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2580A -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2580A
KR20210022580A KR1020207036813A KR20207036813A KR20210022580A KR 20210022580 A KR20210022580 A KR 20210022580A KR 1020207036813 A KR1020207036813 A KR 1020207036813A KR 20207036813 A KR20207036813 A KR 20207036813A KR 20210022580 A KR20210022580 A KR 2021002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code
compan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키 마츠다
마사키 쿠니쿄
쇼우지 후지와라
슌스케 후지와라
šœ스케 후지와라
치즈루 오데아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에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며,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자 단말을 포인트 카드에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사용자가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경우, 거래에 대한 실제 매장에의 보상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56704호 공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는 처리와,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해서 코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는 연계부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처리 시퀀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바코드 관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사용자 관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단말에서의 바코드 및 유효 기간의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단말에 표시되는 바코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상품 관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영수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판매 관리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한 바코드 번호에 관련된 제어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한 특전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광고 집계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관한 광고 집계 데이터에 기초하는 리포트의 작성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a는 실시형태에 관한 리포트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실시형태에 관한 리포트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법적 사항의 준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 내용은 통신 비밀 등의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실시국의 법적 사항 준수를 전제로 하는 것임을 유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처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은 네트워크(30)를 거쳐 서버(10)와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과 POS(Point Of Sales) 시스템(50-1, 50-2, …)(이하에서,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POS 시스템(50)」이라 칭함)과 외부 서버(60-1, 60-2, …)(이하에서,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외부 서버(60)」라고 칭함)가 접속된다. 또, 네트워크(30)에 접속되는 단말(20), POS 시스템(50), 외부 서버(60)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30)는 1 이상의 단말(20)과 1 이상의 서버(10)와 1 이상의 POS 시스템(50)과 1 이상의 외부 서버(60)를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네트워크(30)는 단말(20)이 서버(10) 등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30) 중 하나 또는 복수의 부분은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네트워크라도 좋다. 네트워크(3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가상 사설 네트워크(Virtual Private Network: VPN),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LAN(Wireless LAN: W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무선 WAN(Wireless WAN: WWAN), 대도시권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인터넷의 일부,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의 일부, 휴대 전화망,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무선 LAN, LTE(Long Term Evolu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위성 통신 등,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1개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단말(20A), 단말(20B), 단말(20C))은 각 실시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단말이면 어떤 단말이어도 좋다.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스마트폰, 휴대전화(피처폰),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웨어러블 단말(안경형 디바이스, 시계형 디바이스 등),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20)은 정보 처리 단말이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A), 단말(20B) 및 단말(20C)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2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 X가 이용하는 단말을 단말(20X)이라 표현하고, 사용자 X 또는 단말(20X)에 대응지어진, 소정의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정보 X라고 표현한다. 또, 사용자 정보란, 소정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계정에 대응지어진 사용자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소정의 서비스에 의해 부여되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아이콘 화상,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 어드레스, 사용자의 취미 취향, 사용자의 식별자 등의 사용자에게 대응지어진 정보를 포함하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이어도 좋다.
서버(10)는 단말(20)에 대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서버(10)는 각 실시형태에서 기재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라도 좋다. 서버(10)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 장치, 컴퓨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터 플랫폼(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케이블, 위성 셋톱 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소형 컴퓨터 디바이스(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PDA,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 등) 혹은 다른 종류의 컴퓨터,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또한, 서버(10)는 정보 처리 장치로 표현되어도 좋다. 서버(10)와 단말(20)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서버(10)와 단말(20)은 각각 정보 처리 장치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POS 시스템(50)(한정하는 것은 아닌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의 일 예)은, 예를 들면,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기업)와 제휴하고 있는 사업자가 운용하는 POS 시스템이다. POS 시스템(50)은 바코드 판독기(50A)(한정하는 것은 아닌 코드 판독기의 일 예), 레지스터(POS 레지스터, 캐시 레지스터)(50B), 오피스 서버(50C) 등을 구비한다. 바코드 판독기(50A)는 상품의 포장 등의 바코드를 판독한다. 레지스터(50B)는 바코드 판독기(50A)에 의해 판독된 바코드에 따른 상품의 단가를 오피스 서버(50C)에 기억된 상품 관리 데이터(511)로부터 취득하고, 1 이상의 상품의 거래(판매)에서의 합계 금액을 계산하고, 거래 내용을 인쇄한 영수증을 발행하며, 거래 내용을 오피스 서버(50C)의 판매 관리 데이터(512)에 기억시킨다. 오피스 서버(50C)는 판매 관리 데이터(512)에 기억되어 있는 거래 내용 중 서버(10)에 관한 거래 내용을 서버(10)로 통지한다. 또, POS 시스템(50)에서의 바코드 판독기(50A) 및 레지스터(50B)는, 예를 들면, 기존의 실제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것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서버(10)는, 예를 들면, 광고 대리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용하여도 좋다. POS 시스템(50)은, 예를 들면, 의료품, 식료품, 화장품, 금융 상품 등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자가 운용하여도 좋다.
외부 서버(6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30)를 거쳐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20)에, 단말(20) 간의 메시지나 화상 등의 콘텐츠의 송수신을 실현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서버(60)는, 예를 들면, 단말(20)에, 웹 사이트, 검색 사이트, 메일 또는 SNS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POS 시스템(50)이 설치되어 있는 실제 매장에 관한 광고를 배포한다.
<하드웨어(HW) 구성>
도 1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HW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단말의 HW 구성
단말(20)은 제어부(21)(CPU: 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 기억부(28), 통신 I/F(인터페이스)(22), 입출력부(23), 표시부(24)를 구비한다. 또한, 입출력부(23)는 마이크(25), 스피커(26), 카메라(27), 터치 패널(29) 등을 구비하여도 좋다. 단말(2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거쳐 상호 접속된다. 또, 터치 패널(29)은 조작부의 일 예이며, 터치 패널(29)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키보드의 하드웨어 키,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라도 좋다. 또, 단말(20)의 HW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단말(20)은 마이크(25), 카메라(27) 등 개개의 구성 요소나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가지지 않은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거쳐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것으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좋다. 통신 I/F(22)는 네트워크(30)를 거쳐 서버(10)와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I/F(22)는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서버(1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22)는 서버(10)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22)는 비콘(4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한다. 또, 통신 I/F(22)는, 예를 들면, 통신 규격마다 별개의 회로를 구비하여도 좋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통신 I/F(22)는 BLE에 의한 제 1 무선 통신부(제 1 통신 회로)와 LTE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 2 통신부(제 2 통신 회로)를 구비하여도 좋다. 통신 I/F(22)는 제 1 통신부에 의해 비콘(40)과 통신을 행하여, 제 2 통신부에 의해 네트워크(30)를 거쳐 서버(10)와 통신을 행하여도 좋다. 본 구성은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고, 또한 적어도 실시예에 기재한 어떠한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통신 I/F(22)를 단지 통신부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22)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23)는 단말(2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인 입력부 및 단말(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인 출력부를 포함한다. 입출력부(23)는 입력부와 출력부가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입력부와 출력부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21)에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의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부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스피커(음성 출력), 렌즈(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3D(three dimensions) 출력이나 홀로그램 출력),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표시부(24)는 프래임 버퍼에 기입된 표시 데이터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4)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 터치 디스플레이,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DM: Head Mounted Display), 프로젝션 매핑, 홀로그램, 공기 중(진공이어도 좋음) 등으로 화상이나 텍스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 이들의 표시부(24)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다.
입출력부(23)가 터치 패널인 경우, 입출력부(23)와 표시부(24)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어부(2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로 표현되어도 좋다.
제어부(21)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한다.
기억부(28)는 단말(20)이 동작하는 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28)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 각종 기억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기억부(28)는 메모리(memory)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단말(20)은 프로그램(P)을 기억부(28)에 기억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가 제어부(2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부(28)에 기억되는 프로그램(P)은 단말(20)로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마이크(25)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에 이용된다. 스피커(26)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이용된다. 카메라(27)는 동영상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된다.
(2) 서버의 HW 구성
서버(10)는 제어부(11)(CPU), 기억부(15), 통신 I/F(인터페이스)(14), 입출력부(12), 디스플레이(표시부)(13)를 구비한다. 서버(10)의 HW의 각 구성 요소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버스(B)를 거쳐 상호 접속된다. 또, 서버(10)의 HW는 서버(10)의 HW의 구성으로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서버(10)의 HW는 디스플레이(13)를 가지지 않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제어부(11)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고,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1)는 대표적으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고, 그 외에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멀티 프로세서, ASIC, FPGA라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어부(11)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억부(15)는 서버(10)가 동작하는 데 필요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15)는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 각종 기억 매체에 의해 실현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기억부(15)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억부(15)는 메모리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거쳐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당해 통신은, 유선, 무선 중 어느 하나로 실행되어도 좋고,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도 좋다. 통신 I/F(14)는 네트워크(30)를 거쳐 단말(20)과의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I/F(14)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부(11)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단말(2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14)는 단말(20)로부터 송신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통신 I/F(14)를 단지 통신부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신 I/F(14)가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통신 회로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입출력부(12)는 서버(10)에 대한 각종 조작을 입력하는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취하여, 당해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입출력부(12)는 대표적으로는 키보드 등으로 대표되는 하드웨어 키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실현된다. 또, 입출력부(12)는,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터치 패널이나 카메라(동영상을 통한 조작 입력), 마이크(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입출력부(12)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3)는 대표적으로는 모니터(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나 OEL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로 실현된다. 또, 디스플레이(13)는 HDM(Head Mounted Display) 등이어도 좋다. 또, 이들 디스플레이(13)는 3D로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어도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13)는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0)는 프로그램(P)을 기억부(15)에 기억하고, 이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1)가 제어부(11)에 포함되는 각 부분으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기억부(15)에 기억되는 프로그램(P)은, 서버(10)에, 제어부(11)가 실행하는 각 기능을 실현시킨다. 또, POS 시스템(50)의 오피스 서버(50C) 및 외부 서버(60)의 하드웨어 구성은 서버(1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라도 좋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20), 오피스 서버(50C), 외부 서버(60) 및/또는 서버(10)의 CPU가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 단말(20)의 제어부(21) 및/또는 서버(10)의 제어부(11)는 CPU뿐만 아니라,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 칩,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나 전용 회로에 의해 각 처리를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는 1 또는 복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복수의 처리를 하나의 집적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LSI는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VLSI, 슈퍼 LSI, 울트라 LSI 등으로 지칭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21)는 제어 회로라고 표현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의 프로그램(P)(소프트웨어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좋다. 기억 매체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에 프로그램을 기억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적절한 경우, 1개 또는 복수의 반도체 베이스, 또는 다른 집적 회로(IC)(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FPGA나 ASIC 등), HDD, HHD, 광디스크, ODD, 광자기 디스크, 광자기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켓, FDD, 자기 테이프, SSD, RAM 드라이브, 시큐어 디지털 카드 또는 드라이브,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억 매체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적절한 경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기억 매체는 이들의 예로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P)을 기억할 수 있으면, 어떠한 디바이스나 매체라도 좋다. 또한, 기억 매체를 메모리라고 표현하여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P)을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P)은 당해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거쳐, 서버(10) 및/또는 단말(20)에 제공되어도 좋다. 서버(10) 및/또는 단말(20)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인터넷 등을 통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P)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실시형태로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는 프로그램(P)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서버(10), 오피스 서버(50C) 및 외부 서버(60), 및/또는 단말(2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는 1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오피스 서버(50C), 외부 서버(60), 단말(20) 및 외부 서버(60)에서의 처리의 적어도 일부를, 서버(10)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오피스 서버(50C), 외부 서버(60) 및 단말(20)의 제어부(21)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서버(10)로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서버(10), 오피스 서버(50C) 및 외부 서버(60)에서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를 단말(20)에 의해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의 제어부(11), 오피스 서버(50C) 및 외부 서버(60)의 각 기능부의 처리 중 적어도 일부의 처리를 단말(20)로 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판정의 구성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판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소정 처리가 동작되거나, 판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소정 처리가 동작되거나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ActionScript, JavaScript(등록상표) 등의 스크립트 언어, Objective-C, Java(등록상표) 등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HTML5 등의 마크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실장된다. 또, 외부 서버(60)의 하드웨어 구성은 서버(10)의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여도 좋다.
<기능 구성>
(1) 단말의 기능 구성
입출력부(23)는 단말(20)의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수취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한정하는 것은 아닌 일 예로서는, 단말(20)의 터치 패널(29)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을 수취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한다. 제어부(21)는 수취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에 근거하여,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부(24)에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1)는 외부 서버(60)에 의해 제공되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등의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통신 I/F(22)(통신부)는 제어부(21)의 지시에 따라 서버(10) 등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2) 서버의 기능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10)는 기억부(15)에 의해,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 특전 데이터(153), 광고 집계 데이터(154) 등을 기억한다. 기억부(15)에 기억되고 있는 각 데이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11)는 상품을 공급하는 사업자의 ID와 상품의 I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상품 관리용의 소정 규격의 바코드의 숫자를, 소정의 기간으로 한정하여 단말(20)의 사용자에 대해 할당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단말(20) 사용자의 사용자 ID(한정하는 것은 아닌 단말의 식별 정보의 일 예)와 할당한 숫자 등을 대응지어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에 기억시킨다.
또한, 제어부(11)는,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으로부터 수신한 거래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바코드의 숫자 중 하나의 바코드 숫자를 단말(20) 사용자의 사용자 ID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부(11)는 POS 시스템(50)으로부터 수신한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거래 금액, 거래 매장 및 거래 사업자 등에 따른 소정 특전을,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사용자 ID에 관한 사용자에 대해 부여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바코드를 할당하는 계기가 된 외부 서버(60)에 의한 광고 효과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 외부 서버(60)의 사업자에 대하여 지급되는 금액을 설정한다.
통신 I/F(14)(통신부)는 제어부(11)의 지시에 따라 단말(20), POS 시스템(50)의 오피스 서버(50C) 및 외부 서버(60)와의 통신을 행한다.
<처리>
다음에,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처리 개요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단말(20)은, 외부 서버(6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 외부 서버(60)로부터 광고가 배포된다. 그리고, 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해, 배포된 광고에 대해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서버(10)는, 예를 들면, 실제 매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준적인 규격에 준거한 상품 관리용의 바코드 숫자를 소정 기간 내에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그리고, 서버(10)는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바코드 숫자로부터 당해 거래를 행한 사용자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품 관리용의 바코드 숫자에 대응지어 바코드를 배포하는 계기가 된 광고를 단말(20)에 배포한 사업자를 관리하고,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에 기초하여, 광고에 대한 보상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광고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경우에, 광고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버(10), POS 시스템(50) 및 외부 서버(60)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1) 처리의 시퀀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처리 전에, 외부 서버(60)는 사용자 인증 등을 행하여 단말(20) 사용자의 계정으로부터의 로그인을 수취하여 메시징 서비스 등의 이용을 단말(20)에 허가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101에서, 단말(20)은 외부 서버(60)의 사업자(한정하는 것은 아닌 제 1 기업의 일 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단말(20)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외부 서버(60)에 의해 제공되는 웹 사이트나 메시징 서비스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등을 표시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외부 서버(60)는 실제 매장에 관한 광고를 단말(20)로 송신한다(단계 S102). 여기서, 외부 서버(60)는, 예를 들면, 외부 서버(60)가 제공하는 SNS,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검색 사이트) 등을 이용한 단말(20)에 광고의 배포 등을 행한다. 여기서, 광고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캠페인을 개최하고 있는 기업명, 실제 매장명, 캠페인 대상의 상품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광고가 선택되었을 때의 링크 정보로서, 서버(10)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의 어드레스 정보와 외부 서버(60)의 광고 사업자 ID(이하, 「광고 사업자 ID」라고 함) 및 단말(20)의 사용자 ID가 포함되어도 좋다. 단말(20)의 사용자 ID는 외부 서버(60)에 로그인할 때에 이용된 사용자의 ID라도 좋다.
계속해서, 단말(20)은 수신한 광고를 화면에 표시시킨다(단계 S103). 여기서, 단말(20) 사용자는 표시된 광고의 내용을 알고, 소정의 실제 매장으로 이동하여 소망 상품을 레지스터(50B)의 설치 장소로 가지고 간다.
계속해서, 단말(20)은 바코드를 표시시키는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수취한다(단계 S104). 여기서, 단말(20)은, 예를 들면, 표시되고 있는 광고를 선택하는 조작을 수취한다.
계속해서, 단말(20)은 바코드의 발행 요구를 서버(10)로 송신한다(단계 S105). 여기서, 바코드의 발행 요구에는, 광고의 링크 정보 등에 포함되는, 광고 사업자 ID 및 단말(20)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10)는, 바코드를 취득시킬 때에, 바코드를 표시시키는 계기가 된 광고의 배포원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의 발행 요구 전이나, 동시 또는 후에 단말(20)의 통신 어드레스의 정보나, 단말(20)과 서버(10)에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정보(한정하는 것은 아닌 단말(20)과 서버(10)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의 일 예)의 송신을 행한다.
계속해서, 서버(10)는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유효 기간까지 사용자에게 대응지어진 바코드 번호(한정하는 것은 아닌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일 예)를 할당한다(단계 S106).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서버(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로부터 「할당 가능」 상태인 바코드 번호를 할당한다. 도 3의 예에서,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에는 바코드 번호에 대응지어 상태 및 유효 기간이 기억된다.
바코드 번호는 사업자 식별 코드와 상품 코드를 포함하는 번호이며, 예를 들면, 국제적인 바코드 규격에 준거한, 어느 사업자의 어느 상품인지를 나타내는 상품 식별 번호이다. 국제적인 바코드의 규격으로는, 예를 들면, JAN(Japanese Article Number) 코드, EAN(European Article Number) 코드, UPC(Universal Product Code) 코드 등이라도 좋다. 또한, 그 외의 규격의 코드라도 좋다. 또, JAN 코드의 경우, 1명의 사업자당 10만개의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는 사전에 JAN 코드를 관리하는 기관으로부터 사업자 코드(GS1 코드)를 취득해 둔다. 이것에 의해, 종래부터 매장에 설치되어 있는 POS 시스템(50)의 바코드 판독기(50A) 등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자 ID에 대응지어진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상태는 바코드 번호에 대한 할당 상태이며, 「할당중」, 「대기중」, 「할당 가능」 상태를 갖는다. 「할당중」은 소정 사용자에 대해 번호가 할당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대기중」은 번호가 할당의 유효 기간을 경과한 후의 소정 대기 기간이며, 번호가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 불가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할당 가능」은 서버(10)가 번호를 사용자에게 할당 가능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유효 기간은 서버(10)가 사용자에게 할당한 바코드의 유효 기간이다. 또, 단말(20)은 유효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바코드를 표시하지 않게 하여도 좋다. 또한, 단말(20)은 유효 기간이 경과한 경우에 수신한 바코드를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표시하여도 좋다. 이것들에 의해, 유효 기간을 경과한 바코드를 이용한 통신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버(10)와 POS 시스템(5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이 유효 기간은 반드시 설정할 필요는 없다.
「대기중」 상태로부터 「할당 가능」 상태로 변경(천이)할 때까지의 소정의 대기 기간은 서버(10)의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서버(10)에서의 바코드의 발행 빈도와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에서 관리하고 있는 바코드 번호의 수에 근거하여, 서버(10)가 자동으로 결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는, 예를 들면,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는 바코드의 발행 빈도가 가장 높은 최번시(最繁時)에서의 발행 빈도가 1시간당 5만건이며,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에서 관리하고 있는 바코드 번호의 수가 10만개인 경우, 서버(10)는 대기 기간을 1시간으로 결정해도 좋다. 또는, 예를 들면, 성황 중인 캠페인 광고를 배포하는 것 등에 의해, 바코드의 발행 빈도가 높아졌을 경우, 바코드의 발행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다음번 이후에 발행하는 바코드의 유효 기간 및 대기 기간 중 적어도 한쪽을 짧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대기 기간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유효 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유효 기간부터 대기 기간 이내에 바코드가 사용된 경우에는, 바코드를 할당한 사용자를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단말(20)에서의 시계의 차이 등에 의해, 유효 기간을 경과한 바코드가 단말(20)에 지워지지 않고서, 바코드가 사용되었을 경우나, POS 시스템(50)에서 바코드가 판독된 후, 다른 상품의 바코드의 판독 등에 의해, 유효 기간 내에 거래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도, 바코드를 사용한 사용자를 적절하게 특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서버(10)는, 단말(20) 사용자의 사용자 ID에 대응지어, 할당한 바코드의 정보 및 광고 사업자 ID를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에 기억한다(단계 S107).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에는 사용자 ID 및 할당 일시에 대응지어, 바코드 번호(한정하는 것은 아닌 코드 정보에 관련한 정보의 일 예), 유효 기간 및 광고 사업자 ID가 기억된다. 사용자 ID는 단말(20)의 사용자 식별 정보이다. 사용자 ID는, 예를 들면, 단말(20)의 ID, 단말(20)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서버(10)에서의 SNS용 계정 ID 등이라도 좋다. 할당 일시는 서버(10)가 바코드 번호를 사용자에게 할당한 시간이다. 바코드 번호는 서버(10)가 사용자에게 할당한 바코드 번호이다. 유효 기간은 서버(10)가 사용자에게 할당한 바코드의 유효 기간이다. 광고 사업자 ID는 단말(20)로부터 수신한 바코드의 발행 요구에 포함되는, 외부 서버(60)의 사업자의 식별 정보이다.
계속해서, 서버(10)는 할당한 바코드 번호와 바코드의 유효 기간의 정보를 단말(20)로 송신한다(단계 S108). 또, 서버(10)는 외부 서버(60)를 거쳐 바코드 번호와 유효 기간의 정보를 단말(20)로 송신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는 할당한 바코드 번호를 나타내는 바코드의 화상(한정하는 것은 아닌 코드 정보의 일 예)을 단말(20)로 송신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단말(20)은 수신한 바코드 번호와 번호에 대한 바코드 및 바코드의 유효 기간을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09).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단말(20)에서의 바코드 및 유효 기간의 표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영역(501)에 바코드가 표시되고 영역(502)에 유효 기간이 표시되고 있다. 도 6은 단말(20)에 표시되는 바코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JAN 코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JAN 코드에서는, 선두의 7자리 수의 숫자(601)가 기업을 나타내는 숫자이며, 다음의 5자리 수의 숫자(602)가 상품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마지막 1자리 수의 숫자(603)는 바코드를 올바르게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 디지트이다. 또, 영역(502)에 표시되는 유효 기간은 시각이 아니고, 잔여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단말(20)에 표시된 바코드를 바코드 판독기(50A)로 판독한다(단계 S110).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상품 관리 데이터(511)를 참조하여, 판독한 바코드 번호에 대응지어진 상품명 및 가격을 취득한다(단계 S111).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상품 관리 데이터(511)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품 관리 데이터(511)에는 바코드 번호에 대응지어, 기업명, 상품명 및 가격이 기억된다. 기업명은, 예를 들면, JAN 코드의 선두의 7자리 수의 숫자로 나타내는 기업의 명칭이다. 상품명은, 예를 들면, JAN 코드의 선두의 7자리 수 다음의 5자리 수의 숫자로 나타내는 상품명이다. 또, 도 7에서는, 바코드 번호에 대하여, 기업명과 상품명을 기억하고 있지만, 반드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업명에 L사로만 기억하고, 상품명에 L사 회원으로 기억하지 않아도 좋다. 또는 상품명에 L사 회원으로만 기억하여도 좋다. 또는, 기업명과 상품명 양쪽 모두에 대해 명칭을 기억시키지 않아도 좋다. 가격은 상품 가격이다. 도 7의 예에서는,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가 사용하는,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에서 관리되고 있는 바코드 번호에는 가격이 0엔(무료)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버(10)가 사용자에게 발행한 바코드를 판독하여도, 바코드에 대하여 레지스터(50B)에서 과금되는 일은 없다.
또, POS 시스템(50)은 단말(20)의 사용자가 레지스터(50B)로 가져온 현물의 각 상품에 대해서도, 바코드의 판독 및 판독한 바코드에 따른 상품명 및 가격을 취득한다. 단말(20)에 표시된 바코드와 현물의 각 상품의 바코드는 소정 순서로 판독하도록 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단말(20)의 사용자에 의한 대금 지급이 완료되면, 점원의 조작에 의해, 후술하는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거래 내용의 적어도 일부가 인쇄된 영수증을 발행한다(단계 S112).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영수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예에서는, 영수증이 발행된 일시(거래 일시)(801), 레지스터(50B)에서 판독된 각 바코드에 따른 상품명, 가격, 바코드 숫자의 각 조(802), 합계 금액(803)이 인쇄되어 있다.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의 상품 관리 데이터(511)에 바코드 번호에 대응하여 기업명과 상품명의 명칭을 기억시키지 않은 경우, 도 8의 영수증에는, 기업명(도 8의 예에서는 L사), 상품명(도 8의 예에서는 회원)이 인쇄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거래 내용을 나타내는 거래 데이터(한정하는 것은 아닌 구입 정보의 일 예)를 판매 관리 데이터(512)에 기억한다(단계 S113).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판매 관리 데이터(512)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매 관리 데이터(512)에는 각 거래 데이터가 기억된다. 거래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매장 ID 및 거래 ID에 대응지어, 거래 일시, 바코드의 숫자군, 금액군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매장 ID는 거래를 행한 실제 매장의 식별 정보이다. 매장 ID에는, 거래를 행한 실제 매장을 운영하는 사업자 ID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거래 ID는 거래의 식별 정보이며, 예를 들면, 레지스터(50B)에서의 대금 지급마다의 식별 정보이다. 바코드의 숫자군 및 금액군은 거래된 각 상품의 바코드 숫자 및 금액이다.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판매 관리 데이터(512)로부터 서버(10)가 관리하는 바코드 번호를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14). 도 9의 판매 관리 데이터(512)의 예에서는, 바코드의 숫자군에서, JAN 코드의 선두의 7자리 수의 숫자가 「XXXXXXX」인 바코드의 숫자를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621)가 추출된다. 거래 데이터에는, 매장 ID 및 거래 ID에 대응지어, 거래 일시, 바코드의 숫자군, 금액군이 포함된다.
계속해서, POS 시스템(50)은 매장 ID와 추출된 거래 데이터를 서버(10)로 송신한다(단계 S115).
계속해서, 서버(10)는 수신한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바코드의 각 번호 가운데 서버(10)가 관리하는 바코드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를 추출한다(단계 S116).
계속해서, 서버(10)는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를 참조하고, 바코드 번호 및 거래 일시에 따른 사용자 ID 및 광고 사업자 ID를 취득한다(단계 S117). 여기서, 서버(10)는, 예를 들면, 수신한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거래 일시가 할당 일시부터 유효 기간에 소정의 대기 기간을 추가한 일시인 할당 무효 일시 이내이고, 또한, 수신한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바코드 번호에 대응지어진 사용자 ID 및 광고 사업자 ID를 취득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도 9에 예시하는 거래 데이터(621)가 수신되면, 거래 일시는 「2017/5/30 16:25」이며, 도 4의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의 예에서는, 「MID001」의 사용자 ID에 대한 할당 일시는 「2017/5/30 15:21」이며, 유효 기간은 「2017/5/30 16:21」이다. 여기서, 소정의 대기 기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할당 무효 일시는 「2017/5/30 17:21」이다. 즉, 이 경우, 「2017/5/30 17:21」까지는, 다른 사용자에게 번호는 할당할 수 없기 때문에, 「MID001」의 사용자 ID와 「KID001」의 광고 사업자 ID가 취득된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한 바코드 번호에 관한 제어의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10)는 바코드 관리 데이터(151)를 이용하여 「할당 가능」 상태의 번호를 사용자에게 할당하면, 번호에 대응지어 유효 기간을 기억함과 함께, 번호 상태를 「할당중」 상태로 변경한다. 그리고, 유효 기간을 경과하면, 번호 상태를 「대기중」 상태로 변경하고, 유효 기간을 경과하고 나서 소정의 대기 기간을 추가한 일시인 할당 무효 일시를 경과하면, 번호 상태를 「할당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단말(20)은 번호가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으면, 바코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유효 기간을 경과하면, 바코드의 표시를 비표시로 하며, 이후에는 바코드를 표시시키지 않다. 또한, 번호를 사용자에게 할당한 할당 일시부터, 전술한 할당 무효 일시까지의 동안에는 POS 시스템(50)에 의한 번호의 사용은 유효한 것으로 하여 서버(10)가 취급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나의 바코드를 유동적으로 할당하는 것에 의해, 바코드의 발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서버(10)는 특전 데이터(153)를 참조하고, 사용자 ID에 관한 사용자에게 거래 데이터에 따른 소정의 특전을 부여한다(단계 S118). 여기서, 서버(10)는 부여한 특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서버(60)로부터 배포된 광고에 의해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사용자에게 특전(메리트)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서버(10)는 외부 서버(60)를 거쳐 부여한 특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송신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는 바코드가 이용된 실제 매장에의 내점(來店)에 관련하는 메시지를 단말(20)로 송신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실제 매장에의 내점을 파악한 것을 통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는 매장 ID에 관한 매장의 명칭을 기억부(15)로부터 취득하고, 단계 S117의 처리에서 취득한 사용자 ID에 관한 사용자 단말(20)에 「○○점을 이용하여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등의 메시지를 송신하여도 좋다. 또, 서버(10)는 바코드가 이용된 실제 매장에의 내점과 관련한 메시지를 외부 서버(60)가 제공하는 메시징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20)로 송신하여도 좋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한 특전 데이터(153)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전 데이터(153)에는 기업 ID, 매장 ID, 캠페인 기간, 특전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 특전 데이터(153)는, 예를 들면,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의 제휴처인,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의 의뢰에 의해 사전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기업 ID는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의 ID이다. 특전 내용은 거래 일시가 캠페인 기간 내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특전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소정의 캠페인 기간 내에, 매장 ID 「101」의 매장에서 구입한 경우, 합계 금액의 10%만큼의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포인트는, 예를 들어, 외부 서버(60) 또는 서버(10)가 제공하는 SNS 서비스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스탬프 등의 콘텐츠나 서버(10) 사업자의 제휴처 외부의 쇼핑 사이트, 또는 실제 매장에서의 상품 등의 대금의 지급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실제 매장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서버(10)로부터 배포된 광고에 의해 실제 매장에서 상품 등을 구입한 사용자의 구입액 등에 따른 광고료 또는 소개료로서 소정의 보상을 지급하고, 서버(10)를 운용하는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보상의 일부를 포인트로 환원하도록 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서버(10)는 광고 사업자 ID마다의 거래를 집계한다(단계 S119).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한 광고 집계 데이터(154)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고 집계 데이터(154)에는 광고 사업자 ID에 대응지어 사용자 ID, 매장 ID, 바코드의 숫자군, 금액군이 포함된다. 여기서, 서버(10)는 수신한 거래 데이터와 단계 S117의 처리에서 취득한 사용자 ID 및 광고 사업자 ID에 근거하여, 도 12의 광고 집계 데이터(154)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바코드를 이용하여 실제 매장에서 구입한 상품의 데이터를 집계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서버(10)는 광고의 효과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 각 광고 사업자 ID에 관한 각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는 금액(광고 대금)을 설정한다(단계 S120). 이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광고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경우에, 광고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설정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버(10), POS 시스템(50) 및 외부 서버(60)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이 금액은 엔화 등의 통화로 지급되어도 좋고, 소정 매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자 화폐나 가상 통화 등으로 지급되어도 좋다.
서버(10)는, 단계 S120의 처리에서, 바코드가 이용된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가 지급하는 광고료를 산출하고, 지급된 광고료의 적어도 일부를, 각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에 대한 광고의 효과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가 지급하는 광고료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예를 들면, 각 광고 사업자의 광고에 의해, 바코드를 이용해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회수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 각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는 금액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1회의 거래에 대하여 소정 금액(예를 들면, 10엔)이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또는, 서버(10)는, 단계 S120의 처리에서, 예를 들면, 각 광고 사업자의 광고에 의해 바코드를 이용해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금액의 합계 등에 근거하여,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 각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는 금액을 설정하여도 좋다. 즉, 사용자의 구입 금액이 많은 경우,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로부터 각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는 금액이 커지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거래 금액에 대한 소정 비율(예를 들면, 1%)이 광고 사업자에 대해 지급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제 1 변형예>
특전 내용으로서, 캠페인 대상 상품마다, 소정 특전을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는, 도 11에 나타내는 특전 데이터(153)에서, 캠페인 대상 상품을 나타내는 바코드의 숫자에 대응지어, 특전 내용을 설정해 두고,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품 금액 등에 따른 특전을 부여하여도 좋다.
<제 2 변형예>
서버(10)는 바코드를 취득한 단말(20)의 위치 정보와 바코드가 이용된 실제 매장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바코드를 이용한 사용자를 인증하여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단계 S105의 처리에서, 단말(20)은, 바코드의 발행 요구를 서버(10)로 송신할 때, 단말(20)의 현재 위치 정보도 서버(10)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10)는, 단계 S107의 처리에서, 할당한 바코드의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20)의 위치 정보도 사용자 관리 데이터(152)에 기억한다. 그리고, 서버(10)는, 단계 S118의 처리에서, 바코드가 이용된 실제 매장의 위치 또는 바코드가 이용되었을 때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단말(20)의 현재 위치와 바코드를 취득했을 때의 단말(2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바코드의 유효 기간에 따른 소정 임계값 이하인지 판정하고,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만, 거래 데이터에 따른 소정 특전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바코드를 취득한 사용자와 바코드를 이용한 사용자가 동일인인 것을 검증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서버(10)는 도 12의 광고 집계 데이터(154)에 근거하는 리포트를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에게 메일 등을 이용하여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버(10)는, 예를 들면, 광고 사업자 ID마다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 등의 정보를 포함한 리포트를 송신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10)는 사용자 ID에 대응지어질 수 있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거주지 등의 사용자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외부 서버(60)로부터 취득하여, 사용자 속성 및 광고 사업자 ID마다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 등의 정보를 포함한 리포트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어느 광고 사업자의 광고 효과가 높은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관한 광고 집계 데이터(154)에 근거하는 리포트의 작성 처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201에서, 서버(10)는 광고 집계 데이터(154)를 참조하고, 광고 사업자 ID 및 매장 ID마다 등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서버(10)는 광고 집계 데이터(154)에 포함되는 사용자 ID에 대한 사용자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외부 서버(60)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202). 계속해서, 서버(10)는 사용자 속성에 근거하는 통계 데이터를 산출한다(단계 S203). 계속해서, 서버(10)는 산출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 데이터를 생성하고(단계 S204), 리포트의 작성 처리를 종료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실시형태에 관한 리포트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KID001」의 광고 사업자 ID에 의한 광고에 의해, 「101」의 매장 ID인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의 실제 매장에서의 소정 기간 동안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785460」엔(円)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에 대한 성비로서, 남성에 의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785460」엔의 67%인 것 등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에 대한 연령비로서, 「10대」의 사용자에 의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785460」엔의 29%인 것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b의 예에서는, 「KID001」의 광고 사업자 ID에 의한 광고에 의해, 「101」의 매장 ID인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의 실제 매장에서, 「XXXXXXY00001Z」의 바코드 숫자가 나타내는 상품의 소정 기간 동안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385420」엔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상품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에 대한 성비로서, 남성에 의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385420」엔의 72%인 것 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상품의 구입 금액의 합계액에 대한 연령비로서, 「10대」의 사용자에 의한 구입 금액의 합계액이 「385420」엔의 20%인 것 등을 나타내고 있다.
광고 집계 데이터(154)에 근거하는 리포트에 의해, POS 시스템(50)을 운용하는 사업자는 어느 광고 사업자의 광고에 의해, 어떤 사용자층이 실제 매장에서 거래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종래, 소정 상품이나 실제 매장 등에 대한 온라인 광고가 오프라인인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에 기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독자 규격의 바코드를 광고를 수신한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것에 의해 각 사용자에 대한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POS 시스템의 수정 등에 시간이 걸린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적어도 일부에 따르면, 예를 들어, 실제 매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표준적인 규격에 준거한 상품 관리용 바코드 숫자를 소정 기간 동안에 단말(20)의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그리고,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바코드의 숫자로부터 거래를 행한 사용자를 판별한다. 이것에 의해, 실제 매장에서 거래를 행한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적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매장에서 거래를 행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적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버(10), POS 시스템(50) 및 외부 서버(60)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관리용 바코드 숫자에 대응하여 바코드를 배포하는 계기가 된 광고를 단말(20)에 배포한 사업자를 관리하고, 실제 매장에서의 거래에 근거하여, 광고에 대한 보상을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광고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 매장에서 거래한 경우에, 광고에 대한 보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 서버(10), POS 시스템(50) 및 외부 서버(60)의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제 도면이나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에 유의하고 싶다. 따라서, 이들 변형이나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하고 싶다.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로서, 각 수단, 각 단계 등에 포함되는 기능 등은 논리적으로 모순되지 않게 재배치 가능하고, 복수의 수단이나 단계 등을 하나로 통합하거나, 혹은 복수로 분할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6월 2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11721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 통신 시스템
10 서버
11 제어부
14 통신 I/F
151 바코드 관리 데이터
152 사용자 관리 데이터
153 특전 데이터
154 광고 집계 데이터
20 단말
50 POS 시스템
50A 바코드 판독기
50B 레지스터
50C 오피스 서버
511 상품 관리 데이터
512 판매 관리 데이터

Claims (16)

  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에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특전에 관한 정보인,
    정보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고,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위치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코드 정보가 상기 코드 판독기에서 판독되는 경우의 상기 단말 위치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관련지어진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업에 관한 매장에의 내점(來店)에 관련하는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구입하는 구입품의 코드 정보를 상기 코드 판독기로 판독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사용자가 구입한 구입품에 관한 구입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며,
    상기 코드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구입 정보를 관련짓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 사용자 각각의 상기 식별 정보와 복수 사용자 각각의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는 통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업에 지급하는 대가는, 상기 구입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 2 기업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상기 제 2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기업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적어도 사업자 식별 코드와 상품 코드로 구성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JAN(Japanese Article Number) 코드, EAN(European Article Number) 코드, UPC(Universal Product Code) 코드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처리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코드 판독기에서 판독된 경우, 상품 단가가 무료인 것으로 판정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5.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는 처리와,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에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16.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 1 기업에 의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이,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단말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송신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 대하여 코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코드 정보가 코드 판독기에 판독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과는 다른 제 2 기업의 정보 처리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와 상기 제 1 기업에 관한 정보를 관련짓는 연계부와,
    상기 코드 정보와 관련하는 정보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기업에 대해 지급하는 금액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207036813A 2018-06-20 2019-06-18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KR20210022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17213A JP7315307B2 (ja) 2018-06-20 2018-06-20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JP-P-2018-117213 2018-06-20
PCT/JP2019/024023 WO2019244863A1 (ja) 2018-06-20 2019-06-18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580A true KR20210022580A (ko) 2021-03-03

Family

ID=6898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813A KR20210022580A (ko) 2018-06-20 2019-06-18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15307B2 (ko)
KR (1) KR20210022580A (ko)
CN (1) CN112262401A (ko)
WO (1) WO2019244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4984A1 (en) * 2020-03-30 2023-03-30 Ne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medium storing program
JP7368872B2 (ja) 2022-02-14 2023-10-25 株式会社エムディーピー 懸賞応募システム、懸賞管理サーバ及び懸賞応募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704A (ja) 2002-02-28 2003-09-12 Toshiba Corp ポイント生成装置、携帯端末、ポイント管理サーバ及び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312A (ja) * 2002-03-19 2003-10-03 Hitachi Maxell Ltd クローズド懸賞の応募代行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6146952A (ja) * 2005-12-29 2006-06-08 Hitachi Ltd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
JP2009003910A (ja) * 2007-01-16 2009-01-08 Shinsedai Kk リモートコードリーダシステム、ホストコンピュータ、ホスト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方法、ホストコンピュータの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の機能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329611B2 (ja) * 2011-07-28 2013-10-30 楽天株式会社 購入支援サーバ、購入支援方法、購入支援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14006849A (ja) * 2012-06-27 2014-01-16 Caratt Inc 写真撮影スタジオ用広告システムおよび写真撮影スタジオ用広告方法
JP2014194731A (ja) * 2012-12-11 2014-10-09 Toshiba Tec Corp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88642B2 (ja) * 2014-03-14 2018-03-07 Sbギフト株式会社 顧客管理システム、及び顧客管理方法
US10210543B2 (en) * 2014-04-06 2019-02-19 Google Llc Customized loyalty notifications
US20150379549A1 (en) * 2014-06-30 2015-12-31 Eb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ink coupons and loyalty car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704A (ja) 2002-02-28 2003-09-12 Toshiba Corp ポイント生成装置、携帯端末、ポイント管理サーバ及び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15307B2 (ja) 2023-07-26
CN112262401A (zh) 2021-01-22
JP2019219947A (ja) 2019-12-26
WO2019244863A1 (ja)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5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rgeted content across user channels
KR20130027830A (ko) 블로그 마케팅 방법 및 장치
JP2021120881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22580A (ko)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장치
JP2012083802A (ja) 販売支援システム
JP202013495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90044939A (ko) 멤버십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7182576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678893B (zh) 信息处理方法、记录有程序的记录介质、服务器以及通信系统
EP1692652A1 (en) Service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free using of data communication
CN111612507A (zh) 金融资源配置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706708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1131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2182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191049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10678883B2 (en) History management method
JP6906494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通信端末
JP201916002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23696A (ko) 쇼핑몰 서버와 광고 플랫폼 서버의 연동을 통한 리워드 제공 방법과 쇼핑몰 서버
JP2022118754A (ja) 定期乗車券共用管理装置、携帯端末、定期乗車券共用システム、定期乗車券共用管理方法、および定期乗車券共用管理プログラム
JP2015056107A (ja) ポイント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ト付与方法
JP20240723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30072028A (ko) 상생을 위한 광고 융복합 시스템
JP2023115355A (ja) 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KR20230041863A (ko)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