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20B1 -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20B1
KR102357020B1 KR1020210072710A KR20210072710A KR102357020B1 KR 102357020 B1 KR102357020 B1 KR 102357020B1 KR 1020210072710 A KR1020210072710 A KR 1020210072710A KR 20210072710 A KR20210072710 A KR 20210072710A KR 102357020 B1 KR102357020 B1 KR 102357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base film
mdl
chem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익
김동섭
이종록
성낙윤
한인준
이호철
서지영
권복화
양성식
권성훈
장준식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프리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진프리시젼 filed Critical 한국프라임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형 식품, 건강보조 식품 또는 의약품용으로 사용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때 코팅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면서 연장식 건조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충분히 건조할 수 있어 건조품질이 향상되며, 건조 후 파우칭하여 낱개 단위로 만드는 생산과 포장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In-line type continuous coating oral disintegrat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형 식품, 건강보조 식품 또는 의약품용으로 사용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때 코팅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면서 연장식 건조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충분히 건조할 수 있어 건조품질이 향상되며, 건조 후 파우칭하여 낱개 단위로 만드는 생산과 포장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붕해필름은 전분과 같이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물에 잘 녹는 원료에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혼합하여 얇은 필름 형태로 만든 것으로 통상 먹는 필름이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붕해필름을 입 안에 넣고 침으로 녹이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체내에 쉽게 투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구강붕해필름을 피부 등에 부착하여 화장품이나 약품을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구강붕해필름에 구취제거 및 예방 물질과, 박하 또는 멘톨향과 같은 청정향 및 색소를 첨가한 구강 청정제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구강붕해필름은 습기에 약하고 얇은 필름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적정 크기로 절단하여 한장 씩 포장지로 밀봉 포장하거나, 일정 크기로 절단된 구강붕해필름을 낱장으로 하나씩 파우칭 포장하는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구강붕해필름을 낱장으로 포장하는 경우 종래에는 구강붕해필름 제조 라인과, 포장 라인이 분리 설치되어 있어 생산 효율성이 떨어지고, 설비 배치 및 설비 구비에 따른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도 1은 이를 개선한 [선행기술문헌]의 일부로서, 액상 원료를 공급하는 액상공급부(110)와, 액상원료의 코팅 이송받침판이 되는 코팅컨베이어(130)와, 코팅컨베이어(130)의 상면으로 필름을 포장하는 하부포장지공급부(140)와, 액상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액상원료를 하부포장지(141)의 상면에 코팅하되 다중간헐코팅으로 낱개로 분리된 필름(101)을 코팅시키기 위한 다중간헐코팅기(120)와, 코팅컨베이어(130)의 일부를 포함하는 후방에 설치되어 다중간헐코팅기(120)에 의해 코팅된 필름(101)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와, 건조기(150)를 통과한 필름(101)의 상부로 상부포장지(161)를 공급하는 상부포장지공급부(160)와, 각 필름(101)의 둘레 상부포장지(161)와 하부포장지(141)를 열압착 방식으로 접착시켜 낱개 필름을 개별 포장으로 밀봉시키는 히트실링기(170)와, 히트실링기(170)에 의해 낱개 필름마다 밀봉된 제품을 분리시키는 슬릿터(180)와, 슬릿터(180)에 의해 분리된 제품을 낱개 포장으로 절단하는 커터기(190)로 구성하여 필름 제조라인과 포장라인을 인라인화시킨 바 있다.
그런데, 도 1의 경우 코팅컨베이어(130)가 오히려 액상원료의 이송을 저해하여 다중 간헐코팅 시 코팅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야기되었으며, 특히 별도의 설비로 포함되어야 하므로 설비비를 증가시키고, 설치공간상 제약으로 인해 초기 설치 및 유지 보수상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다중 간헐코팅을 수직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하기 어렵고 뭉친 부분이 생기는 현상이 유발된다.
뿐만 아니라, 건조기(15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 건조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건조로 설계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워 결국 설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이로 인해,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길이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결국 종래처럼 필름 제조라인과 포장라인을 다시 분리해야 하는 원론적인 문제로 귀결되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3206호(2011.01.28.)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필름형 식품, 건강보조 식품 또는 의약품용으로 사용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때 코팅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면서 연장식 건조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충분히 건조할 수 있어 건조품질이 향상되며, 건조 후 파우칭하여 낱개 단위로 만드는 생산과 포장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롤(100)로부터 풀려 상승하는 베이스필름(BA)의 장력을 유지한 채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텐션롤(R1); 상기 베이스필름(BA) 표면에 약액을 코팅하는 약액코터(200); 상기 약액층(MDL)을 건조시키는 건조성형기(300); 상기 건조성형기(300)를 통과하여 건조된 베이스필름(BA) 및 약액층(MDL)의 상부로 밀봉지(410)를 공급하는 밀봉지공급부(400); 각 약액층(MDL) 둘레의 베이스필름(BA)과 밀봉지(410)를 밀봉한 후 커팅하여 포장하는 파우칭유닛(500);을 포함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코터(200)는 상승하는 상기 베이스필름(BA)과 직교되는 방향인 측방에서 왕복운동하면서 코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조성형기(300)는 히팅플레이트, 열풍, 적외선을 열원으로 하여 본 건조를 수행하는 다수의 건조존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 첫번째 건조존에는 약액층(MDL)을 본 건조하기 전에 프리히팅하는 프리히터(31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인 베이스필름(BA)를 공급하는 제1단계; 상승하는 베이스필름(BA)의 일측면에 측방에서 수직하게 약액을 코팅하여 약액층(MDL)을 형성하는 제2단계; 약액층(MDL)을 건조하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층(MDL)을 밀봉지(410)로 밀봉하고 절단하여 파우칭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약액층(MDL)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A)이 프리히팅된 후 히팅플레이트를 통한 히팅과 적외선 및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이동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 후 적외선과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순차 이동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할 때 베이스필름(BA)은 골과 마루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되면서 골 부분에만 적외선이 방사되어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형 식품, 건강보조 식품 또는 의약품용으로 사용되는 구강붕해필름을 제조할 때 코팅기를 이용하여 액상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코팅하면서 연장식 건조성형기를 이용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없이 충분히 건조할 수 있어 건조품질이 향상되며, 건조 후 파우칭하여 낱개 단위로 만드는 생산과 포장을 연속적으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먹는 필름 제조장치를 보인 예시적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과정을 보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인라인 제조장치의 전체 설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성형기의 구조를 구체화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성형기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필름과 상하부안내롤과의 접촉상태를 보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붕해필름 인라인 제조장치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기재인 베이스필름(BA)이 감겨있던 베이스롤(100)로부터 풀려나온 베이스필름(BA)을 일정한 장력을 지지하면서 방향 전환시키는 텐션롤(R1)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필름(BA)이 텐션롤(R1)과 후술되는 건조성형기(300) 후단에 설치된 텐션롤(R2)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건조성형기(300) 전단에서 베이스필름(BA)을 반송하기 위한 별도의 컨베이설비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텐션롤(R1)을 통해 방향전환된 베이스필름(BA)은 기존처럼 별도의 코팅 이송 받침판이 되는 코팅 컨베어를 거치지 않고 건조성형기(300)로 곧바로 진입하되, 건조성형기(3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건조존, 바람직하게는 제1,2,3,4,5건조존으로 이루어지되, 특히 제1건조존의 시작단에는 예열기능을 갖는 프리히터(310)를 갖추어 반송되는 베이스필름(BA)이 상기 프리히터(310)를 통해 프리히팅된 상태에서 후속하여 건조되게 함으로써 건조능력과 건조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약액코터(200)가 텐션롤(R1)과 직교되는 방향인 측방에서 직접 코팅하기 때문이다. 즉, 약액층(MDL)을 만들 때 상하방향이 아닌 측방에서 텐션롤(R1)이 지지한 상태로 직접 코팅하기 때문에 약액 코팅시 받침판 역할을 해야 하는 코팅 컨베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때문에, 그 만큼 공간적, 구조적 간소화를 이룰 수 있어 초기 시공시, 유지 보수상 편리성을 확보하게 된다.
더구나, 약액코터(20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코터부(210)가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코터모터(220)와 볼스크류(230)에 의해 베이스필름(BA)을 향해 70mm 범위에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틸팅실린더(240)에 의해 틸딩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약액층(MDL)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코터부(210)가 베이스필름(BA)에 근접 접촉하는 시간을 길게 하면 길이가 긴 약액층(MDL)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시간을 짧게 하면 길이가 짧은 약액층(MDL)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액코터(200)를 텐션롤(R1)의 측방에서 직교되게 왕복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약액의 도포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베이스필름(BA)에 대해 그와 직교하는 측방에서 적절한 점도로 조절된 약액이 공급되기 때문에 중력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약액의 성질상 뭉칭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코팅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대비 더 균일하고 고품질을 갖는 약액층(MDL)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롤(R1)과 간격을 두고 건조성형기(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건조성형기(300)는 베이스필름(BA)에 코팅된 약액층(MDL)을 건조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건조성형기(300)의 구조를 특수하게 설계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2에서는 건조성형기(300)의 건조존을 대표적인 3개만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덧붙여, 베이스필름(BA)은 사각형 모양으로 디자인할 수 있고, 약액코터(200)의 토출위치, 필름 길이 등은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약액코터(200)의 경우에도 종래에는 틸팅 방식으로 분사 후 꺾어 올리는 구조로서 동작불량의 위험이 높지만, 본 발명에서는 바이패스 방식으로서 분사 후 뒤로 빠지는 구조, 즉 왕복운동하는 구조라서 불량의 위험이 거의 없다.
또한, 상기 건조성형기(300)를 통과한 베이스필름(BA) 및 그 상면에 코팅된 약액층(MDL)의 상부로 밀봉지(410)를 공급하는 밀봉지공급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밀봉지공급부(400)는 밀봉지(410)를 베이스필름(BA)의 이동속도에 동기시켜 이송하면서 코팅된 약액층(MDL)을 덮어 보호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지(410)가 공급되면 이를 베이스필름(BA)에 합지하도록 밀봉지공급부(400)와 간격을 두고 파우칭유닛(5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파우칭유닛(500)은 각각의 약액층(MDL)의 둘레의 상기 밀봉지(410)와 베이스필름(BA)를 열압착 방식으로 접착시켜 낱개의 구강붕해필름 제품으로 개별포장한 후 일정크기로 커팅하여 제품화되게 한다.
아울러, 파우칭유닛(500)의 후단에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단박스 포장까지 가능하도록 포장설비(PAU)가 일체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건조성형기(300)는 도 4 내지 도 6의 예시와 같이, 다수의 건조존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존은 바람직하게, 제1,2,3,4,5건조존(Z1,Z2,Z3,Z4,Z5)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건조존의 갯수는 처리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구강붕해필름의 기존 건조로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베이스필름(BA)의 체공시간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즉,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건조기이지만, 본 발명에 따라 구현하게 되면 베이스필름(BA)이 체공할 수 있는 길이가 기존 15m에서 21m로 현저히 늘릴 수 있어 그 만큼 고품질의 건조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특히, 설비를 더 크게 설계하지 않고도 더 큰 설비로 처리한 효과를 얻기 때문에 비용을 줄이고, 처리효율을 높이는 특장점을 얻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3중 건조수단을 갖는 건조존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2중 건조수단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건조존의 배치는 처리대상이나 처리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열원은 IR(적외선), 열풍, 히터로 다양화시켜 건조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며, 건조터널에서 짧은 길이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적어도 몇 개의 존을 꺾어 놓은 롤링타입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건조 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특히, 각 건조존이 막혀있던 기존(온도편차 발생)과 달리 5개의 건조존이 모두 연결된 채 뚫려 있어 막힌 상태가 아니므로 각 존마다 온도편차가 발생되지 않아 온도 및 습도 평형을 이루기 쉽고 관리 및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예컨대,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건조존(Z1)은 히팅, 열풍, 적외선 조사 3가지 방식의 열원을 모두 구비하여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3중 건조수단을 구비한다.
뿐만 아나라, 상기 제1건조존(Z1)의 시작단에는 예열기능을 갖는 프리히터(310)가 설치되지만, 도 5의 확대도에서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프리히터(310)는 반송되는 베이스필름(BA)을 프리히팅시켜 본(本) 건조가 시작될 때 건조 효율을 급격히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건조존(Z1)은 베이스필름(BA)이 투입되는 시점에 있기 때문에 약액층(MDL)이 아직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때문에, 상기 제1건조존(Z1)에서는 베이스필름(BA)를 수평이동시키면서 최대한 빠른 시간에 약액층(MDL)을 일정 점도 이하를 갖도록 경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건조존(Z1)에 프리히터(31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베이스필름(BA)이 반송되면서 쳐지지 않도록 받쳐주면서 베이스필름(BA)의 하부에서 상부로, 즉 약액의 속에서 겉으로 건조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열을 공급하는 핫플레이트(3100)를 포함한다.
상기 핫플레이트(3100)는 히팅플레이트로서 일종의 히터이다. 때문에, 이송되는 베이스필름(BA)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직접 열을 가해 그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약액층(MDL)을 건조 경화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필름(BA)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열풍공급덕트(32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공급덕트(3200)의 하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열풍분사구(3210)가 구비되며, 상기 열풍분사구(3210)들 사이의 공간 상에 적외선조사기(33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적외선조사기(3300)는 약액층(MDL)의 바닥까지 침투하여 내부에서부터 경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순히 열풍이나 히팅만으로는 콜라겐과 같은 점액성 물질의 경우 겉만 경화되고 속이 경화되지 않아 후속처리 시 터지거나 형상이 변형되거나 하면서 불량이 발생되기 때문에 내부와 외부 모두를 동시에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열풍공급덕트(3200)의 상부에는 히터(3400)가 설치되고, 최상단에는 송풍팬(3500)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송풍팬(3500)이 에어를 블로잉시키면 에어는 히터(3400)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열풍공급덕트(3200)를 타고 열풍분사구(3210)를 통해 베이스필름(BA)의 직상부로 분사되어 약액층(MDL)을 건조 경화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열풍공급덕트(3200)에는 제어기(3600)가 설치되어 압력과 송풍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3600)는 압력계와 속도계를 포함한다.
특히, 송풍팬(3500)이 설치된 설비의 배기부분에는 프리필터, 미디엄필터, 혜파필터가 내장되어 10만 클라스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이것은 터널안을 클린룸 개념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열풍은 250-350℃, 히팅플레이트에 의한 히팅은 350-450℃, 적외선에 의한 히팅은 450-550℃ 온도조건으로 관리함으로써 건조효율을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이들 열원들의 온도분포를 조절하여 각 건조존의 존별 온도가 80-110℃ 유지되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제2,3,4건조존(Z2,Z3,Z4)은 체공시간 연장을 위해 상부안내롤(3700)과 하부안내롤(3800)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이를 거쳐 이송되는 베이스필름(BA)이 일정한 파형, 이를 테면 골과 마루를 교대로 반복하는 물결 형상으로 롤링하면서 이송되도록 배치 설계된다.
때문에, 그 만큼 더 긴 체공시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안내롤(3700)은 상기 열풍공급덕트(3200)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안내롤(3800)은 건조존의 바닥면 상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상기 제2,3,4건조존(Z2,Z3,Z4)의 경우에는 히팅플레이트가 없는 구조로서 열풍과 적외선만 이용하여 건조 경화시키는 존이다.
때문에, 상기 적외선조사기(3300)가 조사할 때 베이스필름(BA)이 항상 골 상태를 유지할 때만 조사할 수 있도록 상부안내롤(3700)과 하부안내롤(3800)의 위치를 잘 선정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제2,3,4건조존(Z2,Z3,Z4) 또는 사행 우려가 있는 지점에는 EPC(edge position controller)센서가 설치되어 베이스필름(BA)이 진행할 때 사행(蛇行)을 방지한다.
이 경우, EPC센서는 건조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2의 예시와 같이, 외부 EPC센서(3900a)와 내부 EPC센서(3900b)가 그것이며, 이렇게 EPC센서가 필요한 이유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상부안내롤(3700)과 하부안내롤(3800)은 베이스접촉부(BTC)와 홈부(YO)로 이루어진 특수한 구조를 갖는데, 이는 베이스필름(BA)에 코팅된 약액층(MDL)이 아직 완전히 건조되지 않았는데 이들 안내롤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로 파형을 그리게 되면 안내롤과 접촉하면서 꺽이는 부분에서 약액층(MDL)이 탈락, 불량처리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안내롤들과 접촉하는 부분은 베이스접촉부(BTC)로서 베이스필름(BA)만 접촉되며, 약액층(MDL)은 홈부(YO)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내롤에 의해 접히거나 꺾이는 영향을 받지 않아 원활한 지그재그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조로(300)를 구성하게 되면 체공시간 연장에 따른 완전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일 크기 대비 건조 효율이 향상되며, 약액층(MDL)의 속과 겉이 모두 함께 균일하게 경화되므로 그 만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제5건조존(Z5)은 프리히터가 없는 제1건조존(Z1)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존을 다양한 형태로 혼합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지, 열원이 3개인 경우와, 열원이 2개인 경우로 나누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을 뿐이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예시와 같이, 건조성형기(300)를 지난 지점의 외부 EPC센서(3900a) 상에는 육안테스트부(TST)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육안테스트부(TST)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며 약액의 크랙여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것은 도포되어 고온 건조된 약액층이 외부의 대기공기로 인해 냉각된 후 롤러의 반경을 따라 변곡되게 하여 그때 크랙이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조치함으로써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를 이용한 구강붕해필름 인라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기재인 베이스필름(BA)를 공급하는 제1단계; 상승하는 베이스필름(BA)의 일측면에 측방에서 수직하게 약액을 코팅하여 약액층(MDL)을 형성하는 제2단계; 약액층(MDL)을 건조하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층(MDL)을 밀봉지(410)로 밀봉하고 절단하여 파우칭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기재인 베이스필름(BA)이 감겨있던 베이스롤(100)로부터 풀려 나와 텐션롤(R1)을 거쳐 건조성형기(300)로 직접 반송되도록 텐션롤(R1)과 건조성형기(300) 후단의 텐션롤(R2) 사이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베이스필름(BA)이 텐션롤(R1)에 의해 장력을 받고 있는 도중에 약액코터(200)를 통해 약액이 일정주기로 베이스필름(BA) 위에 도포되어 약액층(MDL)을 형성하도록 코팅되는 단계로서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약액의 코팅은 베이스필름(BA)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예를 들어, 16-48개의 약액층(MDL)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16-48개의 약액층(MDL)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계속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간헐적으로 코팅되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3단계는 본 건조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약액층을 프리히팅하여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프리히팅된 베이스필름(BA)은 건조성형기(300)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건조되게 된다.
특히, 건조와 관련된 상기 제3단계는 5개의 건조존으로 이루어진 건조성형기(300) 내부를 이동하면서 건조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건조존은 설계사항이므로 갯수를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약액층(MDL)이 형성된 상태로 베이스필름(BA)이 히팅플레이트를 통한 히팅과 적외선 및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순차 이동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 후 적외선과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순차 이동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고, 제2과정을 수행할 때 베이스필름(BA)은 골과 마루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되면서 골 부분에만 적외선이 방사되어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건조로(30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건조할 수 있는 길이, 즉 체공시간을 길게 하여 충분한 건조시간을 유지시킬 수 있어 사실상 건조로의 길이를 연장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를 테면, 기존 건조로 동일 크기로 대비할 때 기존 15m가 한계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건조로를 사용하면서도 21m까지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즉, 3개의 건조존을 베이스필름(BA)이 지날 때 상하로 롤링 형태, 즉 골과 마루를 갖는 형태로 지나가도록 다수의 롤을 배열하여 건조로의 길이를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적외선이 조사되는 부위가 골에 해당할 때 집중 조사되어 균일한 경화를 촉진하게 된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적외선을 통해 침투깊이를 깊게 함으로써 콜라겐과 같이 내부 경화가 잘 안되는 성분들까지 충분히 건조길이 내에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00: 베이스롤 200: 약액코터
300: 건조기 400: 밀봉지공급부
500: 파우칭유닛

Claims (2)

  1. 베이스롤(100)로부터 풀려 상승하는 베이스필름(BA)의 장력을 유지한 채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텐션롤(R1); 상기 베이스필름(BA) 표면에 약액을 코팅하는 약액코터(200); 약액층(MDL)을 건조시키는 건조성형기(300); 상기 건조성형기(300)를 통과하여 건조된 베이스필름(BA) 및 약액층(MDL)의 상부로 밀봉지(410)를 공급하는 밀봉지공급부(400); 각 약액층(MDL) 둘레의 베이스필름(BA)과 밀봉지(410)를 밀봉한 후 커팅하여 포장하는 파우칭유닛(500);을 포함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코터(200)는 상승하는 상기 베이스필름(BA)과 직교되는 방향인 측방에서 왕복운동하면서 코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조성형기(300)는 히팅플레이트, 열풍, 적외선을 열원으로 하여 본 건조를 수행하는 다수의 건조존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 첫번째 건조존에는 약액층(MDL)을 본 건조하기 전에 프리히팅하는 프리히터(31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건조성형기(300)는 베이스필름(BA)을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시키면서 건조하도록 상부안내롤(3700)과 하부안내롤(3800)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안내롤(3700)과 하부안내롤(3800)은 베이스접촉부(BTC) 및 베이스접촉부(BTC)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부위인 홈부(YO)로 구성되어 약액층(MDL)은 홈부(YO)를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조성형기(300) 내부에는 베이스필름(BA)이 사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약액층(MDL)은 항상 홈부(YO)를 지나가도록 제어하는 EPC(edge position controller)센서(3900b)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2. 기재인 베이스필름(BA)를 공급하는 제1단계; 상승하는 베이스필름(BA)의 일측면에 측방에서 수직하게 약액을 코팅하여 약액층(MDL)을 형성하는 제2단계; 약액층(MDL)을 건조하는 제3단계; 건조된 약액층(MDL)을 밀봉지(410)로 밀봉하고 절단하여 파우칭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도록 청구항 1에 기재된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를 이용한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약액층(MDL)이 형성된 베이스필름(BA)이 프리히팅된 후 히팅플레이트를 통한 히팅과 적외선 및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이동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 후 적외선과 열풍에 의한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존을 순차 이동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할 때 베이스필름(BA)은 골과 마루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송되면서 골 부분에만 적외선이 방사되어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KR1020210072710A 2021-06-04 2021-06-04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57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10A KR102357020B1 (ko) 2021-06-04 2021-06-04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710A KR102357020B1 (ko) 2021-06-04 2021-06-04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020B1 true KR102357020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710A KR102357020B1 (ko) 2021-06-04 2021-06-04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54A (ja) * 1999-02-12 2000-08-29 Itoo Kaigai Jigyo Kk 可食印刷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214140B1 (ko) * 2011-12-12 2012-12-20 광동제약 주식회사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5733554B2 (ja) * 2010-08-06 2015-06-10 伊那食品工業株式会社 ハイドロコロイドフィルム
KR101841258B1 (ko) * 2016-06-13 2018-05-04 씨앤텍 주식회사 건조 겔 시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00143121A (ko) * 2019-06-14 2020-12-23 김동수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2854A (ja) * 1999-02-12 2000-08-29 Itoo Kaigai Jigyo Kk 可食印刷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KR101013206B1 (ko) 2010-06-07 2011-02-10 (주)씨엘팜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JP5733554B2 (ja) * 2010-08-06 2015-06-10 伊那食品工業株式会社 ハイドロコロイドフィルム
KR101214140B1 (ko) * 2011-12-12 2012-12-20 광동제약 주식회사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841258B1 (ko) * 2016-06-13 2018-05-04 씨앤텍 주식회사 건조 겔 시트 제조장치 및 방법
KR20200143121A (ko) * 2019-06-14 2020-12-23 김동수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9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створимой пленки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ей несколько медикамент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в несколько рядов
US7015436B2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foodstuffs and feedstuffs, in particular for the production of bakery products
US4940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capsules containing medicaments
KR102357760B1 (ko)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용 건조성형기
WO2021238760A1 (zh) 一种烘丝机
KR102357020B1 (ko) 인라인형 동체연속코팅 구강붕해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127372A (ko) 저온 건조 장치
KR102263368B1 (ko) 우수한 생산성을 갖춘 가식성 구강 박막필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214140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4734149A (en) Apparatus for heatsealing gelatin capsules containing a medicament
KR101633277B1 (ko) 필름 코터
US20180078458A1 (en) Device for coating particulate material
JPS5837434B2 (ja) 面状布地をプラスチツクで被覆することによつて硬化するための装置
KR20020035844A (ko) 캡슐 밀봉용 장치 및 방법과 그 장치 및 방법에사용하기에 적합한 캡슐
US20200120943A1 (en) Method to Process Coextruded Meat Products Using High Velocity Air in Combination With Handling Method and Liquid Application
CN215098710U (zh) 将热塑性包装材料收缩到物品或物品的组合上的收缩装置
CN110475549A (zh) 用于制造特别是口腔用有效物质层压结构的方法和有效物质层压结构、特别是口腔用有效物质层压结构
KR101918594B1 (ko) 패치용 코팅장치
US5885722A (en) Method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s to overlapped individuals sheets
KR102618431B1 (ko) 미용용 또는 의료용 기능성 패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 방법
EP0129130B1 (en) Apparatus for sealing capsules
CN219847405U (zh) 一种制药用包衣机滚圆装置
RU1789845C (ru) Установка дл обработки сыпуче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EP3950963A1 (en) Method for the finishing of leathers and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10486352U (zh) 一种用于药片加工的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