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828A -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828A
KR20200130828A KR1020207026859A KR20207026859A KR20200130828A KR 20200130828 A KR20200130828 A KR 20200130828A KR 1020207026859 A KR1020207026859 A KR 1020207026859A KR 20207026859 A KR20207026859 A KR 20207026859A KR 20200130828 A KR20200130828 A KR 2020013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ilm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카즈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09068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76717A1/ja
Publication of KR2020013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8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 측에 커버 유리가 적층된 상태에서 고온 환경 하에 놓인 경우라도,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반사광의 색조가 균일한 원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편광 필름과, 점접착제층과,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점접착제층은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며,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원편광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보급이 진행되어, 화상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OLED)가 널리 이용되게 되어 왔다. 또한,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따라, 이용하는 편광판 등의 각 부재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는, 통상 외광이 금속 전극(음극)에서 반사되어 경면처럼 시인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유기 EL 패널의 시인 측의 표면에 원편광판이 배치된다.
상기 원편광판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편광판과 λ/4판의 적층체가 이용되고 있지만, 예컨대 편광자와 특정 굴절률 특성을 갖는 1장의 위상차층을 적층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연신 필름을 이용한 λ/4판으로는 박형화에는 한계가 있어, 한층 더한 박형화를 위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한 λ/4판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이러한 위상차 필름을 원편광판에 적용한 경우에는, 원편광판을 유리에 붙이고, 또한 커버 유리를 원편광판 상(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시인 측)에 적층한 상태에서 내열 시험을 행하면, 샘플 중앙부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가 저하하는 것이 밝혀졌다. 그 결과, 원편광판의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반사광의 색조가 변하여, 외관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32556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4-12313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 측에 커버 유리가 적층된 상태에서 고온 환경 하에 놓인 경우라도,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반사광의 색조가 균일한 원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 편광 필름과, 점접착제층과,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점접착제층은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며,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원편광판.
[2]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이소부틸렌 및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원편광판.
[3]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원편광판.
[4]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비정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한 원편광판.
[5]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원편광판.
[6] 상기 위상차 필름이 하기 식 (α) 및 (β)를 만족하는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원편광판.
Re(450)/Re(550)≤1.00 (α)
1.00≤Re(650)/Re(550) (β)
[식 중, Re(450)은 파장 4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내고, Re(550)은 파장 5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내고, Re(650)은 파장 6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낸다.]
[7]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원편광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상기 화상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7]에 기재한 화상 표시 장치.
[9]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윈도우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 측에 커버 유리가 적층된 상태에서 고온 환경 하에 놓인 경우라도,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가 균일한 원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의 위상차치
면내의 위상차치 [Re(λ)]는 온도 23℃, 파장 λ(nm)에 있어서의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치를 말한다. Re(λ)는 필름의 두께를 d(nm)로 했을 때, Re(λ)=(nx-ny)×d에 의해서 구해진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
면내의 위상차치 [Rth(λ)]는 온도 23℃, 파장 λ(nm)에 있어서의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를 말한다. Rth(λ)는 필름의 두께를 d(nm)로 했을 때, Rth(λ)={(nx+ny)/2-nz}×d에 의해서 구해진다.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일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이 적합하다. 이들 편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80 ㎛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정도이고, 98 몰%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며, 1,500∼5,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단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원단 필름의 막 두께는,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두께를 15 ㎛ 이하로 하는 것을 고려하면, 5∼35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단 필름의 막 두께가 35 ㎛ 이상이면,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연신 배율을 높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치수 수축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원단 필름의 막 두께가 5 ㎛ 이하이면, 연신을 실시할 때의 핸들링성이 저하하여, 제조 중에 절단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일축 연신은, 2색성 색소의 염색 전, 염색과 동시 또는 염색 후에 행할 수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일축 연신함에 있어서는, 원주 속도가 다른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일축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라도 좋고, 용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라도 좋다. 연신 배율은 통상 3∼8배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2색성 색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요오드나 2색성 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의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01∼1 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5∼20 중량부 정도이다.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4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1,800초 정도이다.
한편, 2색성 색소로서 2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는, 통상 수용성 2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 있어서의 2색성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1×10-4∼10 중량부 정도이고, 1×10-3∼1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색에 이용하는 2색성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80℃ 정도이다. 또한, 이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1,800초 정도이다.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후의 붕산 처리는, 통상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붕산의 양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2∼15 중량부 정도이고, 5∼12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화칼륨의 양은 통상 물 100 중량부당 0.1∼15 중량부 정도이고, 5∼12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의 침지 시간은 통상 60∼1,200초 정도이며, 150∼600초 정도가 바람직하고, 200∼400초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50℃ 이상이며, 50∼85℃가 바람직하며, 60∼80℃가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통상 수세 처리된다. 수세 처리는, 예컨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세 처리에 있어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5∼40℃ 정도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통상 1∼120초 정도이다.
수세 후에는 건조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열풍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100℃ 정도이고, 50∼80℃가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 시간은 통상 60∼600초 정도이고, 120∼600초가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에 의해서 편광 필름의 수분율은 실용 정도로까지 저감된다. 그 수분율은 통상 5∼20 중량%이고, 8∼15 중량%가 바람직하다. 수분율이 5 중량%를 밑돌면, 편광 필름의 가요성을 잃게 되어, 편광 필름이 그 건조 후에 손상되거나 파단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분율이 20 중량%를 웃돌면, 편광 필름의 열안정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편광자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연신, 염색, 붕산 처리, 수세 공정, 건조 공정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12-15977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행하여도 좋다. 이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기재 필름에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코팅에 의해, 편광자가 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편광 필름의 두께는 1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10 ㎛이다.
또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편광 필름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판이나,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양면 보호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편광 필름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같은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고, 다른 수지 재료 등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도 좋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점에서 1∼500 ㎛ 정도이다.
상기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은 통상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통해 적층된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자외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각종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적합한 접착성을 보인다. 보호 필름은, 편광 필름과 맞붙이기에 앞서서,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필름의 편광 필름을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대전방지층이나 스티킹(sticking) 방지층,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은 소위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λ/4판으로서 기능한다는 것은, 위상차 필름의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 Re(590)이 90∼190 nm인 것을 말한다. 면내 위상차치 Re(590)은 바람직하게는 110∼170 n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160 nm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한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차층의 nx와 ny의 차를 비액정 재료와 비교하여 현격히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하는 면내의 위상차치를 얻기 위한 위상차층의 두께를 현격히 작게 할 수 있어, 얻어지는 원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원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롤투롤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을 현격히 단축할 수 있다.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위상차 필름은, 액정 화합물로 형성되는 층 이외에, 후술하는 기재, 지지 기재, 배향막, 접착제층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액정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액정상이 네마틱상이다(네마틱 액정).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의 발현 기구는 리오트로픽(lyotropic)이라도 좋고, 서모트로픽(thermotropic)이라도 좋다.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바람직하게는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배향이다.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액정 폴리머나 액정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폴리머 및 액정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화합물이 액정성 모노머인 경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모노머(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또는 가교성 모노머(가교성 액정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성 모노머를 중합 또는 가교시킴으로써 액정성 모노머의 배향 상태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정성 모노머를 배향시킨 후에, 예컨대 액정성 모노머끼리 중합 또는 가교시키면, 그에 의해 상기 배향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중합에 의해 폴리머가 형성되고, 가교에 의해 3차원 메쉬 구조가 형성되게 되지만, 이들은 비액정성이다. 즉, 중합 후 또는 가교 후에 있어서, 액정성은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형성된 위상차층은, 예컨대 액정성 화합물에 특유의 온도변화에 의한 액정상, 유리상, 결정상에의 전이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위상차 필름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매우 안정성이 우수한 층으로 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층이 면내 위상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알맞은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로 중합하면 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막대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된다. 이 경우, 광축 방향과 지상축 방향은 일치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원반형인 경우는,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축을 기재 평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향시킴으로써 면내 위상차가 발현된다. 이 경우, 광축과 지상축은 직교한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배향막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상차 필름이 이하에 설명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포함함으로써, 식 (α) 및 식 (β)로 표시되는 광학 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이 이러한 광학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위상차 필름은 2종류 이상의 위상차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Re(450)/Re(550)≤1.00 (α)
1.00≤Re(650)/Re(550) (β)
<중합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란, 중합성 기를 가지며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기란,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중합성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 기란,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 기로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액정성은 서모트로픽성 액정이라도 리오트로픽 액정이라도 좋으며, 서모트로픽 액정을 질서도로 분류하면, 네마틱 액정이라도 스멕틱 액정이라도 좋다.
예컨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위상차 필름이 바람직한 광학 특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P1-F1-(B1-A1)k-E1-G1-D1-Ar-D2-G2-E2-(A2-B2)l-F2-P2 (1)
[식 (1) 중, Ar은 방향족 탄화수소환 및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를 나타내고, Ar기 중의 방향환에 포함되는 π 전자의 수 Nπ는 12 이상이다.
D1 및 D2는 각각 독립적으로 *-O-CO-(*는 Ar에 결합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C(=S)-O-, *-O-C(=S)-, -CR1R2-, -CR1R2-CR3R4-, *-O-CR1R2-, *-CR1R2-O-, -CR1R2-O-CR3R4-, *-CR1R2-O-CO-, *-O-CO-CR1R2-, *-CR1R2-O-CO-R3R4-, *-CR1R2-CO-O-CR3R4-, *-NR1-CR2R3-, *-CR2R3-NR1-, *-CO-NR1- 또는 *-NR1-CO-을 나타낸다.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G1 및 G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4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메틸렌기는 -O-, -S- 또는 -NH-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E1, E2, B1 및 B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5R6-, -CH2-CH2-, -O-, -S-, -CO-O-, -O-CO-, -O-CO-O-, -C(=S)-O-, -O-C(=S)-, -O-C(=S)-O-, -CO-NR5-, -NR5-CO-, -O-CH2-, -CH2-O-, -S-CH2-, -CH2-S- 또는 단결합을 나타낸다.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A1 및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상기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탄소수 1∼4의 알킬기 및 상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k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낸다.
F1 및 F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2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이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탄소수 1∼5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기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메틸렌기의 일부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P1 및 P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 기(단, P1 및 P2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성 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화합물 (1)은 식 (2) 및 식 (3)으로 표시되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π-4)/3<k+l+4 (2)
12≤Nπ≤22 (3)
[식 (2) 및 식 (3) 중, Nπ, k 및 l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방향족 탄화수소환으로서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페난트롤린환 등을 들 수 있고, 방향족 복소환으로서는 푸란환, 피롤환, 티오펜환, 피리딘환, 티아졸환, 벤조티아졸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벤젠환, 티아졸환, 벤조티아졸환이 바람직하다.
Ar은 방향족 탄화수소환 및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이고, 이 2가의 기 중에 포함되는 방향환의 π 전자의 합계수 Nπ는 1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22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22 이하이다.
Ar은 방향족 탄화수소환 및 방향족 복소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방향환을 갖는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중, Ar이 식 (Ar-1)∼식 (Ar-13)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식 (Ar-1)∼식 (Ar-13) 중, Z1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피닐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포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1∼6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탄소수 1∼6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6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6의 N-알킬술파모일기 또는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를 나타낸다.
Q1 및 Q3은 각각 독립적으로 -CR7R8-, -S-, -NR7-, -CO- 또는 -O-를 나타낸다.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Y1, Y2 및 Y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W1 및 W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시아노기, 메틸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m은 0∼6의 정수를 나타낸다.
n은 0∼2의 정수를 나타낸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킬술피닐기로서는, 메틸술피닐기, 에틸술피닐기, 프로필술피닐기, 이소프로필술피닐기, 부틸술피닐기, 이소부틸술피닐기, sec-부틸술피닐기, tert-부틸술피닐기, 펜틸술피닐기, 헥실술피닐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알킬술피닐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알킬술피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술피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킬술포닐기로서는,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프로필술포닐기, 이소프로필술포닐기, 부틸술포닐기, 이소부틸술포닐기, sec-부틸술포닐기, tert-부틸술포닐기, 펜틸술포닐기, 헥실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알킬술포닐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알킬술포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술포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플루오로알킬기로서는,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헵타플루오로프로필기, 노나플루오로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플루오로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톡시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알킬티오기로서는,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부틸티오기, 이소부틸티오기, sec-부틸티오기, tert-부틸티오기, 펜틸티오기, 헥실티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알킬티오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알킬티오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티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N-알킬아미노기로서는, N-메틸아미노기, N-에틸아미노기, N-프로필아미노기, N-이소프로필아미노기, N-부틸아미노기, N-이소부틸아미노기, N-sec-부틸아미노기, N-tert-부틸아미노기, N-펜틸아미노기, N-헥실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N-알킬아미노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N-알킬아미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N-메틸아미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아미노기로서는, N,N-디메틸아미노기, N-메틸-N-에틸아미노기, N,N-디에틸아미노기, N,N-디프로필아미노기, N,N-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 N,N-디부틸아미노기, N,N-디이소부틸아미노기, N,N-디펜틸아미노기, N,N-디헥실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8의 N,N-디알킬아미노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2∼4의 N,N-디알킬아미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N,N-디메틸아미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6의 N-알킬술파모일기로서는, N-메틸술파모일기, N-에틸술파모일기, N-프로필술파모일기, N-이소프로필술파모일기, N-부틸술파모일기, N-이소부틸술파모일기, N-sec-부틸술파모일기, N-tert-부틸술파모일기, N-펜틸술파모일기, N-헥실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4의 N-알킬술파모일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1∼2의 N-알킬술파모일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N-메틸술파모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로서는, N,N-디메틸술파모일기, N-메틸-N-에틸술파모일기, N,N-디에틸술파모일기, N,N-디프로필술파모일기, N,N-디이소프로필술파모일기, N,N-디부틸술파모일기, N,N-디이소부틸술파모일기, N,N-디펜틸술파모일기, N,N-디헥실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2∼8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 2∼4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N,N-디메틸술파모일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Z1은 할로겐 원자, 메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메틸술포닐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메톡시기, 메틸티오기, N-메틸아미노기, N,N-디메틸아미노기, N-메틸술파모일기 또는 N,N-디메틸술파모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7 및 R8에 있어서의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2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Q1은 -S-, -CO-, -NH-, -N(CH3)-인 것이 바람직하고, Q3은 -S-, -CO-인 것이 바람직하다.
Y1, Y2 및 Y3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비페닐기 등의 탄소수 6∼2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고, 페닐기, 나프틸기가 바람직하며, 페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푸릴기, 피롤릴기, 티에닐기, 피리디닐기, 티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등의 질소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탄소수 4∼2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고, 푸릴기, 피롤릴기, 티에닐기, 피리디닐기, 티아졸릴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방향족 복소환기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으며,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피닐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포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1∼6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탄소수 1∼6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6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6의 N-알킬술파모일기,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고, 할로겐 원자, 탄소수 1∼2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2의 알킬술포닐기, 탄소수 1∼2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2의 알콕시기, 탄소수 1∼2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2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4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2의 알킬술파모일기가 바람직하다.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피닐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포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1∼6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탄소수 1∼6의 알킬티오기, 탄소수 1∼6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6의 N-알킬술파모일기 및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로서는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Y1, Y2 및 Y3이 각각 독립적으로 식 (Y-1)∼식 (Y-6)으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식 (Y-1)∼식 (Y-6) 중, Z2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피닐기, 탄소수 1∼6의 알킬술포닐기, 카르복실기, 탄소수 1∼6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탄소수 1∼6의 티오알킬기, 탄소수 1∼6의 N-알킬아미노기,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아미노기, 탄소수 1∼6의 N-알킬술파모일기 또는 탄소수 2∼12의 N,N-디알킬술파모일기를 나타낸다.
a1은 0∼5의 정수, a2는 0∼4의 정수, b1은 0∼3의 정수, b2는 0∼2의 정수,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Z2로서는, 할로겐 원자, 메틸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술폰기, 카르복실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메톡시기, 티오메틸기, N,N-디메틸아미노기 또는 N-메틸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Y1, Y2 및 Y3이 각각 독립적으로 식 (Y-1) 또는 식 (Y-3)으로 표시되는 기인 것이, 화합물 (1)의 제조 공정이나 비용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W1 및 W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은 0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n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중, Ar이 식 (Ar-6a), 식 (Ar-6b), 식 (Ar-6c), 식 (Ar-10a) 또는 (Ar-10b)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3
[식 (Ar-6a)∼식 (Ar-6c), 식 (Ar-10a) 및 식 (Ar-10b) 중, Z1, n, Q1, Z2, a1 및 b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r의 예를 식 (ar-1)∼식 (ar-189)에 나타낸다.
식 (Ar-1)∼식 (Ar-4)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1)∼식 (ar-2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식 (Ar-5)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30)∼식 (ar-3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식 (Ar-6) 또는 식 (Ar-7)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40)∼식 (ar-11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식 (Ar-8) 또는 식 (Ar-9)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120)∼식 (ar-12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식 (Ar-10)으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130)∼식 (ar-14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식 (Ar-11)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는, 식 (ar-150)∼식 (ar-15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식 (Ar-12)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 식 (ar-160)∼식 (ar-17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식 (Ar-13)으로 표시되는 기의 구체예로서는, 식 (ar-180)∼식 (ar-189)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D1 및 D2가 *-O-CO-, *-O-C(=S)-, *-O-CR1R2-, *-NR1-CR2R3- 또는 *-NR1-CO-(*은 Ar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D1 및 D2가 *-O-CO-, *-O-C(=S)- 또는 *-NR1-CO-(*은 Ar과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G1 및 G2로서는 식 (g-1)∼식 (g-10)으로 표시되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여도 좋은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고, 5원환 또는 6원환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42
상기 식 (g-1)∼(g-10)으로 표시되는 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탄소수 1∼4의 플루오로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 등의 탄소수 1∼4의 플루오로알콕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G1 및 G2로서는 식 (g-1)로 표시되는 6원환으로 이루어지는 지환식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1,4-시클로헥실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trans-1,4-시클로헥실렌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1 및 A2에 있어서의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식 (g-1)∼식 (g-10)으로 표시되는 5원환 또는 6원환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나, 식 (a-1)∼식 (a-8)로 표시되는 탄소수 6∼20 정도의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43
또한, A1 및 A2로서, 상기 예시된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가 메틸기, 에틸기, i-프로필기 또는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4 정도의 알킬기;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4 정도의 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A1 및 A2로서는, 특히 모두 같은 종류의 기이면, 화합물 (1)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A1 및 A2로서는 단환의 1,4-페닐렌기 또는 1,4-시클로헥실렌기이면 바람직하고, 화합물 (1)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특히 1,4-페닐렌기가 바람직하다.
B1 및 B2는 동일한 종류의 2가의 기이면, 화합물 (1)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더욱이, 화합물 (1)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므로, B1 및 B2 중, A1 및 A2하고만 결합하고 있는 B1 및 B2가,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 -CO-O-, -O-CO-, -CO-NH-, -NH-CO-, -O-CH2-, -CH2-O- 또는 단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높은 액정성을 보이므로 -CO-O- 또는 -O-CO-이 바람직하다. B1 및 B2 중, E1 또는 E2와 결합하고 있는 B1 및 B2가, 각각 독립적으로 -O-, -CO-O-, -O-CO-, -O-CO-O-, -CO-NH-, -NH-CO- 또는 단결합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k 및 l은, 액정성의 관점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0∼3의 정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k 및 l은 0∼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k 및 l의 합계는 5 이하가 바람직하고,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P1 및 P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 기(단, P1 및 P2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성 기를 나타낸다.)를 나타낸다. P1 및 P2가 양쪽 모두 중합성 기이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막 경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중합성 기란, 본 발명의 화합물 (1)을 중합시킬 수 있는 치환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비닐기, p-스틸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카르복실기, 메틸카르보닐기, 수산기, 아미드기, 탄소수 1∼4의 알킬아미노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알데히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티오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중합성 기에는, 상기 예시한 기와 E1 및 E2를 결합하기 위해서, B1 및 B2로서 표시되는 기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광중합시키는 데에 알맞은, 라디칼 중합성, 양이온 중합성 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취급이 용이한데다 제조도 용이하므로,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P1 및 P2가 모두 중합성 기이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막 경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D1-G1-E1-(A1-B1)k-F1-P1, -D2-G2-E2-(A2-B2)l-F2-P2의 구체적 예로서는, 식 (R-1)∼식 (R-134)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별표)은 Ar과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식 (R-1)∼식 (R-134)에 있어서의 n은 2∼12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또한, 화합물 (1)로서는 화합물 (i)∼화합물 (xxxiv)을 들 수 있다. 표 중의 R1은 -D1-G1-E1-(A1-B1)k-F1-P1을, R2는 -D2-G2-E2-(A2-B2)l-F2-P2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62
또한, 화합물 (xxx) 및 화합물 (xxxi)에 있어서는, 식 (1-A)로 표시되는 기 및 식 (1-B)로 표시되는 기 중 어느 한쪽은, (R-57)∼(R-120)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표 1 중, 화합물 (xvii)은,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78)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79)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또는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78)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 식 (ar-79)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어느 하나임을 의미한다.
상기 표 2 중, 화합물 (xxx)은,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0)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1)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또는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0)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 식 (ar-121)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어느 하나임을 의미하고, 화합물 (xxxi)은,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2)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3)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또는 Ar로 표시되는 기가 식 (ar-122)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 식 (ar-123)으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과의 혼합물의 어느 하나임을 의미한다.
또한 표 1의 화합물 (i), 화합물 (ii), 화합물 (iv), 화합물 (v), 화합물 (vi), 화합물 (ix), 화합물 (x), 화합물 (xi), 화합물 (xvi), 화합물 (xviii), 화합물 (xix), 화합물 (xx), 화합물 (xxi), 화합물 (xxiii), 화합물 (xxiv), 화합물 (xxv), 화합물 (xxvi), 화합물 (xxvii), 화합물 (xxviii) 및 화합물 (xxix)의 대표적인 구조식을, 식 (ii-1), 식 (iv-1), 식 (v-1), 식 (v-2), 식 (v-3), 식 (v-4), 식 (v-5), 식 (vi-1), 식 (ix-1), 식 (x-1), 식 (xi-1), 식 (xvi-1), 식 (xix-1), 식 (xx-1), 식 (xxi-1), 식 (xxiii-1), 식 (xxiv-1), 식 (xxv-1), 식 (xxvi-1), 식 (xxvii-1), 식 (xxviii-1), 식 (xxix-1), 식 (xxxii-1) 및 식 (xxxiv-1)에 예시한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다른 복수 종류의 화합물 (1)을 이용하여도 좋다.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화합물 (1)로서 또한 예컨대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단, 식 중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2∼12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Figure pct00080
화합물 (1)은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Organic Reactions, Organic Syntheses, Comprehensive Organic Synthesis, 신실험화학강좌 등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된 유기 합성 반응(예컨대 축합 반응, 에스테르화 반응, 윌리엄슨 반응(Williamson reaction), 울만 반응(Ullmann reaction), 비티히 반응(Wittig reaction), 시프 염기 생성 반응, 벤질화 반응, 소노가시라 반응, 스즈키-미야우라 반응, 네기시 반응, 쿠마다 반응, 히야마 반응, 부흐발트-하트윅 반응(Buchwald-Hartwig reaction), 프리델크라프츠 반응(Friedel-Crafts reaction), 헥크 반응(Heck reaction), 알돌 반응(Aldol reaction) 등)을, 그 구조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로서 다른 복수의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화합물 (1)과 병용하여도 좋은 액정 화합물(이하,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서는, 액정편람(액정편람편집위원회 편, 마루젠(주) 2000년 10월 30일 발행)의 3장: 분자 구조와 액정성의, 3.2: 논키랄 막대형 액정 분자, 3.3 키랄 막대형 액정 분자에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중합성 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은 화합물 (1)과는 구조가 다른 것이다.
그 밖의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4)」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P11-E11-(B11-A11)t-B12-G (4)
[식 (4) 중, A11은 방향족 탄화수소기,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복소환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탄소수 1∼6의 알킬아미노기, 니트로기, 니트릴기 또는 머캅토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B11 및 B1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14R15-, -C≡C-, -CH=CH-, -CH2-CH2-, -O-, -S-, -C(=O)-, -C(=O)-O-, -O-C(=O)-, -O-C(=O)-O-, -C(=S)-, -C(=S)-O-, -O-C(=S)-, -CH=N-, -N=CH-, -N=N-, -C(=O)-NR14-, -NR14-C(=O)-, -OCH2-, -OCF2-, -NR14-, -CH2O-, -CF2O-, -CH=CH-C(=O)-O-, -O-C(=O)-CH=CH- 또는 단결합을 나타낸다.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불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4 및 R15가 연결하여 탄소수 4∼7의 알킬렌기를 구성하여도 좋다.
E11은 탄소수 1∼12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이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P11은 중합성 기를 나타낸다.
G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3의 알킬기, 탄소수 1∼13의 알콕시기, 탄소수 1∼13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13의 알킬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이거나, 탄소수 1∼12의 알킬렌기를 통해 결합하는 중합성 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킬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의 일부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t는 1∼5의 정수를 나타낸다.]
특히 P11 및 G에 있어서의 중합성 기로서는, 화합물 (1)과 중합할 수 있는 기면 되며, 비닐기, 비닐옥시기, p-스틸벤기, 아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수산기,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탄소수 1∼4의 알킬아미노기,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포르밀기, -N=C=O 또는 -N=C=S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중합에 알맞다고 하는 점에서, 라디칼 중합성 기 또는 양이온 중합성 기가 바람직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액정 화합물의 제조도 용이하다고 하는 점에서,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비닐옥시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A11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지환식 탄화수소기 및 복소환기의 탄소수는 각각 예컨대 3∼18이며, 5∼12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또는 6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4)로서는 예컨대 식 (4-1) 및 식 (4-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P11-E11-(B11-A11)t1-B12-E12-P12 (4-1)
P11-E11-(B11-A11)t2-B12-F11 (4-2)
[식 (4-1) 및 식 (4-2) 중, P11, E11, B11, A11, B12는 상기와 동의이다.
F11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3의 알킬기, 탄소수 1∼13의 알콕시기, 탄소수 1∼13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13의 알킬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를 나타낸다.
E12는 E11와 동의이다.
P12는 P11과 동의이다.
t1 및 t2는 t와 동의이다.]
또한, 이들 식 (4-1) 및 (4-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식 (I), 식 (II), 식 (III), 식 (IV) 또는 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P11-E11-B11-A11-B12-A12-B13-A13-B14-A14-B15-A15-B16-E12-P12 (I)
P11-E11-B11-A11-B12-A12-B13-A13-B14-A14-B15-E12-P12 (II)
P11-E11-B11-A11-B12-A12-B13-A13-B14-E12-P12 (III)
P11-E11-B11-A11-B12-A12-B13-A13-B14-F11 (IV)
P11-E11-B11-A11-B12-A12-B13-F11 (V)
[식 (I)∼식 (V) 중, A12∼A15는 A11과 동의이고, B13∼B16은 B11과 동의이다].
또한, 식 (4-1), 식 (4-2), 식 (I), 식 (II), 식 (III), 식 (IV) 및 식 (V)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는, P11과 E11의 조합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또한 P12와 E12의 조합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양자가 에테르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4)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식 (I-1)∼식 (I-5), 식 (II-1)∼식 (II-6), 식 (III-1)∼식 (III-19), 식 (IV-1)∼식 (IV-14), 식 (V-1)∼식 (V-5)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단, 식 중 k는 1∼11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액정 화합물이라면, 합성이 용이하며, 시판되고 있는 등, 입수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Figure pct00085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의 사용량은, 예컨대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중량부 이하이다.
위상차 필름은 화합물 (1)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또한 중합개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는 광중합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벤질케탈류, α-히드록시케톤류, α-아미노케톤류, 요오도늄염 또는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가큐어(Irgacure) 907, 이가큐어 184, 이가큐어 651, 이가큐어 819, 이가큐어 250, 이가큐어 369(이상, 전부 치바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세이크올 BZ, 세이크올 Z, 세이크올 BEE(이상, 전부 세이코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카야큐어(kayacure) BP100(닛폰가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카야큐어 UVI-6992(다우사 제조), 아데카옵토마 SP-152 또는 아데카옵토마 SP-170(이상, 전부 가부시키가이샤ADEKA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예컨대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의 배향성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화합물 (1)을 중합시킬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 특성은, 화합물 (1)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에 의해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의 구조 단위 중에서 화합물 (1)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증가시키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보다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 나아가서는 식 (α) 및 식 (β)를 만족하는 역파장 분산 특성을 보이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해서, 화합물 (1)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다른 조성물을 2∼5 종류 정도 조제하여, 각각의 조성물에 관해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막 두께의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여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를 구하고, 그 결과로부터 화합물 (1)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과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상관을 구하여, 얻어진 상관 관계로부터, 상기 막 두께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에 원하는 위상차치를 부여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합물 (1)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결정하면 된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λ/4판으로서 가장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게 설정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두께는 원하는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상차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8 ㎛, 특히 바람직하게는 0.5∼5 ㎛이다.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화합물 (1)에 필요에 따라서 유기 용제, 상술한 그 밖의 액정 화합물, 상술한 중합개시제, 중합금지제, 광증감제 또는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조제한다. 특히 성막 시에 성막이 용이하게 되므로,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진 광학 필름을 경화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금지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중합금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금지제로서는, 예컨대 하이드로퀴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하이드로퀴논류, 부틸카테콜 등의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카테콜류, 피로갈롤류,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등의 라디칼보충제, 티오페놀류, β-나프틸아민류 혹은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금지제를 이용함으로써,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이나 화합물 (1)의 중합을 제어할 수 있어, 얻어지는 위상차층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합금지제의 사용량은, 예컨대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의 배향성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화합물 (1)을 중합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광증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크산톤 또는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안트라센 또는 알킬에테르 등의 치환기를 갖는 안트라센류, 페노티아진 혹은 루브렌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이나 화합물 (1)을 고감도로 중합할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의 사용량으로서는,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1 중량부∼30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의 배향성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화합물 (1)을 중합시킬 수 있다.
〔레벨링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벨링제로서는, 예컨대 방사선 경화 도료용 첨가제(비크케미재팬 제조: BYK-352, BYK-353, BYK-361N), 도료 첨가제(도레이다우코닝가부시키가이샤 제조: SH28PA, DC11PA, ST80PA), 도료 첨가제(신에츠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P321, KP323, X22-161A, KF6001) 또는 불소계 첨가제(다이닛폰잉크가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F-445, F-470, F-479)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를 이용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평활화할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거나, 그 밖의 액정 화합물이나 화합물 (1)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가교 밀도를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레벨링제의 사용량의 구체적인 수치는, 예컨대 그 밖의 액정 화합물과 화합물 (1)과의 합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10 중량부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의 배향성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화합물 (1)을 중합시킬 수 있다.
〔유기 용제〕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유기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화합물 (1) 및 그 밖의 액정 화합물 등을 용해할 수 있는 유기 용제이며,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이면 된다. 유기 용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또는 부틸셀로솔브 등의 알코올;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아밀케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크실렌 또는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젖산에틸, 클로로포름,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복수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도포하기 쉽도록 예컨대 10 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0.1∼7 Pa·s 정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농도는 예컨대 5∼50 중량%이다. 고형분의 농도가 50% 이하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막 두께가 균일하게 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어서 지지 기재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배향막 상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 중합시켜, 지지 기재 상에 목적의 위상차층을 얻을 수 있다. 중합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지지 기재 및 배향막은 박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위상차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화상 표시 장치용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형성되는 층의 두께는, 상기한 것과 같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에 따라 다른 것이다.
<제2 위상차 필름>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상기한 위상차 필름에 제2 위상차 필름을 적층 일체화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굴절률 특성을 갖는 제2 위상차 필름을 갖춤으로써, 예컨대 반사 방지 편광판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반사광을 흡수하는 효과의 각도 의존성이 저감되어, 다양한 각도로 반사한 반사광에 대하여, 그 출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그 굴절률이 nx=ny의 관계를 보인다. 여기서, 「nx=ny」는, nx와 ny가 엄밀하게 같은 경우뿐만 아니라, nx와 ny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Re(550)이 10 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은 -260 nm∼-10 nm가 바람직하고, -230 nm∼-15 nm가 보다 바람직하고, -215 nm∼-20 nm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임으로써 상기 효과가 현저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위상차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액정 화합물이 호메오트로픽(homeotropic) 배향으로 고정된 위상차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은 액정 모노머라도 액정 폴리머라도 좋다.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액정층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2-333642호 공보의 [0020]∼[0042]에 기재한 액정 화합물 및 형성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두께는 0.1 ㎛∼5 ㎛가 바람직하고, 0.2 ㎛∼3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위상차 필름의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면내의 위상차치 Re(590)도 90∼190 nm이며, 바람직하게는 110∼17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160 nm이다.
상술한 위상차 필름과 제2 위상차 필름을 적층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은,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보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착제로서는 수계, 용제계, 핫멜트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등의 각종 형태의 것이 이용되지만,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합하다. 또한, 공지된 어떠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도 사용할 수 있다.
<점접착제층>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접착제층은,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면 되고,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점접착제층」이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말한다.
상기 점접착제층의 투습도는 100 g/(㎡·일) 이하이며, 50 g/(㎡·일)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일)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g/(㎡·일)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수증기를 전혀 투과시키지 않는 것(즉, 0 g/(㎡·일))이 바람직하다. 점접착제층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이면, 편광판으로부터 위상차 필름으로의 수분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어, 고온 환경 하에서의 열과 수분에 의한 위상차 필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도는, 점접착제층의 두께가 50 ㎛인 경우에 있어서의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 조건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투습도)이며, 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접착제층>
접착제층으로서는,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면 된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천연고무 접착제, α-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계 핫멜트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용제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접착제,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스티렌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계 접착제, 폴리벤즈이미다졸 접착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용제계 접착제, 멜라민 수지계 접착제, 우레아 수지계 접착제, 레조르시놀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접착 형태로 분류하면, 예컨대 열 경화형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1종만이라도 좋고, 2종 이상이라도 좋다.
열 경화형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열경화하여 고화(固化)함으로써 접착력을 발현한다. 열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열 경화형 접착제, 우레탄계 열 경화형 접착제, 아크릴계 열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열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 온도는 예컨대 100∼200℃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되어, 피착체에 열융착되고, 그 후의 냉각에 의해서 고화됨으로써 피착체에 접착한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의 연화 온도(환구법)은 예컨대 100∼200℃이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점도는 180℃에서 예컨대 100∼30000 mPa·s이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0.01∼10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8 ㎛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으로서는,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면 된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고무계 점착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투습도의 관점에서 고무계 점착제나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며,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고무계 폴리머는, 실온 부근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보이는 폴리머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소부틸렌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내후성의 관점에서 이소부틸렌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이소부틸렌(PIB)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폴리이소부틸렌은 주쇄 중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내광성이 우수한 것이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으로서는 예컨대 BASF사 제조의 OPPANOL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3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 보관 시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5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99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소부틸렌을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저투습성(低透濕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이외의 폴리머나 엘라스토머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렌과 노르말부틸렌과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과의 공중합체(예컨대 레귤러 부틸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브롬화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 고무 등의 부틸 고무류), 이들의 가류물이나 변성물(예컨대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작용기로 변성한 것) 등의 이소부틸렌계 폴리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SIS의 수첨물),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첨물),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의 스티렌계 블록 코폴리머 등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IIR),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EPR(2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과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의 폴리머 블렌드 등의 블렌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는, 상기 폴리이소부틸렌과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개시제 자신은 개열(開裂)되는 일 없이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으로부터 수소를 인발하여, 폴리이소부틸렌에 반응점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 반응점 형성에 의해,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 외에,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광중합개시제 자신이 개열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개열형 광중합개시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이소부틸렌에 개열형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하면, 라디칼이 발생한 광중합개시제에 의해 폴리이소부틸렌의 주쇄가 절단되어 버려, 가교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를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것과 같이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4-페닐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클로르벤조페논, 4,4'-디메틸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아크릴화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아미노벤조페논계 화합물;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9,10-페난트렌퀴논, 캄파퀴논 등; 아세토나프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의 방향족 알데히드, 메틸안트라퀴논 등의 퀴논계 방향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반응성의 점에서 벤조페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벤조페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0.005∼1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10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가교 반응을 원하는 밀도까지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개열형 광중합개시제를 상기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와 함께 이용하여도 좋지만, 상술한 이유에 의해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는 또한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폴리이소부틸렌의 가교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라디칼 중합성의 작용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다.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물,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이소부틸렌에 대한 상용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화물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개 갖는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기를 3개 이상 갖는 3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하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는,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 및 이들의 수첨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에 점착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각종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또한 고온 환경 하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 고무계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로서는, 예컨대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등의 테르펜 중합체나, 상기 테르펜 중합체를 변성(페놀 변성, 스티렌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테르펜 수지의 예로는, 테르펜페놀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수소화 테르펜 수지)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말하는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예에는, 테르펜 중합체의 수소화물 및 다른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고무계 점착제에의 상용성이나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로서는, 로진 수지, 중합 로진 수지, 수첨 로진 수지, 로진에스테르 수지, 수첨 로진에스테르 수지, 로진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껌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로진)이나, 이들을 수첨화, 불균화, 중합, 그 밖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변성 로진, 이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로서는, 예컨대 야스하라케미칼(주) 제조의 클리아론 시리즈, 폴리스타 시리즈, 아라카와가가쿠고교(주) 제조의 수퍼에스테르 시리즈, 펜셀 시리즈, 파인크리스탈 시리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가 수소 첨가물인 경우, 수소 첨가는,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되어 있는 부분 수소 첨가물이라도 좋고, 화합물 중의 모든 이중 결합에 수소 첨가가 되어 있는 완전 수소 첨가물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 특성, 내후성이나 색상의 관점에서 완전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가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세한 원리는 불분명하지만, 페놀 골격보다 시클로헥산올 골격 쪽이, 베이스 폴리머인 폴리이소부틸렌과의 상용성의 밸런스가 잡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로서는, 예컨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페놀 수지 등의 수첨물이 바람직하고,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페놀 수지 등의 완전 수소 첨가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연화 온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80℃ 이상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이 80℃ 이상임으로써, 고온에서도 점착부여제가 연화되지 않고서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연화점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분자량이 보다 높아지고, 상용성이 악화되어, 백화(白化) 등의 문제점을 일으켜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예컨대 20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JIS K5902 및 JIS K2207의 어느 것에 규정하는 연화점 시험 방법(환구법)에 의해서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이소부틸렌과의 상용성이 좋고, 백화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첨가량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부여제의 첨가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부여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넘어 다량 첨가가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하여 버리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에는, 상기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부여제 이외의 점착부여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 점착부여제로서는 석유 수지계 점착부여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석유계 점착부여제로서는, 예컨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지방족 환상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부여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폴리이소부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하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에는 희석제로서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희석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n-헵탄,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무계 점착제 중에 50∼95 중량% 정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90 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지지체 등에의 도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점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것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연화제, 가교제(예컨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화합물, 알킬에테르화멜라민 화합물 등), 충전제, 노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종류, 조합, 첨가량 등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고무계 점착제에 있어서의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총량)은,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0 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고무계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지지체 등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가열 건조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점착제로서 폴리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경우는, 점착제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폴리이소부틸렌을 가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통상 상기 고무계 점착제를 각종 지지체 등에 도포하여, 얻어진 도포층에 조사된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도포층에 (다른 부재 등을 맞붙이는 일 없이) 직접 조사하여도 좋고, 도포층에 세퍼레이터 등의 광학 필름이나 유리 등의 각종 부재를 맞붙인 후에 조사하여도 좋다. 상기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에 맞붙인 후에 조사하는 경우는, 상기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 너머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도 좋고, 상기 광학 필름이나 각종 부재를 박리하여, 그 박리한 면으로부터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도 좋다.
상기 점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도포층을 가열 건조하는 경우, 가열 건조 온도는 30℃∼200℃ 정도가 바람직하고, 40℃∼180℃가 보다 바람직하고, 80℃∼150℃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알맞게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20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초∼10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분∼8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의 도포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희석제로서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는, 도포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 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잔존 용매를 적게 한다는 관점에서, 30℃∼90℃ 정도가 바람직하고, 60℃∼80℃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알맞게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20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초∼10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분∼8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컨대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교시키는 고무계 점착제의 조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조사 적산 광량이 100 mJ/c㎡∼2000 mJ/c㎡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컨대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나 상술한 위상차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薄葉體)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200 ㎛, 바람직하게는 5∼100 ㎛ 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혹은 지방산아미드계의 이형체, 실리카 가루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혼련형, 증착형 등의 대전방지 처리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접착제층을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경우, 상기 점착제층을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 필름 상에 전사하여,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점착제층의 겔분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98% 정도가 바람직하며, 25∼98%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고, 45∼9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겔분률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내구성과 점착력을 양립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점착제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그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결정 폴리프로필렌,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글리시딜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공중합체나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착제층이라면, 더욱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정질」이란, 결정질과 같이 명확한 융점을 갖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점착제층의 탄성치가 0.7 N/mm 이하가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점착제에 포함되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10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95 중량%이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프로필렌과 1-부텐을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예컨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프로필렌과 1-부텐을 중합시키는 중합 공정을 행하고, 이 중합 공정 후, 촉매 잔사 제거 공정, 이물 제거 공정 등의 후처리 공정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이러한 공정을 거쳐, 예컨대 파우더형, 펠릿형 등의 형상으로 얻을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로서는, 예컨대 메탈로센 화합물과 알루미녹산을 포함하는 메탈로센 균일 혼합 촉매, 미립자형의 담체 상에 메탈로센 화합물이 담지된 메탈로센 담지형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보인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Mn)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1.9이다. 분자량 분포가 좁은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저분자량 성분이 적기 때문에, 이러한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이용하면, 저분자량 성분의 블리드에 의한 피착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80 몰%∼99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몰%∼99 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99 몰%이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1-부텐 유래의 구성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몰%∼2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1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몰%∼10 몰%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인성과 유연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라도 좋고, 랜덤 공중합체라도 좋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200,0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5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300,000이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이러한 범위이면, 일반적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Mw가 100,000 이하)와 비교하여, 저분자량 성분이 적고, 피착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230℃, 2.16 kgf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1 g/10 min∼50 g/10 mi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10 min∼30 g/10 min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g/10 min∼20 g/10 min이다.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이러한 범위이면, 공압출 성형에 의해, 가공 불량 없이 두께가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JISK7210에 준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그 밖의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 밖의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그 밖의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그 밖의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추가로 포함한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층의 70℃의 탄성률 E'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원하는 탄성률 E'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 중량%∼9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90 중량%이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라도 좋고,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라도 좋다. 프로필렌에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경우, 랜덤 공중합체라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라도 좋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와 마찬가지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하면, 저분자량 성분의 블리드에 의한 피착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결정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결정화도는 대표적으로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 또는 X선 회절에 의해 구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제층은 F-, Cl-, Br-, NO2 -, NO3 -, SO4 2-, Li+, Na+, K+, Mg2 +, Ca2 +, NH4 +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피착체를 상기 이온으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층은, 예컨대 상기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를 상기한 것과 같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용액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용액 중합에 있어서는,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는, 중합 용매와는 다른 빈용매를 이용하여 석출 단리(재침전법)를 반복하여 정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온을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F-, Cl-, Br-, NO2 -, NO3 -, SO4 2-, Li+, Na+, K+, Mg2+, Ca2+, NH4 +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표준적인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예컨대 다이오넥스사 제조, 상품명 「DX-320」, 「DX-500」을 이용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있어서 검출 한계 미만인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 1 g에 대하여 F-, Cl-, Br-, NO2 -, NO3 -, SO4 2- 및 K+이 각각 0.49 ㎍ 이하, Li+ 및 Na+이 각각 0.20 ㎍ 이하, Mg2 + 및 Ca2 +이 각각 0.97 ㎍ 이하, NH4 +이 0.5 ㎍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내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의 종류 및 사용량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지지체 등에 점착제를 압출 성형하여, 가열 건조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등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성형에 있어서의 성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60℃∼2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200℃이다. 이러한 범위이면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컨대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나 상술한 위상차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200 ㎛, 바람직하게는 5∼100 ㎛ 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혹은 지방산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 가루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혼련형, 증착형 등의 대전방지 처리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하게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접착제층을,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 상에 형성한 경우, 상기 점착제층을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 필름 상에 전사하여,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2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의 하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를 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필름이나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 상기 위상차 필름에는, 적층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개질 처리나 접착용이층을 형성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좋다.
<원편광판의 구성>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구성에 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원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점접착제층과,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바꿔 말하면, 점접착제층은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컨대 편광 필름의 편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보호 필름/편광 필름/점접착제층/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되는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양면 보호 편광판을 이용하는 경우는, 보호 필름/편광 필름/보호 필름/점접착제층/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되는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점접착제층은, 편광 필름 또는 보호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기 위한 점접착제층 일 수 있다. 즉, 점접착제층은 편광 필름,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에 직접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35°∼55°인 것이 바람직하고, 38°∼52°가 보다 바람직하고, 40°∼50°가 더욱 바람직하고, 42°∼48°가 더욱 바람직하고, 44°∼46°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이러한 범위이면, 원하는 원편광 기능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언급할 때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상기 각도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양쪽 방향의 각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는, 상기 이외의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 하도 층(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이나, 접착용이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는 기능층을 마련할 수 있다. 기능층을 마련함으로써 편광 필름에 생기는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기능층은 각종 형성재로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은 예컨대 수지 재료를 편광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PVA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PVA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의 형태는, 수계, 용제계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상기 수지의 형태는 수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PVA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계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수용액이나 우레탄 수지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지나치게 두꺼우면 광학 신뢰성과 내수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기능층의 두께는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6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기능층의 두께는 0.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0.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의 기능층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제 부착 원편광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적어도 어느 한쪽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마련하여 점착제 부착 원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용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점착제층으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인 점착제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고, 다른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점착제와 다른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보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제층으로서는, 광학 투명성이 우수하며, 적절한 습윤성,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보이는 것이면 되지만, 내구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감압성 접착제(아크릴계 점착제라고도 한다.)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및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나, 이들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2종류 이상 이용한 공중합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들 수지에는 극성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2-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및 에폭시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에는 통상 아크릴계 수지와 함께 가교제가 배합되어 있다.
점착제에는 이 밖에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적합한 첨가제로서 실란 커플링제나 대전방지제가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리와의 접착력을 높이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대전방지제는 정전기의 발생을 저감 또는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유효하다. 즉,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액정 셀에 붙일 때, 그때까지 점착제층을 덮어 임시로 부착하여 보호하고 있던 표면 보호 필름(세퍼레이터)을 벗겨내고 나서 액정 셀에 맞붙이게 되는데, 그 표면 보호 필름을 벗겨낼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서, 셀 내의 액정에 배향 불량을 일으켜, 이것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불량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정전기의 발생을 저감 또는 방지하는 데에 있어서, 대전방지제의 배합이 유효하다.
적어도 한쪽의 점착제의 두께는 3∼5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이다.
점착제층에 도전성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그 저항치는 적절하게 선택되면 되지만, 예컨대 1×109∼1×1011 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편광판에 형성하는 상기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의 종류는 상관없이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유기 EL 표시 장치의 반사 방지 편광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라도 좋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와 유기 EL 표시 패널로 이루어지며, 유기 EL 표시 패널에 대하여 시인 측에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배치되어, 접어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로서는, 윈도우, 본 발명의 원편광판, 터치 센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으며, 이들의 적층 순서는 임의이지만, 시인 측으로부터 윈도우, 본 발명의 원편광판, 터치 센서, 또는 윈도우, 터치 센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의 시인 측에 원편광판이 존재하면, 터치 센서의 패턴이 시인되기 어렵게 되어 표시 화상의 시인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각각의 부재는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원편광판, 터치 센서의 어느 하나의 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차광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
윈도우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 배치되며, 그 밖의 구성 요소를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온습도 등의 환경 변화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보호층으로서는 유리가 사용되어 왔는데,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윈도우는, 유리와 같이 리지드하고 딱딱한 것이 아니라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다. 상기 윈도우는 플렉시블한 투명 기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트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투명 기재)
투명 기재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상기 투명 기재는, 투명성이 있는 고분자 필름이라면 어떠한 것라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노르보르넨 또는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등의 폴리올레핀류,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변성) 셀룰로오스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류, 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류, 폴리염화비닐류, 폴리염화비닐리덴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류, 폴리이미드류, 폴리아미드이미드류, 폴리에테르이미드류, 폴리에테르술폰류, 폴리술폰류, 폴리비닐알코올류, 폴리비닐아세탈류, 폴리우레탄류, 에폭시 수지류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이라도 좋다. 이들 고분자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한 투명 기재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아미드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아크릴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필름 중에는, 실리카 등의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고무 입자 등을 분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추가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가소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적외선흡수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용제 등의 배합제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상기 투명 기재의 두께는 5∼200 ㎛, 바람직하게는 20∼100 ㎛이다. 투명 기재는 미연신 필름, 1축 연신 필름 또는 2축 연신 필름이라도 좋다.
(하드코트)
상기 윈도우에는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하드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2∼100 ㎛라도 좋다.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2 ㎛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내충격성 내찰상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100 ㎛를 넘으면 내굴곡성이 저하하여, 경화 수축에 의해 컬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하드코트층은, 활성 에너지선 혹은 열에너지를 조사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반응성 재료를 포함하는 하드코트 조성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가시광, 자외선, 적외선, X선, α선, β선, γ선 및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코트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의 중합물을 함유한다. 하드코트 조성물에는 중합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트 조성물은 또한 용제,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무기 입자, 레벨링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방오제 등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터치 센서는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터치 센서로서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다양한 양식이 제안되어 있고, 어느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고, 비활성 영역은 표시 장치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비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터치 센서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감지 패턴과;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 패턴과 패드부를 통해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각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기판으로서는, 상기 윈도우의 투명 기판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기판은, 인성이 2,000 MPa% 이상인 것이 터치 센서에 생길 수 있는 크랙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성이 2,000 MPa%∼30,000 MPa%이다. 여기서, 인성은 고분자 재료의 인장 시험을 통해 얻어지는 응력(MPa)-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에 있어서, 파괴점까지의 곡선의 하부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접착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를 형성하는 각 층(윈도우, 원편광판, 터치 센서) 및 각 층을 구성하는 필름 부재(직선편광판, λ/4 위상차판 등)는 접착제에 의해서 적층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 유기 용제계, 무용제계 접착제, 고체 접착제, 용제 휘산형 접착제, 습기 경화형 접착제, 가열 경화형 접착제, 혐기 경화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경화제 혼합형 접착제, 열용융형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재습형(再濕型) 접착제 등 범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계 용제 휘산형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점착제가 자주 이용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접착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0.01 ㎛∼500 ㎛, 바람직하게는 0.1 ㎛∼300 ㎛이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가 복수의 접착층을 구비하는 경우, 각각의 두께나 종류는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차광 패턴]
차광 패턴은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의 베젤 또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이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의 변연부에 배치되는 배선을 차폐하여 시인되기 어렵게 한다. 차광 패턴은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라도 좋다. 차광 패턴의 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흑색, 백색, 금속색 등을 들 수 있다. 차광 패턴은 안료와 아크릴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고분자로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은 인쇄, 리소그래피, 잉크젯 등 각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의 두께는 1 ㎛∼100 ㎛ 라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2 ㎛∼50 ㎛이다. 또한, 차광 패턴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 등의 형상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의 각 물성은 다음 방법으로 측정했다.
(1) 두께의 측정:
가부시키가이샤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2) 면내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의 측정:
오지게이소쿠기키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평행 니콜 회전법을 원리로 하는 위상차계 "KOBRA(등록상표)-WPR"를 이용하여, 23℃의 온도에 있어서, 각 파장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을 측정했다.
(3) 점착제층의 투습도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에서 이용한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두께: 50 ㎛)의 점착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 두께: 25 ㎛, 코니카미놀타(주) 제조)을 맞붙였다. 그 후, 점착 시트의 세퍼레이터를 벗겨내어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이 측정용 샘플을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한다.)에 의해 투습도(수증기 투과율)를 측정했다.
측정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
측정 시간: 24시간
측정에는 항온항습조를 사용했다.
[제조예 1] 편광 필름의 제작
두께 3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건식 연신에 의해 약 4배로 일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40℃의 순수에 40초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52/5.7/100인 수용액에 28℃에서 30초간 침지하여 염색 처리를 행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1.0/6.2/100인 수용액에 70℃에서 120초간 침지했다. 이어서, 8℃의 순수로 15초간 세정한 후, 300 N의 장력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60℃에서 50초간, 이어서 75℃에서 20초간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두께 12 ㎛의 흡수형 편광자를 얻었다.
[제조예 2] 위상차 필름의 제작
하기 구조의 광배향성 재료 5 부(중량 평균 분자량: 30000)와 시클로펜타논(용매) 95 부를 성분으로서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ct00086
이하에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를 90:10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에 대하여, 레벨링제(F-556; DIC사 제조)를 1.0 부 및 중합개시제인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이가큐어 369(Irg369)」, BASF재팬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6 부 첨가했다.
또한, 고형분 농도가 13%가 되도록 N-메틸-2-피롤리돈(NMP)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는 일본 특허공개 2010-3122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했다. 또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 B는 일본 특허공개 2009-17389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했다. 이하에 각각의 분자 구조를 나타낸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A]
Figure pct00087
[중합성 액정 화합물 B]
Figure pct00088
〔기재, 배향막,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기재로서 50 ㎛ 두께의 시클로올레핀계 필름〔닛폰제온(주) 제조의 상품명 「ZF-14-50」〕 상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터로 도포하고, 80℃에서 1분간 건조하고, 편광 UV 조사 장치〔우시오덴키(주)의 상품명 「SPOT CURE SP-9」〕를 이용하여, 파장 313 nm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100 mJ/c㎡로 축 각도 45°로 편광 UV 노광을 실시했다. 이어서, 배향막에, 배향 액정 경화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120℃에서 1분간 건조한 후, 고압 수은 램프〔우시오덴키(주) 의 상품명: 「유니큐어 VB-15201BY-A」〕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질소 분위기 하, 파장 365 nm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500 mJ/c㎡)함으로써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을 형성하여, 기재, 배향막 및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의 면내 위상차치 Re(λ)는, 점착제를 통해 유리에 맞붙이고, 기재인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을 박리한 후에 측정했다.
각 파장에 있어서의 위상차치 Re(λ)를 측정한 결과는, Re(450)=121 nm, Re(550)=142 nm, Re(650)=146 nm, Re(450)/Re(550)=0.85, Re(650)/Re(550)=1.03이었다.
[제조예 3] 고무계 점착제 1의 제작
폴리이소부틸렌(상품명: OPPANOL B80, Mw: 약 75만, BASF사 제조) 100 중량부와,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의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NK 에스테르 A-DCP, 2작용 아크릴레이트, 분자량: 304, 신나카무라가가쿠고교(주) 제조) 10 중량부,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인 벤조페논(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 0.5 부, 완전 수첨 테르펜페놀 10 중량부를 배합한 톨루엔 용액(점착제 용액)을 고형분이 15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고무계 점착제 1(용액)을 조제했다.
[제조예 4] 고무계 점착제 시트 1의 제작
제조예 3에서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 1(용액)을,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쓰비시쥬시(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도포층을 80℃에서 3분 건조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인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쓰비시쥬시(주) 제조)을, 박리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맞붙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으로서 기능한다.
한쪽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측으로부터 실온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무계 점착제층 1/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자외선 조사는 UVA 영역에서 광량 1000 mJ/c㎡였다. 별도로 같은 식으로 도포 두께를 조정하여 제작한 50 ㎛ 두께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한 바, 점착제층의 투습도는 10 g/(㎡·일)이었다.
[제조예 5] 올레핀계 점착제 시트의 제작
점착제층 형성 재료로서,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중합한 비정질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스미또모가가꾸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타프셀렌 H5002」: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 단위 90 몰%/1-부텐 유래의 구성 단위 10 몰%, Mw=230,000, Mw/Mn=1.8) 60 부와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중합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닛폰폴리프로(주) 제조, 상품명 「WINTEC WFX4」) 40 부를 혼합하여 이용했다. 상기 점착제층 형성 재료 100 부를 압출기에 투입하고, T 다이 용융 압출(압출 온도 180℃)을 행하여,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인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쓰비시쥬시(주) 제조)을,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맞붙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필름으로서 기능한다. 별도로 압출 조건을 조정하여 제작한 50 ㎛ 두께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한 바, 점착제층의 투습도는 12 g/(㎡·일)이었다.
[제조예 6] 고무계 점착제 2의 제작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상품명: SEPTON 2063, 스티렌 함유량: 13%, (주)쿠라레 제조) 100 중량부와, 점착부여제로서 수첨 테르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타 TH130, 연화점: 130℃, 수산기가: 60, 야스하라케미칼(주) 제조) 40.4 중량부, 석유계 점착부여제(상품명: 피콜라스틱 A5, 비닐톨루엔계 점착부여제, 연화점: 5℃, 이스트만코닥사 제조) 61.7 부, 연화제로서 폴리부텐(상품명: HV-300, 중량 평균 분자량: 3000, JX닛코닛세키에네르기(주) 제조) 21.3 부를 배합한 톨루엔 용액을 고형분이 30 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고무계 점착제 2(용액)를 조제했다.
[제조예 7] 고무계 점착제 시트 2의 제작
제조예 6에서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 2(용액)를,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쓰비시쥬시(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도포층을 80℃에서 3분 건조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인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MRF, 미쓰비시쥬시(주) 제조)을,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맞붙였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으로서 기능한다.
한쪽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측으로부터 실온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고무계 점착제층 2/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상기 자외선 조사는 UVA 영역에서 광량 1000 mJ/c㎡였다. 별도로 같은 식으로 도포 두께를 조정하여 제작한 50 ㎛ 두께의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한 바, 점착제층의 투습도는 40 g/(㎡·일)이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편면에, 접착제층의 두께가 0.1 ㎛가 되도록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보호 필름(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상품명: KC2UAW, 두께: 25 ㎛, 코니카미놀타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맞붙인 후, 80℃에서 2분간의 건조를 행하여,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의 편광 필름 측에, 제조예 4에서 얻어진 고무계 점착제층 1을 통해 위상차 필름을 맞붙였다. 여기서,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45°가 되도록 맞붙였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고무계 점착제층 1 측과는 반대의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린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3132)를 맞붙여 점착제 부착 원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부착 원편광판은, TAC 필름/접착제층/편광 필름/고무계 점착제층 1/위상차 필름/아크릴계 점착제/박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얻어진 원편광판을 110 mm×70 mm로 재단했다.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 원편광판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 제조, 이글 XG)에 맞붙였다. 이어서, 원편광판의 보호 필름(TAC 필름)의 면에도 아크릴계 점착제(린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3132)를 통해 무알칼리 유리(코닝사 제조, 이글 XG)를 원편광판의 메인면이 완전히 덮이도록 맞붙여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8.8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접착제층의 두께가 0.1 ㎛가 되도록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보호 필름(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상품명: KC2UAW, 두께: 25 ㎛, 코니카미놀타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각각 맞붙인 후, 80℃에서 2분간의 건조를 행하여, 양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을 제작했다. 실시예 1의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을, 상기 양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8.6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제조예 5의 올레핀계 점착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9.4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제조예 5의 올레핀계 점착제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9.2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제조예 7의 고무계 점착제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9.5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제조예 7의 고무계 점착제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균일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9.4 nm 저하했을 뿐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아크릴계 점착제(린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3132, 두께 50 ㎛에서의 투습도: 1030 g/(㎡·일))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를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달랐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의 반사광이 빨간색을 띠고 있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16.8 nm 저하했다.
[비교예 2]
실시예 2의 고무계 점착제 1을 아크릴계 점착제(린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조, P-3132, 두께 50 ㎛에서의 투습도: 1030 g/(㎡·일))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같은 식으로 평가 샘플을 제작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평가 샘플을 85℃의 오븐에 400 hr 투입했다. 평가 샘플을 거울 위에 배치하여, 형광등 아래에서 반사광의 색조의 확인한 바,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색조는 달랐다.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의 반사광이 빨간색을 띠고 있었다. 평가 샘플의 중앙부에서의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치의 변화량을 측정한 바, 초기로부터 16.3 nm 저하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인 측에 커버 유리가 적층된 상태에서 고온 환경 하에 놓인 경우라도,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반사광의 색조가 균일한 원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Claims (9)

  1. 편광 필름과, 점접착제층과, 위상차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점접착제층은 온도 40℃, 상대 습도 92% 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 g/(㎡·일) 이하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판으로서 기능하며, 액정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하는 원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이소부틸렌 및 수소 인발형 광중합개시제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접착제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비정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두께가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광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이 하기 식 (α) 및 (β)를 만족하는 원편광판.
    Re(450)/Re(550)≤1.00 (α)
    1.00≤Re(650)/Re(550) (β)
    [식 중, Re(450)은 파장 4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내고, Re(550)은 파장 5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내고, Re(650)은 파장 650 nm에 있어서의 면내 위상차치를 나타낸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원편광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가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인 화상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원편광판과, 윈도우와,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KR1020207026859A 2018-03-12 2019-03-07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30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3841 2018-03-12
JP2018043841 2018-03-12
JP2018236096 2018-12-18
JPJP-P-2018-236096 2018-12-18
JP2019034020A JP2020098317A (ja) 2018-03-12 2019-02-27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JP-P-2019-034020 2019-02-27
PCT/JP2019/009068 WO2019176717A1 (ja) 2018-03-12 2019-03-07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828A true KR20200130828A (ko) 2020-11-20

Family

ID=7110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859A KR20200130828A (ko) 2018-03-12 2019-03-07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0098317A (ko)
KR (1) KR20200130828A (ko)
CN (1) CN1118194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13327A (ja) * 2020-07-03 202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22013326A (ja) * 2020-07-03 2022-01-18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2022042216A (ja) * 2020-09-02 2022-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CN118055987A (zh) * 2021-11-25 2024-05-17 株式会社Lg化学 背板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5560B2 (ja) 1998-10-30 2002-09-17 帝人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2014123134A (ja) 2007-12-28 2014-07-03 Sumitomo Chemical Co Ltd 化合物、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3584B2 (ja) * 2011-06-17 2016-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119109B2 (ja) * 2012-04-27 2017-04-2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940930B2 (ja) * 2016-05-10 2021-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偏光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8025765A (ja)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6792382B2 (ja) * 2016-09-05 2020-11-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粘着フィルム、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5560B2 (ja) 1998-10-30 2002-09-17 帝人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装置
JP2014123134A (ja) 2007-12-28 2014-07-03 Sumitomo Chemical Co Ltd 化合物、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19478A (zh) 2020-10-23
JP2020098317A (ja)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0828A (ko)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WO2017195506A1 (ja) 有機el表示装置用光学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偏光フィルム、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4744483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31181B2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44496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939947B1 (ko)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6792382B2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粘着フィルム、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4603572B2 (ja)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80252973A1 (en)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8184370B2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2009086452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86466A1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10049798A (ko)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30837A (ko) 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8119075A (ja) 粘接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JP4846685B2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803451B (zh) 橡膠系黏著劑組成物、橡膠系黏著劑層、附橡膠系黏著劑層之光學薄膜、光學構件、影像顯示裝置及橡膠系黏著劑層之製造方法
KR20210040374A (ko) 광학 필름
JP2005048003A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型光学部材の製造方法
WO2019176717A1 (ja)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200129150A (ko) 적층체, 복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176719A1 (ja) 積層体、複合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7110913A1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ゴム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
TW202405536A (zh) 光學積層體
WO2020026804A1 (ja) 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