2H) 7.47 (d, J=8.25 Hz, 2H), 7.30 (d, J=6.88 Hz, 2H), 7.07 - 7.19 (m, 4H), 6.92 (d, J=8.00 Hz, 2H), 6.24 (d, J=7.63 Hz, 1H), 5.85 (d, J=7.63 Hz, 1H), 4.35 (t, J=2.56 Hz, 1H), 4.03 - 4.09 (m, 1H), 3.90 (d, J=10.63 Hz, 1H), 3.40 - 3.50 (m, 1H), 2.92 (s, 1H), 2.05 (s, 3H); LC/MS [M + H] = 723.2.
실시예 160
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1-프로필-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2
상기 실시예 19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를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tert-뷰톡시카보닐)(메틸)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44 (s, 1H), 8.25 (d, J=4.3 Hz, 1H), 7.68 (dd, J=6.7, 1.8 Hz, 1H), 7.29 - 7.51 (m, 3H), 7.18 (d, J=7.5 Hz, 2H), 6.28 (t, J=6.8 Hz, 1H), 6.21 (s, 1H), 6.01 (d, J=6.8 Hz, 1H), 5.83 (d, J=7.3 Hz, 1H), 4.82 (s, 1H), 4.17 (dd, J=5.1, 2.6 Hz, 1H), 3.96 (s, 1H), 3.89 (t, J=7.3 Hz, 2H), 3.79 (s, 1H), 3.58 (s, 1H), 3.25 (s, 1H), 2.90 (d, J=4.5 Hz, 3H), 1.67 (sxt, J=7.3 Hz, 2H), 0.88 (t, J=7.4 Hz, 3H); LC/MS [M + H] = 667.1.
실시예 161
2-(((2R,3S,4R,5R)-5-(6-아미노-2-(1-하이드록시에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3
단계 1:
0℃에서 MeOH(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아세틸-6-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48㎎, 72.11μ㏖, 1 eq) 용액에 NaBH4(4.09㎎, 108.17μ㏖, 1.5 eq)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적인 NaBH4(4.1㎎)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6㎖)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6㎖)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1-하이드록시에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0㎎)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1-하이드록시에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16㎎, 23.96μ㏖, 1 eq) 용액에 1M 수성 LiOH(0.5㎖, 21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5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Triart Prep C18 150*40㎜*7㎛; 이동상: [물(0.225%FA)-ACN]; B%: 13% 내지 33%,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6-아미노-2-(1-하이드록시에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벤질말론산(4.0㎎)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49 (d, J=8.88 Hz, 1H), 7.18 - 7.25 (m, 2H), 7.07 - 7.14 (m, 3H), 6.09 (dd, J=9.82, 6.94 Hz, 1H), 4.76 - 4.84 (m, 2H), 4.29 - 4.36 (m, 1H), 3.89 - 4.03 (m, 2H), 3.32 - 3.45 (m, 1H), 3.24 - 3.28 (m, 1H), 3.02 (d, J=10.13 Hz, 1H), 1.52 (d, J=6.50 Hz, 3H); LC/MS [M + H] = 528.1.
실시예 162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1-메틸-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4
상기 실시예 19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4-(브로모메틸)-페닐)-1-프로필피리딘-2(1H)-온을 3-(4-(브로모메틸)페닐)-1-메틸피리딘-2(1H)-온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12 (s, 1H), 7.55-7.53 (m, 1H), 7.38-7.28 (m, 5H), 6.33 (t, J=6.8 Hz, 1H), 5.94 (d, J=7.6 Hz, 1H), 4.75 (d, J=7.6 Hz, 1H), 4.27-4.26 (m, 1H), 4.09-4.01 (m, 2H), 3.55 (s, 3H), 3.53-3.44 (m, 2H), 3.05 (s, 1H); LC/MS [M + H] = 625.0.
실시예 163
2-벤질-2-(((2R,3S,4R,5R)-5-(6-(3-카복시프로필)-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5
단계 1:
N2 분위기 하에 0℃에서 THF(30㎖) 중의 2,6-다이클로로-9-(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9H-퓨린(4.00g, 14.65m㏖, 1 eq)과 Pd(Ph3P)4(1.69g, 1.46m㏖, 0.1 eq) 용액에 0.5M (4-에톡시-4-옥소뷰틸) 아연(II) 브로마이드(73.23㎖, 36.61m㏖, 2.5 eq)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6시간에 걸쳐 0 내지 25℃에서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키고 0.5N 수성 HCl 용액으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10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H2O(100㎖),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7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4-(2-클로로-9-(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부타노에이트(2.83g)를 제공하였다.
단계 2:
DCM(15㎖) 중의 에틸 4-(2-클로로-9-(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9H-퓨린-6-일)-부타노에이트(1.50g, 4.25m㏖) 용액에 TFA(1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H2O(50㎖)에서 다시 취하고 나서, 포화 수성 NaHCO3을 이용하여 pH 7로 중화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EtOAc(3×7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에틸 4-(2-클로로-9H-퓨린-6-일)부타노에이트(1.05g)를 제공하였다.
단계 3 내지 4:
상기 실시예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유라실을 에틸 4-(2-클로로-9H-퓨린-6-일)부타노에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74 (s, 1H), 7.27-7.24 (m, 2H), 7.09-7.08 (m, 3H), 6.09 (d, J=7.6 Hz, 1H), 5.05 (d, J=7.6 Hz, 1H), 4.31-4.14 (m, 1H), 4.10-4.06 (m, 2H), 3.18-3.16 (m, 3H), 2.41 (t, J=7.2 Hz, 2H), 2.17-2.15 (m, 2H), 1.22 (t, J=7.6 Hz, 2H); LC/MS [M + H] = 589.1.
실시예 164 및 165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36
단계 1:
25℃에서 MeCN(10㎖) 중의 2-클로로-9H-퓨린-6-아민(1.04g, 6.15m㏖, 1.7 eq) 현탁액에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BSA)(3.1㎖, 0.0127㏖, 3.5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85℃에서 30분 동안 이것이 맑아지는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킨 다음 MeCN(10㎖)과 TMSOTf(1.12㎖, 0.00615㏖, 1.7 eq) 중의 다이에틸 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2-(((2R,3R,4R)-3,4,5-트라이아세톡시-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2.34g, 0.0036㏖, 1.0 eq)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70 내지 80℃에서 밤새 출발 물질이 모두 소모되는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25℃로 냉각시킨 후에 이를 MeCN(100㎖)으로 희석시키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150㎖)으로 반응 중단시켰다. 여과에 의해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과액의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50㎖), 염수(5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 중의 0 내지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1.1g, 40% 수율)트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0℃에서 THF(4㎖)와 H2O(4㎖) 중의 다이에틸 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말로네이트(400㎎, 0.53m㏖, 1 eq) 용액에 LiOH 일수화물(89㎎, 2.12m㏖, 4 eq)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6으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여였다: 입체배치가 임의로 부여된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과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 추가로, 실시예 9를 또한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 1H NMR (300 MHz, CD3OD) δ 8.32 (s, 1H), 7.28 (d, J=8.1 Hz, 2H), 7.01 (d, J=8.1 Hz, 2H), 6.00 (d, J=7.5 Hz, 1H), 4.84 (d, J=7.5, 1H), 4.28-4.06 (m, 3H), 3.99-3.95 (m, 2H), 3.52-3.35 (m, 6H), 3.08 (s, 1H), 2.02-1.97 (m, 2H), 1.21 (t, J=7.1, 3H); LC/MS [M + H] = 644.05.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에톡시-3-옥소-2-(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벤질)프로판산: 1H NMR (300 MHz, CD3OD) δ 8.08 (s, 1H), 7.26-7.29 (d, J=6.8 Hz, 2H), 7.03-7.01 (d, J=7.23 Hz, 2H), 5.96-5.99 (d, J=7.14 Hz, 1H), 4.75-4.77 (d, J=7.5, 1H), 4.02-4.24 (m, 5H), 3.32-3.66 (m, 6H), 3.15 (s, 1H), 1.95-2.19 (m, 2H), 1.22-1.27 (m, 3H); LC/MS [M + H] = 644.05.
실시예 166 167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37
작업으로부터의 실시예 9의 조질의 생성물을 진공 오븐 내 60℃에서 2일 동안 건조시킨 후에 이를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을 제공하였다: 입체배지를 임의의 부여한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과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 둘 다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 1H NMR (300 MHz, CD3OD) δ 8.38 (s, 1H), 7.22 (d, J=8.3 Hz, 2H), 7.04 (d, J=8.3 Hz, 2H), 5.92 (d, J=7.3 Hz, 1H), 4.36-4.32 (m, 1H), 4.30 (d, J=7.3 Hz, 1H), 4.17 (t, J=2.3 Hz, 1H), 4.07-4.03 (m, 1H), 3.80-3.75 (m, 1H), 3.54-3.49 (m, 2H), 3.33-3.31 (m, 2H), 3.25-3.19 (m, 1H), 3.12 (s, 1H), 3.09-3.02 (m, 1H), 2.02-1.97 (m, 2H); LC/MS [M + H] = 572.0.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프로판산: 1H NMR (300 MHz, CD3OD) δ 8.47 (s, 1H), 7.26 (d, J=8.2 Hz, 2H), 7.15 (d, J=8.3 Hz, 2H), 5.97 (d, J=7.0 Hz, 1H), 4.97 (d, J=7.0 Hz, 1H), 4.31 (t, J=6.4 Hz, 1H), 4.20 (t, J=3.4 Hz, 1H), 3.91 (d, J=3.4 Hz, 1H), 3.65 (t, J=6.0 Hz, 2H), 3.39-3.33 (m, 2H), 3.23-3.17 (m, 2H), 3.08 (s, 1H), 3.06-3.01 (m, 1H), 2.10-1.95 (m, 2H); LC/MS [M + H] = 572.0.
실시예 168
2-벤질-2-(((2R,3S,4R,5R)-5-(2-클로로-6-(하이드록시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38
단계 1:
다이옥산(2㎖) 중의 다이에틸 2-벤질-2-(((2R,3S,4R,5R)-5-(5-클로로-7-(하이드록시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98㎎, 0.144m㏖) 용액에 하이드록실아민(0.1㎖, 1.6m㏖, 16 M)과 Et3N(35㎕, 0.16m㏖)의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이를 EtOAc(15㎖)와 H2O(5㎖)로 희석시켰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H2O(20㎖), 염수(2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하이드록시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88㎎)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2:
THF(0.2㎖), MeOH (0.62㎖)와 H2O(0.15㎖)의 혼합물 중의 조질의 다이에틸 2-벤질-2-(((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클로로-6-(하이드록시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로네이트(88㎎, 0.14m㏖) 용액에 LiOH . H2O(31㎎, 0.75m㏖)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0℃로 냉각시키고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6.5로 산성화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벤질-2-(((2R,3S,4R,5R)-5-(5-클로로-7-(하이드록시아미노)-3H-이미다조[4,5-b]피리딘-3-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말론산(17㎎)을 불그스름한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25 (s, 1H), 7.25-7.28 (m, 2H), 7.05 (m, 3H), 6.43 (s, 1H), 6.06-6.08 (d, J=7.17 Hz, 1H), 4.95-4.98 (d, J=7.05 Hz, 1H), 4.32 (s, 1H), 4.05-4.11 (m, 2H), 3.89-3.93 (m, 1H), 3.31-3.39 (m, 2H), 2.99 (s, 1H), 1.30-1.33 (m, 6H); LC/MS [M + H] = 533.1.
실시예 169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39
단계 1:
0℃에서 CH3CN(15㎖) 중의 에틸 2-(티아졸-4-일)아세테이트(2g, 11.7m㏖) 용액에 CH3CN(10㎖) 중의 DBU(2.62㎖, 17.6m㏖)와 4-아세트아미도벤젠 설폰일아자이드(3.4g, 14.1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건조시켰다. 얻어진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고 에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2.0g)를 제공하였다.
단계 2:
DCE(15㎖) 중의 (3aR,5R,6R,6aR)-6-에틴일-5-(하이드록시메틸)-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일 아세테이트(7g, 27.32m㏖, 1 eq)의 혼합물에 0℃에서 DCE(15㎖) 중의 Rh(OAc)2(603.69㎎, 2.73m㏖, 0.1 eq)와 에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6.46g, 32.78m㏖, 1.2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25℃에서 N2 분위기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불용성 물질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티아졸-4-일)아세테이트(10.81g, 93% 수율)를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MF(5㎖) 중의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티아졸-4-일)아세테이트(2.69g, 6.33m㏖, 1 eq)의 혼합물에 Cs2CO3(6.18g, 18.98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N2 분위기 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3-(브로모메틸)티오펜(2.8g, 15.81m㏖, 2.5 eq)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불용성 물질을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H2O(15㎖)로 희석시키고,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NH4Cl(3×1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중의 0 내지 5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파노에이트(2.27g, 69% 수율)를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DCM(5㎖)과 H2O(0.5㎖) 중의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파노에이트(2.27g, 4.35m㏖, 1 eq)의 혼합물에 TFA(5㎖, 67.53m㏖, 15.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N2 분위기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50㎖)를 이용하여 pH 7 내지 8로 조절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H2O(5㎖)로 희석시키고 나서, EtOAc(4×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1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3-티엔일)프로파노에이트(1.82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N2 분위기 하에 0℃에서 피리딘(8㎖) 중의 에틸 2-[[(2R,3S,4R)-3-아세톡시-3-에틴일-4,5-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3-티엔일)프로파노에이트(1.82g, 3.78m㏖, 1 eq) 용액에 4-DMAP(1.39g, 11.34m㏖, 3 eq)와 Ac2O(2.83㎖, 30.24m㏖, 8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5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20㎖)로 희석시키고,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10% CuSO4 용액(2×15㎖)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3R,4R,5R)-5-(((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2.42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DCE (20㎖) 중의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606.20㎎, 2.86m㏖, 1 eq)의 혼합물에 BSA(1.77㎖, 7.16m㏖, 2.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5℃에서 N2 분위기 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0℃로 냉각시킨 후에, 조질의 (3R,4R,5R)-5-(((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1.62g, 2.86m㏖, 1 eq)와 TMSOTf(1.55㎖, 8.59m㏖, 3 eq)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5℃에서 N2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20㎖)로 반응 중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H2O(10㎖)로 희석시키고, DCM(3×2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15㎖)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402㎎, 조질)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THF(2㎖)와 H2O(1㎖) 중의 (2R,3R,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84㎎, 조질)의 혼합물에 LiOH(128㎎, 5.35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40㎖)로 희석시키고 EtOAc(10㎖)로 추출하였다. pH 대략 2 내지 3까지 2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2 내지 3으로 수성상을 산성화하고, 이어서,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40% 내지 60%,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티오펜-3-일)프로판산(17.5㎎)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92 - 9.01 (m, 1H), 8.04 - 8.28 (m, 1H), 7.60 - 7.71 (m, 1H), 7.10 - 7.15 (m, 1H), 6.98 - 7.06 (m, 1H), 6.77 - 6.94 (m, 1H), 5.90 - 6.02 (m, 1H), 4.91 - 5.06 (m, 2H), 4.40 (br s, 1H), 4.19 - 4.32 (m, 1H), 3.89 - 3.99 (m, 1H), 3.65 - 3.87 (m, 3H), 2.89 - 3.02 (m, 1H), 1.25 - 1.35 (m, 6H); LC/MS [M + H] = 605.2.
실시예 170 및 171
(S)-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R)-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0
상기 실시예 16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브로모메틸)티오펜을 브로민화벤질로 대체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물의 쌍을 제공하였다. 생성물 둘 다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9 (s, 1H), 7.91 (s, 1H), 7.70 (s, 1H), 7.07-7.23 (m, 5H), 5.91-5.94 (d, J = 6.9 Hz, 1H), 4.87-4.90 (d, J = 7.0 Hz, 1H), 4.21-4.45 (m, 2H), 3.59-3.94 (m, 4H), 3.02 (s, 1H), 1.29-1.31 (d, J = 6.48 Hz, 6H); LC/MS [M + H] = 599.0.
(R)-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7-8.98 (d, J = 1.83 Hz, 1H), 8.07 (s, 1H), 7.573-7.579 (d, J = 1.86 Hz, 1H), 6.94-7.09 (m, 5H), 5.97-5.99 (d, J = 7.17 Hz, 1H), 4.98-5.00 (d, J = 7.23 Hz, 1H), 4.40-4.42 (m, 1H), 4.27-4.29 (t, J = 3.84 Hz, 1H), 3.93-3.97 (m, 2H), 3.59-3.81 (q, J = 14.31, 37.47 Hz, 2H), 2.95 (s, 1H), 1.29-1.33 (d, J = 6.39 Hz, 6H); LC/MS [M + H] = 599.0.
실시예 172 및 173
(S)-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R)-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1
상기 실시예 170 및 17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사이클로프로필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물의 쌍을 제공하였다. 생성물 둘 다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9-8.99 (d, J = 1.95 Hz, 1H), 7.93 (s, 1H), 7.69-7.70 (d, J = 1.86 Hz, 1H), 7.03-7.23 (m, 5H), 5.92-5.94 (d, J = 6.96 Hz, 1H), 4.87-4.89 (d, J = 7.11 Hz, 1H), 4.19-4.22 (m, 1H), 3.59-3.94 (m, 4H), 3.42-3.43 (m, 2H), 3.02 (s, 1H), 1.12-1.22 (m, 1H), 0.54-0.61 (m, 2H), 0.32-0.37 (m, 2H); LC/MS [M + H] = 611.0.
(R)-2-(((2R,3S,4R,5R)-5-(2-클로로-6-((사이클로프로필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6-8.97 (d, J = 1.89 Hz, 1H), 8.07 (s, 1H), 7.55-7.56 (d, J = 2.07 Hz, 1H), 6.94-7.11 (m, 5H), 5.97-5.99 (d, J = 7.17 Hz, 1H), 4.98-5.00 (d, J = 7.29 Hz, 1H), 4.27-4.29 (t, J = 3.66 Hz, 1H), 3.94-3.95 (m, 2H), 3.59-3.80 (q, J = 14.64, 32.46 Hz, 2H), 3.39-3.50 (m, 2H), 2.96 (s, 1H), 1.13-1.23 (m, 1H), 0.55-0.62 (m, 2H), 0.32-0.38 (m, 2H); LC/MS [M + H] = 611.0.
실시예 174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2
상기 실시예 16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브로모메틸)티오펜을 1-(브로모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젠으로 대체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95 - 9.02 (m, 1H), 8.05 - 8.27 (m, 1H), 7.59 - 7.74 (m, 1H), 7.15 - 7.32 (m, 2H), 6.78 - 6.98 (m, 2H), 5.89 - 6.00 (m, 1H), 4.92 - 5.10 (m, 1H), 4.32 - 4.46 (m, 1H), 4.22 - 4.32 (m, 1H), 3.76 - 3.98 (m, 2H), 3.57 - 3.71 (m, 2H), 2.98 - 3.04 (m, 1H), 1.26 - 1.32 (m, 6H); LC/MS [M + H] = 682.8.
실시예 175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3
단계 1:
DMF(50㎖) 중의 1-(브로모메틸)-4-나이트로-벤젠(7.62g, 35.26m㏖, 3 eq)과 NaI(352.31㎎, 2.35m㏖, 0.2 eq)의 혼합물을 1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2-(티아졸-4-일)아세테이트(5g, 11.75m㏖, 1 eq)의 용액에 첨가하고, 15℃에서 DMF(50㎖) 중의 Cs2CO3(19.15g, 58.76m㏖, 5 eq)를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00㎖)로 반응 중단시켰다. 혼합물을 EtOAc(4×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3×1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0 내지 4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4.89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DCM(25㎖)과 H2O(2.5㎖) 중의 에틸 2-(((3aR,5R,6R,6aR)-6-아세톡시-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5-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4.89g, 불순물) 용액에 TFA(25㎖ 337.65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에서 2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00㎖)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DCM(6×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포화 수성 NaHCO3(2×1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4.56g)를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DCM(50㎖) 중의 조질의 에틸 2-(((2R,3S,4R)-3-에틴일-3,4,5-트라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4.56g) 용액에 4-DMAP(232.86㎎, 1.91m㏖), 피리딘(6.15㎖, 76.24m㏖) 및 Ac2O(8.93㎖, 95.30m㏖)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100㎖)로 반응 중단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DCM(4×3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물(3×100㎖)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5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3R,4R,5R)-5-(((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1.02g)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MeCN(5㎖) 중의 2,6-다이클로로-9H-퓨린(382.64㎎, 2.02m㏖) 용액에 BSA(1.04㎖, 4.22m㏖)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65℃에서 0.5시간 동안 이것이 맑어지는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MeCN(5㎖)과 TMSOTf(4.22m㏖, 762.15㎕) 중의 (3R,4R,5R)-5-(((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1.02g)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6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40㎖)로 반응 중단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2-(((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71g)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밀봉관 내 MeOH(20㎖) 중의 조질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2-(((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g) 용액에 NH4.OH(28.04m㏖, 4.00㎖, 27% 농도)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밀봉하고, 10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냉각시키고 물(20㎖)로 희석시키고 나서, 얻어진 혼합물을 EtOAc(3×1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752㎎)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0℃에서 DMF(8㎖) 중의 조질의 에틸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752㎎), 4-DMAP(58.33㎎, 477.44μ㏖) 및 Et3N(7.16m㏖, 996.81㎕) 용액에 Boc2O(1.04g, 4.77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40㎖)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911㎎)를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EtOH(7㎖) 중의 조질의 에틸 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나이트로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711㎎) 용액에 포화 수성 NH4Cl(764.21μ㏖, 7㎖)과 철(426.77㎎, 7.64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셀라이트를 통해 이를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켰다. 이어서, 조질의 잔사를 물(20㎖)에서 취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EtOAc(3×15㎖)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3-(4-아미노-페닐)-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 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552㎎)를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7:
DCM(5㎖) 중의 조질의 에틸 3-(4-아미노페닐)-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552㎎) 용액에 1-클로로-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판(109.94㎎, 919.60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20 내지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283㎎)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8:
THF(3㎖) 중의 에틸 2-(((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4-((tert-뷰톡시카보닐)옥시)-3-에틴일-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283㎎, 277.47μ㏖, 1 eq) 용액에 NaH(55.49㎎, 1.39m㏖, 광유 중의 60%, 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H2O(1.5㎖)로 반응 중단시켰다. 이 혼합물에 NaOH(166.48㎎, 4.16m㏖, 15 eq)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4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수성층을 2N 수성 HCl(1㎖)을 이용하여 산성화하여,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238㎎)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9:
DCM(2㎖) 중의 조질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238㎎)의 혼합물에 TFA(9.45m㏖, 0.7㎖)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 ([물(0.225%FA)-ACN]; B%: 20% 내지 40%, 10분)에 의해 정제하여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22.9㎎)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9.01 (m, 1H), 7.98 - 8.32 (m, 1H), 7.59 - 7.83 (m, 1H), 6.91 - 7.34 (m, 4H), 5.88 - 6.07 (m, 1H), 4.72 - 4.96 (m, 1H), 4.13 - 4.32 (m, 1H), 3.60 - 4.00 (m, 4H), 3.43 - 3.56 (m, 2H), 3.35 - 3.42 (m, 2H), 2.96 - 3.14 (m, 1H), 1.89 - 2.08 (m, 2H); LC/MS [M + H] = 655.3.
실시예 176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4
단계 1:
MeCN(10㎖) 중의 조질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2-(((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17g) 용액에 프로판-2-아민(1.0㎖, 11.64m㏖)과 DIEA(0.9㎖)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30㎖)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EtOAc(4×2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16g)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EtOH(5㎖) 중의 조질의 (2R,3R,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1-에톡시-3-(4-나이트로페닐)-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16g) 용액에 Fe 가루(856.75㎎, 15.34m㏖)와 포화 수성 NH4Cl(1.53m㏖, 5㎖)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2-(((3-(4-아미노페닐)-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5g)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10㎖) 중의 조질의 (2R,3R,4R,5R)-2-(((3-(4-아미노페닐)-1-에톡시-1-옥소-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5g) 용액에 1-클로로-3-아이소사이아네이토-프로판(172.85㎎, 1.45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물(20㎖)로 반응 중단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DCM(3×1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에틸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1.33g)를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THF(12㎖) 중의 조질의 에틸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3-(3-클로로프로필)-유레이도)페닐)-2-(티아졸-4-일)프로파노에이트(1.23g) 용액에 NaH(290.84㎎, 7.27m㏖, 광유 중의 6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H2O(6㎖)로 반응 중단시킨 다음, NaOH(290.85㎎, 7.27m㏖)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6시간 동안 교바하고, 이어서, 4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적인 NaOH(600㎎)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물(20㎖)로 반응 중단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EtOAc(15㎖)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2N 수성 HCl(15㎖)로 산성화하여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여과에 의해 고체를 수집하고 나서,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30% 내지 50%, 10분)에 의해 정제하여 2-(((2R,3S,4R,5R)-5-(2-클로로-6-(아이소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4-(2-옥소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245㎎)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99 (d, J=1.6 Hz, 1H), 7.88 - 8.18 (m, 1H), 7.53 - 7.79 (m, 1H), 7.30 (d, J=8.3 Hz, 1H), 7.03 - 7.13 (m, 2H), 6.95 (d, J=8.4 Hz, 1H), 5.83 - 6.03 (m, 1H), 4.63 - 4.74 (m, 1H), 4.33-4.43 (m, 1H), 4.09 - 4.29 (m, 1H), 3.72 - 4.01 (m, 3H), 3.59 - 3.70 (m, 1H), 3.41 - 3.53 (m, 2H), 3.33-3.38 (m, 2H), 2.91 - 3.14 (m, 1H), 1.83 - 2.05 (m, 2H), 1.25 - 1.35 (m, 6H); LC/MS [M + H] = 697.4.
실시예 177
2-(((2R,3S,4R,5R)-5-(6-클로로-4-(아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5
단계 1:
N2 분위기 하에 0℃에서 MeCN(6.5㎖) 중의 4,6-다이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20㎎, 1.11m㏖, 1 eq)과 (3R,4R,5R)-5-(((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230.35㎎, 1.22m㏖, 1.1 eq) 용액에 DBU(501㎕, 3.32m㏖, 3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TMSOTf(900.93㎕, 4.99m㏖, 4.5 eq)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aHCO3(10㎖)로 반응 중단시키고, EtOAc(3×6㎖)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상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석유 에터 중의 10 내지 40%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4,6-다이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20㎎)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EtOH(2㎖) 중의 (2R,3R,4R,5R)-5-(4,6-다이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60㎎, 377.61μ㏖, 1 eq)에 프로판-2-아민(64.89㎕, 755.23μ㏖, 2 eq)과 DIEA(131.55㎕, 755.23μ㏖, 2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EtOAc(30㎖)로 희석시키고, 물(8㎖), 염수(8㎖)로 세척하고 나서,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TLC(EtOAc:석유 에터 = 2:1)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클로로-4-(아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70㎎)를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THF(1㎖) 중의 (2R,3R,4R,5R)-5-(6-클로로-4-(아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70㎎, 98.43μ㏖, 1 eq) 용액에 LiOH.H2O(4.13㎎)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 - ACN]; B%: 43% 내지 63%,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6-클로로-4-(아이소프로필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15.7㎎)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76 - 9.10 (m, 1H), 7.93 - 8.08 (m, 1H), 7.40 - 7.65 (m, 1H), 6.89 - 7.08 (m, 4H), 6.80 - 6.88 (m, 1H), 6.11 - 6.20 (m, 1H), 5.14 - 5.28 (m, 1H), 4.38 - 4.50 (m, 1H), 4.29 - 4.37 (m, 1H), 3.93 - 4.11 (m, 1H), 3.78 - 3.86 (m, 1H), 3.47 - 3.63 (m, 2H), 2.97 - 3.09 (m, 1H), 1.25 - 1.31 (m, 6H); LC/MS [M + H] = 598.7.
실시예 178
2-(((2R,3S,4R,5R)-5-(4-아미노-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6
단계 1:
THF(1㎖) 중의 (2R,3R,4R,5R)-5-(4,6-다이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0㎎, 145.24μ㏖, 1 eq) 용액에 NH4OH(199.76㎕, 1.45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켜 조질의 (2R,3R,4R,5R)-5-(4-아미노-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20㎎)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THF(4㎖)와 H2O(2㎖) 중의 조질의 (2R,3R,4R,5R)-5-(4-아미노-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1-에톡시-1-옥소-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45.24μ㏖, 1 eq) 용액에 LiOH . H2O(60.94㎎, 1.45m㏖, 10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HPLC(칼럼: YMC-Actus Triart C18 150*30㎜*5㎛; 이동상: [물(0.225%FA)-ACN]; B%: 28% 내지 48%, 10분)에 의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2R,3S,4R,5R)-5-(4-아미노-6-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32.8㎎)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87 - 9.01 (m, 1H), 7.91 - 8.06 (m, 1H), 7.47 - 7.67 (m, 1H), 7.01 - 7.06 (m, 2H), 6.93 - 7.00 (m, 2H), 6.84 - 6.90 (m, 1H), 6.12 - 6.20 (m, 1H), 5.14 - 5.27 (m, 1H), 4.26 - 4.33 (m, 1H), 3.76 - 4.03 (m, 2H), 3.48 - 3.70 (m, 2H), 2.96 - 3.05 (m, 1H); LC/MS [M + H] = 557.0.
실시예 179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247
단계 1:
톨루엔(10㎖) 중의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g, 3.28m㏖) 용액에 에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841㎎, 4.26m㏖)와 Rh2(OAc)4(145㎎, 0.328m㏖)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78g)를 시럽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25℃에서 DCM(3㎖)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10㎎) 용액에 TFA(2㎖)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를 제공하였다.
0℃에서 THF(1㎖)와 H2O(1㎖) 중의 조질의 (2R,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 용액에 LiOH 일수화물(100㎎)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25℃에서 밤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킨 후에, 이를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대략 6으로 산성화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아세트산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약 1: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84-9.00 (m, 2H), 7.67-7.68 (m, 1H), 6.02-6.06 (m, 1H), 5.28-5.32 (d, J=12.27 Hz, 1.5H), 5.14-5.16 (d, J=7.56 Hz, 0.5H), 4.24-4.28 (m, 1H), 3.69-4.09 (m, 2H), 3.16 (s, 0.5H), 2.95 (s, 0.5H); LC/MS [M + H] = 467.0.
실시예 180 및 181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48
상기 실시예 16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브로모메틸)티오펜과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퓨린-6-아민을 브로민화벤질과 2-클로로아데닌으로 대체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생성물의 쌍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둘 다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5-8.96 (d, J = 2.01 Hz, 1H), 8.34 (s, 1H), 7.54-7.55 (d, J = 2.01 Hz, 1H), 6.97-7.12 (m, 5H), 5.97-5.99 (d, J = 6.99 Hz, 1H), 4.97-4.99 (d, J = 7.08 Hz, 1H), 4.27-4.29 (t, J = 4.23, 3.18 Hz, 1H), 3.88-3.99 (m, 2H), 3.62-3.79 (q, J = 14.82, 39.24 Hz, 2H), 2.97 (s, 1H); LC/MS [M + H] = 557.0.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5-8.96 (m, 1H), 7.99 (s, 1H), 7.70-7.71 (d, J = 1.98 Hz, 1H), 7.05-7.25 (m, 5H), 5.92-5.94 (d, J = 7.02 Hz, 1H), 4.85-4.87 (d, J = 7.29 Hz, 1H), 4.20-4.22 (q, J = 2.64 Hz, 1H), 3.58-3.90 (m, 4H), 3.02 (s, 1H); LC/MS [M + H] = 557.0.
실시예 182
3-(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카복시-2-(티아졸-4-일)에틸)벤조산의 합성
Figure pct00249
상기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BnBr를 메틸 3-(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로 대체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9-9.01 (m, 1H), 8.33 (s, 0.5H), 8.14 (s, 0.5H), 7.66-7.88 (m, 3H), 7.45-7.48 (d, J = 7.29 Hz, 0.5H), 7.36-7.39 (d, J = 7.86 Hz, 0.5H), 7.17-7.22 (t, J = 7.56 Hz, 0.5H), 7.00-7.05 (d, J = 7.47 Hz, 0.5H), 5.99-6.01 (d, J = 7.29 Hz, 0.5H), 5.93-5.95 (d, J = 6.87 Hz, 0.5H), 5.00-5.03 (d, J = 7.38 Hz, 0.5H), 4.90-4.95 (d, J = 6.80 Hz, 0.5H), 4.23-4.31 (m, 1H), 3.80-4.01 (m, 2H), 3.63-3.69 (m, 2H), 3.01 (s, 0.5H), 2.92 (s, 0.5H); LC/MS [M + H] = 601.0.
실시예 183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3-(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닐)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50
상기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BnBr을 1-(브로모메틸)-3-(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벤젠으로 대체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7-9.00 (m, 1H), 8.41 (s, 0.5H), 8.26 (s, 0.5H), 7.68-7.69 (d, J = 1.92 Hz, 0.5H), 7.62-7.63 (d, J = 1.83 Hz, 0.5H), 6.88-7.21 (m, 4H), 6.00-6.02 (d, J = 7.14 Hz, 0.5H), 5.94-5.96 (d, J = 6.78 Hz, 0.5H), 5.04-5.07 (d, J = 7.44 Hz, 0.5H), 4.91-4.94 (d, J = 6.87 Hz, 0.5H), 4.28-4.33 (m, 1H), 3.62-3.96 (m, 4H), 2.98 (s, 0.5H), 2.96 (s, 0.5H); LC/MS [M + H] = 641.0.
실시예 184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펜트-4-인온산의 합성
Figure pct00251
상기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BnBr을 브로민화 프로파길로 대체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95 (s, 1H), 8.79-8.83 (d, J = 13.95 Hz, 1H), 7.73 (s, 1H), 6.04-6.06 (d, J = 7.05 Hz, 1H), 4.97-5.05 (dd, J = 7.29, 17.91 Hz, 1H), 4.24-4.30 (m, 1H), 3.69-3.94 (m, 2H), 3.34-3.38 (m, 2H), 3.04 (s, 0.5H), 2.93 (s, 0.5H), 2.22-2.30 (dt, J = 1.74, 19.62 Hz, 1H); LC/MS [M + H] = 505.0.
실시예 185 및 186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N-하이드록시-2-(티아졸-4-일)아세트아마이드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N-하이드록시-2-(티아졸-4-일)아세트아마이드의 합성
Figure pct00252
MeOH(20㎖) 중의 (2R,3R,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g, 3.45m㏖) 용액에 H2O(30㎖) 중의 50% NH2OH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표제 생성물의 쌍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둘 다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N-하이드록시-2-(티아졸-4-일)아세트아마이드: 1H NMR (CD3OD, 300 MHz) δ 9.02-9.03 (d, J = 1.77 Hz, 1H), 8.45 (s, 1H), 7.68-7.69 (d, J = 1.8 Hz, 1H), 5.98-6.01 (d, J = 6.96 Hz, 1H), 4.92-4.95 (d, J = 6.93 Hz, 1H), 4.29-4.32 (q, J = 2.82, 2.28 Hz, 1H), 3.91-4.10 (m, 2H), 3.18 (s, 1H); LC/MS [M + H] = 482.0.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N-하이드록시-2-(티아졸-4-일)아세트아마이드: 1H NMR (CD3OD, 300 MHz) δ 8.97 (s, 1H), 8.46 (s, 1H), 7.68 (s, 1H), 5.97-6.00 (d, J = 6.96 Hz, 1H), 4.88-4.90 (d, J = 6.93 Hz, 1H), 4.33-4.35 (m, 1H), 3.96-4.08 (m, 2H), 3.12 (s, 1H); LC/MS [M + H] = 482.0.
실시예 187 및 188
(S)-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R)-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53
상기 실시예 170 및 17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클로로-N-아이소프로필-9H-퓨린-6-아민을 2-클로로-N-메틸-9H-퓨린-6-아민으로 대체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약 1:1)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9 (s, 1H), 7.97 (s, 1H), 7.69 (s, 1H), 7.08-7.22 (m, 5H), 5.93-5.95 (d, J = 6.9 Hz, 1H), 4.96-4.98 (d, J = 6.0 Hz, 1H), 3.59-4.22 (m, 5H), 3.01-3.06 (m, 4H); LC/MS [M + H] = 571.0.
(R)-2-(((2R,3S,4R,5R)-5-(2-클로로-6-(메틸아미노)-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97-8.98 (d, J = 1.83 Hz, 1H), 8.15 (s, 1H), 7.58-7.59 (d, J = 1.77 Hz, 1H), 6.94-7.09 (m, 5H), 5.98-6.00 (d, J = 7.17 Hz, 1H), 4.98-5.01 (d, J = 7.26 Hz, 1H), 4.27-4.29 (t, J = 3.48 Hz, 1H), 3.93 (m, 2H), 3.58-3.80 (q, J = 14.46, 38.7 Hz, 2H), 3.07 (s, 3H), 2.94 (s, 1H); LC/MS [M + H] = 571.0.
실시예 189 및 190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54
단계 1:
톨루엔(5㎖) 중의 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510㎎, 0.836m㏖) 용액에 에틸 2-사이아노-2-다이아조아세테이트(134㎎, 0.961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혼합물을 건조 톨루엔(2㎖)에서 취한 다음 아르곤 분위기 하에 Rh2(OAc)4(8㎎, 17μ㏖)를 첨가하였다. 물질을 교반하고 나서, 8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추가적인 에틸 2-사이아노-2-다이아조아세테이트(254㎎, 1.82m㏖)를 60분에 걸쳐 8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추가로 80℃에서 80분 동안 가열한 후에 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콤비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 내지 65%의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1-사이아노-2-에톡시-2-옥소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30㎎, 38% 수율)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회백색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오븐 건조한 플라스크를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1-사이아노-2-에톡시-2-옥소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30㎎, 0.319m㏖)로 채우고 나서, 건조 DMF(4㎖)에서 취하였다. 이 혼합물에 Cs2CO3(208㎎, 0.639m㏖)를 첨가한 후에, 브로민화벤질(109㎎, 0.639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차가운 포화 수성 NH4Cl(40㎖)로 희석시키고, EtOAc(40㎖)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EtOAc(2×4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콤비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내지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으로서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사이아노-1-에톡시-1-옥소-3-페닐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15㎎, 83%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DCM(1㎖) 중의 TFA(1㎖) 용액에서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사이아노-1-에톡시-1-옥소-3-페닐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15㎎, 0.265m㏖)를 2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8×8㎖)과 공비혼합하였다. 잔사를 H2O(2.2㎖, 5:1 = v:v) 중의 MeOH 혼합물에서 취하고, LiOH.H2O (77㎎, 1.86m㏖, 7 eq)와 THF(0.5㎖)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잔사를 H2O(15㎖)에 용해시켰다. 수성상을 EtOAc(2×10㎖)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2.5로 산성화하였다. 수성상을 EtOAc(3×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50㎖)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33.7㎎, 26% 수율) 및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30㎎, 23% 수율)을 제공하였다. 둘 다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시켰다.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32 (bs, 1H), 7.20-7.36 (m, 5H), 6.02 (d, J=7.00 Hz, 1H), 4.68 (d, J=7.02 Hz, 1H), 4.33-4.37 (m, 1H), 4.18 (dd, J=9.91, 3.96 Hz, 1H), 3.99 (dd, J=9.94, 2.19 Hz, 1H), 3.41 (bs, 2H), 3.03 (s, 1H); LC/MS [M + H] = 499.1.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사이아노-3-페닐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04 (bs, 1H), 7.21-7.39 (m, 5H), 5.99 (d, J=6.90 Hz, 1H), 4.79 (d, J=6.93 Hz, 1H), 4.31-4.36 (m, 1H), 4.19 (dd, J=10.07, 4.34 Hz, 1H), 4.12 (dd, J=10.10, 3.30 Hz, 1H), 3.38-3.44 (m, 2H), 3.09 (s, 1H); LC/MS [M + H] = 499.1.
실시예 191 및 192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55
단계 1:
아르곤 분위기 하에 25℃에서 DMF(40㎖) 중의 에틸 1H-테트라졸-5-아세테이트(3g, 19.21m㏖) 용액에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4.1㎖, 23.05m㏖)와 분말 탄산칼륨(5.31g, 38.42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후에, 이를 염수(70㎖)와 EtOAc(70㎖)로 희석시켰다. 수성상을 EtOAc(2×7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70㎖)와 물(7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5 내지 48% EtOAc)에 의해 정제하고 에틸 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2.379g)를 밝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아르곤 분위기 하에 하에 건조 아세토나이트릴(25㎖) 중의 에틸 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2.379g, 8.31m㏖) 용액에 DBU(1.87㎖, 12.47m㏖)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에 4-아세트아미도벤젠설폰일 아자이드(2.395g, 9.96m㏖)를 5분에 걸쳐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5시간 동안 교반하고,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0% EtOAc)에 의해 정제하고 에틸 2-다이아조-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2.316g)를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20℃에서 N2 분위기 하에 톨루엔(8㎖)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2g, 3.28m㏖) 용액에 Rh2(OAc)4(29㎎, 0.066m㏖, 0.066 eq)와 에틸 2-다이아조-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1.08g, 3.44m㏖, 1.05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추가적인 에틸 2-다이아조-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720㎎)를 8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조질의 물질을 콤비-플래시 실리카겔 칼럼(헥산 중의 5 내지 8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608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검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4:
건조 톨루엔(10㎖)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2-옥소-1-(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555g, 1.739m㏖) 용액.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건조 DMF(10㎖)에서 취한 후에 브로민화벤질(1.189g, 6.96m㏖)을 첨가하고, Cs2CO3(1.133g, 3.478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포화 수성 NH4Cl 용액(60㎖)으로 희석시켰다. 수성상을 EtOAc(3×6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6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 내지 6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1-에톡시-1-옥소-3-페닐-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41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거품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5:
MeOH와 H2O(12㎖, 6:1 = v:v)의 혼합물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1-에톡시-1-옥소-3-페닐-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프로판-2-일)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41g, 1.057m㏖)의 용액에 분말 LiOH.H2O(349㎎, 8.5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3℃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 건조시켰다. 잔사를 H2O(40㎖)에 용해시키고, 이를 EtOAc(40㎖)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1N 수성 HCl 용액을 이용하여 pH 2.5로 산성화하고, EtOAc(3×4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40㎖)로 세척하고 나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프로판산(784㎎)의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을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6:
아르곤 분위기 하에 0℃에서 DCM(0.9㎖) 중의 2-(((2R,3S,4R,5R)-5-(6-((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프로판산(138㎎, 0.179m㏖) 용액에 TFA(0.9㎖)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5분 동안 주위 온도로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감압 하에 DCM(3×15㎖)와 공비혼합하였다. 조질의 잔사를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으로서 2가지의 표제 생성물: 제1 분획으로부터의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 및 이후의 분획으로부터의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을 제공하였다. 둘 다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37 (s, 1H), 7.11-7.23 (m, 5H), 5.96 (d, J=6.57 Hz, 1H), 4.81 (d, J=6.57 Hz, 1H), 4.25-4.30 (m, 1H), 4.01 (dd, J=10.19, 2.29 Hz, 1H), 3.78 (d, J=13.90 Hz, 1H), 3.67 (d, J=13.90 Hz 1H), 3.72-3.79 (m, 1H), 3.06 (s, 1H); LC/MS [M + H] = 542.2.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3-페닐-2-(1H-테트라졸-5-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8.37 (s, 1H), 6.92-7.11 (m, 5H), 6.01 (d, J=7.11 Hz, 1H), 5.06 (d, J=7.11 Hz, 1H), 4.35-4.39 (m, 1H), 4.11 (dd, J=10.06, 2.52 Hz, 1H), 4.01 (dd, J=10.06, 5.49 Hz, 1H), 3.80 (d, J=14.75 Hz 1H), 3.67 (d, J=14.75 Hz 1H), 2.96 (s, 1H); LC/MS [M + H] = 542.2.
실시예 193 및 194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페닐티아졸-4-일)아세트산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페닐티아졸-4-일)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pct00256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에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를 에틸(2-페닐티아졸-4-일)다이아조아세테이트로 대체하고 이를 문헌[Lefebvre, Quentin, et al., (Chemical Communications 2014, 50, 6617-6619)]에 기재된 절차를 통해 제조하여,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쌍(약 1:1)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하였다. 둘 다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페닐티아졸-4-일)아세트산: 1H NMR (CD3OD, 300 MHz); δ 9.03 (bs, 1H), 7.91-7.97 (m, 2H), 7.60 (s, 1H), 7.39-7.45 (m, 3H), 6.06 (d, J=7.45 Hz, 1H), 5.28 (s, 1H), 4.92 (d, J=7.45 Hz, 1H), 4.29-4.33 (m, 1H), 4.12 (dd, J=10.45, 2.51 Hz, 1H), 4.01 (dd, J=10.46, 2.56 Hz, 1H), 2.92 (s, 1H); LC/MS [M + H] = 543.1.
(R)-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2-페닐티아졸-4-일)아세트산: 1H NMR (CD3OD, 300 MHz); δ 9.15 (s, 1H), 7.90-7.96 (m, 2H), 7.61 (s, 1H), 7.38-7.44 (m, 3H), 6.09 (d, J=7.48 Hz, 1H), 5.23 (d, J=7.48 Hz, 1H), 5.30 (s, 1H), 4.26-4.29 (m, 1H), 3.93 (dd, J=10.67, 2.18 Hz, 1H), 3.76 (dd, J=10.64, 2.48 Hz, 1H), 3.17 (s, 1H); LC/MS [M + H] = 543.2.
실시예 195
4-((((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카복시)메틸)티아졸-2-카복실산의 합성
Figure pct00257
단계 1:
마이크로파 바이알에 건조 톨루엔(27㎖) 중의 에틸 티오옥사메이트(1.91g, 14.36m㏖)와 에틸 4-브로모아세토아세테이트(3g, 14.36m㏖)로 채웠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 내 90℃에서 1시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디캔팅하고, 이어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콤비플래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 내지 56%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4-(2-에톡시-2-옥소에틸)티아졸-2-카복실레이트(890㎎, 26% 수율)를 두꺼운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아르곤 분위기 하에 건조 아세토나이트릴(12㎖) 중의 에틸 4-(2-에톡시-2-옥소에틸)티아졸-2-카복실레이트(890㎎, 3.66m㏖) 용액에 DBU(0.82㎖, 5.49m㏖)와 4-아세트아미도벤젠설폰일 아자이드(1.055g, 4.39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4-(1-다이아조-2-에톡시-2-옥소에틸)티아졸-2-카복실레이트(894㎎, 90% 수율)를 노르스름한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에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를 에틸 4-(1-다이아조-2-에톡시-2-옥소에틸)티아졸-2-카복실레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제공하고,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이성질체 1: 1H NMR (CD3OD, 300 MHz): δ 8.93 (s, 1H), 7.91 (s, 1H), 6.06 (d, J=7.42 Hz, 1H), 5.39 (s, 1H), 5.13 (d, J=7.42 Hz, 1H), 4.24-4.31 (m, 1H), 4.03-4.09 (m, 1H), 3.75-3.83 (m, 1H), 2.95 (s, 1H); LC/MS [M + H] = 511.1.
이성질체 2: 1H NMR (CD3OD, 300 MHz): δ 8.87 (s, 1H), 7.93 (s, 1H), 6.04 (d, J=7.42 Hz, 1H), 5.33 (s, 1H), 4.91 (d, J=7.45 Hz, 1H), 4.24-4.31 (m, 1H), 3.92-4.01 (m, 2H), 3.19 (s, 1H); LC/MS [M + H] = 511.1.
실시예 196
4-(1-(((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1-카복시-2-페닐에틸)티아졸-2-카복실산의 합성
Figure pct00258
상기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실-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를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에톡시-1-(2-(에톡시카보닐)티아졸-4-일)-2-옥소에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제공하고,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이성질체 1: 1H NMR (CD3OD, 300 MHz): δ 8.17 (bs, 1H), 7.81 (s, 1H), 6.92-7.25 (m, 5H), 5.95 (d, J=7.02 Hz, 1H), 4.89 (d, J=7.02 Hz, 1H), 4.29-4.34 (m, 1H), 3.59-4.05 (m, 4H), 3.01 (s, 1H); LC/MS [M + H] = 601.1.
이성질체 2: 1H NMR (CD3OD, 300 MHz): δ 8.05 (bs, 1H), 7.90 (s, 1H), 6.92-7.25 (m, 5H), 6.00 (d, J=7.41 Hz, 1H), 5.04 (d, J=7.42 Hz, 1H), 4.21-4.26 (m, 1H), 3.59-4.05 (m, 4H), 3.06 (s, 1H); LC/MS [M + H] = 601.1.
실시예 197
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4-(2-아미노피리딘-3-일)벤질)말론산의 합성
Figure pct00259
상기 실시예 2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옥소-1,2-다이하이드로피리딘-3-일)보론산을 3-(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아민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43 (s, 1H), 7.85-7.87 (dd, J = 1.5, 6.42 Hz, 1H), 7.65-7.68 (dd, J = 1.53, 7.38 Hz, 1H), 7.37-7.40 (d, J = 8.13 Hz, 2H), 7.09-7.12 (d, J = 8.07 Hz, 2H), 6.88-6.93 (t, J = 6.9 Hz, 1H), 5.99-6.01 (d, J = 6.72 Hz, 1H), 4.77-4.79 (d, J = 7.0, 1H), 4.37-4.40 (m, 1H), 3.98-4.12 (m, 2H), 3.34-3.42 (m, 2H), 3.09 (s, 1H); LC/MS [M + H] = 610.1.
실시예 198 및 199
(S)-3-([1,1'-바이페닐]-4-일)-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프로판산
(R)-3-([1,1'-바이페닐]-4-일)-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프로판산의 합성
Figure pct00260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와 다이에틸 2-다이아조말로네이트를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실메틸)-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와 메틸 2-다이아조-2-(티아졸-4-일)아세테이트로 대체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표제 생성물의 쌍(대략 1:1)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둘 다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S)-3-([1,1'-바이페닐]-4-일)-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9.04 (s, 1H), 8.42 (s, 1H), 7.74 (s, 1H), 7.21-7.45 (m, 9H), 6.00-6.03 (d, J = 8 Hz, 1H), 4.67-4.70 (d, J = 7 Hz, 1H), 4.13 (s, 1H), 3.88-3.85 (m, 2H), 3.62-3.66 (d, J = 14 Hz, 1H), 3.44-3.47 (d, J = 11 Hz, 1H), 1.37 (s, 3H); LC/MS [M + H] = 623.2.
(R)-3-([1,1'-바이페닐]-4-일)-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티아졸-4-일)프로판산: 1H NMR (CD3OD, 300 MHz) δ 9.04 (s, 1H), 8.21 (s, 1H), 7.27-7.69 (m, 10H), 5.93-5.95 (d, J = 7 Hz, 1H), 4.52-4.55 (d, J = 8 Hz, 1H), 4.04 (s, 1H), 3.79-3.85 (m, 3H), 1.36 (s, 3H); LC/MS [M + H] = 623.2.
실시예 200
4'-(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카복시-2-(티아졸-4-일)에틸)-[1,1'-바이페닐]-2-카복실산의 합성
Figure pct00261
상기 실시예 17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실-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와 BnBr을 (2R,3R,4R,5R)-5-(6-(N,N'-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2-메톡시-2-옥소-1-(티아졸-4-일)에톡시)메틸)-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와 4-(브로모메틸)-1,1'-바이페닐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을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로서 제공하고,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LC/MS [M + H] = 667.2.
실시예 201
4'-(2-(((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2-카복시-2-(1H-테트라졸-5-일)에틸)-[1,1'-바이페닐]-2-카복실산의 합성
Figure pct00262
단계 1:
아르곤 분위기 하에 25℃에서 건조 DMF(7㎖) 중의 에틸 2-(1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500㎎, 3.24m㏖)와 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0.69㎖, 3.89m㏖) 용액에 분말 탄산칼륨(896㎎, 6.48m㏖)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한 후에 이를 H2O(30㎖)로 희석시키고, EtOAc(3×3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염수(30㎖), 물(30㎖)로 세척하고, 이어서,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사를 콤비플래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8 내지 58%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200㎎)를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내지 6: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메틸 2-(티아졸-4-일)아세테이트를 에틸 2-(2-((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2H-테트라졸-5-일)아세테이트로 대체하여 입체배치를 임의로 부여한 부분입체이성질체 표제 생성물의 쌍(약 1:1)을 제공하였다. 생성물을 둘 다 분취 HPLC에 의해 정제하고, 회백색 고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이성질체 1: δ 8.50 (s, 1H), 7.73-7.79 (m, 2H), 7.31-7.56 (m, 3H), 7.01-7.24 (m, 4H), 6.04 (d, J=7.87 Hz, 1H), 4.64 (d, J=7.88 Hz, 1H), 4.10-4.14 (m, 1H), 3.46-4.00 (m, 4H), 1.35 (s, 3H); 이성질체 2: δ 8.31 (s, 1H), 7.73-7.79 (m, 2H), 7.31-7.56 (m, 3H), 7.01-7.24 (m, 4H), 5.99 (d, J=7.75 Hz, 1H), 4.48 (d, J=7.72 Hz, 1H), 4.19-4.23 (m, 1H), 3.46-4.00 (m, 4H), 1.42 (s, 3H); LC/MS [M + H] = 652.2.
실시예 202
(((((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의 합성
Figure pct00263
단계 1:
i-PrOH(1.6㎖), MeOH(1.1㎖)와 H2O(0.8㎖) 중의 (2R,3R,4R,5R)-5-(6-(비스-(tert-뷰톡시카보닐)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29㎎, 0.539m㏖) 용액에 분말 LiOH(111㎎, 2.69m㏖)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유기 휘발물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H2O(12㎖)로 희석시켰다. 수성층의 pH를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대략 3으로 조절하고, EtOAc(3×1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켜 tert-뷰틸 (2-클로로-9-((2R,3R,4S,5R)-4-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9H-퓨린-6-일)카바메이트를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Tert-뷰틸 (2-클로로-9-((2R,3R,4S,5R)-4-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9H-퓨린-6-일)카바메이트(0.539m㏖)를 DCM(1㎖)과 TFA(0.5㎖)의 혼합물에서 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농축시켰다. 잔사를 DCM(10㎖)에서 취하고, 다시 농축시켰다(5주기를 반복한다). 잔사를 추가로 진공 오븐에서 18시간 동안 건조시켜 조질의 (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올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오븐 건조된 플라스크에 아르곤 분위기 하에 조질의 (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올과 건조 트라이메틸 포스페이트(2.5㎖)를 채웠다.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킨 다음, 10분에 걸쳐 건조 트라이메틸 포스페이트(1.1㎖) 중의 메틸렌비스(포스폰 다이클로라이드)(673㎎, 2.7m㏖)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트라이에틸암모늄 카보네이트 용액(1M, 1.9㎖)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0℃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2시간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조질의 혼합물을 분취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불순물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이 불순물 생성물을 추가로 역상 HPLC에 의해 2회 정제하여 목적하는 (((((2R,3S,4R,5R)-5-(6-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34㎎)을 밝은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CD3OD, 300 MHz): δ 8.75 (bs, 1H), 6.07 (br, 1H), 4.86 (bs, 1H), 4.31-4.61 (m, 3H), 3.20 (s, 1H), 2.54 (br, 1H); LC/MS [M + H] = 484.0.
실시예 203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의 합성
Figure pct00264
단계 1:
질소 하에서, 아세트산(130㎖) 중의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14.48g, 32m㏖)(문헌[Hulpia, F. et al. Bioorg. Med. Chem. Lett. 2016, 26, 1970-1972]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됨)의 용액을 14 내지 17℃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32.01㎖, 341m㏖, 10.7 eq) 및 진한 황산(576㎕, 10.8m㏖, 0.34 eq)으로 처리하였다. 2.5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에,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각각 200㎖)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25㎖)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용액을 중탄산나트륨(수성, 포화, 200㎖)으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칼럼(다이클로로메탄 중의 0 내지 3%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R,4R,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를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제공하고, 백색 고체로서 양호한 수율로(9.5g, 55%) 단리시켰다.
단계 2:
질소 하에서, 무수 아세토나이트릴(90㎖) 중의 2,6-다이클로로아데닌(2.91g, 15.4m㏖, 1.01 eq)과 N,O-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4.87㎖, 19.6m㏖, 1.29 eq)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다음에,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0㎖) 중의 (2R,3R,4R,5R)-2,4-비스(아세틸옥시)-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에틴일옥솔란-3-일 아세테이트(8.2g, 15.22m㏖) 용액을 첨가한 다음, 트라이메틸실릴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3.67㎖, 20.3m㏖, 1.33 eq)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50℃로 18시간 동안 가온시키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1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100㎖)로 추출하고 나서, 합한 유기층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칼럼(헥산 중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2R,3R,4R,5R)-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를 백색 고체(8.2g, 81%)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무수 THF(25㎖) 중의 (2R,3R,4R,5R)-2-(((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6g, 2.4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0.192㎖, 3.36m㏖)과 THF(1N, 3.36㎖, 3.36m㏖) 중의 테트라뷰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조질의 잔사를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를 통해 정제하여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0.88g, 86%)를 백색 거품으로서 얻었다.
단계 4: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4㎖) 중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실-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00㎎, 0.233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4㎖) 중의 메틸렌비스(포스폰 다이클로라이드)의 제2 용액(116㎎, 0.467m㏖, 2 eq)으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교반을 2시간 동안 계속하고, 이어서, 빙욕을 제거하고 나서, 교반을 18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더 이상 기체 발생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중탄산암모늄(0.7M 수성 TEAB, pH 8.5)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일단 반응이 중단되며, NaHCO3(포화, 수성; 5㎖)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2N HCl을 이용하여 pH 대략 1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50㎖)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톨루엔(3×10㎖)과 공비혼합하여 (((((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5:
단계 4로부터의 (((((2R,3R,4R,5R)-3,4-다이아세톡시-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 용액(대략 90㎎)을 무수 다이옥산(8㎖)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0.085㎖, 0.513m㏖, 2.2 eq)과 벤질아민(0.036㎖, 0.33m㏖, 1.4 eq)으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켜 (((((2R,3R,4R,5R)-3,4-다이아세톡시-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을 제공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후속 가수분해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5로부터의 조질의 생성물을 1:1 MeOH/THF(2㎖)에 용해시키고, 물(1㎖) 중의 LiOH (84㎎, 3.5m㏖, 15 eq)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2N HCl을 이용하여 pH 대략 1로 산성화하고, 농축시켰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수 중 아세토나이트릴을 0.1% TFA(4㎖)로 1:1로 희석시키고, 역상 HPLC를 통해 정제하여 동결건조 후에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을 백색 고체(9.2㎎, 7%)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D2O) δ 8.63 (s, 1 H), 7.41 (m, 5 H), 6.07 (d, J = 6.9Hz, 1 H), 4.96 (d, J = 7.0Hz, 1 H), 4.46 (s, 1 H), 4.37 (d, J = 12.0Hz, 1 H), 4.25 (d, J = 11.5Hz, 1 H), 3.21 (s, 1 H), 2.38 (t, J = 20.0Hz, 2 H). HPLC: Rt = 17.2분, 97.9%. C21H24ClN5O9P2에 대한 ESI-MS 계산치 587.07, 관측치 586.8 (M-); C12H9ClN5에 대한 ESI-MS 계산치 258.05, 관측치 258.4 (M-리보스 단편).
실시예 204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메틸)포스폰산의 합성
Figure pct00265
단계 1:
화염 건조시킨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다이에틸 하이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780㎎, 4.64m㏖)로 채우고, 무수 다이클로로메탄(20㎖) 중의 트라이에틸아민(0.838㎖, 6.031m㏖, 1.3 eq)을 -78℃로 냉각시키고,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폰산 무수물(0.847㎖, 5.10m㏖, 1.3 eq)을 적가 처리하였다. 반응물이 0℃로 가온됨에 따라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30분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에터(0℃로 사전냉각시킴)에 붓고 결정질 침전물을 여과시켰다. 이어서, 여과액을 순차적으로 물(1×100㎖), 1M HCl(1×100㎖) 및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1×125㎖)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고, 무수 THF 중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2:
THF(20㎖) 중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2-(하이드록실-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350㎎, 0.815m㏖)와 (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294㎎, 0.978m㏖, 1.2 eq) 용액을 -78℃로 냉각시키고, LiHMDS(THF 중의 1M; 0.980㎖, 0.978m㏖, 1.2 eq)로 적가 처리하였다. 1.5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고체 NH4Cl을 이용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나서,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MgSO4), 여과 후, 농축시켰다.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한 정제로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2-(((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140㎎, 30%)를 연한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단계 3:
무수 다이옥산(8㎖) 중의 (2R,3R,4R,5R)-5-(2,6-다이클로로-9H-퓨린-9-일)-2-(((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85㎎, 0.147m㏖)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40㎕, 0.235m㏖, 1.6 eq)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벤질아민(19㎕, 0.176m㏖, 1.2 eq)으로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켜 조질의 (2R,3R,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2-(((다이에톡시포스포릴)메톡시)메틸)-3-에틴일테트라하이드로퓨란-3,4-다이일 다이아세테이트(93㎎, 96%)를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4:
앞 단계로부터의 조질의 생성물을 무수 아세토나이트릴(10㎖)에 용해시키고, 브로모트라이메틸실란(0.24㎖, 1.8m㏖, 12 eq)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용액을 실온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5㎖)로 반응 중단시켰다. 추가 2 내지 3분 동안 교반한 후에,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4×100㎖)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 후, 농축시켜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메틸)포스폰산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이 조질의 고체를 0℃에서 절대 EtOH에 용해시키고 KOEt(51㎎, 0.61m㏖, 4 eq)로 한 번에 처리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이를 AcOH(0.52㎖, 0.91m㏖, 6 eq)를 이용하여 산성화하고,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을 역상 HPLC를 통해 정제하고,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에틴일-3,4-다이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메틸)포스폰산(6㎎, 7%)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D2O) δ 8.41 (s, 1 H), 7.19 (m, 5 H), 5.84 (d, J = 7.2Hz, 1 H), 4.82 (d, J = 7.1Hz, 1 H), 4.21 (m, 1 H), 4.19 (m, 2 H), 3.79 (d, J = 3.8Hz, 2H), 3.57 (m, 2 H), 2.98 (s, 1 H). HPLC: Rt = 7.19분, 97.5%. C20H21ClN5O7P에 대한 ESI-MS 계산치, 509.09, 관측치 509 (M+); C11H8ClN6에 대한 ESI-MS 계산치 258.05, 관측치 259 (M-리보스 단편).
실시예 205
(((((2R,3S,4R,5R)-5-(6-(벤질아미노)-2-클로로-9H-퓨린-9-일)-3,4-다이하이드록시-3-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일)메톡시)(하이드록시)포스포릴)메틸)포스폰산의 합성
Figure pct00266
단계 1:
질소 하에서 무수 THF(100㎖) 중의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5H)-온(6g, 14.1m㏖)의 빙랭 용액을 THF(5.9㎖, 1.4 eq) 중의 3M 염화 메틸마그네슘으로 적가 처리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에, 빙욕을 제거하고, 1시간 동안 교반을 계속하였다. 혼합물을 0℃로 다시 냉각시키고,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10㎖)으로 반응 중단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0㎖)로 희석시키고, 물(80㎖)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에틸 아세테이트(1×50㎖)로 재추출하고 나서,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실리카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6-트라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을 연한 점성 오일(4.2g, 67%)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2:
질소 하에서, 다이클로로메탄(35㎖)과 물(3.5㎖) 중의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5H)-온(2.25g, 5.08m㏖) 용액을 0℃로 냉각시키고,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5㎖)으로 처리하였다. 2.5시간 후에, 용액이 pH 대략 8이 될 때까지 포화 수성 NaHCO3을 첨가하고 나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150㎖)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시켰다. 조질의 오일을 톨루엔(3×5㎖)과 공비혼합하고, 다이클로로메탄(45㎖)으로 희석시키고 나서, 피리딘(12㎖), 아세트산 무수물(4.77㎖, 50.83m㏖) 및 촉매적 4-DMAP(142㎎, 1.17m㏖)로 처리하였다.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각각 200㎖)로 희석시키고 나서, 포화 수성 NH4Cl(3×100㎖), 0.5N HCl(2×100㎖) 및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1×120㎖)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층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나서, 여과 후, 농축시켰다. 잔여 오일을 실리카겔 상의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0 내지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R,4R,5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4-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3,4-트라이일 트라이아세테이트(2.1g, 78%)를 무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단계 3 내지 6:
상기 실시예 20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진행하였지만, (3aR,5R,6R,6aR)-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6-에틴일-2,2-다이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올을 (3aR,5R,6aS)-5-(((tert-뷰틸다이페닐-실릴)옥시)메틸)-2,2-다이메틸다이-하이드로퓨로[2,3-d][1,3]다이옥솔-6(5H)-온으로 대체하여 표제 화합물(8㎎, 3%)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H NMR (D2O:DMSO-d6, 6:1) 8.46 (bs, 1 H), 7.23 (m, 5 H), 5.84 (d, J = 6.9Hz, 1 H), 4.45 (d, J = 7.0Hz, 1 H), 4.12 (s, 1 H), 3.95 (m, 3 H), 3.54 (m, 1 H), 2.18 (bs, 2 H), 1.31 (s, 3 H). C19H24ClN5O9P2에 대한 ESI-MS 계산치 563.1, 관측치 562.1 (M-).
실시예 206
분석 1: 시험관내 CD73 효소의 저해
가용성 CD73 효소 활성의 측정을 위해, 재조합 CD73은 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카탈로그 번호 5795-EN-010로부터 얻었다. 시험 화합물의 연속 희석물을 반응 완충제(25mM Tris HCl pH7.5, 5mM MgCl2, 50mM NaCl, 0.25mM DTT, 0.005% Triton X-100)에서 재조합 CD73 및 AMP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최종 반응 용적은 25㎕였고, 재조합 CD73 및 AMP의 최종 농도는 각각 0.5nM 및 50μM이었다. 반응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진행시킨 후에 100㎕의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Cell Signaling Technology), 카탈로그 번호 12776)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 후에, 630㎚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광도계 상에서 결정하였다. 인산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무기 인산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분석 2: 시험관내 CD73 효소의 저해
가용성 CD73 효소 활성의 측정을 위해, 재조합 CD73을 알앤디 시스템즈, 카탈로그 번호 5795-EN-010으로부터 얻었다. 시험 화합물의 연속 희석물을 반응 완충제(25mM Tris HCl pH7.5, 5mM MgCl2, 50mM NaCl, 0.25mM DTT, 0.005% Triton X-100)에서 재조합 CD73 및 AMP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최종 반응 용적은 25㎕였고, 재조합 CD73 및 AMP의 최종 농도는 각각 0.05nM 및 50μM이었다. 반응을 37℃에서 1시간 동안 진행시킨 후에, 100㎕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셀 시그널링 테크놀로지, 카탈로그 번호 12776)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5분 후에, 630㎚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분광광도계 상에서 결정하였다. 인산염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무기 인산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분석 둘 다에 대한 IC50 데이터를 이하의 표 2에 제공한다. ND는 결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267
Figure pct00268
Figure pct00269
Figure pct00270
Figure pct00271
Figure pct00272
Figure pct00273
Figure pct00274
Figure pct00275
Figure pct00276
Figure pct00277
Figure pct00278
Figure pct00279
Figure pct00280
Figure pct00281
Figure pct00282
Figure pct00283
Figure pct00284
Figure pct00285
Figure pct00286
Figure pct00287
Figure pct00288
Figure pct00289
Figure pct00290
Figure pct00291
Figure pct00292
Figure pct00293
Figure pct00294
Figure pct00295
Figure pct00296
Figure pct00297
Figure pct00298
Figure pct00299
Figure pct00300
Figure pct00301
Figure pct00302
Figure pct00303
Figure pct00304
Figure pct00305
Figure pct00306
실시예 207
CD73 저해제에 의한 종양-연관 면역 반응의 활성화
EG7 세포를 C57BL/6 마우스에 피하로 이식하였다. 화합물 9(5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그룹당 N=10). 종양을 제14일에 절개하고, 유세포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화합물 9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45+ 세포의 CD8+ 세포%를 증가시켰다(*는 p<0.05를 나타냄). EG7 세포를 C57BL/6 마우스에 피하 이식하였다. 항-CD8 항체를 -제1일, 제0일, 제5일 및 제10일에 i.p.로 투약하였다. 화합물 9(50㎎/kg) 또는 비히클을 제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약하였다. 도 1b는 CD8+ T 세포의 고갈이 효능을 반전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화합물 9 + 항-CD8에 대한 p<0.0001를 나타낸다). 화합물 9 단독은 항 화합물 9와 -CD8 항체의 조합물보다 더 많은 종양 용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08
CD73 저해제를 이용하는 CD8+ T 세포의 AMP-매개 억제의 반전
인간 CD8+ T 세포를 CellTrace CFSE로 표지하고, 이어서, 아데노신 탈아미나제 저해제 및 화합물 9 EH는 비히클과 함께 20분 동안 사전 인큐베이션시켰다. T 세포 증식 및 CD25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20μM의 AMP를 첨가하였다. 사이토카인 생산을 평가하기 위해 10μM의 AMP를 첨가하였다. T 세포를 α-CD3, α-CD28 및 hIL2로 활성화시켰다. 4일 후에, 유세포 분석에 의해 증식 및 CD25 발현을 평가하고, ELISA에 의해 상청액 내 사이토카인 수준을 측정하였다. 4모수 용량-반응 곡선식을 이용하여 EC50을 결정하였다. 도 2A는 CD8+ T 세포 증식에 대한 EC50=11.6nM을 도시한다. 도 2B는 CD8+ T 세포 활성화에 대한 EC50=9.6nM을 도시한다. 도 2C는 IFNy 생산에 대한 EC50=4.5nM을 도시한다. 도 2D는 그랜자임 B 생산에 대한 EC50=5.6nM을 도시한다.
실시예 209
CD73 저해제의 선택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CD73에 선택적이며, 증식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화합물 9를 이용하여, 인간 CD39 및 Kinase-Glo를 발현시키는 K562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표면 CD39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말라카이트 그린 분석을 이용하여 재조합 인간 ENTPD2 및 ENTPD3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효소 CD39, ENTPD2 및 ENTPD3은 모두 10,000nM 초과의 IC50을 나타내었다. 유로핀 안전성 선별 패널(Eurofins Safety Screen Panel) 및 유로핀 익스프레스 다양성 키나제 프로파일 패널(Eurofins Express Diversity Kinase Profile Panel)에서 화합물 9를 선별하였다. 안전성 패널에서, 1/87 표적은 10μM의 화합물 9에서 50% 초과로 저해하였다. PDE3 효소는 59%로 저해하였다. 키나제 패널에서, 45개의 표적 중 어느 것도 50% 초과로 저해하지 못하였다.
추가로, 화합물 9는 3가지 세포주에 대해 항증식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3일 후에 CellTiter-Glo를 이용하여 100μM 화합물 9로 처리한 EG7 및 A375 세포의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CellTrace CFSE 세포 증식 키트를 이용하여 100μM 화합물 9에 의한 처리의 4일 후에 유세포분석에 의해 인간 CD8+ T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도 3A는 마우스 T 세포 림프종 세포주인 EG7 세포와 비슷한 세포 생존%를 나타낸다. 도 3B는 인간 흑색종 세포주인 A375 세포와 비슷한 세포 생존%를 나타낸다. 도 3C는 인간 CD8+ T 세포와 비슷한 분열 세포%를 나타낸다.
실시예 210
CD73 저해
말라카이트 그린 분석을 이용하여 재조합 CD73 및 CD73-발현 SK-MEL-28 세포에 대한 화합물 9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15N5-AMP의 15N5-ADO로의 전환을 평가하기 위해 LC/MS를 이용하여 혈장 내 CD73의 저해를 측정하였다. 도 4a는 인간과 마우스 공급원 둘 다로부터의 CD73 세포의 나노몰 저해를 나타낸다. 도 4b는 인간 재조합 CD73 세포에 대해 IC50=0.17nM을 도시한다. 도 4c는 인간 혈장 CD73 세포에 대해 IC50=0.38nM을 도시한다. 15N5-AMP의 15N5-ADO로의 전환을 평가하기 위해 LC/MS를 이용하여 혈장 내 CD73의 저해를 측정하였다. 도 4d는 인간 CD73 세포 표면에 대한 IC50=0.21nM을 도시한다.
실시예 211
CD73 저해제 경구 투약 약력학
단일 용량의 화합물 9(50㎎/kg)을 마우스에 경구로 투여하였고, 표시된 시점에 혈장을 수집하였다. LC/MS에 의해 화합물 9 수준을 측정하였다. 마우스 혈장에서의 IC50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nM이었다. 투약 후 2시간에 마우스로부터 혈장을 채취하고, 15N5-AMP 및 TNAP 저해제와 섞었다. LC/MS에 의해 15N5-ADO 수준을 측정하였다. 도 5b는 마우스 혈장 CD73 세포의 92% 저해를 도시한다.
실시예 212
경구 투여한 CD73 저해제의 단일 제제 효능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며,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하나의 모델에서, EG7 세포를 C57BL/6 마우스에 피하로 이식하였다. 화합물 9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그룹당 N=10). 도 6a는 화합물 9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른 종양 용적의 추가적인 감소를 도시한다. 다른 모델에서, EG7 세포는 C57BL/6 마우스에 피하로 주입하였다. 화합물 9는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100㎎/kg)(그룹당 N=10).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N=20), 마우스를 종양 용적에 따라 2개의 그룹으로 무작위화하는 시점인 이식 후 5일까지 BID로 비히클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화합물 9(10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6일에 시작해서 그룹당 N=10에 대해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13a는 마우스 보유 확립 종양에 대한 화합물 9의 투여에 의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도 13b 내지 도 13d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복제를 나타낸다. 도 13b는 비히클이다. 도 13c는 제1일에 시작한 화합물 9의 투약이다. 도 13d는 제6일에 시작한 화합물 9이다. 다른 모델에서, CT26 세포를 Balb/c 마우스에 피하 이식하였다. 100㎎/kg 화합물 9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그룹당 N=10). 도 6b는 비히클에 비해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는 비히클에 대한 p<0.0001을 나타내고; NS는 유의하지 않음을 나타냄(이원 ANOVA).
실시예 213
면역항암제 및 화학치료제와 병용한 CD73 저해제의 효능
각각의 실험에 대해 C57BL/6 마우스에 EG7 세포를 피하로 이식하였다. 연구 제3일, 제5일, 제7일, 제9일, 제11일, 제13일에 항-PD-L1 항체(5㎎/kg)를 i.p.로 투약하였다. 화합물 9(10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7a는 단일 제제 및 병용 요법에 의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는 p<0.01를 나타낸고; ****는 p<0.0001을 나타냄(이원 ANOVA). 도 7b 내지 도 7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반복을 나타낸다. 도 7b는 비히클이고, 도 7c는 항-PD-L1 항체이며, 도 7d는 화합물 9이고, 도 7e는 화합물 9 + 항-PD-L1이다.
옥살리플라틴을 연구 제7일 및 제14일에 i.p. 6㎎/kg로 투약하였다. 화합물 9(10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8a는 단일 제제 및 병용 요법에 의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는 p<0.0001을 나타낸다(이원 ANOVA). 도 8b 내지 도 8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복제를 나타낸다. 도 8b는 비히클이고, 도 8c는 옥살리플라틴이며, 도 8d는 화합물 9이고, 도 8e는 화합물 9 + 옥살리플라틴이다.
독소루비신은 연구 제7일 및 제14일에 i.v. 2.5㎎/kg으로 투약하였다. 화합물 9(5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9a는 단일 제제 및 병용 요법에 의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는 p<0.05를 나타내고; ***는 p<0.001을 나타낸다(이원 ANOVA). 도 9b 내지 도 9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반복을 나타낸다. 도 9b는 비히클이고, 도 9c는 독소루비신이며, 도 9d는 화합물 9이고, 도 9e는 화합물 9 + 독소루비신이다.
도세탁셀을 연구 제5일, 제12일 및 제19일에 i.p. 5㎎/kg으로 투약하였다. 화합물 9(100㎎/kg) 또는 비히클을 이식 후 1일에 시작해서 BID로 경구 투여하였다. 도 12a는 단일 제제 및 병용 요법에 의한 종양 용적의 감소를 도시한다. *는 p<0.05를 나타내고; ****는 p<0.0001을 나타내고(이원 ANOVA). 도 12b 내지 도 10E는 각각의 투약에 대한 이 측정의 개개 반복을 나타낸다. 도 12b는 비히클이고, 도 12C는 도세탁셀이며, 도 12D는 화합물 9이고, 도 12e는 화합물 9 + 도세탁셀이다.
실시예 214
다발성 종양에서의 CD73 저해제 효능
디스커버리 라이프 사이언시즈(Discovery Life Sciences)로부터 혈액을 구입하였다. 두경부 편평세포암종(HNSCC), 난소암, 삼중-음성 유방암 및 식도암 환자로부터의 혈청을 TNAP 저해제의 존재 하에 화합물 9의 연속 희석물과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15N5-AMP의 15N5-ADO로의 전환을 LC/MS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10A는 HNSCC 혈청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다. 도 10B는 난소암 혈청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다. 도 10C는 TNBC 혈청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다. 도 10D 식도암 혈청의 서브-나노몰 저해를 도시한다.
실시예 215
다발성 인간 종양에서의 CD73의 발현
도 11은 종양 및 정상 조직에서 CD73의 정규화된 mRNA 발현 수준을 도시한다. CD73(NT5E)의 발현 수준을 UCSC 제나(Xena) 플랫폼을 이용하여 TCGA(종양) 또는 GTEX(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었고, 독립표본 t-검정(unpaired t-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og2(정규화된 계수 +1)에 의해 측정한 바와 같은 CD73의 발현은 췌장, 식도, 위, 두경부, 결장, 폐 및 신장 투명세포 종양에 대해 비히클보다 더 컸다.
참조에 의한 원용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각각의 개개 간행물 또는 특허가 참조에 의해 원용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이들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상충되는 경우에, 본 명세서의 임의의 정의를 포함하는 본 출원으로 조절할 것이다.
균등론
대상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를 논의하였지만, 상기 명세서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은 본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범위를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완전한 범주는 청구범위를 이들의 완전한 균등론 범주와 함께, 그리고 본 명세서를 이러한 변형과 함께 참조로 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92)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프로드러그:
    Figure pct00307

    식 중,
    Y는
    Figure pct00308
    이고;
    Het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R1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O-C(O)-O-C1-6알킬, C1-6아실옥시,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1b는 H, 할로,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2a는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아실옥시, -O-C(O)-O-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2b 할로, 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3은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H, 알킬, CN, 아릴, 헤테로아릴, -C(O)OR9, -C(O)NR11R12, -S(O)2R10, -P(O)(OR11)(OR12) 및 -P(O)(OR11)(NR13R14)로부터 선택되며;
    R5는 H, 사이아노,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및 -C(O)OR9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O)OR9, -C(O)NR16R17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며;
    R9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11 및 R12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13은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며;
    R14는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각각의 R15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실옥시 및 NR13R1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R16 및 R17은 H, 하이드록시,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6 및 R17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a) 및 b); 또는 a) 및 c)인, 화합물:
    a) 상기 화합물은
    Figure pct00309

    Figure pct00310
    이 아니고;
    b) R4 및 R6이 각각 -C(O)OH이고, R5가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라면, 상기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롤리딘일, 피페라지논일,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c) R4가 -C(O)OH 또는 테트라졸릴이고, R6이 -C(O)OH이며, R5가 상기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를 갖는다면, 상기 벤질 페닐 고리 또는 상기 두 번째 페닐 고리 중 하나는 -C(O)OR9로 치환되며, R9는 H 또는 알킬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1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A)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2
    .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는 β-입체배치인, 화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B)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3
    .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α-입체배치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C)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4
    .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β-입체배치인, 화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D)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5
    .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E)를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16
    .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아릴 및 아릴로부터 선택되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 상에서 파라 치환체를 갖는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이며; 그리고
    R2b는 메틸, 에틸 또는 C2-6알킨일인,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Figure pct00317
    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H,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R5에서 각각의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미노, 아미도,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R5에서 각각의 상기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 상의 상기 치환체는 할로, 할로알킬, 알콕시, 아미노, 카보닐,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7.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상기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파라 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이되, 예를 들어,
    상기 페닐 고리 치환체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피페라지논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또는 피리딜은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는, 화합물.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Figure pct00318

    Figure pct00319
    를 갖는 상기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4-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인, 화합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20

    Figure pct00321

    Figure pct00322

    Figure pct00323

    Figure pct00324

    Figure pct00325

    Figure pct00326
    를 나타내는, 화합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Figure pct00327
    인, 화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R15는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28

    Figure pct00329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3.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30
    이되,
    Z는 CH 또는 N이고;
    R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페닐, -NR7R8, 아르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H, Cl, -NR7R8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며;
    Rb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하이드록시알킬, 알킬티오, 아미도, 카보닐, 아미도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하이드록시,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R8은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
  24. 제23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31
    인, 화합물.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Ra는 H, 할로, 알킬, 티엔일, -NR7R8,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H, Cl, -NR7R8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b는 할로,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할로알킬, 아미도, 카보닐, 아미도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은 H,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28.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프로드러그:
    Figure pct00332

    식 중,
    Het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O-C(O)-O-C1-6알킬, C1-6아실옥시,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1b는 H, 할로,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2a는 할로,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아지도, 아미노, C1-6알킬, 하이드록시-C1-6알킬, 아미노-C1-6알킬, C1-6아실옥시, -O-C(O)-O-C1-6알킬, C1-6알콕시,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R2b는 H, 할로, C1-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및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O)OR9, -C(O)NR11R12, -S(O)2R10, -P(O)(OR11)(OR12) 및 -P(O)(OR11)(NR13R14)로부터 선택되며;
    R5는 H, 사이아노, 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및 -C(O)OR9로부터 선택되고;
    R6은 -C(O)OR9, -C(O)NR11R12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며;
    R9는 H, 알킬, 알켄일, 알킨일,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10은 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그리고
    각각의 R11 및 R12는 H, 알킬,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알킬, 헤테로사이클릴, 헤테로사이클릴알킬, 아릴, 아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고;
    R13은 H 또는 알킬이며; 그리고
    R14는 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단, a), b) 및 c); 또는 a), b) 및 d)의 경우,
    a) 화합물은
    Figure pct00333

    Figure pct00334
    이 아니고; 그리고
    b) R2b는 할로, C2-6알킬, C2-6알켄일 및 C2-6알킨일,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알킨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2알킨일로부터 선택되며,
    c) R4 및 R6이 각각 -C(O)OH이고, R5가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라면, 상기 페닐 고리 치환체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d) R4가 -C(O)OH 또는 테트라졸릴이고, R6이 -C(O)OH이며, R5가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면서 두 번째 페닐 고리를 갖는다면, 상기 벤질 페닐 고리 또는 두 번째 페닐 고리 중 하나는 -C(O)OR9로 치환되며, 여기서 R9는 H 또는 알킬이다.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는 H 또는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b는 H 또는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31.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 및 R2a는 각각 하이드록시인, 화합물.
  32.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는 하이드록시이고, R1b는 H인, 화합물.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하이드록시 또는 C1-6알킬인, 화합물.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b는 C2-6알킬, C2-6알켄일 또는 C2-6알킨일인, 화합물.
  35.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Me이고, R2b는 에틴일인, 화합물.
  36.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하이드록시이고, R2b는 에틸 또는 비닐인, 화합물.
  37.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하이드록시이고, R2b는 에틴일인, 화합물.
  38. 제34항에 있어서, R2b는 프로핀일, 뷰틴일,
    Figure pct00335
    또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된
    Figure pct00336
    인, 화합물.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37
    .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는 α-입체배치인, 화합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Aa)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38
    .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a는 β-입체배치인, 화합물.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B)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39
    .
  44.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α-입체배치인, 화합물.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Ca)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40
    .
  46. 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a는 β-입체배치인, 화합물.
  47. 제46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Da)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41
    .
  48.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IIEa)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342
    .
  49.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H인, 화합물.
  50.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C(O)OR9, -C(O)NR11R12, -S(O)2R10 및 -P(O)(OR11)(OR12)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1. 제50항에 있어서, R4는 -C(O)OR9이고, R9는 H 또는 알킬인, 화합물.
  52. 제50항에 있어서, R4는 -C(O)NR11R12인, 화합물.
  53. 제52항에 있어서, 각각의 R11 및 R12는 H 및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R11 및 R12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을 형성하는, 화합물.
  54. 제50항에 있어서, R4는 -S(O)2R10이고, R10은 알킬 또는 아릴인, 화합물.
  55. 제28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H,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6. 제55항에 있어서, R5에서 각각의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미노, 아미도,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화합물.
  57. 제56항에 있어서, R5에서 상기 알킬, 아르알킬 및 헤테로아르알킬 상의 상기 치환체는 할로, 할로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8. 제56항에 있어서, R5는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을 갖는 상기 아릴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파라 위치에서) 치환되는 아르알킬인, 화합물.
  59. 제28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는 H, 메틸, 에틸, -CH2-에틴일 및 -CH2-비닐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60. 제55항에 있어서, R5는 벤질, -CH2-피리딜, -CH2-피리다진일, -CH2-옥사졸릴, -CH2-티오페닐, -CH2-퓨란일, -CH2-티아졸릴 및 -CH2-벤조티아졸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벤질 및 -CH2-티오페닐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61. 제55항에 있어서, R5는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 치환체를 갖는 상기 페닐 고리 상에서 치환된 벤질이되, 예를 들어,
    상기 페닐 고리 치환체는 치환된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및 피리딜로부터 선택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피페리돈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돈일, 피리돈일 또는 피리딜은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중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는, 화합물.
  62. 제61항에 있어서, R5
    Figure pct00343

    Figure pct00344
    를 갖는 상기 페닐 고리 상에서(예를 들어, 상기 4-위치에서) 치환된 벤질인, 화합물.
  63. 제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은 -C(O)OR9이고, R9는 H 또는 알킬인, 화합물.
  64. 제1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은 -C(O)NR16R17인, 화합물.
  65. 제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및 R6은 각각 -C(O)OH이며, 바람직하게는 R5는 벤질인, 화합물.
  66. 제28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igure pct00345

    Figure pct00346

    Figure pct00347

    Figure pct00348

    Figure pct00349

    Figure pct00350
    를 나타내는, 화합물.
  67. 제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9는 H 또는 C1-6알킬인, 화합물.
  68. 제28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et는 6- 내지 10-원 아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단환식 또는 5-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카보닐, 아미노, 아미도, 알킬티오, 알콕시카보닐,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화합물.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Het 치환체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아미노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70. 제68항에 있어서, Het는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71. 제68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51
    인, 화합물.
  72. 제1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52
    이되, Z는 CH 또는 N이고;
    Ra는 H, 할로, 하이드록시, 알킬, 티오페닐, -NR7R8, 아릴 및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H, Cl, -NR7R8 및 페닐로부터 선택되며;
    Rb는 할로, 알킬, 할로알킬, 아미도, 카보닐, 아미도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7은 H, 알킬, 아르알킬, 헤테로아르알킬,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릴로부터 선택되며; 그리고
    R8은 H 또는 알킬이거나; 또는
    R7 및 R8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4-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
  73. 제72항에 있어서, Z는 CH인, 화합물.
  74. 제72항에 있어서, Z는 N인, 화합물.
  75.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a는 -NR7R8인, 화합물.
  76. 제72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b는 Cl, -CF3, 카보닐 및 -CONH2인, 화합물.
  77. 제72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et는
    Figure pct00353
    인, 화합물.
  78. 제72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은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이며, 상기 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릴, 아미노 및 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는, 화합물.
  79. 제74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은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이며, 상기 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르알킬은 비치환되거나 또는 할로 또는 알킬로 치환되는, 화합물.
  80. 제74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8은 H, 메틸 및 에틸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81. 제74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7 및 R8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아제티딘일, 몰폴리노, 피롤리딘일 및 아제판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사이클릴 고리를 형성하는, 화합물.
  82.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354

    Figure pct00355

    Figure pct00356

    Figure pct00357

    Figure pct00358

    Figure pct00359

    Figure pct00360

    Figure pct00361

    Figure pct00362

    Figure pct00363

    Figure pct00364

    Figure pct00365

    Figure pct00366

    Figure pct00367

    Figure pct00368

    Figure pct00369

    Figure pct00370

    Figure pct00371

    Figure pct00372

    Figure pct00373

    Figure pct00374

    Figure pct00375

    Figure pct00376

    Figure pct00377

    Figure pct00378

    Figure pct00379

    Figure pct00380

    Figure pct00381

    Figure pct00382

    Figure pct00383

    Figure pct00384

    Figure pct00385

    Figure pct00386

    Figure pct00387

    Figure pct00388

    Figure pct00389
    .
  83. 제1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4. 세포에서 CD73을 저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세포를 제1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5. 암, 뇌 및 심장 허혈성 질환, 섬유증, 면역 및 염증성 장애, 염증성 위장 운동 장애, 신경학적, 신경퇴행성 및 CNS 장애 및 질환, 우울증, 파킨슨병 및 수면 장애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방광암, 골암, 뇌암, 유방암, 심장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결장직장암, 식도암, 섬유육종, 위암, 위장암, 두경부암, 카포시 육종, 신장암, 백혈병, 간암, 폐암, 림프종, 흑색종, 골수종, 난소암, 췌장암, 음경암, 전립선암종, 고환 생식세포 암, 흉선종 및 흉선암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방법.
  87. 제85항 또는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뇌암, 결장암, 섬유육종, 신장암, 폐암, 흑색종, 난소암, 및 전립선암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방법.
  88. 제85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인, 치료 방법.
  89. 제85항 내지 제8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를 공동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료 방법.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는 1-아미노-4-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애시드 블루 25), 1-아미노-4-[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아미노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1-나프틸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플루오로-2-카복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2-안트라센일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ABT-263, 아파티닙 디말레에이트, 악시티닙,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 암사크린, 아나스트로졸, APCP, 아스파라기나제, AZD5363, 바실러스 칼메트-구에린 백신(
    Figure pct00390
    : bcg), 비칼루타마이드, 블레오마이신, 보르테조밉, β-메틸렌-ADP(AOPCP), 부세렐린, 부설판,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 캄포테신, 카페시타빈, 카보플라틴, 카필조밉, 카무스틴, 세리티닙, 클로람부실, 클로로퀸, 시스플라틴, 클라드리빈, 클로드로네이트, 코비메티닙, 콜히친, 크리조티닙,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사이프로테론, 사이타라빈, 다카바진, 닥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데메톡시비리딘, 덱사메타손, 디클로로아세테이트, 디엔스트롤,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에리불린, 엘로티닙,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라무스틴, 에토포사이드, 에베롤리무스, 엑스메스탄, 필그라스팀, 플루다라빈,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오로우라실, 플루옥시메스테론, 플루타미드, 게피티닙, 겜시타빈, 제니스테인, 고세렐린, GSK1120212, 하이드록시유레아, 이다루비신, 이포스파마이드, 이마티닙, 인터페론, 이리노테칸, 익사베필론, 레날리도마이드, 레트로졸, 류코보린, 류프롤라이드, 레바미솔, 로무스틴, 로니다민, 메클로레타민,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메게스트롤, 멜팔란, 머캅토퓨린, 메스나, 메트포민, 메토트렉세이트, 밀테포신, 미토마이신, 미토탄, 미톡산트론, MK-2206, 뮤타마이신, N-(4-설파모일 페닐카바모티오일) 피발아마이드, NF279, NF449, 닐루타미드, 노코다졸, 옥트레오타이드, 올라파립,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미드로네이트, 파조파닙, 페멕세트레드, 펜토스타틴, 페리포신, PF-04691502, 플리카마이신, 포말리도마이드, 포르피머, PPADS, 프로카바진, 쿼세틴, 랄티트렉세드, 라무시루맙, 리액티브 블루 2, 리툭시맙, 롤로필린, 로미뎁신, 루카파립, 셀루메티닙, 시롤리무스, 소듐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포네이트, 소라페닙, 스트렙토조신, 수니티닙, 슈라민, 탈라조파립, 타목시펜,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테니포사이드, 테스토스테론, 탈리도마이드,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티타노센 디클로라이드, 토나포필린, 토포테칸,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레티노인, 벨리파립,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및 보리노스타트(SAHA)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방법.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는 1-아미노-4-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애시드 블루 25), 1-아미노-4-[4-하이드록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아미노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1-나프틸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4-플루오로-2-카복시페닐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1-아미노-4-[2-안트라센일 아미노]-9,10-다이옥소-9,10-다이하이드로안트라센-2-설포네이트, APCP, β-메틸렌-ADP(AOPCP), 카페시타빈, 클라드리빈, 사이타라빈, 플루다라빈, 독소루비신, 겜시타빈, N-(4-설파모일페닐카바모티오일) 피발아마이드, NF279, NF449, PPADS, 쿼세틴, 리액티브 블루 2, 롤로필린 나트륨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포네이트, 수마린, 및 토나포필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 방법.
  92.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화학치료제는 면역항암제(immuno-oncology agent)인, 치료 방법.
KR1020217001701A 2018-06-21 2019-06-20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10024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88225P 2018-06-21 2018-06-21
US62/688,225 2018-06-21
US201962827505P 2019-04-01 2019-04-01
US62/827,505 2019-04-01
PCT/US2019/038245 WO2019246403A1 (en) 2018-06-21 2019-06-20 Ectonucleotid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561A true KR20210024561A (ko) 2021-03-05

Family

ID=6898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01A KR20210024561A (ko) 2018-06-21 2019-06-20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저해제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1078228B2 (ko)
EP (1) EP3810617A4 (ko)
JP (1) JP2021529172A (ko)
KR (1) KR20210024561A (ko)
CN (1) CN112888696B (ko)
AU (1) AU2019288495B2 (ko)
BR (1) BR112020025132B1 (ko)
CA (1) CA3104088A1 (ko)
CL (1) CL2020003339A1 (ko)
CO (1) CO2021000049A2 (ko)
IL (1) IL279475A (ko)
MX (1) MX2020013320A (ko)
PH (1) PH12020552214A1 (ko)
SG (1) SG11202012001YA (ko)
TW (1) TW202010750A (ko)
WO (1) WO2019246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12327A2 (pt) * 2016-12-22 2019-11-19 Calithera Biosciences Inc inibidores de ectonucleotidase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WO2018208980A1 (en) 2017-05-10 2018-11-15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US11377469B2 (en) 2017-11-03 2022-07-05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EP3787635A4 (en) 2018-04-30 2022-03-02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CN112888696B (zh) 2018-06-21 2024-04-16 德琪医疗有限公司 外核苷酸酶抑制剂及其使用方法
TWI821559B (zh) * 2019-04-28 2023-11-11 大陸商上海和譽生物醫藥科技有限公司 一種cd73抑制劑,其製備方法和應用
KR20220024629A (ko) * 2019-06-20 2022-03-03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억제제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53726B1 (ko) 2019-10-30 2024-04-01 오릭 파마슈티칼스, 인크. Cd73 억제제
WO2023201267A1 (en) 2022-04-13 2023-10-19 Gilead Sciences, Inc.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trop-2 expressing cancers
CN115873049B (zh) * 2023-02-13 2023-05-02 北京先通国际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腺苷的制备方法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5422B2 (en) 1991-04-24 1994-01-13 Yamasa Shoyu Kabushiki Kaisha 1-beta-D-arabinofuranosyl-(E)-5-(2-halogenovinyl)-uracil derivative
WO1994010128A1 (en) 1992-11-02 1994-05-11 Affymax Technologies N.V. Novel photoreactive protecting groups
US5635608A (en) 1994-11-08 1997-06-03 Molecular Probes, Inc. α-carboxy caged compounds
TW528755B (en) 1996-12-24 2003-04-21 Glaxo Group Ltd 2-(purin-9-yl)-tetrahydrofuran-3,4-diol derivatives
NL1005244C2 (nl) 1997-02-10 1998-08-18 Inst Voor Agrotech Onderzoek Oppervlakte-actieve aminen en glycosiden.
WO2004096233A2 (en) 2003-04-25 2004-11-11 Gilead Sciences, Inc. Nucleoside phosphonate conjugates
EP1860113A1 (en) 2006-05-24 2007-11-28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Ectonucleotidase inhibitors
EP2040712B1 (en) 2006-07-18 2011-03-02 Anadys Pharmaceuticals, Inc. Carbonate and carbamate prodrugs of thiazolo [4,5-d] pyrimidines
CA2705092A1 (en) 2007-11-07 2009-05-14 Schering Corporation Novel modulators of cell cycle checkpoints and their use in combination with checkpoint kinase inhibitors
EP2070938A1 (en) * 2007-12-13 2009-06-17 Heidelberg Pharma AG Clofarabine dietherphospholipid derivatives
CA2684017A1 (en) 2009-10-22 2011-04-22 Universite Laval Ectonucleotidase pyrophosphate/phosphodiesterase-1 (enpp-1) as a target for the treatment of aortic valve stenosis and cardiovascular calcification
US9725479B2 (en) 2010-04-22 2017-08-08 Ionis Pharmaceuticals, Inc. 5′-end derivatives
EP2590958B1 (en) 2010-07-08 2015-08-26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In situ chemiluminescent substrates and assays
CN102311472B (zh) 2010-07-09 2014-09-03 神隆(昆山)生化科技有限公司 2-氯-9-(2’-脱氧-2’-氟-β-D-阿拉伯呋喃糖基)-腺嘌呤的制备
KR101960113B1 (ko) 2011-05-03 2019-03-19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섬광 및 백열광 1,2-디옥세탄들
MX366629B (es) * 2011-07-15 2019-07-17 Boehringer Ingelheim Int Quinazolinas sustituidas, su preparación y su uso en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GB201220843D0 (en) 2012-11-20 2013-01-02 Univ College Cork Nat Univ Ie Compound
MA39986A (fr) 2014-04-25 2017-03-01 Vitae Pharmaceuticals Inc Dérivés de purine en tant qu'inhibiteurs de cd73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CN106463125B (zh) * 2014-04-25 2020-09-15 杜比实验室特许公司 基于空间元数据的音频分割
WO2017066782A1 (en) 2015-10-16 2017-04-20 Modernatx, Inc. Hydrophobic mrna cap analogs
WO2017066781A1 (en) 2015-10-16 2017-04-20 Modernatx, Inc. Mrna cap analogs with modified phosphate linkage
WO2017066791A1 (en) 2015-10-16 2017-04-20 Modernatx, Inc. Sugar substituted mrna cap analogs
US10611790B2 (en) 2015-11-02 2020-04-07 Mitobridge, Inc. Nicotinamide riboside and nicotinamide mononucleotide derivatives for use in the treatments of mitochondrial-related diseases
MA52157A (fr) * 2015-12-03 2021-02-17 Glaxosmithkline Ip Dev Ltd Dinucléotides cycliques de purine utilisés comme modulateurs de sting
JP7125144B2 (ja) * 2016-09-09 2022-08-24 キャリセラ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クトヌクレオチダ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BR112019012327A2 (pt) * 2016-12-22 2019-11-19 Calithera Biosciences Inc inibidores de ectonucleotidase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WO2018208727A1 (en) * 2017-05-08 2018-11-15 Eternity Bioscience Inc. Nucleoside and nucleotide analogues as cd73 inhibitor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8208980A1 (en) * 2017-05-10 2018-11-15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CN109503587B (zh) * 2017-09-14 2022-01-11 辽宁利锋科技开发有限公司 双杂环三氮唑核苷类似物的抗肿瘤作用与应用
US11377469B2 (en) * 2017-11-03 2022-07-05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EP3787635A4 (en) * 2018-04-30 2022-03-02 Oric Pharmaceuticals, Inc. CD73 INHIBITORS
TW202017569A (zh) * 2018-05-31 2020-05-16 美商佩樂敦治療公司 用於抑制cd73之組合物及方法
CN112888696B (zh) 2018-06-21 2024-04-16 德琪医疗有限公司 外核苷酸酶抑制剂及其使用方法
KR20220024629A (ko) 2019-06-20 2022-03-03 칼리테라 바이오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억제제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04088A1 (en) 2019-12-26
CL2020003339A1 (es) 2021-06-25
US20230022922A1 (en) 2023-01-26
US20190389899A1 (en) 2019-12-26
EP3810617A4 (en) 2022-06-29
BR112020025132A2 (pt) 2021-03-23
CN112888696A (zh) 2021-06-01
AU2019288495B2 (en) 2024-02-08
WO2019246403A1 (en) 2019-12-26
US11078228B2 (en) 2021-08-03
US11858957B2 (en) 2024-01-02
MX2020013320A (es) 2021-02-22
AU2019288495A1 (en) 2021-01-28
EP3810617A1 (en) 2021-04-28
CO2021000049A2 (es) 2021-04-19
JP2021529172A (ja) 2021-10-28
CN112888696B (zh) 2024-04-16
SG11202012001YA (en) 2021-01-28
IL279475A (en) 2021-01-31
PH12020552214A1 (en) 2021-08-16
BR112020025132B1 (pt) 2023-10-10
TW202010750A (zh)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8957B2 (en) Ectonucleotid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638592B1 (ko) 엑토뉴클레오티다제 억제제 및 이의 용도
JP6867395B2 (ja) Sting活性と関連のある症状、例えば癌を治療するための環状ジヌクレオチド
TWI767937B (zh) 外核苷酸酶抑制劑及其使用方法
US11685761B2 (en) Cyclic di-nucleotide compounds as sting agonists
JP7317014B2 (ja) Stingアゴニストとしての環状ジヌクレオチド
US20240132533A1 (en) Ectonucleotid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NZ790347A (en) Ectonucleotid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A046381B1 (ru) Ингибиторы эктонуклеотидаз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20120124383A (ko) 신규한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네이트 및 유사체
EA039042B1 (ru) Ингибиторы эктонуклеотидаз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