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131A - 휴대용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131A
KR20210047131A KR1020190130826A KR20190130826A KR20210047131A KR 20210047131 A KR20210047131 A KR 20210047131A KR 1020190130826 A KR1020190130826 A KR 1020190130826A KR 20190130826 A KR20190130826 A KR 20190130826A KR 20210047131 A KR20210047131 A KR 2021004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ody housing
main body
cleaning device
portabl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림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장우림
박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림, 박영선 filed Critical 장우림
Priority to KR102019013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131A/ko
Publication of KR2021004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6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water-flow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61H33/028Means for producing a flow of gas, e.g. blowers, com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세안할 수 있는 휴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담긴 세면대에 넣어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시켜 세면대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세정장치{PORTABL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는 휴대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물비누 및 바 형태의 비누는 대기중에 직접 노출되어 산패되고, 습기에 노출되어 물성적 무름 현상이 발생하여 휴대성이 떨어지고, 사용시 손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비누 입자의 크기가 한정적이어서 사용량이 많아 수질오염의 빈도를 높이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051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의 "세정수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마사지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의 세정수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마사지장치는 외주연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다리가 형성되고, 표면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분출구에 대해 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주입구와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분출구 및 주입구가 노즐로 연결되는 프로브; 상기 프로브의 저면을 따라 상기 노즐을 중심으로 부착되며, 인가되는 전압으로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진동자; 상기 프로브의 표면 및 분출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다리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어느 한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다리의 연장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주입구에 타측이 연결되고, 일측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호스;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일측이 접선되는 제 1전원선 및 상기 초음파진동자 및 프로브 중 선택적으로 일측이 접선되는 제 2전원선; 상기 각 전원선의 타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진동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구동회로; 및 일정수압의 물이 상기 주입구에 공급되어 분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 하부의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호스의 일측에 연결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세정수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마사지장치는 비누 버블 등과 같은 인체세정물질을 직접 분출하지 않으며, 어느 한 일정한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휴대가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0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706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변의 물이 담겨진 세면대에 담그고 에어호스로 공기를 공급하여 외부로 분사시켜 물에 기포가 발생함에 따라 손을 사용하지 않고 얼굴이나 발 등의 몸을 간편하게 세정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피부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세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는 물이 담긴 세면대에 넣어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시켜 세면대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내부에 공기공급부의 작동으로 에어호스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안내부가 형성되며, 측부에 공기안내부와 연통되어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공기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구의 안쪽면에는 공기안내부로 떨어지는 물이 에어호스로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세면대에 담긴 물의 부력을 이길 수 있도록 무게추 또는 흡착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는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면대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공은 세면대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골고루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 보다 넓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 하우징에 분리가능하도록 나사 또는 자석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본체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로 에어를 공급하게 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에어호스를 통해 본체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팬과,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세정을 위해 물이 담겨지는 세정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물의 부력을 이길 수 있도록 알루미늄의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주변의 세면대를 이용하여 손을 대지 않고 버블식으로 분출되는 물로 얼굴, 손, 발 등의 몸을 세정하게 됨으로써 피부손상 및 피부질환을 방지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전체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과 공기배출부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전체 내부구성을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의 본체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정장치는 본체 하우징(100)과, 공기배출부(200)와, 공기공급부(3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물이 들어 있는 세면대(10)에 담아서 물속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받게 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안내부(11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공기안내부(110)와 연통되며, 에어호스(140)와 연결되어 에어호스(140)를 통해 공기안내부(11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구(12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공기공급구(120)에 에어호스(140)가 연결되어 에어호스(140)를 통해 공기안내부(110)로 공기가 공급되면서 상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구(120)의 안쪽면에는 세면대(10)에 담겨진 물이 공기안내부(110)로 떨어지면서 공기공급구(120)를 통해 에어호스(140)로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밸브(15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본체 하우징(100)이 세면대(10)의 물속에 담겨질 때 부력을 견뎌서 세면대(10)의 바닥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무게추 또는 흡착판(13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무게추 또는 흡착판(130)에 의해 본체 하우징(100)의 무게가 무거워 부력에도 본체 하우징(100)이 물의 표면으로 뜨지 않고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본체 하우징(100)은 무게추 또는 흡착판(130)을 사용하지 않고 알루미늄의 통체로 구비하여 본체 하우징(100) 자체로 물의 부력을 이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세정을 위해 물이 담겨지는 세정통(2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통(20)은 본체 하우징(10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끼움 방식이나 나사 체결 방식 등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세정통(20)을 직접 구비함에 따라 세면대(10)가 구비되지 않는 실외에서도 휴대용 세정장치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얼굴, 손, 발 등의 몸을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 하우징(100)의 공기안내부(110)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부로 분사시켜 세면대(10)에 담겨 있는 물에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배출부(200)는 기포발생판(210)과, 고정부재(22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기포발생판(210)은 공기안내부(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공급구(120)를 통해 공기안내부(110)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세면대(10)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2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판(210)은 대략 0.2 ~ 0.5㎜ 두께를 가진 원형의 스테인리스강판으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공기분사공(211)은 세면대(10)에 담겨진 물에 기포를 골고루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체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공(211)은 상부(ℓ1)가 0.3 ~ 0.6㎜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ℓ2)가 0.1 ~ 0.3㎜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를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공(211)이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안내부(110)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분사공(211)을 통해 세면대(10)로 분사될 때 상기 공기분사공(211)의 하부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높은 압력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분사공(211)의 상부에서 세면대(10)로 분사될 때에는 높은 압력에 의해 공기가 넓게 펴지면서 물의 기포가 넓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공기안내부(110)로 공기가 공급되고 기포발생판(210)의 공기분사공(211)을 통해 세면대(10)로 공기를 공급하여 세면대(10)에 담겨진 물에 기포가 발생되어 기포들이 얼굴, 손, 발에 접촉하여 파열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되며, 이를 통해 피부의 오염물질, 유지분, 화장, 각질 등의 박리가 이루어져 인체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2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20)는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기포발생판(210)이 놓여진 상태에서 본체 하우징(100)과 나사 형태 또는 자석으로 체결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20)는 본체 하우징(100)에 체결되면서 기포발생판(210)의 공기분사공(211)을 통해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20)가 본체 하우징(10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형태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기포발생판(2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서 고정부재(22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기 본체 하우징(100) 내의 청소나 기포발생판(2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300)는 본체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에어호스(140)로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100) 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부(300)는 케이스(310)와, 모터(320)와, 공기유입팬(330)과, 컨트롤러(340)와, 배터리(35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310)는 본체 하우징(100)과 별도로 구비되어 본체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호스(140)가 연결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310)는 상부로 본체 하우징(100)이 올려질 수 있는 안착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11)의 내부에 에어호스(140)가 연결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연결구(312)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11)의 내경은 본체 하우징(100)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 하우징(10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311)에는 공기공급구(120)와 연결구(312)에 연결되는 에어호스(140)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에어호스(1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313)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모터(320)는 케이스(310) 내부에 설치되어 컨트롤러(34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320)는 공기유입팬(330)을 이용한 팬모터를 사용하거나 석션모터 또는 펌핑모터의 다양한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팬(330)은 모터(320)의 하부에 연결되어 모터(32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공기유입구(31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에어호스(14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340)는 모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의 공급에 따라 모터(320)의 구동을 제어하는 PCB기판(341)이 구비되며, 상기 PCB기판(3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320)의 작동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작동버튼(342)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340)는 모터(320)를 1분 정도 구동되게 한 후 2초 ~ 4초 정도 정지시키면서 대략 3분 후에 정지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350)는 모터(320)와 컨트롤러(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350)는 충전식으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용 세정장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케이스(310)의 안착부(311) 상에 올려져 있는 본체 하우징(100)을 분리하고 상기 에어호스(140)를 연결구(312)와 공기공급구(120)에 연결시키며, 물이 채워진 세면대(10)에 본체 하우징(100)을 담그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하부에 무게추 또는 흡착판(13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 하우징(100)이 부력에 의해 뜨지 않고 세면대(10)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기포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버튼(342)을 온(on)시켜 PCB기판(341)의 제어에 따라 모터(32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유입팬(330)이 회전되면서 상기 공기유입구(31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연결구(312)를 거쳐 에어호스(140)를 통과하여 공기안내부(110)로 공기가 공급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부(110)로 공기가 공급되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기포발생판(210)의 공기분사공(211)을 통해 압축된 공기가 분사되며,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세면대(10)에 담겨진 물에 기포가 발생되어 공기방울이 생기면서 세면대(10)에 담그고 있는 얼굴, 손, 발의 피부에 미세 진동 및 초음파 진동이 발생되어 세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공급부(300)의 작동에 따라 공기유입구(313)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에어호스(140)를 통해 공기안내부(110)로 공급되고 상기 기포발생판(210)의 공기분사공(211)을 통해 세면대(10) 또는 세정통(20)으로 분사되어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피부에 생긴 각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0)이 케이스(310)와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본체 하우징(100)의 휴대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세면대(10)가 구비되어 있으면 세면대(10)에 본체 하우징(100)을 담가서 언제든지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하우징(100)에 세정통(20)을 구비함으로써 세면대(10)가 없어도 상기 세정통(20)에 물을 담아서 세정을 할 수 있어 사용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로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세면대 20 : 세정통
100 : 본체 하우징 110 : 공기안내부
120 : 공기공급구 130 : 무게추 또는 흡착판
140 : 에어호스 150 : 체크밸브
200 : 공기배출부 210 : 기포발생판
211 : 공기분사공 220 : 고정부재
300 : 공기공급부 310 : 케이스
311 : 안착부 312 : 연결구
313 : 공기유입구 320 : 모터
330 : 공기유입팬 340 : 컨트롤러
341 : PCB기판 342 : 작동버튼
350 : 배터리

Claims (9)

  1. 물이 담긴 세면대에 넣어 공기를 공급받게 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시켜 세면대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본체 하우징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내부에 공기공급부의 작동으로 에어호스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안내부가 형성되며, 측부에 공기안내부와 연통되어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공기공급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구의 안쪽면에는 공기안내부로 떨어지는 물이 에어호스로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세면대에 담긴 물의 부력을 이길 수 있도록 무게추 또는 흡착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세면대에 담긴 물에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공이 형성된 기포발생판;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어 기포발생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 하우징에 분리가능하도록 나사 또는 자석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호스가 연결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로 에어를 공급하게 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는 세정을 위해 물이 담겨지는 세정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물의 부력을 이길 수 있도록 알루미늄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정장치.
KR1020190130826A 2019-10-21 2019-10-21 휴대용 세정장치 KR2021004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26A KR20210047131A (ko) 2019-10-21 2019-10-21 휴대용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26A KR20210047131A (ko) 2019-10-21 2019-10-21 휴대용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31A true KR20210047131A (ko) 2021-04-29

Family

ID=7572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26A KR20210047131A (ko) 2019-10-21 2019-10-21 휴대용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1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51Y1 (ko) 2002-05-20 2002-08-30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세정수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마사지장치
KR20070027063A (ko) 2005-08-29 2007-03-09 박성호 초음파 인체 세정 및 마사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51Y1 (ko) 2002-05-20 2002-08-30 주식회사 울쏘하이텍 세정수 공급 기능을 갖는 초음파마사지장치
KR20070027063A (ko) 2005-08-29 2007-03-09 박성호 초음파 인체 세정 및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074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及び同装置を利用した洗髪装置
CN1665599A (zh) 自动清洁喷洗器
KR102282358B1 (ko) 휴대용 초음파 버블 세정장치
KR20120096368A (ko) 흡입노즐에 여과부재를 구비한 나노버블 발생장치
KR100807726B1 (ko) 미세공판을 이용한 부표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CN111185312B (zh) 一种超声波按摩搓澡洗头洗脸花洒装置
TWI268771B (en) Dishwasher
KR20210047131A (ko) 휴대용 세정장치
JPH07213968A (ja) 小形洗浄器兼用の携帯用超音波加湿器
JP2012019825A (ja) 洗顔器
US11154825B2 (en) Enhanced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102209103B1 (ko) 허니컴 세안 장치
KR102139574B1 (ko) 마이크로버블 및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욕조
KR102281225B1 (ko) 버블식 세안장치
KR101248557B1 (ko) 휴대용 초음파 세척기
JPH034216B2 (ko)
KR200433009Y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애견목욕장치
CN211323471U (zh) 一种具有按摩出泡功能的宠物清洁刷
KR102243606B1 (ko) 버블식 세안장치
KR100390169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면기(洗面器)
KR100686257B1 (ko) 발 건강 세척기
CN114601360B (zh) 一种自动出泡的电动按摩洁面仪
KR100772430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애견목욕장치
JP4133893B2 (ja) マッサージノズル及びマッサージ装置
KR20140081432A (ko) 휴대용 세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