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060A -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2060A KR20200142060A KR1020207032651A KR20207032651A KR20200142060A KR 20200142060 A KR20200142060 A KR 20200142060A KR 1020207032651 A KR1020207032651 A KR 1020207032651A KR 20207032651 A KR20207032651 A KR 20207032651A KR 20200142060 A KR20200142060 A KR 20200142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valve
- valve seat
- shape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4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in-lin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float without flexible member or sp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aerating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통기성 유지와 재개 밸브 압력 향상의 양립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밸브 장치(10)는, 칸막이 벽(23)을 사이에 두고 밸브 실(V) 및 통기실(R)이 마련되고, 양실을 연통하는 통기공(25)이 마련된 하우징(15)과, 플로트 밸브(60)가 가지고 있고,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에 밸브 시트(31)가 형성되고, 이 밸브 시트(31)의 내측에 개구(33)가 마련되어 있고, 개구(33)는, 제 1 개구(34)와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35)를 가지고 있으며, 플로트 밸브(60)의 위쪽에는, 밸브 시트(31)에 접리하여, 제 1 개구(34) 및 제 2 개구(35)를 개폐하는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에 설치되어, 연료 유출 방지 밸브나 만(滿)탱크 규제 밸브 등으로 사용되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연료 탱크에는, 차량이 기울어 지거나 전복하거나 할 때,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연료 탱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우징과 플로트 밸브를 갖고, 하우징은, 통기공을 갖는 칸막이 벽에 의해, 위쪽으로 통기실, 아래쪽으로 밸브실(弁室)이 형성되어, 밸브실에 플로트 밸브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가 요동하여, 플로트 밸브에 부력이 작용하면,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 주변에 마련된 밸브 시트에 맞닿아, 통기공을 닫으므로, 통풍실 측으로의 연료 유입이 규제된다. 그 후, 연료의 요동이 진정되어, 플로트 밸브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플로트 밸브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밸브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다시 통기공을 개방시킨다.
그러나, 탱크 내압이 높은 상태에서는, 플로트 밸브가 밸브 시트에 붙어 버려서, 통기공을 개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플로트 밸브 위쪽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탱크 내압이 높은 상태에서도, 밸브 시트로부터 플로트 밸브를 떼내기 쉽게하여 통기공을 개방시킬 수 있는, 즉 재개 밸브 압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래 특허 문헌 1에는, 칸막이 벽을 가지고 위쪽으로 통기실, 아래쪽으로 밸브실을 마련한 하우징과, 밸브실 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트 부재를 구비한 통기 밸브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천장 벽의 하면으로부터는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하고 또한 가늘고 길게 늘어진 림이 형성되어 있고, 이 림의 하단면이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밸브 시트를 이루고 있으며, 이 밸브 시트 내부에, 가늘고 긴 슬릿 형상의 출구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로트 부재의 상부 벽에는, 가늘고 긴 스트립 형상의 연질막편이, 고착 스터드(stud)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제8-25427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공기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시트 내측에 슬릿 형상 출구 개구가 마련되어 있고, 밸브 시트의 개구 폭이 좁기 때문에, 플로트 부재가 상승하여, 스트립 형상의 연질막편이 밸브 시트에 맞닿은 후, 하강하려고 하는 경우에, 밸브 시트로부터 연질막편이 떼어지기 쉬어서, 재개 밸브 압력이 비교적 높다. 그러나, 밸브 시트의 개구 폭이 좁기 때문에, 칸막이 벽의 상하에 배치된 통기실과 밸브실로, 통기공을 통해 연료 증기나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통기성이 저하된다. 또한 밸브 시트의 개구 폭을 넓히면 통기성은 높아지지만, 플로트 하강시에 밸브 시트에 달라붙기 쉬워서, 재개 밸브 압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통기성 유지와 재개 밸브 압력 향상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 유지와 재개 밸브 압력 향상의 양립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칸막이 벽을 사이에 두고, 아래쪽으로 연료 탱크에 연통하는 밸브실, 위쪽으로 연료 탱크 바깥으로 통하는 통기실이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통기실을 연통하는 통기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를 갖고, 상기 칸막이 벽의 상기 밸브실 측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이 밸브 시트의 내측에 상기 통기공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제 1 개구와, 이 제 1 개구의 외주의 적어도 한 곳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로트 밸브의 상부에는, 상기 밸브 시트에 접리하고, 상기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는, 탄성을 갖는 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는, 제 1 개구와, 이 제 1 개구의 외주의 적어도 한 곳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 1 개구뿐만 아니라 제 2 개구에 의하여도, 밸브실과 통기실의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고, 한편, 연료 요동 등으로 플로트 밸브가 연료 침지에 의한 부력으로 상승하고, 그 씰 부가 밸브 시트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에 의해, 씰부를 밸브 시트의 제 2 개구 측으로부터 떼내기 쉽게하여, 재개 밸브 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통기성 유지와 재개 밸브 압력 향상의 양립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요부인 통기공이나 개구를 나타내며, (a)는 그 확대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여, 통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통기공을 닫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려고 할 때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보다 더 플로트 밸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로부터, 더 플로트 밸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통기공이나 개구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며, (a)는 그 저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1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2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3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4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5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6 다른 형상의 설명도, (g)는 제 7 다른 형상의 설명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8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9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10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11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12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13 다른 형상의 설명도, (g)는 제 14 다른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15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16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17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18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19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20 다른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21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22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23 다른 형상 설명도, (d)는 제 24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25 다른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여, 통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관형 벽을 구성하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 (a)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평면도, (b)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통기공을 닫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려고 할 때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2 (a)는 도 21의 B 부 확대도, (b)는 (a)의 D 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의 요부인 통기공이나 개구를 나타내며, (a)는 그 확대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플로트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여, 통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통기공을 닫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려고 할 때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보다 더 플로트 밸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로부터, 더 플로트 밸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통기공이나 개구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며, (a)는 그 저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1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2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3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4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5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6 다른 형상의 설명도, (g)는 제 7 다른 형상의 설명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8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9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10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11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12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13 다른 형상의 설명도, (g)는 제 14 다른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15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16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17 다른 형상의 설명도, (d)는 제 18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19 다른 형상의 설명도, (f)는 제 20 다른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개구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a)는 제 21 다른 형상의 설명도, (b)는 제 22 다른 형상의 설명도, (c)는 제 23 다른 형상 설명도, (d)는 제 24 다른 형상의 설명도, (e)는 제 25 다른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여, 통기공이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관형 벽을 구성하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 (a)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평면도, (b)는 관형 벽 형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상승하여 통기공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밸브 장치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가 통기공을 닫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가 하강하려고 할 때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2 (a)는 도 21의 B 부 확대도, (b)는 (a)의 D 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연료"라 함은 액체 연료 (연료의 비말도 포함)을 의미하고, "연료 증기"는 증발된 연료를 의미한다. 또한, 이 밸브 장치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연료 탱크에 설치되는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밸브 장치(10)는, 대략 관형을 이루고, 위쪽으로 칸막이 벽(23)을 형성한 하우징 본체(20)와, 이 하우징 본체(20)의 위쪽에 장착되는 커버(50)와,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캡(55)을 갖는 하우징(15)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20)는, 대략 관형상을 이룬 둘레벽(21)을 가지고, 그 위쪽에 칸막이 벽(2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21)에는, 복수의 통구(21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래쪽에 걸림공(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21)의 위쪽에는, 걸림 돌기부(21c)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55)은, 복수의 통구(56)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그 외주에 복수의 걸림조(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캡(55)의 걸림조(57)를 하우징 본체(20)의 걸림공(21b)에 걸리게 함으로써, 하우징 본체(20)의 아래쪽에 캡(55)이 장착된다. 그 결과, 상기 칸막이 벽(23)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 아래쪽에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 내에 연통하는 밸브실(V)이 형성된다(도 5 참조). 또한 이 밸브실(V) 내에는, 위쪽으로,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배치된 플로트 밸브(6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도 5 참조).
또한, 도 1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는, 상부가 폐색되고, 하방 주연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확산되어 있는, 대략 모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커버(50)의 둘레벽(51)의 소정 개소에는, 통기구(52a)(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구(52a)의 외주연부로부터, 대략 관형을 이루는 연료 증기 배관(52)이 바깥쪽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연료 증기 배관(52)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용기(canister) 등에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20)의 위쪽의 외주에 씰 링(53)을 장착한 상태에서, 커버(50)를 위쪽으로부터 씌워서, 씰 링(53)을 협지함과 동시에, 커버(5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편을 하우징 본체(20)의 걸림 돌기부(21c)에 걸리게 함으로써, 하우징 본체(20)의 위쪽에 커버(50)가 설치된다. 그 결과, 칸막이 벽(23)을 사이에 두고, 그 위쪽에 연료 탱크 바깥으로 연통하는 통기실(R)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하우징 본체(20)의 설명으로 돌아 가면, 도 5, 도 7, 도 10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칸막이 벽(23)은, 둘레벽(21)의 위쪽 개구의 내주에 배치된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그 중앙부에, 상기 통기실(R)을 향해 소정 높이로 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2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 벽 (23)의 돌출부(24)의 중앙에, 원형상을 이루는 통기공(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공(25)을 통해 상기 밸브실(V)와 상기 통기실(R)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벽은,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20)의 둘레벽(21)의 축 방향 도중에 마련되어도 좋고, 그 형상도 단순한 원판 형상 등으로 하거나, 혹은, 중앙부가 관형으로 융기하여, 그 주연부에 단(段) 형상을 이루는 벽부(어깨 형상 벽부)를 갖는 같은 형상으로도 좋고, 위치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의 면(칸막이 벽(23)의 두께 방향의 하면측)으로부터는 상기 통기공(25)을 둘러싸도록하여, 관형 벽(27)이 아래쪽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3 (a), (b)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의 관형 벽(27)은, 칸막이 벽 (23)의 밸브실(V) 측의 면이며, 통기공(25)의 주연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한 대략 관형을 이루는 제 1 벽부(28)와, 제 1 벽부(28)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향해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벽부(29; 여기에서는 4 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실(V) 측으로부터 칸막이 벽(23)을 하우징(15)의 축 방향을 따라 볼 때, 각 제 2 벽부(29)는, 제 1 벽부(28)의 중심(C1)을 통하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연장 돌출 방향의 기단 측이 폭이 넓고, 연장 돌출 방향 선단 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게 되는 주둥이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제 2 벽부(29)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 측은, 다소 둥근 모양을 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벽부(28)의 내주 형상, 및 각 제 2 벽 부(29)의 내주 형상은, 관형 벽(27)의 돌출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돌출 방향 선단 측면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관형 벽(27)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가, 플로트 밸브(60)의 씰부(65)가 접리(接離)하는 밸브 시트(31)를 이루고 있다. 이 밸브 시트(31)의 내측에, 통기공(25)에 연통하는 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33)는, 상기 관형 벽(27)의 제 1 벽(28)의 내측에 마련된 대략 원형상을 이룬 제 1 개구(34)와, 상기 관형 벽(27)의 각 제 2 벽 부(29)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개구부(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바깥쪽으로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2 개구(35; 여기에서는 4개)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개구(34)은, 상기 통기공(25)에 정합한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통기공(25)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개구(35)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끊김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으며, 제 1 개구(34)와 복수의 제 2 개구(35)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통기공(25)보다도 확경된 하나의 큰 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실(V) 측으로부터 칸막이 벽(23)을 하우징(15)의 축 방향을 따라 볼 때, 각 제 2 개구(35)는, 제 1 개구(34)의 중심(C2)을 통하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연장 돌출 방향의 기단측이 폭이 좁고,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 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게 되는 가늘고 긴 삼각형과 같은 형상을 띈 슬릿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 제 1 개구(34) 및 각 제 2 개구(35)는, 전술한 제 1 벽부(28) 및 각 제 2 벽부(29)의 내주 형상이, 관형 벽(27)의 돌출 방향 기단측으로부터 돌출 방향 선단 측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형상으로 된 것에 대응하여, 관형 벽(27)의 돌출 방향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또한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 예에서 제 2 개구(35)의 광폭으로 형성된 연장 돌출 방향의 기단측의 개구 폭(W)은, 원형상을 이룬 제 1 개구 (34)의 반경(r)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된다(W > r).
또한, 제 2 개구(34)로서는, 1 개나 2 개, 3 개라도 좋고, 또한 5 개 이상 이어도 좋고,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 1 개구(34)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a) ~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31)의 내측의 통기 실(R) 측의 소정 위치에는, 제 2 개구(35)의 안쪽 단면을 덮는 커버(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밸브 시트(31)의 내측이고, 상기 통기공(25)의 통기실(R) 측의 주연의 복수의 제 2 개구(35)에 정합하는 위치에, 둘레 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대략 삼각판 형상을 이룬 복수의 커버(37; 여기에서는 4 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실(V) 측으로부터 칸막이 벽(23)을 하우징(15)의 축 방향을 따라 볼 때, 제 2 개구(35)의 안쪽 단면(端面)에 커버(37)가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 2 개구(35)는, 제 1 개구부(34)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 1 개구(34)는, 통기공(25)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개구(34)를 통해, 제 2 개구(35)도 통기공(25)에 연통되어 있다.
즉, 칸막이 벽(23)에 형성되어 밸브 실(V)과 통기실(R)을 연통하는 통기공 (25)은, 칸막이 벽(23)의 두께 방향에서의 밸브 실(V) 측의 개구부가 제 2 개구(35)에 의해 넓게 열린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고, 통기공(25)는,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에 넓게 열린 개구(33)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벽(23)의 돌출부(24)의 통기실(R) 측의 표면이며, 상기 통기공(25)의 주연으로부터는, 통기공(25)을 둘러싸는 환상(環狀)을 이루고, 통기공(25)에 연통하는 환상 돌기부(39)가 돌출되어 있다. 이 환상 돌기부(39)의 상단부(40)는, 금속제로 원판 형상을 이룬 체크 밸브(45; 도 5 참조)가 접리하는 밸브 시트를 이루고 있다. 또한,이 체크 밸브(45)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환상 돌기부(39)의 밸브 시트를 이루는 상단부(40)에 맞닿아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연료 탱크의 내압이 상승하면, 그 압력에 의해 떠올라 환상 돌기부(39)의 상단부(40)로부터 이탈되어, 밸브실(V) 측으로부터 통기실(R) 측으로 연료 증기를 배출하여, 연료 탱크 내압을 낮출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이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벽(23)의 통기실(R) 측의 상면이며, 돌출부(24)의 외주로부터는, 원 환상을 이룬 환상 벽(4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환상 벽(41)의 내측에는, 상기 체크 밸브(45)가 배치되어, 그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0)의 둘레벽(21)의 윗쪽 내주의 소정 개소에는, 돌기조를 이룬 회전 규제 돌기부(47) 및 같이 돌기조를 이룬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48)가 하우징(15)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 개구(35)의 안쪽 단면이 커버부(37)에서 폐색된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제 2 개구(35)를 폐색하지 않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1 (a)나 도 11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공(25)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개구(33)의 제 2 개구(35)에 정합하는 내주 형상을 갖는 복수의 노치 홈을 형성하고, 이 통기공(25)과, 개구(33)를 형성하는 제 1 개구(34) 및 복수의 제 2 개구(35)를 서로 정합하는 형상으로, 칸막이 벽(23)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한 구멍 형상을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의 하면이며, 개구(33)의 주연 부분이, 밸브 시트(31)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개구(33)는, 원형상의 제 1 개구(34)와, 그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대략 삼각형의 슬릿 형상으로 연장하는 4 개의 제 2 개구(35)로 이루어 지지만, 개구로서는,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 ~ 15에는, 그런 다른 형상의 개구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 (a) ~ (g)의 개구(33A ~ 33G)는, 제 1 개구(34)가 원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도 12 (a)의 개구(33A)는, 제 1 개구(34)의 외주의 한 곳으로부터, 대략 삼각형의 제 2 개구(35)가 바깥쪽으로 향해 뻗어 있다. 도 12 (b)의 개구(33B)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상을 이룬 3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2(c)의 개구(33C)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상을 이룬 3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2 (d)의 개구(33D)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상을 이룬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 (35)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2 (e)의 개구(33E)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는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2 (f)의 개구(33F)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는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의 선단으로 확경한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2 (g)의 개구(33G)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기단측이 확경한 원호 형상으로 선단 측이 테이퍼 형상의 만년필의 펜촉과 같은 형상을 한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3 (a) ~ (g)의 개구(33H ~ 33N)는, 제 1 개구(34)가 원형이고, 또한, 제 2 개구(35)가 일정한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도 13 (a)의 개구(33H)는, 제 1 개구(34)의 외주의 한 곳으로부터,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3 (b)의 개구(33I)는, 제 1 개구(34)의 외주의 대향하는 개소로부터, 가늘고 긴 홈 형상의 한 쌍의 제 2 개구(35,35)가 연장되고 있다. 도 13 (c)의 개구(33J)는, 제 1 개구(34)의 외주의 2 곳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90도 각도를 두고,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35)가 연장되고 있다. 도 13 (d)의 개구(33K)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3 곳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90도의 각도를 두고,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3 (e)의 개구(33L)은,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 한 간격으로 4 개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3(f)의 개구(33M)는 도 13 (e)에 나타낸 제 1 개구(34)보다도, 작은 직경의 제 1 개구(34)를 갖고 있고, 그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4 개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3 (g)의 개구(33N)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부터 균등한 간격으로, 4 개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의 선단이 끝이 가는 테이퍼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4 (a) ~ (g)의 개구(33O ~ 33T)는, 제 1 개구(34)가 각형(角形)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도 14 (a)의 개구(33O)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룬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4 (b)의 개구(33P)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룬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4 (c)의 개구(33Q)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는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4 (d)의 개구(33R)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는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으며, 각 제 2 개구(35) 선단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4 (e)의 개구(33S)는,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홈 형상을 이루고 있는 8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4 (f)의 개구(33T)는, 제 1 개구(34)의 외주에서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룬 3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5 (a) ~ (e)의 개구(33U ~ 33Y)는, 상기 도 12 ~ 14와 더욱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5 (a)의 개구(33U)는, 제 1 개구(35)가 정오각형을 이루고 있으며(이점 쇄선 참조), 제 1 개구(35)의 각면으로부터,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룬 제 2 개구(35)가 연장되고 있다. 도 15 (b)의 개구(33V)는, 제 1 개구(35)가 다른 형상의 오각형을 이루고 있으며(이점 쇄선 참조), 제 1 개구(35)의 각면으로부터, 대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도 15 (c)의 개구(33W)는 제 1 개구(35)가 다른 형상의 오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점 쇄선 참조), 제 1 개구(35)의 각면으로부터 대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룬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고, 또한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된 제 2 개구(35)의 각부(角部)가 R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5 (d)의 개구(33X)는, 제 1 개구(35)가 오각형을 이루고 있으며(이점 쇄선 참조), 제 1 개구(35)의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대략 삼각형을 이루는 한 쌍의 제 2 개구(35,35)가 연장되고 있다. 도 15 (e)의 개구(33Y)는, 원형상을 이룬 제 1 개구(35)와, 이 제 1 개구(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도 12 (g)와 같은, 동일한 만년필의 펜촉 같은 형상을 이룬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개구(34)의 외주이며 4 개의 제 2 개구(35) 사이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원호 형상을 이룬 4 개의 제 2 개구(35)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구로는, 제 1 개구와, 그 외주로부터 슬릿 형상을 이루도록, 또한, 제 1 개구로부터 연속해서 연장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면, 어떤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밸브 실(V)에는, 플로트 밸브(6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이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플로트 밸브(60)는, 상부가 폐색된 대략 관형을 이루고 있으며, 평탄면 형상을 이룬 상면(61a)을 갖는 머리부(6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와 같이, 머리부(61)의 상면(61a)으로부터는, 소정 높이로 세워 설치한 기둥 형상부(63a)와 이 기둥 형상부(63a)의 상단으로부터 머리부(61)의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해 직교하게 연장된 손톱부(63b)로 이루어지는, 역방향의 대략 L 자 형상을 이룬 후크(63)가,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되어 있다(여기에서는 4 개). 또한, 플로트 밸브(60)와 캡(55) 사이에, 플로트 밸브(6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을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머리부(61)의 외주의 소정 개소에는, 플로트 밸브(60)의 축 방향을 따라 오목 홈 형상으로 연장되는 회전 규제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규제 홈(62)에, 하우징 본체(20)의 상부 내주에 마련한 회전 규제 돌기부(47; 도 2 참조)가 삽입되어, 하우징(15)에 대해서 플로트 밸브(60)가 회전 규제된다. 또한, 머리부(61)의 외주에는, 하우징 본체(20)의 상부 내주에 마련한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48; 도 2 참조)가 배치되어, 플로트 밸브(60)의 승강 이동시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또한, 머리부(61)의 상면(61a)에는,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씰부(65)는, 대략 정사각형상을 이루고, 머리부(61)의 상면(61a)의 중앙에 배치되는 주체부(67)와, 이 주체부(67)의 각 측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4 개의 연장 돌출부(69)로 이루어지고, 대략 십자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주체부(67)가,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접리하고, 개구(33)의 제 1 개구(34)를 개폐하고, 한편, 상기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에 접리하여, 개구(33)의 복수의 제 2 개구(35)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도 5 ~ 10 참조).
또한, 씰부(65)는, 주체부(67) 및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고무나 탄성 중합체 등의 탄성 재료로부터, 동일한 판두께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부(65)의 판두께는, 머리부(61)의 표면(61a)과, 머리부(61)의 손톱부(63b)의 걸림면(머리부(61)의 상면(61a)에 대향하는 면)과의 거리보다도, 얇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연장 돌출부(69)의 연장 돌출 방향 선단 측에는, 연장 돌출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장공 형상을 이루고, 후크 구멍(69a)의 기둥 형상부(63a)가 삽입 통과하는 동시에, 손톱부(63b)가 걸림 가능하게 된 후크공(69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부로는, 예를 들어, 원판 형상이나, 타원형, 동전 형상으로 하거나, 혹은, 사각형이나, 오각형, 육각형 등의 각(角) 형상으로 해도 좋고, 또한 두께를 부분적으로 변화시켜도 좋고(예를 들어 : 주체부를 두껍게하고, 연장 돌출부를 얇게하기도 한다),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밸브 시트에 접리하고,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개폐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장 돌출부(69)의 후크공(69a)에, 각 후크(63)를 각각 삽입시켜, 그 손톱부(63b)를 후크 구멍(69a)의 주연에 배치함으로써, 도 5 ~ 10에 나타낸 바 같이, 머리부(61)의 상면(61a)에 대하여, 씰부(65)가 접리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 씰부(65)가 칸막이벽(23)의 밸브 시트(31)에 접리하여 개구(34)를 개폐함으로써, 통기공(25)를 통해, 밸브실(V) 및 통기실(R)을 연통시키거나, 혹은, 밸브실(V) 및 통기실(R)의 연통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플로트 밸브(60)가 연료에 침지되어 있지 않고, 밸브실(V)의 아래쪽에 배치된 정상 상태에서는, 씰부(65)는 머리부(61)의 상면(61a)에 재치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연료의 요동 등에 의해, 플로트 밸브(60)에 연료가 침지되어, 부력이 발생하여 떠오르면, 씰부(65)는, 이에 따라 이동하여 칸막이 벽(23)에 마련한 밸브 시트(31)에 맞닿아, 개구(33)를 닫는다(도 6 참조). 여기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부(65)의 주체부(67)가,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맞닿아, 제 1 개구(34)를 폐색하고, 한편 복수의 연장 돌출부(69)의 기단측이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에 맞닿아서, 복수의 제 2 개구(35)를 각각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 연료의 요동 등이 진정되어, 플로트 밸브(60)에 연료로부터의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플로트 밸브(6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31)에 맞닿아 붙은 상태의 씰부(65)에 대해, 플로트 밸브(60)가 소정 거리만큼 하강하여, 후크(63)의 손톱부(63b)가,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의 후크공(69a)의 주연에 계지하고, 도 8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돌출부(69)에 플로트 밸브(60)의 하중이 집중되어 작용한다. 그러면 도 9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붙은 상태의 주체부(67)에 대해,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비스듬하게 아래쪽을 향해 인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각 연장 돌출부(69)의 기단측이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의 부분으로부터 서서히 이탈되어 나간다. 그리고, 각 연장 돌출부(69)가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 이탈되면, 복수의 연장 돌출부(69)를 통해, 플로트 밸브(60)의 하중이 실부(65)의 주체부(67)에 작용하게 되고,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붙은 주체부(67)를, 밸브 시트(31)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플로트 밸브(6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의 하강시에,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에, 플로트 밸브(60)의 하중이 작용하기 쉬워지지만, 씰부(65)가 플로트 밸브(60)에 대해 이동 가능하지 않아도, 플로트 밸브 하강시에 개구(33)로부터 쉽게 떼어 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씰부(65)가 플로트 밸브(60)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에는, 밸브 시트(31)에 씰부(65)가 맞닿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6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플로트 밸브(60)가 하강하려고 하면, 씰부(65)의,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붙어 있는 부분에 대해, 이 씰부(65)의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쪽의 부분이 탄성 변형되어,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 떼어내어지고, 그 후 씰부(65)의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쪽에 붙어있는 부분이, 용이하게 떼어내어져서, 제 1 개구(34)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 탱크 내의 연료 액면이 상승하지 않고, 플로트 밸브(60)가 연료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실(V) 내에서 플로트 밸브(60)가 하강하고, 개구부(34)가 열려, 통기공(25)을 통해, 밸브실(V)과 통기실(R)이 연통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밸브 시트(31)의 내부에 마련된 통기공(25)에 연통하는 개구(33)가, 제 1 개구(34)와, 그 외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3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개구(34)뿐만 아니라 제 2 개구(35)에 의해, 통기공(25)의 밸브실(V) 측의 개구를 넓힐 수 있어, 밸브실(V)과 통기실(R)의 통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 등에 의해, 연료 탱크 내에서의 연료 증기가 증대하여 탱크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연료 증기는, 캡(55)의 통구(56)나, 하우징 본체(20)의 통구(21a)로부터, 밸브 실(V) 내로 유입하여, 개구(34)나 통기공(25)을 통과하여, 공기 실(R) 내로 흘러서, 연료 증기 배관(52)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용기에 보내져서, 연료 탱크 내의 압력 상승이 억제된다.
그리고, 차량이 커브를 돌거나, 울퉁불퉁 한 길이나 언덕길 등을 주행하거나, 혹은, 사고로 전락하거나 하여, 연료 탱크에 연료가 격렬하게 요동하여 연료 액면이 상승하여, 플로트 밸브(60)가 연료에 침지된 상태가 되면, 플로트 밸브(60) 자체의 부력에 의해, 플로트 밸브(60)가 상승하여,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부(65)의 주체부(67)가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맞닿고, 이 제 1 개구(34)를 폐색함과 동시에,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에 맞닿아, 복수의 제 2 개구(35)를 각각 폐색한다.
이 상태에서, 연료의 요동 등이 진정되어, 플로트 밸브(60)에 연료로부터의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플로트 밸브(6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씰부(65)에 대해 플로트 밸브(60)가 소정 거리만큼 하강하여, 도 9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부(67)에 대해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각각 탄성 변형되어, 각 연장 돌출부(69)를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에 떼어 낼 수 있는 동시에, 이 연장 돌출부(69)의 박리를 계기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붙은 주체부(67)를, 밸브 시트(31)로부터 용이하게 떼어 낼 수 있어, 다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3)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밸브 장치(10)에서는, 개구(33)가, 제 1 개구(34)와, 그의 외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35)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 1 개구(34) 및 제 2 개구(35)에 의해, 밸브실(V)와 통기실(R)의 통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료 요동 등에 의해 플로트 밸브(60)가 연료 침지에 의한 부력으로 상승하여, 씰부(65)가 밸브 시트(31)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6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 때, 슬릿 형상으로 연장된 제 2 개구(35)에 의해, 씰부(65)를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 떼어내기 쉽게하여, 재개 밸브 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이 높은 상태라도, 밸브 시트(31)로부터 플로트 밸브(60)를 떼어내기 쉽게하여, 통기공(25)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통기성 유지 및 재개 밸브 압력 향상의 양립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개구(35)는, 그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 측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 밸브(60)가 상승하여, 씰부(65)가 밸브 시트(31)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6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 때, 씰 부(65)를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 보다 떼어내기 쉽게하여, 재개 밸브 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플로트 밸브(60)는 그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고 할 때, 제 2 개구(35)의 선단 측이 폭이 좁으면,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떼어지기 쉽다. 또한, 제 2 개구(35)의 선단 측이 폭이 넓으면, 탄성을 갖는 씰부(65)가 붙기 쉽게 되어서 떼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는, 개구(33)를 구성하는 제 2 개구(35)는, 제 1 개구 (34)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그 때문에, 플로트 밸브(60)가 기울어진 상태로 하강할 때에,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도 씰 부(65)를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으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어서, 재개 밸브 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33)를 구성하는 제 1 개구(34)는 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 2 개구(35)는 제 1 개구(34)의 반경 r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 유지와 재개 밸브 압력향상의 양립을, 보다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으로부터는, 아래쪽을 향해 관형 벽(27)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관형 벽(27)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가 밸브 시트(31)를 이루고 있으며, 밸브 시트(31)의 내측의, 통풍실(R) 측의 소정 위치에는, 제 2 개구(35)의 안쪽 단면만을 덮는 커버 (37)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 내의 연료가 격렬하게 요동하고, 플로트 밸브(60)가 상승하여 밸브 시트(31)에 맞닿아 개구(33)를 폐색하기 전에 연료가 개구(33)나 통기공(25)을 통해서 통기실(R) 측으로 분출하려고 할 때에, 연료를 커버부(37)에 충돌시켜, 커버(37)와 관형 벽(27)의 제 2 개구(35) 측의 부분(여기에서는 제 2 벽부; 29)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머물게 할 수 있어, 통풍실(R) 측으로의 연료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37)를 마련함으로써, 통기공(25)의 통기실(R) 측으로부터, 밸브 시트를 이루는 돌기부(환상 돌기부; 39)를 마련하기가 용이하게 되어서, 연료 탱크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체크 밸브(45)를 쉽게 배설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4나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의 위쪽에 배치된 탄성의 씰부(65)는, 플로트 밸브(60)의 상승시에, 제 1 개구(34)를 덮는 주체부(67)와, 주체부(67)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연장되어, 제 2 개구(35)를 덮는 연장 돌출부(69)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씰부(65)가 밸브 시트(31)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플로트 밸브(6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 때에, 밸브 시트(31)의 제 1 개구(34) 측에 주체부(67)가 붙어 있는 상태가 되어도, 도 9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부(67)에 대해 연장 돌출부(69)를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하여, 밸브 시트(31)의 제 2 개구(35) 측으로부터 쉽게 떼어 낼 수가 있어서, 재개 밸브 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 ~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의 밸브 장치(10A)는, 주로, 관형 벽부 및 밸브 시트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0A)의 칸막이 벽(23)에는, 도 18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십자형의 슬릿 형상을 이룬 통기공(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 벽(23)의 밸브실(V) 측(하부 측)으로부터, 통기공(25)를 둘러싸는 관형 벽이 아래 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관형 벽은, 칸막이 벽(23)의 통기공(25)의 주연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대략 십자 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된 제 1 관형 벽(85)과, 이 제 1 관형 벽(85)의 돌출 방향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제 1 관형 벽(85)보다도 한층 작은 대략 십자가 프레임 형상으로 돌출된 제 2 관형 벽(87)이 이루어지고, 십자가 프레임 형상 벽이 2 단으로 연속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관형 벽(87)은, 통기공(25)의 중심에 정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대략 관형의 제 1 벽부(88)와, 이 제 1 벽부(88)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바깥 쪽을 향해 연장되는 4 개의 제 2 벽부(89)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벽부(88,89)의 돌출 방향 선단이 밸브 시트(90)를 이루고 있다. 이 밸브 시트(90)의 내측에, 통기공(25)에 연통하는 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도 1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구(33)는, 대략 원형상을 이룬 제 1 개구(34)와, 이 제 1 개구부(34)의 외주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일정 폭의 가늘고 긴 슬릿 홈 형상으로 연장된 4 개의 제 2 개구(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7이나 도 1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90)의 칸막이 벽(23)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밸브 시트(90)의 중심(C3)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이 밸브 시트(90)는, 그 중심(C3) 측이 아래쪽을 향해 크게 돌출하여, 플로트 밸브 상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은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밸브 시트 바깥 쪽을 향해 돌출량이 점차 작아져, 플로트 밸브 상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90)는, 칸막이 벽(23)의 밸브 실(V) 측의 면(이하 간단히 "하면"라고도 함)으로부터의 제 1 벽부(88)의 돌출 높이(H1)가 가장 높고 (칸막이 벽 하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크다), 밸브 시트 바깥 쪽을 향해 점차 돌출 높이가 낮아지고, 칸막이 벽(23)의 하면으로부터의, 제 2 벽부(89)의 돌출 높이(H2)가 가장 낮게되도록 (칸막이 벽 하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다)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 시트(90)는, 그 중심(C3)으로부터 밸브 시트 바깥 쪽을 향해, 완만한 곡면 형상을 그리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18 (b) 참조).
그리고, 이 밸브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A)가 상승하여, 그 씰부(65)가 밸브 시트(90)에 맞닿을 때에, 밸브 시트 (90)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여, 씰부(65)가 탄성 변형되어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씰부(65)가 밸브 시트(90)에 맞닿을 때에는, 씰부(65)의 주체부(67)가 밸브 시트(90)의 가장 아래쪽으로 돌출된 부분(제 1 개구(34) 쪽)에 맞닿는 동시에, 씰 부(65)의 각 연장 돌출부(69)가, 밸브 시트(90)의, 중심(C3)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완만한 곡면 형상을 그리며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제 2 개구(35) 측)에 맞닿음으로써,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장 돌출부(69)가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씰부 중심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플로트 밸브 위쪽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그 결과, 밸브 시트(90)에 대해 씰 부(65)의 연장 돌출부(69)가 비스듬하게 맞닿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칸막이 벽은, 밸브 시트 중심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밸브 시트를 마련한 관형 벽이, 하우징 본체의 칸막이 벽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 구조로되어 있지만, 하우징 본체(20)와는 별체의 부재를 마련하여, 이 다른 부재에 칸막이 벽을 마련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관형 벽은, 제 1 관형 벽(85)과 제 2 관형 벽(87)의 2 단 구조로되어 있지만, 칸막이 벽의 하면 측으로부터 돌출 방향 선단에 이르기까지, 단차없이 돌출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밸브 시트(90)는, 중심(C3)으로부터 밸브 시트 바깥 쪽을 향해 완만한 곡면 형상을 그리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밸브 시트 중심으로부터 밸브 시트 바깥 쪽에 향해 테이퍼면 형상을 이루면서 점차 낮아 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 실시 예에서의 플로트 밸브(60A)의 위쪽에는, 상기 밸브 시트(90)의 돌출 형상에 정합하는 오목부(7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있어서의 오목부(70)는, 플로트 밸브(60A)의 머리부(61)의 상면(61a)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면(70a)이, 플로트 밸브 중심이 가장 깊고, 플로트 밸브 바깥 쪽을 향해 점차 얕아지도록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룬 홈 형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A)가 부상하여, 씰부(65)가 밸브 시트(90)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면서 맞닿은 상태가 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70) 내에 씰 부(65)가 들어가 그 주체부(67)가 오목부(70)의 내면(70a)의 가장 깊은 부분에 밀접함과 동시에, 각 연장 돌출부(69)가 오목부(70)의 내면(70a)의 만곡부분에 밀접하여, 밸브 시트(90)와, 플로트 밸브 (60A)의 위쪽의 오목부(70)와의 틈새가, 씰부(65)에 의해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70)는, 밸브 시트(90)의 돌출 형상에 정합하도록, 내면(70a)가 곡면 형상을 이룬 오목부(70)가 마련되어 있지만, 오목부로는, 예를 들어, 대략 각(角)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 등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밸브 장치(10A)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밸브 시트(90)의 칸막이 벽(23)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밸브 시트(90)의 중심(C3)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A)가 연료에 침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연료의 요동 등에 의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A)가 연료에 침지하여 상승하여, 씰부(65)가 밸브 시트(90)에 맞닿으면, 그 주체부(67)가 밸브 시트(90)의 가장 아래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맞닿는다. 그와 동시에, 씰부(65)의 각 연장 돌출부(69)가, 밸브 시트(90)의 중심(C3)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완만한 곡면 형상을 그리며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부분에 맞닿기 때문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장 돌출부(69)가 완만한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씰부 중심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플로트 밸브 위쪽으로부터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도록 탄성 변형되여, 밸브 시트(90)에 대해서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가 비스듬하게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연료의 요동 등이 진정되어, 플로트 밸브(60A)에 연료로부터의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플로트 밸브(60A)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씰부(65)에 대해 플로트 밸브(60A)가 소정 거리만큼 하강하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부(67)에 대해 복수의 연장 돌출부(69)가 각각 탄성 변형되여, 각 연장 돌출부(69)에 인장력(F1; 도 22 (a) 참조)이 작용한다. 이때,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90)에 대해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의 일부가 비스듬하게 맞닿아 있기 때문에, 도 22 (b)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력(F1)이 분해되어 비스듬한 방향의 분력이 되고, 밸브 시트(90)와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와의 계면에, 비스듬한 방향의 떼어내는 힘(F2)이 작용하기 때문에, 씰부(65)의 연장 돌출부(69)를 밸브 시트(90)로부터 보다 쉽게 떼어낼 수 있어서, 재개 밸브 압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와 씰부가 비스듬하게 맞닿지 않고 수평 방향을 따라 맞닿아 있으면, 플로트 밸브의 자중에 의해, 씰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분해되지 않고, 밸브 시트와 씰부의 계면에 비스듬한 방향의 떼어내는 힘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밸브 시트로부터의 씰부의 박리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이 밸브 시트(90)는, 그 중심(C3) 측이 아래쪽을 향해 크게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밸브 시트 바깥 쪽을 향해 돌출량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60A)가 상승하여, 그 씰부(65)가 밸브 시트(90)에 맞닿을 때에, 먼저, 씰부(65)의 주체부(67)가 밸브 시트(90)의 중심측의 돌출부분에 맞닿은 후, 그에 추종하여 씰 부(65)의 각 연장 돌출부(69)가 탄성 변형되면서 밸브 시트(90)의 외주 부분에 맞닿기 때문에, 밸브 시트(90)에 대한 씰부(65)의 추종성(탄성 변형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밸브 시트(90)와 씰부(65)와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트 밸브(60A)의 위쪽에는, 밸브 시트(90)의 돌출 형상에 정합하는 오목부(70)가 형성되어 있다.그 때문에, 플로트 밸브(60A)의 상승 후 하강할 때, 밸브 시트(90)와 씰부(65)와의 계면에 비스듬한 방향의 떼어내는 힘(F2)이 작용해서, 밸브 시트(90)로부터의 씰부(65)의 박리 용이성을 확보하면서, 플로트 밸브(60A)가 상승하여 씰부(65)가 밸브 시트(90)에 맞닿아, 씰부(65)가 밸브 시트(90)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씰부(65)의 하면이 플로트 밸브(60A)의 오목부(70)의 내면(70a)에 맞닿아, 밸브 시트(90)와 플로트 밸브(60A)와의 틈새가 씰부(65)로 밀봉되기 때문에, 밸브 시트(90)와 씰부(65)와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 예가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
10,10A 밸브 장치
15 하우징
20,20A 하우징 본체
23 칸막이 벽
25 통기공
27 관형 벽
31,90 밸브 시트
33,33A, 33B, 33C, 33D, 33E, 33F, 33G, 33H, 33I, 33J, 33K, 33L, 33M, 33N, 33O, 33P, 33Q, 33R, 33S, 33T, 33U, 33V, 33W, 33X, 33Y 개구
34 제 1 개구
35 제 2 개구
37 커버부
45 체크 밸브
50 커버
53 씰 링
55 캡
60,60A 플로트 밸브
63 후크
65 씰부
67주체부
69 연장 돌출부
70 오목부
R 통기실
V 밸브실
15 하우징
20,20A 하우징 본체
23 칸막이 벽
25 통기공
27 관형 벽
31,90 밸브 시트
33,33A, 33B, 33C, 33D, 33E, 33F, 33G, 33H, 33I, 33J, 33K, 33L, 33M, 33N, 33O, 33P, 33Q, 33R, 33S, 33T, 33U, 33V, 33W, 33X, 33Y 개구
34 제 1 개구
35 제 2 개구
37 커버부
45 체크 밸브
50 커버
53 씰 링
55 캡
60,60A 플로트 밸브
63 후크
65 씰부
67주체부
69 연장 돌출부
70 오목부
R 통기실
V 밸브실
Claims (8)
- 칸막이 벽을 사이에 두고, 아래쪽에 연료 탱크 내에 연통하는 밸브실, 위쪽에 연료 탱크 바깥쪽에 연통하는 통기실이 마련되고, 상기 칸막이 벽에 상기 밸브실과 상기 통기실을 연통하는 통기공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밸브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를 갖고,
상기 칸막이 벽의 상기 밸브실 측에 밸브 시트가 형성되고, 이 밸브 시트의 내측에, 상기 통기공에 연통하는 개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개구는, 제 1 개구와, 이 제 1 개구의 외주의 적어도 한 곳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슬릿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로트 밸브의 위쪽에는, 상기 밸브 시트에 접리하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를 개폐하는 탄성을 갖는 씰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하는 밸브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는,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 측이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개구의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두고 3 개 이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구는 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 2 개구는, 상기 제 1 개구의 반경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벽의 상기 밸브실 측으로부터는, 아래쪽을 향해 관형 벽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관형 벽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밸브 시트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밸브 시트의 내측의, 상기 통기실 측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제 2 개구의 안쪽 단면을 덮는 커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씰부는, 상기 플로트 밸브의 상승시에, 상기 제 1 개구부를 덮는 주체 부와, 상기 주체부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 2 개구를 덮는 연장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벽의 상기 밸브실 측으로부터는, 아래쪽을 향해 관형 벽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관형 벽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밸브 시트를 이루고 있으며,
이 밸브 시트의 상기 칸막이 벽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밸브 시트의 중심으로부터 바깥 쪽을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밸브의 위쪽에는, 상기 밸브 시트의 돌출 형상에 정합하는 오목 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076252 | 2018-04-11 | ||
JP2018076252 | 2018-04-11 | ||
JPJP-P-2018-150777 | 2018-08-09 | ||
JP2018150777 | 2018-08-09 | ||
PCT/JP2019/014824 WO2019198596A1 (ja) | 2018-04-11 | 2019-04-03 | 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2060A true KR20200142060A (ko) | 2020-12-21 |
KR102640273B1 KR102640273B1 (ko) | 2024-02-27 |
Family
ID=6816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32651A KR102640273B1 (ko) | 2018-04-11 | 2019-04-03 | 밸브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733718B2 (ko) |
EP (1) | EP3779171B1 (ko) |
JP (1) | JP6898516B2 (ko) |
KR (1) | KR102640273B1 (ko) |
CN (1) | CN112384691B (ko) |
WO (1) | WO201919859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5898A (zh) * | 2019-12-24 | 2022-08-02 | 百乐仕株式会社 | 阀装置 |
US20230249543A1 (en) * | 2020-06-15 | 2023-08-10 | Piolax, Inc. | Valve device |
US12103380B2 (en) * | 2020-12-22 | 2024-10-01 | Piolax, Inc. | Valve device |
WO2022158489A1 (ja) * | 2021-01-25 | 2022-07-28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弁装置 |
JP2023092376A (ja) | 2021-12-21 | 2023-07-03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弁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158047A1 (en) * | 2014-08-19 | 2017-06-08 | Eaton Corporation | Weighted flapper and splined orifice plate for vent valv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2929U (ko) * | 1990-09-13 | 1992-05-06 | ||
IL112444A (en) * | 1995-01-25 | 1998-01-04 | Raviv Precision Injection Mold | Roll over vent valve |
JP5091689B2 (ja) * | 2008-01-10 | 2012-12-05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フロート弁装置 |
JP2010076467A (ja) * | 2008-09-24 | 2010-04-08 | Toyoda Gosei Co Ltd | 燃料遮断弁 |
CN101881225B (zh) * | 2010-06-17 | 2012-11-07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发动机用单向阀 |
WO2013031273A1 (ja) * | 2011-09-01 | 2013-03-07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チェックバルブ |
CN202545913U (zh) * | 2012-03-29 | 2012-11-2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油箱安全阀 |
WO2015054397A1 (en) * | 2013-10-08 | 2015-04-16 | Parker-Hannifin Corporation | Filter element with undulating seal |
JP6295905B2 (ja) | 2014-09-29 | 2018-03-20 | 豊田合成株式会社 | 燃料遮断弁 |
JP6544114B2 (ja) * | 2015-07-27 | 2019-07-17 | 浜名湖電装株式会社 | 逆止弁装置及び蒸発燃料供給システム |
-
2019
- 2019-04-03 KR KR1020207032651A patent/KR102640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03 WO PCT/JP2019/014824 patent/WO2019198596A1/ja unknown
- 2019-04-03 US US17/046,459 patent/US11733718B2/en active Active
- 2019-04-03 CN CN201980039213.6A patent/CN112384691B/zh active Active
- 2019-04-03 JP JP2020513223A patent/JP6898516B2/ja active Active
- 2019-04-03 EP EP19785249.4A patent/EP37791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70158047A1 (en) * | 2014-08-19 | 2017-06-08 | Eaton Corporation | Weighted flapper and splined orifice plate for vent val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898516B2 (ja) | 2021-07-07 |
EP3779171A1 (en) | 2021-02-17 |
JPWO2019198596A1 (ja) | 2021-03-18 |
US20210157339A1 (en) | 2021-05-27 |
KR102640273B1 (ko) | 2024-02-27 |
WO2019198596A1 (ja) | 2019-10-17 |
EP3779171B1 (en) | 2023-06-14 |
CN112384691B (zh) | 2023-03-24 |
CN112384691A (zh) | 2021-02-19 |
EP3779171A4 (en) | 2021-12-22 |
US11733718B2 (en)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42060A (ko) | 밸브 장치 | |
US8844557B2 (en) | Float valve device | |
KR101194726B1 (ko) | 밸브 장치 | |
US7717126B2 (en) | Float valve structure | |
JP2009274710A (ja) | 燃料タンク用弁装置及び燃料タンク用過給油防止装置 | |
CN105711408B (zh) | 燃料箱用阀装置 | |
US11009147B2 (en) | Valve device for fuel tank | |
US11845332B2 (en) | Valve device | |
US8490642B2 (en) | Fuel-outflow check valve | |
KR20160136329A (ko) |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 |
EP1683672A2 (en) | Fuel-effusion prevention valve | |
US20050133089A1 (en) | Evaporative gas control valve structure | |
KR102591385B1 (ko) |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 |
KR101875815B1 (ko) | 밸브장치 | |
US11932100B2 (en) | Valve device | |
CN220204832U (zh) | 阀装置 | |
JP5827573B2 (ja) | バルブ | |
JP2001082270A (ja) | 液体遮断弁 | |
WO2012118118A1 (ja) | 燃料遮断弁 | |
US20240255065A1 (en) | Valve device for fuel tank | |
US11932101B2 (en) | Valve device | |
CN116745516A (zh) | 阀装置 | |
JP2023092377A (ja) | 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