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441A -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441A
KR20200143441A KR1020207032536A KR20207032536A KR20200143441A KR 20200143441 A KR20200143441 A KR 20200143441A KR 1020207032536 A KR1020207032536 A KR 1020207032536A KR 20207032536 A KR20207032536 A KR 20207032536A KR 20200143441 A KR20200143441 A KR 20200143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lazo
amino
naphthalene
pyridin
sulf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가키즈카
고 오노
다카히로 호리에
유야 이데
나리타츠 사이토우
다케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00143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8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having a carbocyclic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prohepta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자들은, 식(I)의 화합물이 심근 세포의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해 의약 조성물은, 심근경색, 만성 심부전, 고혈압성 심부전 또는 확장형 심근증 등의, 심근 세포사를 수반하는 심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해, 특히 심근경색의 처치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본 특허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78272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여기에 참조함으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원은,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심근경색이나 확장형 심근증 등의 심질환에서는, 펌프 기능을 담당하는 심근 세포가 장해를 받아, 최종적으로는 변성 또는 괴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심근 세포는 일반적으로 자기 재생 능력이 부족하므로, 장해를 받은 심근 세포를 보호하여 변성이나 괴사를 방지하는 것이 이들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다고 고려되지만, 그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심근경색은, 관동맥 혈관의 폐색 또는 협착에 의해 혈액의 유량이 저하되고, 심근이 허혈 상태로 되어 괴사하는 질환이고, 만성 심부전의 주원인의 하나이다. 급성기의 심근경색의 치료에, 벌룬 카테터, 스텐트 등을 사용하는 외과적 요법 또는 혈전 용해 요법에 의해 관동맥의 혈류를 재개하는 재관류법이 사용되게 되어, 심근경색에 의한 사망률 및 예후는 개선되었다. 그러나, 재관류법에는, 재관류 시의 칼슘 이온의 세포내 유입이나 활성 산소의 산생에 의해, 심근 세포가 장해를 받는(재관류 장애)다는 새로운 문제가 있어, 재관류법의 발달에 수반하여, 재관류 장애의 억제가 요구되어 왔다. 활성 산소종을 억제하는 약제가 몇 가지 보고되어 있지만(비특허문헌 1 및 2), 임상에 응용되어 있는 것은 전무하다. 기타의 메커니즘에 의한 재관류 장애의 억제도 확립되어 있지 않다.
어느 종의 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유도체는, VCP(valosin-containing protein(발로신 함유 단백질)) ATPase 저해 활성을 갖고,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히, 안질환 및 렙틴 저항성의 처치 또는 예방에 유효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내지 5).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043891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4/129495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5/12980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5/033981호 팸플릿
Duan J, et al. Protective effect of butin against ischemia/reperfusion-induced myocardial injury in diabetic mice: involvement of the AMPK/GSK-3β/Nrf2 signaling pathway. Sci Rep. 2017; 7: 41491. Bae S, Park M, Kang C, Dilmen S, Kang TH, Kang DG, Ke Q, Lee SU, Lee D, Kang PM. Hydrogen Peroxide-Responsive Nanoparticle Reduces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J Am Heart Assoc. 2016 Nov 14; 5(11).
본원의 목적은,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VCP 저해제가 심근 세포의 보호 효과를 갖고, 심근경색 등의 심질환의 처치에 유효한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어느 양태에서는, 본원은, 식(I):
Figure pct00001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본원은, 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의해,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인간의 각 장기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량을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의 각 장기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량을 나타낸다.
도 3은 마우스 심장으로부터 단리된 심근 세포 및 섬유아세포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량을 나타낸다.
도 4는 튜니카마이신 첨가에 의한 ER 스트레스 하에서 배양한 래트 심근아세포의 세포수 및 ATP 레벨을 나타낸다. KUS121(+)군에는, 25, 50, 100 또는 200μM의 KUS121을 첨가했다. *:P<0.05 vs. Tm(+)KUS(-)
도 5는 튜니카마이신 첨가에 의한 ER 스트레스 하에서 배양한 래트 심근아세포에 있어서의, CHOP 및 Bip의 웨스턴 블롯의 결과를 나타낸다. KUS121(+)군에는, 200μM의 KUS121을 첨가했다.
도 6은 글루코오스 제거에 의한 ER 스트레스 하에서 배양한 래트 심근아세포의 세포수 및 ATP 레벨을 나타낸다. KUS121(+)군에는, 25, 50, 100 또는 200μM의 KUS121을 첨가했다. *:P<0.05 vs. 글루코오스(-)KUS(-)
도 7은 글루코오스 제거에 의한 ER 스트레스 하에서 배양한 래트 심근아세포에 있어서의, CHOP 및 Bip의 웨스턴 블롯의 결과를 나타낸다. KUS121(+)군에는, 200μM의 KUS121을 첨가했다.
도 8은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허혈 전 및 재관류 후의 복강내 KUS121 투여의 스케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허혈 전 및 재관류 후 24시간마다 복강내 160㎎/㎏체중).
도 9는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 허혈 전 및 재관류 후에 KUS121을 복강내 투여한 경우의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와, CHOP의 발현량을 나타낸다.
도 10은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 허혈 전 및 재관류 후에 KUS121을 복강내 투여한 경우의 심기능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좌: 좌실 내경 단축률, 우: 좌실 구출률.
도 11은 A team 마우스의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 허혈 전에 KUS121을 복강내 투여한 경우의 심장 ATP 레벨을 나타낸다.
도 12는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재관류 후의 KUS121 투여의 스케줄(재관류 직후에 정맥내 80㎎/㎏체중+관동맥내 80㎎/㎏체중, 그 후 24시간마다 복강내 160㎎/㎏체중) 및 수술 후 7일째의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3은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재관류 후의 KUS121 투여의 스케줄(재관류 직후에 정맥내 25㎎/㎏체중+관동맥내 25㎎/㎏체중) 및 수술 후 7일째의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4는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재관류 후 KUS121 투여의 스케줄(재관류 직후에 정맥내 8㎎/㎏체중+관동맥내 8㎎/㎏체중) 및 수술 후 7일째의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5는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KUS121 투여의 스케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허혈 45분 후부터 3시간의 지속 점적 4㎎/㎏체중, 재관류 직후에 관동맥내 0.16㎎/㎏체중).
도 16은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7은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심기능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a: 좌실 구출률, b: 확장 말기 용적, c: 수축 말기 용적, d: 심박출량, e: 좌실 중량.
도 18은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조직학적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좌: 좌심실에 대한 허혈 영역의 크기, 우: 허혈 영역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
도 19는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의 재관류 후의 관동맥내 KUS121 투여의 스케줄(재관류 후에 관동맥내 0.64, 2.5 또는 5.0㎎/㎏체중), 좌심실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좌), 좌심실에 대한 허혈 영역의 크기(중앙), 허혈 영역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우)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치가 「약」의 용어를 수반하는 경우, 그 값의 ±10%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약 20」은, 「18 내지 2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수치의 범위는, 양 단부점 사이의 모든 수치 및 양 단부점의 수치를 포함한다. 범위에 관한 「약」은, 그 범위의 양 단부점에 적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약 20 내지 30」은, 「18 내지 33」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구체적인 정함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유기 화학, 의학, 약학, 분자 생물학, 미생물학 등의 분야에 있어서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대로의 의미를 갖는다. 이하에 몇 가지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관한 정의를 기재하지만, 이들 정의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반적인 이해에 우선한다.
「알킬」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1가 포화 지방족 히드로카르빌기를 의미한다. 알킬은, 예를 들어 직쇄 및 분지쇄 히드로카르빌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n- 펜틸 및 네오펜틸을 의미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의 접두어 「치환」은, 당해 기의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동일 또는 상이한 지정하는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렌」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포화 지방족 히드로카르빌기를 의미한다. 알킬렌기는, 분지쇄 및 직쇄 히드로카르빌기를 포함한다.
「알콕시」는, -O-알킬(여기서, 알킬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부톡시, sec-부톡시 및 n-펜톡시를 의미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릴」은 1개의 환(예를 들어, 페닐) 또는 복수의 축합환(예를 들어, 나프틸 또는 안트릴)을 갖는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의 1가 방향족성 탄소환식기를 의미한다. 아릴기는 전형적으로는, 페닐 및 나프틸을 포함한다.
「아릴옥시」는, -O-아릴(여기서, 아릴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페녹시 및 나프톡시를 포함한다.
「시아노」는 -CN의 기를 의미한다.
「카르복실」 또는 「카르복시」는 -COOH 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카르복시에스테르」는, -C(O)O-알킬(여기서, 알킬은 본 명세서에 정의되어 있다)의 기를 의미한다.
「할로」는, 할로겐, 특히,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의미한다.
「히드록시」는 -OH의 기를 의미한다.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은 치환기의 명명법은, 관능기의 말단 부분을 명명하고, 이어서 결합점을 향해 인접하는 관능기를 명명하여 행한다. 예를 들어, 치환기 「아릴알킬옥시카르보닐」은, (아릴)-(알킬)-O-C(O)-를 의미한다.
식(I)의 화합물에는, 치환 패턴에 따라서는, 에난티오머 또는 디아스테레오머가 존재할 수 있다. 식(I)의 화합물은, 라세미체여도 되고, 기지 방법으로 입체 이성적으로 순수한 성분으로 분리한 것이어도 된다. 어느 종의 화합물은, 호변 이성체일 수 있다.
「에스테르」는, 인 비보에서 가수분해될 수 있는 에스테르를 의미하고, 인체에 용이하게 분해되어 친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방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합한 에스테르기는,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특히 알칸산, 알켄산, 시클로알칸산 및 알칸이산에서 유래하는 것(여기서, 각 알킬 또는 알케닐기는, 예를 들어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에스테르의 예에는, 포름산에스테르,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틸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에틸 숙신산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옥시드」는, 헤테로아릴기의 질소환 원자가 산화되어, N-옥시드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드러그」는, 합리적인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성, 알레르기성 응답 등 없이 인간 또는 동물의 조직과 접촉시켜 사용하는 데 적합한, 합리적인 이익/위험비로 균형이 잡힌, 그리고 의도한 사용에 유효한 화합물의 프로드러그를 의미한다. 프로드러그는, 인 비보에서 빠르게, 예를 들어 혈중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식의 친화합물을 초래하는 화합물이다. 일반적인 설명은, T. Higuchi and V. Stella, Pro 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및 Edward B. Roche, ed.,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에 기재되어 있다(모두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인용한다).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은, 식(I)의 화합물의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염은,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또는 황산과의 염, 또는 유기 카르복실산 또는 술폰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벤조산 또는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또는 나프탈렌디술폰산과의 염이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은, 상투의 염기와의 염,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칼륨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예를 들어, 칼슘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예를 들어,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메틸모르폴린, 디히드로아비에틸아민, 메틸피페리딘, L-아르기닌, 크레아틴, 콜린, L-라이신, 에틸렌디아민, 벤자틴, 에탄올아민, 메글루민 또는 트로메타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암모늄염, 특히 나트륨염일 수 있다.
「용매화물」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용매 분자와의 배위에 의해 착체를 형성하는 식(I)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용매화물은 수화물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I)의 화합물」에 언급하는 경우, 문맥 중에서 부적절하지 않는 한,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용매화물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식(I)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식(I) 중, Ra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식(I) 중, Ra는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고, 다른 쪽이 알킬이다.
어느 실시 양태에 있어서, 식(I)의 화합물은, 하기의 표 1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표 1-1]
Figure pct00002
[표 1-2]
Figure pct00003
[표 1-3]
Figure pct00004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의약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하기 식
Figure pct00005
로 표현되는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프로드러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 특히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식(I)의 화합물, 특히, 상기한 화합물의 특성 및 합성 방법은,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 팸플릿(특허문헌 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입증되는 대로, 식(I)의 화합물은, 심근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양태에서는, 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심근 세포를 보호한다」 또는 「심근 세포 보호」는, 심근 세포의 세포사를 억제하는 것 및/또는 심근 세포의 허혈 장해 및/또는 허혈 재관류 장애 또는 그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심근 세포를 보호함으로써, 심기능을 유지하는 것 및/또는 심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심근경색, 만성 심부전, 고혈압성 심부전 또는 확장형 심근증 등의 심근 세포사를 수반하는 심질환을 처치 또는 예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또한, 심근경색의 처치에 있어서의 식(I)의 화합물의 유용성을 상세하게 시험하고, 그것이 재관류 시의 관동맥내 단회 투여로도 유효하고, 심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어느 양태에서는, 식(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식(I)의 화합물의 투여에 의해, 심근경색 환자의 괴사 심근의 양이 감소하여, 심부전에 이르는 리스크가 경감되므로, 식(I)의 화합물은, 심근경색을 원인으로 하는 심부전 또는 심근경색 후의 심부전, 특히 만성 심부전의 처치 또는 예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처치한다」 또는 「처치」는, 질환으로 이환하고 있는 대상에 있어서, 질환의 원인을 경감 또는 제거하는 것, 그의 진행을 지연 또는 정지시키는 것 및/또는 그의 증상을 경감, 완화, 개선 또는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예방한다」 또는 「예방」은, 대상에 있어서, 특히,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 있어서, 질환으로의 이환을 방지하는 것, 또는 질환에 걸릴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가령, 관동맥 질환의 가족 병력, 흡연, 고혈압, 비만, 내당능 이상, 고콜레스테롤 혈증, 고트리그리세리드 혈증, 저HDL 콜레스테롤 혈증, 대사 증후군,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의 리스크 인자를 갖는 대상이 포함된다. 심근경색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흡연, 고콜레스테롤 혈증, 당뇨병, 고혈압, 협심증·심근경색의 가족 병력, 가령, 스트레스, 비만, 통풍, 고요산 혈증, 혈액 투석, 고호모시스테인 혈증, 치주병 등의 리스크 인자를 갖는 대상이 포함된다. 만성 심부전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관동맥 질환, 심근증, 판막증, 고혈압 등으로 이환하고 있는 대상, 특히 심근경색으로 이환하고 있는 대상이 포함된다. 고혈압성 심부전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고혈압으로 이환하고 있는 대상이 포함된다. 확장형 심근증에 걸릴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 이환하고 있지 않은 대상에는, 예를 들어 확장형 심근증의 유전적 소인을 갖는 대상이 포함된다.
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의 대상으로서는, 동물, 전형적으로는 포유 동물(예를 들어, 인간,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고양이, 개, 소, 양, 원숭이 등), 특히 인간을 들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구 투여, 비경장 투여, 주사, 수액 등의 일반적인 투여 경로를 거칠 수 있고, 조성물은, 각 투여 경로에 적합한 제형일 수 있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의약 조성물은 관동맥내에 투여된다.
경구 투여의 제형으로서는, 과립제, 세립제, 분제, 피복 정제, 정제, 좌제, 산제, 캡슐제, 마이크로 캡슐제, 츄어블제, 액제, 현탁제, 유탁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주사에 의한 투여의 제형으로서는, 관동맥내 투여용, 정맥 주사용, 점적 투여용, 활성 물질의 방출을 연장하는 제제 등의 의약 제제 일반의 제형을 채용할 수 있다. 관동맥내 투여용, 정맥 주사용 또는 점적 투여용의 제형으로서는, 수성 및 비수성의 주사 용액(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수성 및 비수성의 주사 현탁액(현탁제, 증점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을 들 수 있다. 주사용의 투여형은, 밀폐한 앰플이나 바이알 중에 제공되어도 되고, 사용 직전에 멸균 액체(예를 들어, 주사용 수)를 더하는 것만으로도 되는 동결 건조물로서 제공되어도 된다.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을, 분말, 과립 또는 정제로 조제해도 된다.
이들 제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제화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제제상의 필요에 따라, 의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각종 제제용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제제용 물질은 제제의 제형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완충화제, 계면 활성제, 안정화제, 방부제, 부형제, 희석제, 첨가제, 붕괴제, 결합제, 피복제, 윤활제, 활택제, 풍미제, 감미제, 가용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유효량의 식(I)의 화합물이 대상에 투여되도록, 투여 대상의 동물종, 투여 대상의 건강 상태, 연령, 체중, 투여 경로, 투여 형태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어느 상황에서의 유효량은,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통상의 임상의의 기술 및 판단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약 0.001 내지 약 1000㎎/㎏체중/일, 약 0.01 내지 약 300㎎/㎏체중/일, 약 0.1 내지 약 100㎎/㎏체중/일, 약 1 내지 약 100㎎/㎏체중/일, 약 2 내지 약 50㎎/㎏체중/일, 약 2.5 내지 약 20㎎/㎏체중/일, 약 2.5 내지 약 10㎎/㎏체중/일, 혹은 약 5 내지 약 10㎎/㎏체중/일의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의약 조성물은, 심근경색 후의 재관류 시에 1회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특히 1회 투여된다.
어느 실시 양태에서는, 의약 조성물은, 심근경색 후의 재관류 시에 관동맥내에 단회 투여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약 100㎎/㎏체중, 약 0.05 내지 약 50㎎/㎏체중, 약 0.1 내지 약 50㎎/㎏체중, 약 0.1 내지 약 20㎎/㎏체중, 약 0.1 내지 약 10㎎/㎏체중, 약 1 내지 약 10㎎/㎏체중, 약 2 내지 약 10㎎/㎏체중, 약 2.5 내지 약 10㎎/㎏체중, 약 2.5 내지 약 5㎎/㎏체중 혹은 약 5 내지 약 10㎎/㎏체중의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할 수 있다.
식(I)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가일층의 유효 성분, 특히 심근경색 등의 심질환의 처치 또는 예방을 위한 유효 성분과 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약 조성물은, 식(I)의 화합물에 더하여, 1종 또는 그 이상의 가일층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성분을 「병용한다」는 것은, 전성분을 함유하는 투여 제형의 사용 및 각 성분을 별개로 함유하는 투여 제형의 조합의 사용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심근 세포의 보호 또는 심질환의 예방 및/또는 처치를 위해 사용되는 한, 각 성분을 동시에, 또는 어느 성분을 지연하여 투여하는 것도 의미한다. 2종 또는 그 이상의 가일층의 유효 성분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병용에 적합한 유효 성분에는, 예를 들어 항염증제, 혈관 확장제, 혈전 용해제, 항혈소판약, 항응고약, 스타틴계 약제 등이 포함된다.
식(I)의 화합물의 투여에 더하여, 약물 요법 이외의 치료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적합한 치료법에는, 예를 들어 벌룬 카테터, 스텐트 또는 약제 용출성 스텐트(DES) 등을 사용한 관동맥 인터벤션(PCI) 및 혈전 흡인법 등의 외과 수술, 유전자 치료, 재생 의료 등이 포함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 세포의 보호를 필요로 하고 있는 대상에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의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식(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 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식(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식(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경색의 처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 대상에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심근경색의 처치 방법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식(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경색을 처치하기 위한 식(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어느 양태에서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식(I)의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실시 양태가 제공된다.
[1] 식(I):
Figure pct00006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2] 심근 세포 보호가 심근 세포사의 억제를 포함하는, 제1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 심근경색, 만성 심부전, 고혈압성 심부전 또는 확장형 심근증의 처치용인,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4] 심근경색의 처치용인,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5] 식(I):
Figure pct00007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
[6] 또한 심부전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5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7] 또한 만성 심부전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8]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9]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및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0] Ra가 2개 존재하고, 한쪽이 할로이고, 다른 쪽이 알킬인,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1] 식(I)의 화합물이 표 1에 기재된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2] 식(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3] 관동맥내에 투여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4] 심근경색 후의 재관류 시에 투여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5] 심근경색 후의 재관류 시에 단회 투여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6] 약 0.01 내지 약 100㎎/㎏체중의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7] 약 1 내지 약 10㎎/㎏체중의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8] 약 2 내지 약 10㎎/㎏체중의 식(I)의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모든 문헌은, 출전 명시에 의해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설명은, 모두 비한정적인 것이고, 본 발명은 첨부의 특허 청구범위에 있어서 정의되고, 그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의 화합물을 사용했다.
KUS121: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나트륨염
KUS121은, 국제 공개 제2012/014994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시험 1: 인간 장기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
human Total RNA Master Panel II(Clonthech사), total RNA: human adipose(Biochain사)를 사용하여, 인간 장기에서의 VCP의 발현을 qPCR로 정량 평가했다. 먼저 RNA 1㎍을 Verso cDNA Synthesis Kit(Thermo Fisher Scientific사)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했다. 그 cDNA로부터 Step One Plus(Thermo Fisher Scientific사), THUNDERBIRD qPCR Mix(TOYOBO사)를 사용하여 qPCR를 행하여, VCP의 발현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인간의 심장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은 비교적 높고, 중추신경계와 동일 정도였다.
시험 2: 마우스 장기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
8주령 C57BL/6J 마우스(일본 SLC사)로부터 각 장기를 적출하고, TriPure Isolation Reagent(Roche사)를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추출했다. RNA 1㎍을 Verso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했다. 그cDNA로부터 Step One Plus, THUNDERBIRD qPCR Mix를 사용하여 qPCR를 행하고, VCP의 발현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마우스의 심장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은 비교적 높았다.
시험 3: 마우스 심장에 있어서의 VCP의 발현
생후 1일째의 신생아 C57BL/6J 마우스로부터 심장을 적출하고, 콜라게나아제 처리를 행하여, 세포를 단리했다. Mito Tracker GreenFM(M7514, Thermo Fisher Scientific), Thy1. 2-APC(eBioscience사)를 사용하여, FACS에 의해 심근 세포와 섬유아세포로 분리했다. 시험 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qPCR을 행하여, VCP의 발현량을 정량 평가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마우스의 심장에 있어서, VCP는 심근 세포에서 많이 발현하고 있었다.
시험 4: 래트 심근아세포에 있어서의 KUS121의 효과
H9C2(래트 심근아세포)를, 5% 소 태아 혈청 첨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중, 소포체 스트레스를 유도하는 0.1㎍/mL 튜니카마이신(Sigma Aldrich사) 및 25, 50, 100 또는 200μM의 KUS121의 존재 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세포수를 CountessII(Thermo Fisher Scientific사)에 의해 측정했다. 「세포의」 ATP 측정 시약(도요 비넷사)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ATP 레벨을 측정했다. ATP 레벨을 나타내는 루시페라아제 활성을, ARVO X3(Perkin Elmer사)에 의해 측정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세포수는 KUS121의 용량에 따라 증가했다. 튜니카마이신의 첨가에 의해 ATP 레벨이 저하되었지만, KUS121의 용량에 수반하여 개선되었다.
상기한 배양 세포를 웨스턴 블롯에 부쳤다. 100 mM Tris-HCl(pH7.4), 75 mM NaCl, 1% Triton X-100(Nacalai Tesque사)을 포함하는 용액에, 사용하기 직전에 Complete Mini protease inhibitor cocktail(Roche사), 0.5 mM NaF, 10 mM Na3VO4를 더하여 세포 용해액으로 했다. 그것을 사용하여 배양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고, BCA protein assay kit(Bio-Rad, 5000006JA)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했다. 단백질 15㎍을 NuPAGE 4-12% Bis-Tris Mini gels(Thermo Fisher Scientific) 중에서 분리하고, Protran nitrocellulose transfer membrane(Whatman)에 전사했다. 5% 스킴 밀크 PBS로 30분간 블로킹하고, 1차 항체를 4℃에서 밤새 반응시켰다. PBS-0.05% Tween-20(PBS-T)으로 세정하고,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PBS-T로 세정 후, Pierce Western Blotting Substrate(Thermo Fisher Scientific), 또는 Pierce Western Blotting Substrate plus(Thermo 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발색하고, LAS-4000 Mini system(Fuji Film)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1차 항체로서, CHOP(sc575, Snata Cruz사), Bip(#3183, Cell Signaling사), GAPDH(#2118, Cell Signaling사) 및 β-액틴(Sigma Aldrich사)을 사용했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인 CHOP 및 Bip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글루코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세포를 배양하여, 마찬가지의 실험을 행하였다.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낸다. 세포수는 KUS121의 용량에 수반하여 증가했다. 무글루코오스 하에서는 ATP 레벨이 저하되었지만, KUS121의 용량에 수반하여 개선되었다. KUS121의 존재 하에서는,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인 CHOP 및 Bip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KUS121이 소포체 스트레스 하의 심근 세포 및 심근아세포에 있어서 ATP 소비를 억제하고, 소포체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세포사를 억제하는 것이 시사된다.
시험 5: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허혈 전 KUS 투여)
펜토바르비탈 64.8㎎/㎏의 복강내 투여로 마취를 행하였다. 마취 도입 후에 기관내 튜브를 삽입하여, 양압 환기를 행하였다.
8주령 C57BL/6J 마우스를 우반측 와위에 고정하고, 좌제3늑간에서 개흉하여, 심장을 노출시켰다. 심막을 조금 박리하고, 좌방 하연으로부터 1, 2㎜ 심첨부 근처의 부위에서 PE10 튜브와 함께 7-0 프롤린으로 좌 관동맥 전하행지를 결찰했다. 심근의 색조가 변화되는 것을 관찰하여, 관동맥 혈류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45분간의 허혈 후에 PE10 튜브를 제거하여, 재관류를 얻었다. 재관류는 심근의 색조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 후, 흉곽을 7-0 프롤린, 피부를 4-0 실크로 봉합했다. 마우스가 각성된 것을 확인하고, 기관내 튜브를 제거했다.
허혈 전 KUS 투여
생리 식염수에 용해한 KUS121을 허혈 전 투여했다. 도 8에 투여 스케줄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첫회 투여는, 재관류의 2시간 전(허혈 개시의 약 1시간 전)에 KUS121의 160㎎/㎏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그 후에는 수술 후 1 내지 6일째까지 24시간마다 KUS121의 160㎎/㎏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조직학적 평가
수술 후 7일째에, 펜토바르비탈로 마취 후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로 관류 고정을 행하고, 심장을 적출했다. 적출한 심장은, 다시 4% PFA로 밤새 침지 고정을 행하였다. 그 후에 파라핀 포매를 행하여, 절편을 작성했다. 마슨 트리 크롬 염색으로 경색 영역의 평가를 행하였다. 화상은 현미경(BZ-9000, Keyence)으로 촬영하고, Image J(NIH)로 경색 영역의 면적을 구했다.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KUS121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경색 영역이 작았다. 웨스턴 블롯에 의하면, 투여군에 있어서는, 경계 영역, 비허혈 영역에 있어서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의 CHOP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심장 초음파 검사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에 있어서, 심기능 평가를 위해 심장 초음파 검사(Vevo(등록 상표) 2100, VISUALSONICS)를 행하였다. 2% 이소플루란 흡입 마취 하에 행하여, 방흉골 단축상에 있어서 좌실 내경 단축률 및 좌실 구출률을 측정하여, 좌실 수축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KUS121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좌실 수축능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모의 수술군과 동일 정도였다.
시험 6: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ATP 가시화 마우스)
교토 대학 의학 연구과 신장내과 야마모토 마사미치씨가 개발한 ATP 가시화 마우스(A team 마우스)를 사용했다. A team 마우스에서는, 세포내 ATP양에 따라 GFP로부터 OFP로의 형광 공명 에너지 이동(FRET)이 일어나, OFP/GFP비가 ATP양에 비례한다.
A team 마우스를 4% 이소플루란으로 마취 도입하고, 수술 중에는 2%로 유지했다. 마취 도입 후에 기관내 튜브를 삽입하여, 양압 환기를 행하였다. 양측 측흉부와 양측 늑골 하연을 절개하여, 흉강을 열고, 심장을 노출했다. 좌방 하연로부터 1, 2㎜ 심첨부 근처의 부위에서 PE10 튜브와 함께 7-0 프롤린으로 좌 관동맥 전하행지를 결찰했다. 45분간의 허혈 후에 PE10 튜브를 제거하여, 재관류를 얻었다. KUS121은 재관류 2시간 전에 160㎎/㎏ 복강내 투여했다. ATP 측정에서는, 470/40으로 여기하고, 515/30으로 GFP를, 575/40으로 OFP를 검출하고, 화상을 촬영했다. MetaMorph(Molecular Devices사)를 사용하여, OFP/GFP비를 해석했다.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대조군에서는 허혈 시에 ATP 레벨이 저하되었지만, KUS121 투여군에서는 유지되었다.
시험 7: 마우스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재관류 후 KUS 투여)
시험 5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심근경색 모델을 작성했다.
(1) 160㎎/㎏
첫회 투여는, 재관류 직후에 KUS121의 80㎎/㎏ 정맥내 투여, 80㎎/㎏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그 후에는 수술 후 1 내지 4일째까지 24시간마다 KUS121의 160㎎/㎏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수술 후 7일째에, 시험 5와 마찬가지로 조직학적 평가를 행하여, 경색 영역의 면적을 구했다. 투여 스케줄의 모식도와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KUS121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경색 영역이 작았다.
(2) 50㎎/㎏
재관류 직후에 KUS121의 25㎎/㎏ 정맥내 투여, 25㎎/㎏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그 후에는 KUS121을 투여하지 않았다. 수술 후 7일째에, 시험 5와 마찬가지로 조직학적 평가를 행하여, 경색 영역의 면적을 구했다. 투여 스케줄의 모식도와 결과를 도 13에 나타낸다. KUS121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경색 영역이 작았다.
(3) 16㎎/㎏
재관류 직후에 KUS121의 8㎎/㎏ 정맥내 투여, 8㎎/㎏ 복강내 투여를 행하였다. 그 후에는 KUS121을 투여하지 않았다. 수술 후 7일째에, 시험 5와 마찬가지로 조직학적 평가를 행하여, 경색 영역의 면적을 구했다. 투여 스케줄의 모식도와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KUS121 투여군과 대조군의 경색 영역의 면적에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시험 8: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정맥내 및 관동맥내 KUS 투여)
요크샤 돼지에 전신 마취 하에서 카테터를 삽입하고, 벌룬으로 좌 관동맥을 폐색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작성했다. 4㎎/㎏의 KUS121을 250mL의 포도당액에 용해한 점적액을, 관동맥 폐색 45분 후부터 3시간에 걸쳐서 지속 점적에 의해 정맥 투여했다. 폐색 60분 후에 벌룬을 해제하고, 관동맥내에 상기 점적액 10mL를 주입했다. 투여 스케줄의 모식도를 도 15에 나타낸다.
(1) MRI에 의한 경색 사이즈와 심기능의 평가
폐색의 1주일 후에, 가돌리늄 지연 조영 MRI에 의해, 심근경색소의 크기를 평가했다. 도 16은, 좌실당의 경색 영역의 면적을 나타낸다. 또한, MRI에 의해 좌실 구출률, 확장 말기 용적, 수축 말기 용적, 심박출량, 좌실 중량을 측정하여, 심기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도 17에 나타낸다. KUS121의 투여에 의해, 좌실 수축능의 개선 경향을 확인했다.
(2) 조직학적 평가
MRI 촬영 후에, 좌 관동맥의 폐색부를 벌룬 카테터로 다시 폐색하고, 좌우 양 관동맥에 1% 에반스 블루를 주입했다(좌 관동맥은 60mL, 우 관동맥은 30mL. 비경색부가 푸르게 물든다). 또한 30mL의 1% TTC액을 폐색 벌룬의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사용하여 주입했다. 그 후, 염화칼륨의 정맥 주사로 돼지를 안락사시켰다. 심장을 취출하고, 방실 홈과 평행하게 10㎜ 두께로 단편을 작성했다. 또한 37℃에서 10분간, 1% TTC액에 침지했다(심근경색에 움푹 패여 있지 않은 장소가 빨갛게 물든다). 모든 슬라이스의 무게를 측정하고, 사진을 촬영했다. 10%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그 후의 조직 관찰에 사용했다. 결과를 도 18에 나타낸다. 좌측의 그래프는, 좌심실에 대한 허혈 영역의 크기를 나타내고, 우측의 그래프는, 허혈 영역에 대한 경색부의 크기를 나타낸다. 허혈 영역의 크기는 모의 수술군과 KUS 투여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KUS 투여에 의해, 허혈 영역당의 경색부의 크기는 감소했다.
시험 9: 돼지 심장 허혈 재관류 장애 모델(재관류 후 KUS 투여)
시험 8과 마찬가지로 돼지 심근경색 모델을 작성했다. 폐색 60분 후에 벌룬을 해제하고, 그 직후에 관동맥내에 0.64, 2.5 또는 5.0㎎/㎏체중의 KUS121을 3분간 주입했다. 수술 후 7일째에, 시험 8과 마찬가지로 MRI에 의해 경색 사이즈를 평가하고, 조직학적 평가에 의해 경색 영역의 면적을 구했다. 투여 스케줄 및 결과를 도 19에 나타낸다. MRI에 의해 평가한 경색 영역/좌심실(LV) 영역비는, KUS121 처치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저하되었다. KUS121 처치군의 허혈 영역/좌심실 영역비는 대조군과 동등하고, KUS121 처치군의 경색 영역/허혈 영역(AAR)비는 용량 의존적으로 저하되었다. 또한, 마슨 트리 크롬 염색에 의한 경색 영역의 외견이, TTC 염색에 의해 평가한 경우와 동등한 것을 확인했다. 이들 데이터는, 돼지 심근경색 모델에 있어서, 심장의 손상 후의 KUS121의 관동맥내 투여가 유효한 것을 나타낸다.
시험 1 내지 9의 결과로부터, 식(I)의 화합물은, 허혈 재관류 시에 심근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사를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심근경색의 처치에 유용한 것이 시사된다.
본원은, 심근 세포의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의료의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근 세포사를 수반하는 질환의 처치 및 예방, 특히 심근경색의 처치에 이용되는 것이 기대된다.

Claims (10)

  1. 식(I):
    Figure pct00008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 세포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심근 세포 보호가 심근 세포사의 억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심근경색, 만성 심부전, 고혈압성 심부전 또는 확장형 심근증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
  4. 식(I):
    Figure pct00009

    〔식 중,
    Ra는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아릴,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 알콕시, 히드록시 또는 카르복시 치환 알콕시, 아릴옥시, 할로 또는 알킬 치환 아릴옥시, CHO, C(O)-알킬, C(O)-아릴, C(O)-알킬-카르복실, C(O)-알킬렌-카르복시에스테르 및 시아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내지 4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옥시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혹은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심근경색의 처치용의 의약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또한 만성 심부전을 처치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a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 히드록시, 알킬, 할로 치환 알킬 및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p-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m-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o-톨루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3-[6-(2-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3-[6-(3-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1-술폰산;
    3-[6-(4-아세틸페닐)피리딘-3-일아조]-4-아미노나프탈렌술폰산;
    4-아미노-3-[6-(2,4-디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클로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이소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이소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페녹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메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3-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5-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5-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4-[5-(1-아미노-4-술포나프탈렌-2-일아조)피리딘-2-일]페닐}-4-옥소부틸산;
    4-아미노-3-(6-비페닐-3-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시아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시아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술폰산;
    4-아미노-3-[6-(4-벤조일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플루오로-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플루오로-6-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플루오로-2-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플루오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부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헥실옥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부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히드록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6-히드록시헥실옥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2-[5-(1-아미노-4-술포나프탈렌-2-일아조)피리딘-2-일]페녹시}부틸산;
    4-아미노-3-{6-[2-(3-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이소부톡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5-클로로-2-히드록시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클로로-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4,3',5'-트리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클로로-4-메틸비페닐-2-일)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2,6-디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4-아미노-3-[6-(3-포르밀-2-이소프로폭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및,
    4-아미노-3-[6-(3-포르밀-2-부톡시-5-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I)의 화합물이, 4-아미노-3-[6-(4-플루오로-2-메틸페닐)피리딘-3-일아조]나프탈렌-1-술폰산인 의약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동맥내에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근경색 후의 재관류 시에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KR1020207032536A 2018-04-16 2019-04-15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KR202001434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78272 2018-04-16
JP2018078272 2018-04-16
PCT/JP2019/016083 WO2019203176A1 (ja) 2018-04-16 2019-04-15 心筋細胞の保護用の医薬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441A true KR20200143441A (ko) 2020-12-23

Family

ID=6824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536A KR20200143441A (ko) 2018-04-16 2019-04-15 심근 세포의 보호용의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45808A1 (ko)
EP (1) EP3782623A4 (ko)
JP (1) JP7369454B2 (ko)
KR (1) KR20200143441A (ko)
CN (1) CN112218635A (ko)
WO (1) WO2019203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0472A (ja) 2021-04-28 2022-11-10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皮膚組織の異常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WO2023120704A1 (ja) * 2021-12-24 2023-06-29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心機能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
WO2023140242A1 (ja) * 2022-01-18 2023-07-27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生体から分離された組織を保護するための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994A1 (ja) 2010-07-30 2012-02-02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
WO2012043891A1 (ja) 2010-09-30 2012-04-05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眼疾患処置薬
WO2014129495A1 (ja) 2013-02-20 2014-08-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眼疾患処置薬
WO2015033981A1 (ja) 2013-09-04 2015-03-1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レプチン抵抗性を改善する医薬組成物
WO2015129809A1 (ja) 2014-02-28 2015-09-0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虚血性眼疾患の処置用の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8272A (ja) 2016-10-31 2018-05-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三次元形状熱伝導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4994A1 (ja) 2010-07-30 2012-02-02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
WO2012043891A1 (ja) 2010-09-30 2012-04-05 ダイトーケミックス株式会社 眼疾患処置薬
WO2014129495A1 (ja) 2013-02-20 2014-08-28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眼疾患処置薬
WO2015033981A1 (ja) 2013-09-04 2015-03-1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レプチン抵抗性を改善する医薬組成物
WO2015129809A1 (ja) 2014-02-28 2015-09-03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虚血性眼疾患の処置用の医薬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e S, Park M, Kang C, Dilmen S, Kang TH, Kang DG, Ke Q, Lee SU, Lee D, Kang PM. Hydrogen Peroxide-Responsive Nanoparticle Reduces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J Am Heart Assoc. 2016 Nov 14; 5(11).
Duan J, et al. Protective effect of butin against ischemia/reperfusion-induced myocardial injury in diabetic mice: involvement of the AMPK/GSK-3β/Nrf2 signaling pathway. Sci Rep. 2017; 7: 414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203176A1 (ja) 2021-05-13
CN112218635A (zh) 2021-01-12
EP3782623A1 (en) 2021-02-24
EP3782623A4 (en) 2022-01-05
JP7369454B2 (ja) 2023-10-26
WO2019203176A1 (ja) 2019-10-24
TW201943702A (zh) 2019-11-16
US20210145808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9454B2 (ja) 心筋細胞の保護用の医薬組成物
WO2012018948A2 (en) Novel treatment of prostate carcinoma
US10933038B2 (en) Use of (benzenesulfonamido) benzamide compounds for inhibiting liver fibrosis
KR20170141757A (ko)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티리디닐 프로피온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170098680A (ko) 크로몬 유도체의 상피간엽이행 억제 활성을 이용한 섬유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의 새로운 용도
US11510917B2 (en) HIF-stabilization and prevention of hyperoxia-induced neonatal lung disease
KR20160099716A (ko) 간 질환의 치료 방법
KR102011105B1 (ko) 고시폴 및 펜포르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033317B2 (ja) 白内障の予防剤、治療剤、およびこれらを製造するためのhat阻害剤の使用
WO2020027137A1 (ja) 脳梗塞の処置用の医薬組成物
JP6688503B2 (ja) 医薬用組成物
TWI833746B (zh) 用於保護心肌細胞的醫藥組成物
WO2022111670A1 (zh) Tipranavir在制备杀伤肿瘤干细胞和肿瘤细胞的癌症治疗药物中的用途
CN113082014B (zh) 丹酚酸b复合物及其制剂与应用
JP6672173B2 (ja) 進行した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炎の治療方法
KR20150083353A (ko) 경요도적 주입용 방광암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US1190391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reast cancer including selenopsammaplin A as active ingredients
WO2021079983A1 (ja) 軟骨保護用の医薬組成物
JP2022083279A (ja) 腎臓保護用の組成物
JP4522261B2 (ja) ブドウ膜黒色腫の処置
CN113274385A (zh) 一种治疗慢性肝损伤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20120114501A (ko) 혈관 재협착 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치료제
JP2014141472A (ja) 1,3,5−トリアジン誘導体を有する線維化予防又は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