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594A - 차량용 멀티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594A
KR20090130594A KR1020080056298A KR20080056298A KR20090130594A KR 20090130594 A KR20090130594 A KR 20090130594A KR 1020080056298 A KR1020080056298 A KR 1020080056298A KR 20080056298 A KR20080056298 A KR 20080056298A KR 20090130594 A KR20090130594 A KR 2009013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x
mounting portion
relay box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0594A/ko
Publication of KR2009013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없어 제품의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장착부와,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의 둘레에는 차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부의 둘레에는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멀티박스, 릴레이박스, 인라인 커넥터, 와이어링 하네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박스{MULTI-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없어 제품의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고,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류 및 전기적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작동되는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전장품은 와이어링 하네스라고 불리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복수개의 전선에 의해 배터리 및 전자제어장치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거나 전기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전장품들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의 시동 및 점화장치, 점등장치, 카오디오, 와이퍼 및 모터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종래 차량의 전장품과 배터리의 사이에는 릴레이와 퓨즈가 마련되며, 그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및 퓨즈를 거쳐 전장품 측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 릴레이들은 릴레이박스에 통합적으로 조립되어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마련되고, 배터리의 메인 와이어링 하네스에 연결되어 배터리와 인접된 곳에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차량의 전자화 및 지능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장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릴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되는 릴레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룸박스나 실내박스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별도의 릴레이박스가 추가로 요구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릴레이박스를 추가로 사용할 경우 마운팅 브래킷 및 고정 하드웨어가 추가되어야 하므로 재료비가 상승하고, 패키지 설정의 어려움으로 와이어링 우회회로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릴레이박스 추가 설치 및 와이어링 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등 공간적인 제약을 받게 되어, 설계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운팅 브래킷 및 고정 하드웨어가 추가가 필요치 않아 원가를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멀티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일체로 고정되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제품의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멀티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는, 차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장착부와,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의 둘레에는 차체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부의 둘레에는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장착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인라인 커넥터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해당 인라인 커넥터가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둘레를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는 거치대와 관통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는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일체로 고정되어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바, 마운팅 브래킷 및 고정 하드웨어가 추가가 필요치 아니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패키지 최적화를 통한 품질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에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와 릴레이박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100)는, 차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어 릴레이박스(200) 및 인라인 커넥터(300)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장착부(120, 130)와, 와이어링 하네스(400)가 거치되는 거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요소 중 상기 몸체(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에는 차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112)이 마련된다. 상기 결합수단(1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결합돌기(114) 및 결합공(116)으로, 몸체(110)가 설치되는 차체에는 상기 결합돌기(114) 및 결합공(116)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공(미도시) 및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와이어링 하네스(400)의 피복이 벗겨진 경우에도 쇼트가 발생하지 아니하도록 절연성 소재인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장착부(120)는 릴레이박스(200)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릴레이박스(200)의 일면을 제외한 모든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홈 형태로 형성한 이유는 릴레이박스(200)의 측면이 제 1 장착부(120)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릴레이박스(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박스(200)의 양측에는 고정돌기(202)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장착부(120)의 내벽 중 상기 고정돌기(20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수단(122)이 마련되어, 제 1 장착부(120)에 장착된 릴레이박스(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박스(200)의 상단에는 플레이트(204)가 돌출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삽입공(206)이 형성되며, 제 1 장착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공(206)에 삽입 가능한 삽입돌기(124)가 돌출되어 차량의 운행 중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릴레이박스(200)가 흔들리는 것을 추가로 방지한다. 이때, 상기 삽입돌기(124)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릴레이박스(200)의 장착 시 삽입공(206)에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음과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릴레이박스(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착부(130)는 인라인 커넥터(300)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인라인 커넥터(30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장착부(130)를 관통되게 형성한 이유는 엔진룸 측 와이어링 하네스(402)와 실내 측 와이어링 하네스(404)가 몸체(110)의 전후방향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라인 커넥터(300)의 적어도 일측에는 고정돌기(302)가 돌출되고, 상기 제 2 장착부(130)의 내벽 중 상기 고정돌기(30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고정수단(132)이 마련되어, 제 2 장착부(130)에 장착된 인라인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 2 장착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엔진룸 측 와이어링 하네스(402)와 실내 측 와이어링 하네스(404)를 연결하는 인라인 커넥터(300)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장착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140)는 제 2 장착부(130)에 고정되는 와이어링 하네스(400)를 거치하여 흔들림 및 흔들림에 의한 피복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하네스(400) 중 실내 측 와이어링 하네스(404)를 거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거치부(140)는 실내 측 와이어링 하네스(404)의 둘레를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는 거치대(142)와, 상기 거치대(142)에 거치된 실내 측 와이어링 하네 스(404)의 일단이 상기 몸체(1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도록 제 2 장착부(13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4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100)는 몸체(110)의 내부에 제 1 장착부(120)와 제 2 장착부(130)가 마련되어 릴레이박스(200) 및 인라인 커넥터(300)가 일체로 고정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마운팅 브래킷 및 고정 하드웨어가 추가가 필요치 아니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장착부(120)와 제 2 장착부(130)의 둘레에는 고정수단(122, 132)이 마련되어 릴레이박스(200) 및 인라인 커넥터(3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운행 중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릴레이박스(200)가 흔들리는 것을 추가로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패키지 최적화를 통한 품질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박스의 구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에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박스와 릴레이박스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멀티박스 110: 몸체
120: 제 1 장착부 130: 제 2 장착부
140: 거치부

Claims (5)

  1. 차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릴레이박스 및 인라인 커넥터가 각각 수용되는 제 1 및 제 2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와이어링 하네스가 거치되는 거치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와이어링 하네스의 둘레를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는 거치대와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착부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박스.
KR1020080056298A 2008-06-16 2008-06-16 차량용 멀티박스 KR20090130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98A KR20090130594A (ko) 2008-06-16 2008-06-16 차량용 멀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298A KR20090130594A (ko) 2008-06-16 2008-06-16 차량용 멀티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594A true KR20090130594A (ko) 2009-12-24

Family

ID=4169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298A KR20090130594A (ko) 2008-06-16 2008-06-16 차량용 멀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0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1921A (zh) * 2014-06-27 2014-09-17 天津长城精益汽车零部件有限公司 线束短接器总成
KR101479088B1 (ko) * 2012-12-20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인라인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88B1 (ko) * 2012-12-20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인라인커넥터
CN104051921A (zh) * 2014-06-27 2014-09-17 天津长城精益汽车零部件有限公司 线束短接器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2213A (en) Battery mounted junction box
JP5130110B2 (ja) 電気接続箱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EP2453542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relay module
US8804314B2 (en) Electric junction box
CN110994287A (zh) 线束
US910228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20050219827A1 (en) Electrical circuit device
KR101143873B1 (ko)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용 플러그-인 타입 전원 제어 아이피에스 모듈
CN112078508B (zh) 电接线盒
KR20090130594A (ko) 차량용 멀티박스
US20150016077A1 (en) Electrical center for a vehicle
KR100755031B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CN105529662A (zh) 接线盒组件结构
WO2014045640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システム
KR201200188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
JP4708065B2 (ja) 電子制御ユニット収容構造
JP2006286464A (ja) 基板側縁部嵌め込みコネクタ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JP2006286463A (ja) オンボードコネクタ
KR200450936Y1 (ko) 정션박스의 신호전달장치
KR200217520Y1 (ko) 플렉시블기판을 이용한 회로분배구조
KR20090132863A (ko) 차량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터미널 고정 구조
JP2024072677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