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06B1 - 버블식 세안장치 - Google Patents

버블식 세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06B1
KR102243606B1 KR1020190060813A KR20190060813A KR102243606B1 KR 102243606 B1 KR102243606 B1 KR 102243606B1 KR 1020190060813 A KR1020190060813 A KR 1020190060813A KR 20190060813 A KR20190060813 A KR 20190060813A KR 102243606 B1 KR102243606 B1 KR 10224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motor
duct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791A (ko
Inventor
장우림
장희윤
Original Assignee
장우림
장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림, 장희윤 filed Critical 장우림
Priority to KR102019006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3/0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안수가 모터에 유입되지 않게 하여 제품성을 높일 수 있는 버블식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안을 위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세정통과,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세정통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안내부와, 상기 세정통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정통에 담겨지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동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어 세정실의 물이 떨어질 때 구동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세정통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구비되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블식 세안장치{FACE CLEANSING APPARATUS TYPE BUBBLE}
본 발명은 버블식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안수가 모터에 유입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버블식 세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장치는 주로 화장을 많이 하는 여성이 얼굴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안장치 중에는 물속으로 주입되는 공기로 기포를 발생시켜 세정력을 얻도록 마련된 버블식 세안장치가 있다.
통상의 버블식 세안장치는 공기펌프를 이용하여 수중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버블식 세안장치 중에는 공기펌프가 세정실 저부 쪽에 위치한 것들이 있는데, 이러한 버블식 세안장치는 세정실의 물이 세정실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펌프 쪽으로 역류됨에 따라 모터와 같은 내부의 전장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높았다.
따라서 최근 버블식 세안장치 중에는 세정실의 물이 공기유로를 통해 저부의 공기펌프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장치의 제품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한 것들이 등장하고 있다.
일례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1096호에 개시된 버블식 세정장치가 그렇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버블식 세정장치는 세안 용도로 개발된 것으로, 공기펌프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세정실의 최고 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경유하여 세정실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세정실 보다 저부 쪽에 위치되는 공기펌프 쪽으로 세정실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블식 세정장치는 세정실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세정실의 물이 기포발생에 따라 유동될 때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 쪽으로 떨어지면서 모터에 물이 들어가게 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블식 세정장치는 세안을 위해 세정실의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모터를 온(on)시키면 세안이 끝날 때까지 모터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해서 작동하게 되어 세안을 위해 세정실의 물에 얼굴을 담고 있는 세안시간을 정확히 알 수 없어 얼마만큼 세안이 되었는지 파악이 어려워 세안효율이 떨어지고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10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모터와 별도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세정실의 물이 유로로 흘러내리면서 모터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최대화할 수 있는 버블식 세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실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공기 유입 팬을 작동시키는 모터의 작동을 대략 3분 작동시킬 때 대략 30초 후 3초 정지시키는 반복 작동으로 세정실에 얼굴을 담고 있는 세안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세안효율을 최대화하고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버블식 세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는 세안을 위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세정통과,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세정통에 설치되는 공기안내부와, 상기 세정통에 구비되어 세정통에 담겨지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동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어 세정실의 물이 떨어질 때 구동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과,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세정통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구비되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발생부는 세정통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실과,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정통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과,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안내부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파이프가 구비되며, 상부 내측에 공기안내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세정통의 상부로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덕트부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은 덕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세정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되 구동부의 모터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와, 상기 덕트부 내벽면과 차단판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세정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는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판에 부딪혀 덕트부 내에서 회전되어 고압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번 사용할 때 모터를 3분 구동시키되 25초 ~ 35초 후 2초 ~ 4초 간격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기포발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모터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에는 모터의 구동속도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기포 발생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기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에 의하면, 공기를 공급하여 물에 기포를 발생시켜 버블 형태로 세안할 수 있도록 모터가 구비된 덕트부 내측 상단에 모터를 감싸면서 차단판이 구비되되 차단판을 덕트부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구비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공기가 공기통로를 통해 공급되면서 세정실의 물에 기포가 발생되되 세정실의 물이 밑으로 떨어져도 차단판에 의해 모터에 유입되지 않고 공기통로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어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 및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안을 위해 공기를 주입하여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의 구동시간을 한 번 사용시 3분 작동시키면서 25초 ~ 35초 후 2초 ~ 4초 정지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세안할 때 세안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세안효율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작동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의 작동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블식 세안장치는 세정통(100)과, 기포발생부(200)와, 공기안내부(300)와, 본체(400)와, 구동부(500)와, 차단판(600)과, 공기공급부(700)와, 작동부(8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세정통(100)은 사발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세안을 위해 물이 담겨지도록 세정실(110)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통(100)은 외부에서 물이 담겨지는 세정실(110)을 볼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통(100)은 세안을 위해 성인의 얼굴이 세정실(110)로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발생부(200)는 세정통(10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유입되면서 세정실(110)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기포발생부(200)는 공기공급실(210)과, 기포발생판(220)과, 고정부재(23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실(210)은 세정통(100)의 세정실(110)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기공급부(70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실(210)은 세정통(100)과 일체화되며, 본체(400)의 상부에 본체(400)와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기포발생판(220)은 공기공급실(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공급실(210)에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세정통(100)의 세정실(110)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22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기포발생판(220)은 대략 0.2 ~ 0.5㎜ 두께를 가진 원형의 스테인리스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분사공(221)은 세정실(110)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골고루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부(ℓ₁)가 0.3 ~ 0.6㎜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ℓ₂)가 0.1 ~ 0.3㎜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면서 상, 하를 관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공(221)이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공급실(210)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분사공(221)을 통해 세정실(110)로 분사될 때 상기 공기분사공(221)의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분사공(221)의 상부에서 세정실(110)로 분사될 때에는 높은 압력에 의해 공기가 넓게 펴지면서 물의 기포가 넓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공급실(210)로 공기가 공급되고 기포발생판(220)의 공기분사공(221)을 통해 세정실(110)로 공기를 공급하여 세정실(110)에 담긴 물에 기포가 발생되어 기포들이 얼굴과 접촉하여 파열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며, 이를 통해 피부의 오염물질, 유지분, 화장, 각질 등의 박리가 이루어져 얼굴이 세정되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30)는 공기공급실(210)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22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0)는 공기공급실(210)의 상부에 기포발생판(220)이 놓인 상태에서 공기공급실(210)에 나사 형태 또는 자석을 이용한 자력으로 체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0)는 공기공급실(210)에 체결되면서 기포발생판(220)의 공기분사공(221)을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30)가 공기공급실(2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형태 또는 자석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판(2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실(210)에서 고정부재(23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기 공기공급실(210) 내의 청소나 기포발생판(22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안내부(300)는 세정통(100)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기포발생부(20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안내부(300)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공급실(21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파이프(310)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부(300)는 상부 내측으로 공기안내부(300)를 세정통(1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세정통(100)의 상부에 걸리는 걸림턱(320)이 구비되게 된다.
이에 상기 걸림턱(320)이 세정통(100)에 걸리면서 공기안내부(300)를 세정통(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320)에 의해 공기안내부(300)를 세정통(10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기 공기안내부(300)의 내부가 오염되어도 청소를 할 수 있거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400)는 공기가 공급되는 덕트부(410)와, 상기 덕트부(410)를 감싸면서 세정통(100)이 안착되는 케이스(42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400)는 세정통(100)의 하부에 세워서 설치되거나 또는 측면에 옆으로 눕혀져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400)가 세정통(100)의 측면에 설치되면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410)와 기포발생부(200)가 연결파이프(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덕트부(4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연결파이프를 통해 기포발생부(20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덕트부(410)는 공기가 유입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작동부(8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420)는 덕트부(410)의 외부를 감싸면서 덕트부(410)를 설치하며, 상부에 세정통(100)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500)는 본체(400)의 덕트부(410) 내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500)는 덕트부(4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작동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부(8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하부에 연결되어 모터(51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 팬(52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600)은 덕트부(410) 내측 상부에 모터(510)의 상단과 측면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세정실(110)의 물이 떨어질 때 모터(51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600)은 덕트부(410) 내에 모터(510)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되 덕트부(410)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기포발생부(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410)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덕트부(410) 내에 차단판(600)이 구비될 때 덕트부(410)와 차단판(600) 사이에 공간을 두어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공기통로(7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차단판(600)이 모터(510)의 상부와 측면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세정실(110)의 물이 밑으로 떨어져도 차단판(600)에 막혀 공기통로(720)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면서 모터(510)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600)의 상부에는 덕트부(410)와 차단판(600) 사이로 공급되는 공기가 곧바로 공기파이프(310)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격벽(61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부(700)는 덕트부(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부(500)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세정실(110)의 물에 기포가 발생될 수 있도록 기포발생부(200)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부(700)는 본체(4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구동부(500)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구(710)와, 상기 덕트부(410)와 차단판(600)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710)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안내부(300)를 통해 기포발생부(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720)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710)의 안쪽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필터(73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공기통로(720)는 덕트부(410)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공기파이프(310)와 연통되게 된다.
즉, 상기 공기통로(720)는 공기유입구(710)로 유입되는 공기가 덕트부(410) 내의 차단판(600)에 부딪히게 되어 덕트부(410) 내에서 회전되어 고압을 유지하면서 공기파이프(3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410)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게 된다.
상기 작동부(800)는 본체(400)의 케이스(420) 정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5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부(800)는 모터(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에 따라 모터(510)의 구동을 제어하는 PCB기판(810)과, 상기 PCB기판(8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510)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작동버튼(82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PCB기판(810)은 버튼식 세안장치를 한 번 사용할 때 모터(510)를 대략 3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되 상기 모터(510)를 25초 ~ 35초 구동 후 2초 ~ 4초 간격으로 대략 6번 정지시킬 수 있도록 모터(5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PCB기판(8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510)를 25초 ~ 35초 구동시킨 후 2초 ~ 4초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공기의 공급을 일시 중단하여 2초 ~ 4초 동안 세정실(110)의 물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숨쉬기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버튼(820)은 모터(510)를 사용 전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820)에는 세기조절부(830)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5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기포 발생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단계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세기조절부(830)는 일 예로 1단계 ~ 8단계까지 가변식으로 설정하여 모터(5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800)에 전기가 인가된 상태에서 작동버튼(820)을 오프(off) 상태에 놓아 모터(510)가 구동되지 않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세기조절부(830)에 의해 작동버튼(820)을 단계별로 조절하게 되면 상기 PCB기판(810)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5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함과 함께 상기 공기공급부(700)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조절되어 세정실(110)의 물에 발생되는 기포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버블식 세안장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세정통(100의 세정실(110)에 물을 일정량 담고, 상기 작동버튼(820)을 온(on)시켜 PCB기판(810)의 제어에 따라 모터(51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 유입 팬(520)이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유입구(71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공기통로(720)를 통과하여 상기 기포발생부(200)로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부(200)의 공기공급실(210)로 공기가 공급되면서 상기 기포발생판(220)의 공기분사공(221)을 통해 세정실(110)로 분사됨으로써 공기의 압력에 의해 세정실(110)의 물에 기포가 발생되어 공기방울이 터지면서 상기 세정실(110)에 담그고 있는 얼굴의 피부에 미세 진동 및 초음파 진동이 발생되어 세안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부(500)의 작동에 따라 공기공급부(700)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공기공급실(210)로 공급되고 상기 기포발생판(220)의 공기분사공(221)을 통해 세정실(110)로 분사되어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피부에 생긴 각질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부(410)의 내부에 모터(510) 외부를 감싸면서 차단판(600)이 구비되고 상기 덕트부(410)의 내벽면과 차단판(6000 사이가 이격되어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통로(720)가 형성되어 공기유입구(7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판(600)에 막혀 덕트부(410) 내에서 회전되면서 공기의 압력이 상승되고 높은 압력의 공기가 공기통로(720)를 통해 공기파이프(310)를 통과하여 공기공급실(210)로 공급될 수 있어 기포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600)이 모터(51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세정실(110)의 물이 공기공급실(210)로 떨어지면서 공기통로(720)로 유입되어도 상기 차단판(600)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이 공기통로(720)로 흘러내려 모터(510)에는 들어가지 않아 모터(51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세정통 110 : 세정실
200 : 기포발생부 210 : 공기공급실
220 : 기포발생판 221 : 공기분사공
230 : 고정부재 300 : 공기안내부
310 : 공기파이프 320 : 걸림턱
400 : 본체 410 : 덕트부
420 : 케이스 500 : 구동부
510 : 모터 520 : 공기 유입 팬
600 : 차단판 620 : 격벽
700 : 공기공급부 710 : 공기유입구
720 : 공기통로 730 : 필터
800 : 작동부 810 : PCB기판
820 : 작동버튼 830 : 세기조절부

Claims (9)

  1. 세안을 위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세정통;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발생부;
    상기 세정통에 설치되는 공기안내부;
    상기 세정통에 구비되어 세정통에 담겨지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동부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어 세정실의 물이 떨어질 때 구동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차단판;
    상기 덕트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세정통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정면에 구비되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구동부의 모터 구동을 제어하는 PCB기판과,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기포발생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모터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되 작동버튼에는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속도를 단계별로 설정하여 기포 발생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세기조절부가 구비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부는,
    상기 세정통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공급실;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정통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 및
    상기 공기공급실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부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파이프가 구비되며, 상부 내측에 공기안내부를 탈착 가능하도록 세정통의 상부로 걸리게 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덕트부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 팬;을 포함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덕트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여 세정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구비되되 구동부의 모터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덕트부 내벽면과 차단판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세정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단판에 부딪혀 덕트부 내에서 회전되어 고압을 유지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덕트부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은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 번 사용할 때 모터를 3분 구동시키되 25초 ~ 30초 후 2초 ~ 4초 간격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식 세안장치.
  9. 삭제
KR1020190060813A 2019-05-23 2019-05-23 버블식 세안장치 KR10224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13A KR102243606B1 (ko) 2019-05-23 2019-05-23 버블식 세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13A KR102243606B1 (ko) 2019-05-23 2019-05-23 버블식 세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91A KR20200134791A (ko) 2020-12-02
KR102243606B1 true KR102243606B1 (ko) 2021-04-23

Family

ID=7379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13A KR102243606B1 (ko) 2019-05-23 2019-05-23 버블식 세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6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96B1 (ko) * 2010-02-17 2011-03-11 장용웅 세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96B1 (ko) * 2010-02-17 2011-03-11 장용웅 세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91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0669A (zh) 皮肤护理装置
KR102243606B1 (ko) 버블식 세안장치
JP6706135B2 (ja) 洗濯機
KR2017010040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1225B1 (ko) 버블식 세안장치
KR20110120564A (ko) 세안 장치
WO2020233654A1 (zh) 作物清洗机
JP3927161B2 (ja) 気泡発生用ノズル及び同ノズルを使用した洗濯装置
JP201015521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9094521A (ja) 薬液供給装置
JP2007252434A (ja) 頭部洗浄装置
CN110441924A (zh) 一种隐形眼镜的清洗控制方法
KR101929944B1 (ko) 기포 세안 장치
JPH11151198A (ja) 内視鏡洗浄装置
JP6828244B2 (ja) 浴槽洗浄装置及び風呂給湯システム
CN110387717A (zh) 家用电器装置
JPH119541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2006055685A (ja) 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2008237605A (ja) 浴槽洗浄装置
JP2020120909A (ja) 洗濯機
JP2005058472A (ja) 食材洗浄装置
JP2019024753A (ja) 靴洗浄装置
JP2019181415A (ja) 電解超音波洗浄機
KR102388393B1 (ko) 식기세척기의 와류생성장치
WO2020079985A1 (ja) 洗浄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