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529A -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529A
KR20200130529A KR1020190053488A KR20190053488A KR20200130529A KR 20200130529 A KR20200130529 A KR 20200130529A KR 1020190053488 A KR1020190053488 A KR 1020190053488A KR 20190053488 A KR20190053488 A KR 20190053488A KR 20200130529 A KR20200130529 A KR 2020013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mmet
protector
blocking plate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민
이철훈
여성윤
김태훈
김항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0529A/ko
Publication of KR2020013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을 관통한 와이어 하네스가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갖고 와이어 하네스를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포함된 그로멧바디; 인출부의 상부를 포함한 그로멧바디의 상부를 커버링하면서 그로멧바디에 결합되는 프로텍터; 및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인출부와 결합부 사이를 커버링하도록 그로멧바디 또는 프로텍터에 고정된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GROMME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가 내부가 관통된 그로멧을 통하여 패널을 통과함으로써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성은 크게 샤시와 바디로 구분되어 기계적으로 결합이 되어 있고, 특히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서 작동하는 다양한 전기 장치들을 구비하여 이들에 전기적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 하네스가 다수 사용된다.
와이어 하네스는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배선들을 집적하여 와이어 형상으로 구성하여 전기적 신호 또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되며, 패널과 패널 사이처럼 극히 협소한 공간을 통과하고 그곳에서 여러 각도로 절곡되어 사용된다.
자동차의 대쉬보드(Dash board)는 엔진과 탑승객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대쉬보드에 흡음재나 차음재를 부착하여 대쉬보드의 소음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자동차의 실내 정숙성을 좌우하는 중요 요인이 되어왔다.
특히, 이러한 대쉬보드와 같은 패널을 통과하는 부분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들을 흐트러지지 않고 정리된 상태로 위치를 고정시키고, 차체 패널에 형성된 홀에 전선이 통과할 때 패널 홀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 패널 홀에 그로멧(Grommet)을 삽입한다. 와이어 하네스는 그로멧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패널을 통과한다.
다만, 종래의 그로멧은 엔진룸의 소음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소비자의 만족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51956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음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그로멧바디의 인출부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그로멧 결합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는 내부공간을 관통한 와이어 하네스가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갖고 와이어 하네스를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포함된 그로멧바디; 인출부의 상부를 포함한 그로멧바디의 상부를 커버링하면서 그로멧바디에 결합되는 프로텍터; 및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인출부와 결합부 사이를 커버링하도록 그로멧바디 또는 프로텍터에 고정된 차단판;을 포함한다.
그로멧바디와 프로텍터 사이에 위치되고, 그로멧바디가 패널에 결합시 그로멧바디 및 프로텍터와 동시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차단판은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은 결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차단판은 브라켓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에서 차단판이 절곡되는 위치에 복수의 노치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은 인출부에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차단판의 상단부는 인출부를 일부 감싸도록 인출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차단판은 인출부의 하부에서 양측방으로 연장되어 양측 단부가 프로텍터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프로텍터가 그로멧바디에 결합시 차단판은 양측 단부에서 프로텍터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차단판의 양측 단부는 중첩되는 프로텍터의 일부와 나란하게 절곡되고, 프로텍터에는 상부가 단차지고 하부가 테이퍼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차단판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로텍터는 그로멧바디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그로멧바디의 상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그로멧바디는 패널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가 형성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상부에 위치되고 인출부가 형성된 제2바디 및 제1바디의 하부에 위치된 제3바디가 포함될 수 있다.
제1바디, 제2바디 및 제3바디는 내부공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의 상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제2바디는 연결리브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바디의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제3바디는 돌출리브의 외측에서 제1바디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는 패널의 상부에 결합부가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고, 패널은 결합부의 하부에서 제3바디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바디는 하단부가 제1바디가 연장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측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에 따르면, 차단부의 구성을 통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인출되는 그로멧바디의 인출부 하부에서 그로멧바디를 커버링함으로써 프로텍터에 의해 커버링되지 않는 영역이 커버링되어 차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에 따라 엔진룸의 소음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그로멧 바디의 사시도 및 하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에 따른 소음 감소 효과를 도시한 자료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측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는 내부공간(I)을 관통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갖고 와이어 하네스(미도시)를 인출시키는 인출부(121) 및 패널(P)과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포함된 그로멧바디(100); 인출부(121)의 상부를 포함한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를 커버링하면서 그로멧바디(100)에 결합되는 프로텍터(200); 및 인출부(121)의 하부에 위치되고, 인출부(121)와 결합부(111) 사이를 커버링하도록 그로멧바디(100) 또는 프로텍터(200)에 고정된 차단판(310);을 포함한다.
그로멧바디(100)는 내부에 내부공간(I)이 연장되도록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관통된 홀에 의해 연장된 내부공간(I)에는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와이어 하네스(미도시)는 그로멧바디(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나, 그로멧바디(100)의 인출부(121)가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미도시) 또한 인출부(121)를 통해 측방으로 절곡되면서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로멧바디(100)는 예를 들어 고무 재질과 같은 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고,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로멧바디(100)는 결합부(111)를 통하여 패널(P)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1)는 그로멧바디(100)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되어 패널(P)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패널(P)을 기준으로, 인출부(121)는 엔진이 포함된 실외부에 위치되고, 그로멧바디(100)의 반대 측은 차량의 실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로멧바디(100)는 인스톨과 같은 체결장치(400)를 통하여 결합부(111)에서 패널(P)과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프로텍터(200) 및 브라켓(300)도 체결장치(400)를 통하여 패널(P)에 그로멧바디(100)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구성으로, 인출부(121)의 상부를 동시에 커버링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그로멧바디(100)와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인출부(121)의 상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의 하부에서 인출부(121)와 결합부(111) 사이를 커버링할 수 있다.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프로텍터(200)가 커버링하지 못하는 인출부(121)의 하부에서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것이다.
차단판(310)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브라켓(30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체결장치(400)를 통하여 그로멧바디(100)와 프로텍터(2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인출되는 그로멧바디(100)의 인출부(121) 하부에서 그로멧바디(100)를 커버링함으로써 프로텍터(200)에 의해 커버링되지 않는 영역이 커버링되어 차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엔진룸의 소음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로멧바디(100)와 프로텍터(200) 사이에 위치되고, 그로멧바디(100)가 패널(P)에 결합시 그로멧바디(100) 및 프로텍터(200)와 동시에 결합되는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고, 차단판(310)은 브라켓(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그로멧마디와 프로텍터(200) 사이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부재이다. 브라켓(30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성형될 수 있고, 차단판(310)은 일체로 성형된 브라켓(300)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의 구성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도 브라켓(300)을 일부 변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브라켓(300)은 결합부(111)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111)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차단판(310)은 브라켓(300)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결합부(111)가 연장된 평면인 패널(P)이 연장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그로멧바디(100)와 프로텍터(200) 사이에 위치되고 그로멧바디(100)의 결합부(111) 및 프로텍터(200)와 동시에 체결장치(400)를 통하여 패널(P)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로멧바디(100)에는 언더컷부(112)가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고, 브라켓(300)은 전체 또는 일부에서 언더컷부(112)에 삽입되어 그로멧바디(10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언더컷부(112)는 그로멧바디(100)의 복수의 위치에서 언더컷된 형상으로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브라켓(300)에는 일부가 내측으로 연장된 삽입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언더컷부(112) 및 삽입부(330)는 인출부(121)가 절곡되어 연장된 위치를 포함한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언더컷부(112)는 결합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이 그로멧바디(100)의 상방에서 끼워짐에 따라 브라켓(300)의 삽입부(330)는 그로멧바디(100)의 언더컷부(112)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300)은 그로멧바디(10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단판(310)은 결합부(111)의 상부에 접촉된 브라켓(300)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그로멧바디(100)의 인출부(121) 하부를 커버하도록 그로멧바디(100)의 인출부(121)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로, 브라켓(300)에는 차단판(31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고정판(3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판(320)은 브라켓(300)에서 프로텍터(200) 측으로 절곡되어 프로텍터(200)와 직접 결합됨으로써 프로텍터(2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판(320)은 차단판(310)의 양측에 위치되지만, 절곡된 상태에서 서로 어긋나게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에서 차단판(310)이 절곡되는 위치에 복수의 노치(312, Notch)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312)는 상방으로 절곡된 차단판(310)의 외측면인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진동에 의해 휘어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소음이 제거되며, 차음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에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차단판(310)의 상단부는 인출부(121)를 일부 감싸도록 인출부(121)가 연장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차단판(310)은 브라켓(30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인출부(121)에 접촉되고, 인출부(121)와의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인출부(121)의 하부를 일부 감싸도록 커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판(310)은 인출부(121)가 연장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인출부(121)와 면접촉하면서 인출부(121)를 커버링할 수 있다. 특히,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에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와 면접촉되도록 절곡되어 인출부(121)의 하부에서 빈틈없이 그로멧바디(100)를 커버링할 수 있고, 인출부(12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진동에 의해 인출부(121)와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의 하부에서 양측방으로 연장되어 양측 단부가 프로텍터(200)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차단판(310)은 인출부(121)의 하부에서 그로멧바디(100)를 완전히 감싸도록 양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특히 양측 단부는 프로텍터(200)와 일부 중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310)은 프로텍터(2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링할 수 있어 차음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가 그로멧바디(100)에 결합시 차단판(310)은 양측 단부에서 프로텍터(200)와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프로텍터(200)와 일부 중첩되는 차단판(310)의 양측 단부는 중첩된 영역에서 프로텍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로멧바디(100)에 프로텍터(200)가 결합되면 차단판(310)이 프로텍터(200)와 고정되게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갖고, 진동에 의한 충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 실시예로, 차단판(310)의 양측 단부는 중첩되는 프로텍터(200)의 일부와 나란하게 절곡되고, 프로텍터(200)에는 상부가 단차지고 하부가 테이퍼진 결합돌기(210)가 형성되며, 차단판(31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210)가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로 테이퍼진 결합돌기(210)는 관통홀(3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상부가 단차진 결합돌기(210)는 관통홀(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프로텍터(200)는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그로멧바디(100)의 상부를 커버링할 수 있다.
프로텍터(200)는 그로멧바디(100)의 결합부(111)에는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으나,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는 이격된 상태로 커버링할 수 있다. 즉, 프로텍터(200)와 그로멧바디(100) 사이에 공기층을 확보함으로써 그로멧바디(100)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프로텍터(200)가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나란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그로멧바디(100)는 외측면이 프로텍터(20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절곡될 수 있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의 그로멧 바디의 사시도 및 하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그로멧바디(100)는 패널(P)과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되고 패널(P)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된 제1바디(110), 제1바디(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인출부(121)가 형성된 제2바디(120) 및 제1바디(110)의 하부에 위치된 제3바디(1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로멧바디(100)의 제1바디(110)는 결합되는 패널(P)과 나란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특히 패널(P)에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그로멧바디(10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된 인출부(121)가 제2바디(120)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출부(121)는 제2바디(1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3바디(130)는 제1바디(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제1바디(1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어 있는 그로멧바디(100)의 내부공간(I)에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절곡되는 종래의 구성에 대비하여,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및 제3바디(130)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감싸지면서 절곡된 3중 차단 구조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관통하는 그로멧바디(100)의 내부공간(I)에 대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따라 차음 성능이 향상되면서 주변 부품의 레이아웃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특히,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및 제3바디(130)는 내부공간(I)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및 제3바디(130)의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통과하는 내부공간(I)은 연속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로멧바디(100)는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및 제3바디(1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사출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상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리브(122)가 형성되고, 제2바디(120)는 연결리브(12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에는 복수의 연결리브(122)가 내부공간(I)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리브(122)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0)의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131)가 형성되고, 제3바디(130)는 돌출리브(131)의 외측에서 제1바디(110)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제3바디(130) 사이에도 복수의 돌출리브(131)가 내부공간(I)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돌출리브(131)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리브(131) 및 연결리브(122)는 예를 들어 8개가 동일한 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거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바디(11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32)는 제3바디(130)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부공간(I)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돌기(132)는 돌출리브(131)와 같이 내부공간(I)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돌출리브(131)와 나란하게 돌출리브(131)의 측방에 위치되거나, 돌출리브(131)의 하부에서 더 하방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돌기(132)는 돌출리브(131)보다 작은 개수로, 예를 들어 4개가 동일한 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리브(131) 및 연결리브(122)를 형성함에 따라, 엔진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진동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로, 그로멧바디(100)는 돌출리브(131) 및 연결리브(122)가 형성된 위치에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위치된 내부공간(I)을 감싸는 두께가 특히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로멧바디(10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의 연결리브(122) 및 제3바디(130) 내부의 돌출리브(131)가 형성된 위치에서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통과하는 내부공간(I)을 감싸는 두께가 인출부(121)에서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는 패널(P)의 상부에 결합부(111)가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고, 패널(P)은 결합부(111)의 하부에서 제3바디(13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특히, 패널(P)과 제3바디(130)는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3바디(130)의 외측면이 패널(P)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의 차단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3바디(130)는 하단부가 제1바디(110)가 연장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측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바디(130)는 제1바디(1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하단부는 다시 측방으로 절곡되어 제1바디(110)가 연장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3바디(130)의 하단부는 와이어 하네스(미도시)가 위치된 내부공간(I) 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엔진룸에서 실내부로 유입된 잔존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에 따른 소음 감소 효과를 도시한 자료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화된 모델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에 따르면 주파수의 전 영역에 해당하는 소음의 투과 손실(dB)이 목표치를 크게 웃도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화된 모델인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를 기존 모델과 비교하면, 저주파수 영역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주파수 영역에서 투과 손실(dB)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그로멧바디 200 : 프로텍터
300 : 브라켓 310 : 차단판
400 : 체결장치 P : 패널

Claims (15)

  1. 내부공간을 관통한 와이어 하네스가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을 갖고 와이어 하네스를 인출시키는 인출부 및 패널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포함된 그로멧바디;
    인출부의 상부를 포함한 그로멧바디의 상부를 커버링하면서 그로멧바디에 결합되는 프로텍터; 및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인출부와 결합부 사이를 커버링하도록 그로멧바디 또는 프로텍터에 고정된 차단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로멧바디와 프로텍터 사이에 위치되고, 그로멧바디가 패널에 결합시 그로멧바디 및 프로텍터와 동시에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차단판은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브라켓은 결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차단판은 브라켓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브라켓에서 차단판이 절곡되는 위치에 복수의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판은 인출부에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차단판의 상단부는 인출부를 일부 감싸도록 인출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판은 인출부의 하부에서 양측방으로 연장되어 양측 단부가 프로텍터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프로텍터가 그로멧바디에 결합시 차단판은 양측 단부에서 프로텍터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차단판의 양측 단부는 중첩되는 프로텍터의 일부와 나란하게 절곡되고, 프로텍터에는 상부가 단차지고 하부가 테이퍼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차단판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텍터는 그로멧바디의 상부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그로멧바디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로멧바디는 패널의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결합부가 형성된 제1바디, 제1바디의 상부에 위치되고 인출부가 형성된 제2바디 및 제1바디의 하부에 위치된 제3바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바디, 제2바디 및 제3바디는 내부공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바디의 상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제2바디는 연결리브의 상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바디의 하부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제3바디는 돌출리브의 외측에서 제1바디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바디는 패널의 상부에 결합부가 위치된 상태로 결합되고, 패널은 결합부의 하부에서 제3바디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3바디는 하단부가 제1바디가 연장된 평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측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KR1020190053488A 2019-05-08 2019-05-08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KR20200130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8A KR20200130529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488A KR20200130529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529A true KR20200130529A (ko) 2020-11-19

Family

ID=736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488A KR20200130529A (ko) 2019-05-08 2019-05-08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05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7824A (zh) * 2021-03-19 2022-09-27 住友电装株式会社 护线套组件及线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56B1 (ko) 2010-11-05 201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을 위한 와이어링 그로멧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956B1 (ko) 2010-11-05 201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 저감을 위한 와이어링 그로멧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7824A (zh) * 2021-03-19 2022-09-27 住友电装株式会社 护线套组件及线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327B1 (ko) 일체형 그로밋을 갖춘 방음층
KR100470806B1 (ko) 도어와 일체로 성형된 매트
WO1998004439A1 (en) Sound insulating layer with integral boot
US7020931B1 (en) Grommet and retainer
US5854452A (en) System for fastening sheet materials together
US11052840B2 (en) Grommet for wire harness
CN114006328A (zh) 索环以及线束
US20190036313A1 (en) Protector
KR20200130529A (ko) 차량용 그로멧 결합체
US20130228367A1 (en) Electric wire fixing device
EP3974261B1 (en) Grommet and wire harness
JP6984971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60159539A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binding band
JP6730872B2 (ja) 配索材の固定構造およびインナーパネルモジュール
JPH09161580A (ja) グロメット
JP3729636B2 (ja) 電気機器の防水ケース
JP2017135876A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KR20230139721A (ko) 차량용 대쉬 그로멧
KR100472942B1 (ko) 일체형부트를갖춘소음방음층
KR102529729B1 (ko) 차량용 멀티박스
KR20230134918A (ko) 차량용 대쉬 그로멧
JP2598925Y2 (ja) 車両のリヤホイールハウスカバー
KR20040594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보강구조
KR100376848B1 (ko)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JP2022144999A (ja) グロメットアセンブリ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