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44B1 -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 Google Patents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44B1
KR102214544B1 KR1020200080792A KR20200080792A KR102214544B1 KR 102214544 B1 KR102214544 B1 KR 102214544B1 KR 1020200080792 A KR1020200080792 A KR 1020200080792A KR 20200080792 A KR20200080792 A KR 20200080792A KR 102214544 B1 KR102214544 B1 KR 10221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measurement sensor
item
sens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에이티티(주)
에널텍티엠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티(주), 에널텍티엠에스(주) filed Critical 에이티티(주)
Priority to KR102020008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되는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물리적 세척 및 압축공기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는, 본체; 및 본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다항목 측정 센서와 접촉하여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된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세척모;를 포함하되, 본체 및 세척모는, 오염물질의 부착이 용이한 젤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된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물리적 세척 및 압축공기로 세척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Washer of multi measuring sensor}
본 발명은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되는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물리적 세척 및 압축공기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다항목 측정 센서(또는 수질측정 센서)는 pH(수소이온농도),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량), Turbidity(탁도), DO(용존산소량), MPN(대장균군수) 잔류염소, ORP(산화환원전위차), 전기전도도 및 각종 이온의 측정 등과 같은 특정 값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며, 통상 챔버에 수용 또는 관로 내에서 흐르는 상, 하수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상, 하수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의 측정부(유리격막 또는 측정격막 혹은 측정셀)는 각종 센서 및 전극 등의 민감한 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확한 수질측정을 위해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측정부는 상수는 물론 오염정도가 심한 하수와 직접 접촉되는 관계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세척(또는 세정)작업이 정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항목 측정 센서의 측정부를 효과적으로 세척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세척장치의 개발이 미비하였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압축공기 또는 세정액을 분사하거나 초음파를 조사하여 다항목 측정 센서의 측정부를 세척하였으나, 상기 방법은 작업 인력의 소모는 물론 다항목 측정 센서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방법은 동작을 위한 장치가 복잡하고 많은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전력사용량이 많아 장시간 사용할 경우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압축공기 분사, 세정액 분사 및 초음파 조사 중 하나의 방식만을 이용하여 다항목 측정 센서의 측정부를 세척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다항목 측정 센서의 측정부를 세척하는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적은 전력을 이용하여 장시간 운용하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관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다항목 측정 센서의 세척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방식으로 다항목 측정 센서를 측정할 수 있는 세척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6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40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96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68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되는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물리적 세척 및 압축공기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수의 복수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챔버에 고정 배치 또는 회전 배치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는, 본체; 및 본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다항목 측정 센서와 접촉하여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된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세척모;를 포함하되, 본체 및 세척모는, 오염물질의 부착이 용이한 젤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세척모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메탈릴트리메틸실란, 알릴트리메틸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트리메틸실릴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릴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트리메틸실란, 2-메틸-1-(트리메틸실록시)-1-프로펜, 2-(트리메틸실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터트-부틸디메틸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소수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세척모는, 스티렌계, PVC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세척기는, 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로 유동되는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압축공기 분사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척기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분사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더 포함한다.
또한, 세척기는, 본체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세척모와 오염물질의 접촉 및 압축공기 분사구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분사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그리고 세척기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에 회전축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회전축과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유동경로로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력부는, 회전축의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직류 전동기 또는 교류 전동기이다.
그리고 압축공기 분사부는, 주변 공기를 흡입한 후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콤프레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된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물리적 세척 및 압축공기로 세척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회전에 따른 세척모의 물리적 세척과 본체의 회전에 따라 압축공기 분사구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분사방향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모가 소수성 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다항목 측정 센서로부터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의 세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의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고정 배치되는 측정수 수용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회전 배치되는 측정수 수용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고정 배치되는 부유식 측정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회전 배치되는 부유식 측정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의 세척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의 추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측정수(예: 상수, 하수 등)의 복수 항목(예: 온도, DO, pH, MLSS 등)을 측정하기 위한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되는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본체(10), 세척모(20), 압축공기 분사구(30), 회전축(40), 동력부(50) 및 압축공기 분사부(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향해 배치되며, 세척모(20)가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세척모(20) 사이 공간마다 압축공기 분사구(30)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오염물질의 부착이 용이한 젤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세척모(20)에 의해 다항목 측정 센서(100)로부터 이탈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며, 다항목 측정 센서(100)로부터 이탈되는 오염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척모(20)는 본체(10)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되, 상기 본체(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10)와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접촉할 때,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이러한 세척모(20)는 오염물질의 세척(또는 제거)을 위해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메탈릴트리메틸실란, 알릴트리메틸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트리메틸실릴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릴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트리메틸실란, 2-메틸-1-(트리메틸실록시)-1-프로펜, 2-(트리메틸실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터트-부틸디메틸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소수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세척모(20)는 상기 군의 소수성 소재 뿐만 아니라,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 세척이 용이한 언급되지 않은 소수성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척모(20)는 소수성 소재를 대체하여 오염물질의 세척이 용이한 스티렌계, PVC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미드계, 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세척모(20)는 오염물질의 부착이 용이한 젤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다항목 측정 센서(100)로부터 세척되는 오염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압축공기 분사구(30)는 본체(10)의 표면 중 세척모(20)의 사이 공간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압축공기 분사부(60)로부터 회전축(40)의 내부로 유동되는 압축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킨다.
이에 따라,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젤리형 탄성체의 본체(10) 및 세척모(20)와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물리적 세척을 통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하면서, 압축공기 분사구(3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한다.
회전축(40)은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를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축(40)은 압축공기 분사구(30)와 연결된 압축공기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압축공기 분사부(60)와 연결되어 압축공기 분사부(60)로부터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압축공기 분사구(30)로 유동시킨다.
이러한 회전축(40)을 통해, 세척모(20)는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하게 되며, 압축공기 분사구(30)는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분사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동력부(50)는 회전축(4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회전축(40)에 제공하기 위해 회전축(40)과 연결된다.
여기서, 동력부(50)는 회전축(40)의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직류 전동기 또는 교류 전동기일 수 있다.
압축공기 분사부(6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생성한 압축공기를 회전축(40)의 내부에 형성된 압축공기 유동경로로 분사한다.
여기서, 압축공기 분사부(60)는 주변 공기를 흡입한 후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콤프레셔일 수 있다.
상기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본체(10)의 회전만 이루어지는 고정 배치 상태에서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본체(1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고정 배치뿐만 아니라, 회전 배치를 위한 회전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회전수단(70)은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수단(70)을 통해,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에서 회전하면서, 본체(10)의 회전에 따른 세척모(20)의 물리적 세척과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압축공기 분사방향이 달라지는 압축공기 분사구(3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통해 오염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에 의해 세척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는 측정수의 온도 값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01), 측정수의 DO 값을 측정하는 DO센서(102), 측정수의 pH 값을 측정하는 pH센서(103) 및 측정수의 MLSS 값을 측정하는 MLSS센서(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온도센서(101), DO 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다만, 다항목 측정 센서(100)는 상기 센서(101, 102, 103, 104) 뿐만 아니라, 측정수의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센서(예: BOD센서, COD센서, SS센서, 탁도센서, MPN 잔류염소센서, ORP센서 등)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측정수를 내부에 수용하여 측정수의 복수 항목을 측정하는 수용식 측정 챔버(200)에 고정 배치될 때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고정 배치되는 측정수 수용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수용식 측정 챔버(200)에는 챔버 본체(210), 회전 이동축(220) 및 센서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챔버 본체(21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로부터 복수의 항목이 측정될 측정수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회전 이동축(220)은 챔버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외연에 결합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이동축(220)은 별도의 동력수단(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 이동축(220)은 나사산이 외연에 형성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이동축(220)은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부재(225)가 외연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배출구(23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챔버 본체(21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 챔버 본체(210)의 상측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배출구(23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확인 또는 교체를 위해 개방될 수 있고,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측정수의 복수 항목을 측정하는 동안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챔버 본체(21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2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챔버 본체(21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회전수단(7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실시예 1에서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고정 배치되더라도,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 2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수용식 측정 챔버(200)에 회전 배치될 때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회전 배치되는 측정수 수용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용식 측정 챔버(20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챔버 본체(210), 회전 이동축(220) 및 센서 배출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70)이 구비되어 챔버 본체(210)의 내벽에 회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하면서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2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회전되지 않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하면서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2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2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동력수단(미도시)의 동력 제공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즉, 실시예 2에서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회전 배치됨에 따라,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회전 여부와 상관없이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회전 배치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1보다 상대적으로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의 세척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실시예 3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측정수에 부유된 상태로 측정수의 복수 항목을 측정하는 부유식 측정 챔버(300)에 고정 배치될 때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고정 배치되는 부유식 측정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부유식 측정 챔버(300)에는 챔버 본체(310), 회전 이동축(320) 및 센서 배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챔버 본체(31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로부터 복수의 항목이 측정될 측정수로부터 부유될 수 있다.
이때, 챔버 본체(310)는 측정수로부터 부유되기 위한 부유수단(예: 튜브 등)이 외연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이동축(320)은 챔버 본체(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외연에 결합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이동축(320)은 별도의 동력수단(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 이동축(320)은 나사산이 외연에 형성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이동축(320)은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부재(325)가 외연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배출구(33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를 챔버 본체(310)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해 챔버 본체(310)의 상측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배출구(330)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확인 또는 교체를 위해 개방될 수 있고, 다항목 측정 센서(100)가 측정수의 복수 항목을 측정하는 동안 별도의 커버(미도시)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챔버 본체(31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3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챔버 본체(31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회전수단(7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실시예 3에서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고정 배치되더라도,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 4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부유식 측정 챔버(300)에 회전 배치될 때의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가 회전 배치되는 부유식 측정 챔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부유식 측정 챔버(300)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챔버 본체(310), 회전 이동축(320) 및 센서 배출구(330)가 구비될 수 있다.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상기 실시예 3과 달리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수단(70)이 구비되어 챔버 본체(310)의 내벽에 회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제자리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하면서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3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상측으로 최대한 이동된 후 회전되지 않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는 한 쌍으로 구현되어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주변을 따라 회전하면서 본체(10a, 10b), 세척모(20a, 20b) 및 압축공기 분사구(30a, 30b)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동제한부재(225)와 접촉될 때까지 회전 이동축(320)을 따라 최대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측정수로부터 이탈되고, 동력수단(미도시)의 동력 제공이 차단되어 회전되지 않는 다항목 측정 센서(1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다.
즉, 실시예 4에서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회전 배치됨에 따라, 다항목 측정 센서(100)의 회전 여부와 상관없이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1)가 회전 배치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3보다 상대적으로 온도센서(101), DO센서(102), pH센서(103) 및 MLSS센서(104)의 세척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10: 본체,
20: 세척모,
30: 압축공기 분사구,
40: 회전축,
50: 동력부,
60: 압축공기 분사부,
70: 회전수단.

Claims (9)

  1. 다항목 측정 센서를 세척하는 세척기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다항목 측정 센서와 접촉하여 상기 다항목 측정 센서에 부착된 유기물 형태의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세척모;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및 상기 세척모는,
    상기 오염물질의 부착이 용이한 젤리형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모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메탈릴트리메틸실란, 알릴트리메틸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트리메틸실릴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실릴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트리메틸실란, 2-메틸-1-(트리메틸실록시)-1-프로펜, 2-(트리메틸실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알릴옥시-터트-부틸디메틸실란 및 비닐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소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동되는 상기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압축공기 분사구; 및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유동경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세척모와 상기 오염물질의 접촉 및 상기 압축공기 분사구로부터 서로 다른 복수의 분사방향으로 분사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통해 상기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상기 세척기는,
    상기 다항목 측정센서의 주변을 따라 회전되기 위한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기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 유동경로로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회전축의 동력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직류 전동기 또는 교류 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주변 공기를 흡입한 후 압축하여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콤프레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KR1020200080792A 2020-07-01 2020-07-01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KR10221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92A KR102214544B1 (ko) 2020-07-01 2020-07-01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792A KR102214544B1 (ko) 2020-07-01 2020-07-01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44B1 true KR102214544B1 (ko) 2021-02-10

Family

ID=7456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792A KR102214544B1 (ko) 2020-07-01 2020-07-01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5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815A (ko) * 2000-02-18 2001-08-29 김준영 유체토출 회전솔로 구성된 주방용 소형 세척기
KR100334067B1 (ko) 1999-08-04 2002-04-26 김순택 초음파 세정기용 진동 장치
KR200344602Y1 (ko) 2003-12-08 2004-03-18 신동석 클리닝 헤드
KR100786883B1 (ko) 2006-11-24 2007-12-2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침적형 용존산소 측정계의 센서세정기
KR100989636B1 (ko) 2009-08-31 2010-10-26 (주)대신피아이씨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계측기 센서의 이물질 세척방법 및 계측기
JP2013066573A (ja) * 2011-09-22 2013-04-18 Kowa Co Ltd ブラシ用毛材
KR102089214B1 (ko) * 2019-06-19 2020-03-16 (주)아름다운환경 하수처리장 용존산소 측정센서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67B1 (ko) 1999-08-04 2002-04-26 김순택 초음파 세정기용 진동 장치
KR20010081815A (ko) * 2000-02-18 2001-08-29 김준영 유체토출 회전솔로 구성된 주방용 소형 세척기
KR200344602Y1 (ko) 2003-12-08 2004-03-18 신동석 클리닝 헤드
KR100786883B1 (ko) 2006-11-24 2007-12-2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침적형 용존산소 측정계의 센서세정기
KR100989636B1 (ko) 2009-08-31 2010-10-26 (주)대신피아이씨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계측기 센서의 이물질 세척방법 및 계측기
JP2013066573A (ja) * 2011-09-22 2013-04-18 Kowa Co Ltd ブラシ用毛材
KR102089214B1 (ko) * 2019-06-19 2020-03-16 (주)아름다운환경 하수처리장 용존산소 측정센서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501B1 (ko) 수질측정센서의 세정장치
CN103348233B (zh) 电流型传感器系统
US6516817B2 (en) Monitoring of cleaning process
ES2242730T3 (es) Sensor electroquimico para la deteccion especifica de acido peracetico en soluciones acuosas usando procedimientos de pulso amperimetrico.
EP1709979B1 (en) Cleaning indicator for monitoring of a cleaning process
EP1707222A1 (en) Monitoring of a cleaning process
MXPA04009013A (es) Dispositivo de cepillado y limpiador para limpiar sensores de la calidad el agua.
JP5893817B1 (ja) 濃度計及び内視鏡リプロセッサ
CN210386665U (zh) 一种污水处理厂用水质分析仪的清洗装置
KR102214544B1 (ko) 다항목 측정 센서 세척기
CN207380387U (zh) 分体式隐形眼镜还原仪
KR102214543B1 (ko) 다항목 수질 측정장치
JP2012061152A (ja) 医療機器洗浄装置
JP2008261770A (ja) 光学式試料測定装置、光学セル、及び、水質測定装置
CN1961966A (zh) Aer湿式清洗指示剂
JP2012127943A (ja) 重金属イオン測定方法及び重金属イオン測定装置
CN204964929U (zh) 新型隐形眼镜还原仪
KR20180027970A (ko) 수질 측정 센서 장치
CN206224085U (zh) 可拆卸清洗槽的隐形眼镜还原仪
KR20210014352A (ko) 하수처리장 측정센서의 세정장치
CN219456660U (zh) 一种抽拉式接触镜护理装置
KR20120111472A (ko) 휴대용 안경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안경집, 및 안경 세척 방법
JPH0622203Y2 (ja) 試料測定装置
CN1431056A (zh) 一种动力环保清洗器及其清洗方法
WO2024037534A1 (zh) 一种接触镜自动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