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848B1 -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848B1
KR100376848B1 KR10-2000-0065585A KR20000065585A KR100376848B1 KR 100376848 B1 KR100376848 B1 KR 100376848B1 KR 20000065585 A KR20000065585 A KR 20000065585A KR 100376848 B1 KR100376848 B1 KR 10037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s
inner panel
trim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339A (ko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8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넥터박스(1)에 플로어콘넥터(3,3′,3″)들이 기 장착되고, 이 콘넥터박스(1)가 차체내측패널(P)에 형성된 장착홀(H)에 삽입장착되며, 상기 플로어콘넥터(3,3′,3″)들에 메인콘넥터(4,4′,4″)들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콘넥터가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사이에 공간을 확보해야만 했던 설계제약조건이 해소되고, 트림(T)의 들뜸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조립라인에서 각 콘넥터들을 개별적으로 차체내측패널(P)에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콘넥터와 콘넥터 장착면 간의 진동이 줄어들어 전선의 접속불량이나 단선등의 문제가 해결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wire connect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콘넥터가 장착되어도 차체내측패널과 트림 사이에 큰 공간이 필요 없게 되어 설계제약조건이 줄어들 수 있으며, 콘넥터 장착작업이 용이해진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종 장치들은 배터리 또는 알터네이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거나 또는 제어유니트로부터 작동제어신호를 인가 받기 위하여 다종의 전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선들은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장치측의 전선들과 전달받는 장치측의 전선들이 분리되어 있으며, 양단에 콘넥터가 구비되어 이 콘넥터들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콘넥터들은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차체의 내측패널상에 장착되어지는데 그 장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류가 들어오는 전선에 연결된 메인콘넥터(11,11′)가 전류를 전달받는 전선에 연결된 플로어콘넥터(10,10′)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고, 결합후에 상기 플로어콘넥터(10,10′)에 형성된 클립(10a,10a′)을 차체내측패널(P)에 형성된 원형구멍(h,h′)에 끼워넣음으로써 콘넥터조립체를 차체내측패널(P)상의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콘넥터들이 차체내측패널(P)과 이 차체내측패널(P)에 장착되는 트림(T)의 사이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콘넥터가 차지하는 공간과 이들에 연결된 전선들이 지나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체내측패널(P)과 트림(T)의 사이에 공간을 충분히 두어야 하므로 설계상 제약이 따르게 되고, 한 곳에 다수의 콘넥터들이 장착되었을 경우 트림(T)의 장착이 난해해지며, 장착후에도 트림(T)의 들뜸현상이 유발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개의 콘넥터 장착작업을 조립라인상에서 각각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으며, 콘넥터를 클립(10a,10a′)을 이용하여 차체내측패널(P)에 고정하므로 클립(10a,10a′)과 차체내측패널(P)의 원형구멍(h,h′)사이의 간격에 의해 콘넥터가 떨리게 되어 전선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체내측패널과 트림사이에 공간확보에 대한 설계제약이 해소되고, 트림이 용이하게 장착되며 장착후 들뜸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조립라인상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콘넥터의 고정상태가 안정되어서 접속불량이나 단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된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콘넥터박스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넥터박스, 1a : 플랜지,
1b : 통과홀, 2,2′ : 중간벽,
3,3′,3″ : 플로어콘넥터, 4,4′,4″ : 메인콘넥터,
H : 장착홀, P : 차체내측패널,
T : 트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플로어콘넥터들과 메인콘넥터들을 연결하여 차량에 장착된 전기 및 전자장비들의 전선을 연결하고, 상기 플로어콘넥터들과 메인콘넥터들이 연결된 상태의 콘넥터는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지는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그 내부공간으로 전선이 통과되는 빈공간인 전선 통과홀을 형성해 메인콘넥터들이 끼워지는 플로어콘넥터들이 장착되는 콘넥터박스가 차체내측패널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장착되되, 상기 플로어콘넥터들과 메인콘넥터들이 차체내측패널(P)과 차체외측패널의 사이공간에 위치되고, 이들에 연결된 전선은 트림과 차체내측패널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콘넥터박스의 정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플로어콘넥터(3,3′,3″)가 기장착된 콘넥터박스(1)가 차체내측패널(P)에 장착되고, 이 콘넥터박스(1)의 상기 플로어콘넥터(3,3′,3″)들에 메인콘넥터(4,4′,4″)들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콘넥터박스(1)는 한쪽면이 개구된 육면체형의 박스로서, 내부에 중간벽(2,2′)들이 형성되고, 이 중간벽(2,2′)들과 콘넥터박스(1)의 상판 내면에 상기 플로어콘넥터(3,3′,3″)들이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며, 상기 개구홀 쪽의 테두리부분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플랜지(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사각관형의 전선 통과홀(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라인에서는 상기 콘넥터박스(1)를 차체내측패널(P)에 삽입장착하고, 콘넥터박스(1)에 기장착되어 있는 플로어콘넥터(3,3′,3″)들에 해당 메인콘넥터(4,4′,4″)들을 끼워넣으면 콘넥터(플로어콘넥터와 메인콘넥터가 결합된 콘넥터조립체를 칭함) 장착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전류나 전기신호가 입력되는 전선들은 메인콘넥터(4)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플로어콘넥터(3,3′,3″)에 연결되어 전류나 전기신호를 해당 장치들로 전달하는 전선들은 콘넥터박스(1)의 하부에 형성된 통과홀(1b)을 통해 인출되어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의 사이로 빠져 나가게 된다.
즉, 상기 구조에서는 콘넥터가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의 사이에 위치되지 않고 차체내측패널(P)과 차체외측패널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에 위치되므로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사이에는 전선들만이 위치되어 간격을 넓게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설계상의 제약이 해소되며, 또한 차체내측패널(P)에 트림(T)을 장착하기도 쉬워지며 장착후 콘넥터와 전선들에 의해 밀려져 발생하던 트림(T)의 들뜸현상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라인에서는 각 콘넥터들을 개별장착하지 않고, 콘넥터박스(1)에 장착되어 있는 플로어콘넥터(3,3′,3″)들에 메인콘넥터(4,4′,4″)들을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콘넥터들은 콘넥터박스에 부착된 것이므로 콘넥터가 장착면에 대해 떨리지 않게 되므로 전선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내측패널과 차체외측패널 사이의 비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콘넥터가 트림과 차체내측패널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트림과 차체내측패널 사이의 공간확보에 대한 제약이 사라지고, 이에 따라 더욱 많은 수의 콘넥터들을 한 장소에 모아 관리할 수 도 있으며, 또한 플로어콘넥터가 콘넥터박스에 기장착되어 있어서 콘넥터마다의 개별장착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조립라인에서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콘넥터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이어서 접속불량이나 단선등으로 인한 장치들의 오작동 내지는 작동불가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플로어콘넥터(3,3′,3″)들과 메인콘넥터(4,4′,4″)들을 연결하여 차량에 장착된 전기 및 전자장비들의 전선을 연결하고, 상기 플로어콘넥터(3,3′,3″)들과 메인콘넥터(4,4′,4″)들이 연결된 상태의 콘넥터는 소정위치에 고정장착되어지는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그 내부공간으로 전선이 통과되는 빈공간인 전선 통과홀(1b)을 형성해 메인콘넥터(4,4′,4″)들이 끼워지는 플로어콘넥터(3,3′,3″)들이 장착되는 콘넥터박스(1)가 차체내측패널(P)에 형성된 장착홀(H)에 삽입장착되되, 상기 플로어콘넥터(3,3′,3″)들과 메인콘넥터(4,4′,4″)들이 차체내측패널(P)과 차체외측패널의 사이공간에 위치되고, 이들에 연결된 전선은 트림(T)과 차체내측패널(P)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박스(1)의 내부에는 중간벽(2,2′)들이 형성되어 이 중간벽(2,2′)들과 콘넥터박스(1)의 상판 내면에 플로어콘넥터(3,3′,3″)들이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KR10-2000-0065585A 2000-11-06 2000-11-06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KR10037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85A KR100376848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585A KR100376848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39A KR20020035339A (ko) 2002-05-11
KR100376848B1 true KR100376848B1 (ko) 2003-03-19

Family

ID=1969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585A KR100376848B1 (ko) 2000-11-06 2000-11-06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40U (ko) * 1994-08-31 1996-03-13 와이어 하네스가 내설된 자동차용 도어트림
KR970039093A (ko) * 1995-12-21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용 다극 커넥션 박스
KR19980026965U (ko) * 1996-11-13 1998-08-05 김영귀 컨넥터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40U (ko) * 1994-08-31 1996-03-13 와이어 하네스가 내설된 자동차용 도어트림
KR970039093A (ko) * 1995-12-21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용 다극 커넥션 박스
KR19980026965U (ko) * 1996-11-13 1998-08-05 김영귀 컨넥터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339A (ko) 200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3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5715807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コネクター
KR950033079A (ko) 자동차의 전기회로 장치
US20060292903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6780020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instrument panel-side connector and vehicle body-side connector
KR100376848B1 (ko) 자동차용 전선의 콘넥터 장착구조
JPH1127826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10062800A (ja) 車載用マイクロホン装置
KR101830403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US20170163016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JPS5947929B2 (ja) 配線基板
KR20240063492A (ko) 차량용 조립형 조인트 커넥터
JP3116849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の取付構造
KR20090130594A (ko) 차량용 멀티박스
KR200413715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101850463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200406008Y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850465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WO2023026857A1 (ja) 電気接続箱
KR101850460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1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8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59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KR101850464B1 (ko) 정션블록의 보강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