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687A -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687A
KR20210006687A KR1020190082613A KR20190082613A KR20210006687A KR 20210006687 A KR20210006687 A KR 20210006687A KR 1020190082613 A KR1020190082613 A KR 1020190082613A KR 20190082613 A KR20190082613 A KR 20190082613A KR 20210006687 A KR20210006687 A KR 2021000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kin
17mud
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733B1 (ko
Inventor
김명겸
손은화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33B1/ko
Priority to PCT/KR2020/004968 priority patent/WO2021006464A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드에서 분리된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 신규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미백, 상처 치유 효과가 매우 뛰어나 피부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 strain and its use}
본 발명은 머드에서 분리된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 신규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미백, 상처 치유 효과가 매우 뛰어나 피부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며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성형, 미용, 화장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동안 열풍 및 하얀 얼굴에 대한 선호 현상으로 인하여 미백화장품 및 주름개선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이면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 같은 소망이다. 사람의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경로는 알려져 있으나, 티로시나제가 작용하는 이전 단계인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을 실현하거나,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피부조직은 표피와 진피 그리고 피하(hypodermis)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의 성질을 결정짓는 부분은 표피로서, 표피는 외부로부터 직접적이고 잦은 손상을 받으므로 그 회복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생물은 몸에 상처가 생길 경우, 그 상처 부위를 어느 정도 스스로 방어하고 자가 치유를 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특히, 창상과 같은 외상에 의하여 피부가 손상될 경우, 일정 수준의 이하의 피부손상은 자가 치유 능력으로 회복될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피부손상은 세균의 감염 등과 같은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다른 질병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처 치유 조성물을 사용하는데, 상처 치유 조성물은 생체 친화성이 우수하여 상처 부위에 있어서의 거부반응이 적고, 상처 부위와 밀착할 수 있어야 하며, 상처 부위의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고, 다른 의약품과 혼합하여 사용 하더라도 반응성이 없어야 한다. 피부 재생 또는 창상 치료용 의약품이 지금까지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기존의 치료제보다 생체에 더 안전하고, 무엇보다도 기존에 피부 재생 또는 창상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보다 우수한 피부 재생을 지닌 신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물질보다 우수한 미백, 피부장벽 개선 및 상처 회복능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869275호 (2018.06.1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8-0108209호 (2018.10.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머드로부터 동정한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가 매우 우수한 미백 및 상처 치유 또는 회복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탁번호 KCTC13860BP로 기탁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860BP로 기탁된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가 우수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는 타이로시나아제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합성 억제효능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 기능이 현저하게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균주는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1; HO-1)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상처 닫힘 효과를 갖는 바 상처 치유 또는 회복 효과가 탁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은 독성이 없어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피부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최종 선발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속 공시균주와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계통수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와 알부틴의 피부 미백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로서, 도 3(a)는 멜라닌형성세포에서의 색소침착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3(b)는 멜라닌형성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3(c)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식약처에서 요구하는 실험법에 따라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서, 도 4 (a)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4(b)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5(a)는 상처닫침비율(wound closure, %)을 나타낸 결과이고, 도 5(b)는 17mud 1-1541T 균주와 아연 프로토포르피린(Znpp)의 효과를 비교한 것으로, 17mud 1-1541T 균주의 헴산화효소(HO-1)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7(a)는 DPPH 라디컬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7(b)는 과산화수소 라디컬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머드에서 분리한 새로운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속(Paenisporosarcina sp.)에 속하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를 발굴 및 동정하고, 상기 균주의 균학적 성질을 규명하고, 이의 신규 용도로서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13860BP로 기탁된 신규 균주로, 구체적으로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가 우수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는 머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갖으며, DNA의 G+C 염기 함량은 46.0 mol%이고, 3 KGy 방사선량의 감마선에서 저항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통해, 멜라닌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때 알파-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의 억제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화 단계에서 글루코실레이션(glycosylation)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티로시나아제의 구조를 변형시켜 티로시나아제를 불활성화 형태로 멜라노좀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멜라닌을 생성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미, 주근깨, 반점, 일광 색소반, 약물 사용 후의 색소 침착, 염증 후의 색소 침착 및 임신성 색소 침착 등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는 각질형성세포에서 상처 닫힘 효과를 갖는 것으로,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1; HO-1)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HO-1 특이적 억제제(HO-1 specific inhibitor)인 아연 프로토포르피린(Znpp; Zinc protoporphyrin)과 대비하여 우수한 상처 닫침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아연 프로토포르피린은 체내에 소량 존재하는 프로토포르피린 계열의 화합물로서, 프로토포르피린이 아연(zinc) 이온과 배위결합되어 있다. 아연 프로토포르피린은 암세포 및 조직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 효소인 헴산화효소(HO-1)의 작용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균주는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라디컬 소거능이 없는 것을 확인되었는 바,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않는 균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및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미백"은 일반적으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피부 침착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색소 침착”은 의학적 또는 미용적으로 색소 침착의 범주에 해당하는 한 구체적인 질환명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기미, 주근깨, 반점, 일광 색소반, 약물 사용 후의 색소 침착, 염증 후의 색소 침착 및 임신성 색소 침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처"는 조직 구조의 연속성 또는 완전성의 물리적인 파열을 의미하며, "상처 치유"란 조직 완전성의 복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 완전성의 부분적 또는 완전 복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료(treat)와 혼용될 수 있다. 상기 치유(cure 또는 heal)는 자연 치유에 비하여 단축된 시간에 상처가 치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유는 상처의 개선 및/또는 완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처의 개선은 상처의 정도를 낮추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유는 상처 및/또는 상처와 관련된 질환의 치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유는 상처로부터 유발되는 손상된 조직의 치유 및/또는 재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유는 피부 재생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유는 손상된 조직의 원래 조성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유는 상처와 관련된 질환의 합병증 및/또는 흉터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손상된 조직을 치료 및/또는 재생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처치유란 상처 치료 과정에 관여하는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과정의 촉진, 개선, 진행, 가속 또는 진전을 의미한다.
또한, 상처는, 예를 들면 타박상 또는 내부 궤양화와 같이 피부의 외부 구조적 완전성이 유지되는 임의의 내부상처이거나 외부 상처, 특히 피부 상처일 수 있으며, 따라서 조직은 내부 또는 외부의 신체 조직일 수 있다. 일례로, 조직은 피부(예컨대, 인간 피부)이며, 상처는 진피 또는 표피 상처와 같은 피부 상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을 지칭하거나, 그를 포함하며, "유효성분"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의 투여 용량은 0.01mg 내지 10,000mg, 0.1mg 내지 1000mg, 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00mg, 0.01mg 내지 100mg, 0.01mg 내지 10mg, 또는 0.01mg 내지 1mg일 수 있다. 또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의 투여 용량은 1.0×105 내지 1.0× 108 세포/kg(체중)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 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가능한 투여 경로에는 경구, 설하,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또는 정맥내), 직장, 국소 (경피 포함), 흡입, 및 주사, 또는 이식성 장치 또는 물질의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생체고분자(biopolymer) 등의 유기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무기물,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매트릭스,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그의 화학적 유도체 등과 조합시키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주사에 적당한 제형으로 조제되는 경우에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중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거나 또는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용액 상태로 동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환원제, 산화방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피부외용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및 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 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화장료 조성물”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 팩 또는 시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배양물"은 균주를 공지의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시켜 수득한 산물을 의미하며, 균주가 포함되는 개념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유제,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등의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젤리,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의 임의의 건강식품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제제화를 위해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체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음료를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시료 채취 및 균주의 분리
충청남도 보령 해안 지역에서 머드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머드시료는 균주 분리 전에 60Co 감마 방사선 조사장치(gamma irradiator, point source AECL, IR-79)를 사용하여 3 kGy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였다. 감마선 처리된 토양에 50 mL 식염수(0.85% NaCl) 용액을 가해 충분하게 가라앉힌 후, 충분하게 교반하고, 10배 부피의 식염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100 μL 용량의 분액(aliquot)을 R2A Agar(Difco. Co. USA) 배지에 스프레딩 하고, 25℃에서 일주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콜로니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3개 콜로니에서 균주를 분리하여 20 %(w/v) 글리세롤에 보관하여 -80℃에서 동결 보존하여 사용하였다.
2. 균주의 동정
분리된 상기 균주의 유전체 DNA(Genomic DNA)를 상용화된 DNA 추출 키트(Solgent)의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분리하였고, 유전체 DNA를 주형으로 9F/1492R 를 사용하여 16S rRNA 유전자를 PCR 증폭하였다(Weisburg et al, 1991). 증폭된 PCR 산물을 정제하고, 정제된 DNA를 유니버셜 박테리아 프라이머 세트 9F, 518F, 785F 및 800R을 사용하여 서열분석 하였고, SeqMan software(DNASTA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도 1은 본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분석된 서열은 이지택손(EzTax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글로벌 얼라인먼트(global alignment) 분석법을 통하여 현재까지 분리된 가장 가까운 균주를 확인하고, 근접한 서열들을 모아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계통수를 구할 때, MEGA6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근연분석(neighbor-joining)을 기본으로 하여 필요할 경우 최소 진화(minimum-evolution)및 최대 유사 알고리즘(maximum-likelihood algorithms)을 이용하였다. 도 2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균주의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만든 계통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균주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속(Paenisporosarcina sp.)에 속하는 미기록 균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균주를 국내에서 자생하는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균주로 동정하였고,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T 라는 최초 발굴 명명 그대로 기탁기관 KCTC(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9년 6월 17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13860BP).
3. 분리된 균주의 이화학적 분석
분리된 균주의 균학적 특성 및 이화학적 분석을 위해, 먼저 그람 염색 반응은 Doetsch(1981)의 방법에 따라 전통적인 그람 염색 반응을 수행하였다. 또한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은 광학현미경(Olympus BX51)을 사용하여 1,000배의 확대 배율로 관찰하였다. 아울러, 균주의 운동성은 25℃, R2A 아가 배지 상에서 3일 동안 균주를 배양한 후, TEM(Transmision Electron Microscope) 촬영 기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17mud 1-1541T 균주는 호기성, 그람양성, 및 운동성(motile)이고, 25℃ 온도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3 kGy 선량의 감마선에도 저항성을 갖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원형의 균주 형태를 나타내고, 불투명의 흰색 콜로니를 형성하며, 유전체 DNA의 G+C 염기 함량은 46.0(mol%)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동정되어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본 발명의 17mud 1-1541T 균주는 하기 실시예를 통해 피부 미백과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17mud 1-1541 T 균주의 미백 효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세포에 대한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 감소 효과,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및 알파-글리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1. 미백 효과
1) 색소 침착 및 멜라닌 감소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색소 침착 및 멜라닌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ma)인 B16F10 세포를 100 nM의 α-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α-MSH)으로 48 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이때 17mud 1-1541T 균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μg/ml, 50 μg/ml, 100 μg/ml로 사용하였다. B16F10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이것을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1,000 rpm으로 3 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이렇게 해서 얻은 펠렛을 사진으로 찍어 도 3(a)에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알부틴과 함께 색소 침착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얻은 세포 펠렛에 1N 수산화나트륨액 200 μl을 넣고 60℃ 항온조에서 녹여 세포 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여 도 3(b)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대조군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도 3(b)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가 알부틴 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바, 17mud 1-1541T 균주의 알부틴 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2) 티로시나아제 활성 확인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티로시나제 활성(Tyrosinase activity)를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형성세포(murine melanoma)인 B16F10 세포를 100 nM의 α-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α-MSH)으로 48 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이때 17mud 1-1541T 균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μg/ml, 50 μg/ml, 100 μg/ml로 사용하였다. B16F10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이것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1,000 rpm으로 3 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을 분해완충액(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15,000 rpm으로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이 액을 BCA 단백질정량법으로 정량한 후, 이 액 40 μg과 10 mM L-DOPA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모두 첨가한 플레이트를 37℃에서 1시간 동안 암반응시킨 뒤 47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 활성을 구하여 도 3(c)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도 3(c)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확인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In vitro 타이로시나제 활성저해시험 방법으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를 확인하였다. 이때 17mud 1-1541T 균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μg/ml, 50 μg/ml, 100 μg/ml로 사용하였다. 175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6.5) 100 μL, 시료액 20 μL, mushroom tyrosinase 액(110 U/mL) 40 μL, 1.5 mM L-tyrosine 40 μL를 순서대로 넣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알파-글리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 확인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알파-글리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7mud 1-1541T 균주의 세포독성이 없는 10 μg/ml, 50 μg/ml, 100μg/ml 농도를 사용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시험관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액 10μL와 1 U/mL의 α-glucosdiase 90 uL를 첨가하여 37℃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 1 mM의 p-NPG 100 uL를 더 첨가하여 5 분간 반응하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7mud 1-1541T 균주는 알파-글리코시다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17mud 1-1541 T 균주의 상처 치유 효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세포에 대한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 대상으로 상처 회복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1. 각질형성세포에서의 상처 닫힘 효과 확인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 피펫 팁으로 물리적 상처를 가한 후 17mud 1-1541T 균주 10 μg/ml, 17mud 1-1541T 균주 50 μgml, 17mud 1-1541T 균주 100 μg/ml, Znpp 20 μg/ml, Znpp 20 μg/ml 및 17mud 1-1541T 균주 100 μg/ml를 넣고 12 시간 마다 24 시간 동안 상처의 닫힘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는 0, 12, 24 시간 상처의 길이를 잰 후 각 군의 0 시간에 대비하여 그 상처닫힘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도 5(a)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상처 닫힘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1; HO-1) 활성 관여 확인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 플라스틱 피펫 팁으로 물리적 상처를 가한 후 17mud 1-1541T 균주 10 μg/ml, 17mud 1-1541T 균주 50 μg/ml, 17mud 1-1541T 균주 100 μg/ml, Znpp 20 μg/ml, Znpp 20 μg/ml 및 17mud 1-1541T 균주 100 μg/ml를 넣고 12 시간 마다 24 시간 동안 상처의 닫힘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는 0, 12, 24 시간 상처의 길이를 잰 후 각 군의 0 시간에 대비하여 그 상처닫힘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도 5(b)의 결과, Znpp와 대비하여 17mud 1-1541T 균주를 처리 시 상처 닫힘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가 Znpp와 같이 HO-1 활성 억제에 관여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4> 세포 독성 측정(MTT assay)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세포에 대한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형성세포인 B16F10 세포,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 대상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멜라닌형성세포 B16F10 세포를 이용한 독성 실험
멜라닌형성세포인 B16F10 세포(2x10⁴세포/웰)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37℃, 5% CO2 환경에서 24 시간 또는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에 각각 10 μg/ml, 50 μg/ml, 및 100 μg/ml의 17mud 1-1541T 균주를 24 시간 또는 4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4 시간 또는 48 시간 배양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MTT(formazan) 용액을 처리하여 4 시간 동안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흡광도는 540 nm에서 ELISA Reader(BioTe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처리군(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세포 생존율(%)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 무처리군의 흡광도) X 100
도 6(a) 및 도 6(b)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전반적으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 부작용 없이 치료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2.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를 이용한 독성 실험
멜라닌형성세포인 B16F10 세포 대신 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독성 실험을 하였다.
도 6(c)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세포 생존율이 85% 이상으로 높았으며, 세포에 상당히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가 자유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활성 산소에 의한 피부 노화를 방지할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DPPH 및 과산화수소(H2O2)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1.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시험관에 농도별로 희석된 17mud 1-1541T 균주 100 μL와 99% ethyl alcohol 100 μl, 0.4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 100 μl를 넣은 후 상온 암실에서 30 분 동안 방치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 측정을 하였다. 아울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산출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2]
라디컬소거능(%)=(시료를 넣지 않은 것의 흡광도-시료를 넣은 것의 흡광도)/시료를 넣지 않은 것의 흡광도 X 100
도 7(a)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천연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L-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해 보았을 때 라디칼 소거능에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상기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산화수소(H2O2)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해보았다. 시험관에 농도별로 희석된 17mud 1-1541T 균주 20 μl와 phosphate buffer 100 μl, 1.0 M H2O2 20 μl을 넣은 후, 37℃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1.25 mM ABTS 30 μl와 1 U/mL peroxidase 30 μl를 첨가한 후 37℃에서 10 분간 더 반응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7(b)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과산화수소(H2O2) 라디칼 소거능에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17mud 1-1541T 균주는 항산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는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및 알파-글리코시다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 기미나 주근깨 개선, 피부 미백, 나아가 상처 치유에 매우 유용하여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860BP 20190617
<110> Seoul Women's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Novel 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strain and its use <130> ADP-2019-0110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8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of 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400> 1 tagacttcac cccaatcatc tgtcccacct tcggcggctg gctccaaaaa ggttacctca 60 ccgacttcgg gtgttacaaa ctctcgtggt gtgacgggcg gtgtgtacaa ggcccgggaa 120 cgtattcacc gcggcatgct gatccgcgat tactagcgat tccggcttca tgtaggcgag 180 ttgcagccta caatccgaac tgagaacgat tttatgggat tggctccccc tcgcgggttt 240 gcagcccttt gtatcgtcca ttgtagcacg tgtgtagccc aggtcataag gggcatgatg 300 atttgacgtc atccccacct tcctccggtt tgtcaccggc agtcacctta gagtgcccaa 360 ctaaatgctg gcaactaaga tcaagggttg cgctcgttgc gggacttaac ccaacatctc 420 acgacacgag ctgacgacaa ccatgcacca cctgtcacca ctgtccccga agggaaaagc 480 atatctctat gccggtcagt gggatgtcaa gacctggtaa ggttcttcgc gttgcttcga 540 attaaaccac atgctccacc gcttgtgcgg gcccccgtca attcctttga gtttcagcct 600 tgcggccgta ctccccaggc ggagtgctta atgcgttagc tgcagcacta aggggcggaa 660 accccctaac acttagcact catcgtttac ggcgtggact accagggtat ctaatcctgt 720 ttgctcccca cgctttcgcg cctcagcgtc agttacagac cagaaagccg ccttcgccac 780 tggtgttcct ccacatctct acgcatttca ccgctacacg tggaattccg ctttcctctt 840 ctgtactcaa gtcccccagt ttccaatgac cctccacggt tgagccgtgg gctttcacat 900 cagacttaaa ggaccgcctg cgcgcgcttt acgcccaata attccggaca acgcttgcca 960 cctacgtatt accgcggctg ctggcacgta gttagccgtg gctttctaat aaggtaccgt 1020 caaggtacga gcagttactc tcgtacgtgt tcttccctta caacagagtt ttacgatccg 1080 aaaaccttct tcactcacgc ggcgttgctc catcagactt tcgtccattg tggaagattc 1140 cctactgctg cctcccgtag gagtctgggc cgtgtctcag tcccagtgtg gccgatcacc 1200 ctctcaggtc ggctacgcat cgtcgccttg gtaggccatt accctaccaa ctagctaatg 1260 cgccgcgggc ccatctcgta gtgacagccg aagccgcctt ttaacatctc gccatgaagc 1320 aaaatggatt attcggtatt agccccggtt tcccggagtt atcccaatct acaaggtagg 1380 ttgcccacgt gttactcacc cgtccgccgc taaaatcaga agaagcaagc ttcttcatca 1440 ttccgctcga cttgcatgta ttaggcacgc cgccagcgtt cg 1482

Claims (16)

  1. 수탁번호 KCTC13860BP로 기탁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Paenisporosarcina quisquiliarum) 17mud 1-1541T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머드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DNA의 G+C 염기 함량은 46.0 mol%이고, 3 kGy 선량의 감마선에서 저항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피부 미백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 또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a-glucosidase) 활성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상처 닫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1; HO-1)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및 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피부외용제의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및 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피부외용제의 조성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약학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화장료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치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90082613A 2019-07-09 2019-07-09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3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13A KR102238733B1 (ko) 2019-07-09 2019-07-09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PCT/KR2020/004968 WO2021006464A1 (ko) 2019-07-09 2020-04-13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613A KR102238733B1 (ko) 2019-07-09 2019-07-09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87A true KR20210006687A (ko) 2021-01-19
KR102238733B1 KR102238733B1 (ko) 2021-04-09

Family

ID=7411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613A KR102238733B1 (ko) 2019-07-09 2019-07-09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733B1 (ko)
WO (1) WO20210064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3341A1 (fr) * 2005-12-09 2008-09-03 Institut Français du Pétrole Materiau hybride organique - inorganique mesostructure
KR101854705B1 (ko) * 2016-06-20 2018-05-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KR101869275B1 (ko) 2017-05-17 2018-06-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항산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신규 칼리디폰티박터 속 r161 균주
KR20180108209A (ko) 2017-03-24 2018-10-04 면역바이오랩(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jc1225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63341A1 (fr) * 2005-12-09 2008-09-03 Institut Français du Pétrole Materiau hybride organique - inorganique mesostructure
KR101854705B1 (ko) * 2016-06-20 2018-05-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다량 생산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 ny1505 균주
KR20180108209A (ko) 2017-03-24 2018-10-04 면역바이오랩(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jc1225 균주를 포함하는 피부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869275B1 (ko) 2017-05-17 2018-06-21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항산화,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신규 칼리디폰티박터 속 r161 균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9, vol. 59, pp. 1364-1370. *
Microb. Ecol. 2011, vol. 62, pp. 399-4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64A1 (ko) 2021-01-14
KR102238733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26675A1 (ja) 皮膚外用剤
KR102263479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P3305370B1 (en) Algae autophagy activator
KR20210045529A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8733B1 (ko) 신규 파에니스포로사르키나 퀴스퀼리아룸 17mud 1-1541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02173441A (ja) 生体の酸化防止または予防剤
KR102174525B1 (ko) 신규한 판토에아 왈리시 루미테리아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40132624A (ko) 청매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210090790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1882A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렌티스페라 아라네오사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79105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8966B1 (ko)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과민 반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3256448A (ja) 美白剤
KR101410262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55138B1 (ko) 대추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