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502A -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02A
KR20210002502A KR1020207030761A KR20207030761A KR20210002502A KR 20210002502 A KR20210002502 A KR 20210002502A KR 1020207030761 A KR1020207030761 A KR 1020207030761A KR 20207030761 A KR20207030761 A KR 20207030761A KR 20210002502 A KR20210002502 A KR 2021000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il
cover
detection device
sens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아마미야
아키히토 구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81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524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4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71300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타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타고
Publication of KR2021000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3Edible oils or edible f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3)와,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3)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1)와, 본체부(1)에 장착된 베이스부(21), 센서(3)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22), 및 베이스부(21)와 선단 헤드부(22)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231) 및 제1 연결 기둥부(231)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232)를 포함하는 연결부(23)를 가지는 센서 커버(2)를 구비한다. 센서 커버(2)는, 연결부(23)가 센서(3)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본 발명은,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일의 열화 정도를, 오일의 전기적 특성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오일 중에서 정전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가지는 센서를 구비하고, 평가하는 오일 중에서의 정전 용량에 기초를 하여 그 오일의 열화 정도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프라이어(flyer)는, 오일팬(oil pan)의 조리유에 침지하는 위치에, 전극을 가지는 센서를 가지고, 오일팬 내의 조리유에 침지된 상태의 센서에 의해 측정한 전기 정보로부터 조리유의 열화 정도를 얻는 열화검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오일이 식용유인 경우, 정전 용량 센서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오일 중에서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오일에 포함되는 극성 분자량을 나타내는 TPM값(%)을 구하고, 열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오일 중에서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한 전압에 기초하여 그 오일의 열화도를 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7-03235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3-25070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6-201649호 공보
그런데, 센서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프라이어(fryer)에 수용된 오일의 열화 정도나, 일반가정의 냄비로 튀김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조리유의 열화 정도를, 그 전기적 특성, 예를 들면,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TPM값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핸디 타입의 오일열화 검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핸디 타입의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파지(把持) 가능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선단 측에 설치된 센서 지지부와, 센서 지지부에 장착된 센서와, 센서에 의해 측정한 값에 기초하여 TPM값을 구하는 제어부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본체부를 파지하고, 센서가 장착된 센서 지지부를 측정하는 오일 중에 침지하고, 그 침지 상태에서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 제어부는, 측정한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침지한 오일의 열화 정도를 구하고 외부에 출력한다.
이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센서가 본체부의 선단에 설치된 센서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급 상황에 따라서는, 센서 지지부를 냄비의 바닥이나 프라이어의 오일팬의 벽면 등에 부딪쳐서 센서가 파손될 우려가 적지 않게 있다. 이 때문에, 센서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의 장착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센서의 전극은, 표면에 전회 측정한 다른 종류의 오일이 잔착하고 있으면, 이번의 측정으로 양호한 정밀도의 측정값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측정 때마다 전극 표면을 클리닝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보호 커버는 클리닝 작업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대하여, 센서가 보호되어 파손되기 어려운 것과, 클리닝 작업이 용이한 것을 양립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센서가 파손되기 어렵고 클리닝 작업이 용이한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된 센서 커버를 구비한다. 센서 커버는, 선단부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나타낸다. 장방형의 방향의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센서 커버를 구비한다. 센서 커버는, 연결부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를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선단 헤드부를 1개소만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센서 커버를 구비한다. 센서 커버는, 연결부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다.
제2, 제3 태양에 관한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대하여,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연결부가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한,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대하여,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동 및 착탈(着脫)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센서 커버는,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을 구비하여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오일의 열화 정도를 검출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장착된다.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선단부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나타낸다. 장방형의 방향의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은, IH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또는 보온되어 있는 오일의 열화도를 오일열화 검출 장치로 측정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이다.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은, 오일열화 검출장치로서,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및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를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고, 오일열화 검출장치를 본체부에 교번 자속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 두었을 경우에 교번 자속을 캔슬하도록 와전류가 발생하는 재료로 형성한 센서 커버를 센서가 센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 커버 장착 상태로 하고, 커버 장착 상태에서 센서를 오일에 침지하여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다.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장착하는 베이스부, 커버 장착 상태에 있어서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센서는,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해도 되고, 커버 장착 상태는, 센서 커버가 본체부에 대하여 연결부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로 해도 된다. 그리고, 센서 커버를, 본체부에 대하여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연결부가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해도 되고, 센서의 클리닝을, 센서 커버를 제2 주위 방향 위치로 하고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센서를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달 수 있어 교번 자속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 두었을 경우에 교번 자속을 캔슬하도록 와전류가 발생하는 재료로 형성된 센서 커버를 구비한다. 센서는, 센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부는, 센서를 상기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져도 되고, 센서 커버는, 선단부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나타내고, 장방형의 방향의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져도 된다.
본체부는, 센서를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져도 된다.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동시에, 본체부에 대하여, 연결부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서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부는, 센서를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져도 된다.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베이스부와 선단 헤드부를 1개소만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동시에, 본체부에 대하여, 연결부가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서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대하여,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연결부가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있어도 된다.
센서 커버는, 본체부에 대하여,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가 파손되기 어려우며 클리닝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실시예인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외관 정면도이다.
도 2는,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센서 지지부(15)와 그 근방을 포함하는, (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3은, 오일열화 검출장치(51)가 구비하는 센서(3)의 전극부(3132)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본체부(1)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서 커버(2)를 나타내는 3면도이며, (a)는 정면 반단면도, (b)은 측면도, (c)는 (a)에서의 IVc-IVc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센서 커버(2)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센서 커버(2)를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본체부(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에서의 VII-VII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지는 센서 커버의 축 주변의 장착 위치를 90°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센서 커버(2)의 변형예 1인 센서 커버(2A)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 반단면도, (b)은 측면도, (c)는 (a)에서의 IXc-IXc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센서 커버(2A)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센서 커버(2)의 변형예 2인 센서 커버(2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센서 커버(2)의 변형예 3인 센서 커버(2C)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주위 방향의 회동 위치에서의 (a)는 제1 위치, (b)는 제2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센서 커버(2)의 변형예 4인 센서 커버(2D)를 나타내는 2면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의 오일열화 검출장치(51)에 의해 설명한다.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핸디 타입이다. 사용자는, 이것을 파지하고, 프라이어나 냄비 등의 용기에 담긴 오일 중에 정전 용량 센서를 가지는 선단 부분을 침지하여 사용한다.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선단 부분이 오일 중에 침지된 상태로 측정한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주지의 방법으로 TPM값을 구하여 표시하는 장치이다. 즉,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오일의 열화 정도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직봉형(直棒形)의 본체부(1)와, 본체부(1)의 선단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센서 커버(2)를 가진다.
본체부(1)는, 후단 측에서 순서대로, 파지부(11), 조작부(12), 기간부(基幹部)(13), 중계부(14), 및 센서 지지부(15)를 가진다.
조작부(12) 및 기간부(13)는, 하우징이 투명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예는, 폴리카보네이트이다.
파지부(11) 및 중계부(14)는, 하우징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예는, 스테인레스 합금이다.
파지부(11)는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부분이다. 파지부(11)의 내부에는, 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전원이 되는 건전지 등의 배터리(BT)가 수용된다.
파지부(11)에는, 직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트랩을 묶을 할 수 있는 스트랩 홀더(111)도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12)는, 사용자가, 전원의 ON/OFF, 동작이나 표시의 모드 전환 등의 지시를 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12a)을 가진다.
기간부(13)는, 내부에 기판(131)이 수용되어 있다. 기판(131)에는, 중앙 처리장치(CPU)를 포함하는 제어부(131a) 및 표시부(132)가 실장되어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표시 소자를 가지고, 숫자나 마크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131a)는, 조작부(12)의 조작에 따라,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그 동작 상태(전지 잔량 등)를 표시부(132)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31a)는, 후술하는 센서(3)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TPM값을 구하고, 그 값을 표시부(132)에 표시시킨다.
기간부(13)는 하우징이 투명하므로, 내부에 수용된 표시부(132)의 표시를,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센서 지지부(15)는, 기간부(13)에 대하여, 중계부(14)를 사이에 두고 선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센서 커버(2)를 제거한 상태의 센서 지지부(15)와 중계부(14)의 선단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센서 지지부(15)는, 중계부(14) 측으로부터, 커버 걸어맞춤부(151), 수나사부(152), 중간부(153), 및 센서 지지대(154)를 가진다.
커버 걸어맞춤부(151)는, 중계부(14)의 외경(外徑)에 대하여, 센서 커버(2)의 두께의 2배만큼 작은 외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52)에는, 커버 걸어맞춤부(151)의 외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직경)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153)는, 수나사부(152) 측의 원주형상으로부터 축경되고 또한, 횡단면이 서서히 가늘고 길게 직사각형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센서 지지부(15)는, 중간부(153)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화한 선단에 접속하여 판형으로 연장되고, 한쪽 면인 도 2의 (b)의 상면에 센서(3)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 걸어맞춤부(151), 수나사부(152), 및 중간부(153)는, 내부에, 축 방향으로 연통되고 중계부(14) 내와 센서 지지대(154) 측에 개구되는 배선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센서(3)는, 정전 용량 센서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베이스(3a)와, 센서 베이스(3a) 상에 형성된 전극부(3132)를 가진다.
전극부(3132)는, 한 쌍의 빗형 전극인 외측 빗 전극(31)과 내측 빗 전극(32)이, 절연 상태로 서로 들어가도록 조합된 배선 패턴의 조(組)로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빗 전극(31)에 접속한 배선 패턴인 외측 빗 전극선(311)과, 내측 빗 전극(32)에 접속한 배선 패턴인 내측 빗 전극선(321)은,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에 접속되고 배선 구멍 내를 통하여, 중계부(14)를 거쳐 기판(13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센서(3)와 제어부(131a)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센서 커버(2)를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 커버(2)는, 금속 재료(예를 들면, SUS316)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심리스 파이프(seamless pipe) 또는 환봉(丸棒)으로부터 절삭 가공으로 형성된다.
센서 커버(2)는, 후단 측에 배치된 원통형의 베이스부(21)와, 선단 측에 배치된 원환형의 선단 헤드부(22)와, 베이스부(21)와 선단 헤드부(22)를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가진다.
원통형의 베이스부(21)는, 본체부(1)의 커버 걸어맞춤부(151)의 외측에 거의 간극없이 끼워지는 걸어맞춤부(211)와, 수나사부(152)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12)를 가진다.
연결부(23)는, 본 예에서는 2개의 연결 기둥부, 즉 연결 기둥부(231) 및 연결 기둥부(232)이다.
연결 기둥부(231)와 연결 기둥부(232)는,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본 예에 있어서는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기둥부(231)의 측면에서 볼 때의 폭인 폭(D231)은, 연결 기둥부(232)의 측면에서 볼 때의 폭인 폭(D232)보다 넓게(크게) 되어 있다.
또한, 폭(D231)은, 센서(3)의 폭(D3)[도 2의 (a) 참조]에 거의 대응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볼 때, 폭(D231)은 폭(D3)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폭(D232)은, 폭(D3)보다 작은 값(가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센서 커버(2)는, 선단 헤드부(22)와 베이스부(21)가, 연결부(23)만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센서 커버(2)는, 연결부(23)가 존재하는 축 방향 범위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결 기둥부(231) 및 연결 기둥부(23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개구부(24) 및 개구부(25)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개구부(24) 및 개구부(25)의 측면에서 볼 때의 개구 폭(D24) 및 개구폭(D25)[도 4의 (b) 참조] 중 큰 쪽은, 적어도 센서(3)의 폭(D3) 이상으로 되도록, 연결 기둥부(231, 232)의 폭(D231, D232)이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헤드부(22)의 선단 측 단부(22a)는, 센서 지지대(154)의 선단부(154a)보다 선단 측(중계부(14)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단부(22a)는, 선단부(154a)보다 거리(La)만큼 돌출하고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를 프라이어 혹은 냄비의 오일 중에 넣었을 때, 선단 측을 프라이어벽 이나 냄비의 바닥 등에 잘못하여 부딪히더라도, 선단 헤드부(22)가 닿고 센서 지지대(154)에는 닿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센서(3)의 전극부(3132)가 손상될 우려는 없다.
또한, 선단 헤드부(22)의 축 방향 길이인 폭(L22)은, 단부(22a)와 센서(3)의 선단부(3c) 사이의 축 방향 거리인 거리(L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4, 25)의 중계부(14) 측의 에지부(24a, 25a)는, 센서(3)의 후단부(3b)와 동일한 위치나 그보다 후단부 측(중계부(14)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의 (b)에 나타내는 거리(Lc)가 0(제로)이거나 양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센서 커버(2)가 후술하는 장착 기준 자세 및 클리닝 자세에 있을 때, 센서(3)의 길이 방향 전체를, 개구부(24) 또는 개구부(25)로부터 마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개구부(24, 25)를 통하여 면봉이나 천 등으로 행하는 클리닝에 있어서, 센서(3)의 길이 방향 전체에 면봉이나 천이 닿아서, 클리닝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개구부(24, 25)는, 이와 같이 클리닝 작업에 이용되고 또한, 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의 선단 측을 오일 중에 넣었을 때의 공기를 빼는 용도로서도 기능한다.
센서 커버(2)는, 센서 지지부(15)의 선단 측으로부터, 센서 지지대(154)를 내부로 통과하면서, 암나사부(212)를 수나사부(152)에 나사 체결시켜 장착한다.
즉, 센서 커버(2)는, 본체부(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나사부(212)와 수나사부(152)는, 베이스부(21)가 중계부(14)의 단부와 맞닿을 때까지 확실히 나사 체결시켰을 때, 센서 커버(2)의 회동 방향의 자세가 반드시 소정의 자세로 되도록, 나사 형성 위치가 관리되고 있다. 이 센서 커버(2)의 제1 주위 방향 위치에서의 소정의 자세를, 장착 기준 자세라고 한다.
센서 커버(2)의 장착 기준 자세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쪽의 제1 연결 기둥부인 연결 기둥부(231)가, 측면에서 볼 때 센서(3)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대향한 위치가 되는 자세가 된다.
한편, 폭의 가는 쪽의 제2 연결 기둥부인 연결 기둥부(232)는, 센서 지지대(154)의 센서(3)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대향한다.
이로써, 센서 커버(2)가 장착 기준 자세에 있을 때, 센서(3)는, 정면에서 볼 때[도 6의 (a) 및 도 7]에 있어서 연결 기둥부(231)에 의해 덮어진다.
이 때문에,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측정 작업에 있어서 센서 지지대(154)가 냄비의 바닥이나 오일팬의 벽면 등에 부딪히지 않고, 센서(3)가 손상될 우려는 없다.
또한, 연결 기둥부(231)의 폭(D231)의 설정 및 장착 기준 자세의 주위 방향 위치의 미세 조정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도 6의 (b)]와 같이, 개구부(24) 및 개구부(25)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센서(3)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센서 커버(2)가 장착 기준 자세가 된 채로, 개구부(24) 또는 개구부(25)를 통하여 면봉 등으로 센서(3)의 표면을 측방으로부터 클리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센서 커버(2)를 본체부(1)로부터 제거하지 않고 센서(3)의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 작업이 용이하다.
센서(3)의 클리닝 시에는, 센서 커버(2)를, 나사 결합을 푸는 방향으로 회동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결합이 풀어지는 방향(선단 측에서 볼때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 회동시켜도 된다. 센서 커버(2)의 제2 주위 방향 위치에서의 이 자세를, 클리닝 자세라고 칭한다.
센서 커버(2)가 클리닝 자세에 있을 때, 연결 기둥부(231)는, 센서(3)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센서(3)의 정면 측에 대향하는 연결부(23)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센서(3)는 개구부(25)를 통하여 마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면봉이나 천 등을 사용하여 센서(3)의 정면 측으로부터 전극부(3132)에 부착된 잔여 오일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클리닝 작업은 용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센서(3)의 클리닝을 행할 때, 센서 커버(2)를 본체부(1)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장착 기준 자세와 클리닝 자세 사이의 자세 전환은, 센서 커버(2)를 약 90°회동시키는 것만이면 된다. 이에 따라,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클리닝 작업이 용이하다.
센서 커버(2)는, 센서(3)보다 선단 측에 위치하는 선단 헤드부(22)와, 센서(3)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부(21)와, 선단 헤드부(22)와 베이스부(21)를 도통(導通)이 얻어지도록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가진다.
이로써, 센서 커버(2)를 교번 자속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 두었을 경우에, 센서 커버(2)에는 그 교번 자속을 캔슬하도록 와전류가 생긴다.
이 때문에, 센서 커버(2)의 내부는, 외부의 교번 자속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 차폐 공간이 된다. 즉, 센서 커버(2)의 내부 공간은, 외부의 자속 변화에 영향을 받기 어려운 공간이 된다.
이 때문에, 센서 커버(2)를 구비한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프라이어 혹은 냄비를 교번 자속에 의해 유도 가열하는, 소위 IH 가열방식으로 가열하여 수용한 오일을 승온시키는 경우라도, 센서(3)가 교번 자속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정전 용량을 측정할 수 있고, 그 측정값으로부터 오일의 TPM값을 얻고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는, 전술한 구성 및 수순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변형해도 된다.
연결부(23)는, 전술한 2개의 연결 기둥부(231, 232)가 아닌, 하나의 연결 기둥부만을 가지는 연결부(23A)로 해도 된다.
이 연결부(23A)를 가지는 센서 커버(2A)를, 변형예 1로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
도 9는, 센서 커버(2)를 나타낸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센서 커버(2A)의 사시도이다.
센서 커버(2A)는, 선단 헤드부(22)에 상당하는 선단 헤드부(22A)와, 베이스부(21)에 상당하는 베이스부(21A)를 1개소에서 연결하는 연결부(23A)를 가진다.
연결부(23A)의 측면에서 볼 때의 폭(D23A)은, 대략 센서(3)의 폭(D3)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측면에서 볼 때, 폭(D23A)은, 폭(D3) 이상, 또한 센서 커버(2A)의 직경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연결부(23A)가 가질 수 있는 주위 방향 각도는, 크다고 하더라도 180°미만으로 여겨지고 있다.
센서 커버(2A)는, 본체부(1)에 장착한 장착 기준 자세로, 연결부(23A)가 센서(3)에 대향하는 자세로 되도록, 수나사부(152)와 암나사부(212A)의 나사 형성 위치를 관리하면 된다.
이로써, 장착 기준 자세로, 센서(3)는, 정면 측이 연결부(23A)로 덮혀서, 다른 부재와의 충돌에 있어서 양호하게 보호된다.
센서(3)의 표면을 정면 측으로부터 크리닝할 때는, 센서 커버(2A)를 예를 들면 나사 결합을 푸는 방향으로 약 90° 회동시킴으로써, 센서 커버(2)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센서 커버(2)의 선단 헤드부(22)는, 완전히 이어지고 연속된 환형 형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결락(缺落)된 불연속부를 가지고 대략 환형으로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선단 헤드부(22)는, 예를 들면, 불연속부가 1군데인 경우의 소위 C자형상을 나타내도 되고, 2군데 이상의 경우의 호형 형상을 나타내도 된다.
도 11은, 변형예 2로서, 선단 헤드부(22) 대신,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소의 불연속부(26, 27)를 가지는 선단 헤드부(22B)를 구비한 센서 커버(2B)가 나타나 있다.
센서 커버(2B)는, 센서 커버(2)의 베이스부(21) 및 암나사부(212)에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부(21B) 및 암나사부(212B)를 가진다. 또한, 센서 커버(2B)는, 연결부(23)와 그 연결 기둥부(231, 232)에 각각 대응하는 연결부(23B)와 그 연결 기둥부(231B, 232B)를 가지고, 이로써, 개구부(24, 25)에 대응하는 개구부(24B, 25B)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2B)도, 센서(3)의 보호 및 클리닝의 용이성에 있어서, 센서 커버(2) 및 센서 커버(2A)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부(23)의 수는, 전술한 2개소나 1개소로 한정되지 않고, 3개소라도 된다. 즉, 센서 커버(2)는, 연결부(23) 대신 3개의 연결 기둥부(231C∼233C)를 가지는 연결부(23C)를 구비한 센서 커버(2C)로 해도 된다.
도 12는, 센서 커버(2C)의 연결부(23C)의 형성 위치에서의 횡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장착 기준 자세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2의 (b)는 클리닝 자세에서의 단면도이다.
센서 커버(2C)는, 센서(3)의 폭에 대응한 폭을 가지고 형성된 연결 기둥부(231C)와, 연결 기둥부(231C)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연결 기둥부(232C) 및 연결 기둥부(233C)로 이루어지는 연결부(23C)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 12의 (b)에 나타낸 클리닝 자세로, 센서(3)의 폭에 대응한 폭의 개구부(25C)가 얻어지도록, 연결 기둥부(232C)와 연결 기둥부(233C)의 주위 방향 간격을, 연결 기둥부(231C)와, 연결 기둥부(232) 및 연결 기둥부(233C)의 각각의 주위 방향 간격보다 작게 설정하고 있다.
즉, 연결 기둥부(231C∼233C)를, 이들의 주위 방향 각도 피치가 모두 동일하게 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연결 기둥부(231C∼233C) 각각의 폭을 센서(3)의 폭 이상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형성하는 주위 방향 피치를 동일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센서 커버(2C)의 암나사부(212C)와 본체부(1) 측의 수나사부(152)의 나사 형성 위치를 관리하지 않아도, 센서(3)의 정면에 대하여, 한쪽 또는 다른 쪽의 측방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면봉이나 천 등의 클리닝구(61)를 삽입하여, 센서(3)의 표면을 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3)의 정면 전체를 연결부(23C)에 의해 반드시 덮는 설정으로는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 덮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커버(2C)의 선단 측에는, 선단 헤드부(22)가 변경되지 않고 배치되므로, 센서 커버(2C)는, 다른 부재와의 충돌 시에, 센서(3)를 센서 커버(2A, 2B)와 동일하게 보호할 수 있다.
센서 커버(2)는,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 4로서의 센서 커버(2D)로 해도 된다.
센서 커버(2D)는, 센서 커버(2)의 베이스부(21)에 대응하는 베이스부(21D)와, 선단 헤드부(22)에 대응하는 선단 헤드부(22D)를 가진다. 또한, 센서 커버(2D)는, 연결 기둥부(231, 232)에 각각 대응하는 연결 기둥부(231D, 232D)를 가지고, 이로써, 개구부(24, 25)에 대응하는 개구부(24D, 25D)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2D)는, 선단 헤드부(22D)가, 센서 커버(2)의 축선(CL2D)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고 경사 교차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센서 커버(2D)도, 센서(3)의 보호 및 클리닝의 용이성에 있어서, 센서 커버(2), 센서 커버(2A∼2C)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및 각 변형예는,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변형예 중, 적어도 선단 헤드부가 닫힌 불연속부가 없는 환형이 되어 있는 센서 커버(2A, 2C, 2D)는, 실시예의 센서 커버(2)와 동일하게, 외부공간의 자속 변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IH 가열되어 있는 용기에 수용된 오일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TPM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오일열화 검출장치(5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체가 동일 직경의 직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계부(14)가 다른 부위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1)는, 직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궁형의 만곡형, 혹은 굴곡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체부(1)로의 센서 커버(2)의 장착 구조는, 전술한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요넷(bayonet) 구조, 고정 나사에 의한 장착 구조라도 된다.
센서 커버(2)는, 본체부(1)에 대하여 분리할 수 없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장착 기준 자세와 클리닝 자세 사이의 회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센서(3)는, 오일 중에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 센서가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대하여,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 설명한 센서 커버(2, 2A∼2D) 중 어느 하나를, 소위 뒤붙이로 장착하고, 센서 커버를 구비한 오일열화 검출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센서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 센서가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실시예의 오일열화 검출장치(51)에서의 중계부(14)가, 기간부(13) 및 센서 지지부(15)보다 가는 봉형으로 형성된 외관을 나타낸다.
이에, 이와 같은 장치에 대해서는, 센서 커버(2, 2A∼2D) 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면, 센서 지지부(15) 또는 중계부(14)에 대하여, 주지의 방법(나사에 의한 고정, 접착제에 의한 고착, 용접 등)으로 탈착 가능한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뒤붙이로 장착한다.
센서 커버를 뒤붙이함으로써, 센서의 파손 방지 효과나 클리닝 작업의 용이화가 도모되고 또한, IH 가열 장치로 승온 혹은 보온 중의 오일에 대해서도, 정전 용량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TPM값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진다.
일본특허출원 2018-081574(출원일: 2018년 4월 20일) 및 일본특허출원 2018-154497(출원일: 2018년 8월 21일)의 전체 내용은은, 여기에서 원용된다.
1: 본체부 11: 파지부
11: 스트랩 홀더 12: 조작부
12a: 조작 버튼 13: 기간부
131: 기판 131a: 제어부
132: 표시부 14: 중계부
15: 센서 지지부 151: 커버 걸어맞춤부
152: 수나사부 153: 중간부
154: 센서 지지대 154a: 선단부
2, 2A, 2B, 2C, 2D: 센서 커버
21: 베이스부 211: 걸어맞춤부
212, 212A: 암나사부 22, 22A, 22B, 22D: 선단 헤드부
22a: 단부 23, 23A, 23C: 연결부
231, 232, 231C, 232C, 233C: 연결 기둥부
24, 25, 25C: 개구부 24a, 25a: 에지부
26, 27: 불연속부 3: 센서
3a: 센서 베이스 3b: 후단부
3c: 선단부 31: 외측 빗 전극
311: 외측 빗 전극선 32: 내측 빗 전극
321: 내측 빗 전극선 3132: 전극부
51: 오일열화 검출장치 61: 클리닝구
BT: 배터리 CL2D: 축선
D231, D232, D3, D23A: 폭, D24, D25: 개구 폭
La, Lb: 거리 L22: 폭

Claims (16)

  1.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장방형(elongated shape)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端部)에 상기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센서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커버는,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弧形) 형상 또는 환형(環形)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장방형의 방향의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2.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센서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3.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센서를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 헤드부를 1개소만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센서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동 및 착탈(着脫)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6.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와,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센서가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상기 오일의 열화 정도를 검출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장착되는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로서,
    상기 오일열화 검출장치에 장착된 상태로, 선단부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장방형의 방향의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7. IH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또는 보온되어 있는 오일의 열화도를 오일열화 검출 장치로 측정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오일열화 검출장치로서,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및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센서를 가지는 본체부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고,
    상기 오일열화 검출장치를, 상기 본체부에, 교번(交番) 자속(磁束)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 두었을 경우에 상기 교번 자속을 캔슬하도록 와전류(渦電流)가 발생하는 재료로 형성한 센서 커버를, 상기 센서가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한 커버 장착 상태로 하고,
    상기 커버 장착 상태로, 상기 센서를 상기 오일에 침지하여 상기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하는 베이스부, 상기 커버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것으로 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상기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하고,
    상기 커버 장착 상태를, 상기 센서 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 있는 상태로 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센서의 클리닝을, 상기 센서 커버를 상기 제2 주위 방향 위치로 하여 행하는,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11. 오일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
    장방형이며 상기 장방형의 한쪽의 단부에 상기 센서를 가지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고, 교번 자속이 발생하고 있는 공간 내에 두었을 경우에 상기 교번 자속을 캔슬하도록 와전류가 발생하는 재료로 형성된 센서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 커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를 상기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고,
    상기 센서 커버는,
    선단부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장방형의 방향의 상기 센서에 대응하는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센서의 폭 이상의 폭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를 상기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고,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 헤드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 기둥부 및 상기 제1 연결 기둥부보다 가는 폭의 제2 연결 기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서 장착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를 상기 본체부의 측방을 향하는 자세로 가지고,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베이스부, 상기 센서보다 선단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큰 호형 형상 또는 환형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 선단 헤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선단 헤드부를 1개소만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제1 주위 방향 위치에서 장착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주위 방향 위치와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센서를 완전히 덮지 않는 제2 주위 방향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오일열화 검출장치.
KR1020207030761A 2018-04-20 2019-04-19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KR202100025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81574 2018-04-20
JP2018081574A JP6395243B1 (ja) 2018-04-20 2018-04-20 油劣化検出装置及び油劣化検出装置のセンサカバー
JP2018154497A JP6471300B1 (ja) 2018-08-21 2018-08-21 油劣化度測定方法及び油劣化検出装置
JPJP-P-2018-154497 2018-08-21
PCT/JP2019/016896 WO2019203360A1 (ja) 2018-04-20 2019-04-19 油劣化検出装置、油劣化検出装置のセンサカバー、及び油劣化度測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02A true KR20210002502A (ko) 2021-01-08

Family

ID=6823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761A KR20210002502A (ko) 2018-04-20 2019-04-19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49041B2 (ko)
EP (1) EP3783348B1 (ko)
KR (1) KR20210002502A (ko)
CN (1) CN213689451U (ko)
PH (1) PH12020551702A1 (ko)
TW (1) TW201944067A (ko)
WO (1) WO2019203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8225A (zh) * 2019-04-26 2021-11-30 纳博特斯克有限公司 传感器
CN118112060A (zh) * 2019-04-26 2024-05-31 纳博特斯克有限公司 传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649A (ja) 1990-03-29 1994-07-22 Komatsu Ltd 潤滑油劣化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JP2003250708A (ja) 2002-03-01 2003-09-09 Mach Kiki Kk フライヤー
JP2017032352A (ja) 2015-07-30 2017-02-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潤滑油の劣化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1484A (en) * 1997-05-23 2000-07-18 Col-Ven S.A. Oil quantity and quality indicator
US20030060984A1 (en) * 1999-03-19 2003-03-27 Hitachi, Ltd. Automobile oil deterioration diagnosing apparatus
DE50015930D1 (de) 1999-04-22 2010-07-08 Ebro 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m Messen des Zustands von Ölen und Fetten
DE19948658A1 (de) * 1999-10-08 2001-04-12 Mann & Hummel Filter Ölkreislauf für eine Arbeitsmaschine
US6791334B2 (en) * 2001-02-22 2004-09-14 Denso Corporation Oil condition sens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0163760C5 (de) 2001-12-28 2012-02-02 Ebro 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essen des Zustandes von Ölen und Fetten
AU2011302422B2 (en) * 2010-09-14 2014-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devices for acquiring an oil sample and monitoring the quality thereof
EP2827753B1 (de) 2012-03-21 2017-12-27 Testo SE & Co. KGaA Fritti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trolle einer frittiereinrichtung
CN205192998U (zh) * 2015-04-28 2016-04-27 特斯托股份公司 煎炸油测量仪
EP3296729B1 (en) * 2015-05-15 2020-11-25 Atago Co., Ltd. Oil degradation meter and method for evaluating oil degradation
JP6919176B2 (ja) * 2016-10-28 2021-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物理量センサ
JP6804943B2 (ja) 2016-11-17 2020-1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管理方法及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6658639B2 (ja) 2017-03-21 2020-03-04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プ振れ抑制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649A (ja) 1990-03-29 1994-07-22 Komatsu Ltd 潤滑油劣化検出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JP2003250708A (ja) 2002-03-01 2003-09-09 Mach Kiki Kk フライヤー
JP2017032352A (ja) 2015-07-30 2017-02-09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潤滑油の劣化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3348B1 (en) 2023-08-23
US11249041B2 (en) 2022-02-15
TW201944067A (zh) 2019-11-16
EP3783348A4 (en) 2021-12-29
PH12020551702A1 (en) 2021-07-26
US20210148847A1 (en) 2021-05-20
EP3783348A1 (en) 2021-02-24
CN213689451U (zh) 2021-07-13
WO2019203360A1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2502A (ko) 오일열화 검출장치, 오일열화 검출장치의 센서 커버, 및 오일열화도 측정 방법
JP4444129B2 (ja) 加熱調理器
EP2011436B1 (en) Handheld electrocardiograph with neutral electrode
CN105982650A (zh) 红外线温度计
US20160320325A1 (en) Deep-fryer oil measuring apparatus
EP2752683A1 (en) Survey meter
JP6471300B1 (ja) 油劣化度測定方法及び油劣化検出装置
JP6395243B1 (ja) 油劣化検出装置及び油劣化検出装置のセンサカバー
JP5612141B2 (ja) 内蔵型衝撃スイッチを具備する塩度計
US7393137B2 (en) Clinical thermometer
EP1923678A1 (en) Dual use thermometer
JP2006325921A (ja) 体組成計
KR200427443Y1 (ko) 양손잡이용 헤어 아이론
JP5420391B2 (ja) 電子体温計
CN204363967U (zh) 红外耳式体温计
JPH0468572B2 (ko)
JP5658062B2 (ja) 測定器カバー
JP2010151723A (ja) 表面電位計
JP2007199018A (ja) 測定装置
WO2012098752A1 (ja) 電子体温計
JP6902981B2 (ja) 溶接ロボットの操作端末
KR200414621Y1 (ko) 듀얼 창이 구비된 후크미터
CN105807961A (zh) 一种无线鼠标
CN205809082U (zh) 血糖仪
JP2021004766A (ja) 体温計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