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413A -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413A
KR20200136413A KR1020207028120A KR20207028120A KR20200136413A KR 20200136413 A KR20200136413 A KR 20200136413A KR 1020207028120 A KR1020207028120 A KR 1020207028120A KR 20207028120 A KR20207028120 A KR 20207028120A KR 20200136413 A KR20200136413 A KR 2020013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tapping
dispensing
container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나스 크리스티안센
토마스 베르크 숄티
피터 바흐
Original Assignee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3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5Change-over devices, i.e. connecting a flow line from an empty container to a ful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8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bartenders
    • B67D2210/00091Bar management mean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음료 분배 구역은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용기와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를 음료 수용부로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밸브에 연결된 원격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밸브는 빈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해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되고, 원격 제어 수단과 밸브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위치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본 발명은 음료(beverage) 분배(dispensin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음료 용기들로부터 음료의 분배를 원격으로 개시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용기들을 구비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은 대량의 음료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시설 내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생맥주와 사이다와 같은 탄산 알콜 음료를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무-알콜 맥주와 같은 무-알콜 음료, 청량 음료 및 와인과 과일 주스와 같은 무-탄산 음료 역시 음료 분배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배될 수 있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바(bar), 레스토랑 및 호텔과 같은 전문 업소들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지만, 가정과 같은 개인 사용자들을 위해 점덤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음료 분배 시스템은 대형 음료 통(keg) 내에 제공되는 음료를 분배한다. 이러한 음료 통은, 음료 통을 교환할 필요가 있기 전에, 예를 들어, 50 내지 100회의 음료 분배 작업들을 가능하게 하는 전문적인 음료 분배 시스템의 경우 예를 들어, 20 내지 50L의 음료를 담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 통들은 강철과 같은 고체 재료로 제조되어 다수회 충진된다. 음료 통들은 각각의 통들을 충진하기 전에 조심스럽게 세척된다. 불충분한 세척은 음료 통을 비위생적으로 만들어 음료 소비자의 건강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료 통들은 전술한 위생 문제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회용으로만 사용하기 위해 접힐 수 있도록 제조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통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음료 분배 시스템의 예는 출원인의 회사에서 제공하는 DraughtMaster™ 시스템이다. 접힐 수 있는 음료 통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력 챔버 내에 음료 통을 설치할 수 있다. 압력 챔버로부터 음료를 분배하는 동안, 공기 압축기와 같은 압력 발생원으로부터 나오는 압력 유체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접이식 통)에 작용함으로써 음료를 강제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음료를 분배하는 동안 음료 용기가 접히고 분배된 음료의 양에 따라 음료 용기의 부피가 감소된다. 바람직하게, 접힐 수 있는 통은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하고 일회용 재료로 만들어진다.
분배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압력에 따른 힘은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배출시키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tapping) 라인으로 음료가 유동되게 한다. 탭핑 라인은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는 탭핑 디바이스로 이어진다. 전형적으로, 탭핑 헤드는 탭핑 밸브, 및 이러한 탭핑 밸브를 운영자가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료 분배 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탭핑 핸들과 같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음료 용기가 거의 비어 있으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들이 발생한다.
한 가지 문제는 거품 발생이다. 예건대, 강철 통과 같이 단단한 통을 사용하는 표준 음료 분배 시스템은 탄산 음료와 가압 가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가 거의 비었을 때, 상당한 양의 가스가 음료 라인으로 들어가서 음료 라인 내의 나머지 음료와 혼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탭핑하는 동안 음료 탭으로부터 많은 양의 거품이 빠져 나갈 수 있다. 과도한 양의 거품으로 음료 잔(glass)이 채워지면 매력이 떨어질 수 있고 많은 경우 폐기되어야 한다. 또한, 음료 라인 내에 거품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득찬 새로운 음료 용기를 설치한 후에 채워지는 첫 번째 음료 잔에도 거품이 많아지게 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음료 분배 시스템과 같이 공통의 탭핑 디바이스에서 종료되는 공통 분배 라인을 통해 음료를 분배하는 시스템에서, 용기의 재료, 음료의 부피 및 가해지는 압력의 작은 차이로 인해, 음료 용기들은 가득찬 상태로 시작되었지만 서로 다른 시간에 비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음료 용기가 비게 될 때, 가스로 채워진 헤드 공간 또는 단순히 헤드 공간이 남아 있고, 헤드 공간이 붕괴됨에 따라 음료 라인 속으로 가스가 주입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러한 가스는 탭핑 라인으로 들어가서 비어 있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음료 용기의 음료와 혼합될 수 있는 거품을 생성한다. 빈 음료 용기를 교체함으로써, 다음 용기가 비워지고 라인이 다시 거품으로 채워질 때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비어 있지 않은 음료 용기 내에 실제로 몇 리터의 음료가 남아 있더라도 음료 용기들이 교체되어야 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사실상 첫 번째 빈 음료 용기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음료 용기가 거의 비었을 때, 음료 라인을 비어 있지 않은 음료 용기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영자 또는 사용자(예, 바텐더)는 음료 용기들이 위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해당 음료 용기들의 근처에 위치된 밸브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탭핑 라인의 교환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료 용기들은 탭핑 헤드들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용기들은 바 카운터(bar counter)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 즉, 원격 장소들, 일반적으로, 지하실 또는 적어도 별도의 룸(room) 또는 바 카운터로부터 운영자의 물리적인 이동이 필요한 장소들에 위치될 수 있다. 음료 용기(통)가 비게 되는 상태는 바 카운터에서 바쁜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운영자 및/또는 음료를 기다리는 고객이 음료 라인을 비어 있지 않은 용기로 운영자가 전환시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GB 2 180 917은 술집 주인이 맥주 3배럴과 가스통을 분배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대중 술집(public house)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전기 기계식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US 4247018은 대형의 비-가압 용기들 내에 포장된 액체의 재고 회전(stock rotation)을 위한 비-가압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 2016/026693은 동일한 분배 탭에 연결된 다수의 용기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운터 아래(under the counter)"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JP 2002068379A는 캔과 병과 같은 음료 용기들 내에 가스 압력에 의해 음료를 붓는 가정용 음료 서버(server)에 관한 것이다. JP 2017503725A는 상이한 형태의 음료 또는 음료 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222729B1은 다수의 용기들을 가진 맥주 공급원에 탭핑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탭핑 포인트를 구비하는 맥주 탭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EP 322729A1은 압력 하에서 음료를 분배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벨 스위치를 가진 중간 용기는 다수의 음료용 저장 용기들과 분배 탭으로 이어지는 라인에 연결된다. US 3738388은 단일 분배 탭 또는 출구를 다수의 유체 공급원 중 선택된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 3878970은 하나의 꼭지(faucet) 또는 꼭지와 연통하는 헤더를 구비하는 적절한 덕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통들로부터 나오는 맥주를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WO 2007107704A1은 탄산 음료가 전달 밸브를 통해 스피것(spigot)으로 이어지는 전달 튜브로 분배되는 음료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DE 202006010613U1은 공급 선택으로부터 나오는 혼합된 음료를 공급하는 한편 공급 선택으로부터 나오는 혼합된 음료를 제거하고 그것을 배달 디바이스를 통해 배달 선택으로 전달하기 위한 파이프가 장착된 공급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공급 선택이 비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플로트/전도성 센서와 같은 디바이스가 있다. WO 2017097820A1은 제1 알콜 백분율을 정의하는 가압된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입구 및 제2 알콜 백분율을 정의하는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입구를 가진 혼합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폰트(font)에 관한 것이다. US 5909825는 제1 및 제2 음료 용기들 및 용기들에 연결된 분배기를 포함하는 음료의 중단없는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안에 있는 상응하는 밸브들은 근처에 위치되지 않고 예컨대, 바 카운터에 통합됨으로써 탭핑 헤드 근처에 위치된다. GB 1474237A는 맥주 공급이 고갈되었을 때를 감지하기 위한 탐지기와 공급되는 맥주를 보유하는 맥주 통과 다수의 맥주 통들의 임의의 어느 하나를 연결하기 위한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맥주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S 3625399는 음료가 분배되고 있는 용기가 비어 있을 때 다른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맥주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맥주가 들어 있는 배럴들(경질 음료 용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선택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시에 작동하여 하나의 배럴로부터 탭까지의 라인을 개방한다. 선택기 제어 디바이스는 탭 체스트(chest) 위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는 반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배럴들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GB 2505903A는 분배 라인들 내에 남아 있는 음료를 가압된 가스를 사용하여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시하는 바, 컨트롤러는 음료 분배기 또는 바 영역 근처에 위치되지만, 밸브 매니폴드는 음료 저장 디바이스가 위치된 음료 저장 영역 내에 위치된다. GB 2298462A는 US 3625399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분배 출구, 즉 음료 탭 근처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지만 해당 밸브들이 배럴들(음료 용기들)에 인접하는 음료 분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분배 구역에서 지속적인 음료 공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영자 또는 사용자가 간단한 방식으로 하나의 음료 용기로부터 다른 음료 용기로, 예를 들어,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빠르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음용 시설(drinking establishment)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음료 분배 구역은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용기들과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전형적으로 음료를 음료 수용부(recipient)로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spount)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은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음료 분배 시스템은 원격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와 같은 원격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 수단은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제2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시키기 위한 예컨대,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시키기 위한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된 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밸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에 인접하게 및/또는 그 부근에 위치된다. 즉, 상기 탭핑 헤드들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사람이 원격 제어 수단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부근"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즉, 원격 제어 수단 및 밸브 또는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바와 같이, 음료 카운터의 음료 측(beverage side), 바 카운터, 또는 음료 폰트 조립체 내에 통합되는 밸브 세트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도달 거리에 위치된 운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의 설명과 첨부된 되면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운영자는 운영자 측(operator side) 내에 위치하므로, 탭핑 헤드들의 도달 거리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으로 다른 음료 용기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운영자는 바 영역이나 판매 지점을 떠나지 않고서도 하나의 음료 라인 내의 음료 용기가 비워진 후 편리한 때에 음료 용기들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리모컨과 밸브는 동일한 탭핑 헤드로부터 나오는 상이한 음료 형태들 사이의 용이한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특히, 음료들의 맛이 비슷한 무-알콜 맥주와 맥주를 함유하는 일반 알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알콜 맥주는 점심 때 제1 탭핑 헤드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맥주가 포함된 일반 알콜은 저녁 때 제2 탭핑 헤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즉, 탭핑 헤드들의 갯수를 늘리지 않고서도 바(bar)에서 사용 가능한 음료 형태의 수를 늘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렇게 되면 운영자는 음료 용기들을 변경할 시기 또는 서빙 계속 시기를 자체적으로 계획하여 선택할 수 있다. 판매 지점(Point of Sales: POS)은 바텐더와 같은 운영자와 고객 사이의 인터페이스 구역이다. 운영자 측은 POS의 일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영자가 음료의 공급을 변경하는데 중요한 시간 버퍼(time buffer)를 제공하여, 특히 특별한 스포츠 이벤트, "특별 할인 시간대(해피 아워)" 및 저녁 서빙과 같은 바쁜 시간에 그들이 고객과 함께 머무를 수 있게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음료 용기" 및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음료 용기"라는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 전체를 통해 각각 "통(keg)" 및 "접힐 수 있는 통"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제1 측면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원격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원격 제어 버튼들 또는 스위치들이 있다. 각각의 원격 제어 버튼은 특정의 음료 용기와 해당 밸브에 연관될 수 있다. 버튼 또는 스위치는 각각 음료 용기에 대한 온(on)-오프(off)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적합하게 작동이 용이하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터치 스크린의 일부이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특정 음료 용기 내의 음료의 내용물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따라서, 가득찬 음료 용기는 100%로 표시되고, 거의 비어있는 용기는 예컨대, 5%로 표시된다. 운영자는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거의 비어 있거나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원격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음용 시설 내의 특별 이벤트에서, 병 맥주의 경우, 운영자가 가용 맥주의 양을 더 잘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들은 생맥주(탭핑 헤드로부터 분배되는)보다 병 맥주를 제공하고 싶은 유혹을 받을 수 있다. 생맥주의 경우, 운영자는 서빙을 카운트하거나 센서를 통하는 것 외에는 남아 있는 맥주의 양을 일반적으로 확신할 수 없고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운영자는 병 맥주를 공급하는 용이한 해결책을 선택함으로써, 분배되는 생맥주 또는 모든 종류의 음료의 소비를 크게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얼마나 많은 맥주 또는 임의의 형태의 음료가 남아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제어 및 지식을 운영자가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상당히 완화된다. 이에 따라, 더 많은 생맥주가 분배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카운터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카운터는 적어도 운영자 측과 음료 측을 구획하고, 상기 음료 측은 적어도 하나의 면(face)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측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면은 수직 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탭핑 헤드들의 조립체의 일부이다.
적절하게, 수직 면은 벽의 형태이다. 수직 면은 별도의 벽, 예컨대 그 안에 내장된 패널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수직 면은 구부러질 수 있다. 수직 면은 바텐더와 상기 탭팅 헤드들로부터 공급되는 음료를 고객이 더 잘 볼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벽은 주름진 벽 또는 편평한 벽일 수 있다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 탭핑 헤드들의 조립체는 다수의 탭핑 헤드들 예컨대, 상이한 맥주와 같이 상이한 음료를 각각 제공하는, 3-60개, 5-50개의 탭핑 헤드들로 구성된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폰트 조립체 내의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는 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폰트은 상기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 카운터는 작동자 측과 상기 작동자 측 반대편의 고객 측을 구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스파우트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폰트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상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음용 시설"이라는 용어는 바, 펍(pub), 카페, 식당(canteen), 레스토랑, 경기장 및 개인 가정과 같이, 음료, 특히 맥주가 소비되는 지역 또는 구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용 시설은 음료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 카운터 및/또는 바 카운터와 연관된 POS가 내부에 존재하는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한다. 또한, 음료 분배 구역은 폰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료 용기들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이다.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통들은 기존의 단단한 통들, 특히 강철 통들과 비교하여 취급이 더 용이하다.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통들은, 폐기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가득찬 새로운 접힐 수 있는 통으로 교체가 더 용이하다.
개시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전형적인 FOB 감지기들이 사용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FOB 감지기들은 음료 라인들 내의 거품 형성을 방지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FOB 감지기들은 일반적으로 음료를 통과시키지만 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플로터(floater)를 포함한다. FOB 감지기들은 모든 모듈에 맞게 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FOB 감지기들은 깨끗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우므로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오염의 위험이 있다.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2개 이상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은 원칙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갯수의 음료 용기들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자 또는 사용자는 2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자주 음료 용기들을 교환해서는 안된다. 또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캡슐화하는 다수의 압력 챔버들을 위해 동일한 압력원과 냉각원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3개 내지 50개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갯수는 특히 모듈식 시스템에 적합하고, 이것은 용기의 변경을 위한 중단들 사이에 다량의 음료를 분배할 수 있는 것과 특히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를 캡슐화하는 압력 챔버들의 비용 사이의 절충안이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은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와 제2 세트의 일부이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적어도 음료 용기들의 제3 세트와 제4 세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밸브 예컨대, 제1 밸브는 상기 제1 세트와 연관된 제1 탭핑 라인 및 상기 제2 세트와 연관된 제2 탭핑 라인을 통해 다수의 출구들에 연결된다. 다른 밸브 예컨대, 제2 밸브는 제3 세트와 연관된 제3 탭핑 라인 및 제4 세트와 연관된 제4 탭핑 라인을 통해 다수의 출구들에 연결된다.
이것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종류의 맥주와 같은 상이한 종류의 음료들을 분배할 때 운영자의 유연성을 더욱 향상킨다.
제1, 제2, 제3, 제4 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세트의 임의의 하나는 운영자의 요구 및/또는 소비 조건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세트는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탭핑 헤드로부터 분배되는 제1 형태의 음료의 3개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음료에 대한 수요가 높으면, 각각의 세트 내의 3개의 음료 통들은 운영자에게 필요한 유연성과 적절한 시간 버퍼를 제공한다.
제2 탭핑 헤드로부터 분배되는 제2 형태의 음료의 수요가 적으면, 음료 용기들의 제3 세트는 단지 하나의 음료 통을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용기의 제4 세트 역시 동일하다.
어떤 경우에도, 다수의 음료 통들, 즉 2개 이상의 음료 통들은 본 개시에 따라 대응하는 밸브에 연결된다. 위의 예에서, 제1 형태의 음료의 경우, 6개의 음료 통들이 사용되고(제1 세트 및 제2 세트에 각각 3개의 통들이 사용), 제2 형태의 음료의 경우, 2개의 통들이 사용된다(제3 세트 및 제4 세트에 각각 1개의 통이 사용).
따라서, 밸브는 2개의 입구들과 1개의 출구를 가진 3-웨이 밸브가 적합하다. 원격 제어 수단과 밸브가 근처에 있으므로, 제1 탭핑 헤드를 통해 분배되는 제1 형태의 음료의 제1 세트가 비게 될 때 운영자는 제1 세트의 음료 통으로부터 제2 세트의 음료 통으로 쉽게 변경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제2 형태의 음료가 제2 탭핑 헤드를 통해 분배되고 있는 경우, 제3 세트의 음료 통으로부터 제4 세트의 음료 통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제1 세트의 음료 통 또는 제2 세트의 음료 통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인의 계류 중인 유럽 특허 출원 17197309.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는 통들 사이를 중단없이 변경하고 음료 라인 내에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세트는 동일한 제2 세트의 음료 용기의 바닥에 있는 출구보다 더 높은 레벨에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의 바닥에 있는 출구에 의해 스태거(staggered) 방식으로 적절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밸브 또는 밸브들은 원격 제어 수단을 통해 개별적으로 작동되어 해당 탭핑 라인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운영자는 전기 케이블을 시스템에 연결할 필요없이 수동으로 직접 간단한 방식으로 가득찬 음료 통들의 주어진 세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시스템의 훨씬 더 간단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밸브는 운영자가 예컨대, 바 카운터 또는 음료 카운터로부터 쉽게 취급할 수 있는 플립(flip)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제1 측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는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 상기 바 카운터, 또는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 중 임의의 하나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밸브는 예컨대, 음료 폰트에 통합되거나, 즉 폰트의 일부로 통합되거나, 바 카운터 내에 통합되거나, 음료 카운터 내에 통합되는 바와 같이 그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제1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음용 시설 내부의 다른 룸, 특히 지하실과 같은 원격 장소에 위치된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언급된 목적과 다른 목적들은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음료 용기들 및 상기 음료 분배 구역 내에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음료 분배 제어 수단 및 음료를 음료 수용부에게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방법은, 밸브에 연결되는 원격 제어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빈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밸브를 다수의 상기 음료 출구들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른 방법은 제1 측면의 실시예들의 특징들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는 또한 밸브에 연결된 원격 제어 수단이 없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포함한다. 따라서, 음용 설비를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음료 분배 구역은 다수의 음료 용기들 및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수용부에게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은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빈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위치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 수단을 사용하여 밸브 또는 밸브들을 전환하는 대신에, 바 카운터로부터 그것을 직접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간단한 시스템 및/또는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언급된 장점들도 적용된다. 즉, 운영자는 전기 케이블을 시스템에 연결할 필요가 없이 가득찬 음료 통들의 주어진 세트로 간단한 방식으로 수동으로 직접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시스템의 훨씬 더 간단하고 안전한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밸브는 운영자가 예컨대, 바 카운터 또는 음료 카운트로부터 용이하 취급할 수 있는 플립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제3 측면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카운터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카운터는 적어도 운영자 측과 음료 측을 구획하고, 상기 음료 측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측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면은 수직 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탭핑 헤드의 조립체의 일부이다.
제3 측면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폰트 조립체 내의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는 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폰트는 상기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 카운터는 운영자 측 및 상기 운영자 측에 반대되는 고객 측을 구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스파우트 및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폰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이라는 용어는, 음료 카운터의 음료 측, 바 카운터, 또는 음료 폰트 조립체 내에 통합된 밸브 또는 밸브들의 세트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도달 거리에 위치된 운영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운영자는 운영자 측 내에 따라서, 태핑 헤드들의 도달 거리 내에 위치된다.
제3 측면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제1 또는 제2 측면의 실시예들의 특징들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cleaning)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시스템의 세정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 개시된 시스템의 원격 제어 수단 및 밸브의 활용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시된 시스템과 전체 구조가 유사한 음료 분배 시스템의 세정은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WO 2010/029122, WO 2010/060946, WO 2011/117192 및 PCT/EP2018/079437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출원들은 모두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일반적으로 볼 때, 음료 분배 시스템의 세정은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잔여 음료를 제거하기 위해 시스템 예컨대, 탭핑 라인과 탭핑 헤드를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세정 유체(cleaning fluid)가 필요하다. 세정 유체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플러싱 유체(flushing fluid)가 이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세정 시스템은 음료 분배 시스템에 통합된 부분 또는 그 외부 부분일 수 있고,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는 필요한 경우 음료 분배 시스템에 수동으로, 반-자동으로 연결되는 외부 용기들 내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음료 분배 시스템의 압력 챔버(들)에 꼭 들어맞는 내부 용기(들) 또는 동일한 압력원이 압력 챔버 내의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고 압력 챔버와 결합된 용기로부터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압력 챔버와 결합된 용기(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음료 분배 시스템의 세정은 예를 들어, 시스템이 음료 분배 모드에 있는지 또는 세정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밸브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모드에서 세정 유체는 탭핑 라인(들), 음료 라인(들)을 통과하고 탭핑 헤드(들) 및 스파우트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탭핑 라인들, 음료 라인들 및 모든 탭핑 헤드들은 동시에 세정된다.
밸브에 연결된 현재 개시된 원격 제어 수단은 음료 분배 시스템, 특히 음료 분배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이 여전히 사용되는 상태에서 시스템의 일부만을 세정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밸브(들)는 탭핑 헤드 근처에 위치되기 때문에, 시스템, 특히 음료 출구들과 밸브 사이의 탭핑 라인 내의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의 순환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밸브는 2개의 밸브 출구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밸브의 위치에서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1 음료 출구를 통해 나오는 유체 및/또는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와 같은 액체가 제2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2 음료 출구로 공급될 수 있고, 즉, 제1 및 제2 음료 출구들이 세정될 수 있고, 이러한 세정은 원격으로 제어되는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적어도 제2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절환하도록 밸브가 구성되는 것에 부가하여, 밸브는 원격으로 제어되는 밸브의 위치에서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탭핑 라인을 통해 들어 오는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가 제2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탭핑 라인으로 유도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세정 유체 및/플러싱 유체가 음료 용기들의 위치에 도달하면 폐기될 수 있는데, 이것은 탭핑 헤드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거기로부터 폐기되는 일반적인 절차와 상이하다. 탭핑 헤드 근처의 밸브를 통해 음료 라인을 "단축(shortcutting)"하는 이점은, 음료 라인들의 상응하는 쌍만 세정될 수 있는 반면 나머지 음료 라인들과 탭핑 헤드들은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음용 시설의 야간/폐점 시간 동안 음료 시스템의 세정이 거의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컴퓨터/프로세싱 유니트에 의해 밸브가 자동으로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음료 분배 시스템의 세정은 훨씬 더 자동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탭핑 라인들은 음료 용기들 근처의 위치, 바람직하게 해당 음료 출구들에 인접한 위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부가적인 세정/분배 밸브, 및 선택적으로 탭핑 라인들 사이의 연결 라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제2) 밸브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원격 제어 수단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므로,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는 탭핑 헤드들로부터 빠져 나가는 대신에 탭핑 라인들 내에서 순환할 수 있다. 이것은 음료 분배 시스템의 세정의 제어를 개선하고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세정 기능의 예로서, 개시된 본 시스템은 분배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분배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분배 밸브는 분배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거나 수용될 수 있다. 분배 라인은 전형적으로 근위 끝단과 원위 끝단을 구획하고, 상기 근위 끝단은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원위 끝단은 상기 분배 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분배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를 가지며, 상기 개방 위치는 압력 챔버가 가압될 때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음료를 분배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는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상기 음료가 분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세정 유체 및 플러싱 유체는 하나 이상의 압력 챔버들 내에 배치되거나 이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카트리지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챔버 내에 위치된 세정 유체를 함유하는 제1 카트리지의 형태에서, 압력 챔버를 가압하면 분배 밸브가 개방되어 분배 밸브로부터 세정 유체가 분배되고, 세정 유체는 제1 카트리지로부터 제1 커넥터를 지나 분배 라인을 통해 유동하여 분배 밸브로부터 분배되고, 제1 카트리지로부터 세정 유체가 비워진 후 제거된다. 또한, 압력 챔버 내에 위치된 플러싱 유체를 포함하는 제2 카트리지에서, 압력 챔버를 가압하면 분배 밸브가 개방되어 분배 밸브로부터 플러싱 유체가 분배되고, 플러싱 유체는 제2 카트리지로부터 제1 커넥터를 지나 분배 라인을 통해 유동하여 분배 밸브로부터 분배되고, 제2 카트리지로부터 플러싱 유체가 비워진 후 제거된다.
제1 카트리지와 제2 카트리지는 단일의 압력 챔버 내의 배치를 위한 다중-챔버 카트리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WO 2010/060946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세정 및 플러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음료를 함유하는 접힐 수 있는 통을 수용하기 위한 밀봉가능한 압력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챔버는 제1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접힐 수 있는 통은 상기 제1 커넥터와 협력하고 이것을 밀봉하기 위한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상기 압력 챔버, 분배 라인, 분배 밸브 및 분배 디바이스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압력 챔버에 연결된 유체 압력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분배 밸브는 상기 분배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거나 수용되고, 상기 분배 라인은 근위 끝단과 원위 끝단을 구획하고, 상기 근위 끝단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고 상기 원위 끝단은 상기 분배 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분배 밸브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를 가지고, 상기 개방 위치는 상기 압력 챔버가 가압될 때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음료를 분배시키고, 상기 폐쇄 위치는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상기 음료가 분배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를 포함한다.
(i) 세정 유체를 포함하는 제1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
(ⅱ) 상기 압력 챔버 내에 상기 제1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카트리지를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하고, 상기 압력 챔버를 가압하는 단계;
(ⅲ) 상기 분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상기 세정 유체를 분배하여, 상기 세정 유체가 상기 제1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를 지나 상기 분배 라인을 통해 유동시켜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분배시키는 단계;
(ⅳ) 상기 제1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세정 유체를 비운 후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1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상기 제1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단계;
(v) 플러싱 유체를 포함하는 제2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단계;
(ⅵ) 상기 압력 챔버 내에 상기 제2 카트리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상기 제2 카트리지를 연결하고, 상기 압력 챔버를 가압하는 단계;
(ⅶ) 상기 분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상기 플러싱 유체를 분배하여, 상기 플러싱 유체가 상기 제2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를 지나 상기 분배 라인을 통해 유동시키고 상기 분배 밸브로부터 분배시키는 단계; 및
(ⅷ) 상기 제2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플러싱 유체를 비운 후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2 카트리지를 분리하여, 상기 제2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단계.
도 1은, 음료 카운터 상에 장착된 다수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구역, 및 바 카운터 상에 장착된 다수의 탭핑 헤드들을 가진 폰트를 포함하는 음료 폰트 조립체를 구비하고, 원격 제어 수단 및 연결된 밸브(들) 뿐만 아니라, 2개는 비어 있고 하나는 거의 비어 있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를 통합하는, 본 개시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음료 시설의 판매 지점에서 음료 분배 구역(12)과 음료 폰트 조립체(14)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음료 분배 시스템은 원격 제어 수단(16) 및 연결된 밸브(들)(18',18",18"')뿐만 아니라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20a,20b,20c,22a,22b,22c)의 제1 세트(20)와 제2 세트(22)를 각각 포함한다. 제1 세트(20)에서, 2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20a,20b)은 비어 있고, 하나의 음료 용기(20c)는 거의 비어 있다. 제2 세트(22)에서, 3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22a,22b,22c) 모두는 음료로 충만되어 있다.
판매 지점은 바 카운터(28)의 일측에 있는 운영자 측(26)과 운영자 측의 반대쪽에 있는 고객 측(3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폰트(32)는 다수(3개)의 탭핑 헤드들(34)을 포함한다. 또한, 판매 지점은 운영자 측(26)과 음료 측(38)을 구획하는 음료 카운터(36)를 포함한다. 음료 측(38)은 벽 또는 벽에 매립된 면일 수 있는 편평한 수평 면(40)과 편평한 수직 면(4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탭핑 헤드(44)는 수직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운영자 측(26) 상에 서있는 운영자(미도시)가 탭 핸들을 음료 분배 위치로 이동시키면 음료 스트림이 음료 잔(46)에 채워지도록 작동한다. 다수의 탭핑 헤드들(44)은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탭핑 헤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거(staggered) 구성과 같은 적절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음료 카운터(36)는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보다 상당히 길 수 있고, 수직 면(42)으로부터 돌출되는 50 내지 60개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빙(serving)할 때 운영자는 바 카운터(28)의 에지(48)를 따라 또는 음료 카운터(36)의 에지(50)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있는 운영자 측(26) 내에 서있는 반면, 고객은 바 카운터(28)의 반대쪽 에지(미도시)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고객 측(30) 내에 서있다.
버튼들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서 간단히 예시된 원격 제어 수단(16)은 음료 카운터(36)의 음료 측(38) 내에 통합되고, 도면에서 수직 면(42) 내에 예시되고 운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수단(16)의 대안적인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카운터(28) 내에 있다. 탭핑 헤드(34',34",34'")에 각각 연관되고 전기 케이블(52)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수단(16)에 각각 연결되는 밸브 또는 밸브들의 세트(18',18",18'"), 적절하게 3-웨이 밸브들은, 바 카운터(28) 내에 통합되고, 하나 이상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특정의 세트(20,22)에 대응하는 탭핑 라인(54,56)을 개방하기 위해 원격 제어 수단(16)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수단(16)과 밸브 또는 밸브들의 세트(18',18",18'")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34,44) 상에 또는 그 근방에 위치되고, 예컨대, 원격 제어 수단(16)과 밸브 또는 밸브들의 세트(18',18",18"')를 음료 카운터(36)의 음료 측(38) 내에, 또는 바 카운터(28) 내에, 또는 음료 폰트(32)와 같은 음료 폰트 조립체 내에 통합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34,44)의 도달 거리에 위치된 운영자에게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수단(16)은 음료 카운터(36)의 음료 측(38) 내에 통합되고, 밸브 또는 밸브들의 세트(18',18",18'")는 바 카운터(28) 내에 통합된다.
음료 분배 시스템(10)의 일부로서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20)가 도시되는 바, 2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20a,20b)은 비어 있고, 세 번째의 마지막 용기(20c)는 거의 비어 있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은 각각의 압력 챔버들(58a,58b,58c) 내에 캡슐화된다. 각각의 음료 용기는 그 바닥에서 대응하는 음료 출구(60a,60b,60c)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압력 챔버(58a,58b,58c)는 각각의 압력 챔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 라인(62)에 연결된다. 제1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a)와 이러한 음료 용기(20a)의 바닥에 있는 제1 출구(60a)는, 제3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c)와 그것의 제3 출구(60c)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된 제2 압력 챔버(58b) 내에 캡슐화된 제2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b)와 그것의 제2 출구(60b)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되도록, 압력 챔버들은 서로에 대해 스태거 구성으로 배치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1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a)를 캡슐화 하는 압력 챔버(60a)는, 제3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c)를 캡슐화하는 압력 챔버(60c)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된 제2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b)를 캡슐화하는 압력 챔버(60b)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된다.
분배하는 동안, 제1 음료 용기(20a)와 제2 음료 용기(20b)는 최대로 구겨진 상태로 이미 접히거나 구겨졌고 즉, 압력 공간 내의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음료 용기를 더 이상 구길 수 없다. 음료 용기들의 음료는, 예를 들어, 연관된 제1 밸브(18')로 이어진 후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통의 제1 탭핑 라인(64)으로 이어지고 폰트(23) 내의 제1 탭핑 헤드(34')로 다시 이어지는 탭핑 라인(54)에 대응하는 제1 탭핑 라인을 통해 분배되었다. 헤드 공간(66a,66b)의 가스는 구겨진 음료 용기 내에 부분적으로 위치되고,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b) 아래의 접합부 바로 뒤의 탭핑 라인(54)의 빈 부분에 의해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탭핑 라인(54)의 제1 부분은 음료 용기(20a)에 연결되고, 부분적으로 탭핑 라인(54)의 제2 부분은 음료 용기(20b)에 연결된다. 탭핑 라인 부분의 상기 빈 부분의 체적이 헤드 공간(66b)의 체적보다 더 크기 때문에, 헤드 공간(66a,66b) 내의 가스는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c) 아래의 접합부(68)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음료 공간으로부터의 소량의 음료는 접합부(68)에 인접한 탭핑 라인(54)의 제2 부분 내에 남아 있고, 탭핑 헤드 속으로 가스가 들어 가지 않고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음료 용기(20c)로부터의 중단없이 분배가 계속될 수 있다. 제3 용기(20c)가 비워지고 헤드 공간(66c)으로부터의 가스가 단일의 탭핑 라인(54)으로 결합되는 제3 탭핑 라인 부분에 들어갈 때까지 어떠한 가스도 제3 탭핑 라인 부분으로 들어갈 수 없다.
제1 탭핑 헤드(34')는 공통의 제1 탭핑 라인(64)을 통해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20)와 제2 세트(22)와 연관될 수 있고, 각각의 세트는 예를 들어 1개 내지 3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을 가지고, 모든 음료 용기들은 제1 탭핑 헤드(34')로부터 분배되는 제1 형태의 맥주(70)와 같은 제1 형태의 음료를 포함한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20)로부터, 제1 세트(20)의 제1 탭핑 라인(54)은 원격 제어 수단(16)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바 카운터(28)에 통합된 제1 탭핑 헤드(34')에 인접한 제1 밸브(18')로 연장된다. 또한, 밸브(들)(18)는 음료 카운터(36)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2 세트(22)로부터, 제2 세트의 제2 탭핑 라인(56)은 동일한 제1 밸브(18')로 연장된다. 제1 밸브(18')로부터, 전술한 공통의 제1 탭핑 라인(64)은 제1 탭핑 헤드(18')로 연장되고 고객 측(30) 내에 위치된 고객에게 분배된다. 제1 세트(20)의 마지막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20c)가 비어 있을 때, 운영자 측(26) 내에 서있는 운영자는, 원격 제어 수단(16)을 통해, 또는 심지어 직접적인 수동 조작에 의해, 제1 밸브(18')를 작동시켜 제2 세트(22)의 제2 탭핑 라인(56)을 개방한다.
제2 탭핑 헤드(34")는 공통의 제2 탭핑 라인(72)을 통해,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예컨대, 모두 제2 탭핑 헤드(34")로부터 분배되는 제2 형태의 맥주를 포함하는 1개 내지 3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미도시)의 제3 및 제4 세트와 연관될 수 있다. 제2 밸브(18")는 제3 탭핑 라인(74)과 제4 탭핑 라인(76) 사이를 전환하고, 이러한 제2 밸브(18")로부터, 상기 공통의 제2 탭핑 라인(72)은 제2 탭핑 헤드(304")로 연장되고 제2 형태의 맥주가 고객에게 분배된다.
제3 탭핑 헤드는 공통의 제3 탭핑 라인을 통해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예컨대, 모두 제3 탭핑 헤드로부터 분배되는 제3 형태의 맥주가 들어 있는 1개 내지 3개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5 및 제6 세트와 연관될 수 있다.
발명의 요점
1.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음료 용기들, 및 음료 분배를 위해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음료 수용부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는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에 연결된 원격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위치된다.
2. 항목 1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원격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터치 스크린의 일부이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특정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 내용물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4.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카운터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카운터는 적어도 운영자 측과 음료 측을 구획하고, 상기 음료 측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는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측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은 수직 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탭핑 헤드들의 조립체의 일부이다.
5.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폰트 조립체 내의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는 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폰트는 상기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바 카운터는 운영자 측과 상기 운영자 측에 반대되는 고객 측을 구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스파우트 및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폰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다.
6.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용기들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이다.
7.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3개 내지 50개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8.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와 제2 세트의 일부이다.
9. 항목 8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각각 포함하는 음료 용기들의 적어도 제3 세트 및 제4 세트를 더 포함한다.
10. 항목 8 또는 항목 9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세트는 스태거 방식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11.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12.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13.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밸브는,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 상기 바 카운터, 또는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 중 임의의 어느 하나에 위치된다.
14. 선행하는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용기는 음용 시설 내의 다른 룸, 특히 지하실과 같은 원격 장소에 위치된다.
15. 음료 분배 구역 내에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음료 용기들, 및 음료 분배 제어 수단 및 음료를 음료 수용부로 분배하기 위한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 밸브에 연결되는 원격 제어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밸브를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6. 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원격 제어 수단이 없는 음료 분배 시스템. 따라서,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음료 분배 구역은 다수의 음료 용기 및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수용부에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은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비어 있는 음료 용기로부터 가득찬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위치된다.
17. 항목 16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카운터 상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카운터는 적어도 운영자 측과 음료 측을 구획하고, 상기 음료 측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의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측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은 수직 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탭핑 헤드 조립체의 일부이다.
18. 항목 16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폰트 조립체 내의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는 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폰트는 상기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바 카운터는 운영자 측과 운영자 측에 반대되는 고객 측을 구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스파우트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폰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음료 수용부로 유동할 수 있다.
19. 항목 16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용기들은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이다.
20. 항목 16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3개 내지 50개의 음료 용기들를 포함한다.
21. 항목 16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와 제2 세트의 일부이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를 포함한다.
22. 항목 21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적어도 음료 용기들의 제3 세트와 제4 세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23. 항목 21 또는 항목 22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세트는 스태거 방식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한다.
24. 항목 16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밸브는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 상기 바 카운터, 또는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의 임의의 하나에 위치된다.
25. 항목 16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용기는 음용 시설 내의 다른 룸, 특히 지하실과 같은 원격 장소에 위치된다.
10...음료 분배 시스템
12...음료 분배 구역
14...음료 폰트 조립체
16...원격 제어 수단
18...밸브
20...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
22...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2 세트
26...운영자 측
28...바 카운터
30...고객 측
32...음료 폰트
34...탭핑 헤드
36...음료 카운터
38...음료 측
40...편평한 수평 면
42...편평한 수직 면
44...탭핑 헤드
46...음료 잔
48...바 카운터의 에지
50...음료 카운터의 에지
52...전기 케이블
54...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용 탭핑 라인
56...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2 세트용 탭핑 라인
58...압력 챔버
60...음료 출구
62...압력 라인
64...공통의 제1 탭핑 라인
66...헤드 공간
68...접합부
70...제1 형태의 음료
72...공통의 제2 탭핑 라인
74...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3 세트용 탭핑 라인
76...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의 제4 세트용 탭핑 라인

Claims (20)

  1. 음용 시설(drinking establishment)을 위한 음료 분배(dispensing)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음료 분배 구역은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음료 용기(container)들과 하나 이상의 탭핑(tapping) 헤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수용부(recipient)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spout)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각각은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밸브에 연결된 원격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는,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적어도 제2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절환하고, 및/또는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1 음료 출구를 통해 나오는 유체가 상기 밸브의 위치에서 제2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2 음료 출구로 유도될 수 있도록 2개의 음료 출구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위치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원격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은 터치 스크린의 일부이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특정 음료 용기 내의 음료 내용물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음료 용기는 빈 음료 용기이고, 상기 제2 음료 용기는 가득찬 음료 용기인, 음료 분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음료 용기는 제1 형태의 음료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2 음료 용기는 적어도 상이한 제2 형태의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음료 용기는 무-알콜 맥주를 함유하고, 상기 제2 음료 용기는 알콜과 함께 맥주를 함유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음료 용기는 음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음료 용기는 상기 시스템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flushing) 유체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유체는 세정 유체 및/또는 플러싱 유체인, 음료 분배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카운터(counter) 내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카운터는 적어도 운영자 측과 음료 측을 구획하고, 상기 음료 측은 적어도 하나의 면(face)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측을 통해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결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상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는 면은 수직 면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상기 수직 면의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 탭핑 헤드들의 조립체의 일부인, 음료 분배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음료 폰트(font) 조립체 내의 음료 폰트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는 바 카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폰트는 상기 바 카운터 내에 장착되고, 상기 바 카운터는 운영자 측과 상기 운영자 측의 반대편의 고객 측을 구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은 스파우트와 음료 분배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음료 라인들을 포함하는 탭핑 라인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탭핑 라인은 상기 음료 폰트를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 연장되고, 상기 음료는 상기 탭핑 라인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통해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의 임의의 하나로부터 상기 스파우트로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로부터 상기 음료 수용부로 유동될 수 있는, 음료 분배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용기들은 접힐 수 있는(collapsible) 음료 용기들, 바람직하게 일회용의 접힐 수 있는 음료 용기들인, 음료 분배 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 분배 시스템은 3개 내지 50개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음료 용기들은,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각각 포함하는 음료 용기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의 일부인, 음료 분배 시스템.
  14. 청구항 13에서,
    하나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각각 포함하는 음료 용기들의 적어도 제3 세트 및 제4 세트를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서,
    음료 용기들의 각각의 세트는 스태거 방식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음료 용기들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밸브는 상기 원격 제어 수단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는, 상기 음료 카운터의 상기 음료 측, 상기 바 카운터, 또는 상기 음료 폰트 조립체의 임의의 하나에 위치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서,
    음료 용기는 음용 시설 내의 다른 룸, 특히 지하실과 같은 원격 장소에 위치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20. 음료 분배 구역 내에서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 음료와 연통하는 음료 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음료 용기들, 및 음료를 음료 수용자부로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 제어 수단과 스파우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용 시설을 위한 음료 분배 구역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 밸브에 연결된 원격 제어 수단을 설치하는 단계;
    -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적어도 제2 음료 용기로 음료의 분배를 전환하고, 및/또는 제1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1 음료 출구를 통해 나오는 유체가 상기 밸브의 위치에서 제2 음료 용기로부터 유래하는 제2 음료 출구로 유도되도록 2개의 음료 출구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밸브를 다수의 음료 출구들에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밸브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탭핑 헤드들의 근방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의 구축 방법.

KR1020207028120A 2018-03-28 2019-03-28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KR20200136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4478.2 2018-03-28
EP18164478 2018-03-28
PCT/EP2019/057949 WO2019185847A1 (en) 2018-03-28 2019-03-28 Remote control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413A true KR20200136413A (ko) 2020-12-07

Family

ID=618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20A KR20200136413A (ko) 2018-03-28 2019-03-28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22622A1 (ko)
EP (1) EP3774636A1 (ko)
JP (1) JP2021518314A (ko)
KR (1) KR20200136413A (ko)
CN (1) CN111918833A (ko)
AU (1) AU2019240874A1 (ko)
BR (1) BR112020019634A2 (ko)
CA (1) CA3095061A1 (ko)
EA (1) EA202092315A1 (ko)
MX (1) MX2020010055A (ko)
WO (1) WO2019185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7257B1 (fr) * 2020-02-18 2023-03-10 Jonathan Badet Distributeur de liquide
US11961373B2 (en) 2020-07-01 2024-04-16 Pepsico, Inc. Method and system of touch-free vending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388A (en) 1971-06-23 1973-06-12 Colorado Valve Co Valve system
GB1474237A (en) 1975-04-25 1977-05-18 British Syphon Ind Ltd Beer dispense systems
EP0322729A1 (de) 1987-12-31 1989-07-05 Huber, Karl Einrichtung zum Ausschank von Getränken, insbesondere von unter Druck stehenden Getränken
EP0222729B1 (de) 1985-11-11 1990-02-07 WALLA MASCHINEN Gesellschaft m.b.H. & Co Bierabgabevorrichtung
GB2298462A (en) 1995-02-28 1996-09-04 Shaun Ian Crowley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5909825A (en) 1997-04-17 1999-06-08 Lydford; Steven R. Beveridge dispensing system
DE202006010613U1 (de) 2006-07-07 2007-08-16 Glogger, Thomas Ausgabevorrichtung für Mischgetränkeeinheiten, insbesondere Cocktails
GB2505903A (en) 2012-09-13 2014-03-19 Qualflow Systems Ltd Dispensing beverage left in dispense lines using pressurised gas
JP2017503725A (ja) 2013-12-27 2017-02-02 アンハイザー−ブッシュ・インベヴ・ソシエテ・アノニムAnheuser−Busch InBev S.A. 異なるタイプの飲料または飲料成分を供給するための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399A (en) 1969-02-03 1971-12-07 Schlitz Brewing Co J Automatic carbona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3878970A (en) 1974-02-11 1975-04-22 Perlick Company Inc Beer dispensing instrumentalities and method
US4247018A (en) 1979-12-14 1981-01-27 The Coca-Cola Company Non-pressurized fluid transfer system
GB2180917B (en) 1985-09-27 1989-10-25 Bruce Warren Macdonald Electro-mechanical rotary valve
JP3753784B2 (ja) * 1996-05-10 2006-03-08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液体注出方法および液体注出装置
JP2002068379A (ja) * 2000-08-30 2002-03-08 Dodwell Japan Ltd 家庭用飲料サーバー
JP4615158B2 (ja) * 2001-08-13 2011-01-19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発泡飲料注出装置
WO2003026966A1 (en) * 2001-09-28 2003-04-03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Beverage dispenser and automatic shut-off valve
CA2465719A1 (en) * 2003-06-30 2004-12-30 Stephen W. Forsyth Tap handle display system
NL1031412C2 (nl) * 2006-03-20 2007-09-21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voor drank.
WO2007107704A1 (en) 2006-03-21 2007-09-27 Fortune Products Ltd Beverage dispenser
DE102006044205B3 (de) * 2006-09-15 2008-01-03 Dikad Gmbh Reinigungs- und Spülvorrichtung für Getränke-Schankanlagen
NL1033915C2 (nl) * 2007-05-31 2008-12-02 Heineken Supply Chain B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fgeven van drank.
AU2008296297B2 (en) * 2007-09-06 2013-06-06 The Col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rtion control programming in a product forming dispenser
EP2163509A1 (en) 2008-09-11 2010-03-17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for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192077A1 (en) 2008-11-27 2010-06-02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550231A1 (en) 2010-03-22 2013-01-30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and apparatus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0870565B2 (en) * 2011-09-02 2020-12-22 Bevolution Systems, Llc Scalable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EP2623455A1 (en) * 2012-02-03 2013-08-07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
US9260283B2 (en) * 2012-02-14 2016-02-16 Schroeder Industries, Inc. Handle initiated electromechanical multi-flavor beverage dispenser
AU2013100382A4 (en) * 2013-03-28 2013-05-02 Southpour Pty Ltd Beverage dispensing arrangement
US10618798B2 (en) * 2014-02-10 2020-04-14 Ecolab Usa Inc. Apparatus for emptying a fluid container and method for coupling a fluid container to a corresponding apparatus
US9926182B2 (en) * 2014-05-18 2018-03-27 Schroeder Industries, Inc. Beverage dispensing system having electric pumps and a removable tray for holding concentrate bags
EA031086B1 (ru) * 2014-05-23 2018-11-30 Карлсберг Брюириз А/С Узел раздачи напитка с эластичным клапаном
EP2987767A1 (en) * 2014-08-19 2016-02-24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for multiple containers
JP6737806B2 (ja) * 2015-04-21 2020-08-12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層状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飲料注出機
US10258191B2 (en) * 2015-09-18 2019-04-16 Starbucks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EP3178782A1 (en) 2015-12-08 2017-06-14 Carlsberg Breweries A/S A beverage font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comprising a beverage font and a method of dispensing a mixed alcoholic beverage product by provid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MY190691A (en) * 2015-12-24 2022-05-11 Nestle Sa Beverage dispenser with powder contain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388A (en) 1971-06-23 1973-06-12 Colorado Valve Co Valve system
GB1474237A (en) 1975-04-25 1977-05-18 British Syphon Ind Ltd Beer dispense systems
EP0222729B1 (de) 1985-11-11 1990-02-07 WALLA MASCHINEN Gesellschaft m.b.H. & Co Bierabgabevorrichtung
EP0322729A1 (de) 1987-12-31 1989-07-05 Huber, Karl Einrichtung zum Ausschank von Getränken, insbesondere von unter Druck stehenden Getränken
GB2298462A (en) 1995-02-28 1996-09-04 Shaun Ian Crowley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5909825A (en) 1997-04-17 1999-06-08 Lydford; Steven R. Beveridge dispensing system
DE202006010613U1 (de) 2006-07-07 2007-08-16 Glogger, Thomas Ausgabevorrichtung für Mischgetränkeeinheiten, insbesondere Cocktails
GB2505903A (en) 2012-09-13 2014-03-19 Qualflow Systems Ltd Dispensing beverage left in dispense lines using pressurised gas
JP2017503725A (ja) 2013-12-27 2017-02-02 アンハイザー−ブッシュ・インベヴ・ソシエテ・アノニムAnheuser−Busch InBev S.A. 異なるタイプの飲料または飲料成分を供給するための飲料供給装置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B 2 180 917은 술집 주인이 맥주 3배럴과 가스통을 분배 지점에 연결할 수 있는 임의의 대중 술집(public house)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전기 기계식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JP 2002068379A는 캔과 병과 같은 음료 용기들 내에 가스 압력에 의해 음료를 붓는 가정용 음료 서버(server)에 관한 것이다.
US 3625399는 음료가 분배되고 있는 용기가 비어 있을 때 다른 음료 용기로부터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맥주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맥주가 들어 있는 배럴들(경질 음료 용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선택기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시에 작동하여 하나의 배럴로부터 탭까지의 라인을 개방한다. 선택기 제어 디바이스는 탭 체스트(chest) 위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는 반면, 솔레노이드 밸브는 배럴들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US 3878970은 하나의 꼭지(faucet) 또는 꼭지와 연통하는 헤더를 구비하는 적절한 덕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통들로부터 나오는 맥주를 분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 4247018은 대형의 비-가압 용기들 내에 포장된 액체의 재고 회전(stock rotation)을 위한 비-가압 유체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 2007107704A1은 탄산 음료가 전달 밸브를 통해 스피것(spigot)으로 이어지는 전달 튜브로 분배되는 음료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WO 2016/026693은 동일한 분배 탭에 연결된 다수의 용기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운터 아래(under the counter)"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WO 2017097820A1은 제1 알콜 백분율을 정의하는 가압된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입구 및 제2 알콜 백분율을 정의하는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입구를 가진 혼합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폰트(font)에 관한 것이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10055A (es) 2020-10-15
CN111918833A (zh) 2020-11-10
CA3095061A1 (en) 2019-10-03
BR112020019634A2 (pt) 2021-01-05
EA202092315A1 (ru) 2020-12-28
US20210122622A1 (en) 2021-04-29
WO2019185847A1 (en) 2019-10-03
AU2019240874A1 (en) 2020-11-12
EP3774636A1 (en) 2021-02-17
JP2021518314A (ja)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2037B2 (en) Beverage dispenser
US4683921A (en) Carbonated beverage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5725125A (en) Method of and means for providing multiple flavored beverages from a dispensing valve from a beverage dispensing unit
EP3700854B1 (en) A cleaning unit for supplying a cleaning liquid to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KR20200136413A (ko) 원격 제어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
EP4237368A2 (en) A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202400926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illing, storing, preserving, managing, and selectively dispensing beverages
EP1100721B9 (en)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from side by side arranged containers
EP1296584B1 (en) Beverage dispenser
EP1767489A2 (en) IBeverage dispenser with purging means
US20050150912A1 (en) Multiple-tap adapter for drink dispenser
JP2000203693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及び飲料の注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