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416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6416A KR20200136416A KR1020207028748A KR20207028748A KR20200136416A KR 20200136416 A KR20200136416 A KR 20200136416A KR 1020207028748 A KR1020207028748 A KR 1020207028748A KR 20207028748 A KR20207028748 A KR 20207028748A KR 20200136416 A KR20200136416 A KR 20200136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supply
- time
- distributor
- grease
- lubr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6—Lubrica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7/00—Proportioning devices
- F16N27/02—Gating equip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16N29/02—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for influencing the supply of lubric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탑재된 자동급유장치(50)를 갖는다. 자동급유장치(50)는,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급유장치를 탑재한 쇼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급유장치를 탑재한 쇼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자동급유장치는,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과 붐의 사이, 붐과 암의 사이, 암과 버킷의 사이, 붐실린더의 양단 측, 암실린더의 양단 측, 및 버킷실린더의 양단 측 등에 배치된 핀결합부재에 그리스를 급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붐실린더의 부하압, 암실린더의 부하압, 및 버킷실린더의 부하압 중 어느 하나가 기준압을 상회한 경우에, 그 부하압의 증대에 따라 그리스의 공급량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자동급유장치는, 붐실린더의 부하압, 암실린더의 부하압, 및 버킷실린더의 부하압 중 어느 하나가 기준압을 상회한 경우에, 모든 핀결합부재에 대한 그리스의 공급량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마찰량이 작은 핀결합부재에 대한 그리스의 공급량도 증대시켜 버린다.
그래서, 보다 적절히 그리스를 급유 가능한 쇼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자동급유장치를 갖고, 상기 자동급유장치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보다 적절히 그리스를 급유 가능한 쇼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분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급유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분배비율변경처리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분배비율변경처리의 다른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분배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쇼벨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분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급유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분배비율변경처리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분배비율변경처리의 다른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분배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쇼벨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작업요소로서의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작업요소로서의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작업요소로서의 암(5)이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는 작업요소로서의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 굴삭어태치먼트를 구성하며,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실로서의 캐빈(10),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1), 자동급유장치(50) 등이 탑재되어 있다.
자동급유장치(50)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자동적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개소는, 선회기구(2)의 링(GP1), 붐풋핀(GP2), 암풋핀(GP3), 암톱핀(GP4), 붐실린더(7)의 보텀측 연결핀(GP5) 및 로드측 연결핀(GP6), 암실린더(8)의 보텀측 연결핀(GP7) 및 로드측 연결핀(GP8), 버킷실린더(9)의 보텀측 연결핀(GP9) 및 로드측 연결핀(GP10), 제1 버킷링크(6A)의 암측 연결핀(GP11), 및, 제2 버킷링크(6B)의 버킷측 연결핀(GP12)을 포함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측 연결핀(GP10)에 관한 급유개소는, 타원(CA) 내의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버킷링크(6B)에 있어서의 로드측 연결핀(GP10)의 우측(GP10-LK), 제2 버킷링크(6B)에 있어서의 로드측 연결핀(GP10)의 좌측(GP10-LK), 및 버킷실린더(9)의 로드측 연결핀(GP10)의 중앙(GP10-CY)의 3개소를 포함한다. 다만, 타원(CA) 내의 도면은, 하방에서 본 로드측 연결핀(GP10)의 주위의 구조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기본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기본시스템은, 주로, 컨트롤러(30), 표시장치(40), 자동급유장치(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쇼벨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컨트롤러(30)는, CPU 및 내부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0)의 각종 기능은, CPU가 내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표시장치(40)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30)에 접속되는 액정디스플레이이다. 표시장치(40)는, 예를 들면 CAN 등의 통신네트워크, 또는 전용선 등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와 스위치패널(42)을 갖는다. 스위치패널(42)은,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패널이다.
컨트롤러(30), 표시장치(40), 자동급유장치(50) 등은 축전지(7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축전지(70)는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11a)에 의하여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전장품(72), 엔진(11)의 스타터(11b) 등에도 공급된다.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시킨다.
엔진(11)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에 접속되며, 엔진제어장치(ECU)(74)에 의하여 제어된다. ECU(74)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각종 데이터는, 예를 들면 수온센서(11c)로 검출되는 냉각수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내부메모리에 이 데이터를 축적하여, 적절한 타이밍으로 표시장치(40)에 표시할 수 있다.
메인펌프(14)는 작동유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펌프(14)는 사판식(斜板式)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며, 레귤레이터(14a)에 의하여 토출유량이 제어된다. 레귤레이터(14a)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메인펌프(14)의 토출유량을 증감시킨다. 또, 레귤레이터(14a)는 사판경전각(斜板傾轉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토출압센서(14b)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 마련되어 있는 유온센서(14c)는 그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파일럿펌프(15)는, 예를 들면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에 탑재된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좌주행용 유압모터(1L), 우주행용 유압모터(1R), 선회용 유압모터(2A),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등(이하, 집합적으로 “유압액추에이터”라 함)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조작장치(26)는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장치(26)는, 좌조작레버(26L), 우조작레버(26R), 주행레버(26C)를 포함한다. 조작장치(26)가 조작되면, 파일럿펌프(15)로부터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각 파일럿포트에는,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파일럿압)의 작동유가 공급된다.
조작압센서(29)는, 조작장치(26)가 조작되었을 때의 파일럿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30)는, 조작압센서(29)에 의하여 검출되는 파일럿압으로부터,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30)가 갖는 기능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러(30)는, 시간취득부(30a), 급유정보취득부(30b), 및 급유제어부(30c)를 기능요소로서 갖는다.
시간취득부(30a)는, 2시점 간의 경과시간을 취득하는 기능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간취득부(30a)는, 24시간을 넘는 시간을 취급할 수 있다. 시간취득부(30a)는, 예를 들면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의 각각에서 GPS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한 GPS신호(주(週)번호를 포함하는 시각정보)에 근거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사이의 경과시간을 취득한다. 이 경우, 시간취득부(30a)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사이의 경과일수를 도출해도 된다. 시간취득부(30a)는, 달력기능, 및 날짜관리기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사이의(24시간을 초과할 수 있음) 경과시간을 도출해도 된다.
급유정보취득부(30b)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정보취득부(30b)는, 정보취득장치(73),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 등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 및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정보취득장치(73)는 쇼벨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취득장치(73)는, 각도센서(붐각도센서, 암각도센서, 버킷각도센서), 기체경사센서, 선회각속도센서, 실린더압센서(붐로드압센서, 붐보텀압센서, 암로드압센서, 암보텀압센서, 버킷로드압센서, 버킷보텀압센서), 실린더스트로크센서(붐실린더스트로크센서, 암실린더스트로크센서, 버킷실린더스트로크센서), 토출압센서(14b), 및 조작압센서(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정보취득장치(73)는, 예를 들면 쇼벨에 관한 정보로서 붐각도, 암각도, 버킷각도, 기체경사각도, 선회각속도, 붐로드압, 붐보텀압, 암로드압, 암보텀압, 버킷로드압, 버킷보텀압, 붐스트로크양, 암스트로크양, 버킷스트로크양, 메인펌프(14)의 토출압, 및 조작장치(26)의 조작압 중 적어도 하나를 취득한다. 각도센서는,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정보취득장치(73)는, 화상센서(예를 들면, 단안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서모그래피, 거리화상센서) 및 거리센서(예를 들면, 레이저레인지파인더, 레이저레이더, 밀리파센서,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예를 들면 엔진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아이들링모드의 4단계로 엔진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송신한다. 도 2는,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의하여 H모드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엔진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엔진모드이며, 두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키면서 저소음으로 쇼벨을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엔진모드이며, 세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아이들링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엔진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엔진(11)은, 엔진회전수 조정다이얼(75)로 설정된 엔진모드의 엔진회전수로 일정회전수로 제어된다.
급유정보취득부(30b)는, 예를 들면 붐(4), 암(5) 및 버킷(6)의 각각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동상태를 판정한다. 붐(4), 암(5) 및 버킷(6)의 각각의 움직임은, 예를 들면 실린더압센서, 조작압센서, 각도센서 및 실린더스트로크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에 근거하여 검출된다.
급유정보취득부(30b)는, 예를 들면 화상센서 및 거리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업환경을 판정해도 된다. 작업환경은, 예를 들면 윤활제에 이물(물, 진흙, 분진 등)이 혼입하기 쉬운 작업환경, 윤활제가 건조하기 쉬운 작업환경, 및 윤활제가 열화하기 쉬운 작업환경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급유제어부(30c)는, 자동급유장치(50)를 제어하는 기능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시간취득부(30a) 및 급유정보취득부(30b) 등의 출력에 근거하여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키는 타이밍, 및 그 급유를 종료시키는 타이밍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급유제어부(30c)는, 필요에 따라 급유개소를 선택해도 되고, 각 급유개소에 대한 윤활제의 분배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조작자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40)에 표시되는 분배비율을 확인하여, 분배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자동급유장치(50)는, 주로 그리스펌프(51), 그리스탱크(52), 전자밸브(53), 분배기(5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스펌프(51)는, 윤활제펌프의 일례이며, 그리스탱크(52)로부터 전자밸브(53)를 통하여 분배기(54)로 그리스를 압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리스펌프(51)는,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토출량고정형의 전동플런저펌프이다. 단, 그리스펌프(51)는, 토출량가변형이어도 된다. 피스톤은, 전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캠기구에 의하여 왕복운동된다. 컨트롤러(30)는,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그리스펌프(51)에 의한 그리스의 토출을 제어한다. 그리스펌프(51)는, 유압식, 공기압식 등의 다른 구동방식에 의한 펌프여도 된다.
그리스탱크(52)는, 그리스를 수용하는 용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에 의하여 압축방향으로 부세(付勢)된 그리스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용기이다. 페일관(pail can) 등의 다른 용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전자밸브(53)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제어지령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밸브(53)는, 1개의 입구포트와 3개의 출구포트를 구비한 전환밸브이다. 입구포트는 그리스펌프(51)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3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은, 분배기(54)에 접속되어 있다.
분배기(54)는, 그리스펌프(51)에 의하여 압송된 그리스를 급유개소에 분배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배기(54)는, 제1 분배기(54-1), 제2 분배기(54-2) 및 제3 분배기(54-3)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전자밸브(53)의 밸브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제1 분배기(54-1), 제2 분배기(54-2) 및 제3 분배기(54-3) 중 어느 하나에 그리스가 압송되도록 한다. 제1 분배기(54-1), 제2 분배기(54-2) 및 제3 분배기(54-3) 중 적어도 하나에 그리스가 압송되도록 해도 된다. 전자밸브(53)는, 예를 들면 입구포트와 제1 출구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 밸브위치, 입구포트와 제2 출구포트를 연통시키는 제2 밸브위치, 입구포트와 제3 출구포트를 연통시키는 제3 밸브위치, 및 3개의 출구포트의 모두를 차단하는 제4 밸브위치를 갖는다.
도 3은, 분배기(54)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분배기(5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배기(54-1), 제2 분배기(54-2) 및 제3 분배기(54-3)를 포함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제1 분배기(54-1)는, 1개의 입구포트와 7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1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7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버킷(6)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분배기(54-1)는, 입구포트에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7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분배기(54-2)는, 1개의 입구포트와 3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2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3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암(5)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분배기(54-2)는, 입구포트에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3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분배기(54-3)는, 1개의 입구포트와 9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3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9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선회기구(2) 및 붐(4)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분배기(54-3)는, 입구포트에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9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3의 분배기(54)는, 최대로 19개소의 급유개소에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의 급유번호 #1, #2, ····, #19는, 19개소의 급유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19개소의 급유개소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급유개소여도 된다.
표 1은, 급유번호와 급유개소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이, 제1 분배기(54-1)에 관한 급유번호 #1~#7은, 버킷(6)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고, 제2 분배기(54-2)에 관한 급유번호 #8~#10은, 암(5)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며, 제3 분배기(54-3)에 관한 급유번호 #11~#19는, 선회기구(2) 및 붐(4)에 관한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어 있다. 또, 표준사양의 쇼벨에서는, 급유번호 #1에 대응하는 버킷측 연결핀(GP12)에 관한 급유개소는 1개소로 되어 있지만, 크레인사양의 쇼벨에서는 2개소이다.
[표 1]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급유제어부(30c)가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키거나 혹은 정지시키는 처리(이하, “급유처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급유처리의 플로차트이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30)가 기동하고 있을 때에, 소정의 제어주기로 반복하여 이 급유처리를 실행한다.
컨트롤러(30)의 기동에 수반되어 급유처리가 개시되면, 먼저, 급유제어부(30c)는, 급유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급유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급유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개시지령을 출력했을 때에 급유플래그의 값을 “1”(“급유 중”을 나타내는 값)로 하고,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정지지령을 출력했을 때에 급유플래그의 값을 “0”(“비급유 중”을 나타내는 값)으로 한다. 자동급유장치(50)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급유 중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급유 중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T1의 NO), 급유제어부(30c)는,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2). “비급유시간”은,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가 행해지지 않는 상태인 비급유상태의 계속시간을 의미한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정지지령을 출력했을 때에, 비급유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시간취득부(30a)가 취득하는 급유정지지령 출력 후의 경과시간에 근거하여 비급유상태의 계속시간을 감시한다. 설정상태정보로서의 제1 설정시간은, 비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이며, 예를 들면 30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설정시간은, 급유간격이라고도 칭해진다.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2의 YES), 급유제어부(30c)는,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킨다(스텝 ST3).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개시지령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펌프(51)에 대하여 구동개시지령을 출력하고, 또한 전자밸브(53)에 대하여 밸브제어지령을 출력한다. 전자밸브(53)에 대한 밸브제어지령은, 예를 들면 원하는 밸브위치를 실현하기 위한 지령이다. 이 경우, 급유개시지령은, 구동개시지령과 밸브제어지령의 조합을 의미한다.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2의 NO), 급유제어부(30c)는,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키지 않고, 이번의 급유처리를 종료시킨다.
스텝 ST1에 있어서 급유 중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T1의 YES), 급유제어부(30c)는,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에 이르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4). “급유시간”은,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인 급유상태의 계속시간을 의미한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개시지령을 출력했을 때에, 급유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 그리고, 시간취득부(30a)가 취득하는 급유개시지령 출력 후의 경과시간에 근거하여 급유상태의 계속시간을 감시한다. 설정상태정보로서의 제2 설정시간은, 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이며, 예를 들면, 5분(300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 중의 5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1 분배기(54-1)로 그리스가 압송되도록 하고, 제2 설정시간 중의 2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2 분배기(54-2)로 그리스가 압송되도록 하며, 또한 제2 설정시간 중의 3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3 분배기(54-3)로 그리스가 압송되도록, 자동급유장치(50)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 제어에 의하여 실현되는 분배비율을 “분배비율 50:20:30”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설정시간(300초간) 중 50%(150초간)가 제1 분배기(54-1)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고, 20%(60초간)가 제2 분배기(54-2)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며, 30%(90초간)가 제3 분배기(54-3)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된다. 제1 분배기(54-1)로의 그리스의 공급은, 전형적으로는, 150초간 연속하여 행해지지만, 예를 들면 50초간씩 3회로 나누어 행해져도 된다. 즉, 제1 분배기(54-1)로의 그리스의 공급시간이 합계로 150초간이 되면 된다. 제2 분배기(54-2) 및 제3 분배기(54-3)로의 그리스의 공급시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에 이르렀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4의 YES), 급유제어부(30c)는,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정지시킨다(스텝 ST5).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대하여 급유정지지령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펌프(51)에 대하여 구동정지지령을 출력하고, 또한 전자밸브(53)에 대하여 밸브제어지령을 출력한다. 전자밸브(53)에 대한 밸브제어지령은, 예를 들면 출구포트의 모두를 차단하는 제4 밸브위치를 실현하기 위한 지령이다. 이 경우, 급유정지지령은, 구동정지지령과 밸브제어지령의 조합을 의미한다.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에 이르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4의 NO), 급유제어부(30c)는,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정지시키지 않고, 이번의 급유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급유제어부(30c)는, 제1 설정시간만큼 계속하는 비급유상태와 제2 설정시간만큼 계속하는 급유상태를 교대로 실현시킬 수 있다. 즉, 급유를 종료시킨 후의 경과시간이 소정 시간에 이르렀을 때에 다음의 급유를 개시시킨다. 다만, 이 경과시간은, 기본적으로, 엔진(11)을 정지시키고 있을 때의 경과시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 엔진(11)을 정지시키고 있을 때의 경과시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급유제어부(30c)가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하는 처리(이하, “분배비율변경처리”라 함)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분배비율변경처리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킬 때에, 이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컨트롤러(30)의 급유제어부(30c)는,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1). 특정 부위는, 예를 들면 붐관련부위, 암관련부위, 버킷관련부위, 및 선회기구관련부위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작업부하는, 운전상태정보의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은지 높지 않은지로 나타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킷관련부위는,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급유개소에 관련된 부위이다. 암관련부위는,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급유개소에 관련된 부위이다. 버킷관련부위 및 선회기구관련부위는,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급유개소에 관련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고부하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고부하플래그는, 붐고부하플래그, 암고부하플래그, 버킷고부하플래그, 선회고부하플래그 등, 각 특정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부하플래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특정 부위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작업부하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1개의 고부하플래그여도 된다.
컨트롤러(30)는,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 경우에 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정보취득장치(73)의 출력에 근거하여, 최근의 비급유시간에 있어서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가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조작압센서(29)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붐조작레버의 합계조작시간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각도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붐(4)의 합계동작량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붐(4)의 합계동작량은, 예를 들면 총상승동작량과 총하강동작량의 합계이며, 회전각도로 나타나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스트로크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붐실린더(7)의 합계신축량(총신장량과 총수축량의 합계)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보텀압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에 있어서의 붐풋핀에 작용하는 핀면압의 적산(積算)값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각도센서 및 붐보텀압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에 있어서의 붐풋핀에 관한 PV값의 적산값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PV값은, 붐풋핀에 작용하는 핀면압과 붐(4)의 합계동작량의 곱으로 나타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상부선회체(3)에 장착된 화상센서가 출력하는 작업대상(지면 등)의 화상에 근거하여, 버킷관련부위에 이물(물, 진흙 또는 분진 등)이 혼입하기 쉬운 작업환경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버킷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상부선회체(3)에 장착된 서모그라피가 출력하는 열화상, 또는, 붐풋핀 등의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열전대의 출력에 근거하여, 붐풋핀의 온도가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버킷(6)에 장착된 가속도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비급유시간에 있어서, 버킷(6)을 지면에 내던지는 등, 버킷(6)에 관한 거친 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즉, 버킷(6)의 취급방법이 거칠다고 판정한 경우,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하여 버킷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해도 된다.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11의 YES), 컨트롤러(30)의 급유제어부(30c)는,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스텝 ST12).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고부하플래그 중 어느 것의 값이 “1”이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 그리고, 비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인 제1 설정시간, 및 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인 제2 설정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3개의 분배기(54)의 각각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아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 초기상태의 분배비율 50:20:30을 분배비율 75:5:20으로 한다. 즉, 제2 설정시간 중의 5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1 분배기(54-1)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을, 제2 설정시간 중의 75%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1 분배기(54-1)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으로 한다. 한편으로, 제2 설정시간 중의 2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2 분배기(54-2)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을, 제2 설정시간 중의 5%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2 분배기(54-2)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으로 한다. 또, 제2 설정시간 중의 3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3 분배기(54-3)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을, 제2 설정시간 중의 20%에서 그리스펌프(51)로부터 제3 분배기(54-3)로 그리스가 압송되는 설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설정시간(300초간) 중의 150초간이 제1 분배기(54-1)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고, 60초간이 제2 분배기(54-2)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며, 90초간이 제3 분배기(54-3)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어 있던 설정은, 제2 설정시간(300초간) 중의 225초간이 제1 분배기(54-1)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고, 15초간이 제2 분배기(54-2)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며, 60초간이 제3 분배기(54-3)로의 그리스의 공급에 할당되는 설정으로 변경된다.
단, 급유제어부(30c)는, 제1 설정시간 및 제2 설정시간 중 적어도 일방을 증감시킨 뒤에,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분배비율을 유지한 채로 분배량을 증감시켜도 된다.
또, 급유제어부(30c)는, 특정 부위마다의 합계조작시간, 작업요소마다의 합계동작량, 유압실린더마다의 합계신축량, 핀마다의 핀면압 혹은 PV값의 적산값, 특정 부위마다의 작업환경, 핀마다의 온도, 또는 작업요소마다의 취급방법 등에 따라 변경 후의 분배비율을 결정해도 된다.
혹은, 급유제어부(30c)는, 쇼벨의 현재의 작업모드에 근거하여 변경 후의 분배비율을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모드는, 통상모드(굴삭모드) 및 크레인모드를 포함하고, 캐빈(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환된다. 작업모드는, 리프팅마그넷모드, 및 하베스터모드(임업모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A) 및 도 6의 (B)를 참조하여,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급유상태 및 비급유상태의 시간적 추이(推移)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온”은 급유상태를 나타내고, “오프”는 비급유상태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도 6의 (B)는, 붐관련부위, 암관련부위 및 버킷관련부위의 각각에 관한 고부하상태(작업부하가 높아져 있는 상태) 및 비고부하상태(작업부하가 높아져 있지 않은 상태)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온”은 고부하상태를 나타내고, “오프”는 비고부하상태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도 6의 (A)의 가로축에 대응한다.
도 6의 (A)는, 제1 설정시간(T1)만큼 계속하는 비급유상태와 제2 설정시간(T2)만큼 계속하는 급유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2 설정시간(T2)에는,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1),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2), 및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3)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도 6의 (A)는, 특정 부위에 있어서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유제어부(30c)는, 시각 t1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제2 설정시간(T2)에 걸친 급유를 개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고부하플래그의 값을 참조한다. 그리고,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서는 붐관련부위, 암관련부위 및 버킷관련부위가 모두 고부하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초기상태(분배비율 50:20:30)로 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50%에 상당하는 기간(R1)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20%에 상당하는 기간(R2)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30%에 상당하는 기간(R3)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2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3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각 t2에서 시작된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버킷조작레버의 합계조작시간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버킷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했을 때에 버킷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붐관련부위 및 암관련부위 등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 후, 시각 t4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버킷고부하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버킷관련부위가 고부하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75:5:20으로 변경한다. 또,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개시시켰을 때에 버킷고부하플래그의 값을 “0”으로 리셋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7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2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5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6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암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각 t5에서 시작된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암(5)의 합계동작량이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암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암관련부위의 작업부하가 높다고 판정했을 때에 암고부하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그 후, 시각 t7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암고부하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암관련부위가 고부하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35:45:20으로 변경한다. 또,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개시시켰을 때에 암고부하플래그의 값을 “0”으로 리셋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3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4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2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8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9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유제어부(30c)는, 고부하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특정 부위가 모두 고부하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초기상태(분배비율 50:20:30)로 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5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2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3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10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분배비율변경처리의 다른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분배비율변경처리의 다른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급유제어부(30c)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킬 때, 이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컨트롤러(30)는, 특정 부위의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21). 조작빈도는, 운전상태정보의 일례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은지 높지 않은지로 나타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고빈도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특정 부위의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고빈도플래그는, 붐고빈도플래그, 암고빈도플래그, 버킷고빈도플래그 및 선회고빈도플래그 등, 각 특정 부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빈도플래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특정 부위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1개의 고빈도플래그여도 된다.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조작압센서(29)의 출력에 근거하여 유압액추에이터가 동작한 횟수를 카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회용 유압모터(2A),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의 각각이 동작한 횟수를 개별적으로 카운트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의 동작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 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다른 특정 부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컨트롤러(30)는, 특정 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 경우에 고빈도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특정 부위의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T21의 YES), 급유제어부(30c)는,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스텝 ST22).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고빈도플래그 중 어느 하나의 값이 “1”이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 그리고, 비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인 제1 설정시간, 및 급유상태를 계속시키는 목표시간인 제2 설정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3개의 분배기(54)의 각각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시간을 변경함으로써,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버킷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 초기상태의 분배비율 50:20:30을 분배비율 75:5:20으로 한다.
단, 급유제어부(30c)는, 제1 설정시간 및 제2 설정시간 중 적어도 일방을 증감시킨 뒤에,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분배비율을 유지한 채로 분배량을 증감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A) 및 도 8의 (B)를 참조하여,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급유상태 및 비급유상태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온”은 급유상태를 나타내고, “오프”는 비급유상태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붐관련부위, 암관련부위 및 버킷관련부위의 각각에 관한 고빈도상태(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는 상태) 및 비고빈도상태(조작빈도가 높아져 있지 않은 상태)의 시간적 추이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온”은 고빈도상태를 나타내고, “오프”는 비고빈도상태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도 8의 (A)의 가로축에 대응한다.
도 8의 (A)는, 제1 설정시간(T1)만큼 계속하는 비급유상태와 제2 설정시간만큼 계속하는 급유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2 설정시간(T2)에는,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1),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2), 및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가 행해지는 기간(R3)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도 8의 (A)는, 특정 부위에 있어서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제2 설정시간, 및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급유제어부(30c)는, 시각 t1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제2 설정시간(T2)에 걸친 급유를 개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도 7의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제어부(30c)는, 내부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고빈도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서는, 붐관련부위, 암관련부위 및 버킷관련부위가 모두 고빈도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초기상태(분배비율 50:20:30)로 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50%에 상당하는 기간(R1)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20%에 상당하는 기간(R2)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30%에 상당하는 기간(R3)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2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3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버킷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각 t2에서 시작된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버킷실린더(9)의 동작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버킷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버킷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했을 때에 버킷고빈도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붐관련부위 및 암관련부위 등의 다른 부위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 후, 시각 t4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도 7의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유제어부(30c)는, 버킷고빈도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버킷관련부위가 고빈도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제2 설정시간(T2)을 제2 설정시간(T2A)으로 연장한 뒤에,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75:5:20으로 변경한다. 또,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개시시켰을 때에 버킷고빈도플래그의 값을 “0”으로 리셋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7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2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5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A)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6에 있어서, 컨트롤러(30)는, 붐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시각 t5에서 시작된 비급유시간 내에 있어서의 붐실린더(7)의 동작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 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붐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붐관련부위의 조작빈도가 높다고 판정했을 때에 붐고빈도플래그의 값을 “1”로 한다.
그 후, 시각 t7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도 7의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유제어부(30c)는, 붐고빈도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붐관련부위가 고빈도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제2 설정시간(T2A)을 제2 설정시간(T2B)(<T2)으로 단축한 뒤에,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25:25:50으로 변경한다. 또,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개시시켰을 때에 붐고부하플래그의 값을 “0”으로 리셋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2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25%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5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8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B)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그 후, 시각 t9에 있어서 비급유시간이 제1 설정시간(T1)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재개시킨다. 이때, 급유제어부(30c)는, 도 7의 분배비율변경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급유제어부(30c)는, 고빈도플래그의 값을 참조하여, 제1 설정시간(T1)에 걸친 최근의 비급유상태에 있어서 특정 부위가 모두 고빈도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제2 설정시간(T2B)을 초기설정의 제2 설정시간(T2)으로 되돌린 뒤에,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초기상태(분배비율 50:20:30)로 한다.
이 경우, 급유제어부(30c)는, 제2 설정시간(T2)의 5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1 분배기(54-1)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고, 2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2 분배기(54-2)를 통하여 급유를 행하며, 30%에 상당하는 기간에서 제3 분배기(54-3)를 통하여 급유를 행한다.
그 후, 시각 t10에 있어서 급유시간이 제2 설정시간(T2)에 이르면, 급유제어부(30c)는 급유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자동급유장치(50)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복수의 급유개소의 각각에 보다 적절히 그리스를 급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분배기(54)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분배기(54)는, 4개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점에서, 3개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도 3의 분배기(54)와 다르지만, 그 외의 점에서 도 3의 분배기(54)와 공통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제1 분배기(54-1)는, 1개의 입구포트와 4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1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4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가장 엄격한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분배기(54-1)는, 입구포트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4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분배기(54-2)는, 1개의 입구포트와 5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2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두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분배기(54-2)는, 입구포트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분배기(54-3)는, 1개의 입구포트와 5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3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세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분배기(54-3)는, 입구포트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분배기(54-4)는, 1개의 입구포트와 5개의 출구포트를 갖는다. 각 출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에는 역지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입구포트로부터 뻗는 호스는, 전자밸브(53)의 제3 출구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뻗는 호스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네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3 분배기(54-3)는, 입구포트로 받아들인 그리스와 동량의 그리스를 5개의 출구포트의 각각으로부터 차례로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9의 분배기(54)는, 최대로 19개소의 급유개소에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의 급유번호 #1, #2, ····, #19는, 19개소의 급유개소를 나타내고 있다. 19개소의 급유개소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급유개소여도 된다.
표 2는, 급유번호와 급유개소의 대응관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9의 예에서는, 상술과 같이, 제1 분배기(54-1)에 관한 급유번호 #1~#4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가장 엄격한 윤활조건에 있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고, 제2 분배기(54-2)에 관한 급유번호 #5~#9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두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에 있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어 있다. 또, 제3 분배기(54-3)에 관한 급유번호 #10~#14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세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에 있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고, 제4 분배기(54-4)에 관한 급유번호 #15~#19는, 굴삭작업에 있어서 네번째로 엄격한 윤활조건에 있는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대응되어 있다.
[표 2]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에 탑재된 자동급유장치(50)를 갖는다. 그리고, 자동급유장치(50)는,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보다 적절히 복수의 급유개소에 윤활제를 급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윤활제가 과하게 많은 상태, 윤활제가 부족한 상태, 윤활제가 열화한 상태, 혹은 윤활제에 있어서의 이물의 혼입률이 높은 상태에서 작업요소가 작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윤활제의 누설(흩날림), 윤활불량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바람직하게는, 자동급유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의 컨트롤러(30)를 갖는다. 자동급유장치(50)는, 바람직하게는, 윤활제펌프로서의 그리스펌프(51)와, 그리스펌프(51)가 토출하는 그리스를 분배하는 분배기(54)와, 그리스펌프(51)와 복수의 분배기(54)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환밸브로서의 전자밸브(53)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밸브(53)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여도 되고,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특정 부위마다의 합계조작시간, 작업요소마다의 합계동작량, 유압실린더마다의 합계신축량, 핀마다의 핀면압 혹은 PV값의 적산값, 핀마다의 온도, 및 작업요소마다의 취급방법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조작압센서(29), 각도센서 및 실린더압센서 등의 정보취득장치(73)를 이용하여 취득된다.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특정 부위마다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는, 특정의 급유개소가 물에 잠겨 있는지, 및 특정의 급유개소의 주위의 온도가 높은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화상센서 및 거리센서 등의 정보취득장치(73)를 이용하여 취득된다.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는,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요소마다 그룹으로 나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윤활조건의 엄격함에 근거하여 그룹으로 나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자동급유장치(50)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그룹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그룹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은, 적절한 타이밍으로, 복수의 급유개소(GP1~GP12)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6)에 관한 급유개소, 암(5)에 관한 급유개소, 및 선회기구(2)와 붐(4)에 관한 급유개소의 각각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조정할 수 있다. 혹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격한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 및 그다지 엄격하지 않은 윤활조건하에 놓이는 급유개소의 각각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치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의 각각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급유제어부(30c)는, 컨트롤러(30)와는 별개로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전자밸브(53)는, 복수의 분배기(54)를 통하여 복수의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단, 전자밸브(53)는, 분배기(54)를 통하지 않고, 복수의 급유개소에 배치된 토출구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밸브(53)는, 19개소의 급유개소의 각각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쇼벨(100)이 취득하는 정보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쇼벨의 관리시스템(SYS)을 통하여, 관리자 및 다른 쇼벨의 조작자 등과 공유되어도 된다. 도 10은, 쇼벨의 관리시스템(SY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관리시스템(SYS)은, 쇼벨(100)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시스템(SYS)은, 주로, 쇼벨(100), 지원장치(200), 및 관리장치(300)로 구성된다. 쇼벨(100), 지원장치(200), 및 관리장치(300)의 각각은,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휴대전화통신망, 위성통신망, 또는 근거리무선통신망 등을 통하여 서로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관리시스템(SYS)을 구성하는 쇼벨(100), 지원장치(200), 및 관리장치(300)는, 각각 1대여도 되고, 복수 대여도 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관리시스템(SYS)은, 1대의 쇼벨(100)과, 1대의 지원장치(200)와, 1대의 관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지원장치(200)는, 전형적으로는 휴대단말장치이며, 예를 들면 시공현장에 있는 작업자 등이 휴대하는 노트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컴퓨터이다. 지원장치(200)는, 쇼벨(100)의 조작자가 휴대하는 컴퓨터여도 된다. 단, 지원장치(200)는, 고정단말장치여도 된다.
관리장치(300)는, 전형적으로는 고정단말장치이며, 예를 들면 시공현장 외의 관리센터 등에 설치되는 서버컴퓨터이다. 관리장치(300)는, 가반성(可搬性)의 컴퓨터(예를 들면, 노트 PC,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여도 된다.
지원장치(200) 및 관리장치(300) 중 적어도 일방(이하, “지원장치(200) 등”이라 함)은, 모니터와 원격조작용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원격조작용 조작장치를 이용하면서, 쇼벨(100)을 조작한다. 원격조작용 조작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통신망, 위성통신망, 또는 근거리무선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쇼벨의 관리시스템(SYS)에서는, 쇼벨(100)의 컨트롤러(30)는, 급유에 관한 정보를 지원장치(200) 등에 송신해도 된다. 급유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자동급유장치(50)에 의한 급유를 개시시키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 그 급유를 종료시키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 급유량에 관한 정보, 설정상태정보에 관한 정보, 운전상태정보에 관한 정보,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 또는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다고 판정된 시각(이하, “판정시각”이라 함)에 관한 정보, 판정시각에 있어서의 그 기체의 일부의 위치에 관한 정보, 판정시각에 있어서의 쇼벨(100)의 작업내용에 관한 정보, 판정시각에 있어서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 및 판정시각 및 그 전후의 기간에서 측정된 쇼벨(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지면의 경사에 관한 정보, 및 날씨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쇼벨(1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파일럿압, 및 유압액추에이터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압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컨트롤러(30)는, 정기적으로 급유에 관한 정보를 지원장치(200) 등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급유에 관한 정보를 지원장치(200) 등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특정 부위의 작업부하 또는 조작빈도가 높아져 있다고 판정되는 것 등이다.
컨트롤러(30)는, 촬상장치가 촬상한 화상을 지원장치(200) 등에 송신해도 된다. 촬상장치는, 쇼벨(100)의 주위의 공간을 촬상하도록 구성되며, 쇼벨(100)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쇼벨(1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은, 예를 들면 판정시각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에 촬상된 복수의 화상이어도 된다. 소정 기간은, 판정시각에 선행하는 기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30)는, 판정시각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쇼벨(100)의 작업내용에 관한 정보, 쇼벨(100)의 자세에 관한 정보, 및 굴삭어태치먼트의 자세에 관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장치(200) 등에 송신해도 된다. 지원장치(200) 등을 이용하는 관리자가, 작업현장에 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각 급유개소에 대한 그리스의 분배비율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원인 등을 관리자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서는, 그와 같은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관리자가 쇼벨(100)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은, 2018년 3월 3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8-070027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1···하부주행체
1L···좌주행용 유압모터
1R···우주행용 유압모터
2···선회기구
2A···선회용 유압모터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1···엔진
11a···발전기
11b···스타터
11c···수온센서
14···메인펌프
14a···레귤레이터
14b···토출압센서
14c···유온센서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
26···조작장치
26C···주행레버
26L···좌조작레버
26R···우조작레버
29···조작압센서
30···컨트롤러
30a···시간취득부
30b···급유정보취득부
30c···급유제어부
40···표시장치
41···화상표시부
42···스위치패널
50···자동급유장치
51···그리스펌프
52···그리스탱크
53···전자밸브
54···분배기
54-1···제1 분배기
54-2···제2 분배기
54-3···제3 분배기
54-4···제4 분배기
70···축전지
72···전장품
74···엔진제어장치
75···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
100···쇼벨
200···지원장치
300···관리장치
1L···좌주행용 유압모터
1R···우주행용 유압모터
2···선회기구
2A···선회용 유압모터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1···엔진
11a···발전기
11b···스타터
11c···수온센서
14···메인펌프
14a···레귤레이터
14b···토출압센서
14c···유온센서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
26···조작장치
26C···주행레버
26L···좌조작레버
26R···우조작레버
29···조작압센서
30···컨트롤러
30a···시간취득부
30b···급유정보취득부
30c···급유제어부
40···표시장치
41···화상표시부
42···스위치패널
50···자동급유장치
51···그리스펌프
52···그리스탱크
53···전자밸브
54···분배기
54-1···제1 분배기
54-2···제2 분배기
54-3···제3 분배기
54-4···제4 분배기
70···축전지
72···전장품
74···엔진제어장치
75···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
100···쇼벨
200···지원장치
300···관리장치
Claims (6)
-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자동급유장치를 갖고,
상기 자동급유장치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고,
상기 자동급유장치는,
윤활제펌프와,
상기 윤활제펌프가 토출하는 윤활제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윤활제펌프와 복수의 상기 분배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급유개소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유개소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급유개소의 작업환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유개소는, 작업요소마다 그룹으로 나뉘고,
상기 자동급유장치는, 하나의 그룹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그룹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유개소는, 윤활조건의 엄격함에 근거하여 그룹으로 나뉘고,
상기 자동급유장치는, 하나의 그룹에 대한 급유량과 다른 그룹에 대한 급유량을 따로따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쇼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70027 | 2018-03-30 | ||
JPJP-P-2018-070027 | 2018-03-30 | ||
PCT/JP2019/013787 WO2019189659A1 (ja) | 2018-03-30 | 2019-03-28 | ショベ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6416A true KR20200136416A (ko) | 2020-12-07 |
KR102587520B1 KR102587520B1 (ko) | 2023-10-10 |
Family
ID=6806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8748A KR102587520B1 (ko) | 2018-03-30 | 2019-03-28 | 쇼벨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025134A1 (ko) |
EP (1) | EP3779057A4 (ko) |
JP (1) | JP7326251B2 (ko) |
KR (1) | KR102587520B1 (ko) |
CN (1) | CN112020585A (ko) |
WO (1) | WO20191896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243466A1 (en) * | 2022-02-03 | 2023-08-03 | Caterpillar Inc. | Automatic Lubrication System for Kinematic Linkage |
CN114542933B (zh) * | 2022-02-18 | 2023-10-31 | 郑州奥特科技有限公司 | 机械设备上润滑脂排量可分区独立调节的润滑方法 |
US20230392348A1 (en) * | 2022-06-06 | 2023-12-07 | Caterpillar Inc. | Lubric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Machine with Kinematic Linkages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51400A (ja) * | 1991-05-30 | 1992-12-07 | Komatsu Ltd | 自動給油脂装置 |
JPH0542895U (ja) * | 1991-11-06 | 1993-06-1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機械の自動給脂システム |
JPH0614252U (ja) * | 1992-07-28 | 1994-02-22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自動給脂装置の制御装置 |
KR20040110423A (ko) * | 2003-06-19 | 2004-12-31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중장비 작업장치의 작동압을 이용한 그리이스 급유장치 |
JP2007074292A (ja) | 2005-09-06 | 2007-03-22 | Kddi Corp |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
JP2017166224A (ja) * | 2016-03-16 | 2017-09-21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 |
US20180017210A1 (en) * | 2016-07-18 | 2018-01-18 | Deere & Company | Device for supplying lubricant to a vehicl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44447A (en) * | 1979-01-08 | 1981-01-13 | Northwest Engineering Company | Mobile power crane-excavator with open gear greasing |
JPH0735661B2 (ja) * | 1988-01-26 | 1995-04-19 | 油谷重工株式会社 | 自動給脂装置 |
US5482138A (en) * | 1991-11-06 | 1996-01-09 |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 Automatic greasing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and abnormality detecting method therefor |
JPH10237897A (ja) * | 1997-02-27 | 1998-09-08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の自動給脂装置 |
JPH10237896A (ja) * | 1997-02-27 | 1998-09-08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の自動給脂装置 |
JP2003097677A (ja) * | 2001-09-21 | 2003-04-03 | Toyota Motor Corp | 動力伝達機構の潤滑装置 |
JP3715961B2 (ja) * | 2002-11-12 | 2005-11-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磁弁 |
JP2007248228A (ja) * | 2006-03-15 | 2007-09-27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軸受部監視装置、給脂装置および作業機械 |
SE531604C2 (sv) * | 2007-10-17 | 2009-06-02 | Atlas Copco Rock Drills Ab | Anordning och metod för att styra tillförsel av smörjmedel vid ett arbetsfordon |
CN102261102B (zh) * | 2011-05-04 | 2013-06-12 | 上海三一重机有限公司 | 一种挖掘机的自动润滑系统 |
US9920878B2 (en) * | 2012-04-20 | 2018-03-20 |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 Lubrication system and controller |
US20170114957A1 (en) * | 2014-04-17 | 2017-04-27 |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 Lubrication system with lubricant condition monitoring |
US9551460B2 (en) * | 2014-12-23 | 2017-01-24 |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 Bearing system with lubrication controller |
US9683697B2 (en) * | 2015-03-31 | 2017-06-20 |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of confirming lubrication to bearing |
JP6911328B2 (ja) | 2016-11-01 | 2021-07-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蓄熱装置及び車両用エアコン装置 |
-
2019
- 2019-03-28 KR KR1020207028748A patent/KR102587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3-28 WO PCT/JP2019/013787 patent/WO201918965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3-28 EP EP19776259.4A patent/EP3779057A4/en active Pending
- 2019-03-28 CN CN201980024055.7A patent/CN112020585A/zh active Pending
- 2019-03-28 JP JP2020511031A patent/JP7326251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9-28 US US17/034,554 patent/US2021002513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51400A (ja) * | 1991-05-30 | 1992-12-07 | Komatsu Ltd | 自動給油脂装置 |
JPH0542895U (ja) * | 1991-11-06 | 1993-06-1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機械の自動給脂システム |
JPH0614252U (ja) * | 1992-07-28 | 1994-02-22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自動給脂装置の制御装置 |
KR20040110423A (ko) * | 2003-06-19 | 2004-12-31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중장비 작업장치의 작동압을 이용한 그리이스 급유장치 |
JP2007074292A (ja) | 2005-09-06 | 2007-03-22 | Kddi Corp |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
JP2017166224A (ja) * | 2016-03-16 | 2017-09-21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 |
US20180017210A1 (en) * | 2016-07-18 | 2018-01-18 | Deere & Company | Device for supplying lubricant to a vehicl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25134A1 (en) | 2021-01-28 |
EP3779057A1 (en) | 2021-02-17 |
JPWO2019189659A1 (ja) | 2021-04-15 |
EP3779057A4 (en) | 2021-05-26 |
CN112020585A (zh) | 2020-12-01 |
KR102587520B1 (ko) | 2023-10-10 |
JP7326251B2 (ja) | 2023-08-15 |
WO2019189659A1 (ja) | 2019-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7520B1 (ko) | 쇼벨 | |
US10094094B2 (en) | Shovel connectable with an information terminal | |
US11788253B2 (en) | Shovel, and management apparatus and assist device for shovel | |
CN104380761B (zh) | 挖土机的管理装置及管理方法 | |
KR102456138B1 (ko) | 쇼벨 | |
JP6366989B2 (ja) | 建設機械 | |
JP7395477B2 (ja) | 作業機械 | |
KR102471489B1 (ko) |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 |
KR20220037440A (ko) | 쇼벨 | |
JP7400027B2 (ja) | ショベル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 |
EP4159932A1 (en) | Excavator and excavator system | |
EP4317603A1 (en) | Excavator and display device for excavator | |
KR102463856B1 (ko) | 쇼벨 | |
CN105040771B (zh) | 建筑机械 | |
CN106013314A (zh) | 装载机智能辅助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