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352A -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352A
KR20210014352A KR1020190092294A KR20190092294A KR20210014352A KR 20210014352 A KR20210014352 A KR 20210014352A KR 1020190092294 A KR1020190092294 A KR 1020190092294A KR 20190092294 A KR20190092294 A KR 20190092294A KR 20210014352 A KR20210014352 A KR 20210014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easurement
unit
sewag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달식
김태욱
유정민
장미선
Original Assignee
(주)아름다운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름다운환경 filed Critical (주)아름다운환경
Priority to KR102019009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4352A/ko
Publication of KR2021001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08B3/123Cleaning travelling work, e.g. webs, article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 수용되는 하수로부터 용존산소(DO), pH, MLSS, 온도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 및 초음파를 기반으로 세정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는, 초음파를 발진시키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외부로 공급하는 컨트롤 판넬부(100); 측정센서(220)를 통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여 수질정보가 측정된 측정센서(220)를 세정하는 측정부(200); 및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Cleaning device of sewage treatment plant measurement sensor}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수용되는 하수로부터 용존산소(DO), pH, MLSS, 온도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 및 초음파를 기반으로 세정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정보 중 용존산소는 수중 생태계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수질 관리 및 처리공정에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러한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갈바닉(Galvanic)형 전극과 폴라로그래픽(Polarographic)형 전극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 시료의 장시간 모니터링에 있어 센서부의 오염과 이물질 흡착으로 인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장치를 따로 설치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센서부 세척장치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581호(발명의 명칭: 회전형 플로트식 센서 세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오폐수의 DO, pH, MLSS, 온도, NH4 및 NO3 등의 수질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흐르는 오폐수의 이속을 이용하되, 회전하는 회전구체를 이용하여 그 유속을 보다 강화시켜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회전형 플로트식 센서 세정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회전구체가 부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흐르는 오폐수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로 오폐수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를 세척하기 때문에, 회전구체의 틈새로 오폐수가 유입되어 센서의 세척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501호(발명의 명칭: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질의 여러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가 통과되는 세정몸체와 자성체가 설치되는 세정체 및 자성체에 자기장의 영향력을 제공하기 위한 자력교반기를 구성하여, 자력교반기에서 자기장이 생성되면 세정체가 자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질측정센서를 접촉 방식이나 비접촉 방식으로 세정하며, 자력에 의한 회전이나 유속에 의한 회전으로 센서를 지속적으로 세정하는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침적형 방식에 있어서, 측정수에 투입된 상태로 수질측정센서를 세정하기 때문에, 세정체의 틈새로 측정수가 유입되어 수질측정센서의 세척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이용하여 센서를 세척함에 따라 세척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상기 종래기술들과 달리,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센서의 세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척장치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5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5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처리장의 하수로부터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로 1차 세정하고, 1차 세정이 완료된 측정센서를 초음파로 2차 세정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는, 초음파를 발진시키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외부로 공급하는 컨트롤 판넬부(100); 측정센서(220)를 통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여 수질정보가 측정된 측정센서(220)를 세정하는 측정부(200); 및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트롤 판넬부(100)는, 측정부(200)로부터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 발진자(110);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조(120); 및 세정수 저장조(120) 및 측정부(200)와 연결되어,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측정부(200)로 공급하는 에어펌프(130);를 포함한다.
또한, 측정부(200)는, 상측에 제1 홈(211), 하측에 제2 홈(213)이 형성되는 본체(210); 일측에는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221), 타측에는 측정부(221)보다 직경이 큰 홀딩부(223)가 구비되는 측정센서(220); 측정센서(220)가 끝단에 구비되며, 제1, 2 홈(211, 213)을 관통하게 되는 센서홀더(230);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센서(220)가 제2 홈(213)을 통과하여 하수(1)에 투입 또는 하수(1)로부터 꺼내진 후 제2 홈(213)을 통과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센서홀더(230)를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센서홀더 구동모터(240); 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센서홀더(230)를 따라 수직이동되는 측정부(221)가 인입되는 인입홈(251)이 상측에 형성되는 센서챔버(250);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정부(221)가 인입홈(251)에 인입 또는 측정센서(220)가 제2 홈(213)을 통과하여 하수(1)에 투입되도록 센서챔버(250)를 좌우방향으로 수평회전시키는 센서챔버 구동모터(260);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센서홀더(230)의 외측을 감싸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구동롤러부(270); 제2 홈(213)의 내측에 설치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하수(1)에 투입된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280); 및 센서챔버(2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인입홈(251)에 인입되는 측정부(221)를 세정하는 초음파 진동자(290);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롤러부(270)는, 제1 홈(211)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제1 구동롤러(271); 및 제1 구동롤러(271)보다 제2 홈(213)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구동롤러(271)와 함께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하 수직이동을 안내하되, 상하 수직이동 중 상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에 의해 홀딩부(223)가 접촉하게 되어,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하는 제2 구동롤러(273);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분사부(280)는, 제2 홈(213)의 내측에 설치되며, 컨트롤 판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순환관(281); 및 순환관(281)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측정센서(220) 또는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분사하는 에어노즐(283);을 포함한다.
그리고 에어노즐(283)은, 측정센서(220)로부터 하수(1)의 수질정보가 측정된 후,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가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한다.
또한, 초음파 진동자(290)는, 초음파의 발생 면적이 확대되도록 센서챔버(250)의 각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이동부(300)는,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키는 이동레버(310); 및 이동레버(310)에 의해 회전이동이 완료된 측정부(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20);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레버(310)는,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된 후,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의 회전이동이 요청되는 경우, 한 번의 회전이동으로 측정부(20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이동시켜,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고, 초음파를 발생시켜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함으로써, 측정센서의 세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인력 투입 없이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회전이동시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판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질정보 측정대기 상태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수질정보 측정 상태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회전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방법의 공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정방법의 공정 흐름에 따른 측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컨트롤 판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에어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수질정보 측정대기 상태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수질정보 측정 상태의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회전이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는 하수처리장에 수용되는 하수(1)로부터 용존산소(DO), pH, MLSS, 온도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한 측정센서를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로 1차 세정하고, 1차 세정이 완료된 측정센서를 초음파로 2차 세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컨트롤 판넬부(100), 측정부(200) 및 회전이동부(300)가 구비된다.
컨트롤 판넬부(100)는 측정부(200)로부터 초음파 발생되도록 하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에 구비된다.
이러한 컨트롤 판넬부(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진자(110), 세정수 저장조(120) 및 에어펌프(130)가 구비된다.
초음파 발진자(110)는 컨트롤 판넬부(10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5) 내부에 설치되며, 측정부(200)로부터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초음파 발진자(110)는 초음파 발생을 위해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측정부(200)의 초음파 진동자(29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세정수 저장조(120)는 하우징(105) 내부에 설치되며, 에어펌프(130)가 측정부(200)로 미세공기에 포함되는 세정수가 저장된다.
여기서, 세정수라 함은 하수(1)의 오염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제가 혼합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세정수 저장조(120)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에어펌프(130)가 측정부(200)로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에어펌프(130)와 파이프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세정수 저장조(120)는 하수(1)의 오염물질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50 L~100 L 저장될 수 있다.
에어펌프(130)는 하우징(105) 내부에 설치되며,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일측이 세정수 저장조(120)와 파이프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되어 세정수 저장조(120)로부터 세정수가 주입되고, 타측이 측정부(200)와 파이프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되어 에어펌프 작용을 통해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측정부(20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컨트롤 판넬부(100)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측정부(200)와 회전이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컨트롤 판넬부(100)는 측정부(200)와 회전이동부(300)의 구성들을 제어한다.
측정부(200)는 측정센서(220)를 통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초음파 발생 및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여 하수(1)의 수질정보가 측정된 측정센서(220)를 세정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에 구비된다.
이러한 측정부(200)는 도 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측정센서(220), 센서홀더(230), 센서홀더 구동모터(240), 센서챔버(250), 센서챔버 구동모터(260), 구동모터부(270), 에어분사부(280) 및 초음파 진동자(290)가 구비된다.
본체(210)는 상측에 센서홀더(230)가 관통하게 되는 제1 홈(211)이 형성되며, 하측에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가 관통하게 되는 제2 홈(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홈(213)은 내측에 에어분사부(280)가 설치되며, 에어분사부(280)로부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형상으로 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측정센서(220)는 하수(1)에 투입되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일측에는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22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측정부(221)보다 직경이 큰 홀딩부(223)가 구비된다.
측정부(221)는 측정센서(220)의 일측을 이루며, 하수(1)의 수질정보를 실질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예: DO 센서, pH 센서, MLSS 센서, 온도 센서 등)가 구비된다.
이러한 측정부(221)는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수질정보 측정 상태일 때, 하수(1)에 투입되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부(221)는 1일에 4~8번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며, 1번의 수질정보 측정을 15분동안 진행한다. 여기서, 1번의 수질정보 측정은 10분동안 안정화 과정이고, 5분동안은 10초마다 하수(1)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수질정보로 측정한다.
홀딩부(223)는 측정센서(220)의 타측을 이루며, 후술될 구동롤러부(270)의 제2 구동롤러(273)와의 접촉을 통해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한다.
센서홀더(230)는 연장형성되어 제1, 2 홈(211, 213)을 관통하게 되며, 제2 홈(213)을 관통하는 끝단에 측정센서(220)가 구비된다.
센서홀더 구동모터(240)는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되 센서홀더(230)와 축 결합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센서홀더(230)가 축 회전을 기반으로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센서홀더 구동모터(240)는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을 통해 측정센서(220)가 하수(1)로부터 꺼내지도록 하며, 제2 홈(213)을 통과하여 본체(2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홀더 구동모터(240)는 센서홀더(230)의 하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을 통해 측정센서(220)가 제2 홈(213)을 통과하여 하수(1)에 투입되도록 한다.
센서챔버(250)는 수질정보 측정 상태일 때 측정센서(220)가 하수(1)에 투입되도록 하되,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지 않는 수질정보 측정 대기 상태일 때는 측정센서(220)가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에 의해 하수(1)에 투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센서챔버(250)는 수질정보 측정 상태일 때 제2 홈(213)을 개방하고, 수질정보 측정 대기 상태일 때는 제2 홈(213)을 폐쇄한다.
그리고 센서챔버(250)는 수질정보 측정 대기 상태일 때, 측정센서(220)가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측에 인입홈(251)이 형성된다.
인입홈(251)은 측정센서(220)의 일측을 이루는 측정부(221)가 인입되며, 상기 인입을 통해 측정센서(220)가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센서챔버 구동모터(260)는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되 센서챔버(230)와 축 결합되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센서챔버(250)가 축 회전을 기반으로 좌우방향으로 수평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센서챔버 구동모터(260)는 센서챔버(250)를 좌측방향으로 수평회전시켜 제2 홈(213)을 개방함으로써, 측정센서(220)가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도록 하여, 측정부(221)가 하수(1)에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센서챔버 구동모터(260)는 센서챔버(250)를 우측방향으로 수평회전시켜 제2 홈(213)을 폐쇄함으로써, 측정부(221)가 인입홈(251)에 인입되도록 하여, 측정센서(220)의 하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을 차단한다.
구동롤러부(270)는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센서홀더(230)의 외측을 감싸며, 센서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 또는 하측방향 수직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동롤러부(270)는 제1 구동롤러(271) 및 제2 구동롤러(273)가 구비된다.
제1 구동롤러(271)는 제2 구동롤러(273)보다 제1 홈(211)에 인접하게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하방향으로의 수직이동을 안내한다.
제2 구동롤러(273)는 제1 구동롤러(271)보다 제2 홈(213)에 인접하게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하방향으로의 수직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제2 구동롤러(273)는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에 의해 홀딩부(223)와 접촉하게 되어,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는 센서챔버(250)를 통해 측정센서(220)의 하측방향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하고, 홀딩부(223)와 제2 구동롤러(273)를 통해 측정센서(22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에어분사부(280)는 에어펌프(13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분사하여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를 세정한다.
이러한 에어분사부(280)는 순환관(281) 및 에어노즐(283)이 구비된다.
순환관(281)은 제2 홈(213)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어펌프(13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형성하여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순환시킨다.
에어노즐(283)은 순환관(281)의 일측에 구비되며, 측정센서(220)가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한 후,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가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경우에, 측정센서(220) 또는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여 측정센서(220) 또는 센서홀더(230)의 일부를 세정한다.
초음파 진동자(290)는 센서챔버(250) 내부에 설치되며, 초음파 발진자(11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인입홈(251)에 인입되는 측정부(221)를 세정한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자(290)는 초음파의 발생 면적이 확대되도록 센서챔버(250)의 각 측면에 설치된다.
즉, 측정부(200)는 에어분사부(280)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통해 측정센서(220) 또는 센서홀더(230)의 일부를 세정하고, 측정센서(220)의 측정부(221)는 초음파 진동자(29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를 통해 재차 세정하는 것이다.
회전이동부(300)는 측정부(200)의 회전이동을 기반으로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에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이동부(3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버(310) 및 고정모듈(320)이 구비된다.
이동레버(310)는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켜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레버(310)는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된 후,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의 회전이동이 요청되는 경우, 한 번의 회전이동을 통해 측정부(200)를 90도 또는 180도로 회전이동시켜,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또한, 이동레버(310)는 측정부(200)가 외부에 위치된 후,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측정부(200)의 회전이동이 요청되는 경우, 한 번의 회전이동을 통해 측정부(200)를 90도 또는 180도로 회전이동시켜, 측정부(200)가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고정모듈(320)은 이동레버(310)와 축결합되며, 이동레버(310)에 의해 회전이동이 완료되는 측정부(200)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측정부(200)는 회전이동이 완료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방법>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를 이용한 세정방법의 공정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정방법의 공정 흐름에 따른 측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방법은 먼저, 측정센서(220)는 본체(210) 내부에 위치되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기 전의 측정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S10).
측정 대기 상태의 측정센서(220)는 센서홀더(230)가 센서홀더 구동모터(240)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하면, 센서홀더(230)를 따라 본체(100) 내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한다(S20).
측정센서(20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S20) 후, 센서챔버(250)는 센서챔버 구동모터(260)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수평회전되고(S30), 이를 통해 제2 홈(213)을 개방시킨다.
센서챔버(250)가 좌측방향으로 수평회전(S30)된 후, 센서홀더(230)는 센서홀더 구동모터(2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고, 측정센서(220)는 센서홀더(230)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어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한다(S40).
하수(1)의 수질정보 측정(S40)이 완료된 후, 센서홀더(230)는 센서홀더 구동모터(240)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고, 에어분사부(280)는 하수(1)에 투입된 후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를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한다(S50).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일부가 세정(S50)된 후, 센서챔버(250)는 측정센서(220)와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 수직이동이 완료되면, 센서챔버 구동모터(260)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수평회전되고(S60), 이를 통해 개방된 제2 홈(213)을 폐쇄시킨다.
센서챔버(250)가 우측방향으로 수평회전(S60)된 후, 초음파 진동자(290)는 센서홀더(230)가 센서홀더 구동모터(240)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어 측정센서(220)의 측정부(221)가 인입홈(251)에 인입되면, 초음파 진동자(11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킨다(S70). 이러한 초음파를 통해 인입홈(251)에 인입되는 측정부(221)는 세정된다.
측정부(221)의 초음파 세정 후, 측정센서(220)는 상술한 측정 대기 상태 단계(S10)로부터 초음파 발생 단계(S70)까지의 세정공정이 재차 반복되거나, 세정공정이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정공정 종료라 함은, 측정부(200)가 이동레버(310)에 의해 회전이동되어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교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하수,
10: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100: 컨트롤 판넬부,
105: 하우징,
110: 초음파 발진자.
120: 세정수 저장조,
130: 에어펌프,
200: 측정부,
210: 본체,
211: 제1 홈,
213: 제2 홈,
220: 측정센서,
221: 측정부,
223: 홀딩부,
230: 센서홀더,
240: 센서홀더 구동모터,
250: 센서챔버,
251: 인입홈,
260: 센서챔버 구동모터,
270: 구동롤러부,
271: 제1 구동롤러,
273: 제2 구동롤러,
280: 에어분사부,
290: 초음파 진동자,
300: 이동부,
310: 이동레버,
320: 고정모듈.

Claims (9)

  1. 하수(1)의 DO, pH, MLSS, 온도 등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센서(220)를 세정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10)에 있어서,
    초음파를 발진시키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외부로 공급하는 컨트롤 판넬부(100);
    상기 측정센서(220)를 통해 상기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질정보가 측정된 측정센서(220)를 세정하는 측정부(200); 및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측정부(200)가 상기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상기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는,
    상기 측정부(200)로부터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상기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 발진자(110);
    상기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조(120); 및
    상기 세정수 저장조(120) 및 상기 측정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상기 측정부(200)로 공급하는 에어펌프(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측에 제1 홈(211), 하측에 제2 홈(213)이 형성되는 본체(210);
    일측에는 상기 하수(1)의 수질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221), 타측에는 상기 측정부(221)보다 직경이 큰 홀딩부(223)가 구비되는 상기 측정센서(220);
    상기 측정센서(220)가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2 홈(211, 213)을 관통하게 되는 센서홀더(230);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측정센서(220)가 상기 제2 홈(213)을 통과하여 상기 하수(1)에 투입 또는 상기 하수(1)로부터 꺼내진 후 상기 제2 홈(213)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21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상기 센서홀더(230)를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센서홀더 구동모터(240);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홀더(230)를 따라 수직이동되는 측정부(221)가 인입되는 인입홈(251)이 상측에 형성되는 센서챔버(250);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부(221)가 상기 인입홈(251)에 인입 또는 상기 측정센서(220)가 상기 제2 홈(213)을 통과하여 상기 하수(1)에 투입되도록 상기 센서챔버(250)를 좌우방향으로 수평회전시키는 센서챔버 구동모터(260);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센서홀더(230)의 외측을 감싸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구동롤러부(270);
    상기 제2 홈(213)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하수(1)에 투입된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280); 및
    상기 센서챔버(2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인입홈(251)에 인입되는 측정부(221)를 세정하는 초음파 진동자(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부(270)는,
    상기 제1 홈(211)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상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제1 구동롤러(271); 및
    상기 제1 구동롤러(271)보다 상기 제2 홈(213)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롤러(271)와 함께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상하 수직이동을 안내하되, 상기 상하 수직이동 중 상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에 의해 상기 홀딩부(223)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상측방향으로의 수직이동 정도를 제어하는 제2 구동롤러(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280)는,
    상기 제2 홈(213)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가 순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순환관(281); 및
    상기 순환관(281)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상기 측정센서(220) 또는 상기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분사하는 에어노즐(28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283)은,
    상기 측정센서(220)로부터 상기 하수(1)의 수질정보가 측정된 후,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가 상측방향으로 수직이동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측정센서(220)와 상기 센서홀더(230)의 일부에 상기 세정수가 포함된 미세공기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동자(290)는,
    상기 초음파의 발생 면적이 확대되도록 상기 센서챔버(250)의 각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이동부(300)는,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측정부(200)를 회전이동시키는 이동레버(310); 및
    상기 이동레버(310)에 의해 회전이동이 완료된 상기 측정부(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모듈(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310)는,
    상기 측정부(200)가 상기 하수(1)의 상측에 위치된 후, 상기 컨트롤 판넬부(100)에 의해 상기 측정부(200)의 회전이동이 요청되는 경우, 한 번의 회전이동으로 상기 측정부(20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이동시켜, 상기 측정부(200)가 상기 하수(1)의 상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KR1020190092294A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KR20210014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94A KR20210014352A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94A KR20210014352A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352A true KR20210014352A (ko) 2021-02-09

Family

ID=7455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294A KR20210014352A (ko) 2019-07-30 2019-07-30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43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65B1 (ko) * 2021-11-01 2022-01-18 서정범 수질측정장치
KR102428562B1 (ko) 2022-03-31 2022-08-03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H센서 세척 및 교정 시스템을 구비한 pH 측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81B1 (ko) 2012-11-15 2013-03-25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회전형 플로트식 센서 세정장치
KR101464501B1 (ko) 2013-12-18 2014-12-04 길주형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581B1 (ko) 2012-11-15 2013-03-25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회전형 플로트식 센서 세정장치
KR101464501B1 (ko) 2013-12-18 2014-12-04 길주형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765B1 (ko) * 2021-11-01 2022-01-18 서정범 수질측정장치
KR102428562B1 (ko) 2022-03-31 2022-08-03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H센서 세척 및 교정 시스템을 구비한 pH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4352A (ko)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KR102089214B1 (ko) 하수처리장 용존산소 측정센서의 세척장치
JP4863260B2 (ja) 液面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処理装置
KR101434775B1 (ko) 세정 장치,세정 설비 및 세정 방법
KR20160047394A (ko) 기판 액처리 장치
KR101464501B1 (ko)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
TWI467073B (zh) 洗滌裝置
KR101324485B1 (ko)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TWI418681B (zh) Washing machine (5)
KR100708314B1 (ko) 노즐 처리 유닛 및 방법, 그리고 상기 유닛을 가지는 기판처리 장치
CN102984987A (zh) 餐具清洗机
KR100938235B1 (ko) 약액 공급 장치
KR20020012368A (ko) 세탁기의 살균수 공급장치
JP2003088812A (ja) ノズル洗浄装置
KR100872870B1 (ko) 순환 노즐 및 그를 포함하는 약액 공급 장치
JPH055066U (ja) 汚れ検知センサを具備する食器洗浄器
KR102050144B1 (ko) 무전해도금 시스템
KR102214544B1 (ko)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KR20210057531A (ko) 용존산소 측정센서의 세척장치
JP2008080293A (ja) 洗浄装置
KR102243606B1 (ko) 버블식 세안장치
JP2022055560A (ja) 浴槽洗浄装置
JP2006029837A (ja) 濁度計
JP3773390B2 (ja) 基板処理装置
KR102381081B1 (ko)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전극 표면 모니터링을 통해 공정 자동화한 축전식 탈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