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947B1 -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947B1
KR100939947B1 KR1020050065320A KR20050065320A KR100939947B1 KR 100939947 B1 KR100939947 B1 KR 100939947B1 KR 1020050065320 A KR1020050065320 A KR 1020050065320A KR 20050065320 A KR20050065320 A KR 20050065320A KR 100939947 B1 KR100939947 B1 KR 10093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film
adhesive
optical film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902A (ko
Inventor
마사유키 사타케
아키코 오가사와라
유우스케 도야마
후미아키 시라후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5Multifunctional compens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Abstract

(과제) 위상차를 갖는 점착제층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연신물이고,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점착제층.

Description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PHASE-CONTRAST ADHESIVE LAYER, ITS MANUFACTURING METHOD, ADHESIVE TYPE OPTICAL FILM,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DEVICE}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8-27438호
본 발명은 연신(延伸)에 의해 위상차(位相差)를 발현하고 있는 위상차 점착제층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위상차 점착제층을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또한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점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부터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고, 일반적으로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에는 편광판 외에, 액정 패널의 광학 보상을 행하고, 디스플레이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상차판 등의 광학 보상 필름을 편광판에 적층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이들 광학 보상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에 의해, 또 대화면화에 따른 비용 절감의 요구에 의해 더욱 얇은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필름 대신에 코팅 방식에 의해 광학 보상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을 액정 패널의 표면에 형성할 때에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는, 광학 필름의 한쪽 면에 미리 점착제층을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착형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것, 또 고착하는데 건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이들 광학 필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은 통상 무색 투명이고, 열, 습도 등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점착형 편광판을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하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은 편광판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점착제층이 위상차를 가지면 그 부분에서 편광 해소가 일어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비롯한 표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점착제층에는 위상차를 갖지 않는 것이 선택된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점착제층의 형성에는 다수의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된다.
한편, 복굴절성 층을 액정 모노머의 배향 경화물에 의해 형성하여 복굴절성을 부여함과 함께, 점착제층으로서도 기능시킨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특허 문헌 1 은 복굴절을 나타내기 위해 피착체인 프리즘의 표면을 폴리머층으 로 배향시키고 있어 피착체에 배향 성능이 필요한 등의 제약을 받는다. 특허 문헌 1 에서는 점착제라는 표기는 있지만, 상기와 같이 광학 필름을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등의 감압 접착의 사상을 개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액정 모노머의 배향 경화물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한, 위상차를 갖는 점착제층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위상차를 갖는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에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의 위상차 점착제층 등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연신물이고,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점착제층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위상차 점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물이 위상차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종래와는 반대로 적극적으로 점착제층에 위상차를 발현시켜 광학 보상 기능을 갖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위상차 점착제층은 점착제층으로서의 기능을 가짐과 함께, 위상차의 발현에 의해 광학 보상층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므로, 점착 성능과 광학 보상 기능을 겸비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에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에 의하면, 광학 필름에 별도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지 않아도 위상차 점착제층에 의해 광학 보상 기능을 나타낸다. 또, 점착제층이 위상차층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점착형 광학 필름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에 연신 처리를 행하고,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된 위상차 점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상차 점착제층은 가교(架橋)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가교 구조에 의해 고온에서의 신뢰성이나 점착제층 자체의 형상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위상차 점착제층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점착제층은 가교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가교 구조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이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 구조를 갖는 위상차 점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교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당해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에 연신 처리를 행한 후,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 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을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데, 당해 점착제층에 가교 구조를 부여하는 경우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으로서 가교 성분을 함유하는 것도 사용하고, 당해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연신을 행한 후, 가교를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전에 가교가 완료되어 있으면, 연신한 후에 얻어지는 위상차 점착제층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을 억제할 수 없고, 연신 상태가 해소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만족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위상차 점착제층이 적어도 1 층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위상차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적층한 점착형 편광판에 의하면, 편광판에 별도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지 않아도 위상차 점착제층에 의해 광학 보상 기능을 발휘하고, 당해 점착형 편광판을 타원 편광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보상 기능을 갖는 위상차판 등과의 병용에 의해 광학 보상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연신 처리를 행하고, 연신에 의해 점착제층에 위상차를 발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상차 점착제층을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에 위상차 점착제층 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것 외에, 광학 필름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을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연신함과 함께, 점착제층을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가교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당해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고, 연신 처리를 행한 후에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점착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적어도 1 장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위상차 점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연신물이고,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하고 있는 것이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성을 갖는 것이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착제층의 투과율은 고속 분광 광도계 (DOT-3 형, (주)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에 의해 측정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형성에는 적당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점착제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콜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모노머 유닛을 주골격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다. 또,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고, 본 발명의 (메트) 와는 동일한 의미이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1 ~ 12 정도의 것이고,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1 ~ 9 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중에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1 종류 이상의 각종 모노머가 공중합에 의해 도입된다. 그와 같은 공중합 모노머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 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히드록시라우릴이나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 스티렌술폰산이나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나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아미드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킬아미노알킬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계 모노머 ;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나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등도 개질 목적의 모노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N-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비닐계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폴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불소(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나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계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학 필름 용도로서 액정 셀로의 접착성, 접착 내구성 면에서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아크릴계 폴리머 중의 상기 공중합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중량 비율에 있어서 0.1 ∼ 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 만 ∼ 250 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각종 공지된 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컨대 벌크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라디칼 중합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과산화물계의 각종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 50 ∼ 80℃ 정도, 반응 시간은 1 ∼ 8 시간이 된다. 또, 상기 제조법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매로는 일반적으로 아세트 산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용액 농도는 통상 20 ∼ 80 중량% 정도가 된다.
고무계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로는, 예컨대 천연 고무, 이소프렌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 재생 고무, 폴리이소부티렌계 고무, 또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로는,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베이스 폴리머도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가 도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점착제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에 배합할 수 있는 다관능 화합물로는 유기계 가교제나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를 들 수 있다. 유기계 가교제로는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이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금속 킬레이트는 다가 금속이 유기 화합물과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다가 금속 원자로는 Al, Cr, Zr, Co, Cu, Fe, Ni, V, Zn, In, Ca, Mg, Mn, Y, Ce, Sr, Ba, Mo, La, Sn, Ti 등을 들 수 있다. 공유 결합 또는 배위 결합하는 유기 화합물 중의 원자로는 산소 원자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화합물로는 알킬에스테르, 알콜 화합물, 카르복실산 화합물, 에테르 화합물, 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베이스 폴리머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고형분) 0.01 ∼ 10 중량부 정도가 바람직하고, 0.1 ∼ 5 중량부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제,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 가루,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커플링제 등을,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예컨대 용제로 희석한 점착제 용액 또는 수계 에멀전 점착제를 이형 필름상에 도포하고, 건조 공정에서 용제나 물을 휘발함으로써 얻어진다. 도포 방법으로는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도공법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2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100㎛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의 구성 재료로는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등의 합성 수지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두께가 얇은 적당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의 구성 재료로는 점착제층과 함께 연신 가능한 폴리비닐알콜, 폴리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에틸렌 등의 실온에서 연신이 용이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단, Tg 이상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연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형 필름의 표면에는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리콘 처리, 장 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저접착성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형성은 상기 점착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비닐계 모노머 또는 그 부분 중합물 (점착제 시럽) 을 함유하는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비닐계 모노머는 부분 중합물 (중합률 5 ∼ 30% 정도의 점착제 시럽) 로 해 두는 것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UV 경화성 점착제를 이형 필름상에 도포하고, UV 등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하게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로는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와 동일한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는 통상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예컨대,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의 벤조인에테르 ;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 ;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 ;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 알파 케톨 ;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 ;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활성 옥심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비닐계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1 ∼ 5 중량부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3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한,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는 가교 성분으로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트 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사용량은 그 분자량이나 관능기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상기 비닐계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 30 중량부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또,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는 상기 점착제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첨가제를 광중합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를 이형 필름상에 도포한 후, 광조사함으로써 얻어진다. 통상은 파장 300 ∼ 400㎚ 에서의 조도가 1 ∼ 200mW/㎠ 인 자외선을 광량 400 ∼ 4000mJ/㎠ 정도 조사하여 광중합시킨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2 ∼ 2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100㎛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얻어진 점착제층은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시킨다. 점착제층은 이형 필름으로부터 벗기거나, 또는 이형 필름과 함께 연신할 수도 있다. 이형 필름이 폴리비닐알콜과 같은 연신이 용이한 재질인 경우에는 이형 필름과 함께 점착제층의 연신을 행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보다 균일한 연신이 가능해진다.
연신은 점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의 양단을 척 사이에 끼워 일측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1 축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4 단을 척 사이에 끼우고, 양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2 축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면방향으로 1 축 또는 2 축으로 연신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하는 방법 등에 의해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해도 된다. 통상, 연신 배율 1.1 ∼ 7 배, 바람직하게는 1.2 ∼ 6 배이다. 얻어진 위상차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2 ∼ 1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50㎛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이 가교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가교를 행한다. 점착제가 가교 성분으로서 가교제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가열 또는 건조 공정에 의해 가교가 행해진다. 또한, 건조후에 가온 상태나 실온 방치에 의한 에이징에 의해 가교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 그 밖에, 전자선이나 UB 조사 등으로 가교를 행할 수 있다. 한편,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의 경우에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가교 성분을 UV 등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를 행한다.
가교 처리를 어느 단계에서 행하는지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신이 행해지기 전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을 행한 후에 가교를 완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전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고위상차를 얻기 쉬운 점에서, 어느 정도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전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가교 정도는 10 ∼ 8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 7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연신후의 가교의 완료는 가교 정도가 9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 가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 정도가 100% 란,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가교제가 완전히 반응하고 있는 상태이고, 점착제층의 용제 불용분 (겔분) 의 최고값을 말하며, 각 공정에서의 점착제층의 가교 정도는 점착제층의 겔분의 최고값과의 상대비로 구해진다. 가교 정도 : 100 = 점착제층의 겔분 : 점착제층의 겔분의 최고값. 점착제층의 겔분의 최고값은 이것이 너무 높아지면 점착제층의 점성이 저하되어 점착 성능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 것, 한편, 낮으면 가교 비율이 낮아지는 점에서, 통상 40 ∼ 95%, 90%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용제 불용분 (겔분) 은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예컨대, 가교 성분으로서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를 함유하는 점착제는 점착제를 도공한 후, 가교 반응이 7 일 정도로 완료한다. 이러한 가교제를 사용한 점착제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공후 점착제층이 상기 가교 정도 (10 ∼ 80% 정도) 에 도달한 단계에서 연신을 행하고, 그 후 에이징을 계측함으로써 가교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연신후에 전자선이나 UB 조사로 가교를 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점착제층을 연신함으로써 위상차를 발현하고 있는 위상차 점착제층이 얻어지는데, 위상차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재료의 조성 (일반적인 점착제이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 또는 평균 분자량, 가교제의 종류 ; 방사선 경화성 점착제이면 모노머의 종류), 가교도, 첨가제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높은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점착제층을 설계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아크릴계 폴리머 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고 Tg 의 모노머를 공중합하거나, 가교 정도를 높여 (겔분의 최고값 : 70% 이상) 점착제층을 고겔분이 되도록 고탄성률의 점착제에 의해 설계하는 것이 유효하다. 반대로 낮은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점착제층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고 Tg 의 모노머를 공중합하거나, 가교 정도를 낮추어 (겔분의 최고값 : 50% 이하) 점착제층을 저겔분이 되도록 저탄성률의 점착제에 의해 설계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들은 개론(槪論)이고, 탄성률 이외에도 재료 고유의 위상차의 발현 기능이 기대되므로,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얻어진 위상차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층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 (1) 을 제조한다. 이형 필름상에서 형성된 위상차 점착제층은 이형 필름으로부터 전사하는 것보다 광학 필름상에 적층한다. 위상차 점착제층은 1 층 또는 2 층 이상을 적층할 수 있다. 위상차 점착제층을 2 층 이상 적층하는 경우에는 각 층의 위상차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전체적인 위상차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점착제층의 형성에 있어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후에 점착제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 (1) 은 위상차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과는 별도로 제작하고, 이것을 광학 필름에 적층하고 있는데, 상기 이외에 광학 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 (상기 위상차 점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한 연신전의 점착제층) 을 적층한 점착형 광학 필름에 대해 광학 필름째로 연신 처리를 행하고, 광학 필름을 연신함과 함께 점착제층을 연신함으로써, 소정의 위상차를 발현한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형 광학 필름 (2) 을 제조할 수 있다.
점착형 광학 필름 (2) 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점착형 광학 필름 (1) 에 사용한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에 사용한 것 (상기 예시한 것)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형 광학 필름 (2) 의 제조에 있어서의 연신 조건은 점착제층과 함께 광학 필름과 함께 연신되므로, 점착제층의 위상차와 함께 광학 필름의 재료, 광학 필름에 요구되는 성능을 고려하여 연신 배율 등은 적절히 결정된다. 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이 가교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광학 필름에 적층하고, 연신 처리를 행한 후에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정도는 점착형 광학 필름 (1) 에 사용한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와 동일한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 광학 필름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들은 기본적으로는 점착형 광학 필름 (1) 에 적용되는 것이다. 점착형 광학 필름 (2) 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하기 예시한 광학 필름 중에서 연신을 행할 수 있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또는, 하기 예시 중에서 연신이 행해지기 이전의 광학 필름 (연신전의 필름) 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 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 색성 염료의 2 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콜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 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전에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물세정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물세정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표면의 더러움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물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편차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 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ㆍ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알콜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 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컨대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ㆍ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품 등으로 이루어 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면에서 1 ∼ 500㎛ 정도이다. 특히, 5 ∼ 200㎛ 가 바람직하다.
또, 보호 필름은 가능한 한 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Rth = [(nx + ny)/2 - nz]ㆍd (단, nx, ny 는 필름 평면내의 주굴절률, nz 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 d 는 필름 두께임) 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90㎚ ∼ +75㎚ 인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 (Rth) 이 -90㎚ ∼ +75㎚ 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보호 필름에 기인하는 편광판의 착색 (광학적인 착색) 은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60㎚, -70㎚ ∼ +45㎚ 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으로는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면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은 통상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은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행한 것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 등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예컨대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당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럼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스티킹 방지 처리는 다른 부재의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안티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예컨대 샌드 블러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컨대 평균 입경이 0.5 ∼ 50㎛ 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비드를 포함)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적 으로 2 ∼ 50 중량부 정도이고, 5 ∼ 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의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광학 필름으로는, 예컨대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층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상기 편광판에 실제로 사용할 때 적층하여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또는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으로,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투명 보 호층 등을 통해 편광판의 일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투명 보호 필름의 일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을 갖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거려 보이는 것을 방지하여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 미립자 함유의 보호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 확산되어 명암 편차를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컨대 진공 증착 방식, 이온 플레이팅 방식, 스퍼터링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금속을 투명 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에 직접 부여하는 방식 대신에, 그 투명 필름에 준한 적당한 필름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 등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반사층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반사면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 방지, 나아가서는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의 면이나, 보호층의 별도 부설의 회피 면 등에서 바람직하다.
또,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서 반사층으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 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 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 하에서도 내장 광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또는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판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는 소위 1/4 파장판 (λ/4 판이라고도 함) 이 사용된다. 1/2 파장판 (λ/2 판이라고도 함) 은 통상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 (STN) 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생긴 착색 (파랑 또는 노랑) 을 보상 (방지) 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를 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3 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생기는 착색도 보상 (방지)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원편광판은, 예컨대 화상이 컬러 표시가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조정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한 반사 방지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으로는 고분자 소재를 1 축 또는 2 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 ~ 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고분자 소재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이들의 2 원계, 3 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 (연신 필름) 이 된다.
액정 폴리머로는, 예컨대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 직선상 원자단 (메소겐) 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형이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형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에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컨대 네마틱 배향성 폴리에스테르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의 액정 폴 리머의 구체예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통해 네마틱 배향 부여성 파라 치환 고리형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 폴리머는, 예컨대 유리판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비닐알콜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 규소를 사방 증착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처리함으로써 행해진다.
위상차판은, 예컨대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당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당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이 되도록 그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각 보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화면에 수직이 아니라 약간 기울어진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화상이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도록 시야각을 확대하기 위한 필름이다. 이러한 시각 보상 위상차판으로는, 예컨대 위상차판, 액정 폴 리머 등의 배향 필름이나 투명 기재상에 액정 폴리머 등의 배향층을 지지한 것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위상차판은 그 면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는 것에 대해, 시각 보상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판에는 면방향으로 2 축으로 연신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필름이나, 면방향으로 1 축으로 연신되고 두께 방향으로도 연신된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제어한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나 경사 배향 필름과 같은 2 방향 연신 필름 등이 사용된다. 경사 배향 필름으로는, 예컨대 폴리머 필름에 열수축 필름을 접착하여 가열에 의한 그 수축력의 작용하에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 또는/및 수축 처리한 것이나, 액정 폴리머를 경사 배향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소재 원료 폴리머는 상기 위상차판에서 설명한 폴리머와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액정 셀에 의한 위상차에 기초하는 시인각의 변화에 의한 착색 등의 방지나 양호한 시인성의 시야각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시인성의 넓은 시야각을 달성하는 점 등에서,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 특히 디스코틱 액정 폴리머의 경사 배향층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적 이방성 층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지지한 광학 보상 위상차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접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 사이드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 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그 뒤쪽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이면측으로부터 편광자를 통해 광을 입사한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고, 편광자를 투과하여 오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약 50% 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고, 그 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되어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일반 반사시키고, 다시 그 뒤쪽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은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반사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가 된다.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되고,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으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의 편차를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횟수가 알맞게 증가하고,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더불어 균일하게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컨대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은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상에 지지한 것과 같은, 좌선성 또는 우선성 회전으로 원편광된 광 중 어느 일측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일치하게 하여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으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컨대 파장 550㎚ 의 담색광에 대해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컨대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한 것의 조합으로 하여 2 층 또는 3 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 층 또는 3 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데,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당한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다른 광학층의 접착시, 그들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당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의 각 층에는, 예컨대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컨대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의 타입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점착형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 컨대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편광판 등) 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기 발광층은 여러 가지의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컨대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의 적층체나, 또는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나, 또 혹은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가지의 조합을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가 형광 물질을 여기하고, 여기된 형광 물질이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카니즘은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것으로부터도 예상할 수 있듯이,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에 대해 정류성 (整流性) 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이끌어 내기 위해, 적어 도 일측의 전극이 투명해야 하고, 통상 산화인듐주석 (ITO) 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층은 두께 10㎚ 정도로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층도 투명 전극과 마찬가지로 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한다. 그 결과, 비발광시에 투명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고,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투명 기판의 표면측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경면 (鏡面) 과 같이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 전극을 구비함과 함께, 유기 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발광체를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투명 전극과 편광판의 사이에 위상차판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판 및 편광판은 외부에서 입사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어 온 광을 편광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그 편광 작용에 의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 로 조정하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되는 외부광은 편광판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된다. 이 직선 편광은 위상차판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 편광이 되는데, 특히 위상차판이 1/4 파장판이고 더욱이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이 π/4 일 때에는 원편광이 된다.
이 원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유기 박막을 투과하고,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어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투명 기판을 투과하고, 위상차판에 다시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판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예 중의 부 및 %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용제 불용해분 : 겔분)
점착제층을 약 1g 정밀하게 칭량하고, 이것을 아세트산에틸 약 40g 에 7 일간 침지하고, 그 후 아세트산에틸에 대한 불용해분을 모두 회수하고, 130℃ 에서 2시간 건조시켜 그 중량을 구하고, 얻어진 수치를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 용제 불용해분이다. 용제 불용해분 (%) = (불용해분 중량/침지전의 점착제 중량) × 100. 또, 겔분의 최고값은 최종 제조물의 겔분을 측정하고, 날이 경과함에 따라 겔분이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을 확인했을 때의 값으로 하였다.
(위상차의 측정)
점착제층의 면내 위상차 (Δnd) 의 측정은 자동 복굴절계 (KOBRA-21ADH, 오지계측기기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샘플수는 5 점이다.
실시예 1
(점착제의 조제)
냉각관, 교반 날개, 온도계가 부속된 4 구 플라스크 중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5.3 부, 아크릴산 4 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5 부 및 과산화 벤조일 0.2 부를 아세트산에틸 100 부와 혼합한 용액을 첨가하고, 60℃ 에서 7 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40% 의 아크릴계 폴리머 (중합률 80%, 중량 평균 분자량 180만 : GPC 폴리스티렌 환산)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콜로네이트 L, 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사 제조) 를 고형분으로 1 부 첨가하고, 추가로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30% 의 점착제 용액을 작성하였다.
(점착제층의 제작)
상기 점착제 용액을 이형 처리를 행한 폴리비닐알콜 필름 (75㎛)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50℃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용제를 휘발시키고, 건조후의 두께가 150㎛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당해 점착제층은 겔분 50% : 가교 정도 62.5% 이었다. 점착제층을 이형 필름으로부터 벗겨 위상차 (Δnd) 를 측정하였다. Δnd = 0㎚ 이었다.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작)
얻어진 이형 필름이 부착된 점착제층을 100㎜ × 50㎜ 로 잘라내고, 양 단편을 바이스상의 척 사이에 끼웠다. 장변과 병행인 방향으로 척을 잡아 당기고, 필름 장변이 500㎜ 가 될 때까지 연신 (연신 배율 : 5 배) 을 행하였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30 ± 1㎛ 가 되었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이 용이하게 연신될 수 있도록 적절히 폴리비닐알콜 필름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 을 물에 담궈 잡아 당겼다.
그 후, 7 일간 23℃/55% RH 의 환경 하에서 에이징을 실시하여 가교 반응을 완료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은 겔분 80%, 가교 정도 100% 이었다. 점착제층을 이형 필름으로부터 벗겨 위상차를 측정하였다. Δnd = 38 ± 1㎚ 이었다.
(점착형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위상차 점착제층을 편광판 (닛토전공 제조 SEG5424DU) 에 접착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형 편광판은 타원 편광판으로서 기능하였다.
실시예 2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작)
실시예 1 에 있어서, 이형 필름이 부착된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층을 박리하고, 점착제층만을 연신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위상차 점착제층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의 두께는 35 ± 5㎛, Δnd = 40 ± 2㎚ 이었다.
(점착형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위상차 점착제층을 편광판 (닛토전공 제조 SEG5424DU) 에 접착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형 편광판은 타원 편광판으로서 기능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점착제를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38㎛) 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하여 두께가 150㎛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것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 적층하고 나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였다. 그 후, 150℃ 의 분위기 하에서 1.5 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점착제층 단독의 위상차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위상차를 뺀 값) 는 Δnd = 5 ± 1㎚ 이었다.
비교예 1
(점착형 타원 편광판의 제작)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점착제층 (Δnd = 0) 을 편광판 (닛토전공 제조 SEG5424DU) 에 접착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점착형 편광판은 타원 편광판으로서 기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액정 모노머의 배향 경화물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한, 위상차를 갖는 점착제층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의 연신물이고,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현하고 있으며, 가교 구조를 갖는 위상차 점착제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가교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당해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에 연신 처리를 행한 후,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광학 필름의 일측 또는 양측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연신 처리를 행하고, 연신에 의해 점착제층에 위상차를 발현시키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가교 성분을 함유하고, 또한 당해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고, 연신 처리를 행한 후에 가교 성분의 가교 반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65320A 2004-08-02 2005-07-19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9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5741 2004-08-02
JP2004225741A JP4410055B2 (ja) 2004-08-02 2004-08-02 位相差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21A Division KR100975253B1 (ko) 2004-08-02 2009-11-02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902A KR20060053902A (ko) 2006-05-22
KR100939947B1 true KR100939947B1 (ko) 2010-02-04

Family

ID=354256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320A KR100939947B1 (ko) 2004-08-02 2005-07-19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090105121A KR100975253B1 (ko) 2004-08-02 2009-11-02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21A KR100975253B1 (ko) 2004-08-02 2009-11-02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66239A1 (ko)
JP (1) JP4410055B2 (ko)
KR (2) KR100939947B1 (ko)
CN (1) CN100426019C (ko)
TW (1) TWI382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725A (ja) * 2004-03-23 2005-10-06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4869015B2 (ja) * 2005-10-18 2012-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
JP5085028B2 (ja) * 2005-10-20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76075B2 (ja) * 2005-12-26 2012-07-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140736B2 (ja) * 2006-03-15 2008-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120854B2 (en) * 2006-12-28 2012-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ference films having acrylamide lay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122423A (ja) * 2007-11-15 2009-06-0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素子
TWI375837B (en) * 2007-12-31 2012-11-0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forming optical compensating films, optical compensating films formed thereby, structure of optical compensating films, and polarizing plates
EP2291479B1 (en) * 2008-06-02 201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encapsulat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s made therewith
US8232350B2 (en) * 2008-06-02 2012-07-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encapsulating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s made therewith
KR101293902B1 (ko) * 2008-07-01 2013-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용 보호 필름,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ES2654330T3 (es) * 2009-04-24 2018-02-13 Tesa Se Lámina adhesiva con propiedades de restablecimiento
JP5719503B2 (ja) 2009-07-29 2015-05-2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
JP5150904B2 (ja) * 2010-05-10 2013-02-27 康博 小池 粘着剤の複屈折値定量的測定方法、粘着剤の設計方法及び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422662B1 (ko) * 2011-09-08 2014-07-23 제일모직주식회사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US10126473B2 (en) * 2013-02-01 2018-11-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splay device and laminated optical film
KR102262160B1 (ko) * 2013-12-24 2021-06-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FR3042437B1 (fr) * 2015-10-16 2018-02-09 Toray Film Europe Film composite polyester/primaire/metal perfectionne cohesif et impermeable aux gaz,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le primaire mis en oeuvre dans ce procede
WO2018061867A1 (ja) * 2016-09-29 2018-04-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ラテックス組成物
EP3514601B1 (en) * 2017-04-25 2021-04-07 LG Chem, Ltd. Optical device
EP3617777B1 (en) 2017-04-25 2021-12-29 LG Chem, Ltd. Optical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777A (ko) * 1989-12-26 1991-08-08 아더 엠. 킹 복굴절 필름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0163017B1 (ko) * 1995-01-20 1999-01-15 한형수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JP2003121648A (ja) * 2001-10-12 2003-04-23 Nitto Denko Corp 粘着型位相差板の製造方法、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30103180A1 (en) 2000-06-05 2003-06-05 Tomoaki Masuda Optical compensat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0046A (en) * 1975-05-26 1978-03-21 Sharp Kabushiki Kaisha Field-effec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ing images in complementary colors
JPS62135338A (ja) * 1985-12-09 1987-06-18 Diafoil Co Ltd 液晶パネル基板用ポリエチレンナフタレ−ト一軸高配向フイルム
NL9001610A (nl) * 1990-07-16 1992-02-17 Philips Nv Beeldprojektie-inrichting.
US5393841A (en) * 1993-11-09 1995-02-28 Shell Oil Company Dissimilar arm asymmetric radial or star block copolymers for adhesives and sealants
KR970009777B1 (ko) * 1993-12-01 1997-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면 및 그 제조방법
KR950018363A (ko) * 1993-12-31 1995-07-22 박흥기 점착 필름의 제조방법
US5751102A (en) * 1994-05-02 1998-05-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nochromatic cathode ray tube having scattered electron suppressing layer
US5645766A (en) * 1995-03-30 1997-07-08 Teijin Limited Film of aromatic polyethersulfon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solutio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5866249A (en) * 1995-12-18 1999-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partially oriented and partially crystallized elastomer
JP3676474B2 (ja) * 1996-01-09 2005-07-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1318223A (ja) * 2000-05-09 2001-11-16 Sumitomo Chem Co Ltd 位相差板
DE50107376D1 (en) * 2000-06-30 2005-10-13 Tesa Ag Orientierte acrylathotmelts
JP4566384B2 (ja) * 2000-10-30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US6623837B2 (en) * 2000-12-27 2003-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US20030031802A1 (en) * 2001-05-11 2003-0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ulsed electron beam polymerization
JP2003013029A (ja) * 2001-07-02 2003-01-15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部材及び表示装置
DE10132534A1 (de) * 2001-07-09 2003-01-30 Tesa Ag Biaxial verstreckte Klebebänd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156088A1 (de) * 2001-11-16 2003-06-05 Tesa Ag Orientierte Acrylatblockcopolymere
DE10157152A1 (de) * 2001-11-22 2003-10-16 Te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aftklebriger Stanzprodukte
US6838185B2 (en) * 2001-11-27 2005-01-0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used for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JP4007502B2 (ja) * 2002-02-01 2007-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3071319A1 (fr) * 2002-02-19 2003-08-28 Nitto Denko Corporation Feuille a couches de dephasage empilees, plaque a couches de polarisation empilees comprenant celle-ci et affichage d'image
KR100822247B1 (ko) * 2002-04-01 2008-04-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시스템
KR20030079705A (ko) * 2002-04-01 2003-10-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시스템
JP4134350B2 (ja) * 2002-08-29 2008-08-20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用いた光学部材
JP5283146B2 (ja) * 2005-07-01 2013-09-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777A (ko) * 1989-12-26 1991-08-08 아더 엠. 킹 복굴절 필름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0163017B1 (ko) * 1995-01-20 1999-01-15 한형수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US20030103180A1 (en) 2000-06-05 2003-06-05 Tomoaki Masuda Optical compensat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3121648A (ja) * 2001-10-12 2003-04-23 Nitto Denko Corp 粘着型位相差板の製造方法、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7494A (ja) 2006-02-16
JP4410055B2 (ja) 2010-02-03
KR20060053902A (ko) 2006-05-22
KR100975253B1 (ko) 2010-08-11
CN1734297A (zh) 2006-02-15
US20050266239A1 (en) 2005-12-01
KR20090132568A (ko) 2009-12-30
CN100426019C (zh) 2008-10-15
TW200609546A (en) 2006-03-16
TWI382208B (zh)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947B1 (ko) 위상차 점착제층, 그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776957B1 (ko) 광학보상층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59048B1 (ko) 점착형 광학보상층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US9188722B2 (en) Antistatic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100769072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100861901B1 (ko) 대전 방지성 광학 필름, 대전 방지성 점착형 광학 필름,그들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06018984A1 (ja) 保護フィルム付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位相差板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粘着型光学素材
KR20030082919A (ko) 감압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KR20040053324A (ko) 위상차판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JP2008170949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8001601A1 (fr) Film optique adhésif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
KR100842201B1 (ko)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형광학 필름
KR100724323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09086452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6043449A1 (ja)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2685A (ko) 점착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표시 장치
KR100910331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44074A (ko) 대전 방지성 광학 필름, 대전 방지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화상 표시 장치
JP2009116197A (ja)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327926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849052B1 (ko) 보호필름 부착 위상차판, 그 제조방법, 보호필름 부착점착형 위상차판 및 보호필름 부착 점착형 광학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