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1472A - 물품 반송차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1472A
KR20210021472A KR1020207036062A KR20207036062A KR20210021472A KR 20210021472 A KR20210021472 A KR 20210021472A KR 1020207036062 A KR1020207036062 A KR 1020207036062A KR 20207036062 A KR20207036062 A KR 20207036062A KR 20210021472 A KR20210021472 A KR 2021002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operator
trans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하루 요시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02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65G1/137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the orders being assembled on a commissioning stacker-crane or tr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9/00Indexing codes relating to order picking devices in General
    • B65G2209/06Use of order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로부터, 물품 반송차를 사용하여 물품을 모을 때,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한 작업자를 적절히 특정한다. 물품(B)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1)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위치까지 주행하는 주행부(11)와, 작업자(M)에 의해 수납부(1)로부터 인출된 물품(B)을 지지하는 지지부(12)와, 작업자(M)의 식별 정보(MID)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4)를 포함하고, 식별 정보(MID)는, 작업자(M)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T)에 지지되고, 식별 정보 판독부(4)는, 지지부(12)보다 아래쪽에서의, 지지부(12)에 대하여 작업자(M)가 물품(B)을 진입시키는 측 U2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차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모으기 위한 물품 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47546호 공보에는, 수납 선반(storage shelf)(3)으로부터 피킹(picking)한 물품을, 점포 등의 송달처(仕分先; sorting destination)의 컨테이너에 집품(集品)하는 피킹 작업용 카트(picking work cart)(1)를 구비한 피킹 설비(picking facility)가 개시되어 있다(배경 기술에 있어서 괄호 내의 부호는 참조하는 문헌의 것). 이 설비에서는, 작업자가 피킹 작업용 카트(1)를 가압하면서, 상이한 품목이 수납된 복수의 수납부(5)로 구성되는 수납 선반(3)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킹 작업용 카트(1)에 설치된 단말 기기(21)에 의한 지정에 기초하여, 수납부(5)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고, 피킹 작업용 카트(1)의 컨테이너(8)에 저장한다. 컨테이너(8)는, 송달처마다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송달처마다 물품이 집품된다.
집품 시에는, 작업자가 잘못한 물품을 수납부로부터 인출하여 버릴 오피킹(erroneous picking)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오피킹의 발생이, 상기 작업자에게 적절히 피드백 되어,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피킹 작업을 행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47546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로부터, 물품 반송차를 사용하여 물품을 모을 때,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한 작업자를 적절히 특정하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된다.
일 태양(態樣)으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품 반송차는,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위치까지 주행하는 주행부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아래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장착되는 작업자의 몸의 부위에 따라서는,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판독부에 확실하게 읽어내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의 세움 위치나 동작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유지체의 크기나 형상에도 의하지만,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작업자의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식별 정보 판독부는, 작업자의 다리에 가까운, 지지부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한 지지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물품을 수납부로부터 인출하여 지지부에 지지하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읽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로부터, 물품 반송차를 사용하여 물품을 모을 때,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한 작업자를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물품 반송차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피킹 설비의 평면도
도 2는 피킹 설비의 사시도
도 3은 피킹 설비 및 물품 반송차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물품 반송차의 배면도
도 5는 물품 반송차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식별 정보 유지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어 블록도
도 8은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이하, 피킹 설비에 사용되는 물품 반송차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상하 방향 Z를 따라 위쪽으로부터 피킹 설비(100)를 본 상하 방향에서 볼 때의 평면도이며, 도 2는, 피킹 설비(100)를 경사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피킹 설비(100) 및 물품 반송차(3)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물품 반송차(3)의 배면도[후술하는 후방측 U2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5는, 물품 반송차(3)의 배면 사시도이다. 피킹 설비(100)에는, 물품(B)을 수납하는 수납부(1)를 복수 구비한 물품 수납 선반(2)과, 바닥면(F) 상을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킹 설비(100)에는, 물품 수납 선반(2)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B) 및 또한 물품 반송차(3)를 관리하는 제어 장치(H)도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킹 설비(100) 중에서는, 복수의 작업자(M)가, 물품 반송차(3)와 협동하여 복수의 수납부(1)로부터 송달처마다 물품(B)을 모으는 피킹 작업을 행한다.
이하, 수납부(1) 및 물품 수납 선반(2)에 대해서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물품 수납 선반(2)의 수납부(1)가 배열되는 방향을 제1 방향 X(배열 방향)이라고 하고, 수평면에 있어서 제1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 Y라고 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각의 수납부(1)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2 방향 Y를 따라 수납부(1)로부터 통로(L)를 향하는 방향을 통로 측 Y1, 제2 방향 Y를 따라 통로(L)로부터 수납부(1)로 향하는 방향을 수납부 측 Y2라고 한다. 물품 반송차(3)에 대해서는, 물품 반송차(3)가 직진하는 경우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 U라고 하고, 수평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 U와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V라고 한다. 전후 방향 U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3)가 직진하는 경우의 진행 방향 측을 전방측 U1라고 하고, 반대측을 후방측 U2라고 한다.
물품 수납 선반(2)은, 상하 방향 Z 및 제1 방향 X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의 수납부(1)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품 수납 선반(2)은, 상하 방향 Z로 간격을 둔 상태로 복수의 선반판(6)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선반판(6) 상에는, 제1 방향 X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의 수납용 용기(7)가 탑재되어 있다. 즉, 물품 수납 선반(2)에 구비된 복수의 수납용 용기(7)의 각각에 의해 수납부(1)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 선반(2)에는, 복수 종류의 물품이 종류별로 수납되어 있고, 1개의 수납부(1)[수납용 용기(7)]에는 1종류의 물품이 수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1)로서의 수납용 용기(7)는, 물품(B)을 출입하는 개구부(8)를 가지는 개구면(9)을 구비하고 있다. 수납용 용기(7)는, 개구면(9)이 통로 측 Y1을 향하도록 물품 수납 선반(2)에 설치되어 있다. 1개의 물품 수납 선반(2)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부(1)는, 개구면(9)을 같은 방향을 향해 배열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은, 복수의 영역(E)으로 구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복수의 영역(E)의 각각에 대하여 담당의 작업자(M)가 배치되어 있다. 작업자(M)는,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E)에 있어서, 물품 수납 선반(2)으로부터 물품 반송차(3)에 물품(B)을 이송탑재(transfer)하는 피킹 작업을 행한다. 또한, 작업자(M)는, 물품 반송차(3)로부터 물품 수납 선반(2)에 물품(B)을 이송탑재하는 보충 작업을 행해도 된다. 그리고, 영역(E)의 수와 작업자(M)의 수와의 관계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면, 1개의 영역(E)에 복수인의 작업자(M)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영역(E)을 1명의 작업자(M)가 담당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 장치(H)는, 수납부(1)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B)의 종별(種別)이나, 재고수 등을 관리하고 있다. 제어 장치(H)는, 예를 들면,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 송달처마다 물품 수납 선반(2)으로부터 물품(B)을 수집하는 피킹 지령이 출력되면, 피킹 정보를 물품 반송차(3)의 제어부(15)에 송신한다. 피킹 정보는, 작업자(M)에 의한 피킹 작업에 의해 물품(B)을 인출하는 수납부(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나 수납부(1)로부터 인출하는 물품(B)의 종류나 개수의 정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는, 바닥면(F)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11)와, 물품(B)을 지지하는 지지부(12)와, 피킹 정보를 작업자(M)에게 통지하는 통지부(10)와, 적어도 주행부(11)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3)는, 작업자(M)의 식별 정보[작업자 식별 정보 MID(도 8, 도 9 참조)]를 판독하는 ID 리더(4)(식별 정보 판독부)와, 물품(B)에 표시되어 있는 바코드[물품 식별 정보 PID(도 8, 도 9 참조)]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더(17)와, 지지부(12)가 지지하고 있는 물품(B)의 총중량을 계측하는 중량 검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부(11)는, 폭 방향 V로 배열되는 한 쌍의 주행륜(26)과, 한 쌍의 주행륜(26)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전후 방향 U의 양측에 설치된 종동륜(縱動輪)(27)과, 주행륜(26)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28)(도 7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부(11)는, 주행용 모터(28)에 의해 한 쌍의 주행륜(26)의 양쪽을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진 주행하고, 주행용 모터(28)에 의해 한 쌍의 주행륜(26)의 양쪽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후진 주행한다. 또한, 주행부(11)는, 주행용 모터(28)에 의해 한 쌍의 주행륜(26)을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선회(旋回) 주행한다. 그리고,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에는, 서로의 회전 방향이 상이한 것, 한쪽의 주행륜(26)만이 구동되어 다른 쪽의 주행륜(26)이 정지하고 있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주행부(11)에는, 지주(支柱; support column)(31)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주(31)에는 복수의 지지대(32)[여기서는 2개의 지지대(32)]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주(31)의 상단(上端)에는, 통지부(10)가 지지되어 있다. 주행부(11)의 상면, 및 2개의 지지대(32)의 각각에 반송용(搬送用) 용기(33)가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물품 반송차(3)가, 3개의 반송용 용기(33)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고, 이 반송용 용기(33)가, 물품(B)을 지지하는 지지부(12)에 상당한다.
통지부(10)는, 표시부(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14)는, 표시 화면이 후방측 U2 이면서 또한 상방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4)에는, 피킹 정보 PI 중 적어도 일부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14)에는, 수납부(1)로부터 인출하는 대상의 물품(B)인 대상 물품의 종별, 인출하는 개수, 대상 물품을 인출하는 대상의 수납부(1)인 대상 수납부, 대상 물품을 지지하게 하는 대상의 지지부(12)인 대상 지지부,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부(14)는, 터치 패널을 가지고 구성되고, 작업자(M)가 표시된 터치 버튼을 조작 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통지부(10)가, 표시부(14)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통지부(10)는, 표시부(14)를 구비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피킹 정보 PI를 음성 등으로 통지하는 형태라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 식별 정보 MID는, 작업자(M)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T)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자 식별 정보 MID는, 예를 들면, 각각의 작업자(M)에 할당된 작업자 번호 등이다. 도 5에는, 식별 정보 유지체(T)로서, 작업자(M)의 발목에 장착된 앵클릿형(anklet type) IC 태그(T1)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M)의 발끝 등, 구두의 일부에 구비된 칩형(chip type) IC 태그(T2)를 식별 정보 유지체(T)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식별 정보 유지체(T)는, 무선 통신에 의해 ID 리더(4)로 정보 통신 가능한 무선 태그(예를 들면, RFID 태그)로 할 수 있고, ID 리더(4)는, RFID 리더로 할 수 있다. 그 외에, 신발끈, 양말, 바지의 옷자락 등에, 태그를 장착해도 된다. 무선 태그는, 이른바 패시브형이면 전원을 고려하지 않고 작업자(M)에 소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통신 가능 거리를 길게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전원을 구비한 액티브 형의 무선 태그를 사용해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별 정보 유지체(T) 및 ID 리더(4)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작업자(M)의 발끝 등, 구두의 일부에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를 표시하고, 바코드 리더에 의해 상기 바코드에 유지된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판독하는 형태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1차원 또는 2차원의 바코드가, 식별 정보 유지체(T)에 상당하고, 바코드 리더가 ID 리더(4)에 상당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ID 리더(4)는, 지지부(12)보다 아래쪽에서, 또한 지지부(12)에 대하여 작업자(M)가 물품(B)을 진입시키는 측(후방측 U2)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ID 리더(4)가, 주행부(11)에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장 하단(下段)에 위치하는 지지부(12)가 주행부(1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ID 리더(4)는,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12)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주행부(11)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주행부(11)에 세워 설치되는 지주(31)에 모든 지지부(12)가 지지되고, 가장 하단의 지지부(12)와 주행부(11)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도록 한 경우에는, 상기 공간에 ID 리더(4)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주(31)에 ID 리더(4)가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ID 리더(4)가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M)의 다리에 설치된 식별 정보 유지체(T)로부터 적절히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ID 리더(4)가, 작업자(M)가 물품(B)을 진입시키는 측인 후방측 U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M)는 물품(B)을 지지부(12)로 진입시키는 행위를 따른 피킹 작업 중에 낭비하지 않고 자신의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ID 리더(4)에 읽어내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는, 또한 광을 조사(照射)하는 조사부(5)를 구비하고 있다. 조사부(5)는, ID 리더(4)에 의한 판독 대상 영역(R)을 광(가시광)의 조사에 의해 표시한다. 도 5에는, 주행부(11)가 주행하는 바닥면(F)에 대한 광의 조사에 의해, 조사부(5)가 판독 대상 영역(R)을 바닥면(F)에 표시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또한 안개 상태의 물방울의 분사에 의한 미스트(mist), 냉각 가스의 분사에 의해 공기 중의 수증기를 미세한 물방울에 상태 변화시킨 미스트 등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판독 대상 영역(R)을 공간에 표시시키는 형태라도 된다. 이 경우, 물품 반송차(3)는, 또한 미스트를 생성하는 미스트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F)에 대한 표시, 및 미스트 등을 사용한 공간으로의 표시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비가시광 등에 의해, 판독 대상 영역(R)에 대한 작업자(M)의 다리의 진입을 검출하여, 검출한 후에 판독 대상 영역(R)에 광을 조사하는 형태라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조사부(5)가 ID 리더(4)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조사부(5)와 ID 리더(4)는 별체라도 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제어부(15)는, 또한 ID 리더(4)를 제어하고, 작업자(M)에 의해 수납부(1)로부터 인출된 물품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경우에, 물품(B)의 정보(피킹 정보 PI, 대상 물품의 물품 식별 정보 TBID 등, 도 8, 도 9 참조)와 관련지어, ID 리더(4)가 판독한 작업자(M)의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기억부(40)(도 7 참조)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도 7에는, 기억부(40)가 물품 반송차(3)에 탑재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기억부(40)는, 물품 반송차(3)의 외부[제어 장치(H) 등의 상위의 컨트롤러나,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물품 반송차(3)로부터, 상기 외부의 기억부(40)에는, 통신에 의해 정보가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형태는, 무선 통신이지만, 물품 반송차(3)에 탑재된 일시 기억 매체에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외부의 기억부(40)와 물품 반송차(3)를 유선 접속함으로써, 외부의 기억부(40)에 정보가 전달되어도 된다. 또한, 유선 접속에 한정되지 않고, 일시 기억 매체가 물품 반송차(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의 경우에는, 일시 기억 매체에 의해 정보가 전달되어도 된다.
이하, 피킹의 수순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의 플로우차트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차(3)의 제어부(15)는, 제어 장치(H)로부터의 피킹 정보를 수취하면, 주행용 모터(28)를 구동 제어하여, 물품(B)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1)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위치 P1까지 주행부(11)를 주행시킨다. 제어부(15)는, 물품 반송차(3)에 탑재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 수납 선반(2)이나 작업자(M)나 다른 물품 반송차(3) 등의 장애물을 피해 자율 주행에 의해 설정 위치 P1까지, 물품 반송차(3)를 주행시킨다. 설정 위치 P1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3)가 정지하면, 그 설정 위치 P1가 포함되는 영역(E)을 담당하는 작업자(M)가, 물품 반송차(3)에 가까워져, 표시부(14)에 표시되어 있는 피킹 정보 PI를 확인한다. 피킹 정보 PI에는, 표시부(14)에 표시되지 않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도 되지만, 표시부(14)를 통하여, 설정 위치 P1에 있어서 수납부(1)로부터 인출하는 대상이 되는 물품인 대상 물품을 나타내는 정보가 적어도 작업자(M)에게 통지된다.
표시부(14)에는, 예를 들면, 몇 열째의 몇 단째의 수납부(1)가 대상 물품을 인출하는 대상의 대상 수납부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3)는, 지지부(12)로서, 3개의 반송용 용기(3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위로부터 몇번째의 반송용 용기(33)가, 송달처의 지지부(12)인 대상 지지부인 것도 나타나 있다. 또한, 대상 물품의 명칭 또는 상품 코드, 인출하는 개수 등도 표시되면 바람직하다.
작업자(M)는, 표시부(14)에 표시되는 피킹 정보 PI에 기초하여, 물품(B)을 수납부(1)로부터 인출하고, 지지부(12)로서의 반송용 용기(33)에 지지하게 한다. 또한, 작업자(M)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T)의 정보를 ID 리더(4)에 읽어내도록 한다. 그 후, 작업자(M)가, 표시부(14)의 터치 패널에 표시된 「완료」등의 터치 버튼에 접촉되면, 제어부(15)는, 지지부(12)에 대한 물품(B)의 인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물품(B)이 새롭게 지지부(12)에 지지되고, 작업자 식별 정보 MID가 판독된 경우에, 터치 패널의 「완료」등의 터치 버튼이 조작 가능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히, 작업자(M)가 터치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을 검출하여, 지지부(12)에 대한 물품(B)의 인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처음에 제어 장치(H)로부터의 피킹 정보 PI를 수취한다(S1).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피킹 정보 PI를 수취하면(S1), 주행부(11)를 제어하여 설정 위치 P1까지 물품 반송차(3)를 이동시킨다. 여기서는, 물품 반송차(3)의 이동에 관한 수순은 생략하고, 물품 반송차(3)가 설정 위치 P1에 도착한 후에 실행되는 스텝에 대하여 설명한다(특히 스텝 S3 이후. 스텝 S2에 대해서는 이동 중에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작업자(M)에 의한 「완료」의 터치 버튼으로의 조작에 대해서도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어부(15)는, 피킹 정보 PI를 수취하면, 피킹 정보 PI에 기초한 화상 정보 GI를 표시부(14)에 출력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4)에 피킹 정보 PI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시킨다(S2).
피킹을 담당하는 작업자(M)는, 설정 위치 P1에 도착한 물품 반송차(3)에 가까워져, ID 리더(4)에 식별 정보 유지체(T)를 접근하여,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읽어내도록 한다. 제어부(15)는, ID 리더(4)가 판독한 작업자 식별 정보 MID를 취득한다(S3). 또한, 작업자(M)는, 수납부(1)로부터 지정된 물품(B)인 대상 물품을 인출하고, 대상 물품에 표시되어 있는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17)에 접근해 바코드를 읽어내도록 한다. 제어부(15)는 대상 물품의 물품 식별 정보 TBID를 바코드 리더(17)로부터 취득한다(S4).
그리고, 물품 식별 정보 TBID는, 바코드 리더(17)가 판독한 정보가 아니고, 피킹 정보 PI에 포함되는 정보라도 된다. 이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3)에, 물품 식별 정보 판독부로서의 바코드 리더(17)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스텝 S3 및 스텝 S4의 순서는, 역이라도 된다.
제어부(15)는, 작업자 식별 정보 MID 및 물품 식별 정보 TBID를 취득하면, 양 정보를 관련지어 기억부(40)에 기억시킨다(S8). 여기서, 설정 위치 P1에 있어서 피킹되는 물품(B)으로서의 대상 물품은 기지(旣知)이므로, 스텝 S8에 있어서, 설정 위치 P1과 작업자 식별 정보 MID가 기억되어도 된다. 또는, 작업자 식별 정보 MID만이 기억되어도 된다.
도 8에 예시한 수순에서는, 바코드 리더(17)에 의해 물품 식별 정보 TBID가 판독된 것에 의해,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으로서, 기억부(40)에 작업자 식별 정보 MID 및 물품 식별 정보 TBID가 기억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을 더욱 정확하게 판정한 후에, 기억부(40)에 작업자 식별 정보 MID 및 물품 식별 정보 TBID가 기억되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3)에는, 지지부(12)가 지지하고 있는 물품(B)의 총중량을 검출하는 중량 검출부(18)가 구비되어 있다. 새로운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되면, 그 물품(B)만큼, 상기 지지부(12)에 지지되어 있는 물품(B)의 총중량은 증가한다. 따라서, 제어부(15)는, 중량 검출부(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 지지부로서의 지지부(12)의 총 중량이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증가한 경우에,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으로서, 기억부(40)에 작업자 식별 정보 MID 및 물품 식별 정보 TBID를 기억시킬 수 있다.
도 9의 스텝 S1로부터 스텝 S4는, 도 8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작업자(M)는, 수납부(1)로부터 인출한 물품(B)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17)에 접근해 바코드를 읽어내게 한 후, 지지부(12)에 물품(B)을 지지하게 한다. 따라서, 스텝 S4의 후에, 제어부(15)는, 중량 검출부(18)의 검출 결과인 총중량 W을 취득한다(스텝 S5). 다음에, 전회의 피킹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총중량 W인 구총중량 Wp와, 취득한 총중량 W을 비교한다(스텝 S6). 제어부(15)는, 구총중량 Wp에 대하여, 총중량 W 쪽이 클 경우에는,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되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구총중량 Wp의 값을, 총중량 W의 값으로 갱신하고(스텝 S7), 기억부(40)에 작업자 식별 정보 MID 및 물품 식별 정보 TBID를 기억시킨다(스텝 S8). 제어부(15)는, 총중량 W이 구총중량 Wp 이하의 경우에는,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재차 총중량 W을 취득하여 재차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도 9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총중량 W과 구총중량 Wp을 직접 비교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검출 오차("α"라고 함)를 고려하여, 총중량 W가 "구총중량 Wp+α"보다 큰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해도 된다. 또한, 피킹 정보 PI에 물품(B)의 중량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총중량 W이 상기 물품(B)의 중량에 대응하여 증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판정해도 된다. 또한, 총중량 W의 취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 식별 정보 TBID의 취득(S4) 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자 식별 정보 MID의 취득은, 총중량 W의 취득(S5) 전이 아니라도 된다. 따라서, 도 9에 있어서, 스텝 S3은, 스텝 S4 후에 실시되어도 되고, 스텝 S6 또는 스텝 S7 후에 실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제어부(15)가, 총중량 W에 기초하여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을 더욱 정확하게 판정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납부(1)로서의 수납용 용기(7)의 개구부(8)에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15)가, 상기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물품(B)이 지지부(12)에 지지된 것을 판정해도 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차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물품 반송차는, 1개의 태양으로서,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위치까지 주행하는 주행부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아래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장착되는 작업자의 몸의 부위에 따라서는,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판독부에 확실하게 읽어내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의 세움 위치나 동작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식별 정보 유지체의 크기나 형상에도 의하지만,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작업자의 동작의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본 구성과 같이, 식별 정보 유지체가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식별 정보 판독부는, 작업자의 다리에 가까운, 지지부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한 지지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물품을 수납부로부터 인출하여 지지부에 지지하게 하는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식별 정보를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읽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로부터, 물품 반송차를 사용하여 물품을 모을 때,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한 작업자를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부는, 물품 반송차 중에서도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부에 식별 정보 판독부를 장착함으로써, 적절히 지지부보다 아래쪽에 식별 정보 판독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한 판독 대상 영역을 광의 조사에 의해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독 대상 영역이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통지된다. 따라서, 식별 정보의 판독 미스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작업 효율의 저하를 막으면서, 작업자를 적절히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가, 상기 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사부가, 상기 판독 대상 영역을 광의 조사에 의해 표시하는 경우, 상기 조사부는, 상기 주행부가 주행하는 바닥면으로의 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판독 대상 영역을 상기 바닥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 정보 유지체는,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판독 대상 영역이 바닥면에 표시됨으로써, 높은 시인성(視認性)을 가지고 작업자에게 판독 대상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물품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경우에, 상기 물품의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해 판독한 상기 작업자의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물품의 정보와, 작업자의 식별 정보가 관련되어 기억부에 기억되므로,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인출한 작업자를, 각각의 물품에 대응시켜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1: 수납부
3: 물품 반송차
4: ID 리더(식별 정보 판독부)
5: 조사부
7: 수납용 용기(수납부)
11: 주행부
12: 지지부
15: 제어부
40: 기억부
B: 물품
F: 바닥면
M: 작업자
MID: 작업자 식별 정보(작업자의 식별 정보)
P1: 설정 위치
PI: 피킹 정보(물품의 정보)
PID: 물품 식별 정보(물품의 정보)
R: 판독 대상 영역
T: 식별 정보 유지체
T1: 앵클릿형 태그(식별 정보 유지체)
T2: 칩형 IC 태그(식별 정보 유지체)
TBID: 물품 식별 정보(물품의 정보)
U2: 후방측(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

Claims (5)

  1. 물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된 설정 위치까지 주행하는 주행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작업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식별 정보 판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다리에 장착된 식별 정보 유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지지부보다 아래쪽에서의,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작업자가 물품을 진입시키는 측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는,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어 있는, 물품 반송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을 조사(照射)하는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사부가,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한 판독 대상 영역을 광의 조사에 의해 표시하는, 물품 반송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주행부가 주행하는 바닥면으로의 광의 조사에 의해, 상기 판독 대상 영역을 상기 바닥면에 표시하는, 물품 반송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 및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납부로부터 인출된 물품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경우에, 상기 물품의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식별 정보 판독부에 의해 판독한 상기 작업자의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물품 반송차.
KR1020207036062A 2018-06-19 2019-06-13 물품 반송차 KR202100214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6406 2018-06-19
JP2018116406A JP6848934B2 (ja) 2018-06-19 2018-06-19 物品搬送車
PCT/JP2019/023493 WO2019244768A1 (ja) 2018-06-19 2019-06-13 物品搬送車 (article transport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472A true KR20210021472A (ko) 2021-02-26

Family

ID=6898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062A KR20210021472A (ko) 2018-06-19 2019-06-13 물품 반송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017853B2 (ko)
EP (1) EP3816072B1 (ko)
JP (1) JP6848934B2 (ko)
KR (1) KR20210021472A (ko)
CN (1) CN112203951B (ko)
CA (1) CA3104082A1 (ko)
TW (1) TWI826467B (ko)
WO (1) WO20192447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1858A (zh) * 2020-08-20 2020-12-18 上海姜歌机器人有限公司 一种针对拣货员拣货信息的处理方法及拣货机器人
JP7271822B2 (ja) * 2021-09-24 2023-05-12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無人移送車によるピッキング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546A (ja) 2007-03-30 2008-10-16 Daifuku Co Ltd ピッキング作業用台車およびピッキング作業用台車を備えたピッキング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6217A (en) 1990-09-24 1994-07-05 Clark Material Handling Company Lift truck with negative drop upright
JP2000142928A (ja) * 1998-11-10 2000-05-23 Ishida Co Ltd 商品仕分けシステム
JP3758543B2 (ja) * 2001-09-28 2006-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ピッキング設備
JP4412106B2 (ja) * 2004-08-10 2010-02-10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JP2007066173A (ja) * 2005-09-01 2007-03-15 Daifuku Co Ltd 物品搬送設備
DE202007010159U1 (de) 2007-07-19 2008-12-04 Rema Lipprandt Gmbh & Co. Kg Kraftgetriebenes Flurfördergerät
JP2009137748A (ja) * 2007-12-10 2009-06-25 Jisso Kk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5155473B1 (ja) * 2012-06-05 2013-03-06 株式会社ティ・アイ・イー 製品搬送装置
JP5904334B2 (ja) * 2012-08-06 2016-04-13 株式会社ダイフク ピッキング設備ならびにピッキング用移動体の使用方法
ES2938229T3 (es) 2013-09-09 2023-04-05 Dematic Corp Preparación de pedidos móvil y autónoma
JP5519071B1 (ja) * 2013-12-26 2014-06-11 山九株式会社 出荷管理システム
US9649766B2 (en) * 2015-03-17 2017-05-16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human/robot interaction
JP6164703B2 (ja) * 2015-03-19 2017-07-19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作業実績収集システム、作業実績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10436B2 (ja) * 2016-02-12 2019-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物品搬送システム、搬送装置及び物品搬送方法
JP6504072B2 (ja) * 2016-02-15 2019-04-24 オムロン株式会社 作業領域推定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作業領域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021382A1 (ja) * 2016-07-28 2018-02-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11000953B2 (en) * 2016-08-17 2021-05-11 Locus Robotics Corp. Robot gamification for improvement of operator performance
CN107539690B (zh) * 2017-08-25 2019-05-14 深圳普智联科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载人agv拣货车系统和拣货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546A (ja) 2007-03-30 2008-10-16 Daifuku Co Ltd ピッキング作業用台車およびピッキング作業用台車を備えたピッキング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8934B2 (ja) 2021-03-24
EP3816072B1 (en) 2024-05-22
WO2019244768A1 (ja) 2019-12-26
US20210130096A1 (en) 2021-05-06
TW202000552A (zh) 2020-01-01
CA3104082A1 (en) 2019-12-26
JP2019218181A (ja) 2019-12-26
EP3816072A1 (en) 2021-05-05
US12017853B2 (en) 2024-06-25
CN112203951B (zh) 2022-07-19
TWI826467B (zh) 2023-12-21
CN112203951A (zh) 2021-01-08
EP3816072A4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1985A (ko) 물품 반송차
US20190122174A1 (en) Hands-fre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icking and/or sorting assets
JP2021098610A (ja) 寸法閾値を超えて延在しているアイテムを検出する検出器を有する自動格納及び取得システム
CN111417495B (zh) 用于检查和盘点仓库中的存货的自主式机器人车辆
KR20210021472A (ko) 물품 반송차
US11542098B2 (en) Article transport vehicle
JP2019189380A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S2218834T3 (es) Equipo de distribucion para generos a piezas.
WO2019235280A1 (ja) 物品搬送車(article transport vehicle)
JP7370809B2 (ja) ピッキング作業支援装置およびピッキング作業支援プログラム
KR20170131958A (ko) 모바일 파워 카트
ES2577138T3 (es) Sistema de preparación de pedidos con módulos de almacenamiento acoplables en un vehículo de preparación de pedidos y dispositivos de supervisión de acceso y de localización
JPH11322027A (ja) 商品仕分けシステム
JP2021070550A (ja) ピッキ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およびピッキングアシスト方法
CN110902247A (zh) 一种购物平台发货后台管理系统
CN115515868A (zh) 补充辅助机器人及补充辅助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