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108A -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108A
KR20210003108A KR1020207030150A KR20207030150A KR20210003108A KR 20210003108 A KR20210003108 A KR 20210003108A KR 1020207030150 A KR1020207030150 A KR 1020207030150A KR 20207030150 A KR20207030150 A KR 20207030150A KR 20210003108 A KR20210003108 A KR 2021000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
pro
leu
val
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로 야마다
히데토모 사쿠라이
켄지 사토
아키카 에지마
오사무 나카가와사이
코이치 탄노
Original Assignee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filed Critical 제리아 신야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신규한 피로 예방 개선 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공. (D)Ile-(D)Pro, (D)Leu-(D)Pro, (D)Pro-(D)Ile, D)Pro-(D)Leu, (D)Val-(D)Pro, (D)Pro-(D)Val, (D)Leu-(D)Hyp, (D)Ile-(D)Hyp, (D)Val-(D)Hyp, (D)Asp-(D)Ile, (D)Asp-(D)Val, (D)Asp-(D)Leu, (D)Asp-(D)Phe, (D)Ile-(L)Pro, (D)Leu-(L)Pro, (D)Pro-(L)Ile, (D)Pro-(L)Leu, (D)Val-(L)-Pro, (D)Pro-(L)Val, (D)Leu-(L)Hyp, (D)Ile-(L)Hyp, (D)Val-(L)Hyp, (D)Asp-(L)Ile, (D)Asp-(L)Val,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

Description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본 발명은,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로는, 일반적으로 피로감, 권태감을 주 증상으로 하지만, 결과로서 운동 능력의 저하, 수면 장애, 의욕 저하 등을 초래한다. 단기적인 피로의 경우에는, 휴식, 수면, 영양 보급 등에 의해 회복되지만, 만성 피로의 경우에는, 장기적인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등이 회복되기 어렵다.
이러한 피로에 대하여, 아미노산 조성물 (특허문헌 1), L-카르니틴(특허문헌 2), 아스코르브산 등(특허문헌 3)이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간가수분해물은, AMPK 활성화 작용을 가져 항피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9-1244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460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32743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5/022927호
그러나, 간가수분해물은, 아미노산이나 펩티드를 많이 포함한다고 되어 있지만, 실제의 유효 성분은 판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새로운 피로 예방 개선 작용을 갖는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새로운 피로 예방 개선제를 개발하기 위해 검토하고,간가수분해물을 동물에게 투여하여 혈중으로 이행하는 난소화성 펩티드를 탐색하고, 또한 간가수분해물을 여러가지 칼럼을 사용하여 펩티드를 분획하여 약효 평가를 했더니, L체 아미노산 유래가 아니라, 특정한 D체 아미노산 유래의 디펩티드가 발견되어, 당해 디펩티드가 피로 예방 개선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 [1] 내지 [9]를 제공하는 것이다.
[1] (D)Ile-(D)Pro, (D)Leu-(D)Pro, (D)Pro-(D)Ile, (D)Pro-(D)Leu, (D)Val-(D)-Pro, (D)Pro-(D)Val, (D)Leu-(D)Hyp, (D)Ile-(D)Hyp, (D)Val-(D)Hyp, (D)Asp-(D)Ile, (D)Asp-(D)Val, (D)Asp-(D)Leu, (D)Asp-(D)Phe, (D)Ile-(L)Pro, (D)Leu-(L)Pro, (D)Pro-(L)Ile, (D)Pro-(L)Leu, (D)Val-(L)-Pro, (D)Pro-(L)Val, (D)Leu-(L)Hyp, (D)Ile-(L)Hyp, (D)Val-(L)Hyp, (D)Asp-(L)Ile, (D)Asp-(L)Val,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
[2] (D)Asp-(D)Val, (D)Asp-(D)Ile, (D)Asp-(D)Leu, (D)Asp-(D)Phe, (D)Asp-(L)Val, (D)Asp-(L)Ile,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1]에 기재한 디펩티드.
[3] [1] 또는 [2]에 기재한 디펩티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4] 피로 예방 개선제인 [3]에 기재한 의약 조성물.
[5] [1]또는 [2]에 기재한 디펩티드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6] 피로 예방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5]에 기재한 식품 조성물.
[7] 피로 예방 개선제 또는 피로 예방 개선용 식품 제조를 위한 [1] 또는 [2]에 기재한 디펩티드의 사용.
[8] 피로를 예방 개선하기 위한, [1] 또는 [2]에 기재한 디펩티드.
[9] [1] 또는 [2]에 기재한 디펩티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의 예방 개선 방법.
본 발명의 디펩티드는, D체 아미노산 유래여서 난소화성이며, 혈중에 장시간 존재하여 피로 예방 개선 작용을 갖는다는 점에서, 피로 예방 개선용 의약 및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소수성 펩티드 획분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소수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친수성 펩티드 획분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친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Asp-Leu(Dα)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Asp-Leu(Dβ)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은 Asp-Val(Dα)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Asp-Val(Dβ)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Asp-Phe(Dα)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Asp-Phe(Dβ)의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디펩티드는, (D)Ile-(D)Pro, (D)Leu-(D)Pro, (D)Pro-(D)Ile, (D)Pro-(D)Leu, (D)Val-(D)-Pro, (D)Pro-(D)Val, (D)Leu-(D)Hyp, (D)Ile-(D)Hyp, (D)Val-(D)Hyp, (D)Asp-(D)Ile, (D)Asp-(D)Val, (D)Asp-(D)Leu, (D)Asp-(D)Phe, (D)Ile-(L)Pro, (D)Leu-(L)Pro, (D)Pro-(L)Ile, (D)Pro-(L)Leu, (D)Val-(L)-Pro, (D)Pro-(L)Val, (D)Leu-(L)Hyp, (D)Ile-(L)Hyp, (D)Val-(L)Hyp, (D)Asp-(L)Ile, (D)Asp-(L)Val,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이며, 이 중 경구 투여에 의한 혈중으로의 이행성, 작용 지속성 및 항피로 효과의 점에서, (D)Asp-(D)Val, (D)Asp-(D)Ile, (D)Asp-(D)Leu, (D)Asp-(D)Phe, (D)Asp-(L)Val, (D)Asp-(L)Ile,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가 바람직하고, (D)Asp-(D)Leu, (D)Asp-(L)Leu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D)이라고 하는 표기는, 아미노산이 D체인 것을 의미한다. (L)이라고 하는 표기는 아미노산이 L체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D)체 또는 (L)체 디펩티드의 α체 및 β체 중, β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펩티드는, (D)아미노산을 원료로서 사용하고, 통상의 액상 펩티드 합성법 또는 고상 펩티드 합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α-아미노기 이외의 관능기를 보호한 아미노산과, 카르복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보호한 아미노산 또는 카르복시기를 활성화하고, 카르복시기 이외의 관능기를 보호한 아미노산을 축합시킨 후, 보호기를 탈리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아미노산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는, 벤질옥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의 보호기로서는, tert-부틸기, 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축합 반응은,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디시클로헥실 요소 그 밖의 축합제를 사용하는 방법, 니트로페놀,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등의 활성 에스테르법, 혼합 산무수물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축합 반응 종료 후, 보호기는 제거되지만, 고상법의 경우는 추가로 펩티드의 C 말단과 수지와의 결합을 절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펩티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된다.
본 발명의 디펩티드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염일 수 있다. 산부가염으로서는,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 수소산, 과염소산 등의 무기산염, 시트르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p-톨루엔술폰산, 벤젠술폰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용매화물일 수 있다. 용매화물로서는, 물(수화물의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펩티드는 난소화성이며, 경구 투여 후의 혈중 이행성이 높고, 지속성도 우수하여 피로 예방 개선 작용을 갖는다. 여기에서, 피로 예방 개선 작용으로서는, 운동 기능 지속 작용, 운동 기능 향상 작용, 항피로 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피로감 경감 작용, 만성 피로 예방 작용, 피로회복 작용, 동계 예방·개선 작용, 어지러움 예방·개선 작용, 숨가뿜 예방·개선 작용, 근육통 예방·개선 작용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펩티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 경피 투여, 경장 투여, 경정맥 투여 등에 의해 투여할 수 있지만, 경구 투여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용의 제제로서는, 액제, 정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액제, 정제가 바람직하고, 액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구 투여 제제로 하기 위해서는, 유당, 만니톨,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등의 부형제,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등의 결합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의 붕괴제,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의 활택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등의 용해 보조제, 교미제, 감미제, 안정화제, pH 조정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등의 피복제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는, 다른 유효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다른 유효 성분으로서는, 비타민 B1류; 티아민, 질산 티아민, 염산 티아민, 푸르술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벤포티아민, 티아민디술피드, 디세티아민, 티아민프로필디술피드 및 이들의 유도체, 비타민 B2류; 리보플라빈 및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비타민 B3류; 나이아신, 니코틴산, 니코틴산 아미드 및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비타민 B5류; 판테놀, 판토텐산 및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비타민 B6류; 피리독신 및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비타민 B12류; 시아노코발라민 및 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염, 그 밖의 비타민류;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K, 비타민 P,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 타우린, 콘드로이틴 황산, 로얄 젤리, 카페인, 울금, 큰엉겅퀴, 민들레, 서양 민들레, 우엉, 마늘, 국화, 서양 톱풀, 치자나무, 참깨, 히말라야삼, 아스파라거스, 양파, 치커리, 약용 셀비어, 조선 엉겅퀴(아티초크), 구기자나무, 콩과·붓꽃과의 식물, 미야마 메추리, 엘바 데 파사리뇨, 세테산그라아, 예덕나무, 홍차, 레스베라트롤, 카테킨류, 베르베린, 로즈마리, 콩 추출물, 메트포르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품외, 의약 부외품, 특정 보건용 식품, 스포츠 음료, 재활 훈련용 음료, 펫푸드 등의 기능성 식품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디펩티드의 함유량은, 투여 형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0.001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001 내지 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또는 식품 물에 있어서의 상기 디펩티드의 1일 투여량은 10mg 내지 1000mg가 바람직하고, 20mg 내지 800mg가 보다 바람직하고, 50mg 내지 800mg가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전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간가수분해물의 분획)
(1) 펩티드와 피로글루타밀펩티드의 분획
강 양이온 교환 수지(AG50)를 Econo Column(2.5×20cm)에 충전하고, 수지를 10mM HCl로 평형화하였다. 1g의 간가수분해물(Sample A)을 20mL의 10mM HC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수지 상에 첨가하고, 플로우스루 획분을 20mL 회수하였다. (플로우스루 획분 1). 계속해서, 20mL의 10mM HCl을 수지 상에 첨가하고, 플로우스루 획분 20mL를 회수한다. 이 조작을 19회 반복하였다(플로우스루 획분 2 내지 20), 플로우스루 획분 1 내지 20의 흡광도(230nm)를 측정하여 펩티드의 용출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20mL의 50% 암모니아 용액을 수지 상에 첨가하고, 흡착 획분 20mL를 회수하였다. 이 조작을 20회 반복하였다(흡착 획분 1 내지 20). 흡착 획분 1 내지 20의 흡광도(230nm)를 측정하여 펩티드의 용출을 확인하였다.
플로우스루 획분(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및 흡착 획분(펩티드 획분)을 증발기로 감압 농축하였다.
(2)친수성과 소수성의 분획
고상 추출 칼럼(Sep-Pak)을 10mM HCl로 평형화하였다.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을 칼럼에 패스시키고, 플로우스루 획분을 용출·회수하였다(친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계속해서, 10mM HCl을 포함하는 60%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칼럼에 패스시켜 흡착 획분을 용출·회수하였다(소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펩티드 획분에 대해서도 이러한 조작을 행하였다.
얻어진 4 획분을 동결 건조하였다.
실시예 2
(1) 간가수분해물 중의 난소화성 펩티드의 정량 실험
1) 2.5mg의 간가수분해물을 1mL의 50mM Tris-HCl에 용해하였다.
2) 1)에 판크레아틴(0.1mg), 류신아미노펩티다아제(2.45unit), 카르복시펩티다아제(7.7unit)를 첨가하여 효소 반응시켰다 (37℃, 24h).
3) 한외 여과(10K)에 의해 효소를 제거하였다.
4) 3)을 스핀 칼럼에 충전한 강 양이온 교환 수지(AG50)에 패스시키고, 플로우스루 획분을 회수하였다(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5) 200μL의 3) (펩티드 획분) 및 4)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를 사이즈 배제 HPLC 으로 분획·분취하였다(SEC Fr. 35-44).
6) 펩티드 획분에 대해서는, SEC Fr. 35-44를 건고하여 AccQ화하였다.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에 대해서는, SEC Fr. 35-44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7) LC-MS/MS 분석에 의해, 난소화성 펩티드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칼럼: Inertsil ODS-3
용리액: 0.1% 포름산 및 0.1% 포름산을 포함하는 80% 아세토니트릴
분석 방법: 펩티드 획분에 대해서는, AccQ의 프래그먼트(m/z=171.1)를 특이적으로 검출(Precursor ion scan) 분석한 후, MS/MS 분석으로 구조를 추정하고, 표준을 합성하여 MRM 분석으로 동정·정량을 행한다.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에 대해서는, Total scan ion 분석에 의해 피크를 검출한 후, MS/MS 분석으로 구조를 추정하고, 표준을 합성하고 MRM로 동정·정량을 행한다.
(2) 간가수분해물을 래트에게 투여했을 때의 펩티드 혈중 이행의 실험
1)Wister rat(6주령, 웅성)에게 간가수분해물 수용액을 단회 투여하였다(10g/60kg).
2) 투여 30분 및 60분 후,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서 복부 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장을 얻었다. 추가로, 소화관(십이지장 내지 회장)을 적출하고, 생리 식염수 10mL로 관강 내용물을 용출한다. 혈장 및 소화관 내용물에 3배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였다(분석까지 -20℃에서 보존).
3) 혈장 및 소화관 내용물의 에탄올 상을 건고하여 AccQ화를 행하였다.
4) MRM 분석에 의해, (1)에서 동정된 난소화성 펩티드의 동정·정량을 행하였다.
혈중의 디펩티드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그 결과, (D)Asp- (D)Val, (D)Asp- (D)Phe, (D)Asp- (D)lle, (D)Asp- (D)Leu, (D)Asp(L)Val, (D)Asp- (L)Ille, (D)Asp- (L)Leu 및 (D)Asp- (L)Phe는, 경구 투여에 의한 혈중 이행성이 양호하여 혈중에서 장시간 지속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3(디펩티드의 합성)
1) 이하의 순서로 가지형 플라스크에 시약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4℃, over night).
(i) H-Leu-OtBu·HCl
(ii) DMF
(iii) TEA
(iv) Boc-Asp(OtBu)-OH(Lα체)
(v) HOBt
(vi) EDL·HCl
그 밖의 이성체의 경우에는, 다음의 보호 아미노산을 사용한다.
Boc-D-Asp(OtBu)-OH(Dα체)
Boc-Asp-OtBu(Lβ체)
Boc-D-Asp-OtBu(Dβ체)
2) 증발기로 DMF를 제거한다.
3) 아세트산 에틸에 용해하고, 분액 깔대기에 옮긴다.
4) 5% 탄산 수소 나트륨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수층을 제거한다. (×2)
5) 10%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수층을 제거한다. (×2)
6) 포화 식염수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수층을 제거한다.
7) 아세트산 에틸층을 회수하고, 황산 수소 나트륨을 첨가하여 탈수한다.
8) 아세트산 에틸층을 여과 회수하고, 증발기로 농축한다.
9)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고, 발생한 침전을 건조시킨다. (발생하지 않을 경우는 10)으로 진행한다)
10) 건조물에 4M HCl/dioxane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4℃, 24 내지 48h)
11) 증발기로 4M HCl/dioxane을 제거한다.
12)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얻어진 침전을 초음파로 파쇄·세정하고, 에테르 상청을 데칸으로 제거한다. (×3)
13)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방치(4℃, over night).
14)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얻어진 침전을 초음파로 파쇄·세정하고, 에테르 상청을 데칸으로 제거한다. (×3)
15) 침전물을 건조한다.
실시예 4
[시험 방법]
(1) 사용 동물
실험에는, 체중 28 내지 32g (반입시 26g)의 ddY계 웅성 마우스(일본 SLC)를 사용하고, 실험에 제공할 때까지 실온 22±2℃, 습도 55±5%, 명암 12시간 사이클(명기; 7:00 내지 19:00, 암기; 19:00 내지 7:00)의 일정 환경 하에서 사육하였다. 사육 시에는 플라스틱 케이지(세로 30cm×가로 20cm×높이 13cm)를 사용하고, 실험 이외는, 고형 사료 및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2) 사용 약물 및 조정법
·소수성 펩티드 획분, 소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친수성 펩티드 획분, 친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은, 생리 식염액로 용해하고, 체중 10g당 0.1mL를 복강 내(i.p.) 투여하였다. 투여 스케줄로서는, 강제 보행 전에 생리 식염액 또는 소수성 펩티드 획분, 소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친수성 펩티드 획분, 친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을 i.p. 투여하고, 3시간의 강제 보행 부하 후, 15분간 관찰용 케이지에 환경 순응 후 생리 식염액 또는 소수성 펩티드 획분, 소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 친수성 펩티드 획분, 친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을 i.p. 투여하였다.
(3) 강제 보행 부하
강제 보행 부하는, 직경 37×깊이 35.5cm의 전동식 회전 바구니에 마우스를 넣고, 1회전/25 초의 속도로 3시간 강제 보행을 시행하였다.
(4) 자발 운동량의 측정
자발 운동랑은, 마우스를 플라스틱 케이지(세로 24cm×가로 17cm×높이 12cm)에 1마리씩 넣고, 15분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슈퍼 멕스를 사용하여 90분간의 평면 운동량을 자동적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친수성 펩티드 획분에 비하여, 소수성 펩티드 획분 및 소수성 피로글루타밀펩티드 획분은, 우수한 항피로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5
(1) 사용 동물
실험에는, 체중 28 내지 32g(반입 시 26g)의 ddY계 웅성 마우스(일본 SLC)를 사용하고, 실험에 제공할 때까지 실온 22±2℃, 습도 55±5%, 명암 12시간 사이클(명기; 7:00내지 19:00, 암기; 19:00 내지 7:00)의 일정 환경 하에서 사육하였다. 사육 시에는 플라스틱 케이지(세로 30cm×가로 20cm×높이 13cm)를 사용하고, 실험 이외는 고형 사료 및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2) 사용 약물 및 조정법
·디펩티드는, 생리 식염액로 용해하고, 체중 10g당 0.1mL를 복강 내(i.p.) 투여하였다. 투여 스케줄로서는, 강제 보행 전에 생리 식염액 또는 디펩티드를 i.p. 투여하고, 3 시간의 강제 보행 부하 후, 15분간 관찰용 케이지에 환경 순응 후 생리 식염액 또는 디펩티드를 i.p. 투여하였다.
(3) 강제 보행 부하
강제 보행 부하는, 직경 37×깊이 35.5cm의 전동식 회전 바구니에 마우스를 넣고, 1회전/25초의 속도로 3시간 강제 보행을 시행하였다.
(4) 자발 운동량의 측정
자발 운동량은, 마우스를 플라스틱 케이지(세로 24cm×가로 17cm×높이 12cm)에 1마리씩 넣고, 15분간 환경에 적응시킨 후, 슈퍼 멕스를 사용하여 90분간의 평면 운동량을 자동적으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5) 통계 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값(mean)과 표준 오차(S.E.M)에서 나타냈다. 유의차 검정은 분산분석처리 후, Fisher"의 PLSD 법을 행하였다. P 값 5% 이하를 유의차 있음으로 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이 검정에는, Stat view-J 5.0 for Windows(등록 상표)을 사용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10 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Asp-Leu(Dα체), Asp-Leu(Dβ체), Asp-Val(Dα체), Asp-Val(Dβ체), (D)Asp-Phe(Dα, Dβ)는 우수한 항피로 효과를 나타냈다.

Claims (9)

  1. (D)Ile-(D)Pro, (D)Leu-(D)Pro, (D)Pro-(D)Ile, (D)Pro-(D)Leu, (D)Val-(D)Pro, (D)Pro-(D)Val, (D)Leu-(D)Hyp, (D)Ile-(D)Hyp, (D)Val-(D)Hyp, (D)Asp-(D)Ile, (D)Asp-(D)Val, (D)Asp-(D)Leu, (D)Asp-(D)Phe, (D)Ile-(L)Pro, (D)Leu-(L)Pro, (D)Pro-(L)Ile, (D)Pro-(L)Leu, (D)Val-(L)-Pro, (D)Pro-(L)Val, (D)Leu-(L)Hyp, (D)Ile-(L)Hyp, (D)Val-(L)Hyp, (D)Asp-(L)Ile, (D)Asp-(L)Val,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
  2. 제1항에 있어서, (D)Asp-(D)Val, (D)Asp-(D)Ile, (D)Asp-(D)Leu, (D)Asp-(D)Phe, (D)Asp-(L)Val, (D)Asp-(L)Ile, (D)Asp-(L)Leu, 및 (D)Asp-(L)Phe로부터 선택되는 디펩티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디펩티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피로 예방 개선제인 의약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디펩티드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피로 예방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식품 조성물.
  7. 피로 예방 개선제 또는 피로 예방 개선용 식품 제조를 위한 제1항 또는 제2 항에 기재한 디펩티드의 사용.
  8. 피로를 예방 개선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디펩티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디펩티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의 예방 개선 방법.
KR1020207030150A 2018-04-26 2019-04-25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KR202100031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84925 2018-04-26
JPJP-P-2018-084925 2018-04-26
PCT/JP2019/017656 WO2019208700A1 (ja) 2018-04-26 2019-04-25 ジ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108A true KR20210003108A (ko) 2021-01-11

Family

ID=6829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150A KR20210003108A (ko) 2018-04-26 2019-04-25 디펩티드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WO2019208700A1 (ko)
KR (1) KR20210003108A (ko)
CN (1) CN112041328A (ko)
SG (1) SG11202010069SA (ko)
TW (1) TWI828681B (ko)
WO (1) WO20192087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100053U1 (de) 2021-01-11 2022-03-04 Lg Energy Solution, Ltd. Presstrog und Aktivierungsvorrichtung zum Aktivieren von Batteriezell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435A (ja) 1992-11-10 1994-11-29 Otsuka Pharmaceut Co Ltd 栄養補給組成物
JPH09124473A (ja) 1995-11-08 1997-05-13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体力増強剤
JP2001046021A (ja) 1999-08-10 2001-02-20 Itoham Foods Inc 体力増強・疲労回復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WO2015022927A1 (ja) 2013-08-12 2015-02-19 ゼリア新薬工業株式会社 Amp活性化プロテインキナーゼ活性化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3435C (da) * 1988-08-12 1992-07-20 Carlsberg Biotechnology Ltd Fremgangsmaade til enzymatisk fremstilling af dipeptider og derivater deraf
JPH08198768A (ja) * 1995-01-20 1996-08-06 Osamu Mimura 糖尿病治療剤
US20020006899A1 (en) * 1998-10-06 2002-01-17 Pospisilik Andrew J. Use of dipeptidyl peptidase IV effectors for lowering blood pressure in mammals
MXPA06000878A (es) * 2003-08-01 2006-03-30 Calpis Co Ltd Hidrolizado de caseina, proceso para producirla y uso de la misma.
EP2039366A4 (en) * 2006-04-21 2010-01-06 Meiji Seika Kaisha COMPOSITION CONTAINING PEPTIDE AS ACTIVE INGREDIENT
JP5337809B2 (ja) * 2008-09-22 2013-11-06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抗炎症性ペプチド
TW201028171A (en) * 2008-12-15 2010-08-01 Calpis Co Ltd Peptides for inhibiting skin aging
JP5754682B2 (ja) * 2010-01-27 2015-07-29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D−,l−ペプチドの立体選択的合成法
CN102464701B (zh) * 2010-11-08 2015-10-21 上海医药工业研究院 一类新型化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WO2012105711A1 (ja) * 2011-02-04 2012-08-09 学校法人早稲田大学 有機化合物の製造方法
WO2012165546A1 (ja) * 2011-05-31 2012-12-06 味の素株式会社 ペプチドの製造方法
JP5887630B2 (ja) * 2011-08-11 2016-03-16 岡山県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の製造方法
WO2016190395A1 (ja) * 2015-05-27 2016-12-01 キリン株式会社 ペプチドを含む炎症抑制のための組成物
WO2017034011A1 (ja) * 2015-08-27 2017-03-02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腸内有用菌増殖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435A (ja) 1992-11-10 1994-11-29 Otsuka Pharmaceut Co Ltd 栄養補給組成物
JPH09124473A (ja) 1995-11-08 1997-05-13 Snow Brand Milk Prod Co Ltd 体力増強剤
JP2001046021A (ja) 1999-08-10 2001-02-20 Itoham Foods Inc 体力増強・疲労回復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WO2015022927A1 (ja) 2013-08-12 2015-02-19 ゼリア新薬工業株式会社 Amp活性化プロテインキナーゼ活性化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2100053U1 (de) 2021-01-11 2022-03-04 Lg Energy Solution, Ltd. Presstrog und Aktivierungsvorrichtung zum Aktivieren von Batteriez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010069SA (en) 2020-11-27
TWI828681B (zh) 2024-01-11
CN112041328A (zh) 2020-12-04
JP2023089192A (ja) 2023-06-27
TW201945387A (zh) 2019-12-01
JPWO2019208700A1 (ja) 2021-04-30
WO2019208700A1 (ja)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4388A1 (en) Plant derived or derivable material with appetite suppressing activity
US10363234B2 (en) Antihypertensive agent
JP2023089192A (ja) ジペプチド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EP1930017A1 (en) Composition effectiv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ult disease
JP2021088597A (ja) シックネスビヘイビア症状改善剤
US20100190723A1 (en) Preventive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liver disease
US20040265473A1 (en) Ergogenic food compositons
ES2935913T3 (es) Péptido
US20020150629A1 (en) Zinc-supplementary composi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WO2015046184A1 (ja) 肝臓機能及び/又は膵臓機能の改善剤
Shirako et al. Identification of short-chain pyroglutamyl peptides in Japanese salted fermented soy paste (miso) and their anti-obesity effect
CA3069811A1 (en) Blood flow improver
TWI822770B (zh) 含有二肽之醫藥組合物
JP6451631B2 (ja) Amp活性化プロテインキナーゼ活性化剤
RU2396076C1 (ru) Средство, уменьшающее степень острой алкогольной интоксикации (опьянения) и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похмельным действием,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CN101305099A (zh) 具有提高的生物利用度的t3和t4的前药
JP2022177648A (ja) 血糖降下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血糖降下薬剤
WO2020120518A1 (en) Pharmaceutical oral dosage forms for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and related diseases through orchestrated release of enterokines
JP2018121535A (ja) 飲料
JPH07116234B2 (ja) 新規ペプチ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