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940A - 얀 및 글랜드 패킹 - Google Patents

얀 및 글랜드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940A
KR20210004940A KR1020207017638A KR20207017638A KR20210004940A KR 20210004940 A KR20210004940 A KR 20210004940A KR 1020207017638 A KR1020207017638 A KR 1020207017638A KR 20207017638 A KR20207017638 A KR 20207017638A KR 20210004940 A KR20210004940 A KR 20210004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d graphite
graphite sheet
sheet piece
yarn
cylindr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450B1 (ko
Inventor
마사루 후지와라
미사토 이즈카
료지 하마구치
나오유키 사와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4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6Threads formed from strip material other than pape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f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20Packing materials therefor
    • F16J15/22Packing materials therefor shaped as strands, ropes, threads, ribbon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10Inorganic fibres based on non-oxides other than metals
    • D10B2101/12Carbon; Pitc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6Packings, gaskets,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Devi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얀(1)은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팽창 흑연 시트편(7)과,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상 부재(5)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형상 부재(5)내에,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꼬인 상태에서 충전되어 있다. 또, 이 얀(1)의 복수개가 편조되는 것에 의해, 또는 묶어진 상태에서 꼬이는 것에 의해, 글랜드 패킹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얀 및 글랜드 패킹
본 발명은 얀 및 글랜드 패킹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늘고 긴 형상의 팽창 흑연과, 이 팽창 흑연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를 구비하는 얀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얀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섬유 형상의 팽창 흑연을 통형상 부재에 충전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138315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얀에 있어서, 섬유 형상의 팽창 흑연은 가늘고 긴 형상이고 또한 곧은 상태에서 통형상 부재에 들어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팽창 흑연이 상기 통형상 부재에 충전되었을 때에 상기 팽창 흑연끼리가 얽히기 어려워지고, 상기 얀의 성형 후에 상기 얀의 굵기(두께)가 불균일하게 되기 쉬웠다. 그 결과, 상기 얀을 이용하여 구성된 글랜드 패킹의 시일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얀의 굵기의 균일화를 도모하여, 해당 얀으로 구성되는 글랜드 패킹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상 부재내에,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꼬인 상태에서 충전되어 있는 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통형상 부재내에 있어서,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을 다른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과 얽히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을, 다른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에 대해 어긋나 이동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을 충전한 상기 통형상 부재에 대해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을 상기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부여된 경우에도, 상기 통형상 부재내에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의 충전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충전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얀의 굵기를 대략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글랜드 패킹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의 꼬임 횟수는 100㎜당 5회 이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의 꼬임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상기 통형상 부재에의 충전 후의 성형시에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의 파단이나 결락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이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상기 얀의 굵기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얀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상기 글랜드 패킹의 시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전술한 얀의 복수개가 편조되는 것에 의해, 또는 묶여진 상태에서 꼬이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글랜드 패킹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일성을 향상시킨 글랜드 패킹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얀의 굵기의 균일화를 도모하여, 해당 얀으로 구성되는 글랜드 패킹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얀을 구비하는 글랜드 패킹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얀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얀에 있어서의 팽창 흑연 시트편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꼬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b)는 (a)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꼬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c)는 (a)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1회 꼬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얀의 제조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 1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얀의 제조 장치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제 2 모식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이 제작될 때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는 (a)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제작될 때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c)는 (a)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작성될 때의 제 3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a)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팽창 흑연 시트편에 관한 시트 형상 부재가 향해 오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b)는 도 7의 (b)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시트 형상 부재가 향해 오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c)는 도 7의 (c)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시트 형상 부재가 향해 오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얀(1)을 구비하는 글랜드 패킹(3)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얀(1)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얀(1)은 글랜드 패킹(3)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얀(1)은 글랜드 패킹(3) 이외의 제품, 예를 들면 단열재용 크로스 등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얀(1)의 복수개가 편조되는 것에 의해, 글랜드 패킹(3)이 구성되어 있다. 글랜드 패킹(3)은 복수개의 얀(1)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얀(1)은 그 복수개가 묶어진 상태에서 꼬이는 것에 의해, 글랜드 패킹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얀(1)은 별도 준비된 심재 등의 다른 재료와 함께 글랜드 패킹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얀(1)은 통형상 부재(5)와,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을 구비하고 있다. 얀(1)은 통형상 부재(5)내에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꼬인 상태에서 충전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형상 부재(5)는 섬유재를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 통형상 부재(5)는 그물코 형상 구조물이다. 예를 들면, 통형상 부재(5)는 섬유재(선재(11))가 니트 뜨기에 의해 구성된 둥근뜨기 구조물로 된다.
통형상 부재(5)에 있어서, 섬유재로서의 선재(11)는 인코넬선 또는 스테인리스선 등의 금속선이다. 선재(11)는 예를 들면, 0.1㎜ 정도의 직경을 갖는 둥근 선이다.
또한, 이 섬유재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금속선의 선재(11)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견사, 면사, 화학섬유사의 선재로 해도 좋다.
또, 통형상 부재(5)는 충전 후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외부에 탈락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 그물코(13)를 복수 갖고 있다. 통형상 부재(5)는 복수의 그물코(13)를 통해, 충전 후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통형상 부재(5)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은 긴쪽 방향이 통형상 부재(5)의 축 방향(긴쪽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하고 또한 다른 팽창 흑연 시트편(7)과 통형상 부재(5)의 직경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해당 통형상 부재(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은 얀(1)에 있어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꼬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꼬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의 (c)는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팽창 흑연 시트편(7)이 1회 꼬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4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의 정면 부분의 색과 배면 부분의 색을 바꾸고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흑연 시트편(7)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팽창 흑연 시트편(7)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꼬인 상태에서 통형상 부재(5)내에 충전될 수 있는 소정의 치수를 갖고 있다.
즉, 팽창 흑연 시트편(7)은 통형상 부재(5)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길이(긴쪽 방향 치수)를 갖고 있다. 팽창 흑연 시트편(7)은 통형상 부재(5)의 직경 방향 길이보다 작은 폭(짧은쪽 방향 치수) 및 두께를 갖고 있다.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꼬이기 전의 상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은 대략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을 띠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팽창 흑연 시트편(7)은 그 폭 W보다 작은 두께 T를 갖고 있다.
꼬이기 전의 상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은 100㎜∼300㎜ 정도의 길이 L과, 0.25㎜∼2.5㎜ 정도의 폭 W와, 0.25㎜∼1.0㎜ 정도의 두께 T를 갖는다.
그리고, 팽창 흑연 시트편(7)은 꼬이기 전의 상태로부터 1회 꼬이고(도 4의 (c) 참조),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복수회 꼬이는 것에 의해, 최종 형태를 이루는 꼬인 상태로 된다(도 3 참조).
여기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을 1회 꼰다는 것은 꼬이기 전의 상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긴쪽 방향 일단부(7a)측을 긴쪽 방향 타단부(7b)측에 대해 긴쪽 방향 중심선(17) 주위로 180도 회전시키는(반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길이는 약 200㎜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가 200㎜당 6회(100㎜당 3회)로 되어 있다.
꼬인 상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에는 꼬임에 의해 구부림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림부(19)는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긴쪽 방향 중도부가 만곡 형상을 띠도록, 꼬임 횟수와 동일 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꼬인 상태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은 통형상 부재(5)내에 충전되는 경우에, 해당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긴쪽 방향이 다른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긴쪽 방향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면서, 그 꼬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형상 부재(5)내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을 다른 팽창 흑연 시트편(7)과 얽히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을, 다른 팽창 흑연 시트편(7)에 대해 어긋나 이동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을 충전한 통형상 부재(5)에 대해 팽창 흑연 시트편(7)을 통형상 부재(5)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부여되었을 때 등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얀(1)을 성형하는 경우에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5)를 편평하게 가공하기 위해 압압 부재(한 쌍의 롤러(57·58)를 구비하는 것 등)에 의해 압연할 때 등에는 통형상 부재(5)내에 팽창 흑연 시트편(7)의 충전 편차가 잘 생기지 않는다(충전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얀(1)의 굵기(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얀(1)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글랜드 패킹(3)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글랜드 패킹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얀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해당 글랜드 패킹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얀에 본 발명에 관한 얀을 포함하는 것이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는 200㎜당 1회 이상 10회 이하이다. 즉,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는 100㎜당 1회 이상 5회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는 200㎜당 6회이다. 즉,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는 100㎜당 3회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꼬여져 있는 것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가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은 경우에는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5)를 압연할 때 등에,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구부림부(19)에서 꺾여 파단되거나, 혹은 파단된 팽창 흑연 시트편(7)이 그물코(13)를 빠져나가 탈락하고, 통형상 부재(5)내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일부 결락(통형상 부재(5)내에 공극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횟수가 상기 소정의 범위내이면, 이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얀(1)의 굵기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얀(1)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글랜드 패킹(3)의 시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얀(1)의 복수개가 편조되는 것에 의해, 글랜드 패킹(3)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시일성을 향상시킨 글랜드 패킹(3)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얀(1)의 제조 장치(30)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 1 모식도이다. 도 6은 제조 장치(30)의 별도의 부분을 나타내는 제 2 모식도이다. 또한, 도 5의 『*』부분이 도 6의 『*』부분과 이어진다.
얀(1)은 도 5, 도 6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조 장치(30)는 얀(1)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수단의 일예에 불과하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 장치(30)는 공급 기구(31)와, 반송 기구(32)와, 절단 기구(33)와, 안내 기구(34)와, 편물 기계(35)와, 압압기(3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조 장치(30)는 각 부의 제어를 실행 가능한 제어 장치(38)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 기구(31)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시트 형상 부재(띠 형상의 팽창 흑연 시트)(41)와, 심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형상 부재(41)의 대부분은 심재(42)에 두루 감긴 상태의 권회 부분(41a)으로 되어 있다.
공급 기구(31)에 있어서, 시트 형상 부재(41)의 권회 부분(41a)은 반송 기구(32)의 구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심재(42)에의 권회가 서서히 풀리고, 도 5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측에(절단 기구(33)를 향해) 송출된다.
반송 기구(32)는 한 쌍의 롤러(44·45)와, 이들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반송 구동부(46)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기구(32)는 한 쌍의 롤러(44·45)에 의해, 공급 기구(31)로부터 송출된 시트 형상 부재(41)를 협지한다.
반송 기구(32)는 반송 구동부(46)에 의해 한 쌍의 롤러(44·45)를 회전 구동시켜, 공급 기구(31)로부터 당겨진 시트 형상 부재(41)를 도 5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측에(절단 기구(33)를 향해) 송출한다.
절단 기구(33)는 절단날(47)과, 이것을 구동시키기 위한 절단 구동부(48)와, 받이대(49)를 구비하고 있다.
절단 기구(33)는 절단 구동부(48)에 의해, 절단날(47)을 시트 형상 부재(41)에 대해 근접시키는 방향과 이간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절단 기구(33)는 절단날(47)에 의해, 받이대(49)상에 도달한 시트 형상 부재(41)를 그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단하고, 시트 형상 부재(41)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를 절단편으로 해서 시트 형상 부재(41)의 본체측으로부터 이간시킨다.
안내 기구(34)는 대경의 상측 개구부(53)와 이보다 소경의 하측 개구부(54)를 갖는 호퍼(51)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기구(34)에 있어서, 호퍼(51)는 상측 개구부(53)가 절단 기구(33)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안내 기구(34)는 절단 기구(33)에서 제작된 절단편을 팽창 흑연 시트편(7)으로 해서 상측 개구부(53)로부터 받아들이고, 이 상측 개구부(53)측에서 하측 개구부(54)로, 더 나아가서는 편물 기계(35)를 향해 안내한다.
편물 기계(35)는 선재(11)를 니트 뜨기하여 통형상 부재(5)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편물 기계(35)는 통형상 부재(5)의 개구부가 호퍼(51)의 하측 개구부(54)와 대향하도록 통형상 부재(5)를 짜면서 아래쪽으로 늘린다.
편물 기계(35)에 있어서는 짜여진 통형상 부재(5)내에, 안내 기구(34)로부터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이 도입된다. 그리고,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5)가 압압기(36)를 향해 송출된다.
압압기(36)는 한 쌍의 롤러(57·58)와, 이들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반송 구동부(59)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기(36)는 편물 기계(35)부터 송출되고,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5)를 압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압기(36)는 한 쌍의 롤러(57·58)의 회전 구동에 의해, 이들 사이에, 편물 기계(35)로부터 송출되고,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충전된 통형상 부재(5)를 배치하고, 그 배치된 부분을 납작하게 가공한다.
그 결과, 제조 장치(30)는 편평한 얀(1)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조 장치(30)에 의한 제조 공정의 도중(절단 기구(33)에 의한 절단 공정)에, 통형상 부재(5)내에 충전되는 팽창 흑연 시트편(7)에 꼬임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의 (a)는 절단 기구(33)에 의해 상기 절단편, 즉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제작될 때의 제 1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7의 (b)는 절단 기구(33)에 의해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제작될 때의 제 2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7의 (c)는 절단 기구(33)에 의해 팽창 흑연 시트편(7)이 제작될 때의 제 3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단면도)이다. 절단 기구(33)에 있어서는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의 순으로 하나의 팽창 흑연 시트편(7)의 제작이 진행한다.
도 8의 (a)∼(c)는 각각, 도 7의 (a)∼(c)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시트 형상 부재(41)가 향해 오는 방향(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본 도면이다.
절단 기구(33)에 의한 하나의 팽창 흑연 시트편(7)(상기 절단편)의 제작시에는 우선, 도 7의 (a) 및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47)이 칼끝(47a)을 시트 형상 부재(41)에 그 상측부터 닿도록 이동시킨다.
상세하게는 절단날(47)은 칼끝(47a)이 연장하는 방향(길이 방향)이 시트 형상 부재(41)의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절단날(47)의 칼끝(47a)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시트 형상 부재(41)의 상면에 대해 각도가 부가되어 있다. 즉, 칼끝(47a)을 따르는 직선은 시트 형상 부재(41)의 상면에 대해 수평이 아니라, 경사져 있다. 절단날(47)의 칼끝(47a)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그 뾰족 형상의 선단부가 시트 형상 부재(41)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절단날(47)의 칼끝(47a)은 시트 형상 부재(41)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측이 시트 형상 부재(41)의 절단 위치(61)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소정량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가 시트 형상 부재(41)의 상면에 접촉한다.
또, 시트 형상 부재(41)를 탑재한 받이대(49)는 절단 위치(61)를 통과한 시트 형상 부재(41)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의 하측을 자유 상태(공간(63)이 형성된 상태)로 하도록, 절단 위치(61)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마련된다.
다음에,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47)의 칼끝(47a)이 절단 위치(61)에 있어서 시트 형상 부재(41)와의 당접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시트 형상 부재(41)의 짧은쪽 방향 일단측 부분(도 7의 (b)에 있어서의 안쪽측 부분)(41c)을 절단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7의 (c) 및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날(47)의 칼끝(47a)이 시트 형상 부재(41)의 짧은쪽 방향 일단측 부분(41c)을 완전히 절단한다. 그 후, 절단날(47)의 칼끝(47a)이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시트 형상 부재(41)의 짧은쪽 방향 타단측 부분(도 7의 (b)에 있어서의 바로 앞측 부분)(41d)도 절단한다.
또한, 시트 형상 부재(41)의 절단시에는 절단 위치(61)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는 시트 형상 부재(41)의 긴쪽 방향 일단부(41b)의 하측이 자유 상태(공간(63)이 형성된 상태)로 유지된다.
절단날(47)은 이와 같은 흐름으로 칼끝(47a)을 시트 형상 부재(41)에 그 상측부터 대략 수직 방향에 대어, 팽창 흑연 시트편(7)이 형성되도록 해당 칼끝(47a)에 의해 시트 형상 부재(41)를 미세 컷으로 절단한다.
여기서, 절단날(47)의 칼끝(47a)은 시트 형상 부재(41)의 상면에 대해 각도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형상 부재(41)의 짧은쪽 방향 일단측에 있어서의 절단 개시부터 짧은쪽 방향 타단측에 있어서의 절단 완료까지의 사이에 시간 차를 낳는다.
또, 시트 형상 부재(41)는 얇게(0.25㎜∼1.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형상 부재(41)의 미세 컷의 절단에 의해 제작되는 절단편(팽창 흑연 시트편(7))도 얇게(0.25㎜∼1.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형상 부재(41)의 절단이 개시되면, 절단편(팽창 흑연 시트편(7))으로 되는 부분이 구부려지기 시작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시트 형상 부재(41)의 절단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그 절단편에 꼬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꼬인 상태의 절단편(팽창 흑연 시트편(7))을 제작하여, 안내 기구(34)의 호퍼(51)에 도입할 수 있다. 즉, 절단 기구(33)를 이용한 제조 장치(30)의 절단 공정에서 팽창 흑연 시트편(7)에 꼬임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팽창 흑연 시트편(7)의 꼬임 정도(100㎜당 꼬임 횟수 등)는 상기 절단 공정에 있어서의 절단편의 치수를 변경하는(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 부재(41)의 짧은쪽 방향 폭을 변경하거나, 혹은 시트 형상 부재(41)의 긴쪽 방향의 절단 폭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이 많은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의 청구범위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얀 3; 글랜드 패킹
5; 통형상 부재 7; 팽창 흑연 시트편

Claims (3)

  1. 섬유재를 뜨거나 또는 짜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상 부재내에, 복수의 가늘고 긴 형상의 팽창 흑연 시트편이 꼬인 상태에서 충전되어 있는 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흑연 시트편의 꼬임 횟수는 100㎜당 5회 이하인 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얀의 복수개가 편조되는 것에 의해, 또는 묶어진 상태에서 꼬이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글랜드 패킹.
KR1020207017638A 2018-03-30 2019-01-15 얀 및 글랜드 패킹 KR102583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7566A JP7061496B2 (ja) 2018-03-30 2018-03-30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JPJP-P-2018-067566 2018-03-30
PCT/JP2019/000890 WO2019187503A1 (ja) 2018-03-30 2019-01-15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940A true KR20210004940A (ko) 2021-01-13
KR102583450B1 KR102583450B1 (ko) 2023-10-05

Family

ID=6805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638A KR102583450B1 (ko) 2018-03-30 2019-01-15 얀 및 글랜드 패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82355B2 (ko)
EP (1) EP3779003A4 (ko)
JP (1) JP7061496B2 (ko)
KR (1) KR102583450B1 (ko)
CN (1) CN111655914B (ko)
WO (1) WO20191875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9635A1 (en) * 2000-10-19 2002-06-13 Japan Matex Kabushiki Kaisha Gland packing materials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gland packing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made from the materials, and a producing method of gland packing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US20040151905A1 (en) * 2003-01-31 2004-08-05 Katsuro Tsukamoto Packing material and gland packing used the material
JP2006349070A (ja) * 2005-06-16 2006-12-28 Japan Matekkusu Kk パッキン材料及び該パッキン材料を用いたグランドパッキン並びにパッキン材料の製造方法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の製造方法
JP2007138315A (ja) 2005-11-16 2007-06-0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JP2010255661A (ja) * 2009-04-21 2010-11-11 Japan Matekkusu Kk パッキン材料及びこの材料を用いたグランドパッキ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118Y2 (ko) * 1986-06-30 1992-10-29
JPH0356691Y2 (ko) * 1986-11-25 1991-12-20
JP2762184B2 (ja) * 1991-10-25 1998-06-0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パッキン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ル部材
JPH0689322B2 (ja) * 1991-11-21 1994-11-0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用ガスケット
JP4175525B2 (ja) * 1998-05-28 2008-11-05 ジャパンマテックス株式会社 密封材料
DE19828789A1 (de) * 1998-06-27 1999-12-30 Sgl Technik Gmbh Packungsgarn aus Graphit- und Plastikfolie
DE19828790A1 (de) * 1998-06-27 1999-12-30 Sgl Technik Gmbh Packungsgarn aus Graphit- und Metallfolie
KR100681889B1 (ko) * 2002-09-11 2007-02-12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글랜드패킹재료 및 글랜드패킹
JP6159619B2 (ja) * 2013-08-21 2017-07-05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ヤーン
US10100444B2 (en) * 2014-11-18 2018-10-16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Yarn and gland packing
KR20160091705A (ko) * 2015-01-26 2016-08-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유전체 섬유와 폴리케톤 섬유가 조합된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69635A1 (en) * 2000-10-19 2002-06-13 Japan Matex Kabushiki Kaisha Gland packing materials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gland packing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made from the materials, and a producing method of gland packing made from expansive graphite
US20040151905A1 (en) * 2003-01-31 2004-08-05 Katsuro Tsukamoto Packing material and gland packing used the material
JP2006349070A (ja) * 2005-06-16 2006-12-28 Japan Matekkusu Kk パッキン材料及び該パッキン材料を用いたグランドパッキン並びにパッキン材料の製造方法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の製造方法
JP2007138315A (ja) 2005-11-16 2007-06-0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ヤーン及びグランドパッキン
KR101056269B1 (ko) * 2005-11-16 2011-08-11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 및 글랜드패킹
JP2010255661A (ja) * 2009-04-21 2010-11-11 Japan Matekkusu Kk パッキン材料及びこの材料を用いたグランドパッ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1496B2 (ja) 2022-04-28
EP3779003A1 (en) 2021-02-17
CN111655914B (zh) 2023-06-20
WO2019187503A1 (ja) 2019-10-03
EP3779003A4 (en) 2021-11-03
KR102583450B1 (ko) 2023-10-05
CN111655914A (zh) 2020-09-11
US11982355B2 (en) 2024-05-14
US20200347936A1 (en) 2020-11-05
JP2019178444A (ja)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5101B (zh) 部分分纖纖維束之製造方法及製造裝置、部分分纖纖維束
KR101108826B1 (ko) 얀의 제조방법, 그 제조장치 및 글랜드 패킹 제조방법
JP7001997B2 (ja) 部分分繊繊維束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部分分繊繊維束を用いた繊維強化樹脂成形材料とその製造方法
ES2961467T3 (es) Material de moldeo de resina reforzada con fibras y método de producción del mismo
US223252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 extensible retractile cord
JP4378351B2 (ja) ヤーンの製造方法
JP4372106B2 (ja) ヤーンの製造装置
JP7003990B2 (ja) 部分分繊繊維束、中間基材、成形品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10004940A (ko) 얀 및 글랜드 패킹
CN107109785B (zh) 线及压盖填料
EP3222777B1 (en) Method for producing yarn
JP5267035B2 (ja) 長繊維強化樹脂ペレットの製造方法
JP5914620B1 (ja) グランドパッキ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116765A (ja) 開繊機構
JP2755722B2 (ja) 筒状不織布の加工装置
JP6122189B1 (ja) 布生地の製造方法及び布生地
JP2010043213A (ja) 繊維強化複合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2016098440A (ja) ヤ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