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332A -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332A
KR20200133332A KR1020207025373A KR20207025373A KR20200133332A KR 20200133332 A KR20200133332 A KR 20200133332A KR 1020207025373 A KR1020207025373 A KR 1020207025373A KR 20207025373 A KR20207025373 A KR 20207025373A KR 20200133332 A KR20200133332 A KR 2020013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ed film
long
stretching
stre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로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얻는 제 1 공정과, 상기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을 얻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이, 폭 방향에 대하여 10° 이상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을 갖는다.

Description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성능 향상을 위하여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나 유기 EL 텔레비전 등의 반사 방지,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투과축에 대하여, 평행도 수직도 아닌 각도(경사 방향)에 있는 것이 요구된다.
장척의 위상차 필름은, 지상축이 경사 방향에 있으면, 투과축이 흐름 방향과 수직 또는 평행한 장척의 편광자를 롤·투·롤의 방법에 의해 적층하여, 장척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지상축이 경사 방향에 있는 장척의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01466호 국제 공개 제2015/072518호(대응 공보: 미국 특허출원공개 제2016/318233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5257505호
연신 필름에 위상차를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하여, 연신 전 필름의 연신 배율을 크게 하면,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력이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연신 필름을 편광자 등의 소자에 첩합하고, 그것에 박리력을 가하면, 연신 필름이 소자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위상차가 충분히 발현되어 있으면서, 박리 강도가 우수한 장척의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위상차가 충분히 발현되어 있으면서 박리 강도가 우수한 장척의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연신 전 필름을, 소정의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연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위상차가 충분히 발현되어 있으면서, 박리 강도가 우수한 장척의 연신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얻는 제 1 공정과,
상기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을 얻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이, 폭 방향에 대하여 10° 이상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을 갖는,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2]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의 평균 NZ 계수가, 1.2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A1로 하고, 상기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A2로 하면, A1이 1.2배 이상 1.6배 이하이고, (A1 × A2)가 1.2배보다 크고 2.0배 이하인, [1]에 기재된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3]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가, 200nm 이상 300nm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4] 상기 연신 필름이,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5]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장척의 연신 필름에, 장척의 편광자를 적층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상차가 충분히 발현되어 있으면서, 박리 강도가 우수한 장척의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위상차가 충분히 발현되어 있으면서, 박리 강도가 우수한 장척의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텐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횡연신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이란, 폭에 대하여 적어도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0배 혹은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필름을 말한다. 폭에 대한 길이의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0배 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nx - ny) × d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한, 필름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nx + ny)/2 - nz} × d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한, NZ 계수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nx - nz)/(nx - ny)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여기서, nx는, 필름의 두께 방향과 수직한 방향(면내 방향)으로서 최대의 굴절률을 부여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필름의 상기 면내 방향으로서 nx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z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측정 파장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590nm로 한다.
NZ 계수는, 하기의 식에 따라,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로부터 구할 수 있다.
NZ 계수 = (Rth/Re) + 0.5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요소의 방향이 「평행」, 「수직」, 및 「직교」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 예를 들어 ± 5°의 범위 내에서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의 길이 방향은, 통상은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다. 경사 방향이란, 필름의 면내 방향으로서, 폭 방향도, 길이 방향도 아닌 방향이다.
[1.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얻는 제 1 공정과, 상기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을 얻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한다.
(연신 전 필름)
통상, 연신 전 필름으로는, 수지 필름을 사용한다. 수지 필름의 재료로는, 통상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케톤술파이드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비닐 방향족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이소부텐/N-메틸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통상 중합체, 및 임의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연신 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하,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적당히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반복 단위 중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의 예로는, 고리형 올레핀을 단량체로서 사용한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로는, 주쇄 중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알칸 구조, 시클로알켄 구조 등을 들 수 있으나, 열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시클로알칸 구조가 바람직하다.
1개의 지환식 구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1개의 지환식 구조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의 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고도로 밸런스된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여도 된다.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을 상기와 같이 많게 함으로써,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 이외의 잔부는, 특별한 한정은 없고,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예를 들어, (1)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2) 단환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3) 고리형 공액 디엔 중합체, (4)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및 성형성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및 이 수소화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와의 개환 공중합체, 및 그들의 수소화물;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와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수소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의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21302호에 개시되어 있는 중합체에서 선택된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는, 여러 가지 상품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그들 중 원하는 특성을 갖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판품의 예로는, 상품명 「ZEONOR」(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아톤」(JSR 주식회사 제조), 「아펠」(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TOPAS」(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제품군을 들 수 있다.
연신 전 필름을,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연신 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서의 연신 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연신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신 전 필름의 두께는, 연신 배율, 원하는 연신 필름의 두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신 전 필름으로서, 연신 처리되어 있지 않은 미연신 필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연신 전 필름으로서, 연신 처리되어 있는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미연신 필름은, 캐스트 성형법,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들 중 압출 성형법은, 잔류 휘발성 성분량이 적고, 치수 안정성도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제 1 공정)
본 실시형태의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얻는 제 1 공정을 행한다.
제 1 공정에서는, 통상 연신 전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텐터 장치를 사용하여 연신을 행한다.
텐터 장치로는, 예를 들어,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복수의 파지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상기 복수의 파지자에 의해 반송되는 연신 전 필름의 진행 방향을 구부리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간격이 하류일수록 넓어지는 연신 존이 형성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텐터 장치(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터 장치(100)는, 권출 롤(10)로부터 권출되는 연신 전 필름(20)을, 도시하지 않은 오븐에 의한 가열 환경하에서,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텐터 장치(100)는, 복수개의 파지자(110R 및 110L)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을 구비한다. 상기의 파지자(110R 및 110L)는, 연신 전 필름(20)의 폭 방향의 단부(21 및 22)를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은, 상기의 파지자(110R 및 110L)를 안내하기 위하여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파지자(110R 및 110L)는,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자(110R 및 110L)는 각각, 앞뒤의 파지자(110R 및 110L)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자(110R 및 110L)는 각각, 텐터 장치(100)에 순차 공급되는 연신 전 필름(20)의 폭 방향의 단부(21 및 22)를, 텐터 장치(100)의 입구부(130)에서 파지하고, 텐터 장치(100)의 출구부(140)에서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은, 제조해야 할 제 1 연신 필름(30)의 연신의 방향 및 연신 배율 등의 조건에 따른, 비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텐터 장치(100)에는,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의 간격이 하류일수록 넓어지는 연신 존(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신 존(150)에서는, 일방의 파지자(110R)의 이동 거리가 타방의 파지자(110L)의 이동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텐터 장치(100)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의 형상은, 그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에 의해 안내되는 파지자(110R 및 110L)가, 좌측 방향으로 연신 전 필름(20)의 진행 방향을 구부리도록, 연신 전 필름(20)을 반송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의 진행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폭 방향의 중점의 이동 방향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우」 및 「좌」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수평으로 반송되는 필름을 반송 방향의 상류로부터 하류를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은, 파지자(110R 및 110L)가 소정의 궤도를 주회할 수 있도록, 무단상(無端狀)의 연속 궤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텐터 장치(100)는, 텐터 장치(100)의 출구부(140)에서 연신 전 필름(20)을 개방한 파지자(110R 및 110L)를, 순차적으로 입구부(130)로 되돌릴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의 텐터 장치(100)를 사용한 연신 전 필름(20)의 연신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권출 롤(10)로부터 연신 전 필름(20)을 권출하고, 그 연신 전 필름(20)을 텐터 장치(100)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텐터 장치(100)는, 그 입구부(130)에 있어서 연신 전 필름(20)의 양단부(21 및 22)를 파지자(110R 및 110L)에 의해 순차 파지한다. 양단부(21 및 22)가 파지된 연신 전 필름(20)은, 파지자(110R 및 110L)의 주행에 따라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신 전 필름(2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구부리도록 가이드 레일(120R 및 120L)의 형상을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방의 파지자(110R)가 연신 전 필름(20)을 파지하면서 주행하는 궤도의 거리는, 타방의 파지자(110L)가 연신 전 필름(20)을 파지하면서 주행하는 궤도의 거리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텐터 장치(100)의 입구부(130)에서 연신 전 필름(20)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하고 있던 1세트의 파지자(110R 및 110L)는, 텐터 장치(100)의 출구부(140)에서 좌측의 파지자(110L)가 우측의 파지자(110R)보다 선행하므로, 연신 전 필름(20)의 경사 방향으로의 연신이 행하여져,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30)이 얻어진다. 얻어진 제 1 연신 필름(30)은, 텐터 장치(100)의 출구부(140)에서 파지자(110R 및 110L)로부터 개방되고, 권취되어 롤(40)로서 회수된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이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폭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에 지상축을 갖는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A1은, 바람직하게는 1.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6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배 이하이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A1을 상기 범위의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연신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연신 필름의 박리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 및 연신 배율은, 상술한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조건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출 롤(10)로부터의 연신 전 필름(20)의 권출 방향(D20)과, 제 1 연신 필름(30)의 권취 방향(D30)이 이루는 권출 각도(φ)를 조정함으로써, 제 1 연신 필름(30)의 연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신 전 필름(20)의 권출 방향(D20)이란, 권출 롤(10)로부터 권출되는 연신 전 필름(20)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 1 연신 필름(30)의 권취 방향(D30)이란, 롤(40)로서 권취되는 제 1 연신 필름(30)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가이드 레일(120R)과 가이드 레일(120L)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제 1 연신 필름(30)의 연신 배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1은, 바람직하게는 (T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Tg +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3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 30)℃ 이하이다. 여기서, Tg란, 연신 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1이란, 텐터 장치(100)의 연신 존(150)에서의 온도를 말한다.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1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연신 전 필름(20)에 포함되는 분자를 확실하게 배향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갖는 제 1 연신 필름(30)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1 연신 필름(30)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1은, 바람직하게는 180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6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nm 이하이다. 제 1 연신 필름(30)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1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원하는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를 갖는 제 2 연신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필름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은,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선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면내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이들 지점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제 1 연신 필름(30)의 지상축의 방향은, 제 2 연신 필름의 지상축의 방향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은, 제 2 공정에 의해 얻어지는 제 2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그 폭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배향각)는, 제 1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그 폭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 1 연신 필름(30)의 지상축이 그 폭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제 2 연신 필름의 지상축이 그 폭 방향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연신 필름(30)은, 그 폭 방향에 대하여, 평균으로,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의 범위에 지상축을 갖는다. 이에 의해, 배향각이 10° 이상 30° 이하인 제 2 연신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1 연신 필름(30)의 지상축의 방향은, 제 1 공정의 연신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필름의 평균의 배향각은,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선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배향각을 측정하고, 이들 지점에서의 배향각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제 2 공정)
본 실시형태의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1 공정 후에, 제 1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을 얻는 제 2 공정을 행한다.
여기서,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는 것은, 폭 방향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 5°의 범위 내가 되도록 연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연신은, 통상 제 1 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횡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횡연신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연신 장치(400)는, 롤(40)로부터 권출되는 제 1 연신 필름(30)을, 도시하지 않은 오븐에 의한 가열 환경하에서,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장치이다.
횡연신 장치(400)는, 복수개의 파지자(410R 및 410L)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420R과 420L)을 구비한다. 상기의 파지자(410R 및 410L)는,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의 단부(31 및 32)를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420R 및 420L)은, 상기의 파지자(410R 및 410L)를 안내하기 위하여 필름 반송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파지자(410R 및 410L)는, 가이드 레일(420R 및 420L)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자(410R 및 410L)는 각각, 앞뒤의 파지자(410R 및 410L)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자(410R 및 410L)는 각각, 횡연신 장치(400)에 순차 공급되는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의 단부(31 및 32)를, 횡연신 장치(400)의 입구부(430)에서 파지하고, 횡연신 장치(400)의 출구부(440)에서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가이드 레일(420R 및 420L)에는, 하류가 될수록 가이드 레일(420R)과 가이드 레일(420L)의 간격이 넓어지는 연신 존(450)을 구비하고 있다. 연신 존(450)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420R)과 가이드 레일(420L)의 형상은, 반송되는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의 중점을 지나는 선(LN40)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고, 또한 연신 존(450)에 있어서의 가이드 레일(420R)과 가이드 레일(420L)의 간격은,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420R 및 420L)은, 파지자(410R 및 410L)가 소정의 궤도를 주회할 수 있도록, 무단상의 연속 궤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횡연신 장치(400)는, 횡연신 장치(400)의 출구부(440)에서 제 1 연신 필름(30)을 개방한 파지자(410R 및 410L)를, 순차적으로 입구부(430)로 되돌릴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의 횡연신 장치(400)를 사용한 제 1 연신 필름(30)의 연신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롤(40)로부터 제 1 연신 필름(30)을 권출하고, 제 1 연신 필름(30)을 횡연신 장치(400)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횡연신 장치(400)는, 그 입구부(430)에서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의 단부(31 및 32)를, 파지자(410R 및 410L)에 의해 순차 파지한다. 단부(31 및 32)가 파지된 제 1 연신 필름(30)은, 파지자(410R 및 410L)의 주행에 따라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자(410R 및 410L)가 주행하는 가이드 레일(420R 및 420L)은, 연신 존(450)에 있어서, 반송되는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의 중점을 지나는 선(LN40)에 대하여 대칭이며, 하류가 될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파지자(410R 및 410L)에 의해 파지된 제 1 연신 필름(30)은, 연신 존(450)에서 제 1 연신 필름(30)의 폭 방향으로 연신되어,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50)이 얻어진다. 얻어진 제 2 연신 필름(50)은, 횡연신 장치(400)의 출구부(440)에 있어서 파지자(410R 및 410L)로부터 개방되고, 권취되어 롤(60)로서 회수된다.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A2는,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 A1과의 곱(A1 × A2)이 소정의 값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 A2)는, 바람직하게는 1.2배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5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배 이하이다.
(A1 × A2)를, 상기 하한값의 범위로 함으로써, 제 2 연신 필름(50)에 충분한 면내 리타데이션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연신 필름의 박리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2는,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1과 동일하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T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Tg +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3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 30)℃ 이하이다. 여기서, Tg란, 연신 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 T2란, 횡연신 장치(400)의 연신 존(450)에서의 온도를 말한다.
연신 온도 T2는, 연신 온도 T1과는 다른 온도로 해도 된다. 연신 온도 T2를, 연신 온도 T1과 다른 온도로 하는 경우에는, 연신 온도 T2를 연신 온도 T1보다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 T2는, 바람직하게는 (T1 -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1 -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T1 -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1 - 5)℃ 이하이다.
제 2 연신 필름(50)은,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가,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n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nm 이하이다.
제 2 연신 필름(50)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는, 제 1 공정의 연신 배율 A1과 제 2 공정의 연신 배율 A2의 곱(A1 × A2)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 × A2)를 크게 함으로써,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2 연신 필름(50)은, 제 1 공정에 있어서, 경사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므로, 경사 방향의 지상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연신 필름(50)은, 폭 방향에 대하여, 10° 이상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을 갖는다.
제 2 연신 필름(50)은, 평균 NZ 계수가,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2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6 이하이다.
평균 NZ 계수는, 제 1 공정의 연신 배율 A1 및 제 2 공정의 연신 배율 A2를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 배율 A2를 크게 함으로써, 평균 NZ 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필름의 평균 NZ 계수는,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선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NZ 계수를 측정하고, 이들 지점에서의 NZ 계수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경사 방향으로의 연신을 포함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원하는 리타데이션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원하는 리타데이션을 얻기 위하여 연신 배율을 높이면, 연신 필름이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경향이 높아져, 연신 필름과 다른 필름의 첩합물의 박리 강도가 불충분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신 전 필름을,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2단계로 연신함으로써,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이 크고, 또한 박리 강도가 큰 장척의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이 크고, 또한 박리 강도가 큰 연신 필름이 얻어지는 이유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름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면내에 있어서의 배향의 정도와,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합체의 결합력이 밸런스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조 방법은,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 이외에, 임의의 공정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공정으로는, 예를 들어, 연신 필름의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공정, 연신 필름에,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연신 전 필름으로서, 미연신 필름을 임의의 방향으로 연신한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공정에 제공하기 전에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롤 방식, 플로트 방식의 종연신법, 텐터 장치를 사용한 횡연신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연신 필름(30)을 권취하여 롤(40)로 하고, 그 롤(40)로부터 제 1 연신 필름(30)을 권출하여 제 2 공정에 공급하였으나, 제 1 공정에서 얻은 제 1 연신 필름(30)을 권취하지 않고 제 2 공정에 공급해도 된다.
[2.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장척의 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장척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장척의 연신 필름에, 장척의 편광자를 적층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항목[1.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편광 필름이 구비하는 연신 필름의 박리 강도가 크므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편광자)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편광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적절한 비닐알코올계 중합체의 필름에,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연신 처리, 가교 처리 등의 적절한 처리를 적절한 순서 및 방식으로 실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는, 자연광을 입사시키면 직선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광 투과율 및 편광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에는 임의의 부재(예를 들어, 보호 필름)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제 3 공정)
제 3 공정에서는, 장척의 연신 필름에, 장척의 편광자를 적층하는 공정을 행한다.
적층은, 예를 들어, 장척의 편광자와 장척의 연신 필름을, 그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롤·투·롤로 첩합하여 행할 수 있다. 첩합시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장척의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장척의 편광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 3 공정에서는, 장척의 연신 필름에, 장척의 편광자에 보호 필름 등의 임의의 부재가 적층되어 있는 필름을 적층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한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조작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상압 대기 중에서 행하였다.
[평가 방법]
(필름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
평가 대상인 필름에 대하여, 파장 590nm에서 위상차 측정 장치(Axometric사 제조 제품명 「Axoscan」)를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면내 리타데이션을 측정하였다. 이들 지점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평균값을 당해 필름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로 하였다.
(필름의 평균 NZ 계수)
평가 대상인 필름에 대하여, 파장 590nm에서 위상차 측정 장치(Axometric사 제조 제품명 「Axoscan」)를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NZ 계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지점에서의 NZ 계수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평균값을 당해 필름의 평균 NZ 계수로 하였다.
NZ 계수는,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를 측정하고, 하기의 식에 따라 구한 값이다.
NZ 계수 = (Rth/Re) + 0.5
(필름의 평균 배향각)
위상차 측정 장치(Axometric사 제조 제품명 「Axoscan」)를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지상축과 필름의 폭 방향이 이루는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이들 지점에서의 배향각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 평균값을 당해 필름의 평균 배향각으로 하였다.
(필름의 박리 강도)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시클로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연신 필름(유리 전이 온도 160℃, 두께 100μm, 닛폰 제온사 제조)을 준비하였다. 평가 대상인 연신 필름 및 상기 미연신 필름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연신 필름의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면과, 미연신 필름의 코로나 처리한 면에 접착제를 부착시키고, 접착제를 부착시킨 면끼리를 첩합하였다. 이 때, 접착제로는 UV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이에 의해, 연신 필름 및 미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샘플 필름을 얻었다.
그 후, 상기 샘플 필름을 15mm의 폭으로 재단하여, 연신 필름측을 슬라이드 유리의 표면에 점착제로 첩합하였다. 이 때, 점착제로는, 양면 점착 테이프(닛토덴코사 제조, 품번 「CS9621」)를 사용하였다.
포스게이지의 선단에 상기 미연신 필름을 끼우고, 슬라이드 유리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90도 박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때, 미연신 필름이 벗겨질 때에 측정된 힘은, 연신 필름과 미연신 필름을 박리시키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힘이므로, 이 힘의 크기를 평가 대상인 연신 필름의 박리 강도로 하였다.
[실시예 1]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의 제조)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시클로올레핀 중합체의 수소화물)를 포함하는 수지 A(유리 전이 온도 126℃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의 수지, 닛폰 제온사 제조)의 펠릿을 100℃에서 5시간 건조시켰다. 이 펠릿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압출기 내에서 용융시켜, 폴리머 파이프 및 폴리머 필터를 거쳐 T 다이로부터 캐스팅 드럼 상에 시트상으로 압출하였다. 압출된 수지는 캐스팅 드럼 상에서 냉각되어 경화되어, 두께 70μm의 장척의 연신 전 필름(20)이 얻어졌다. 이 연신 전 필름을 권취하여, 권출 롤(10)을 얻었다.
(제 1 공정)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출 롤(10)로부터 장척의 연신 전 필름(20)을 권출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텐터 장치(100)에 공급하고,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여, 제 1 연신 필름(30)을 얻었다. 얻어진 제 1 연신 필름(30)은 권취하여 롤(40)로서 회수하였다. 이 때, 권출 롤(10)로부터의 연신 전 필름(20)의 권출 방향(D20)과, 제 1 연신 필름(30)의 권취 방향(D30)이 이루는 권출 각도(φ)는, 45°로 설정하였다. 얻어진 제 1 연신 필름(30)의 일부를 사용하여, 그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1 및 평균 배향각 θ1을 측정하였다.
(제 2 공정)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제 1 연신 필름을, 표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횡연신 장치에 공급해 1축 연신하여, 제 2 연신 필름인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연신 필름을 사용하여,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 평균 배향각 θ2, 평균 NZ 계수, 박리 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 ~ 4]
제 1 공정의 연신 방향, 그리고 제 2 공정의 연신 배율 및 연신 온도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지 A의 펠릿 대신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시클로올레핀 중합체의 수소화물)를 포함하는 수지 B(유리 전이 온도 135℃의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의 수지, 닛폰 제온사 제조)의 펠릿을 사용하여 연신 전 필름의 권출 롤을 제조하고, 제 1 공정의 연신 온도, 및 제 2 공정의 연신 온도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및 2]
제 1 공정의 연신 방향, 연신 배율, 및 연신 온도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고, 제 2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는, A1 × A2의 값으로서 A1의 값을 기재하였다. 박리 강도는,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장척의 연신 필름(제 1 연신 필름)에 대하여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비교예 3 및 4]
제 1 공정의 연신 방향 및 연신 배율, 그리고 제 2 공정의 연신 배율을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의 설명]
하기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연신 각도, 그리고 평균 배향각 θ1 및 θ2는,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 ~ 5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제 2 연신 필름)은, 충분한 면내 리타데이션이 발현되어 있고, 또한 박리 강도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2 공정을 행하지 않은 비교예 1 ~ 2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제 1 연신 필름)은, 면내 리타데이션 및 박리 강도 중 어느 하나가 떨어져, 충분한 면내 리타데이션과 우수한 박리 강도를 양립시킬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각도가 폭 방향에 대하여 50°보다 큰 비교예 3 ~ 4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제 2 연신 필름)도, 면내 리타데이션 및 박리 강도 중 어느 하나가 떨어져, 충분한 면내 리타데이션과 우수한 박리 강도를 양립시킬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10 권출 롤
20 연신 전 필름
21 및 22 연신 전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
30 제 1 연신 필름
31 및 32 제 1 연신 필름의 폭 방향의 단부
40 롤
50 제 2 연신 필름
60 롤
100 텐터 장치
110R 및 110L 파지자
120R 및 120L 가이드 레일
130 텐터 장치의 입구부
140 텐터 장치의 출구부
150 텐터 장치의 연신 존
400 횡연신 장치
410R 및 410L 파지자
420R 및 420L 가이드 레일
430 횡연신 장치의 입구부
440 횡연신 장치의 출구부
450 횡연신 장치의 연신 존

Claims (5)

  1.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폭 방향에 대하여 15° 이상 50° 이하의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얻는 제 1 공정과,
    상기 장척의 제 1 연신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을 얻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고,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이, 폭 방향에 대하여 10° 이상 30°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지상축을 갖는,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의 평균 NZ 계수가, 1.2 이상 1.5 이하이고,
    상기 제 1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A1로 하고, 상기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A2로 하면, A1이 1.2배 이상 1.6배 이하이고, (A1 × A2)가 1.2배보다 크고 2.0배 이하인,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의 제 2 연신 필름의 평균 면내 리타데이션 Re2가, 200nm 이상 300nm 이하인,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필름이,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5.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척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장척의 연신 필름에, 장척의 편광자를 적층하는 제 3 공정을 포함하는,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07025373A 2018-03-27 2019-03-22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001333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0213 2018-03-27
JPJP-P-2018-060213 2018-03-27
PCT/JP2019/012274 WO2019188857A1 (ja) 2018-03-27 2019-03-22 長尺の延伸フィルム及び長尺の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332A true KR20200133332A (ko) 2020-11-27

Family

ID=6806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373A KR20200133332A (ko) 2018-03-27 2019-03-22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24864B2 (ko)
KR (1) KR20200133332A (ko)
CN (1) CN111712371B (ko)
TW (1) TWI783132B (ko)
WO (1) WO201918885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505Y2 (ko) 1974-10-15 1977-12-27
JP2012101466A (ja) 2010-11-11 2012-05-31 Konica Minolta Opto Inc 長尺状延伸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長尺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5072518A1 (ja) 2013-11-15 2015-05-2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長尺の偏光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3677A (ja) * 2011-02-24 2012-09-10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位相差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長尺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3118172A1 (ja) * 2012-02-08 2013-08-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長尺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6004256A (ja) * 2014-06-19 2016-01-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903001B2 (ja) * 2015-03-20 2021-07-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斜め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98195B2 (ja) * 2016-08-30 2020-12-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斜め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505Y2 (ko) 1974-10-15 1977-12-27
JP2012101466A (ja) 2010-11-11 2012-05-31 Konica Minolta Opto Inc 長尺状延伸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長尺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5072518A1 (ja) 2013-11-15 2015-05-2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長尺の偏光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12371B (zh) 2022-08-09
TW201941912A (zh) 2019-11-01
JPWO2019188857A1 (ja) 2021-03-25
WO2019188857A1 (ja) 2019-10-03
CN111712371A (zh) 2020-09-25
TWI783132B (zh) 2022-11-11
JP7124864B2 (ja)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7528B2 (ja) 長尺の斜め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702193B2 (ja) 長尺の円偏光板、長尺の広帯域λ/4板、並びに、長尺の広帯域λ/4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488124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延伸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557188B2 (ja) 長尺の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102496307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연신 필름
JP5151356B2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延伸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38514A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延伸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217857B1 (ko) 장척의 연신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15374B1 (ko) 연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원 편광판, 그리고 표시 장치
JP5553067B2 (ja) 長尺の延伸フィルム、長尺の積層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200133332A (ko) 장척의 연신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6212171A (ja) 光学積層体、円偏光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9055603A (ja) 斜め延伸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0354B2 (ja) 延伸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43987B2 (ja) 斜め延伸フィルム
JP7036030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287915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22072123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9174847A (ja) 円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