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136A -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136A
KR20200144136A KR1020207033212A KR20207033212A KR20200144136A KR 20200144136 A KR20200144136 A KR 20200144136A KR 1020207033212 A KR1020207033212 A KR 1020207033212A KR 20207033212 A KR20207033212 A KR 20207033212A KR 20200144136 A KR20200144136 A KR 2020014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elastic member
anastomosis clamp
detach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373B1 (ko
Inventor
하오 중
즈민 천
스원 뤼
Original Assignee
닝보 센스큐어 바이오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센스큐어 바이오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보 센스큐어 바이오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4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3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with a protective sleeve, e.g. retractable or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1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having at least three legs as part of one sing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61B2017/0645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being elastically deformed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 있어서, 의료 기계 분야에 속하고 종래 기술의 문합 클램프를 제거하기 어렵고 클립력이 작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기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는 교합 부재(1,3) 및 탄성 부재(2,4)를 포함하고, 교합 부재(1,3) 및 탄성 부재(2,4)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교합 부재(1,3)의 단부와 탄성 부재(2,4)의 단부는 차례대로 연결되어 다수의 연결부(11)를 구성하고 다수의 연결부(11)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11)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이다. 상기 문합 클램프를 사용하면 수술 후 간편하고 빠른 분리 및 제거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본 출원은 의료 기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소화관 출혈은 소화관 질병에서 흔히 보는 임상 증상이고 출혈의 부위에 따라 상부 소화관 출혈과 하부 소화관 출혈로 나뉜다. 그중 동맥 출혈의 사망률이 비교적 높으며 특히 소화관 급성 동맥 출혈의 사망률은 약 10%이고 60세 이상의 환자의 출혈 사망률은 30%~50%로 더욱 높다. 이를 제외하고 소화관 천공 또한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고 천공 환자의 연령은 다수가 30~60세(75% 점유)이고 소화관 천공의 질병 사망률은 27%로 연령이 높을수록 질병 사망률이 더 높다.
현재 임상에서 소화관 출혈 및 천공을 치료하는 주요 방법은 지혈 클립 기계로 치료하는 것이고 보스톤 과학 회사의 해상도(resolution) 지혈 클립 및 난징 마이크로테크(Micro-Tech (Nanjing))의 하모니 클립은 그 단점이 클립 범위가 작고 클립력이 충분하지 않으며 동맥성 출혈과 천공에 좋은 치료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이런 단점에 대해 독일의 아오웨이스커(
Figure pct00001
) 회사에서 개발한 클립력 및 클립 범위가 양호한 OTSC(Over-the-scope Clip) 문합 클램프가 존재하나 이 제품은 중국에서의 판매 가격이 비싸고 릴리스된 후 제거하기 쉽지 않으며 해당 회사에서 특별 제조한 전호(電弧) 절단 장치의 도움으로 문합 클램프를 절단한 후 제거해야 한다.
현재 시장에서의 내시경 문합 클램프 다수는 일체로 제조되어 분리될 수 없고 수술 후 전체 내시경 문합 클램프를 취출할 수밖에 없으나 제거 조작의 어려움이 크고 문합 클램프 전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조직에 대해 2차 손상을 쉽게 초래하므로 수술 후 문합 클램프를 제거하기 더 어렵고 전술한 문제는 해결이 시급하다.
상술한 분석을 감안하여, 본 출원의 취지는 종래기술의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거가 어렵고 클립력이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목적은 주로 이하 기술방안을 통해 실현된다.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 있어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교합 부재의 단부와 탄성 부재의 단부는 차례대로 연결되어 다수의 연결부를 구성하고 다수의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이다.
상기 방안을 기초로 본 출원은 또한 아래 개선을 진행하였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결속 연결, 슬리브 컵 조인트, 핀 연결, 클립 연결 중의 1종 이상 연결 방식의 조합을 사용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부가 설치되고, 위치 한정부는 위치 한정홈, 핀 홀 및 카드 슬롯을 포함한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결속 연결을 사용하고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홈이 설치된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슬리브 컵 조인트를 사용하고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홈이 설치되고 슬리브에는 위치 한정홈에 대응되는 클램핑부가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핀 연결을 사용하고,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핀 홀이 설치되고, 핀은 핀 홀을 통해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를 고정한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클립 연결을 사용하고,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클립과 결합되는 카드 슬롯이 설치된다.
추가로, 연결 방식에서 사용한 결속선, 슬리브, 플러그 또는 클립은 위치 한정부와 결합되어 연결된다.
추가로, 해체 가능한 연결부의 결속선, 슬리브, 플러그 또는 클립 상에 견인부가 설치되어 있다.
추가로, 교합 부재는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교합 부재의 단부 및 제2 교합 부재의 단부는 각각 제1 탄성 부재의 단부와 제2 탄성 부재의 단부에 차례대로 연결되어 다수의 연결부를 구성하고, 다수의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한 개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자연 상태에서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는 교합 상태이고, 해체 가능한 장치를 분리 후 상기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추가로, 다수의 연결부에서 대각 위치에 위치한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이다.
추가로, 다수의 연결부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이다.
추가로, 교합 부재와 탄성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교합 부재는 교합 티스(teeth)를 포함하고, 탄성 부재는 교합 부재의 양측의 연신 구간이고, 상기 연신 구간은 탄성이 있다.
추가로, 탄성 부재는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추가로, 상기 교합 부재 교합 티스 상에 가시부가 설치된다.
추가로, 교합 부재는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다.
추가로, 탄성 부재는 아크형 구조이다.
추가로, 탄성 부재는 비틀림 스프링 구조이다.
추가로, 결속 연결은 선을 감는 결속이고 결속선의 일단은 교합 부재 또는 탄성 부재 상에 고정된다.
추가로, 결속 연결은 선을 꼬는 결속이고 꼬은 선 링은 위치 한정홈 내에 위치한다.
추가로, 결속선은 금속선 또는 고분자선이다.
추가로,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핀 홀이 설치되고 슬리브에 핀 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핀은 관통 홀 및 핀 홀에 삽입되어 슬리브를 고정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홈이 설치되고, 슬리브 측벽에 위치 한정홈에 대응되는 개구가 설치되고, 위치 한정홈 및 슬리브 벽의 개구 측에 결속선으로 결속하는 것을 통해 슬리브를 고정하는 것을 실현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수량은 모두 2개이고, 2개의 교합 부재 및 2개의 탄성 부재는 모두 4개의 독립 구조이고 연결되어 4개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수량은 모두 2개이고, 제1 교합 부재와 제1 탄성 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제2 교합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와 함께 3개의 독립 구조이고 3개의 독립 구조는 연결되어 3개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수량은 모두 2개이고, 제1 교합 부재와 제1 탄성 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제2 교합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2개의 독립 구조는 연결되어 2개의 대각 위치에 위치한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와 탄성 부재의 수량은 모두 2개이고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각각 제1 교합 부재의 2개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2 교합 부재와 연결되어 2개의 서로 인접한 각에 위치한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수량은 모두 2개이고 제1 탄성 부재의 곡률은 제2 탄성 부재의 곡률보다 크고, 제1 교합 부재 및 제2 교합 부재는 각각 제1 탄성 부재의 2개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의 단부는 제2 교합 부재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의 다른 일단은 제1 교합 부재의 단부와 해체 가능하게 연결된다.
추가로, 교합 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3개이고,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단부는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다수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구성하고 중심 대칭 분포를 이룬다.
추가로 문합 클램프는 내시경 투명 캡 밖에 설치되어 사용한다.
추가로 문합 클램프는 풀 라인으로 견인하여 릴리스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a)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이고 구조 설계가 간단하고 교묘하여 해체 가능한 연결부만 분리하면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고 문합 클램프를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먼저 분리 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문합 클램프의 신속한 제거를 실현할 수 있고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거 어려움을 크게 줄여준다. 특히 문합 클램프의 교합 티스(teeth)가 조직에 의해 피복될 경우, 분리 후의 문합 클램프 부품만 피복된 조직에서 뽑으면 문합 클램프를 제거할 수 있고 문합 클램프 취출 시 주변 조직에 일으키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b)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서, 탄성 부재는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어 문합 클램프를 위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며 충분히 큰 클립력을 제공한다. 교합 부재는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로 제조되고, 바이오 역학 성능이 좋고 내식성이 좋아 문합 클램프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교합 부재의 교합 티스 상에 가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릴리스 시 교합 부재가 내번(inversion)하면 가시부는 조직에 꽂히게 되어 조직을 더욱 단단하게 캐취하고 모으는 효과가 좋아 더욱 좋은 클립 효과를 실현하였다.
c)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문합 클램프의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문합 클램프의 인접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문합 클램프의 중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해체 가능한 연결부의 위치는 융통성 있게 변경될 수 있고 한정된 내시경 시야에서 의사가 조작하기에 더욱 편리하다.
본 출원에서 더욱 많은 바람직한 조합 방안을 실현하기 위하여 상술한 각 기술방안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및 장점은 이어지는 명세서 내용에서 서술하고 일부 장점은 명세서에서 자명하거나 또는 본 출원을 실시하는 것을 통해 이해된다. 본 출원의 목적 및 기타 장점은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특별히 제시된 내용을 통해 실현되고 얻어진다.
도면은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이 아니고 전체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벌어져 변형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 1의 탄성 부재가 비틀림 스프링 구조인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꼬은 선을 결속 연결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슬리브 컵 조인트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핀 니들 연결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 실시예 1의 클립 연결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슬리브 컵 조인트 및 핀 니들 연결이 조합되어 연결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 실시예 1의 슬리브 컵 조인트 및 선의 결속이 조합되어 연결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 실시예 2의 대각 위치가 해체 가능한 연결인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 실시예 2의 서로 인접한 각이 해체 가능한 연결인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 실시예 2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 실시예 3의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 실시예 4의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벌어져 변형된 후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가 장착 릴리스 개략도이다.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그중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분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1부터 본 출원의 원리를 서술하는 것이지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1은 본 출원의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1종 실시 방식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클램프는 제1 교합 부재(1), 제1 탄성 부재(2), 제2 교합 부재(3) 및 제2 탄성 부재(4)를 포함하고, 제1 교합 부재(1) 및 제2 교합 부재(3)는 모두 교합 티스 및 연신 구간을 포함하고, 제1 교합 부재(1), 제1 탄성 부재(2), 제2 교합 부재(3)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는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4개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를 이루고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해체 가능한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자연 상태일 경우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는 교합 상태이고, 해체 가능 연결 장치를 분리 후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해체 가능한 연결 장치는 결속선(5)이다. 즉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선을 감는 결속 연결을 사용하고 연결 상태에서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제1 교합 부재(1)의 단부, 제1 탄성 부재(2)의 단부 및 휘감는 결속선(5)을 포함한다. 2개의 교합 부재 및 2개의 탄성 부재의 단부는 모두 위치 한정부가 설치되어 탄성 부재, 교합 부재 및 결속선(5)의 위치를 제약하고, 위치 한정부는 위치 한정 홈이고 결속선(5)은 금속 선 또는 고분자 선일 수 있고 휘감아 결속을 완성하고 결속선(5)을 반대 방향으로 감으면 분리가 완성될 수 있다.
더욱 좋은 결속 효과에 이르기 위하여, 결속선(5)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이고,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는 휘감으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매듭을 짓지 않아도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으며 조작이 편리하고 고정 효과가 좋다. 결속선(5)은 단일 와이어이고 중첩하여 휘감지 않으므로 분리 과정에서 상기 결속선(5)이 매듭 지어지는 것을 피하고 문합 클램프의 신속한 분리 제거가 간편하다.
문합 클램프를 더욱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결속선(5)의 일단은 그중의 하나의 교합 부재 또는 탄성 부재 상에 고정되어, 문합 클램프가 분리된 후 결속선이 그중의 하나의 교합 부재 또는 탄성 부재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여 문합 클램프를 캐취하기에 편리하다.
문합 클램프를 더욱 간편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결속선(5)의 자유단에 환형의 견인부(6)가 설치되고, 문합 클램프를 분리 시, 분리 장치를 환형 견인부(6) 내에 삽입하고 감겨진 반대 방향 코일을 따라 결속선의 분리를 실현한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클립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는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클립력이 크다. 니켈 티타늄 기억 합금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재료로 제조된 탄성 부재는 자체의 소성 변형을 사용 온도에서 초기 형상으로 자동 회복할 수 있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클립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는 긴 스트립 모양의 구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호형 구조이고 호형 탄성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 구조일 수 있다. 문합 클램프가 분리되기 편하기 위하여, 문합 클램프가 자연 상태일 경우, 아치형을 나타내고 릴리스 후 교합 부재의 교합 티스는 조직에 피복되고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조직 밖에 노출된다.
교합 효과를 확보하기 위하여, 교합 부재는 탄성이 양호한 재료, 예를 들면 스프링 강 또는 니켈 티타늄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폴리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탄성이 양호한 고분자 재료로 제조된다. 추가로 교합 부재의 형상은 갈퀴 모양 구조 또는 니들 모양 구조이고, 교합 티스 상에 가시부가 설치되고 문합 클램프를 릴리스할 경우, 교합 부재가 내번하여 가시부가 조직에 더욱 쉽게 꽂히게 되어 조직을 더욱 단단하게 캐취하여 모으는 효과가 좋으므로 더욱 양호한 클립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결속 연결은 꼬은 선 결속 연결일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은 선을 위치 한정홈 내에 넣고 교합 부재의 단부 및 탄성 부재의 단부를 단단히 묶어 결속을 완성한다. 꼬은 선의 반대 방향으로 꼬은 선을 풀어 문합 클램프를 먼저 분리 후 취출한다. 결속선은 경질 재질로 제조되고, 금속선이 바람직하고 금속선의 결속은 단단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결속 후의 결속선의 양단에 환형 견인부(6)가 설치될 수 있어 결속선의 분리와 제거 난도를 낮춘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슬리브 컵 조인트를 사용하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합 부재(1), 제2 교합 부재(3), 제1 탄성 부재(2)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에 위치 한정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7)에 위치 한정홈과 대응되는 클램핑부가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7) 상의 클램핑부와 위치 한정홈은 결합되어 컵 조인트를 실현하고, 슬리브(7) 상에 구형 견인부(6)가 설치되어 있고, 슬리브(7)를 떼어내면 문합 클램프를 분리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슬리브(7)는 경질 재질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슬리브이고 금속 슬리브는 변형되기 쉽지 않고 더욱 단단하며 고정 효과가 더욱 좋고 사용 수명이 더욱 길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핀 연결을 사용할 수 있고,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합 부재(1), 제2 교합 부재(3), 제1 탄성 부재(2)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에 설치된 위치 한정부는 핀 홀이고, 핀 홀과 결합되는 핀(8)은 핀 홀을 통해 제1 교합 부재(1), 제2 교합 부재(3), 제1 탄성 부재(2)의 단부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를 고정하고 핀 홀에서 핀(8)을 취출하면 문합 클램프를 분리 가능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클립 연결을 사용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합 부재(1)의 단부, 제2 교합 부재(3)의 단부, 제1 탄성 부재(2)의 단부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에 카드 슬롯이 설치되고, 클립(12)과 카드 슬롯이 결합되어 제1 교합 부재(1)의 단부, 제2 교합 부재(3)의 단부, 제1 탄성 부재(2)의 단부 및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를 고정하고 클립(12)을 취출하면 문합 클램프를 분리 가능하고 조작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슬리브 컵 조인트 및 핀 니들 연결의 조합 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7) 상에 핀 홀과 대응되는 관통홀이 설치되어 있고, 핀 니들(8)은 관통 홀과 핀 홀을 통해 교합 부재의 단부와 탄성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핀(8)은 연결 강화 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슬리브(7)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문합 클램프를 제거 시, 먼저 핀 니들(8)을 뽑고, 다음 슬리브(7)를 뽑아 문합 클램프를 분리 후 제거하며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슬리브 컵 조인트와 결속 연결의 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7) 측면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측과 위치 한정홈은 나란히 되어 있고, 결속선은 슬리브 개구와 위치 한정 홈 내에서 결속 연결을 진행한다. 결속선(5)은 금속선이 바람직하고 권선형 코일로 결속할 수 있고 또한 꼬은 선으로 결속할 수 있다. 문합 클램프를 제거 시, 먼저 결속선(5)을 풀고 다음 슬리브(7)를 뽑고 문합 클램프를 분리 후 제거한다.
특별히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결속 연결, 슬리브 컵 조인트, 핀 연결 또는 클립 연결의 분리 가능한 연결 방식은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고 기타 실시예에서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기타 해체 가능한 연결 방식을 사용한 기술 방안도 본 출원 보호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2
도 12 내지 도 17은 본 출원의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2종 실시방식을 나타내고,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구별은, 제1 교합 부재(1) 또는 제2 교합 부재(3)는 제2 탄성 부재(2) 또는 제2 탄성부재(4)와 고정 연결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합 클램프는 제1 교합 부재(1), 제2 교합 부재(3), 제1 탄성 부재(2) 및 제2 탄성 부재(4)를 포함하고, 제1 교합 부재(1) 및 제2 교합 부재(3)는 모두 교합 티스 및 연신 구간을 포함하고, 제1 교합 부재(1)는 제1 탄성 부재(2)에 고정 연결되고, 제2 교합 부재(3)는 제2 탄성 부재(4)에 고정 연결되고 2개의 독립 구조가 연결되어 2개의 대각 위치에 위치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를 형성한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2) 및 제2 탄성 부재(4)는 각각 제2 교합 부재(3)의 2개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1 교합 부재(1)와 서로 독립되는 구조이고, 2개의 독립 구조는 연결되어 2개의 서로 인접한 각에 위치하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를 형성한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2)의 2개 단부는 제1 교합 부재(1)의 단부, 제2 교합 부재(3)의 단부와 고정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4)의 단부는 제2 교합 부재(3)의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제2 탄성 부재(4)의 다른 단부는 제1 교합 부재(1)의 단부와 결속 연결과 같이 해체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욱 양호한 문합 클램프 분리 제거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1 탄성 부재(2)의 곡률은 제2 탄성 부재(4)의 곡률보다 크고, 자연 상태에서 문합 클램프는 평면 4각 형태를 이루고, 제1 탄성 부재(2)와 제2 탄성 부재(4)는 벌어져 만곡 변형이 발생하나 곡률 크기가 다름으로 인해 제1 탄성 부재(2)의 스프링 백 힘은 제2 탄성 부재(4)의 스프링 백 힘보다 크다. 문합 클램프를 분리 시, 먼저 결속한 결속선(5)을 풀면 제1 탄성 부재(2)가 스프링 백이 발생하는 폭이 크고 제1 교합 부재(1)와 제2 교합 부재(3)를 이끌어 일측을 향해 열리게 하여 조직에 대한 제1 교합 부재 및 제2 교합 부재(3)의 클립 상태를 해제하고 분리된 문합 클램프를 제거한다. 이 구조의 문합 클램프는 제1 탄성 부재(2)의 더욱 큰 스프링 백 힘을 빌려 분리 횟수를 줄이고 분리하기 더욱 쉽다.
실시예 3
도 18 내지 도 19는 본 출원의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3종 실시 방식을 나타내고 문합 클램프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슬리브 컵 조인트 및 핀 연결의 조합 방식을 사용하고, 교합 부재는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제1 교합 부재(1) 양측 연신 구간 및 제2 교합 부재(3)의 양측 연신 구간은 탄성이 있고 탄성 부재는 교합 부재의 양측 연신 구간이고, 자연 상태에서 교합 면을 향해 만곡되는 아크형이고, 제1 교합 부재(1) 및 제2 교합 부재(3)의 연신 구간의 단부에 모두 핀 홀이 설치되고, 슬리브(7)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설치되고 핀(8)은 핀 홀을 통해 제1 교합 부재(1)의 연신 구간의 단부 및 제2 교합 부재(3)의 연신 구간의 단부를 연결하여 2개의 대칭 설치되는 내시경 문합 클램프 중부에 위치하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하고,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제1 교합 부재(1)의 연신 구간의 단부, 제2 교합 부재(3)의 연신 구간의 단부, 슬리브(7) 및 핀 (8)을 포함한다. 설치 시, 먼저 교합 부재의 연신 구간의 단부를 슬리브(7)에 삽입하고 다음 핀(8)을 핀 홀 및 관통홀에 삽입하여 문합 클램프의 설치를 완성하고 분리 시 먼저 핀(8)을 뽑고 계속 슬리브(7)에서 교합 부재를 취출하여 문합 클램프의 분리를 실현한다. 상기 구조의 문합 클램프는 자연 상태에서 아치형으로 된 타원형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슬리브(7)는 금속 슬리브가 바람직하고, 핀(8)은 금속 핀 이 바람직하고, 금속 재질의 슬리브(7) 또는 핀(8)으로 문합 클램프 연결의 안정성을 증강하고 문합 클램프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단지 슬리브 컵 조인만 사용할 수 있고,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홈이 설치되고 슬리브(7)에 위치 한정홈에 대응되는 클램핑부가 설치되고, 부품 수량은 적고 분리하기 편리하며 부품을 분실하기 쉽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의 단부 핀 홀과 슬리브 관통홀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고 다수 개일 수도 있으며 핀 플러그의 수량은 이에 매칭되고 구체적인 수량은 상황에 따라 선택된다.
문합 클램프의 클립 효과를 향상하기 위하여 제1 교합 부재(1) 및 제2 교합 부재(3)의 연신 구간의 재질은 니켈 티타늄 기억 합금 재질이 바람직하고, 문합 클램프를 위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클립력을 제공하고 클립 효과가 더욱 좋다.
문합 클램프의 제거 난도를 줄이기 위하여, 핀(8)의 핀 홀에 삽입되지 않은 일단에 환형 견인부(6)가 설치되어 캐취하여 제거하기 편리하다.
실시예 4
도 20 내지 도 21은 본 출원의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제4종 실시방식을 나타내고 문합 클램프는 6개의 중심 대칭으로 분포되는 교합 부재를 포함하고, 교합 부재(1)와 탄성 부재(2)는 일체로 성형되고, 교합 부재(1)는 교합 티스, 탄성 부재(2)는 교합 부재(1)의 양측 연신 구간이고 연신 구간은 탄성을 구비한다. 일체로 성형된 교합 부재의 양측 연신 구간은 교합 티스에 등진 만곡된 아크형을 이루고 6개 교합 부재의 연신 구간의 단부는 처음과 끝이 연결되어 형성된 6개의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문합 클램프의 6개 각에 위치하고,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결속 연결을 사용하고 연결 상태에서 해체 가능한 연결부(11)는 교합 부재 연신 구간의 단부와 코일링된 결속선(5)을 포함하고, 자연 상태에서의 문합 클램프는 평면 6각 별모양을 이룬다. 설치 시, 교합 부재의 연신 구간의 단부를 차례대로 결속 연결한다. 즉 문합 클램프의 설치를 실현하고 분리 시 결속선을 분리하면 문합 클램프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합 부재는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고, 니켈 티타늄 기억 합금 재료가 바람직하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클립력을 제공할 수 있고 클립 효과가 더욱 좋다.
바람직하게는 결속선(5)은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와 같이 금속선이 바람직하고 결속 효과가 좋다.
내시경 문합 클램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결속선(5)의 일단은 교합 부재의 연신 구간 상에 고정하고 결속선의 자유단에 환형 견인부(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조는 내시경 문합 클램프의 분리와 제거를 더욱 빠르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 대칭을 이루는 교합 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3개이고 구체적인 수량은 상황에 따라 선택한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내시경 문합 클램프 장착 및 릴리스 개략도이고 문합 클램프는 릴리스되기 전에 먼저 문합 클램프의 제1 탄성 부재(2)와 제2 탄성 부재(4)를 만곡하고 제1 탄성 부재(2)와 제2 탄성 부재(4)가 만곡 변형되어 제1 교합 부재(1)와 제2 교합 부재(3)가 외부로 회전하게 하면, 교합 티스는 외반(extroversion) 상태를 이루고 이 상태에서의 문합 클램프는 내시경 헤드 단의 투명 캡(9) 외부에서 설치가 완성된다. 설치 완료 후, 문합 클램프의 제1 교합 부재(1) 및 제2 교합 부재(3)는 벌려진 상태를 이루고 교합 티스 상에 설치된 가시부는 투명 캡 말단을 가리키고, 풀 라인(10)을 당겨 문합 클램프를 구동하여 투명 캡(9) 말단으로 이동하게 하여 투명 캡(9)으로부터 이탈하여 릴리스되고, 릴리스되는 순간에 제1 탄성 부재(2)와 제2 탄성 부재(4)는 신속하게 형상을 회복하고 제1 교합 부재(1)와 제2 교합 부재(3)의 교합 티스를 이끌어 내부로 회전하게 하여 조직을 캐취하고 모은다. 클립된 조직이 치유된 후, 내시경 기계 통로로부터 분리 기계를 인입하고, 분리 기계는 결속선(5)의 환형 견인부(6)를 캐취하여 코일링 선의 반대 방향을 따라 코일링된 선을 풀고 문합 클램프를 분리 후 제거하여 문합 클램프의 제거 난도를 크게 줄였다. 특별히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한 문합 클램프의 릴리스 방법은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비교적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이나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를 잘 알고 있는 기술자는 본 출원에서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치환을 쉽게 생각할 수 있고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제1 교합 부재
2. 제1 탄성 부재
3. 제2 교합 부재
4. 제2 탄성 부재
5. 결속선
6. 견인부
7. 슬리브
8. 핀
9. 투명 캡
10. 풀 라인
11. 연결부
12. 클립

Claims (10)

  1.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 있어서,
    교합 부재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합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고 상기 교합 부재의 단부와 탄성 부재의 단부는 차례대로 연결되어 다수의 연결부를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인,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가능한 연결부는 결속(tie) 연결, 슬리브 컵 조인트, 핀 연결, 클립 연결 중의 1종 이상의 연결 방식의 조합을 사용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부재의 단부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에 위치 한정부가 설치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방식이 사용한 결속선, 슬리브, 플러그 또는 클립은 상기 위치 한정부에 결합 연결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 슬리브, 플러그 또는 클립 상에 견인부가 설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부재는 제1 교합 부재 및 제2 교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부재는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교합 부재의 단부 및 상기 제2 교합 부재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단부 및 제2 탄성 부재의 단부와 차례대로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고, 다수의 상기 연결부 중의 적어도 한 개의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자연 상태에서 상기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는 교합 상태이고, 해체 가능한 연결 장치를 분리 후 상기 제1 교합 부재와 제2 교합 부재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연결부에서 대각 위치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인,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연결부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연결부는 해체 가능한 연결부인,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교합 부재는 교합 티스(teeth)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교합 부재의 양측의 연신 구간이고, 상기 연신 구간은 탄성이 있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10.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KR1020207033212A 2018-06-14 2019-06-13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KR10253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14849.6 2018-06-14
CN201810614849.6A CN109044473B (zh) 2018-06-14 2018-06-14 一种可拆解的内镜吻合夹
PCT/CN2019/091112 WO2019238094A1 (zh) 2018-06-14 2019-06-13 一种可拆解的内镜吻合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136A true KR20200144136A (ko) 2020-12-28
KR102539373B1 KR102539373B1 (ko) 2023-06-01

Family

ID=6482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3212A KR102539373B1 (ko) 2018-06-14 2019-06-13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13518B2 (ko)
EP (1) EP3808285B1 (ko)
JP (1) JP7245322B2 (ko)
KR (1) KR102539373B1 (ko)
CN (1) CN109044473B (ko)
AU (1) AU2019284321B2 (ko)
BR (1) BR112020023896A2 (ko)
WO (1) WO2019238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3050B2 (en) * 2018-01-05 2022-08-16 Theragi, LLC Surgical clip and deployment system
CN109044473B (zh) 2018-06-14 2020-06-02 宁波胜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解的内镜吻合夹
WO2021051740A1 (zh) * 2019-09-18 2021-03-25 希罗镜下医疗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可脱式吻合夹
CN110859651B (zh) * 2019-09-18 2020-11-17 希罗镜下医疗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可脱式吻合夹
CN110559038B (zh) * 2019-09-18 2021-03-30 希罗镜下医疗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鸭嘴型施夹帽及具有该施夹帽的吻合装置
CN110477989B (zh) * 2019-09-18 2020-09-11 希罗镜下医疗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施夹帽及具有该施夹帽的夹子装置
CN110575218B (zh) * 2019-09-18 2020-09-04 希罗镜下医疗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斜切型施夹帽及具有该施夹帽的吻合装置
KR20230125302A (ko) * 2021-05-26 2023-08-29 보스턴 사이언티픽 메디칼 디바이스 리미티드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EP4277509A1 (en) * 2021-07-20 2023-11-22 Boston Scientific Medical Device Limited Over the scope clip with repositional capability
CN117442258B (zh) * 2023-12-22 2024-04-23 北京迈迪顶峰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输送装置及其绑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3747A1 (en) * 2006-03-09 2007-09-13 Leonid Monassevitch Surgical compression clips
JP2013502303A (ja) * 2009-08-24 2013-01-24 シーヴィ デヴァイシズ,エルエルシー 組織修復用具、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6217A (en) * 1964-04-27 1967-06-20 Kerr Harry Sydney Hemostatic clamp
US5312426A (en) * 1993-03-12 1994-05-17 Mizuho Ika Kogyo Kabushiki Kaisha Surgical clip
US6565581B1 (en) * 1996-09-16 2003-05-20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5868763A (en) * 1996-09-16 1999-02-09 Guidant Corporation Mea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6210419B1 (en) * 1998-12-18 2001-04-03 Aesculap Ag & Co. Kg Surgical clip
US6911032B2 (en) * 1999-11-18 2005-06-28 Scimed Lif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US6428548B1 (en) * 1999-11-18 2002-08-06 Russell F. Durgi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US7094245B2 (en) * 2001-10-05 2006-08-22 Scimed Life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through the scope endoscopic hemostatic clipping
WO2004058079A2 (en) * 2002-12-17 2004-07-15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Surgical staple-clip and applier
US8663245B2 (en) * 2004-06-18 2014-03-04 Medtronic, Inc. Device for occlusion of a left atrial appendage
DE202005007597U1 (de) * 2005-05-13 2005-09-29 Ovesco Endoscopy Gmbh Medizinische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Form menschlicher Hohlorgane
DE102005041093A1 (de) * 2005-05-13 2006-11-30 Ovesco Endoscopy Gmbh Medizinische Vorrichtung zur Veränderung der Form menschlicher Hohlorgane
EP1906842B1 (en) * 2005-07-14 2016-12-21 IDX Medical, Ltd. Apparatus for occluding a hollow anatomical structure
US20070112365A1 (en) * 2005-11-15 2007-05-17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Partial occlusion surgical guide clip
JP2008307168A (ja) * 2007-06-13 2008-12-25 Hoya Corp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US9402757B2 (en) * 2009-08-24 2016-08-02 Cvdevices,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restoration
DE102009051408A1 (de) * 2009-10-30 2011-05-05 Ovesco Endoscopy Ag Medizinisches Instrument zum Setzen von Gewebeklammern
US9017349B2 (en) * 2010-10-27 2015-04-28 Atricure, Inc. Appendage clamp deployment assist device
EP2449983B1 (en) * 2010-11-04 2014-01-01 Ovesco Endoscopy AG Surgical clip
US9149265B2 (en) * 2011-02-26 2015-10-06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Hinged tissue support device
US9572567B2 (en) * 2012-01-18 2017-02-21 Se-dong Lee Medical clip, clip unit and clip device
US9901351B2 (en) * 2012-11-21 2018-02-27 Atricure, Inc. Occlusion clip
CN205658947U (zh) * 2016-04-28 2016-10-26 中国人民解放军第一七五医院 一种配合内窥镜使用的止血缝合夹
CN107374691A (zh) * 2017-07-09 2017-11-24 杨西群 一种钛镍形状记忆合金痔瘘内口闭合夹
CN109044473B (zh) * 2018-06-14 2020-06-02 宁波胜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解的内镜吻合夹
CN209059324U (zh) * 2018-06-14 2019-07-05 宁波胜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内镜吻合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3747A1 (en) * 2006-03-09 2007-09-13 Leonid Monassevitch Surgical compression clips
JP2013502303A (ja) * 2009-08-24 2013-01-24 シーヴィ デヴァイシズ,エルエルシー 組織修復用具、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3518B2 (en) 2021-05-25
WO2019238094A1 (zh) 2019-12-19
JP7245322B2 (ja) 2023-03-23
AU2019284321B2 (en) 2021-09-02
AU2019284321A1 (en) 2020-12-03
JP2021522986A (ja) 2021-09-02
EP3808285A1 (en) 2021-04-21
CN109044473B (zh) 2020-06-02
KR102539373B1 (ko) 2023-06-01
EP3808285C0 (en) 2023-07-05
US20210045747A1 (en) 2021-02-18
EP3808285A4 (en) 2022-03-02
EP3808285B1 (en) 2023-07-05
BR112020023896A2 (pt) 2021-02-09
CN109044473A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4136A (ko) 분리 가능한 내시경 문합 클램프
US9554804B2 (en) Redeployable left atrial appendage occlusion device
CA2569333C (en) Anastomosis device and method of use
US8062363B2 (en) Tendon repair apparatus and method
CN106163422B (zh) 用于左心耳封堵的系统和方法
JP3233627U (ja) 消化管セルフ吻合クリップ及びそのリリース装置
WO2013067974A1 (zh) 一种活组织结扎装置
JP2007535997A (ja) 管状中隔オクルーダーの捕捉機構
CN209499798U (zh) 一种外科缝合用手术器械
CN209059324U (zh) 一种内镜吻合夹
AU2017370101B2 (en) Anchor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7299337B2 (ja) 縫合糸-組織界面において力の分布を増加させるための機器、装置、及び方法
CN209734058U (zh) 一种消化科用内镜组合结构
CN114224422A (zh) 一种配合内窥镜使用的无磁止血夹
WO2020078264A1 (zh) 一种小管腔吻合器及其使用方法
CN111214271A (zh) 可变径形状记忆合金闭合夹及堆叠式多发变径闭合夹装置
KR102402478B1 (ko) 장기 견인 클램프, 이를 포함하는 장기 견인기 및 수술 키트
CN219557424U (zh) 一种用于宫颈环扎术的缝合针
CN211433090U (zh) 一种预绕线圈带针缝线
CN218870411U (zh) 内镜圈套器
CN210185627U (zh) 一种手术固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