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121A -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121A
KR20200143121A KR1020190071030A KR20190071030A KR20200143121A KR 20200143121 A KR20200143121 A KR 20200143121A KR 1020190071030 A KR1020190071030 A KR 1020190071030A KR 20190071030 A KR20190071030 A KR 20190071030A KR 20200143121 A KR20200143121 A KR 2020014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dible film
edible
manufacturing apparatus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368B1 (ko
Inventor
김동수
이정호
이종광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9007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3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단속적으로 가식성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맞춤 제작이 가능하고 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EDIABLE ORAL THIN FILM WITH SUPERIOR PRODUCTIVITY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단속적으로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을 코팅함으로써, 맞춤 제작이 가능하고 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용해필름(Oral Dissolving Film, ODF)은 유효성분(원료)이 함유된 필름을 입안에서 물 없이 또는 물과 함께 녹여서 삼키는 제형을 말한다. 이러한 구강용해필름은 물 없이 쉽게 복용 가능한 이점이 있어 동물 약품, 의약품, 일반 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강용해필름은 보통 습기에 약하고 얇은 필름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적정 크기로 절단하여 한 장씩 포장지로 밀봉 포장하여 사용하거나, 일정 크기로 절단된 구강용해 필름을 디스펜서에 보관하여 낱장으로 하나씩 뽑아서 사용하거나, 롤 형태의 구강용해 필름을 디스펜서에 보관하여 일정크기로 인출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구강용해필름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구강용해필름 제조설비(ODF 제조설비)는 원료가 코팅된 베이스 필름을 롤 형태로 미리 제작한 후에 제품화하는 롤 방식의 제조설비와 원료를 하부 포장지에 직접 코팅하여 동일한 생산 라인에서 제품화하는 캐스팅 방식의 제조설비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 방식은 베이스 필름 전체 면적에 걸쳐서 액상의 원료를 코팅하는 방식으로써, 롤 방식의 제조설비는 액상의 원료를 베이스 필름지에 코팅하여 건조시킨 다음 롤 형태로 감아서 보관하거나 또는 즉시 포장기로 이송하여 슬리팅과 커팅하여 낱개의 필름으로 제품화한 다음 포장지에 낱개의 필름을 투입하여 포장 완료하는 설비이다.
한편, 캐스팅 방식은 정량의 액상 원료를 하부 포장지에 직접 코팅하는 방식으로써 각 필름을 개별 간헐 코팅하는 방식으로써, 캐스팅 방식의 제조설비는 액상 원료를 하부 포장지에 다열로 간헐 코팅한 후에 동일한 생산 라인에서 건조한 후 자동 포장을 완료하는 설비이다.
도 1에는 종래의 롤 방식의 ODF 필름 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ODF 필름 제조설비는 먼저 필름 용액을 준비(11)하고 필름 위에 코팅액을 도포 후 나이프(Knife)를 이용하여 필름 전면에 코팅을 하며 건조기(Dryer)를 이용하여 코팅액을 건조하고 커버 필름을 이용하여 제품을 보호하며 롤(Roll)에 되감아 메인 롤(Mother Roll)을 만든다(12). 그 다음, 코팅 유닛(Coating Unit)에서 제작된 메인 롤(Mother Roll)을 커팅 유닛(Cutting Unit)으로 이동하여 제품의 사이즈에 맞게 메인 롤(Mother Roll)을 절단하여 보조 롤(daughter Roll)을 만든다(13). 그 후, 커팅 유닛(Cutting Unit)에서 제작된 보조 롤(daughter Roll)을 이동하여 보조 롤(daughter Roll) 필름 위에 전면 코팅되어 있는 제품의 커버필름을 박리하고 원하는 사이즈에 맞게 이등분할(half Cutting) 한다. 최종적으로, 커팅된 제품을 박리하여 제품을 개별 포장하고, 일정 수량으로 포장한다(14).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액상의 가식성 원재료를 베이스 필름지에 코팅하여 건조시킨 다음 롤 형태로 감아서 보관하거나 또는 즉시 포장기로 이송하여 슬리팅과 커팅하여 구강용해필름으로 제품화한 다음 즉, 제품을 완성한 다음 낱개의 필름 형 제품을 공급 롤로 공급되는 포장재에 한 개씩 투입하여 포장하고 밀봉하고 있다.
구강용해필름을 낱개화 한 다음 포장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수가 많아지고 롤 형태로 보관함으로써 반제품재고가 생기는 불합리한 면이 있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재고부담으로 인한 원가상승요인과 필름을 롤 형태로 보관함으로써 위생관리가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불합리한 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보다 간소화된 공정으로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6호 (2016.06.2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515호 (2013.0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포장된 완제품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공정수를 감소시켜 원가 절감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가식성 필름 원액을 필름 형태로 코팅하는 롤투롤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식성 필름 원액으로 복수의 아일랜드(island)형 가식성 필름 절편을 베이스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부;
상기 코팅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건조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밀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에 커버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개별 단위별로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포장된 완제품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공정수를 감소시켜 원가 절감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직접 코팅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추가 팅 필름이 제거되어 자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코팅부는,
연속적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피더(feeder);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주입하는 복수의 노즐; 및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끼움부재(shim)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제조하므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서 수량을 탄력적으로 제조하여 불필요한 제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끼움부재(shim)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다양한 형태 및 수량으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 필름이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의 대응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램프(IR Lamp)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외주면을 가열(heating) 방식으로 실링(sealing) 처리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항 예에서,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에 밀봉된 상태에서 유동하도록 제공되는 에어블로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항 예에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의 코팅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사하는 인스펙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를 이용한 가식성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피더에서 연속적으로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복수의 가식성 필름 절편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베이스 필름 상에 커버 필름을 실링하여 처리하는 단계;
상기 커버 필름이 실링 처리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된 베이스 필름을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 단위로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커버 필름과 접촉 부위에 실링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가식성 필름 절편이 건조된 후에 바로 실링 처리되므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 처리된 부위를 커팅하여 제품을 직접 커팅하지 않으므로 제조 환경이 청결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포장된 완제품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공정수를 감소시켜 원가 절감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간헐적 코팅 방식으로 가식성 필름이 제조되므로 수요에 따른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포장 필름에 직접 가식성 필름이 코팅되므로 별도의 코팅을 위한 추가 필름이 소모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가식성 필름이 건조됨과 동시에 밀봉 과정이 수행되므로 외부의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가식성 필름 제조 과정에서 가식성 필름 자체를 직접 커팅하지 않으므로 제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는 가식성 필름의 형상을 구현하도록 구성하여 최종 제품인 가식성 필름의 형상 및 크기 등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 방식의 ODF 필름 제조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움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5의 부분 확대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강 용해 필름은 낱개화 한 다음 포장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수가 많아지고 롤 형태로 보관함으로써 반제품재고가 생기므로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포장된 완제품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공정수를 감소시켜 원가 절감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100)는 본체(110) 및 챔버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본체(110)는 코팅부(P1), 건조부(P2), 접착부(P3) 및 커팅부(P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으로 코팅부(P1), 건조부(P2), 접착부(P3) 및 커팅부(P4)가 순착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챔버부(120)는 본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본체(110)의 코팅부(P1), 건조부(P2), 접착부(P3) 및 커팅부(P4)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면서 외부에서 내부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A'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움부재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내지 도 13에는 도 5의 부분 확대도들이 각각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100)는 코팅부(P1), 건조부(P2), 접착부(P3) 및 커팅부(P4)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부(P1)는 가식성 필름 원액으로부터 8열의 아일랜드형 가식성 필름 절편(S)을 베이스 필름(F1)에 코팅하는 구성으로써, 종래와 달리 PET 등의 별도의 필름지를 제공하지 않고 포장용 베이스 필름(F1) 자체에 가식성 필름 절편(S)를 직접 주입하여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코팅부(P1)는 연속적으로 베이스 필름(F1)을 제공하는 제1 피더(10, 20), 베이스 필름(F1) 상에 가식성 필름 절편(S)을 주입하는 복수의 코팅 노즐(200), 가식성 필름 절편(S)을 코팅하는 코팅 롤러(106) 및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제공되는 끼움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코팅 노즐(200)의 일측에는 끼움부재(250)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끼움부재(250)는 전체적으로 갈코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식성 필름 절편(S) 형상에 대응하는 8개의 단차홈(2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독립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끼움부재(250)의 단차홈(252) 개수 및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소망하는 제품으로 변형 및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스펙터(105)는 코팅 노즐(200)로부터 주입되어 경화 및 코팅된 가식성 필름 절편(S)과 베이스 필름(F1)의 표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건조부(P2)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건조부(P2)를 통하여 건조된 가식성 필름 절편(S)과 베이스 필름(F1)이 접착부(P3)로 이동하기 전에 표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건조부(P2) 및 접착부(P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100)는 코팅부(P1)의 일측에 제1 피더(10, 2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 필름(F1)의 표면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접착부(P3)의 일측에 제2 피더(30)로부터 공급되는 커버 필름(F2)의 표면을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식성 필름 절편(S)의 제조과정에서 베이스 필름(F1) 및 커버 필름(F2)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위생적인 제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이 완료된 베이스 필름(F1)의 세척 상태를 검사하는 입자 센싱부(103)가 초음파 세척부(1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F2)의 이동을 안내하는 웹 가이더(102)가 입자 센싱부(103)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건조부(P2)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필름(F1)을 안내하도록 한 쌍의 단위로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재(210) 및 회전 지지부재(210) 사이에 배치되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건조부(P2)는 코팅부(P1)에서 베이스 필름(F1) 표면에 코팅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써,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이 회전 지지부재(210)를 따라서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 사이에는 판상의 가이드 플레이트(230)가 교번하여 배치되되 복수의 적외선 램프(240)가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건조부(P2)의 회전 지지부재(210)는 베이스 필름(F1)을 안내하도록 한 쌍이 하나의 단위로 상측 및 하측에 교번하여 배치되어 있고,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이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회전 지지부재(210)에 안착된 상태로 하측에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회전 지지부재(210)에 지지된 상태로 일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지그재그(zig-zag)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 지지부재(210)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211)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211)는 베이스 필름(F1)에 코팅된 인접한 가식성 필름 절편(S)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필름(F1)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회전 지지부재(210)에 접촉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 지지부재(210)는 건조부(P3) 이외에도 베이스 필름(F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작업 라인을 따라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이 공급되는 코팅부(P1), 접착부(P3) 및 커팅부(P4)에도 가이드 돌기(211)가 동일하게 형된 회전 지지부재(210)가 장착되어 있다.
접착부(P3)는 제2 피더(3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 필름(F2)과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을 상호 접합시키는 프레스 실링부(111)와 접착이 완료된 가식성 필름 절편(S)를 회수하는 리와인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착부(P3)는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과 제2 피더(30)로 제공되는 커버 필름(F2)의 외주면을 가열(heating)하여 실링(sealing) 처리함으로써, 가식성 필름 절편(S)이 내부에 밀봉 처리된다. 접착부(P3)의 일측에는 가식성 필름 절편(S)이 베이스 필름(F1)으로부터 유동 및 이탈되도록 베이스 필름(F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에어블로어(300)가 형성되어 있다.
커팅부(P4)는 가식성 필름 절편(S) 단위로 커팅하며 일측에 슬리터(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식성 필름 절편(S)은 슬리터(112)에 의하여 프레스 방식으로 커팅 되며, 하측에는 커팅이 완료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배출되는 보관함(90)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100)는 커팅부(P4)가 별도의 부스(BOOTH)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가식성 필름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도 2 내지 도 1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방법은 제1 피더(140)에서 연속적으로 베이스 필름(F1)을 제공하는 단계(S10), 베이스 필름(F1) 상에 아일랜드 형상의 복수의 가식성 필름 절편(S)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횡방향(진행방향)으로 형성시키는 단계(S20), 가식성 필름 절편(S)을 건조 시키는 단계(S30), 건조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형성된 베이스 필름(F1) 상에 커버 필름(F2)을 실링하여 처리하는 단계(S40), 커버 필름(F2)이 실링 처리된 베이스 필름(F1)을 회수하는 단계(S50) 및 회수된 베이스 필름(F1)을 가식성 필름 절편(S) 단위로 커팅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피더(10,20)로부터 베이스 필름(F1)이 일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다(S10). 이 때, 베이스 필름(F1)은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되기 전에 초음파 클리너(101)를 통하여 살균 및 세척이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저장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코팅 원액이 코팅부(P1)의 끼움부재(250)가 부착된 코팅 노즐(200)을 통하여 제1 피더(10, 2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 필름(F1) 상면에 간헐적으로 코팅되면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형상으로 코팅이 이루어진다(S20). 이 때, 끼움부재(250)에는 가식성 필름 절편(S)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차홈(2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아일랜드(island) 형상으로 8열로 코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코팅 과정은 약 10~50mm/s 이동 속도로 수행된다.
코팅이 완료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은 추가적으로 인스펙터(105)를 통하여 오염 여부 등의 외부 검사가 진행된다. 이러한 인스펙터(105)는 외부 모니터를 통하여 가시적으로 출력이 가능한 비전카메라(vision camera)일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은 건조부(P2)의 회전 지지부재(210)를 경유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가식성 필름 절편(S)은 회전 지지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23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적외선 램프(240)에 노출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S3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과정은 최대 120도 온도범위를 갖는 적외선 램프(240)에 노출됨과 동시에 약 10~50mm/s 이동 속도로 이동되면서 가식성 필름 절편(S)의 경화가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건조가 완료된 가식성 필름 절편(S)은 추가적으로 인스펙터(105)를 통하여 오염 여부 등의 외부 검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건조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S)이 코팅된 베이스 필름(F1)은 리와인더(40)를 통하여 회수되게 되는데(S50), 이 때, 제 2 피더(30)를 통하여 커버 필름(F2)이 베이스 필름(F1) 상에 공급되며, 이러한 커버 필름(F2)과 베이스 필름(F1)의 면접촉되는 부위는 리와인더(40)로 회수되기 전에 프레스 실링부(111)에서 밀봉 처리 과정이 진행된다(S40).
마찬가지로, 이 때, 커버 필름(F2)은 가식성 필름 절편(S)이 밀봉되도록 베이스 필름(F1)과 실링되기 전에 초음파 클리너(101)를 통하여 살균 및 세척이 추가적으로 진행된다.
최종적으로, 커버 필름(F2)과 베이스 필름(F1)의 접촉 면이 실링 처리되면서 리와인더(70)를 통화여 최종 회수되는데, 이 때 가식성 필름 절편(S)은 포장 단위로 슬릿터(112)에 의해 커팅된 후에 보관함(90)으로 배출되고 출고시에 일정한 수량 단위로 포장(packing) 및 보관된다(S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100)는 가식성 필름 절편(S)이 간헐적으로 베이스 필름(F1) 상에 코팅되고 이러한 베이스 필름(F1) 상에 커버 필름(F2)이 동시에 밀봉 처리되면서 가식성 필름 절편(S) 단위로 커팅 및 포장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처리되므로 공정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20: 제1 피더 30: 제2 피더
40, 70: 리와인더 50, 60: 제3 피더
90: 보관함 100: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101: 초음파 클리너 102: 웹 가이드
103: 입자 센싱부 105: 인스펙터
110: 본체 111: 프레스 실링부
112: 슬릿터 120: 챔버부
200: 코팅 노즐 210: 회전 지지부재
211: 가이드 돌기 230: 가이드 플레이트
240: 적외선 램프 250: 끼움부재
252: 단차홈 P1: 코팅부
P2: 건조부 P3: 접착부
P4: 커팅부 F1: 베이스 필름
F2: 커버 필름 S: 가식성 필름 절편

Claims (9)

  1. 가식성 필름 원액을 필름 형태로 코팅하는 롤투롤 제조장치로서,
    상기 가식성 필름 원액으로 복수의 아일랜드(island)형 가식성 필름 절편을 베이스 필름에 코팅하는 코팅부;
    상기 코팅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베이스 필름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건조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밀봉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에 커버 필름을 접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개별 단위별로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연속적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피더(feeder);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을 주입하는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필름 절편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끼움부재(shi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 필름이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배치된 형태로 연속적으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의 대응 부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램프(IR Lamp)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는 상기 가식성 필름과의 접촉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의 외주면을 가열(heating) 방식으로 실링(sealing)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에 밀봉된 상태에서 유동하도록 제공되는 에어블로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의 코팅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사하는 인스펙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shim)는 상기 코팅부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장치.
  9. 피더에서 연속적으로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아일랜드(island)형 가식성 필름 절편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코팅된 상기 베이스 필름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커버 필름을 실링 처리하는 단계;
    상기 커버 필름이 실링 처리된 상기 베이스 필름을 회수하는 단계; 및
    회수된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가식성 필름 절편 단위로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식성 필름 제조방법.
KR1020190071030A 2019-06-14 2019-06-14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26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30A KR102263368B1 (ko) 2019-06-14 2019-06-14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30A KR102263368B1 (ko) 2019-06-14 2019-06-14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121A true KR20200143121A (ko) 2020-12-23
KR102263368B1 KR102263368B1 (ko) 2021-06-09

Family

ID=7408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030A KR102263368B1 (ko) 2019-06-14 2019-06-14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958A (zh) * 2020-12-29 2021-05-11 浙江旅游职业学院 一种用于食品加工的溶液喷涂设备
KR102357020B1 (ko) * 2021-06-04 2022-02-08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52856B1 (ko) * 2023-10-23 2024-04-01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10068880A (ko) * 2009-12-15 2011-06-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슬릿 방법 및 장치
JP2011178490A (ja) * 2010-02-26 2011-09-15 Fujifilm Corp 可撓性フィルムの搬送装置及び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30010515A (ko) 2011-06-23 2013-01-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황금추출물을 함유한 혼합천연항균제의 항균활성을 갖는 가식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18790B1 (ko) * 2016-04-05 2017-03-23 (주)씨엘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880A (ko) * 2009-12-15 2011-06-2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슬릿 방법 및 장치
JP2011178490A (ja) * 2010-02-26 2011-09-15 Fujifilm Corp 可撓性フィルムの搬送装置及び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30010515A (ko) 2011-06-23 2013-01-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황금추출물을 함유한 혼합천연항균제의 항균활성을 갖는 가식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47219B1 (ko) * 2014-12-31 2015-08-25 (주)씨엘팜 다열 다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18790B1 (ko) * 2016-04-05 2017-03-23 (주)씨엘팜 구강용해 필름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958A (zh) * 2020-12-29 2021-05-11 浙江旅游职业学院 一种用于食品加工的溶液喷涂设备
CN112772958B (zh) * 2020-12-29 2022-04-19 浙江旅游职业学院 一种用于食品加工的溶液喷涂设备
KR102357020B1 (ko) * 2021-06-04 2022-02-08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652856B1 (ko) * 2023-10-23 2024-04-01 박진용 건강 기능용 필름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368B1 (ko)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9391B2 (ja) 多列多剤口腔内溶解フィルム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263368B1 (ko)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013206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US8728249B2 (en) Packing machine
BR122012032692B1 (pt) sistema e método para moldar produtos tridimensionais, a partir de uma massa de materiais de partida alimentícios para consumo usando um elemento de molde construído em material poroso, e para limpeza do elemento de molde
KR101851223B1 (ko) 판상형 odf 제조설비 및 그 제조방법
JP2001018909A (ja) フラッシング装置
ES2812775T3 (es) Método de limpieza y almacenamiento de un tambor de moldeo
KR101214140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134198B1 (ko) 버섯용 권지 세척 장치
KR102383878B1 (ko)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TW201808109A (zh) 用於處理拉伸型起司之方法和設備以及相關成型機
US11825852B2 (en) Machine for making filled pasta
KR101881044B1 (ko) 과일포장재 및 과일포장장치
KR101398973B1 (ko) 이종 가식성 필름 코팅 및 포장장치
JP2017030845A (ja) 袋体の自動開封装置
JPH08242829A (ja) 紫外線殺菌装置
WO2016052108A1 (ja) 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960000590Y1 (ko) 화장솜 성형기
RU27525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ыров с растягиваемым сгустком
JP2002193221A (ja) カップ容器への熱風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20220010797A (ko) 주정 침지 처리 장치
JP6301197B2 (ja) 食品加工装置
JPH064714Y2 (ja) 板付き蒲鉾加熱装置
ITPC20010013A1 (it) Macchina per affettare ortaggi, frutta e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