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096A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Google Patents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3096A KR20200143096A KR1020190070969A KR20190070969A KR20200143096A KR 20200143096 A KR20200143096 A KR 20200143096A KR 1020190070969 A KR1020190070969 A KR 1020190070969A KR 20190070969 A KR20190070969 A KR 20190070969A KR 20200143096 A KR20200143096 A KR 20200143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er
- bottle
- vertical
- bottle cap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16—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for removing flanged caps, e.g. crow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따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몸체의 하단에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따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손목의 스냅만으로 쉽게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형 병따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손목의 스냅만으로 쉽게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수직형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따개는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종래의 병따개는 도 1과 같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몸체(10)와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따개(30)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병따개는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기 위해 몸체(10)를 상하방향으로 동작시켜야 된다. 몸체(10)를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팔을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병따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3706호의 병따개 구조는, 개구부에 따개걸이편이 형성된 몸체 및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병따개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병따개는,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팔을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병따개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055호의 병따개 구조는, 케이스 및 케이스의 결합홈에 고정되고 양측단부가 대향되도록 절곡되어 걸편과 누름편이 구비된 본체를 형성함으로써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병따개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병따개는, 걸편과 누름편이 구비된 본체가 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병따개의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손목의 스냅만으로 쉽게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고 노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병마개 기능을 할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병따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따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몸체는, 외측벽에 광고를 위한 로고나 문구가 인쇄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몸체는, 따개를 고정시키도록 내측벽의 하단에 따개의 가장자리와 함침 혹은 강제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덮개는, 연질 재료이고, 병마개가 분리된 병의 입구에 장착되어 병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개는, 금속 플레이트 내부에 병마개가 삽입되는 개구; 및 금속 플레이트 내측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제2 따개편;을 포함하고 제1, 제2 따개편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의 하단에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따개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손목의 스냅만으로 쉽게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벽부에 광고를 위한 로고나 문구를 형성함으로써, 광고 노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벽의 하단에 따개의 가장자리와 함침 혹은 강제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병따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마개가 분리된 병을 밀폐하도록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사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따개편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따개편을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병따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마개의 분리 동작만으로 병마개가 개구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보관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따개 구성을 타나내는 평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형 병따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의한 수직형 병따개는, 몸체(100), 덮개(200) 및 따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손목의 스냅만으로 쉽게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는 수직형 병따개에 관한 것이다.
몸체(10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병따개를 쉽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로서, 측벽부(110) 및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100)는, 음료캔 형상,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10)는, 내부에 내부공간(111)을 구비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측벽부(1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부공간(111)이 축소되도록 내측벽(113)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벽부(110)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120)의 강도를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벽부(110)는, 외측벽(112)에 광고를 위한 로고나 문구 등이 인쇄되어있기 때문에 수직형 병따개를 세워서 진열하거나 사용할 때 광고 노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내부공간(111)은, 따개(300)에 의해 병으로부터 분리된 병마개가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고, 보관된 병마개는 덮개(200)를 개방하여 배출 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따개(300)의 둘레를 몸체(100) 하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내측벽(113) 하단의 내측 둘레면에서 따개(3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따개(3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와 함침 혹은 강제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120)는, 따개(300)의 중심에서 내측벽(113) 방향으로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따개(30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1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덮개로서, 탄성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의 내측벽(113)에 끼워지는 탄성부(210)를 포함한다.
탄성부(210)는, 덮개(200)의 일측면에서 돌출 연장되어 테이퍼 형상의 내측벽(113)에 끼워지며 가압됨으로써 덮개(200)를 몸체(100)에 설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의 내용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병을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서, 병마개가 분리된 병의 입구에 장착되어 병을 밀폐하도록 실리콘 흑은 연질 플라스틱 등의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200)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않고 병따개를 병마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개(300)는,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의 따개수단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10) 및 따개편(320)을 포함하고, 개구(310) 및 따개편(320)은 외부에 노출되되 나머지 부분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부(120)에 덮여 함침 또는 강제삽입 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도 4에서 외측 점선은 따개(300)의 외측 둘레이고, 내측 점선은 따개(300)의 내측 둘레이다.
개구(310)는,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기 위해 금속 플레이트 내부에 병마개가 삽입되는 개구로서, 병마개의 크기에 대응한 형상이고 따개(300)에 의해 분리된 병마개가 내부공간(111)으로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개편(320)은, 병마개가 걸림으로써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따개수단으로서, 금속 플레이트 내측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구(3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따개편(321) 및 제2따개편(322)을 포함한다.
제1따개편(321) 및 제2따개편(322)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고정부(120)와 함침 혹은 강제삽입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수직형 병따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1따개편(321) 및 제2따개편(322)은, 둘 중 어느 하나가 병마개의 일단에 걸리면 다른 하나는 병마개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병따개를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마개의 분리 동작만으로 병마개가 개구(310)를 통해 내부공간(111)으로 삽입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병마개를 별도로 처리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몸체
110: 측벽부
111: 내부공간
112: 외측벽
113: 내측벽
120: 고정부
200: 덮개
210: 탄성부
300: 따개
310: 개구
320: 따개편
321: 제1따개편
322: 제2따개편
110: 측벽부
111: 내부공간
112: 외측벽
113: 내측벽
120: 고정부
200: 덮개
210: 탄성부
300: 따개
310: 개구
320: 따개편
321: 제1따개편
322: 제2따개편
Claims (5)
- 적은 힘으로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사출 성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병으로부터 병마개를 분리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따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병따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측벽에 광고를 위한 로고나 문구가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병따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따개를 고정시키도록 내측벽의 하단에 상기 따개의 가장자리와 함침 혹은 강제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병따개. -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연질 재료이고, 병마개가 분리된 병의 입구에 장착되어 병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병따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따개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 내부에 병마개가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 내측의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제2 따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따개편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병따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969A KR102518964B1 (ko) | 2019-06-14 | 2019-06-14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US17/611,223 US20220227615A1 (en) | 2019-06-14 | 2020-06-15 | Vertical bottle opener apparatus having opener formed on lower portion of handle |
PCT/KR2020/007710 WO2020251317A1 (ko) | 2019-06-14 | 2020-06-15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JP2021600180U JP3238113U (ja) | 2019-06-14 | 2020-06-15 | 取っ手の下部にオープナーを備えた垂直型栓抜き |
CN202090000628.0U CN216971952U (zh) | 2019-06-14 | 2020-06-15 | 在把手下部形成有起子的垂直型开瓶器 |
KR1020220121685A KR20220134507A (ko) | 2019-06-14 | 2022-09-26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969A KR102518964B1 (ko) | 2019-06-14 | 2019-06-14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685A Division KR20220134507A (ko) | 2019-06-14 | 2022-09-26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3096A true KR20200143096A (ko) | 2020-12-23 |
KR102518964B1 KR102518964B1 (ko) | 2023-04-05 |
Family
ID=73782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969A KR102518964B1 (ko) | 2019-06-14 | 2019-06-14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KR1020220121685A KR20220134507A (ko) | 2019-06-14 | 2022-09-26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1685A KR20220134507A (ko) | 2019-06-14 | 2022-09-26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27615A1 (ko) |
JP (1) | JP3238113U (ko) |
KR (2) | KR102518964B1 (ko) |
CN (1) | CN216971952U (ko) |
WO (1) | WO20202513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81198S1 (en) * | 2020-10-13 | 2023-03-21 | Hongkong Bai Chuang E-Commerce Limited | Bottle opener |
USD975513S1 (en) * | 2021-02-15 | 2023-01-17 | Gemsho LLC | Kettle bell bottle opener |
USD974134S1 (en) * | 2021-03-02 | 2023-01-03 | McCoyCreative LLC | Bottle open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8796U (ko) * | 1980-11-18 | 1982-06-01 | ||
KR900001167Y1 (ko) * | 1987-04-17 | 1990-02-17 | 후지세스덴 가부시기가이샤 | 보존 마개가 붙은 병마개 따개 |
JPH0578288U (ja) * | 1992-03-31 | 1993-10-26 | 有限会社岡本物産 | 小芥子人形構造 |
US20080110298A1 (en) * | 2006-05-11 | 2008-05-15 | Monk James K | Bottle Opener and Bottle Cap Collecting and Disposing Device |
JP2009541163A (ja) * | 2006-06-27 | 2009-11-26 | スタンレー リバーストーン,グレン | アンプルを開封する装置およ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2250A (en) * | 1904-05-24 | 1904-10-11 | Frederick Wurtz | Bottle-closure or the like. |
US2355492A (en) * | 1941-07-05 | 1944-08-08 | White Gilbert | Bottle stopper |
US2718801A (en) * | 1953-05-21 | 1955-09-27 | Supplee Wills Jones Milk Compa | Tubular device for the decapping of containers |
DE2203783A1 (de) * | 1972-01-27 | 1973-08-02 | Heinrich Kuhlmann | Vorrichtung zum oeffnen und zum verschliessen von flaschen |
FR2246464A1 (en) * | 1973-10-05 | 1975-05-02 | Guilpin Hubert | Bottle stopper with attached opener to remove cap - stopper on bottle attachment wire is used after removal of the cap |
US4615242A (en) * | 1985-08-16 | 1986-10-07 | I. M. Engineering Ltd. | Cap collecting opener |
CH678618A5 (ko) * | 1989-06-30 | 1991-10-15 | Franz Suter | |
KR200290700Y1 (ko) * | 2002-04-16 | 2002-09-28 | 고려알파라인(주) | 푸시오프너 |
JP2007297054A (ja) * | 2004-08-10 | 2007-11-15 | Yamada Electric Ind Co Ltd | 複合型自動開蓋装置 |
US7685908B1 (en) * | 2008-07-23 | 2010-03-30 | DesignFluence LLC | Drink insulator with bottle opener |
JP2010149905A (ja) * | 2008-12-25 | 2010-07-08 | Asmo Co Ltd | プルタブオープナー |
KR101382931B1 (ko) * | 2013-02-13 | 2014-04-09 | 최우진 | 한 손으로 따는 병따개 |
US20160046473A1 (en) * | 2014-04-21 | 2016-02-18 | Keith Jordan | Bottle Opening Device |
US9821936B1 (en) * | 2015-08-12 | 2017-11-21 | Huitzilo Arriaga |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
DE202018100077U1 (de) * | 2017-08-11 | 2018-02-09 | Elisabeth Romweber | Vorrichtung zum Öffnen einer mit einem Kronkorken verschlossenen Flasche nach Art eines Kapselhebers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0969A patent/KR1025189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6-15 JP JP2021600180U patent/JP3238113U/ja active Active
- 2020-06-15 CN CN202090000628.0U patent/CN216971952U/zh active Active
- 2020-06-15 US US17/611,223 patent/US20220227615A1/en active Pending
- 2020-06-15 WO PCT/KR2020/007710 patent/WO202025131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09-26 KR KR1020220121685A patent/KR202201345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8796U (ko) * | 1980-11-18 | 1982-06-01 | ||
KR900001167Y1 (ko) * | 1987-04-17 | 1990-02-17 | 후지세스덴 가부시기가이샤 | 보존 마개가 붙은 병마개 따개 |
JPH0578288U (ja) * | 1992-03-31 | 1993-10-26 | 有限会社岡本物産 | 小芥子人形構造 |
US20080110298A1 (en) * | 2006-05-11 | 2008-05-15 | Monk James K | Bottle Opener and Bottle Cap Collecting and Disposing Device |
JP2009541163A (ja) * | 2006-06-27 | 2009-11-26 | スタンレー リバーストーン,グレン | アンプルを開封する装置および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38113U (ja) | 2022-07-01 |
KR102518964B1 (ko) | 2023-04-05 |
KR20220134507A (ko) | 2022-10-05 |
US20220227615A1 (en) | 2022-07-21 |
WO2020251317A1 (ko) | 2020-12-17 |
CN216971952U (zh) | 2022-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34507A (ko) | 손잡이 하부에 따개가 형성된 수직형 병따개 | |
US7703633B2 (en) | Mouthpiece assembly with a cap | |
JP4524681B2 (ja) | 飲料容器の栓体 | |
US20130220967A1 (en) | Safety Bottle Cap | |
US20110198364A1 (en) | Container | |
JP4686331B2 (ja) | ワンタッチキャップ | |
KR100424740B1 (ko) | 뚜껑이 달린 용기 | |
US20010027704A1 (en) | Corkscrew with advertising feature | |
JP2020001214A (ja) | 印判スタンド | |
CN211870165U (zh) | 一种便于开启的化学试剂瓶内盖 | |
JP2001197932A (ja) | スパチュラ付き化粧料容器 | |
JPS6315175Y2 (ko) | ||
JP6595655B1 (ja) | 容器に装着可能なキャップ | |
JP2002037387A (ja) | 携帯用蓋開け具 | |
KR20240121985A (ko) | 휴대용 캔따개 | |
JP2024085187A (ja) | 容器密封アセンブリ | |
KR200236489Y1 (ko) | 플라스틱병용 고리손잡이 | |
JP3027347U (ja) | 印判収納ケース | |
JP4915964B2 (ja) | 容器蓋 | |
JP2582497Y2 (ja) | スポイト容器 | |
KR200328708Y1 (ko) | 밀폐용기 | |
US20210393059A1 (en) |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 |
KR200359339Y1 (ko) | 분리형 도장 | |
KR20230002186U (ko) | 다기능 오프너 | |
KR20000000197A (ko) | 음료수 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