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4138A -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4138A
KR20210014138A KR1020207037129A KR20207037129A KR20210014138A KR 20210014138 A KR20210014138 A KR 20210014138A KR 1020207037129 A KR1020207037129 A KR 1020207037129A KR 20207037129 A KR20207037129 A KR 20207037129A KR 20210014138 A KR20210014138 A KR 2021001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mber
component
separating device
beverag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507B1 (ko
Inventor
아드리아나 브리지오
Original Assignee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1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10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isolated from one another in the package but capable of being mixed without opening the package, e.g. forming packages containing a resin and hardener isolated by a frangible part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개구를 갖는 휴대용 용기(1)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거가능한 벽(114)을 포함하는 밀봉 수단이 미리 구비된 분리 장치(111)를 제공하는 단계; 일정량의 음용가능한 액체를 상기 용기로 주입하는 단계; 상기 액체를 포함하는 제 1 챔버(12), 제 2 챔버(13), 및 제거가능한 벽(114)에 의해 폐쇄되는 연결 경로로서 제 1 챔버로부터 제 2 챔버로의 연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분리 장치를 용기(1) 내로 삽입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상기 제 2 챔버로 주입하는 단계; 커버로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또한, 휴대용 음료 제품에 대한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거가능한 벽이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 경로를 개방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escription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비시 사용자가 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캔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다음의 기본적인 단계를 포함한다: 구멍을 갖는 휴대용 용기, 예를 들어 캔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로 상당량의 음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를 폐쇄하는 단계.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음료 캔에 사용된다. 음료 캔은, 보통 공기를 퍼징(purging)한 후, 음료로 채워지고, 상기 캔의 상부 가장자리 상에 적절하게 크림프 되는(crimped) 뚜껑으로 즉시 폐쇄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음료에 기포를 인위적으로 부가하기 위해, 기체, 통상 이산화탄소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청량음료(soft drink) 캔과 같은, 바로 마실 수 있는 음료 제품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는 소비시 음료의 자체 제조(self-preparation)가 가능한 제품을 제조하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 제품은 적어도 제 1 액체 성분을 제 2 성분과 접촉시킴으로써 음료의 자체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단일 패키지에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소비시 음료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의 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방법으로 달성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액체 성분이 용기에 도입되고; 제 2 챔버가 분리 장치 위에 있도록 분리 장치가 액면(liquid level) 위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 장치는 용기의 벽에 대해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는 제 2 챔버가 제 1 챔버에 포함된 제 1 성분의 부피와 동일하거나 더 큰 부피를 갖도록 선택된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2 챔버 내부에 중공 여과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기에 적합하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과 함께 여과 장치를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에 삽입한 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과 함께 여과 장치를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성분에 가용성이거나, 제 1 성분과 접촉시 주입 과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고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성분을 분리 장치의 상부 표면의 일부에 직접 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배플 형태의 분리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배플 위에 제 2 성분을 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7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분리 장치와 독립적인 여과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그물, 직물, 부직포 재료로 제조된 필터, 나일론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필터 중 임의의 형태로 상기 여과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분말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순수한 커피 또는 커피 함유 분말을 제 2 성분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특정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2 성분에 동결 건조된(freeze-dried, lyophilised) 제품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육류 또는 야채를 포함하는 동결 건조된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배플, 격막, 취약한 벽 중 임의의 형태로 제거가능한 벽을 갖는 분리 장치의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미리 결정된 동작에 응답하여 제거되거나 파괴되도록 설계된 제거가능한 벽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천공되는 취약한 벽을 분리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 1 챔버에 포함된 액체의 압력 증가에 의해 제거가능한 벽의 파괴 또는 제거를 제공하기 위해 분리 장치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력 증가는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다.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취약한 벽 및 상기 연결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취약한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천공 수단을 분리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천공 수단을 용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용기를 열 때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천공 수단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리 장치에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성분을 포함하거나, 포함하기에 적합한, 여과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중공 챔버의 형태로 상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연결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공 챔버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액체 성분이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 유동할 때 중공 챔버를 가로 질러 여과 장치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액체 성분이 중공 챔버를 통과하여 여과 장치로 들어가는 것은 공정 과정에서 채택되는 성분의 특성에 따라 주입 과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고온의 제 1 액체 성분이 상기 분말과 접촉할 때 주입이 수행되도록 분말 형태의 제 2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분리 장치 또는 그 일부에 중공 형상을 부여하여, 상기 분리 장치 또는 분리 장치의 상기 일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으로 적재되고 여과 장치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분리 장치에 관통 구멍 형태의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연결 경로가 분리 장치의 일부가 되도록 밀봉 방식으로 상기 구멍을 통한 연결 경로를 고정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벽에 의해 상기 연결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고유한 분리 장치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피스를 채택하여 분리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를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결될 상기 피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튜브 형태로 성형하고 분리 장치의 하우징에 밀봉된 방식으로 상기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관통 구멍의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튜브의 일 단부는 취약한 벽에 의해 폐쇄된다.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 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의 제공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또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취약한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2 구성요소를 제 1 구성요소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2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취약한 밀봉부를 파괴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해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의 연결 경로를 개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취약한 벽을 천공하고 상기 언급된 연결 경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변위 가능한 천공 수단의 형태로 제 2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성분과 함께 또는 제 1 성분 후에 제 2 성분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이 수동으로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자동화 공정에서 기계적으로 주입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연결 경로에 삽입되는 로드 형태의 제 2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2 챔버가 제 1 챔버 위에 있도록 분리 장치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용기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분리 장치가 용기에 대해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어, 용기의 부피가 하부 제 1 챔버 및 상부 제 2 챔버로 분할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분리 장치 삽입 전, 용기 살균 단계를 포함한다.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휴대용 용기로서 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효율적으로 재활용 될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이 선호된다. 상기 방법은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표준 크기의 금속 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25cm3, 33cm3 또는 50cm3의 표준 크기의 캔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파 가열에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에 물을 넣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2 챔버에서 공기를 퍼징하고 제 2 챔버에 불활성 기체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불활성 기체로서 질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챔버에 소정량의 프로펠러 기체(propeller gas)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펠러 기체는,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제 1 챔버로부터 제 2 챔버로의 제 1 액체의 흐름을 촉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로펠러 기체가 또한 발포제 및/또는 텍스처링 제재(texturing agent)로서 작용하도록, 즉 음료에 소망하는 발포 및/또는 질감(texture)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압력 하에서 상기 프로펠러 기체를 도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앞서 언급한 프로펠러 기체로서 질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펠러 가스로서 질소를 제공하는 것은, 커피 제조에 적합한, 커피 또는 커피 기반 성분인 제 2 성분과 조합하여 특히 바람직하다. 질소는 커피의 제조에 있어 기분 좋은 거품 효과를 제공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제 2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의 외부 바닥에 강자성 물질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피스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피스는 용기의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을 가능케 한다.
제 2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점착 라벨의 형태로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피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강자성 피스의 적용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예를 들어 금속 캔의 바닥에).
제 2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 수단을 용기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 내부가 과압되는 경우에 파괴되도록 구성된 약화된 부분을 용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조적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용기 또는 커버의 더 얇은 부분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더 얇은 부분은 과압시 파괴될 수 있다.
제 3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층 또는 단열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링 형태의 단열 요소를 선택하고 상기 링을 용기 주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용기가 고온이더라도 용기로부터 직접 음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제 3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성분으로 순수한 커피 또는 커피 함유 분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분리 장치가, 용기에 대해, 제 2 챔버가 제 1 챔버에 포함된 제 1 성분의 부피와 동일하거나 더 큰 부피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분리 장치가, 용기에 대해, 음료의 제조시 제 2 챔버가 제 1 챔버로부터 제 2 챔버로 통과하도록 의도된 제 1 성분의 부피와 적어도 동일한 부피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또한 청구항들에 따른 제조 라인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밀봉된 패키지에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모두의 패킹을 제공하며, 두 성분은 분리 장치에 의해 일시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결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성분은 제거가능한 벽을 제거하는 사용자의 행동에 응답하여 허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제품에서, 제거가능한 벽이 제거되고 제 1 성분이 연결 경로를 통해 흐를 때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제 2 챔버에 수집되고 상기 제 2 챔버는 음료의 소비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커버를 제거하거나 커버의 적절한 구멍을 개방함으로써 제 2 챔버는 접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분리 장치에 중공 여과 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따라서, 중공 여과 챔버에서 주입 공정이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신선한 물이나 다른 신선한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성분이 제 2 성분과 접촉할 때, 용기를 열원에 접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에 응답하여 음료가 신선하게 제조된다. 따라서 생성된 신선하게 제조된 음료의 풍미는 기존의 미리 포장된 음료의 풍미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한 적용에 있어서, 자체 제조 가능한 캔 커피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그러나 다른 음료 제품을 만드는 데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 기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음료의 제조 및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의 액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절한 프로펠러 기체의 제공은 또한 거품 효과를 제공하여, 최종 음료에 원하는 질감과 풍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용기를 가열하면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용기가 배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용기를 가열하면 제 1 챔버에서 제 1 성분이 약간 가압되고, 상기 가압은 연결 경로를 통한 제 2 챔버로의 흐름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용기를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강자성 기구를 제공하는 단계는 유도에 의해 용기의 가열을 가능하게 한다. 뜨거운 용기로부터 직접 마실 수 있기 때문에, 단열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제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1 내지 3 의 방법으로 얻어진 음료 제품의 용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8 은 상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9 는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서, 상부 개구(2)를 갖는 알루미늄 캔(1)은 충진 헤드(4)에 의해 물(3)과 같은, 액체 형태의 제 1 성분으로 채워진다. 이러한 충진 작업 전에, 공기는 예를 들어 질소 또는 다른 불활성 기체의 주입에 의해 캔(1)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액체(3)가 캔(1)의 바닥에서 원하는 수준(5)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충진 헤드(4)는 소정량의 상기 액체(3)를 전달한다.
도 2 는, 분리 장치(10)가 개구(2)를 통해 캔(1)에 도입되는 후속 단계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상기 분리 장치(10)는 용기(11)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10)가 캔(1)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캔(1)의 내부 공간은 제 1 챔버(12)와 제 2 챔버(13)로 분할된다.
상기 제 1 챔버(12)는 분리 장치(10) 아래에 있고 상기 충진 헤드(4)에 의해 미리 유입된 일정량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챔버(13)는 용기(11)에 의해 제공되고 의도된 양의 물(3)을 수집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의도된 양은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제 2 챔버로 통과할 양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챔버(13)는 상기 제 1 챔버(12)에 포함된 물의 부피보다 큰 부피를 갖는다 (도 3). 그러나 잔량의 물이 음료를 제조한 후 상기 제 1 챔버에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분리 장치(10)는 음료의 제조를 위한 추가 성분(15), 예를 들어 커피(15)로 채워진 주입 챔버(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12) 및 상기 제 2 챔버(13)는 상기 용기(11)의 벽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분리 장치(10)는 상기 제 1 챔버(12) 및 상기 주입 챔버(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취약한 밀봉부(16)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10)는 상기 주입 챔버(14) 및 상기 제 2 챔버(13) 사이에서 투과성 통로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상기 투과성 통로는 투과성 벽(17)을 포함한다.
상기 취약한 밀봉부(16)는 용기(11) 표면의 일부, 예를 들어 바닥 벽(18)의 일부 일 수 있다.
상기 캔(1)은 상기 캔(1) 및 용기(11)의 상부에 뚜껑(19)을 위치시킴으로써, 밀봉된 방식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 2 챔버(13)는 예를 들어 뚜껑(19)을 제거하거나 뚜껑(19)을 적절하게 개봉(opening)함으로써 사용자(소비자)에 의해 접근 가능하다.
도 4 는,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다.
사용자의 미리 결정된 동작은 취약한 밀봉부(16)의 파열을 야기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은 적절한 천공 수단, 예를 들어 캐뉼라 또는 이동식 막대에 의한 밀봉부(16)의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 수단은 분리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챔버(12)에 초기에 포함된 물(3)은, 도 4 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챔버(14) 및 투과성 벽(17)을 통과하여 제 2 챔버(13)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의 원동력은 캔(1)의 가열로 인한 물(3)의 가압일 수 있다.
따라서 물(3)은 성분(15)과 접촉하고 주입 과정을 시작하며; 생성된 음료는 제 2 챔버(13)에서 수집된다. 음료는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캔의 개봉과 같이, 직접 접근 가능한 상기 제 2 챔버(13)로부터 소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8 은 제 1 구성요소(111, 하우징) 및 제 2 구성요소(112, 필터)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110)의 제공을 포함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우징(111)이 먼저 캔(1)에 도입된 후, 필터(112)가 하우징(111)에 끼워진다.
상기 방법은 취약한 막(114)에 의해 폐쇄된 바닥 덕트(113)를 갖는 하우징(111)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1)은 상기 바닥 덕트(113)의 단부가 물(3)에 잠기도록 위치된다.
상기 필터(112)는 주입 챔버(115), 바닥 덕트(116) 및 하나 이상의 구멍(118)을 갖는 상부 덕트(117)를 갖도록 선택된다. 상기 주입 챔버(115)는, 용기(1)에 삽입되기 전에, 예를 들어 커피와 같은, 제 2 성분으로 충진진다.
상기 필터(112)는 전술한 덕트(116)가 하우징(111)의 덕트(113)에 끼워지고, 필터 덕트(116)의 외부 나사산(118)이 하우징 덕트(113)의 내부 나사산(119)과 짝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상기 필터(112)는 바닥 단부가 막(114) 위에 유지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용기(1)는, 하우징(111) 및 필터(112)의 삽입 후, 상부 커버로 폐쇄된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에 대한 필터(112)의 회전은 덕트(116)가 막(114)을 파괴하게 하고, 덕트(116), 주입 챔버(115), 상부 덕트(117) 및 구멍(118)을 포함하는 연결 경로를 통해, 제 1 챔버(12)에서 제 2 챔버(13)로 물이 흐르도록(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유도됨) 한다. 상기 주입 챔버(115)를 가로지르는 동안, 뜨거운 물은 커피 분말과 함께 주입 과정을 수행하고 신선하고 준비된 커피가 챔버(13)에 수집된다.
상기 필터(112)의 회전은, 상부 커버를 제거하여 용기(1)를 연 후,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는 상기 방법이 하우징(211)으로 선택된 제 1 구성요소 및 덕트(212)로 선택된 제 2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210)의 제공을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막(214)의 관통은 덕트(212)의 하단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는 전술한 실시예의 덕트(116)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도 9 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우징(211)의 표면(220) 상에 제 2 성분(예를 들어, 가용성 커피)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따라서 주입 챔버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 덕트(212)로 막(214)을 뚫은 후, 덕트(212) 자체에 의해 연결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물은 덕트(212) 및 구멍(218)을 통해 챔버(13)로 흐르고, 여기서 하우징(211)에 포함된 가용성 커피와 접촉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우징(211)에 대해 고정된(즉, 변위 불가능한) 덕트(212)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거가능한 벽(214)을 파괴하기 위해, 상기 방법은 덕트(212) 내부에 이동식 막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4)

  1.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은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과 제 1 액체 성분의 주입 또는 용액화에 의한 음료 제조에 적합하고, 상기 방법은:
    a) 개구를 갖는 휴대용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제거가능한 벽을 포함하는 밀봉 수단이 미리 구비된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c) 일정량의 제 1 성분을 상기 용기로 주입하는 단계;
    d) 상기 분리 장치 및 밀봉 수단은, 밀봉 방식으로, 용기의 제 1 챔버 및 용기의 제 2 챔버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제 1 챔버는 상기 소정량의 제 1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제 1 성분이 제 1 챔버로부터 제 2 챔버로 흐르도록 연결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연결 경로는 제거가능한 벽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는 상기 용기에 대한 위치로, 상기 분리 장치를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
    e)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상기 제 2 챔버로 주입하는 단계;
    f) 상기 휴대용 음료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 장치 및 제 2 성분을 삽입한 후 커버로 용기의 개구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 상기 분리 장치는 또한, 휴대용 음료 제품에 대한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제거가능한 벽이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 경로를 개방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체 성분이 용기에 도입되고; 상기 분리 장치는 제 2 챔버가 분리 장치 위에 있도록 액면 위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 장치는 용기의 벽에 대해 적합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높이는 제 2 챔버가 제 1 챔버에 포함된 제 1 성분의 부피와 같거나 더 큰 부피를 갖도록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 내부에 중공 여과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기에 적합한 것인,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용기에 삽입하기 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과 함께 여과 장치를 적재하는 단계, 그리고 제 1 성분에 가용성이거나 제 1 성분과 접촉시 주입 과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고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용기에 삽입한 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과 함께 여과 장치를 적재하는 단계, 그리고 제 1 성분에 가용성이거나 제 1 성분과 접촉시 주입 과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고체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분리 장치의 상부 표면의 일부에 직접 놓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분리 장치와 독립적인 여과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배플, 격막, 취약한 벽 중 하나를 갖는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장치에 취약한 벽 및 상기 연결 경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취약한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천공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에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에 여과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1 성분을 포함하거나 포함하기에 적합한 것인,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 또는 그 일부에 중공 형상을 부여하여, 상기 분리 장치 또는 분리 장치의 상기 일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성분으로 적재되고 여과 장치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에 관통 구멍 형태의 하우징을 제공하고, 상기 연결 경로가 분리 장치의 일부가 되도록 밀봉 방식으로 상기 구멍을 통한 연결 경로를 고정하고, 상기 제거가능한 벽에 의해 상기 연결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고유한 분리 장치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피스를 채택하여 분리 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를 밀봉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연결될 상기 피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튜브 형태로 성형하고 분리 장치의 하우징에 밀봉된 방식으로 상기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관통 구멍의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튜브의 일 단부는 상기 제거가능한 벽에 의해 폐쇄되는 것인,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 1 구성요소 및 제 2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1 챔버와 제 2 챔버 사이에 취약한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 1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2 구성요소를 제 1 구성요소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성요소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취약한 밀봉부를 파괴하고 상기 하우징을 통해 제 1 챔버에서 제 2 챔버로의 연결 경로를 개방하는 것인,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경로에 삽입되는 로드 형태의 제 2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2 챔버가 제 1 챔버 위에 있도록 분리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용기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 a)는, 분리 장치 삽입 전, 용기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휴대용 용기로서 캔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금속 또는 알루미늄 캔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가열에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용기에 물을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2 챔버에서 공기를 퍼징(purging)하고 제 2 챔버에 불활성 기체, 바람직하게는 질소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챔버에 소정량의 프로펠러 기체(propeller gas)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기체로서 질소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외부 바닥에 강자성 물질이 포함된 피스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점착 라벨의 형태로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피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과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안전 수단을 용기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부가 과압되는 경우에 파괴되도록 구성된 약화된 부분을 용기의 상기 하나 이상의 구조적 부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단열층 또는 단열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분으로 순수한 커피 또는 커피 함유 분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한 항에 의해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라인으로서, 상기 제조 라인은:
    용기에 상기 제 1 액체 성분의 양을 주입하기에 적합한 충진 헤드,
    분리 장치를 용기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으로서, 상기 삽입 수단은, 제거가능한 벽으로 분리된, 용기의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를 규정하는 목표 위치에 상기 분리 장치를 배치하도록 제어되는, 삽입 수단,
    일정량의 상기 제 2 성분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수단,
    휴대용 음료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 장치를 삽입한 후, 밀폐 방식으로 용기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조 라인.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라인은 사용자의 행동하에 제거가능한 벽을 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구성요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 라인.
KR1020207037129A 2018-05-25 2018-05-25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KR10256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8/063839 WO2019223884A1 (en) 2018-05-25 2018-05-25 Process for making a portable beverage product and a filling line theref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138A true KR20210014138A (ko) 2021-02-08
KR102565507B1 KR102565507B1 (ko) 2023-08-10

Family

ID=6255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129A KR102565507B1 (ko) 2018-05-25 2018-05-25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986120B2 (ko)
EP (1) EP3802333A1 (ko)
JP (1) JP7175033B2 (ko)
KR (1) KR102565507B1 (ko)
CN (1) CN112292329B (ko)
AU (1) AU2018424303B2 (ko)
BR (1) BR112020023796B1 (ko)
CA (1) CA3099458A1 (ko)
IL (1) IL278883A (ko)
MX (1) MX2020012665A (ko)
RU (1) RU2765024C1 (ko)
SG (1) SG11202011009QA (ko)
UA (1) UA127591C2 (ko)
WO (1) WO2019223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507B1 (ko) * 2018-05-25 2023-08-10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CN116508918A (zh) * 2023-04-17 2023-08-01 广西冰客食品有限公司 一种沃柑果浆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758A (ko) * 2003-02-20 2005-11-15 아드리아나 브리지오 추출 및/또는 우림에 의한 음료의 즉석 준비를 위해 또한사용가능한 음료 보존 및 유통 캔
KR101478001B1 (ko) * 2008-10-24 2014-12-31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용해성 분말로부터 고온 음료를 즉석으로 조제하기 위한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776A (en) * 1907-04-15 1907-09-10 Bernath Georg Coffee-pot.
US2570997A (en) * 1946-11-16 1951-10-09 Mcgraw Electric Co Coffee maker
US3077156A (en) * 1957-11-12 1963-02-12 Egi Mario Percolator
US3111079A (en) * 1960-07-08 1963-11-19 Lescure Henri Coffee-pots of the pressure type
US4167899A (en) * 1977-08-12 1979-09-18 Mccormick James B Disposable unitary coffee maker
US4381696A (en) * 1981-04-27 1983-05-03 Mirro Corporation Microwave coffee making apparatus
US4642443A (en) * 1981-11-16 1987-02-10 Northland Aluminum Products, Inc.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in microwave ovens
DE3404320A1 (de) * 1983-03-23 1984-09-27 Alfonso Bialetti & C. S.p.A., Omegna-Crusinallo, Novara Fuer den gebrauch im haushalt bestimmte vorrichtung fuer die herstellung von warmen getraenken und entsprechenden kaffeemaschinen
US4498375A (en) * 1984-03-01 1985-02-12 Dante Bedini Automatic coffee pot
US4577080A (en) * 1985-03-19 1986-03-18 Gee Associates Coffee maker adapted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4721835A (en) * 1986-10-06 1988-01-26 Helmut Welker Microwave brewing cup
US5079396A (en) * 1989-12-20 1992-01-07 Kraft General Foods, Inc. Microwave coffee percolating device
SU1761112A1 (ru) * 1990-07-02 1992-09-1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технической аппаратуры Кофеварка
CH683818A5 (de) * 1992-02-20 1994-05-31 Lacrex Sa Vorrichtung zum Bereiten heisser Getränke.
WO1994023550A1 (en) * 1993-03-26 1994-10-13 Mario Orrico Device and process for making coffee and espresso beverages in microwave oven
IT1318965B1 (it) * 2000-10-04 2003-09-19 Adriana Brizio Caffettiera.
JP2005152551A (ja) * 2003-11-20 2005-06-16 Masaki Terada ワンウエーコーヒーメーカー
US7832329B2 (en) * 2005-06-08 2010-11-16 Massimo Crescenzi Moka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flavoured drink
USD586172S1 (en) * 2006-12-20 2009-02-10 Adriana Brizio Coffee machine
HK1117990A2 (en) * 2007-10-25 2009-01-23 Sunrider Corp Safety sealed reservoir cap
US20090229472A1 (en) * 2008-03-12 2009-09-17 Ferrara Jr Daniel A Brewing system and packaging
SI2326222T1 (sl) * 2008-09-19 2012-10-30 Adriana Brizio Ploäśevinka za sprotno pripravo napitkov z ekstrahiranjem in/ali s poparjanjem, ki je opremljena z varnostnim pokrovom
IT1392134B1 (it) * 2008-12-12 2012-02-22 B & B Studio Di Francesco Baldacci Dispositivo monouso per la preparazione estemporanea di bevande calde
ES2418154T3 (es) * 2009-07-06 2013-08-12 Meyl, Hendrik Dispositivo para la elaboración de bebidas con la ayuda de radiación electromagnética
TWM382976U (en) * 2010-01-08 2010-06-21 Jin Neng Biotechnology Dev Co Ltd Beverage bottle lid set
US20120031277A1 (en) * 2010-08-08 2012-02-09 Chun-Shu Hsieh Drink can
US9332873B2 (en) * 2013-03-08 2016-05-10 Jung-Jung TIEN Lid structure configured for easy disassembly and cleaning
DE102013207734A1 (de) * 2013-04-26 2014-10-30 Lisa Dräxlmaier GmbH Interieurbaugruppe mit einem an einer Zapfstelle angeordneten Trinkbecher
US9428329B2 (en) * 2013-08-20 2016-08-30 2266170 Ontario Inc. System for making capsule containing a dosing agent
KR101381356B1 (ko) * 2013-10-28 2014-04-04 주식회사 청아람 음료용기용 캡슐캡
CN203865264U (zh) * 2014-06-05 2014-10-08 赵震 自加热易拉罐
DE202015102788U1 (de) * 2015-05-29 2015-07-22 Sam Tung Tsui Zusammenlegbare, beheizbare Flüssigkeitsbehälter
ES2633607B1 (es) 2016-03-21 2018-06-27 Isidro Aythami SANCHEZ CARRASCO Preparador de infusiones desechable
KR102565507B1 (ko) * 2018-05-25 2023-08-10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758A (ko) * 2003-02-20 2005-11-15 아드리아나 브리지오 추출 및/또는 우림에 의한 음료의 즉석 준비를 위해 또한사용가능한 음료 보존 및 유통 캔
KR101478001B1 (ko) * 2008-10-24 2014-12-31 아리스텔라 에스.에이. 용해성 분말로부터 고온 음료를 즉석으로 조제하기 위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292329A (zh) 2021-01-29
AU2018424303A1 (en) 2020-11-26
WO2019223884A1 (en) 2019-11-28
AU2018424303B2 (en) 2024-05-16
UA127591C2 (uk) 2023-10-25
SG11202011009QA (en) 2020-12-30
JP7175033B2 (ja) 2022-11-18
US11986120B2 (en) 2024-05-21
IL278883A (en) 2021-01-31
RU2765024C1 (ru) 2022-01-24
MX2020012665A (es) 2021-02-15
JP2021525088A (ja) 2021-09-24
CA3099458A1 (en) 2019-11-28
BR112020023796A2 (pt) 2021-02-23
KR102565507B1 (ko) 2023-08-10
BR112020023796B1 (pt) 2023-12-12
EP3802333A1 (en) 2021-04-14
CN112292329B (zh) 2023-05-12
US20210137301A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224B1 (ko) 음료캔
CN101618784B (zh) 用于从颗粒物料浸取饮料的集成式料筒
US8927037B2 (en) Disposable cartridge for brewed beverages
JP5595921B2 (ja) 容器
RU2533706C2 (ru)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 машине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A2894570C (en) Portion caps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by means of a portion capsule
TWI388302B (zh) 用於飲料製備之容器
US9743802B2 (en) 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TWI389659B (zh) 用於製備飲料之容器
KR20130140038A (ko) 음료의 제조용 캡슐
US20110247975A1 (en) Filtering permeable thermoformed container for beverage-making products with a reinforcement ring
WO2014037842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device and method
JP2016520343A (ja) 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カプセル
DK3186169T3 (en) PACKING AND PROCEDURE FOR BEVERAGE DRINKING
JP6718434B2 (ja) 浸出飲料調製用パック
KR102565507B1 (ko) 휴대용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충진 라인
JP2017537693A (ja) 飲み物を抽出するためのカプセル、装置および方法
US20150110928A1 (en) Disposable cartridge for brewed beverages
KR20220012887A (ko) 음료 기계용 카트리지 내에 장착 가능한 캡슐 시스템
US20050238769A1 (en) Method of producing a packag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