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302A -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 Google Patents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302A
KR20230125302A KR1020237025844A KR20237025844A KR20230125302A KR 20230125302 A KR20230125302 A KR 20230125302A KR 1020237025844 A KR1020237025844 A KR 1020237025844A KR 20237025844 A KR20237025844 A KR 20237025844A KR 20230125302 A KR20230125302 A KR 2023012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adapter
configuration
extension member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팍 쿠마르 샤르마
폴 스미스
샤라스 쿠마르 지
라지브쿠마르 싱
발란 아룬 아디카라스
Original Assignee
보스턴 사이언티픽 메디칼 디바이스 리미티드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턴 사이언티픽 메디칼 디바이스 리미티드,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턴 사이언티픽 메디칼 디바이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2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4Fastening element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the outside of an endoscope, e.g. clips, clamp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클리핑 시스템은 삽입 장치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어댑터 및 삽입 구성과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턱을 포함한 클립을 포함한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어댑터에 대한 클립의 운동을 허용한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의 시각적 관찰을 향상시키도록 시스템을 검토 구성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클립으로부터 멀어지는 어댑터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강제로 개방되어 클립이 클립 고정된 조직으로부터 클립을 자유롭게 하도록 어댑터 위로 클립을 수축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 1 연장 부재는 최종 전개 구성에서 그로부터 클립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본 개시는 2021년 5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번호 63/202,085 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우선권의 개시는 원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내시경 장치(endoscopic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직(tissue)을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 클리핑 장치(clipp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의사들은 위장(gastrointestinal: GI) 관(tract)의 벽 천공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거나 절차의 일부로서 GI 관의 벽 폐쇄를 요구할 수 있는 공격적 중재 및 치료적 내시경 GI 절차를 수행하는데 더 자발적으로 되었다. 그러한 절차는 예를 들어, 대형 병변의 제거, 점막 아래의 문제점(issue)을 치료하기 위한 위장관의 점막 층 아래 터널링(tunneling), 조직의 전체 두께 제거, 위장관 외부를 통과하여 다른 장기의 문제점 치료, 및 수술 후 문제점에 대한 내시경 치료/복구(예를 들어, 수술 후 누출, 수술 스테이플 라인(staple line)의 파손 및 문합 누출(anastomotic leak))를 포함한다.
현재, 조직은 스루-더-스코프 클립(through-the-scope clip) 또는 오버-더-스코프 클립(over-the-scope clip)을 포함한 내시경 폐쇄 장치를 통해서 치료될 수 있다. 오버-더-스코프 클립은 더 대형 조직 결함을 폐쇄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들 내시경 폐쇄 장치는 병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현재의 내시경 폐쇄 장치는 사용하기 어렵거나 위치를 지정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특정 천공, 조건 및 해부학에 대해 불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오버-더-스코프 클립은 일반적으로, 클립 자체가 조작자에게 보이지 않는 위치로부터 클립의 론칭(launching)을 요구한다. 즉, 클리핑하기 전에 조작자는 클립 고정될 표적 조직을 볼 수 있고 표적 조직의 이러한 시각화에 기초하여 장치의 원위 단부와 클립이 표적 조직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표적 조직의 관찰에 기초하여, 조작자는 클립이 전개될 때까지 클립 자체를 볼 수 없는 상태에서 클립을 전개한다. 일단 전개되면, 그러한 현재 오버-더-스코프 클립은 일반적으로 재배치될 수 없다.
본 실시예는 삽입 장치의 원위 단부(distal end)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proximal end)로부터 원위 단부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댑터(adapter) 그리고 제 1 및 제 2 턱(jaw)을 포함한 클립을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도록 클립이 어댑터 위에 장착되는 삽입 구성과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를 향해 당겨져서 그 사이에 조직을 파지하는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턱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턱의 제 1 단부는 제 1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1 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턱의 제 2 단부는 제 2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2 단부에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힌지 중 적어도 하나는 편향되어 클립을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당겨진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coupling)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어댑터에 대한 클립의 운동을 허용한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어댑터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클립에 대한 시각 관찰(visual observation)을 용이하게 하는 검토 구성(review configuration)으로 시스템을 배치하기 위해서 연장 부재가 클립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근위 방향으로 어댑터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클립 고정된 조직으로부터 클립을 자유롭게 하는 어댑터 위로 수축될 때 클립이 강제로 개방되도록 어댑터 위로 근위 방향으로 클립을 수축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 1 연장 부재는 또한, 클립이 원하는 위치에서 클립 고정되는 것으로 관찰될 때 최종 전개 구성에서 클립을 그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연장 부재는 클립이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리고 시스템이 검토 구성으로 이동하는 동안 클립에 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연장 부재는 검토 구성과 초기 전개 구성 중 하나로부터 어댑터 위로 근위 방향으로 클립을 수축시키고 최종 전개 구성에서 그로부터 클립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 1 연장 부재와 협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근위 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시스템의 사용자가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근위 단부까지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클립이 삽입 구성에서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의 원위 부분은 어댑터의 원위 단부 쪽으로 테이퍼화(tapering)될 수 있으므로 제 1 연장 부재를 따라 장력을 감소시키면 클립이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실시예에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은 클립이 개방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클립과 어댑터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외부 표면을 따르는 평평한 부분, 및 클립이 초기 전개 구성으로부터 개방 구성 쪽으로 이동될 때 클립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 각각의 원위 단부는 제 1 및 제 2 힌지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부분 위에 걸리도록 구성된 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 각각의 원위 단부는 어댑터의 종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루프가 각각 제 1 및 제 2 힌지 위에 걸릴 때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맞물림 구성 쪽으로 구속되며,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제 1 및 제 2 힌지로부터 분리될 때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측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와 최종 전개 구성에서 그로부터 클립을 해제한다.
실시예에서, 제 1 턱은 제 1 연장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서 관통 연장하는 개구(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연장 부재는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확대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연장 부재는 확대 부재를 통해서 제 1 턱의 개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실시예에서, 클립은 확대 부재가 제 1 턱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가압될 때까지 어댑터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제 1 연장 부재를 당김으로써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그에 가해지는 힘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확대 부재가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분리된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확대 부재가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스트랜드를 근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클립이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확대 부재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연장 부재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하는 코일(coil), 제 1 턱의 개구를 통해 고리 형태가 되도록 코일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 및 코일의 원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제 1 턱이 와이어를 통해서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연장 부재는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위 부분은 제 1 턱을 통해서 연장하는 개구를 경유하여 클립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해제 가능한 연결부는 제 1 연장 부재의 근위 부분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홀딩 요소를 포함할 수 있어서, 홀딩 요소가 어댑터의 원위 단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부분이 그로부터 해제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내시경; 및 내시경 샤프트의 원위 단부 위에 장착된 근위 부분 및 근위 부분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원위 단부 쪽으로 테이퍼진 원위 부분을 포함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클립은 어댑터의 원위 부분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클립은 제 1 및 제 2 턱을 포함하며, 제 1 턱의 제 1 단부는 제 1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1 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턱의 제 2 단부는 제 2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서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는 삽입 구성과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를 향해 당겨져 그 사이에 조직을 파지하는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턱이 이동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힌지 중 적어도 하나는 클립을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당기도록 편향된다.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는 개방 삽입 구성, 제 1 및 제 2 턱이 어댑터의 바로 원위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초기 전개 구성, 클립이 내시경을 통해서 보일 수 있도록 선택된 거리를 통해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클립이 분리되는 검토 구성, 및 클립이 폐쇄 구성에서 연장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어댑터에 대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종 방향 운동으로 클립을 이동시키도록 원위 단부에서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요소는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어댑터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부에 제어 요소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코일; 그리고 핸들 부재(handle member) 및 그 위에 장착되고 그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풀을 포함하는 작동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 부재는 스풀이 핸들 부재에 대해 이동되어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을 이동시키도록 코일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스풀이 제어 요소의 근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또한, 조직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립은 내시경을 통해서 체강(body lumen)의 표적 영역에 삽입되며, 클립은 클립의 턱이 서로 분리되는 개방 삽입 구성에서, 어댑터를 통해 내시경 샤프트의 원위 단부에 장착된다. 흡입력은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가해져서 조직이 어댑터의 채널 내로 그리고 클립의 턱 사이로 당겨진다. 클립은 연장 부재를 따라서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개방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이동되며,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는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어서 클립이 위에 장착되는 어댑터 부분에 따른 테이퍼진 외부 표면을 따라서 클립이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허용된다. 원위 단부가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연장 부재는 내시경 샤프트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클립이 내시경을 통해 보일 수 있는 검토 구성 쪽으로 어댑터의 원위 단부로부터 멀리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클립은 연장 부재로부터 클립을 해제함으로써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삽입 구성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초기 전개 구성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초기 전개 구성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투명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검토 구성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최종 전개 구성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1의 시스템의 작동 조립체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시스템의 작동 조립체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5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최종 전개 구성에서, 도 17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부분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의 시스템에 따른 해제 가능한 커플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0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제 가능한 커플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위 부분의 종 방향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시스템의 원위 부분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따른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시스템에 따른 어댑터 및 연장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어댑터 및 연장 부재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및 연장 부재의 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도 31의 시스템에 따른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된다. 본 개시는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립의 초기 배치가 검토되고 클립의 최종 전개 전에 조정될 수 있는 오버-더-스코프 내시경 클리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어댑터를 통해 내시경의 원위 단부 위에 장착될 수 있고 클립이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클립이 최종 전개되기 전에 보일 수 있는 검토 구성(review configuration)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연장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삽입 구성에서, 클립은 클립의 위치가 내시경 비전 시스템(vision system)의 시야의 폐쇄를 최소화하는 동안 클립의 턱 사이에 조직을 수용할 준비가 된 삽입 구성에서 유지되는 근위 위치에서 어댑터 위에 장착된다. 삽입 구성은 시스템이 초기 전개 구성에서 클립을 전개하고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동안 클립 고정될 조직에 인접한 표적 부위로의 내시경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클립이 검토 구성에서 장치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내시경이 클립 및 클립이 고정되는 조직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는 것을 허용한다. 클립이 표적 조직 위의 제자리에 머무르는 동안 내시경이 근위 방향으로 후퇴됨에 따라서, 내시경의 비전 시스템의 시야가 클립과 그에 의해 고정된 조직을 보여 주도록 넓어져서 조작자는 클립의 위치가 바람직하거나 조정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클립이 원하는 대로 배치되었다고 조작자가 결정하면, 클립이 전개되고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상태로 제자리에 남아 있는다. 클립의 위치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조작자가 결정하면, 내시경과 내시경에 커플링된 어댑터는 클립에 인접한 위치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클립이 어댑터 위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져서 클립이 삽입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어댑터 위로 다시 근위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클립이 클립의 자연 편향에 대해 개방되도록 강제하는 어댑터의 근위 단부 위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는 클립을 다시 개방한다. 클립이 조직으로부터 제거되고 삽입 구성으로 복귀된 후에, 조작자는 내시경과 장치를 원하는 대로 재-배치하고, (예를 들어, 흡인 하에서 또는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해 적용되는 파지기(grasper)에 의해서)표적 조직을 어댑터 내로 당기고, 초기 전개 구성 위치에서 어댑터로부터 표적 조직 위로 클립을 한 번 더 전개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클립이 장치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어 장치가 검토 구성으로 다시 이동할 때 내시경은 한 번 더 근위 방향으로 후퇴된다.
클립과 클립 고정된 조직의 위치는 다시 관찰되고, 클립이 원하는 대로 위치될 때까지 이러한 공정이 반복될 수 있다. 위에서 클립이 폐쇄되는 조직이 조직의 원하는 부분임을 조작자가 알게 될 때, 클립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장치 및 내시경으로부터 전개 및 해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근위 및 원위라는 용어는 각각,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및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직 결함 및/또는 천공을 치료하기 위한 클리핑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핑 시스템(100)은 어댑터(108)를 통해서 내시경(104)의 내시경 샤프트의 원위 단부(106)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클립(102)을 포함한다. 클립(102)은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 이동될 때, 연장 부재(110)가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102)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장 부재(11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삽입 구성에서, 클립(102)은 어댑터(108) 위에 장착되어서 어댑터(108)는 클립(102)의 턱(118)이 서로로부터 이격된 개방 위치에 클립(102)을 유지하여 클립 고정될 조직이 턱(118) 사이의 클립(102)을 통해 후퇴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립(102)은 클립(102)이 어댑터(108)의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어댑터(108)를 따라 원위 방향으로 클립(102)을 밀어내는 전개 요소를 통해서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원위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턱(118)의 폐쇄에 대해 어댑터(108)에 의해 제공된 저항이 제거되고 턱(118)은 클립(102)의 자연 편향 하에서(예를 들어, 힌지(122)에서) 스프링 폐쇄된다.
이러한 초기 전개 구성에서, 클립(102)은 연장 부재(110)를 통해서 시스템(10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어댑터(108)와 클립(102)은 시스템(100)을 검토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클립(102)이 삽입 구성에 있을 때 조직은 클립(102) 내로 당겨질 수 있다. 조직의 원하는 부분(즉, 클립될 조직)이 클립(102) 내로 당겨졌다고 조작자가 믿을 때, 클립(102)은 어댑터(108)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턱(118)이 클립(102)을 통해 당겨진 조직 위로 스프링 폐쇄되어 이러한 조직을 클립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립(102)은 연장 부재를 통해서 시스템(100)에 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내시경(104)과 어댑터(108)는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채로 유지되는 클립(102)으로부터 멀리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조작자가 내시경의 시야를 확대하여 클립(102)과 클립 고정된 조직이 더 명확하게 보일 수 있고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클립(102)과 클립 고정된 조직을 둘러싸는 조직이 또한 보일 수 있게 허용한다. 어댑터(108)와 내시경(104)이 클립(102)을 더 잘 관찰하기 위해서 클립(10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후퇴된 이러한 구성은 검토 구성이다.
예를 들어, 검토 구성에서, 클립(102)은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로부터 선택된 거리만큼 클립(102)을 분리하도록 어댑터(108)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내시경(104)의 광학 시스템을 통해 조작자에게 제공된 클립(102)의 시야에 의해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었는 지의 여부를 조작자(예를 들어, 외과의)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원한다면, 조작자는 주변 조직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관점으로부터 클립을 볼 수도 있다.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지 않았다고 사용자가 결정하면,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가 클립(102)의 근위 측에 접근하고 최종적으로 접촉하도록 사용자는 연장 부재(110) 위로 내시경(104)을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와 클립(102)의 근위 측 사이의 접촉 및 연장 부재(110)에 인가되는 증가된 장력은 턱(118)이 강제로 분리되고 클립이 삽입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클립을 어댑터(108) 위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턱(118)이 개방될 때, 클립(102)은 클립(102)이 표적 조직에 대해 재배치될 수 있도록 클립 고정된 조직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런 다음 공정은 원하는 대로, 클립(102)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었음을 조작자가 확인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조작자는 클립(102)을 연장 부재(110)로부터 해제함으로써 클립(102)을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의 클립(102)의 운동은 내시경 샤프트(124)의 근위 단부에 있는 작동 조립체(112)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클립(102)은 내시경(104)의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 위에 장착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되며 구성되는 어댑터(108)를 통해서 임의의 표준 내시경(104)에 장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시경 샤프트(124)는 체강(body lumen)을 통해서 루멘(lumen) 내의 표적 영역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체강의 심지어 구불구불한 경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8)는 근위 단부(126)로부터 원위 단부(128)로 연장하고 이를 통해서 연장하는 채널(1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108)는 원형 단면적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관형이다. 어댑터(108)의 근위 부분(132)은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반면에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은 삽입 구성에서 그 위에 클립(1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댑터(108)의 근위 부분(132)을 따르는 채널(130)의 내경은 원위 단부(106)에서 내시경 샤프트(124)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되며 구성되어서 어댑터(108)가 예를 들어, 마찰 끼워 맞춤을 통해서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원위 부분(134)의 외경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방 구성에서 그 위에 클립(102)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되며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원위 부분(134)은 어댑터의 근위 단부(135)에서의 더 큰 외경으로부터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에서의 더 작은 외경으로 테이퍼지고 어댑터(108)의 외부 표면(136)의 원주 주위에 분포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평평한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평평한 부분(152)은 원위 부분(134)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원위 부분(134)의 둘레(예를 들어, 원주)의 일부분을 덮는다.
일 예에서, 외부 표면(136)은 원위 부분(134)의 원주 주위에 분포된 4 개의 평평한 부분(15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평한 부분(152)은 동일한 크기이고 원위 부분(134)의 원주 주위에서 서로 분리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평평한 부분(152)이 클립(102)과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삽입 구성과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102)의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어댑터(108)가 원위 부분(134)의 외부 표면(136)을 따라서 4 개의 등 간격으로 이격된 평평한 표면(15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당업자는 평평한 표면(152)이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을 따라서 그리고 원위 부분에서 멀리 원위 방향으로 클립(102)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초기 전개 구성으로부터 어댑터(108) 상으로 다시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그 위에서 삽입 구성으로 근위 방향으로 클립(102)의 당김을 용이하게 하는 한, 임의의 다양한 구성에서 어댑터(108)의 원주 주위에 분포된 원위 부분을 따라서 임의의 수의 평평한 표면(152)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원위 부분(134)은 또한, 원위 부분(134)의 만곡 부분(153)로부터 어댑터(108)의 채널(130) 내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출부(144)를 포함하며, 돌출부는 인접한 평평한 부분(152) 사이에서 연장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들 만곡 부분(153)의 원위 면(154)은 어댑터(108)의 종축에 대해 각을 이루므로, 클립(102)이 초기 전개 구성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당겨져 턱(118)이 원위 면(154)에 맞닿을 때, 이들 돌출부(144)의 각도는 턱의 자연스런 편향에 대한 턱(118)의 재-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144)는 어댑터(108)에 대한 클립(102)의 방위 정렬을 도울 수 있다. 즉, 턱(118)은 클립(102)이 클립 고정된 조직으로부터 해제되고 삽입 구성으로 어댑터(108) 상에서 다시 근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턱(118)을 개방하기 위해서 돌출부(144) 위로 근위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댑터(108)는 홈(140)이 원위 부분(134)을 따라서 탭(138)과 외부 표면(136) 사이에 형성되도록 어댑터(108)의 외부 표면(136)으로부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128) 쪽으로 연장하는 탭(138)을 포함한다. 삽입 구성에서, 본 실시예의 클립(102)은 턱(118) 중 하나가 홈(14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원위 부분(134) 위에 장착된다. 탭(138)은 또한, 탭을 통해 연장하는 구멍(142)을 포함한다. 구멍(142)은 어댑터(108)를 따라서 그리고 어댑터에서 근위 방향으로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클립(102)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예를 들어, 스레드(thread), 스트랜드(strand) 또는 다른 유사한 요소와 같은 전개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전개 요소의 제 1 단부는 예를 들어, 구멍(142)을 통해 탭(138)에 매듭을 짓거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서 전개 요소가 탭(138)으로부터 홈(140)을 가로질러 그리고 어댑터(108)의 채널(130)을 경유하여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을 통해서 근위 조립체(112)에 커플링된 제 2 단부로 연장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개 요소는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에서 채널(130)의 개구를 통해 채널(130) 내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개 요소는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의 벽을 통해 연장하는 대응 구멍(174)을 경유하여 채널(130) 내로 연장한다. 대응 구멍(174)은 본 실시예에서, 탭(138)을 통해 연장하는 구멍(142)과 동축으로 정렬되고 채널(130)과 연통한다. 삽입 구성에서, 전개 요소는 느슨해지고 탭(138)으로부터 클립(102)의 일부분의 근위 방향으로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까지 홈(140)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클립(102)을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이동시키길 원할 때, 조작자는 전개 요소에 장력을 가하여 긴장된 전개 요소가 클립(102)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립(102)을 어댑터(108)에서 원위 방향으로 밀어낸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탭(138)을 포함하는 것으로 어댑터(108)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은 어댑터의 근위 단부(135)로부터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로 충분히 테이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108)는 개방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클립(102)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탭(138)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오히려, 원위 부분(134)의 테이퍼는 클립(102)을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편향시킨다. 그러나 클립(102)은 연장 부재(110)가 클립(102)을 어댑터(108) 상의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충분한 근위 방향 장력이 연장 부재(110)에 가해지는 한 개방 구성에서 원위 부분(134) 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이 연장 부재(110)로부터 제거되면, 클립(102)의 자연스런 편향은 클립(102)이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로부터 미끄러질 때까지 어댑터(108)의 테이퍼진 표면 위로 원위 방향으로 클립(102)을 밀면서 서로를 향해 턱(118)을 당기는데, 이는 연장 부재(110)가 클립(102)과 함께 원위 방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이다. 연장 부재(110)가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른 장력이 감소함에 따라서, 클립(102)은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원위 부분(134)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허용된다.
클립(102)은 턱(118)이 서로 분리되는 개방 구성과 턱(118)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폐쇄 구성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턱(118)의 운동을 허용하는 힌지(122)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된 한 쌍의 턱(118)을 포함한다. 각각의 턱(118)은 제 1 단부(125)로부터 제 2 단부(127)로 곡선을 따라 연장할 수 있어서 턱(118)의 제 1 단부(125)는 힌지(122) 중 제 1 힌지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며 턱(118)의 제 2 단부는 힌지(122) 중 제 2 힌지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힌지(122)는 한 쌍의 턱(118)을 향하여 그리고 턱 사이로 연장하는 C-형상의, 실질적으로 C-형상의 곡선인 라이빙 힌지(living hinge)일 수 있다. 힌지(122)는 스프링 편향되어, 턱(118)을 폐쇄 구성 쪽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턱(118)은 예를 들어, 톱니와 같은 파지 특징부(120)를 포함하여, 턱(118)이 폐쇄 구성을 향해 서로 이동될 때 조직이 파지 특징부(120)를 경유하여 턱(118) 사이에 파지될 수 있다.
클립(10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구성에서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 위에 장착될 때 각각의 턱(118)이 곡선을 따라 연장하기 때문에, 각각의 턱(118)은 어댑터(108)의 외부 표면(136)이 클립(102)을 개방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대략 정반대 방향으로 연장한다. 개방 구성에서, 턱(118)은 표적 조직이 클립핑을 위해 턱(118) 사이의 어댑터 내로 당겨질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다. 클립(102)이 어댑터(108)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클립(10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흡입을 통해 또는 내시경(104)의 작동 채널을 통해 삽입된 파지 장치를 통해)어댑터 내로 당겨진 조직 위로 (클립(102)의 편향으로 인해서)폐쇄되도록 자유롭게 복귀된다. 따라서, 원위 부분(134)이 충분히 테이퍼지는 경우에, 클립(102)은 삽입 구성에서, 클립(102)에 커플링되고 그에 근위 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가하는 연장 부재(110)에 가해진 근위 방향 장력에 의해서 유지된다.
연장 부재(110)로부터 장력을 해제하면 클립(102)이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에서 떨어져 턱(118)이 어댑터(108) 내로 당겨진 조직 위로 스냅 폐쇄되게 함으로써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의 바로 원위인 초기 전개 구성에 도달할 때까지 클립(102)의 편향이 서로를 향해 턱(118)을 당겨서 클립(102)을 어댑터 위로 원위 방향으로 끌고 가기 때문에 클립(102)이 원위 부분(134)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클립(102)의 힌지(122) 및/또는 턱(1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22)가 폐쇄 구성을 향해 턱(118)을 편향시키는 한 임의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일 예에서, 클립(102)의 부분(예를 들어, 힌지(122))은 예를 들어,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102)의 운동은 클립(1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연장 부재(110)를 경유하여 용이해진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110)는 클립(102)의 힌지(12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핑 시스템(100)은 2 개의 연장 부재(110)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클립(102)의 대응 힌지(12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원위 단부(148)로부터 근위 단부(156)로 연장한다. 2 개의 연장 부재(110)의 근위 단부(156)는 서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작동 조립체(112)까지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158)에 연결된다. 연장 부재(110) 및/또는 제어 요소(158)는 예를 들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폴리머로 형성된 가요성 스트랜드, 필라멘트 또는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연장 부재(110)의 원위 부분(160)은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의 대향 측면을 따라서 연장하여 각각의 연장 부재(110)가 클립(102)의 힌지(122) 중 대응하는 하나와 맞물린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연장 부재(110)의 각각의 원위 부분(160)은 클립(102)의 C-형상 힌지(122)와 맞물리기 위해서 그의 원위 단부(148)에서 루프(146)를 형성한다. 각각의 루프(146)는 루프(146)가 예를 들어, 마찰 끼워 맞춤을 통해서 힌지(122)와 맞물리도록 힌지(122) 중 대응하는 하나의 C-형상 부분 위에 후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110)의 원위 단부(14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8)의 종축으로부터 멀어지고 클립(102)으로부터 해제 구성으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편향된다. 즉, 연장 부재(110)가 클립(102)으로부터 분리될 때, 연장 부재(110)는 클립(102)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게 튀어 올라 클립(1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따라서 내시경(104), 어댑터(108) 및 연장 부재(110)가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최종 전개 구성에서 클립(102)을 그대로 둔채로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클립(102)에 커플링될 때, 루프(146)는 C-형상 힌지(122) 위에 걸려서 연장 부재(110)의 원위 단부(148)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C-형상 힌지(122)와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클립(102)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원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될 때(예를 들어, 검토 구성으로부터 클립(102)을 관찰하는 조작자가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위치된 것으로 결정될 때) 어댑터(108) 및 내시경(104)은 어댑터가 클립(102)과 접촉하거나 그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까지 연장 부재(110) 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전진된다. 이 시점에서, 연장 부재(110)는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다.
위에 클립(102)이 클립 고정되는 조직에 의해서 더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서, 연장 부재(110)에 가해진 추가 원위 압력은 루프(146)가 C-형상 힌지(122)의 원위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 루프(146)를 (예를 들어, 클립(102)에 대한 루프의 마찰 끼워 맞춤의 마찰력을 극복하는)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루프(146)는 더 이상 힌지(122)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루프(146)는 클립(10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튀어 올라서 최종적으로 시스템(100)으로부터 클립(102)을 분리하고 클립을 최종적으로 전개 구성으로 남겨둔다. 원위 단부(148)가 더 이상 힌지(122)에 의해 구속되지 않을 때, 루프(146)는 연장 부재(110)의 원위 부분(160)이 클립(102)에 의해 억제될 때보다 원위 단부(148)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도록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연장 부재(110)의 원위 부분(160)이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의 외부 표면(136)을 따라서 연장하는 반면에, 연장 부재(110)의 근위 부분(1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8)의 근위 부분(132)의 벽(168)을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응하는 채널(166)을 통해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근위 부분(132)은 각각의 루프(146)를 형성하는 2 개의 스트랜드를 수용하기 위한 4 개의 채널(166)을 포함한다. 채널(166)은 연장 부재(110)의 근위 단부(156)가 서로 연결되고 제어 요소(158)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수렴하도록 벽(168)을 통해 연장한다. 채널(166)은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한 제어 요소(158)의 종 방향 운동이 연장 부재(110)를 원위 및/또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보기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102)을 이동시키도록 연장 부재(110)의 일부분을 미끄러지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어 요소(158)는 어댑터(108)와 작동 조립체(112) 사이에서 연장하는 코일(150)을 통해 병진 운동으로 연장한다. 코일(150)은 예를 들어, 어댑터(108)의 근위 단부(126)로부터 연장하여 내시경 샤프트(124)를 따라서 연장할 수 있다. 코일(150)은 내시경 샤프트(124)와 코일(15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재료(예를 들어, PTFE)로 코팅될 수 있으며, 이는 편조되거나(braided) 편조되지 않을 수 있다. 코일(150)은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 종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에, 제어 요소(158)는 연장 부재(110)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어 요소(158)는 코일(150)과 제어 요소(158)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PTFE/MDX와 같은 마찰 감소 재료로 유사하게 코팅될 수 있다.
삽입 구성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158)는 연장 부재(11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클립(102)이 개방 구성에서 어댑터(108) 위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원하는 근위 방향 장력을 그에 따라서 유지한다. 조직을 클립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조직은 (예를 들어,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을 통해 흡입하거나 파지 요소를 적용함으로써)어댑터(108)의 원위 단부 내로 당겨지고 제어 요소(158)는 제어 요소(158)로부터의 근위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일(150)과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클립(102)이 어댑터(108) 내로 당겨진 조직 위에서 스프링 폐쇄되도록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로부터 멀리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클립(102)이 테이퍼진 외부 표면(136)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 시점에서, 클립(10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의 바로 원위에 있는 이러한 조직 위로 폐쇄된 초기 전개 구성에 있다.
시스템(100)을 검토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50)은 제어 요소(15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내시경 샤프트(124)가 연장 부재(110) 위로 근위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어댑터(108)가 클립(10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립(102)이 내시경(104)을 통해 (주변 해부학적 구조에 의해 허용된 범위까지)보이도록 선택된 거리를 통해서 클립(102)이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자는 클립(102)을 보고, 주변 조직을 클립 고정한다.
볼 때, 클립(102)의 위치/배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내시경(104) 및 어댑터(108)는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에 있는 돌출부(144)가 클립(102)과 접촉할 때까지 연장 부재(110) 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 시점에서 연장 부재에 인가된 근위 방향 장력은 돌출부(144)에 대해 클립(102)을 당겨서 턱(118)과 클립(102)이 어댑터(108) 위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144)의 각진 표면이 그들의 자연적인 편향에 대해 턱(118)을 강제로 분리시킨다. 턱(118)이 완전히 개방될 때, 클립 고정된 조직이 해제되고 클립(102)이 삽입 구성으로 어댑터(108) 위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즉, 내시경(104) 및 어댑터(108)의 컬럼 강도(column strength)는 연장 부재(110)에서 근위 방향으로 지향된 장력이 돌출부(144)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클립을 당겨 턱(118)이 강제로 개방되게 하여 클립(102)이 어댑터(108)에 대해 더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게 하기 때문에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를 통해서)턱(118)에 원위 방향 힘을 인가한다. 그런 다음 조작자는 원하는 대로 클립(102)을 재배치하고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될 때까지 이러한 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전개되었음을 조작자가 확인하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전개 구성에서 클립(102)을 해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전개 구성에서 연장 부재(110)로부터 클립(102)을 해제하기를 원할 때, 연장 부재(110)는 루프(146)가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까지 (제어 요소(158)를 통해서)클립(102)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루프(146)가 예를 들어, C-형상 힌지(122)의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것과의 맞물림이 해제됨에 따라서, 연장 부재(110)의 원위 단부(148)는 힌지(122)로부터 해제되고 원위 단부(148)가 서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리 이동하는 그들의 편향된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허용된다. 원위 단부(148)가 반경 방향으로 서로 멀리 연장하기 때문에, 연장 부재(110)는 더 이상 클립에 커플링되지 않고 클립(102)과 다시 맞물리지 않고 클립(102)으로부터 멀리 근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102)은 내시경(104)이 표적 조직으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표적 조직에 클립 고정되어 신체 내에 남을 수 있다.
클립(102)이 C-형상 힌지(122)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클립(102)과 힌지(122)는 힌지(1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 구성을 향해 클립(102)의 턱(118)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한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연장 부재(110)의 원위 단부(148)는 원위 단부(148)가 전술 한 바와 같이 힌지(122)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한 임의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조립체(112)는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102)을 이동시키도록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 연장 부재(110)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조립체(112)는 핸들 부재(114) 및 그 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spool)(116)을 포함한다. 핸들 부재(114)는 코일(150)의 근위 단부(170)에 연결되는 반면에, 스풀(116)은 제어 요소(158)의 근위 단부(172)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풀(116)은 코일(150)에 대해 제어 요소(158)를 대응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핸들 부재(114)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보기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내시경(104)에 대해 클립(102)을 이동시킬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조직 폐쇄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설명된 바와 같은 어댑터(108) 및 클립(102)을 포함한 내시경(104)의 원위 단부는 클립 고정될 조직에 인접한 체강 내의 표적 영역으로 (예를 들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신체 오리피스에 의해서 접근된, 예를 들어 신체 내강(예를 들어, 위장관)을 통해) 생체 내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02)이 어댑터(108)를 통해서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에 장착되어서, 턱(118)이 삽입 구성에서 서로 분리된다.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클립(102)은 내시경(104)을 통해서(예를 들어, 내시경(104)의 비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적 영역으로 안내되고 표적 조직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표적 조직이 어댑터(108)의 채널(130)로 당겨질 수 있도록 조직의 일부분은 (예를 들어, 흡입력 또는 내시경(104)의 작업 채널을 통해 인가된 파지 기구를 통해서)어댑터(108)의 채널(130)로 당겨진다. 그런 다음 클립(102)은 어댑터(108) 위에서 그리고 어댑터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턱(118)이 스프링 폐쇄되고 클립(102)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30) 내의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102)은 예를 들어, 스풀(116)을 핸들 부재(114)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댑터(108) 위에서 원위 방향을 향해 이동될 수 있어서 클립(102)은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의 테이퍼진 외부 표면(136)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허용되고 클립(102)의 턱(118)은 초기 전개 구성으로 편향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러한 초기 전개 구성에서 조직의 흡입 및/또는 파지가 내시경(104)의 이미징/광학 렌즈를 차단하여 조직의 원하는 부분(즉, 표적 조직)이 적절하게 클립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더 이상 시각화하고/하거나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로부터 클립(102)을 이격시키는 것은 조작자가 클립(102) 및 클립 고정된 조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클립 고정된 조직을 내시경(104)의 원위 단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이러한 장애물을 제거한다. 초기 전개 구성일 때, 클립(102)은 클립(10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내시경 샤프트(124)를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클립(102)이 내시경(104)으로부터 충분히 분리되어 원하는 관찰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연장 부재(110)가 플레이 아웃(play out)을 허용하는 동안 스풀(116)에 대해서 근위 방향으로 핸들 부재(114)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기 구성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연장 부재(110)에 대해서 근위 방향으로 코일(150)을 이동시키는 것은 내시경(104)이 클립(102)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여, 클립(102)이 내시경(104)의 광학 시스템을 통해서 가시화될 수 있도록 선택된 거리를 클립(102)과 내시경 샤프트(124)의 원위 단부(106) 사이에 생성한다.
시각화 시, 클립(102)이 표적 조직에 대한 조정 및/또는 재배치를 필요로 한다고 사용자가 결정하면, 내시경(104)은 예를 들어, 어댑터(108)의 원위 단부(128)가 클립(102)에 인접할 때까지 스풀(116)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면서 핸들 부재(114)를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장 부재(110) 위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그 다음 연장 부재(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 고정된 조직을 해제하는 삽입 구성으로 어댑터(108)의 원위 부분(134) 위로 클립(102)을 당기기 위해서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클립(102)은 표적 조직에 대해서 재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새로운 조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108)의 채널(130) 내로 당겨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클립(102)은 어댑터(108)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직의 이러한 새로운 부분을 클립 고정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검토 구성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으며, 원하는 조직이 원하는 대로 클립 고정되었다고 조작자가 결정하면, 클립(1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클립(102)이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할 때까지 필요에 따라서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표적 조직이 원하는 대로 클립 고정되었음을 사용자가 확인하면, 클립(102)은 연장 부재(110)로부터 클립(102)을 해제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102)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어 요소(158) 및 그에 따른 연장 부재(110)는 내시경 샤프트(124)에 대해서 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검토 구성에서 클립(102)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고 그에 따라서 조직 표면에 맞닿기 때문에, 연장 부재(110)를 더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연장 부재(110)가 또한 클립(102)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연장 부재(110)는 연장 부재(110)의 원위 단부(148)가 클립(102)의 힌지(122)를 분리할 때까지 클립(102)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 부재(110)는 원위 단부(148)에 있는 루프(146)가 힌지(122)를 분리할 때까지 클립(102)에 대해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루프(146)가 예를 들어, C-형상 힌지(122)로부터 해제되면, 원위 단부(148)는 그들의 편향된 구성으로 복귀하는 것이 허용되어서, 서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리 이동된다. 따라서, 연장 부재(110) 및 내시경(104)은 클립(102)만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신체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2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면 클리핑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체강을 통해서 신체 내의 표적 영역으로 삽입될 어댑터(208)를 통해 내시경(204)의 내시경 샤프트(242)의 원위 단부(206)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클립(202)을 포함한다. 클리핑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클립(202)은 한 쌍의 연장 부재(21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며, 이는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내시경 샤프트(242) 및 어댑터(208)에 대한 클립(202)의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 구성에서, 클립(202)은 클립(202)의 턱(218)이 삽입 구성으로 유지되도록 어댑터(208)의 원위 부분(234) 위에 장착된다. 클립(202)은 턱(218)이 어댑터(208)의 바로 원위 부분에서 초기 전개 구성으로 그들의 편향 하에서 스프링 폐쇄된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클립(202)을 어댑터(208)를 따라서 그리고 어댑터에서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시스템(100)은 클립(202)이 연장 부재(210)를 통해서 시스템(200)에 커플링된 채로 유지되는 동안 클립(202)이 내시경(204)을 통해 볼 수 있도록 선택된 거리를 통해서 내시경 샤프트(224)의 원위 단부(206)가 클립(20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연장 부재(210)가 플레이 아웃될 때 클립(202)에 대해서 근위 방향으로 내시경 샤프트(224)를 이동시킴으로써 검토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장 부재(210)는 턱(218)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222)보다는 오히려 클립(202)의 턱(218) 중 하나에 연결된다. 따라서, 최종 전개 구성으로 클립(202)의 운동은 클립(102)에 대해 설명된 것과는 상이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달성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클립(202)은 힌지(222)를 통해 서로 연결된 턱(218)을 포함하는 클립(1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턱(218)이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도록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는 삽입 구성과 턱(218)이 그 사이에 수용된 조직을 파지하도록 다른 하나를 향해 이동되는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202)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턱(218)은 제 1 단부(225)로부터 제 2 단부(227)까지 곡선을 따라서 연장하며, 여기서 각각의 턱(218)의 제 1 단부(225)는 힌지(222) 중 하나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제 2 단부(227)는 힌지(222) 중 제 2 힌지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턱(218)은 각각의 턱(218)과 그의 대응 연장 부재(210)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연장 부재(210)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 그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276)를 더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개구(276)는 각각의 턱(218)의 제 1 단부(225)와 제 2 단부(227) 사이의 중간에 형성된다. 그러나, 개구(276)가 연장 부재(210) 중 대응하는 하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한, 개구(276)는 각각의 턱(218) 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연장 부재(210)는 개구(276)를 통해 클립(2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원위 단부(248)로부터 근위 단부(256)로 연장한다. 그러나, 원위 단부(248)에 루프를 포함하기보다는 오히려, 각각의 연장 부재(210)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폴리머의 필라멘트, 스트랜드 또는 코일로서 구성되며, 이는 분리 가능한 연결을 통해 원위 단부(248)에 커플링된 확대 부재(246)(예를 들어, 확대 볼)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 부재(210)의 원위 단부(248)는 개구(276)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해 삽입된다. 확대 부재(246)는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 사이에서 클립(202)의 운동 중에 연장 부재(210)가 클립(202)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위 단부(248)에 연결된다.
그러나, 클립(202)은 클립(202)이 조직 위로 클립 고정되는 검토 구성으로부터 확대 부재(246)가 턱(21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가압될 때까지 연장 부재(210)를 어댑터(208)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거기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결정된 임계 힘을 초과할 때, 확대 부재(246)는 원위 단부(248)로부터 분리, 파단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분리될 것이고, 따라서 연장 부재(210) 및 내시경(204)은 클립(2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클립(202)을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제자리에 남겨두면서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연장 부재(110)와 유사하게, 연장 부재(210)의 원위 부분(260)은 어댑터(208)의 원위 부분(234)의 외부 표면(236)을 따라서 연장하는 반면에, 연장 부재(210)의 근위 부분(262)은 근위 부분(232)의 벽(258)을 통해 연장하는 채널(266)을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210)의 원위 부분(260)은 원위 부분(234)의 정반대 측면을 따라 연장한다. 그러나, 원위 부분(260)이 원위 부분(234)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연장 부재(210)의 근위 부분(26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2 개의 채널(266)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266)은 연장 부재(210)의 근위 단부(256)가 만나고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수렴한다. 클리핑 시스템(100)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연장 부재(210)의 근위 단부(256)로부터 예를 들어, 작동 조립체(11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작동 조립체로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여, 연장 부재(210) 및 그에 따른 클립(202)이 내시경 샤프트(242)에 대한 제어 요소의 운동을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100)과 유사하게, 제어 요소는 시스템(100)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댑터(208)의 근위 단부(226)와 작동 조립체 사이에서 연장하는 코일(250)을 통해서 연장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200)이 클리핑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특히, 클립(202)은 클립(1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2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확대 부재(246)가 연장 부재(210)의 원위 단부(248)로부터 해제되는 미리 결정된 임계 힘을 초과하는 힘을 연장 부재(210) 상의 장력이 생성할 때까지 연장 부재(210)는 클립(20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진다. 확대 부재(246)가 원위 단부(248)로부터 분리되면, 연장 부재(210)는 개구(278)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연장 부재(210) 및 내시경(204)은 클립(202)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제자리에 클립을 남겨둔 채로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3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2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300)은 또한, 클리핑 시스템(100 및 200)에 대해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부재(310)의 원위 단부(348)에서 확대 부재(346)를 통해 클립(3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연장 부재(310)를 통해서 클립(302)이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미리 결정된 임계 힘을 초과하는 장력을 연장 부재(310)에 가하는 것을 통해서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되기보다는 오히려, 클리핑 시스템(300)은 연장 부재(310)의 원위 단부(348)로부터 확대 부재(346)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확대 부재(346)에 연결된 스트링(380)을 더 포함한다.
클리핑 시스템(200)의 연장 부재(210) 및 클립(202)과 유사하게, 연장 부재(310)의 원위 단부(348)는 각각, 원위 단부(348) 중 대응하는 하나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확대 부재(346)를 포함하여, 클립(3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각각의 확대 부재(346)는 상응하는 원위 단부(348)로부터 분리되어 연장 부재(310)가 클립(302)의 턱(318)을 통해 연장하는 개구(378)로부터 제거되게 한다. 각각의 스트링(3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확대 부재(346) 중 대응하는 하나에 연결된 원위 단부(381)로부터 예를 들어, 내시경 샤프트(324)의 근위 단부에 있는 작동 조립체로 연장한다. 따라서, 클립(3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사용자는 클립(302)에 대해 스트링(380)에 근위 힘을 가하여 확대 부재(346)를 연장 부재(310)의 원위 단부(348)로부터 분리시킨다. 확대 부재(346)가 원위 단부(348)에 더 이상 커플링되지 않으면, 연장 부재(310)는 개구(378)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당겨져 클립(302)이 최종 전개 구성에서 연장 부재(31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확대 부재(346)는 원위 단부(348) 중 하나 위에 끼워 맞춰지는 실질적으로 U-형상 요소이고 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때까지 (예를 들어, 마찰 끼워 맞춤을 통해)제자리에 유지된다. 그러나 확대 부재(346)가 원위 단부(346) 위에 끼워져서 스트링(380)을 통해 해제될 수 있는 한 확대 부재(346)가 다양한 형상 및 구성 중 임의의 것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또한, 확대 부재(346)가 스트링(380)을 통해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는 한, 마찰 끼워 맞춤, 접착제 또는 다른 커플링 메커니즘을 통해서 원위 단부(348)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클리핑 시스템(300)이 스트링(38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클리핑 시스템(300)이 확대 부재(346)로부터 작동 조립체로 연장하는 임의의 다양한 제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제거 요소는 예를 들어, 연장 부재(310)의 원위 단부(348)로부터 확대 부재(346)를 당기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스레드, 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400)은 전술한 임의의 클리핑 시스템(100, 200, 3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만이 상이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400)은 어댑터(408)를 통해 내시경에 장착 가능한 클립(402)을 유사하게 포함하고, 클립(402)은 연장 부재(410)를 통해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400)은 후술하는 것을 제외하면, 클리핑 시스템(2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410)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448)로 연장하는 코일(411)을 포함한다. 코일(411)은 실질적으로 클리핑 시스템(100 내지 30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부재(410)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에 서로 연결된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그러나 각각의 연장 부재(410)는 원위 단부(448)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와이어(446)를 더 포함하며, 와이어(446)는 클립(402)의 대응하는 턱(418)을 통해서 연장하는 개구(478)를 통해서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와이어(446)는 개구(478) 및 코일(411)의 원위 단부(448)에 부착된 와이어(446)의 원위 단부(447)를 통해 고리 형상이 될 수 있어서 연장 부재(410)는 와이어(446)를 통해 형성된 루프를 통해서 클립(402)에 커플링된다.
와이어(446)의 원위 단부(447)는 예를 들어, 용접, 크림핑(crimping) 또는 접착을 통해서 코일(448)의 원위 단부(448)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은 클립(402)을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클립(402)으로부터 연장 부재(410)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와이어(446)가 개구(478)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부착물이 파손될 때까지 사용자가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는)클립(402)에 대해 연장 부재(410)를 따라서 근위 방향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부착물에 가해진 힘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때 부착물이 파손됨은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일단 부착물이 파손되면, 연장 부재(410)와 내시경은 원하는 대로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되는 클립(402)만이 남도록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500)은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200 내지 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내시경(504)의 원위 단부(506)에 장착될 수 있고 클립(5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연장 부재(510)를 통해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클립(502)을 포함한다. 클리핑 시스템(5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 부재(510)의 근위 부분(562) 및 원위 부분(560)은 클립(502)이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서 분리, 파손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해제되도록 구성된 해제 가능한 커플링(564)을 통해 서로 커플링된다.
연장 부재(510)의 각각의 근위 및 원위 부분(562, 560)은 해제 가능한 커플링(564)을 통해서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예를 들어, 스트링의 개별 스트랜드로 구성된다. 클리핑 시스템(100 내지 400)에 대해 전술한 연장 부재와 유사하게, 근위 부분(562)의 근위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내시경(504)에 대한 연장 부재(510)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558)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해제 가능한 커플링(564)은 홀딩 요소(5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홀딩 요소(586)는 C 및/또는 브래킷 형상이어서 홀딩 요소(586)의 내부 공간(590)이 한 측면을 따라 그의 외부로 개방된다. 홀딩 요소(586)는 근위 부분(562)의 원위 단부(563)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근위 단부(587) 및 원위 부분(560)이 홀딩 요소(586)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U-형상 슬롯(589)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588)로부터 연장한다. 내부 공간(590)은 근위 및 원위 단부(587, 588) 사이에서 연장하여 U-형상 슬롯(589)이 내부 공간(590) 및 홀딩 요소(586)의 외부 모두와 연통한다.
연장 부재(510)의 원위 부분(560) 각각은 확대된 근위 단부(559)로부터 클립(502)의 대응하는 턱(518)을 통해서 연장하는 개구(578)를 경유해 클립(502)에 해제 불가능하게 커플링된 원위 단부(561)로 연장한다. 원위 단부(561)는 예를 들어, 볼을 통해서 턱(518)에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볼이 개구(578)를 통과할 수 없도록 크기가 조정된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커플링된 구성에서, 확대된 근위 단부(559)는 홀딩 요소(586)의 내부 공간(590) 내에 수용될 수 있어서 근위 단부(559)의 원위에 있는 연장 부재(510)의 원위 부분(560)의 일부분이 슬롯(589)을 통해서 홀딩 요소(586)의 원위 단부(588)를 통해서 연장한다. 원위 단부(561)와 유사하게, 확대된 근위 단부(559)는 슬롯(589)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크기가 조정된 볼로서 구성될 수 있어서, 확대된 근위 단부(559)는 슬롯(589)을 통해서 종방향으로 통과할 수 없다.
각각의 해제 가능한 커플링(564)의 홀딩 요소(586)는 클립(502)이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에 있을 때, 어댑터(508)의 근위 부분(532)을 통해서 연장하는 채널(566)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에 있을 때, 원위 부분(560)의 확대된 근위 단부(559)는 홀딩 요소(586)의 근위 및 원위 단부(587, 588)를 통해서 그리고 채널(566)의 내부 표면을 통해서 홀딩 요소(586)의 내부 공간(590) 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클립(502)을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연장 부재(510)는 홀딩 요소(586)가 채널(566)의 원위 단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까지 어댑터(508)에 대해 훨씬 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확대된 근위 단부(559)가 채널(566)의 내부로부터 해제되고 채널(560)을 통해서 더 이상 내부 공간(590)에 유지되지 않는다. 확대된 근위 단부(559)가 홀딩 요소(586)로부터 해제되면, 연장 부재(510)의 근위 부분(562)과 내시경(504)이 제거되어서, 원하는 대로 원위 부분(560)이 클립(502)에 부착된 상태로 클립(502)을 남기고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신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연장 부재(510)의 원위 부분(560)이 볼을 통해서 클립(502)의 턱(518)에 해제 불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원위 부분(560)이 다양한 커플링 메커니즘 중 임의의 것을 통해서 클립(502)에 해제 불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부재(510')의 원위 부분(560')은 클립(502')의 대응하는 턱(518')의 개구(578')를 통해서 고리를 이루는 스트랜드(strand)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연장 부재(510)와 유사하게, 원위 부분(560')은 확대된 근위 단부(559')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원위 부분(560')은 원위 부분(560')을 연장 부재(510')의 근위 부분(562')에 커플링하기 위한 해제 가능한 커플링(564')의 홀딩 요소(586')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핑 시스템(600)은 전술한 임의의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600)은 어댑터(608)를 통해서 내시경 샤프트(624)의 원위 단부(606)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립(602)을 포함한다. 클립(602)은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602)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연장 부재(610)를 통해서 어댑터(608) 및 내시경 샤프트(624)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클리핑 시스템(200)과 유사하게, 한 쌍의 연장 부재(610) 각각은 클립(602)의 대응하는 턱(610)에 연결된다. 그러나, 클리핑 시스템(600)은 클립(602)으로부터 연장 부재(610)를 분리하여 클립(602)을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밴드(680)를 더 포함하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연장 부재(210)와 유사하게, 연장 부재(610)는 근위 단부(656)로부터 원위 단부(648)로 연장한다. 근위 단부(656)는 서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에 연결된다. 원위 단부(648) 각각은 그 위에 확대 부재(646)를 포함한다. 그러나 확대 부재(646)는 그 위에 고정되어 원위 단부(648)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원위 단부(648)는 본 실시예에서, 반경 방향 외측 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환언하면, 원위 단부(648)는 각각의 원위 단부(648)가 어댑터(608)의 종축으로부터 멀리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된다.
클립(202)과 유사하게, 각각의 턱(618)은 연장 부재(610)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부분을 내부에 해제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이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678)를 포함한다. 그러나 각각의 개구(678)는 확대 부재(246)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지정된 제 1 부분(682) 및 확대 부재(246)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지정된 제 2 부분(684)을 포함한다. 개구(678)는 제 1 부분(682)이 제 2 부분(682)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플링된 구성에서, 확대 부재(646)의 바로 근위에 있는 연장 부재(610)의 일부분은 제 1 부분(682) 내에 수용되는 반면에, 확대 부재(646)는 턱(118)에 맞닿고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클립(602)은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표적 조직을 파지하기 위해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에서 탄성 밴드(680)는 어댑터(608)의 일부분 주위로 연장한다. 표적 조직이 원하는 대로 클립(602)에 의해서 파지되었음을 확인할 때, 탄성 밴드(680)는 어댑터(608)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 밴드(680)는 어댑터(608)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 부재(610) 주위로 연장함으로써, 연장 부재(610)가 서로를 향해 당겨져 원위 단부(648)가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그의 확대 부재(646)가 개구(678)의 제 2 부분(684)을 통과하게 허용된다. 따라서, 연장 부재(610) 및 내시경(604)은 클립(602)이 표적 조직 위에서 파지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신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탄성 밴드(680)가 개구(678)의 제 1 부분(682)으로부터 제 2 부분(684)까지 연장 부재(610)를 이동시키도록 연장 부재(610) 위에서 말단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 탄성 밴드(680)는 다양한 메커니즘 중 임의의 것을 통해서 어댑터(608)로부터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일 예에서, 스레드 또는 다른 스트랜드의 원위 부분은 탄성 밴드의 일부분 주위에 감길 수 있어서 이러한 스트랜드의 근위 단부가 사용자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당겨질 때, 스트랜드의 원위 부분이 풀리기 시작하여, 탄성 밴드(680)가 어댑터(608)의 원위 부분(634)을 따라서 테이퍼진 외부 표면(636)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구르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클립(602)의 최종 전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장 부재(610)를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 밴드(680)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연장 부재(610)가 서로를 향해 제한되어 원위 단부(648)에 있는 확대 부재(646)가 개구(678)의 제 2 부분(684)을 통과할 수 있는 한 클립(6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메커니즘 중 임의의 것이 이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원위 단부(648)가 개구(678)의 제 2 부분 내로 이동되고 따라서 클립(60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서로를 향해 연장 부재(610)를 당기기 위해서, 어댑터(608)의 원위 방향으로 연장 부재(610) 주위에스네어(snare)가 전개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708)를 통해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702)을 포함하는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유사하게, 클립(702)은 클립의 턱(718)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연장 부재(710)를 통해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전개 구성 사이에서 어댑터(708) 및 내시경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 부재(710)는 어댑터(708)의 일부분에 맞춰져, 연장 부재(710)가 어댑터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연장 부재(710)의 원위 부분((760)이 최종 전개 구성에서 연장 부재(710)로부터 클립(702)을 분리하기 위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강제된다. 클리핑 시스템(70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클립(602)과 유사하게, 클립(702)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718)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턱(718)은 연장 부재(710)의 대응하는 것과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서 이를 통해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부분(782, 784)을 통해서 한정된 개구(778)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제 1 부분(782)은 제 2 부분(784)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연장 부재(710)의 원위 단부(748)에 있는 확대 단부(746)보다 더 작은 폭을 갖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제 2 부분(784)은 확대 단부(746)가 통과할 수 있도록 크기와 형상이 정해지고 구성된다.
연장 부재(710)는 근위 단부로부터 확대 부재(746)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748)로 연장한다. 클리핑 시스템(100 내지 60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근위 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삽입, 초기 전개, 관찰 및 최종 전개 구성들 사이에서 클립(702)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그로부터 작동 조립체로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연장 부재(710)의 원위 부분(760)은 원위 단부(748) 쪽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연장 부재(710)의 근위 부분(762)은 원위 부분(76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유사하게, 연장 부재(710)의 근위 부분(762)은 어댑터(708)의 근위 부분(732)을 통해서 연장하는 대응하는 채널(766) 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어댑터(708)는 각각의 채널(766)의 원위 단부에 있는 어댑터(708)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키 결합된(keyed) 특징부(780)를 포함한다. 삽입, 초기 전개 및 검토 구성들에서, 키 결합된 특징부(780)는 어댑터(708)의 채널(766)에 대해 제 1 위치에 있다. 키 결합된 특징부(780)는 채널(760)의 일부분과의 마찰 끼워 맞춤을 통해서 이러한 제 1 부분에 유지된다. 최종 전개 구성에서, 키 결합된 특징부(780)는 어댑터(708)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키 결합된 특징부가 이동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장 부재(710)의 근위 부분(762)의 더 큰 직경은 이러한 제 2 위치 쪽으로 키 결합된 특징부를 밀어낸다.
삽입, 초기 전개 및 검토 구성들에서, 연장 부재(710)의 원위 부분(760)은 키 결합된 특징부(780)를 따라서 미끄럼 가능하게 이동되며, 연장 부재(710)의 원위 단부(748)는 개구(778)의 제 1 부분(782)을 통해서 개구(778)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그러나 최종 전개 구성에서 연장 부재(710)로부터 클립(702)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어댑터(708)는 근위 부분(762)의 더 큰 직경이 경사면(786)과 맞물려서 키 결합된 특징부(780)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쪽으로 이동시킬 때까지 연장 부재(71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경사면에 대해 밀리는 연장 부재(710)는 또한, 원위 단부(748)를 개구(748)의 제 1 부분(782) 내에서부터 개구(778)의 제 2 부분(784)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확대 단부(746)는 개구(778)를 통과하도록 허용되어 연장 부재(710)가 그로부터 제거됨으로써 클립(702)만이 표적 조직 위에 클립 고정된 채로 남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확대 단부(746)를 개구(778)로부터 해제하고 클립(7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남겨두기 위해서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원위 부분(760)의 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연장 부재(110)의 원위 부분(760)이 개구(778)로부터 해제되기 위해서 어댑터(708)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 요구되도록 클리핑 시스템(700)이 수정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서, 근위 부분(762)의 더 큰 직경이 키 결합된 특징부(780)의 경사면(786)과 맞물릴 때, 키 결합된 특징부(780)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대해 가압되는 원위 부분(760)도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개구(787)의 제 1 및 제 2 부분(782, 784)이 대응되게 구성될 것이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도 30은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의 클립(702)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808) 및 연장 부재(8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장 부재(810)는 전술한 연장 부재(71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어댑터(808)의 근위 부분(832)을 통해서 연장하는 채널(866)의 원위 단부에 경사면을 포함하는 키 결합된 특징부보다는 오히려, 어댑터(808)의 채널(866) 각각은 내부에 연장 부재(810) 중 하나의 원위 부분(860)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서 관통 연장하는 채널(886)을 가지는 구체(880)로서 구성된 키 결합된 특징부를 포함한다.
구체(888)는 구체(880)의 채널(886)의 종축이 채널(866)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정렬되는 제 1 위치와 구체(880)의 채널(886)의 종축이 어댑터(808)의 채널(866)의 종축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구체(888)가 회전할 수 있도록 채널(866) 중 대응하는 하나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소켓(888) 내에 수용된다. 소켓(88)의 일부분은 구체(880)가 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구체(880)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하도록 그를 따라 연장하는 경사면(887)을 포함한다.
삽입, 초기 전개 및 검토 구성들에서, 구체(880)는 어댑터(808)에 대해 제 1 위치에 있으므로 연장 부재(810)의 원위 부분(860)은 구체(880)의 채널(886)을 통해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되며 연장 부재(810)의 원위 단부(848)는 개구(778)의 제 1 부분(782)을 통해서 클립(702)의 개구(778)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그러나, 최종 전개 구성에서 연장 부재(810)로부터 클립(702)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어댑터(808)는 연장 부재(810)의 근위 부분(862)의 더 큰 직경이 구체(880)의 일부분과 맞물려서 소켓(888)의 경사면(887)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구체(880)를 밀어 구체(880)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킬 때까지 연장 부재(81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연장 요소(810)의 원위 부분(860)은 원위 부분(860)이 어댑터(808)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연장 부재(810)의 근위 부분(862)에 대해 각을 이룬다. 구체(880)가 제 2 위치 쪽으로 이동될 때, 원위 단부(848)는 개구(878)의 제 2 부분(884) 내로 이동되어서 확대 단부(846)가 제 2 부분(884)을 통과하여 연장 부재(810)로부터 클립(702)을 해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확대 단부(846)를 개구(878)로부터 해제하여 클립(702)을 최종 전개 구성으로 남기기 위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연장 부재(810) 원위 부분(860)의 운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연장 부재(810)의 원위 부분(860)이 전술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구체(880)의 회전을 통해서 어댑터(808)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클리핑 시스템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778)의 제 1 및 제 2 부분(782, 784)은 원위 부분(860)이 어댑터(808)의 종축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때 그로부터 연장 부재(810)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대응하게 구성될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클리핑 시스템은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장착되는 어댑터(908)를 통해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립(902)을 포함하는,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클립(902)은 클립(902)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연장 부재(910)를 통해서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어댑터(808)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지 800)에 대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클립(902)은 어댑터(908)에 대해 종 방향으로 연장 부재(910)를 이동시킴으로써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 사이에서 이동된다. 그러나 클립(902)은 연장 부재(910)로부터 해제되어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장 부재(910)의 회전을 통해서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된다. 클리핑 시스템(900)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클리핑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클립(902)은 한 쌍의 턱(918)을 포함한 클립(102 내지 702)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각각의 턱(918)은 연장 부재(910)의 원위 단부(948)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기 위해서 관통 연장하는 개구(978)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개구(978)는 연장 부재(910)의 원위 단부(948)에서 확대 부재(946)에 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개구(978)는 예를 들어, 연장 부재(910)의 원위 단부(948)에서 평평한 확대 부재(946)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 슬롯형 개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슬롯형 개구(978)는 평평한 확대 부재(946)가 슬롯형 개구(978)에 대해 잠금 해제된 방위에 있을 때, 평평한 확대 부재(946)가 통과될 수 있도록 크기, 형상이 정해지고 구성된다. 평평한 확대 부재(946)가 연장 부재(910)의 종축에 대한 잠금 해제된 방위로부터 제 1 방위와는 상이한 잠긴 방위로 개구(978)에 대해 회전될 때, 확대 부재(946)는 연장 부재(910)의 원위 단부(948)가 그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도록 슬롯형 개구(978)를 통과할 수 없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슬롯형 개구(946)에 대한 평평한 확대 부재(946)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회전 각도는 대략 90도일 수 있다. 개구(978)에 대한 제 1 방위와 제 2 방위 사이에서 연장 부재(910)의 회전은 확대 부재(946)가 잠금 방위와 잠금 해제 방위 사이에서 개구(97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각도 중 임의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평평한 확대 부재(946)는 실질적으로 대칭 형상일 수 있고 슬롯형 개구(978)의 크기 및 형상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확대 부재(946)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개구(978) 및 평평한 확대 부재(946)는 슬롯형 개구(978) 및 확대 부재(946)가 하나로 맞춰지는 한, 예를 들어 슬롯형 개구(978)에 대한 평평한 확대 부재(946)의 회전이 연장 부재(910) 및 클립(902)을 잠금 방위와 잠금 해제 방위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 다양한 형상과 크기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클리핑 장치와 유사하게, 연장 부재(910)의 근위 부분(960)은 어댑터(908)의 근위 부분을 통해서 연장하는 채널 내에 수용되는 반면에, 연장 부재(910)의 원위 부분(960)은 어댑터(908)가 클립(902)과 맞물리면 원위 부분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그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클리핑 시스템(902)은 실질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클리핑 시스템에 대해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어댑터(908)에 대한 연장 부재(910)의 종 방향 운동을 통해서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보기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및 검토 구성에서, 확대 부재(946)는 개구(978)에 대해 잠금 구성에 있다. 그러나 연장 부재(910)로부터 클립(902)을 해제함으로써 클립(902)을 최종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어댑터(908)는 연장 부재(910)의 근위 부분(960)을 따라서 연장하는 키 결합된 특징부(980)가 어댑터(908)의 채널의 대응하는 키 결합된(예를 들어, 나사 결합된) 부분과 맞물려서 잠금 구성으로부터 잠금 해제 구성으로 채널 및 개구(978)에 대해 회전할 때까지 연장 부재(910)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고 어댑터(908)에 대해 더 원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양한 수정이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개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5)

  1. 조직(tissue)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clipping system)으로서,
    삽입 장치(insertion device)의 원위 단부(distal end)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proximal end)로부터 원위 단부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어댑터(adapter);
    제 1 및 제 2 턱(jaw)을 포함하는 클립(clip)으로서,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도록 클립이 어댑터 위에 장착되는 삽입 구성과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를 향해 당겨져서 그 사이에 조직을 파지하는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턱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턱의 제 1 단부가 제 1 힌지(hinge)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1 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턱의 제 2 단부가 제 2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2 단부에 연결되며, 제 1 및 제 2 힌지 중 적어도 하나가 편향되어 클립을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당기는, 클립; 및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coupled)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으로 어댑터에 대한 클립의 운동을 허용하는 제 1 연장 부재로서,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어댑터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클립에 대한 시각 관찰(visual observation)을 용이하게 하는 검토 구성(review configuration)으로 시스템을 배치하기 위해서 연장 부재가 클립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클립으로부터 이격되게 근위 방향으로 어댑터의 후퇴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클립 고정된 조직으로부터 클립을 자유롭게 하는 어댑터 위로 수축될 때 클립이 강제로 개방되도록 어댑터 위로 근위 방향으로 클립을 수축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제 1 연장 부재는 클립이 원하는 위치에서 클립 고정되는 것으로 관찰될 때 최종 전개 구성에서 클립을 그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연장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 2 연장 부재는 클립이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그리고 시스템이 검토 구성으로 이동하는 동안 클립에 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연장 부재는 검토 구성과 초기 전개 구성 중 하나로부터 어댑터 위로 근위 방향으로 클립을 수축시키고 최종 전개 구성에서 그로부터 클립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 1 연장 부재와 협력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근위 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그로부터 시스템의 사용자가 액세스(access)할 수 있는 근위 단부까지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에 연결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립이 삽입 구성에서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의 원위 부분은 어댑터의 원위 단부 쪽으로 테이퍼화(tapering)되어 제 1 연장 부재를 따라 장력을 감소시키면 클립이 삽입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은 클립이 개방 구성으로부터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원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클립과 어댑터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외부 표면을 따르는 평평한 부분, 및 클립이 초기 전개 구성으로부터 개방 구성 쪽으로 이동될 때 클립의 일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어댑터의 원위 부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 각각의 원위 단부는 제 1 및 제 2 힌지 중 대응하는 하나의 일부분 위에 걸리도록 구성된 루프(loop)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 각각의 원위 단부는 어댑터의 종축으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됨으로써,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루프가 각각 제 1 및 제 2 힌지 위에 걸릴 때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맞물림 구성 쪽으로 구속되며,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제 1 및 제 2 힌지로부터 분리될 때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가 측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와 최종 전개 구성에서 그로부터 클립을 해제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턱은 제 1 연장 부재와 맞물리기 위해서 관통 연장하는 개구(opening)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연장 부재는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확대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연장 부재는 확대 부재를 통해서 제 1 턱의 개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클립은 확대 부재가 제 1 턱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가압될 때까지 어댑터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제 1 연장 부재를 당김으로써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가해지는 힘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확대 부재가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분리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확대 부재가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스트랜드(strand)를 근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클립이 검토 구성으로부터 최종 전개 구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확대 부재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랜드를 더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연장 부재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하는 코일, 제 1 턱의 개구를 통해 고리 형태가 되도록 코일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 및 코일의 원위 단부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제 1 턱이 와이어를 통해서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연장 부재는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을 포함하며, 원위 부분은 제 1 턱을 통해서 연장하는 개구를 경유하여 클립에 연결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해제 가능한 연결부는 제 1 연장 부재의 근위 부분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제 1 단부 및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홀딩 요소(holding element)를 포함하여, 홀딩 요소가 어댑터의 원위 단부를 지나 원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 연장 부재의 원위 부분이 그로부터 해제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4.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으로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샤프트(shaft)를 포함하는 내시경;
    내시경 샤프트의 원위 단부 위에 장착된 근위 부분 및 근위 부분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원위 단부 쪽으로 테이퍼진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어댑터;
    어댑터의 원위 부분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클립으로서, 클립은 제 1 및 제 2 턱을 포함하며, 제 1 턱의 제 1 단부는 제 1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1 단부에 연결되고 제 1 턱의 제 2 단부는 제 2 힌지를 통해서 제 2 턱의 제 2 단부에 연결되어서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에 조직을 수용하는 삽입 구성과 제 1 및 제 2 턱이 서로를 향해 당겨져 그 사이에 조직을 파지하는 초기 전개 구성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턱이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힌지 중 적어도 하나가 클립을 초기 전개 구성 쪽으로 당기도록 편향되는, 클립;
    삽입 구성, 제 1 및 제 2 턱이 어댑터의 바로 원위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초기 전개 구성, 클립이 내시경을 통해서 보일 수 있도록 선택된 거리를 통해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로부터 클립이 분리되는 검토 구성, 및 클립이 그 사이에 수용된 조직 위로 제 1 및 제 2 턱이 폐쇄된 상태로 연장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어댑터에 대한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종 방향 운동으로 클립을 이동시키도록 원위 단부에서 클립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어댑터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 및
    제 1 및 제 2 연장 부재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어댑터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내부에 제어 요소를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코일(coil); 및
    핸들 부재(handle member) 및 그 위에 장착되고 그에 대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풀(spool)을 포함하는 작동 조립체로서, 스풀이 핸들 부재에 대해 이동되어 개방 삽입 구성, 초기 전개 구성, 검토 구성 및 최종 전개 구성 사이에서 클립을 이동시키도록 핸들 부재가 코일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스풀이 제어 요소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조직 치료용 클리핑 시스템.
KR1020237025844A 2021-05-26 2022-04-26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KR20230125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2085P 2021-05-26 2021-05-26
US63/202,085 2021-05-26
PCT/US2022/071931 WO2022251771A1 (en) 2021-05-26 2022-04-26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302A true KR20230125302A (ko) 2023-08-29

Family

ID=8165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844A KR20230125302A (ko) 2021-05-26 2022-04-26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9173B2 (ko)
EP (1) EP4243706A1 (ko)
JP (1) JP2024505544A (ko)
KR (1) KR20230125302A (ko)
CN (1) CN117396143A (ko)
WO (1) WO20222517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4408A (en) * 1998-10-13 2000-06-13 Freeman; Kenneth V. Modular med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6428548B1 (en) * 1999-11-18 2002-08-06 Russell F. Durgi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body tissue
JP4578632B2 (ja) * 2000-07-05 2010-1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器具
WO2019135958A2 (en) * 2018-01-05 2019-07-11 Oleg Shikhman Surgical clip and deployment system
CN109044473B (zh) * 2018-06-14 2020-06-02 宁波胜杰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解的内镜吻合夹
CN111214271A (zh) * 2018-11-27 2020-06-02 杨西群 可变径形状记忆合金闭合夹及堆叠式多发变径闭合夹装置
DE102020113535A1 (de) * 2020-05-19 2021-11-25 Ovesco Endoscopy Ag Gewebeclip-Applikations-Ausrüst- oder Nachrüstsa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96143A (zh) 2024-01-12
US20220378432A1 (en) 2022-12-01
EP4243706A1 (en) 2023-09-20
US11969173B2 (en) 2024-04-30
WO2022251771A1 (en) 2022-12-01
JP2024505544A (ja)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355B2 (en) Tissue traction bands and methods for tissue traction
CA3072102C (en)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traction
WO2021113232A1 (en) Tissue tra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20378433A1 (en) Repositional clip with extension
KR20230125302A (ko) 재배치 가능한 오버 더 스코프 클립
US20230277194A1 (en) Repositional over the scope clip with frangible link
US20230181195A1 (en)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US20230181196A1 (en)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US20230157699A1 (en) Hook and loop for hemostasis clip release
US20230404594A1 (en)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with compliant mechanism
US20230320735A1 (en) Hemostasis clip release mechanism
US20230110619A1 (en) Endoscopic suture cinch
US20230225740A1 (en) Steerable platform repositionable over the scope clip
CN118139587A (zh) 用于止血夹具释放的钩状物和环状物
KR20230145455A (ko) 재배치 기능을 갖는 오버 더 스코프 클립
CN117794464A (zh) 具有顺应性机构的镜上夹
CN117750915A (zh) 可再定位的超范围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