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863A -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863A
KR20230041863A KR1020210124648A KR20210124648A KR20230041863A KR 20230041863 A KR20230041863 A KR 20230041863A KR 1020210124648 A KR1020210124648 A KR 1020210124648A KR 20210124648 A KR20210124648 A KR 20210124648A KR 20230041863 A KR20230041863 A KR 20230041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eller
buyer
unit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임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임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임팸
Priority to KR102021012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863A/ko
Publication of KR20230041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는,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자 지원부; 및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매자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A METHOD FOR OPERATING ONLINE FLEA MARKET,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예인, 가수 등과 같은 셀럽, 인플루언서 등이 물품을 용이하게 판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물품의 판매금뿐만 아니라 응모권 판매금의 일부를 수익으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물품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의 물품의 구매 기회를 소정의 확률로 제공받을 수 있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연예인과 같은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는 많은 인기를 가지므로 그들이 사용하던 물품 등을 판매할 시 일반인이 사용하던 중고물품 또는 새 제품의 가격보다 프리미엄 가격이 붙어 더욱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곤 한다. 그러나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가 자신의 중고물품을 익명의 다수에게 판매할 시 지나치게 프리미엄 가격이 많이 붙어 판매되거나 또는 사재기 물품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고,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가 팬서비스 차원에서 자신의 물품을 판매하는 경우 자신의 팬이 아닌 자에게 구매 기회가 주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도 중고물품을 거래할 수 있는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이 현존하지만,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 등이 중고물품을 기존의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경우, 실제 대면하여 직거래를 해야 하는 관계상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인지도, 사회적 지위 등으로 인해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사생활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중고물품 거래 플래폼에서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가 자신의 중고물품을 판매할 시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인지도, 인기 등에도 불구하고 판매되는 중고물품의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팬들은 구매자로서 자신이 선호하는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물품을 구매하고 싶지만 기존의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을 통해서는 구매 기회를 확보하기 매우 어렵고, 거래 시 판매자인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와 직접 소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의 중고물품과 같은 유일한 물품은 공급에 비해 수요가 지나치게 많으므로, 선착순 또는 추첨 방식과 같은 공정한 방식으로 구매자를 선정해야만 하는데, 기존의 판매 사이트는 선착순 방식 또는 모든 응모자에게 동일한 당첨 확률이 주어지는 단순 추첨 방식 등을 채택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과도한 접속자가 몰려 판매 사이트 서버가 다운되거나, 구매 확률에 대한 기대값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판매 사이트의 추첨 방식으로 당첨자를 선정할 시 구매 욕구가 낮은 사람과 높은 사람이 같은 당첨 확률을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추첨 방식을 통한 당첨자 선정 과정에 대해 추첨 응모자들의 신뢰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판매 사이트 등에서 판매 시 판매자는 판매금만 회수가 가능하고, 셀럽 등의 개인적인 중고 물품 등의 특정물품에 대해서는 판매자가 프리미엄 가격을 임의로 추가하여 판매해야 하므로 정확한 시세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셀럽 등의 중고물품과 같은 물품을 용이하게 판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물품의 판매금 뿐만 아니라 응모권 판매금의 일부를 수익으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물품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의 물품의 구매 기회를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대응하는 확률로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써, 셀럽의 판매물품이 구매 욕구가 높은 팬에게 판매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하고, 판매물품에 대한 수요에 따라 정확한 시세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셀럽, 인플루언서 등과 같은 유명인사가 물품 판매 시 구매 기회를 위해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대응하는 확률로 구매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팬들에게 판매물품이 판매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면서도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은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는,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자 지원부; 및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매자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지원부는, 상기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물품 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 지원부는,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응모권 구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자를 추첨하도록 구성되는 추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 상기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은,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는 단계; 및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자를 추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셀럽, 인플루언서 등과 같은 유명인사가 물품 판매 시 구매 기회를 위해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대응하는 확률로 구매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팬들에게 판매물품이 판매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면서도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은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판매자 및 판매물품이 노출되는 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판매물품 및 판매물품 응모가 노출되는 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은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및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은 판매자의 판매물품을 구매자의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고, 구매자에게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판매 또는 제공할 수 있으며, 응모권을 통해 응모한 구매자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추첨을 통해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은 판매금 및 응모권 판매금 중 적어도 일부를 판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고,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은 판매물품을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고 구매자에게 응모한 판매 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제어부(110), 판매자 지원부(120), 구매자 지원부(130), 추첨부(140), 보안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개인 또는 사설 기업에 의해 제작되어 운영되는 자체 컴퓨터 프로그램 기반의 장치에 해당하며, 관련 기술분야에서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디바이스(device), 장비(equipment), 서버(server), 플랫폼(platform) 등의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10, 120, 130, 140, 150, 160, 17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부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들(120, 130, 140, 150, 160, 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통신부(16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 등의 명령 신호에 따라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다른 세부적인 구성요소들(120, 130, 140, 150, 160, 17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되어 다른 사용자 단말(200)의 작동에 관한 기계적 또는 전자적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와 연동 가능한 사용자 단말(2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자 지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정보를 관리하고,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며, 판매금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매자 지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는 구매자정보를 관리하고, 응모권의 구매 및 응모권을 통한 응모 절차를 제공하며, 각종 이벤트 및/또는 혜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의 보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물품의 구매자를 추첨하도록 구성되는 추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구매자 지원부(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매자 지원부(130)의 판매물품 응모부(133, 도 3 참고)에 의해 판매물품에 응모된 구매자별 응모권의 개수에 비례하여 당첨 확률을 설정하고, 설정된 당첨 확률에 따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당첨자를 추첨하여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구매자가 구매 기회를 얻고자 하는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 개수에 비례하여 당첨 확률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 개수가 많을수록 당첨 확률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가 많을수록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가 많아지고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 판매금액의 일부가 판매자에게 지급되므로, 판매자는 일반적인 물품 판매금보다 보다 큰 수익을 낼 수 있고, 구매자 또한 자신이 원하는 만큼 해당 판매물품에 응모권을 많이 투입함으로써 보다 큰 확률로 구매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비례하여 당첨 확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비례하여 구매자별로 당첨 구간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전체 응모 구간(예를 들어, 응모권 개수에 따른 자연수 집합) 중 전체 응모 구간 내의 임의의 당첨 수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임의의 당첨 수치가 포함된 당첨 구간을 할당받은 구매자에게 판매 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가 많은 구매자일수록 보다 큰 영역의 당첨 구간이 할당될 수 있으므로 구매 기회를 제공받는 당첨 확률도 증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자바(JAVA) 프로그램의 추첨 알고리즘을 통해 구매 기회를 제공받는 구매자를 추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자바 프로그램의 java.util.random class 환경을 이용하여 구매 기회를 제공받는 구매자를 추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모권을 통해 판매물품에 응모한 구매자의 ID 및 응모 기록은 저장부(17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판매물품에 응모한 구매자의 ID 및 응모 기록(응모한 응모권의 수)을 이용하여 구매자 ID별로 응모한 응모권의 수가 대응하여 정렬되고 총 응모권의 수의 누적 합이 산출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6명의 구매자가 각각 1개, 3개, 6개, 8개, 10개, 50개의 응모권으로 판매물품에 응모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가 생성하는 총 응모권의 수의 누적 합이 산출된 리스트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 = [1, 4, 10, 18, 28, 78]
판매물품에 응모된 총 응모권의 수의 누적 합을 M이라고 가정할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java.util.random class의 추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0 < x < M 범위의 x값(참고로, x는 자연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의 리스트에서 총 응모권의 누적 합(M)은 78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에 의해 선택되는 자연수 x 값의 선택 구간은 0 < x < 78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0 < x < M 범위의 임의의 x값(참고로, x는 자연수)을 선택하고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를 순회하며 선택된 x값을 통해 당첨자 인덱스 값을 산출함으로써 당첨자를 추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0 < x < M 범위의 임의의 x값(참고로, x는 자연수)을 선택하고,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를 순회하며 선택된 x값을 이용하여 [당첨자 인덱스 값 - 1]의 응모권 누적 합 < x < [당첨자 인덱스 값]의 응모권 누적 합 조건을 만족하는 당첨자 인덱스 값을 산출함으로써 당첨자를 추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상술한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의 각 결과값의 인덱스 값이 1 내지 6이라고 가정했을 때, 즉,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 = [1(인덱스 값 1), 4(인덱스 값 2), 10(인덱스 값 3), 18(인덱스 값 4), 28(인덱스 값 5), 78(인덱스 값 6)]일 때, 이 경우 인덱스 값 1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1], 인덱스 값 2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2, 3, 4,], 인덱스 값 3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5, 6, 7, 8, 9, 10], 인덱스 값 4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11 내지 18], 인덱스 값 5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19 내지 28], 인덱스 값 6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은 [29 내지 7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가 0 < x < 78(M) 범위의 임의의 x값으로 31을 선택하는 경우, 31은 인덱스 값 5와 대응하는 28을 초과하고 인덱스 값 6과 대응하는 78미만의 수이므로, [당첨자 인덱스 값 - 1]의 응모권 누적 합 < x(31) < [당첨자 인덱스 값]의 응모권 누적 합 조건을 만족하는 당첨자 인덱스 값은 6으로 산출될 수 있다. 즉, 선택된 x값 31을 포함하는 당첨 구간은 인덱스 값 6에 해당하는 구매자의 당첨 구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덱스 값 6에 해당하는 총 50개의 응모권을 응모한 구매자가 당첨자로 추첨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가 많은 구매자일수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에 의해 할당되는 당첨 구간이 커질 수 있고, 할당되는 당첨 구간이 커짐에 따라 당첨자로 추첨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기 응모한 구매자가 응모권을 추가적으로 응모한 경우 추가 당첨 구간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기 응모한 구매자가 응모권을 추가적으로 응모한 경우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에 추가로 응모한 응모권에 따른 결과값을 추가하고 추가된 결과값에 기 응모한 구매자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을 부여함으로써 기 응모한 구매자의 추가 당첨 구간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 = [1(인덱스 값 1), 4(인덱스 값 2), 10(인덱스 값 3), 18(인덱스 값 4), 28(인덱스 값 5), 78(인덱스 값 6)]인 경우에서, 인덱스 값 5에 해당하는 구매자가 응모권 10개를 추가로 응모한 경우,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는 [1(인덱스 값 1), 4(인덱스 값 2), 10(인덱스 값 3), 18(인덱스 값 4), 28(인덱스 값 5), 78(인덱스 값 6), 88(인덱스 값 5)]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
즉, 총 응모권 누적 합 산출 리스트에 추가로 응모한 응모권에 따른 결과값 88을 추가하고, 추가된 결과값 88에 기 응모한 구매자에 해당하는 인덱스 값 5을 부여한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추첨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추가 당첨 구간이 할당된 결과를 고려하여 당첨자를 추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구매자의 당첨 이력을 고려하여 당첨 확률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구매자의 최근 당첨 이력의 존부, 소정의 횟수 이상의 당첨 횟수 여부, 응모 대비 당첨 비율 등을 고려하여 당첨 확률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100번 응모하였으나 한 번도 당첨되지 않은 구매자의 당첨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최근 당첨 이력이 있는 구매자의 당첨 확률을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추첨에 관한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구성되는 보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는 추첨부(140)에 의한 구매 기회를 제공받는 구매자 추첨 시 추첨과 관련된 데이터를 암호화 데이터(예를 들어, SHA-256 데이터 등)로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는 셀럽 등의 판매자가 추첨 버튼을 누르는 등으로 추첨이 트리거되면 백엔드(backend)에서 추첨 요청에 대한 타임 스탬프, 판매물품 및 당첨자(추첨을 통해 당첨된 구매자)에 관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SHA-256 데이터와 같은 암호화 데이터로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는 추첨 요청에 대한 타임 스탬프, 판매물품 및 당첨자(추첨을 통해 당첨된 구매자)에 관한 데이터에 관한 해시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생성된 해시 값 및/또는 타임 스탬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부(170)의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삽입된 해시 값 및 당첨자에 관한 데이터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프런트 엔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는 기 추첨된 판매물품의 재추첨 시 자동으로 재추첨 요청에 대한 타임 스탬프, 판매물품 및 당첨자(재추첨을 통해 당첨된 구매자)에 관한 데이터를 조합하여 암호화 데이터 및 해시 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에 의해 암호화되어 해시 값으로 생성된 데이터는 복호화가 불가능하므로 외부에서 어떠한 데이터의 조합으로 해시 값을 생성했는지 알 수 없고, 재추첨 시에도 타임 스탬프에 관한 데이터는 기 추첨 시의 타임 스탬프에 관한 데이터와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매자가 당첨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에 의해 데이터가 암호화됨으로써 추첨에 관한 데이터에 대해 보안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조작이 불가능하므로 추첨 과정에서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부(16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6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제어부(110), 판매자 지원부(120), 구매자 지원부(130), 추첨부(140), 보안부(150), 저장부(17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제어부(110), 판매자 지원부(120), 구매자 지원부(130), 추첨부(140) 또는 보안부(150)로 전달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60)는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 지원부(120), 구매자 지원부(130), 추첨부(140) 및/또는 보안부(150)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첨에 관한 데이터, 보안에 관한 데이터, 판매물품에 관한 데이터, 당첨자에 대한 데이터, 판매자 및 구매자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참고로, 저장부(17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70)가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은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요청을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판매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 또는 판매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여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는 판매자의 사용자 단말(200)과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0)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서비스에 따라 판매자가 구매자가 될 수 있고 구매자가 판매자가 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구매자가 구매자 지원부(130)를 통해 등록된 판매물품에 응모 시 판매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구매자가 응모 시 판매자에게 전송한 메시지가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이용자에게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판매자가 전송된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에 따르면, 등록된 판매물품에 응모 시 구매자는 판매자에게 음성,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메시지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를 이용하는 판매자, 구매자 등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전송된 메시지에 대해 음성,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 등의 판매자가 판매자 지원부(120)를 통해 판매물품을 등록 시 또는 등록 이후에도 판매물품에 응모하고자 하는 자 또는 응모자 등을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응모한 구매자 등을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이용자는 판매자가 전달한 메시지에 대해 피드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가 전달한 메시지에 대해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이용자가 음성,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 형식의 메시지 등을 추가로 게시함으로써 피드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판매자가 피드백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고정시켜 우선적으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가 고정시킨 메시지를 작성한 이용자에게 응모권 또는 응모권과 교환 가능한 티켓일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구매자를 포함하는 이용자가 전송 또는 피드백한 메시지와 함께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메시지의 시각적 효과를 상이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메시지를 전송한 이용자의 응모한 응모권 개수를 1~499개, 500~999개, 1000개 이상과 같이 3단계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분류된 이용자의 응모한 응모권 개수에 따라 이용자가 전송한 메시지의 시각적 효과를 상이하게 하여 보다 많은 응모권을 응모하여 보다 높은 단계로 분류된 이용자의 메시지를 보다 부각시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단계로 분류된 메시지일수록 셀럽 또는 인플루언서 등의 판매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고 고정시킬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정보 관리부(121), 판매물품 등록부(122), 판매금 지급부(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판매자 지원부(120)의 구성요소들(121, 122, 1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판매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판매물품을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판매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70)에 저장시키고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회원으로 가입된 판매자에게 판매물품을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판매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입력된 판매자의 정보 중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판매자의 정보를 가진 판매자를 응모 대상이 되는 판매물품을 등록할 수 있는 판매자로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판매자의 정보 중 SNS 팔로워 수, 연예인 여부, 별도의 기준을 통해 산정된 인기도 수치 등의 정보가 미리 입력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판매물품을 응모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는 판매자로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운영자가 별도로 지정한 판매자를 판매물품을 응모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는 판매자로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판매자가 판매한 판매물품 및/또는 응모 대상으로 등록된 판매물품에 관한 내역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는 판매자가 판매한 판매물품 및/또는 응모 대상으로 등록된 판매물품에 관한 내역이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리스트를 노출시키거나 또는 구매자에게 공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물품 등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물품을 구매자의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물품의 사진 및/또는 영상, 판매자의 착용 사진, 판매물품에 대한 설명/사연 등의 컨텐츠와 함께 판매물품을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물품을 등록 시 판매자에 의해 입력된 판매금에 따라 판매금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자가 판매금을 입력하지 않거나 또는 판매자가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운영자에게 판매금 입력에 대한 권한을 위임한 경우, 판매금을 임의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물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리서치하고, 판매자의 인지도, 인기도 등을 반영하여 판매물품의 판매금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임의로 설정한 판매금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에게 허가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물품 등록 시 응모 기간, 응모 기간 개시일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물품 등록 시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응모 기간 및/또는 응모 기간 개시일에 따라 응모 기간 및/또는 응모 기간 개시일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에게 판매물품의 판매금을 지급하도록 구성되는 판매금 지급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응모 대상으로 등록된 판매물품이 추첨을 통해 당첨된 구매자에게 판매된 경우 판매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구매자의 구매금을 마일리지 형태로 저장하고, 마일리지 형태로 저장된 구매금을 판매자에게 현금화화여 판매자가 입력한 계좌로 판매금으로 송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가 판매금을 마일리지 형식으로 저장하여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판매금을 마일리지 형식으로 저장하여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인터넷 뱅킹 등의 인증을 거쳐 구매자의 구매금을 가상 계좌에 저장하고 판매자의 계좌로 직접 자동이체로 지급하는 구성 등 다양한 판매금 지급 방식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등록된 판매물품에 응모한 응모권의 판매금 중 적어도 일부를 판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자는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를 하기 위해 응모권을 구입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해 응모된 응모권의 판매금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응모권 판매금의 60%)를 판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고, 구매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판매자 또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운영자가 미리 설정한 응모권 판매금 지급 비율에 따라 응모권 판매금 중 판매자에게 지급될 응모권 판매금을 산출하여 판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판매자의 선택에 따라 판매물품의 판매금 및/또는 응모한 응모권의 판매금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별도로 정하여진 개인 또는 단체에 기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는 구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는 구매자정보 관리부(131), 응모권 구매부(132), 판매물품 응모부(133), 이벤트 지원부(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되는 구매자 지원부(130)의 구성요소들(131, 132, 133, 13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 지원부(130)는 구매자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등록된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얻기 위한 응모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통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70)에 저장시키고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회원으로 가입된 구매자에게 등록된 판매물품에 응모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구매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물품을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구매자가 구매한 판매물품의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른 등록된 판매물품 등을 구매자에게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구매자의 구매 내역 등을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구매 물품, 구매 횟수, 구매 일시 등의 구매 내역이 포함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리스트를 구매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관심상품으로 등록된 판매물품, 응모한 판매물품 또는 관심 등록한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른 판매물품 등에 관한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정보 관리부(131)는 관심상품으로 등록된 판매물품, 응모한 판매물품 또는 관심 등록한 판매자가 판매하는 다른 판매물품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70)에 저장하고 통신부(160)를 통해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지원부(130)는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응모권 구매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응모권을 구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미리 입력된 응모권 구매부(132)의 가격(예를 들어, 개당 100원)을 설정하고, 응모권을 구매할 수 있는 입력 버튼 등을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구매자의 응모권 구매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모권을 구매자에게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구매할 수 있는 응모권의 개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구매자 1인당 하루에 100장 이하의 응모권의 구매가 가능하도록 응모권 구매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구매자에게 무료로 응모권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신규 가입, 광고 시청, 정기 구매 등의 미리 입력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구매자에게 무료로 응모권을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 지원부(130)는 등록된 판매물품에 구매 기회를 얻기 위한 응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판매물품 응모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응모권을 소모하여 등록된 판매물품에 구매 기회를 얻기 위한 응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판매물품에 대해 중복하여 응모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등록된 1개의 판매물품에 100개의 응모권을 소모하여 중복으로 응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판매물품에 중복하여 응모하는 응모권의 개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1개의 판매물품에 200개 이하의 응모권만을 소모하여 중복으로 응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10일에 걸쳐 1,000개의 응모권을 구매하여 1개의 판매물품에 한 번에 1,000개의 응모권을 소모하여 응모함으로써, 당첨 확률을 지나치게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 지원부(130)는 구매자에게 이벤트 또는 혜택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이벤트 지원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원부(134)는 구매자에게 무료 응모권, 할인 쿠폰 등의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응모권 또는 판매물품을 구매할 시 마일리지를 적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원부(134)는 판매자가 입력한 퀴즈 정답을 구매자가 답변 시 해당 판매자의 판매물품의 응모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당첨 확률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지원부(134)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예를 들어, 일정 횟수 이상 응모한 응모 우수자의 경우) 당첨되지 않은 응모권 중 미리 결정된 비율의 응모권을 구매자에게 반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물품의 전체 응모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동안 라이브 커머스 형식의 판매자와 응모한 구매자의 소통 방송을 개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판매자의 판매물품의 배송을 대행하여 구매자에게 배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판매자는 셀럽 등과 같은 연예인에 해당하므로, 연예인 등의 판매자는 판매 물품을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의 운영자 측에 송부하여 구매자로의 배송 대행을 위임함으로써 판매자의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팬들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S100)은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정보 관리부(121)가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구매자 및/또는 판매자를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시킬 수 있다(S110).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 지원부(120)는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자 지원부(120)의 판매물품 등록부(122)는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물품을 구매자의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다(S120).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모권 구매부(132)는 구매자의 응모권 구매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모권을 구매자에게 지급하거나 및/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구매자에게 무료로 응모권을 지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물품 응모부(133)는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응모권을 소모하여 등록된 판매물품에 구매 기회를 얻기 위한 응모를 수행할 수 있다(S140).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첨부(140)는 등록된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받는 구매자를 추첨할 수 있고(S140-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50)는 추첨에 관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시 값을 생성함으로써, 추첨 과정에 투명성과 공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S140-b).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금 지급부(123)는 판매물품을 등록한 판매자에게 판매물품의 판매금 및 판매물품에 응모된 응모권의 판매금의 적어도 일부를 지급할 수 있다(S150).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판매자 및 판매물품이 노출되는 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판매물품 및 판매물품 응모가 노출되는 예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판매자의 사진, 판매물품의 사진, 응모 시간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등록된 판매물품의 사진, 제품명, 현재 응모 현황, 판매 가격, 판매물품에 대한 사연, 설명 등의 판매 상세 정보, 판매자의 사진 또는 영상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는 등록된 판매물품에 응모하는 응모권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입력창을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셀럽, 인플루언서 등과 같은 유명인사가 물품 판매 시 구매 기회를 위해 응모한 응모권의 개수에 대응하는 확률로 구매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팬들에게 판매물품이 판매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에 의하면, 판매물품에 대한 인기도 또는 수요에 따라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자는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면서도 판매자에게 지급되는 수익은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
110: 제어부
120: 판매자 지원부
121: 판매자정보 관리부
122: 판매물품 등록부
123: 판매금 지급부
130: 구매자 지원부
131: 구매자정보 관리부
132: 응모권 구매부
133: 판매물품 응모부
134: 이벤트 지원부
140: 추첨부
150: 보안부
160: 통신부
170: 저장부
200: 사용자 단말
1000: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

Claims (10)

  1.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로서,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자 지원부(120); 및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구매자 지원부(130)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지원부(120)는,
    상기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판매물품 등록부(122)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지원부(130)는,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응모권 구매부(132)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자를 추첨하도록 구성되는 추첨부(140)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5.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으로서,
    제 1항에 따른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
    상기 온라인 플리마켓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시스템(1000).
  6.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으로서,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는 단계; 및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를 지원하고 판매물품을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물품을 구매를 위한 응모 대상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를 지원하고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를 위한 응모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물품의 구매자를 추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10124648A 2021-09-17 2021-09-17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230041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648A KR20230041863A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648A KR20230041863A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863A true KR20230041863A (ko) 2023-03-27

Family

ID=8579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648A KR20230041863A (ko) 2021-09-17 2021-09-17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4761A1 (en) Merchant Deal Creation And Redemption System
US10949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JP6409219B2 (ja) Snsの絵記号を利用した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管理サーバ、管理方法
JP200511584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US20130218675A1 (en) Mobile dedicated gift token management system
KR1023004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45960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KR20120105593A (ko) 모바일 쿠폰 관리 방법 및 모바일 쿠폰 관리 서버
KR20020027027A (ko) 유무선 선물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2727A (ko)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008941B1 (ko) 통합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37050B1 (ko) 전자상품권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1863A (ko) 온라인 플리마켓 운영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180138298A (ko) 기부를 희망하는 상점이 고객의 선택을 받아 수혜처에게 기부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7201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gotiating group offers while maintaining privacy of consumers
JP747552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9114B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01881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700269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通信端末
TW201903671A (zh) 用於共享電子票據的方法
JP2006139653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抽選システム
KR102619085B1 (ko) 가족사랑회원모집과 연계된 온오프라인 서비스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1219A (ko) 온라인 페이지에서의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JP5775313B2 (ja) ポイント交換装置,ポイント交換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ポイント交換方法
JP2019101880A (ja) ポイント管理装置、ポイント管理方法、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