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1249A -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 Google Patents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1249A
KR20200131249A KR1020207026564A KR20207026564A KR20200131249A KR 20200131249 A KR20200131249 A KR 20200131249A KR 1020207026564 A KR1020207026564 A KR 1020207026564A KR 20207026564 A KR20207026564 A KR 20207026564A KR 20200131249 A KR20200131249 A KR 2020013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ydrate
solvate
compound according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비트
안드레아스 뮐러
만프레드 그뢰펠
헬라 콜호프
Original Assignee
이뮤닉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뮤닉 아게 filed Critical 이뮤닉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13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칼슘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도 2세타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 2 세타 = 5.91°, 9.64°, 16.78°, 17.81°, 19.81°, 25.41°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를 억제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칼슘 염의 새로운 다형체,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그의 용도, 특히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 억제에서 이점이 있는 질환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본 발명의 대상은, 칼슘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특히,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도 2세타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 2 세타 = 5.91°, 9.64°, 16.78°, 17.81°, 19.81°, 25.41°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이다. 특히 본 발명은,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를 억제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칼슘 염의 새로운 다형체,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 및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그의 용도, 특히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 억제에서 이점이 있는 질환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질환의 예는 하기에 주어진다.
염증성 장 질환 (IBD)은 결장 및 소장의 염증성 병태의 그룹이다. 크론병(Crohn's Disease) 및 궤양성 결장염은 그의 주요 유형이다. 크론병은 소장 및 대장, 뿐만 아니라 입, 식도, 위 및 항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궤양성 결장염은 주로 결장 및 직장에 영향을 준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RA)은 특히 노인들 사이에서 매우 통상적인 질환이다. 예를 들어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와 같은 통상적 약품으로의 그의 치료는 만족스럽지 않다. 특히 서구 선진국 또는 일본에서의 증가하는 인구 고령화를 고려하여, RA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품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WO 2003/006425에는,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 억제에서 이점이 있는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 일부 특정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염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WO 2012/001148에는 상기 화합물의 칼슘 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다형체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WO 99/38846 및 EP 0 646 578에는 RA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된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새로운 작용 메커니즘을 갖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의약, 레플루노미드는 아벤티스(Aventis)사에 의해 상표명 ARAVA [EP 780128, WO 97/34600]로 시판되었다. 레플루노미드는 항-염증 뿐만 아니라 면역조절 특성을 갖는다 [EP 217206, DE 2524929]. 작용 메커니즘은 피리미딘 생합성의 효소, 디히드로오로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 (DHODH)의 억제에 기초한다.
문헌 [De Julian-Ortiz, J. Med. Chem. 1999, 42, 3308-3314]에는 시클로펜텐산 모이어티를 갖는 특정 잠재적 항-헤르페스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DE 33 46 814 A1에는 뇌 기능장애와 연관된 질환 및 그로 인해 유발되는 증상의 치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특정 탄산 아미드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인체 내에서, DHODH는 특히 세포 대사에 필수적인 피리미딘의 합성을 촉매한다. DHODH의 억제는 대사 활성화된 세포에서 민감성 유전자의 전사의 차단을 초래하지만, 정상적 대사 활성을 갖는 세포는 피리미딘 재이용(salvage) 경로로부터 이들의 필요한 피리미딘 빌딩 블록을 얻고 정상적 전사 활성을 나타낸다. 질환 관련 활성화된 림프구는 신생 피리미딘 합성에 의존하고 DHODH 억제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DHODH를 억제하는 일부 물질은 만성 염증성 및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중요한 의약이다.
레플루노미드 (ARAVA)라는 명칭의 화합물은 최초로 승인된 DHODH의 억제제였고, 인간 질환, 특히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치료에 사용된다. WO 99/45926은 DHODH의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는 추가의 참조문헌이다. DHODH를 표적화하고 있는 또 다른 약물은 테리플루노미드 (AUBAGIO®)이고, 이는 레플루노미드의 대사물이다. 테리플루노미드는 일부 국가에서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 대하여 승인되어 있다.
JP-A-50-121428에는 제초제로서의 N-치환된 시클로펜텐-1,2-디카르복실산 모노아미드 및 그의 합성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N-(4-클로로페닐)-1-시클로펜텐-1,2-디카르복실산 모노아미드는 1-시클로펜텐-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4-클로로아닐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문헌 [Journal of Med. Chemistry, 1999, Vol. 42, pages 3308-3314]에는 새로운 잠재적 항-헤르페스 화합물의 가상적 조합 합성 및 컴퓨터 스크리닝이 기재되어 있다. 페이지 3313의 표 3에는 2-(2,3-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1-시클로펜텐-1-카르복실산, 2-(2,6-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1-시클로펜텐-1-카르복실산 및 2-(2,3,4-트리플루오로페닐-카르바모일)-1-시클로펜텐-1-카르복실산에 대해 IC50 및 세포독성과 관련된 실험 결과가 제공되어 있다.
DE 3346814 및 US 4661630에는 카르복실산 아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뇌 기능장애를 수반하는 질환에 유용하며, 또한 항-궤양, 항-천식, 항-염증 및 저-콜레스테롤 활성을 갖는다.
EP 0097056, JP 55157547, DE 2851379 및 DE 2921002에는 테트라히드로프탈아미드산 유도체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DHODH의 억제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특히 그의 칼슘 염의 특정 다형체 형태의, 효과적 작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WO2003/006425 및 WO 2012/001148에 개시된 화합물과 유사한 범위로 DHODH를 억제하고, 동시에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임상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색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WO2003/006425 및 WO 2012/001148에 개시된 화합물과 유사한 범위로 DHODH를 억제하고, 유럽 의약청의 가이드라인 (예를 들어 2016년 12월 6일 버전의 것; EMA/CHMP/ICH/82260/2006)을 준수하기 위해 72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특히, 본원에서 하기에 나타낸 일반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 예컨대 2-(3-플루오로-3'-메톡시-비페닐-4-일카르바모일)-시클로펜트-1-엔카르복실산 (INN 비도플루디무스(Vidofludimus))이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전에 확인되었고,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경구 요법에서의 그의 유용성이 언급되었다.
따라서, DHODH, 특히 인간 DHODH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갖는 다형체 A로 지칭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신규한 백색 다형체가 제공되었다. 또한, 720 ppm 미만의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체 A로 지칭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상기 백색 다형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에 따른 2-({3-플루오로-3'-메톡시-[1,1'-비페닐]-4-일}카르바모일)시클로펜트-1-엔-1-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칼슘 염에 관한 것이다 (CAS-No 717824-30-1).
Figure pc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칼슘에 대한 비도플루디무스의 몰비가 2±0.3인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칼슘 염이다. EP 2588446B1 (예: 실시예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연황색 다형체와 달리, 본 발명의 대상은 백색을 갖는다.
백색 결정은 미국 연방 표준 595 컬러 코드 "백색 506", #27885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RAL 컬러 코드 RAL9010과 유사한 순백색을 갖는 결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양태에 대하여 용매화물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THF, 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양태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매화물을 수화물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용매화물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양태에 대하여 칼슘 이수화물이다.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은,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도 2세타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 2 세타 = 5.91°, 9.64°, 16.78°, 17.81°, 19.81°, 25.41°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특징적 피크가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2세타를 갖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본 출원에서 언급되는 모든 2 세타 값은 구리 K알파인 공급원으로부터의 X선 방사선의 파장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2 세타 값은 방사선 파장: Cu K-알파; 0.15418 nm에서 얻어진다.
표 1: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다형체 A의 피크 목록
Figure pct00002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도 1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664, 1624, 1617, 1532, 1449, 1338을 갖는 FT 라만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고, 스펙트럼은 도 2에 나타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980, 1659, 1584, 1335, 1145를 갖는 IR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고, 스펙트럼은 도 3에 나타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ppm으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5.2, 8.3, 7.6, 7.5, 7.4, 7.2, 6.8, 3.8, 2.7, 1.6을 갖는 1H-NMR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스펙트럼은 도 4에 나타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물에 대한 비도플루디무스의 몰비가 약 1:1인 수화물인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를 포함하는 또는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로부터 수득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로부터 수득가능한, 예를 들어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 B로부터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제약 제제이다.
720 ppm 미만의 THF를 함유하는 비도플루디무스의 Ca 염의 다형체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또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것은 처음이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720 ppm 미만 THF, 바람직하게는 65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6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또는 조성물이다.
구체적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로부터 수득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로부터 수득가능한, 예를 들어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 B로부터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이고, 여기서 상기 제약 제제는 72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65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6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5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4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대상은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제제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류마티즘, 급성 면역 장애, 자가면역 질환, 악성 세포 증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염증성 질환, 인간 및 동물에서의 원생동물 침입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및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이(Pneumocystis carinii)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섬유증, 포도막염, 비염, 천식 또는 관절병증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제제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질환 또는 치료 적응증이 이식편 대 숙주 및 숙주 대 이식편 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홍반성 루푸스, 루푸스 신염, 염증성 장 질환, 유형 1 당뇨병, 자가면역 간염,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및 건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슘-비도플루디무스의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제제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환자는 염증성 장 질환, 특히 궤양성 결장염 및 크론병을 앓고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바람직하게는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 알콜성 용매 중에서 얻어진 단리된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을 슬러리화하고, 물을 슬러리에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로부터 수득가능한,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로부터 출발하는 슬러리-대-슬러리 방법인, 상기 임의의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 예를 들어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 B를 72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은
a) 수산화칼슘 및 비도플루디무스의 유리 산의 혼합물에 유기 용매 및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물과 완전히 혼합가능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단계 a)에서 얻어진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염을 회수하는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얻어진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b)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얻어진 단리된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을 15 - 80℃에서 알콜성 용매 중에서 슬러리화하여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다형체 B를 얻는 단계,
f) 15 - 85℃에서 물을 단계 e)에서 얻어진 슬러리에 첨가하여 감소된 양의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갖는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다형체 A를 다시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임의의 실시양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이다.
단계 a)에 따른 유기 용매는 THF, 2-메틸-THF, 디옥산 또는 유사 용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단계 c)에 따른 증발은, 사용된 유기 용매를 진공 증류 또는 정상압에서의 증류에 의해 증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는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현탁액/슬러리는 사용된 용매의 혼합물 중의 결정질, 고체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슬러리 또는 현탁액이 또는 용액이 얻어지는지를 결정할 때에는 육안 검사가 사용된다.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의 비도플루디무스 (4SC-101, SC12267)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회수는 하기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여과, 원심분리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생성물의 단리.
단계 e)에 따른 알콜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i-프로판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의 비도플루디무스 (4SC-101, SC12267)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회수는 하기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여과, 원심분리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고체/액체 분리에 의한 생성물의 단리.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단계 f) 후에 건조 단계가 부가되고, 임의로 후속적으로 밀링 단계 및 임의로 후속적으로 재결정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단계 b) 후 및 단계 c) 전에 용액을 여과하고 이어서 필터를 상기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것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단계 a)의 현탁액을 25-30℃로 가열하는 것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단계 e)의 현탁액을 15-25℃로 가열하는 것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유기 용매가 THF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가 아세톤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알콜성 용매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인,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이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칼슘에 대한 비도플루디무스의 몰비가 2±0.3인, 비도플루디무스 (4SC-101, SC12267)의 결정질 칼슘 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형체는, 동물, 특히 포유류, 또한 특히 인간, 개 및 닭에게, 그 자체로 치료제로서, 또 다른 것과의 혼합물로서, 또는 경장 또는 비경구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통상적 제약상 무해한 부형제 및 첨가제에 추가로, 활성 구성성분으로서 유효 용량의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다형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제약 제조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제는 경구로, 예를 들어 환제, 정제, 코팅 정제, 당 코팅 정제,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 용액, 시럽,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또는 에어로졸 혼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투여는 또한, 직장으로, 예를 들어 좌제의 형태로, 또는 비경구로, 예를 들어 주사제 또는 주입제 형태로, 또는 경피로,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또는 팅크제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임상 시험을 위해,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가 백색을 갖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임상 시험은 "위약-효과"를 피하기 위해, 즉 의료진 또는 환자가 위약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편견을 피하기 위해 종종 이중 맹검 시험이다. 결과적 부적절성은 시험을 지연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Mandy Wan et al. Arch Dis Child September 2013, Vol 98 No. 9. 따라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유색인 경우, 위약 및 활성 제제를 동등화하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임상 제제가 백색인 것이 매우 유리하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다형체에 추가로, 제약 조성물은 추가의 관례적, 통상적으로 불활성인 담체 물질 또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약 제조물은 또한, 예를 들어, 충전제, 증량제, 붕해제, 결합제, 글리단트, 습윤제, 안정화제, 유화제, 보존제, 감미제, 착색제, 착향제 또는 방향제, 완충 물질, 및 추가의 용매 또는 가용화제 또는 저장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작용제, 뿐만 아니라 삼투압 변화를 위한 염, 코팅제 또는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2종 이상의 본 발명의 다형체의 상기 언급된 염 및 또한 다른 치료 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형체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것으로 이미 공지된 의약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후자의 경우에는 유리한 부가적 증폭 효과가 주목된다. 인간에게 투여되는 적합한 양은 5 내지 500 mg, 특히 10 mg 내지 100 mg의 범위이다.
제약 제조물을 제조하기 위해, 제약상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환제, 정제, 코팅 정제 및 경질 젤라틴 캡슐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락토스, 옥수수 전분 또는 그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그의 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질 젤라틴 캡슐 및 좌제용 부형제는, 예를 들어, 지방, 왁스, 반-고체 및 액체 폴리올, 천연 또는 경화 오일 등이다. 용액 및 시럽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수크로스, 전화당, 글루코스, 폴리올 등이다. 주사제 용액의 제조에 적합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알콜, 글리세롤, 폴리올 또는 식물성 오일이다.
용량은 폭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고, 각 개별 경우에 개별 조건에 적합화되어야 한다. 상기 용도를 위해 적절한 투여량은 투여 방식, 치료되는 특정 병태 및 요망되는 효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물 체중에 대하여 약 1 내지 100 mg/kg, 특히 1 내지 50 mg/kg의 투여량 비율에서 만족스런 결과가 달성된다. 보다 큰 동물, 예를 들어 인간에 대하여 적합한 투여량 비율은 약 10 mg 내지 3 g/일 정도이고, 편리하게는 한번에 또는 분할 용량으로, 예를 들어 1일에 2 내지 4회로, 또는 지속 방출 형태로 투여된다.
일반적으로, 인간 개체 당, 대략 10 mg 내지 100 mg, 특히 10 내지 50 mg의 1일 용량이 경구 투여의 경우에 적절하다. 다른 투여 형태의 경우에도, 1일 용량은 유사한 범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하기와 같다:
1.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며:
Figure pct00003
칼슘에 대한 상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도 2세타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 2 세타 = 5.91°, 9.64°, 16.78°, 17.81°, 19.81°, 25.41°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특징적 피크가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2세타를 갖는 것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표 1: 비도플루디무스의 Ca 염의 다형체 A의 피크 목록
Figure pct00004
4.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05
도 1: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PXRD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664, 1624, 1617, 1532, 1449, 1338을 갖는 FT 라만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06
도 2: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라만 스펙트럼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980, 1659, 1584, 1335, 1145를 갖는 IR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07
도 3a: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완전 영역
Figure pct00008
도 3b: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핑거프린트 영역
7. 실시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ppm으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5.2, 8.3, 7.6, 7.5, 7.4, 7.2, 6.8, 3.8, 2.7, 1.6을 갖는 1H-NMR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09
도 4: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1H-NMR 스펙트럼
8.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물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약 1:1인 수화물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9.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10. 72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 실시양태 1에 따른 제약 제제.
11.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실시양태 9 또는 10에 따른 제약 제제.
12. 류마티즘, 급성 면역 장애, 자가면역 질환, 악성 세포 증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염증성 질환, 인간 및 동물에서의 원생동물 침입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및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이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섬유증, 포도막염, 비염, 천식 또는 관절병증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실시양태 9 또는 10에 따른 제약 제제.
13. 질환 또는 치료 적응증이 이식편 대 숙주 및 숙주 대 이식편 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홍반성 루푸스, 염증성 장 질환, 및 건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실시양태 9 또는 10에 따른 제약 제제.
14. ·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를 제공하는 단계,
·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바람직하게는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 알콜성 용매 중에서 얻어진 단리된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을 슬러리화하고, 물을 슬러리에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
15. a) 수산화칼슘 및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유리 산의 혼합물에 유기 용매 및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단계 a)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유기 용매 및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시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을 얻는 단계,
d) 물과 완전히 혼합가능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단계 c)에서 얻어진 상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에 첨가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하는 단계, 및
g) 단계 f)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h) 단계 g)에서 얻어진 단리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15 - 80℃에서 알콜성 용매 중에서 슬러리화하는 단계,
i) 15 - 85℃에서 물을 단계 h)에서 얻어진 슬러리에 첨가하는 단계,
j)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하는 단계, 및
k) 단계 j)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양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
16. 실시양태 14 또는 15에 있어서, 단계 g) 및 단계 k) 후에 건조 단계가 부가되고, 임의로 후속적으로 밀링 단계 및 임의로 후속적으로 재결정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7. 실시양태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계 b) 후 및 단계 c) 전에 용액을 여과하고 이어서 필터를 상기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8. 실시양태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계 a)의 현탁액을 25-30℃로 가열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9. 실시양태 14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계 e)의 현탁액을 15-25℃로 가열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0. 실시양태 14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THF, 2-메틸-THF, 디옥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1. 실시양태 14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가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2. 실시양태 14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칼슘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PXRD
도 2: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라만 스펙트럼
도 3a: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완전 영역.
도 3b: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핑거프린트 영역.
도 4: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1H-NMR 스펙트럼.
도 5: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Ca 염의 다형체 C의 PXRD
도 6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Ca 염의 다형체 B의 PXRD
실시예
실시예 1
화학식 (I)의 화합물을 JP-A-50-121428에 기재된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특히 하기 두가지 합성 방법이 사용된다.
방법 1: 제1 단계에서, 문헌 [R.N. Mc Donald and R.R. Reitz, J. Org. Chem. 37, (1972) 2418-24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α,α'-디브로모 알칸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시클로알켄-1,2-디카르복실산을 얻을 수 있다. 시클로펜텐-1,2-디카르복실산은 또한 피멜산으로부터 다량으로 얻을 수 있다 [D.C. Owsley und J.J. Bloomfield, Org. Prep. Proc. Int. 3, (1971) 61-70]; [R. Willstaetter, J. Chem. Soc. (1926), 655-663].
고리계 내에 또는 고리계 상에 치환된 디카르복실산은 일반적으로 시안히드린 합성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Shwu-Jiuean Lee et al., Bull. Inst. Chem. Academia Sinica Number 40, (1993), 1-10] 또는 [B. R. Baker et al., J. Org. Chem. 13, 1948, 123-133]; 및 [B. R. Baker et al., J. Org. Chem. 12, 1947, 328-332]; [L. A. Paquette et al., J. Am. Chem. Soc. 97, (1975), 6124-6134].
이어서, 디카르복실산은, 이를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응하는 산 무수물로 전환될 수 있다 [P. Singh and S.M. Weinreb, Tetrahedron 32, (1976), 2379-2380].
화학식 (II)의 상이한 산 무수물의 제조를 위한 다른 방법은 문헌 [V. A. Montero et al., J. Org. Chem. 54, (1989), 3664-3667]; [P. ten Haken, J. Heterocycl. Chem. 7, (1970), 1211-1213]; [K. Alder, H. Holzrichter, J. Lieb. Annalen d. Chem. 524, (1936), 145-180]; [K. Alder, E. Windemuth, J. Lieb. Annalen d. Chem. 543, (1940), 56-78]; 및 [W. Flaig, J. Lieb. Annalen d. Chem. 568, (1950), 1-33]에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이들 무수물을 상응하는 아민과 반응시켜 요망되는 화학식 (I)의 아미드를 얻을 수 있다. 이 반응은 문헌 [J.V. de Julian Ortiz et al., J. Med. Chem. 42, (1999), 3308]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반응 조건 (실시예 1의 지정 경로 A)의 사용에 의해 또는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 (실시예 1의 지정 경로 B)의 사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2: 화학식 (I)의 아미드는 또한, 화학식 (IV)의 아민을 일반 화학식 (V)의 아릴보론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M. P. Winters, Tetrahedron Lett., 39, (1998), 2933-2936].
비아릴아닐린은 일반적으로 팔라듐 커플링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G. W. Kabalka et al., Chem.Commun., (2001), 775]; [A. Demeter, Tetrahedron Lett. 38; (1997), 5219-5222]; [V. Snieckus, Chem.Commun. 22, (1999), 2259 - 2260].
방법 3: 화학식 (I)의 아미드는 또한, 화학식 (VI)의 할로겐 유도체를 일반 화학식 (VII)의 아릴보론산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N. E. Leadbeater, S. M. Resouly, Tetrahedron, 55, 1999, 11889-11894].
실시예 2
실험 / 기기 셋팅
1H-NMR: 300.13 MHz의 양성자 주파수, 30° 여기 펄스, 및 1 s의 재순환 지연으로 브루커(Bruker) DPX300 분광계를 사용하여 1H-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16개 스캔을 누적시키고, D2O; MeOD 또는 d6-DMSO를 용매로서 사용하였다.
DSC: 퍼킨 엘머(Perkin Elmer) DSC-7 기기 (N2 분위기 하에 폐쇄된 금 샘플 팬)로 시차 주사 열량측정을 수행하였다. 샘플을 10K/min의 속도로 융점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시키고 (냉각 속도 200K/min), 그 후 다시 10K/min의 속도로 가열하였다.
DVS (SMS): 서피스 메저먼트 시스템즈 리미티드(Surface Measurement Systems Ltd.) DVS-1 수증기 흡착 분석기. 샘플을 백금 샘플 팬 상에 배치하고, 주어진 상대 습도 (r.h.), 통상적으로 50% r.h.에서 평형화시킨다. 이어서, 미리 정해진 습도 프로그램을 시간 당 5% r.h. 변화의 스캔 속도로 개시하였다. 제1 단계: 50% r.h.로부터 0% r.h.까지 (아마도 출발 물질로서 수화물의 경우에는 50에서 95% r.h.로), 제2 단계: 0%로부터 95% r.h.까지 (아마도 출발 물질로서 수화물의 경우에는 95에서 0% r.h.로).
FT-라만 분광법: 1064 nm에서 작동하는 근적외선 Nd:YAG 레이저 및 액체 질소-냉각된 게르마늄 검출기를 사용하여 브루커 RFS 100 FT-라만 시스템 상에서 FT-라만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대하여, 2 cm-1의 해상도로 최소 64개 스캔을 누적시켰다. 300 mW 공칭 레이저 출력을 사용하였다. FT-라만 데이터를 3500 내지 100 cm-1의 영역에서 나타내었다. 100 cm-1 미만에서는 데이터가 레일레이(Rayleigh) 필터 컷오프로 인해 신뢰가능하지 않다.
광학 현미경검사: 레이카(Leica) DFC280 카메라 및 IM50 v.5 이미지-캡처링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레이츠 오르토플란(Leitz Orthoplan) 110680 현미경. 이미지를 교차 편광기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4x, 10x, 또는 25x 배율로 기록하였다.
분말 X선 회절: 브루커 D8; 구리 Ka 방사선, 40 kV/40 mA; 링스아이(LynxEye) 검출기, 0.02 °2Θ 스텝 크기, 37 s 스텝 시간. 샘플 제조: 샘플을 일반적으로, 편평 표면을 얻기 위한 약간의 압력의 적용 이외에는 임의의 특수 처리 없이 측정하였다. 실리콘 단결정 샘플 홀더를 사용하였다 (0.1, 0.5 또는 1 mm 깊이). 샘플을 측정 동안 회전시켰다.
라만 현미경검사: 레니쇼 인비아 리플렉스 라만 시스템(Renishaw inVia Reflex Raman System). 785 nm 여기를 사용하는 안정화된 다이오드 레이저 및 검출기로서의 NIR 향상된 펠티어(Peltier)-냉각된 CCD 카메라. 긴 작용 거리 20x 대물렌즈로 측정을 수행하였다. 파수 범위 2000-100 cm-1, 10 s 검출 시간, 스펙트럼 당 3개 누적.
용매: 모든 실험에 대하여, 플루카(Fluka), 머크(Merck) 또는 ABCR 분석 등급 용매를 사용하였다.
TG-FTIR: 브루커 FTIR 분광계 벡터 22 또는 IFS 28에 커플링된 네취 써모-마이크로밸런스(Netzsch Thermo-Microbalance) TG 209 (핀홀을 갖는 샘플 팬, N2 분위기, 가열 속도 10℃/min, 범위 25℃ 내지 350℃)로 열중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DHODH 활성의 억제 검정
표준 검정 혼합물은 20 mU DHODH 뿐만 아니라 50 μM 데시클로 우비키논, 100 μM 디히드로오로테이트, 60 μM 2,6-디클로로인도페놀을 함유하였다. 사용된 재조합 효소의 부피 활성은 30 U/ml였다. 1 ml의 최종 부피로 30℃에서 50 mM TrisHCl (150 mM KCl, 0.1% 트리톤(Triton) X-100, pH 8.0) 중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성분들을 혼합하고, 디히드로오로테이트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개시하였다. 2 min 동안 600 nm에서의 흡수 감소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함으로써 반응 과정을 추적하였다.
추가의 가변적 양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표준 검정으로 억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IC50 값 (50% 억제를 위해 필요한 억제제의 농도)의 측정을 위해, 적어도 5개의 상이한 억제제 농도를 적용하였다.
독일 마르부르크의 뢰플러(M. Loeffler) 교수에 의해 제공된 재조합 인간 뿐만 아니라 재조합 뮤린 DHODH를 사용하여 이들 조사를 수행하였다 [M. Loeffler, Chem. Biol. Interact. 124, (2000), 61-76].
기준물로서 레플루노미드 A77-1726 (화합물 12)의 활성 대사물을 사용하였다 [J. Joeckel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56 (1998), 1053-1060].
억제 검정의 결과가 ?c켈(Joeckel) 등의 상기 공개 문헌의 표 1 상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의 제조에 사용된 화합물은 레플루노미드의 활성 대사물에 비해 인간 효소에 대한 대등한 또는 훨씬 우수한 억제 활성 뿐만 아니라 인간 효소에 대한 보다 높은 특이성을 갖는다는 것이 IC50-값의 비교로부터 명백하다.
실시예 4
인간 T-세포의 증식 검정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건강한 지원자로부터 얻고, 10% 투석된 소 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RPMI1640 세포 배지로 전달하였다. 80.000개 세포/웰을 96-웰 플레이트 내로 피펫팅하고, 식물적혈구응집소 (PHA)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 중에서 20 μg/ml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여 T-세포 증식을 자극하였다. 비도플루디무스를 디메틸 술폭시드 (DMSO, 최종 농도: 0.1 Vol%) 중에서 20 nM 내지 50 μM 범위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48시간 인큐베이션 후,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세포 증식 ELISA BrdU" (로슈(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을 정량화하였다. 4-파라미터 S자형 곡선 핏을 사용하여 절반 최대 억제 (IC50)를 계산하였다. T-세포 증식은 4.1 μM의 IC50으로 비도플루디무스에 의해 억제되었다.
실시예 5
칼슘 염의 제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칼슘 염의 합성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WO 2012/001148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추가로, 도 5에 나타낸 분말 X선 회절은, 결정질 물질이 얻어졌지만, 유리 산의 경우와 상이한 패턴을 가짐을 보여준다 (도 6 참조). 광 현미경검사로 결정을 가시화하였고 (도 4), DSC (시차 주사 열량측정)는 약 155℃의 융점을 입증하였고 (용매화물 및 비-용매화물 형태의 용융을 나타냄), TG-FTIR (열중량측정 분석기-결합 푸리에(Fourier)-변환 적외선)은 아마도 메탄올 용매화물 및 수화물이 형성되었음을 나타내고, 동적 증기 흡착은 탈용매화 후 약 85% r.h.에서 0.3% 물 흡수 및 95% r.h.에서 0.4% 물 흡수를 밝혀내었다 (가역적이 아님).
실시예 6
다형체 A의 합성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는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a) 수산화칼슘 및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유리 산의 혼합물에 유기 용매 및 물을 첨가함,
b)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단계 a)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함,
c) 상기 유기 용매 및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시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을 얻음,
d) 물과 완전히 혼합가능한 아세톤을 단계 c)에서 얻어진 상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에 첨가함,
e) 단계 d)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함,
f)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함, 및
g) 단계 f)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용매로 세척함,
h) 단계 g)에서 얻어진 단리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15 - 80℃에서 알콜성 용매 중에서 슬러리화함,
i) 15 - 85℃에서 물을 단계 h)에서 얻어진 슬러리에 첨가함,
j)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함, 및
k) 단계 j)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함.
실시예 7
생체이용률의 측정
비도플루디무스의 칼슘 염 및 유리 산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수컷 위스타(Wistar) 래트에서 비교하였다. 유리 산 또는 칼슘 염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시켰고, 동물은 체중 킬로그램 당 대략 10 mg 유리 산 당량의 용량 수준으로 단일 투여를 받았다.
그룹 당 4마리의 수컷 위스타 래트 (체중 범위: 250-275 g)를 비도플루디무스 유리 산 또는 그의 칼슘 염으로 처리하였다. 캡슐을 적용 기구를 사용하여 동물의 식도 내로 투여하였다. 투여 후 하기 시점에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동물로부터 정맥혈 샘플을 취하였다: 30 min; 1 h; 2 h; 4 h; 6 h; 8 h; 24 h; 28 h; 32 h 및 48 h. Na-헤파린을 사용하여 응고를 억제시키고, 혈액 샘플의 원심분리에 의해 혈장을 생성시켰다. 혈장 샘플을 LC-MS/MS에 의해 비도플루디무스에 대해 분석하고, 혼합 로그 선형 사다리꼴 방법에 따라 약동학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칼륨 염을 검사하기 위해, 6마리의 암컷 루이스(Lewis) 래트 (체중 ca. 200 g)를 30 mg/kg (유리 산 당량)의 용량 수준으로 비도플루디무스 유리 산 또는 그의 칼륨 염으로 처리하였다. 화합물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 중 0.5% 메틸셀룰로스 중에서 제제화하고, 동물을 경구 위관영양에 의해 처리하였다. 투여 후 하기 시점에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동물로부터 정맥혈 샘플을 취하였다: 30 min; 1 h; 2 h; 4 h; 8 h; 26 h; 33h; 48 h 및 72 h. Na-헤파린을 사용하여 응고를 억제시키고, 혈액 샘플의 원심분리에 의해 혈장을 생성시켰다. 혈장 샘플을 LC-MS/MS에 의해 비도플루디무스에 대해 분석하고, 선형 사다리꼴 법칙 방법에 따라 약동학 파라미터 (AUC)를 계산하였다.
염의 투여 후 비도플루디무스의 혈장-농도-시간-곡선 하 면적 (AUC) 및 최대 달성 혈장 농도 (Cmax 값)를 유리 산의 투여 후 나타난 것들과 비교함으로써 염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평가하였다. 이들 비율을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래트에 대한 비도플루디무스의 경구 적용 후 PK 파라미터의 비교
Figure pct00010
실시예 8
I상 연구에서 사용된, 약물 물질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의 이전 GMP-배치 (IM90838; 배치 RL01L156A1)를 현재 배치, 즉 파테온 디피엑스 파인 케미칼즈 레겐스부르크 게엠베하(Patheon DPx Fine Chemicals Regensburg GmbH) - ResCom® (독일 레겐스부르크)와 동일한 설비에서 중간체 비도플루디무스 (VIDO-05; SC12267)로부터 제조하였다. 사용된 중간체 비도플루디무스는 캄브렉스 칼스코가 아베(Cambrex Karlskoga AB, 스웨덴 칼스코가)에 의해 제조되었다.
약물 물질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은 일반적으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THF)을 대략 6,000 내지 10,000 ppm의 수준으로 혼입함으로써, 제조 방법의 최종 단계를 THF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적화하였다:
조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을 에탄올로 처리하여, 중간체 에탄올 용매화물을 형성하였고, 이는 물로 처리 시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의 요구되는 다형체를 이수화물로서 제공한다. 최종 약물 물질 중에서 에탄올은 대략 2,000 내지 6,000 ppm의 수준으로 유지되고, 이는 허용가능한 것이다. 방법은 섹션 2.1.S.2.2에 기재되어 있다.
예비 실험실 방법으로부터의 결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대략 20 g 비도플루디무스 (VIDO-5)의 실험실 규모 배치를 섹션 3.2.S.2.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으로 전달하였다. 분석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 비도플루디무스 칼슘 (IM90838)의 실험실 배치에 대한 분석 결과
Figure pct00011
n.d.: 검출 안됨
1) SC12219 (VIDO-03; RRT 0.77, 2) SC44107: RRT 0.13, 3) 보고 > 0.05%,
4) 관련 없음에 따라 측정 안됨 (n. det.); 비도플루디무스에서 총 중금속은 ≤ 20 ppm으로 측정되었고, 실험실 배치에서 추가의 금속 불순물이 예상되지 않음.
비도플루디무스 칼슘의 실험실 배치는 NMT 720 ppm의 가이드라인 한계 미만의 THF를 함유하지만; 에탄올 함량은 대략 5,000 ppm까지 측정됨을 인지할 수 있다. 검정 또는 불순물 수준에서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Claims (22)

  1.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이며:
    Figure pct00012

    칼슘에 대한 상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도 2세타로 표시되는 특징적 피크: 2 세타 = 5.91°, 9.64°, 16.78°, 17.81°, 19.81°, 25.41°를 갖는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징적 피크가 하기에 나타낸 값의 ±0.2에서의 2세타를 갖는 것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표 1: 비도플루디무스의 Ca 염의 다형체 A의 피크 목록
    Figure pct00013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14

    도 1: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PXRD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664, 1624, 1617, 1532, 1449, 1338을 갖는 FT 라만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15

    도 2: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라만 스펙트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cm-1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980, 1659, 1584, 1335, 1145를 갖는 IR 흡수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16

    도 3a: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완전 영역
    Figure pct00017

    도 3b: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IR 스펙트럼, 핑거프린트 영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ppm으로 표시되는 하기 특징적 피크: 15.2, 8.3, 7.6, 7.5, 7.4, 7.2, 6.8, 3.8, 2.7, 1.6을 갖는 1H-NMR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Figure pct00018

    도 4: Ca 비도플루디무스의 다형체 A의 1H-NMR 스펙트럼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약 1:1인 수화물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를 포함하는 제약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720 ppm 미만의 THF 함량을 갖는 제약 제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제약 제제.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류마티즘, 급성 면역 장애, 자가면역 질환, 악성 세포 증식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염증성 질환, 인간 및 동물에서의 원생동물 침입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및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이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섬유증, 포도막염, 비염, 천식 또는 관절병증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제약 제제.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치료 적응증이 이식편 대 숙주 및 숙주 대 이식편 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홍반성 루푸스, 염증성 장 질환, 및 건선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또는 제약 제제.
  14. · Ca-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 바람직하게는 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결정질 다형체를 제공하는 단계,
    ·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바람직하게는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 알콜성 용매 중에서 얻어진 단리된 칼슘-비도플루디무스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을 슬러리화하고, 물을 슬러리에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
  15. a) 수산화칼슘 및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유리 산의 혼합물에 유기 용매 및 물을 첨가하는 단계,
    b)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단계 a)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하는 단계,
    c) 상기 유기 용매 및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발시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을 얻는 단계,
    d) 물과 완전히 혼합가능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를 단계 c)에서 얻어진 상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의 현탁액에 첨가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얻어진 현탁액을 교반하는 단계,
    f)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하는 단계, 및
    g) 단계 f)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h) 단계 g)에서 얻어진 단리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15 - 80℃에서 알콜성 용매 중에서 슬러리화하는 단계,
    i) 15 - 85℃에서 물을 단계 h)에서 얻어진 슬러리에 첨가하는 단계,
    j) 단계 e)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회수하는 단계, 및
    k) 단계 j)에서 얻어진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칼슘 염을 단계 d)에서 언급된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단계 g) 및 단계 k) 후에 건조 단계가 부가되고, 임의로 후속적으로 밀링 단계 및 임의로 후속적으로 재결정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후 및 단계 c) 전에 용액을 여과하고 이어서 필터를 상기 유기 용매로 세척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의 현탁액을 25-30℃로 가열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e)의 현탁액을 15-25℃로 가열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가 DMF, DMSO, NMP, THF, 아세톤, 디옥산, 2-메틸-THF 또는 (메탄올/CH2Cl2 (1:3))을 포함하는 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결정질 다형체의 제조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칼슘에 대한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몰비가 2±0.3인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및/또는 수화물의 Ca 염의 백색 결정질 다형체 A.
KR1020207026564A 2018-03-16 2019-03-15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KR20200131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2244.0 2018-03-16
EP18162244 2018-03-16
PCT/EP2019/056560 WO2019175396A1 (en) 2018-03-16 2019-03-15 Novel calcium salt polymorphs as anti-inflammatory, immunomodulatory and anti-proliferatory ag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249A true KR20200131249A (ko) 2020-11-23

Family

ID=616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564A KR20200131249A (ko) 2018-03-16 2019-03-15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210017125A1 (ko)
EP (1) EP3765439B1 (ko)
JP (2) JP7358373B2 (ko)
KR (1) KR20200131249A (ko)
CN (1) CN111836795B (ko)
AU (1) AU2019233698B2 (ko)
BR (1) BR112020017443A2 (ko)
CA (1) CA3093984A1 (ko)
FI (1) FI3765439T3 (ko)
IL (2) IL277326B2 (ko)
MA (1) MA51998A (ko)
MX (1) MX2020009612A (ko)
PH (1) PH12020551488A1 (ko)
SG (1) SG11202008032YA (ko)
UA (1) UA128135C2 (ko)
WO (1) WO2019175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60040A1 (en) 2020-04-21 2022-11-17 Immunic Ag Vidofludimus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iral diseases
WO2022200615A1 (en) 2021-03-26 2022-09-29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Stiftung Öffentlichen Rechts, Universitätsmedizin Pyrimidine biosynthesis inhibitor combination for use in treating viral infections
KR20240007144A (ko) 2021-04-09 2024-01-16 이뮤닉 아게 중수소화 dhodh 억제제
US11877994B2 (en) * 2021-08-02 2024-01-23 Immunic Ag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comprising DHODH inhibitors
TW202332433A (zh) 2021-12-23 2023-08-16 德商埃慕尼克股份公司 含羧酸生物電子等排體之dhodh抑制劑
WO2023232884A1 (en) 2022-06-01 2023-12-07 Immunic Ag Treatment of ulcerative colitis comprising vidofludimus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1428A (ko) 1974-03-12 1975-09-23
NL186239B (nl) 1975-06-05 Hoechst Ag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geneesmiddel met antiflogistische en/of analgetische werking, alsmede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een 2-hydroxyethylideencyaanazijnzuuranilide geschikt voor toepassing bij deze werkwijze.
IL56012A (en) 1977-11-29 1983-07-3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N-(2-fluoro-4-bromo(or chloro)phenyl)-3,4,5,6-tetrahydrophthalamic acid derivatives,their preparation,and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JPS54154737A (en) 1978-05-25 1979-12-06 Mitsubishi Chem Ind Ltd Cyclohexenedicarboxylic acid diamide and herbicide
JPS55157547A (en) 1979-05-28 1980-12-08 Takeda Chem Ind Ltd Tetrahydrophthalamide derivative, its preparation and herbicide
AU1526483A (en) 1982-06-14 1983-12-2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N-substituted-3,4,5,6-tetrahydrophthalamic acids
JPS59118750A (ja) 1982-12-27 1984-07-09 Eisai Co Ltd カルボン酸アミド化合物およびその誘導体
DE3534440A1 (de) 1985-09-27 1987-04-02 Hoechst Ag Arzneimittel gegen chronische graft-versus-host-krankheiten sowie gegen autoimmunerkrankungen, insbesondere systemischen lupus erythematodes
GB9320299D0 (en) 1993-10-01 1993-11-17 Roussel Lab Ltd Isoxazole derivatives
DE19547648A1 (de) 1995-12-20 1997-06-26 Hoechst Ag Zubereitung, enthaltend High Density Lipoproteine und Crotonsäureamidderivate
DE19610955A1 (de) 1996-03-20 1997-09-25 Hoechst Ag Kombinationspräparat, enthaltend 5-Methylisoxazol-4-carbonsäure-(4-trifluormethyl)- anilid und N-(4-Trifluormethylphenyl)-2-cyan-3- hydroxycrotonsäureamid
AU2108099A (en) 1998-01-30 1999-08-16 Procept, Inc. Immunosuppressive agents
GB9804343D0 (en) 1998-02-27 1998-04-22 Univ Cardiff Chemical compounds
WO2003006424A1 (en) 2001-07-10 2003-01-23 4Sc Ag Novel compounds as anti-inflammatory, immunomodulatory and anti-proliferatory agents
UA108760C2 (uk) * 2010-07-01 2015-06-10 Кальцієві солі сполуки як протизапальні, імуномодулюючі та антипроліферативні засоби
CA2947067C (en) * 2014-05-08 2023-02-14 Panoptes Pharma Ges.M.B.H. Compounds for treating ophthalmic diseases and disorders
AU2016380280B2 (en) * 2015-12-30 2021-09-23 Les Laboratoires Servier Treatment of tumors incorporating mutant isocitrate dehydrogen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307422A (en) 2023-12-01
EP3765439A1 (en) 2021-01-20
PH12020551488A1 (en) 2021-08-23
CN111836795B (zh) 2024-03-29
WO2019175396A1 (en) 2019-09-19
IL277326B2 (en) 2024-03-01
MX2020009612A (es) 2020-10-07
BR112020017443A2 (pt) 2020-12-22
UA128135C2 (uk) 2024-04-17
IL277326A (en) 2020-10-29
AU2019233698A1 (en) 2020-09-17
SG11202008032YA (en) 2020-09-29
JP7358373B2 (ja) 2023-10-10
AU2019233698B2 (en) 2023-01-19
CA3093984A1 (en) 2019-09-19
IL277326B1 (en) 2023-11-01
CN111836795A (zh) 2020-10-27
RU2020133836A3 (ko) 2022-04-18
US20210017125A1 (en) 2021-01-21
JP2024001061A (ja) 2024-01-09
MA51998A (fr) 2021-01-20
RU2020133836A (ru) 2022-04-18
EP3765439B1 (en) 2024-05-01
JP2021518359A (ja) 2021-08-02
FI3765439T3 (fi)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1249A (ko) 항-염증제, 면역조절제 및 항-증식제로서의 신규한 칼슘 염 다형체
KR100866820B1 (ko) 지질 풍부 플라크 퇴축제
JP5819954B2 (ja) 抗炎症剤、免疫調節剤及び抗増殖剤としての化合物の新規カルシウム塩
WO2012044595A1 (en) Dabigatran etexilate bismesylate salt, solid state form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US20160229848A1 (en) Benzazepine Ketone Compounds as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edical Uses
JP5108878B2 (ja) 置換型カルボキサミド
BR112013032306B1 (pt) derivados de indanona, método de preparação dos mesmos,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 uso dos mesmos para prevenção ou tratamento de doenças virais
RU2282627C2 (ru) Кумар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с подавляющей комт активностью
JP5972986B2 (ja) Cddoエチルエステルの多形体及びその用途
RU2797511C2 (ru) Новые полиморфы кальциевой соли в качеств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их и антипролиферативных средств
EP1654227A1 (de) Bicyclische indolinsulfonamid-derivate
US20080319031A1 (en) Novel Tyrosine Derivatives
JPS6399057A (ja) グリシン誘導体
EP4223757A1 (en) Fxr small-molecule agonis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890005204B1 (ko) 벤조티아진 디옥사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651767A (zh) 一种苯并异噁唑类杂环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6211790A (ja) フタルイミド誘導体
JPH0798824B2 (ja) 免疫調節剤
JPH05170696A (ja) ビス(4−アルコキシフェニル)エチレ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